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ports Awards in PGR21

 


1. 개요
2. 수상자
2.1. 2006 Starcraft Award in PGR21
2.2. 2007 Starcraft Award in PGR21
2.3. 2008 Starcraft Award in PGR21
2.4. 2009 Starcraft Award in PGR21
2.5. 2010 Starcraft Award in PGR21
2.6. 2011 Starcraft Award in PGR21
2.7. 2012 e-Sports Award in PGR21
2.8. 2013 e-Sports Award in PGR21
2.9. 2014 e-Sports Award in PGR21
2.10. 2015 e-Sports Award in PGR21
2.11. 2016 PGR Award
3. 관련 문서


1. 개요


PGR21에서 시상하는 자체 시상식.
2006년부터 운영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그것으로 끝나는게 아니라 자체적으로 트로피까지 제작하여 본인에게 직접 수여까지 하고 인터뷰도 한다.
원래 시작은 수여하는 종목이 스타크래프트뿐이었기 때문에 '''Starcraft Award'''[1]였으나 2010년부터는 스타크래프트2가 추가되었고,
2012년에는 스타크래프트가 마지막 시상을 하고, 리그 오브 레전드가 추가되었다.
초창기에는 스타크래프트 단일 종목이었기 때문에, 선수와 경기 뿐만 아니라 올해의 맵, 올해의 유닛 등도 수여했다.
반장난이었던 초기와 달리 현재는 선수/중계진과 경기를 위주로 진행하는 중.
후술할 결과에는 승부조작범들이 포함되어 있다.

2. 수상자



2.1. 2006 Starcraft Award in PGR21


링크

2.2. 2007 Starcraft Award in PGR21


링크
  • 올해의 게이머 부문 = 김택용
  • 올해의 신인 게이머 부문 = 박성균
  • 올해의 기록 부문 = 3.3혁명
  • 올해의 세리머니 부문 = 안기효 트라이 세리머니
  • 올해의 맵 부문 = 파이썬
  • 올해의 게임 부문 = EVER 스타리그 2007 8강 C조 2경기 김택용 vs 마재윤 in 카트리나
  • 올해의 유닛 부문 = 커세어
  • 올해의 기량발전 부문 = 송병구
  • 올해의 감독 부문 = 조정웅
  • 올해의 게임단 부문 = 르까프 오즈
  • 올해의 방송인 부문 = 김정민
  • 올해의 PGR인 부문 = 프렐루드

2.3. 2008 Starcraft Award in PGR21


링크
  • 올해의 게이머 부문 = 송병구
  • 올해의 Zerg 게이머 부문 = 이제동
  • 올해의 Terran 게이머 부문 = 이영호
  • 올해의 Protoss 게이머 부문 = 송병구
  • 올해의 신인 게이머 부문 = 정명훈
  • 올해의 프로게임단 부문 = 삼성전자 칸
  • 올해의 게임 부문 = 2008~2009 신한은행 프로리그 마재윤 vs 박성훈 in 네오 레퀴엠
  • 올해의 맵 부문 = 블루스톰
  • 올해의 유닛 부문 = 아비터
  • 올해의 기록 부문 = 김택용의 프로토스 최초 단일대회 3회 우승
  • 올해의 이슈 부문 = 프로토스 전성시대
  • 올해의 전략 부문 :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4강 B조 4경기 도재욱 vs 송병구 in 플라즈마
  • 올해의 방송인 부문 = 강민
  • 올해의 PGR인 부문 = The xian

2.4. 2009 Starcraft Award in PGR21


링크[2]

2.5. 2010 Starcraft Award in PGR21


링크
스타크래프트 2 종목이 추가되었다.
  • 올해의 스타1 게이머 부문 = 이영호
  • 올해의 스타1 Zerg 게이머 부문 = 이제동
  • 올해의 스타1 Terran 게이머 부문 = 이영호
  • 올해의 스타1 Protoss 게이머 부문 = 김구현
  • 올해의 스타1 신인 게이머 부문 = 장윤철
  • 올해의 스타1 게임 부문 = 빅파일 MSL 4강 A조 1경기 이영호 vs 정명훈 in 폴라리스 랩소디
  • 올해의 방송인 부문 = 이승원
  • 올해의 PGR인 부문 = kimbilly

2.6. 2011 Starcraft Award in PGR21


링크
  • 올해의 스타1 게이머 부문 = 이영호
  • 올해의 스타1 Zerg 게이머 부문 = 신동원
  • 올해의 스타1 Terran 게이머 부문 = 이영호
  • 올해의 스타1 Protoss 게이머 부문 = 김택용
  • 올해의 스타1 신인 게이머 부문 = 정윤종
  • 올해의 스타1 게임 부문 = 진에어 스타리그 2011 결승 5경기 정명훈 vs 허영무 in 패스파인더
  • 올해의 스타2 게이머 부문 = 정종현
  • 올해의 스타2 Zerg 게이머 부문 = 임재덕
  • 올해의 스타2 Terran 게이머 부문 = 정종현
  • 올해의 스타2 Protoss 게이머 부문 = 장민철
  • 올해의 스타2 게임 부문 = Sony Ericsson GSL Nov. 4강 2경기 5세트 이동녕 vs 정종현 in 벨시르 해안

2.7. 2012 e-Sports Award in PGR21


링크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이 추가되었다.
  • 올해의 스타1 Zerg 게이머 부문 = 김명운
  • 올해의 스타1 Terran 게이머 부문 = 정명훈
  • 올해의 스타1 Protoss 게이머 부문 = 허영무
  • 올해의 스타1 게이머 부문 = 허영무
  • 올해의 스타1 게임 부문 = tving 스타리그 2012 4강 A조 4경기 허영무 vs 김명운 in 신 저격 능선
  • 올해의 스타2 신인 게이머 부문 = 정윤종
  • 올해의 스타2 Zerg 게이머 부문 = 이승현
  • 올해의 스타2 Terran 게이머 부문 = 정종현
  • 올해의 스타2 Protoss 게이머 부문 = 원이삭
  • 올해의 스타2 게이머 부문 = 원이삭
  • 올해의 스타2 게임 부문 = 2012 HOT6 GSL Season 4 결승 7세트 정종현 vs 이승현 in GSL_여명
  • 올해의 방송인 부문 = 김동준
  • 올해의 PGR인 부문 = kimbilly
  • PGR21 공로패 = 전용준 & 엄재경 & 김태형[3]

2.8. 2013 e-Sports Award in PGR21


링크
스타크래프트 종목이 폐지되었다.
  • 올해의 방송인 부문 = 김동준
  • 올해의 공로상 = 장재호
  • 올해의 PGR인 부문 = 노틸러스

2.9. 2014 e-Sports Award in PGR21


링크
스타크래프트 종목이 폐지되었다.
  • 올해의 게임 캐스터 부문 = 전용준
  • 올해의 게임 해설가 부문 = '''이현우
  • 올해의 게임 방송인 부문 = 정진호
  • 올해의 e스포츠 공로상 = 전병헌
  • 올해의 PGR인 부문 = Leeka

2.10. 2015 e-Sports Award in PGR21


링크
  • 올해의 하스스톤 선수상 = 백학준
  • 올해의 공로상 = 이영호
  • 올해의 PGR인 부문 = 마스터충달

2.11. 2016 PGR Award


링크

PGR21 운영진 내부 논의하에 회원들을 위한 일반 어워드로 변경하기로 결정하여, 게이머와 팀에 대한 것이 아니라 회원들에 대해 어워드를 진행했다.
2016년에 한정되는 것인지, 앞으로도 계속 진행될 것인지는 미정.

3. 관련 문서


[1] 최초 공지는 '''Game Award'''였다.[2] 원글은 삭제되었다.[3] 어워드와 별개로 OGN의 마지막 스타리그였던 8월 4일 tving 스타리그 2012 결승전이 끝난 후 수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