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트라 팩
유희왕의 부스터 팩의 일종.
TCG판에서 네오스의 공격부터 들어가기 시작한 월드 프리미어 카드들을 OCG판에 정식 발매하는 번외 부스터 팩. 일본 기준으로 1년에 1개꼴로 발매되며, 한국에도 정식 수입되고 있다. TCG에서도 2015년에 딱 1번,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부터 디멘션 오브 카오스까지 있었던 한/일 월드 프리미어 카드 때문에 엑스트라 팩과 같은 취지의 'World Superstars'란 팩이 발매되기도 했다.
한편 잡지 동봉 카드 등 일본에서만 나오는 카드가 일부 있어 일본과 다른 나라 간 카드 풀 차이가 생기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대체로 한국에선 프리미엄 팩에, TCG에선 정규 부스터 팩에 끼워넣는 방식으로 해결하고 있다. 듀얼 터미널에서만 얻을 수 있었던 카드를 수록했던 숨겨진 세력도 비슷한 취지의 팩.
TCG 선행 발매 카드들을 OCG 룰이 시행되는 나라에서 쓰려면 이렇게 엑스트라 팩을 통해 발매돼야 해서 이 팩의 발매는 OCG 환경에 꽤 영향을 끼치는 편이다. 한편 팩의 발매 기간 차이가 길어서 오리엔트 드래곤처럼 TCG에선 발매 당시 막 활약하다가 정작 OCG로 넘어오고 나니 이미 더 이상 활약할 수 없는 환경이 된 후여서 빛을 못 보는 카드가 생기기도 한다.
TCG쪽 이름만 존재하다가 OCG로 올 때 이름이 어떻게 번역될지도 OCG 팬들이 이 팩을 기다리는 재미 중 하나. 거의 비슷하게 정상적으로 번역된 게 있는가 하면, 매우 엉뚱한 이름으로 바뀌어 들어오는 경우가 있기도 하다. 특히 엑스트라 팩 3부터 뜬금없이 이름에 데스가 붙어서 나온 카드들이 꼭 1장씩 나타나서 3에서 Flamvell Commando가 플레임벨 '''데스'''거너가 됐고, 4에서 Scrap Archfiend가 스크랩 '''데스'''데몬이 되고, 2012에서 Tour Guide From the Underworld가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란 괴이한 이름이 돼 팬들을 당황하게 만들었다. 이렇게 데스 행진(?)이 계속되다가, 소드 오브 나이츠에서 겨우 사라졌나 했더니 기어코 나이츠 오브 오더에서 아티팩트-'''데스'''사이즈로 다시 부활했다.
보통 일러스트의 성적 묘사나 폭력, 종교 묘사 등이 TCG로 가면서 탄압되곤 하는데, 이 엑스트라 팩에선 오히려 OCG로 들어오면서 '''역탄압''' 현상이 일어나 화제가 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RAI-MEI의 가슴이 커진 것. 근데 이는 성기사 잔느의 이름 문제와 함께 TCG 선행발매 카드들도 엑스트라 팩이 나오기 한참 전부터 이름이나 OCG용 일러스트 등이 다 내정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또 다른 예는 엑스트라 팩 2015에 수록된 피안의 악귀 아리키노, 아리키노가 일러스트에 등장한 피안의 침닉이 있다. 해외로 수출할 때 탄압해야 할 이유는 있어도 일본에서 엑스트라 팩 발매 때 괜히 힘들여가면서 위 같은 역탄압 현상을 일으킬 이유가 전혀 없기 때문.[1]
카드 번호는 '''EX'''TRA '''P'''ACK '''1''' - EXP1
메인 카드는 타락천사 제라토
유명한 북미 오리지널 카드인 볼캐닉 로켓이나 여섯 무사의 사범을 시작으로 자잘한 북미 오리지널 카드들이 수록됐다. 다만 나올 당시의 시기가 시기라, 마스터 룰에 기반한 튜너나 싱크로 몬스터들은 없다.
09/09/11에 국내에 정발됐다. 특이하게 국내판도 일판을 따라 1 이너박스에 20팩을 투입했다.
카드 번호는 '''EX'''TRA '''P'''ACK '''2''' - EXP2
메인 카드는 가디언 오브 오더
EXTRA PACK 1에 이어 미국 선행 수록 카드들을 일본식으로 재수록한 팩. 빛의 원군, 오르크스, 에이린 등의 라이트로드 관련 카드가 다수 수록됐으며 그외에도 호평을 받은 바있는 카드들이 다수 수록됐다.
유명한 역탄압 현상이 일어난 것이 바로 이 팩. 라이트로드 몽크 에이린, RAI-MEI, 게이샤 도우, 라이트 배니시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09/12/01에 EXTRA PACK 2가 국내에 정발됐다.
카드 번호는 '''EX'''TRA '''P'''ACK '''3''' - EXP3
메인 카드는 "XX-세이버 가르드스트라이크"
코아키메일 관련 카드가 많은지, 일본의 한 잡지엔 "코아키메일의 부활"이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일본에서의 발매일은 2010/09/18
EXTRA PACK 2에 이어 미국 선행 수록 카드들을 일본식으로 재수록한 팩. 이번에도 장렬한 전투, 태고의 예언, 광속의 스타더스트, 절대적인 힘까지의 40종이 수록됐다.
발매 이전에 나온 게임 유희왕 태그 포스 5에도 전부 수록됐다.
10/11/19에 국내에 정발됐다. 일판이든 한국판이든 '''여섯 무의 문'''이 시크릿 레어라도 되는 것 마냥 잘 안 나왔다.
카드 번호는 '''EX'''TRA '''P'''ACK '''4''' - EXP4
메인 카드는 "XX-세이버 다크 소울", "헬 임프레스 데몬".
2011년 9월 17일 일본판 발매.
나오는 카드는 빛나는 어둠/듀얼리스트의 혁명/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스톰 오브 라그나로크에 나오는 북미판 카드들이다.
2012년 10월 13일 일본 발매. 한국에선 2013년 1월 8일에 발매.
카드 번호는 일본판은 '''E'''XTRA '''P'''ACK 20'''12''' - EP12였으나 한글판은 2013년에 나와서 12라고 하기가 좀 뭐했는지 EXP5로 바뀌었다.
메인 카드는 종언의 수호자 아드레우스와 에볼카이저 돌카, 그리고 배경에서 희미하게 보이는 '''오리컬코스의 결계'''.
익스트림 빅토리/제너레이션 포스/빛의 충격파/오더 오브 카오스의 TCG 선행발매 카드에 이들 이외의 경로로 나온 TCG 선행 카드인 여섯 무사의 그림자-시엔과 오리컬코스의 결계가 추가로 들어간다. 또 울트라 레어가 6종으로 늘어났다.
특이하게도 이번 수록 범위엔 다른 경로를 통해 미리 OCG판이 발매된 발조기뢰 태엽마인, 로스트 블루 브레이커, 알렉산드라이트 드래곤 등의 카드들이 있었는데, 이들도 안 빠지고 그대로 수록됐다. 또 수록 카드 중 하나인 페인페인터가 카드 프로텍터 동봉으로 하루 일찍 풀린 것도 있어서 카드의 수가 2장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전에 비해 OCG 완전 신규 카드의 수는 좀 적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일본에서 '''2013년 5월 18일'''에 발매된 엑스트라 팩. 전 '''52'''종. 한국에선 2013년 10월 5일에 발매. 저번 탄처럼 이번에도 한국 정발시 코드가 EP13-JP에서 EXP6-KR로 변경됐다.
커버 카드는 팩 이름이 암시하듯이 '''성기사왕 아르토리우스, 성기사 가웨인, 성기사 몰드레드'''.
TCG판과 OCG판의 차이를 확 줄였다. 기존의 4 팩 구성이었던 엑스트라 팩에서 5 팩으로 늘려 로드 오브 더 타키온 갤럭시의 TCG 선행 발매 카드까지 포함했다. 아마 엑스트라 팩 주기를 변경해 세계 대회 전까지 게임 환경을 어느 정도 통일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엑스트라 팩 2012와 마찬가지로 2장이 추가되며, 충격적인 것은 이 두 카드가 '''2012년 세계 대회 우승 상품'''의 복제품이란 것이다. 다만 듀얼에서 사용 불가능한 건 여전하다.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이 발매된 2013년임을 고려하면 블랙 매지션과 푸른 눈의 백룡의 모습을 한 2012 세계대회 우승 카드의 수록이 의미심장하다. 마침 2013년 초반부터 8월까지의 환경은 마도와 정룡, 즉 마법사와 드래곤이 게임을 제패하고 있었다.
일본에서 2014년 9월 13일, 한국에선 같은 해 12월 17일에 발매된 엑스트라 팩. 전 59종(韓),[2] 54종(日). 제품 코드는 '''E'''XTRA '''P'''ACK 20'''14'''의 EP14.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 섀도우 스펙터즈,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 프라이멀 오리진의 TCG 선행 발매 카드와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프라이멀 오리진의 한국/일본 프리미어 카드가 수록되며, 스워드 오브 나이트와 마찬가지로 2013년 우승/준우승 특전 카드인 유구의 황금도시 그란폴리스와 엔터테인먼트 히어로 피트 보스가 수록된다. 그 외에 Legendary Collection 4: Joy's World에서 발매된 푸른 화염의 검사와 해피 레이디 -봉황의 진-도 포함된다.
일본에서 2015년 9월 19일, 한국에선 201'''6'''년 1월 21일에 발매된 엑스트라 팩.[3] 전 93종(韓)[4] , 79종(日). 제품 코드는 '''E'''XTRA '''P'''ACK 20'''15'''의 EP15.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부터 크로스오버 소울즈까지의 TCG 선행 발매 카드와 한국/일본 월드 프리미어 카드가 수록됐으며, Battle Pack 3: Monster League의 신규 카드와 WCS 2014 레플리카 카드 또한 수록.
추가 수록 카드가 워낙에 많기도 하고, TCG에서 오리지널 카드군 위주로 80번대를 발매하기 시작한 분기이기도 해서, 이번 팩의 정렬 순서는 발매 팩 순서를 따르지 않고 테마 단위로 재정렬해서 발매됐다.
한국에 들어온 엑스트라 팩 2015엔 피안, 브레이즈맨, 할베르트, 사우전드 블레이드,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 열차, 해황자 등 '''당시''' 혁명적이었던 카드들이 많다. 하지만 피안을 제외하면 2015년을 한참 지나 2016년엔 이미 실용성이 떨어진 카드들 뿐.
이는 사실 선행 발매→엑스트라 팩 수록 구조 자체의 문제점으로, 월드 프리미어 수록이 많았던 이 해에 가장 부각된 측면이 있다. 그래선지 디멘션 오브 카오스를 끝으로 한/일 월드 프리미어 제도는 폐지됐다.
일본에서 2016년 9월 10일에 발매된 엑스트라 팩. 한국은 201'''7'''년 2월 3일 발매. 결국 2015처럼 또 밀렸다.
전 52종(日). 커버 카드는 Kozmo-도롯셀과 노염파괴수 도고란, 버제스토마 아노말로카리스. 다만 한판엔 한국의 월드 프리미어였던 버제스토마가 수록되지 않았기에 아노말로카리스가 커버에서 빠졌다.
TCG의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부터 샤이닝 빅토리즈 선행 발매 카드, 한/일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 디멘션 오브 카오스의 월드 프리미어 카드, WCS 2015 레플리카 카드가 수록됐다.
한국에선 버제스토마 10종을 뺀 대신,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 디멘션 오브 카오스의 일본판 월드 프리미어 카드가 전부 수록됐다. (플레시아의 충혹마, 왜성룡 플래니터 제외)
일본에서 2017년 9월 9일에 발매된 엑스트라 팩. 한국은 2017년 11월 22일 발매.
더 다크 일루전부터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까지 수록된 TCG 신규 카드들이 수록되며, 서브테러&SPYRAL 링크 몬스터가 추가됐다.
일본에서 2018년 9월 8일에 발매된 엑스트라 팩이다.
수록 카드군으로는 엑스트라 팩 2017에 이어서 TCG에서 서킷 브레이크부터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까지 나온 벤데드와 F.A.가 나온다. 또한 몇몇 엑스트라 팩 2017의 카드들도 재수록됐으며 울트라 레어였던 리벤데드 슬레이어까지 레어로 재수록됐다. OCG에선 엑스트라 시크릿 레어였던 용기사 블랙 매지션이 울트라 레어로 재수록됐다.
일본은 2019년 9월 14일, 한국은 2019년 12월 17일에 발매한 엑스트라 팩이다. 전종 70종 수록.
사이버네틱 호라이즌부터 다크 네오스톰까지의 해외판 카드와 왈큐레와 첩자 카드가 수록된 북미판 오리지널 팩 섀도우즈 인 발할라의 카드들이 수록됐다. 신규 카드군으로 미계역, 크로노다이버, 그리고 거의 20년 만에 OCG화된 지크 로이드의 왈큐레가 등장했다.
한국판에선 이 팩부터 일본 규격을 따라가면서 가격은 통 당 가격이 1000원으로 올랐고, 수록 팩 수도 1통에 15팩으로 줄었다.
일본에선 2020년 10월 3일, 한글판은 2021년 1월 12일에 발매된 팩. 발매 이래 최초로 컬렉션 팩처럼 팩 이름이 변경됐으며, 라이징 램페이지부터 이터니티 코드까지의 정규 팩 및 피스츠 오브 더 가제트와 툰 카오스의 해외 선행 발매 카드들이 수록됐다. 일본판은 본래 9월 12일에 발매 예정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때문에 10월 3일로 연기됐다.
1. 팩 설명
2. EXTRA PACK 1
2.1. 수록 카드
3. EXTRA PACK 2
3.1. 수록 카드
4. EXTRA PACK 3
4.1. 수록 카드
5. EXTRA PACK 4
5.1. 수록 카드
6. EXTRA PACK 2012
6.1. 수록 카드
7. EXTRA PACK -SWORD OF KNIGHTS-
7.1. 수록 카드
8. EXTRA PACK -KNIGHTS OF ORDER-
9. EXTRA PACK 2015
10. EXTRA PACK 2016
11. EXTRA PACK 2017
11.1. 수록 카드
12. EXTRA PACK 2018
12.1. 수록 카드
13. EXTRA PACK 2019
13.1. 수록 카드
14. WORLD PREMIERE PACK 2020
14.1. 수록 카드
1. 팩 설명
TCG판에서 네오스의 공격부터 들어가기 시작한 월드 프리미어 카드들을 OCG판에 정식 발매하는 번외 부스터 팩. 일본 기준으로 1년에 1개꼴로 발매되며, 한국에도 정식 수입되고 있다. TCG에서도 2015년에 딱 1번,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부터 디멘션 오브 카오스까지 있었던 한/일 월드 프리미어 카드 때문에 엑스트라 팩과 같은 취지의 'World Superstars'란 팩이 발매되기도 했다.
한편 잡지 동봉 카드 등 일본에서만 나오는 카드가 일부 있어 일본과 다른 나라 간 카드 풀 차이가 생기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대체로 한국에선 프리미엄 팩에, TCG에선 정규 부스터 팩에 끼워넣는 방식으로 해결하고 있다. 듀얼 터미널에서만 얻을 수 있었던 카드를 수록했던 숨겨진 세력도 비슷한 취지의 팩.
TCG 선행 발매 카드들을 OCG 룰이 시행되는 나라에서 쓰려면 이렇게 엑스트라 팩을 통해 발매돼야 해서 이 팩의 발매는 OCG 환경에 꽤 영향을 끼치는 편이다. 한편 팩의 발매 기간 차이가 길어서 오리엔트 드래곤처럼 TCG에선 발매 당시 막 활약하다가 정작 OCG로 넘어오고 나니 이미 더 이상 활약할 수 없는 환경이 된 후여서 빛을 못 보는 카드가 생기기도 한다.
TCG쪽 이름만 존재하다가 OCG로 올 때 이름이 어떻게 번역될지도 OCG 팬들이 이 팩을 기다리는 재미 중 하나. 거의 비슷하게 정상적으로 번역된 게 있는가 하면, 매우 엉뚱한 이름으로 바뀌어 들어오는 경우가 있기도 하다. 특히 엑스트라 팩 3부터 뜬금없이 이름에 데스가 붙어서 나온 카드들이 꼭 1장씩 나타나서 3에서 Flamvell Commando가 플레임벨 '''데스'''거너가 됐고, 4에서 Scrap Archfiend가 스크랩 '''데스'''데몬이 되고, 2012에서 Tour Guide From the Underworld가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란 괴이한 이름이 돼 팬들을 당황하게 만들었다. 이렇게 데스 행진(?)이 계속되다가, 소드 오브 나이츠에서 겨우 사라졌나 했더니 기어코 나이츠 오브 오더에서 아티팩트-'''데스'''사이즈로 다시 부활했다.
보통 일러스트의 성적 묘사나 폭력, 종교 묘사 등이 TCG로 가면서 탄압되곤 하는데, 이 엑스트라 팩에선 오히려 OCG로 들어오면서 '''역탄압''' 현상이 일어나 화제가 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RAI-MEI의 가슴이 커진 것. 근데 이는 성기사 잔느의 이름 문제와 함께 TCG 선행발매 카드들도 엑스트라 팩이 나오기 한참 전부터 이름이나 OCG용 일러스트 등이 다 내정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또 다른 예는 엑스트라 팩 2015에 수록된 피안의 악귀 아리키노, 아리키노가 일러스트에 등장한 피안의 침닉이 있다. 해외로 수출할 때 탄압해야 할 이유는 있어도 일본에서 엑스트라 팩 발매 때 괜히 힘들여가면서 위 같은 역탄압 현상을 일으킬 이유가 전혀 없기 때문.[1]
2. EXTRA PACK 1
카드 번호는 '''EX'''TRA '''P'''ACK '''1''' - EXP1
메인 카드는 타락천사 제라토
유명한 북미 오리지널 카드인 볼캐닉 로켓이나 여섯 무사의 사범을 시작으로 자잘한 북미 오리지널 카드들이 수록됐다. 다만 나올 당시의 시기가 시기라, 마스터 룰에 기반한 튜너나 싱크로 몬스터들은 없다.
09/09/11에 국내에 정발됐다. 특이하게 국내판도 일판을 따라 1 이너박스에 20팩을 투입했다.
2.1. 수록 카드
3. EXTRA PACK 2
카드 번호는 '''EX'''TRA '''P'''ACK '''2''' - EXP2
메인 카드는 가디언 오브 오더
EXTRA PACK 1에 이어 미국 선행 수록 카드들을 일본식으로 재수록한 팩. 빛의 원군, 오르크스, 에이린 등의 라이트로드 관련 카드가 다수 수록됐으며 그외에도 호평을 받은 바있는 카드들이 다수 수록됐다.
유명한 역탄압 현상이 일어난 것이 바로 이 팩. 라이트로드 몽크 에이린, RAI-MEI, 게이샤 도우, 라이트 배니시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09/12/01에 EXTRA PACK 2가 국내에 정발됐다.
3.1. 수록 카드
4. EXTRA PACK 3
카드 번호는 '''EX'''TRA '''P'''ACK '''3''' - EXP3
메인 카드는 "XX-세이버 가르드스트라이크"
코아키메일 관련 카드가 많은지, 일본의 한 잡지엔 "코아키메일의 부활"이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일본에서의 발매일은 2010/09/18
EXTRA PACK 2에 이어 미국 선행 수록 카드들을 일본식으로 재수록한 팩. 이번에도 장렬한 전투, 태고의 예언, 광속의 스타더스트, 절대적인 힘까지의 40종이 수록됐다.
발매 이전에 나온 게임 유희왕 태그 포스 5에도 전부 수록됐다.
10/11/19에 국내에 정발됐다. 일판이든 한국판이든 '''여섯 무의 문'''이 시크릿 레어라도 되는 것 마냥 잘 안 나왔다.
4.1. 수록 카드
5. EXTRA PACK 4
카드 번호는 '''EX'''TRA '''P'''ACK '''4''' - EXP4
메인 카드는 "XX-세이버 다크 소울", "헬 임프레스 데몬".
2011년 9월 17일 일본판 발매.
나오는 카드는 빛나는 어둠/듀얼리스트의 혁명/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스톰 오브 라그나로크에 나오는 북미판 카드들이다.
5.1. 수록 카드
6. EXTRA PACK 2012
2012년 10월 13일 일본 발매. 한국에선 2013년 1월 8일에 발매.
카드 번호는 일본판은 '''E'''XTRA '''P'''ACK 20'''12''' - EP12였으나 한글판은 2013년에 나와서 12라고 하기가 좀 뭐했는지 EXP5로 바뀌었다.
메인 카드는 종언의 수호자 아드레우스와 에볼카이저 돌카, 그리고 배경에서 희미하게 보이는 '''오리컬코스의 결계'''.
익스트림 빅토리/제너레이션 포스/빛의 충격파/오더 오브 카오스의 TCG 선행발매 카드에 이들 이외의 경로로 나온 TCG 선행 카드인 여섯 무사의 그림자-시엔과 오리컬코스의 결계가 추가로 들어간다. 또 울트라 레어가 6종으로 늘어났다.
특이하게도 이번 수록 범위엔 다른 경로를 통해 미리 OCG판이 발매된 발조기뢰 태엽마인, 로스트 블루 브레이커, 알렉산드라이트 드래곤 등의 카드들이 있었는데, 이들도 안 빠지고 그대로 수록됐다. 또 수록 카드 중 하나인 페인페인터가 카드 프로텍터 동봉으로 하루 일찍 풀린 것도 있어서 카드의 수가 2장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전에 비해 OCG 완전 신규 카드의 수는 좀 적어졌다고 할 수 있다.
6.1. 수록 카드
7. EXTRA PACK -SWORD OF KNIGHTS-
일본에서 '''2013년 5월 18일'''에 발매된 엑스트라 팩. 전 '''52'''종. 한국에선 2013년 10월 5일에 발매. 저번 탄처럼 이번에도 한국 정발시 코드가 EP13-JP에서 EXP6-KR로 변경됐다.
커버 카드는 팩 이름이 암시하듯이 '''성기사왕 아르토리우스, 성기사 가웨인, 성기사 몰드레드'''.
TCG판과 OCG판의 차이를 확 줄였다. 기존의 4 팩 구성이었던 엑스트라 팩에서 5 팩으로 늘려 로드 오브 더 타키온 갤럭시의 TCG 선행 발매 카드까지 포함했다. 아마 엑스트라 팩 주기를 변경해 세계 대회 전까지 게임 환경을 어느 정도 통일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엑스트라 팩 2012와 마찬가지로 2장이 추가되며, 충격적인 것은 이 두 카드가 '''2012년 세계 대회 우승 상품'''의 복제품이란 것이다. 다만 듀얼에서 사용 불가능한 건 여전하다.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이 발매된 2013년임을 고려하면 블랙 매지션과 푸른 눈의 백룡의 모습을 한 2012 세계대회 우승 카드의 수록이 의미심장하다. 마침 2013년 초반부터 8월까지의 환경은 마도와 정룡, 즉 마법사와 드래곤이 게임을 제패하고 있었다.
7.1. 수록 카드
8. EXTRA PACK -KNIGHTS OF ORDER-
일본에서 2014년 9월 13일, 한국에선 같은 해 12월 17일에 발매된 엑스트라 팩. 전 59종(韓),[2] 54종(日). 제품 코드는 '''E'''XTRA '''P'''ACK 20'''14'''의 EP14.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 섀도우 스펙터즈,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 프라이멀 오리진의 TCG 선행 발매 카드와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프라이멀 오리진의 한국/일본 프리미어 카드가 수록되며, 스워드 오브 나이트와 마찬가지로 2013년 우승/준우승 특전 카드인 유구의 황금도시 그란폴리스와 엔터테인먼트 히어로 피트 보스가 수록된다. 그 외에 Legendary Collection 4: Joy's World에서 발매된 푸른 화염의 검사와 해피 레이디 -봉황의 진-도 포함된다.
8.1. 수록 카드
8.1.1. 한/일 공통
8.1.2. 일본판(한국 월드 프리미어)
8.1.3. 한국판(일본 월드 프리미어)
9. EXTRA PACK 2015
일본에서 2015년 9월 19일, 한국에선 201'''6'''년 1월 21일에 발매된 엑스트라 팩.[3] 전 93종(韓)[4] , 79종(日). 제품 코드는 '''E'''XTRA '''P'''ACK 20'''15'''의 EP15.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부터 크로스오버 소울즈까지의 TCG 선행 발매 카드와 한국/일본 월드 프리미어 카드가 수록됐으며, Battle Pack 3: Monster League의 신규 카드와 WCS 2014 레플리카 카드 또한 수록.
추가 수록 카드가 워낙에 많기도 하고, TCG에서 오리지널 카드군 위주로 80번대를 발매하기 시작한 분기이기도 해서, 이번 팩의 정렬 순서는 발매 팩 순서를 따르지 않고 테마 단위로 재정렬해서 발매됐다.
한국에 들어온 엑스트라 팩 2015엔 피안, 브레이즈맨, 할베르트, 사우전드 블레이드,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 열차, 해황자 등 '''당시''' 혁명적이었던 카드들이 많다. 하지만 피안을 제외하면 2015년을 한참 지나 2016년엔 이미 실용성이 떨어진 카드들 뿐.
이는 사실 선행 발매→엑스트라 팩 수록 구조 자체의 문제점으로, 월드 프리미어 수록이 많았던 이 해에 가장 부각된 측면이 있다. 그래선지 디멘션 오브 카오스를 끝으로 한/일 월드 프리미어 제도는 폐지됐다.
9.1. 수록 카드
9.1.1. 한/일 공통
9.1.2. 일본판(한국 월드 프리미어)
9.1.3. 한국판(일본 월드 프리미어)
10. EXTRA PACK 2016
일본에서 2016년 9월 10일에 발매된 엑스트라 팩. 한국은 201'''7'''년 2월 3일 발매. 결국 2015처럼 또 밀렸다.
전 52종(日). 커버 카드는 Kozmo-도롯셀과 노염파괴수 도고란, 버제스토마 아노말로카리스. 다만 한판엔 한국의 월드 프리미어였던 버제스토마가 수록되지 않았기에 아노말로카리스가 커버에서 빠졌다.
TCG의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부터 샤이닝 빅토리즈 선행 발매 카드, 한/일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 디멘션 오브 카오스의 월드 프리미어 카드, WCS 2015 레플리카 카드가 수록됐다.
한국에선 버제스토마 10종을 뺀 대신,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 디멘션 오브 카오스의 일본판 월드 프리미어 카드가 전부 수록됐다. (플레시아의 충혹마, 왜성룡 플래니터 제외)
10.1. 수록 카드
10.1.1. 한/일 공통
10.1.2. 일본판(한국 월드 프리미어)
10.1.3. 한국판(일본 월드 프리미어)
11. EXTRA PACK 2017
일본에서 2017년 9월 9일에 발매된 엑스트라 팩. 한국은 2017년 11월 22일 발매.
더 다크 일루전부터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까지 수록된 TCG 신규 카드들이 수록되며, 서브테러&SPYRAL 링크 몬스터가 추가됐다.
11.1. 수록 카드
12. EXTRA PACK 2018
일본에서 2018년 9월 8일에 발매된 엑스트라 팩이다.
수록 카드군으로는 엑스트라 팩 2017에 이어서 TCG에서 서킷 브레이크부터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까지 나온 벤데드와 F.A.가 나온다. 또한 몇몇 엑스트라 팩 2017의 카드들도 재수록됐으며 울트라 레어였던 리벤데드 슬레이어까지 레어로 재수록됐다. OCG에선 엑스트라 시크릿 레어였던 용기사 블랙 매지션이 울트라 레어로 재수록됐다.
12.1. 수록 카드
13. EXTRA PACK 2019
일본은 2019년 9월 14일, 한국은 2019년 12월 17일에 발매한 엑스트라 팩이다. 전종 70종 수록.
사이버네틱 호라이즌부터 다크 네오스톰까지의 해외판 카드와 왈큐레와 첩자 카드가 수록된 북미판 오리지널 팩 섀도우즈 인 발할라의 카드들이 수록됐다. 신규 카드군으로 미계역, 크로노다이버, 그리고 거의 20년 만에 OCG화된 지크 로이드의 왈큐레가 등장했다.
한국판에선 이 팩부터 일본 규격을 따라가면서 가격은 통 당 가격이 1000원으로 올랐고, 수록 팩 수도 1통에 15팩으로 줄었다.
13.1. 수록 카드
14. WORLD PREMIERE PACK 2020
일본에선 2020년 10월 3일, 한글판은 2021년 1월 12일에 발매된 팩. 발매 이래 최초로 컬렉션 팩처럼 팩 이름이 변경됐으며, 라이징 램페이지부터 이터니티 코드까지의 정규 팩 및 피스츠 오브 더 가제트와 툰 카오스의 해외 선행 발매 카드들이 수록됐다. 일본판은 본래 9월 12일에 발매 예정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때문에 10월 3일로 연기됐다.
14.1. 수록 카드
[1] 구신 노덴 등 한국 월드 프리미어 제도 도입 초기 때, 한국에만 발매된 카드였음에도 공식적인 일본어 이름이 한국 공홈에 그냥 올라간 적이 있었는데, 이 설을 뒷받침한다.[2] 한국 월드 프리미어 카드 10종이 빠지고 일본 월드 프리미어 카드 15종이 수록됐다.[3] 그런데도 엑스트라 팩 '''2015'''라고 당당하게 적어놓았다.[4] 진제왕강림 재록을 이유로 크로스오버 소울즈의 제왕가신들이 빠졌다. 한편 레어도는 일본의 해당 팩 발매 당시의 레어도와 동일하게 나왔다.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에서부터 슈퍼 레어도 시크릿 레어 사양으로 나온 것도 같다. 다만 얼티밋 레어는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