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상징

 


1. 개요
2. 국호(國號)
3. 국기(國旗)
4. 국장(國章)
5. 국가(國歌)


1. 개요


이 문서는 소련상징에 대해서 다룬다.

2. 국호(國號)


'''언어별 명칭'''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d0000> '''러시아어'''
'''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СССР, Сове́тский Сою́з)'''[11]
'''라트비아어'''
'''Padomju Sociālistisko Republiku Savienība (PSRS, Padomju Savienība)'''
'''루마니아어'''
'''Униуня Републичилор советиче Сочиалисте (УРСС, Униуня Совиетикэ)'''
Uniunea Republicilor sovietice Socialiste (URSS, Uniunea Sovietică)
'''리투아니아어'''
'''Tarybų Socialistinių Respublikų Sąjunga (TSRS, Tarybų Sąjunga)'''
'''벨라루스어'''
'''Саюз Савецкіх Сацыялістычных Рэспублік (СССР, Савецкі Саюз)'''
Sajuz Savieckich Sacyjalistyčnych Respublik (SSSR, Saviecki Sajuz)
'''아르메니아어'''
'''Խորհրդային Սոցիալիստական Հանրապետությունների Միություն (ԽՍՀՄ, Խորհրդային Միություն)'''
Xorhrdayin Socʿialistakan Hanrapetutʿyunneri Miutʿyun (XSHM, Xorhrdayin Miutʿyun)
'''아제르바이잔어'''
'''Совет Сосиалист Республикалары Иттифагы (ССРИ, Совет Иттифагы)
'''Sovet Sosialist Respublikaları İttifaqı (SSRİ, Sovet İttifaqı)
'''에스토니아어'''
'''Nõukogude Sotsialistlike Vabariikide Liit (NSVL, Nõukogude Liit)'''
'''우즈베크어'''
'''Совет Социалистик Республикалари Иттифоқи (ССРИ, Совет Иттифоқи)
'''Sovet Sotsialistik Respublikalari Ittifoqi (SSRI, Sovet Ittifoqi)
'''우크라이나어'''
'''Союз Радянських Соціалістичних Республік (CPCP, Радянський Союз)'''
'''조지아어'''
'''საბჭოთა სოციალისტური რესპუბლიკების კავშირი (სსრკ, საბჭოთა კავშირი)'''
sabch’ota sotsialist’uri resp’ublik’ebis k’avshiri (ssrk', sabch’ota k’avshiri)
'''카자흐어'''
'''Кеңестік Социалистік Республикалар Одағы (КСРО, Кеңес Одағы)'''
Keńestik Sotsıalıstik Respýblıkalar Odaǵy (KSRO, Keńes Odaǵy)
'''키르기스어'''
'''Советтик Социалисттик Республикалар Союзу (ССРС, Советтер Союзу)'''
'''타지크어'''
'''Иттиҳоди Ҷумҳуриҳои Шӯравии Сосиалистӣ (ИҶШС, Иттиҳоди Шӯравӣ)'''
'''투르크멘어'''
'''Совет Социалистик Республикалары Союзы (ССРС, Совет Союзы)'''
Sowet Sotsialistik Respublikalary Soýuzy (SSRS, Sowet Soýuzy)
'''영어'''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USSR)'''
'''프랑스어'''
'''Union des Républiques Socialistes Soviétiques (URSS)'''[12]
'''한국어'''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소련)'''[13] (표준어)
'''쏘베트사회주의공화국련맹 (쏘련)'''[14] (문화어)
'''일본어'''
ソビエト社会主義共和国連邦 (ソビエト連邦 또는 ソ連)
'''중국어'''
苏维埃社会主义共和国联盟 (苏联) (간체자)
蘇維埃社會主義共和國聯盟 (蘇聯) (정체자)

한자 표기의 '소련(蘇聯)'에서, 蘇는 '소비에트'를 음차한 '소유애(蘇維埃)'의 약칭이다. 그러니까 소련은 소유애 연방('''蘇'''維埃 '''聯'''邦)의 줄임말이다. 옛 신문 등을 볼 때 정치면 등에 그냥 '蘇' 만 써있어도 그냥 소련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지금은 '구(舊) 소련'이라고 하기도 한다. 舊에는 관형사로 '지금은 없는 것' 이라는 뜻도 있다. 그런데 蘇聯이라고는 해도 蘇(蘇維埃)가 본래 외래어인 소비에트(ㅅ이 들어간 많은 외래어가 그렇듯[1] [쏘비에트]가 관용 발음이다.)를 음차한 것이다 보니 실제 발음은 [쏘련]으로 하는 사람이 많다. 마찬가지로 소 연방은 [쏘연방]으로 읽고 그밖에 소련을 의미하는 약칭 '소'가 들어간 단어마다 [쏘]로 읽는 경향이 강하다. 물론 표준 발음대로라면 '소련'은 蘇聯이라는 한자로 이미 변조된 상태이므로 한국 한자음대로 그냥 평음으로 [소련]이라고 읽는 게 맞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것을 무시한 채 외래어 발음을 염두에 두어 [쏘련]이라고 부르는 것이다.[2] 그리고 북한의 문화어로는 그냥 소유애(蘇維埃)라는 한자 음차와 무관하게 바로 쏘베트(소비에트)를 줄여 '쏘'로 기재한 것으로 취급해 대놓고 '쏘련'으로 표기한다.
우리말로는 소련도 연방, 러시아도 연방이라 부르지만 영어는 소련은 연합국(union), 러시아는 연방(federation) 으로 그 차이를 명확히 하고 있다. 주한 소련대사관에서는 자국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맹'''으로 사용하였으며 (관련 기사), 우즈베크 SSR에서 발행되던 고려인 신문 《고려일보》의 1991년 3월 논설에서도 Сою́з를 '''"련맹"'''이라고 하였다. 내용은 "련맹을 보존하자!" "련맹보존 찬성"에서 볼 수 있듯 신연방 관련 국민투표 찬성 논조.#
한편 서적이나 언론 등을 가리지 않고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라고, 연방과 공화국의 단어 순서를 바꿔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잘못된 명칭이니 쓰지 않도록 주의하자. 헷갈리지 않으려면 이렇게 이해하면 쉽다. 소련은 '(무슨무슨)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들이 뭉친 나라이므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들의) 연방'인 것이다. 즉, 연방제란 자치권을 가진 각 단위들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국가인데, 소련의 경우 이 각각의 단위들이 주(州)나 도(道)가 아니라 '공화국'이었다는 것. 따라서, 공화국의 연방체이므로 공화국 연방이다. 무엇보다도 소련의 구성국 중 하나였던 러시아의 정식 명칭이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이었음을 기억하면 착각할 일은 없을 것이다. 물론 따지고 보면 소련이라는 나라 자체도 하나의 연방제 공화국이긴 한데 국호는 자신의 구성국들의 연합체임을 명시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었으니 혼동하면 안 될 것이다.
그리고 소련 이래로 러시아에서는 '공화국'이라는 표현이 독립 국가를 가리키는 단어라고 인식되지 않고 '정치적 연합체(특히 연방)를 구성하는 단위'라는 뉘앙스로 쓰이는 경향이 강하다. 소련 자체도 공화국들의 연합체였고, 러시아를 비롯한 일부 공화국들은 다시 자기 산하에 또 공화국들을 설치했다. 그러다 보니 소련 해체 후 독립국으로 재탄생한 러시아는 '러시아 연방 공화국' 같은 국호가 아닌 '러시아 연방'이라는 국호를 사용하게 되었다. 그들의 언어 습관상 '공화국'은 독립국을 뜻하는 표현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연방에 소속된 구성 요소이니까. 마치 본래 개별 국가를 의미하는 'state'가 미국에서는 독립 국가의 의미로 쓰이는 게 아니라 연방의 구성 요소인 '주'로 해석되는 것과 유사하다. 다만 미국의 state는 남북전쟁을 거친 뒤 나라(country)라는 인식이 소멸하였지만, 구 소련과 러시아의 공화국은 여전히 '나라 안의 나라'라고 인식되는 경향이 강하다는 차이가 있다. 이런 탓인지 소련은 유엔 창설 후 산하의 15개 공화국에도 각각 외교권이 있다고 주장해 소련 자신뿐만 아니라 이들 공화국에도 모두 유엔 회원국 지위를 부여하려고 시도했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고[3] 미국과 타협해서 소련 수립 당시 최초 참여국이었던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현 우크라이나),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현 벨라루스)만 추가로 가입시키고 말았다. 이 충돌은 일단은 미소 양국이 제각기 자국에 유리한 논리를 펴느라 일어난 갈등이긴 한데, 멀리 따지고 보면 각자 내부의 state와 republic에 대해 나라로 취급할지 안 할지에 대한 관념이 달랐다는 점도 한 가지 원인이었다고 볼 수 있겠다.

3. 국기(國旗)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флаг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состоит из красного или алого полотнища, с изображением на его верхнем углу у древка золотых серпа и молота и над ними красной пятиконечной звезды, обрамленной золотой каймой. Отношение ширины к длине 1:2.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국기는 깃봉에 가까운 상부 구석에 금색의 낫과 망치, 그리고 '''금색 테두리를 두른 붉은색 별'''이 포함된 적색 혹은 홍색의 천으로 구성된다. 세로와 가로의 비율은 1:2이다.

- 1924년 헌법 제71조. 1936년 헌법과 1977헌법에도 이 조항은 거의 그대로 계승된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국기'''
'''최초 국기 (1922 ~ 1923)'''
[image]
'''1차 개정 국기 (1923 ~ 1924)'''
[image]
'''2차 개정 국기 (1924 ~ 1936)'''
[image]
'''3차 개정 국기 (1936 ~ 1955)'''
[image]
'''4차 개정 국기 (1955 ~ 1980)'''
[image]
'''최종 개정 국기 (1980 ~ 1991)'''
[image]
러시아 제국의 하양, 파랑, 빨강의 가로 3색기는 1917년의 러시아 혁명으로 폐지되었고, 이후 소비에트 연방이 결성되고 1년 뒤인 1923년, 붉은 바탕에 노란색(혹은 금색)의 낫과 망치, 오각의 별 무늬가 그려진 깃발이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다.[4] 빨강색은 사회주의와 공산 혁명을, 낫과 망치는 노동자와 농민을, 오각의 별 무늬는 "혁명을 위한 오대륙 인민들의 영웅적 투쟁"을 상징한다고 한다. 이후에는 국색(나라를 상징하는 색)에 가까운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소련 국기는 총 네 종류가 있는데, 본래 1923년 6월에 지정된 국기는 붉은 바탕에 소련의 국장(Coat of arms)을 그려넣은 형태였다가, 4개월 만인 당해 10월에 낫과 망치, 별 문양을 포함한 국기로 변경되었다. 이후 1955년 8월 망치의 손잡이와 낫의 길이가 미묘하게 바뀌어 본문 서두의 모습이 되는데, 바로 규격화된 작도법이 제정되었기 때문이다. 1980년 8월에는 뒷면의 낫과 망치를 없에고 바탕을 좀 더 밝은 색으로 칠했(색 표현이 정확하지 않은 디스플레이에서는 차이가 없이 보일 수 있음)는데, 채도가 낮은 붉은색은 조도가 조금만 어두워지면 색감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붉은 광장에 걸린 국기의 경우, 날씨가 좀 흐리기라도 하면 채도가 확 떨어져 거의 흑기로 보이는 문제가 있었다.[5] 그리고 또 중요한 변화가 있었는데, 국기의 뒷면에는 낫과 망치와 별을 그리지 않는다는 것이 그것(각 공화국 국기도 마찬가지)[6]. 사실 이것이 엄격하게 지켜지지는 않아서 뒷면에서도 낫과 망치와 별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었다.
사회주의권 국가들의 상징과도 같았던 이 국기는 1991년 소련이 해체되고 러시아 연방이 출범하면서 공식적인 자리에서 더이상 쓰이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낫과 망치를 뺀 붉은 바탕에 노란 별이 그려진 국기는 현재에도 러시아의 공식 국기에 준하는 지위를 가지며 승리의 날 행사 등에 사용되고, 소련 시절의 국기 역시 상징물로 종종 찾아볼 수 있다.[7] 예시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때에는 러시아 국기를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어서[8] 러시아 응원단이 소련 시절 국기를 들고 갔었다.#
적색 바탕에 낫과 망치 등의 상징이 담긴 형태는 그 당시에도 사회주의 혁명가들 사이에서 유서깊은 깃발이었고, 1903년에 결성된 소비에트 공산당 역시 이미 당기(黨旗)로 사용하고 있었다. 때문에 이는 소련뿐 아니라 중국, 북한 등 사회주의 국가나 옛 사회주의 국가였던 몽골, 헝가리 등에서도 체제의 상징물 혹은 국기로 사용되곤 했다. 반면 미국이나 대한민국, 자유진영 서유럽 국가 등에서는 소련이 존재했던 시절 사용이 엄격히 금지되거나 금기시된 국기이기도 하였다. 이들의 입장에서는 그 당시 '''적대관계''', '''적성국가'''의 이미지를 지녔기 때문에 정서상으로도 금지하였고 넓게는 사회주의의 상징성에서도 포함된다. 대한민국에서는 적대관계이자 친북 성향의 적성국가로 규정한 점 때문에 북한의 인공기 등과 함께 한국 내에서 사용해서는 안 되는 국기로 지정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1988 서울 올림픽 때 소련이 참가하게 되면서 대회기간 한정으로 일시적으로 사용된 적이 있었다가 1990년 한국과 소련이 외교관계를 맺으면서 이 때부터 공식 사용이 허용되었다.
하지만 소련의 압제에 시달렸던 동유럽의 여러 국가에서는 하켄크로이츠에 버금갈 정도로 취급이 좋지 못하다. 헝가리, 폴란드, 라트비아, 에스토니아리투아니아에서는 공공장소에 낫과 망치를 보이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러시아에서는 추억의 상징으로 자주 쓰이기는 하지만.
고증을 할 때 자주 범해지는 오류가 있는데, 공식 국기에 그려진 별은 금색 테두리에 붉게 칠해진 별이어야 한다. 내부가 금색으로 메워져서도 틀린 것이고, 붉은 배경과 독립적으로 사용될 때 별의 속을 비우는 것도 틀린 것이다. 하지만 아폴로-소유즈 실험 등의 우주비행사 단체 사진에서 보이는 소련 국기에서도 볼 수 있듯 공식 석상에서도 오류가 보이며, 소련 내부에서도 금색으로 메워진 별을 가진 깃발이 발견되는 등 그리 빡빡하게 지켜지지는 않았던 모양이다.
[image]
소련 국기가 가장 인상적으로 묘사된 베를린 전투 당시 사진(겸 프로파간다 이미지)에서도 ‘붉은 별’이 아니다. 이렇게 프로파간다 면에서 중요한 장면도 편집하거나 새로 촬영하지 않고 그대로 둘 정도면 소련 내에서 이 부분은 상당히 느슨하게 적용하였음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공식적으로 소련 국기는 낫과 망치 모양이 보이도록 접어야 했다. 먼저 위아래로 2등분해서 접은 뒤, 반으로 접힌 국기를 뒤집어 3등분 하고 두번 접으면 된다.
☭ 표시는 유니코드U+262D로 등록되어 있다.

4. 국장(國章)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ерб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состоит из серпа и молота на земном шаре, изображенном в лучах солнца и обрамленном колосьями, с надписью на языках союзных республик: «Пролетарии всех стран, соединяйтесь!». Наверху герба имеется пятиконечная звезд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국장은 태양빛의 형상과 "만국의 프롤레타리아여 단결하라!" 라는 제명이 연방구성 공화국의 언어로[9]

포함된 이삭이 둘러진 지구 위에 올려진 낫과 망치로 구성된다. 국장의 상부에는 5각 별이 있다.

- 1936년 헌법 12장 제143조. 1977년 헌법에도 이 조항은 그대로 계승된다.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국장(國章)'''
[image]
소련의 국장(國章)은 이삭이 전체를 감싸고 있는데 이를 붉은 리본이 묶은 형태로 되어 있다. 이삭은 농민을 상징하는데, 러시아 제국은 서유럽과 달리 농본국가였으며 초기 혁명 이론에서도 프롤레타리아농민을 말하는 단어였기 때문이다. 밑쪽 태양의 중심으로부터 지구와 붉은 별의 중심까지의 거리 비율은 1 : 1.5로 이는 태양, 지구, 화성의 실제 거리 비율(AU)에 맞춘 것이다. 보통 다른 국가의 국장이 동물 혹은 추상적인 것을 사용하는 것과 다르게, 실제적이고 과학적인 시각의 국가이념을 상징한다.
붉은 리본에는 "'''Пролетарии всех стран, соединяйтесь!'''" 표어가 연방을 이루는 각 공화국의 언어로 쓰여져 있다. 이 연방을 구성하는 각 공화국의 언어로 된 표어는 미국성조기의 별 갯수처럼, 소련에 공화국이 새로 가입하면 그 수에 맞춰졌다. 따라서 처음에는 6개로 시작했다가 가장 많았을 땐 16개까지 늘었다. 16번째 공화국은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였는데, 1956년에 이 공화국은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에 합병되어 소멸하였으니 최종적으로 15개 표어가 남게 된 것이다. 위 국장은 1956년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에 합병된 시점부터 1991년 소련 해체 시 까지 사용한 가장 마지막 형태이다.
각 공화국의 언어로 된 표어의 위치는 아래 표와 같다.
''''''

''''''
'''투르크멘어
Әхли юртларың пролетарлары, бирлешиң!'''
(애흘리 유르틀라릉 프롤레타를라르 비를레싱)

'''에스토니아어
Kõigi maade proletaarlased, ühinege!'''
(커이기 마데 프롤레타를라세드 위히네게)
'''타지크어
Пролетарҳои ҳамаи мамлакатҳо, як шавед!'''
(프롤레타르호이 하마이 맘라카트호 야크 샤베드)
'''아르메니아어
Պրոլետարներ բոլոր երկրների, միացե՛ք'''
(프롤레타르네르 볼로르 예르크르네리 미아체크)
'''라트비아어
Visu zemju proletārieši, savienojieties!'''
(비수 제뮤 프롤레타리에시 사비에노이에티에스)
'''키르기스어
Бардык өлкөлөрдүн пролетарлары, бириккиле!'''
(바르드크 욀쾰뢰르뒨 프롤레타를라르 비리킬레)
'''리투아니아어
Visų šalių proletarai, vienykitės!'''
(비수 샬류 프롤레타라이 비에니키테스)
'''몰도바어'''( = '''루마니아어''')
'''Пролетарь дин тоате цэриле, уници-вэ!'''
(프롤레타리 딘 토아테 처릴레 우니치버)
'''조지아어
პროლეტარებო ყველა ქვეყნისა, შეერთდით!'''
(프롤레타레보 크벨라 크베크니사 셰르트디트)
'''아제르바이잔어
Бүтүн өлкәләрин пролетарлары, бирләшин!'''
(뷔틴 욀캘래린 프롤레타를라르 비를래신)
'''우즈베크어
Бутун дунё пролетарлари, бирлашингиз!'''
(부툰 두니어 프롤레타를라리 비를라싱기즈)
'''카자흐어
Барлық елдердің пролетарлары, бірігіңдер!'''
(바를러크 옐데르딩 프롤레타를라러 비리깅데르)
'''우크라이나어
Пролетарі всіх країн, єднайтеся!'''
(프롤레타리 우시흐 크라인 예드나이테샤)
'''벨라루스어
Пралетарыі ўсіх краін, яднайцеся!'''
(프랄레타리 우시흐 크라인 야드나이체샤)
'''러시아어
Пролетарии всех стран, соединяйтесь!'''
(프롤레타리이 프세흐 스트란 소예디냐이테시)[10]
흔히 군기 등의 깃발에서 자주 보이므로 소련군 문장으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그리고 미국과 영국을 지도에서 의도적으로 생략했다. 낫과 망치 사이 중간 지점에 모스크바를 배치해 이런 효과가 부가적으로 발생한 것이다. 사실 따지고 보면 미국 동부가 살짝 보이긴 한다. 다시 말해 소련과 미국/영국은 이념적인 위치만 반대였던 게 아니라 지리적인 위치마저 반대였던 셈이다.
서포터와 모토, 가운데에 필드를 둔 점, 그리고 별이 크레스트 역을 하고 있으므로 문장학적으로는 전통적인 모양을 따르고 있지만, 서포터를 곡물로 두고, 필드에 방패 대신 지구본을 그려놓은 부분에선 나름대로 기존의 문장 작도법의 클리셰를 깬 국장이다. 이후 여러 사회주의 국가들이 덩달아 소련 국장의 도안을 차용하면서 오늘날에는 정형화된 문장 형태로 자리잡았다.

5. 국가(國歌)


소련의 국가(國歌)는 총 2가지가 있다.
인터내셔널가 (1922~1944) → 소련 찬가 (1944~1992)
첫 번째 국가인 '''인터내셔널가'''는 1922년부터 1944년까지 사용했다. 하지만 이 인터내셔널가는 세계 공산주의자를 위한 노래이므로, 민족주의적인 색채가 전혀 없다. 이는 스탈린주의에 위배되므로,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승기를 확고히 한 1943년 이후, 스탈린 서기장의 지시에 따라서 국가를 변경하게 되었다. 그리고 공모 끝에 두 번째 국가인 '''소련 찬가'''가 1944년에 채택되었으며, 1956년부터 가사 사용이 중단되었다가 1977년에 가사가 개정되었다.

'소비에트 연방 찬가'. 우리나라의 애국가 방송처럼 방송 개시 전후로 틀어주던 영상 중 하나이다. 프로파간다이긴 하지만 여러 인종이 나오는 점이 인상적이다. 그야말로 소련 리즈시절의 위엄을 보여준다.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 연방은 소련 찬가를 폐지하고 국가를 바꾸었다가('''애국가'''), 국가가 마음에 안 든다는 러시아 국민들의 여론에 따라 2000년 소련 찬가를 개사하여 국가로 사용하고 있다.('''러시아 연방 국가''')

[1] 그리고 한국(남한)에서 나중에 외래어 표기가 정비되면서 '소비에트'라는 철자로 정착된 것이지 과거엔 첫 음절을 표기상으로도 '쏘'로 적는 경우가 많았다.[2] 그리고 어차피 비표준 발음에서는 외래어 음차가 아닌 다른 한자어고유어도 표준 발음과 다르게 경음화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소주가 [쏘주\]로 읽히는 게 한 예.[3] 이때 미국은 '우리도 48개 국가(주) 모두 UN에 가입시키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미국의 주는 소련의 공화국과 달리 명목상으로도 외교권이 없지만 미국은 "헌법을 고치면 된다"고 맞받아쳤다.[4] 본래는 을 국기에 포함시키자는 논의도 있었지만, 노동자의 상징이 아니라는 이유로 블라디미르 레닌에 의해 기각되었다. [5] 소련은 생각보다 이 붉은색 상징물의 채도 문제로 골머리를 썩은 나라이다. 소련은 크렘린의 주요 첨탑들에도 커다란 루비 별을 설치했는데, 찬란히 붉은색으로 빛날 것이란 예상과 달리 날씨가 조금만 흐리면 붉은 별이 아니라 '검은 별'로 보이는 문제 때문에 그 위에다가 붉은색 코팅을 하는 등의 시행착오를 겪어야 했다. 그런데 지금도 햇빛이 세지 않으면 좀 거무튀튀하게 보인다. [6] 사례[7] 러시아 혁명이 일어났던 11월 7일에 공산당의 주최로 이 국기로 길거리를 행진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8] 자세한 내용은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러시아 국가대표팀 도핑 스캔들 항목 참조.[9] 1924년 헌법에서는 6개라고 명시해 놨었지만, 1936년에 새로 헌법이 쓰여지면서 삭제되었다.[10] 강세를 적용한 러시아어 발음은 [prəlʲɪˈtarʲɪɪ fsʲex ˈstran | sə(ɪ̯)ɪdʲɪˈnʲæɪ̯tʲɪsʲ\](프럴리타리이 프셰흐 스트란 서이디냬이티시)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