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주 최씨

 



[image]}}} '''{{{#000 海州 崔氏 (孤竹 崔氏)
해주 최씨 (고죽 최씨)'''
}}}
<colbgcolor=#b9062f> '''관향'''
황해도 해주시
'''비조'''
소벌도리(蘇伐都利)
'''시조'''
최온(崔溫), 최충(崔沖)
'''중시조'''
최유선(崔惟善), 최사추(崔思諏), 최윤의(崔允儀), 최자(崔滋)
'''파조'''
최상기(崔尙淇), 최린(崔璘), 최하(崔河), 최숙(崔淑),
최승순(崔承順), 최단(崔鄲), 최용(崔鄘),
최용기(崔龍起), 최각(崔塙), 최정(崔埥),
최당(崔塘), 최은(崔垠), 최연(崔堧),
최만현(崔萬玹), 최용(崔溶), 최윤범(崔尹範),
최윤망(崔尹望), 최효종(崔孝宗), 최윤탁(崔尹卓),
최안덕(崔安德), 최순(崔洵), 최제(崔悌),
최덕해(崔德海), 최하(崔河), 최빈(崔賓),
최성민(崔聖敏), 최우(崔瑀), 최부(崔溥)
'''집성촌'''
서울특별시 중랑구
인천광역시 남동구
강원도 인제군·홍천군
경기도 구리시·남양주시·안성시
충청남도 당진시·홍성군
전라북도 익산시
전라남도 고흥군·담양군·무안군·보성군
전라남도 순천시·영암군·화순군
경상북도 문경시·의성군·칠곡군·포항시
강원도 고성군
황해도 금천군·신천군·연백군
황해도 옹진군·장연군·해주군
평안남도 강서군·개천군·순천군·용강군
평안남도 중화군·평원군
평안북도 구성군·박천군·선천군·용천군
평안북도 의주군·자성군·정주군
함경남도 신흥군·안변군·함주군
함경북도 경원군·무산군·회령군
'''인구'''
211,625명(2015년) | 국내 43위
'''링크'''
해주최씨대종회
1. 개요
2. 상세
3. 항렬
4. 분파
5. 집성촌
5.1. 서울·인천·경기
5.2. 강원·충청
5.3. 전라
5.4. 경상
5.5. 북한
5.5.1. 강원·황해
5.5.2. 평안
5.5.3. 함경
6. 역사인물
7. 근•현대인물
8. 분관
9. 기타

[clearfix]

1. 개요


해주 최씨는 대한민국의 성씨이다. 본관 해주는 현 황해도 해주시이며 시조는 고려시대 해주 향리 최온(崔溫)과 그의 아들 최충(崔冲)이다. 최충이 1005년(고려 목종 8) 과거에 장원급제하며 출세했고,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1]태사(守太師)[2]문하시중(門下侍中) 상주국(上柱國)[3] 내사령(內史令)[4]에까지 이르러 가문이 크게 성장하였다.
상황에따라 고죽 최씨(孤竹 崔氏)라고도 불린다.[5]
그의 후손인 최사추, 최윤의, 최유선이 줄줄히 고려의 배향공신이 되었으며 최사추의 딸이 문경태후를 낳고 태후가 인종을 낳기도 했다.
순수히 경주 최씨 에서 분가된 가문들중,제일큰 가문이다.[6]
해주 최씨는 조선시대에 영의정 1명[7][8] 우의정 1명, 대제학 1명, 부제학 1명[9], 후궁 1명[10], 청백리 2명[11]을 배출하였다.
해주 최씨는 최씨중 3번째 자리를 차지한다.[12]인천광역시[13]와 충청도에 많은 분포율을 보이고 있다.

2. 상세


비조 소벌도리신라 사로 6촌의 촌장이며 박혁거세의 양부로 알려져 있다. 신라 유리 이사금때 다른 촌장과 함께 성씨를 하사 받았으며,소벌도리 에게는 임금 양육의 큰 공이 있다 하여 최(崔)를 하사 하였다.
시조 최온은 해주의 호족으로서 지방의 여려운 사람들을 많이 도왔다고 알려져 있다.
최온의 아들인 최충고려의 명재상으로서 후의 고려 최고관직인 문하시중 까지 오르게 되고,관직을 내려논후에는 임금이 최충에게 지팡이와 방석을 내리었다. 최충은 시중최공도를 열어 후학을 양성하였으며,이것이 나중에 고려의 유학열풍이 불어 사학 12도의 시조가 되었다.
이 사학 12도에서 나온 유명 유학생들은 김부식, 윤언이, 정지상이 있으며 후에 고려 문벌귀족 가문에도 들어가게 되었다.
고려 초기, 외척인 인천 이씨와 함께 2위 가문이 었으며 고려 중기, 인천 이씨가 이자겸의 난으로 몰락 이후에는 당대 제일의 1위 가문이었다.
그후 무신정권이 일어난후 잠시 주춤했다가[14] 다시 권문세족으로 등장 하게 된다.
고려때 배향공신경주 최씨와 더불어 가장 많이 배출하였다.[15] [16]

3. 항렬


● 해주 최씨는 각 파별로 독립된 항렬도를 사용한다.참조 다음은 해주 최씨 대종가인 사정공파(司正公派)와 전한공파(典翰公派)의 항렬도이다.
  • 사정공파(司正公派) - 파조 : 최상기(崔尙淇)
28세
홍(鴻)◯
29세
◯직(稷)
30세
병(丙)◯
31세
◯규(圭)
32세
종(鍾)◯
33세
◯태(泰)
34세
지(智)◯
35세
◯인(仁)
36세
용(勇)◯
37세
◯신(信)
38세
의(義)◯
39세
◯일(一)
40세
춘(春)◯
41세
◯하(夏)
42세
정(廷)◯
43세
◯상(商)
44세
임(壬)◯
45세
◯원(元)
46세
형(亨)◯
47세
◯기(起)
48세
경(庚)◯
49세
◯규(揆)
50세
진(震)◯
  • 전한공파(典翰公派) - 파조 : 최연(崔堧)
28세
玉(구슬 옥) 변
29세
◯석(錫)
30세
◯부(溥)
31세
병(秉)◯
32세
◯섭(燮)
33세
재(在)◯
34세
◯호(鎬)
35세
태(泰)◯
36세
◯수(秀)
37세
영(榮)◯
38세
◯중(重)
39세
종(鍾)◯
40세
◯영(泳)
41세
동(東)◯
42세
◯현(炫)
43세
규(圭)◯
44세
◯옥(鈺)
45세
연(演)◯
46세
◯모(模)
47세
희(熙)◯
48세
◯균(均)
49세
현(鉉)◯
50세
◯철(澈)

4. 분파


  • 사정공파(司正公派) - 최상기(崔尙淇)
  • 교리공파(校理公派) - 최린(崔璘)
  •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 - 최하(崔河)
  • 문정공파(文貞公派) - 최숙(崔淑)
  • 집의공파(執義公派) - 최승순(崔承順)
  • 대령군파(大寧君派) - 최단(崔鄲)
  • 서운부정공파(書雲副正公派) - 최용(崔鄘)
  • 전서공파(典書公派) - 최용기(崔龍起)
  • 현감공파(縣監公派) - 최각(崔塙)[17]
  • 좌랑공파(佐郞公派) - 최정(崔埥)[18]
  • 생원공파(生員公派) - 최당(崔塘)[19]
  • 진사공파(進士公派) - 최은(崔垠)[20]
  • 전한공파(典翰公派) - 최연(崔堧)[21]
  • 현감공만현파(縣監公萬玹派) - 최만현(崔萬玹)[22]
  • 판사복시공파(判司僕寺公派) - 최용(崔溶)[23]
  • 승지공파(承旨公派) - 최윤범(崔尹範)
  • 진사공윤망파(進士公尹望派) - 최윤망(崔尹望)
  • 장사랑공파(將仕郞公派) - 최효종(崔孝宗)
  • 진사공윤탁파(進士公尹卓派) - 최윤탁(崔尹卓)
  • 좌윤공파(左尹公派) - 최안덕(崔安德)[24]
  • 감찰공파(監察公派) - 최순(崔洵)
  • 사평공파(司評公派) - 최제(崔悌)
  • 소윤공파(少尹公派) - 최덕해(崔德海)[25]
  • 전서공하파(典書公河派) - 최하(崔河)
  • 해릉군파(海陵君派) - 최빈(崔賓)
  • 봉산계(鳳山系) - 최성민(崔聖敏)
  • 현감공우파(縣監公瑀派) - 최우(崔瑀)
  • 복야공파(僕射公派) - 최부(崔溥)

5. 집성촌



5.1. 서울·인천·경기


  • 서울특별시 중랑구 중화동
  • 인천광역시 남동구 남촌동·논현동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26]
  • 경기도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 경기도 안성시 원곡면 지문리[27]

5.2. 강원·충청


  •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덕산리
  •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 노일리
  • 강원도 홍천군 서면 어유포리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옥현리
  •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유곡리
  •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성남리

5.3. 전라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호암리[28]
  • 전라남도 고흥군 포두면 길두리
  •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보촌리
  • 전라남도 무안군 해제면 석룡리
  •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칠동리[29]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구룡리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동구림리[30]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경치리·백용리[31]·서성리·오동리·운농리

5.4. 경상


  • 경상북도 문경시 영순면 포내리[32]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금곡리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학산리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연일읍 자명리

5.5. 북한



5.5.1. 강원·황해


  • 강원도 고성군 서면 화우리
  • 황해도 금천군 숙인면 두모리
  • 황해도 신천군 궁흥면 만궁리·용천리
  • 황해도 연백군 송봉면 대룡리
  • 황해도 연백군 용도면 안정리
  • 황해도 연백군 호남면 자봉리
  • 황해도 옹진군 부민면 석계리
  • 황해도 장연군 대구면 선원리
  • 황해도 해주시 구제동·동영정·사미동·양사리·장충동·해운동
  • 황해도 해주군 내성면 소호리
  • 황해도 해주군 대거면 수동리
  • 황해도 해주군 서변면 문정리
  • 황해도 해주군 석동면 서원리[33]
  • 황해도 해주군 장곡면 국봉리·대성리
  • 황해도 해주군 해남면 봉대리

5.5.2. 평안


  • 평안남도 강서군 초리면 보봉리
  • 평안남도 개천군 개천면 중흥리
  • 평안남도 순천군 사인면 사창리
  • 평안남도 순천군 후탄면 견룡리
  • 평안남도 용강군 다미면 서적리[34]
  • 평안남도 중화군 간동면 수재리
  • 평안남도 평원군 검산면 신성리
  • 평안남도 평원군 동암면 상탄리
  • 평안남도 평원군 용호면 어당리
  • 평안북도 구성군 구성면 상동
  • 평안북도 박천군 용계면 고창동
  • 평안북도 선천군 동면 인곡동
  • 평안북도 용천군 북중면 용주동
  • 평안북도 용천군 양광면 봉덕동[35]
  • 평안북도 용천군 용천면 중흥동
  • 평안북도 의주군 의주읍 동부동[36]
  • 평안북도 의주군 광평면 청수동
  • 평안북도 의주군 수진면 일원
  • 평안북도 의주군 월화면 화합하동
  • 평안북도 자성군 여연면 만흥동
  • 평안북도 정주군 관주면 관삽동
  • 평안북도 정주군 남면 화산동
  • 평안북도 정주군 대전면 운산동[37]·운전동
  • 평안북도 정주군 신안면 송정동

5.5.3. 함경


  • 함경남도 신흥군 동고천면 동상리·중리·흥평리
  • 함경남도 안변군 배화면 수여리
  • 함경남도 함주군 기곡면 장동리
  • 함경북도 경원군 경원면 송천동
  • 함경북도 경원군 동원면 중평동
  • 함경북도 경원군 안농면 금동·이동
  • 함경북도 경원군 용덕면 용서동·용신동
  • 함경북도 무산군 삼사면 노평동
  • 함경북도 무산군 서하면 삼천동·임강동·흥암동
  • 함경북도 무산군 연사면 신장동
  • 함경북도 회령군 벽성면 오봉동
  • 함경북도 회령군 봉의면 보을동
  • 함경북도 회령군 팔을면 세동·영천동·원산동

6. 역사인물



7. 근•현대인물



8. 분관



9. 기타


전주 최씨, 통천 최씨, 삭녕 최씨와 더불어서 조선시대에 정승을 배출하였다.[38]

[1] 고려 종 1품 문산계 품계.[2] 행수법에 따른 수직으로 태사는 천자의 스승이다.[3] 최고위 훈위. 명예직이다.[4] 명목상 내사문하성의 장관. 명예직이다.[5] 관향인 해주가 고구려 시대에는 고죽(孤竹) 이라고 불렸었다.[6] 전주 최씨는 각 계파마다 이견이 조금씩있다.[7] 최규서(崔奎瑞).[8] 영의정, 우의정, 대제학을 같이 역임하였다.[9] 최만리(崔萬理).[10] 조선 영조의 모후인 숙빈 최씨.[11] 최만리, 최경창.[12] 경주, 전주, 해주, 강릉, 탐진 위 5개의 가문이 최씨의 대본이다.[13] 실향민이 인천에 많이 정착하였다.[14] 하지만 무신정권 때도 당대 명문가 였기 때문에 몰락하지 않았으며,실제로 최자라는 인물이 무신정권때 문신으로 등용되기도 했다.[15] 경주 최씨 5명, 해주 최씨 4명.[16] 이들이 같은 혈족임을 감안 한다면 놀라운 수치이다.[17] 훈민정음 창제 반대 상소를 올린 것으로 유명한 최만리의 장남이다.[18] 훈민정음 창제 반대 상소를 올린 것으로 유명한 최만리의 차남이다.[19] 훈민정음 창제 반대 상소를 올린 것으로 유명한 최만리의 셋째 아들이다.[20] 훈민정음 창제 반대 상소를 올린 것으로 유명한 최만리의 넷째 아들이다.[21] 훈민정음 창제 반대 상소를 올린 것으로 유명한 최만리의 다섯째 아들이다.[22] 훈민정음 창제 반대 상소를 올린 것으로 유명한 최만리의 동생이다.[23] 훈민정음 창제 반대 상소를 올린 것으로 유명한 최만리의 숙부이다.[24] 훈민정음 창제 반대 상소를 올린 것으로 유명한 최만리의 종조부이다.[25] 훈민정음 창제 반대 상소를 올린 것으로 유명한 최만리의 종조부이다.[26] 독립유공자 최대복이 이 마을 출신이다.[27] 독립유공자 최만보·최문섭·최병일·최찬섭이 이 마을 출신이다.[28] 군함도 강제징용 생존자 최장섭(崔璋燮)씨가 이 마을 출신이다.[29] 독립유공자 최봉진이 이 마을 출신이다.[30] 독립유공자 최기섭·최성심이 이 마을 출신이다.[31] 임진왜란 때 의병장 최경회를 모시는 사당인 충의사가 이 마을에 있다.[32] 독립유공자 최찬이 이 마을 출신이다.[33] 독립유공자 최승항이 이 마을 출신이다.[34] 독립유공자 최승학이 이 마을 출신이다.[35] 독립유공자 최춘선이 이 마을 출신이다.[36] 독립유공자 최석인이 이 마을 출신이다.[37] 독립유공자 최형구가 이 마을 출신이다.[38] 경주 최씨는 조선 때에 퇴조 하여,정승이나,대제학등을 배출하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