매직 더 개더링/용어

 


매직 더 개더링에서 쓰는 용어 목록.
  • 중복 서술을 막기 위해 이곳에는 각 메커니즘의 간략한 정보만을 표기하고 예시나 상세 정보는 상세 링크에 작성한다.
  • 한국어판이 있을 당시에 존재했던 용어들은 한국어판의 표기도 병기한다.
  • 2011년 이후 발매된 한국어판 용어와 1996~1998년 시기의 한국어판 용어가 서로 다를 경우 2011년 이후 용어를 먼저 기재한다.
  • 한국어판 없이 공홈 세트 소개 홈페이지나 DotP 시리즈 등에서만 번역된 단어 및 키워드는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DotP 번역은 게임이 없으면 확인이 불가능한 관계로 상세링크에 따라가면 있는 항목에 출처를 표기한다. 번역 여러 개가 상충될 경우는 모든 번역명에 출처를 표기한다.
1. 게임에서 사용하는 용어
2. 플레이어들끼리 사용하는 용어
3. 세트에 상관 없이 기본적으로 나오는 키워드(Evergreen)
4. 세트에 상관 없이 나올 수 있는 키워드(Deciduous)
5. 현재 T2(스탠다드)에서 볼 수 있는 키워드
6. 현재 T2(스탠다드)에서 볼 수 없는 키워드


1. 게임에서 사용하는 용어


  • 능력(Ability) - 지속물의 부가적인 효과 중 하나. 능력이 언제 발동하느냐에 따라 활성화, 정적, 격발 능력으로 나뉜다. 이들은 주문(Spell)과는 다른 개념으로 주문 무효화 등의 무효 주문으로 무효화 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 활성화 능력(Activative Ability) - 마나, 탭, 지속물 희생 등의 비용을 지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비용):(효과)" 형태의 텍스트를 갖는다. 순간마법을 사용할 수 있는 타이밍에 사용할 수 있고,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한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다.
    • 정적 능력(Static Ability) - 특정 조건 하에서 지속되는 능력이다. 스택에 쌓이지 않고 적용되는 시점부터 바로 적용된다. "As ~" 형태의 텍스트로 표현된다.
    • 격발 능력(Trigger Ability) - 특정 상황이 일어날 때 격발되어 스택에 쌓이는 능력이다. "When ~ (~할 때)", "Whenever ~ (~할 때마다)" 형태의 텍스트를 갖는다.
  • 대지(Land) - 카드를 발동시키고자 마나얻기 위해 까는 카드. 매직인들은 대지란 말 외에도 랜드, 줄여서 아예 땅이라고도 부른다.
  • 드로(Draw) - 카드를 서고에서 뽑는다는 뜻. 각 플레이어들은 자신의 턴 시작때 기본적으로 한 장을 드로우 할 수 있다. 매직은 처음에 7장으로 시작하지만 대지와 주문들을 매턴 2장 이상씩 내다보면 결국 손이 비게 된다. 카드가 손에 얼마 없다는 것은 다음턴에 할 수 있는 선택지가 그만큼 적다는 것이므로 적절한 드로우 능력이 있는 카드를 사용해서 손패를 늘려주는 전략이 필요하다. 청색에 이러한 주문이 많다.
  • 마나(Mana) - 주문을 발동하는데 필요한 비용. 주로 대지카드를 탭해서 생성할 수 있다. 마나는 백,청,흑,적,녹 등 5개 색이 있으며, 색깔이 없이 비용에 필요한 마나 수를 맞추는 데에만 쓸 수 있는 무색마나도 있다. 생산된 마나는 일정 시점까지 사용하지 않으면 그냥 없어진다.
관문수호대의 맹세이후 마나 관련 규칙에 변화가 생겼다. 우선 기존과 마찬가지로 유색마나는 필요시 무색 비용 지불에 사용할 수 있지만 생성 시부터 무색인 무색마나[1]는 유색마나 지불에 사용할 수 없다. 2016년 관문수호대의 맹세 발매 이후 이러한 종류의 마나를 명시적으로 무색(colorless) 마나로 규정했으며, 기호는 오목한 마름모꼴, 오라클 텍스트 상에서는 {C}로 표기한다. 구체적으로 {C}를 요구하는 카드들이 추가되었으며, 이 카드의 비용지불에는 유색마나를 사용할 수 없고 불모지 등에서 생산되는 무색 마나로만 지불할 수 있다.
  • 멀리건(Mulligan) - 게임을 시작할 때 본래 7장의 카드를 받고 시작하는데, 그 7장이 마음에 안든다면[2]] 서고를 다시 섞은 후 받을 수 있다. 대신 패를 결정하고 나면 멀리건 횟수 만큼 패에 있는 카드를 서고 맨 밑으로 내려놔야 한다.
  • 목표(Target) - 주문이나 능력의 대상이 되는 지속물, 플레이어, 주문/능력 등. 목표를 정하는 주문이나 능력은 스택에 쌓을 때 유효한 목표를 정하지 않으면 선언할 수 없다. 주문이나 능력을 해결될 때 다시 그 목표가 유효한지 체크하여 그 사이에 목표가 유효하지 않아졌다면 그 주문/능력은 불발된다.
  • 무덤(Graveyard) - 사용한 카드들을 모아놓는 장소. 사용한 마법과 죽은 생물은 이곳으로 보낸다. 앞이 보이게 놓으며 내용물을 누구나 마음대로 볼 수 있다.
  • 상태 참조 행동(State-based action) - 게임 중 특정 상황이 발생하는 순간마다 자동적으로 행해야 하는 룰적인 행위들. 예를 들면 내 생물이 모종의 일로 방어력이 0이 되었다면 규칙에 따라 무덤으로 보내는 것이 있다. 승리나 패배 역시 상태 참조 행동으로 분류된다.
  • 생명점(Life total) - 한마디로 플레이어의 HP. 처음 시작할 때 20점을 가지고 시작하며 0점이 되면 게임에서 패배한다.
  • 서고(Library) - 아직 사용하지 않은 카드들을 모아놓은 곳. 쉽게 말해 타 게임의 덱(Deck). 뒷장이 보이게 엎어두며 임의로 순서를 바꾸거나 내용을 확인할 수 없으나, 몇 장이 남아있나 세어보는 것은 가능하다.
  • 소환 후유증(Summon Sickness) - 생물을 소환한 첫 턴에는 그 생물로 공격을 할 수 없고, 탭해서 써야하는 그 생물 자신의 활성화능력을 쓸 수 없다. 신속 능력과 경계 능력 참고.
  • (Hand) - 플레이어가 들고 있는 카드들. 처음 시작할 때 7장을 가지고 시작하며 7장이 넘을 경우 턴의 끝에 7장만 남기고 무덤에 버려야 된다. 본 플레이어를 제외하면 내용을 볼 수 없다.
  • 스택(Stack) - 주문과 능력이 효과를 내기 전에 쌓이는 곳. 모든 주문과 능력은 사용한다고 선언하면 스택에 쌓이며, 그 위에 다른 주문이나 능력을 쌓을 수도 있다. 여러 주문이 동시에 스택에 쌓여있을 경우 나중에 쌓아 맨 위에 있는 주문이나 능력이 먼저 실행된다.[3]
  • 오라클 텍스트(Oracle Text) - 항목 참고.
  • 우선권 - 주문이나 능력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 내 턴엔 기본적으로 내가 우선권을 가지고 있지만 잠깐씩 상대방에게 넘어갈 때가 있다. 상대방은 그때 순간마법이나 활성화 능력을 사용할 수 있다. 우선권이 상대방에게 넘어갈 때는
    • 각 소단계의 끝[4]
    • 주문이나 능력을 사용한 직후
이 때 상대방이 이 주문에 대응하여 다른 주문이나 능력을 사용했다면 그것이 다시 해결되기 전에 나에게 우선권이 돌아온다. 이런 식으로 우선권이 왔다갔다하면서 스택에 주문이 쌓이다가 양측이 모두 더 이상 할 것이 없다고 선언하면 스택 맨 위 주문이나 능력을 실행하고 다시 나에게 우선권이 돌아오고, 이를 포기하면 다시 상대방이 우선권을 갖는다.[5]
  • 전장(Battlefield) - 카드들의 행동이 이루어지는 장소. 대지, 생물 등 지속물들을 배치한다. 배치는 플레이어 마음대로 할 수 있으나 상대편이 카드를 구별하는데 지장이 없어야 된다. 암묵의 룰대지는 플레이어 가장 가까운 곳에 모아둔다.
  • 주문(Spell) - 대지를 제외한 다른 모든 종류의 카드들.
  • 지속물(Permanent) - 전장에 깔려 있는 상태로 게임이 진행되는 카드들. 집중마법과 순간마법을 제외한 다른 종류의 카드들은 일반적으로 지속물 형태로 게임에 사용된다.
  • 카운터(Counter - 명사) - 카드의 추가사항(마법이나 특수능력으로 인한 공격력/방어력의 변동 등)을 표시하기 위해서 카드위에 올려놓는 물건들. 종이쪽지에 쓸 수도 있고 주변에 있는 잡동사니들을 올려놓을 수도, 간지나게 주사위로 표시할 수도 있다.
    • 무효화(Counter - 동사) - 스택에 있는 주문이나 능력을 없는 것으로 한다. 주문의 경우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무덤으로 보내진다. 청색의 대표적인 능력이다.
  • 탭(Tap) - 카드의 능력을 사용한다는 의미로 카드를 90도로 꺾는 것. 대지에서 마나를 생산할 때 대지를 탭하며, 생물이 공격을 할 경우 생물을 탭하게 된다. 그외에도 특수능력을 사용하는데 탭이 필요하다고 명시되어 있을 경우에도 탭을 하게 된다. 오라클 텍스트같은 문서 등에선 {T}로 표기한다.
    • 언탭(Untap) - 탭한 카드를 다시 원래대로 돌리는 것. 턴의 맨 처음에는 언탭단이라 해서 카드에 특별히 명시되어있지 않는 한 모든 카드를 언탭하게 된다. 가끔 주문이나 효과로 언탭할 수 있으며, Shadowmoor에서는 카드에 언탭 표시가 있어서 탭된 지속물을 언탭함으로서 능력을 사용하는 것도 있었다. (약자로는 Q로 표시)
  • 토큰(Token) - 카드는 아니지만, 카드의 효과로 인해 만들어지는 지속물(대부분은 생물). 토큰이 나오게 될 경우에는 동전이나 그 밖에 표시가 가능한 것들로 플레이 중에 토큰임을 나타내게 된다. 토큰이 전장에서 떠나 다른 존으로 이동하면 이동 즉시 사라진다. 일반적인 토큰의 경우 마나비용은 0으로 취급한다.
  • 휘장(Emblem) - Magic 2011부터 등장한 능력. 플레이어가 얻게 되는 일종의 눈에 안보이는 부여마법이다. 플레이어가 이 휘장을 획득하게 되면 해당 게임이 끝날 때까지 그 플레이어에게만 휘장의 효과가 지속된다. 물론 진짜 부여마법 타입은 아니기 때문에[6] 현재까지는 휘장을 제거 or 카운터 할 수 있는 수단은 없다.
휘장이 생김에 따라서 Elspeth, Knight-Errant의 능력이 이것으로 에라타되었다. 현재 휘장을 부여할 수 있는 카드는 전부 플레인즈워커.

2. 플레이어들끼리 사용하는 용어


덱 관련 용어는 매직 더 개더링/덱 종류 참고. 특정 색조합을 부르는 명칭 역시 매직 더 개더링/마나 참고.
  • 깜빡이 - '생물을 추방한 후 다시 전장에 되돌리는 효과'를 말한다. 전장에서 사라졌다 다시 등장하는 게 흡사 깜박거리는 것 처럼 보인다 하여 붙은 별명. 과거 깜빡이로 유명한 카드로는 Momentary Blink, 복원의 천사 등이 있었다.
  • 뎅 - 한국 매직 플레이어들끼리 사용하는 용어. 쉽게 말해서, 게임상 "전략적 실수"를 의미하는 용어다. 실수를 깨달은 순간 충격을 받은 듯한 멍한 표정을 지으면서 입으로 "뎅~" 하고 말하는(?) 일종의 애니에서나 나올법한 퍼포먼스로, 95~96년 카이스트에서 쓰였는데 워낙 좁은 매직의 세계에서 그게 금방 퍼지며 지금처럼 용어화 한듯. 주로 뎅치다라고 표현한다.
  • 돈드랩 (Money draft, rare draft) - 드래프트 방식에서 나오는 용어로, 덱의 색깔이나 시너지를 고려하지 않고 비싼 거 나오면 닥치고 집고 보는 것. 그런데 2010년 들어와서 특정 카드들은 시세가 50불을 넘거나 육박하면서, 이것을 안하면 바보가 되는 경우가 생겼다. 드래프트 한 번 참가비가 2만원이 안 된 다는 것을 생각하자.
  • 디나이얼(Denial) - 전장에서 지속물을 제거하는 수단. 주로 리미티드 환경에서의 생물 제거 수단을 의미한다.
    • 매스 디나이얼(Mass Denial) - 카드 한 장으로 여러 장의 지속물을 제거하는 수단. 심판의 날 같이 전장의 모든 생물을 파괴하는 주문을 의미한다.
    • 바운싱(Bouncing) - 상대의 생물 혹은 지속물을 손, 또는 덱으로 되돌리는 수단을 말한다. 청색의 특기이다.
  • 디피(DP; DisPlay box) - 팩이 들어있는 부스터 박스. 매더개에선 부스터 박스를 공식적으로 Booster Display Box라고 부르는데 여기서 중간에 디스플레이를 줄인 것이다. 보통 한 박스 당 36개 팩이 들어있으며, 특별판은 24팩이 있다.
  • 로테아웃 - 로테이션 아웃(Rotation Out)을 줄인 말로, 스탠다드 포맷에서 어떤 카드를 더 이상 쓸 수 없게됨을 일컫는다. 스탠다드는 그 해 10월 전에 발매된 블록들을 다음 해 10월까지만 쓸 수 있고, 10월이 되면 한꺼번에 발매된 블록들이 빠져나간다.
  • 리애니 - 무덤에 있는 생물을 부활시켜 내 조종 아래 전장에 두는 것, 또는 그런 카드들. 유래는 흑색 부활 카드인 재조종.
  • 말림 (Mana screw) - 첫 패와 초반 드로우에서 대지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는 상황. 반대로 대지만 나오고 주문이 나오지 않는 상황은 마나 홍수(mana flood)라고 일컫는다.
  • 메타(Meta) - 어떤 덱을 공략하기 위해 짜여진 덱. xx메타덱의 경우 xx덱을 분쇄하기 위해 짠 덱이라는 뜻이다. 안티xx덱이라고도 한다.
  • 바인더 (Binder) - 카드 콜렉션을 모아두는 도구. 한국의 경우, 사람들끼리 카드 교환을 하려면, 제일 먼저 나오는 말이 "바인더 있으세요?"다.
  • 밴(Ban / Banned) - 보통 어떤 카드가 특정 포맷에서 사용하지 못하게 하면 흔히 '금지를 먹었다'고 표현하지만 매직에선 영어 표현을 그대로 가져와 먹었다고 부른다. 금지 제한 카드를 모아놓은 목록을 밴 리스트(Ban List)라고 부른다.
  • 불: 불(동음이의어)#s-3에 해당하는 달러를 칭하는 말 맞다. 어떤 카드가 XX불 이라고 할 경우 해외에서 주문하는 것이 아닌 이상 국제환율이 아니라 $1=1000원을 의미한다. 옛날에 $1=1500원 한 시절부터 계속 1000원이었으니 무조건 1000원으로 알고 있으면 된다.
  • 수요 : 어떤 특정 포맷에서 인기가 있어 해당 포맷 유저들이 집중적으로 사용한다(=수요가 있다/있을 것이다)라는 의미. 예를 들어 커맨더 수요라고 하면 커맨더 포맷을 즐기는 유저들이 주로 구매하는 카드라는 뜻이다.
  • 카킹가 - 카드킹덤 가격의 준말. 카드킹덤은 물 건너 카드판매 사이트다. 한국의 매직인들 사이에선 여기 가격이 카드 트레이드나 판매의 기준이 된다. 초보라면 거래 전에 여기에서 대충 시세를 알아보는게 바가지 안쓰는 길이다. 특히 포일 그 중에서도 특히 한글 포일은 국내의 거래 게시판을 참고하자. 그렇다고 여기 가격만 맹신하는 것도 금물이지만.
  • 캔트립(cantrip) - 손의 카드 수와 전장의 지속물 수의 합을 유지하면서 덱의 카드 수를 줄여 결과적으로 손에 들어오게 되는 카드의 질을 끌어올리는 주문이나 능력들을 뭉뚱그려 일컫는 말. 덤핑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각종 주문이나 스스로를 희생하는 능력이 자체로는 미약하지만 "카드를 한 장 뽑는다"[7]가 있어 덱을 줄이는 효과를 노리고 쓰는 경우(Manamorphose 등)나 위와 같은 문구가 없음에도 결과적으로 패소모 없이 덱을 파내리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경우(예측 등)가 있다. 단순히 카드를 한장 추가로 뽑는 효과가 있는 주문이나 능력은 그저 단순히 패 소모 없이 효과를 보는 "좋은" 능력일 뿐이며, 중요한 건 캔트립으로 분류되는 주문들은 카드 자체의 효과보다는 덱을 줄이는 결과를 노리고 사용한다는 점이다.
  • 킵(keep) - 손에 쥔 패를 멀리건 하지 않고 그대로 두는 것. 멀리건 항목 참조.
  • 탑덱(topdeck) - 손이나 전장에 전황을 타개할 수단이 없는 상황에서, 서고에서 막 뽑은 한 장의 카드가 상황을 타개해주는 경우. 예를 들자면, 상대는 생물 3마리가 있고 내 손에는 아무 것도 없고, 생물도 없다. 그런데 서고에서 한 장을 뽑으니 신의 분노. 그 한 장으로 게임을 이겨버린다면 효과가 더하다. 유희왕 만화에서 주인공 보정을 받은 캐릭터들이 특정 상황에 딱 알맞는 카드를 카드 뭉치 위에서 반드시 뽑는 거를 생각하면 된다.
  • 탭돌이(Tap~) - 말 그대로 상대편 생물을 탭 시켜주는 생물이나 지속물. 보통 그 자신은 약한 경우가 많다. 상대 생물 하나는 그대로 봉인되는거나 마찬가지기 때문에 나오면 제 값을 한다.
  • 튜터(Tutor) - Tutor시리즈에서 나온 말로, 서고에서 카드를 찾아서 손이나 덱 맨위로 가져오는 능력. 일부 카드는 튜터가 붙지 않는 이름 중에도 튜터와 비슷한 효과를 내거나 튜터와 같은 주문이 있다. [8] 다른 TCG에서는 주로 서치라고 한다.
  • 플레이테스트 (playtesting) - 대회 전에, 어떤 덱들이 나올 것인가에 대해 토론하고, 자신이 사용할 덱들을 사용해 친구들이나 팀원들끼리 경기를 하면서 덱들 간의 상성, 그리고 세밀한 전략을 짜는 과정. 단순히 연습경기만 죽어라 하는 것이 아니다.
  • 피즐(Fizzle) - 주문이나 능력의 목표가 된 지속물을 없애서 주문이나 능력이 효과를 내지 못하고 소모되어버리게 하는 것을 말한다. 상대가 내 생물을 충격으로 없애려 할 때 역소환으로 내 손으로 되돌린다든지, 상대가 자신의 생물에게 마법진을 써서 강화하려 할 때 그 생물을 죽여버리는 식으로 쓸 수 있다.
  • 헤이트 - 특정 카드나 덱, 전략 등을 견제하기 위한 카드들. 소위말하는 하드 카운터할 때 카운터를 뜻한다고 보면 된다. 디나이얼이나 메타도 넓게보면 헤이트에 속한다. "A는 B를 헤이트한다."고 하면 B는 A에게 쥐약이다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3. 세트에 상관 없이 기본적으로 나오는 키워드(Evergreen)


초창기에는 직관적인 단어를 주로 에버그린 키워드로 썼었다. (비행, 선제공격 등) 그러다가 2000년 전후로 기본판에서 룰을 개정하면서 생물의 일부 능력을 키워드로 만드는 것을 시작으로 많은 종류의 능력을 키워드로 정의하였으나 (신속, 경계 등등) 2010년즈음부터 룰적으로 복잡한 키워드는 점점 배제하는 추세로 자주 사용되었던 일부 키워드는 다른 형태의 키워드로 교체되거나 최근에는 잘 등장하지 않게 되었다.[9]
에버그린 키워드 능력
Deathtouch
치명타
이 능력이 있는 생물이 다른 생물한테 피해를 입히면, 얼마의 피해를 입히든 피해를 입은 생물은 바로 파괴된다. 입히는 피해가 꼭 전투 피해일 필요는 없고 치명타를 가진 생물이 효과로 주는 피해에도 치명타가 적용된다.
Defender
수비태세
상대를 공격할 수 없다. 상대의 공격을 방어하는 것은 가능하다. 과거에는 이것이 Wall(벽)이라는 생물의 분류로 취급되었다. Kamigawa에서 생겨난 용어.
Double Strike
이단공격
First Strike(선제공격) 참조. 확장판 Onslaught 블록의 Legions에서부터 등장해서 가뭄에 콩나듯 존재한다. 선제피해단에 전투피해를 입히고 전투피해단에 또 피해를 입히는 능력. 말 그대로 "두 번 때리기". 선제공격+일반공격으로 받아들이면 이해가 빠르며, 단순히 공격력이 표시된 수치의 2배라고 생각해도 크게 문제는 없다.
Enchant
~에게 부여
부여마법이 갖는 키워드로 ~에 부여할 수 있는 대상이 적혀있다. 부여마법이 특정 대상에게 부여되는 경우, 대상이 전장에서 사라지거나 대상이 부여에 필요한 조건을 잃거나[10] 하면 이 키워드를 가진 부여마법은 무덤으로 간다.
Equip
장착~
Mirrodin애서 등장한 키워드로 장비 유형에 달려있다. ~에 코스트가 있고 그 코스트를 지급하면 생물에 장착시킬 수 있다. 부여마법과 달리 생물이 죽어도 장비는 전장에 남아있으며, 장착 코스트를 지불하면 다시 다른 생물에게 장착시킬 수 있다.
First Strike
선제공격
선제공격이 없는 생물보다 먼저 전투피해를 가하는 능력. 예를 들면 1/1에 선제공격이 있는 생물과 2/1에 선제공격이 없는 생물이 싸우면 1/1에 선제공격이 있는 생물이 먼저 피해를 입혀 2/1은 피해를 주지 못하고 죽는다.[11]
Flash
섬광
일반적으로 자기 턴 본단계에만 쓸 수 있는 카드에 부여되는 능력으로, 이 능력이 있는 경우 순간마법 사용하듯 상대의 턴을 포함한 온갖 타이밍에 발동할 수 있다. 주로 생물에 많이 붙지만 부여마법 등에 붙기도 한다.
Flying
비행
이 능력을 가진 생물이 공격하면, 비행 혹은 대공 능력을 가진 생물로만 방어할 수 있다. 반대로 비행을 가진 생물이 상대의 생물을 방어하는 데는 제한이 없다.
Haste
신속
이 능력이 있는 생물은 소환후유증이 없다. 즉 등장하자마자 냅다 공격하거나 탭능력 사용이 가능. 주로 적색 생물들이 많이 지니고 있다.
Hexproof
방호
이 능력이 있는 생물은 '''상대방이 조종하는''' 주문이나 능력의 목표가 되지 않는다. 은신과는 달리 자신의 주문이나 능력의 목표는 될 수 있다. 매직 2012 코어세트부터 등장한 능력으로 Troll Ascetic이나 Silhana Ledgewalker의 능력이 키워드화된 것이다. 변종으로 ~로부터 방호가 있는데, 이는 ~에 대항하는 원천에 대해서만 방호가 적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Indestructible
무적
확장팩 Darksteel에서 첫 등장. 주문이나 능력에 의한 '파괴' 효과를 무시하며, 생물의 경우 방어력 이상의 치명적 피해를 받아도 파괴되지 않는다. 한글판에서는 '무적'이라고 번역되어 초보자들이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은데 원문을 보면 '파괴불가' 정도가 맞으며 파괴 외의 능력으로는 무덤으로 보낼 수 있다. 때문에 '희생'이나 '추방'을 당하거나 방어력을 직접 낮추는 주문이나 효과(예를 들어서 Wither 붙은 주문, -1/-1 카운터 등)로 방어력이 0 이하가 되면 죽는다. 원래는 룰 무시 효과의 일종이라서 규칙 적용 시 약간 혼란이 있었는데[12], 매직 2014 코어세트부터 '무적'이라는 '능력'으로 바뀌었다.
Lifelink
생명연결
이 능력이 있는 생물이 다른 생물이나 상대 플레이어에게 대미지를 입힐 때, 이 생물을 조종한 플레이어는 그 대미지만큼의 생명점을 얻는다. 대미지가 가해진 생명체의 생명점과는 관계없이 가해진 대미지만큼 생명점을 얻는다. 생명연결을 가진 생물이 공격하다 죽어도 대미지가 나왔다면 생명점을 얻는다. 하지만 상대 생물이 선제공격, 이단공격 등으로 생명연결을 가진 생물에게 공격을 받기전에 죽인다면 생명점을 얻을 수 없다. Magic 2010 Core Set이 나오기 전에는 생명연결 능력이 격발 능력으로 취급되어서 서로 중첩이 가능해서 한번 패면 붙어있는 생명연결 효과의 배수만큼 생명점을 빨아오는 것이 가능했다. 지금은 정적 능력으로 바뀌어서 지속물의 고유능력으로 편입된지라 그런 엄청난 사태는 벌어지지 않는다.
Menace
호전적
생물에게 붙는 키워드. 이 능력을 가진 생물은 2개 이상의 생물에게만 방어될 수 있다.
Reach
대공
이 능력을 가진 생물은 비행 생물을 방어할 수 있다.
Trample
돌진
생물을 공격하고 남은 피해를 플레이어한테도 주는 능력. 예를 들면 4/1짜리 생물로 공격한 것을 2/2짜리 생물로 방어하게 되면 둘 다 죽고 방어하는 플레이어는 대미지를 입지 않는데, 만약 그 4/1짜리 생물에 돌진이 있으면 생물을 죽이고 남은 대미지 2를 플레이어에게도 주게 된다. 주로 녹색에 이런 생물이 많다. 과거에는 복수방어시 한 크리처에 데미지를 전부 몰아주는 방식으로 플레이어에게 데미지를 주는 것이 가능했지만, '조종자는 각 방어 생물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배분하고 남는 피해를 상대에게 가한다'고 룰이 개정되어 더 이상 이런행위는 불가능하다.
Vigilance
경계
원래 생물은 공격할 때 카드를 탭하는데, 이 능력이 붙은 생물은 공격해도 탭되지 않는다. (Urza's Saga 이전에 한국어판이 나오던 당시에는 이 능력이 따로 없고 카드에 '공격해도 탭되지 않는다'라는 설명이 붙어있었다.)
에버그린 키워드 행동
Activate
활성화
카드가 가지고 있는 활성화 능력을 발동시키면 활성화 능력이 스택에 쌓이고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Attach
부착
목표에 장비나 마법진을 부착시키는 행위
Cast
발동
카드가 원래있던 곳(일반적으로 손)에서 스택에 올리고 비용을 지불하는 행위.
Counter
무효화
목표 능력을 취소하고 스택에서 제거한다. 이렇게 무효화된 주문은 사용자의 무덤으로 간다.
Create
만들다
토큰을 만드는 능력.
Double
두 배
일정 수치를 두 배로 만든다.
Destroy
파괴
전장에 있는 지속물을 무덤으로 보낸다.
Discard
버림
목표 카드를 소유자의 손에서 무덤으로 보낸다.
Exchange
교환
목표 지속물들의 사용자는 자신의 지속물의 조종권을 잃고 다른 지속물의 조종권을 얻는다. 다만 이 과정이 해결되기 전에 둘 중 하나가 파괴되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교환이 완료될 수 없다면 교환은 일어나지 않는다,
Exile
추방
개체를 무덤이 아닌 다른 구역으로 보내는 행위. 파괴와 달리 재생이 발동하지 않는다.
Fight
싸우다
싸우는 생물들은 서로에게 자신의 공격력만큼 피해를 준다. 단순히 공격력만큼 피해를 주는 효과이므로 선제공격, 이단공격 등의 전투 단계 키워드는 적용되지 않는다.
Play
플레이
플레이어가 대지를 전장에 놓는 행위. 다만 스택에 쌓이지는 않고 대지를 놓는 것과는 다르다.
Reveal
공개
모든 플레이어에게 해당 카드를 보여준다.
Sacrifice
희생
그 지속물의 조종자가 그 지속물을 전장에서 무덤으로 보낸다.
Scry
점술
점술 n을 하는 효과라면, 점술을 하는 플레이어는 서고 위의 카드 n장을 확인하고, 그 카드들을 자신이 원하는 만큼 덱의 맨 위에 원하는 순서로 놓고, 나머지 카드는 원하는 순서대로 맨 아래에 놓는다. 쉽게 말해 서고 맨 위 n장을 원하는 대로 덱 위 또는 아래에 놓을 수 있다.
Search
찾기
어떤 구역에서 주어진 설명과 일치하는 카드를 찾는다.
Shuffle
섞기
서고 또는 뒷면인 카드 더미를 섞는다.
Tap

수직으로 세워 둔 지속물을 옆으로 눕힌다. 언탭된 지속물들만 탭될 수 있다.
Untap
언탭
눕혀진 지속물을 수직으로 세운다. 탭된 지속물들만 언탭될 수 있다.

4. 세트에 상관 없이 나올 수 있는 키워드(Deciduous)


상기한 에버그린처럼 매 세트마다 나오게 되는 키워드는 아니지만, 세트 컨셉에 관계없이 시간적 차이를 두고 나올 수 있는 키워드들이 해당한다. 보호가 매직의 기원에서 퇴출된 뒤 최초로 이 분류에 들었으며, 2020년 현재까지 R&D에서 사용하고 있는 비공식 용어. 마크 로즈워터가 2016년 말에 작성한 칼럼
Deciduous 키워드
Colored Artifact
유색 마법물체
마법물체는 원래 마나비용에 유색 마나가 포함되지 않는 무색인 원천이나, Ravnica에서 유색으로도 취급하는 마법물체가 등장하고 Time Spiral에서는 마나비용에 유색 마나를 요구하는 마법물체까지 등장하고 난 뒤 관련 테마가 있을 때마다 등장하고 있다. 게임 디자인적인 면에서도 컬러파이에 구애받지 않아 환경을 쉽게 망가뜨릴 우려가 있는 무색 마법물체에 비해 밸런스를 맞추기 쉽기 때문에 코어세트 2020에서부터는 유색 마법물체가 더 자주 등장할 것이라고 공언하기도 했다.
Ravnica
Time Spiral
Lorwyn-Shadowmoor
Shards of Alara
Scars of Mirrodin
테로스
칼라데시
라브니카의 충성
플레인즈워커 전쟁
코어세트 2020
엘드레인의 왕좌
Crew
탑승
마법물체의 세부유형인 탑승물(Vehicle)이 가진 키워드. Crew X로 표현되는 능력에 대해 공격력 총합이 X 이상이 되도록 생물을 탭시키면 그 마법물체를 턴종료까지 카드에 기재된 대로의 공방과 생물로서의 능력을 가진 마법물체 생물로 취급한다.
칼라데시에서 첫등장했는데 상상 이상의 오버파워를 보여주고 환경을 파괴한 후에는 리밋용으로 의도적으로 파워를 약화시켜 나오고 있는 키워드.
칼라데시
익살란
도미나리아
플레인즈워커 전쟁
엘드레인의 왕좌
Hybrid Mana
하이브리드 마나
둘 이상의 마나 심볼이 하나의 마나 심볼을 나누어 점유하고 있는 형태로 표현되는 마나비용의 일종. 하이브리드 마나비용은 해당하는 두 가지 마나 중 어느 쪽으로든 지불할 수 있다. Ravnica에서 처음 등장한 뒤 다색 테마 세트라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고 있다.
Ravnica
Lorwyn-Shadowmoor
Shards of Alara
라브니카로의 귀환
타르커의 칸
라브니카의 길드
라브니카의 충성
플레인즈워커 전쟁
엘드레인의 왕좌
이코리아: 거대괴수들의 소굴
Protection
보호
보호를 가진 원천은 보호 대상에 해당하는 원천에게
1. 목표로 지정되지 않고
2. 피해를 입지 않으며
3. 생물이라면 그 속성의 생물에게 방어당하지 않고
4. 해당하는 속성의 지속물이 부착되지 않는다.
보호 대상에게 있어서만큼은 가장 강력한 자기보호 능력 중 하나. 보호 대상은 보통 색으로 지정되나, 유색 보호나 순간마법 보호, '''특정 플레이어로부터 보호''', 심지어는 '''모든 것으로부터 보호''' 등 활용성은 무궁무진하다. 타르커의 칸 블록까지는 에버그린으로 사용되다가 너무 복잡하고 강력하다는 판단 하에 매직의 기원부터 퇴출된 뒤 이니스트라드에 드리운 그림자 블록을 시작으로 가끔씩 소수만이 등장하고 있다.
구 에버그린
이니스트라드에 드리운 그림자
코어세트 2020
Prowess
기량
기량을 가진 생물은 조종자가 생물이 아닌 주문을 발동할 때마다 턴종료까지 +1/+1을 받는다.
타르커의 칸 블록에서 제스카이 도의 키워드로 처음 등장한 이후 바로 다음 세트인 매직의 기원에서 에버그린으로 승격되면서 아몬케트 블록까지 꾸준히 등장했으나, 익살란 블록에서부터 퇴출, 코어세트 2021에서 소수만이 재등장했다.
타르커의 칸
구 에버그린
코어세트 2021
Transform
변신
이니스트라드부터 등장한 양면 카드에 적용되는 메카니즘.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면 별개의 기재된 내용을 가진 뒷면으로 뒤집어서 다른 카드인 것처럼 사용하게 된다.
원래는 이니스트라드의 늑대인간을 표현하기 위한 메카니즘이었으나, 매직의 기원에서 캐릭터의 "성장"을 표현하는 메카니즘으로 사용되면서 재등장할 여지를 남겼다. 익살란 블록에서는 탐험을 표현하는 메카니즘으로 사용되었다.
이니스트라드
매직의 기원
이니스트라드에 드리운 그림자
익살란
코어세트 2019

5. 현재 T2(스탠다드)에서 볼 수 있는 키워드


키워드 능력
Adamant
단호
전환마나비용 3 이상인 주문이 가진 능력. 이 능력을 가진 주문은 발동하는 데에 특정한 색의 마나가 세 개 이상 사용되었다면 추가적인 능력을 얻는다.
엘드레인의 왕좌
Addendum
부록
순간마법이나 섬광을 가진 주문이 가진 능력. 이 능력을 가진 주문은 내 메인단에 발동된다면 추가적인 능력을 얻는다.
라브니카의 충성
(아조리우스 평의회)
Affinity
친화
그 플레이어가 조종하는 특정 지속물 하나당 비용이 {1}씩 깎이게 된다.
Mirrodin
플레인즈워커 전쟁
Afterlife
사후세계
이 능력을 가진 생물이 죽을 때, 비행을 가진 1/1 백색 및 흑색 신령 생물 토큰 X개를 만든다.
라브니카의 충성
(오르조브 조직)
Convoke
집합
이 능력을 가진 주문을 발동할 때 내가 조종하는 생물을 탭하는 것으로 그 주문의 마나비용 중 {1} 또는 그 생물의 색에 해당하는 유색 마나 1개를 지불할 수 있다.
Ravnica
라브니카의 길드
(셀레스냐 교단)
Crew
탑승
탑승물 유형 마법물체가 가진 능력. 공격력의 합이 X가 되도록 생물을 탭하면, 턴 끝까지 마법물체 생물로 취급한다. 탭 심볼을 사용하는것이 아니라서 소환후유증이 있는 생물들도 탑승에 이용할 수 있으며, 이렇게 탑승물에 탑승할 때 그 탑승물에게 추가로 효과를 얹어주는 조종사(Pilot) 생물 유형도 존재한다. 기존 마법물체-장비들이 가지고 있던 장착 능력과 여러가지 의미로 대조를 이룬다.
칼라데시
익살란
도미나리아
플레인즈워커 전쟁
엘드레인의 왕좌
Jump-Start
강제 시동
이 능력을 가진 주문은 원래 비용에 더해 손의 카드 1장을 버리는 것으로 무덤에서도 발동할 수 있다. 무덤에서 발동했다면 해결될 때 추방된다.
라브니카의 길드
(이젯 연합)
Mentor
지도
이 능력을 가진 생물이 공격할 때, 함께 공격하는 생물 중 자신보다 공격력이 낮은 생물 하나를 목표로 정해 +1/+1 카운터 1개를 올린다.
라브니카의 길드
(보로스 군단)
Protection from ~
~(으)로부터 보호
생물에게 붙는 능력. 이 능력이 붙은 생물은

1. 그 속성으로부터의 피해를 받을 경우 전부 방지되고,
2. 그 속성의 주문 또는 능력의 목표가 될 수 없고,[13]
3. 그 속성의 생물로는 방어할 수 없다.

가령 "흑색으로부터 보호"가 있는 백기사#s-4의 경우, 대상을 지정하는 흑색 주문인 테러#s-2.1가 먹히지 않고 흑색 생물과는 전투해도 피해를 입지 않으며 백기사가 공격을 갈 경우 흑색 생물로는 방어조차 할 수 없다. 단, 목표를 잡지 않고 피해도 없이 파괴하기만 하는 Damnation이나 -1/-1 카운터를 올리기만 하는 Black Sun's Zenith 같은 카드에는 예외없이 쓸린다.

일반적으로 보호하는 대상은 색으로 지정되나, "생물로부터 보호"나 "인간으로부터 보호" 같은 해괴한 보호의 개념도 있다. 심지어 Protections from Player, Protections from '''colored spells'''Protection from '''Everything'''도 있다!
Evergreen 키워드에서 변경됨
코어세트 2020
엘드레인의 왕좌
Adapt
적응
생물에 붙는 활성화 능력. +1/+1 카운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1/+1 카운터 X개를 자신에게 올려놓는다.
라브니카의 충성
(시믹 조합)
Amass
축적
내가 조종하는 군대 생물 한 개를 선택하여 +1/+1 카운터 X개를 올려놓는다. 올릴 생물이 없다면 0/0 좀비 군대 생물 토큰 한 개를 만들고 같은 처리를 한다. 군대 생물 유형은 기본적으로 이 능력으로 만들어진 토큰만이 가지고 있다.
플레인즈워커 전쟁
Proliferate
증식
플레이어와 지속물을 임의의 수만큼 선택하여 선택된 대상이 가진 각 종류의 카운터를 한 개씩 추가로 올려놓는다. 독 카운터, +1/+1 카운터, 플레인즈워커의 충성 카운터 등 카운터의 종류는 가리지 않는다.
Scars of Mirrodin
플레인즈워커 전쟁
Surveil
감시
내 서고 맨 위의 카드 X장을 보고, 그 중 원하는 만큼 무덤에 넣은 뒤 나머지를 원하는 순서대로 서고 맨 위에 되돌려놓는다.
라브니카의 길드
(디미르 가문)
Riot
폭동
이 능력을 가진 생물은 +1/+1 카운터 1개와 신속 중 조종자가 선택한 하나를 가지고 전장에 들어온다.
라브니카의 충성
(그룰 부족)
Spectacle
구경거리
이 턴 어떤 상대가 생명점을 잃었다면, 따로 명시된 구경거리 비용을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라브니카의 충성
(락도스 광신단)
Undergrowth
지하생장
이 키워드를 가진 능력은 내 무덤에 있는 생물의 수를 참조한다.
라브니카의 길드
(골가리 무리)
Foretell
예고
내 턴 동안에 언제든, 일부의 마나를 지불하고 예고를 가진 카드를 "뒷면 상태로" 추방할 수 있다. 추방된 카드는 예고로 지불한 만큼 마나비용이 덜 든다.
칼드하임
Boast
과시
생물이 공격할 때만 추가적인 마나비용을 지불해 활성화를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칼드하임

6. 현재 T2(스탠다드)에서 볼 수 없는 키워드


Afflict
(통증)
이 능력을 가진 생물이 방어당할 때, 방어하는 플레이어는 X점의 생명점을 잃는다.
아몬케트
Aftermath
(여파)
스플릿 카드의 한쪽 주문에 존재하는 능력. 이 능력을 가진 주문은 이 카드가 무덤에 있을 때 무덤에서 발동하며, 발동 후에 카드는 추방된다.
아몬케트
Ascend
(승격)
승격 능력을 가진 지속물이 전장에 존재하는 동안, 혹은 승격 능력을 가진 순간/집중마법이 해결될 때 그 카드의 조종자가 10개 이상의 지속물을 조종하고 있다면 게임이 끝날 때까지 도시의 축복(City's blessing)을 받으며, 이러한 카드는 도시의 축복이 있을 때 강화되거나 추가 능력을 얻는다. 한 번 축복을 얻고 난 뒤엔 지속물이 10개 미만이 되어도 축복은 사라지지 않는다.
익살란
Awaken
(각성)
주문의 원래 비용 대신 원래 비용보다 비싼 각성 비용을 지불하면 자신이 조종하는 대지를 무색, 0/0에 신속을 가진 정령 생물로 만들고 X개의 +1/+1 카운터를 올려놓는다.
젠디카르 전투
Cohort
(동료)
동료 능력을 가지고 있는 지속물은 "{T}, 당신이 조종하는 언탭된 동맹 한 개를 탭한다"라는 조건을 만족시키면 각각 고유의 능력을 발휘한다.
젠디카르 전투
Converge
(화합)
이 키워드를 가진 카드를 발동했을 때 사용한 마나의 색 종류만큼 X의 값이 정해진다. 발동했을때 지불한 마나의 색을 기준으로 하며 원래 발동비용을 초과해서 지불할 순 없다.
젠디카르 전투
Cycling
(순환)
순환 비용을 지불하고 이 카드를 손에서 버리면 서고에서 카드 한 장을 뽑는다. 순환할 때 추가로 약화된 효과를 발휘하는 카드 또한 존재한다.
우르자 블록
Onslaught
Time Spiral
Shards of Alara
아몬케트
Delirium
(섬망)
주문의 발동자의 무덤에 네 개 이상의 카드 유형이 있을 때 주문이 추가 효과를 얻거나 강화된다.
이니스트라드에 드리운 그림자
Devoid
(결여)
이 카드는 발동 비용시 필요한 마나의 색에 관계없이, 이 카드가 어디에 있든지 무색으로 취급한다.
젠디카르 전투
Embalm
(방부처리)
집중마법 타이밍에 방부처리 비용을 지불하고 이 능력을 가진 생물을 무덤에서 추방하면, 마나비용이 없고 다른 색을 잃고 백색이며 원래 유형에 더해 좀비 생물 유형을 얻은 그 생물의 복제본 토큰을 만든다.
아몬케트
Enrage
(격노)
이 생물이 피해를 입을 때마다 격노 능력이 격발된다. 아쉽게도 다수 생물에게 블록 당하더라도 동시에 하나의 피해를 입은걸로 취급하여 격노 키워드는 한 번만 발동된다.
익살란
Entwine
(엮어내기)
여러 개의 능력 중 하나를 선택해서 발동하는 주문에서, 엮어내기 비용을 추가로 지불할 경우 모든 선택지를 고른 것으로 취급한다.
Mirrodin
Eternalize
(영생화)
집중마법 타이밍에 영생화 비용을 지불하고 이 능력을 가진 생물을 무덤에서 추방하면, 기본 공격력과 방어력이 4/4이며 마나비용이 없고 다른 색을 잃고 흑색이며 원래 유형에 더해 좀비 생물 유형을 얻은 그 생물의 복제본 토큰을 만든다.
아몬케트
Exert
(분투)
공격하거나 탭 능력을 발동할 때에 분투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한다면 추가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대신 다음 조종자의 언탭단에 언탭되지 않는다.
아몬케트
Fabricate
(제작)
이 키워드를 가진 생물이 전장에 들어올때 이 생물에 X개의 +1/+1 카운터를 올리거나 X개의 1/1 서보 마법물체 생물 토큰을 만든다. 능력이 처리될 때 전장에 없다면 당연히 카운터를 올리는 선택지는 선택할 수 없으며 강제로 토큰을 만든다.
칼라데시
Improvise
(급조)
이 키워드를 가진 주문을 발동할 때, 내가 조종하는 마법물체를 탭할 때마다 {1}의 마나비용을 대신할 수 있다. 구 라브니카 셀레스냐 교단의 집합 키워드와 유사점이 보인다.
칼라데시
Ingest
(섭식)
엘드라지 생물에 붙는 키워드. 섭식을 가진 생물이 상대 플레이어에게 전투피해를 입힐 때 상대 서고 맨 위의 카드를 추방시킨다.
젠디카르 전투
Investigate
(조사)
"2, 이 마법물체를 희생한다 : 카드를 한 장 뽑는다." 를 가진 무색 단서 마법물체 토큰 한 개를 전장에 놓는다.
이니스트라드에 드리운 그림자
Kicker
(키커)
주문을 발동할 때 키커 비용을 추가로 지불하면 추가적인 능력이 적용된다.
Invasion
Zendikar
도미나리아
Landfall
(대지력)
구 젠디카르에서 나왔던 능력이 재판. DotP시리즈에선 대지력과 상륙이라는 번역이 번갈아서 쓰였으나 젠디카르 전투 정식판본에서 대지력으로 확정되었다.
지속물의 경우 대지가 자신의 조종하에 들어올 때마다 부가 능력이 발동된다. 지속물이 아닌 경우 그 턴에 자신이 대지를 플레이한 적이 있으면 추가 능력을 얻는다.
Zendikar
젠디카르 전투
Madness
(광기)
이 능력이 붙은 카드를 자의든 타의든 손에서 버리게 되면, 일단 무덤이 아닌 추방존에 버린다. 그 후 광기 비용을 지불하고 카드를 발동하거나 주문을 발동하지 않고 무덤에 넣는다. Odyssey에도 등장했던 키워드로, 결과적으로 카드를 버릴 때 광기 비용으로 발동할 수 있다는 점은 동일하나 다시 등장하면서 메카니즘이 살짝 바뀌었다. 이랬든 저랬든 전부 해결되면 무덤으로 돌아오긴 하지만 오디세이 블록에서 명확하지 않았던 발동 방식을 명언했음.
Odyssey
이니스트라드에 드리운 그림자
Ninjutsu
(인술)
생물에 달린 능력. 인술 비용을 내고 자신이 조종하는 방어당하지 않은 공격생물을 소유자의 손으로 되돌리는 것으로, 인술 생물을 탭되고 공격된 상태로 전장에 놓을 수 있다. 쉽게 설명하면 인술 비용을 내면 손의 닌자와 전장의 공격생물이 자리를 바꿔 원래 공격했던 생물 대신 닌자가 공격하게 되는 것.
Kamigawa
Raid
(습격)
이 키워드를 가진 카드는 생물로 공격한 턴에 추가 효과를 얻는다. 최소 한 개의 생물로 공격 선언을 하기만 하면 조건이 만족되며, 해당 공격으로 피해를 줘야 한다거나 해당 생물이 살아있어야 한다거나 그러한 기타 제한은 일절 없다.
타르커의 칸
익살란
Rally
(결집)
Ally(동맹) 타입을 가진 다른 지속물이 들어왔을 때 결집 능력을 가진 모든 지속물들은 명시된 효과를 격발한다. 대지력과 마찬가지로 구 젠디카르 블럭에 이미 있었던 능력이 결집이라는 키워드로 다시 돌아왔다.
Zendikar
젠디카르 전투
Regenerate
(재생)
지속물이 파괴되려 할 때 재생 능력을 활성화하면, 그 파괴를 무효로 하고, 그 지속물이 생물이라면 추가로 그 생물에게 입혀진 모든 피해를 제거한다. 다만 동시에 재생하는 지속물을 탭시키며, 희생이나 추방 등 파괴를 거치지 않고 전장을 이탈시키는 경우에는 무력하고, 몇몇 파괴 효과 중에는 "재생할 수 없다"가 달린 것들이 있어 그 경우에는 재생 능력을 활성화해도 그대로 파괴된다. 원래 Evergreen 키워드였으나, 칼라데시 블럭부터 개발되는 카드들에는 기본적으로 등장하지 않는 대신 '턴 종료시까지 무적을 얻는다' 형태로 등장하는 것으로 바뀌었다.[14]
Evergreen 키워드에서 변경됨
Revolt
(봉기)
이 턴 내가 조종하는 지속물이 전장을 떠났다면 추가 능력을 얻는다.
칼라데시
Skulk
(은폐)
이 능력을 가진 생물은 자신보다 높은 공격력을 가진 생물에게 방어될 수 없다.
이니스트라드에 드리운 그림자
Support
(지원)
최대 X개의 생물에게 +1/+1 카운터를 1개씩 올린다. 생물에게 붙어있다면 지원이 붙은 자기 자신에게는 카운터를 올릴 수 없다.
젠디카르 전투
Surge
(격동)
이번 턴에 당신이나 당신의 팀원이 다른 주문을 발동했다면, Surge 비용을 지불하여 주문을 발동할 수 있다. Surge 비용이 단순히 비용이 저렴해지는 것이거나, 지불되었을 때 추가 효과가 발동되는 카드 등이 있다. 격동 키워드는 팀전 뿐 아니라 쌍두거인 포맷에서도 지원되지만 커맨더에서는 지원되지 않는다.
젠디카르 전투
Transform
(변신)
양면카드를 뒤집는다.
이니스트라드 ~ 코어세트 2019
이름
효과
상세
Annihilator
(''절멸자'', ''절멸'')
이 능력이 있는 생물이 공격할 경우, 방어 플레이어는 X개의 지속물을 희생해야 한다.
Zendikar
Banding
(''연합'')
연합 능력이 있는 여러 생물과 연합 능력이 없는 생물 하나를 한 생물인 것처럼 다루게 된다. 만약에 연합된 생물 중 하나가 비행 능력이 있으면 그 연합은 비행 능력을 갖지는 않지만, 비행이 있는 생물을 방어할 수 있다. 연합에 가해지는 데미지는 연합의 조종자가 분배한다.
현재 룰을 제대로 이해하는 사람은 손에 꼽을 정도로 복잡한 주제에 쓸모가 없다. 백색생물 Pikemen(장창병)과 베날리아의 영웅이 대표적인 소유자.
사용의 핵이 되는 능력은 '피해를 상대가 아닌 조종자가 분배'한다는 점으로 보통 거대생물을 저지할때 다수의 생물 연합으로 막아 무덤으로 보내고 한 생물에게 피해를 몰아줘서 그 생물만 무덤으로 보내는 형식으로 잘 쓰였다. 예를 들어 5/3의 비행생물이 공격할때 1/1 비행생물+ 1/1 연합생물+ 1/1 무능력생물로 연합체를 구성해서 저지선언을 한 후 5점의 피해를 전부 무능력생물에게 몰아주면 상대 5/3 비행생물을 1/1 무능력생물과 교환하는 셈이 되는 것.'같이 막고 너만 죽어라'로 요약한 플레이어가 있을 정도다.
문제는 위와 같은 상황에서 방어자 단계에 연합능력을 가진 생물이 순간마법 맞고 죽거나 하는형식으로 디나이 당하면 그냥 따로노는 생물취급이 되어 거대생물 조종자가 피해를 분배한다. (당연히 저지측 괴멸-저지는 선언된 이상 유효) 타이밍 문제가 겹치면 서로 피해를 못주고 끝나는거다! 라거나 저지자만 피해를 주지 못한다! 거나 여러모로 복잡해진다. 그래서 6판에서 스택룰이 생기면서 연합능력은 기본판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얼마나 복잡한지 마로가 저지를 보던 1995 World Championship에 있던 세계 정상급 플레이어들도 제대로 룰 이해를 못 했을 정도였고, 마로 본인이 2019년에 (키워드의 강약과 상관 없이) 최악으로 꼽은 키워드 중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Battalion
(부대전)
자신을 포함해 총 셋 이상의 생물이 공격할 때, 추가 능력이 발동한다.
라브니카로의 귀환
(보로스 군단)
Battle Cry
(''전투함성'')
이 능력이 있는 생물이 공격하면, 함께 공격 중인 다른 생물은 턴의 끝까지 +1/+0을 얻는다.
Scars of Mirrodin
Bestow
(권능)
기본적으로 생물이지만, 권능 비용을 지불하고 생물에 부여하는 마법진 주문으로서 발동할 수도 있다. 이렇게 마법진이 된 카드는 생물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가 되면 다시 생물이 된다.
테로스
Bloodthirst
(피굶주림)
상대가 이번 턴에 피해를 입었다면, 이 능력이 있는 생물은 전장에 들어올 때 X개의 +1/+1 카운터를 가지고 들어온다.
Ravnica
(그룰 부족)
Bloodrush
(혈기)
생물에 붙는 활성화 능력. 혈기 비용을 지불하고 자기 자신을 손에서 버리는 것으로, 목표 공격 중인 생물 하나에게 턴 끝까지 자신의 공격력/방어력만큼의 추가 공방 및 자신이 갖고 있던 다른 능력을 부여한다.
라브니카로의 귀환
(그룰 부족)
Bolster
(강화)
자신이 조종하는 생물 중 방어력이 가장 낮은 생물 하나를 골라, +1/+1 카운터 X개를 올린다. 목표로 잡는 것이 아니기에 보호를 가지거나 해서 목표로 선택될 수 없는 생물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타르커의 칸
(아브잔 일가)

타르커의 용
(드로모카 부족)
Bushido
(''무사도'')
이 생물이 방어하거나 방어당하면, 공격력과 방어력이 X만큼 증가한다.
Kamigawa
Buyback
(회수)
이 능력이 있는 주문을 회수 비용을 지불하고 사용하면 주문이 성공적으로 발동되었을 때 다시 플레이어의 손으로 돌아간다.
템페스트 블록
Cascade
(연쇄)
이 능력이 있는 주문을 발동할 때, 이 주문보다 전환마나비용이 낮은 대지가 아닌 카드가 나올 때까지 서고 맨 위의 카드를 추방한다. 그렇게 해서 처음으로 나온 조건을 만족하는 카드를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발동할 수 있다. 그 후 이 과정에서 추방한 카드는 서고 맨 밑에 무작위 순서로 다시 넣는다.
Shards of Alara
Champion
이게 붙은 생물이 전장에 들어오면, 특정 종족 지속물을 추방한 뒤 들어오거나 아니면 그 생물을 희생해야 한다. 이게 붙은 생물이 플레이를 떠날 시, 먼저 추방된 지속물을 다시 전장에 들여온다.
Lorwyn-Shadowmoor
Changeling
(''자유변형''[A], 체인질링[B])
이 능력이 있으면 모든 생물의 유형을 다 갖게 된다.
Lorwyn-Shadowmoor
Cipher
(암호화)
주문을 사용한 후 추방해 자기 조종 하의 생물에게 암호화하여 부착 할 수 있다. 암호화된 생물이 플레이어에 전투 피해를 가하면 무료로 주문을 재차 발동한다.
라브니카로의 귀환
(디미르 가문)
Clash
이 능력이 있는 주문을 발동할 경우, 자신과 상대방은 서고 맨 위에 있는 카드를 보여주는데, 발동자가 공개한 카드의 발동비용이 더 높을 경우 특수한 능력을 발휘한다. 공개한 카드는 서고 맨 위나 아래 중 원하는 곳에 다시 놓을 수 있다.
Lorwyn-Shadowmoor
Cumulative upkeep
(''누적 업킵'')
턴이 점점 늘어날수록 유지단에서 지불해야 하는 비용이 늘어난다. 예를 들어서 Cumulative upkeep (1)인 경우는 다음 턴 유지단에서 마나 1을 지불하고, 그 다음 턴에는 2를 지불하고, 그 다음에는 3을... 이런 식. 지불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지속물을 희생한다.
Ice Age
Dash
(질주)
생물에 붙는 능력. 질주 비용을 내고 발동한 생물은 신속을 얻고, 다음 종료단 시작에 전장에서 소유자의 손으로 돌아간다.
타르커의 용
(콜라간 부족)
Delve
(파헤치기)
과거 Time Spiral 블록의 Future Sight세트에서 선행 공개 된 키워드. 파헤치기 능력을 가진 카드를 발동할 때 묘지에서 카드들을 추방할 수 있으며 추방한 카드 1장당 발동 비용에서 무색 1마나를 대신 지불할 수 있다.
Time Spiral
타르커의 칸
(술타이 군락)
Detain
(억류)
어떤 주문이나 능력으로 지속물을 억류할 수 있다. 억류된 지속물은 억류 주문이나 능력의 조종자의 다음 턴이 되기 전까지 공격하거나 방어할 수 없으며, 활성화능력을 활성화할 수 없다.
라브니카로의 귀환
(아조리우스 평의회)
Devotion
(신앙심)
자신이 조종하는 모든 지속물의 이 능력이 붙은 카드의 색과 같은 유색 마나의 합으로 카드에 해당되는 능력을 발동한다.
테로스
Devour
(포식)
Devour를 가진 생물이 전장에 들어올 때, 생물을 원하는 수만큼 희생하고 희생한 생물 수의 X배만큼의 +1/+1 카운터를 얻는다.
Shards of Alara
Dredge
(준설)
카드를 뽑을 때, 카드를 뽑는 대신 서고 위에서 X장의 카드를 무덤으로 보내고 자기 무덤에 있는 이 능력이 있는 카드를 소유자의 손으로 되돌릴 수 있다.
Ravnica
(골가리 무리)
Echo
(에코)
전장에 들어온 다음 턴의 유지단에 에코 비용을 지불하지 않으면 그 생물을 희생해야 한다. 에코 비용이 명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소환했을 때의 발동비용이 에코 비용과 같다.
우르자 블록
Epic
이 주문이 해결되면 게임의 남은 턴동안 다른 주문을 일절 사용할 수 없으며, 매 턴의 유지단마다 이 주문의 효과를 사용하게 된다.
Kamigawa
Explore
(탐험)
생물에 붙는 능력. 내 서고 맨 위의 카드를 공개하여, 그 카드가 대지라면 손에 넣는다. 대지가 아니면 생물에 +1/+1 카운터를 하나 얹은 뒤, 그 카드를 무덤에 넣거나 다시 서고 맨 위에 되돌려둔다.
익살란
Extort
(착취)
이 능력을 지닌 지속물이 있을 때, 지속물의 조종자가 주문을 발동할 때마다 추가로 {W/B}를 지불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각 상대는 생명점 1점을 잃고 조종자는 그만큼의 생명점을 얻는다.
라브니카로의 귀환
(오르조브 조직)
Evoke(환기)
생물에 붙는 키워드. 환기 비용을 내고 소환한 경우, 전장에 들어올 때 자신을 바로 희생한다. 이 키워드를 가진 생물은 모두 전장에 들어오거나 떠날 때 격발하는 효과가 있어서 제값을 내고 생물로 쓸지, 저렴한 환기 비용을 내고 집중/순간마법처럼 쓸지 고를 수 있다.
Lorwyn-Shadowmoor
Evolve
(진화)
이 능력을 지닌 생물보다 높은 공격력 or 방어력을 지닌 생물이 전장에 들어올 때마다 자신에게 +1/+1 카운터를 하나 올린다.
라브니카로의 귀환
(시믹 조합
Exalted
(고귀)
자기가 조종하는 생물 하나가 혼자서 공격하면, 그 생물은 턴의 끝까지 +1/+1을 얻는다. 꼭 혼자 공격하는 생물이 고귀를 가져야 할 필요는 없으며, 고귀 키워드를 가진 카드가 여러 장인 경우 그 수만큼 중복된다.
Shards of Alara
Exploit
(수탈)
생물이 전장에 들어올 때, 수탈 생물 자기 자신을 포함하여 생물을 희생할 수 있다. 이렇게 생물을 수탈할 때 추가 능력을 발동할 수 있다.
타르커의 용
(실룸가르 부족)
Fading
(''퇴색'')
지속물이 전장에 들어올 때 X개의 Fade 카운터를 갖고 들어오며, 유지단마다 이를 하나씩 제거한다. 더 이상 제거할 수 없으면 희생한다.
Masques
Fateful Hour
(운명의 시간)
자신의 생명이 5점 이하일 때 카드에 명시된 추가 능력을 발동한다.
이니스트라드
Fear
(''공포'')
흑색 생물이나 마법물체 생물을 제외하고는 이 능력이 있는 생물을 방어할 수 없다.
Onslaught
Ferocious
(흉포)
자신이 공격력 4 이상의 생물을 조종하고 있을 때 추가 효과가 활성화된다.
타르커의 칸
(테무르 개척민)
Flanking
(플랭킹, ''측면공격'')
이 능력이 있는 생물로 공격할 때, 방어한 생물에게 이 능력이 없다면 그 방어한 생물은 턴이 끝날 때까지 -1/-1을 받게 된다.
미라지 블록
Flashback
(회상)
이 능력을 가진 카드가 무덤에 있을 경우, 회상 비용을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회상한 주문은 해결 시 추방된다.
Odyssey
이니스트라드
Forecast
(''예보'')
자기 유지단에 Forecast 비용을 지불하고 손에서 그 카드를 보여주면, Forecast 능력을 발동한다. 한 턴에 한 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Ravnica
(아조리우스 평의회)
Formidable
(강대)
자신이 공격력 8 이상의 생물을 조종하고 있을 때 추가 효과가 활성화된다.
타르커의 칸
(아타르카 부족)
Fuse
(융합)
분할 카드에만 붙은 능력으로, 양쪽 발동비용을 모두 지불하고 카드를 손에서 발동할 경우 분할된 능력을 모두 발동할 수 있다.
라브니카로의 귀환
Graft
(''접붙이기'')
이 능력이 있는 생물은 X개의 +1/+1 카운터를 가지고 들어온다. 그리고 다른 생물(상대의 것 포함)이 전장에 들어올 때, 자신이 가진 +1/+1 카운터 하나를 그 생물로 옮길 수 있다.
Ravnica
(시믹 조합)
Haunt
이 능력을 가진 생물이 죽을 때 혹은 이 능력을 가진 순간/집중마법이 해결되어 무덤으로 들어갈 때, 해당 카드를 추방하고 생물을 목표로 정해 해당 카드에 '씌게' 한다. 씐 생물이 무덤으로 갈 때 씌었던 카드가 생물인 경우 전장에 들어왔을 때 발동하는 효과가, 순간/집중마법인 경우 주문의 효과가 다시 한 번 격발된다.
Ravnica
(오르조브 조직)
Hellbent
(광분)
자기 손에 카드가 한 장도 없을 때 추가 능력이 발동한다.
Ravnica
락도스 광신단
Heroic
(영웅)
이 능력이 붙은 생물을 목표로 주문을 발동할 때마다 영웅 능력이 격발된다.
테로스
Horsemanship
이 능력이 있는 생물로 공격하면 상대방도 이 능력이 있는 생물로만 방어할 수 있다.
Portal
Infect
(''감염'')
피해를 생물에겐 -1/-1 카운터로, 플레이어에겐 독 카운터로 주는 능력.
Scars of Mirrodin
Intimidate
("위협")
젠디카르 블록에 처음 나온 능력. Fear의 변형으로, 그 생물과 색을 공유하는 생물이거나 마법물체 생물이 아니면 그 생물을 방어할 수 없다. 결국 그 뒤로 이 능력이 기본판에 등장하기 시작하다가, 다시 Evergreen에서 퇴출되어 이후 카드들은 그 자리를 호전적(Menace) 키워드가 대체하게 된다.

Landwalk
(대지 잠입)
세부적으로 Plainswalk (들 잠입), Islandwalk (섬 잠입), Forestwalk (숲 잠입), Mountainwalk (산 잠입), Swampwalk (늪 잠입)으로 나뉘며, 과거에는 Desertwalk이라는 특수 대지에 대한 잠입 능력도 있었다. 이 잠입능력이 있는 생물로 공격할 때, 상대의 전장에 그것에 해당하는 대지가 하나라도 있다면 잠입 능력을 가진 생물을 방어 할 수 없다.
Evergreen 키워드에서 변경됨
Level Up
(레벨업)
마나를 지불해서 레벨 업 카운터를 쌓음으로서 생물을 강화시키는 능력. 특정 레벨 구간에서의 능력이 있다.
Zendikar
Lieutenant
당신이 커맨더를 조종하고 있는 상태면 Lieutenant를 가지고 있는 생물은 +2/+2와 부가효과를 받는다.
커맨더 2014
Living Weapon
(''생물병기'')
마법물체-장비 타입만 가지고 있으며, 생물병기 카드는 전장에 들어올 때 0/0 Germ 토큰을 만들고 거기에 장착된다.
Scars of Mirrodin
Metalcraft
(''금속조종술'')
자신이 마법물체 3개 이상을 조종하고 있을때 발동되는 추가능력.
Scars of Mirrodin
Manifest
(구현화)
구현화 능력을 발동 시킬때 카드에 적혀있는 어떤 곳에 있던 카드를 2/2 생물인채로 둘 수 있다. 구현화 된 카드가 생물이었다면 언제든지 발동 비용을 내고 앞면으로 되돌릴 수 있으며 변이 생물이었다면 변이 비용을 내고 되돌릴 수도 있다.
타르커의 칸
Megamorph
(대변이)
대변이 생물은 {3}만 지불하고 2/2 생물로 취급하는 뒷면 상태로 발동할 수 있다. 뒷면 상태에선 언제든지 대변이 비용을 지불하고 카드를 앞면으로 뒤집을 수 있으며 그 생물에 +1/+1 카운터 하나를 올린다. 기본적으론 변이와 똑같은데 카운터 얹는 기능만 추가된 버전.
타르커의 용
Miracle
(기적)
기적 카드가 이번 턴에 처음 뽑은 카드일 경우, 카드를 바로 보여주고 기적 비용을 지불해 그 주문을 발동할 수 있다.
이니스트라드
Morbid
(사망)
생물이 무덤으로 갔을 경우 추가 효과가 발동한다.
이니스트라드
Morph
(변이)
변이 생물은 {3}만 지불하고 2/2 생물로 취급하는 뒷면 상태로 발동할 수 있다. 뒷면 상태에선 언제든지 변이 비용을 지불하고 카드를 앞면으로 뒤집을 수 있다.
Onslaught
Time Spiral
타르커의 칸
Monstrosity
(괴수화)
이 생물이 괴수화되지 않은 상태면, 괴수화 비용을 지불하고 +1/+1 카운터 X개를 올리면서 괴수화한다. 괴수화할 때 혹은 괴수화한 동안 추가 능력을 발동하거나 얻는 생물도 있다.
테로스
Multikicker
(''다중향상'')
Kicker의 변형으로, Kicker 비용을 자신이 원하는 만큼 지불할 수 있다. 그 지불한 횟수만큼 주문을 발동할 때 효과에 영향을 준다.
Zendikar
Outlast
(버티기)
생물에게 붙는 키워드로 {X}{T}로 그 생물에게 +1/+1 카운터를 놓는다. 집중마법을 발동할 수 있을 때만 활성화할 수 있는 능력.
타르커의 칸
(아브잔 일가)
Overload
(과부하)
그냥 발동하면 하나의 목표에게만 영향을 끼치지만, 과부하 비용을 지불하고 발동하면 텍스트의 모든 '목표(target)'를 '각(each)'으로 바꾸어 적용하는 광역 주문이 된다.
라브니카로의 귀환
(이젯 연합)
Persist
(집요[B], ''근성''[A])
이 능력이 있는 생물이 죽을 때, 그 생물이 -1/-1 카운터를 갖고 있지 않았으면 -1/-1 카운터 하나를 올린 채로 전장으로 되돌린다.
Lorwyn-Shadowmoor
Phasing
(페이징)
언탭단 시작때 페이즈 아웃(Phase Out)된 지속물은 페이즈 인(Phase In)되어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전장에 있는 페이징이 있는 생물은 페이즈 아웃해서 없는 취급한다.
미라지 블록
Phyrexian Mana
(''피렉시안 마나'')
피렉시안 마나는 해당 색의 마나 또는 생명점 2점 중 하나로 지불할 수 있다.
Scars of Mirrodin
Populate
(소집)
자신이 조종하는 생물 토큰 한 개를 골라서 그 토큰의 복사본 토큰 한 개를 전장에 놓는다.
라브니카로의 귀환
(셀레스냐 교단)
Provoke
(''도발'')
이 능력을 가진 생물이 공격하면 목표 생물을 언탭까지 시켜가며 강제로 막게 한다.
Onslaught
Prowess
(기량)
생물에게 붙는 키워드로, 자신이 생물이 아닌 주문을 발동할 때마다, 턴 끝까지 +1/+1을 받는다. 타르커의 칸에서 제스카이 도의 고유 키워드로 등장했다가 매직의 기원에서부터 블록에 관계없이 나오게 되었다. 다만 역시 너무 강력한 능력이었기에, 아몬케트를 마지막으로 스탠다드에 새로 발매되는 카드 중 기량을 가진 것은 없다. 암암리에 에버그린에서 퇴출된 셈.
타르커의 칸 ~ 아몬케트
Radiance
목표 및 목표와 색을 공유하는 것들이 모두 한 번에 영향을 받는다.
Ravnica
(보로스 군단)
Rebound
(반동)
이 능력이 있는 주문을 자신의 손에서 발동했을 때, 그 주문이 해결될 경우 추방되며 그 주문을 플레이한 플레이어의 다음 턴의 유지단에 발동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또 다시 발동할 수 있다.
Zendikar
타르커의 용
(오주타이 부족)
Shadow
(샤도우)
샤도우 능력이 있는 생물은 샤도우 능력이 있는 생물만 방어할 수 있으며 샤도우 능력이 있는 생물로만 방어할 수 있다.
템페스트 블록
Rampage
(광란)
이 능력이 있는 생물이 공격하고 상대방이 둘 이상의 생물로 방어했다면, 방어생물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의 수만큼 +X/+X를 얻는다.
Legends
Replicate
(복제)
이 주문을 발동할 때, 원하는 횟수만큼 복제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그러면 그 횟수만큼 이 주문을 복사하고, 복사된 주문의 목표를 새로 정할 수 있다.
Ravnica
(이젯 연합)
Scavenge
(섭취)
섭취 능력이 있는 카드가 무덤에 있을 때 섭취 비용을 지불하고 그 카드를 추방하면, 생물 하나를 목표로 정하고 그 생물에 해당 카드의 공격력만큼의 +1/+1 카운터를 올려놓는다. 이 능력은 집중마법을 발동할 수 있는 시기에만 발동할 수 있다.
라브니카로의 귀환
(골가리 무리)
Shroud
(''은신'')
이 능력이 있는 생물은 주문이나 효과의 목표가 되지 않는다. 물론 부여마법도 안박히고, 마법물체를 장착할 수도 없다. 그래서 생물전 이외에는 이 능력이 있는 생물을 죽일 방법이 없다. 다만 상대뿐 아니라 자신도 이 카드에게 버프를 줄 수 없는 양날의 검.

Snow
(눈)
Supertype의 하나로 이 지속물로부터 나온 마나는 Snow Mana로 분류한다.
Ice Age
Soulbond
(영혼결속)
이 능력이 있는 생물이 전장에 들어오면 전장에 있는 짝이 없는 다른 생물과 짝을 지을 수 있다. 그리고 짝 지은 생물은 짝 지은 상태에서 명시된 효과를 받는다. 또한 이 능력이 있는 생물이 짝이 없을 때 그 생물을 조종하는 플레이어의 조종권 하에 다른 생물이 전장에 들어오게 되면, 전장에 들어온 생물과 짝을 지어줄 수 있다.[15]
이니스트라드
Soulshift
(''윤회전생, 윤회'')
이 능력이 붙은 생물이 죽어서 무덤으로 가면 무덤에서 X 이하의 비용을 가진 신령 생물을 손으로 가져온다.
Kamigawa
Splice onto Arcane
(''비술 융합''[A], 비술 접합[B])
비술 주문을 발동할 때 손에서 이 능력을 가진 카드를 보여주고 그 카드의 Splice 비용을 지불하면, 보여준 카드의 효과가 그 비술에 더해진다.
Kamigawa
Split Second
이 능력을 가진 주문이 스택에 있으면, 그 스택에는 더 이상 주문이나 활성화 능력을 쌓을 수 없다.
Time Spiral
Spell mastery
(주문 숙련)
주문을 쓴 플레이어의 무덤에 집중마법 그리고/또는 순간마법 카드가 두 장 이상 있다면 추가 효과를 얻거나 다른 능력을 얻는다. 텍스트가 약간 이상한데 and/or를 직역해서 생긴 문제로, 자신의 무덤에 집중마법 수와 순간마법 수의 합계가 2개 이상이면 된다. 여담이지만 and/or의 번역은 직관적이지 못해서인지 추후 확장팩에서는 "및/또는" 으로 변경되었다.
매직의 기원
Storm
(''스톰''[A], 폭풍[B])
순간/집중마법에 붙는 능력으로, 이 능력을 가진 주문을 발동하면 이번 턴에 이보다 먼저 사용된 주문 갯수만큼 해당 주문을 복사하며, 복사된 주문의 대상은 새로 지정할 수 있다. 라브니카의 길드 세트에서 모든 순간/집중마법에 이 효과를 부여하는, 천 년에 한 번 있는 폭풍이라는 부여마법이 나왔다.
Onslaught
Sunburst
이 능력을 가진 지속물은 발동에 사용한 마나 색 하나당 1개의 +1/+1 카운터를, 생물이 아니면 충전 카운터를 갖고 들어온다.
Mirrodin
Suspend
(유예)
이 능력을 가진 카드는 손에서 발동하는 대신, Suspend 비용을 내고 타임 카운터를 X개 쌓은 채로 추방할 수 있다. 그리고 매 턴 유지단마다 타임 카운터를 하나씩 없애며, 마지막 카운터를 없앨 때 그 카드를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플레이한다. 생물이면 이 때 신속도 같이 받는다.
Time Spiral
Threshold
(''임계''[A], 문턱[B])
이 능력을 가진 카드는 자기 무덤에 카드가 7장이 넘으면 추가 능력을 갖게 된다.
Odyssey
Totem Armor
(''토템 아머'')
마법진에 붙어있는 능력. 이 능력이 있는 마법진이 부여된 생물이 파괴될 경우, 그 생물한테 입은 모든 피해를 방지하면서 그 생물은 파괴되지 않고 마법진이 대신 파괴된다.
Zendikar
Transmute
Transmute 능력을 가진 카드의 Transmute 비용을 지불하고 해당 카드를 손에서 버리면, 그 카드와 전환마나비용이 같은 카드 한 장을 서고에서 찾아 상대에게 보여준 뒤 자신의 손에 넣는다. 집중마법 타이밍에만 사용이 가능.
Ravnica
디미르 가문
Trap
(''함정'')
특정한 조건을 만족할 때 그 주문을 줄어든 발동비용으로 지불할 수 있다. 키워드는 아니고, Trap이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 사이클이다.
Zendikar
Tribal
(''종족'')
카드의 유형. 단독으로는 쓰이지 않고 생물이 아닌 유형에 붙어서 생물 유형을 달아주는 역할을 한다. 해당 항목 참조.
Time Spiral
Lorwyn-Shadowmoor
Undying
(불사)
이 능력이 있는 생물이 전장에서 무덤으로 갈 때, 만약 이 생물에 +1/+1 카운터가 올라가 있지 않았다면 +1/+1 카운터 한 개를 올린 채로 소유자의 조종하에 전장으로 되돌린다.
이니스트라드
Unearth
(''파묘''[A], 발굴[B])
Unearth가 붙은 생물이 무덤에 있을 때, Unearth 옆에 명시된 비용을 지불하고 다시 전장에 들여놓을 수 있다. 이렇게 Unearth로 다시 부른 생물은 Haste를 얻지만 턴이 끝나거나 전장을 떠나게 되면 추방된다.
Shards of Alara
Unleash
(속박해제)
이 능력이 있는 생물이 +1/+1 카운터 한 개를 가지고 전장에 들어오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생물은 +1/+1 카운터를 가지고 있는 한 방어할 수 없다.
라브니카로의 귀환
락도스 광신단
Vanishing
(소실)
지속물이 전장에 들어올 때 지속물 위에 X개의 Time 카운터를 올리고, 유지단마다 하나씩 제거해서 마지막 Time 카운터가 제거될 때 지속물을 희생한다.
Time Spiral
Wither
(''고사'')
생물에게 피해를 입히면, 피해 대신에 1점당 -1/-1 카운터를 올리는 것으로 계산한다.
Lorwyn-Shadowmoor
부여마법: 세계
(World Enchantment)
'World'라는 상위 유형이 붙은 부여마법. 게임 전체에 부여되는 부여마법이며, 만약 다른 'World Enchantment'가 전장에 들어온다면, 기존의 'World Enchantment'는 무덤으로 간다.
Legends

[1] 예시로 Sol Ring이 생산하는 {2}가 있다.[2] 예를 들어, 대지가 없다던가, 대지만 있다든가, 고발비 카드만 뭉쳐있다든가[3] 유희왕체인 시스템과 같으나, 스택이 해결되는 도중에 다시 스택을 쌓을 수 있다.[4] 매직 더 개더링/게임 방법 참고. 볼드처리되어 있는 부분이 상대방에게 우선권이 넘어가는 시점이다.[5] 캐주얼 플레이에서는 이렇게까지 복잡하게 알 필요는 없지만, 공식 토너먼트에서는 타이밍 규칙을 악용하여 상대방의 실수를 노리는 플레이어들도 있으므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려면 숙지해야 한다.[6] 심지어는 지속물도 아니며, 커맨더 존이라는 전장이 아닌 별도의 구역에 존재한다.[7] Weatherlight 이전에는 "다음 유지단에 카드를 한 장 뽑는다"였다. 아이스에이지 초창기에는 딱히 명칭이 없었으나 콜드스냅 설명서에는 슬로우 캔트립이라 부른다.[8] Eladamri's Call - GW - 생물카드를 손으로 가져오는 순간마법[9] 은신의 경우 방호로 많이 대체되거나 재생의 경우 룰적 복잡함 때문에 무적으로 대체하는 경우이다. 이외에도 Fear가 위협으로 대체되다가 위협마저도 없어졌다.[10] 예를 들면 유형이 변경되어 대상이 되는 유형을 잃거나, 해당 부여마법의 색으로부터 보호 및 방호를 얻을 경우.[11] 규칙 상으로는 전투에 참여한 생물 중에 선제공격을 가진 생물이 있다면 전투피해단에 앞서 선제피해단이라는 단계가 한 번 더 생긴다. 선제공격을 가진 생물은 이 선제피해단에만 전투피해를 입힐 수 있다.[12] '파괴될 수 없다'라는 효과를 적용받는 식이었고, 그 때문에 일시적으로 '파괴될 수 없다' 효과를 받은 생물이 이후 다른 효과로 모든 능력을 잃어도 '파괴될 수 없다'는 능력이 아니므로 여전히 파괴되지 않았다.[13] 만약 기존에 그 속성으로부터 부여마법이나 장비 등이 부착된 상태에서 보호를 얻게 될 경우, 이미 붙어있는 지속물이라 할지라도 떨어진다. 이 특징만 따로 떼어놓은 Hexproof from (로부터 방호)라는 하위 개념도 있다.[14] 백색이 아닌데 무적을 얻는 능력이 있다면 대부분 재생의 대체로 들어간 것들이다.[A] A B C D E F DoTP 번역명[B] A B C D E F 공식 번역명[15] 한글판 텍스트엔 이 부분이 없는 번역오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