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400번대
1. 개요
2. 400 (태화상운 → 대원교통) (★)
3. 400 (동아운수)
4. 401 (삼성여객) (★)
5. 401 (태릉교통)
6. 402 (혁성운수 → 북부운수)
7. 403 (삼양교통)
8. 404 (상진운수)
9. 405 (상진운수)
11. 406 (대성운수)
12. 407 (한성버스 → 한성여객)
13. 408 (한성운수) (★)
14. 408 (한성버스) (★)
15. 409 (삼화상운)
16. 409-1 (삼화상운)
17. 410 (한성여객)
18. 410-1 (한성여객) (★)
19. 411 (진아교통)
20. 412 (김포교통, 공항버스, 상마운수 → 공항버스)
21. 412 (심야) (공항버스)
22. 413 (한남운수)
23. 413-1 (한남운수)
24. 414 (신진운수 → 진화운수 → 서울승합)
25. 415 (송파상운, 한서교통)
26. 415 (대진여객, 태진운수)
27. 416 (서울승합) (★)
28. 416 (도원교통 → 대성운수) (★)
29. 416-1 (서울승합) (★)
30. 417 (동부운수, 승원여객, 신흥기업, 영동교통, 진화운수, 한서교통) (★)
31. 417 (대성운수)
32. 418 (서울승합, 신흥기업) (★)
33. 419 (동부운수, 승원여객, 신흥기업, 진화운수, 한서교통) (★)
34. 419 (흥기운수) (★)
35. 419 (진아교통)
36. 420 (우신운수)
37. 421 (송파상운, 한서교통, 승원여객 → 송파상운, 한서교통, 서울버스)
38. 422 (진화운수) (★)
39. 422 (한성운수)
40. 423 (선일교통)
41. 424 (범진여객) (★)
42. 425 (상진운수)
43. 425-1 (상진운수) (★)
44. 426 (공항버스) (★)
45. 426 (도선여객)
46. 426-1 (공항버스) (★)
47. 427 (혁성운수 → 북부운수)
48. 428 (선진운수) (★)
49. 429 (범양여객 → 선진여객 → 선진운수)
50. 430 (서울승합) (★)
51. 430 (선진운수)
52. 431 (서울버스) (★)
53. 431 (선진운수)
54. 432 (선일교통)
55. 433 (동아운수) (★)
56. 433 (선진운수, 현대교통 → 현대교통)
57. 434 (신촌교통)
58. 435 (신촌교통)
59. 436 (아진교통) (★)
60. 437 (한성여객, 한성버스) (★)
61. 438 (진화운수, 유성운수, 대진운수) (★)
62. 439 (도원교통)
63. 440 (현대교통, 북부운수, 서부운수 → 현대교통)
64. 441 (동아운수)
65. 441-1 (동아운수) (★)
66. 442 (서부운수 → 도원교통 → 영신여객)
67. 443 (동아운수)
68. 445 (우성버스, 선진교통, 경성여객, 북부운수, 상진운수, 아진교통)
69. 446 (동아운수, 관악교통) (★)
70. 447 (신흥기업, 신촌교통, 혁성운수, 중부운수, 삼성여객) (★)
71. 448 (진아교통)
72. 449 (진아교통) (★)
73. 450 (대진여객)
74. 450-1 (대진여객)
75. 451 (상진운수)
76. 452 (대진여객)
77. 453 (중부운수)
78. 454-1 (제일여객)
79. 454-2 (제일여객)
80. 456 (상진운수)
81. 457 (중부운수)
82. 460 (세풍운수)
83. 462 (태진운수)
84. 463 (태진운수)
85. 467 (신흥기업)
86. 468 (신흥기업)
87. 469 (신흥기업)
88. 470 (세풍운수)
89. 470-1 (세풍운수)
90. 476 (대흥교통) (★)
91. 478 (신장운수) (★)
92. 479 (신장운수) (★)
93. 480 (서울승합)
94. 480-1 (서울승합) (★)
95. 481 (서울승합)
96. 482 (범일운수)
97. 483 (흥안운수)
98. 483-1 (흥안운수)
99. 484 (흥안운수)
100. 485 (흥안운수)
101. 488 (신길운수)
102. 490 (관악교통)
103. 491 (풍양운수)
104. 495 (한남운수)
105. 496 (한남운수, 관악교통)
106. 497 (한남운수)
107. 499 (군포교통)
1. 개요
1995년에 신설된 지역순환버스를 위해 생겨난 번호대이다. 신설 당시에는 이러한 형태로 계획되었다.
2. 400 (태화상운 → 대원교통) (★)
운행구간 : 남양주시 도곡리 - 덕소 - 삼패동 - 남양주시제2청사, 남양주경찰서 - 도농역 - 돌다리 - 딸기원
면허만 서울인 아웃서울 노선으로, 대원교통 인수 후 잠시 운행하다 폐선되었다.
3. 400 (동아운수)
[image]
위 차량은 2011년에 그린시티로 대차되었다.출처
동사 84-2번이 전신으로, 대개편 때 1121번으로 존치되었다가 1116번과 합쳐 서울 버스 1165가 되었다.
4. 401 (삼성여객) (★)
운행구간 : 서빙고동 - 보광동 - 중소기업은행 - 해밀턴호텔 - 이태원시장 - 한신아파트 - 해방촌입구 - 아시아나항공 → 중앙우체국 → 신세계 → 종로2가 → 종로3가 → 광장시장 → 을지로4가 → 을지로3가 → 을지로입구 → 미도파 → 남대문시장 → 서울역 → 숭례문 → 아시아나항공 → 이하 역순
2000년경 78-2번과 통합으로 폐선.
5. 401 (태릉교통)
운행구간 : 퇴계원 - 담터 - 태릉, 강릉 - 화랑대역 - 태릉입구역 - 석계역
신설 당시 퇴계원에서 석계역 구간은 대진운수에서 운행하던 7-3, 73번이 있었으나 매우 긴 배차간격으로 퇴계원지역에서 지하철 연계를 위해 신설되며 퇴계원에서 7-3, 73번의 수요를 다 빨아들이며 3대 운행하던 시절에도 가축수송이 되어 8대까지 증차가 되었다.
대개편 때 서울 버스 1156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다.
6. 402 (혁성운수 → 북부운수)
운행구간 : 삼양연립 - 자동차매매상가 - 장한평역 - 동대문소방서 - 한일은행 - 장평중 - 장안아파트1단지 - 주택은행[1] - 장안사거리 - 장안파출소 - 촬영소사거리 - 답십리2동파출소 - 답십리시장 - 답십리1동파출소 - 답십리5동 - 신답역 - 구시외버스터미널 - 답십리서울은행 - 답십리2동사무소 - 촬영소고개 - 동답한신아파트 - 촬영소사거리 - 장안파출소 - 장안아파트 - 장안아파트1단지 - 동대문구민회관
대개편 때 당초 원 노선이 존치되어 2213번이 될 예정이었으나 1214번으로 예정되었던 성북동 - 동대문 구간을 합치고 신설동 - 동대문 구간을 더 연장해 서울 버스 2112가 되었다.
7. 403 (삼양교통)
[image]
출처
[image]
이 노선에만 있었던 충남 공용도색 차량. 2009년 초 유상감차로 말소되었다.[2] 출처
운행구간 : 미향마을 - 삼양동 - 미아삼거리역
대개편 때 종암동으로 연장되면서 1115번이 되었다가 2008년 2/4분기 개편을 맞아 미아뉴타운 - 미아사거리 구간이 겹치던 1165번과 통합했다.
8. 404 (상진운수)
운행구간 : 57사단 - 봉화산역 - 원묵초등학교 - 묵동 - 중화동 - 신이문역
신설 초기엔 진아교통과 공동배차로 신내동에서 석계역을 운행했으나 구리농수산물시장까지도 연장운행 하려 했지만 연장에 실패 후 진아교통이 철수하고 승객수요 감소로 잦은 노선변경이 이뤄지다 2001년경 폐선.
skool의 <<Julian>> 뮤직비디오에 코스모스 차량이 등장한다. 촬영된 장소는 홈플러스 신내점 인근이며 촬영 당시 홈플러스는 없었고 뒤에 보이는 철탑은 중랑소방서다.
[image]
9. 405 (상진운수)
운행구간 : 원묵초교 - 대명교회 - 봉화초교 - 진로6단지 - 화성아파트 - 신내8단지 - 신내9단지 - 신내10단지 - 신내9단지 - 신내12단지 - 엘지아파트 - 쌍용아파트 - 이화연립 - 중화1동사무소 - 오성주유소 - 중화3동사무소 - 굴다리 - 신이문역
1999년 7월 마을버스로 전환되었으나, 2001년에 다시 지역순환버스가 되었다. 이후 내용은 아래 451번 항목 참조.
10. 405 (도선여객)
운행구간 : 청계산 - 신원동 - 양재역 - 강남역 - 논현역 - 옛골 - 새쟁이마을 - 서초구청 - 역삼동
[image]
2007년에 대차되어 현재 4435번에서 운행 중. 그 후 2018년에 미개선형 차량으로 대차되었다.
1999년 7월 이후에 신설된 노선으로 2004년 대개편 때 4312번(현 4412번)에 통합되어 폐선되었으나, 같은 해 9월 서울 버스 4432 신설로 사실상 노선이 부활하였다.
한 편 2004년 7월부터 2005년까지 도선여객에서 운행했던 舊 405번과는 관련이 없다. 이쪽은 강남과 강북을 잇던 노선이었다.
11. 406 (대성운수)
[image]
[image]
출처[3]
운행구간 : 서경대입구 - 화남슈퍼 - 개그맨노래방 - 현대슈퍼 - 동방탕 - 미화약국 - 숭덕초교 - 아리랑시장 - 아리랑고개 - 흥천사입구 - 돈암전철역 - 돈암시장 - 성북구청후문 - 보문2교 - 한진슈퍼 - 동원슈퍼 - 용문중.고교 - 제일목욕탕 → 이공대후문 → 고대부속병원 → 개운사 → 고대사거리 → 안암로터리 → 고려의료기 → 고대부속병원 → 고대영안실 → 제일목욕탕 → 이하 역순
대개편 때 경동시장으로 연장되면서 1212번이 되었다가 2223번과 통합하여 2115번이 되었다.
12. 407 (한성버스 → 한성여객)
[image]
사진의 에어로타운은 두 번 대차되어 2017년식 그린시티로 다니다가, 2020년 3월 노선 변경으로 1144번으로 넘어갔다.출처
운행구간 : 덕성여대입구 - 서라벌중 - 우이빌라 - 초당초교 - 청구아파트 - 선덕고교사거리 - 금호아파트 - 삼익아파트 - 창동역 - 창일중학교 - 중계역 - 대진여고 - 하계동
서울 버스 1120 참조. 개편 당시 10대 운행.
13. 408 (한성운수) (★)
운행구간 : 수유역 - 강북구청 - 번동(차고지) - 강북문화정보센터 - 드림랜드후문 - 대지극장 - 미아삼거리역
1995년에 신설되었으며 1998년 12월 마을버스로 전환되었으나 2001년에 다시 422번으로 지역순환버스가 되었다. 이후 내용은 아래 422번 항목 참조.
한성여객이라는 폰트로 된 408번도 있었다.
14. 408 (한성버스) (★)
운행구간 : 창동역 - 녹천역 - 번동4거리 - 수유역 - 쌍문역 - 도봉보건소 - 방학4거리 - 방학동신동아아파트 - 신방학중학교 - 방학역
804번으로 운행하다 1999년 중형급 차량으로 교체하면서[4] 지역순환버스로 전환과 동시에 번호만 뒤집어 408번으로 노선번호 변경. 2001년 한성버스 부도 후 폐선.
15. 409 (삼화상운)
[image]
서울에 극히 드물었던 03년식 글로벌900 CNG 모델. 개편 후 1140번으로 이동 후 2012년에 그린시티로 대차되었다.출처
운행구간 : 석계역 - 성북역 - 월계변전소 - 인덕대학교 - 염광여고 - 초안아파트 - 신창교앞 - 양조장앞 - 신창시장 - 녹천역 - 창동역
1995년에 신설되었으며 신설당시엔 신창교앞 - 성북역(광운대역) 으로 운행하다가 1996년에 양조장앞 - 성북역(광운대역) 으로 연장 운행하였다. 그리고 1998년에 양조장앞 - 석계역 으로 연장 운행하였으며 2001년에 창동역 - 석계역 으로 연장하기에 이르렀다.
서울 버스 1133 참조. 개편 당시 8대 운행.
16. 409-1 (삼화상운)
1999년 7월 1일 409번에서 분리 신설
서울 버스 1130 참조. 개편 당시 4대 운행.
17. 410 (한성여객)
[image]
[5]출처
서울 버스 1129 참조. 개편되면서 삼화상운으로 이관되었다. 운행댓수는 예나 지금이나 3대였지만 그나마 이 시절에는 중간에 가스충전을 안 했기 때문에 배차간격이라도 좋았다.
18. 410-1 (한성여객) (★)
[image]
운행구간 : 창동역 - 노원구청 - 도봉면허시험장 - 마들역 - 수락산역 - 장암역 - 장암동 우성아파트 - 신곡동 풍림아파트 → 서해, 삼익, 한일아파트 - 신곡1동사무소 → 신곡동 현대아파트 → 신곡동 풍림아파트
2000년경 신설. 당시 407, 410번에서 차출한 코스모스로 운행. 이후 720-1번으로 번호 변경.
19. 411 (진아교통)
[image]
사진 속 차량은 두 번 대차되었다.출처
운행구간 : 월계동종점 - 석계역 - 공릉초교 - 신명아파트 - 공릉아파트 1~3단지 - 삼익/우성아파트 - 위례상고후문 - 서울산업대(당시 명칭)
은행사거리로 연장되면서 서울 버스 1135가 되었다.
20. 412 (김포교통, 공항버스, 상마운수 → 공항버스)
[image]
[6]
운행구간 : 가양동 - 양천향교 - 등촌동 - 강서보건소 - 마포고교 - 공항로 - 노들길 - 당산역
개통당시에는 김포교통, 공항버스, 상마운수 공동배차로 운행했다가 2000년경 김포교통과 상마운수가 철수 공항버스 단독배차로 변경되었으며 이후 426번과 통합하여 방화동 본사로 연장되었다.
BM090을 주력으로 굴렸다.[7] 이 때가 리즈시절이였는데 염창동도시가스 이후로 당산역까지 '''무정차'''로 다녔다.
개편 때 번호만 6632로 바뀌었다. 서울 버스 6632 참조
21. 412 (심야) (공항버스)
운행구간 : 방화역 - 공항시장 - 송정역 - 발산역 - 염창동 - 노들길 - 당산역 - 영등포역
현재는 김포 버스 60이 대신해주고 있다.
22. 413 (한남운수)
운행구간 : 서울대 신소재연구소 - 서울대학교(정문) - 관악구정 - 서울여상 - 서울대입구역 -봉천중앙시장 - 봉천중학교 - 봉천동아아파트 - 봉천고개(대림아파트) - 숭실대입구역 - 봉천3동 - 이하역순
2004년 대개편 후 5512로 바뀌여 운행했으나 2008년에 서울 버스 5511로 통폐합되었다.
23. 413-1 (한남운수)
[image]
출처
'''전설의 대학가 셔틀버스.'''
서울 버스 5511 참조.
24. 414 (신진운수 → 진화운수 → 서울승합)
운행구간 : 우면동(형촌마을) - 신시화원 - 교총회관 - 청아빌라 - LG연구소 - 코오롱아파트 - 우성아파트.양재초교 - 양재주유소 - 양재역 - 영동중 - 역삼동 - 강남역 - 교보타워사거리 - 논현사거리 - 영동시장 → 신사역 → 영동사거리 → 영동시장 → 이후 역순
대개편 때 4417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지만, 이후 3412번에 흡수되었다. 서울 버스 3412 문서 참조.
25. 415 (송파상운, 한서교통)
운행구간 : 거여아파트 - 거여역 - 개롱역 - 오금역 - 방이동 백제고분 - 송파구청 - 잠실역 - 롯데월드(U턴)
개통당시 송파상운 소속은 코스모스, 한서교통 소속은 에어로타운으로 운행하다가 1999~2000년 수요 증가로 인해 대형차량으로 대차되었으며 2001년 815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다. 이후 개편을 거치면서 서울 버스 3313이 되었다.
26. 415 (대진여객, 태진운수)
운행구간 : 개포1단지후문 - 숙명여고 - 대치역 - 휘문고 → 포스코사거리 → 코엑스 → 휘문고 → 이후 역순
[image]
2001년 11월 22일 개통된 노선으로 시내버스업체와 법정공방에서 패하며 면허취소로 폐선된 4번 마을버스의 대체 노선이었다. 최초에는 태진운수와 대진여객이 2대씩 차출해서 4대로 운행하다가 차츰 증차해서 운행.
애초 강남구에서는 개포동에 차고지를 둔 도선여객과 개포운수에 운행을 타진했으나 양쪽 다 난색을 표했고, 궁여지책으로 개포동 구룡마을에 회차 부지를 소유하고 있던 대진여객과, 개포1단지 후문에서 62-1번 배차를 조절하기 위한 컨테이너를 운영하던 태진운수와 접촉하여 운행을 성사시켰다.
그리하여 710번 회차지 옆의 구룡마을 주차장이 차고지로 쓰였고 배차 조절은 62-1번 회차지 컨테이너에서 이뤄지는 형태로 운행하다가 2004년 개편 때 노유동[8] 으로 연장되면서 기점과 회차지가 서로 바뀌어 2413번이 되었고 태진운수가 단독 운행하게 되었고 이후 기점이 성수동 본사로 변경되었다.
27. 416 (서울승합) (★)
운행구간(1기) : 명일동 - 명일현대아파트 - 삼익맨션 - 강동구민회관 - 천일초등학교 - 천호역 - 영파여고 - 강동구청 - 미주아파트 - 성내중입구 - 둔촌주공아파트
운행구간(2기) : 고덕동 - 고덕주공3~7단지 - 강동고등학교 - 한영외국어고등학교 - 명일여자고등학교 - 명일역 - 구천면길 - 천호역(영파여고) - 강동구청 - 미주아파트 - 성내중입구 - 청구아파트 - 둔촌주공1단지후문 - 보훈병원
1995년 8월 14일 개통된 지역순환버스로, 최초 계획상으로는 명일동차고지[9] 를 출발하여 명일현대아파트, 삼익맨션, 강동구민회관, 천일초등학교, 천호역, 광나루역을 거쳐 강변역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었으나 실제로는 천호역에서 영파여고, 강동구청을 거쳐 둔촌주공아파트로 운행했다. 하지만 '명일동 - 영파여고' 구간은 16번, 30번, 30-1번 등 많은 노선들과 겹쳤고 차고지를 고덕동으로 연장하면서 경유하는 구간조차 자사 마을버스 노선과 겹쳤으며, 강동구청에서 둔촌아파트 구간마저 212번과 겹쳤던지라 수익성이 영 좋지 않아 결국 인가상으로만 있는 유령 노선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공식적으로는 1998년 4월 경에 비로소 폐선되었으며 인가되어 있던 냉방형 에어로타운은 앞서 언급한 자사 계열 마을버스에 투입되어 운행하게 되었고, 해당 버스에서 운행하던 무냉방 코스모스 차량은 새로 개통된 마을버스로 이동했다. 그런데 재미있게도 416번이 다녔던 '둔촌주공1단지후문 - 둔촌동역 - 성내중입구' 구간에서 운행 중이며, 15년 후인 2013년에 신설된 3321번이 416번의 상당수 운행구간을 계승하고 있다. '명일동 - 강동구청' 구간은 천중로 구간만 빼면 416번과 거의 같다.
28. 416 (도원교통 → 대성운수) (★)
운행구간 : 돈암동풍림아파트 - 아리랑고개 - 성신여대입구역 - 성북구청 - 보문역 - 보문사 - 보문동아남아파트 - 보문사 - 보문역 - 성북구청후문 - 성신여대입구역 - 돈암동풍림아파트
구 16번 마을버스며, 이후 시내버스로 승격되면서 416번으로 바뀌었다.
마을버스 시절부터 수요가 적어 도원교통이 운행을 포기하고, 노선을 대성운수에 넘겼다.
하지만 여전히 수요가 적어 카운티로 운행하게 되었고, 보문동아남아파트까지 연장되었으나 결국 2003년 9월에 폐선되었다.
29. 416-1 (서울승합) (★)
운행구간 : 고덕동 - 고덕주공 1단지 - 묘곡초등학교 - 고덕현대아파트 - 고덕역 - 한영외국어고등학교 - 명일여자고등학교 - 명일역 - 구천면길 - 천호역 (영파여자고등학교) - 올림픽대교 - 강변역 (동서울터미널)
1995년 11월 도시형 500-2번을 형간전환하여 신설하였다. 수요저조로 인가상으로만 존재하는 유령노선으로 전락했다가 1997년 3월 폐선되었다.
30. 417 (동부운수, 승원여객, 신흥기업, 영동교통, 진화운수, 한서교통) (★)
운행구간 : 문정시영아파트 - 문정동 - 경찰병원 - 오금역 - 방이동 - 송파구청 - 잠실 - 롯데월드
얼마 운행하지 못하고 폐선.
31. 417 (대성운수)
[image][10]
1999년에 신설된 성북구 7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2001년에 지역순환버스로 전환되면서, 번호가 417번으로 바뀌었다. 2004년 개편 전에는 홍익사대부중고교까지 운행하였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성북동 명수학교까지 연장되었고, 번호도 1111번으로 바뀌었다. 이후 회차지점도 번동으로 연장되면서 명수학교가 회차지점으로 바뀌었다. 내용은 서울 버스 1111 참조.
32. 418 (서울승합, 신흥기업) (★)
운행구간 : 올림픽선수촌아파트 - 올림픽공원 - 방이동 - 석촌호수 - 잠실 - 송파구청
1995년 신설. 1997년 3월에 공식 폐선.
33. 419 (동부운수, 승원여객, 신흥기업, 진화운수, 한서교통) (★)
운행구간 : 올림픽선수촌아파트 - 올림픽공원 - 방이역 - 오금역 - 경찰병원 - 가락시장역 - 수서역
1995년 신설. 얼마 운행하지 못하고 폐선.
34. 419 (흥기운수) (★)
운행구간 : 가산동 - 디지털오거리 - 만민중앙교회 - 남구로역 - 대림역 - 우성1,2차아파트 - 도림사거리 - 우성5차아파트 - 우신초등학교 - 우성4차아파트 - 경남아파트 - 신길역 - 영등포로터리 → 경원극장 → 신세계, 경방필백화점 → 영등포역 (롯데백화점) → 영등포로터리
2001년 3월 업체 부도와 동시에 폐선되었으나 같은해 7월 16-4번 마을버스로 가산동 - 대림역 구간을 단축하고 나머지 대림역 - 영등포역 구간만 부활하여 운행하게 되며, 당시 419번에서 운행하던 AM828 뉴 코스모스 차량도 도색변경 없이 차량면허만 신규발행되어 대림운수에서 꾸준히 굴려, 개편 이후 영등포 04번 마을버스로 명맥을 잇고있다.
35. 419 (진아교통)
[image]
위 차량은 두 번 대차되어 1135번 NSAC F/L 저상으로 운행 중 이다..출처
서울 버스 1136 참조.
이 노선이 생기기 전에 영등포 쪽에서 운행하던 동일 번호의 노선이 있었다만 위에서 서술했듯이 2001년 3월에 폐지. 진아교통 419번은 2001년 이후에 생긴 것으로 보인다.
36. 420 (우신운수)
[image]
출처
운행구간 : 풍납동 - 토성오거리 - 아산병원 - 풍납중 - 잠실시영A - 성내역 - 잠실중 - 잠실역 - 잠실주공3, 4단지 - 신천역
1995년 11월 신설되었으며 서울승합과 우신운수 2개사가 공동으로 운행하였다. 1996년 5월 서울승합 인가분을 전부 우신운수에 매각하였다. 이후 꾸준한 증차로 풍납동 일대에서 폭발적인 수요를 자랑하게 되었다. 2003년 9월 20일에 '천호역 - 조수월약국 - 파출소앞 - 영파여고후문 - 현대아파트' 구간이 '천호역 - 광성교회 - 강동구청역 - 현대아파트'로 변경되었다. 우신운수 공지사항
대개편 때 3312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다. 이후 4418번과 통합되어 4318번이 되었다.
37. 421 (송파상운, 한서교통, 승원여객 → 송파상운, 한서교통, 서울버스)
[image]
[11]
운행구간 : 마천동 - 송파성모병원 - 거여역 - 문정시영아파트 - 가락극동아파트 - 가동초등학교 - 가락쌍용아파트 - 가락시장역 - 수서역
1995년 신설. 첫 운행 당시 승원여객, 한서교통은 에어로타운, 송파상운은 코스모스 차량을 투입하였다. 이후 수요증가로 1999~2000년 대형급 차량으로 교체. 2001년경 821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다. 이후 내용은 821번 항목 참조.
38. 422 (진화운수) (★)
운행구간 : 석촌동 백제고분 - 송파구민회관 - 아시아선수촌아파트 - 신천역 - 잠실역 (롯데월드) - 송파구청 - 올림픽공원 - 송파신사거리
1995년 신설. 얼마 운행하지 못하고 폐선.
39. 422 (한성운수)
[image]
2010년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로 대차되었고, 현재는 5536번 잉여예비로 있다.출처
운행구간 : 번동(차고지) - 수유역 - 강북구청 - 번동(차고지) - 강북문화정보센터 - 드림랜드후문 - 대지극장 - 미아삼거리역
408번 순환버스로 시작했다가 마을버스로 전환했으나 다시 2001년에 순환버스가 되면서 422번으로 바뀌었다. 당시에는 17대가 3~5분 간격으로 다니며 5, 6, 6-1번 마을버스를 이기고 있었고 미아삼거리역 막차가 00:55였다.
대개편 때 번호만 바뀌었다. 서울 버스 1124 항목 참조.
40. 423 (선일교통)
[image]
2004년식이었으며, 2010년에 BS090 가스차량으로 조기대차되었다.출처
운행구간 : 4.19국립묘지입구 - 수유2동사무소 - 우이시장 - 광산사거리 - 강북구청 - 수유역 - 수유중앙시장 - 광산사거리 - 쌍문초교 - 숭미초교 - 신경여상 - 방학3동사무소 - 신동아APT - 주택은행 - 조흥은행 - 방학사거리 - 쌍용아파트 - 동아(청솔)아파트 - 농협창동물류센터 - 창동역
서울 버스 1119 항목 참조.
41. 424 (범진여객) (★)
운행구간 : 사당3동 - 이수역 - 고속터미널 - 잠원역
신설이후 얼마 못 가 1996년에 폐선되었다. 에어로타운으로 운행했으며 이후 범진여객도 얼마 못 가 망했다.
42. 425 (상진운수)
운행구간 : 신내동 - 중랑구청 - 중화역 - 청량리 - 제기동
이후 수요가 늘어나면서 시내버스로 전환시켜 47번이 되었다. 이후 내용은 47번 항목 참조.
43. 425-1 (상진운수) (★)
운행구간 : 신내동 - 신내초등학교 - 중랑구청 - 중화역 - 청량리 - 경동시장
2000년대 초반에 폐선되었다.
44. 426 (공항버스) (★)
운행구간 : 방화동 - 가양아파트단지 - 등촌동 - 염창동 - 당산역 - 합정역 - 홍대입구역
당산철교 철거가 예고되면서 신설한 노선이다. 그러나 무료 셔틀버스가 운행되면서 예상했던 만큼의 수요가 나오지 않게 되었고, 이로 인해 당산역까지 단축되었다. 그러나 이걸로도 부족했는지 결국 412번에 흡수되었다.
45. 426 (도선여객)
운행구간 : 개포동 - 대치역 - 도곡역 - 개나리아파트 - 선릉역
도시형 11번의 폐선으로 개포동 및 수도공고 부근 주민들의 불편이 가중되면서 임시로 신설되었던 노선이 그 시초이다. 신설 초기에는 첫차 5시, 막차 23시, 배차간격 18분으로 운행하였고, 이후 대개편 때 폐선되었다.
83번의 단축노선인 4411번이 이 노선을 상당 부분 물려받았으나 얼마 못 가 폐선되었다.
46. 426-1 (공항버스) (★)
운행구간 : 홍대입구역 - 합정역 - 양화대교 - 당산역
426번이 단축될 때 신설된 노선으로, 셔틀버스처럼 무료로 운행되었다. 당산철교가 재개통되자 셔틀버스처럼 폐선을 하려 했으나, 신촌운수의 부도로 139번을 대체하기 위해 문래역까지 연장되었다. 이후 2001년에 폐선.
47. 427 (혁성운수 → 북부운수)
[image]
위 차량은 2008년에 BS090 F/L로 대차되었다가 2017년에 다시 그린시티로 대차되었다.출처
뒷면의 '''휘경공고시험장'''은 산업인력공단의 국가자격증 시험을 휘경공고에서 하기 때문에 붙인 스티커로 지금도 서울 버스 동대문03에서 '''시험장행''' 자석판자를 붙이고 다닌다.
1996년 6월 5일 신설
운행구간 : 회기역 - 휘경2동사무소 - 휘경공고 - 서울보호관찰소 - 휘경여중.고 - 장안4동사무소 - 근린공원 - 경남관광호텔 - 동경호텔 - 한일은행 - 장한평역 - 청년회의소 - 하나은행 - 장안시장 - 희정약국 - 한일은행앞 - 장안3동사무소 - 경남관광호텔 - 새서울병원 - 조흥은행 - 혁성운수종점 - 장안4동사무소 - 현대아파트 - 서울보호관찰소 - 휘경공고 - 휘경2동사무소 - 위생병원 - 회기역
대개편 때 서울 버스 2211로 번호만 변경되었다. 이후 역사는 해당 문서를 참고
48. 428 (선진운수) (★)
운행구간 : 구기동(이북5도청) - 부암동 - 경복궁 - 종로3가
1996년 신설. 당시 하이파워 무냉방 차량으로 운행하였다. 1998년경 시내버스로 전환시키면서 143-1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다. 이후 내용은 143-1번 항목 참조.
49. 429 (범양여객 → 선진여객 → 선진운수)
[image]
사진 속의 차량(서울75사3414)은 433번으로 넘어간 후, 개편 때 7714번(당시 구.433번)으로 승계 및 선진운수측 운행 철수와 동시에 현대교통으로 이적하였다. 현재는 7612번에서 운행되고 있다.
'''現 고양 버스 075A'''
운행구간 : 애기능 - 서약국 - 은평차고지 - 수색역 - 모래내시장 - 성산회관
서오릉보다 약간 안쪽이며 교통 음영지대였던 향동동(애기능)의 농어촌버스 개념으로 운영되었던 노선. 드물게 159번 용두리 구간(용두5~7통)을 경유하여 용두사거리까지 연장 운행하는 지선도 존재하였고, 노선 취지에 알맞게 향동동 지역 동네 어르신들이 주 고객이었다. 지역순환버스이지만, 일반도시형 요금을 받았기 때문에 후에는 몬드리안도색으로 운행하였다.
개편 후 7729번으로 그대로 승계되어 운행하다가, 2004년 10월에 비정기 지선 구간이었던 향동동-용두사거리 구간을 정식 연장 및 수색전철역(현.디지털미디어시티역)-구.성산회관 구간을 단축하였다. 후에 9705번이 폐선되면서 좌석차량이 고정으로 투입됐는데, 향동동 재개발로 인한 수요 감소로 2006년 12월에 폐선되어 고양시 마을버스로 재신설되었다. 현재 고양 버스 075A가 본 노선의 후신으로서 계승 중.
50. 430 (서울승합) (★)
운행구간 : 고덕동 - 고덕주공 2단지 - 고덕주공 1단지 - 묘곡초등학교 - 고덕현대아파트 - 고덕역 - 한영외국어고등학교 - 명일여자고등학교 - 명일역 - 구천면길 - 천호역 (영파여고) - 강동구청
1996년경 신설. 수요저조로 인가상으로만 존재하는 유령노선으로 전락했다가 1997년 12월 폐선되었다.
51. 430 (선진운수)
운행구간 : 수색차고지 - 수색역 - 증산동구길 - 상신중학교 - 신사동고개 - 응암역 - 예일여고 - 연신내역
은평구 마을버스 3번으로 시작한 노선이며, 2000년 12월에 431번과 함께 지역순환버스 430번으로 전환되었다. 원래는 증산동구길(현.증산서길)이 아닌 은평터널 경유였으나, 2003년 경에 431번과 해당 구간을 맞트레이드하였다.
대개편 때 7718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어 운행되다가, 이후 서울 버스 7715로 흡수통합되었다.
52. 431 (서울버스) (★)
운행구간 : 중동고교 - 개원중학교 - 잠실주공3단지 - 잠실역
1997년 12월 1일 폐선
53. 431 (선진운수)
'''現 서울 버스 7715'''
운행구간 : 마포농수산물센터 - 증산교 - 수색역 - 은평터널 - 신사동고개 - 서대문시립병원 - 예일여고 - 연신내역
은평구 마을버스 4번으로 시작했고, 당시 운행구간은 '마포농수산물센터 - 증산동 구길(현.증산서길) - 상신중학교 - 신사동고개 - 시립서대문병원 - 예일여고 - 연신내역'이었다.
2000년 12월 6일에 지역순환버스로 승격되면서 431번을 부여받았다. 당시에는 이 구간을 고작 4대로 운영하였는데, 공식 배차간격은 20분이었지만 실제 체감하는 간격은 훨씬 길었다. 게다가 그 시절에는 스마트폰조차 없었으니 하염없이 기다릴 뿐이었다. 즉, 수요는 많았지만 공급이 한참 뒷받쳐주지 못한 노선이었다.
2003년경에는 동사 430번과 증산/수색동 구간을 맞바꾸어 은평터널 경유로 직선화가 이루어졌고, 2대가 추가로 증차[12] 되며 간격또한 소폭 개선되었다.
대개편 때 서울 버스 7715로 번호만 변경되어 그대로 승계되었고, 7718번과의 통합 과정 등을 거치며 개편 직전 6대의 2배 수준인 13대까지 증차되어 간격이 매우 준수해졌다.
54. 432 (선일교통)
1996년 7월 1일 신설
운행구간 : 진안빌라 - 한양마트 - 방학동 - 안방학사거리 - 원약국 - 도깨비시장앞 - 고개앞 - 삼익아파트 - 쌍문청구아파트 - 북부농협 - 구민회관 - 정의여중 - 쌍문역 - 파출소 - 오거리 - 대우아파트 - 슈퍼앞 - 도봉전화국 - 쌍문역
대개편 때 번호만 변경되었다. 서울 버스 1126 항목 참조.
55. 433 (동아운수) (★)
운행구간 : 화계사 - 국립재활원 사거리 - 강북구의회 - 가오리 - 수유벽산아파트 → 수유3동사무소 → 수유사거리 → 수유역 → 강북구청 → 수유벽산아파트
1997년 신설되어 1번 마을버스 (현 강북01번) 와 피튀기는 경쟁을 하다가 얼마 운행하지 못하고 폐선. 전차량 코스모스로 운행하던 노선.(폐선 후 다니던 차량이 공항버스, 김포교통 412번 증차분으로 매각되었다는 설이 있다.)
56. 433 (선진운수, 현대교통 → 현대교통)
[image]
위 차량은 2012년에 대차 후 7612번에서 운행중이다.출처
운행구간 : 홍연2교(명지대) - 증산역 - 마포농수산물센터
2001년 5월 22일에 신설된 노선으로, 2000년 12월에 완전 개통된 서울 지하철 6호선 증산역의 부역명이 "명지대앞" 이었으나 정작 명지대는 증산역과 상당한 거리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신설한 노선이었다. 선진운수[13] 와 현대교통이 공동배차하다가, 후에는 선진운수 소속 차량들을 모두 흡수하여 현대교통 단독 운행 체제로 전환되었다.
대개편 때 서울 버스 7714로 변경되어 운행하다가 맞춤버스 등을 전전하면서 폐선되었다. 현재는 서울 버스 7019가 그 역할을 계승 중이다.
57. 434 (신촌교통)
141번 항목 참조.
58. 435 (신촌교통)
141-2번 항목 참조.
59. 436 (아진교통) (★)
운행구간 : 염곡동 - 포이동 - 양재역 - 영동중학교 - 서초우성아파트 - 롯데칠성 - 고속터미널
1997년 17번 좌석이 폐선된 후 대체노선 격으로 신설된 노선이었다. 1998년 6월 30일에 폐선.
60. 437 (한성여객, 한성버스) (★)
창동역 - 도봉구청 - 정의여고 - 선덕학원 - 쌍문동아파트단지 - 안방학동 - 도봉시장 - 도봉정보산업고 - 창동농협하나로마트 - 창동역
창동역에서 방학동을 운행하는 순환노선이었으나 일방향인지 양방향인지 확실하지 않으며 파행운행하다 폐선
폐선시기는 1998~1999년.
61. 438 (진화운수, 유성운수, 대진운수) (★)
상암동 - 성산동대우아파트 - 성산동시영아파트 - 경성중고교 - 홍대입구역 - 동교동 - 신촌로터리 - 이대입구 - 아현역 - 애오개역 - 공덕역
신설 당시 3사 공배 운행하다 대진운수가 운행 차량 2대(당시 차량번호 서울 75 사 1175, 2553) 모두 진화운수에 넘기고 철수. 2002년 1월 11일 폐선
62. 439 (도원교통)
[image]
서울특별시에서 뜸했던 2004년 초중반에 출고된 BS090 디젤 모델이었다. 2009년에 서울시의 천연가스버스 의무화 정책에 따라 조기대차되었고, 폐선되면서 6617번에서 운행하다가 현재는 6617번, 6620번 공동 예비로 격하되었다.출처
운행구간 : 국민대학교(체육관) - 본관 - 도서관 - 정문 - 육교앞 - 고려보건대학 - 봉국사 - 정릉2동사무소 - 숭덕초교 - 길음시장입구 → 길음시장 → 길음역 → 길음시장입구 → 이하 역순
1996년 7월 신설된 노선으로, 개편 후 1112번 지선버스가 되었다. 이후 1116번과 통합되어 1117번이 되었으나, 마을버스 노선이 생겨나면서 폐선.
63. 440 (현대교통, 북부운수, 서부운수 → 현대교통)
[image]
기아 코스모스 차량. 이후 아래 차량으로 대차되었다.
[image]
출처 이 차량은 2011년에 저상버스로 교체되어 7019번에 있다.
1996년 7월 1일 신설
운행구간 : 홍제역 - 서대문구청 - 현대교통 - 명지대 - 모래내 - 성산회관 - 연세대/신촌
신설당시에는 북부운수와 서부운수도 운행했으나 북부운수가 50번 인수 후 빠졌고 서부운수도 운행분을 현대교통에 넘기고 철수.
서울 버스 7713 참조.
64. 441 (동아운수)
[image]
출처
화계사와 미아삼거리를 잇는 노선으로, 구 강북구 마을버스 11번이 시내버스로 승격된 것이다. 대개편 때는 번호만 1116번으로 변경되었으나, 이후 1165번으로 통합되었다. 서울 버스 1165 항목 참조.
65. 441-1 (동아운수) (★)
운행구간 : 삼양동 ??슈퍼 - 미아삼거리역
구 강북구 마을버스 8번이 시내버스로 승격된 것으로, 2003년경에 폐선되었다.
66. 442 (서부운수 → 도원교통 → 영신여객)
[image]
출처
운행구간 : 월곡전화국 - 미아삼거리역(당시 명칭) - 월곡동 - 세종기념관 - 경동시장 - 청량리
당시 133번이 임의결행은 예삿일도 아니어서 이런 파행으로 가장 큰 불편을 겪었던 KIST 인근 주민들이 요청해 분리신설된 133-1번이 전신이다.
이후 지역순환버스로 전환되면서 번호도 442번으로 바뀌었고 도원교통이 인수했다.
그 다음 1997년 6월 4일에 영신여객에 매각되어 그냥저냥 다니다가 개편과 함께 1219번으로 바뀌었다. 이후 이 노선에서 서울 버스 1226과 서울 버스 1166이 파생된다.
67. 443 (동아운수)
[image]
출처
운행구간 : 현대백화점 - 종암사거리 - 상월곡역
2004년 대개편 때 1117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다만 2004년 11월에 폐선되었다.
2001년부터 백화점 셔틀버스를 운행할 수 없게 되어서 생긴 노선이며 현대백화점에 의한, 현대백화점을 위한 노선이었다.
백화점 셔틀버스는 무료였는데 이 버스는 노선버스이므로 요금을 내고 타야 했.....을 것 같지만, 당시 백화점에서 443번 정류소로 통하는 출구에는 은행에서 볼 것 같은 대기표 발급기가 있었는데 그 내용물은 '''443번 버스 승차권''' 이었고, 그것을 제시하면 '''버스를 공짜로''' 탈 수 있었다. 심지어 물건을 사지 않고 빈손으로 돌아가도 그것을 뽑아서 공짜로 버스를 탈 수 있었다.
게다가 이 버스에 붙은 정면 행선판이나 443번 스티커는 천광행선판이나 동아운수가 자체적으로 만든 것이 아니라, 현대백화점에서 쓰일 법한 폰트로 붙어있었다.
현대백화점이 동아운수에게 443번 운영비를 지원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백화점은 편법으로 셔틀버스를 운영한 것이고, 동아운수도 고정적인 수입원을 얻은 셈이니 서로 윈윈한 셈.
대개편 이후 4개월만에 폐선된 것도[14] , 앞의 사실과 종합해보면 정황상 그랬을 가능성이 크다.
비슷한 케이스로는 강동구의 481번 지역순환버스가 있었다. 얘는 '''2만원 이상 구입시 481번 승차권 지급'''이라는 차이점이 있었고, 481번은 보훈병원 셔틀버스 역할도 했었던지라 차이도 있다.
68. 445 (우성버스, 선진교통, 경성여객, 북부운수, 상진운수, 아진교통)
[image]
현재는 2013번에서 NEW BS110으로 운행 중이다. 출처
2004년 개편 때 2214번이 되었다. '중랑구청 - 서일대'로 노선이 변경되었지만, 얼마 못 가 폐선되었다.
1997년 신설 당시엔 우성버스와 선진교통이 운행하였다. 하지만, 1999년에 우성버스가 폐업하였고, 선진교통이 북부운수에게 인수되면서 4개 업체 공동배차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69. 446 (동아운수, 관악교통) (★)
운행 노선 : 시흥2동 벽산아파트 - 미림여고 - 쑥고개입구 - 신림역 - 신대방삼거리 - 장승배기 - 동작구청 - 대방역 - 신길역 - 영등포
2000년대에 폐선.
70. 447 (신흥기업, 신촌교통, 혁성운수, 중부운수, 삼성여객) (★)
운행 노선 : 서빙고 - 서빙고역 - 동부이촌동 - 서부이촌동 - 청암동 - 원효로3가 - 원효로2가 - 용산경찰서 - 남영역 - 전쟁기념관, 삼각지역 - 이태원 - 한남동 - 순천향대병원 - 한남역 - 보광동 - 동빙고 - 서빙고
1997년 일방향 순환노선 신설되었으나 얼마 안 가 폐선.
71. 448 (진아교통)
[image]
한 때 38-1번이 거쳐갔던 노선으로, 수요가 나지 않아 임의결행까지 갔던 적도 있었다. 다행히 성북구에서 이전한 서라벌고 경유로 변경되면서 겨우 살아났다. 이후 내용은 38-1번 항목 참조.
72. 449 (진아교통) (★)
도시형 38-3번의 차량들이 중형급으로 대차되면서 노선 변경 없이 번호만 변경되었다.
수요 감소로 인해 석계역-상봉터미널로 단축됐으나, 7호선 개통으로 수요가 더 줄어들어 2000년대에 폐선. 여기서 쓰던 차를 이용해서 419번을 신설하게 된다.
73. 450 (대진여객)
[image]
방열구가 없어 디젤차로 보이겠지만 가스차량이다. 현재는 그린시티로 대차되었다가 1116번 신설로 차출되었다.출처
운행구간 : 정릉풍림아파트 - 길음역 - 현대백화점 - 동덕여대 - 상월곡역
대개편 때 길음역으로 단축되어 1114번이 되었다.
74. 450-1 (대진여객)
[image]
출처
정릉과 월곡역을 오가던 노선으로, 대개편 때 상월곡동으로 연장되면서 1113번이 되었다.
75. 451 (상진운수)
[image]
해당 차량은 2010년에 그린시티[15] 로 대차되었다.출처
운행구간 : 신내동 - 화랑대역 - 봉화산역 - 신내아파트단지 - 중랑구청 - 중화역 - 이화교 - 신이문역
2001년경 신설. 대개편 때는 2216번으로 변경되었으나, 이후 1223번과 합쳐져 1122번이 된다. 서울 버스 1122 항목 참조.
76. 452 (대진여객)
운행구간 : 청담역 - 강남구청(강남세무서) - 강남구청역 - 주택공사 - 경복아파트 - 차병원 - 삼정호텔 - 리츠칼튼호텔 - 교보타워사거리 - 강남역
2대로 약 25분 간격으로 운행하였으며, 대개편 때 폐선되었다. 차고지는 구룡마을 차고지를 이용하였다.
77. 453 (중부운수)
운행구간 : 문래역 - 양천구청 - 영상고 - 목동역 - 목동사거리 - 강서고 - 목동시장 - 바이더웨이 - 강서보건소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신정지선 개통에 맞춰, 1988년 10월 12일에 신설된 마을버스 3번이 그 시초이다.(양천구청 - 강서보건소, 5대) 이후 2000년 12월 4일부로 시내버스격인 지역순환버스로 승격하면서 문래동차고지까지 연장되었다. 마을버스 시절에는 코스모스 차량으로 운행했지만, 지역순환버스로 승격된 이후로는 에어로타운 일반형이 돌아다녔었다.
대개편 때 노선이 3번 시절로 복귀했다. 이유인 즉슨 당연히 배차간격 때문. 거의 '''30분''' 가까이 배차가 벌어졌었다.
문래동~양천구청 구간은 서울 버스 6625번이 담당하게 되었고, 양천구청~강서보건소 구간만 운행하는 형태로 살아남았으나(6618번), 골목길 운행의 난조로 인해, 2005년 8월 1일부로 폐선되었다.
정확히는 원래 거기가 영도초, 정목초, 영도중, 강서고 학생들의 통학로였고, 그로 인해 운행에 대한 애로사항도 많았다.
목동사거리에서 곰달래고개를 거쳐, 3, 4단지 사거리에서 좌회전해서 오약국으로 빠져나간 다음 등촌로를 달려서 대일고 앞두고 목동시장 쪽으로 들어가 언덕을 넘어 바이더웨이로 가던 ㄹ자 형태의 괴악한 노선.
그러니 영도중, 강서고, 대일고, 양동중 등의 중고등학생들 통학 수요는 얘가 다 쓸어담았던 리즈 시절이 있었다. 한때는 영도중/강서고 앞에 정류장이 있을 때 영도중 학생들이 우르르 타서 바로 다음 정류장인 목동3단지 정류장을 패스해버리는 경우가 생겨났다.
하지만, 문래동으로 연장된 뒤로는 배차간격이 벌어졌기 때문에 외면을 받았고, 외면 받은 노선이 살아남기는 매우 힘드니까 3번 시절로 단축을 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돌아오지 않는 승객들로 인해, [16] 폐선이 된 노선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증차를 하지 않은 상황에서 구간만 기존의 두 배 이상으로 연장해버렸으니 당연히 배차간격은 상상 그 이상.
78. 454-1 (제일여객)
운행구간 : 기자촌 - 은평공고 - 구파발역
대개편 때 7723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다. 구파발로 나갈 때 한정으로 기자촌 한가운데에 있는 기사식당 앞까지 들어갔다가 다시 나오는 방식으로 운행하였으며 기자촌이 본격적으로 철거되기 시작한 후에는 은평뉴타운 셔틀버스로 변경되었다. 서울 버스 7723 참조.
79. 454-2 (제일여객)
운행구간 : 진관사 - 느티나무 - 대성상회 - 기자촌입구 - 진관외동사무소 - 신도초교 - 구파발역
대개편 때 7724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다. 그러나 2010년 8월에 폐선.
80. 456 (상진운수)
[image]
2004년식 글로벌900 디젤 차량으로 2009년에 신형 글로벌900으로 조기대차되었다.출처
대개편 때는 1223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으나, 이후 2216번과 합쳐져 1122번이 된다. 서울 버스 1122 항목 참조.
81. 457 (중부운수)
[image]
출처
운행구간 : 국립과학수사연구소 - 신월동종점 - 신월시영아파트 - 강서초교 - 신월2동사무소 - 신정네거리역 - 구.111번종점 - 신월우체국 - 남부지검(→ 양천구청, 구민회관, 목동10단지 →/← 양천구청, 양천경찰서, 목동8단지 ←) - 양천구청역 - 양천세무서 - 신정2동사무소 - 오목교역 → 목동운동장 → 목동5단지 → 이대목동병원(내부 경유) → 월촌중 → 목동1~4단지 → 까르푸 → 목동7단지 → 오목교역 → 이하 역순
1992년 3월 13일에 신설된 마을버스 7번이 시초다.(국립과학수사연구소 - 문래역, 5대)
이후 2000년 12월 4일 부로 지역순환버스로 전환되었다.
출근시간대(07:00~09:00)에는 신월동종점 - 이대목동병원 구간만 운행하였다.(과학수사연구소, 신안아파트 후문 미경유)
목동아파트 단지 내에서 488번과 경쟁하였으나, 이 노선만 살아남았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6624 참고.
82. 460 (세풍운수)
운행구간 : 항동종점 - 농심 - 건널목삼거리 - 저수지삼거리 - 그린빌라정문 - 유한공고 - 동부제강 - 오류동역 - 개봉주유소 - 학마을아마트 - 양천고 정랑고개 - 신트리아파트 - 양명초교.신서중 - 신정1동사무소 - 신정네거리역 → 세풍운수종점 → 남부지방법원 남부지방경찰청 → 진명여고 → 목동역.목동오거리 → 영상고 → 세풍운수종점 → 신정네거리역 → 이후 역순
과거 121-2번의 항동 구간이 단축된 후 이를 대체하기 위해 신설된 구로구 15-1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이후 2001년 후반에 지역순환버스로 승격되면서 번호가 460번으로 바뀌었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6614번으로 바뀌었다.
83. 462 (태진운수)
[image]
해당 차량은 글로벌900 F/L 최후기형으로 대차되어 운행중이다.출처
운행구간 : 성수동종점 - 국민은행성수동지점 - 성수1가1동사무소 - 뚝도정수사업소 - 뚝섬체육공원 - 뚝섬역 - 성수역 - 경동초교 - 경일초교 - 그린A - 이마트 - 뚝도시장 - 경수중 - 성동마트 - 노룬산시장 - 국민은행노유동지점 - 뚝도변전소 - 건대입구역 - 건국대후문 - 자양초교 - 자양사거리 - 구의역 - 동부지법 - 광진우체국 - 강변역
서울 버스 2224 참조.
84. 463 (태진운수)
운행구간 : 신도림역 → 코오롱A → 현대A → BS마트 → 정현부페 → 국민은행대림동지점 → 가락슈퍼 → 기린약국 → 세명마트 → 수도약국 → 대림동우성A → 대림3동사무소 → 정현부페 → 방송대앞 → 방송통신대 → 현대A → 코오롱A → 신도림역
구로역으로 연장되면서, 6611번이 되었다. 서울 버스 6611 항목 참조.
85. 467 (신흥기업)
운행구간 : 청암동 - 원효로2동사무소 - 성심여자중.고 - 신창동 - 용산전화국 - 용문시장 - 원효로2가 - 용산전자상가 - 신용산역 - 용산역[17] - 용사의집 - 한강초교서편 - 현대한강아파트 - 이촌2동대림A - 이촌2동사무소 - 부영주유소 - 이촌소방서 - 원효로2동한양산호아파트후문 - 청암동강변삼성스위트아파트 - 원효로2동한양산호아파트 - 현대자동차원효로사옥 - 부영주유소 - 청암동
대개편 때 0017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다. 서울 버스 0017 항목 참조.
86. 468 (신흥기업)
[image]
출처
운행구간 : 서부역 - 손기정공원 - 만리시장 - 배문중 - 청파초교 → 효창공원후문 → 새림교회 → 대한노인회 → 효창맨션A → 효창동사무소 → 효창공원역 → 용문시장(회차) → 남정초교 → 용산구청 → 용산경찰서 → 남영역 → 숙대입구역 → 숙대입구 → 숙대앞 → 숙대후문 → 청파초교 → 이하 역순
대개편 때 0016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으나, 오케이버스에 매각된 후 용산04번이 되었다.
87. 469 (신흥기업)
[image]
[18]
서울 버스 광진05 참조.
88. 470 (세풍운수)
[image]
출처
운행구간 : 온수동 - 온수역 - 우신중고 - 온수연립(회차) - 우신중고 - 수궁동사무소 - 경기여실 - 원각사 - 동광상고(회차) - 원각사 - 궁동입구 - 오류동 - 개봉4거리 - 구로역 - 구로구청
1990년대 초반 세풍운수는 121-1번과 121-3번을 121-1(現 6616)번으로 통합하여 운행한다. 그런데 통합하여 운행효율화하는 것은 좋았으나, 기존 121-3번의 회차지였던 서서울생활과학고(구 동광상고), 예림디자인고(구 경기여실)에 통학하는 학생들은 하교할 때마다 먼저 거쳐오는 우신중고교 쪽 학생들로 인해 버스를 탈 수 없는 상황이 다반사가 되어 버스를 타려면 한참을 걸어 온수역까지 가던가, 아니면 산을 넘어 온수연립까지 넘어가야 했다.
더구나, 합친노선으로 운행시간은 늘어난 데 반해, 배차간격은 그리 단축되지 않았기에 그들의 불만을 해결하고 이 참에 소외된 수궁동 주민들의 민원도 해결하기 위해 15-19번 마을버스를 만들었다.
이후 마을버스의 순환버스 전환 분위기에 맞춰 항동마을버스와 함께 전환하여 번호도 470번으로 바뀌었다.
그 다음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6613번으로 바뀐다. 이후 연혁은 해당 문서를 참조.
89. 470-1 (세풍운수)
[image]
해당 차량은 대차 후 6616번에서 운행중이다.출처
운행구간 : 온수동 - 온수역 - 수궁동사무소 - 구로정보고 - 오류고 - 서서울정보고 - 오남중 - 천왕역
대개편 때 목동으로 연장되면서 6615번이 되었다가 개편 3개월만에 폐선.
90. 476 (대흥교통) (★)
운행구간 : 사근동중앙하이츠 - 사근고개 - 사근파출소 - 마장역 → 성동보건소 → 청계벽산아파트 → 구.성동구청 → 마장축산물시장 → 마장역 → 이하 역순
당시 서울시설관리공단 건물에 세들어 살고 있었던 성동구청과 사근동을 연결하는 5-1번 마을버스가 2000년에 형간전환했던 노선이었다. 성동구청이 현 위치로 이전하면서 폐선되었다.
91. 478 (신장운수) (★)
도시형 573번(청색)이 잠깐 가지고 있었던 번호. 얼마 못 가 다시 결번이 되었다.
92. 479 (신장운수) (★)
운행구간 : 하일동입구 - 오거리 - 구종점 - 하남초등학교 - 가나안농군학교 - 황산 - 주몽재활원 - 한영중고교 - 명일여고 - 명일동 - 성덕여상 - 구천면길 - 고분다리 - 천호사거리 - 천호대교 - 광장사거리 - 한국화이자 - 올림픽대교북단사거리 → 현대아파트 → 강변역 → 광장삼거리 → 올림픽대교북단사거리 → 이후 역순
573-1번이 번호 변경과 함께 천호대교 건너는 노선으로 변경. 신장운수 부도직전 폐선.
93. 480 (서울승합)
[image]
출처
운행구간 : 고덕동 - 고덕주공3~7단지 - 강동고 - 한영외고 - 명일여고 - 삼익파크A - 천동초교 - 강동성심병원 - 성내도서관 - 성내삼성A/대순진리회 - 영파여고 - 풍납동극동A - 올림픽대교 - 강변역
1993년 9월 1일 서울승합의 자회사격인 매일마을버스에서 '''번호없는 마을버스'''로 개통시켰는데 1998년 봄까지는 초록 도색의 무냉방 코스모스를 굴리다가 유령노선이었던 416번[19] 앞으로 인가된 파란 도색 에어로타운을 이 노선에 투입하면서 냉방버스 시대를 열었다.[20]
2000년 7월에 계열사였던 매일마을버스를 흡수하면서, 기존에 있던 무번호 마을버스를 인수했다. 이 때 1번이라는 번호가 부여되었고, 동년 12월에 지역순환버스로 승격되면서 위 번호가 되었다.
이후 2003년에 도시형으로 승격되었는데, 이후 내용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800번대 문서에서 880번 항목을 참조.
94. 480-1 (서울승합) (★)
운행구간 : 고덕동 - 고덕주공3~7단지 - 강동고 - 한영외고 - 명일여고 - 삼익파크A - 천동초교 - 강동성심병원 - 성내도서관 - 강동구청 - 영파여고 - 풍납동극동A - 올림픽대교 - 강변역
1993년 9월 1일 서울승합의 자회사격인 매일마을버스에서 '''번호없는 마을버스'''로 개통시켰는데 1998년 봄까지는 초록 도색의 무냉방 코스모스를 굴리다가 유령노선이었던 416번[21] 앞으로 인가된 파란 도색 에어로타운을 이 노선에 투입하면서 냉방버스 시대를 열었다.[22]
2000년 7월에 계열사였던 매일마을버스를 흡수하면서, 기존에 있던 무번호 마을버스를 인수했다. 이 때 1-1번이라는 번호가 부여되었고, 2000년 12월에 위 번호가 되었다.
대순진리회 대신 강동구청을 경유하였다. 사실 강동구청을 굳이 경유시킨 건 이쪽에 유일하게 다니던 813번 버스[23] 가 1998년 12월에 폐선된 이후 버스가 전혀 안 다니는 강동구청 ~ 대순진리회 삼거리 구간의 수요를 다시 한 번 노렸던거지만 결국 2001년에 폐선되었다.
95. 481 (서울승합)
[image]
[24]출처
운행구간 : 강일동 - 고덕지구 - 고덕중 - 한영고 - 고덕평생학습관 - 동부직업훈련원 - 강동아파트[25] - 암사역 - 천호동 - 영파여고 - 강동구청 - 성내중 - 둔촌동역 - 보훈병원
2001년에 개통된 노선으로, 현대백화점 천호점에서 굴리던 셔틀버스와 관계가 있는 노선이다. 셔틀버스가 없어지자, 셔틀버스로 다니던 차량을 서울승합이 매입했고, '''현대백화점에서 2만원이상 구매시 481번 승차권 지급''' 형식으로 운행했기 때문. 배차간격은 15~20분 정도였다.
대개편 때 3311번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2005년에 조용히 폐선.
96. 482 (범일운수)
[image]
2003년, 범일운수가 마지막으로 출고한 현대차량으로 이 차량들을 끝으로 계속 대우버스만 출고중이다. 2008년 말에 모두 대차되었다.출처
서울 버스 5621 참조. 정훈단지 마을버스로 시작한 노선으로, 역사는 의외로 꽤 긴 편.
97. 483 (흥안운수)
[image]
해당 차량은 1138번으로 이동 후 2007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 2019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개선형 저상버스로 대차되었다.출처
운행구간 : 창동역 - 노원구청 - 노원역 - 상계역 - 은행사거리 - 중계본동
전철 교통이 불편한 은행사거리 일대와 4호선 전철역, 창동역, 노원역, 상계역을 잇는 버스 노선. 지금의 서울 버스 1142로 변경되었다. 개편전이나 지금이나 승객 순위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게다가 이 시기에는 8대의 중형차가 5~8분 간격으로 꾸역꾸역 태우던 시절이니 혼잡도는 심각했다고 한다.
98. 483-1 (흥안운수)
본디 중계본동과 하계역을 잇던 노선이었고, 대진고 - 은행사거리 구간은 예나 지금이나 독점이었다. 10~15분 간격으로 3대가 다녔으며 주 수요층인 학생들이 없는 주말에는 30분 간격으로 다녔다. 그러다가 대개편 때 노원03, 노원04번 과부하 해소를 위해 석계역으로 연장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1141 참조.
99. 484 (흥안운수)
운행구간 : 상계역 - 상계중학교 - 상명고등학교 - 롯데마트중계점 - 은행사거리 - 중계본동
[image]
과거에는 상계역 남쪽의 서울 버스 노원01(과거 노원3번) 서울 버스 노원11(과거 노원13번)과 같은 위치에 정류장이 있었으며 7대가 5~8분 간격으로 운행했다. 개편 당시 상계역에서 회차하지 않고 연장되어 마들역, 수락산역로 연장되었다. 연장된 버스가 계속 연장되어 현재의 서울 버스 1143이다.
100. 485 (흥안운수)
서울 버스 1131 항목 참조. 대개편 당시에는 6대가 12~15분 간격으로 다녔으며 '''석계역 발''' 은행사거리 노선이었다. 이 때문에도 개편 이후에도 한동안은 소속이 월계동이었을 정도.
101. 488 (신길운수)
1~4단지 목동 구간은 서울 버스 6624가 되고, 화곡역쪽 구간 일부가 김포교통의 22-1번과 혼합된 형태로 서울 버스 6625가 되었으며 운행 업체도 중부운수로 바뀌어 문래동이 기점이 되었다.
102. 490 (관악교통)
서울 버스 5519 참조
103. 491 (풍양운수)
[image]
출처
운행구간 : 성북동 - 쌍다리 - 심우장왕복 - 쌍다리 - 한성대입구역 - 성북구청
성북구 마을버스 4번을 순환노선으로 변경한 노선으로, 배차수준은 가히 농어촌버스 수준이었다. 무냉방 코스모스로 운행되었으며, 대개편 때 폐선되었다.
104. 495 (한남운수)
운행구간 : 청림동 현대아파트 - 서울대입구역간을 운행하던 초단거리노선으로 개편후 5514번으로 변경후, 5515번과 통합.
자세한 정보는 서울 버스 5515 참조
105. 496 (한남운수, 관악교통)
[image]
출처
운행구간 : 서울대입구역 - 서울대 정문 - 관악산 - 신림동고시촌 - 대학동 현대아파트/신동아아파트
개편전부터 엄청난 수요를 갖던 노선으로, 개편후 5515번이 되어 5514번을 흡수.
자세한 정보는 서울 버스 5515 참조
106. 497 (한남운수)
서울 버스 6617 항목 참조.
107. 499 (군포교통)
'''아웃 서울 노선의 대표주자 중 하나'''
[image]
[26] 출처
운행구간 : 군포공영차고지 - 대야미역(군포차고지 방면 한정) - 당동 - 군포역 - 군포시청 - 산본2동사무소 - 금정역 - 만안구청 - 안양1번가 - 관악역 - 시흥유통단지
본디 도시형 99-1번이었으나, 순환버스로 전환되면서 노선 및 번호가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독자적인 운임체계(도시형 노선보단 저렴했으나, 마을버스보단 비싼 요금이었다.)를 적용했던 것이 특징. 대야미역에서 승차할 경우 환승권을 받을 수 있었으며, 이 환승권을 이용해 군포공영차고지에서 군포교통 소속 노선들과 무료로 환승이 가능했다.[27]
2002년 쯤에 석수역 - 시흥유통단지 구간이 단축되면서 아웃서울 노선이 되었다.
이후 대개편을 맞아 5532번으로 번호만 바뀌어 다니다가 결국 2005년 5월에 폐선되었다.
[1] 해당 정류장은 양쪽 모두 해당 방향에 맞게 진행하나 장한평역 경유로 인해 한 패턴은 오히려 손해보는 경우가 있었다.[2] 예전 80년대에 쓰던 마린블루 도색과도 동일하다.[3] 두 차량 모두 BS090 F/L로 대차되었으며, 아래 6449호는 2019년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 개선형으로 한 번 더 대차되었다.[4] 이 때 여러 회사에서 중고차를 사들여서 전환했다고 한다.[5] 현재는 두 번 대차되어 1017번 개선형으로 운행중이다.[6] 2010년에 저상버스로 대차되어 6631번에서 운행 중.[7] 개통 초창기에는 전비형 코스모스로 운행했다.[8] 현 자양4동 차고지. 뚝섬유원지역 바로 앞이며, 2014번이 단독으로 쓰고 있다가 현재는 철거되었다.[9] 현재의 GS슈퍼마켓 부지로 개편 전에는 569번의 기점이었다.[10] 현재 2번 대차되어 1164번 NEW BS090으로 운행중이다.[11] 2007년식 NSAC→2019년식 NEW BS110 순으로 대차되어 3315번에서 운행중이다.[12] 원래 대형버스이던 것을 중형으로 대차해오면서까지 증차하였다. '서울74사5751'과 '서울74사5759'였으며, 해당 차량은 현재 서울 버스 8774에서 운행 중[13] 공동배차 철수 이전에 운행되었던 선진운수 소속 차량들은 서울75사3414, 서울75사3415로 총 2대였고, 429번 출신 전중비형 코스모스 차량이었다[14] 기존 카운티는 어디론가로 팔아버리고 동아운수가 한국BRT에 출자했던 02년식 슈퍼 에어로시티를 반환받았다.[15] 상진운수 전체에서 딱 1대만 존재한다.[16] 준공영제하에서 개별 노선의 흑자, 적자 여부는 알 수 없다.[17] 서부이촌동 방향 한정. 반대방향은 신용산역을 경유한다.[18] 해당 차량은 두 번 대차되어 영등포12번에 있다.[19] 명일동 차고지를 출발하여 고덕현대아파트, 강동구민회관, 구천면길, 천호역, 영파여고, 강동구청을 거쳐 둔촌주공아파트까지 운행하던 노선. 하지만 중복구간 노선이 많아서 운행이 흐지부지되었다.[20] 참고로 이전에 쓰던 무냉방 코스모스는 다른 마을버스 업체에 팔려서 또 다른 번호없는 마을버스에 투입된다.[21] 명일동 차고지를 출발하여 고덕현대아파트, 강동구민회관, 구천면길, 천호역, 영파여고, 강동구청을 거쳐 둔촌주공아파트까지 운행하던 노선. 하지만 중복구간 노선이 많아서 운행이 흐지부지되었다.[22] 참고로 이전에 쓰던 무냉방 코스모스는 다른 마을버스 업체에 팔려서 또 다른 번호없는 마을버스에 투입된다.[23] 3413번의 전신인 813번과는 다른 노선이다. 원래 813, 813-1, 813-2번이 다 운행하다가 813-1번이 먼저 없어지고 813번이 없어졌는데, 마지막까지 잘 다니던 813-2번이 813번으로 바뀌고 현재의 3413번으로 개편된 것.[24] 사진 속 차량의 면허는 대개편 때 메트로버스로 차출되어 현재 273번에 있다.[25] 현 암사롯데캐슬퍼스트, 프라이어팰리스[26] 폐선 직후 군포교통에서 서울교통네트웍으로 차출되었던 3203호 출신 2002년식 BS106 천연가스버스로 교체되었으며, 9년을 채우고 2011년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저상버스로 교체 후 5623번에서 운행중이다.[27] 98번, 99번, 104번과도 추가요금 없이 무료로 환승이 가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