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두산공원
龍頭山公園 / Yongdusan Park
[image]
-
부산광역시에 있는 공원으로 정상에 '''부산타워'''가 있다. 명칭은 산이지만 최고 높이가 '''49 m'''밖에 안 되어서 실질적으론 언덕 숲 사이의 산책 코스이다. 번화가인 남포동에서 딱 3분이면 올라갈 수 있는 한적한 언덕 공원. 광복로 한복판이라 상당한 중심부임에도 지역 주민은 거의 안 와서 신기할 정도로 한산하다. 절과 중앙성당도 있어서 여러 가지로 평온한 느낌이 드는 장소이다. 에스컬레이터나 계단을 이용해서 산책하는 기분으로 가볍게 올라갈 수 있다.
용두산이란 지명은 '용 용(龍)' 자에 '머리 두(頭)' 자를 써서 '용의 머리 형상을 한 산'이란 뜻이다. 원래는 용두산보다 조금 작은 동산인 용미산(용의 꼬리)도 있어서 풍수지리적으로 대칭하여 한 마리 용의 형상을 이루었다고 하지만, 1936년 일제가 부산부청을 만들면서 착평하여 사라졌다. 이후 부산시청으로 쓰였지만 지금은 그 자리에 롯데백화점 광복점이 들어섰다.
본래 용두산에는 8.15 광복 이전에 일본식 신사가 있었다. 조선신궁을 비롯해 일제강점기 이후 세워진 신사들과는 달리, 용두산신사는 숙종 4년(1678)에 왜관의 일본인들이 현해탄을 건너는 동안 무사항해를 기원하고자 쓰시마 번주가 세운 시설이었다. 즉 재한 외국인을 위한 정당한 종교시설이었으니, 일제강점기에 세워진 시작부터 제국주의로 점철된 전국 다른 신사들과는 근본이 다르긴 했지만.. 훗날 일제는 한국인에게도 이 곳에 방문해 신사참배할 것을 강요하여 미운털이 박혔다.
이후 용두산 중턱에 있던 신사를 산 정상으로 옮기고, 일제 강점기에도 신사 겸 공원으로서 '용두산공원'이 되었다. 주변 일대는 벤텐초(弁天町, 지금의 광복동)로 명명되어 일본인들이 많이 거주하였다. 광복 직후에도 일본으로 돌아가는 히키아게샤들의 결집 장소로 쓰이다가, 1945년 11월 17일 어떤 애국심 넘치는 집사[1] 가 신사 건물에 시너를 뿌리고 불을 질러 완전히 전소되었다. 때마침 해풍이 불어 굉장히 잘 타올랐는데, 당시 부산 사람들은 이 광경을 보고 '조선 사람들의 억지 절까지 받아먹어 참 잘 탄다.' 생각했다고....
그 후 거주구역으로 지정되었다가 6.25가 터지고 피난민들이 잔뜩 모였다. 1954년 겨울에 큰 화재가 났다. 판자집이 겹겹이 붙어 있었기 때문에 불은 삽시간에 번졌고 지금의 용두산공원 일대는 말 그대로 전소되고 말았다.[2] 이후 1957년 이승만 대통령이 자신의 호를 붙여서 우남공원이란 이름으로 개명하기도 했으나, 1966년 다시 용두산공원으로 되돌아오고 현재까지 이어졌다.
이런 아픈 역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인 관광객을 의식해서인지 이곳이 원래 용두산신사가 있었던 곳이라고 소개한다. 한국의 명소 중에 예전에 신사가 있었다고 알려주는 곳은 용두산공원이 유일무이하다. 신사 존재 자체가 문제시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은 일제 강점기에 강압적인 용도로 지어진 신사가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17세기부터 초량왜관이 있던 지역으로, 조선과의 외교ㆍ무역을 위해 정당하게 왜관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의 종교생활을 위한 신사가 존재하였기 때문. 따라서 조선통신사와 더불어 한일우호의 역사를 나타낼 수 있다. 물론, 일제 막판에는 용도가 변질되었고 한일 갈등의 골이 너무 깊어서 사람에 따라 거부감이 들 수는 있다. 사실 부산타워는 원래 '용두산신사 본전'의 터였고 종각은 '변천 신사'의 터이며 구 충혼탑의 위치는 '용미산신사'의 터였다. 고로 이 곳은 100년의 세월을 뛰어넘어 한일 거주자들의 새해 소원을 비는 곳이기도 하다.
2000년대엔 크루즈를 타고 부산을 찾는 중국인, 일본인 등 외국인 관광객들이 주로 찾는 곳으로 자리잡았다. 평소에는 그냥 놀러 나온 한국인들이 절반 이상이다. 하지만 날씨가 좋은 시즌이면, 매우 드문 확률로 중국/일본 학생들의 수학여행 버스가 방문하기도 한다. 아무래도 서로 가까운 나라인 데다, 항구의 중심에 놓인 공원이라 그런 모양. 여행 시즌 때는 용두산공원 내로 외국인 관광객들을 태운 수많은 관광버스들이 즐비하게 들어서 있는 장엄한 광경을 볼 수 있다. 또한 매년 5월 초엔 조선 통신사 축제 행사로 인하여 많은 관광객들이 몰려온다.
부처님오신날 1주일 전에 하는 부산지역 연등회 제등행렬에서는 용두산공원에서 행렬을 마친다. 출발지는 구덕운동장.
2008년 "용두산공원도시"란 이름으로 부산타워를 포함하여 전면적으로 개발하려는 계획이 있었으나[3] 주변 상인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부산타워의 수명 문제도 거론되고 한국에서 제일 오래된 공원 시설 중 하나라서 리뉴얼하자는 이야기는 자주 나온다.
타워가 있는 공원 테라스 난간에는 소원 빌기용 자물쇠나 쪽지들이 다닥다닥 매달려 있다.[4] 부산타워의 바로 아래에는 이순신 동상이 우뚝 솟아 있는데, 위에도 설명되어 있지만 원래 용두산신사가 있던 자리이다. 용두산공원 부속시설인 꽃시계, 팔각정, 이순신 동상 등은 뉴스에서 부산 전경을 파노라마로 보여줄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골 메뉴. 꽃시계는 계절마다 다른 꽃으로 장식된다.
2010년대 들어서 타워 주변에 하트 모양이 달린 의자가 생겼는데, 연인들이 앉아서 사진을 찍거나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
매년 새해 방송(지상파 3사가 보도하는 방송.)에서 부산의 타종을 담당하는 종루가 여기 있으며, 사실상 동부산권의 해운대 신도심 쪽의 명소(해운대, 영화의전당, 광안대교 등)와 함께 중부산권의 구도심에서 상징이나 다름 없는 곳이다.
이 때문에 평소엔 한적하다가 매년 12월 31일이 되면 용두산공원은 수많은 사람들로 인하여 인산인해를 이룬다. 용두산공원으로 들어오는 차량 교통도 전면 통제되므로 오로지 도보로 걸어서 가야만 한다. 이 날 만큼은 부산 시민들이 제야의 종 행사를 관람하기 위하여 부산 각지에서 몰려오기 때문에 사람들이 밀집되어서 혼란에 빠진다.
2020년도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인하여 '시민의 종' 타종 행사도 비대면으로 미리 녹화해서 방송되었다. 따라서 제야의 종 소리를 듣기 위해 용두산공원으로 몰려든 인파도 거의 없었으며 대중교통 막차 연장 또한 없었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남포역에서 걸어서 10분 정도면 갈 수 있다. 광복동 문화의 거리에서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오면 된다. 단 에스컬레이터는 올라가는 것만 있다.
그 밖에도 남포동과 자갈치시장를 경유하는 여러 시내버스를 타고도 올 수 있으며 대청로 국제시장쪽을 경유하는 15번, 40번, 81번, 86번, 126번, 186번 등을 타고 뒤쪽 산책로 방면[5] 을 통해서도 올 수 있다. 이 중 대청로 전구간을 양방향 경유하는 노선은 40번과 81번 뿐이니 참조하자.
두 갈래길 중에 시간은 다 엇비슷하므로 원하는 길을 선택해서 가면 된다.
한때 비둘기가 정말 많았었다. 그래서 매점에서 모이로 말린 옥수수를 팔기도 했으나, 현재는 비둘기 퇴치 작업을 해서 대부분 없어졌다. 지금도 몇마리 돌아다니긴 하는데 닭둘기가 아니라 진짜 산비둘기다.
2007년까지 지금의 면세점 위치에 간이 놀이공원(?)같은 것이 있었다.
인천 청라국제도시 북쪽에도 동명의 산이 있다.
먹이에 길들여진 고양이들이 많다. 사람을 보고도 달아나질 않으니 고양이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방문해 볼만하다.
고전 대전 액션 게임인 월드 히어로즈의 한국 스테이지 배경의 모델이 용두산공원이다.
80년대에는 용두타워 옆 건물에 수족관, 귀신의 집 등 위락시설이 존재했으며, 용두산공원으로 올라오는 계단 쪽에는 어린이용 기차의 레일이 머리 위로 지나가게 만들어놓았었다.
용두산에 관한 노래로 '용두산 엘레지'라는 곡이 있다. 본래 젊은 사람들에겐 그렇게 유명한 노래가 아니었으나, 2019년 내일은 미스트롯 우승자 송가인이 불러 선풍적 인기를 모았다. 꼬마아이들도 용두산아 용두산아 부르고 다닐 정도(...) 이외에도 부산을 배경으로 한 2006년 개봉작 사생결단 초반에도 용두산공원을 무대로 하는 격투씬이 있고, 이 씬 초반에도 웬 할아버지 밴드 두 분이서 용두산 엘레지를 부르고 있다(...)
[image]
-
1. 개요
부산광역시에 있는 공원으로 정상에 '''부산타워'''가 있다. 명칭은 산이지만 최고 높이가 '''49 m'''밖에 안 되어서 실질적으론 언덕 숲 사이의 산책 코스이다. 번화가인 남포동에서 딱 3분이면 올라갈 수 있는 한적한 언덕 공원. 광복로 한복판이라 상당한 중심부임에도 지역 주민은 거의 안 와서 신기할 정도로 한산하다. 절과 중앙성당도 있어서 여러 가지로 평온한 느낌이 드는 장소이다. 에스컬레이터나 계단을 이용해서 산책하는 기분으로 가볍게 올라갈 수 있다.
용두산이란 지명은 '용 용(龍)' 자에 '머리 두(頭)' 자를 써서 '용의 머리 형상을 한 산'이란 뜻이다. 원래는 용두산보다 조금 작은 동산인 용미산(용의 꼬리)도 있어서 풍수지리적으로 대칭하여 한 마리 용의 형상을 이루었다고 하지만, 1936년 일제가 부산부청을 만들면서 착평하여 사라졌다. 이후 부산시청으로 쓰였지만 지금은 그 자리에 롯데백화점 광복점이 들어섰다.
2. 역사
본래 용두산에는 8.15 광복 이전에 일본식 신사가 있었다. 조선신궁을 비롯해 일제강점기 이후 세워진 신사들과는 달리, 용두산신사는 숙종 4년(1678)에 왜관의 일본인들이 현해탄을 건너는 동안 무사항해를 기원하고자 쓰시마 번주가 세운 시설이었다. 즉 재한 외국인을 위한 정당한 종교시설이었으니, 일제강점기에 세워진 시작부터 제국주의로 점철된 전국 다른 신사들과는 근본이 다르긴 했지만.. 훗날 일제는 한국인에게도 이 곳에 방문해 신사참배할 것을 강요하여 미운털이 박혔다.
이후 용두산 중턱에 있던 신사를 산 정상으로 옮기고, 일제 강점기에도 신사 겸 공원으로서 '용두산공원'이 되었다. 주변 일대는 벤텐초(弁天町, 지금의 광복동)로 명명되어 일본인들이 많이 거주하였다. 광복 직후에도 일본으로 돌아가는 히키아게샤들의 결집 장소로 쓰이다가, 1945년 11월 17일 어떤 애국심 넘치는 집사[1] 가 신사 건물에 시너를 뿌리고 불을 질러 완전히 전소되었다. 때마침 해풍이 불어 굉장히 잘 타올랐는데, 당시 부산 사람들은 이 광경을 보고 '조선 사람들의 억지 절까지 받아먹어 참 잘 탄다.' 생각했다고....
그 후 거주구역으로 지정되었다가 6.25가 터지고 피난민들이 잔뜩 모였다. 1954년 겨울에 큰 화재가 났다. 판자집이 겹겹이 붙어 있었기 때문에 불은 삽시간에 번졌고 지금의 용두산공원 일대는 말 그대로 전소되고 말았다.[2] 이후 1957년 이승만 대통령이 자신의 호를 붙여서 우남공원이란 이름으로 개명하기도 했으나, 1966년 다시 용두산공원으로 되돌아오고 현재까지 이어졌다.
이런 아픈 역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인 관광객을 의식해서인지 이곳이 원래 용두산신사가 있었던 곳이라고 소개한다. 한국의 명소 중에 예전에 신사가 있었다고 알려주는 곳은 용두산공원이 유일무이하다. 신사 존재 자체가 문제시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은 일제 강점기에 강압적인 용도로 지어진 신사가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17세기부터 초량왜관이 있던 지역으로, 조선과의 외교ㆍ무역을 위해 정당하게 왜관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의 종교생활을 위한 신사가 존재하였기 때문. 따라서 조선통신사와 더불어 한일우호의 역사를 나타낼 수 있다. 물론, 일제 막판에는 용도가 변질되었고 한일 갈등의 골이 너무 깊어서 사람에 따라 거부감이 들 수는 있다. 사실 부산타워는 원래 '용두산신사 본전'의 터였고 종각은 '변천 신사'의 터이며 구 충혼탑의 위치는 '용미산신사'의 터였다. 고로 이 곳은 100년의 세월을 뛰어넘어 한일 거주자들의 새해 소원을 비는 곳이기도 하다.
2000년대엔 크루즈를 타고 부산을 찾는 중국인, 일본인 등 외국인 관광객들이 주로 찾는 곳으로 자리잡았다. 평소에는 그냥 놀러 나온 한국인들이 절반 이상이다. 하지만 날씨가 좋은 시즌이면, 매우 드문 확률로 중국/일본 학생들의 수학여행 버스가 방문하기도 한다. 아무래도 서로 가까운 나라인 데다, 항구의 중심에 놓인 공원이라 그런 모양. 여행 시즌 때는 용두산공원 내로 외국인 관광객들을 태운 수많은 관광버스들이 즐비하게 들어서 있는 장엄한 광경을 볼 수 있다. 또한 매년 5월 초엔 조선 통신사 축제 행사로 인하여 많은 관광객들이 몰려온다.
부처님오신날 1주일 전에 하는 부산지역 연등회 제등행렬에서는 용두산공원에서 행렬을 마친다. 출발지는 구덕운동장.
2008년 "용두산공원도시"란 이름으로 부산타워를 포함하여 전면적으로 개발하려는 계획이 있었으나[3] 주변 상인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부산타워의 수명 문제도 거론되고 한국에서 제일 오래된 공원 시설 중 하나라서 리뉴얼하자는 이야기는 자주 나온다.
3. 구조
타워가 있는 공원 테라스 난간에는 소원 빌기용 자물쇠나 쪽지들이 다닥다닥 매달려 있다.[4] 부산타워의 바로 아래에는 이순신 동상이 우뚝 솟아 있는데, 위에도 설명되어 있지만 원래 용두산신사가 있던 자리이다. 용두산공원 부속시설인 꽃시계, 팔각정, 이순신 동상 등은 뉴스에서 부산 전경을 파노라마로 보여줄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골 메뉴. 꽃시계는 계절마다 다른 꽃으로 장식된다.
2010년대 들어서 타워 주변에 하트 모양이 달린 의자가 생겼는데, 연인들이 앉아서 사진을 찍거나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
4. 타종 행사
매년 새해 방송(지상파 3사가 보도하는 방송.)에서 부산의 타종을 담당하는 종루가 여기 있으며, 사실상 동부산권의 해운대 신도심 쪽의 명소(해운대, 영화의전당, 광안대교 등)와 함께 중부산권의 구도심에서 상징이나 다름 없는 곳이다.
이 때문에 평소엔 한적하다가 매년 12월 31일이 되면 용두산공원은 수많은 사람들로 인하여 인산인해를 이룬다. 용두산공원으로 들어오는 차량 교통도 전면 통제되므로 오로지 도보로 걸어서 가야만 한다. 이 날 만큼은 부산 시민들이 제야의 종 행사를 관람하기 위하여 부산 각지에서 몰려오기 때문에 사람들이 밀집되어서 혼란에 빠진다.
2020년도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인하여 '시민의 종' 타종 행사도 비대면으로 미리 녹화해서 방송되었다. 따라서 제야의 종 소리를 듣기 위해 용두산공원으로 몰려든 인파도 거의 없었으며 대중교통 막차 연장 또한 없었다.
5. 교통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남포역에서 걸어서 10분 정도면 갈 수 있다. 광복동 문화의 거리에서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오면 된다. 단 에스컬레이터는 올라가는 것만 있다.
그 밖에도 남포동과 자갈치시장를 경유하는 여러 시내버스를 타고도 올 수 있으며 대청로 국제시장쪽을 경유하는 15번, 40번, 81번, 86번, 126번, 186번 등을 타고 뒤쪽 산책로 방면[5] 을 통해서도 올 수 있다. 이 중 대청로 전구간을 양방향 경유하는 노선은 40번과 81번 뿐이니 참조하자.
두 갈래길 중에 시간은 다 엇비슷하므로 원하는 길을 선택해서 가면 된다.
6. 여담
한때 비둘기가 정말 많았었다. 그래서 매점에서 모이로 말린 옥수수를 팔기도 했으나, 현재는 비둘기 퇴치 작업을 해서 대부분 없어졌다. 지금도 몇마리 돌아다니긴 하는데 닭둘기가 아니라 진짜 산비둘기다.
2007년까지 지금의 면세점 위치에 간이 놀이공원(?)같은 것이 있었다.
인천 청라국제도시 북쪽에도 동명의 산이 있다.
먹이에 길들여진 고양이들이 많다. 사람을 보고도 달아나질 않으니 고양이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방문해 볼만하다.
고전 대전 액션 게임인 월드 히어로즈의 한국 스테이지 배경의 모델이 용두산공원이다.
80년대에는 용두타워 옆 건물에 수족관, 귀신의 집 등 위락시설이 존재했으며, 용두산공원으로 올라오는 계단 쪽에는 어린이용 기차의 레일이 머리 위로 지나가게 만들어놓았었다.
용두산에 관한 노래로 '용두산 엘레지'라는 곡이 있다. 본래 젊은 사람들에겐 그렇게 유명한 노래가 아니었으나, 2019년 내일은 미스트롯 우승자 송가인이 불러 선풍적 인기를 모았다. 꼬마아이들도 용두산아 용두산아 부르고 다닐 정도(...) 이외에도 부산을 배경으로 한 2006년 개봉작 사생결단 초반에도 용두산공원을 무대로 하는 격투씬이 있고, 이 씬 초반에도 웬 할아버지 밴드 두 분이서 용두산 엘레지를 부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