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크 갤러리/오토바이 애칭
1. 개요
2. 상세
애칭을 짓는데 나름대로의 규칙이 있다.
- 키보드 사용 시 영어를 한글자판으로 쳐서 짓는 방법(예: 혼다 CBR 시리즈는 C→ㅊ, B→ㅠ, R→ㄱ 이렇게 입력하여 츅 시리즈로 불림)
- 보이는 대로 읽는 방법 (예: SV-650은 SV(스브)와 6(육) 50(반, 100의 절반) 스브육반)[1]
- 애칭 끝이 '동기'로 끝나는 경우: 한국법상 125cc 미만 이륜차는 원동기자전거로 분류되든 것에 착안하여 125cc급 바이크에 붙여지는 호칭.(예: CBR125R은 배기량이 125CC이므로 츅동기라 불리움.)
일부 애칭은 바튜매 등 다른 바이크 커뮤니티에서도 공통적으로 사용한다.
2.1. 대림오토바이
머림, 변기 회사[2]
데이스타 125: 데동기, 머동기
대림 데이스타 250: 데둘반, 머둘반
대림 데이스타 250: 데둘반, 머둘반
- 대림 VF125: 뷔엡, 비엪
- 대림 로드윈 시리즈: 로뒨, 로동기, 로동승, 도로승, 도로윈
- VJF 시리즈
2.2. KR모터스
(중)국산, 효승, 희오승, 전효성, 케알, 게이알
- COMET 시리즈: 코멧, 故멧, 고오멧, 색깔+혜성[4]
- MIRAGE 시리즈: 미라쥬, 밀어줘
- 엑시브 시리즈
- 요타80: 또타, 요타추
- DD시리즈: 디디
2.3. 혼다
'''CBR 시리즈'''
- CBR 125R: 츅동기, 멸츅[6] , 신츅
- CBR 250R: 츅둘반, 둘반알
- CBR 250RR: 둘반알알, 둘바날랄, 구형의 경우 형식명인 MC22라고도 부른다.
- CBR 300R: 삼배갈
- CBR 400R: 사배갈[7]
- CBR 500R: 로배갈[8] , 대왕멸치[9]
- CB500X: 로배겍스
- CB500F: 로배게프
- CBR 600RR: 육백알알, 육배갈랄
- CBR 650R: 츅육반알, 시리즈 전체는 혼다육반이라고 하면 알아듣는다.[10] 폰육반, 환상속의 바이크. 신차 물량이 없어서 붙여진 별명.
- CBR 900RR: 구배가랄
- CBR 954RR: 구오사, 궈사
- CBR 1000RR: 츅천알알, 츠날랄
- CBR 1100XX: 따블엑스, 블랙버드
CB 시리즈
스쿠터
기타
- VTR 250: 비디오 둘반
- Super Cub: 귀브, 슦과귀브
- 조르노: 포르노, 조루노
- MSX125: 엠섹스, 엠엑이
- CRF 시리즈: 씨아렙
- 골드윙: 할배윙, 틀딱윙[13] , 젊은윙[14] , 골딩
- 발키리: 발귀리, 발기리
- NSR 시리즈: 엔샬
- RVF시리즈: 알뷔, 알뷔엪
2.4. 스즈키
스멘, -스- [15]
- GSX-R125: 알동기, 스동기, 긱동기
- GSX-R600: 알육백
- GSX-R750: 알칠오공, 알칠반, 스레드[16]
- GSX-R1000: 알천
- GSX-R1000R: 알천알
- GSX 1300R: 하야부사, 부사[17] , 돼지부사
- V-STROM 650 : 부리육반
- V-STROM 1000 : 부리천
- V-STROM 1050XT : 부리천반
- GSX-S125: 스동기
- SV-650: 스브육반
- GSX-S750: 스칠반
- GSX-S1000: 스천[18] , 긱스천, 직스천
- GSX-S1000F: 스천엪, 참새
- DR 시리즈: 디알
2.5. 야마하
- YZF-R3: 망삼, 알삼, 321, 그 배기량[19]
- YZF R6: 알식스, 알식
- YZF R1: 알원, 아롱이
- MT-01: 모텔 1번방, 모텔1호
- MT-03: 땡삼, 공삼, 망삼,모텔3호, 망티망삼
- MT-07: 땡칠, 공칠, 모텔 7번방
- MT-09: 모텔 9번방
- MT-10: 모텔 10번방, 디셉티콘
- FZ 시리즈: 페이져(페이저)
- FJR1300: 페이져
- T-MAX: 티맥, 양아치, 과학, 그맥스, 좆맥스[20][21]
- SR400: 에샬, 에쌀
- XJR 시리즈: 턱
- ténéré 시리즈: 테레네
- TW 250: 티떱
- N-MAX: 엔멕
- X-MAX300: 엑멕
2.6. 가와사키
- 닌자300: 닌삼백, 닌삼, 하급닌자[23]
- 닌자400: 닌사백, 닌사
- 닌자650: 닌육반
- Z900: 지구백
- Z1000: 지천, 짖천, 자지천, 빻천, 사고차
- ZX-7R: 세붕알
- ZX-10R: 시발, 텐알
- ZRX 시리즈: 지아렉스, 지랄섹스
- ZZR1400: 보스 닌자, 보수 닌자, 지지알, 호카게
- H2: H2(...)
2.7. KTM
케템, 크템, 게이티엠,김태민, 오랑캐
- 듀크 시리즈: 듁
- 1290 SUPER ADVENTURE T: 슈드방
2.8. SYM
- 울프 시리즈: 정말 멋있는 오토바이, 타죽머신
- GTS 시리즈: 보이져
- 조이맥스 시리즈: 조맥
2.9. 킴코
- 다운타운 시리즈: 다타
- 익사이팅 시리즈: 익사. 그 중 익사이팅400은 익사사로 불림.
2.10. BMW Motorrad
- BMW G310R: 카레[24] , 강황비엠
- BMW G310GS: 카레, 강황지에스
- BMW F800R: 빻배갈
- BMW F800GT: 빻백 지티
- BMW F800GS: 빻백 지에스
- BMW S1000R: 스천알, 스처날
- BMW S1000RR: 스천알알, 스처나랄, 폰처날랄
- BMW R1200RT: 알티
- BMW R1200GS ADV: 젖소방,어드방
- BMW R nine T: 앙 나인띠
2.11. Ducati
잔고장이 많다는 악명으로 인해 '고장이 자주 나 엔진이 가동하지 않으니 친환경적이다'라는 논리로 에코바이크라는 별명이 붙었다.
- 두카티 몬스터 시리즈: 만스터, 몬스딱
- 디아벨: 댜벨,디아블로
- Streetfighter 시리즈: 스파,수파
- 파니갈레: 빨리갈래
- 스크램블러 시리즈: 두크램블러
- Multistrada 시리즈: 물티
2.12. 할리 데이비슨
2.13. Royal enfield
- Continental GT: 컨지티
2.14. URAL
2.15. Aprilia
아픈릴리아
- RS4 시리즈: 아레스, 아레수 포,
- SR Max 300: 스알맥
- Dorsoduro 시리즈: 도르소두로, 도루소두로, 도르소드로, 돌쇠. 발음이 해괴하기 때문에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2.16. Triumph
2.17. MV-AGUSTA
- Brutale 시리즈: 부릅뜰래
2.18. Husqvarna
허스크, 허스키, 전기톱[27]
- Vitpilen 시리즈: 빗치팔렌
2.19. 베넬리
- TNT 시리즈: 폭탄
[1] 이는 일본식 용어에서 따온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으로 일본에서는 750cc를 나나한(ななはん)이라고 칭하는데 이 역시 7(나나)+반(한)의 조합이다.[2] 대림의 사업 부문중에는 변기, 소변기도 있는데 보통 공중화장실 같은 곳에 많이 쓰인다. 이때문에 일반인들에게는 대림하면 떠오르는 제품이 변기(...).[3] 차명이 'city'와 발음이 같아 이를 도시로 해석, 배기량인 100이 붙었다.[4] ex. 빨간색 코멧은 붉은혜성 등[5] 엑시부사와 K1은 엑시브가 유행할 당시 스즈키 하야부사의 디자인을 본뜬 사제카울을 많이 장착하였기에 나온 별명이다. K1은 그 사제카울의 이름.[6] 구형. 디자인, 실루엣과 후륜 타이어가 얇아보이는 것에 착안한 별명.[7] 일본내수용. 일본거주 바갤러가 자차를 올린적이 있다. [8] 씨비알 오백 알 → 씨뱔 오백 알 → 씨뱔로배걀 → 로배갈[9] 마이너한 옛 별명[10] 현재 혼다코리아에서 판매중인 650cc 바이크는 CB/CBR650시리즈 뿐이다.[11] SYM Wolf + 11000, 혼다 코리아에서 처음 등록시 낸 오타와 SYM의 Wolf를 닮았기에 따옴[12] 애초에 벤리는 일본어로 '편리' 라는 뜻이다.[13] 구형[14] 신형[15] 일제 4사중 가장 광신적인 빠들을 많이 가지고 있는 스즈키를 놀리는 말. 스즈키+아멘.[16] 구형 R750은 자사의 램에어 기술를 홍보하려고 Suzuki Ram Air Direct의 약자인 SRAD를 카울에 데칼로 새겨 넣었는데 그것을 읽은 것.[17] 색상에 따라 백부사, 흑부사 등으로 불린다.[18] BMW S1000R의 애칭 역시 '스천알'이므로 간혹 헷갈릴 수도 있다.[19] 많이 팔린 만큼 좋지 못한 운전자들이 많이 보여서 붙여졌다.[20] 현재 티맥스의 가격이 올라 불량운전자는 X-MAX로 변하고 있으나 워낙 쌓인게 많아 아직도 욕을 먹는다.[21] 실제로 바갤러 티맥스 오너가 아무 일 없이 경찰에게 불려세워진 적이 있는데, 경찰의 말로는 해당 기종이 무보험/불법튜닝인 경우가 하도 많아서 찔러보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차주 본인도 수긍할 정도.[22] 바이크 갤러리에 사고글이 많이 올라온다. 특히 2019년은 어지간한 닌자는 죄다 폐차 되었다.[23] 중급닌자 상급닌자는 대체로 의견이 분분하다.[24] 310시리즈의 생산공장이 인도에 있어서 그렇다.[25] '할리'의 일본식 발음.[26] 아이러니 하게도 883은 20~40대 오너들을 노리고 만들어진 엔트리 모델이다.[27] 허스크바나 사가 만드는 제품들중 하나로 사실 산골마을에 사는 어르신들이나 군부대 행보관들에게는 허스크바나 전기톱이 고장도 잘 안나고 나무도 잘 잘린다며 인기가 많다.[28] 겉은 이태리지만 설계도 생산도 모두 중국에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