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clearfix]
1. 개요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啓明大學校 東山醫療院,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은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계명대학교 부속 의과대학 부설 병원.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이 정식 명칭이지만, 실제론 '''동산병원'''이라고 부르는 시민들이 대부분이다.[2] 다만 연세대 세브란스의료원처럼 대학 내 부속병원이 2개원 이상인 경우는 행정적인 편의와 효율을 위해 대학 내 기구로 의료원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게 동산의료원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따라서, 동산의료원 내에는 새로 신축한 동산병원과 기존 대구동산병원 및 경주의 경주동산병원이 설치된 것이다.
원래는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에 위치한 종합병원이었으나, 2019년 달서구 호산동(성서지구)에 신축 건물이 들어서며 본원 타이틀은 이쪽이 가져가고, 기존 건물은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으로 개명하였다. 그 외 경주시에 분원인 '계명대학교 경주동산병원'과 같이 운영되고 있는 '학교법인 계명대학교 경주동산요양병원'도 있다.
2019년부턴 전문적 기능은 성서 지역 호산동 신축 병원으로 이전해서, 예약하고 실수로 동산동에 갔다간 헛걸음할 수도 있으니 잘 알아보고 가자.
다만 왕복셔틀을 운영하고 있으니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확인해보고 무료로 타고가면 된다
2.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3.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4. 계명대학교 경주동산병원
5. 계명대학교 경주동산요양병원
6. 편의시설
'''편의시설'''
[ 펼치기 · 접기 ]
- 대구동산병원
- 성서동산병원
7. 교통
7.1. 도시철도
- 성서동산병원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강창역 6번 출구와 병원 지하 1층이 지하통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있다.[5]
- 대구동산병원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서문시장역이 동산의료원 바로 앞에 있고,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청라언덕역에서 내려도 도보로 10분이면 도착 가능하다.
7.2. 시내 버스
7.2.1. 성서동산병원
7.2.2. 대구동산병원
7.3. 셔틀버스
성서동산병원과 대구동산병원 간 교차진료를 하는 환자, 보호자, 교직원을 위한 무료 셔틀버스가 운행중이다.
병원 광고래핑을 한 45인승 버스가 일 4회 왕복(총 8회 운행)하고 있으며, '''성서동산병원'''은 "주 출입구 건너편"에서, '''대구동산병원'''은 "장례식장 옆"에서 출발한다.
8. 여담
- 대구동산병원이 위치한 지역은 과거 번화가 일대로[9] 대구에서 나름 유서깊은 중고등학교인 계성고등학교가 있었고[10] 신명고등학교가 각기 앞뒤에 존재했다. 때문에 1990년대까지만 해도 계성고등학교[11] , 신명여자고등학교[12] 는 각각 남고, 여고였던 지라 근처에 위치한 상대 학교에 대한 관심이 지대했고, 그 사이를 정확하게 가로막고 있는 동산병원은 이들 입장에서 영 곱게 보일 리가 없었다. 따라서 이들에게 동산병원은 농반진반 숙적(?)이었고, 1970년대 초에는 계성-신명간 구름다리를 놓겠다는 공약이 학생회장 투표시에 나와 환영받기도 했다고 한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 계성고등학교가 여학생을 받아들인 이후부턴 그다지 신경쓰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
- 호산동 신축병원 주차장은 차량번호 4자리만 입력하면 주차위치(주차장 층수-구역)를 알려주는 시스템을 갖추었다. 주차장 기둥에 붙어있는 QR코드를 스캔하면 웹페이지가 하나 뜨는데 그 페이지에서 차량번호 4자리(예를 들어 차량번호가 '12가1234'면 '1234')를 입력하면 된다. 차량번호 4자리가 중복되면 전체번호를 보고 자기가 타고온 차량을 확인해야 한다.
- 2019년 새로 문을 연 동산병원에서 미숙아가 퇴원 이틀 만에 사망했는데 병원 측에서 사고 후 의무기록 부분 중 아기의 호흡에 문제가 있다 → 없다로 고친 사실이 드러났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아이에게 문제가 있음을 인지했는데도 퇴원시켰다가 아기가 죽자 문제 없어서 퇴원시켰다고 오리발을 내밀었던 것. 현재 대구경북에서 가장 최신 시설을 갖춘 병원에서 어처구니 없는 절차가 행해졌다.
9. 관련 사이트
[3] 병원에 건강을 해치는 패스트푸드점이 있다는 것을 윗분들이 싫어했다고 한다. 헌데 아이러니하게도 한때 동산병원점 버거킹은 전국 지점 매출 탑에 들 정도로 장사가 잘 되었다고 한다.(...)[4] 병원 안에는 GS25가 있다. 1층 입구에 하나 있고 3층에도 있었으나, 3층은 2018년 10월 사업 철수하였다.[5] 운영 첫날부터 정상적으로 이용가능했으며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만으로 병원 안에 진입이 가능하며 따로 돌아갈 필요성이 없다. 다만 계단으로 갈려면 역으로 돌아가야한다.[6] 서문시장 지원운행 한정[7] 청라언덕역→경산 방향.[8] 경산→청라언덕역 방향.[9] 지금도 도보로 20분 정도만 가면 현재 대구 최고의 번화가인 동성로, 중앙대로 일대가 나온다. 시내버스로는 5분, 택시 요금은 기본료.[10] 2016년 대구광역시 서구 상리동으로 이전하였다.[11] 계성중학교도 함께 있었다.[12] 재단내에 신명여자중학교가 있었으나 재단분리 문제로 중학교와 고등학교가 다른 재단이 되었다. 그후 신명여중은 남산여고를, 신명여고는 성명여중을 신설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