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린

 





'''일제강점기 친일반민족행위자
최린
佳山麟(かやま・りん | 가야마 린
'''
[image]
'''출생'''
1878년 1월 25일
함경도 함흥군 함흥면 하서리#[1]
'''사망'''
1958년 12월 (80세)
평안북도 선천군
'''자'''
공지(公之)
'''호'''
고우(古友)·여엄(如奄)
'''본관'''
해주 최씨[2]#
'''이명'''
초명 최문탁(崔文鐸)
'''창씨명''' 가야마 린(佳山麟)
'''주요 역임 지위'''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매일신보사장
조선임전보국단 단장'''
崔麟
1878년 1월 25일 ~ 1958년 12월
1. 개요
2. 생애
3. 기타
4. 대중 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앞장서 투옥되었다가 석방된 이후 친일파변절하였고 광복 후 다시 자신의 친일 행각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진솔하게 참회한 이력의 특이한 인물이다. 본관은 해주(海州)[3]#, 자는 공지(公之), 호는 고우(古友)·여엄(如奄), 초명은 최문탁(崔文鐸)이다.

2. 생애


1878년 함경남도 함흥부 함흥면 하서리#[4]에서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 최덕언(崔德彦)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구한 말 대한제국의 하급 관리로 활동했으나 1904년 황실 특파 유학생으로 선발되어 일본으로 유학하게 된다. 이후 동경제일중학교를 거쳐 메이지대학 법학과를 졸업하고 귀국한다. 귀국 후 손병희의 권유로 천도교에 입교하고 33세의 나이에 보성고등보통학교 교장에 취임하였으며 도산 안창호 선생의 신민회에 가입하여 활동하기도 하였다.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한 사람이자 독립운동가로 영향이 컸지만 3.1 운동 때 체포되어 구속되면서 3년형을 선고받고 1920년대 초에 출소하여 이후 민족 개량주의 노선으로 걸어갔다. 1933년 말 대동방주의를 내세우면서 이후 친일반민족행위자가 되었다. 1934년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가 되었고 1938년 총독부 어용 기관지 매일신보 사장이 되었으며 1939년 '조선임전보국단'의 단장이 되었다. 창씨명은 '가야마 린(佳山麟)'[5]이다.
젊은 시절 사진
변절 이후 만해 선사의 어린 에게 을 쥐어줬는데 사실을 안 만해 선사가 '더러운 돈이다'라는 말과 함께 대노하면서 돈을 빼앗아 최린의 얼굴에 던져버렸다고 한다.

“루스벨트여! 귀가 있으면 들어보라. 내가 윌슨의 자결주의에 속아 천황의 역적 노릇을 하였다. 이 절치부심할 원수야! 이제는 속지 않는다. 나는 과거를 청산하고 훌륭한 황국신민이 되었다는 것을 알아라!”[6]

최린은 이런 말까지 남기며, 자신이 했던 독립운동까지 부정했다.
해방 이후 미군정으로부터 발표된 포고령에 따라 조선총독부 중추원직을 박탈당했다. 이어 천도교 측은 최린의 친일 행각 죄를 물어 은퇴를 권고하였으나 거부하다가 결국은 영구 제명당하고 쫓겨나는 수모를 당하였다고 한다.
[image]
반민 특위 활동기 때 체포된 최린(오른쪽). 맨앞(왼쪽) 사람은 김성수의 동생 김연수 경성방직 공장 사장. 다른 사진
1949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되어 3차례의 공판이 열렸고 이 과정에서 자신의 친일 행위를 시인하고 솔직한 참회를 했다. 당시 남긴 말로 "민족 대표의 한 사람으로 잠시 민족 독립에 몸담았던 내가 이곳에 와서 반민족 행위를 재판을 받는 그 자체가 부끄러운 일이다. 광화문 네거리에서 소에 사지를 묶고 형을 집행해 달라. 그래서 민족에 본보기로 보여야 한다."[7]고 말했다. 이후 병보석으로 풀려났다.[8] 공판정에 같이 있던 이광수가 "나는 민족을 위해 친일한 것이다"라고 하자 그 옆에 서 있던 최린이 이광수를 향해 날린 명대사가 바로 "입 닥쳐''. 1949년 4월 병보석으로 석방했다. 그렇지만 김승학의 반민 특위 살생부 초안에 사이좋게 실렸다.
[image]
6.25 전쟁북한납북되었고 이후 행방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진게 없다. 다만 1958년 사망했다는 사실만 알려져 있을 뿐이다.

3. 기타


  • 화가 나혜석과 염문을 일으킨 장본인으로 결국 나혜석이 이혼을 당하게 만들었는데 당시 나혜석만 욕먹었고 그는 모른 척하였기에 여성 단체들이나 페미니스트들에게 이런 점으로 엄청 씹히기도 한다.[9]
  • 3.1 운동 이전에 일본 경찰로 일하던 신철이란 사람을 찾아가 설득시켰다고 한다. 돈을 건네고 회유하려 했는데 신철은 오히려 스스로 마음을 돌려 3.1 운동에 대한 허위 정보를 퍼뜨려 일본 경찰들을 엉뚱한 곳에 배치하게 만들었고 3.1 운동 이후에 구속되자 유치장에서 숨겨둔 청산가리(시안화칼륨)를 먹고 자결했다.

4. 대중 매체에서


[image]
1981년작 MBC 드라마 <제1공화국>에선 배우 최남현/강성욱(중년)이, 1990년 8.15 특집드라마 <반민특위>에선 강계식, 2003년 SBS 드라마 야인시대에서 한태일이 각각 맡았는데, 특히 한태일을 배우로 섭외한 이유가 상당히 최린과 닮은 얼굴이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1부에서는 한용운에 의해 언급만 되고 2부에서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반민특위 조사실로 지팡이를 짚고 부축을 받으며 검거되어 오면서 최동열 기자를 비롯해서 언론에 자세히 인터뷰하는 것도 거절한 채 '죄인이 되어 잡혀온 것이니 그리들 알아달라'며 조사실로 들어가는 모습이 보인다. 최린이 조사실로 가면서 어릴 때 자신이 가르친 문하의 제자로 인연이 있었던 조사관을 만나고 조사관은 옛 스승이였던 최린을 만나자마자 최린은 "지금은 선생이 아니고 죄인이 되어 이곳에 잽혀 온 것[10]이고 선배가 지조를 안 지킨 결과가 아니오? 스스로 조사받을 자리가 어디요?"라고 물으면서 옛 제자였던 조사관에게 유일하게 동정심을 유발하는 태도로 친절한 대우를 받는다.[11] 조사관이 최린의 조사를 시작할 때 당시 조사관이 최린에게 "용서하십시요, 선생님. 지금부터 반민족주의자로서 피의자로서 조사하겠습니다"라고 용서를 구했고, 최린은 "그리 하시구려, 당연한 귀결이오."라고 하면서 조사를 시작한다. 조사관이 한숨을 쉬면서 최린을 조사하고 있을 때 이정재 옆에 있던 서열이 높은 다른 조사관이 "어디 저 분 뿐이겠나, 상당수 인사가 이 곳을 거쳐 갈 것이야"고 말하면서 이정재는 상관인 노덕술을 체포하라는 지시를 받고 노덕술을 체포하러 간다. 이후 반민특위 재판에서 노덕술 등과 피의자로서 피고인으로서 재판정에 섰다. 재판 때는 묵묵부답.
[1] 상리라고도 한다.#.[2] 대령군파 29세.[3] 대령군파 29세.[4] 상리라고도 한다.#.[5] 崔를 파자하여 지음.[6] 출처: 쟁점으로 본 한국사: 김육훈 지음/ 푸른나무/ 1996년 출간/ 257쪽[7] 혹은 종로 한복판에서 민중들에게 돌 맞아 죽는 것이 소원이다.라고 말했다고도 한다.[8] 1990년대 나온 임종국의 한국의 친일파 99인에서는 그래도 이렇게 회개한 점은 좋게 봐야한다고 쓴 바 있다. 당시 공판에 나온 친일파들은 대다수가 '내가 무슨 잘못이 있는가? 나는 살고자 친일을 했을뿐 되려 나만큼 나라를 생각한 사람이 어디있는가?'이라며 정당화(본문에 있는 이광수와 자열서 쓰고 변명만 늘어놓은 최남선이 대표적)하거나 '일본이 전쟁에서 질 줄 몰랐다.'(서정주), '지금 인재도 희귀한데 다른 놈들 갈구지 말고 차라리 나 한놈만 죽여라.'(박중양), 아예 적반하장으로 '날 재판에 세워두는 건 죄다 빨갱이 새끼다'처럼 큰 소리치고 욕하고 악쓰는 이들까지 있었다.(대표적으로 이종형노덕술 같은 부류들을 들을 수 있겠다.)[9] 나혜석은 한국 여성 최초의 세계 일주를 한 사람으로 당시 변호사이자 일본 외무성 관료로 일했던 남편 김우영을 따라 2년 여에 걸쳐 만주, 러시아, 유럽, 미국, 하와이 등을 여행했다. 나혜석의 파리 체류 중 당시 30개국 여행 중이던 최린을 만나 사랑에 빠졌는데 당시 한국인 유학생 사회가 좁은 바람에 파리 한인 사회에서 나혜석은 최린의 작은댁이라는 소문이 파다했다. 당시 잠시 베를린에 가서 공부하던 김우영은 소문을 듣고 몰래 파리에 돌아와 둘의 불륜을 목격한다. 이후 귀국하여 둘은 이혼한다. 이혼 후 솔로가 된 나혜석을 부담스러워한 최린은 그녀를 버리는데 나혜석은 최린 때문에 이혼당했는데 나 몰라라 하니 최린을 '정조 유린죄'로 당시 돈 12,000원의 손해배상(위자료)과 함께 고소한다. 최린은 이것에 대한 신문 기사를 막으려고 동아일보 기자를 매수하고 나혜석에게 2,000원이라는 돈을 주면서 소 취하를 종용한다. 결국 나혜석은 패소한다.[10] 당시에는 '잡혀오다'를 '잽혀오다'로 한 것 같다. 실제 대사도 "지금은 선생이 아니요, 죄인이 되어 이곳에 잽혀온 것이요"라고 했다.[11] 다른 반민족친일행위자가 반민특위에서 조사를 받으면서 고함 소리도 듣고 조사관이 막 대하는 태도를 했다고 하나 최린은 조사관과의 인연과 고령인 점을 감안한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