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콤보
1. 개요
2. 게이지의 변천사
2.1. 스트리트 파이터 2 시리즈
2.2.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시리즈
2.3. 스트리트 파이터 EX 시리즈
2.4. 스트리트 파이터 3 시리즈
2.5. 스트리트 파이터 4 시리즈
2.6.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
3. 슈퍼콤보 목록
1. 개요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X에서 처음 생겨난 일종의 초필살기. 각캐릭터 마다 고유한 슈퍼 콤보를 지니고 있으며, 공격시 게이지가 상승하고, 그 게이지를 일정량 소비하여 사용할수 있다. 다만 스트리트 파이터 3 이후의 게임들에서는 EX 필살기를 사용하기 위해 슈퍼콤보 게이지를 소모함에 따라, 갈수록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진 못한다.
슈퍼 아츠(스파 3), 크리티컬 아츠(스파 5)등 다른 명칭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2와 제로 3, CVS, CVS2 등에서 등장하는 오리지널 콤보는 슈퍼 콤보와는 조금 다른 형태의 초필살기다. 자세한 내용은 오리지널 콤보 문서 참조.
2. 게이지의 변천사
2.1. 스트리트 파이터 2 시리즈
하단에 존재하는 것이 슈퍼 콤보 게이지이다. 용호의 권에 있었던 기력 게이지를 캡콤 나름대로 재해석한 결과물이라는 의견이 다수. 필살기 사용시나 상대에게 공격이 적중시(가드 포함)에 상승하며 100%가 차면 SUPER라는 문자가 뜨고 이 상태에서 각 캐릭터마다 1개씩 가지고 있는 슈퍼 콤보를 사용 할 수 있다. 슈퍼 콤보 사용 외에 게이지 축적에 따른 부가효과는 별도로 없다. 오늘날의 슈퍼 콤보 계열 게이지와 달리 라운드가 종료되면 게이지가 리셋되었다.
2.2.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시리즈
[image]
스크린샷은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2의 게이지.
게이지는 하단에 존재. 각 캐릭터마다 가지고 있는 슈퍼 콤보의 수도 2~3개 정도로 증가했다. 찰리 내쉬의 경우는 필살기는 2개인데 슈퍼 콤보는 3개라 필살기보다 슈퍼 콤보가 더 많은 캐릭터가 되었다. 슈퍼 콤보 게이지 개념 자체는 전작(2X)과 유사하지만 상대의 공격을 맞거나 가드할 때, 중/강 공격을 사용했을 때(상대의 몸에 닿지 않아도 상관없다)도 소량씩 축적되도록 게이지 축적 조건이 늘어났고 게이지는 라운드가 넘어가도 리셋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변경되었다. 이후에 나온 시리즈들도 이 변경된 룰을 따르는 것이 대부분.
제로 시리즈만의 특징으로는 레벨 단위로 축적되어 1/3당 1레벨씩 증가하도록 되어있다. 최대 3레벨까지 축적 가능하고 각 캐릭터의 슈퍼 콤보도 누르는 버튼의 수에 따라 1, 2, 3레벨로 위력과 성능을 조절 가능하며 해당 레벨만큼의 게이지를 소모한다. 게이지 MAX시 1레벨 슈퍼 콤보를 3번 사용하던 3레벨 슈퍼콤보로 한방에 쏟아붓던 플레이어의 재량. 고우키의 순옥살 같이 레벨 3 한정 슈퍼 콤보도 존재한다. 또한 제로2에서는 게이지 MAX시 슈퍼콤보 대신 오리지널 콤보를 사용할 수 있다. 게이지 1레벨(시리즈에 따라선 1.5레벨)을 소모하여 '제로 카운터'라는 특수한 반격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로3에서는 대전 시작시에 게이지 양이 100%로 시작하도록 변경되었으며 -ism 개념의 도입에 따라 게이지 운용방식이 바뀌었는데, Z-ism으로 기존의 3레벨 방식의 게이지를 사용하되 버튼의 약/중/강에 따라 슈퍼 콤보의 레벨이 결정되도록 좀더 조작이 간편하게 변경되었으며, X-ism을 선택할 경우 레벨제 없이 MAX시 캐릭터마다 지정된 슈퍼콤보만 사용할 수 있다. Z-ism의 경우 오리지널 콤보를 사용할 수 없게 변경되었고 반대로 V-ism에서는 슈퍼콤보를 사용할 수 없는 대신 오리지널 콤보만 사용 가능.
2.3. 스트리트 파이터 EX 시리즈
[image]
게이지는 HP바 밑에 존재. 3단계로 나뉘어져 있으며 사용방법은 제로 시리즈와 유사하지만 일부 레벨 3 한정 슈퍼 콤보를 제외하면 슈퍼 콤보는 1레벨로만 사용할 수 있는 대신 슈퍼 콤보-슈퍼 콤보의 슈퍼캔슬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는 차이가 있다. 슈퍼 콤보 외에도 게이지 1개를 써서 상대의 가드를 무너뜨리는 '가드 브레이크'를 쓸 수 있으며 EX2부터는 '엑셀 콤보'라는 오리지널 콤보 비슷한 용도에도 게이지를 사용한다.
2.4. 스트리트 파이터 3 시리즈
[image]
게이지는 하단에 존재. 명칭이 '슈퍼 아츠'로 다르고 3개의 슈퍼아츠 중 1개를 선택할 수 있는 형식이지만 근본적으로는 기존의 슈퍼콤보와 거의 유사하다.
게이지의 1줄 길이와 최대 축적량은 선택한 슈퍼 아츠에 따라 다른데, 슈퍼 아츠에 따라 최소 1줄에서 최대 3줄까지 축적(스톡)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게이지 1줄마다 슈퍼 아츠 1회가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게이지가 길고 스톡이 적을 수록 슈퍼 아츠를 사용할 기회가 적지만 이런 부류의 슈퍼 아츠일수록 한방의 위력이 높다. 반대로 위력이 낮은 슈퍼 아츠는 스톡이 많거나 게이지가 짧아서 사용할 기회가 자주 온다. 세컨드 임팩트부터는 1줄이 다 차지 않았더라도 일정량의 게이지를 소모하여 EX 필살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EX 필살기를 사용 가능한 만큼의 게이지가 축적되면 게이지가 빛난다. 스톡이 1줄인 슈퍼 아츠는 EX 필살기를 써버리면 슈퍼 아츠를 쓸 수 없게 되므로 심리적으로 EX기 사용에 제약이 걸리는 경향이 있어 기피되는 편.[1] 게이지 길이, 스톡 갯수, EX 필살기, 슈퍼 아츠의 성격이 복잡하게 맞물려 슈퍼 아츠를 무엇으로 선택하느냐에 따라 의외로 캐릭터의 전략을 크게 바꾸는 요소.
고우키는 EX 필살기가 없고 모든 슈퍼 아츠의 스톡(2개), 게이지 길이가 동일하다는 특징이 있어서 상기한 문제에서 자유롭다.
2.5. 스트리트 파이터 4 시리즈
[image]
하단에 2개의 게이지가 있는데 이 중 '''COMBO''' 라는 마크를 가진 게이지가 슈퍼 콤보에 사용되는 게이지이며, 4칸으로 나뉘어져 있다. 이번작부터 더이상 중/강 기본기와 특수기를 헛치는 것으로 게이지를 모을 수 없게 되었으며 무조건 히트시키거나 가드시켜야지만 게이지를 얻도록 변경되었다.
게이지 1칸, 즉 25%를 소모하여 1회씩 EX필살기를 사용할 수 있고, 게이지 2개(50%)를 사용하여 세이빙 캔슬/EX 세이빙 어택과 레드 세이빙 어택(USF4 한정), 3개(75%) EX 레드 세이빙 어택(USF4한정)이 가능하며, 게이지가 MAX가 되어 SUPER 마크가 생성될 경우 게이지를 완전히 소모하여 슈퍼콤보를 시전할수 있다. 슈퍼 콤보는 필살기와 마찬가지로 기본기에서 캔슬이 가능하며 필살기에서 슈퍼 콤보로 캔슬하는 슈퍼캔슬도 가능하기 때문에 콤보에 조합하기가 좋다.
참고로 스파4 의 경우 슈퍼콤보 외에도 울트라콤보라는 초필살기 형태의 기술들이 있고, 슈퍼 콤보 게이지의 활용 범위가 넓은데다 1라운드당 1~2회 사용을 보장하는 울트라콤보에 비해 게이지 축적에 따른 사용기회도 적다 보니 전작들에 비해 슈퍼 콤보를 잘 사용하지 않게 되는 편인데 이것도 캐릭터마다 케바케라 슈퍼 콤보의 성능이 높고 EX필살기 의존도가 낮은 편인 류나 고우키 같은 캐릭터나 슈콤 성능이 개사기(...)인 윤, 슈퍼콤보가 주력 딜링인 달심, 슈퍼 콤보에서 울트라 콤보가 이어지는(!) 켄, 사가트, 겐 등은 종종 대회같은데서도 슈퍼 콤보가 터지는 걸 구경할 수 있지만 EX 필살기 의존도가 높은 더들리나 고우켄 같은 캐릭터는 슈퍼콤보 성능이 꽤 괜찮음에도 슈퍼 콤보 구경하기가 힘든 편. 대체로 울트라 콤보에 비해 슈퍼 콤보 쪽이 위력은 떨어지지만 발생속도 등이 우월한 경우가 많다.
울트라콤보와 마찬가지로 암전시간에도 입력을 받기 때문에 암전 부수기를 당할 가능성이 있지만 울트라콤보에 비해 연출이 극히 짧으므로 예상하지 않으면 암전 부수기를 하기가 어려운 편.
2.6.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
[image]
(이미지: 스트리트 파이터 5 오리지널판)
V 게이지와 함께 하단에 존재한다. 게이지의 명칭은 '크리티컬 게이지'로, 슈퍼 콤보의 명칭은 '크리티컬 아츠'로 변경되었다. 스파 4에 비해 1칸 줄어들어 총 3칸이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게이지 1칸으로 EX 필살기를 사용하며, 게이지 MAX시 CA 마크가 생성되고 이 때 게이지를 전부 소모하여 크리티컬 아츠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캐릭터는 V-트리거 상태에서만 사용 가능한 필살기 및 크리티컬 아츠를 탑재하고 있다.
특이하게도 가일과 장기에프를 제외한 모든 캐릭터의 크리티컬 아츠 커맨드가 ↓↘→↓↘→ + P or K 또는 ↓↙←↓↙← + P or K 형태로 통일되었다. 가일은 "← 모은 뒤 →←→ + P", 장기에프는 "접근해서 레버 2회전 + P"의 변태 커맨드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고우키의 순옥살 역시 전통의 커맨드를 따르고 있다.
3. 슈퍼콤보 목록
3.1. 스트리트 파이터 2 시리즈
- 류 - 진공파동권
- 켄 마스터즈 - 승룡열파
- 에드몬드 혼다 - 귀무쌍
- 춘리 - 천열각
- 블랑카 - 그랜드 세이브 롤링
- 장기에프 - 파이널 아토믹 버스터
- 가일 - 더블 서머솔트
- 달심 - 요가 인페르노
- 마이크 바이슨 - 크레이지 버팔로
- 발로그 - 롤링 이즈나 드롭
- 사가트 - 타이거 제노사이드
- 베가 - 니 프레스 나이트메어
- 썬더 호크 - 더블 타이푼
- 페이롱 - 열화진권
- 캐미 화이트 - 스핀 드라이브 스매셔
- 디제이 - 소버트 카니발
- 고우키(USF2)[2] - 순옥살
- 살의의 파동에 눈뜬 류(USF2) - 순옥살
- 세뇌당한 켄(USF2) - 신무멸권
- 진 고우키(USF2) - 순옥살
3.2.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시리즈
제로 시리즈 3편을 묶어서 서술하며 이 중 제로3의 X이즘 전용 슈퍼 콤보는 굵은 글씨로 표기한다.
- 류 - 진공파동권, 진공용권선풍각, 멸 승룡권
- 켄 마스터즈 - 승룡열파, 신룡권, 질풍신뢰각
- 춘리 - 천열각, 기공장, 패산천승각
- 사가트 - 타이거 제노사이드, 타이거 캐논, 타이거 레이드, 앵그리 차지
- 아돈 - 재규어 배리어 어설트, 재규어 리볼버
- 버디 - 불 리벤저, 더 버디
- 가이 - 무신팔쌍권, 무신강뢰각, 무신무쌍연예
- 소돔 - 명도의 선물, 천중살
- 찰리 내쉬 - 소닉 브레이크, 크로스 파이어 블리츠, 서머솔트 저스티스
- 로즈 - 오라 소울 스로우, 오라 소울 스파크, 소울 일루전
- 베가 - 사이코 크러셔, 파이널 사이코 크러셔[3] , 니 프레스 나이트메어
- 고우키 - 멸살호승룡, 멸살호파동, 천마호참공, 순옥살
- 히비키 단 - 진공아도권, 황룡열화, 필승무뢰권, 도발전설, 도발신화
- 달심 - 요가 인페르노, 요가 템페스트, 요가 스트림, 요가 스트라이크
- 장기에프 - 파이널 아토믹 버스터, 에어리얼 러시안 슬램
- 겐[4] - 참영, 사점주, 사교팔, 광아
- 롤렌토 - 테이크 노 프리즈너, 마인 스위퍼, 스틸 레인
- 카스가노 사쿠라 - 진공파동권, 벚꽃 흩뜨리기, 춘일번
- 캐미 화이트 - 스핀 드라이브 스매셔, 리프트 샤프트 브레이커, 킬러 비 어설트
- 블랑카 - 그랜드 세이브 롤링, 트로피칼 해저드
- 에드몬드 혼다 - 귀무쌍, 후지산 바람, 오로치 부수기
- 발로그 - 플라잉 바르셀로나 스페셜, 롤링 이즈나 드롭, 스칼렛 미라지, 레드 임팩트
- 코디 트래버스 - 파이널 디스트럭션, 데드 엔드 아이러니
- 레인보우 미카 - 레인보우 히프 러시, 헤븐리 다이너마이트, 사르딘즈 비치 스페셜
- 칸즈키 카린 - 칸즈키류 신비개벽, 칸즈키류 황왕권
- 마이크 바이슨 - 크레이지 버팔로, 기가톤 블로
- 율리 - 스핀 드라이브 스매셔, 리버스 샤프트 브레이커, 사이코 롤링, 데스 크로스 댄싱
- 유니 - 사이코 스트릭, 스핀 드라이브 스매셔, 사이코 롤링, 데스 크로스 댄싱
- 가일 - 서머솔트 스트라이크, 소닉 허리케인
- 썬더 호크 - 레이징 타이푼, 캐니언 스플리터
- 페이롱 - 열화진권, 치염연각, 용팔쇄
- 디제이 - 클라이맥스 비트, 소버트 카니발, 테마 오브 선라이즈
- 살의의 파동에 눈뜬 류 - 진공파동권, 멸살호승룡, 진공용권선풍각, 순옥살
- 이글 - 유니언 잭 플래티넘, 맨체스터 골드
- 겐류사이 마키 - 무신 강뢰파, 텐구 놀리기, 공중 텐구 놀리기, 철심붕
- 윤 - 창뢰연격, 양포, 비천쌍용진
- 잉그리드 - 선 버스트, 선 델타, 선샤인
3.3. 스트리트 파이터 3 시리즈
명칭 : 슈퍼 아츠
- 류 - I 진공파동권, II 진 승룡권, III 전인파동권
- 켄 마스터즈 - I 승룡열파, II 신룡권, III 질풍신뢰각
- 춘리 - I 기공장, II 봉익선, III 천상난화
- 알렉스 - I 하이퍼 밤, II 부메랑 레이드, III 스턴건 헤드버트
- 더들리 - I 로켓 어퍼, II 롤링 썬더, III 콕스크류 블로
- 이부키 - I 하주작, II 갑옷뚫기, III 파심충(1st, 2nd), 암시우(3rd)
- 엘레나 - I 스피닝 비트, II 브레이브 댄스, III 힐링
- 마코토 - I 정중선 오단 지르기, II 난폭한 토사파도 부수기, III 단전연기 - 공격의 자세
- Q - I 돌진해서 치사 연속타격(가칭), II 복부에서 후두부로의 통타(가칭), III 폭발에 따른 타격과 붙잡기(가칭)
- 유리안 - I 타일런트 퍼니셔, II 유피텔 썬더, III 에이지스 리플렉터
- 휴고 - I 기가스 브레이커, II 메가톤 프레스, III 해머 마운틴
- 네크로 - I 초전자 스톰, II 슬램 댄스, III 일렉트릭 스네이크
- 트웰브 - I X.N.D.L., II X.F.L.A.T., III X.C.O.P.Y.
- 오로 - I 귀신력, II 야행혼, III 천구석
- 숀 마츠다 - I 하도 버스트, II 소류 캐논, III 하이퍼 토네이도
- 윤 - I 양포, II 창뢰연격, III 환영진
- 양 - I 뇌진마파권, II 전신천궁퇴, III 성영원무
- 레미 - I 분노의 슈펠노바, II 비엘쥬에게 안식을, III 차갑고 푸른 루그레
- 고우키 - I 멸살호파동/천마호참공(공중), II 멸살호승룡, III 멸살호나선/멸살호선풍(공중), 순옥살(기본 장착), 금강국열참(3rd 한정 기본 장착)
- 길[5] - 레저렉션, 메테오 스트라이크, 세라픽 윙
3.4. 스트리트 파이터 4 시리즈
- 류 - 진공파동권
- 켄 마스터즈 - 승룡열파
- 춘리 - 천열각
- 에드몬드 혼다 - 귀무쌍
- 가일 - 더블 서머솔트
- 장기에프 - 파이널 아토믹 버스터
- 블랑카 - 그랜드 세이브 롤링
- 달심 - 요가 인페르노
- 마이크 바이슨 - 크레이지 버팔로
- 발로그[6] - 플라잉 바르셀로나 스페셜 / 롤링 이즈나 드롭, 인세니티 게이즈(오메가 모드)[7]
- 사가트 - 타이거 제노사이드
- 베가 - 니 프레스 나이트메어
- 캐미 화이트 - 스핀 드라이브 스매셔
- 디제이 - 소배트 카니발
- 페이롱 - 열화진권
- 썬더 호크 - 더블 타이푼
- 고우키 - 순옥살
- 고우켄 - 금기 승룡권
- 아벨 - 무심
- 엘 포르테 - 엘 포르테 다이너마이트
- 크림슨 바이퍼 - 이머전시 콤비네이션
- 루퍼스 - 스펙타클 로망스
- 세스 - 단전 스톰
- 겐[8] - 참영, 사교팔
- 로즈 - 소울 스파크, 소울 스파크 듀(오메가 모드), 소울 스파크 트레(오메가 모드)
- 카스가노 사쿠라 - 춘일번
- 히비키 단[9] - 필승무뢰권, 도발전설
- 가이 - 무신팔쌍권
- 코디 트래버스 - 데드 앤드 아이러니
- 아돈 - 재규어 배리어 어설트
- 더들리 - 로켓 어퍼
- 마코토 - 단전연기 공격의 자세
- 이부키 - 하주작
- 하칸 - 플라잉 오일 스핀
- 한주리 - 풍파연인 / 농주망(오메가 모드)
- 윤 - 환영진
- 양 - 성영원무
- 살의의 파동에 눈뜬 류 - 순옥살
- 광기의 오니 - 순옥살
- 롤렌토 - 마인 스위퍼
- 디카프리 - 스트레이프 대거
- 휴고 - 해머 마운틴
- 엘레나 - 스피닝 비트
- 포이즌 - 썬더 윕
3.5.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
명칭 : 크리티컬 아츠. 기술명은 일판 기술명으로 작성.
- 류 - 진공파동권, 전인파동권(V-트리거 Ⅰ 중에만 사용 가능. 발동 시 V-트리거 Ⅰ 해제)
- 춘리 - 봉익선
- 찰리 내쉬 - 저지먼트 세이버
- 베가 - 얼티밋 사이코 크러셔
- 캐미 화이트 - 크로스 스팅거 어설트
- 버디 - 배드 스킵 체인
- 켄 마스터즈 - 홍련염신각(紅蓮炎迅脚)
- 네칼리 - 명예의 의식(名誉の儀式), 혼의 현상(魂の献上, V-트리거 Ⅰ/Ⅱ 중에만 사용 가능)
- 발로그 - 블러디 레인
- 레인보우 미카 - 배들리 피치
- 라시드 - 알타이르
- 칸즈키 카린 - 칸즈키류 패도 6식 패자의 형
- 장기에프 - 볼쇼이 러시안 수플렉스
- 라라 마츠다 - 이나즈마 스핀 홀드
- 달심 - 요가 선버스트
- F.A.N.G - 사시루루(死屍累々)
- 알렉스 - 헤비 해머
- 가일 - 소닉 허리케인, 소닉 템페스트(V-트리거 Ⅰ 중에만 사용 가능. 발동 시 V-트리거 Ⅰ 해제)
- 이부키 - 화조풍월
- 마이크 바이슨 - 기가톤 블로
- 한주리 - 살계풍파참
- 유리안 - 도미넌트 크래시
- 고우키 - 적아공열파, 순옥살(V-트리거 Ⅰ 중에만 사용 가능. 발동 시 V-트리거 Ⅰ 해제)
- 콜린 - 프로스트 타워
- 에드 - 사이코 배러지
- 아비게일 - 아비게일러
- 메나트 - 운 네페르템
- 제쿠 - 발산개세
- 카스가노 사쿠라 - 벛꽃비
- 블랑카 - 다이나믹 롤링
- 팔케 - 사이코 플뤼겔
- 코디 트래버스 - 크리미널 퍼니셔
- G - 판게아 버스트
- 사가트 - 타이거 램피지
- 카게나루모노 - 멸 승룡권, 순옥살(V-트리거 Ⅱ 중에만 사용 가능. 발동 시 V-트리거 Ⅱ 해제)
[1] 단 스톡이 1줄이면서 짧은데도 불구하고 필수적으로 채용되는 슈퍼 콤보가 있으니 이름하여 윤의 '환영진'. 애초에 윤의 EX 필살기 성능이 좋은 것도 아닌데다가 환영진이 너무 압도적으로 좋은지라 거의 백이면 백 환영진을 선택한다.[2] SSF2X 드림캐스트 이식판은 멸 고우키만 사용 가능[3] 파이널 베가 한정.[4] 참영과 사점주는 상류에서만, 사교팔과 광아는 기류에서만 사용가능하다.[5] 한 게이지로 이 3가지를 다 사용할 수 있다.[6] 암전 후 조작에 따라 슈퍼 콤보가 바뀐다.[7] 가면 벗기. 원래는 EX 필살기다.[8] 참영은 상류에서만, 사교팔은 기류에서만 사용 가능하다.[9] 겐이 유파에 따라 달라지는 것, 발로그는 조작에 따라 달라지는 것과는 달리 이쪽은 조작 또는 특정 행동과 관계 없이 슈퍼 콤보가 2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