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뻔뻔 저묵묵 프징징

 

1. 설명
4. 저묵묵
5. 관련 문서


1. 설명


2000년대 중반, 스덕후 사이에서 유행한 관용구로, 당시 스타크래프트종족이 처했던 밸런스 논쟁을 하는 '''빠'''들을 압축한 표현이다. 가장 먼저 등장한 단어는 프징징.
'''지명 형식이 아닌 오프라인 개인 리그에서의 우승, 준우승 상금의 총합'''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며, 복수 종족 사용 플레이어의 결승 내역 및 3위 이하는 제외하였다.
제외된 상금 내역 : 기욤 패트리 ₩ 2,000만[1], 최진우 ₩ 1,000만[2], 베르트랑 U.S. $ 10,000[3], 프레들릭 카이델( Fredrik Keitel.) U.S. $ 10,000[4]
해당 기준으로 가장 최근의 대회(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0 )의 결승전 이후을 기준.
병역 관련 정보는 해당인의 전역 및 소집 해제 시기의 기록를 기준, 병역 미종결 상태라면 현재 병역을 기준으로 기재하였다.
종족
저그
테란
프로토스
결승전 상금 획득자
26명
21명
18명
우승, 준우승 상금 총액
₩ 13억 2,500만
+ U.S. $ 215,000
+ CN ¥ 30,000[5]
₩ 13억 9천 550만
+ U.S. $ 149,500
+ CN ¥ 95,000[6]
₩ 8억 6,100만
+ U.S. $ 130,500
+ CN ¥ 120,000[7]
선수별


이제동( 90년 1월 생 )
( 육군 현역병 )
₩ 3억 5,000만
+ U.S. $ 30,000
( 87년 11월 생 )
( 면제 )
₩ 1억 4,500만
+ $ 51,000
+ CN ¥ 30,000
김정우( 91년 1월 생 )
( 의경 )
₩ 1억
+ U.S. $ 25,000
박성준( 86년 12월 생 )
( 육군 현역병 )
₩ 1억 1,000만
+ U.S. $ 10,000
김명운( 90년 2월 생 )
( 의경 )
₩ 8,000만
+ U.S. $ 10,000
홍진호( 82년 10월 생 )
( 공군 ACE 게임단 병 )
₩ 4,600만
+ U.S. $ 25,000
( 87년 12월 생 )
( 육군 현역병 )
₩ 5,000만
+ U.S. $ 14,000
조용호( 84년 12월 생 )
( 육군 현역병 )
₩ 5,500만
김민철( 91년 12월 생 )
( 공익 )
₩ 5,000만
김윤환( 89년 6월 생 )
( 의경 )
₩ 5,000만
박태민( 84년 12월 생 )
( 공군 ACE 게임단 병 )
₩ 2,500만
+ U.S. $ 25,000
조일장( 90년 6월 생 )
( 의경 )
₩ 4,300만
신동원( 91년 9월 생 )
( 공익 )
₩ 4,000만
김준영( 85년 12월 생 )
( 공군 현역병 )
₩ 4,000만
한상봉( 90년 2월 생 )
( 육군 현역병 )
₩ 3,000만
차명환( 89년 11월 생 )
( 공군 ACE 게임단 병 )
₩ 2,000만
( 87년 12월 생 )
( 육군 현역병 )
₩ 2,000만
( 84년 10월 생 )
( ? )
U.S. $ 20,000
강도경( 81년 11월 생 )
( 공군 ACE 게임단 병 )
₩ 2,000만
임홍규( 94년 7월 생 )
( 공익[8] )
₩ 1,200만
박상현( 95년 8월 생 )
( 미필 )
₩ 1,000만
심소명( 84년 9월 생 )
( ?[9] )
₩ 1,000만
박준오( 92년 6월 생 )
( 상근 )
₩ 900만
이영한( 91년 8월 생 )
( 공익 )
₩ 500만
이철민( 89년 10월 생 )
( 상근 )
U.S. $ 5,000[10]
국기봉( 80년 3월 생 )
( ?[11] )
₩ 500만
이영호( 92년 7월 생 )
( 미필 )
₩ 5억 3,500만
+ U.S. $ 7,000
이윤열( 84년 11월 생 )
( 상근 )
₩ 1억 5,700만
+ U.S. $ 22,500
최연성( 83년 11월 생 )
( 상근 )
₩ 1억 1,000만
+ U.S. $ 30,000
+ CN ¥ 95,000
정명훈( 91년 7월 생 )
( 의경 )
₩ 1억 2,000만
임요환( 80년 9월 생 )
( 공군 ACE 게임단 병 )
₩ 5,600만
+ U.S. $ 40,000
박성균( 91년 10월 생 )
( 공익 )
₩ 7,500만
김성현( 92년 12월 생 )
( 미필 )
₩ 7,000만
박지수( 90년 2월 생 )
( 육군 현역병 )
₩ 5,000만
서지훈( 85년 2월 생 )
( 공군 ACE 게임단 병 )
₩ 2,000만
+ U.S. $ 25,000
한동욱( 86년 9월 생 )
( 공군 ACE 게임단 병 )
₩ 4,000만
이재호( 90년 3월 생 )
( 욱군 현역병 )
₩ 4,000만
변형태( 87년 2월 생 )
( 공군 ACE 게임단 병 )
₩ 3,700만
최호선( 90년 2월 생 )
( 공익 )
₩ 2,000만
변길섭( 84년 1월 생 )
( 공익 )
₩ 2,000만
조기석( 92년 6월 생 )
( 육군 현역병 )
₩ 1,500만
염보성( 90년 3월 생 )
( 육군현역병 )
₩ 650만
U.S. $ 5,000
이병민( 86년 11월 생 )
( 육군 현역병 )
₩ 1,000만
전상욱( 87년 2월 생 )
( 욱군 현역병 )
U.S. $ 10,000
Andrey Kukhianidze
U.S. $ 10,000[12]
구성훈( 89년 7월 생 )
( 육군 현역병 )
₩ 800만
한웅렬( 81년 6월 생 )
( 육군 현역병 )
₩ 600만


김택용( 89년 11월 생 )
( 육군 현역병 )
₩ 2억 1,100만
+ U.S. $ 30,000
+ CN ¥ 80,000
송병구( 88년 8월 생 )
( 면제 )
₩ 1억 3,000만
+ U.S. $ 55,500
+ CN ¥ 40,000
허영무( 89년 5월 생 )
( 육군 현역병 )
₩ 1억 3,500만
+ U.S. $ 10,000
정윤종( 92년 8월 생 )
( 면제 )
₩ 7,000만
강민( 82년 3월 생 )
( 공익 )
₩ 5,000만
+ U.S. $ 15,000
박정석( 83년 12월 생 )
( 공군 ACE 게임단 병 )
₩ 4,000만
+ U.S. $ 3,000
오영종( 86년 10월 생 )
( 공군 ACE 게임단 병 )
₩ 4,000만
박용욱( 83년 12월 생 )
( 공익 )
₩ 3,000만
김동수( 81년 3월 생 )
( 산업기능요원 )
₩ 3,000만
장윤철( 93년 4월 생 )
( 육군 현역병 )
₩ 2,000만
변현제( 94년 1월 생 )
( 상근 )
₩ 2,000만
진영화( 90년 8월 생 )
( 면제 )
₩ 2,000만
김구현( 90년 10월 생 )
( 공군 ACE 게임단 병 )
₩ 2,000만
도재욱( 89년 10월 생 )
( 공익 )
₩ 2,000만
이재훈( 1981년 2월 생 )
( 공군 ACE 게임단 병 )
U.S. $ 20,000
김윤중( 90년 7월 생 )
( 상근 )
₩ 1,500만
전태규( 84년 2월 생 )
( 해병대 현역병 )
₩ 1,000만
사쥔춘
U.S. $ 7,000[13]

2. 프징징


이 표현중에서 가장 먼저 알려진 것은 프징징이다. 프로토스는 빠는 많지만, 리그에서의 활약은 적었다. 그리고 이전부터 체제 경직이 심한 종족의 특성상 널뛰기가 심했다. 리그의 최다 종족을 차지한 적은 거의 없었으며 섬맵이 아닌한 맵빨도 받았다 말았다 했다. 여기에 프로토스는 테란과 같은 '시대의 지배자'라고 불릴 만한 게이머가 나타나지도 않았고, 초기에는 맵 밸런스 조정에 대한 인식도 없다보니 이런저런 구조물을 생각없이 만들면 테란맵이 되기 쉬웠다.
이러다보니 '''아놔, 저그들에게 털리는 만큼 테란은 잡아먹어야 하는데 테란이 안잡히네요? 캐사기 테란'''하면서 프테전은 가장 극복하기 쉬운 역상성전이라는 평이 나왔다. 그리고 임성춘부터 시작된 게이머들의 유구한 징징의 역사 게이머가 징징거리니 종족빠들도 따라서 징징거린다.
온게임넷 코크'배 스타리그에서 임요환에게 패한 임성춘은 자신의 팬 카페에 맵을 투정하는 글을 올린 적이 있다. 맵이 그 악명 높은 라그나로크이긴 했으나, 게이머의 팬들 입장에서는 선수가 맵 탓을 하니 좋아보일리 만무했던게 사실. 이후 박정석, 송병구 등 대부분의 프로토스 유저들은 징징댄다. 참고로 프로토스가 좋다고 말한 게이머가 둘 있는데, 한 명은 강민이고 또 한 명은 김택용이다. 하지만 그런 강민은 심심하면 징징거리며, 김택용조차 가끔 징징거린다.
'''오죽하면 밥먹고 게임만 하는 프로게이머가 이러겠냐?'''라는 식. 머큐리테저전은 의외로 준수했음에도 불구하고 훡유리라는 불명예스런 별명을 얻게 된 것은 토스빠들의 목소리가 그만큼 컸음을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다. 다만, 빠들이 많고 좋은 기록을 달성하는 게이머의 수는 적은 만큼 방송사에게는 사랑받는 종족이었다. 소수 종족인 프로토스가 가을의 전설로 대표되는 토스의 우승을 차지하는 모습은 리그 흥행에 막대한 기여를 했으니.
브루드 워 발매 후, 20년이 다 돼 가는 지금까지 리그에서 프로토스는 '결승전 최저 진출 종족' 기록과 '우승, 준우승 상금 총합 최저 종족' 기록에서 빠져나가지 못 하고 있다.

3. 테뻔뻔


반면 테란은 이전부터 양대 개인 리그 최다 결승 진출을 기록한 종족이다. 임요환, 이윤열, 최연성으로 이어지는 시대의 지배자 뿐 아니라 김정민, 서지훈, 이병민 등 A급 선수도 탄탄했으며 선수 개개인의 팬도 많았다.
더욱이 시즈 탱크, 스파이더 마인, 마린, 메딕 등 고효율 유닛과 심시티를 통한 수비가 매우 강력하다보니 타종족 입장에서는 '''테란 사기임!''' 하게 된 것. 이러다 보니 리그 최다 종족도 테란이 차지하는 경우가 많았고, 테란이 징징거릴 때마다 '''아놔, 니들은 사기 유닛도 많고 유저도 많은데 징징대다니 조낸 뻔뻔하신 듯'''해서 테뻔뻔이 되었다.

4. 저묵묵


저묵묵은 저그에 빠를 양성할 만한 스타가 '''초기에는''' 별로 없다는 점에서 유래했다. 테란은 말할 것도 없고, 토스는 일단 종족빠가 많다. 마이큐브 스타리그, NHN 한게임 스타리그 등 플플전 결승 대회가 망했다는 평은 안나온다.
강도경, 봉준구등 초창기의 저그 스타들은 금방 부진에 빠져 팬들이 금방 빠져나갔다. 그나마 조진락,변태준등의 저그 강자들이 있었지만, 꾸준하게 팬덤을 유지한 유일한 스타플레이어는 홍진호 뿐이었다, 사실 홍진호의 팬은 저그빠라기엔 무리가 많았다. 오히려 임요환팬을 공유했다. 이게 제대로 폭발한 게 바로 박성준의 질레트 우승과 이후 펼쳐진 EVER 스타리그 2004 8강에서의 패배인데, '저그의 한을 풀어야 한다'며 '저그의 우승을 기원한다'던 홍진호의 팬들이 원하는 건 사실 '''홍진호의 우승'''이었기 때문이다.
박성준은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저그 플레이어 중에서 최초로 우승을 달성했음에도 박성준의 우승 축하 반응보다는 '홍진호가 우승했어야 한다'는 반응이 많았고, 바로 다음 대회에서 8강에서 홍진호에게 패하자, 기다렸다는 듯이 박성준에게 집단 디스가 가해졌다. 또한 반대편인 MSL에서 저그 플레이어 중에서 최초로 우승을 기록한 박태민에게도 마찬가지로 우승 축하 반응보다는 '홍진호가 우승했어야 한다'는 반응이 많았고, 그 다음 대회에서 박태민이 1승도 못 올리고 16강에서 광탈하자 실망하는 반응들이 많았다. 이 시기까지만 해도 저그빠의 인식은 없었다고 볼 수 있다. 스타 플레이어가 없었기에 2005년 FD테란에 프징징들이 징징거리는 와중에도 So1 스타리그 8강에서 저그가 박성준 한 명 올라온 더 암울한 저그에 관한 이야기는 하나도 없었다. 이러다보니 예전에는 '''저그빠들은 말이 없네? 저묵묵이구만'''하게 된 것. 하지만 저묵묵이 목소리를 낸 적도 있었다.
이후에 이 롱기누스/리버스 템플+데저트 폭스/네오 알카노이드 콤보를 뚫고 양대 개인 리그 결승에 올라가면서 가히 폭풍과 같은 인기를 모은 탓에, 저그빠들은 이 이후로 결집하게 되었다. 이들의 주요 레파토리는 '''롱기,리템같은 맵에서도 버틴 우리 저그 게이머들이 떨어지다니, 맵이 얼마나 저그에게 불리하면 이럼?'''라는 패턴이 많았다.
의 등장 이후, 다음의 저그의 패왕은 이제동이 되었고, 이제동이 본인의 성격상 밸런스에 대해 뭐라고 인터뷰를 막 하는 스타일이 아니어서, 저묵묵의 이미지는 4강 3저그의 아발론 MSL 2009, 4강 4저그의 피디팝 MSL 개최 이전까지 어느정도 계속되었다. 하지만 그 이전에도 저징징, 저뻔뻔 역시 존재했다.
사실 저그라는 종족은 브루드 워스타2나 약체 소리를 들은 적이 별로 없음에도 항상 자신들만 암울하다고 언론 플레이를 해왔다.
브루드 워에서 가장 물고뜯기 좋은 테란한테는 항상 테저전 상성의 불리함을 들며 밸런스 패치를 요구하는 반면, 상성의 유리함이 있는 저프전에서는 저그의 절대적 유리함을 인정하면서도 상성이 그런것이라는 논리로 빠져나가는 일이 많았다..
3해처리 운영, 3해처리 히드라의 등장 이후부터 저그는 이견이 없는 브루드 워 최강의 종족이었으며, 레메 등장 후 7년이 지난 지금도 저그 플레이어가 오프라인 리그 결승전 최다 진출 종족이며 우승, 준우승 상금의 총합이 가장 많다.

5. 관련 문서



[1]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 결승전에서 저그 강도경을 상태로 5판 3선제 결승전에서 1~4경기는 프로토스를 선택해서 사용했고, 마지막 2:2인 5경기에서는 테란를 선택해서 사용하여 승리했다.[2]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 결승전에서 저그 국기봉을 상대로 2,4경기에서 테란을 선택하고 2패했으며, 1,3,5경기에서 저그를 선택하고 3승하고 우승하였다.[3] 2001 WCG 결승전에서 테란 임요환을 상대로 1경기 테란, 2경기 프로토스를 사용하였다[4] WCG 2003 그랜드 파이널 브루드 워 부문에서 1경기는 프로토스, 2경기는 테란, 3경기는 프로토스를 사용했고, 에게 1:2로 패하고 준우승.[5] 약 ₩ 500만.[6] 약 ₩ 1,570만.[7] 약 ₩ 2,000만.[8] 소집 해제 이후에 방광암이 발병하여 면제로 전환이 되었다.[9] 결혼하여 2019년 11월 현재 1남 1녀를 두었다는 소식이 전파된 때에도, 군대 얘기가 없는데, 아마도 면제된 것으로 보인다.[10] IEF 2009( 우승 상금 : $ 10,000 및 준우승 상금 : $ 5,000 ) 결승전에서 송병구에게 1:2로 패배하고 준우승을 하였다.[11] 2019년 4월 11일, 블리자드 코리아에서 퇴사했다는 소식이 전파된 때에도, 군대 얘기가 없는데, 아마도 면제된 것으로 보인다.[12] WCG 2005 브루드 워 부문 결승전에서 이재훈(프로게이머)에게 0:2로 패배하고 준우승.[13] WCG 2007 브루드 워 부문( 우승 상금 : $ 15,000 및 준우승 상금 : $ 7,000 ) 결승전에서 송병구에게 0:2로 패배하여 준우승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