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모바지 스폰지밥/방영 목록
1. 소개
- 네모바지 스폰지밥의 에피소드 목록을 정리한 문서.
- 시즌 5까지는 시즌당 20부작이었으며 시즌 6부터는 26부작으로 늘어났다. (시즌 10은 11부작)
- 한국판 제목은 EBS, 재능TV, 니켈로디언 코리아판을 기준으로 했으며 방영 일자는 원판을 기준으로 했다.
- 참고: 스폰지밥 에피소드 위키 백과
- 제목의 내용을 자세히 보면 왼쪽은 EBS의 스펀지송 시리즈이지만 오른쪽은 모든 채널의 스폰지밥 시리즈가 나와서 글의 내용이 같거나 다를 수 있으니 참고해두자.
2. 스폰지밥 1세대(1999~2004)
2.1. 시즌 1(1999~2000)
- 1999년 5월 1일부터 2000년 4월 8일까지 방영.
- 유일한 셀화 제작 시즌.
- 스폰지밥 시리즈에선 유일하게 스페셜 에피소드가 나오지 않았다.
2.2. 시즌 2(2000~2003)
- 2000년 10월 26일부터 2003년 7월 26일까지 방영.
- 이 시즌부터 디지털 셀 제작으로 변경되었으며, 스폰지밥이 본격적으로 인기를 끌기 시작한 시즌이다.
- EBS판에서는 원판과 재능TV판과는 달리 에피소드 순서를 다르게 방영했다.
- EP30에서 Educational Television을 교통방송채널로 현지화를 했다.
2.3. 시즌 3(2001~2004)
- 2001년 10월 5일부터 2004년 10월 11일까지 방영.
- 스티븐 힐렌버그가 단독으로 책임 지도자를 맡은 마지막 시즌이며 여기까지를 구 에피소드, 시즌 4부터는 뉴 에피소드라고 칭한다.
- EBS판에서는 시즌 2와 마찬가지 에피소드 순서를 다르게 방영했다.
3. 스폰지밥 2세대(2005~2017)
3.1. 시즌 4(2005~2007)
- 뉴 시즌의 시작.
- 2005년 5월 6일부터 2007년 7월 24일까지 방영.
- 책임 진행자가 스티븐 힐렌버그에서 폴 티빗으로 변경.
- 시즌 1에서 잠깐 일하고 나갔던 빈센트 월러가 다시 돌아와서 본격적으로 일하게 된 시즌.
- 네모바지 스폰지밥명으로 된 국내방영분은 재능TV에서 니켈로디언으로 방영되기 시작했고 연출PD 및 성우진 역시 변경되었다.
- EBS판에서 시즌 2부터 시즌 3까지 에피소드를 방영 순서로 다르게 방영 했다가 시즌 1때 처럼 에피소드를 방영 순서대로 다시 방영했다.
- 한국판에서는 타이틀 카드가 스폰지밥의 파인애플집에 한국판 제목으로 더빙을 하는 식으로 제작되었다.
3.2. 시즌 5(2007~2008)
- 2007년 2월 19일부터 2009년 7월 19일까지 방영.
- EBS판에서 중간 에피소드를 마지막으로 방영되었다.
- 91회부터 제목 카드가 원본에서 한글로 번역된 상태로만 나왔다.[30]
3.3. 시즌 6(2008~2010)
- 2008년 3월 3일부터 2010년 7월 5일까지 방영.
- 이 시즌부터 20부작에서 26부작으로 늘려서 방영하고 있다.
3.4. 시즌 7(2009~2011)
- 2009년 7월 19일부터 2011년 6월 11일까지 방영.
- 스폰지밥 시리즈 최초로 해적 패치가 단 한번도 나오지 않은 시즌이다.
3.5. 시즌 8(2011~2012)
- 2011년 3월 26일부터 2012년 12월 6일까지 방영.
- 스폰지밥 시리즈 최초로 스톱모션 기법으로 만든 에피소드가 나왔다.
3.6. 시즌 9 Part 1(2012~2015)
- 2012년 7월 21일부터 2017년 2월 20일까지 지속된 긴 시즌이다. 아마도 중간에 스폰지밥 3D를 제작하다가 시즌 9의 방영텀이 길어진 것이 원인인 듯 싶다. 보통 스폰지밥의 한 시즌은 2~3년안에 끝나기 때문.
- 스폰지밥 시리즈 최초로 파트 1과 파트 2로 분리된 시즌이다.
- 폴 티빗이 작품 제작을 맡은 마지막 시즌이다.
- 이 시즌부터 HD로 제작/방영되기 시작했다.
3.7. 시즌 9 Part 2(2015~2017)
- 2015년부터 스티븐 힐렌버그가 복귀하여 폴 티빗과 공동 총 책임자 직을 맡았다. 2015년 이전 폴 티빗이 단독으로 총 책임자 직을 맡은 시즌 9은 파트 1으로, 2015년 이후 스티븐 힐렌버그가 복귀하여 폴 티빗과 공동 총 책임자 직을 맡은 시즌 9은 파트 2로 분류된다.
- 200화부터 인트로가 변경. 이는 중간에 클레이 애니메이션 인트로로 1번 변경되었기 때문.[40]
4. 스폰지밥 3세대(2016~)
4.1. 시즌 10(2016~2017)
- 2016년 10월 15일부터 2017년 12월 2일까지 방영.
- 역대 스폰지밥 시즌들 중 에피소드 수가 가장 적은 시즌.
- 폴 티빗이 TV 시리즈 제작 일선에서 물러남. 일부 스폰지밥 뉴에피소드 스태프진 명단을 보면 책임 제작자에 폴 티빗의 이름이 없으며 3번째 극장판 감독을 맡은 걸 보면 그쪽 제작에 집중할 듯 했으나, 제작 중에 폴 티빗은 니켈로디언을 퇴사하여 드림웍스 픽처스로 이적했다. 현재 3번째 극장판 감독은 스폰지밥 제작진에서 떠났다가 다시 돌아온 팀 힐이 맡고 있다.
4.2. 시즌 11(2017~2018)
- 2017년 6월 24일부터 2018년 11월 25일까지 방영.[44]
4.3. 시즌 12(2018~)
- 2018년 11월 11일부터 방영중.
- 스티븐 힐렌버그 감독이 루게릭병의 악화로 인해 2018년 11월 26일 세상을 떠난 이후, 시즌9 194화부터 슈퍼바이징 프로듀서를 담당했던 마크 세카렐리 감독과 빈센트 월러 감독이 공동 총 책임자가 되어 프로그램을 이끌어가고 있는 중이다.[57]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들이 시리즈를 이어나갈 것으로 보인다.
4.4. 시즌 13(2020~)
- 2020년 10월 22일부터 방영중.
- 제작진 중 프로듀서를 담당하고 있던 제니 모니카가 총 책임자가 되어 빈센트 월러, 마크 세카렐리와 함께 3명이서 공동 총 책임자가 되었다.
- 특이하게 13부작이 될 예정이다.
- 시즌 10 다음으로 에피소드의 수가 적다.
[1] 1997년에 파일럿으로 먼저 제작되었다.[2] 스폰지밥 방영분 중 유일한 무언극.[3] 이 에피소드부터 폴 티빗이 스토리작가로 일하게 된다.[4] 다람이 첫 등장 에피소드[5] 래리 첫 등장 에피소드[6] EBS판에서는 맨 마지막에 징징이가 대왕해파리에게 쏘이는 장면이 편집되었다.[7] 플랑크톤, 캐런 첫 등장 에피소드[8] 퍼프 선생님 첫 등장 에피소드[9] 중간에 한국어(앞으로가, 뒤로가)가 등장한다. 이는 국내 편집이 아닌 미국 원본에도 존재한다.[10] 스폰지밥의 부모님 첫 등장 에피소드[11] 인어맨과 조개소년 첫 등장 에피소드[12] 배스 첫 등장 에피소드[13] 진주 첫 등장 에피소드[14] 바다도깨비 첫 등장 에피소드[15] 이 에피소드부터 빈센트 월러가 제작진으로 일했었다. 하지만 시즌 1이 끝나자마자 바로 제작진에서 나갔다.[16] 용왕 첫 등장 에피소드[17] 미국판 스폰지밥의 성우 톰 케니가 목욕하는 남자로 출연했다.[18] 더티 버블 첫 등장 에피소드[19] 방울친구 첫 등장 에피소드[20] 스폰지밥의 할머니 첫 등장 에피소드[21] 해적 패치, 앵무새 포티 첫 등장 에피소드[22] 맨레이 첫 등장 에피소드[23] 미국판 플랑크톤의 성우 더그 로런스가 어부로 출연했다.[24] 오징이 첫 등장 에피소드[25] 집게사장의 어머니 첫 등장 에피소드[26] 재능TV판에서는 징징이가 집게리아에 들어갈 때 기름 함정에 당하는 장면이 원판에서 편집된 버전이랑 똑같이 삭제되었다.재능판보다 일찍 방송한 EBS판은 삭제처리가 되기 전에 수입했는지 정상적으로 방영은 되었다.[A] EBS판에서는 미방영.[27] 사실 이 에피소드는 '''스폰지밥에서 가장 잔인한''' 에피소드 중 하나다. '''징징이의 몸이 잘리고,살이 드러나거나,'''작아진 비키니 시티 주민들이 스폰지밥 몸 속에 들어가서 '''동맥을 톱으로 자르고, 장기를 발로 차는 등'''.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28] 재능TV판 마지막 방영분.[29] 스티븐 힐렌버그 감독이 보물상자 안에서 비디오 테이프를 건네주는 광부로 출연했다.[30] 1기에서 3기까지는 영문판에 제작진 소개할 때 한글제목을 띄웠고 4기에서 90회까지는 파인애플 집 바탕에 한글만 띄웠다.[31] EBS판 마지막 방영분.[32] 게살버거가 집게버거로 바뀐 첫 방영분.[33] 햄릿의 대사인 'To be or not to be.'(죽느냐 사느냐)를 패러디한 것.[34] 본 시즌 중에서 시즌 9까지 중 유일한 16:9 비율의 화면으로 제작되었다. 해당 내용은 전편과 후편으로 애피소드를 나눴다. VOD에서 혼자만 짤렸다.[35] 국내 재방송에선 마지막 부분에서 어느 아이의 엄마가 징징이를 발로차서 징징이가 넘어지는 장면이 편집되었다. 하지만 국내 공식 VOD판은 무삭제 버전을 제공하고 있다.[36]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형태로 제작.[37] 중복[38] 시즌 5의 돈이 최고야하고 제목이 같다.[39] 폴 티빗이 단독으로 총 책임자 시절에 만든 마지막 에피소드이다.[40] 한국 기준. 클레이 인트로는 원판에선 10주년 스페셜, 시즌11 할로윈 스페셜에서만 쓰였다.[41] 폴 티빗 작가가 떠나고 만든 에피소드다.[B] A B 이 에피소드는 이스라엘에서 먼저 방영되었다.[42]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를 패러디한 거리가 나왔다 에피소드에선 비키니시티 인기스타의 거리라고 나온다[43] 시즌 1에서 나온 메롱시티가 간만에 나왔다.[44] 시즌 11이 끝나고 바로 다음날. 공교롭게도 스티븐 힐렌버그는 사망하게 된다.[45] 보글보글 방울소동 편에서 나온 비눗방울 동물들이 18년만에 나왔다.[46] 이 에피소드는 스페인에서 먼저 방영되었다.[47] '''스폰지밥 크리스마스!'''와 마찬가지로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형태로 제작.[48] 이 에피소드는 미국에서 3월에 방영예정이었다가 취소되었으며 스페인과 터키에서 먼저 방영되었다.[49] 네모네모 스펀지송 시즌 1의 보물 찾기 하고 제목이 같다.[50] 시즌 2에서 나왔던 그림밥이 16년만에 출연했다.[51] 현재 스폰지밥 공동 총책임자 중 한 명인 빈센트 월러가 땅콩을 먹는 농부로 출연했다.[52] 징징이의 성우인 로저 범패스가 실사로 출연했다. [53] 이 에피소드는 네덜란드에서 먼저 방영되었다.[54] 유튜버인 꾹TV가 특별 목소리 출연을 하였다.녹음영상 [55] 스폰지밥이 거대 게에게 찔리는 장면이 통편집되었다.[56] 국내 더빙판 VOD에는 해당 에피소드가 수록되어 있지 않다.[57] 시즌 12의 일부분은 스티븐 힐렌버그가 죽기 전에 다 만들어 놓은 것도 있다. 현재 스폰지밥의 총 책임자는 마크 세카렐리와 빈센트 월러이지만 제작진을 소개하는 칸에서 총괄 제작자 (Executive Producer) 부분에는 항상 그의 이름을 올리고 있다. 총괄 제작자 문서에도 가보면 알겠지만 관계자나 제작진이 그냥 올리는 듯 하다. 그러니까 이름이 올라갔다고 해서 시즌 12의 모든 에피소드를 전부 스티븐 힐렌버그가 만들었다고 믿으면 곤란하다. 그 예시로 현재 총 책임자 빈센트 월러에 의하면 스폰지밥 최고의 생일 스페셜 에피소드는 각본을 만드는 단계에서 그는 살아있었다고는 하나 지병때문에 참여하지 못했다고 한다.[58] 이 에피소드는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먼저 방영되었다.[59] 이 에피소드는 폴란드에서 먼저 방영되었다.[60] 스티븐 힐렌버그가 살아있을 때 마지막으로 다 만들어진 에피소드라고 현재 총 책임자인 빈센트 월러가 증언하였다.[C] A B C 이 에피소드는 러시아에서 먼저 방영되었다.[61] 뚱이랑 늪에서 에피소드에서 뚱이와 배스가 쫓기는 장면이 다람이가 탐사하는 곳에 잠깐 나오기도 했다 [62] 이 에피소드는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먼저 방영되었다.[63] 참고로 작중 나온 거북은 어째서인지 바다가 배경인데 바다거북이 아닌 육지거북으로 나온다. 실제로 바다에서 사는 거북은 등껍질 속으로 안들어간다.[D] A B 이 에피소드는 노르웨이에서 먼저 방영되었다.[64] 타이틀 카드 음악에 '해파리와 파티를!', '폭탄 파이' 이후로 오랜만에 Hawaiian Adventures Spongebob Theme 1이 쓰였다. 정확히는 Lower Pitched 버전이 쓰였다.[65] 무려 40분짜리 특별방송이다.[66] 스티븐 힐렌버그 감독을 추모한다.[67] 놀랍게도 니켈로디언 스튜디오의 한 인턴이 자신이 겪은일을 인터넷 게시판에 널리퍼뜨린 유명 괴담으로 떠돌았던 징징이의 자살을 공식으로 패러디했다! 때문에 징징이가 평행세계로 이어지는 문중 하나인 징징이가 자살하는세계의 문을열자 '''붉은 눈의 징징이'''가 등장한다. 그러니까 이게 자살하기 직전의 '''자신'''과 만난것이다. 그러나 영국 방영판에서는 삭제되었고 재방송과 니켈로디언 코리아판, 일부 국가에서는 이 부분이 아기 징징이로 바뀌어 방영되었다.[68] 영문판 제목은 Pandemonium의 패러디.[E] A B 이 에피소드는 유럽에서 먼저 방영되었다.[69] 이 에피소드는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에서 먼저 방영되었다.[70] 이 에피소드는 12월 25일에 한국에서 방송해준다고 광고했었으나 12월 25일이 되었을 때 해당 에피소드를 내보내지 않고, 기존의 에피소드들을 재방송 하였다. [71] 이 에피소드는 유일하게도 한국에서 먼저 방영되었다.[72] 이번 본토에서 출시하는 스폰지밥 시즌 12의 DVD에서도 수록되지 않았는데, 총책임자 빈센트 월러는 '''"에피소드 내용이 코로나19 감염 내용과 비슷해서 방영을 못하고 있다."''' 라고 밝혔다[73] 번역하면 애완 동물을 위한 장소[74] 번역하면 사랑에 대한 잠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