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승용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국회의원 (전남 여수시 을)'''
''선거구 분리''
김충조[27]

'''제17~20대
주승용'''

제21대
김회재

'''대한민국 국회 국토교통위원장'''
제18대 전반기
김기현

'''제19대 전반기
주승용'''

제19대 후반기
박기춘

'''민주통합당 정책위원회 의장'''
초대
박영선·
홍종학

'''제2대
주승용'''·
홍종학

제3대
이용섭

'''사무총장'''
초대
노웅래

'''제2대
주승용'''

제3대
조정식





'''전라남도 여천군수'''
<color=#373a3c> ''' 민선1기 '''
<color=#373a3c>
<color=#373a3c> ''' 민선1기 '''
<color=#373a3c>
<color=#373a3c> ''' 민선2기 '''
37대
정근진[28]

38대
'''주승용'''

''통합''[29]
'''전라남도 여수시장'''
<color=#373a3c> ''' 민선1기 '''
<color=#373a3c>
<color=#373a3c> ''' 민선2기 '''
<color=#373a3c>
<color=#373a3c> ''' 민선3기 '''
''통합''[30]

초대
'''주승용'''

2대
김충석

대한민국 제20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주승용
朱昇鎔 | Joo Seung-yong

'''출생'''
1952년 7월 27일 (72세)
전라남도 고흥군 고흥읍 남계리[1]
'''본관'''
신안 주씨[2]
'''재임기간'''
제20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2018년 7월 13일 ~ 2020년 5월 29일
'''외부링크'''
/ / /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부모'''
아버지 주인철
'''배우자'''
정현숙
'''자녀'''
슬하 1남 2녀
'''신체'''
172cm, O형
'''종교'''
개신교[31]
'''학력'''
광주제일고등학교 (졸업 / 46회)
성균관대학교 (전자공학 / 학사)
고려대학교 (경영학 / MBA)
전남대학교 (수산과학 / 박사)
'''병역'''
해군 중위 전역
'''소속 정당'''

'''의원 선수'''
'''4'''
'''의원 대수'''
'''17''', '''18''', '''19''', '''20'''
'''경력'''
제4·5대 전라남도의회 도의원
민선1~3기 여천군수·여수시
초대 통합 여수시
대한민국 국회의원
민주통합당 정책위원회 의장
새정치민주연합 사무총장
새정치민주연합 수석최고위원
국민의당 원내대표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제20대 국회 후반기 부의장
바른미래당 전남도당위원장

1. 개요
2. 상세
3. 여담
4. 논란
4.1. 세월호 참사 당시
4.2. 악마 발언
4.3. 정권교체 못 해도 발언 논란
5. 소속 정당
6. 선거 이력
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정치인. 1952년 전라남도 고흥군에서 광주경찰서장 및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을 지낸 아버지 주인철(朱仁喆)[3]과 어머니 달성 서씨 서영애(徐永愛)[4] 사이의 2남 5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한때 김한길계에 속했으나, 현재는 국회부의장 등을 역임하고 당대표급 위상을 가지게 되었다.
광주서석국민학교[5]광주제일고등학교(46회),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과, 고려대학교 MBA를 졸업하였다. 이후 개인사업을 하였다.
국민의당에서는 본래 중재파였으나, 김동철, 박주선과 함께 국민의당+바른정당 합당에 찬성하였고, 한동안 '''전라남도 내에서는 유일한 바른미래당 소속 국회의원'''이었다.

2. 상세


7번의 탈당, 8번의 당선의 전설로 알려져있기도 하다.[6] 여기에 덤으로 도지사 출마를 위한 국회의원 사퇴 번복, 최고위원 사퇴 번복이 있다.
1991년 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전라남도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7] 당선 직후 신민주연합당에 입당하였다.
이후 민주당 입당 후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당내 경선 패배 후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전라남도의회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 후 새정치국민회의가 창당되자 입당하였다.[8]
1996년 여천군수 재보궐선거에서 당내 경선 패배 후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리고 다시 복당하였다.
삼려 통합 후에 치러진 1998년의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여수시장 재보궐선거에 출마하여 초대 통합여수시장으로 '''당선'''되었다. 이 때도 '''경선에서 패배하고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그러나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무소속으로 여수시장 선거에 출마하였다가 낙선하였다. 그해 11월 정몽준 당시 16대 대선 후보의 국민통합21 창당에 참여했다가 '''탈당하였고''', 1년 뒤인 2003년 말 열린우리당에 입당하였다.[9]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전라남도 여수시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당시만 해도 이미 탈당을 4번한 전력으로 시민단체의 낙선운동의 표적이 되었다. # 이후 열린우리당 전라남도당 위원장, 원내부대표 등을 역임하였다.
2007년 2월, 김한길계[10]에 속하여 열린우리당을 탈당, 중도개혁통합신당 창당과 중도통합민주당 합당에 함께했다. 하지만 중도통합민주당이 도로 깨지면서 대통합민주신당에 합류하게 되는데, 사실 이 경우는 중도개혁통합신당 계의 분당으로 봐야하긴 하지만 6번째 탈당의 횟수를 추가했다.[11]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1년 말 민주당이 민주통합당으로 당명을 변경하면서 민주통합당 정책위원회 의장에 임명되었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에 대한민국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위원장에 선출되었다가 2013년 박근혜 정부정부조직법 개정으로 2014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이후 새정치민주연합 사무총장이자 7.30 재보선 당시 공천관리위원장을 맡았지만 7.30 재보선에서 최악의 공천 실패로 인해 선거에서 참패하자 모든 직책에서 물러났다.
2014년도에 주승용과 이낙연 측 관계자들이 당비 대납의혹을 받아 기소된 적이 있다.
이후 모습을 드러내지 않다가 2015년 2.8 전당대회 때 최고위원 선거에 출마해 1위로 당선되었으나 반문 계열로서 친문이던 정청래의원과 갈등을 빚고 회의장에서 공갈 파문을 만든 후에 2015년 12월 8일 최고위원직을 사퇴하였다.
[image]
그리고 2016년 1월 13일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고 국민의당에 입당하였다. 9년만의 7번째 탈당!
2016년 1월 22일 국민의당 초대 원내대표로 추대되었다.
이렇게 탈당과 복당을 자주 반복함에도 불구하고 지역구에서 지지율이 높은 이유는, '''지역 현안에 해박하며 지역구 관리를 잘하기 때문'''이다. 여천군수 시절에 행정을 잘했던 것은 지금도 회자될 정도. 중앙일보 등에 의해 부동산 투기 의혹이 제기된 적이 있었다. 본인이 개설 예산을 끌어온 도로 주변 땅을 가지고 있었다는 설명인데, 당시 국회 국토교통위원장을 맡고 있었다는 점이 문제가 되었다.
그리고 2016년 2월 2일 국민의당 최고위원으로 지명되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여수 을에서 무난하게 '''당선'''되어 4선 의원이 되었다.
2016년 12월 29일 원내대표 경선에서 김성식을 꺾고 당선되었다. 러닝메이트조배숙도 정책위원회 의장으로 당선되었다.
2018년 국민의당·바른정당 합당 과정에서는 민주평화당 창당에 합류한 다른 전남지역 의원들과 달리 합당에 찬성하여 바른미래당에 잔류하였다. 이에 바른미래당에서 2018년 지선에서 전남지사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었으나 2월 27일에 불출마 선언을 했다.
2018년 7월 13일, 바른미래당 몫 국회부의장으로 선출되었다. 5선인 정병국 의원과의 당내 경선에서[12] 4선인 그가 승리해 후보가 되었고 그대로 부의장이 되었다.
2019년 5월 1일, 손학규 대표에 의해 바른미래당 지명직 최고위원에 임명되었다. 원내대표 경험까지 있는 중진인데다, 무려 현직 국회부의장인 주승용이 지명직 최고위원을 맡는 것에 상당히 의외라는 반응이 나왔다. 하지만 당무를 보지 않으면서 최고위원직에서 8개월만에 경질되었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불출마를 선언했다.

3. 여담


  • 2001년 전남 여수시장 재직 당시 KBS2 슈퍼TV 일요일은 즐거워 - 출발 드림팀 여수 코리아텐더 푸르미 농구단[13] 선수들과 경기 대결에 출연하여 격파시범으로 드림팀을 제압한 바 있다.
  • 지금은 고인이 된 진워렌버핏과 찍힌 사진이 있다.

4. 논란



4.1. 세월호 참사 당시


주승용은 세월호 참사 당시에 세월호 특별법 제정과 관련해 가족들이 정부와 싸우고 있을 당시 논란을 일으켰다. 당시 유가족들은 가족들은 진상규명과 요구가 들어간 세월호 특별법을 제정해달라고 요구했지만 새누리당은 배보상을 앞세운 특별법을 주장했다.
이에 야당은 장외투쟁을 선포하고 가족들과 함께 하기 위해 거리로 나섰다. 문제는 이때 15명의 야당의원들이 장외투쟁을 반대하는 연서명을 하여, 새누리당이 이 야당의원들을 반겼는데, 이들 중에 주승용이 있었다. 당시에 주승용 의원은 장외투쟁을 하는 지도부를 강경하게 비난하며 세월호특별법 협의를 하라고 주장했다.

4.2. 악마 발언


주승용은 새정치민주연합 최고위원직 사퇴를 선언하면서 “(야당의)악마[14]를 막지 못한 것 같다”고 발언해 온라인상에서 비난이 쏟아졌는데. 아에 일부 네티즌들은 “누워서 침뱉기”라는 등 부적절한 발언이라고 꼬집었다.

4.3. 정권교체 못 해도 발언 논란


2017년 1월 5일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문 전 대표는 지금 야당이 분열된 원인 제공자이고 분당의 책임자"라면서 "아직도 민주당에 패권주의가 만연돼 있다면 정권교체보다도 그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권교체를 못 하는 한이 있어도 친문과는 손을 못 잡는다(는 말이냐)’는 질문에 '''“우리가 정권교체를 못해도 (그렇다)”'''라고 답했다. 한편 그러면서도 “가칭 개혁보수신당 이름이 ‘개혁보수’이기 때문에 정체성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에 논란이 커지자 페이스북에 “발언이 잘못 전달됐다. 패권주의 타파도 중요하지만 정권교체가 더 중요하다”고 해명 글을 올리기도 했다. 이에 대해서 정청래 의원은 이 발언은 호남의 역린을 건드린 발언이라며 비판을 했다.#

5.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1991
정계 입문

1991
창당

1991 - 1995
합당[15]

1995
지선 공천 탈락 불복으로 인한 탈당

1995 - 1996
입당

1996
지선 공천 탈락 불복으로 인한 탈당

1996 - 1998
복당

1998 - 2002
탈당

2002
창당

2002 - 2003
탈당

2003 - 2007
입당

2007
탈당

2007
창당

2007
합당[16]

2007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2007 - 2008
창당

2008
합당[17]

2008 - 2011
당명 변경

2011 - 2013
합당[18]

2013 - 2014
당명 변경

2014 - 2015
합당[19]

2015 - 2016
당명 변경

2016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2016 - 2018
창당

2018 - 2020
합당[20]

2020 -
합당[21]

6.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91
1991년 지방선거
전라남도의회 여천 2선거구

'''8,484 (41.80%)'''
'''당선 (1위)'''
'''초선'''
1995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8,256 (42.70%)'''
'''재선'''[22]
1996
1996년 8월 재보궐선거
전남 여천군수
'''21,484 (38.30%)'''
'''초선'''[23]
1998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24]
전남 여수시장
'''56,734 (56.14%)'''
'''초선'''
2002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42,382 (46.61%)
낙선 (2위)

200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전남 여수 을

'''44,112 (66.90%)'''
'''당선 (1위)'''
'''초선'''
2008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42,958 (83.86%)'''
'''재선'''
2012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44,313 (70.50%)'''
'''3선'''
2016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34,284 (50.42%)'''
'''4선'''[25][26]

7. 둘러보기









[1] 부친 주인철의 고향은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 조화리이다.#[2] 33세.[3] 일명 주인중(朱仁中).[4] 서종영(徐鍾英)의 딸이다.[5] 이전 서술에는 광주서석중학교를 졸업했다고 기재됐으나 서석중학교는 1986년에 개교한 학교다. 인터넷 상 프로필을 보면 광주동성중학교(광주상고 연계학교) 또는 광주동중학교(광주고 연계학교)를 졸업한 것으로 나와있다.[6] 탈당으로 유명한 이인제김한길에 가려져있을 뿐, 주승용 역시 탈당 이력이 많다. 그리고 주승용 역시 김한길계로 분류된다.[7] 당시는 기초의원은 아예 정당 공천이 없었고, 광역의원도 무소속 출마가 많았다. 다만 전남에서는 73명의 당선자 중 무소속은 5명뿐이었다.[8] 이것이 '복당'이 아닌 이유는 새정치국민회의가 민주당에서 탈당해 새로 창립되었기 때문이다.[9] 그러다보니까, 의외로 주승용 의원의 당력에는 2000년부터 분당까지 3년, 이후로도 5년 더해 8년간 존속한 새천년민주당이 없다. 아주 굳이 따지면 중도통합민주당이 있긴 한데...[10] 참고로 김한길도 8번의 탈당을 기록한 인물이다! # (이 글에는 7번째 탈당으로 언급되는데, 이 7번 가운데 중도통합민주당 탈당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더하면 8번.) 심지어 후반부 3번은 주승용과 행보가 같았다.[11] 사람에 따라서 6번째의 이 경우는 카운팅 억지라고도 볼 수 있을 듯.[12] 구 국민의당은 총선에 후보를 자기 이름으로 냈던 정당이기 때문에 그 몫의 비례대표가 있는 반면, 구 바른정당은 총선 이후 새누리당에서 분당된 것이기 때문에 비례대표가 없다. 그래서 안철수가 비례대표를 그대로 끌고 들어온 국민의당계가 숫자가 훨씬 많다. 그걸 아는 바른정당계는 정병국이 5선으로 선수가 앞서기 때문에 추대하자고 제안했고, 반면 국민의당계는 경선하면 숫자가 많아서 필승이기 때문에 경선을 주장했다.[13]부산 kt 소닉붐[14] 문재인을 칭하는 것으로 많은 사람들이 추측했다.[15] 민주당과 신설 합당[16] 민주당과 신설 합당[17] 민주당과 신설 합당[18]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19]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20] 바른정당과 신설 합당[21]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과 신설 합당[22] 1996년 사퇴(여천군수 재보궐 출마)[23] 전임자 정근진 사직[24] 삼려 통합 후 초대 통합여수시장 당선[25] 2018.02.13 바른미래당 창당(신설합당)
2020.02.24 민생당 합당
[26] 후반기 국회부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