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페이스

 


'''블랙페이스 분장을 한 희극인들'''
1. 개요
2. 상세
2.1. 논란이 되는 이유
3. 사례
4. 관련 문서
4.1. 레드페이스

[clearfix]

1. 개요


'''Blackface'''
흑인이 아닌 인종의 배우가 흑인을 흉내 내기 위해 얼굴을 검게 칠하는 분장.
19세기 ~ 20세기 초중반에 유행했었다. 그 뒤 1950년대 ~ 1960년대미국 흑인 민권 운동과 이로 인해 만들어진 1964년 미국 연방 민권법의 영향으로 인종차별적 행위라는 비판을 받고 금기시되었다.

2. 상세


'''민스트럴 쇼(minstrel show) 포스터'''
블랙페이스는 1830년대부터 약 100년간 영국미국 등지에서 유행하기 시작했다. 특히 당시 미국에서 인기를 얻고 있던 민스트럴 쇼에서 널리 쓰였다. 민스트럴 쇼는 음악이 가미된 코미디 쇼의 일종으로, 백인 배우가 흑인 역할을 맡아 얼굴을 검게 칠하고, 과장된 노래로 흑인을 희화화하는 내용이 주를 이뤘다. 영국에서는 1978년까지 계속되어 1976년1981년 'Are You Being Served?'라는 이름의 크리스마스 스페셜이 방송되는 등 오랜 기간 유머로 사용되었다.

'''Blackface: A cultural history of a racist art form'''
이러한 공연과 방송은 흑인에 대한 인종적 고정관념 확산에 기여했고, 결국 1950년대~1960년대 미국 흑인 민권 운동이 일어나고 1964년 미국 연방 민권법을 통해 미국 흑인을 포함한 모든 인종에 대한 인종차별을 법적으로 철폐하며, 인종차별을 심화한다는 비판을 받으며 대중성을 상실했다.

2.1. 논란이 되는 이유


현재 서양권에서는 비하의 의도가 없더라도 이러한 분장을 하면 인종차별 논란에 휘말릴 수 있다. 이는 이 분장이 흑인 핍박 역사의 맥락 속에 '''혐오의 상징'''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블랙페이스 분장이 유행했던 지역은 다름 아닌 제국주의 시절의 유럽미국권이었으며, 굳이 피부를 검은색으로 물들이는 일을 하며 그들을 희화화 하는 주체는 주류 인종인 백인이었다. 그리고 이들의 희화화 대상인 흑인은 절대 다수가 노예무역 끝에 강제로 서구문명에 사로잡힌 조상을 두고 있으며 그 당시에도 사회적 발언권 및 경제적 역량이 취약한 사회적 약자였다. 이런 인종차별적 요소가 있는 유흥을 비판할 아프리카 본토는 이미 모조리 식민지 상태였고, 해당 국가 내 흑인 공동체는 19~20세기의 주류 백인사회와 대응하기엔 한없이 힘과 사회적 역량이 부족한 상태였다.
이 모든 게 종합된 결과 블랙페이스 분장의 광대놀음은 백인들이 과거와 고향(?) 및 문화적 유산과 철저히 단절된 흑인 전체를 일방적으로 구석에 몰아넣고 조롱하는 꼴이 되었고, 이들의 흑인 희화화가 흑인 전반에 대한 편견을 오랜 기간 동안 강화해왔다. 따라서 의도와 상관 없이 블랙페이스 자체가 흑인 모욕이라는 의견이 널리 퍼져 있다.
실제로 Pew Research Center의 300명 대상 설문조사(2019) 에 의하면 6%의 흑인 답변자만이 할로윈용 블랙페이스 분장에 항상 찬성한다고 나타났다. 반면 백인, 혹은 보수적 정치 성향을 가진 대상자는 24%가 블랙페이스 분장에 대해 별 문제 없다고 반응하여 블랙페이스에 대해 인종, 그리고 정치적 이견이 있음을 시사했다.

'''Stay Classy CHINA - Blackface on CCTV Chinese New Year Gala'''
동아시아의 경우 블랙페이스가 차별적 상징이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많아, 간혹 의도치 않게 흑인 비하 논란에 휩싸이는 경우가 있다. CCTV에서 한 2018년 춘절 특집 프로그램의 사례도 있다. 흑인 여성의 하체 비만을 과장해서 묘사해서 흑인 사회의 공분을 일으켰다.
한국에서는 정규 교육 과정에서 이런 역사에 대해 가르치지 않기 때문에, 해외 문화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면 흑인 분장을 하는 게 문제가 될 것이라는 것을 알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국내 기준으로는 의정부고등학교 흑인 코스프레 인종차별 논란이 있다.

3. 사례


  • 현대에서는 블랙페이스라는 말을 하면 바로 인종차별과 관련된 비난이 쏟아진다. 밑의 두 이미지는 명품 패션 브랜드에서 만든 블랙페이스 형태를 한 패션 아이템인데 출시하자마자 인종차별 패션이라며 욕을 한바가지 먹고 바로 판매중단한 제품이다. 당시 흑인 연예인들과, 모델, 디자이너들까지 나서서 보이콧을 했었다.
[image]
[image]
'''구찌의 터틀넥 스웨터'''
'''프라다의 열쇠 고리 액세사리'''
  • 인종차별이나 조롱, 혐오의 의도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실제 존재하는 흑인 유명인을 따라하는 과정에서 피부색을 검게 칠한다면, 통상적으로 블랙페이스로 취급되어 강한 비판을 받았다. 예를 들어 프랑스 출생의 축구선수 앙투안 그리즈만이 흑인 스포츠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할렘 글로브트로터스에 대한 존경(tribute)의 의미로 농구선수코스프레하였는데, 이 때 피부색까지 흑인처럼 검게 칠하는 바람에 거센 비판에 휩싸였고 앙투안 그리즈만 본인 역시 이를 인정하고 사과하였다. # 비슷한 예로 시애틀의 어느 교사는 농구선수 마이클 조던의 엄청난 팬이었는데 할로윈 파티에서 그를 따라한답시고 검은색 고무 마스크와 검은 장갑을 꼈다가 블랙페이스의 사례로 엄청난 비판을 받았고 교사 본인 역시 이를 사과하였다. #
  • 유명 코미디언 지미 팰런2000년 새터데이 나잇 라이브에서 흑인 코미디언 크리스 락을 연기한 적 있는데, 이때 얼굴까지 크리스 락처럼 흑인처럼 분장한 적이 있다. 그리고 이는 20년 지난 뒤 다시 회자되어 지미 팰런을 성토하는 여론이 높아졌고 지미 팰런은 이러한 블랙 페이스 행위를 사과하였다. #
  • 트위치에서는 블랙페이스로 코스플레이를 한 리투아니아의 백인 여성 스트리머가 결국 정지당했다. # 그리고 오킹군인 코스플레이로 위장크림으로 위장하다가 블랙페이스 논란에 휩싸였는데 자세한 건 항목 참조.
  • 조롱 의도가 아니라 순수한 미적인 관점에서 블랙페이스를 한 뷰티 유튜버가 비판받기도 하였다. #
  • 이렇게 실존인물을 따라하는 경우가 아니라 가상 캐릭터의 고증이라고 해서 블랙페이스 혐의를 피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리투아니아의 백인 스트리머가 에이펙스 레전드의 '라이프라인' 캐릭터 코스프레를 하면서 고증을 위하여 피부색까지 흑인으로 칠했는데, 트위치에서는 이걸 '특정 그룹에 대한 증오("engaging in hateful conduct against a person or group of people")'라는 사유로 30일 정지를 때렸다. 해당 스트리머는 캐릭터를 좋아해서 코스프레한 것일 뿐 비하 목적이 아니라고 해명했다. ##
  • 캐나다육아 잡지 today's parents에서는 백인 아이가 블랙 팬서를 코스프레 해도 되냐는 주제에 대하여, 블랙 팬서의 의상은 문제가 없지만 블랙 팬서의 인종적 특징(피부, 머리카락)은 코스프레 하지 말라는 조언을 한 바 있다. #
  • 포켓몬스터루주라는 본래 검은 피부에 두꺼운 입술을 가진 포켓몬이었으나, 블랙페이스 논란을 피하기 위해 보라색 피부로 바뀌었다. 이걸로도 논란이 가라앉지 않을 것을 우려해서 인지 북미판 애니메이션에선 출연 한 번 못해보고 짤렸다. 서구권에서는 폴리곤과 더불어 사실상 방송 출연 정지 상태.
  • Amanita Design사의 게임 CHUCHEL도 주인공이 검은 털뭉치에 주황색 입술이라 블랙페이스 논란이 생겨 2018년 11월 검은 모자에 주황색 털뭉치 형태의 디자인으로 수정되었다.
  • 한국도 이러한 논란을 피해갈 수 없었는데 과거 <시커먼스> 개그 코너, 심형래의 블랙죠(구판)[1] 광고라든가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개그 프로그램, 학습만화 등에서 얼굴을 까맣게 분장하고 “원시인”의 모습을 하며 흑인을 희화화 하는 장면들이 자주 나왔고 아직까지도 간혹 특정 인종 성대모사를 한다는 명목하에 이러한 인종차별적 개그가 나오는 걸 볼 수 있다.
  • 대만의 코미디 유튜브 채널 Wackyboys은 관짝소년단 패러디 영상을 찍으면서 얼굴을 검게 칠하는 바람에 대만 국내에서 크게 비판받았다. Wackyboys는 결국 해당 영상을 삭제하고 공식적으로 사과했다. # 비슷한 예로 대만의 나이트클럽에서는 홍보 행사의 일환으로 관짝소년단 분장을 했는데 이때 얼굴을 검게 칠한 것이 블랙페이스로 간주되어 크게 비판받았고 해당 나이트클럽은 홍보 행사를 중지하고 공식적으로 사과하였다. #

4. 관련 문서



4.1. 레드페이스


다른 피부색의 인종이 속칭 '인디언'이라 불리는 아메리카 원주민처럼 분장함으로 인한 인종차별을 의미한다. 피부색 뿐만 아니라 전형적인 인디언의 스테레오 타입(토마호크 도끼, 엉터리 문법의 영어, '인디언'식 이름)과 함께 등장하며, 과거 배역을 맡기 어려웠던 유대인이 피부를 붉은 색으로 분장하여 아메리카 원주민 역할을 맡았다고 한다.
주로 서부 영화의 악역이나 조연으로 아메리카 원주민이 등장하면서 크게 성행했지만 서부 영화의 몰락과 함께 거의 사라진 인종차별적 표현이기도 하다.
론 레인저(2013)에서 이러한 표현이 다시 등장해 큰 비판을 받았다. 참고로 여기서 아메리카 원주민 역할로 등장하는 영화배우 조니 뎁은 몇몇 인터뷰에서 본인의 선조 중 한 명이 체로키 부족 아니면 크릭 인디언(Creek Indian)과 함께 자랐으니 자신 역시 그들의 혈통이라고 주장하였으나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는 아무것도 없으며 아메리카 원주민 커뮤니티 역시 조니 뎁에 자신들의 혈통이 섞였다고 인정하지 않는다.
[1] 2019년에 복각이 되었는데, 포장지의 흑인 그림 역시 인종 논란을 우려해서 인지 원래 흑인 마스코트를 덧그려 펭귄으로 그려 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