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1. 역대 성적
'''FIFA 월드컵 통산 랭킹: 12위'''
'''④⑧⑧⑧⑧⑧'''
- 1990년까지 기록은 소련 기록이다.
2. 본선 진출 이전 기록
제 1회 월드컵은 1930 우루과이 월드컵이었는데 당시 러시아는 소련이란 국명으로 있었다. 소련이란 나라는 1917년 볼셰비키 혁명이 발발하면서 러시아 공화국을 타도하고 일어난 세계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였다. 다만 이 때 국가 이름은 아직까지 러시아였고 1922년 12월 30일에 '소비에트 연방' 즉, 소련으로 국호가 바뀌었다. 1회 대회가 개최되었을 당시 소련의 서기장은 바로 악명 높은 독재가 이오시프 스탈린이었다. 스탈린은 월드컵 역시 자본주의에 찌들은 것이라고 혹평하며 의도적으로 계속해서 불참했다. 그리하여 그가 1953년 7월에 사망할 때까지 소련은 계속해서 월드컵을 보이콧하였다.
그 때문에 1회 1930 우루과이 월드컵부터 5회 1954 스위스 월드컵 때까지는 모두 불참해서 기록이 없다. 소련이 월드컵에 출전한 것은 스탈린이 사망하고 그래도 서방세계에 조금은 유화적이었던 니키타 흐루쇼프가 집권한 이후부터였다. 오히려 니키타 흐루쇼프는 월드컵 출전을 적극적으로 장려하여 월드컵 무대에서 공산주의 체제 선전을 하고 오도록 했다. 니키타 흐루쇼프는 스탈린에 비해선 그래도 서방 세계에 유화적이었지만 그렇다고 대결 구도까지 접은 인물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렇듯 냉전 시대엔 스포츠 역시 제1세계 진영과 제2세계 진영 간의 전쟁이었다. 올림픽도 그러했고 월드컵도 그러했다. 그 때문에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해서라면 서로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았다.
3. 1958 스웨덴 월드컵
3.1. 조별리그 잉글랜드전 - 2 : 2 무
3.2. 조별리그 오스트리아전 - 2 : 0 승
3.3. 조별리그 브라질전 - 0 : 2 패
3.4. 8강전 스웨덴전 - 0 : 2 패
4. 1962 칠레 월드컵
4.1. 조별리그 유고슬라비아전 - 2 : 0 승
4.2. 조별리그 콜롬비아전 - 4 : 4 무
4.3. 조별리그 우루과이전 - 2 : 1 승
4.4. 8강전 칠레전 - 1 : 2 패
5. 1966 잉글랜드 월드컵
5.1. 조별리그 북한전 - 3 : 0 승
5.2. 조별리그 이탈리아전 - 1 : 0 승
5.3. 조별리그 칠레전 - 2 : 1 승
5.4. 8강전 헝가리전 - 2 : 1 승
5.5. 4강전 서독전 - 1 : 2 패
5.6. 3위 결정전 포르투갈전 - 1 : 2 패
6. 1970 멕시코 월드컵
6.1. 조별리그 멕시코전 - 0 : 0 무
6.2. 조별리그 벨기에전 - 4 : 1 승
6.3. 조별리그 엘살바도르전 - 2 : 0 승
6.4. 8강전 우루과이전 - 0 : 1 패
7. 1974 서독 월드컵 ~ 1978 아르헨티나 월드컵
8. 1982 스페인 월드컵
8.1. 조별리그 브라질전 - 1 : 2 패
8.2. 조별리그 뉴질랜드전 - 3 : 0 승
8.3. 조별리그 스코틀랜드전 - 2 : 2 무
8.4. 2라운드 조별리그 벨기에전 - 1 : 0 승
8.5. 2라운드 조별리그 폴란드전 - 0 : 0 무
9. 1986 멕시코 월드컵
9.1. 조별리그 헝가리전 - 6 : 0 승
9.2. 조별리그 프랑스전 - 1 : 1 무
9.3. 조별리그 캐나다전 - 2 : 0 승
9.4. 16강전 벨기에전 - 3 : 4 패
10. 1990 이탈리아 월드컵
10.1. 조별리그 루마니아전 - 0 : 2 패
10.2. 조별리그 아르헨티나전 - 0 : 2 패
10.3. 조별리그 카메룬전 - 4 : 0 승
11. 1994 미국 월드컵
미국과 함께 냉전의 한 축을 맡았던 소련은 결국 1991년 12월 26일에 해체되었고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은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재편되었다. FIFA는 러시아의 국가승계를 인정하여 소련 시절의 기록은 러시아가 승계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물론 러시아는 소련을 구성하는 15개 공화국 중 하나에 불과하지만 애당초 소련이란 나라가 러시아를 중심으로 해서 일어난 나라이고 소련 면적의 대부분을 러시아가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러시아 연방이 소련을 계승한 것으로 보고 소련이 갖고 있던 UN의 안보리 상임이사국 지위도 러시아가 물려받는 것으로 정해졌다. FIFA 역시 그 점을 인정하여 소련 대표팀 시절의 기록을 러시아 대표팀이 승계하도록 한 것이다.
11.1. 조별리그 브라질전 - 0 : 2 패
11.2. 조별리그 스웨덴전 - 1 : 3 패
11.3. 조별리그 카메룬전 - 6 : 1 승
12. 2002 한일 월드컵
12.1. 조별리그 튀니지전 - 2 : 0 승
12.2. 조별리그 일본전 - 0 : 1 패
12.3. 조별리그 벨기에전 - 2 : 3 패
13. 2014 브라질 월드컵
13.1. 조별리그 대한민국전 - 1 : 1 무
13.2. 조별리그 벨기에전 - 0 : 1 패
13.3. 조별리그 알제리전 - 1 : 1 무
14. 2018 러시아 월드컵
14.1. 조별리그 사우디아라비아전 - 5 : 0 승
14.2. 조별리그 이집트전 - 3 : 1 승
14.3. 조별리그 우루과이전 - 0 : 3 패
14.4. 16강전 스페인전 - 1 : 1 무(PSO 4 : 3 승)
14.5. 8강전 크로아티아전 - 2 : 2 무(PSO 3 : 4 패)
15.
세계 반 도핑 기구(WADA)에서 지난 월드컵에서 자료를 위반한 것이 들통나면서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는 출전할 수 없게 되었다. 2019년 12월 9일, 회의를 통해 만장일치로 러시아에게 4년 간 모든 국제대회 출전 금지 명령을 내렸고, 이렇게 러시아는 실격당했다.
[1] 조별예선에서 1승 1무 1패를 기록, 3무의 잉글랜드와 승점이 같아 재경기 끝에 8강에 올라갔다. 재경기도 FIFA 공식 기록에 포함.[2] 조별예선에서 북한과 같은 조였다. 북한을 3:0으로 누르고 이탈리아, 칠레도 이기면서 3승으로 8강진출.[3] 유럽 9조에서 1위를 기록해 칠레와 플레이오프를 치르기로 되어 있었지만 칠레의 좌파정권에 대해 피노체트가 피의 쿠데타를 일으킨 것에 항의하여 기권했다.[4] 소비에트 연방으로 출전했던 마지막 대회[5] 러시아로 출전한 첫 대회.[6] 소련 시절 포함 월드컵 본선에서 승리를 거두지 못한 첫 대회였다. [7] 도핑 징계로 인해 2020년부터 4년간 국제대회 참가가 금지되었다.[8] 월드컵 본선 출전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