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계 캐나다인

 

韓國系加那陀人. Korean Canadian.
1. 개요
2. 역사
3. 유명 인물
4. 관련 문서



1. 개요


한국인 조상을 가진 캐나다인을 말한다. 국적을 가리키는 말이 혈통의 형용사로도 쓰이는 영어에서는 Korean Canadian이 한국계 캐나다인과 재캐나다 교포를 일컫어 부른다. 재외동포 규모로 볼 때 중국, 미국, 일본 다음으로 크며 러시아에 사는 고려인보다 많다.
한국계 캐나다인2012년 외교부에서 파악한 바로는 102,666명 수준이다. 국적의 변동으로 한국계를 파악하는 한국 외교부와 달리 혈통[1]으로 추산하는 캐나다의 기준에 따르면 2011년 기준으로 161,130명이다. 재캐나다교포는 128,826명으로 이 중 85,951명은 영주권자이며 2만 명 정도는 유학생이다. 합치면 재외동포 규모는 2012년 기준으로 231,492명 정도이다.

2. 역사


일단 국적이 재캐나다교포(한국인)와는 다르다.[2] 하지만 일단 한국계 캐나다인을 얘기하려면 재캐나다 교포의 역사부터 얘기할 필요가 있다. 재미 한국인이 19세기 말에 하와이에 처음 왔던 것과 비교하면 캐나다 한인의 역사는 1965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65년에 불과 70명 정도가 캐나다에 살았고 그 전에 온 사람들은 대체로 캐나다에서 보낸 선교사들을 거쳐 유학 온 신학생들이 대부분이었다고. 그러다가 1966년에 캐나다 이민법이 1965년 미국 이민법이 바뀌듯이 대거 바뀌면서 1969년까지 2천명의 한국인들이 캐나다로 이주했다. 1970년대에 18,148명이 이민왔고 1980년대에도 17,583명이 이민을 왔다. 1990년대 후반에 한국인들은 캐나다에서 다섯 번째로 큰 이민자 그룹[3]이 됐다.
재캐나다 한국인은 토론토에 제일 많이 살긴 하지만 최근엔 두 번째로 많이 사는 밴쿠버로 많이 간다. 몬트리올은 세 번째 규모라고. 2001년에는 캐나다로 이민 가는 한국인이 미국으로 이민 가는 한국인을 초과하기도 했다. 여담이지만 한국 국적은 아니지만 조선족이 캐나다로 이민오기도 한다고.
대체적으로 커뮤니티 분위기는 같은 영어권이라 미국과 비슷하다. 단 영어를 사용하는 중서부 지역에만 많고, 퀘벡 등 동부 지역에는 규모가 작다. 프랑스어가 통하는 지역에는 재캐나다나 한국계 캐나다인이 드문 편이다.[4][5] 물론 누나부트, 노스웨스트, 유콘 등 북극해와 접한 북아메리카 북부 지역의 준주에도 드물다. 아무래도 캐나다인들이 미국이나 영국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한국계 캐나다인 중에도 미국이나 영국에서 일하는 이들이 있다. 재미 한국인이나 한국계 미국인과 더불어 한국의 영어학원이나 학교의 원어민강사로 오기도 한다.



3. 유명 인물


이름을 기준으로 ㄱㄴㄷ 순 배열.
  • 게일 킴(김계일): 여성 프로레슬러. 한국명 김계일.
  • 그레이스 박(박민경) : 배우. 배틀스타 갤럭티카, 커맨드 앤 컨커3에 출연. 한국명 박민경. 미국과 캐나다 국적을 가진 이중국적이다.
  • 김효범 : 농구선수
  • 공파리파 : 인터넷 방송인
  • 데니스 강(강대수)
  • 림학 리(이임학) : 수학자, 한국명 이임학.
  • 레이먼 킴(김덕윤) : 셰프, 한국에서 외식사업중.
  • 마루 킴(김마루) :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한국명 김마루.
  • 마이클 김(김영민) : 축구인, 한국명 김영민.[6]
  • 마크 리(이민형) : 아이돌 그룹 NCT의 멤버, 한국명 이민형.
  • 문메이슨
  • 브라이언 리 오말리
  • 연아 김 마틴(Yeon ah Kim-Martin, 김연아): 1965년생으로 브리티시컬럼비아의 캐나다 보수당 정치인으로 총리였던 스티븐 하퍼의 지명으로 2008년 총선거에 나갔지만 낙선해 2009년 하퍼 총리의 지명으로 브리티시 컬럼비아 출신 캐나다 상원의원이 되었다. 최초의 한국계 캐나다인 연방공직자이다. 한국명 김연아. [7]
  • 승우아빠(목진화) : 샌드박스 소속의 스트리머이자 유튜버. 17세때 가족이민으로 이후 국적 상실로 캐나다 국적이다.
  • 샌드라 오(오미주). 1971년생. 그레이 아나토미에 닥터 크리스티나 양으로 출연했다. 미국인으로 아는 사람이 많다.
  • 알로직: 샌드박스 스트리머. 캐나다인임에도 자신이 한국 대표라고 한다.
  • 알버트 킴(ATK): 트위치TV 코리아 전 지사장. 2017년 9월 쉴 때가 된 것 같다고 퇴직하고 스트리머로 활동 중이다.
  • 전소미(에닉 소미 다우마, Ennik Somi Douma) : 여자 가수. 캐나다인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의 혼혈이다. 캐나다, 한국, 네덜란드 국적을 동시에 가진 복수국적이다.
  • 조태관: 가수 조하문의 아들이자 배우 최수종의 조카로 잘 알려진 배우. 이국적인 외모 때문인지 드라마에서 맡은 배역도 대부분 외국인이다.
  • 줄리엔 강: 데니스 강의 동생인데 둘은 특이하게 한국계 캐나다인 중엔 드문 편인 프랑스어 지역 출신이다. 어머니가 프랑스인이었기 때문에 프랑스 국적도 있다.
  • 지나 제인 최(Gina Jane Choi, 최지나). 한국에선 G.NA로 통한다.
  • 백지선(Jim Paek, 짐 팩): NHL하키선수. 현재는 선수로는 은퇴하고 NHL의 하위리그인 AHL 그랜드래피즈 그리핀스의 코치로 있다가 현재 대한민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고 있다.
  • 타블로(대니얼 리, 이선웅): 형도 캐나다인이다.
  • 페비: 도타 2 프로게이머. 국적문제 때문에 WECG 한국대표 선발전에 출전하지 못하기도 했다.
  • 폴 블랑코(Paul Hwang, 폴 황 / 황덕수): 남자 가수. 2018년부터 핫하게 떠오르는 뮤지션 중 한명이다.
  • 한스 정(정석환): 캐나다군에서 처음으로 장성급 장교에 오른 한국계 인물이다.
  • 인스 최(최인섭): 1.5세 출신의 극작가. 연극과 CBC시트콤 Kim's Convenience의 제작자로 유명하다.
  • 넬리 신(신윤주): 2019년 연방 총선거에서 포트 무디-코퀴틀럼 지역구에서 당선된 한인 최초 캐나다 하원의원이자 두 번째 한인 연방 의원이다.
  • 최우식 (Eddy Choi) : 한국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4학년때 캐나다로 이민간 1.5세 한국계 캐나다인이며 현재 대한민국에서 활동중인 배우이다.
  • 안효섭 (paul Ahn): 한국에서 태어나 7살때 캐나다로 이민간 1.5세 한국계 캐나다인이며 현재 대한민국에서 활동중인 배우이다.
  • 에밀리 김(김광숙) : 1957년 출생의 요리 유튜버이며 90년대에 이민을 갔다. 자세한 것은 Maangchi 문서 참조.

4. 관련 문서



[1] 가령 조모가 한국인이었으면 한국계 혈통도 흐른다 이런 식이다.[2] 옛날엔 재캐나다교포를 재가(在加)교포라 하기도 했다. 캐나다를 가나다(加那陀)라 불러서 재가교포.[3] 여기서 이민자는 캐나다 국적이 아닌 사람을 말한다. 애초에 캐나다는 여타 아메리카의 국가들처럼 이민자들의 후손으로 이뤄진 국가이다.[4] '나탈리 정'과 같은 프랑스어를 모어로 하는 Société Radio Canada에서 아나운서를 맡는 경우도 있고, 데니스 강, 줄리엔 강처럼 인근 프랑스령 생피에르 미클롱에서 태어난 후 캐나다 시민권을 취득한 한국인프랑스인혼혈인 한국계 캐나다인도 드물지만 존재한다.[5] 퀘벡 주의 경우 유입되는 이민자들이 프랑스, 모로코, 마다가스카르, 아이티, 알제리, 튀니지, 레바논같은 불어권의 비중이 상당하다.[6] 벤투호의 코칭스테프 중 한 명이다. 한국인 코치는 최태욱.[7] 당연히 그 피겨 스케이팅 선수 김연아와는 관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