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외국

 


목차 [ 펼치기 · 접기 ]
1. 아메리카
2. 유럽
3. 아프리카
4. 아시아
5. 오세아니아
6. 세계 여러 국가에 있는 정당



1. 아메리카



1.1. 미국





1.1.1. 푸에르토리코




1.1.2.




1.1.3. 북마리아나 제도




1.1.4.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1.2. 캐나다





1.3. 베네수엘라




1.4. 브라질




1.5. 멕시코




1.6. 과테말라




1.7. 니카라과




1.8. 쿠바




1.9. 그레나다




2. 유럽



2.1. 스웨덴




2.2. 영국



[image]'''영국 의회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2.2.1. 북아일랜드


현재 북아일랜드 정부는 아일랜드, 영국, 북아일랜드 정당이 협의하여 만든 벨파스트 협정에 의해 다시 만들어졌으며 아일랜드와 영국의 공동통치 비슷한 성격을 갖고 있다.
북아일랜드의 정당은 벨파스트 협정에 따라 연합주의자(U), 민족주의자(N), 기타(O) 중 하나에 속해야 한다. 리더도 벨파스트 협정에 따라 총리(First Minister)와 부총리(Deputy First Minister)로 두 명이다. 연합주의자가 다수이고 민족주의자가 소수이기 때문에 총리는 연합주의자진영에서 부총리는 민족주의자 진영에서 나온다. 이러한 체제는 벨기에의 연방정부 구성과 비슷하긴 하지만 벨기에는 리더가 1명이고 북아일랜드는 두명이라는 큰 차이점이 있다.
두명의 리더를 둔 이유는 북아일랜드 분쟁의 원인 중 하나인 특정세력의 권력집중과 그로 인해 나오는 차별과 갈등 때문이다.
그래서 벨기에 연방정부보다 무정부 기간이 훨씬 길다.

2.3. 아일랜드





2.4. 독일


[image] '''독일 의회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주의회 목록'''}}}
}}}
<^|1><color=#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주의회(Landtag)'''
'''NRW''']]
'''NI''']]
'''RLP''']]
'''MV''']]
'''BW''']]
'''BY''']]
'''BE''']]
'''BB''']]
'''HB''']]
'''SH''']]
'''SL''']]
'''SN''']]
'''ST''']]
'''TH''']]
'''HH''']]
'''HE''']]



2.5. 프랑스




원내에 정당이 많은 편이다. 현 프랑스 의회인 15대 제5공화국 국민의회에는 11개의 정당이 원내에 있다. 정당은 아니지만 성향분류라는 것도 존재하는데 5개의 분류가 원내에 존재한다. 5 분류와 11개의 정당을 합치면 16개의 진영이 원내에 있는 셈이다.
그래서 유럽의회 처럼 뜻이 비슷한 의원들이 모여 교섭단체를 구성한다. 교섭단체는 하원의 경우 정당이나 정당이나 성향과 관계없이 15석 이상을 가지면 구성할 수 있다.

2.6. 모나코



유럽의 정당과 선거/모나코

2.7. 네덜란드





2.8. 벨기에


[image]'''벨기에 의회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벨기에의 정당은 연방제 개헌 이후 네덜란드어권 아니면 프랑스어권으로 찢어져 있는 상태다. 그나마 브뤼셀 거주자가 두 진영 중 하나를 선택해서 투표를 할 수 있지만, 나머지 지역에서는 불가능 하다.
PVDA/PTB가 양쪽 진영에 있어서 전국 정당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현 체제가 A아니면 B인 연방제이기 때문에 (창당자와 현 대표 모두 플란데런 사람인 점을 들어) 플란데런의 정당으로 봐야한다는 견해도 있다. 아래에 있는 정당들은 원내 주요 정당들이며, 벨기에에는 많은 원외 정당들이 있다.
  • 네덜란드어권 정당
    • 극좌: PVDA(벨기에 노동당)
    • 우파(중도우파 포함): Open VLD(열린 플람스 자민당), CD&V(기독교 민주당과 플람스)
    • 좌파(중도좌파 포함): sp.a(다른 사회당), Groen(녹색당)
    • 민족주의 정당(중도우파~극우): N-VA(신 플람스 연대), 플람스의 이익

  • 프랑스어권 정당
    • 극좌: PTB(벨기에 노동당)
    • 중도: cdh(인문 민주 중도당)
    • 우파(중도우파 포함): MR(개혁운동)
    • 좌파(중도좌파 포함): PS(사회당), ecolo(생태당)
    • 지역주의 정당: DéFI


2.9. 룩셈부르크




2.10. 아이슬란드




2.11. 리히텐슈타인




2.12. 노르웨이




2.13. 몰타




2.14. 이탈리아




2.15. 스페인





2.16. 그리스




2.17. 키프로스




2.17.1.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




2.18. 오스트리아




2.19. 체코





2.20. 슬로바키아




2.21. 크로아티아




2.22. 폴란드




2.23. 러시아





2.24. 우크라이나




2.25. 포르투갈




2.26. 핀란드




2.26.1. 올란드 제도




2.27. 헝가리




2.28. 유럽의회




2.29. 세르비아




2.30. 안도라




2.31. 루마니아




2.32. 몰도바




2.32.1. 트란스니스트리아




2.33. 덴마크




2.33.1. 그린란드




2.33.2. 페로 제도




2.34. 벨라루스




2.35. 산마리노




2.36. 스위스





2.37. 에스토니아




2.38. 라트비아




2.39. 리투아니아




2.40. 불가리아




2.4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42. 몬테네그로




2.43. 알바니아




2.44. 코소보




3. 아프리카



3.1. 모로코




3.2. 튀니지




3.3. 남아공




3.4. 세이셸




4. 아시아



4.1. 일본




4.2. 대만





4.3. 중국




4.3.1. 홍콩




4.3.2. 마카오




4.4. 북한




4.5. 몽골




4.6. 인도




4.7. 파키스탄




4.8. 네팔




4.9. 부탄





4.10. 미얀마




4.11. 필리핀





4.12. 말레이시아




4.13. 싱가포르




4.14. 레바논



  • 헤즈볼라 - 몇몇국가에서는 테러조직으로 찍혀있다.

4.15. 팔레스타인




4.16. 이스라엘




4.17. 조지아




4.18. 아르메니아




4.18.1. 아르차흐 공화국



※아르차흐 공화국은 국제 사회에서 승인받지 못한 미승인국이며 국제법적으로 아제르바이잔의 영토로 인식되고 있으나, 아르차흐 공화국과 아르메니아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아르메니아의 하위에 분류하였다.

4.19. 터키




4.20. 인도네시아




4.21. 라오스




4.22. 캄보디아




4.23. 베트남




4.24. 방글라데시




4.25. 동티모르




4.26. 몰디브




4.27. 카자흐스탄




4.28. 우즈베키스탄




4.29. 키르기스스탄




5. 오세아니아



5.1. 호주





5.2. 뉴질랜드




5.3. 파푸아뉴기니




5.4. 피지




5.5. 사모아




5.6. 키리바시




5.7. 통가




6. 세계 여러 국가에 있는 정당


나라마다 이름이나 성격이 약간씩 다를 수 있다. 하지만 대체로 비슷한 가치를 지향하는 정당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