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1. 라틴 문자의 3번째 글자
1.1. 명칭
영어에선 '시'(cee, [siː])라고 하며, 독일어에선 '체'[t͡seː][1] , 프랑스어에선 '세'[se]라고 부른다. 영어의 명칭을 한글로 표기해야 할 때는 '시'라고 표기하는 것이 외래어 표기법에 맞다.(예 : PC방->피시방) 하지만 [s] 발음이 대부분 그렇듯이 관습적으로 '씨'라고 읽고 쓰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어감상 '시'보다는 '씨'가 더 익숙한 경우가 종종 있다.
1.2. 기원
그리스 문자 감마(Γ/γ)에서 유래했다. 이 그리스 문자는 페니키아 문자 𐤂(gimel 기멜)에서 왔으며 '낙타', '막대기' 등의 뜻을 지니고 있었다고 한다. 용케도 영어로 '낙타'를 뜻하는 'camel' 역시 이 'gimel'과 동원어 관계에 있다. 페니키아 지역에서야 낙타가 흔해서 글자 이름으로도 썼지만 유럽에서는 외래 산물이었을 테니 그럴 만도 하다.
Γ의 발음은 [g]이고 그리스 문자에서 [k] 발음은 Κ로 나타내지만, 그리스 문자를 받아들였던 에트루리아인들의 말에는 유성음 [g]와 무성음 [k]의 구분이 없었기에 Γ와 Κ가 같은 음가를 나타냈다.[2] 에트루리아인으로부터 알파벳을 받아들인 로마인들의 라틴어에는 [g]와 [k]의 구별이 있었기 때문에 유성음을 따로 표기하기 위해 획을 그어 G를 만들었고 C는 K와 함께 무성음 [k]를 나타낼 때만 쓰이게 되었다.
1.3. 자형
글자 모양은 처음에 그리스 서부 필체를 따라 'ኅ'[3] 처럼 생겼다가 시간이 지나며 지금의 'C' 형태가 되었고 로마인들도 이 형태로 받아들여 지금에 이른다. 당시 그리스부터가 통일된 표준 글꼴이 없었기에 이미 감마를 'C' 형태로 쓰는 지역이 많았다.
키릴 문자에서 닮은 문자 С가 있는데 이쪽은 음가가 /s/이다. 그것은 시그마(Σ/σ)에서 따왔다.[4]
스타크래프트 로고의 C를 보면 Γ를 굽힌것처럼 보인다.
1.4. 발음
라틴 문자 중에서 '''각 언어마다 발음이 가장 다양한 글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때문에 로마자를 쓰지 않는 나라에서 자국어를 로마자로 적을 때 C를 단독으로 잘 쓰지 않는다.
로망스어군과 그로부터 어휘를 많이 받아들인 영어에서는 대체로 e, i, y 앞에서와 그밖에서의 발음이 다른데 전자의 C(/s/ 등) 발음을 'soft C', 후자의 C(/k/) 발음을 'hard C'라고 칭한다. 대개 'hard C' 쪽이 파열음으로, 'soft C'의 마찰음/파찰음보다 더 강한 어감을 주기에 그런 듯하다. 이는 로망스어의 기원인 고전 라틴어가 C를 모두 'hard C'로서 [k]로 읽었으나 중세 속라틴어(Vulgar Latin)에서 몇몇 모음에 대해 'soft C' 쪽으로 읽게 된 것이 정착했기 때문이다.
1.4.1. 게르만어파
영어를 제외하면 대체로 라틴계 단어에 쓴다.
1.4.1.1. 영어에서
영어는 타 게르만어와 달리 /k/ 발음을 대부분 c로 적으며, k는 e, i, y 앞이나 장모음 뒤에 온다.
- 예외가 많아 아래의 규칙은 절대적이지 않다.
- ch는 /ʧ/로 발음한다.
- e, i, y 앞에서는 /s/로 발음한다.
- 나머지 경우에는 /kʰ/로 발음한다.
- 아래는 예외의 일부 예이다.
- Character(istic), Chemistry, Chlorine, Chris, Archon과 같이 그리스어 계열은 그리스어의 키(χ)를 옮긴 것이므로 대부분 /kʰ/로 읽는다.
- cae, coe: a나 o 앞에 c가 오지만 /kae/, /koe/가 아니라 둘 다 /si/로 발음된다. 대표적인 예로 Caesar와 coelacanth가 있다. 이들은 프랑스어 César, cœlacanthe에서 들여왔고, 더 멀리 가면 각각 Καῖσαρ, κοῖλος(속이 빈)+ἄκανθα(척추)에서 왔다. 고대 그리스어의 καῖ, κοῖ가 라틴어 cae, coe로 전해지면서 각각 /kai/, /koi/였다가 /ce/, /ci/로 바뀌었고, 다시 /se/로 바뀌었다. 이 철자가 프랑스어로 전해지면서 καῖ는 cæ로 바뀌었다가 cé로 또 바뀌었고, κοῖ는 cœ로 바뀌었다. 프랑스어가 영어로 전해지면서 철자법이 라틴어식으로 복귀되고, 대모음추이까지 일어나서 cae, coe의 발음이 /si/로 바뀐 것이다.
- Celt, Soccer, Zincite: c 뒤에 e, i가 오는 데도 /k/발음으로 읽는다. celt의 c는 c를 항상 k로 발음하는 게르만어군의 영향인데, 영어를 쓰는 사람들도 헷갈리는지 /s/로 발음하기도 한다.
1.4.1.2. 독일어에서
독일어는 원래 몇몇 규칙만 외우면 쓰여 있는 그대로 발음되는 것으로 유명하지만, 단자음 c가 들어가는 단어는 프랑스어 출신 외래어인 경우가 많은 터라 발음이 다양하다.
- c는 /k/ 또는 /t͡s/로 발음되지만, 그마저 각각 'k', 'z'로 표기가 바뀌므로(예: Camera→Kamera, Citrone→Zitrone) 단자음 c가 들어가는 단어는 대부분 근래에 들어온 외래어이다.
- ch는 어두에서 거의 쓰이지 않는다.[5] 굳이 찾아보면 그리스계 낱말의 경우 /k/, 프랑스계 낱말의 경우 /ʃ/ 발음이다. 그 밖의 경우 a, o, u 뒤에서 /x/로, e, i 뒤에서 /ç/, s 뒤에서 /k/로 발음된다. '흐/xɯ/'나 '히/çi/'를 발음하면 소리가 떨리는 것이 느껴질 텐데, 그 느낌으로 'ㅎ'을 소리내면 된다.
- ck는 단자음 뒤에서만 쓰이고 /k/로 발음된다.
- sch는 /ʃ/, tsch는 /ʧ/로 발음된다.
1.4.1.3. 네덜란드어에서
영어보다는 덜하지만 c가 몇몇 라틴계 단어에서 제법 쓰인다. 다만 /k/ 발음은 대체로 k로 적는 편이다.
- c는 전설모음 앞에서 /s/, 후설모음 앞에서 /k/이다.
- ch는 독일어와 비슷하게 /x/이지만, sch는 /sx/이다.
1.4.1.4. 북게르만어군에서
- c는 전설모음 앞에서 /s/, 후설모음 앞에서 /k/이다. 다만 hard c는 공통적으로 k로 바꿔 적고, soft c는 덴마크어와 스웨덴어에서 그대로 적지만 노르웨이어, 아이슬란드어, 페로어에서는 s로 바꿔 적는다. 어중의 hard c + soft c도 덴마크어와 스웨덴어는 그대로 두지만 나머지는 -ks-로 바꿔 적는다.
- 덴마크어에서 ch는 한국어 '시'와 비슷한 /ɕ/이다.
- 스웨덴어에서 ch는 /ɧ/ 혹은 /ɕ/이다. ck는 /k/ 발음이며, 단자음 뒤에서만 쓰인다. '그리고'를 의미하는 och는 /ɔk/ 혹은/ɔ/로 발음한다.
1.4.2. 로망스어군
1.4.2.1.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카탈루냐어에서
- e, i, y(프랑스어 한정) 앞에서는 /s/, 그밖에는 /k/로 발음한다. 이 모음 앞에서 /k/로 발음되는 자음군은 qu이다.[6]
- 본토 스페인어는 c를 e, i 앞에서 /θ/로 발음하는 경우가 있다. 아래 언어들과 달리 e, i 앞을 제외한 환경에서는 z로 바꿔 쓴다.
- 프랑스어와 포르투갈어, 카탈루냐어에서 e, i를 제외한 모음 앞에 c를 /s/로 발음되도록 하려면 c 아래에 세디유를 붙여 ç로 쓴다.
- ch는 프랑스어와 포르투갈어에서 /ʃ/, 스페인어에서 /t͡ʃ/ 발음이다.
- 프랑스어에서 cœ의 경우는 좀 복잡하다. cœur의 c는 /k/로, cœlacanthe의 c는 /s/로 발음된다. 전자의 어원인 라틴어 cor에서 c가 /k/로 발음되므로 cœur의 c도 /k/로 발음된다. 후자는 영어 문단 참고.
1.4.2.2.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에서
1.4.3. 기타
- 중국어 한어병음에서 c는 치경 파찰음 /tsʰ/로 발음하고, ch는 권설음(혀를 말아서 내는 소리) /ʈʂʰ/로 발음한다.
- 에스페란토에서 c는 /ts/로, 수페르시그노(^)가 있는 ĉ는 /ʧ/로 발음한다.
- 슬라브어파에서는 /ts/로 발음한다. 슬라브어 계통이 아닌 헝가리어, 알바니아어, 발트어파도 마찬가지.
- 폴란드어와 체코어에서 ch는 /x/ 발음이며, 체코어에서 알파벳 순서는 ch가 h 다음이다.
- 폴란드어와 세르보크로아트어의 ć는 /t͡ɕ/ 발음이다.
-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세르보크로아트어, 발트어파의 č, 알바니아어의 ç, 헝가리어의 cs는 /tʃ/로 발음한다.
- 마인어에서는 /tʃ/로 발음한다.
- 터키어와 아제르바이잔어 등 튀르크어족에서 c는 영어의 j와 같이 /dʒ/로 발음하고, ç는 영어의 ch와 같이 /tʃ/로 발음한다.
- 게일어군에서 c는 /k/ 발음이고, 경구개음일 때 /c/ 발음이다. ch는 /x/ 발음이고, 경구개음일 때 /ç/ 발음이다. 로망스어군과 마찬가지로 k를 쓰지 않는다.
- 베트남어에서는 a, o, u 앞이나 모음 뒤에만 오며, /k/로 발음한다. 이 발음을 e와 i 앞에서는 k로, u+(다른 모음) 앞에서는 대개 q로 적는다. ch는 모음 앞에서 /c/로, 모음 뒤에서 /jk/로 발음한다.
- 피지어에서는 /ð/로 발음한다.
- 몇몇 언어에서는 diacritic이 있는 형태나 이중문자 ch의 형태로만 쓰인다. 몰타어의 ċ, 우즈베크어의 ç(ch)는 모두 /tʃ/ 발음이다.
2. 고유명사
2.1. 프로그래밍 언어 C
C. 프로그래밍 언어의 라틴어쯤 되는 위치에 있다. 자손으로 C++, C##, Objective-C 등이 있다. C언어 문서를 참조.
2.2. 일본 애니메이션 C
C - Control: The Money of Soul and Possibility
2.3. 영웅전설 궤적 시리즈의 C
2.4. NELL의 정규 7집 C
2.5. 기타
- 무시우타 - C
- 건담 빌드 파이터즈 - C
- 로보토미 코퍼레이션 - C
- C:\ - MS-DOS, Microsoft Windows
3. 기호
3.1. 3번째
- 16진법에서 12를 의미하는 기호.
3.1.1. 성적의 단위
[image]
A~D 중 중하위권쯤. 상위 70%~75% 이하(하위 25~30%)로 평점으로는 2.0~2.5점(4.5 만점 기준),1.7~2.3점(4.3 만점 기준)에 해당하는 성적이다. 대학교 성적 상대평가 기준(보통 A 30% A~B 누적 70% 이내) 안에 들어가지 못했을 때 받는 점수로서 C부터는 썩 잘한 성적이라고 보기는 결코 어려운 성적이다. 일반적으로 시험을 아무리 망쳐도 리포트와 출석, 퀴즈 정도만 꾸준히 해주고 수업 내용을 조금이나마 이해한 정도라면 이 학점인 C-, C0나 C+가 나온다.[9] 물론 이마저도 좋지 못할 경우는... 대부분의 학교에서 졸업 인증으로 요구하는 최소 평균 학점이 바로 이 학점인 C0 이상이다. 웬만하면 2점대 이상은 받기 때문에 졸업은 가능하지만 취업전선에서 경쟁력은 매우 떨어지게 된다.[10] 보통 3.0/4.5가 취업 커트라인 학점으로 통한다.[11] 이 학점을 받았을 경우 대부분의 학생들이 재수강을 생각하게 된다. 물론 재수강 가능 학점이 C0나 C-, D+부터인 경우 C+를 받으면 재수강이 불가능하다.
전문대는 (A 30% B 70%)인 경우도 있으므로 너무 놀고 먹었을 때나 나온다는데 사실 그렇지만도 않다.
3.1.2. 브래지어의 컵 사이즈
윗둘레와 밑둘레 차이가 15cm~17.5cm 사이의 브래지어 컵 사이즈.
일반적으로 글래머라 불리려면 컵사이즈가 최소한 이 정도는 되어야 한다고 여겨지고 있으며, 중남미와 대부분의 유럽 지역의 평균 사이즈. 2018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에서는 전체 여성의 8.2% 정도에 해당하며, 백분율로 따지면 상위 2~9% 정도의 명실상부한 상위 등급이다.
3.2. 기타
- 탄소(carbon)을 나타내는 원소 기호
- 야구의 포수(catcher)의 약어
- 주장(captain)의 약어
- 수학에서 상수(constant)를 나타내는 약어.[12] 부정적분에서 나오는 적분 상수는 C로 사용한다.
- 전하량의 단위인 C(쿨롬)이다. 1C=1A*1s.
- 로마 숫자에서 100을 의미하는 기호. 'centum'에서 왔다. 때문에 미국 속어로 100달러를 뜻하기도 한다.
- '인생은 B(birth)와 D(death) 사이의 C다.'에서 뜻하는 C는 선택(choice)을 뜻한다.
- 세기(century)를 뜻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21세기는 21C와 같이 표시하기도 한다.
3.2.1. 메탈슬러그 시리즈의 에너미 체이서
Enemy '''C'''haser
해당 항목 참조.
3.2.2. 코믹 마켓의 별칭
회차에 따라 숫자가 붙는다 C80, C84
3.2.3. 빛의 속도
물리학 등의 자연 과학에서 빛의 속도를 뜻하는 상수로 c로 나타낸다. 여기서 c = 299,792,458m/s 이다. 영어 constant 혹은 라틴어 celeritas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자세한 내용은 빛 항목 참고.
3.2.4. 미국의 투자금융회사 씨티그룹의 NYSE 티커
4. 국제음성기호 [c]
의외로 영어 발음과는 다르다. [c]는 좀 더 혀뿌리 쪽에서 나는 경구개 파열음으로 지정되어 있다. 체코어의 Ť/t', 알바니아어의 q, 헝가리어의 ty, 베트남어의 ch 및 tr, 라트비아어의 Ķ 등이 /c/ 발음을 나타낸다.
[1] 한국어 ㅔ보단 혀 위치가 조금 높아서 한국인한텐 치로 들리기도 한다. 근데 독일 사람들은 용케 '이/i/'하고 구별한다.[2] Q 역시 이러한 이유로 [k\]로 발음이 합쳐진 글자이다.[3] 이 문서의 이 문자는 일단 에티오피아에서 쓰이는 그으즈 문자이다. 그으즈 문자에서 같은 기원의 문자는 ገ이다.[4] 그래서 소련의 라틴 문자 약어는 'USSR'이지만 키릴 문자 약어는 'СССР'이다.[5] Chemnitz, Chamchin(러시아어 Хамхын에서 옴) 등 고유 명사에서는 쓰는 듯하다.[6] 단, 프랑스어에서 qu는 후설모음 앞에서도 쓰이며, 발음은 마찬가지로 /k/이다. /kw/ 발음은 스페인어에서 항상 cu로 쓴다.[7] 이 언어에서 y는 외래어 표기 이외에는 쓰지 않는다.[8] qu는 이탈리아어에서 항상 /kw/ 발음이고, 루마니아어에서는 쓰이지 않는다.[9] 물론 시험의 비중이 크지 않은 과목의 경우 B학점까지도 받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중앙대학교, 단국대학교같이 D를 최소 일정 비율 이상 주도록 하는 성적지침이 있는 학교는 제외. 대체로 하위 5~10% 이내는 D를 받는다.[10] 물론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거나 몇몇 고시, 학점을 보지 않는 몇몇 공공기관이나 공기업 입사를 준비한다면 학점은 정말로 아무런 상관이 없다. 또한 정말로 졸업장과 학사학위만 취득하러 대학에 온 사람들은 대부분 이 평점으로 졸업하는 편이다.[11] 참고로 이 학점은 국가장학금 기준 학점이기도 하다.(정확히는 백분위 80점) 따라서 모든 학기에 대하여 국가장학금을 받아야 취업에 훨씬 유리해지며, 받지 못한 학기가 있으면 정말 불리해진다고 봐야 한다. 물론 전체 학기 평점(GPA)이 중요하므로 한 학기에 국가장학금을 받지 못했다더라도 '''전체 평점(GPA)이 3.5 이상'''이라면 취업전선에서는 평점으로 인해 받는 손해나 불이익은 거의 없다. 다만 어느 정도 안정적인 직장이거나 학점을 많이 신경쓰는 곳이라면 3점대 중반도 어느 정도의 불이익은 있을 수 있으며, 최소조건을 3.5 이상으로 잡는 경우도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8개의 학기를 수학하기 때문에 한 번 못 받았어도 3개 학기 정도 4.0 이상을 받으면 충분히 3.5 이상을 만회할 수 있다.[12] k도 상수로 쓴다. 독일어 Konstante에서 유래한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