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다람
[clearfix]
1. 개요
게임의 이야기도 영화나 소설처럼 재밌고 흥미로운 게 많다는 점 알고계셨나요?
흥미롭고 재밌는 게임스토리 혹은 감동스럽고 여운이 남는 게임스토리 등
여러가지 장르의 종합 게임스토리를 다루는 채널, 온다람입니다 :)
게임스토리만 다루는 것이 아닌 게임의 장단점과 게임의 정보를 스토리 설명 후 리뷰하니 게임스토리도 보시고 게임에 대해서도 알아가주시면 좋겠습니다!
저와 함께 매력적인 게임스토리의 세계로 같이 빠져볼까요?[7]
게임&게임스토리 리뷰채널. 2019년 7월 7일 날 유튜브에 가입하였고, 2019년 7월 14일 날에 첫 영상을 올렸다.게임스토리 읽어주는 리뷰, 온다람입니다[8]
나긋나긋한 나레이션과 깔끔한 편집, 공포게임을 리뷰 할 때에는 갑툭튀 표시까지 친절하게 표시하는 세심함에 무서운 것을 못보는 사람들에게도 인기가 많다.
2. 컨텐츠
게임&게임스토리 리뷰 채널이라고 소개하는대로 여러가지 게임을 하며, 게임의 스토리를 알려주고 게임이 끝나면 게임의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하는 채널이다.
업로드 기간은 화요일, 목요일, 금요일 아님 화요일, 금요일에 올라오며, 저녁 9시~10시 사이에 올라온다.[9]
옛날에는 드립과 농담 등을 섞어 게임을 리뷰했었는데 요즘엔 리뷰에만 충실하다.
3. 닉네임 유래
닉네임을 온다람으로 짓게 된 이유는 이전에 5~6개 정도의 채널을 여러가지 하였으며, 채널마다의 공통점은 동물 이름이 들어가서 이번 채널엔 다람쥐를 넣어 만들기로 하였으며 채널 만들기 당시에 유튜버 람다람을 좋아하여 이름 맨 끝에 '람'을 넣어 만들기로 하였다. 처음엔 닉네임을 온도람으로 지으려고 하였지만 발음하기 이상하고 자신의 영상 분위기과 안 맞다고 생각하여 온다람으로 지었다고 한다.
4. 오너캐
오너캐는 인간 남자 캐릭터이며, 갈색 파마머리에 흑안,도토리 귀걸이, 연보라 후드티와 청바지, 흰 운동화를 착용하고있다.
5. 팬애칭
팬애칭은 '다람단'으로 투표를 통하여 정해진 애칭이다. 온다람 자신이 생각한 팬애칭이라고 한다. 참고로 다람단 캐릭터는 다람쥐이며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나오는 숯 검댕이들 처럼 작고 동글동글하게 생겼으며 모티브일 것이다.
6. 여담
- 올리는 게임 상당수가 공포게임인데, Q&A에서 공포게임을 좋아하고 잘 한다고 밝혔다. 공포영화도 잘 본다고 한다.
- 아웃트로 노래는 kanic clasio - burning on feat. rosendale/Soulero & Ahxello - Hanging On (ft. Aloma Steele)/Martell - Take Me Home ft. Johnning 음악을 자주 사용한다.
- 2020년 2월 23일, 온다람이 '웬즈데이' 펀딩 소식을 소개해 후원이 이틀 만에 200%를 달성했다며 GamBridzy에서 온다람에게 감사 인사를 전했다. #
- 이과이며 공대생이고, 군필이다.
- 영상의 나레이션은 문장구조가 엉망진창인 비문이 아주 많다. 무슨 말을 하고 싶은 건지 알아듣기는 쉽지만, 당연한 듯이 문법을 파괴하는 것이 거의 토미노 요시유키 수준(...).[10] 때문에 문자가 많은 게임이든 문자가 적은 게임이든 나레이션이 오히려 스토리 이해에 거슬릴때도 있을정도라서 스토리정리가 되는게 아니라 플레이시 녹음한 영상을 고쳐서 올려둔 수준이다.[11]
- B형이다.
- mbti는 INFP, 잔다르크 형이다.
- 가장 좋아하는 음식은 닭강정과 호떡으로, 치킨 중에서는 bhc 후라이드(뼈있는 것)를 좋아한다고 한다. 민트초코도 좋아한다고 했다. 콜라는 코카콜라파인 듯 하다.
- 애니메이션 중에서는 짱구는 못말려를, 게임 중에서는 헤일로 시리즈를 가장 좋아한다. 아이돌 중에서는 레드벨벳의 슬기를 좋아한다.
- 시청하고 있는다른 유튜버들은 마뫄, 수탉(인터넷 방송인), GCL, 지존조세, 메탈킴, 양아지, 주다사, 선바, 덕양소, 더빙레이디, 플레임TV, 아뽀키, 청원이, 연두(인터넷 방송인), 연두부(인터넷 방송인), 악녀(인터넷 방송인), 강지, 김일오15KIM, 방앗간 비둘기, 망개, 풍월량, 에틀릭 Etlic, 강차, 소련여자, 표림, 코브, 탬탬버린, 듀리의 스팀게임 라디오, G식백과, 블레이드위버, 이라온 등이 있다.
- 2020년 3월 10일 처음으로 최초공개 기능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최근 투표를 한 결과 최초공개 기능은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 4월 24일 자신이 만들었던 쯔꾸르 게임을 리뷰했다(...) #
- 비흡연자이다.
- 2020년 5월 18일 구독자 10만명을 돌파하였다.
- 7월 25일에 구독자 10만명 돌파 이벤트로 온다람 팬아트 공모전을 열었으며 8월 8일 날에 커뮤니티로 당첨자를 발표하였다.
- 리뷰 스타일은 차분한 편이지만 드립력도 의외로 상당하다. Q&A 영상이나 니드 포 스피드: 히트 1분 요약 영상을 보면 인터넷 밈을 상당히 잘 쓴다.
- 원래 니드 포 스피드: 히트를 리뷰하려 했으나 게임과 스토리가 달라 리뷰 영상을 따로 만들기 보다 인상깊게 플레이한 플래시 게임 We Become What We Behold를 대신 리뷰하고 니드 포 스피드: 히트는 영상 끝에 1분으로 내용을 요약했다.
- 여러 해석이 있는 유메닛키 게임에 대해서 여러 설을 복합적으로 다뤄 해석했다. 자세한 것은 유메닛키 항목 참고.
- 거의 모든 댓글에 하트를 달아주고 답글도 잘 달아준다. 피드백도 영상에 바로바로 반영되는 편이라 이 점을 호평하는 구독자들이 많다.
- 실기와 수능 후 대학 면접을 앞둔 구독자를 응원한 댓글을 보면 면접을 보고 대학에 입학한 듯 하다.
7. 리뷰한 게임 목록
가나다 순 정렬, 공포게임에는 ★ 표시.
- _Dive★
- ABZÛ
- ARAYA★
- DARQ★
- DEADLIGHT
- DEEMO
- Gnarled Hag
- GO HOME★
- Green Hell★
- GRIS
- Ib★
- I am Bread★
- Journey
- LIMBO★
- Lucius★
- MAD RAT DEAD
- Mutant Year Zero: Road to Eden
- neversong
- NO STRAIGHT ROADS
- Observer★
- Ori 시리즈
- Precipice★
- SCP-087: Recovered Document★
- Shady Part Of Me
- Siren Head★
- SLENDER: THE ARRIVAL★
- SUPERHOT★
- To the Moon
- un pas fragile[12]
- We Become What We Behold
- We Went Back
- Wrong Floor
- 거짓말쟁이 공주와 눈 먼 왕자
- 괴이증후군★
- 그들은 숨쉰다[13]
- 그림자복도★
- 나의 운동
- 내 친구 페드로
- 너의 장난감
- 니드 포 스피드: 히트[14]
- 더 라스트 가디언
- 더 라스트 오브 어스 시리즈
- 더 롱 다크 - 에피소드별로 나뉘어 3개의 영상이 업로드되었다.
- 더 미싱
- 더 벙커
- 더 컴플렉스
- 더하우스★
- 덕 시즌★
- 데드 라이징 시리즈 1~4편
- 도넛 카운티
- 두근두근 문예부!★
- 드레드아웃★
- 디스 워 오브 마인
- 디스트레인트 1, 2편★
- 딜리버 어스 더 문
- 라이즈: 선 오브 롬
- 라이프 이즈 스트레인지 시리즈
- 레이어스 오브 피어 1 ★
- 레이지 인 피스
- 레프트 얼론★
- 렘넌트: 프롬 디 애쉬즈
- 로스트 플래닛: 익스트림 컨디션
- 루이너
- 리마더드: 토멘티드 파더스★
- 리틀 나이트메어★
- 리틀 미스포춘
- 리틀 호프★
- 매드파더★
- 머더 하우스★
- 모태솔로(데모)
- 미노리아
- 미스터 홉스
- 바이오하자드 시리즈★
- 반교 -Detention-★
- 배틀필드 시리즈
- 배틀필드 1: 진흙과 피를 뚫고
- 배틀필드 하드라인
- 배틀필드 V 에피소드 4 - 최후의 티거 전차
- 불리
- 블레어 위치[15] ★
- 비사지★[16]
- 비욘드 아이즈
- 상담★
- 슈퍼리미널
- 슈퍼미트보이
- 스커의 하녀★
- 스탠리 패러블
- 스펙 옵스: 더 라인
- Spooky's Jump Scare Mansion★
- 시즌 애프터 폴
- 신의 지하실
- 아이 엠 얼라이브
- 아이리스 폴
- 아이작
- 암이라는 이름의 용
- 앨런 웨이크★
- 앨리스: 매드니스 리턴즈★
- 야근사건★
- 어 숏 하이크
- 어둠 속의 나나
- 어몽 더 슬립★
- 어쌔신 크리드: 발할라
- 언틸 던★
- 언포기빙
- 에밀리는 놀고싶어 시리즈★
- 여피 사이코★
- 와치독 시리즈
- 완다와 거상
- 웬즈데이
- 오카에리
- 요마와리: 떠도는 밤
- 우리에 대한 나의 기억
- 유메닛키
- 이누나키 터널 - 일본의 도시전설 이누나키 터널을 원작으로 만들어진 공포 게임.★
- 이은날 시리즈★
- 이은 날: 해질녘 속 나란히 달려가는 전차★
- 이은 날: 속삭이는 장난감의 집★
- 이은 날: 쇼와에서 부르는 소리★
- 이은날 3★
- 이은날 1, 2★
- 인사이드
- 인형가게★
- 캐서린 클래식★
- 컵헤드
- 케인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크라이시스 시리즈
- 클레아
- 타이탄폴 2
- 타임아웃
- 판다: 반복되는 남자[17] ★
- 팔미라 보육원★
- 팬티 파티
- 팻 듀드 시뮬레이터
- 프란체스카★
- 프로토타입
- 플로렌스
- 헤일로 시리즈
- 헤비 레인
- 헬테이커
- 헬블레이드: 세누아의 희생
- 홍콩실록★
[1] Q&A 영상 질문 중 '형은 남자야 여자야?'라는 질문에 '누나라고 불러'라고 답하여 그때부터 누나라고 하는 사람이 많이 생겼다.[2] 2020년 4월 11일, 유튜브 커뮤니티를 통하여 샌드박스에 소속되었음을 알렸다.[3] 2021.02.16 기준.[4] 2021.02.16 기준.[5] 서브채널이며 2020년 9월 9일에 만들었다.[6] 트위치 채널이 있지만 아직 활동하는 상태는 아니다.[7] 유튜브 정보란에 써져있는 말.[8] 게임이 끝난 후의 멘트[9] 하지만 늦게 올리는 경우가 꽤 있다. 아무래도 혼자서 영상 찍고 녹음에 편집까지 하기에 늦으면 11시 쯤에 영상이 올라오기도 한다.[10] 다만 이 사람의 경우, 작품에서 어떤 의미를 항상 띄고 그 의도를 직설적으로 전하는것이 아니라 어느정도 생각의 여지나 해석하려는 의지를 이끌어내려는 것이지 온다람처럼 해설자체를 해야하거나 이해를 도우려는 의도임에도 엉망진창이진 않다.[11] 덤으로 나레이션 자체가 심하게 주관적이라 게임안의 주인공 시점이 아닌수준인 것이 많아서 스토리 몰입에도 난감할때가 있다[12] 한국어 발음으로 엉 파즈 프레즐, 프랑스어로 '불확실한 첫 걸음'을 의미한다.[13] 해석에 따라 공포게임으로 분류되기도 한다.[14] 원래 리뷰를 하려 했으나 스토리가 너무 재미 없어서(...) We Become What We Behold를 대신 리뷰한 후, 리뷰 영상의 끝에 스토리를 1분으로 요약했다.[15] 동명의 영화를 원작으로 2019년에 만들어진 게임이다.[16] 챕터 1(루시의 챕터) 플레이.[17] 온다람이 고등학생 시절에 직접 만든 rpg 게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