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구 갑

 


1. 소개
2.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3. 역대 대통령 선거 결과
4. 역대 지방선거 결과
4.1.1. 서울특별시장선거
4.1.2. 서초구청장선거
4.3.1. 서울특별시장선거
4.3.2. 서초구청장선거
4.4.1. 서울특별시장선거
4.4.2. 서초구청장선거


1. 소개


서울특별시 서초구의 북부 지역이자 고속터미널이 위치해 있으며, 한강변 생활권에 속하는 선거구. 현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윤희숙 의원이다.
반포동, 잠원동 아파트를 비롯해 방배동 서래마을까지 모두 서울의 대표적인 부촌이고, 이로 인해 서초 갑은 서울에서 주민들의 소득 수준이 가장 높은 지역구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1988년 소선거구제 시행 이후 13대 총선14대 총선 때는 각각 무소속신정치개혁당으로 입후보한 박찬종이 당선 된 것을 제외하면, 1996년 15대 총선 이후 신한국당에서 현 국민의힘까지 주류 보수정당 계열의 정당이 꾸준히 당선자를 배출하고 있으며, 2010년대 들어서도 서울에서 강남구와 함께 보수정당 지지세가 상당히 강성한 곳이다. 동작대로를 경계로 하는 관악구와는 완전 정반대의 포지션. 15대부터 21대까지 지난 7번의 총선에서 미래통합당 계열 후보가 최소 득표율 차이로 승리했던 선거가 16대 총선에서의 19.55%였고 그 후 17~21대 총선에서는 매번 25% 이상의 차이를 보이며 여유있게 승리했다.
특히 이 선거구는 한나라당, 새누리당, 미래통합당 등 역대 보수 정당들이 총선 때마다 주로 이혜훈, 윤희숙 등 '''엘리트 여성 경제전문가'''를 많이 공천했다. 특히 이혜훈이 이곳에서 3선을 하면서 재건축 등 지역 현안들을 잘 해결해냈다. 아크로리버파크, 래미안 퍼스티지, 반포자이 등 고가 아파트로 대표되는 반포동의 부촌 이미지를 구축한 데는 이혜훈이 기여한 바가 크다.
[image]
서초구 갑 관할 구역
잠원동, 방배1동, 방배4동, 방배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3동, 반포4동, 반포본동

2.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총선
당선자
당적
임기
제13대
박찬종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제14대

1992년 5월 30일 ~ 1995년 6월 9일
제15대
최병렬

1996년 5월 30일 ~ 1998년 4월 29일
박원홍

1998년 7월 22일 ~ 2000년 5월 29일
제16대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제17대
이혜훈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
김회선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
이혜훈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
윤희숙

2020년 5월 30일 ~

2.1. 15대 총선


'''서초구 갑'''
잠원동, 반포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3동, 반포4동,
방배본동, 방배1동, 방배4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최병렬(崔秉烈)'''
'''40,191'''
'''1위'''
[include(틀:신한국당)]
'''48.56%'''
'''당선'''
'''2'''
조소현(曺沼鉉)
21,920
2위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26.48%
낙선
'''3'''
곽일훈(郭一薰)
8,667
4위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10.47%
낙선
'''4'''
김창호(金昌浩)
10,017
3위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12.10%
낙선
'''5'''
곽일(郭一)
296
8위

0.35%
낙선
'''6'''
도승희(都勝喜)
580
6위
[include(틀:무소속)]
0.70%
낙선
'''7'''
배종달(裵鍾達)
717
5위
[include(틀:무소속)]
0.86%
낙선
'''8'''
차만영(車萬永)
372
7위
[include(틀:무소속)]
0.44%
낙선
'''계'''
'''선거인 수'''
138,217
'''투표율'''
60.51%
'''투표 수'''
83,639
'''무효표 수'''
880

2.2. 1998년 재보궐선거


전임자인 한나라당최병렬이 서울시장 출마를 이유로 사직하여 공석이 되었다.
한나라당에서는 시사 프로그램 진행자 출신 박원홍 후보를 공천하였고, 연립여당의 단일후보로 자민련박준병 사무총장이 공천을 받았다. 그 외에 국민신당 후보로 이 지역에서 13, 14대 연속으로 당선된 박찬종 전 의원이 나섰다.
당초 보수정당의 텃밭이었지만 보수표가 박원홍·박찬종 두 후보로 분열될 것이라는 예측이 있었지만, 박원홍 후보가 예상보다 큰 격차로 당선되었다.
'''서초구 갑'''
잠원동, 반포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3동, 반포4동,
방배본동, 방배1동, 방배4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원홍(朴源弘)'''
'''23,446'''
'''1위'''
[include(틀:한나라당)]
'''44.41%'''
'''당선'''
'''3'''
박준병(朴俊炳)
19,093
2위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36.16%
낙선
'''4'''
박찬종(朴燦鍾)
4,600
4위
[include(틀:국민신당)]
8.71%
낙선
'''5'''
배종달(裵鍾達)
377
5위
[include(틀:무소속)]
0.71%
낙선
'''6'''
이종률(李鍾律)
5,281
3위
[include(틀:무소속)]
10.00%
낙선
'''계'''
'''선거인 수'''
141,705
'''투표율'''
37.56%
'''투표 수'''
53,223
'''무효표 수'''
426

2.3. 16대 총선


현역 박원홍 의원이 재선 도전에 나섰고, 이 지역 연고가 있는 같은 당 전국구 김찬진 의원과 공천 경쟁을 벌인 끝에 한나라당 공천을 받았다. 여당인 새천년민주당에서는 386세대 출신 배선영 후보가 나섰지만, 박원홍 후보가 선거기간 내내 여론조사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고, 개표 결과 박원홍 의원이 압도적인 표차로 재선에 성공했다.
'''서초구 갑'''
잠원동, 반포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3동, 반포4동,
방배본동, 방배1동, 방배4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원홍(朴源弘)'''
'''44,450'''
'''1위'''
[include(틀:한나라당)]
'''55.34%'''
'''당선'''
'''2'''
배선영(裵善永)
28,747
2위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35.79%
낙선
'''3'''
신은숙(申銀淑)
3,863
3위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4.80%
낙선
'''4'''
이강욱(李康旭)
822
5위
[include(틀:희망의한국신당)]
1.02%
낙선
'''5'''
최숙영(崔淑英)
1,141
4위
[include(틀:청년진보당)]
1.40%
낙선
'''계'''
'''선거인 수'''
147,327
'''투표율'''
54.86%
'''투표 수'''
80,824
'''무효표 수'''
503

2.4. 17대 총선


  • 행정구역: 잠원동, 반포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3동, 반포4동, 방배본동, 방배1동, 방배4동
경제 전문가들의 대결로 주목받은 곳이다. 한나라당박원홍 의원 대신 이혜훈 후보를 공천했다. UCLA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고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과 영국 레스터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교수 등을 지냈다. "경제전문가로서 모든 경험을 살려 우리나라 경제 세우는 데, 이 서초 잘 살게 만드는 데 신명나게 일해 보고 싶어서 출마했다"고 밝혔다.
열린우리당은 함종길 후보가 나왔다. 30대 정치신인으로, 행정고시에 합격해 공보처, 문화관광부, 산업자원부의 사무관으로 일하다가 사법고시에 도전해 변호사로 변신한 인물. 열린우리당의 영입인사로 들어와 이 지역에 출마하게 되었다. 그는 여당 국회의원이 나와야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다고 주민들에게 호소했다.
자민련 김우수 후보는 서초구에서 30년간 살아온 토박이임을 강조했고, 김대중 대통령 경제비서실에서 일했고 지난 총선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출마했던 무소속 배선영 후보는 당리당략을 떠나 경제부터 챙기는 자신을 뽑아달라고 호소했다.
초반 여론 조사에서는 이혜훈 후보와 함종길 후보의 지지율이 팽팽했다.[1] 그러나 서초구민들의 선택은 한나라당 이혜훈 후보로, 56.42%의 득표를 얻어 당선되었다.
'''서초구 갑'''
잠원동, 방배1동, 방배4동, 방배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3동, 반포4동, 반포본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혜훈(李惠薰)'''
'''54,103'''
'''1위'''
[include(틀:한나라당)]
'''56.42%'''
<color=#373a3c> '''당선'''
'''3'''
함종길(咸鍾吉)
28,318
2위
[include(틀:열린우리당)]
29.53%
낙선
'''4'''
김우수(金宇洙)
710
4위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0.74%
낙선
'''5'''
배선영(裵善永)
12,769
3위
[include(틀:무소속)]
13.31%
낙선
'''계'''
'''선거인 수'''
149,776
'''투표율'''
64.56%
'''투표 수'''
96,689
'''무효표 수'''
789

2.5. 18대 총선


  • 행정구역: 잠원동, 반포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3동, 반포4동, 방배본동, 방배1동, 방배4동
현역 한나라당 이혜훈 후보는 17대 총선에서 당선된 후 국회 재정경제위원회 위원,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등 국회에서도 경제 전문가로서 활동했고, 한나라당 원내부대표와 정책조정위원장, 여의도연구소 부소장 등을 지냈다. 박근혜 전 대표의 핵심 측근으로 불리며 대선 경선 당시에 박근혜 후보의 공약인 '줄푸세(세금은 줄이고, 규제는 풀고, 법과 원칙을 세운다)' 공약을 만들어 주목을 받았다. 이후 이명박 후보가 경선에서 승리해 대통령 후보로 결정되자 특보로 임명되어 대통령 당선에 기여했다.
이혜훈 후보는 공약으로 '1가구 1주택자 종부세 면제', '양도세 인하', '재건축 규제 완화', '잠원동에 자립형 사립고 유치', '낙후된 교육환경 개선' ,'한강 르네상스를 통한 반포.잠원.방배를 연결하는 문화 클러스터 조성' 등을 약속했다. 이혜훈 후보는 "17대 국회에서 1가구 1주택자 종부세 면제, 종부세 시작점을 6억에서 9억으로 올리는 문제 등 종부세 관련법안을 제출했다"며 "종부세 법안은 이명박 정부에서도 전향적으로 검토하겠다고 했기 때문에 여당과 힘을 합쳐서 단계적으로 종부세 관련법을 손질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맞서는 통합민주당 후보로는 박찬선 전 구의원이 나왔다. 서초 구의원을 지내면서 영유아보육법 조례안을 발의하는 등 서초 지역에서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해결한 '생활 밀착형 정치인'이라는 점을 내세웠다. 박찬선 후보는 공약으로 '잠원고교 설립', '종부세 현실화', '잠원동과 반포동 지역 용적률 상향조정', '방배동 지역 뉴타운 건설', 'IT 벤처인증업체 유치' 등을 약속했다. 박찬선 후보는 "서초구가 살기 좋은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강남에 비해서 집값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종부세 현실화를 하기 위해서 노력을 하고 있다"며 "다른 지역에 비해서 교육 환경이 열악해 서울 교대를 중심으로 명실상부한 강남의 교육특구지역으로 발전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민실향안보당 양한별 후보는 첨단 과학기술 발전소와 연구소 등 유치 등을 중점적으로 알렸고, 평화통일가정당 조병석 후보는 가정 문제 해결을 중심으로 한 서초 지역의 문화.교육 도시 조성을 약속하면서 선거 운동에 열을 올렸다.
선거 결과, 이혜훈 후보가 75.02%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했다.
'''서초구 갑'''
잠원동, 방배1동, 방배4동, 방배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3동, 반포4동, 반포본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찬선(朴燦善)
14,796
2위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22.80%
낙선
'''2'''
'''이혜훈(李惠薰)'''
'''48,682'''
'''1위'''
[include(틀:한나라당)]
'''75.02%'''
<color=#373a3c> '''당선'''
'''6'''
양한별(梁한별)
537
4위
[include(틀:국민실향안보당)]
0.82%
낙선
'''7'''
조병석(趙炳錫)
879
3위
[include(틀:평화통일가정당)]
1.35%
낙선
'''계'''
'''선거인 수'''
148,485
'''투표율'''
44.32%
'''투표 수'''
65,808
'''무효표 수'''
914
'''18대 총선 서울 서초구 갑 개표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박찬선'''
'''이혜훈'''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4,796
(22.80%)'''
'''48,682
(75.01%)'''

''' - 33,886
(▽52.21)'''
'''44.32'''
'''잠원동'''
22.36%
75.64%
▽53.28
41.92
'''반포본동'''
16.84%
'''81.04'''%
▽64.20
51.31
'''반포1동'''
25.52%
71.84%
▽46.32
32.00
'''반포2동'''
21.01%
76.62%
▽55.61
49.56
'''반포3동'''
21.32%
76.67%
▽55.35
45.59
'''반포4동'''
20.82%
77.72%
▽56.90
44.82
'''방배본동'''
22.79%
75.07%
▽52.28
45.43
'''방배1동'''
26.30%
71.27%
▽44.97
42.51
'''방배4동'''
'''27.49%'''
70.08%
▽42.59
44.07
'''부재자투표'''
20.20%
76.52%
▽56.32
91.94

2.6. 19대 총선


  • 행정구역: 잠원동, 반포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3동, 반포4동, 방배본동, 방배1동, 방배4동
18대 총선에서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된 새누리당 이혜훈 의원이 공천에서 탈락하고 김회선 후보가 나왔다. 김회선 후보는 서울서부지방검찰청 검사장, 김앤장 변호사, 국가정보원 제2차장 등을 지낸 법조인 출신.
원래 새누리당은 이 지역에 이혜훈 의원을 단수공천했지만 '강남벨트'를 전략지역으로 선정한 이후 김회선 후보를 이 지역에 전략공천한것이다. 김회선 후보는 이명박 정부 첫해 정보기관 고위직을 지낸 인사이며,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의 인맥으로 공천을 받은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있었고, 국정원 재직 당시 새누리당이 KBS, MBC 등에 '낙하산 사장' 임명에 역할을 한 것으로 의심되는 인물이기 때문에 당내에서도 반발이 있었다. 무엇보다 경쟁력이 가장 강한 이혜훈 의원 대신 공천을 받은 것이 문제.
민주통합당에서는 에스크베리타스자산운용 대표이사를 지낸 이혁진 후보가 나왔다.[2] 이혁진 후보는 가사의 95%가 본인의 이름인 독특한 홍보용 노래를 만들어 선거운동에 임했다. 그는 "자본주의 총아로서 20년간 살아온 사람"이라고 자신을 소개하며 "사람이 당을 바꾸게 된다. 당의 정체성과 저의 소신을 결합해 시너지 효과를 내겠다"고 밝혔다. 한편, 후보자 토론에서 이혁진 후보가 불법사찰 국정원 출신 김회선 후보와 토론할 수 없다며 퇴장해버리는 일도 있었다.
국민생각박세일 대표도 이곳에 출마했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김영삼 대통령 비서실 수석비서관이지 한나라당 17대 비례의원을 지냈고 보수우파 성향의 '선진통일연합'을 만들고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의 거대 기득권 양당을 심판하겠다'며 국민생각을 창당해 전여옥 전 의원을 비례대표 1번으로 선정했다. 그는 '새누리당은 가짜 보수'고 자신들이 '좌파를 제압하는 개혁적 보수'가 되겠다며, '수도분할을 반대하며 국회의원직을 던진 박세일이 몸을 던져 대한민국을 바로 세우겠다'는 슬로건을 내세웠다.
선거 결과는 김회선 후보가 59.1%의 득표율로 이혁진 후보를 26% 차이로 크게 이겼다. 박세일 후보는 7.3%의 득표에 그쳤다.
'''서초구 갑'''
잠원동, 방배1동, 방배4동, 방배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3동, 반포4동, 반포본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회선(金會瑄)'''
'''57,335'''
'''1위'''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59.10%'''
<color=#373a3c> '''당선'''
'''2'''
이혁진(李赫鎭)
32,104
2위
[include(틀:민주통합당)]
33.09%
낙선
'''6'''
박세일(朴世逸)
7,101
3위
[include(틀:국민생각)]
7.32%
낙선
'''7'''
양한별(梁한별)
467
4위
[include(틀:국민행복당)]
0.48%
낙선
'''계'''
'''선거인 수'''
171,356
'''투표율'''
57.04%
'''투표 수'''
97,746
'''무효표 수'''
739
'''19대 총선 서울 서초구 갑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김회선'''
'''이혁진'''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7,335
(59.10%)'''

'''32,104
(33.09%)'''
'''+25,231
(△25.01)'''
'''57.04'''
'''잠원동'''
60.36%
32.00%
△22.81
55.07
'''반포본동'''
64.52%
25.68%
△38.84
62.47
'''반포1동'''
58.79%
34.72%
△24.07
49.96
'''반포2동'''
'''65.34%'''
26.91%
△38.43
62.18
'''반포3동'''
61.24%
30.37%
△30.87
59.01
'''반포4동'''
58.97%
33.51%
△25.46
57.46
'''방배본동'''
57.19%
35.08%
△22.11
57.60
'''방배1동'''
54.29%
38.42%
△15.87
55.34
'''방배4동'''
52.78%
'''38.97%'''
△13.81
57.09
'''후보'''
'''김회선'''
'''이혁진'''
격차

'''국외부재자투표'''
44.29%
'''47.55%'''
▼3.26
52.19
'''국내부재자투표'''
'''60.56%'''
29.89%
△30.67
88.91

2.7. 20대 총선


'''서초구 갑'''
잠원동, 방배1동, 방배4동, 방배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3동, 반포4동, 반포본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혜훈(李惠薰)'''
'''54,117'''
'''1위'''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57.02%'''
<color=#373a3c> '''당선'''
'''2'''
이정근(李炡根)
27,031
2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28.48%
낙선
'''3'''
이한준(李漢俊)
13,758
3위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14.49%
낙선
'''계'''
'''선거인 수'''
161,632
'''투표율'''
59.56%
'''투표 수'''
96,271
'''무효표 수'''
1,365
'''20대 총선 서울 서초구 갑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이혜훈'''
'''이정근'''
'''이한준'''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4,117
(57.02%)'''

'''27,031
(28.48%)'''
'''13,758
(14.49%)'''
'''+ 15,940
(△28.54)'''
'''59.56%'''
'''잠원동'''
58.47%
27.96%
13.56%
△30.51
57.20
'''반포본동'''
62.27%
24.53%
13.20%
△37.74
63.11
'''반포1동'''
55.23%
29.59%
15.18%
△25.64
49.97
'''반포2동'''
'''64.97%'''
21.96%
13.06%
△'''43.01'''
62.21
'''반포3동'''
61.44%
24.70%
13.86%
△36.74
60.67
'''반포4동'''
59.16%
27.30%
13.54%
△31.86
57.32
'''방배본동'''
57.31%
28.17%
14.52%
△29.14
59.16
'''방배1동'''
49.98%
'''33.59%'''
'''16.43%'''
△16.39
58.60
'''방배4동'''
51.85%
32.41%
15.74%
△19.44
59.28
'''후보'''
'''이혜훈'''
'''이정근'''
'''이한준'''
격차

'''거소·선상투표'''
'''67.57%'''
17.57%
14.86%
△'''50.0'''

'''관외사전투표'''
51.40%
32.24%
16.36%
△19.16

'''국외부재자투표'''
43.65%
'''46.28%'''
10.07%
▼'''3.63'''

현역 새누리당 김회선 의원이 2015년 10월 불출마를 선언했다. 이에 당내에서는 "친박계 주도의 공천 물갈이 정지작업이 시작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새누리당이 강세 지역인 강남권에 현역 의원을 재공천하는 경우가 드물다는 점을 미리 간파하고 '자기 희생'의 모습을 보임으로써 새 인물을 꽂아넣을 수 있는 전략공천의 여지를 넓히려 한 것 아니냐는 것. 즉 현역 의원들에게 불출마 압력을 넣어 청와대나 친박계 마음대로 전략공천을 할 것이라는 분석인 것이다.
여기에 이혜훈 전 의원과 조윤선 전 장관이 출마를 선언했다. 이혜훈 전 의원은 19대 총선 공천에서 탈락했지만 이후 새누리당 최고위원을 역임했고,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서울특별시장 경선후보로 나왔으나, 정몽준 후보에게 패해 탈락했다. 원래 이 지역 2선 의원으로 활동하며 많은 지지를 받았기 때문에 다시 이 지역에 출마하는 것은 예상된 일이었다. 그러나 조윤선 후보는 그렇지 않았다. 높은 인지도와 인기로 '전국구 수준'의 지역구 공천이 언급되는 상황에서 갑자기 여당에 유리한 지역에 출마를 선언한 것이다. 그러나 조윤선 후보는 '서초에서 30년 이상 살았고 세화여고를 졸업했다'며 서초가 고향이라고 주장했다.
이 지역은 새누리당이 경선 지역으로 분류했고, 사실상 본선이나 마찬가지인 두명의 네임드 정치인의 경선에 이목이 집중되었다. 주민들의 의견은 갈렸다. 이혜훈 후보는 지역사정에 밝고 3선을 하게 되면 더욱 큰 역할을 할 것이고, 똑똑하면서도 친근함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대통령 측근보다는 '할 말은 하는' 정치인으로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새로운 얼굴을 원하는 사람들은 조윤선 후보쪽으로 기울였다. 조윤선 후보는 새로운 인물이면서도 대통령 정무수석 출신, 장관 출신인 후보로 지역을 발전시킬 수 있는 인물로 봤다. 조윤선 후보의 모교인 세화여고, 같은 재단으로 졸업 후 세트로 함께 노는 세화고 졸업생들도 선배인 조윤선 후보를 지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지역에서 한 일이 없다는 인식과 진박 마케팅의 역풍도 있었고, 남편이 전라도 출신이라는 마이너스 요소[3]도 있었다. 결국 경선에서는 이혜훈 후보가 승리, 3선에 도전하게 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정근 후보를 원외인사 단수추천으로 공천했다. 밈코리아 대표이사로 언론과 인성교육 등 다방면에 걸쳐 활발한 활약을 보였다. 밈코리아는 미디어 콘텐츠를 주로 제작하며 인성교육 위주의 사회활동으로 기업의 봉사정신을 실천하고 있다. 이정근 후보는 "참신하고 깨끗한 모습만 보여드리고", "국민이 주인되는 진짜 정치를 펼치겠다. 빈부격차, 출신지, 직업, 상관없이 모든 사람이 귀하게 여겨지는 사회를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국민의당은 이한준 법무사를 공천했다. 어려운 가정형편을 극복하고 경제기획원 공무원, 개인 사업등을 하다가 55세에 법무사 시험에 합격한 늦깎이 법무사로 장편소설 <피안에 지다>를 내기도 했다. 법무사로 일하며 서울대 중문과를 46년 만에 졸업한 '별난 인생'으로 언론에 소개가 되었다.
선거 결과, 새누리당의 이혜훈 후보가 압도적인 표차이로 당선되었다. 서울시당 소속 새누리당 당선인 중 '''더블 스코어'''로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트리플 스코어에 가깝게 국민의당 후보를 꺾은 후보는 이혜훈이 유일했다. 더구나 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은 수도권에서 거의 전멸하다시피했기 때문에 이같은 승리가 더더욱 의미가 있었다.
서초구, 특히 반포와 잠원의 경우 재건축 이슈가 지역구 내 최대 현안이다. 총선 당시 지역방송 TV토론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정근 후보는 '''박원순 후보와 각별한 사이이니 원샷으로 해결하겠다'''고 공언하였으나[4], 이혜훈 전 의원은 '''재건축 단지마다 문제점이 다 다른데 원샷으로 해결을 어떻게 하냐'''면서 각 단지마다 맞춤형 해결책을 제시하겠다고 하였다. 실제로 이혜훈은 보수정당 경제통으로 종부세부터 시작해서 용적률 문제까지 사실상 이혜훈의 주 무대이기 때문에 그와 같은 강점이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3월 21일 잠원동의 숙원사업이자 20대 총선당시 이혜훈의 공약이었던 서초고등학교 잠원동 이전이 성사되었다.
이후 이혜훈 의원은 21대 총선에서 지역구를 동대문구 을로 옮겨 출마하게 되었는데, 자신이 서초구에서 성공해낸 경험을 바탕으로 동대문구의 구원투수가 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지역구의 재건축·재개발 사업 63개 중 39개를 성공'''해냈다고 한다. 분양가부터 온갖 관리처분계획 인가, 사업시행계획 인가, 국토부, 서울시, 주금공, 한국감정원 등 온갖 복잡한 행정 장애물을 통과해낸 것이다. #

2.8. 21대 총선


'''서초구 갑'''
잠원동, 방배1동, 방배4동, 방배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3동, 반포4동, 반포본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정근(李炡根)
42,971
2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36.90%
낙선
'''2'''
'''윤희숙(尹喜淑)'''
'''72,896'''
'''1위'''
'''[include(틀:미래통합당)]'''
'''62.60'''%
<color=#373a3c> '''당선'''
'''7'''
신방호(申邦浩)
575
3위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0.49%
낙선
'''계'''
'''선거인 수'''
162,807
'''투표율'''
72.17%
'''투표 수'''
117,502
'''무효표 수'''
1,060
'''국회의원 선거 (서초구 갑)'''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이정근
'''윤희숙'''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2,971
(36.90%)'''
'''72,896
(62.60%)'''

'''- 29,925
(▼25.70)'''
'''117,502
(72.17%)'''
'''잠원동'''
32.85%
66.60%
▼33.75
70.66
'''반포본동'''
32.16%
67.22%
▼35.06
74.22
'''반포1동'''
35.92%
63.58%
▼27.67
64.42
'''반포2동'''
25.07%
'''74.55%'''
▼49.48
'''76.55'''
'''반포3동'''
29.33%
70.34%
▼41.01
74.76
'''반포4동'''
33.96%
65.65%
▼31.68
70.35
'''방배본동'''
39.16%
60.36%
▼21.20
70.90
'''방배1동'''
43.95%
55.39%
▼11.45
69.25
'''방배4동'''
'''44.84%'''
54.72%
'''▼9.87'''
70.90
'''후보'''
이정근
'''윤희숙'''
격차

'''거소·선상투표'''
41.93%
54.83%
▼12.90

'''관외사전투표'''
49.66%
49.67%
▼0.01

'''재외투표'''
50.51%
49.48%
△1.04

'''서초구 갑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후보'''
이정근
'''윤희숙'''
(1위/2위)
'''신반포8차아파트'''
27.13%
72.30%
▼45.17
'''신반포10차아파트'''
26.83%
72.87%
▼46.04
'''한강아파트'''
26.73%
72.45%
▼45.72
'''반포주공1단지'''
25.59%
73.82%
▼48.23
'''반포 리체'''
26.16%
73.42%
▼47.26
'''반포자이'''
23.82%
75.91%
▼52.09
'''아크로리버파크'''
17.76%
'''81.91%'''
▼64.15
'''래미안 퍼스티지'''
18.50%
81.25%
▼62.75
'''반포미도아파트'''
28.94%
70.67%
▼41.73
'''롯데캐슬헤론아파트'''
34.76%
64.80%
▼30.04
'''방배아이파크아파트'''
46.61%
52.73%
▼6.12
미래통합당에서는 현역 국회의원 이혜훈, 전옥현당협위원장과 조소현 중앙위원회 부의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해서 경선을 치를 것으로 보였으나, 이혜훈이 컷오프를 당하고 윤희숙 전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가 공천되었다. 여담으로 이혜훈과 윤희숙 모두 KDI 출신의 경제 전문가이다. 이에 이혜훈은 바로 동대문구 을 지역구로 넘어가서 경선에서 승리했지만 결국 낙선하였고, 역시 같이 컷오프를 당했었던 전옥현은 대전 서구 을로 갔다가 또 떨어졌고, 조소현은 강원 강릉시로 옮겼다가 아예 경선에서 고배를 마셨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정근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참고로 종부세 인상으로 인해 아무래도 민주당이 불리한 조건[5]인데, '''인물론에서도 밀렸으니'''[6] 뻔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높았는데, 실제로 선거 결과 예상대로 윤희숙 후보가 무려 62.60%라는 압도적인 득표율을 얻어 당선되었다.[7]
동별로 보면 방배동을 제외한 나머지 동에서 60% 이상의 압도적인 득표율을 얻었으며, 특히 반포2동에서는 압구정동에 맞먹는 74.6%의 득표율을 얻었다.
아파트별로 보면, 래미안 퍼스티지(81.25%), 반포주공아파트(78.05%), 반포 리체(73.42%), 신반포10차아파트(72.87%), 신반포8차아파트(72.30%), 반포미도1차아파트(70.67%), 롯데캐슬헤론(64.80%) 등에서 윤희숙 후보에게 몰표를 던졌다.
앞으로도 신반포 15차, 3차, 반포주공 1단지 등의 고가 아파트들의 대규모 재건축이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원래도 심한 보수성향이 더더욱 강해질 전망이다.


3. 역대 대통령 선거 결과



3.1. 18대 대선


'''서초구'''
서초구 일원
'''정당'''


'''후보'''
'''박근혜'''
'''문재인'''
'''득표수'''
'''158,112'''
110,649
'''득표율'''
'''58.60%'''
41.01%
'''순위'''
'''1위'''
2위
'''계'''
'''선거인 수'''
352,640
'''투표 수'''
270,848
'''무효표 수'''
1,063
'''투표율'''
76.81%
'''18대 대선 서울 서초구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박근혜'''
'''문재인'''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58,112
(58.60%)'''

'''110,649
(41.01%)'''
'''+47,463
(△17.59)'''
'''76.81'''
'''서초1동'''
58.93%
40.73%
△18.20
76.14
'''서초2동'''
62.01%
37.57%
△24.44
77.23
'''서초3동'''
60.26%
39.29%
△20.97
76.34
'''서초4동'''
'''67.67%'''
31.98%
△35.69
77.97
'''잠원동'''
61.25%
38.44%
△22.81
75.42
'''반포본동'''
65.68%
34.03%
△31.65
79.53
'''반포1동'''
58.86%
40.84%
△18.02
70.46
'''반포2동'''
67.54%
31.96%
△35.58
80.40
'''반포3동'''
63.61%
35.95%
△27.66
78.44
'''반포4동'''
60.32%
39.24%
△21.08
78.15
'''방배본동'''
58.74%
40.92%
△17.02
77.37
'''방배1동'''
55.26%
44.35%
△10.91
76.73
'''방배2동'''
49.93%
49.71%
△0.22
76.99
'''방배3동'''
57.91%
41.69%
△16.22
77.39
'''방배4동'''
55.00%
44.63%
△10.37
77.67
'''양재1동'''
51.92%
47.75%
△4.17
76.86
'''양재2동'''
46.52%
'''53.19%'''
▼6.67
73.33
'''내곡동'''
62.52%
36.99%
△25.53
73.01
'''후보'''
'''박근혜'''
'''문재인'''
격차

'''국외부재자투표'''
50.44%
'''47.23%'''
△3.21

'''국내부재자투표'''
'''57.41%'''
41.88%
△15.53


3.2. 19대 대선


'''서초구'''
서초구 일원
'''정당'''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득표수'''
'''106,416'''
74,891
63,977
29,231
16,562
'''득표율'''
'''36.43%'''
25.63%
21.90%
10.00%
5.67%
'''순위'''
'''1위'''
2위
3위
4위
5위
'''계'''
'''선거인 수'''
362,519
'''투표 수'''
292,916
'''무효표 수'''
824
'''투표율'''
80.80%
'''19대 대선 서울 서초구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6,416
(36.43%)'''

'''74,891
(25.63%)'''
'''63,977
(21.90%)'''
'''29,231
(10.00%)'''
'''16,562
(5.67%)'''
'''+ 31,525
(△10.79)'''
80.80%
'''서초1동'''
35.01%
27.18%
21.44%
10.65%
5.37%
△7.83
78.11%
'''서초2동'''
34.68%
27.14%
21.23%
10.98%
5.66%
△7.54
77.96%
'''서초3동'''
34.11%
29.31%
21.59%
9.77%
4.90%
△4.80
77.83%
'''서초4동'''
29.09%
'''32.11%'''
22.11%
'''12.42%'''
4.02%
'''▼3.02'''
79.95%
'''잠원동'''
34.21%
25.70%
22.20%
12.38%
5.24%
△8.51
78.66%
'''반포본동'''
31.45%
29.88%
21.39%
11.61%
5.28%
△1.57
81.14%
'''반포1동'''
36.21%
26.47%
21.80%
10.05%
5.07%
△9.74
72.77%
'''반포2동'''
28.36%
30.31%
'''24.06%'''
12.24%
4.69%
▼1.95
82.70%
'''반포3동'''
31.86%
28.09%
23.24%
11.85%
4.57%
△3.77
80.42%
'''반포4동'''
33.33%
28.21%
21.96%
11.17%
5.12%
△5.12
79.12%
'''방배본동'''
33.55%
27.89%
22.72%
9.97%
5.54%
△5.66
78.46%
'''방배1동'''
37.57%
24.98%
21.48%
9.65%
5.97%
△12.59
79.36%
'''방배2동'''
38.79%
25.23%
22.55%
7.75%
5.32%
△13.56
79.16%
'''방배3동'''
32.57%
28.53%
23.19%
9.83%
5.46%
△4.04
78.95%
'''방배4동'''
37.06%
25.39%
21.84%
9.44%
6.02%
△11.67
79.56%
'''양재1동'''
40.53%
23.38%
21.68%
8.25%
5.81%
△17.15
79.11%
'''양재2동'''
'''44.48%'''
19.97%
20.86%
7.82%
'''6.55%'''
'''△23.62'''
76.76%
'''내곡동'''
37.73%
26.43%
22.37%
8.04%
5.06%
△11.30
78.81%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격차

'''거소·선상투표'''
30.39%
21.77%
'''35.60%'''
5.67%
3.17%
▼5.21

'''관외사전투표'''
41.72%
20.10%
20.79%
9.79%
7.24%
△20.93

'''재외투표'''
'''50.80%'''
10.70%
19.76%
6.80%
11.26%
△31.04


4. 역대 지방선거 결과



4.1.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4.1.1. 서울특별시장선거


'''서초구'''
서초구 일원
'''정당'''


'''후보'''
'''오세훈'''
'''한명숙'''
'''득표수'''
'''109,446'''
65,626
'''득표율'''
'''59.07%'''
35.41%
'''순위'''
'''1위'''
2위
'''계'''
'''선거인 수'''
341,599
'''투표 수'''
185,981
'''무효표 수'''
700
'''투표율'''
54.44%
'''5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선거 서울 서초구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오세훈'''
'''한명숙'''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9,446
(59.07%)'''

'''65,626
(35.41%)'''
'''+43,820
(△23.66)'''
'''54.44%'''
'''서초1동'''
58.57%
36.03%
△22.54
52.70
'''서초2동'''
62.56%
32.26%
△11.16
55.22
'''서초3동'''
59.34%
35.18%
△23.16
52.58
'''서초4동'''
'''69.04%'''
25.76%
'''△43.28'''
58.03
'''잠원동'''
61.63%
32.61%
△29.02
51.89
'''반포본동'''
67.80%
27.57%
△40.23
61.27
'''반포1동'''
60.32%
34.78%
△25.54
46.01
'''반포2동'''
66.77%
28.14%
△38.63
60.46
'''반포3동'''
62.96%
31.47%
△31.49
56.02
'''반포4동'''
60.43%
33.64%
△26.79
53.77
'''방배본동'''
59.66%
35.57%
△24.09
55.24
'''방배1동'''
54.67%
39.98%
△14.69
54.34
'''방배2동'''
48.81%
45.80%
△3.01
54.28
'''방배3동'''
58.61%
35.50%
△23.11
56.19
'''방배4동'''
54.32%
40.48%
△13.84
53.65
'''양재1동'''
52.36%
41.39%
△10.97
53.83
'''양재2동'''
45.72%
'''48.44%'''
▼'''2.72'''
48.22
'''내곡동'''
62.94%
32.41%
△29.53
49.11
'''후보'''
'''오세훈'''
'''한명숙'''
격차

'''부재자투표'''
59.49%
31.81%
△27.68


4.1.2. 서초구청장선거


'''서초구'''
서초구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진익철(陳翼喆)'''
'''110,407'''
'''1위'''
'''한나라당'''
'''60.25%'''
<color=#373a3c> '''당선'''
'''2'''
곽세현(郭世炫)
72,830
2위
민주당
39.74%
낙선
'''계'''
'''선거인 수'''
341,599
'''투표율'''
54.44%
'''투표 수'''
185,963
'''무효표'''
2,726
'''5회 지선 서초구청장선거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진익철'''
'''곽세현'''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10,407
(60.25%)'''

'''72,830
(39.74%)'''
'''+37,577
(△20.51)'''
'''54.44%'''
'''서초1동'''
59.69%
40.31%
△19.38
52.70
'''서초2동'''
63.31%
36.69%
△26.62
55.22
'''서초3동'''
61.29%
38.71%
△22.58
52.58
'''서초4동'''
'''71.11%'''
28.89%
'''△42.22'''
58.03
'''잠원동'''
62.99%
37.01%
△25.98
51.89
'''반포본동'''
69.04%
30.95%
△38.09
61.27
'''반포1동'''
61.76%
38.27%
△23.49
46.01
'''반포2동'''
68.20%
31.80%
△36.40
60.46
'''반포3동'''
64.73%
35.27%
△29.46
56.02
'''반포4동'''
61.79%
38.21%
△23.58
53.77
'''방배본동'''
60.57%
39.43%
△31.14
55.24
'''방배1동'''
55.13%
44.87%
△10.26
54.34
'''방배2동'''
49.73%
50.27%
▼0.54
54.28
'''방배3동'''
60.06%
39.94%
△20.12
56.19
'''방배4동'''
55.02%
44.98%
△10.04
53.65
'''양재1동'''
53.24%
46.76%
△6.48
53.83
'''양재2동'''
45.71%
'''54.29%'''
▼'''8.58'''
48.22
'''내곡동'''
6.35%
35.65%
△28.70
49.11
'''후보'''
'''진익철'''
'''곽세현'''
격차

'''부재자투표'''
59.49%
40.32%
△19.17


4.2.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서초구'''
서초구 일원
'''정당'''


'''후보'''
'''나경원'''
'''박원순'''
'''득표수'''
'''111,014'''
73,139
'''득표율'''
'''60.12%'''
39.61%
'''순위'''
'''1위'''
2위
'''계'''
'''선거인 수'''
348,638
'''투표 수'''
185,281
'''무효표 수'''
640
'''투표율'''
53.14%
'''서울특별시장보궐선거 서초구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나경원'''
'''박원순'''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11,014
(60.12%)'''

'''73,139
(39.61%)'''
'''+37,875
(△20.51)'''
'''53.14%'''
'''서초1동'''
60.19%
39.64%
△20.55
51.73
'''서초2동'''
63.38%
36.37%
△27.01
53.01
'''서초3동'''
60.81%
38.96%
△21.85
51.71
'''서초4동'''
69.27%
30.54%
△38.73
56.29
'''잠원동'''
62.01%
37.76%
△24.25
52.31
'''반포본동'''
69.00%
30.77%
△38.23
60.29
'''반포1동'''
61.38%
38.47%
△22.91
46.22
'''반포2동'''
'''69.42%'''
30.43%
'''△38.99'''
59.41
'''반포3동'''
65.10%
34.68%
△30.62
54.26
'''반포4동'''
61.61%
38.13%
△23.48
54.03
'''방배본동'''
60.06%
39.77%
△20.29
55.24
'''방배1동'''
55.45%
44.28%
△11.17
52.94
'''방배2동'''
49.48%
50.34%
▼0.86
51.90
'''방배3동'''
59.56%
40.18%
△19.38
54.84
'''방배4동'''
55.18%
44.51%
△10.67
52.59
'''양재1동'''
52.34%
47.33%
△5.01
50.68
'''양재2동'''
44.79%
'''54.94%'''
▼'''10.15'''
44.82
'''내곡동'''
64.52%
35.04%
△29.48
45.18
'''후보'''
'''나경원'''
'''박원순'''
격차

'''부재자투표'''
62.54%
35.82%
△26.72


4.3.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4.3.1. 서울특별시장선거


'''서초구'''
서초구 일원
'''정당'''


'''후보'''
'''정몽준'''
'''박원순'''
'''득표수'''
'''114,462'''
103,328
'''득표율'''
'''52.25%'''
47.17%
'''순위'''
'''1위'''
2위
'''계'''
'''선거인 수'''
358,576
'''투표 수'''
220,442
'''무효표 수'''
1,411
'''투표율'''
61.48%
'''6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선거 서울 서초구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정몽준'''
'''박원순'''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14,462
(52.25%)'''

'''103,328
(47.17%)'''
'''+11,134
(△5.08)'''
'''61.48%'''
'''서초1동'''
53.04%
46.52%
△6.52
58.68
'''서초2동'''
55.48%
43.94%
△11.54
60.71
'''서초3동'''
55.17%
44.26%
△10.91
58.38
'''서초4동'''
'''61.54%'''
38.10%
'''△23.44'''
60.61
'''잠원동'''
54.68%
44.78%
△9.90
58.36
'''반포본동'''
59.87%
39.69%
△20.18
65.14
'''반포1동'''
52.82%
46.68%
△6.14
52.37
'''반포2동'''
60.32%
39.24%
△21.08
63.74
'''반포3동'''
57.34%
42.24%
△15.10
62.13
'''반포4동'''
54.38%
45.01%
△9.37
59.43
'''방배본동'''
55.49%
44.04%
△11.45
59.82
'''방배1동'''
49.69%
49.79%
▼0.10
59.23
'''방배2동'''
46.39%
52.96%
▼6.57
60.50
'''방배3동'''
54.42%
44.95%
△9.47
61.52
'''방배4동'''
50.28%
49.14%
△1.14
59.93
'''양재1동'''
42.95%
56.44%
▼13.49
60.20
'''양재2동'''
40.55%
'''58.77%'''
▼'''18.22'''
54.72
'''내곡동'''
59.34%
39.74%
△13.60
54.10
'''후보'''
'''정몽준'''
'''박원순'''
격차

'''거소투표'''
61.23%
36.30%
△24.93

'''관외사전투표'''
47.66%
51.53%
△3.87


4.3.2. 서초구청장선거


'''서초구청장'''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조은희'''
'''새누리당'''
'''108,482'''
'''49.86%'''
'''1'''
'''당선'''
2
곽세현
새정치민주연합
71,460
32.84%
2

3
이원호
통합진보당
4,151
1.90%
4

4
이현수
무소속
2,246
1.03%
5

5
진익철
무소속
31,221
14.35%
3

'''선거인수'''
358,576
'''투표수'''
220,493
'''무효표수'''
2,933
'''투표율'''
61.49%
'''6회 지선 서초구청장선거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조은희'''
'''곽세현'''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8,482
(49.86%)'''

'''71,460
(32.84%)'''
'''+37,022
(△17.02)'''
'''61.49%'''
'''서초1동'''
50.76%
32.70%
△18.06
58.68
'''서초2동'''
53.45%
30.45%
△23.00
60.71
'''서초3동'''
52.81%
30.29%
△22.52
58.38
'''서초4동'''
'''57.06%'''
25.08%
'''△32.98'''
60.61
'''잠원동'''
52.83%
29.90%
△23.93
58.36
'''반포본동'''
55.79%
27.04%
△28.75
65.14
'''반포1동'''
50.44%
32.19%
△18.25
52.37
'''반포2동'''
56.45%
26.02%
△30.43
63.74
'''반포3동'''
53.65%
27.26%
△26.39
62.13
'''반포4동'''
51.33%
29.75%
△21.58
59.43
'''방배본동'''
52.13%
31.35%
△20.78
59.82
'''방배1동'''
45.96%
34.94%
△11.02
59.23
'''방배2동'''
41.93%
37.14%
△4.19
60.51
'''방배3동'''
51.32%
30.24%
△21.08
61.52
'''방배4동'''
47.66%
33.52%
△14.14
59.93
'''양재1동'''
42.72%
39.71%
△3.01
60.20
'''양재2동'''
39.76%
'''43.70%'''
▼'''18.22'''
54.72
'''내곡동'''
57.91%
28.93%
△28.98
54.10
'''후보'''
'''조은희'''
'''곽세현'''
격차

'''거소투표'''
57.07%
22.22%
△34.85

'''관외사전투표'''
48.10%
39.75%
△8.35


4.4.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4.4.1. 서울특별시장선거


'''서초구'''
서초구 일원
'''정당'''



'''후보'''
'''박원순'''
'''김문수'''
'''안철수'''
'''득표수'''
'''96,452'''
69,910
50,486
'''득표율'''
'''42.86%'''
31.06%
22.43%
'''순위'''
'''1위'''
2위
3위
'''계'''
'''선거인 수'''
359,734
'''투표 수'''
226,905
'''무효표 수'''
1,893
'''투표율'''
63.08%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선거 서울 서초구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박원순'''
김문수
안철수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96,452
(42.86%)'''

'''69,910
(31.06%)'''
'''50,486
(22.43%)'''
'''+ 26,542
(△11.80)'''
63.08%
'''서초1동'''
42.81%
31.83%
21.82%
△10.99
59.30
'''서초2동'''
40.42%
31.99%
23.97%
△8.43
59.20
'''서초3동'''
39.97%
34.19%
22.22%
△5.78
58.63
'''서초4동'''
31.97%
38.50%
26.48%
▼6.53
61.94
'''잠원동'''
38.00%
32.93%
25.59%
△5.07
59.80
'''반포본동'''
34.50%
38.27%
23.29%
▼3.77
'''65.80'''
'''반포1동'''
42.26%
31.27%
22.95%
△10.99
52.91
'''반포2동'''
30.54%
'''38.53%'''
'''27.44%'''
▼7.99
65.26
'''반포3동'''
33.23%
37.71%
25.50%
▼4.48
62.82
'''반포4동'''
39.12%
33.77%
23.68%
△5.35
59.09
'''방배본동'''
40.39%
33.60%
22.51%
△6.79
61.63
'''방배1동'''
45.95%
30.33%
20.02%
△15.62
60.49
'''방배2동'''
46.86%
28.77%
20.73%
△18.09
61.56
'''방배3동'''
39.16%
33.69%
23.51%
△5.46
60.89
'''방배4동'''
46.06%
29.20%
20.76%
△16.87
61.19
'''양재1동'''
49.62%
26.48%
20.30%
△23.14
61.47
'''양재2동'''
'''56.80%'''
22.21%
16.85%
'''△34.59'''
58.36
'''내곡동'''
45.43%
30.00%
20.99%
△15.42
61.90
'''후보'''
'''박원순'''
김문수
안철수
격차

'''거소·선상투표'''
41.87%
29.96%
24.90%
△11.91

'''관외사전투표'''
52.70%
22.80%
20.47%
△29.90


4.4.2. 서초구청장선거


'''서초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정근
92,154
2위
더불어민주당
41.06%
낙선
2
'''조은희'''
'''117,542'''
'''1위'''
'''자유한국당'''
'''52.38%'''
<color=#373a3c>'''당선'''
3
김용석
13,158
3위
바른미래당
5.86%
낙선
4
조순형
1,544
4위
민주평화당
0.7%
낙선
'''계'''
선거인 수
359,734
투표율
63.1%
투표 수
226,891
무효표 수
2,493
'''7회 지선 서초구청장선거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이정근
'''조은희'''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92,154
(41.06%)'''
'''117,542
(52.38%)'''

'''-25,388
(▼11.32)'''
63.08%
'''서초1동'''
40.10%
53.67%
▼13.57
59.29
'''서초2동'''
36.94%
57.63%
▼20.69
59.20
'''서초3동'''
37.12%
55.52%
▼18.40
58.63
'''서초4동'''
30.49%
63.62%
▼33.13
61.94
'''잠원동'''
36.36%
56.97%
▼20.61
59.80
'''반포본동'''
34.62%
59.14%
▼3.77
'''65.79'''
'''반포1동'''
42.06%
52.02%
▼9.96
52.91
'''반포2동'''
29.50%
'''64.01%'''
'''▼34.51'''
65.26
'''반포3동'''
32.71%
60.35%
▼27.64
62.82
'''반포4동'''
37.04%
56.59%
▼19.55
59.09
'''방배본동'''
38.40%
55.40%
▼17.00
61.63
'''방배1동'''
42.32%
51.43%
▼9.11
60.49
'''방배2동'''
45.29%
46.97%
▼1.68
61.56
'''방배3동'''
35.73%
57.55%
▼21.82
60.89
'''방배4동'''
43.28%
50.74%
▼7.46
61.19
'''양재1동'''
46.11%
48.08%
▼1.97
61.47
'''양재2동'''
'''51.12%'''
43.07%
'''△8.05'''
58.36
'''내곡동'''
48.78%
45.13%
△13.65
61.90
'''후보'''
이정근
'''조은희'''
격차

'''거소·선상투표'''
43.01%
45.59%
▼2.58

'''관외사전투표'''
53.59%
38.24%
△15.35

'''더불어민주당의 잘못된 공천이 부른 패배'''
'''인물론과 정당과의 거리 두기가 만든 자유한국당의 체면 뿐인 승리'''
52.38%의 득표율로 기존 자유한국당 구청장이 있던 5지역(강남3구, 중구, 중랑구) 중 유일하게 수성하였다. 물론 조은희의 역량과 상대 후보의 자질 미달[8]으로 이긴 것에 가깝다. 사실 서초구는 표가 갈리면서 박원순 시장이 1위한 곳일 정도였다. 민주당은 이해할 수도 없고 성의도 없는 공천과 선거운동을 진행했다. 이런 상황이라서 모든 후보가 무소속으로 나왔으면 조은희가 이정근을 더블 스코어 이상으로 이길 수 있었을 걸 그나마 후보들의 당적이 표차를 좁혔다는 분석도 존재한다.
하지만, 이정근은 서초동, 잠원동, 반포동은 물론, 좀 더 진보적이라는 방배동에서도 못 이기고, 양재랑 내곡동 이 두 곳에서만 이겼었다. 그나마도 진보적이라는 동네가 여기서 안 뽑혔다는 것은 서초구민들은 정당을 보는 게 아니라, 인물을 보고 뽑는다는 증거 중 하나였다. 당장 박원순이 서초4동, 반포본동(200여 표 차이.), 반포2, 3동 빼고 모두 승리했다는 걸 미루어보면... 당장 방배2동에서 박원순은 거의 더블스코어 가깝게 이겼다.
[1] 2004년 3월 25일 한겨례 여론조사, 함종길 26.9%, 이혜훈 24.2%[2] 옵티머스 사태와 관련된 그 사람이 맞다.[3] 서초구 갑은 경상도와 충청도 출신 이주민들이 많아 전라도 출신을 기피하는 지역감정이 있다. 일반 주민들도 그럴진대, 그 중에 보수 정당에 가입해서 경선 투표권이 있는 사람들의 인식이야 말 안해도 뭐...[4] 이후에도 이정근 후보는 7회 지방선거에서도 문재인 대통령과의 친분을 과시하는 똑같은 전략을 썼으나, 자유한국당 소속 조은희 구청장에게 밀려 다시 낙선한다.[5] 참고로 이로 인하여 송파구 을, 강남구 을,용산구가 국힘에게 넘어갔다. 물론 강남구 을의 전현희인 경우는 지역구 관리를 못해서 석패한 것도 있긴 하다.[6] 7회 지방선거에서 강남구청장이 민주당에게 넘어갔을 때 서초구청장 선거에서 조은희 후보에게 10% 차이로 밀린 사람이 바로 이정근이다. 민주당 돌풍이 아니였다면 더 큰 격차로 참패를 했을 가능성이 높다.[7] 관외사전투표 (불과 '''1표차''') 를 포함한 전 지역에서 압승하였다.[8] 더불어민주당 이정근은 공보물에서부터 서초구에 필요하지 않은 영양가 없는 공약과 그저 문재인의 후광으로만 선거에 임하는 자세를 보여주었고, (#) 1억 원에 가까운 체납액도 있는 등 제대로 된 후보라고 믿기지 않는 상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