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

 

1. 개요
2. 상세
3. 사례
3.1. 한강 결빙
3.2. 군대에서
3.3. 수능에서
4. 한파특보
5. 여담


1. 개요


한파()(Cold Wave)란 평년보다 온도가 매우 낮아 추위가 심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가 되는 상태를 말한다. 폭염의 반댓말로, 혹한·혹한기라고도 한다. 정도가 더 심하면 자연재해가 된다.

2. 상세


발생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한반도를 내습하는 한파는 대부분 급격한 서고동저형 기압 배치로 인한 서쪽의 대륙성 고기압의 확장에 따른 결과이다. 중고등학교 과학 시간에 흔히 '겨울철 기압 배치'라 해서, 중국~몽골 쪽에 큰 고기압이 있고 연해주 쪽에 큰 저기압이 있어서 한반도에 세로줄 등압선이 빽빽하게 난 모습을 자주 봤을 텐데, 바로 이게 전형적인 겨울철 서고동저형 기압 배치이다. 고기압을 말 그대로 높은 지대로, 저기압을 말 그대로 낮은 지대로 생각하고 바람을 물이라고 가정하면, 시베라이 및 내몽골 쪽의 얼음물이 한반도 방향으로 콸콸 쏟아지는 모습을 연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원리에 따른 게 한반도 한파의 절대다수를 차지한다.
이 때문에 겨울철 내지는 겨울 전후의 한파는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다. 만약 이때 한반도에 기압골이 지나가 큰 비를 뿌렸거나 크게 흐렸다면 이후 며칠 내로 한반도에 기습적인 한파가 몰아친다. 이 시기에 한반도를 관통하는 기압골은 동해상으로 나가면서 매우 발달한 저기압인 날씨폭탄이 되는 때가 많은데, 이 때문에 동쪽으로 뚜렷하게 저기압이 생겨 겨울철 기압 배치가 되기 때문이다. 단순히 비가 기온을 낮춘 게 아니라 기압 배치상 시베리아의 공기를 끌어당겼기 때문이다.
겨울철 혹은 못해도 겨울 전후가 아니면 한반도를 통과한 기압골이 날씨폭탄이 되는 일이 적어서 이런 현상은 보기 어렵지만, 간혹 조건에 따라 여름 말미에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한반도 인근을 통과하며 소멸한 태풍이 동해상으로 빠져나가 날씨폭탄이 되는 경우인데, 이렇게 되면 중국 내륙 쪽의 고기압이 예정보다 일찍 확장해 북태평양 고기압을 일찍 압박해, 계속되던 열대야의 한여름이 급격하게 환절기 가을 날씨로 탈바꿈한다.
유라시아 대륙 동안인 동아시아와 대륙 서안인 북유럽의 스타일이 미묘하게 다르다. 한국이나 중국의 경우 눈은 많이 오지 않지만 대신 시베리아 기단의 엄청난 건조함과 미칠 듯한 찬바람으로 인해 체감온도가 떨어져 마치 칼로 살갗을 에는 듯한 느낌이 든다.[1] 당연히 산불가뭄, 황사, 미세먼지가 동반되며, 소우지의 경우 추위에다 심각한 물 부족 문제까지 겹쳐서 여름 폭염과 정반대 의미로 생지옥이 열린다고 보면 된다.[2] 화재 사고도 이 시기에 가장 빈번하게 일어난다.
반면 북유럽, 동유럽, 캐나다, 미국 북부 내륙, 일본 서부 해안, 함경도 동해안, 터키 내륙 고원지대와 같은 지중해 연안의 고산지대 같은 경우 습도가 고르거나 겨울에 습도가 집중된 채로 바람이 잦은 경향을 보이는데 이럴 경우에는 소위 뼛 속까지 냉기가 파고든다고 표현되는 기분 나쁜 느낌의 추위를 느낄 수 있다.[3] 한국에서도 동해안 지역에서 체험판을 겪어볼 수 있는데, 기온이 영상임에도 기묘하게 추운 느낌이 든다.[4]이 탓인지 한겨울 건조한 칼바람에 면역인 사람이 기온은 높지만 습도가 좀 있는 늦가을이나 초겨울에 오히려 추위를 타기도 한다.
한국의 한파는 폭염에 비하면 비교적 견디기 쉬운 편이라 볼 수 있는데[5] 폭염과는 달리 겨울철 내내 찾아오는 건 아니기 때문이다.(삼한사온)[6] 또한 한국의 겨울은 일조량이 높기 때문에[7] 보통 밤부터 아침까지 영하로 떨어지지만 한낮에는 영상으로 올라가는 무지막지한 일교차를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수도권 등 중부 지방, 경북북부는 최저기온 -10~-5°C, 최고기온 0~5°C이고, 남부 지방은 최저기온 -6~0°C, 최고기온 4~10도이다. 이 때문에 대낮에 바람 안 불면 생각보다 따뜻할 수도 있다. 더운건 벗어도 답이 없는데 추운건 껴입거나 핫팩 등으로 어느정도 커버칠수 있단 점도 한몫 하기도 하고. 그러나 최전방[8] 강원도 산간 지역[9] 같은 경우 예외적으로 극심한 한파가 찾아온다.
적도 부근의 열대지방은 기온이 영상 10도 정도로 떨어지기만 해도 동사자가 속출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가 있다. 물론 사람들이 추위에 익숙하지 않아서이기도 하지만, 습도가 워낙 높다보니 기온이 높아도 체감온도는 낮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이기도 하다.
읽기 전에 유의할 점은 이 문서에서 각주로 특별한 말이 없는 이상 "n년~n+1년 겨울 한파" 라는 말은 보통 n년 12월~n+1년 2월을 의미한다.
당연히 옛날일수록 자료가 부족하다. 1600~1700년대 초반이 소빙하기내에서 가장 추운 시기다. 하지만 너무 옛날이라서 인류가 남긴 기상 관측자료가 희박하고, 문헌기록도 근대나 현대에 비해 적어서 서술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해당 문서가 편집이 될수록 서술 길이도 언젠가는 21세기>20세기>19세기>18세기>17세기 순이 될 수 밖에 없다는 점을 유념한다.
최근엔 지구온난화로 인한 북극한파로 북반구에 한파가 오는 경우가 많다. 그로 인해 2010년대 들어서 다른 계절이 더 크게 상승하지만 겨울은 정 반대로 추워지면서 연교차가 더 커진다. 그리고 3월이 되면 매우 급상승해서 큰 대비를 보여주고 11월까지 온화하다가 12월이 되자 갑자기 급락해서 2월까지 자주 추운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1~2월은 대체로 고온도 우세하여 12월보다 따뜻한 적도 많다.

3. 사례




3.1. 한강 결빙


서울의 한강대교를 기준으로 한강의 결빙을 측정하는 것으로 1906~1907년 겨울부터 시작되어 지금까지에 이르고 있다. 한강이 언다는 것은 간접적으로 그 해의 한파의 정도를 보여준다는 것에서 의미가 없다고 할 수 없다. 단, 최근 2019년~2020년의 이상 고온 사례처럼 한강이 아예 얼지 않는 따뜻한 겨울도 몇 차례 있었다.[10] 상대적으로 1906~1946년 40년간은 12월에 기록이 보여 꽤나 일찍 얼고[11] 2,3월 정도로 늦게 녹았지만 1980년대 이후 3월 해빙은 1980~1981 겨울이 유일하고[12] 2007~2008년, 2014~2015년, 2016~2017년, 2018~2019년의 사례[13]처럼 결빙일에 바로 녹는 현상이 있는 등 상대적으로 결빙일이 늦고 해빙일이 빠른 경향을 보이고 있다.[14] 관측 기록을 정리해서 평년 결빙일을 계산해보면 1월 13일이 나오고 해빙일은 1월 30일이 나온다.[15]
아래 기록은 서울의 한강 결빙일, 해빙일을 나타낸다.[16][17]
[ 한강 결빙 기록 (펼치기 / 접기) ]
  • 1915년~1916년: 12월 19일, 1월 31일[31]
  • 1927년~1928년: 12월 25일, 4월 4일[32]
  • 1929년~1930년: 1월 6일[33], 2월 18일
  • 1934년~1935년: 12월 4일[34], 2월 19일
  • 1935년~1936년: 12월 12일, 3월 22일[35]
  • 1947년 12월 ~ 1955년 3월까지의 기록은 관측되지 않음[36]
  • 1955년~1956년: 1월 2일, 미관측[37]
  • 1960년~1961년: 결빙하지 않음.[38]
  • 1962년~1963년: 1월 6일, 미관측[39]
  • 1963년~1964년: 2월 13일[40], 2월 24일
  • 1967년~1968년: 12월 25일, 3월 28일[41]
  • 1977년~1978년: 2월 1일[42], 2월 6일
  • 1980년~1981년: 12월 28일, 3월 1일[43]
  • 2001년~2002년: 1월 3일, 1월 10일[44]
  • 2005년~2006년: 12월 18일[45], 2월 5일
  • 2007년~2008년: 2월 8일[46]
  • 2014년~2015년: 1월 3일[47]
  • 2016년~2017년: 1월 26일[48]
  • 2017년~2018년: 12월 15일[49], 2월 8일
  • 2018년~2019년: 12월 31일[50]


3.2. 군대에서


군대에서는 겨울혹한기 훈련을 한다. 혹서기 훈련보다도 위험하지 않아서 매년 겨울에 반드시 하는 훈련이다.
사령부와 연대급 이하 부대들은 모두 혹한기 훈련을 한다. 그렇지만 사령부가 연대급 이하 부대들보다는 훈련강도가 훨씬 편하다. 사령부의 경우 연대급 이하 부대들과 다르게 정기 훈련을 한다고 해도 모든 부대원들이 다 참가할 수 없기 때문이다.[18]
하지만 육군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 공군사관학교, 특전사, 특공대, 수색대 등 엘리트 장병들을 육성하는 곳은 한파에도 훈련을 강행하기도 한다.[19] 자신이 장기복무 더 나아가 장성급 장교를 간절히 원한다면 제아무리 한파라고 해도 다른 사관생도들보다 더욱 더 열심히 훈련에 임하여 최상위권의 성적을 거둬야 한다. 사관학교 출신 장성급 장교들을 보면 이들은 과거 꽃다운 청춘 시절 사관학교에서 한파가 몰아쳐도 추위를 감내하며 동료들과 함께 열심히 훈련을 잘 받아서 별을 달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니까 자신이 미래에 다른 동기들보다 빨리 별을 달고 싶다면 아무리 힘들다고 투정 부리지 말고 열심히 훈련 받도록 하자.

3.3. 수능에서




4. 한파특보


기상특보[20]
공통기상특보
육상기상특보
해상기상특보
황사
태풍[21]
호우
폭염
한파
대설
강풍
건조
풍랑
해일(지진해일/폭풍해일)
한파주의보
10월~4월에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①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0℃ 이상 하강하여 3℃ 이하이고 평년값보다 3℃가 낮을 것으로 예상될때
② 아침 최저기온이 -12℃ 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
③ 급격한 저온현상으로 중대한 피해가 예상될 때
한파경보
10월~4월에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①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5℃ 이상 하강하여 3℃ 이하이고 평년값보다 3℃가 낮을 것으로 예상될 때
② 아침 최저기온이 -15℃ 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
③ 급격한 저온현상으로 광범위한 지역에서 중대한 피해가 예상될 때
과거에는 10월에서 이듬해 4월까지 오전 중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0도 이상 하락하여 평년값보다 해당일 기온 표준편차의 1/2 이상 낮을 것이 예상될 때 한파주의보, 오전 중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5도 이상 하락하여 평년값보다 해당일 기온 표준편차의 1/2 이상 낮을 것이 예상될 때에만 한파경보를 발령한다고 하였으나, 하루 사이에 기온이 10~15도 이상 폭락하는 극단적인 기상현상은 극히 드문데다, 해당 규정이 한겨울에 장기간 강추위가 이어져 수도관 동파 위험이 증가할 때는 별 소용이 없다는 지적이 있어 한파주의보의 경우 일최저기온 -12도 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 한파경보의 경우 일최저기온 -15도 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라는 기준을 추가했으며, 기존 한파특보 기준에서의 표준편차의 1/2 이상이라는 모호한 규정은 "일최저기온이 평년값보다 3도 이상 낮고 영상 3도 이하일 것"이라는 명확한 규정으로 바꾸었다.

5. 여담


우연의 일치이지만, 서울 기준 10년 단위로 XXX0 ~ XXX1년 겨울은 영하 15도를 밑도는 강력 한파가 찾아왔다.[22] 물론 월별로 따지면 2000년 12월, 2011년 2월 등 평년보다 고온을 기록하기도 했다.[23][24] 1920~1921년 겨울은 일제시대 치고는 따뜻했으며(그래도 영하 16도 이하를 기록하긴 했다.), 1931년 1월도 평균기온이 -3.9도로 당시 치고는 조금 높으며 1970~1971년 겨울도 평균기온으로만 치면 낮지는 않으며 1990~1991년 겨울도 따뜻했지만 2월에 늦추위로 한파가 와서 1991년 2월에 -15도 기록을 보였다. 1960~1961년 겨울도 한파가 강했다. 다만 한강은 이상하게도 결빙하지 않았다.[25]
2010년대 들어 겨울에 한파가 닥치면 여름에 폭염이 닥치는 경우가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2010년, 2012년, 2013년, 2016년, 2018년은 겨울에는 혹한이, 여름에는 폭염이 맹위를 떨쳤다. 하지만 이것은 우연의 일치일뿐 과학적인 근거가 있지는 않다. 악명높은 추위로 유명했던 2011년의 경우 폭염은 커녕 오히려 비만 주구장창 내렸으며, 열대야도 서울 기준으로 평년보다 훨씬 적은 2일, 더위로 유명한 대구도 한여름인 8월 최고기온이 35.1도에 머무는등 비교적 시원한 여름을 보냈다. 오히려 11월 늦더위가 강력한 해였을 정도다.
2001년 겨울도 추웠지만 2001년 여름은 평년에 비해 뚜렷한 폭염이 맹위를 떨치지 않았으며[26] 1963년, 1970년, 1986년 등 과거 사례를 찾아보면 수없이 많기 때문에 최근 몇년간의 겨울과 여름 날씨의 상관관계적 트렌드를 가지고 여름 날씨를 추측하는 것은 매우 비과학적이며 무리가 있다. 반대로 2017년 겨울은 평년에 비해 따뜻했음에도 7월에 전국적으로 찜통더위가 맹위를 떨쳤다.[27]2018년 여름은 매우 더웠지만 2018~2019년 겨울은 북미, 유럽, 일본 홋카이도를 제외하면 큰 추위가 없었다.[28] 그리고 2019년 겨울은 대체로 따뜻했지만 2019년 여름은 전년도보다는 다소 낮았지만 그래도 평년보다는 다소 높아 중부지방의 경우는 2012년을 소폭 넘겼다. 또한 2020년에는 정반대의 상황으로 겨울이 매우 따뜻했으나 여름은 서늘한 현상이 지속되었다.[29] 1월과 7월의 위치가 뒤바뀌었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니... 1월과 7월의 온도차도 불과 19.9도이다.[30]
이렇듯 위의 속설은 속설일 뿐 그냥 재미로 받아들이고 기상청이 과학적인 분석을 거쳐 그 해 내놓는 장기예보를 믿는것이 당연히 더 합리적이다. 기상청의 예측이 틀릴 수도 있고, 실제로 틀리기도 하지만 결국 그것들의 옳고 그름을 긴 기간을 통틀어 종합해보면, 누군가의 감이나 세간의 속설같은 것들보다 정확할 수 밖에 없다. 수많은 자료와 슈퍼컴퓨터의 계산은 헛짓을 하는데 쓰이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명심하자.

[1] 서울 기준 겨울 평균 습도는 58% 정도라고 하나, 대낮에는 20%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가 많다. 심하면 대낮에 한 자릿수가 되기도 한다.[2] 실제로도 남북 막론하고 한반도에서 가장 일상적인 겨울 풍경은 전형적인 건조기후(강렬한 태양, 누렇게 말라붙은 땅)의 모습이다. 녹화사업 이전까지 한반도의 산 대다수가 사막에 가까운 민둥산이었던 이유도 바로 이것이다.[3] 영어로 damp라는 표현을 쓴다.[4] 내륙의 경우 춘천시에서 습도 높은 추위를 체험해 볼 수 있다. 2중 분지에다 댐으로 생긴 인공호들의 영향이 크다.[5] 물론 웬만한 집에 연탄과 가스, 기름 보일러가 설치되어 안정적으로 난방을 할 수 있게된 이후의 이야기다 그 이전까지 난방은 생존의 문제였다. 또한 제천시는 간간히 최고기온이 35도에 달하게 올라가더라도 열대야 만큼은 절대 안나타나고, 태백시는 최고기온조차도 폭염 수준으로 올라가는 일이 거의 없어 여름에 아주 서늘하기로 유명한데, 반면 둘다 겨울엔 무척 추운 동네라 제천이나 태백 같은곳은 폭염시즌이 차라리 나을수도 있다.[6] 하지만 예외도 있다. 2011년 1월에는 삼한사온의 패턴이 아니라 한파가 계속 찾아왔다. 더 과거에도 1917년 1월, 1917년 12월 중~하순,1922년 1월, 1936년 1월, 1940년 1월, 1963년 1월, 1981년 1월 등 매우 추운 겨울은 삼한사온 패턴없이 장기적으로 춥기도 하다. 이런 경우 거의 대다수의 원인이 블로킹으로 인해 한반도 근처에 한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갇히는 기압패턴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2010년, 2013년, 2020년 4월도 봄이지만 블로킹으로 월 대부분이 꽃샘추위가 이어졌다. 심지어 2020년 7월 또한 그랬다. 자세한 내용은 2020년 7월 한반도 이상 저온 문서 참조.[7] 서울 기준으로 겨울철 내내 450~500시간 정도의 일조량을 보인다. 여름철 일조량이 300시간 내외인 것과는 매우 대조적.[8] 파주시, 연천군, 포천시,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9] 대관령, 태백시, 설악산 등[10] 지금까지 관측된 한강 무결빙 년도는 1960~1961년, 1971~1973년 겨울(2년동안 얼지 않음) 1978~1979년, 1988~1989년, 1991~1992년, 2006~2007년, 2019~2020년이다. 아이러니하게도 1961년 서울 1월 평균기온은 영하 5.2°C로 2018년 1월보다도 1도 이상 낮았는데 왜 결빙이 되지 않았는지는 불명이다.[11] 다만 11월에 결빙한 적은 없었다.[12] 그마저도 3월 1일 삼일절이다.[13] 이때는 이상 고온이 나타나던 해라 결빙 하자마자 바로 녹았으며, 그 결빙이 마지막 기회였다. 2013~2014년 겨울도 바로 녹았지만 재결빙해서 2~3주 가게 되었다.[14] 현재는 12월에 결빙하는 경우가 잦아졌지만 정작 1,2월은 이상 고온이 계속 찾아와서 해빙은 확실히 빨라지고 있다.[15] 결빙일이 빠르다고 그 해 겨울이 춥다는 것은 21세기 들어 꼭 성립하지는 않게 되었다. 애초부터 2013~2014년 겨울, 2014~2015년 겨울, 2018~2019년 겨울은 전반적으로 따뜻했지만 12월 하순 반짝 추위로 일찍 얼었으며, 이때의 경우는 해빙도 빨랐으며, 1964년, 2008년, 2016년의 경우는 지각 결빙이였지만 늦추위가 강력했다. 또한 지각 결빙일이라면 늦추위가 있다는 말이므로 1월 결빙보다 2월 결빙때가 더 추울 수도 있다.[16] 바쁜 위키러들을 위해 역대 기록들만 설명하자면, 제일 빠른 결빙일은 1934년 12월 4일이고 제일 늦은 결빙일은 1964년 2월 13일이다. 제일 빠른 해빙일은 2018년 12월 31일 (이날 결빙했으나 바로 녹아 버렸다.) 이고 제일 늦은 해빙일은 1928년 4월 4일이다.[17] 1947년 겨울~1955년 봄 간의 한강 결빙은 해방 이후 혼란스러운 나라 상황과 한국전쟁 등으로 인해 기록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1947~1948년, 1949~1950년(한파기간 한정) 겨울은 상당히 추웠으나 1948~1949 겨울은 몇 번의 간헐적인 한파 빼고는 평년보다 더욱 포근한 고온현상을 보여서 결빙이 되지 않았을 법도 하다. 다만 서울 1월 평균기온이 -2~-3°C를 기록했는데 이정도라면 얼었을 가능성이 높아서 애매하다. 그 외에도 1955~1956년과 1962~1963년의 해빙일이 미관측되었다. 이유는 불명이다.[18] 사령부의 경우 당직근무가 예하부대들보다는 훨씬 중요하기 때문에 당직근무가 훈련 따위보다 훨씬 중요하기 때문. 당장 군사기밀 천국인 사령부인데 그걸 지켜야지. 굳이 훈련을 나간다 해도 대위/중사/병장 이하들만 나간다. 준장/소령/중사 이상들은 사령부에 남아 당직근무를 하고.[19] 다만 이럴 경우 아침 7시 기상~밤 11시 취침과 같이 일과가 바뀐다.[20] 여기엔 공통/육상/해상특보로 구분해 놨지만, 기관에 따라서는 계절특보로 구분하기도 하고, 아예 구분을 안하는 곳도 있다.[21] 태풍특보는 호우, 강풍, 풍랑, 해일(폭풍해일)특보의 상위. 즉, 태풍특보가 나머지를 4개 특보를 포함함.[22] 이는 올해인 2021년에도 유효하다.[23] 다만 2001년 1월, 2011년 1월은 매우 추웠다.[24] 1950년~1951년 겨울은 한국전쟁 중이라서 서울의 기록이 남지 않아 공식적인 기온을 확인할 수 없으나 동년도 대구광역시에 영하 12.7도를 기록한 날이 있다. 사족이지만 추측을 해보자면 서울이 대구보다 위도가 높아 더 추운 날이 많으니 이때 서울의 기온은 -14~-16도에 가까웠을 것으로 보인다. 1990년~1991년 겨울을 보면 2월 23일에 대구의 최저기온 -12.4도, 서울의 최저기온은 -15도를 기록한 사례도 있다.[25] 특히나 그 중에서도 가장 한파가 강했던 해들은 1931년, 1981년, 2001년, 2011년, 2021년이다.[26] 7월 평균기온은 25.9°C로 2019년과 같아서 다소 높았으나 비가 잦아서 더위가 없었지만 서울 8월 평균은 26.5°C로 1999년, 2004년, 2015년과 비슷해서 며칠씩 짧게는 더웠다. 사실 이 해는 여름 폭염보다는 5월 이른 더위, 9~10월 늦더위가 더 심했다.[27] 다만 8월에는 평년과 비슷하거나 추웠다.[28] 다만 여름이 더운 해는 그 전 겨울이 주로 춥다 보니 뒷겨울은 따뜻할때가 많다. 2013년 여름-2013~2014년 겨울, 2016년 여름-2016~2017년 겨울, 2018년 여름-2018~2019년 겨울, 2019년 여름(중부지방)-2019~2020년 겨울의 경우 이게 성립했다. 다만, 2010년 여름(남부지방)-2010~2011년 겨울, 2012년 여름-2012~2013년 겨울 등처럼 여름은 더웠지만 뒷겨울이 매우 추운 경우도 있기 때문에 우연의 일치일 뿐, 인과관계가 성립한다는 과학적 근거는 없다. 특히 2010년대의 겨울(2009년 12월부터 2020년 2월까지)은 한파와 이상 고온으로 반반씩 있었으나 여름은 대부분 더웠다.[29] 6월 3~17일, 19~28일, 8월 중하순 제외[30] 2013년은 1월과 7월의 온도차가 28.4°C, 2018년은 28.8°C를 기록한 것과는 대조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