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유강 생물 목록
1. 개요
2. 원수아강(Prototheria)
3. 수형아강(Theriiformes)
3.1. †이수하강(Allotheria)
3.2. 홀로테리아(Holotheria)
3.3. 트레키노테리아(Trechnotheria)
3.4. 클라도테리아(Cladotheria)
3.5. 자테리아(Zatheria)
3.5.1. 수아강(Theria)
1. 개요
포유강(포유류, Mammalia)은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척삭동물이다. 트라이아스기에 단궁류에서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 포유류는 백악기에 단공류, 유대류, 태반류가 분화하였으나 당시에는 겨우 18속에 불과했다. 하지만 공룡이 멸종하고 팔레오세가 되자 급속도로 다양성을 증가시켰고 그 수가 100속에 이르렀다. 에오세가 시작될 무렵에는 포유류의 모든 목이 나타났다.
전통적으로 포유강은 원수아강(알을 낳는 포유류)과 수아강(새끼를 낳는 포유류)으로 나뉜다. 원수아강은 단공목(생식기관과 배설기관이 이어진 원수류)으로 구성되고, 수형아강은 유대하강(육아낭이 있는 수형류)과 태반하강(완전한 태반이 있는 수형류)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존의 분류체계는 멸종된 동물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1997년 맥케나와 벨(McKenna & Bell)에 의해 만들어진 새로운 포유류 분류체계에서는 수아강 및 근연 고생물을 포함하는 상위 분류군으로 수형아강이 제안됐다. 이를 참고하여 본 문서에서는 포유강을 원수아강과 수형아강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2. 원수아강(Prototheria)
알을 낳는 포유류
- 단공목(단공류)(Monotremata)
- †스테로포돈과(Steropodontidae)
- †스테로포돈(Steropodon)
- †스테로포돈 갈마니(Steropodon galmani)
- †스테로포돈(Steropodon)
- 오리너구리과(Ornithorhynchidae)
- 가시두더지과(가시두더지)(Tachyglossidae)
- †스테로포돈과(Steropodontidae)
3. 수형아강(Theriiformes)
수아강(새끼를 낳는 포유류) 및 근연 고생물을 포함하는 분류군
3.1. †이수하강(Allotheria)
- †다구치목(Multituberculata)
- 키몰로돈하목(Cimolodonta)
- 플라기아울락스하목(Plagiaulacida)
- †삼돌기치목(Eutriconodonta)
3.2. 홀로테리아(Holotheria)
- †고비코노돈목(Gobiconodonta)
3.3. 트레키노테리아(Trechnotheria)
- †대칭목(Symmetrodonta)
- †장헤오테리움과(Zhangheotheriidae)
- †장헤오테리움(Zhangheotherium)
- †장헤오테리움 퀸퀘쿠스피덴스(Zhangheotherium quinquecuspidens)
- †장헤오테리움(Zhangheotherium)
- †장헤오테리움과(Zhangheotheriidae)
3.4. 클라도테리아(Cladotheria)
- †드리올레스테스상목(Dryolestoidea)
3.5. 자테리아(Zatheria)
- 트리보스페니다(Tribosphenida)
- †에오마이아(Eomaia)
- †에오마이아 스칸소리아(Eomaia scansoria)
- †에오마이아(Eomaia)
3.5.1. 수아강(Theria)
- 후수하강(Metatheria)
- †시노델피스[9]
- †시노델피스 스잘라이(Sinodelphys szalayi)
- 유대형류(Marsupialiformes)
- †스타고돈과(Stagodontidae)
- †디델포돈(Didelphodon)
- †디델포돈 보락스(Didelphodon vorax)
- †디델포돈(Didelphodon)
- †스타고돈과(Stagodontidae)
- †스파라소돈목(Sparassodonta)
- †시노델피스[9]
- 진수하강(Eutheria)
- †쥐라마이아(Juramaia)[10]
- †쥐라마이아 시넨시스(Juramaia sinensis)
- †잘람브달레스테스과(Zalambdalestidae)
- †잘람브달레스테스(Zalambdalestes)
- †잘람브달레스테스 레케이(Zalambdalestes lechei)
- †키몰레스테스목(Cimolesta)
- †팔라이오릭테스과(Palaeoryctidae)
- †팔라이오릭테스(Palaeoryctes)
- †팔라이오릭테스 푸에르켄시스(Palaeoryctes puercensis)
- †결치아목(Tillodontia)
- †에스토닉스과(Esthonychidae)
- †트로고수스아과(Trogosinae)
- †트로고수스(Trogosus)
- †트로고수스 카스토리덴스(Trogosus castoridens)
- †대치아목(Taeniodontia)
- †스틸리노돈과(Stylinodontidae)
- †스틸리노돈(Stylinodon)
- †스틸리노돈 미루스(Stylinodon mirus)
- †렙틱티스목(Leptictida)
- †프세우도린코키온과(Pseudorhyncocyonidae)
- †렙틱티디움(Leptictidium)
- †렙틱티디움 아우데리엔스(Leptictidium auderiense)
- †렙틱티디움(Leptictidium)
- †프세우도린코키온과(Pseudorhyncocyonidae)
- †쥐라마이아(Juramaia)[10]
- 유대하강(유대류)(Marsupialia): 아래 목록 참조
- 태반하강(태반류)(Placentalia): 아래 목록 참조
3.6. 유대하강(유대류)(Marsupialia)[11]
육아낭이 있는 포유류
3.6.1. 아메리카유대상목(Ameridelphia)
- 주머니쥐목(어포섬)(Didelphimorphia)[12][13]
- 주머니쥐과
- 주머니쥐아과(Didelphinae)
- 주머니쥐속(Didelphis)
- 검은귀주머니쥐(커먼어포섬)(Didelphis marsupialis)
- 흰귀주머니쥐(Didelphis albiventris)
- 버지니아주머니쥐(북아메리카주머니쥐)(Didelphis virginiana)
- 주머니쥐속(Didelphis)
- 주머니쥐아과(Didelphinae)
- 주머니쥐과
- 새도둑주머니쥐목(슈루어포섬)(Paucituberculata)
- 새도둑주머니쥐과(Caenolestidae)
- 새도둑주머니쥐속(Caenolestes)
- 검은새도둑주머니쥐(Caenolestes fuliginosus)
- 회색새도둑주머니쥐(Caenolestes caniventer)
- 새도둑주머니쥐속(Caenolestes)
- 새도둑주머니쥐과(Caenolestidae)
3.6.2. 오스트레일리아유대상목(Australidelphia)
- 칠레주머니쥐목(Microbiotheria)
- 칠레주머니쥐과(Microbiotheriidae)
- 드로미키오프스속(Dromiciops)
- 모니또 델 몬토(Dromiciops gliroides)
- 드로미키오프스속(Dromiciops)
- 칠레주머니쥐과(Microbiotheriidae)
- 캥거루목(쌍절치목)(Diprotodontia)
- 웜뱃아목(Vombatiformes)
- 캥거루아목(Macropodiformes)
- 사향쥐캥거루과(Hypsiprymnodontidae)
- 쥐캥거루과(Potoroidae)[15]
- 캥거루과(캥거루)[21]
- †스테누루스아과(Sthenurinae)
- †프로콥토돈(자이언트캥거루)(Procoptodon)
- †프로콥토돈 골리아(Procoptodon goliah)
- †프로콥토돈(자이언트캥거루)(Procoptodon)
- 캥거루아과(Macropodinae)
- 캥거루속(Macropus)
- 회색캥거루아속(Macropus)
- 붉은캥거루아속(Osphranter)
- 왈라비아속(Notamacropus)
- 왈라비아속(늪왈라비)(Wallabia)
- 쿼카속(Setonix)
- 쿼카(쿼카왈라비)(Setonix brachyurus)
- 덤불왈라비속(숲왈라비)
- 바위왈라비속
- 붓꼬리바위왈라비(작은귀바위왈라비)(Petrogale penicillata)
- 나무타기캥거루속(Dendrolagus)
- 검은나무타기캥거루(Dendrolagus ursinus)
- 굿펠로우나무타기캥거루(Dendrolagus goodfellowi)
- 도르콥시스속(Dorcopsis)
- 검은도르콥시스(Dorcopsis atrata)
- 캥거루속(Macropus)
- †스테누루스아과(Sthenurinae)
- 쿠스쿠스아목(포섬)(Phalangeriformes)[22]
- 쿠스쿠스상과(Phalangeroidea)
- 쿠스쿠스과(쿠스쿠스)(Phalangeridae)
- 쿠스쿠스속(Phalanger)
- 북부쿠스쿠스(북부회색쿠스쿠스)(Phalanger orientalis)
- 남부쿠스쿠스(남부회색쿠스쿠스)(Phalanger mimicus)
- 땅쿠스쿠스(Phalanger gymnotis)
- 주머니여우속(붓꼬리포섬, 솔꼬리포섬)(Trichosurus)
- 주머니여우(Trichosurus vulpecula)
- 곰쿠스쿠스속(Ailurops)
- 술라웨시곰쿠스쿠스(Ailurops ursinus)
- 난쟁이쿠스쿠스속(Strigocuscus)
- 술라웨시난쟁이쿠스쿠스(Strigocuscus celebensis)
- 얼룩쿠스쿠스속(Spilocuscus)
- 얼룩쿠스쿠스(흰쿠스쿠스)(Spilocuscus maculatus)
- 쿠스쿠스속(Phalanger)
- 꼬마주머니쥐과(Burramyidae)
- 반지꼬리주머니쥐과
- 반지꼬리주머니쥐아과(Pseudocheirinae)
- 반지꼬리주머니쥐속(링테일포섬)(Pseudocheirus)
- 반지꼬리주머니쥐(Pseudocheirus peregrinus)
- 반지꼬리주머니쥐속(링테일포섬)(Pseudocheirus)
- 여우원숭이반지꼬리주머니쥐아과(Hemibelideinae)
- 여우원숭이반지꼬리주머니쥐속(레무로이드링테일포섬)(Hemibelideus)
- 여우원숭이반지꼬리주머니쥐(Hemibelideus lemuroides)
- 주머니날다람쥐속(그레이터글라이더)(Petauroides)
- 주머니날다람쥐(Petauroides volans)
- 여우원숭이반지꼬리주머니쥐속(레무로이드링테일포섬)(Hemibelideus)
- 반지꼬리주머니쥐아과(Pseudocheirinae)
- 쿠스쿠스과(쿠스쿠스)(Phalangeridae)
- 주머니하늘다람쥐상과(Petauroidea)
- 주머니하늘다람쥐과(Petauridae)
- 주머니하늘다람쥐속(Petaurus)
- 큰유대하늘다람쥐(플러피글라이더)(Petaurus australis)
- 유대하늘다람쥐(슈가글라이더)(Petaurus breviceps)
- 비악유대하늘다람쥐(블랙글라이더)(Petaurus biacensis)
- 마호가니유대하늘다람쥐(마호가니글라이더)(Petaurus gracilis)
- 다람쥐유대하늘다람쥐(스퀴럴글라이더)(Petaurus norfolcensis)
- 트리오크속(트리오크)(Dactylopsila)
- 줄무늬주머니쥐(Dactylopsila trivirgata)
- 리드비터주머니쥐속(리드비터포섬)(Gymnobelideus)
- 리드비터주머니쥐(Gymnobelideus leadbeateri)
- 주머니하늘다람쥐속(Petaurus)
- 꿀주머니과(Tarsipedidae)
- 꿀주머니쥐속(허니포섬)(Tarsipes)
- 꿀주머니쥐(Tarsipes rostratus)
- 꿀주머니쥐속(허니포섬)(Tarsipes)
- 깃털꼬리주머니쥐과(Acrobatidae)
- 깃꼬리유대하늘다람쥐속(피터테일글라이더)(Acrobates)
- 깃꼬리유대하늘다람쥐(Acrobates pygmaeus)
- 깃꼬리유대하늘다람쥐속(피터테일글라이더)(Acrobates)
- 주머니하늘다람쥐과(Petauridae)
- 쿠스쿠스상과(Phalangeroidea)
- 주머니두더지목(Notoryctemorphia)[23]
- 주머니두더지과(Notoryctidae)
- 주머니두더지속(Notoryctes)
- 남부주머니두더지(Notoryctes typhlops)
- 북부주머니두더지(Notoryctes caurinus)
- 주머니두더지속(Notoryctes)
- 주머니두더지과(Notoryctidae)
- 주머니고양이목(Dasyuromorphia)
- †주머니늑대과(Thylacinidae)
- †님바키누스(Nimbacinus)
- †님바키누스 딕소니(Nimbacinus dicksoni)
- †주머니늑대속(주머니늑대)(Thylacinus)
- †틸라키누스 포텐스(Thylacinus potens)
- †태즈메이니아아주머니늑대(Thylacinus cynocephalus)
- †님바키누스(Nimbacinus)
- 주머니고양이과(Dasyuridae)
- 주머니고양이아과(Dasyurinae)
- 주머니고양이족(Dasyurini)
- 쿠올속(Dasyurus)
- 동부쿠올(동부주머니고양이)(Dasyurus viverrinus)
- 서부쿠올(서부주머니고양이)(Dasyurus geoffroii)
- 호랑이쿠올(호랑이주머니고양이)(Dasyurus maculatus)
- 스펙클주머니고양이속(얼룩주머니고양이)(Neophascogale)
- 스펙클주머니고양이(Neophascogale lorentzii)
- 태즈메이니데빌속(태즈메이니아주머니너구리)(Sarcophilus)
- 태즈메이니아데빌(Sarcophilus harrisii)
- 주머니땃쥐속(Phascolosorex)
- 좁은줄무늬주머니땃쥐(Phascolosorex dorsalis)
- 코와리속(Dasyuroides)
- 코와리(Dasyuroides byrnei)
- 디블러속(Parantechinus)
- 디블러(Parantechinus apicalis)
- 쿠올속(Dasyurus)
- 파스코갈레족(Phascogalini)
- 주머니고양이족(Dasyurini)
- 두나트아과(Sminthopsinae)
- 주머니고양이아과(Dasyurinae)
- 주머니개미핥기과(Myrmecobiidae)
- †주머니늑대과(Thylacinidae)
- 반디쿠트목(Peramelemorphia)
- 빌비과(긴귀반디쿠트)(Thylacomyidae)
- 빌비속(Macrotis)
- 큰빌비(Perameles lagotis)
- 빌비속(Macrotis)
- †돼지발반디쿠트과(Chaeropodidae)
- †돼지발반디쿠트속(Chaeropus)
- †돼지발반디쿠트(Chaeropus ecaudatus)
- †돼지발반디쿠트속(Chaeropus)
- 반디쿠트과(반디쿠트)(Peramelidae)
- 반디쿠트아과(Peramelinae)
- 긴코반디쿠트속(Perameles)
- 동부막대무늬반디쿠트(Perameles gunnii)
- 긴코반디쿠트속(Perameles)
- 반디쿠트아과(Peramelinae)
- 빌비과(긴귀반디쿠트)(Thylacomyidae)
3.7. 태반하강(태반류)(Placentalia)[24]
태반하강(태반류, Placentalia)란 완전한 태반이 있는 포유류를 말한다. 분자유전학적 유전자 염기서열분석에 의하여 빈치상목(이빨이 완전치 못한 태반류), 아프로테리아상목(아프리카에서 기원한 태반류), 로라시아상목(로라시아 대륙에서 기원한 태반류), 영장상목(영장류를 포함하는 태반류)으로 나뉜다.
이들 4가지 상목을 자매군끼리 묶기도 한다. 대서양원류(Atlantogenata)는 빈치상목과 아프로테리아상목으로 구성된다. 백악기에 대서양을 사이에 두고 아프리카의 아프로테리아상목과 남아메리카의 빈치상목으로 분리되었다. 북방진수류(Boreoeutheria)는 로라시아상목과 영장상목으로 구성된다. 로라시아(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를 포함하는 대륙)에서 서식하던 동물들로서 백악기에 로라시아상목과 영장상목으로 분리되었다.
3.7.1. 빈치상목(빈치류)(Xenarthra)
이가 없거나 불완전한 태반류
- 유모목(Pilosa)
- 개미핥기아목(개미핥기)(Vermilingua)
- 나무늘보아목(Folivora)[27]
- 메가테리움상과(Megatherioidea)
- 밀로돈상과(Mylodontoidea)
- †스켈리도테리옵스과(땅늘보)(Scelidotheriidae)
- †스켈리도테리움(Scelidotherium)
- †스켈리도테리움 렙토켑할룸(Scelidotherium leptocephalum)
- †스켈리도테리움(Scelidotherium)
- †밀로돈과(땅늘보)(Mylodontidae)
- †밀로돈(Mylodon)
- †밀로돈 다르비니(Mylodon darwinii)
- †밀로돈(Mylodon)
- 두발가락나무늘보과(나무늘보)(Choloepodidae)
- 두발가락나무늘보속(Choloepus)
- 호프만두발가락나무늘보(Choloepus hoffmanni)
- 남부두발가락나무늘보(린네두발가락나무늘보)(Choloepus didactylus)[26]
- 두발가락나무늘보속(Choloepus)
- †스켈리도테리옵스과(땅늘보)(Scelidotheriidae)
- 피갑목(아르마딜로)(Cingulata)
- †팜파테리움과(Pampatheriidae)
- †팜파테리움(Pampatherium)
- †팜파테리움 티품(Pampatherium typum)
- †팜파테리움(Pampatherium)
- 아홉띠아르마딜로과(Dasypodidae)
- 요정아르마딜로과(Chlamyphoridae)
- 여섯띠아르마딜로아과(Euphractinae)
- 요정아르마딜로아과(Chlamyphorinae)
- †글립토돈아과(글립토돈트)(Glyptodontinae)
- 세띠아르마딜로아과(Tolypeutinae)
- †팜파테리움과(Pampatheriidae)
3.7.2. 아프로테리아상목(Afrotheria)
유전자 염기서열분석에 의해 묶인 분류군으로 형태학적인 공통점은 없다.
3.7.2.1. 아프리카호충류(Afroinsectiphilia)
관치목은 과거 빈치류에 속해 있었으나 이빨이 관 모양으로 붙어 있기 때문에 현재는 관치목으로 별도 분류되고 있다. 코끼리땃쥐목과 아프리카땃쥐목은 아프리카식충류(Afroinsectivora)로 묶기도 하는데, 과거 식충목(Insectivora)에 속해 있었다. 하지만 유전자 염기서열분석에 의하여 관치목의 자매군이라는 게 밝혀졌기 때문에 현재는 관치목과 함께 아프리카호충류(Afroinsectiphilia)로 분류되고 있다.
- 관치목(Tubulidentata)[31]
- 코끼리땃쥐목(Macroscelidea)[32]
- 코끼리땃쥐과(코끼리땃쥐, 센지)(Macroscelididae)
- 코끼리땃쥐속(Elephantulus)
- 짧은코코끼리땃쥐(Elephantulus brachyrhynchus)
- 케이프코끼리땃쥐(Elephantulus edwardii)
- 부시벨트코끼리땃쥐(Elephantulus intufi)
- 서부바위코끼리땃쥐(Elephantulus rupestris)
- 동부바위코끼리땃쥐(Elephantulus myurus)
- 북아프리카코끼리땃쥐(Elephantulus rozeti)
- 붉은코끼리땃쥐(Elephantulus rufescens)
- 작은귀코끼리땃쥐속(Macroscelides)
- 작은귀코끼리땃쥐(Macroscelides proboscideus)
- 큰코코끼리땃쥐속(Rhynchocyon)
- 검붉은코끼리땃쥐(Rhynchocyon petersi)
- 체크무늬코끼리땃쥐(Rhynchocyon cirnei)
- 네발가락코끼리땃쥐속(Petrodromus)
- 네발가락코끼리땃쥐(Petrodromus tetradactylus)
- 코끼리땃쥐속(Elephantulus)
- 코끼리땃쥐과(코끼리땃쥐, 센지)(Macroscelididae)
- 아프리카땃쥐목(Afrosoricida)[33]
- 황금두더지아목(Chrysochloridea)
- 텐렉아목(Tenrecomorpha)
- 텐렉과(텐렉, 고슴도치붙이)(Tenrecidae)
- 텐렉아과(Tenrecinae)
- 큰귀텐렉아과
- 큰귀텐렉속(Geogale)
- 큰귀텐렉(Geogale aurita)
- 큰귀텐렉속(Geogale)
- 쌀텐렉아과
- 수달뒤쥐아과(Potamogalinae)
- 텐렉과(텐렉, 고슴도치붙이)(Tenrecidae)
3.7.2.2. 근제류(Paenungulata)[34]
근제류는 유제류에 가깝다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으로서 이 분류군에 속한 동물들은 발굽이 있기 때문에 과거 유제류(Ungulate)로 분류되어 있었다. 하지만 유전자 염기서열분석에 의하여 아프로테리아상목에 속한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에 현재는 근제류로 따로 분류되고 있다. 이들 중에서 바위너구리목을 제외한 중각목, 장비목, 바다소목을 테티스수류(Tethytheria)라고도 한다. 테티스 해에 서식했던 공통조상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 †오케페이아과(Ocepeiidae)
- 오케페이아(Ocepeia)
- 오케페이아 다오우이엔시스(Ocepeia daouiensis)
- 오케페이아(Ocepeia)
3.7.2.2.1. 바위너구리목(Hyracoidea)
- 바위너구리과(바위너구리)(Procaviidae)
- 바위너구리속(Procavia)
- 케이프바위너구리(Procavia capensis)[35]
- 노랑반점바위너구리속(Heterohyrax)
- 노랑반점바위너구리(Heterohyrax brucei)
- 나무타기너구리속(Dendrohyrax)
- 남부나무타기너구리(Dendrohyrax arboreus)
- 서부나무타기너구리(Dendrohyrax dorsalis)
- 바위너구리속(Procavia)
3.7.2.2.2. †중각목(Embrithopoda)
- 아르시노이테리움과(Arsinoitheriidae)
- 아르시노이테리움(Arsinoitherium)
- 아르시노이테리움 지텔리(Arsinoitherium zitteli)
- 아르시노이테리움(Arsinoitherium)
- 팔라이오아마시아과(Palaeoamasiidae)
3.7.2.2.3. 장비목(Proboscidea)
- †모에리테리움과(Moeritheriidae)
- 모에리테리움(시조코끼리)(Moeritherium)
- 모에리테리움 리온시(Moeritherium lyonsi)
- 모에리테리움(시조코끼리)(Moeritherium)
- †원시코끼리아목(Plesielephantiformes)
- 데이노테리움과(Deinotheriidae)
- 데이노테리움(Deinotherium)
- 데이노테리움 기간테움(Deinotherium giganteum)
- 데이노테리움(Deinotherium)
- 데이노테리움과(Deinotheriidae)
- 코끼리아목(Elephantiformes)
- †팔라이오마스토돈과(Palaeomastodontidae)
- †팔라이오마스토돈(Palaeomastodon)
- †팔라이오마스토돈 베아드넬리(Palaeomastodon beadnelli)
- †팔라이오마스토돈(Palaeomastodon)
- †피오미아과(Phiomiidae)
- †피오미아(Phiomia)
- †피오미아 세르리덴스(Phiomia serridens)
- †피오미아(Phiomia)
- 엘레판티모르파(Elephantimorpha)
- †마스토돈과(Mammutidae)
- †마스토돈(맘무트)(Mammut)
- †맘무트 아메리카눔(Mammut americanum)
- †마스토돈(맘무트)(Mammut)
- 엘레판티다(Elephantida)
- †곰포테리움과(Gomphotheriidae)
- †아메벨로돈과(Amebelodontidae)
- 코끼리상과(Elephantoidea)
- †스테고돈과(Stegodontidae)
- 스테고돈(Stegodon)
- 스테고돈 가네사(Stegodon ganesha)
- 스테고돈 즈단스키이(Stegodon zdanskyi)
- 스테고돈 손다아리(Stegodon sondaari)
- 스테고돈(Stegodon)
- 코끼리과(코끼리)(Elephantidae)[39]
- 스테고테트라벨로돈아과(Stegotetrabelodontinae)
- †스테고테트라벨로돈(Stegotetrabelodon)
- 스테고테트라벨로돈 시르티쿠스(Stegotetrabelodon syrticus)
- †스테고테트라벨로돈(Stegotetrabelodon)
- 코끼리아과(Elephantinae)
- 아프리카코끼리족(Loxodontini)
- 아시아코끼리족(Elephantini)
- 스테고테트라벨로돈아과(Stegotetrabelodontinae)
- †스테고돈과(Stegodontidae)
- †마스토돈과(Mammutidae)
- †팔라이오마스토돈과(Palaeomastodontidae)
3.7.2.2.4. 바다소목(해우목)(Sirenia)
- †프로라스토무스과(Prorastomidae)
- 듀공과(Dugongidae)
- 매너티과(Trichechidae)
3.7.3. 로라시아상목(Laurasiatheria)
유전자 염기서열분석에 의해 묶인 분류군으로 형태학적인 공통점은 없다.
3.7.3.1. 진무맹장목(Eulipotyphla)[41]
고슴도치목(Erinaceomorpha) + 땃쥐목(Soricomorpha)
- 고슴도치과(Erinaceidae)
- 고슴도치아과(고슴도치/헤지호그)(Erinaceinae)
- 털고슴도치아과(털고슴도치/김누라)(Galericinae)
- 땃쥐과
- 두더지과
- 솔레노돈과
- 솔레노돈(대롱니쥐)
3.7.3.2. 박쥐목(익수목 Chiroptera)[44]
- †이카로닉테리스
- 큰박쥐아목
- 작은박쥐아목
3.7.3.3. 유린목(Pholidota)
- 천산갑과
3.7.3.4. †육치목(전식육목 Creodonta)
3.7.3.5. 식육목(Carnivora) ●
식육목 생물 목록
3.7.3.6. 진유제류(Euungulata)[46][47]
- 메소니키아류/중조수목(Mesonychia) =무육치류(Acreodi)
- †메리디운굴라타(Meridiungulata) =남제류/오제류
- 남제목(Notoungulata)
- 휘수목(Astrapotheria)
- 활거목(Litopterna)
- 피로테리움과(Pyrotheria)
- †속주목(Desmostylia)
3.7.3.6.1. 말목(기제목)(Perissodactyla) ●
- 메삭소니아(Mesaxonia)
3.7.3.6.2. 고래소목(경우제목)(Cetartiodactyla)[51] ●
- 파락소니아(Paraxonia)
- †메소닉스목(메소니키드)(Mesonychia)[52]
- †메소닉스과(Mesonychidae)
- †메소닉스(Mesonyx)
- †메소닉스 오브투시덴스(Mesonyx obtusidens)
- †시노닉스(Sinonyx)
- †메소닉스(Mesonyx)
- †메소닉스과(Mesonychidae)
- 고래소목(경우제목)(Cetartiodactyla)
- †메소닉스목(메소니키드)(Mesonychia)[52]
3.7.4. 영장상목(Euarchontoglires)
3.7.4.1. 설치목(Rodentia) ●
설치목 생물 목록
3.7.4.2. 토끼목(중치목 Lagomorpha)
- 우는토끼과
- 토끼과(Leporidae)
- 아마미검은멧토끼속(Pentalagus)
- 아마미검은멧토끼(Pentalagus furnessi)
- 강토끼속(Bunolagus)
- 강토끼(Bunolagus monticularis)
- 줄무늬토끼속(Nesolagus)
- 수마트라줄무늬토끼(Nesolagus netscheri)
- 안남줄무늬토끼(Nesolagus timminsi)
- 멕시코토끼속(Romerolagus)
- 멕시코토끼(Romerolagus diazi)
- 피그미토끼속(Brachylagus)
- 피그미토끼(Brachylagus idahoensis)
- 솜꼬리토끼속(Sylvilagus)
- 브라질토끼아속(Tapeti)
- 늪토끼(Sylvilagus aquaticus)
- 브라질토끼(Sylvilagus brasiliensis)
- 다이스솜꼬리토끼(Sylvilagus dicei)
- 오밀테메솜꼬리토끼(Sylvilagus insonus)
- 습지토끼(Sylvilagus palustris)
- 베네수엘라저지대토끼(Sylvilagus varynaensis)
- 솜꼬리토끼아속(Sylvilagus)
- 사막솜꼬리토끼(Sylvilagus audubonii)
- 만자노산솜꼬리토끼(Sylvilagus cognatus)
- 멕시코솜꼬리토끼(Sylvilagus cunicularis)
- 동부솜꼬리토끼(Sylvilagus floridanus)
- 트레스마리아스토끼(Sylvilagus graysoni)
- 산솜꼬리토끼(Sylvilagus nuttallii)
- 애팔래치아솜꼬리토끼(Sylvilagus obscurus)
- 데이비스산맥토끼(Sylvilagus robustus)
- 뉴잉글랜드솜꼬리토끼(Sylvilagus transitionalis)
- 브러시토끼아속(Microlagus)
- 브러시토끼(Sylvilagus bachmani)
- 산호세브러시토끼(Sylvilagus mansuetus)
- 브라질토끼아속(Tapeti)
- 굴토끼속(Oryctolagus)
- 굴토끼(Oryctolagus cuniculus)
- 분뇨로토끼속(Poelagus)
- 분뇨로토끼(Poelagus marjorita)
- 붉은바위토끼속(Pronolagus)
- 나탈붉은바위토끼(Pronolagus crassicaudatus)
- 제임슨붉은바위토끼(Pronolagus randensis)
- 스미스붉은바위토끼(Pronolagus rupestris)
- 휴이트붉은바위토끼(Pronolagus saundersiae)
- 아삼털토끼속(Caprolagus)
- 아삼털토끼(Caprolagus hispidus)
- 산토끼속(Lepus)
- 영양잭토끼아속(Macrotolagus)
- 영양잭토끼(Lepus alleni)
- 눈덧신토끼아속(Poecilolagus)
- 눈덧신토끼(Lepus americanus)
- 산토끼아속(Lepus)
- 북극토끼(Lepus arcticus)
- 알래스카토끼(Lepus othus)
- 고산토끼(Lepus timidus)
- 멧토끼아속(Proeulagus)
- 캘리포니아멧토끼(Lepus californicus)
- Lepus callotis
- 케이프멧토끼(Lepus capensis)
- 테우안테펙잭토끼(Lepus flavigularis)
- 아메리카검은멧토끼 또는 검은잭토끼(Lepus insularis)
- Lepus saxatilis
- 사막멧토끼(Lepus tibetanus)
- 톨라이멧토끼(Lepus tolai)
- Eulagos아속
- 빗자루토끼(Lepus castrovieoi)
- 윈난멧토끼(Lepus comus)
- 멧토끼 (Lepus coreanus)
- 코르시카멧토끼(Lepus corsicanus)
- 숲멧토끼(Lepus europaeus)
- 그라나다멧토끼(Lepus granatensis)
- 만주토끼(Lepus mandschuricus)
- 양털멧토끼(Lepus oiostolus)
- 에티오피아고원멧토끼(Lepus starcki)
- 흰꼬리잭토끼(Lepus townsendii)
- 사바나멧토끼아속(Sabanalagus)
- 에티오피아멧토끼(Lepus fagani)
- 아프리카사바나멧토끼(Lepus microtis)
- 인도멧토끼아속(Indolagus)
- 하이난멧토끼(Lepus hainanus)
- 인도멧토끼(Lepus nigricollis)
- 버마멧토끼(Lepus peguensis)
- 중국멧토끼아속(Sinolagus)
- 중국멧토끼(Lepus sinensis)
- 야르칸드멧토끼아속(Tarimolagus)
- 야르칸드멧토끼(Lepus yarkandensis)
- incertae sedis
- 일본멧토끼(Lepus brachyurus)
- 아비시니아멧토끼(Lepus habessinicus)
- 영양잭토끼아속(Macrotolagus)
- 아마미검은멧토끼속(Pentalagus)
3.7.4.3. 나무땃쥐목(Scandentia)
3.7.4.4. 날원숭이목(피익목 Dermoptera)
- 날원숭이과
3.7.4.5. †플레시아다피스목(Plesiadapiformes)
3.7.4.6. 영장목(영장류)(Primates) ●
[1] 수형아강-수아강-후수하강의 하위분류[2] 수형아강-수아강-진수하강의 하위분류[3] 과거 유제류로 분류된 적 있다.[4] 옛 식충류[5] 개설된 항목 수로 따지면 공기급이지만 사실 전체 포유류의 5분의 1이 익수목에 속해 있다.[6] 유제류(Ungulate)는 발굽이 있는 포유류이다. 유제류 중에서 아프로테리아상목(장비목, 바다소목, 바위너구리목)을 제외한 말목(기제목)과 고래소목(경우제목)을 진유제류(Euungulata)로 분류한다.[7] 말목(기제목)은 발굽이 홀수, 고래소목(경우제목)은 발굽이 짝수이다.[8] 과거 소목(우제목)(Artiodactyla)으로 분류됐지만 1997년 고래목이 소목의 내계통이며 소목은 측계통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에 따라 기존의 소목(우제목)에 고래목(경목)을 합쳐 고래소목(경우제목)으로 분류하고 있다. 고래소목은 order가 아닌 clade로 묶인다.[9] 가장 오래된 후수하강 동물[10] 가장 오래된 진수하강 동물[11] 수형아강-수아강-후수하강의 하위분류[12] 주머니쥐목이나 새도둑주머니쥐목, 쿠스쿠스아목의 동물을 주머니쥐라고 한다.[13] 설치목의 주머니생쥐와는 다르다.[14] 가장 일반적인 웜뱃[15] 설치목의 캥거루쥐와는 다른 동물이다[16] 흔히 볼 수 있는 캥거루[17] 흔히 볼 수 있는 캥거루[18] 흔히 볼 수 있는 왈라루[19] 흔히 볼 수 있는 왈라비[20] 흔히 볼 수 있는 왈라비[21] 캥거루 중에서 작은 개체를 왈라비라고 한다.[22] 주머니쥐목이나 새도둑주머니쥐목, 쿠스쿠스아목의 동물을 주머니쥐라고 한다.[23] 드리올레스테스목(Dryolestida)에 속한다는 의견도 있다.[24] 수형아강-수아강-진수하강의 하위분류[25] 가장 널리 알려진 나무늘보종[26] 서울대공원에서 사육중[27] 나무늘보아목 동물 중에서 지상에서 살았던 거대 고생물 분류군을 땅늘보라고 하고, 나무에 사는 현존 동물 분류군을 나무늘보라고 한다.[28] 가장 널리 알려진 아르마딜로종[29] 서울대공원에서 사육중[30] 유일하게 공처럼 몸을 말 수 있는 아르마딜로[31] 과거 빈치류로 분류된 적 있다.[32] 과거 식충목으로 분류된 적 있다.[33] 과거 식충목으로 분류된 적 있다.[34] 과거 유제류로 분류된 적 있다.[35] 가장 일반적인 바위너구리[36] 북한에서 발견된 적 있다.[37] 난쟁이코끼리의 일종.[38] 가장 거대한 장비목이자 가장 거대한 육상 포유류 중 하나.[39] 코끼리 중에서 섬 왜소화를 거친 종을 난쟁이코끼리라고 한다.[40] 코엑스 아쿠아리움에서 사육중[41] 옛 식충류[42] 한국 자생종[43] 애완용으로 길들여진 네발가락고슴도치를 피그미고슴도치라고 한다.[44] 개설된 항목 수로 따지면 공기급이지만 사실 전체 포유류의 5분의 1이 익수목에 속해 있다.[45] 본래는 히아에노돈과의 하위 분류군인 히아이나일루루스아과로 분류 되었으나 2015년 별개의 과 로 구분되었다.[46] 유제류(Ungulate)는 발굽이 있는 포유류이다. 유제류 중에서 아프로테리아상목(장비목, 바다소목, 바위너구리목)을 제외한 말목(기제목)과 고래소목(경우제목)을 진유제류(Euungulata)로 분류한다.[47] 말목(기제목)은 발굽이 홀수, 고래소목(경우제목)은 발굽이 짝수이다.[48] 현재는 말목으로 분류[49] 현재는 말목으로 분류[50] 현재는 식육목으로 분류[51] 과거 소목(우제목)(Artiodactyla)으로 분류됐지만 1997년 고래목이 소목의 내계통이며 소목은 측계통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에 따라 기존의 소목(우제목)에 고래목(경목)을 합쳐 고래소목(경우제목)으로 분류하고 있다. 고래소목은 order가 아닌 clade로 묶인다.[52] 과거 고래소목(경우제목)으로 통합됐다가 현재는 다시 독립적인 목으로 분리됐다. 한때 고래의 조상으로 여겨졌으나 이후 고래와 공통조상을 가진 측계통군이라는 것이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