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옥수
1. 개요
2. 성능
3. OCG
3.1. "보옥수" 몬스터
3.1.1. 보옥수 루비 카번클
3.1.2. 보옥수 사파이어 페가수스
3.1.3. 보옥수 앰버 맘모스
3.1.4. 보옥수 코발트 이글
3.1.5. 보옥수 애머지스트 캣
3.1.6. 보옥수 에머랄드 터틀
3.1.7. 보옥수 토파즈 타이거
3.2. "보옥" 펜듈럼 몬스터
3.3. "궁극보옥신" 몬스터
3.4. 관련 몬스터
3.5. "보옥" 마법 카드
3.6. "보옥" 함정 카드
3.7. 관련 마법 카드
3.8. 관련 함정 카드
4. OCG화 되지 않은 카드
5. 같이 운용하면 좋은 카드
1. 개요
유희왕 GX에서 등장한 카드군. 사용자는 요한 안데르센.
어떤 번역자가 보석수로 번역한 것이 퍼진 탓에 한국의 팬들 중에서 일본판에선 '보석수'고 국내에서 번역되면서 보옥수로 이름이 바뀐 것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좀 있는데 일본판 표기도 보옥수다. 다만 '보옥'이라는 단어가 사전에서나 볼 법한 마이너한 단어이고 '보석'으로 완벽하게 대체되고 있기 때문에 국내 정발 이전에 '보석수'로 번역한 것은 오역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다른 한편 일본 현지에서도 '주간 소년 점프'를 비롯, '보석수'로 잘못 불렀던 사례가 아예 없진 않았던 모양.
설정상으로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로마 제국이 세계에 군림했다는 징표로 세계 각지에서 7개의 보석을 모아 석판을 만들려 했으나, 그 보석들은 배로 운반되던 도중 폭풍을 만나 가라앉았고, 이후 페가서스 J. 크로퍼드 회장이 고생 끝에 주워서 카드화시킨 것이 보옥수라고 한다. 소재가 소재이니만큼 값어치도 매우 비싼 카드로 나와 어느 누구도 소지할 염두를 못했으나, 어느 대회에서 우승한 요한을 카드가 선택함으로써 이를 본 페가서스 회장이 값어치 따위를 신경쓰지 않고 직접 요한에게 전달했다고 한다.
오랫동안 함께 한 요한에게 있어선 '''가족''' 같은 존재다. 쥬다이, 만죠메와 같이 요한도 정령들을 볼 수 있는 듀얼리스트이기에 몬스터와의 유대는 제일 강한 편이라 볼 수 있다.
후반부에 유벨이 빙의한 요한이 암흑사도 요한으로 타락해서 되돌아오기 전까지는 어둠 속성의 어드밴스드 보옥수라는 몬스터들[2] 을 사용하긴 했지만 OCG화 되지 않았고, 대신 이 때 사용한 필드 마법 어드밴스드 다크가 OCG에선 보옥수들을 어둠 속성으로 만들어주며, 일러스트에 어드밴스드 보옥수 전원이 등장한다.
2. 성능
몬스터 카드는 전부 이름 앞에 "보옥수"가 붙어 있으며 이름이나 마법/함정 카드의 일러스트 및 효과들의 대부분도 보석이나 그 가공법 등에서 따온 것들이다.
보옥수들은 공통적으로 필드 위에서 파괴되면 '''지속 마법 카드'''로 취급하고 마법/함정 존에 놓이는 것으로 (즉 본질이라 할 수 있는 '결정'이 남는) 죽어서도 묘지로 가지 않는 독특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처음 공개됐을 때도 유저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은 카드군이다. 거기에 보옥수 개개의 능력치가 나쁘지 않고 서포트 카드가 꽤나 빵빵하기에 대충 짜도 어느 정도 승률이 나오기에 나온 지 시점이 오래됐는데도 아직도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다. 전개력이 괜찮고 레벨 5 이상의 상급 몬스터도 적어 패 말림이 상대적으로 덜한 편이다.
특이하게도 무지막지한 '''한방'''이 많은 덱인데, 보옥수를 몽땅 불러내는 카번클 부터 시작해서 4000의 공격력과 끝판왕격 효과를 지닌 레인보우 드래곤, 필드를 전부 쓸어버리고 보옥수를 마구 소생시키는 보옥의 범람 등 시원한 손맛을 자랑하는 카드들이 많다.
한편, 이 카드군도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가장 대표적인 게 작중에도 몇번 언급 된 낮은 공격력. 이제는 궁극보옥수 레인보우 드래곤 덕분에 어느정도 나아졌지만.
또한 행여나 마/함 존의 보옥수들이 단체로 바운스 당하거나 하면 파괴 당했을 때와는 비교도 안되게 타격이 크고, 컨트롤을 잘못하면 마법/함정 존이 과식되어서 정작 필요할 때에 마법/함정 카드를 사용하지 못할 위험이 있다. 물론 그래서 나온 게 레인보우 루인의 다섯번째 효과와 보옥의 범람 등이지만. 또한 보옥수들은 이름만 공유하고 그 외의 것은 공유하는 것이 없어 추가적인 종족/속성/레벨 서포트 카드를 쓰기에 곤란하다.
다만 보옥수가 마법 / 함정 존에 놓이면 지속 마법 카드로 취급한다는 점 때문에 번개황제 하몬과 배드 엔드 퀸 드래곤의 소환이 용이한데다가 나머지 보옥수만 충분하면 필드에서 제외되거나 바운스되지 않는 한 든든한 벽이 되어준다. 또한 배드 엔드 퀸 드래곤과 야수족 보옥수 몬스터로 비스트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의 소환 조건을 충족시키기에, 보옥수의 부족한 화력을 충족해 줄 수 있다. 전용 필드 마법 레인보우 루인의 막강한 파괴방지 효과로 인해 지박신이나 Sin과의 상성도 좋다. 어찌된 게 악당이랑 상성이 좋은 괴이한 덱.
차원계와는 상성이 좋은 듯하면서도 나쁘다. 지원하는 카드의 대부분이 보옥수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하는 효과이기에, 지원이 불가능하지만 반대로 제거당해도 묘지로 가지 않아 제외되지 않기 때문에 루인만 살려놓을 수 있으면 전개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싱크로 소환과의 상성은 좋지 않다. 보옥수들의 특수 소환은 쉬우니 튜너 몇장 넣어두는걸로 쉽게 튜닝할 수 있지만 소재로 쓴 보옥수들은 마함존이 아닌 묘지로 보내지니 그냥 유지시켜둬서 벽으로 쓰는게 더 안정적이다.
엑시즈 소재는 묘지로 가버리는지라 엑시즈 소환도 상황은 마찬가지. 하지만 따로 튜너 같은 몬스터를 추가로 집어넣을 필요 없이 보옥수들 만으로 랭크 3/4의 엑시즈 소환이 가능하고, 레인보우 드래곤이나 하몬, 지박신을 채용한다면 랭크 10 엑시즈 소환도 용이하다. 어차피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되며 보옥수가 애초에 엑스트라 덱 공간이 부족해지는 덱은 아니므로 엑시즈 정도는 투입해서 나쁠 것은 없다. 그걸 증명하듯 하술할 서포트 카드 추가 후에 가장 승률이 높은 보옥수 덱은 4축 메타비트.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에서 펜듈럼 소환 방식의 서포트 몬스터가 추가되었는데, 이와같이 펜듈럼 소환과의 상성은 발군. 최주력인 카번클과 페가수스가 특수 소환으로도 효과가 발동하므로 굴리기 편하다. 다만 보옥수는 BF나 여섯무사처럼 대량 전개를 통해서 이득을 보는일이 많지 않으므로 신경써서 운용해줘야한다.
보옥의 선도자와 수호자가 각각 타점이 1300, 1500 에 종족이 마법사족, 전사족, 스케일이 5,2 여서 마장전사 드래고디우스와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의 서치범위 안인데다가 룡검사 라스터 P, 익센트릭 데몬과의 궁합 또한 뛰어났다.
하지만 링크 소환이 등장하면서 펜듈럼 존이 기존의 마법, 함정 존과 통합되면서 펜듈럼을 채용한다면 보옥수 특유의 마법, 함정 존으로 이동하는 특성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게다가 종족이나 속성도 다 제각각이라 링크 소환과의 궁합도 아주 나쁘다. 트로이메어가 등장한 덕에 전개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됐지만, 마법/함정 존 문제는 아직 남아 있다. 혹시라도 보옥수 전용 링크 몬스터가 등장해서, 다른 카드군들과 달리 후방 링크의 마함존을 써먹을 수 있다면 모를까.
링크 소환의 등장 이후로 잊혀지나 싶더니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오버 드래곤의 등장과 무지개의 다리, 궁극보옥진 등 새로운 지원카드가 나왔다. 지원은 상당히 괜찮게 받았지만 원본 7종류의 보옥수 중 쓸만한 건 페가수스와 카벙클, 거기에 새로 추가된 궁극보옥수 레인보우 드래곤 뿐이기에 실전성과는 아직 거리가 멀다.
한마디로 지원을 잘 받아도 원본의 빈약함 때문에 빛을 못보는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뭐 그래도 미래는 밝은 편이다. 스트럭쳐 덱 후보로도 올라왔었고 인지도나 인기를 생각하면 더 많은 추가 지원이 나올 것이다.
2017년에 신규 지원 카드와 패트랩으로 보완한 보옥수 비트다운 덱이 '''공인대회에서 우승했다.''' #[3][4]
듀얼 링크스에선 몬스터존과 마함존 모두 3칸인 스피드 듀얼의 특징에 유독 패널티를 많이 받는 편이지만 지속적인 지원으로 괜찮은 덱으로 활약하고 있다. 파워 카드들이 수록되지 않았기 때문에 초창기 보옥수의 컨셉인 '하급을 전개해서 비트하다 여차하면 레인보우' 라는 전법을 주로 사용하게 되지만 이런 것이 취향인 사람들에겐 상당히 괜찮은 평가를 받고 있다. 요한의 스킬인 '초월의 수정' 은 패를 3장까지 버리고 버린 매수만큼 덱에서 보옥수를 마함존에 놓는 스킬이기 때문에 레인보우 드래곤을 띄우기 편한 점도 있다.[5] 2019년 7월에는 하몬도 링크스에 상륙하면서 힘을 보탰다.
3. OCG
3.1. "보옥수" 몬스터
3.1.1. 보옥수 루비 카번클
[image]
보옥수의 전개요원. 필살의 한방으로 이 카드를 특소하면 마함존의 보옥수들이 쫘르륵 전개된다. 사파이어 페가수스가 덱에서 서치, 세트를 해주며 비트를 맡는다면 카번클은 그렇게 세트한 보옥수들(보통 페가수스)을 터뜨려서 한번에 3~4마리의 몬스터를 불러낸다. 링크 4 이상의 상급 어태커를 소환하여 상대의 고타점 에이스를 견제할 수 있다. 특수소환이란게 은근히 빡빡해보이지만 의외로 간단하다. 보옥의 인도, 보옥의 계약이라는 보옥수 특유의 특소 카드가 많기 때문. 서치는 보옥의 연, 페가수스 효과로 하면 된다. 잘하면 선턴에 페가수스 3장을 소환하는 빌드를 만들 수 있다.
이렇게 나온 보옥수끼리 엑시즈 소환, 링크 소환을 노려볼 수도 있다.
유언계로 특수 소환하거나 선봉 대장, 광신화로 소환해도 효과는 발동한다. 그러나 시너지는 거의 없다.
원작에서는 '''요한 안데르센의 정령 카드.''' 3기의 시작을 연 정령이다. 날개 크리보와 마찬가지로 말을 못하는 몇 안되는 정령이다.[6] 첫 만남부터 투닥거렸으나 이후에는 제법 친하게 지내는듯. 둘 다 공격력은 300이고 수비력은 날개 크리보가 200으로 100 낮다. 첫 등장시 마함존에 놓이면 '''자체 효과로 특수소환이 가능해서''' 사파이어의 효과로 필드에 나오자마자 마함존의 모든 보옥수들을 필드에 특수소환시키는 위엄을 보여주었지만 너무 사기적인 효과여서 이후엔 OCG 효과로 변경되었다.
효과명은 '''루비 해피니스(Ruby Happiness)''', 공격명은 '''루비 소닉(Ruby Sonic)'''.
유명 네타 거리로는 요한이 카벙클은 전설의 생물이라 해서 쥬다이가 물어봤더니 나온 대답이 존재한다.
성우는 나가하마 마리코[7] /채의진[8]
포켓몬스터의 에브이도 모티브가 카벙클이라 그걸 비교하는 팬아트가 가끔 있으며 역시 보석 모티브가 같은 쥬얼펫의 루비랑도 엮이는데 서로 융합 소환해서 이렇게 탄생한게 아닐까하는 드립이 나오기도 한다.
'''수록 팩 일람'''
3.1.2. 보옥수 사파이어 페가수스
[image]
보옥수 덱의 핵심인 최주력 카드. 보옥수 중 가장 높은 공격력 1800의 준수한 능력치와 일단 소환에 성공하면 모든 장소에서 보옥수를 리크루트/샐비지하는 능력까지 갖추고 있어 여타 서포트 카드의 발동을 도와주는 카드이다. 보옥수를 섞어 쓰는 덱이던 일반적인 보옥수 덱이던 이 카드는 무조건 3장 투입이 기본이다. 캐틀 뮤틸레이션과의 궁합도 좋다. 다만 임의 효과라서 체인 2 이후에는 사용 불가.
보옥수덱이 아니더라도 특유의 전개력으로 따로 전용덱을 짤 수도 있고 용병으로 이리저리 외근을 다니는 경우도 있다. 리더 답게 보옥수 서포트 카드들의 이미지에 얼굴을 자주 드미는 보옥수의 얼굴마담.
덱의 핵심이므로 소환승 서몬 프리스트나 보옥의 인도 등으로 핀포인트로 서치하는 경우도 많다. 코발트 이글로 재활용하기도 한다. 레인보우 드래곤의 소환조건을 채우기엔 이만한 능력도 없을 것이다.
게다가 '보옥의 연'의 등장으로 이 카드의 서치가 더 쉬워졌다. 보통 보옥의 연이나 다른 서치카드로 가장 먼저 가져오는 카드.
원작에서는 요한이 사용하는 보옥수의 리더로 등장. 여러 듀얼에서 에이스못지 않은 활약을 펼친다. 심지어 성우 아끼기 위해서인지 모두 모여있을때 대표로 혼자서만 말하는 경우도 있다.
공격명은 '''사파이어 토네이도(Sapphire Tornado)''', 효과명은 '''사파이어 콜링(Sapphire Calling)'''.
'''수록 팩 일람'''
3.1.3. 보옥수 앰버 맘모스
[image]
상아가 6개 달린(?) 맘모스다. 애머시스트 캣이나 카벙클 등을 보호하는 역할. 착각하기 쉽지만 이 효과는 유발 즉시 효과가 아닌 스펠 스피드 1의 유발 효과다.
여담으로 카드 일러스트에서는 드러나지 않지만 애니메이션에선 가운데 박혀있는 호박 안에는 쥬라기 공원처럼 모기 형상이 그려져 있다.
원작에서는 보옥수들 중 전방에 서는 몬스터. 공격명은 '''앰버 스탬프(Amber Stamp)'''.
영어 더빙판에서는 뜬금없이 '''아놀드 슈왈츠제네거''' 성대모사가 추가되었다.
'''수록 팩 일람'''
3.1.4. 보옥수 코발트 이글
[image]
보옥수 중에는 가장 채용율이 낮고 활용도도 떨어지기 때문에 평가가 박하지만 정석이 아닌 변칙적인 보옥수덱에서라면 이야기가 다르다. 첩자 보옥수 덱에서는 인법 변신술, 첩자 마스터 HANZO와 같이 꼭 채용되는 카드이다. 비행야수족인지라 갓버드 어택의 적용을 받기 때문.
일단 몬스터 존과 마법/함정 카드 존을 가리지 않으므로 대개 마함존의 보옥수를 되돌리는 것이 기본이다. 보통은 사파이어 페가수스를 되돌린다. 드로우가 막히는 대신, 데몬의 선고나 대역전 퀴즈와 궁합이 좋다. 또한 방해되는 보옥의 해방을 치우는 데도 쓸 수 있다.
그리고 바람 속성, 비행야수족 이라 엑시즈 몬스터를 활용할 생각이라면 전광천조나 영조수 실피네 같은 초강력한 몬스터를 뽑을수 있어서 적극 투입해볼만 하다.
원작에서도 대우가 안 좋다. 소환이 방해된다든가, 몬스터존이 꽉차서 못 나온다든가... 그러나 레인보우 드래곤을 발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그 이후의 활약은 조금 늘어난다. 까불거리는 활발한 성격. 공격명은 '''코발트 윙(Cobalt Wing)'''.
'''수록 팩 일람'''
3.1.5. 보옥수 애머지스트 캣
[image]
레어 밸류나 보옥의 인도의 보조가 가능하다. 직공 효과도 나쁘지 않아 기습적인 피니셔가 될 수 있다. 극단적으론 직공한다음 버서커 소울을 사용하는 등. 하지만 보옥수와 버서커 소울의 상성이 나빠서 무의미하다. 따라서 상대가 보옥수 유저인데 듀얼 중 이 카드가 나왔다면 십중팔구 레인보우 드래곤 투입형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1인칭부터 와타시고 목소리도 말투도 매우 여성스러운 유일한 여성형 보옥수. 은근히 자주 나온다. 공격명은 '''애머지스트 네일(Amethyst Nail)'''. 이름의 애머시스트(Amethyst)는 자수정이다.
'''수록 팩 일람'''
3.1.6. 보옥수 에머랄드 터틀
[image]
일단 2000의 수비력을 통해 벽으로서 기능한다. 거기에 보조적으로 상대의 공격력이 낮은 몬스터를 잡고 곧바로 수비 표시로 변경해 전투데미지를 완화하는 용도로도 쓴다. 암흑 스테고에 비해 공격력은 낮지만 보옥수 뿐만 아니라 다른 몬스터들에게도 적용 가능해 범용성도 좋다. 특히나 스텀블링 덱에서 스텀블링을 쓸 수 없을 경우 드림 삐에로 등의 표시형식 변경 효과를 가진 카드의 효과 발동을 용이하게 해 준다.
'''지박신 챠크 차루아'''랑 궁합이 좋은데 공격을 날린 후에 이 카드의 효과로 수비 표시로 바꿔버리면 상대는 배틀 페이즈를 실시할 수가 없게 되니 이 카드를 없애지 못하는 한 챠크 차루아에게 계속 두들겨맞는 상황에 직면한다.
수명이 긴 거북이라서인지, 노인다운 면모로 요한에게 자주 조언을 해준다. 공격명은 '''에메랄드 커터(Emerald Cutter)'''.
2018 3월 28일, '''유희왕 듀얼링크스에 나온 카드들 중 최초로 OCG와 효과 텍스트가 다른 몬스터'''가 되었다. 이 카드의 1번째 효과 '이 턴에 공격을 실시한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수비 표시로 할 수 있다.'가 삭제되었는데 이유는 듀얼링크스의 고유 시스템 때문. 몬스터 효과의 발동은 유발 효과가 아닌 이상 메인 페이즈에만 할 수 있는데 에메랄드 터틀의 효과는 메인 페이즈 2에만 발동 가능하기 때문에 '''메인 페이즈 2가 없는 듀얼링크스'''에선 시스템상 발동할 수가 없다. 덕분에 수비력만 높은 아주 평범한 보옥수 몬스터가 되었다. 효과 앞에 '자신의 배틀 페이즈 종료시' 혹은 '자신의 엔드 페이즈시'만 붙였어도 해결될 수 있겠지만, 그건 카드의 효과 자체의 변경이 되어 문제가 생길 여지가 크다.
'''수록 팩 일람'''
3.1.7. 보옥수 토파즈 타이거
[image]
공격하는 순간에는 2000의 공격력이 되어 보옥수의 실질적인 주력 어태커. 스팀로이드처럼 공격당할 때의 디메리트도 없으니 손해도 그다지 큰 편은 아니다.
원작에서도 역시 어태커. 오레사마를 쓰는 자신감 넘치는 성격이다. 공격명은 '''토파즈 바이트(Topaz Bite)'''.
'''수록 팩 일람'''
3.1.8. 궁극보옥수 레인보우 드래곤
3.2. "보옥" 펜듈럼 몬스터
보옥수 몬스터들의 레벨이 4와 3이라 이에 맞춰 스케일 5와 2인 펜듈럼 몬스터. 성능 자체는 좋으나, 편듈럼 존이 마함존에 편입되면서 사실상 사장된 비운의 몬스터들. 마함존을 많이 먹는 보옥수 덱의 특성상, 이 패치는 치명적은 너프로 작용했다.
3.2.1. 보옥의 선도자
[image]
모티브는 암흑사도 요한.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의 보옥수를 지원하는 일본 월드 프리미엄 카드. 이전부터 보옥수 펜듈럼이 나온다는 루머가 인터넷에 떠돌고 있었고, 실제로도 상당히 강력한 효과로 나왔다.
수호자와 같이 펜듈럼 효과는 카드의 대상을 막아주는 심플한 효과이며, 이 카드를 릴리즈하는 것으로 보옥수와 관련된 카드의 95%를 전부 서치할 수 있는 초강력 서포트로 나오게 되었다. 하지만 펜듈럼 효과가 아닌 몬스터 효과라서 일빈 소환권을 써야한다는 단점이 치명적이다. 그래도 그점을 감안해도 충분히 좋은 서치 효과. 레벨도 3이라서 다른 선도자 - 수호자를 펜듈럼 존에 세팅한다면 매턴마다 보옥의 서치가 가능하다. 물론 어느 정도 펜듈럼 몬스터를 지키는 수고는 들여야겠지만 매턴마다 벌여들이는 어드밴티지를 생각한다면 이득.
...은 마스터 룰 4로 인해 '''마함존과 펜듈럼 존이 통합돼서''' 펜듈럼 존을 다채우면 마함칸이 3칸만 남아서 보옥수 덱에겐 매우 치명적이다. 이때문에 채용율이 감소는 물론 아예 메인덱에선 채용자체를 안하게 되었다. 애초에 보옥수 펜듈럼은 펜듈럼 소환을 할려고 넣는것도 아니고 순수히 효과만을 위해 넣는건데 운영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니 패가 아닌 필드가 말리는 상황이 온다.
단순히 펜듈럼 몬스터라는 점을 떼어놓고 봐도 강력한 서치 카드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원하는 카드를 마음대로 서치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제값을 하는 카드. 특히 궁극보옥신의 서치를 드래곤 자각의 선율 같은 카드에만 의존해야 했던 레인보우 네오스 덱의 경우에도 강력한 서치 수단이 생겼다.
3.2.2. 보옥의 수호자
[image]
모티브는 요한 안데르센 본인.
선도자와 쌍벽을 이루는 펜듈럼 몬스터로, 선도자가 대상 지정 효과로부터 지켜준다면 이 쪽은 효과 파괴로부터 지켜주는 펜듈럼 효과를 갖고 있으며 몬스터 효과로는 패 또는 필드에서 발동하는 보옥수 전용의 리미터 해제 효과를 갖고 있다. 하급 주축이여서 전투력이 약한 보옥수의 타점을 보조해주는 괜찮은 효과. 그 외에 증원으로 서치가 되는 로우 레벨 펜듈럼 몬스터로서의 의미도 존재한다.
패에서 기습적으로 발동하는 용도로도 가능하지만, 만약 펜듈럼 세팅을 위주로 한 보옥수라면 매턴마다 펜듈럼 소환하여 공격적으로 나가는 방법도 가능하다. 어느 쪽을 선택하든지는 덱을 구성하는 사람의 몫이지만 보옥수 카드에 대상 지정 내성을 주고 타점을 보조해주는 몬스터인 만큼 어느 쪽이든 덱에 들어갈 여지는 크다.
선도자가 어둠 속성인데 반해 수호자는 화염 속성인데, 이 두 속성은 원래 보옥수 몬스터들이 가지고 있지 않던 속성이었다.
참고로 이 카드가 펜듈럼 존에 있는 상태에서 패에서 이 카드의 효과를 쓰면 자괴 디메리트를 상쇄할 수 있다.
3.3. "궁극보옥신" 몬스터
"보옥수"의 최상급 카드로 공격력 4000 / 수비력 0의 드래곤족으로, 레인보우 네오스의 융합 소재 중 하나. '보옥의 선도자, 보옥의 수호자, 무지개의 행방, 무지개의 인력, 어드밴스드 다크, 오버 더 레인보우, 궁극보옥진' 등의 서포트를 받는다.
3.3.1.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드래곤
보옥수의 에이스 카드.
3.3.2.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다크 드래곤
레인보우 드래곤의 다크화 버전.
3.3.3.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오버 드래곤
레전드 듀얼리스트 2편에 등장한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드래곤의 리메이크로, 순수 보옥수 덱에서는 유일한 엑스트라 덱 / 융합 몬스터.
3.4. 관련 몬스터
3.4.1. 레인보우 네오스
네오스와 레인보우 드래곤의 융합체로, 이 덱 또는 네오스 덱 최강의 몬스터.
3.4.2. Sin 레인보우 드래곤
항목 참고.
3.5. "보옥" 마법 카드
보옥의 선도자 및 후술할 무지개 다리의 효과로 "보옥" 마법/함정 카드 서치 가능.
3.5.1. 보옥의 인도
[image]
보옥수가 2장 이상 존재하는 상황은 쉽게 만들어지므로 발동은 쉽다. 보통은 사파이어 페가수스를 소환하는 데 사용하지만 피니시용으로 루비 카번클을 소환하기도 한다.
원작에선 좋은 성능 때문인지, 쓸데없이 상대에게 카드를 1장 드로우 시켜줬지만, 다행히 OCG화 하면서 사라졌다.
'''수록 팩 일람'''
3.5.2. 보옥의 범람
[image]
보옥수 필살의 카드로 발동하면 블랙홀+태풍의 효과를 준 다음 자신의 필드에 다시 보옥수를 소환하는 사악한 카드. 파괴가 아니라 묘지로 보내는 것이기 때문에 파괴 내성으로도 막을 수 없다. 다만 마함 존이 보옥수로 5장이 다 차버리면 카드를 놓을 수가 없어 되려 발동을 못한다. 발동 조건이 4장인 이유도 그것.
이전엔 상대가 저승사자 고즈라도 갖고 있지 않은 이상 승리 확정이'''었'''다. 신의 경고 때문에 효과가 '상대의 신의 경고 1장을 파괴하고, 상대에게 2000 데미지를 준다'라는 농담이 있는데 실제로 써보면 농담이 아니다. 스펠 스피드 문제 때문에 선고자나 함정 처리반 A팀도 무력. 역시나 카운터 함정에는 카운터로 대응하는 게 최선책이지만, 이 카드의 발동 조건 때문에 따로 카운터 함정을 세트할 수도 없어서 막히면 그저 피눈물. 코스트가 다 날아간다. 발매 초기 강력한 물량전 후 범람으로 피니시를 내며 주가를 올렸던 보옥수 덱은 신의 심판-마궁의 뇌물-신의 경고의 연이은 대세화로 주가가 크게 하락했다. 이후 저 중 2장이 제재를 받고, 1장은 투입률이 줄어서 오히려 성공률이 올라간 상황.
'''수록 팩 일람'''
3.5.3. 보옥의 은혜
[image]
보옥의 범람 등 마함존의 카드를 이용하는 카드를 발동시키기에는 좋다. 하지만 순수 연계용 카드이기 때문에 카드구성을 생각하지 않고 많이 넣으면 패 말림을 초래할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3.5.4. 보옥의 계약
[image]
간단한 소생 카드. 주로 소환하는 건 역시 페가수스나 카번클.
보옥수 사파이어 페가수스와 보옥의 계약 2장만으로 덱/패/묘지에서 모든 페가수스를 필드에 꺼내놓을 수도 있고, 여기서 나무와 연계하면 순식간에 카운터가 2개 쌓이며 필드에 카번클을 내놓을 수 있다. 이후 계약, 또는 인도를 사용해서 카번클을 불러내면 필드는 순식간에 보옥수 밭이 된다.
아래는 패에 페가수스, 보옥의 나무, 보옥의 계약, 무지개 가교가 있으면 몬스터 존을 꽉 채울 수 있는 콤보이다.
페가수스가 없을 때 보옥의 연을 사용해서 페가수스를 끌어올 경우 페가수스를 패로 가져오고, 카번클을 마법/함정 존에 두고 위 콤보를 쓰는게 좋다. 보옥의 연을 사용한 경우 보옥의 나무가 없어도 충분히 필드를 채우는 게 가능하다.
'''수록 팩 일람'''
3.5.5. 보옥의 해방
[image]
보옥수 전용 장착 카드. 공격력 증가 폭은 괜찮은 편이다. 필드 위에서 어떤 식으로든 묘지로 보내지기만 하면 마함존에 보옥수를 하나 불러오는 효과는 덤. 대신 "~때"에 발동하는 임의효과니 타이밍을 놓치는 상황은 주의하자.
'''수록 팩 일람'''
3.5.6. 보옥의 나무
[image]
역시나 최대한 빨리 여러 종류의 보옥수를 모으는 데는 좋은 카드. 하지만 너무 많이 넣으면 패 말림의 주 원인이다. 보통 젬 카운터가 2개 쌓였을 때 제거한다. 아니면 3, 4개 정도 쌓였을 때 레어 밸류 등으로 마함 존을 좀 비운 다음 사용한다. 보옥서치카드가 많아지면서 한장정도 채용해서 서치용으로 가져와쓰면 초반에 보옥수를 빠르게 모을수있다.
'''수록 팩 일람'''
3.5.7. 보옥의 연
[image]
보옥수 서치 + 보옥수 마함설치. 고성능 서치 카드란 점은 두말하면 입아픈 소리. 사실상 카드 1장으로 어드밴티지를 2장이나 벌 수 있다.
보옥 마함을 서치해주는 무지개 다리에 이어서 보옥수 서치 및 마함 설치까지 해주는 이 카드 덕분에 보옥수의 덱 회전력이 매우 크게 증가하였다. 이 카드 또한 보옥 마함이기 때문에 무지개 다리로 서치 할 수 있는 건 덤. 패로 가져올 몬스터는 주로 사파이어 페가수스가 될테고 마함 설치로는 궁극보옥수 레인보우 드래곤이다. 이후 페가수스 소환하여 보옥수 몬스터를 하나 더 마함에 깔고, 궁극보옥수 효과로,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드래곤을 서치한다.
일러스트가 꽤나 인상적인데, 요한이 루비 카번클을 쓰다듬어주는 모습이다.
'''수록 팩 일람'''
3.6. "보옥" 함정 카드
보옥의 선도자 및 후술할 무지개 다리의 효과로 서치 가능.
3.6.1. 보옥의 기도
[image]
2대 1 교환이다. "필드의" 보옥수를 선택하는 효과였다면 좀 더 좋았을지도.
'''수록 팩 일람'''
3.6.2. 보옥의 쌍벽
[image]
발동 조건이 전투에 의한 파괴이므로 첫 공격의 데미지는 받는다. 대신 덱에서 보옥수 몬스터를 한장 마/함 존으로 불러올 수 있는 부가 효과를 지녔다. 주의할 점은 카드가 '''묘지로 보내져야''' 발동할 수 있는 카드라는 점이다. 즉, 이전에 파괴된 보옥수는 마/함 존에 놓을 수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마/함 존에 놓이는 몬스터의 수엔 변화가 없다. 전투 데미지 0 보너스로 1턴을 버티고 덱을 압축/ 필요 몬스터를 서치하는 것에 목적을 두는 카드다.
효과로 파괴될 경우 발동하지 못하고 서치해도 마함존에 세팅하는 것이므로 몬스터 효과도 못 쓴다. 때문에 활용도는 낮다.
'''수록 팩 일람'''
3.6.3. 보옥의 집결
[image]
보옥수 관련 월드 프리미어 4호.
보옥수 몬스터가 파괴되었을 경우에 덱에서 보옥수를 리크루트하거나,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필드의 보옥수와 다른 카드 1장을 바운스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되돌릴 보옥수는 몬스터 뿐만 아니라 마법 카드 취급으로 하는 보옥수도 가능.
일러스트는 집결한 보옥수들과 그들을 이끄는 듀얼리스트.
'''수록 팩 일람'''
3.6.4. 궁극보옥진
[image]
사실상 레인보우 오버 드래곤 전용 융합 함정 카드.
자신의 보옥수 몬스터의 전투 파괴를 트리거로 발동하며 패/필드는 물론 덱에서도 소재를 조달하는 게 가능하며 심지어 마법/함정 존의 보옥수 몬스터까지도 융합 소재로 할 수가 있다. 이 정도로 파격적인 융합은 전례가 없었을 정도. 거기다 소재를 보내는 것이 코스트이기에 다른 덱 융합들의 약점인 하루 우라라도 피해간다. 소재 범위가 넓고 파괴우려가 없어 미래융합-퓨처 퓨전과 차별화되지만 7장이 아닌 7종류를 요구한다는 단점도 있다. 하지만 성공하면 레인보우 드래곤의 소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기도 하니 오히려 이 카드가 훨씬 더 좋다.
문제는 귀찮은 발동 조건. 전투 파괴에만 발동할 수 있기에 궁극보옥진이 먼저 제거될 수도 있고 타이밍도 다소 느리다. 물론 상대 공격으로 파괴될 필요가 없기때문에 자신쪽에서 자폭특공을 걸고 발동하여 곧 바로 융합 소환을 해 비트를 하는 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긴하다.
또한 Sin 레인보우 드래곤 이외의 '궁극보옥신' 몬스터가 상대의 효과로 필드에서 벗어나면, 묘지의 "보옥수" 몬스터를 원하는 만큼 마법 & 함정 존에 지속 마법 카드로 취급해 놓을 수 있다. 보옥의 범람을 쓰기 쉬워진건 덤.
'''수록 팩 일람'''
3.7. 관련 마법 카드
3.7.1. 무지개의 고대도시-레인보우 루인
보옥수테마 전용 서포트 필드마법.
3.7.2. 어드밴스드 다크
암흑사도 요한이 사용한 또 다른 보옥수 필드마법. 위의 레인보우 루인과는 전혀 다른 효과를 가지고 있다.
3.7.3. 레어 밸류
[image]
쓸만한 보옥수 전용 드로우 카드다. 레인보우 드래곤을 소환하는 게 목적일 경우에도 쓸만하다. 변종 보옥수 덱에서도 한 두장 정도는 투입되는 카드. 다만 상대가 선택해서 카드를 묘지로 보내므로, 카드가 3장 이상 있는 경우나 사파이어 페가수스 내지 루비 카번클이 마법/함정 카드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주의해서 써야 한다.
투입하더라도 3장까지는 넣지 않는 편. '보옥'마법 카드가 아니기 때문에 선도자나 무지개의 다리로 서치할 수 없음에 유의.
사실 5D's에서 이자요이 아키가 사용한 매직 플랜터라는 카드의 하위 호환이 될 뻔했으나, 매직 플랜터가 OCG화되면서 지속 마법이 아닌 지속 함정을 묘지에 보내는 것으로 변경된 덕에 목숨을 건졌다.
'''수록 팩 일람'''
3.7.4. 무지개 가교
[image]
짧은 텍스트가 강하단 걸 몸소 보여주는 심플한 서치 카드. 상기한 보옥 마법/함정 카드를 전부 서치 가능하며 턴 제약도 없다. 단, 아래의 관련 카드는 보옥 카드가 아니므로 서치할 수 없으니 이 점은 주의. 효과는 강력하지만 서치카드가 몬스터 존에 내놓아야 하는 보옥의 선도자 밖에 없어 투입 매수 때문에 골치아팠던 보옥의 범람을 이 카드로 쉽게 서치할 수 있게 됐다. 툰 목차의 참상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카드명에 보옥이 안 써 있는 것도 특징이다.
이름의 모티브는 애니에서 언급된 요한의 꿈[9] 으로 추정. 참고로 원본 이름은 架け橋 즉 다리를 뜻하지만 국내 정발명은 가교(架橋)[10] 로 나왔다.
일러스트는 레인보우 루인의 무지개가 띄워진 모습.
한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애완동물이 죽었을 때 이를 무지개 다리를 건넜다 라고 표현하는 점을 생각해보면 상당히 의미심장해진다. 효과 자체는 죽음에 관련된 게 아니지만.
'''수록 팩 일람'''
3.8. 관련 함정 카드
3.8.1. 무지개의 행방
[image]
필드와 묘지에 7종류의 보옥수를 모두 모았다면 다음 턴 레인보우 드래곤의 소환이 확정된다. 레인보우 드래곤을 서치할 수단 중 하나라 보옥수 위주로 레인보우 네오스덱을 짜고 싶다면 넣어볼 만하다. 텍스트상 레인보우 '''다크''' 드래곤도 서치할 수 있긴 한데 보통 한 덱에 안 넣는다.
'''수록 팩 일람'''
3.8.2. 무지개의 인력
[image]
역시나 "궁극보옥신"이라는 이름이 붙은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다크 드래곤도 소환이 가능한 카드. 어드밴스드 다크도 있으니 1장쯤 같이 넣어볼수도? 그냥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드래곤을 소환할 경우엔 4장째의 레인보우 드래곤이나 마찬가지다. 다만 역시 초반에 뽑으면 망한다.
참고로 덱에서 뽑는 경우는 문제 없지만 묘지에서 궁극보옥신을 살릴 경우 소환 조건은 무시할 수 있으나 소생 제약은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한 번이라도 정규 소환한 궁극보옥신을 뽑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냥 발동 자체가 되지 않는다.
'''수록 팩 일람'''
3.8.3. 카운터 젬
[image]
마함 존의 보옥수 카드를 활용하는 카드들과는 상성이 좋다. 다만 엔드 페이즈시에 몬스터 존이든 마함 존이든 모든 보옥수를 다 털어버리므로 주의. 게다가 "가능한 한" 때문에 묘지에 보옥수가 5장 이상이면 마함 존이 꽉 차도록 죄다 소환해버려 레어 밸류 등을 발동할 수가 없게 되니 주의. 마함 존의 보옥수를 활용하는 변종 보옥수 덱에서는 유용하다.
원작에서는 공격력 8000의 사이버 엔드 드래곤이 레인보우 다크 드래곤을 공격할 때 이 카드를 발동하고 레인보우 다크의 효과의 제물로 써서 공격력 9000을 만들었다. OCG와 다르게 발동시에 자신까지 묘지로 보냈기에 5장의 보옥을 놓을 수 있었기 때문.
'''수록 팩 일람'''
3.8.4. 라스트 리조트
[image]
필드 마법을 부르는 용도라면 상위 호환인 테라포밍이 있다. 기습적으로 필드 마법을 발동하는 함정임을 감안해도 이미 메타버스가 존재한다. 공격 선언시에 발동하는 카드치고 공격 봉쇄 효과도 없고... 비록 고대도시 루인의 2장 이상 효과를 기습적으로 발동하는 게 가능해진다고는 해도 그다지 강력한 효과는 아닌 데다 나머지 효과들은 기습적으로 발동하는 점이 거의 없어서... 그러나 그것들을 쌈싸먹고도 남는 치명적인 단점은 상대가 필드 마법을 발동시키고 있었을 경우 '''드로우를 시켜준다'''는 점이다. 쓸 이유가 없다. 상대의 필드 마법이 발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 카드로 레인보우 루인을 깔면 상대의 필드 마법을 날릴 수 있기 때문에 이런 페널티가 주어진 것으로 보이는데 마스터 룰 3 이후부터는 상대와 자신의 필드 마법이 공존하게 되었기 때문에 의미불명한 페널티가 되었다. 게다가 새로 나오는 카드군들은 대부분 좋은 필드 마법을 들고 나오기 때문에 이 페널티를 받는 일이 일상다반사일 것이다.
실용성 0인 실전 가치와는 다르게 카드명이 상징하듯 지구 반대편에 있는 달에 외로이 남아 있는 의자가 그려진 일러스트가 인상적.
'''수록 팩 일람'''
3.8.5. 젬 플래시 에너지
[image]
직접적인 연관은 없으나 보옥수덱 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카드. 일러스트도 보옥이 된 보옥수들이 암반에 박혀있는 모습이다. 하지만 마함존 하나하나가 소중한 보옥수덱에서 채용하긴 좀 껄끄러워서 짠다면 전용덱을 짜는게 좋다. 그 외에 사용하겠다면 락 번 덱에서도 고려해볼 수 있다. 보통 락 번 덱에서는 평화의 사자, 악몽의 고문실 등 지속 마법이 제법 채용되기 때문. 또는 지속 마법과 지속 함정의 조합이라는 점을 살려서 삼환마 덱에 고려해볼 수도 있다.
'''수록 팩 일람'''
4. OCG화 되지 않은 카드
4.1. 몬스터 카드
4.1.1. 어드밴스드 보옥수
공통적으로 원본이 된 몬스터로 취급하는 명칭 효과를 장착한 보옥수들. '어드밴스드'라는 명칭이 붙어 강화된 것처럼 보이지만, 기존 효과는 다른 게 없고 오히려 자괴 디메릿만 붙었다.
4.1.1.1. 어드밴스드 보옥수 루비 카번클
[image]
공격명은 '''루비 다크 블로우'''.
4.1.1.2. 어드밴스드 보옥수 사파이어 페가수스
[image]
공격명은 '''사파이어 다크 혼(Sappire Dark Horn)'''.
4.1.1.3. 어드밴스드 보옥수 앰버 맘모스
[image]
4.1.1.4. 어드밴스드 보옥수 에메랄드 터틀
[image]
4.1.1.5. 어드밴스드 보옥수 애머지스트 캣
[image]
4.1.1.6. 어드밴스드 보옥수 토파즈 타이거
[image]
4.1.1.7. 어드밴스드 보옥수 코발트 이글
[image]
공격명은 '''코발트 다크 윙(Cobalt Dark Wing)'''.
4.2. 마법 카드
4.2.1. E 포스
[image]
같은 효과를 지닌 보옥의 계약이 있는지라 OCG화되려면 무언가 더 부가효과가 붙어야 할 것이다.
4.2.2. M 포스
[image]
효과로 따지면 보옥수판 히트 하트.
4.2.3. GEM 버스트
[image]
요한이 사용한 보옥수 카드 중 유일하게 번 효과를 지닌 카드. 특정 카드들을 묘지에서 제외하고 발동한다는 조건은 딱 쥬다이의 히어로 플래시랑 똑같다.
4.2.4. 날개 곁으로
[image]
4.2.5. 보옥의 섬광
[image]
4.2.6. 무지개의 은총
[image]
4.2.7. 금과옥조
[image]
OCG화 된다면 정말 사기인 카드. 듀얼 초반이거나 모종의 이유로 마함존에 보옥수가 얼마 없을 때 2장을 긴급보충하는 용도이다. 다만 이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 된/마함존에 놓인 보옥수들은 이 카드 없이는 싸그리 없어지기 때문에 1회용이다.
4.2.8. 보옥의 샘
[image]
4.3. 함정 카드
4.3.1. G 포스
[image]
첫 등장부터 효과가 무효화되고 파괴되어서[13] 쥬다이의 라이트 저스티스 꼴 나는 거 아닌가 싶었지만 이후에도 사용했을 때는 그런 일이 없어서 안습한 신세는 면했다.
4.3.2. 보옥의 진-호박
[image]
4.3.3. 사파이어 리바이브
[image]
4.3.4. 보옥할단
[image]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2020년 2월 17일에 미션 서킷으로 풀렸다.
4.3.5. 보옥의 요새
[image]
128화에서 헬 카이저 료와의 듀얼에서 사용했던 카드. 애니메이션에서는 효과가 약간 다르게 보옥수 몬스터 x1000 공격력 미만의 몬스터는 공격을 선언할 수 없다는 효과였다. 사이버 엔드 드래곤이 튀어나오자마자 즉각 사용했지만 헬 카이저가 파워 로드로 키메라 오버/사이버 다크의 공격력을 사이버 엔드에게 몰아주면서 무효화됐다.
5. 같이 운용하면 좋은 카드
대체적으로 범용성 높은 튜너와 싱크로 몬스터, 그리고 랭크 3/4의 엑시즈 몬스터들을 어렵지 않게 사용할 수 있다.
아래에 서술된 카드들은 보옥수 덱과 특히 상성이 좋은 카드들로, '''지속 마법과 필드 마법'''에 의존하는 카드 아니면 '''사파이어 페가수스'''를 활용하는 카드가 많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심지어는 레인보우 드래곤도 활용할 카드도 약간 섞여 있다.
- 그라비 크러시 드래곤, 마그나 슬래시 드래곤
마함존에 남은 보옥수를 코스트로 특수소환 하기 용이하다. 마그나 슬래시 드래곤에 비해 능력치가 빈약하고 효과 발동 시 공격 불가 패널티도 있지만 급한 상황에서 소환하기 쉽다는 게 장점.
굳이 말할 것 없이 레인보우 네오스 소환을 위한 파츠.
보옥수들이 마함 존에 남게 되는 효과를 활용하여 보옥수 몬스터들의 평범한 공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레인보우 드래곤과 레인보우 오버 드래곤 레벨이 10을 넘는다는 점을 활용할 수 있음.
레인보우 드래곤을 패로 되돌리고 상대방의 마법과 함정을 다 파괴하고 지속마법 상태의 보옥수들이 파괴되도 레인보우 드래곤의 소환 조건은 여전히 건재해 다시 소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궁합이 좋다.
궁극보옥신 버전과 궁극보옥수 모두 공수 수치가 발동조건에 부합되므로 빠르게 서치가 된다.
알 사람은 아는 보옥수 덱의 숨겨진 '''에이스급 몬스터.'''[17] 지속 마법 3장이라는 까다로운 소환 조건이 필요하지만 마법 & 함정 존으로간 보옥수는 지속 마법 취급이므로 지속 마법 상태의 보옥수를 릴리스할 수 있다. 레인보우 드래곤 주축이 아니라면 이쪽을 위주로 운용하는것도 괜찮다.
지속 마법 3장이 필요하여 하몬과 소환 조건이 비슷하나 이쪽은 묘지로 보내지는 않는다. 하몬보다 필드유지력은 좋으나 공격력이 떨어지는게 흠이다.
레인보우 루인의 내성 덕분에 충분히 에이스로 사용할수 있다. 워낙 특수소환을 밥먹듯이 해대는 보옥수들인지라 제물 확보가 쉽고, 한번 띄우면 루인의 마/함 차단 효과덕분에 어지간한 지박신 덱보다 생존률이 높다. 가장 많이 채용되는건 에메랄드 터틀과의 콤보를 노리는 Chacu Challhua 나 함부로 제거할수 없는 Aslla Piscu.
노코스트로 소환하고 싶다면 하몬보다 좋다. 대신 혼자 놀아야 한다.
몬스터 파괴 효과가 우월하다. 거기다 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한뒤 레인보우 루인을 깔때, 보옥수가 4장 이상 있으면 2장을 드로우 할 수 있다. 단, 보옥수가 싱크로 소환과는 그렇게 시너지가 좋지 않다는 점과, 튜너를 넣어야 한다는건 좀 걸린다.
필드에 마법 카드가 있으면 공격 대상이 되지 않는다. 즉 '''필드 마법 없이 특수 소환으로 나오는 지박신'''. 직접 공격 효과도 보옥수와 매우 상성이 좋다.
덱의 축인 사파이어 페가서스가 바람 속성 레벨 4고, 코발트 이글도 바람 속성 레벨 4다. 전광천조 자체도 좋은 엑시즈 몬스터이니만큼 넣어서 나쁠거 전혀 없다.
다이아울프의 효과 발동 조건인 파괴 용도의 야수족과 비행야수족을 쉽게 마련 가능하며, 파괴되면 마함 존에 옮겨서 영혼까지 뽑아먹는 보옥수의 특성상 디메리트를 줄일 수 있다. 거기다가 보옥의 수호자가 펜듈럼 존에 세팅되어 있으면 사실상 엑시즈 소재 1개를 제거하고 상대 카드 1장 파괴라는 엄청난 성능으로 변한다.
'''사파이어 페가서스의 재활용'''. 사파이어 페가서스가 바람 속성이라 갑자기 공격력 1900의 튜너가 갑툭튀한다. 레벨 3이라 싱크로 소환으로 상술한 요정룡 고대를 쉽게 뽑을수 있다는 것도 장점.
'''사파이어 페가서스의 샐비지'''. 보옥수 신규 카드가 리크루트 수단만 잔뜩 있고 샐비지 수단이 많이 없는지라 사파이어 페가서스 세장이 모두 묘지로 가면 곤란해 질수 있는데 이때 써 볼 수 있는 카드. 공격력 감소 효과도 타점이 낮은 보옥수에겐 큰 힘이 된다.
보옥수 몬스터 특성상 파괴되면 마법/함정 존으로 옮길수 있는것을 이용해 상대가 몬스터를 소환했을 때 그것을 저지하면서 자신 필드의 보옥수 몬스터들은 마법/함정존으로 이동시켜 보옥의 계약이나 인도의 효과로 카번클을 불러내어 격류장으로 파괴된 보옥수 몬스터들을 다시 대량 전개할 수 있다. 거의 대부분의 덱에서 채용하는 카드지만 보옥수 덱에서는 단비같은 존재.
-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오드아이즈 페르소나 드래곤 + 오드아이즈 미라지 드래곤
하급 몬스터의 폭풍 전개가 쉬운 편이라 보옥수 몬스터 네장을 깔 수가 있다. 그러면 유니온 캐리어 를 소환하여, 유니온 캐리어의 효과로, 필드에 없는 보옥수를 장착 카드로 우선 소환하고, 아이:피 마스카레나를 소환한다. 그러면 다음 상대턴에 이들을 소재로 잭나이츠 파라디온 아스트람을 소환할 수 있다. 이렇게 아스트람을 소환하면 아이:피 마스카레나의 효과로 효과 파괴 내성을 얻게 된다.
[1] 몰론 이름 자체에 포함되어있지 않지만, 레인보우 오버 드래곤 때문에 궁극보옥신에 해당하는 몬스터는 룰 상 "Ultimate Crystal"로 취급한다고 에라타 먹게되었다. 그 이전에 그냥 "Rainbow Dragon" or "Rainbow Dark Dragon"처럼 일일이 썼다고 한다.[2] 단, 속성이 어둠으로 변하지는 않았다. 속성 자체는 원본과 동일하다.[3] 덱의 컨셉은 대강 페가수스로 카번클을 덱에서 끌고 오며 기회를 보다가 카벙클, 범람의 전개효과로 쫘르륵 소환시켜 한방에 보내는 방식인 듯하다. 이펙트뵐러, 증G등의 범용 패트랩을 잘 이용한 듯. 아무래도 마함존이 많이 막히는 보옥수덱의 고질 문제를 리버스 마함이 아닌 패트랩으로 해결한 것같다.[4] 단, 일본은 한국과는 달리 공인대회의 수준이 비공인 대회에 비해 낮은 편이니 어느정도 걸러서 생각해야한다.[5] 물론 승률덱을 지향한다면 레인보우 드래곤 대신 그리비티나 마그나 슬래시 드래곤을 상급 몬스터로 활용하는 덱을 주로 사용한다.[6] 보옥수 중 유일하게 인간의 말을 못한다.[7] 같은 작품에서 토메 아줌마, 하마구치 모모에, 유우키 쥬다이 어린 시절을 맡았고 전작에서 왕님의 어린시절을 맡았다.[8] 한일 전부 방해꾼 엘로와 동일 성우다.[9] 정령과 사람을 잇는 다리(架け橋)가 되는 것.[10] 다리를 놓음[유희왕_듀얼_링크스_영문판] Counter Gem으로 표시되어 나오므로 차후에 에라타되어 나올 수도 있다.[듀얼링크스] 150[11] 원문 Equip only to a "Crystal Beast" monster. When you activate this card, you can place 2 Level 3 or lower "Crystal Beast" monsters from your Deck in your Spell & Trap Card Zone, face-up, as Continuous Spell Cards. Then, you can Special Summon 1 "Crystal Beast" monster from your hand. When a "Crystal Beast" monster placed in the Spell & Trap Card Zone by this card's effect is removed from the field, destroy this card. When this card is removed from the field, destroy the monster Special Summoned by this card's effect.[12] 원문 Activate only when a "Crystal Beast" monster you control is returned from the field to the Deck. Place that card and 2 other "Crystal Beast" monsters from your Deck on top of the Deck in any order.[13] 덤으로 소환시키려 했던 코발트 이글도 패로 돌아가고 상대 카드 효과로 인해 파괴되는 안습한 모습을 보였다.[14] 원문 Activate only when a face-up "Crystal Beast Amber Mammoth" you control is attacked. It gains ATK equal to the combined ATK of all other face-up "Crystal Beast" monsters you control, until the End Phase.[15] 원문 Activate only if you control a face-up "Crystal Beast Sapphire Pegasus". Select 1 monster in your opponent's Graveyard, and Special Summon it to their side of the field. Then, you can Special Summon 1 "Crystal Beast" monster from your Graveyard with the same DEF as your opponent's Special Summoned monster.[16] 원문 All monsters your opponent controls, with an ATK equal to or less than 1000 x the number of "Crystal Beast" monsters you control, cannot declare an attack this turn.[17] 보옥수 발매 레인보우 드래곤의 부재로 당시 잡지에서 같이 운용하는 연계를 소개하기도 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