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시 노부스케

 



'''기시 노부스케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일본국 제56-57대 내각총리대신
기시 노부스케
岸信介 | Kishi Nobusuke
'''
<colbgcolor=#0230AE><colcolor=#c3c965> '''출생'''
1896년 11월 13일
야마구치현 요시키군 야마구치정
(現 야마구치현 야마구치시)
'''사망'''
1987년 8월 7일 (90세)
도쿄도 신주쿠구
'''재임기간'''
제56대 내각총리대신
1957년 2월 25일 ~ 1958년 6월 12일[1]
제57대 내각총리대신
1958년 6월 12일 ~ 1960년 7월 19일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0230AE><colcolor=#c3c965> '''부모'''
부친 사토 슈스케
'''형제'''
형 사토 이치로
동생 사토 에이사쿠
'''배우자'''
기시 요시코
'''자녀'''
장녀 아베 요코[22]
'''친인척'''
사위 아베 신타로[23]
조카 사토 신지
외손자 '''아베 신조'''
손자 기시 노부오[24]
'''신체'''
171cm[25]
'''학력'''
제1고등학교[26] (졸업)
도쿄제국대학 (법학 / 학사)
'''정당'''

'''지역구'''
야마구치 2구
'''의원 선수'''
'''10''' (중)
'''의원 대수'''
21, 26, 27, 28, 29, 30, 31, 32, 33, 34
'''약력'''
고등문관시험 합격
농상무성 관료
상공성 관료
제24대 상공대신
중의원 의원
초대 일본민주당 간사장
초대 자유민주당 간사장
제86-87대 외무대신
제3대 자유민주당 총재
제56-57대 내각총리대신
'''칭호'''
정2위
대훈위 국화대수장
도쿄제국대학 법학사

1. 개요
2. 생애
2.1. 관료 입문에서 전쟁 종료까지
2.2. 전후 전범기소에서 총리 취임까지
2.3. 총리 재임 시절
2.4. 총리 퇴임 이후
2.5. 정계 은퇴 이후
3. 여담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정치인이자 제56-57대 일본 내각총리대신. 태평양 전쟁 이후 극동국제군사재판(도쿄재판)에서 A급 전쟁 범죄 용의자(평화에 관한 죄)로 구속수사를 받았으나, 증거 불충분으로 불기소처분을 받았다. 이후 일본 총리 등을 역임하며 좋은 의미로나 나쁜 의미로나 전후 일본 체제에 큰 영향을 끼쳤다.[2] 이를 나타내주는 별명이 '''쇼와의 요괴[3](昭和の妖怪).''' 본인도 멋쩍은 듯 인정한 별명이다. 그야말로 일본의 서브컬처에서 등장하는 흑막의 대명사 같은 인물이다.
야마구치현(구 조슈 번, 나가토+스오국) 야마구치시 출생으로 친 동생은 '비핵 3원칙'으로 유명한 제61~63대 총리 사토 에이사쿠이다.[4] 동생인 사토 에이사쿠는 외조부 성인 사토를 이어받아서 형제끼리 성이 다르다.[5] 사위는 아베 신타로로 그의 아들이자 기시의 외손자는 제90, 96~98대 총리인 아베 신조이며 이 사람도 기시의 대를 잇기 위해 입양된 동생 기시 노부오와 성이 다르다.

2. 생애



2.1. 관료 입문에서 전쟁 종료까지


도조 내각 상공대신 시절
도쿄대 출신이 보통 그렇듯 기시 또한 중학교 때 성적은 우수했다. 허나 영화(당시엔 활동 사진이라고 했음)에 빠져 도쿄의 구제(舊制) 제1고등학교[6] 입학시험에선 꼴찌에 가까운 성적으로 입학하였으나 이후 다시 맹렬하게 공부하여 공동수석으로 제1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이때 일본의 극우파로 2.26 사건의 정신적 지주였던 기타 잇키의 사상에 매료되었었다고 한다.
그 후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법률학과에서 독일법학을 전공해 우등생으로 졸업[7]한 뒤 정부 관료의 길을 걷게 되는데, 묘하게도 당시 엘리트들이 간다는 외무성이나 대장성을 가지 않고 2류 부서로 취급받던 농상무성으로 가서 동향의 정치인인 카미야마 미츠노신에게 "넌 왜 2류 부서로 갔니"라고 질책을 받기도 했다고 한다.[8]그러나 이후의 행보를 보면 레드오션인 대장성보다 블루오션인 농상무성을 의도적으로 택했을 가능성도 크다.
어쨌든 농상무성으로 들어가 상공관료로서의 길을 걷게 되었는데 일본이 만주를 침략하여 괴뢰국인 만주국을 세운 뒤엔 아마카스 마사히코 밑에서 중국인 노동자를 만주에 유치하는 사업에 참여함으로 만주국에 관여했고, 당시 대공황을 극복한 소련 스탈린의 중공업 정책 등을 모방해 일명 '만주 산업개발 5개년 계획'을 작성하면서 만주국 경영의 실질적인 책임자가 된다.[9] 이때 관동군 참모장이었던 도조 히데키를 만나 절친한 사이가 되었다고 한다. 이후 1939년 상공차관으로 임명되었지만 상공대신에 새로 취임한 코바야시 이치조와 갈등을 빚었고 그 직후 일어난 소위 기획원 사건의 책임을 지고 물러나게 된다. 그러나 1941년 도조 히데키가 총리가 되면서 도조 내각에 상공대신으로 취임하고 1942년에는 중의원 선거에 당선되어 국회로도 진출하게 된다.
그러나 절친했던 도조 히데키와의 관계는 1943년에 틀어지는데 상공성을 폐지하고 군수성으로 재편한 데다 도조 자신이 군수대신이 되고 기시를 군수차관에 임명해 불만이 생겨났다. 그러다 1944년 사이판이 함락된 가운데 도조는 난국의 타개를 위해 내각 개편을 추진하려 하자 기시는 '''짜르려면 너도 같이 물러나야지!'''라고 물귀신 작전을 펴는 바람에 결국 내각 총사퇴로 이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후 도조가 사형을 당하자 '''대성통곡'''을 했다고 한다.

2.2. 전후 전범기소에서 총리 취임까지


1946년 3월 26일, 스가모 형무소에서 촬영된 머그샷
전쟁이 끝난후 고향 야마구치현에 은둔해 있다가 전쟁범죄 혐의로 체포되었다. 허나 도조가 목이 달아난 것과는 달리 경제통이었던 기시나 코다마 요시오는 써먹을 궁리가 있다고 봤는지 GHQ는 도조가 처형된 다음날에 이들을 불기소 처분하고 공직추방조치만을 취하게 된다.[10]
이후 한동안 동양 펄프라는 회사에서 회장으로 재임하다가, 1952년 공직추방조치가 풀리면서 정계로 복귀해 자주헌법 제정, 자주군비 확립, 자주외교 전개를 슬로건으로 일본재건연합을 결성하고 1953년 중의원 선거에 임했지만, 일본재건연합이 선거에서 대패하자 '''일본사회당에 입당'''하려는 제스처도 취한다. 허나 사회당에서 ''''너 같은 보수는 즐이염''''이라고 거부하자 자유당에 입당해 자유당 후보로 중의원에 당선되었다. 그러나 1954년 요시다 시게루 총리가 기시의 의사에 반하는 경무장+대미협조 정책으로 나가자 이에 반발하다 자유당에서 출당되었다.
이후 11월에 하토야마 이치로(하토야마 유키오 전 총리의 조부)와 함께 일본 민주당을 조직했다가 좌우분열이 극심했던 일본사회당이 재통합하자, 이에 위기의식을 느끼고 보수대연합을 주창, 자유당과 합당하여 자유민주당을 창당하기에 이른다. 창당 직후 자민당의 초대 간사장을 맡았다.
이후 1956년에 열린 자민당 총재선거에 입후보 했지만 이시바시 단잔에게 7표차로 패배해 이시바시 내각에서 외무대신을 맡았다가 2개월 후 이시바시가 뇌연화증으로 총리직 수행이 불가능해지자 내각이 총사퇴했다. 이때 기시는 스가모 형무소에 투옥중이었던 일본 우익의 행동대장인 고다마 요시오의 자금 및 인맥 지원을 받아 이시바시로 하여금 총리직을 계승하게 한다는 지명을 받아내는 데 성공해 총리로 취임하게 된다.

2.3. 총리 재임 시절


56대 총리 취임 후
총리 취임 기자회견에서 '''부정부패, 가난, 폭력'''(...)의 삼악을 척결하고 싶다고 밝혀 삼악척결이라는 말이 유행했다. 또한 이시바시 단잔 총리의 공약이었던 1천억 엔 감세도 시행했다.
1958년 의회 해산뒤 열린 중의원 선거에서 자민당이 287석의 과반 의석을 무난히 확보, 사실상 55년 체제로 불리는 자민당의 장기집권 서막을 알렸다. 그러나 미일 안보조약 개정 과정에서 주일미군 재판권 포기 밀약사건이 터지면서, 평소 자주외교를 부르짖던 기시의 노선과 맞지 않다는 비판을 받게 된다. 이에 미국이 공식적으로 재판권 포기를 천명하라고 요구했지만 기시는 국내여론 악화를 이유로 이를 거부했다.
의외로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1958년 한국에 야츠기 가즈오 특사를 파견한 적이 있었다고 한다. 이때 야츠기 특사는 기자회견에서 "기시 총리는 일본 군국주의자들이 한국에 범했던 과오를 유감으로 생각하고 있다. 총리는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해 진정으로 노력해 왔다. 이런 노력을 앞으로도 계속하겠다"는 기시의 결심을 이승만 대통령에게 전달했다고 한다. 상술되어있듯 도조 히데키랑 절친했고 해당 내각에서 일해서 전범 혐의로 체포까지 되었던 사람이 한 말이라 진정성이 있는지는 각자 판단할 부분이지만, 립서비스던 미국의 압력에 의한 것이건 어쨌건 간에 이런 발언을 했다는 점은 이후 일본 우익들에게 써먹을 수 있다고 보는 사람도 있다.
1960년 미일 안보조약을 개정한 미일 안보신조약을 체결하고 이를 국회에 비준동의를 받으려 상정했지만 야당인 사회당이 강력반발해 안보투쟁을 부르게 되었다. 안보폐기를 부르짖던 사회당이 미일 안보신조약 처리를 막으려 하자 1960년 5월 29일, 국회본회의장에 사회당 의원들의 출입을 통제한 채로 미일 안보신조약을 통과시켰다.
이로 인해 반정부 투쟁이 극에 달하자 기시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을 경호한다는 명분으로 '''극우 행동대는 물론 야쿠자들까지''' 모조리 동원해서 반정부 투쟁을 제압하려 했다. 그러나 이런 기시의 정책은 도리어 역효과를 내어 1960년 6월 15일, 야쿠자가 시위대를 공격해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하고, 국회에서도 폭력사태가 발생해 국회에서는 국회로 진입하려는 학생 시위대와 이를 막는 경찰들의 충돌 과정에서 도쿄대학 여대생 간바 미치코가 압사당하는 불상사가 일어난다.
시위대가 기시 노부스케의 자택을 포위할 정도로 사태가 심각해지자[11] 기시는 "국회 주변은 시끄럽지만, 긴자나 고라쿠엔 구장은 언제나 그대로이다. 나에게는 '''소리없는 소리가 들린다'''"라는 개드립으로 물타기를 시도했다. 그러나 전임 총리 세명(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가타야마 데츠, 이시바시 단잔)이 기시에게 '''그대가 책임지고 사퇴하는 게 좋겠소'''라는 사퇴권고까지 하는 상황에 이르게 되자, 기시는 최후 수단으로 '''자위대의 치안출동'''(사실상의 계엄령)을 명령한다.
허나 방위청 장관 아카기 무네노리[12]가 이를 거부했고, 시위대는 수상관저를 포위해 기시와 친동생 사토 에이사쿠가 봉변당하기 직전의 위기까지 몰리기도 했다. 그러나 이 모든 사태의 발단이 된 미일 안보 신조약은 자동으로 성립되었고 국회 비준 뒤에 쇼와 덴노가 서명함으로써 마무리되었다. 이후 기시는 이 모든 사태의 책임을 지고 7월 15일 내각이 총 사퇴했다.

2.4. 총리 퇴임 이후


1961년 박정희가 일본을 방문했을 때의 모습.
좌측부터 기시, 박정희, 이케다 하야토 당시 수상
총리 퇴진 이후에는 1963년 자신의 지역구인 야마구치 제1구를 사위인 아베 신타로[13]에게 넘겨주었다가 낙선되자 야마구치현에서의 영향력이 감소된 것 아니나는 평을 받았다. 그러나 기시는 자신의 동생 사토 에이사쿠와 함께 야마구치 1구의 슈토 에이유 의원의 후원회장이던 후지모토 만지로를 직접 영입해 아베 신타로의 후원회장을 맡게 하여 1967년 선거에서는 기어코 당선시켰다.
1969년 중의원 선거에서는 측근의 비서를 맡고 있던 인사가 자민당에서 공천을 받지 못하고 무소속으로 이시카와 1구에 출마하자, 지원 요청에 응답하여 당선에 도움을 주었다. 참고로 이때 당선된 사람이 훗날 총리가 되는 모리 요시로였다.
1972년에는 친동생인 사토 에이사쿠가 총리에서 물러나자 헌법개정을 목표로 은밀히 총리 복귀를 노리기도 했다. 그러나 소위 각복전쟁(가쿠후쿠 전쟁)이라 불리는 70~80년대 자민당내 권력투쟁에서 자신의 직계이자 대리로 내세운 후쿠다 다케오가 자민당 총재선거에서 사토의 후계자 격인 다나카 가쿠에이에게 패하자 낙담하고 만다.
한편, 과거 만주 인맥을 활용해 만주군 경력이 있는 당시 한국 대통령 박정희와 인연을 맺어, 이후 1965년 한일수교 당시 기시를 비롯한 기시 휘하의 '만주국 라인'이 막후에서 역할을 하기도 했다.[14] 한일수교는 양국이 공산권에 대항하는 구도로 양국에 하루빨리 수교를 맺으라는 미국의 압력이 가장 컸으며, 일본의 자본과 기술에 한국의 노동력을 결합하면 매우 가난한 한국의 경제발전에 큰 도움이 된다는 해외 경제기관들의 조언들도 있었다. 실제로 일본에서 기술진들이 건너와 자국에서 한물간 상품들의 기술전수를 하였고[15] 많은 일본 자본이 투자를 하고 무엇보다 일본이 만든 소재와 부품을 가공해 미국에 파는 것 구조가 확립되어 이는 1980년대까지 이어지게 된다. 이것이 30년 넘게 연 평균 10% 성장한 "한강의 기적"이었고 당시에는 "통과경제"로 불렸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서 한일수교 5년이 지난 1970년 6월 18일, 박정희 정권은 기시 노부스케 등 70여 명에게 한일 수교의 공로로 '수교훈장 광화장'을 수여했다. 기시 노부스케는 수교훈장 중에서 1등급인 광화대장을 받았고, 고다마 요시오는 2등급인 광화장을 받았다.[16]
10.26 사태로 암살당한 박정희의 국장 때에도 참석하였다.[17] 당시 한국의 주류 언론들은 기시 노부스케를 '친한파'로 다뤘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친한파'는 국제정세 및 냉전 안보 등의 이유로 한국정부와 밀접한 교류를 한 정치/외교적 의미에서의 '지한파'를 의미하는 것으로, 과거사에 대한 진지한 반성이나 참회는 당시에는 고려대상이 아니었다.

2.5. 정계 은퇴 이후


1979년 중의원 해산을 계기로 정계를 은퇴하고 보수 논객으로 활동했다.
[image]
1984년 통일교 회의장에 모습을 나타낸 적이 있었다[18].
[image]
사망 몇 개월 전(맨 좌측)
1987년에 사망했다.

3. 여담


  • 2012년 아베 신조 내각 출범 이후 일본이 우경화 행보를 보이자, 아베의 외할아버지로서 한국 언론에도 종종 언급되고 있다. 물론 'A급 전범'이라는 수식어는 꼭 붙는다. 2010년대 중반 방영한 PD수첩에서는, 아베 신조의 강경 우익 행보가 그의 외할아버지인 기시 노부스케와 아베가 평소 존경한다고 밝힌 요시다 쇼인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 같다고 진단하기도 했다.
  • 우연이라면 우연이지만, 이토 히로부미와 동향이다. 때문에 그의 선배인 "이토가 한국에 저지른 과오를 씻기 위해 노력해야겠다고 마음먹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고 한다. 물론 현 일본 우익의 원조격인 그가 진심으로 이런 생각을 가졌는지는 의문이긴 하지만, 훗날 그의 외손자인 아베 신조가 침략사실을 부정하고 일본을 우경화의 바다로 이끌고 있는 가운데서 수십 년 전 외할아버지가 어찌됐든 립서비스로나마 침략사실을 사죄했다는 점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아들 기시 노부카즈가 있었으나, 소아마비로 활동을 별로 하지 못했고 자녀도 없어, 외손자이며 아베 신조의 동생을 양자로 삼아 기시 노부오라 하여 가문을 잇게 하였다.
  • 말년에 그가 살았던 시즈오카현 고텐바의 별장이 아직까지도 보존되어 일반에게 공개 중이다. 홈페이지. 근대 다실 건축의 명장 요시다 이소야(吉田五十八)의 대표작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거물 우익, 픽서였던 야쓰기 가즈오, 사사카와 료이치, 코다마 요시오같은 인물들을 이야기할때도 빠짐없이 나오는것이 기시 노부스케와의 관계이다. 쇼와의 요괴라는 별명에 걸맞게 기시는 양지, 음지를 가리지 않고 방대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 Hearts of Iron IV의 모드 The New Order: Last Days of Europe에 등장한다. 일본에선 50년대에 죽은 다이리가 살아서 항일투쟁을 계속하고 있다는 음모론이 계속 떠도는데,[19], 쿠데타로 총리대신이 된 기시 노부스케가 이를 빌미로 명령 44호[20]를 내려 일본판 장검의 밤을 일으킬 수있다.
  • 야마자키 도요코의 소설에서는 이와오 총리로 등장한다. 동생 사하시 총리, 그리고 가마쿠라의 사나이[21]와 결탁해서 일본의 석유이권을 장악하고 주무른다.
  • 친일파 정치깡패였던 박춘금하고도 잘 아는 사이였다고 한다.

[1] 1957년 1월 31일부터 취임일까지는 외무대신으로서 이시바시 단잔 총리의 임시 대리를 했다. 총리의 제반 권한까지 승계하는 권한대행과 달리 임시 대리는 현임 총리가 자리를 지키는 상태에서 현상 유지만 하는 직책이다. 고로 연혁에도 반영되지 않는다.[2]일본 우익들의 평화헌법 개정과 소위 정상국가 구현 등 일관된 흐름의 원조가 기시라고 볼 수 있다.[3] 젊은 시절의 사진을 보면 왜 요괴인지 납득이 간다(...). 아오오니 닮았다는 평도 있고.[4] 정재계에서는 기시, 사토, 그리고 1960년대에 참의원 의장을 10년 가까이 지내며 참의원 천황이라 불린 시게무네 유조 세사람을 가리켜 조슈 고산케라고 불렀다.[5] 아버지 기시 히데스케가 데릴사위로 사토 가에 들어감에 따라 '사토 히데스케'가 되었다. 따라서 아들 3형제의 성은 사토가 되어야 하지만, 차남이었던 노부스케만은 가문을 잇기 위해 기시 성을 이어받았다. 이후에 이런 일이 또 발생하게 되는데, 기시 노부스케의 유일한 아들 기시 노부카즈가 자식 없이 이혼하면서 또 다시 가문의 대가 끊긴 것이다. 이 때는 기시 노부스케의 딸 아베 요코의 삼남(이자 차남 아베 신조의 동생)이었던 아베 노부오가 기시 노부카즈의 양자가 되어 '기시 노부오'가 되면서 가문을 이을 수 있었다.[6] 일본의 구제고등학교는 한국의 고등학교 3학년과 대학교 1~2학년에 해당하는 학교였다. 즉, 중등교육기관인 고등학교와 다르다.[7] 당시 유행하던 미노베 학설이 아니라 천황주권론을 주장하는 우에스기 신키치의 학설을 추종했다.[8] 기시의 농상무성시절부터의 측근이었던 시이나 에쓰사부로(椎名悦三郎)또한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졸업후 농상무성에 들어가자 삼촌인 고토 신페이(後藤新平)로부터 "너 형편없는데 들어갔구나"란 소릴 들었다고 한다.[9] 알다시피 이후 5개년 계획 이런건 한국에서도 장면이나 박정희가 잘 써먹는다.[10] 물론 이것도 공짜는 아니었다. 기시와 코다마는 일본이 점령지에서 약탈한 보물들과 자신들만이 알고 있던 국가기밀정보를 넘기는 조건으로 사법거래를 해 풀려난 것이다. 뭐 그렇다고 전범재판에 기소되었어도 사형감까진 아니었다. 군수차관이었기 때문에 전쟁범죄에 직접적으로 관여한 적은 없기 때문.[11] 당시 기시의 집에 머물고 있던 5살짜리 외손자 아베 신조도 이땐 시위대들의 목소리를 따라 뭣도 모르고 "안보 반대"를 외쳤다고 한다.(...)[12] 전쟁 전부터 기시의 부하였던 사람이었다. 이런 사람조차 기시의 지시를 거부하는 것에 직면하게 된 기시는 이때부터 정권포기를 진지하게 생각했다고 한다.[13] 아베 신조의 아버지.[14] 한일기본조약에 일본 외무성측 특사였던 시이나 에츠사부로 역시 기시가 만주국 관료로 일했을때 부하였다는 이야기가 있다.[15] 공업의 정밀도를 규정하는 스펙이 존재하지 않던 시절이다.[16] 전범 행위자들에게 훈장을 주어 안좋게 보이지만 해당 일본인들에게 수여한 훈장은 '수교훈장'으로, 우방과의 친선에 공헌이 뚜렷한 자에게 수여하는 것이다.[17] 다만 중앙청 앞뜰에서 열린 국장 영결식에는 못 오고 서울 동작동 국립묘지에서 열린 안장식에만 참석했는데 영결식 당일 아침 도쿄에 낀 짙은 안개 때문에 비행기가 제 시간에 못 떠서 늦었다고 한다.[18] 이 시기 일본에서 교세를 한창 확장하던 통일교의 뒤를 밀어준 사람이 기시였다.[19] 다이리는 죽은게 맞다[20] 현실에서 치안출동 명령을 내린데서 따온것 같은데, 자위대와 달리 황군은 명령을 이행한다.[21] 고다마 요시오, 다나카 세이겐등의 막후실력자들을 짬뽕해서 만든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