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목록/급수별/4급
1. 개요
한국어문회 배정 한자를 기준으로 4급에 추가되는 한자 목록이다.
쓰기한자는 5급까지다.
- 독음 뒤에 ':'이 붙으면 무조건 장음, '-'이 붙으면 장단음[1] 고급 한자가 포함된 경우 볼드처리, 굳이 외울필요가 없는 경우 취소선 처리 하였다.
2. 목록
2.1. ㄱ
2.2. ㄴ
2.3. ㄷ
2.4. ㄹ
2.5. ㅁ
2.6. ㅂ
2.7. ㅅ
2.8. ㅆ
2.9. ㅇ
2.10. ㅈ
2.11. ㅊ
2.12. ㅌ
2.13. ㅍ
2.14. ㅎ
3. 총합
총 '''250자'''
[1] 어떤 경우에서는 장음 어떤 경우에선 단음이다.[2] 휴가가 이 한자를 쓴다.[3] 간단하다는 뜻은 簡易(간:이)빼고 단음이고 나머지는 장음이다.[4] 모든 가평 간씨들이 이 한자를 쓴다. 애초에 간씨 자체는 한자가 簡 하나뿐이다.[5] '강'만 장음이다.[6] '갱'만 장음이다.[7] 경상남도 거창군이 이 한자를 쓴다.[8] 경상남도 거제시가 이 한자를 쓴다.[9] 충청남도 계룡시가 이 한자를 쓴다.[10] 대구광역시 수성구 고산동이 이 한자를 쓴다.[11] 전라북도 군산시가 이 한자를 쓴다.[12] 卷煙(궐:련)만 장음이다.[13] 卷煙이란 단어 에선 '궐'로 발음되니 주의하자.[14]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가 이 한자를 쓴다.[15]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이 이 한자를 쓴다. 애초에 풍납동이라는 명칭의 어원은 풍납토성이다.[16] 모든 단씨들이 이 한자를 쓴다.[17] '''盜跖(도:척)'''빼고 다 단음이다.[18] 성씨는 단음이고 柳京(유경), 柳眉(유미)도 단음이다. 기타는 장음.[19] 粉紅(분:홍)만 장음이다.[20] 射場(사:장), 射亭(사:정)만 장음이다.[21] 서울특별시 송파구와 경상북도 청송군이 이 한자를 쓴다.[22] 칭송하다란 뜻일때만 장음이다.[23] 평안남도 숙천군이 이 한자를 쓴다.[24] '이'만 장음이다.[25] 충청북도 괴산군 장연면, 연풍면, 황해도 연백군이 이 한자를 쓴다.[26] 영화(映畫) 관련 의미만 단음이다.[27] '''怨讎(원수)'''만 단음이고 나머지는 장음이다.[28] 대전광역시 유성구가 이 한자를 쓴다.[29] 2006년까지 경기도 의왕시가 이 한자를 썼다.[30] 인천광역시, 경기도 용인시,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수인리가 이 한자를 쓴다.[31] 대부분의 장씨들이 이 한자를 쓴다. 또한 부산광역시 기장군도 이 한자를 쓴다.[32] 地名을 뜻 할때만 단음이고 기타는 장음이다.[33] 點心(점:심)만 장음이다.[34] 占術(점술)과 관련 되면 단음, 차지한다는 뜻이면 장음[35]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이 이 한자를 쓴다.[36] 중학교 한자에는 鐘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어문회에서는 鐘을 준특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무슨 소리냐면, 한자 쓰기에선 鐘을 쓰면 틀린 것으로 보기 때문에 무조건 鍾으로 써야 한다는 것이다.[37] 친척과 관련 된 말만 장음이다.[38] '''酒酊(주:정)'''만 장음이다.[39] 전라북도 무주군이 이 한자를 쓴다.[40] 전라남도 진도군과 경상북도 울진군이 이 한자를 쓴다.[41] 경상북도 김천시, 예천군이 이 한자를 쓴다.[42] 퇴고(推敲)할 때 '퇴'로 발음된다.[43] 바늘과 관련 되면 단음, 바느질과 관련되면 장음이다.[44] 수능 탐구 영역이 이 한자를 쓴다.[45] 討伐(토벌)처럼 친다는 뜻은 단음, 討論(토:론) 같이 의견을 나누는 의미면 장음이다.[46] '''胞胎(포:태)'''만 장음이다.[47] 경기도 화성시와 강원도 화천군이 이 한자를 쓴다.[48] 環境(환:경)만 장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