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네르바

 



2. 인명
2.1. 실존 인물
2.2. 가상 인물
3. 기타
3.4. 유희왕 5D's에 등장한 탈것
3.6. 9S에 등장하는 유산 강탈조직
3.7. 골판지 전기 W에 등장하는 LBX
3.8.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 교양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졸업 필수 강의
3.8.1. 1학기
3.9. 마블 코믹스의 등장인물
4. 관련 문서


1. 로마 신화여신


[image]
'''Minerva'''[1]
로마 신화 속 지혜의 여신. '미네르바'라는 이름 자체가 '생각, 지혜'라는 단어에서 유래한 듯하다. 의술, 시 등등 지혜가 필요하다고 여긴 온갖 분야의 신으로 통했다. 그리스 신화와 융합된 뒤로는 아테나와 동일시했다. 자세한 것은 아테나 항목 참조.

2. 인명



2.1. 실존 인물



2.2. 가상 인물



2.2.1. 정령왕 엘퀴네스의 등장인물





2.2.2. 메이플스토리에 등장하는 여신


파파픽시의 음모에 의해 석상에 봉인, 파티 퀘스트 여신의 흔적을 통해 구출받고 보상으로 일기장 조각 하나를 준다. 그리고 이걸 '''반복한다.'''(···)
엘리쟈라는 고대동물을 애완동물로 기르고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지금은 이 여신이 봉인 되버려서 이녀석이 분노해 난장판 만들었다가,[2] 겨우 진정되어 지금은 긴 잠에 빠진 상태다. 참고로 이녀석은 여신이 하프를 연주하는 소리에 잠을 잘 자곤 했는데 특히 작은 별을 자주 들었다며 플레이어한테 연주를 부탁한다. 뭐 스토리상은 아니지만 파티퀘스트로는 여신이 구출되었으니 어쩌면 엘리쟈와 상봉할 가능성도 있겠다. 스피루나가 엘리쟈에 대한 기록을 설명하기를 매우 온화하고 조용한 성품으로 음악을 사랑했다고 한다. [3] 또, 여신의 애완동물이니만큼 지성, 지능, 지혜, 품격 모두 인간 이상을 지녔을것이라고 한다.[4]

2.2.3. 메이플스토리 DS에 등장하는 시간의 여신


이 여신도 마비노기모리안처럼 짜증난다. 모든 사건의 원흉인 루비안을 만든 여신.
궁수로 플레이할때 가장 짜증나는데. '인간의 일에 직접 개입하면 더 큰 문제가 일어난다'면서 플레이어를 스토킹하면서 심지어는 높던 궁수의 레벨을 깎아버린다![5]
게다가 최종보스전에서는 ''''인간의 원죄는 인간의 몫''''이라며 구경만 하신다. 사실 루비안 자체는 여신이 좋은 뜻으로 만들어서 준 걸 에레고스와 해치등이 멋대로 폭주한거고 거기서 생겨난게 원죄이니 그리 틀린 말도 아니지만.

2.2.4. 트랜스포머 초신 마스터포스의 등장인물



[image]
성우는 야마모토 유리코.
몽파르타라는 가상의 국가와 프랑스 혼혈 출신으로, 주일 몽파르타 대사의 딸. 헤드마스터 주니어 중 1인이며 포르쉐 959를 모티브로 한 구급차 형태의 트랜스텍터를 소유하고 있다.
친절하고 상냥하며 헌신적인 성격이지만 필요할 때에는 당황하거나 겁먹지 않는 당찬 성격의 소유자. 15세로 슈터나 캡보다 연상이기 때문에 누나 대접을 받으려는 장면도 종종 나온다.
초반에는 구조활동에는 자신있어 했지만 전투는 두려워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데스트론의 공격에 의해 한 소녀의 강아지가 죽은 것을 계기로 분노해 데스트론과 싸우게 되며 두려움도 극복해나간다.
인질로 잡힌 데스트론의 캔서를 유일하게 감싸고 옹호해 친교를 가진다. 캔서도 미네르바를 마주치면 제대로 싸우지 않으며 종전에는 빌딩 잔해에 깔린 캔서를 구출하기도 한다.[6] 초반부터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캔서를 계속 설득하여, 마지막에는 캔서가 사이버트론에 협력하게 되는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주 무장은 상대의 움직임을 1분간 마비시킬 수 있는 '''쇼크 블래스터 건'''.

2.2.5. 크라이시스 코어 파이널 판타지 7히든 보스


파이널 판타지 7의 세계관의 중요 요소인 라이프스트림을 관리하는 여신. 사바세계에 실체화했을 시 몸의 구성요소는 소환수들과 비슷한 것 같다. 과거 제노바의 침공을 계기로 탄생, 라이프스트림의 정상적인 운영을 유도하고 있는 듯하다.
크라이시스 코어에서 제네시스가 찾던 예언시 LOVELESS에 등장하는 여신. 잭스와의 최종 결전 이후 죽어가던 그의 "영웅이 되고 싶었다"는 순수한 희망을 읽고 그의 몸에서 일어나던 세포 붕괴를 멈추고 건강을 회복시켜준다. 메인 스토리에서의 역할은 이게 끝.
서브퀘스트의 히든 보스로서도 등장. 문제는 정말 토나오게 강하다는 건데, 체력부터 천만 단위인데다가 전용기인 심판의 화살이나 깡패마법 알테마를 마구 난사해댄다. 도전할 경우 만전의 준비를 갖추도록 하자. 인터네셔널판의 하드모드는 1시간동안 죽어라 회피하고 마법걸고 때리고 다시 회피하고...를 반복해야 한다. 일본판의 약한 미네르바도 공략시간이 10분은 걸린다.
[image]
그리고 투구 속에는 매우 귀엽고 로리한 얼굴이 감추어져 있었다.(…)
미네르바를 때려잡으면 "전설의 솔저", "갓 슬레이어" 등등의 먼치킨스러운 칭호를 얻는다.

3. 기타



3.1.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에 등장하는 주역 전함




3.2. 용자왕 가오가이가에 등장하는 스사노오의 국내 명칭




3.3. 소행성


93 Minerva
'''구분'''
소행성대 천체
'''지름'''
141.55±4km
'''태양기준거리'''
2.754176 천문단위(AU)
'''원일점'''
3.142568 천문단위(AU)
'''근일점'''
2.365784 천문단위(AU)
'''궤도경사각'''
8.5607275°
'''이심률'''
0.14101924
'''공전주기'''
1669.4983일(4.57년)
'''자전주기'''
5.982 시간
'''온도'''
168K 이상
'''절대등급'''
7.8
MPC 지정 번호 순 소행성(Minor Planet) 찾기
92 운디나

'''93 미네르바'''

94 아우로라
[image]
'''W. M. 켁 천문대에서 찍은 소행성 미네르바와 위성 고르고네이온, 아이기스'''
1867년 8월 24일에 발견된 C형 소행성으로 어원은 1번 문단.
2009년 8월 16일에는 3, 4km 크기의 2개의 위성이 발견되었으며 가까운 순서대로 각각 고르고네이온아이기스라는 이름으로 명명되었다.
소행성들 중에서는 비교적 구형에 가깝고 그 성질이 세레스와 비슷하다는 의혹이 있다.[7]
[clearfix]

3.4. 유희왕 5D's에 등장한 탈것


다크 시그너로 각성한 칼리 나기사가 사용했던 D휠.

3.5. 마징가Z에 나오는 미네르바X


해당 항목 참고. 진 마징가 ZERO에 나오는 미네르바X는 미네르바 X(진 마징가 ZERO) 문서 참고.

3.6. 9S에 등장하는 유산 강탈조직


9S 문서의 설정 문단 참고.

3.7. 골판지 전기 W에 등장하는 LBX


하나사키 란LBX로, 야마노 쥰이치로디텍터와의 싸움을 대비하기 위해 특별히 제작하였다. 이름답게 여성형 LBX로 판도라의 계열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다. 둥글고 큰 귀와 시원하게 뻗은 팔다리가 특징이다. 무기는 너클. 동시기에 만들어진 주인공 3인의 LBX답게 특수모드도 탑재. 온몸에 불꽃을 일게 하여 점프력과 공격력을 올린 버닝모드다.
시그마 오비스로 합체시에는 방패와 총으로 변형한다... 그런데 이게 깔끔하게 변형하는 것이 아니라 상체와 하체가 적당히 분리된 형국이라 곰곰히 생각해보면 깨나 끔찍하다. 36화에서 우주전 사양으로 개조했다. 미젤편 들어서는 은근히 안습한 모습을 보이더니 최종화에서 미젤오레기온에게 파괴된다. 안습.
여담으로 4기 엔딩에서는 아킬레스 D9과 플래그를 세웠다!

3.8.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 교양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졸업 필수 강의


정식 명칭은 '미네르바 인문강좌'. 기존의 글쓰기를 대체하는 과목이다. 1학기와 2학기로 나누어져 개설되어 있으며, 14학번 이후 입학자 기준 두 강좌를 모두 수강하지 않을 경우 졸업이 불가능하다.[8] 기존 글쓰기 과목은 2학점이었으나, 미네르바인문강좌는 두 개 모두 3학점씩, 총 6학점을 수강하도록 되어 있다. 모든 외대생들의 적. 13년에 글쓰기를 듣지 않고 군대나 휴학을 하고 복학한 고학번들은 눈물을 펑펑 쏟고 있다고 한다.

3.8.1. 1학기


1학기에는 미네르바인문강좌 : 인간과문명 이라는 이름으로 과목이 개설된다. 철학과 미학에 관련된 내용이 많이 나오지만 대학생으로서 알아야 할 기초적인 교양상식에 대해 배우는 것이기 때문에 평소에 철학과 담을 쌓고 지낸 게 아니라면 이전에 들어본 내용은 아니더라도 수업 내용이 이해가 되지 않을 수준은 아니다.
주로 다루는 내용은 미학과 철학에 관련된 내용들인데, 뒤로 갈수록 현대에 가까워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스 시대의 경우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행복론’에서 탁월성과 중용의 원리, 아리스토텔레스의 미메시스론, 랑케 & 크로체 & 카의 역사를 보는 관점, 칼 마르크스의 유물론적 역사관, 포스트모던 역사학에서 이야기하는 '언어로의 전환', 니체의 『비극의 탄생』,[9], 발터 벤야민이 이야기하는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작품, 아서 단토가 이야기한 『예술의 종말』, 프로이트의 『토템과 타부』, 엘리아데의 『성과 속』,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후쿠자와 유키치의 『학문의 권장』(또는 권유), 『탈아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10]

3.9. 마블 코믹스의 등장인물


마블 코믹스의 등장인물로 이름은 닥터 미네르바. 영화 캡틴 마블에 등장하는 미네-르바의 원작 캐릭터이기도 하다.

4. 관련 문서


[1] 영미식 발음으로는 '미너바'[2] 분신을 만들어서 그 분신들이 난리를 일으킨거다. 사실 마음씨는 착하며 눈망울만 봐도 초롱초롱한게 나쁜짓을 저지를 녀석은 아닌듯 하다.[3] 취소선을 쳤지만 살짝은 맞는 얘기다. 본인도 음악을 들으며 잠드는것만큼 즐거운것이 없다고 했다.[4] 대화를 들어보면 느껴진다.[5] 사실 그렇게 할 수 밖에 없었다. 루비안과 접촉한 자들(해치, 리네스, 에레고스)의 경우를 생각해 보라. 당장 전사도 각성한 루비안을 가지고 있자 흑화할 조짐을 보였다. 초반의 그 성질머리 그대로 루비안과 접촉했다간 또 폭주할게 뻔하고 그렇다고 궁수는 루비안을 노래하는 자인지라 계획에서 뺄 수도 없었다.[6] 슈터와 캡은 왜 구출하려 하냐며 비아냥거렸지만 진라이의 명령에 마지못해 캔서를 구출하는데 도움을 준다.[7] http://cosmicdiary.org/fmarchis/2011/10/07/the-secrets-of-asteroid-minerva-and-its-two-moons/[8] 14학번 이전 입학자들의 경우, 1학기나 2학기 중 아무 강의나 1개를 수강하면 졸업요건이 완성된다. 14년도를 기준으로 학점배분표가 한 번 더 개정되었기 때문.[9] 시험 문제로는 이를 통해 이야기하려고 한 예술이란 어떤 것인가 라는 질문이 나온다. 아폴론적 질서와 디오니소스적 질서에 입각하여 비교 서술하면 되는 문제[10] 교수의 성향에 따라 중점을 두고 가르치는 부분이 다르기도 하지만 같은 교재를 사용하므로 배우는 내용은 대동소이한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