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월드교통

 




[image]
[image]
급행버스
광역버스
1. 개요
1.1. 운행 노선
1.2. 과거 운행 노선
1.3. 면허 체계
1.4. 차고지
1.5. 보유 차량


1. 개요


청우운수선진네트웍스의 합작 버스 회사인천광역시 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구 사명은 천지교통. 계열사로는 청룡교통, 청우운수, 도원교통, 원버스, 태산운수가 있다.[1]
  • 운영하는 모든 노선이 송도국제도시를 진입한다.
  • 2006년 세진관광과 삼환리무진관광의 공항리무진 노선을 인수한 부천 도원교통의 인천 법인으로 출발하여 2008년에 청룡교통에 흡수되어 송도영업소 소속으로 변경 되었다. 그러다 2010년에 송도영업소가 천지교통으로 분리된 형태. 현재 송도공영차고지를 차고지로 사용하고 있다. 과거에는 인천종합터미널을 차고지로 쓰다가 동춘동 화물터미널 부지(현재 스퀘어원)로 이전 하였다가 오늘에 이르고 있다. 참고로 준공영제 노선은 1개도 보유하고 있지 않다.[2] 인천광역시에서 광역버스를 운행하는 업체 중 하나이다.[3]
  • 분사 당시 선진네트웍스의 버프를 받은 상황이다. 합작까지는 아니고 선진이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형태다. 경영에 큰 관여는 하지 않지만 김포운수, 선진버스 출신 차량들이 다수 있다.
  • 문제점으로는 과속과 난폭운전이 매우 잦다. 제 2의 강인여객이라고 해도 무방하며, 태화상운과는 거의 비슷하다.[4] 광역버스 차량들은 고속도로에서 110㎞/h는 기본으로 넘긴다. 780-1번왕복 10차로 도로에서 신호위반을 하거나, 길이 막히면 주변의 승용차 운전자에게 화를 내지를 않나, 심지어 앞에 원진운수, 대인교통, 인천교통공사, 송도버스 차량들이 느리게 가면 중앙선을 넘어서 추월한다. 이게 가장 심한 노선은 908번. 레드존 변속은 기본이고 연수구 경원대로 구간에서 시속 100km/h까지 밟는 경우가 있으며, 송도풍림단지사거리에서는 적신호여도 차가 없으면 지나가서 꼬리물기하고, 앞에 차량이 느리게 가면, 꼭 그 차 운전자에게 욕설을 퍼붓는다.[5]
  • 더월드교통이 청룡교통에서 한정면허 버스를 분리시켜 만든 회사인 관계로 인터넷 카페도 두 곳의 명칭으로 개설하여 공동으로 관리한다. #
  • 차상태도 좋지 못한데, 17~18년식 신차를 레드존 끝인 2500rpm에서 변속하거나 반클러치로 운행하는 기사가 대부분이다. 거의 모든 차량들의 상태는 좋지 않다.
  • 운행중인 광역버스 노선이 대부분 적자라 휴업신청을 많이 해두어 휴차중인 유니버스가 10대가 넘어간다.
  • 특이하게도 780-1번908번에는 평일에만 운행하는 차량들이 있다. 이 차량들은 평일 5일동안 같은 기사가 운행한다.
  • 이 회사 노선들은 운행이 너무 프리해서 배차간격을 신경쓰지 않는 것으로 유명한데, 실제로 같은 노선 내에서 앞차가 안 간다 싶으면 추월해서 상호추월이 자주 일어난다.
  • 2019년 5월에 회사명을 더월드교통으로 변경했다. 차량은 6월 13일자로 상호변경 처리되었다.
  • 2020년 12월 31일부터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개편으로 서울행 1300 시리즈 이외의 노선들이 전부 폐선되면서 광역버스만 운행하는 버스 회사가 되었다.[6]

1.1. 운행 노선



1.2. 과거 운행 노선



  • 2500번[7] : 계산삼거리 - 경인교대입구역 - 작전역 - 홈플러스 작전점 - (→ 안남고등학교 → 태화아파트 →) - 부평IC - 경인고속도로 - 국회대로 - 목동교 - 영등포구청 - 문래역 - 영등포역 - 여의도환승센터 - 마포대교 - 마포역 - 공덕역

1.3. 면허 체계


  • 인천 70 바 45##, 4735~4737호 : 삼화고속 출신 면허
  • 인천 78 바 3243~3245호 : 강화선진버스 출신 면허
  • 인천 75 바 10##호[8]
  • [9]
  • 인천 75 아 11## , 12##호

1.4. 차고지



1.5. 보유 차량



1.5.1. 현재 보유차량



1.5.1.1. 현대자동차


1.5.2. 과거 보유차량



1.5.2.1. 현대자동차


1.5.2.2. 자일상용차

[1] 태산운수를 제외한 계열사들은 선진네트웍스와는 관련없다.[2] 애초에 청룡에서 분리한 이유가 준공영제 미참여 노선의 운영 효율화 때문이었다.[3] 나머지 회사는 신강교통, 인강여객, 선진여객, 신동아교통, 마니교통.[4] 요즘의 태화상운은 과거에 비해선 속도가 많이 줄었지만 707번, 123번, 125번의 일부 기사는 아직도 과속을 한다.[5] 참고로 모 908번 기사는 역시 과속으로 한 몫 하는 강인여객103-1번 기사에게도 욕설을 시전한 바 있다. 그러면 동료끼리는 괜찮냐고? 천만에. 동사 노선인 780번이 조금이라도 느리게 가면, 바로 추월해서 780번 기사에게 왜 이렇게 느리게 가냐고 한다. 하지만, 요즘은 고참 기사들이 많은 780-1번이 고알피엠 변속 및 반클러치 운행, 신호위반, 무정차 등을 일삼고 있다.[6] 기존 인천에서 광역버스만 운행하던 업체는 인강여객, 마니교통, 신강교통이 있었다.[7] 강화선진버스에서 양도받았다.[8] 한정면허 노선에 다수 분포되어 있었으나 폐선 이후 광역버스 차량 1대만이 이 면허를 사용한다.[9] 한정면허 폐업으로 모두 말소[10] 한정면허 폐지 후 모두 말소되고 딱 1대 남았다. 일부 버스 동호인들은 2020년에 사고로 인해 말소된 1301번 12년식 유니버스 차량을 대신해 노선 인가대수를 유지하기 위해 남아있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을 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