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역

 

1. 의미
2. 원인
3. 활용
4. 부활


1. 의미


廢驛
'''더는 정거장으로써 의미가 없어진 역의 최후.''' 철도역이나 지하철역이 영업을 하지 않고 폐쇄되는 것이다. 사실 폐역은 영업거리표에 등장조차 하지 않기 때문에 공식적인 정거장 등급이라 보기에는 어렵다.

2. 원인


  • 지속적인 이용객의 감소에 따른 수익성의 감소
  • 철도 노선의 이설이나 폐선
  • 전쟁이나 자연재해 등으로 지역 파괴
대한민국에서는 1번 예시가 많았다. 1970년대~1980년대보통역으로 호황을 누리던 역이 고속버스자동차 같은 도로교통의 발달로 이용객이 점점 줄어가면서 배치간이역으로, 또 무배치간이역으로, 최후에는 화물취급이나 여객취급 중단으로 이어지면서 방치되었다가 폐역이 되는 수순이다. 특히나 이러한 현상이 가장 두드러지는 곳이 바로 경북선과 서부경전선. 오죽하면 경북선의 별명이 '폐역선'이 되었을까? 경북선은 임시승강장의 남발로 인한 폐역이 상당히 많은데 대부분 통학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역들이었다. 서부 경전선은 유독 화순군에서만 이런 일이 벌어졌는데, 수요 부족으로 무려 5개 역이 폐역되었다. 화순군내 경전선 역인 도림-이양-입교-석정리-능주-만수-화순-앵남 중 이양역, 능주역, 화순역을 빼고 전부 폐역되었다. 폐역된 5개 역 모두 2000년대 기준으로 제대로 된 역 건물조차 없었다.
2010년대부터는 노선 이설로 인한 폐역이 많아지고 있다. 중앙선, 영동선, 동부 경전선, 동해선, 경춘선, 장항선이 이에 해당한다.

3. 활용


안전 문제가 있기 때문에 대부분 선로와 전신주를 먼저 철거하고 이후 필요에 따라 역 건물을 철거하고 공터로 만든다.[1] 이 경우 역터에는 플랫폼이나 나무 정도가 남을 뿐이다.[2] 대부분 향나무측백나무 종류. 이를 철도 동호인들은 '''역목(驛木)'''이라고 부르며 역의 터를 짐작케 하는 수단이 된다. 이 역목들은 신기하게도 역이 철거된 후에도 대규모 택지지구 개발 등이 아닌 이상 대부분 살아남는다. 심지어 폐선된 지 거의 '''한 세기가 다 되어가는 노선'''에서도 종종 발견되는 것을 보면 동호인들이 괜히 이 나무들을 폐선 답사의 지표로 삼는 게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해준다.
만약 위 과정에서 운 좋게 살아남았다면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
  • 보선반 직원들의 숙소및 사무실로 마개조 (원정역, 미륵역, 복암역, 등)
  • 창고 (원두역, 등)
  • 철도 부지 매각으로 민간인이 임대받아 거주 ( , 미룡역[3], 고잔역 구역사, 죽림역)
  • 민영기업의 영업장소로 전환 (부조역 구역사, 덕산역)
  • 버스 터미널, 차고지 (오수역 구역사[4], 충주역 구역사)
  • 종교 시설(!) (금곡역 구역사)
  • 식당 (진상역 구역사)
  • 방송국 ( [5])
  • 소방서 (광주역 구역사[6])
  • 외양간(...) (승문역)
  • 골프장 (문경역[7], 옥마역[옥마])
  •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 (춘포역, 화랑대역)
  • 관광지구로 전환 (하이원추추파크, 구절리역, 불정역, 곡성역 구역사, 옥마역[옥마], 장항화물역[8])
  • 지방자치단체에서 인수하여 보존 (반야월역(대구선), 동촌역(대구선), 중앙선 능내역 등 다수)
  • 체육시설로 전환 (삼천포역[9])


4. 부활


이설로 인해 폐역된 역의 구역사가 부활하는 경우가 있다. 물론 관광자원일 뿐 역 기능은 없다.
  • 곡성역 구역사는 전라선 선로 이설이 완료된 후, 섬진강 기차마을이 조성되었으며, 현재도 침곡역을 거쳐 가정역까지 운행되는 섬진강 기차마을 관광철도의 시종착역을 맡고 있다.
  • 침곡역은 일제의 산림자원 수탈 목적으로 지어진 역이라서 일제강점기가 끝나고 바로 폐역되었으며, 전라선 선로마저 이설되어 부활할 가능성이 거의 없었으나, 상기 이야기한 섬진강 기차마을 관광철도의 중간 정차역 및 섬진강 레일바이크 기점역으로 부활하였다.
  • 청주역 구역사는 처음 소재해 있던 청주시 상당구 북문로에 부활했다. 역 기능은 시 외곽의 정봉동 역사(1980년 이설)가 맡고 있다.

[1] 이 다음 과정은 대개 온비드 등을 통해 매각절차를 밟는다.[2] 종종 가로등이나 화물취급소, 신호기등이 남기도 한다. 정말 드물지만 인근의 철도관사가 남는 경우도 있다.[3] 다만 미룡역의 경우 가정집을 임대하여 썼던 대매소였다.[4] 현재는 자율방범대 초소로 바뀜[5] MBC충북 우암지국으로 있다가 2006년 철거.[6] 1969년 現 광주역으로 이전하고 구 역사는 증축을 통해 1970년부터 광주소방서가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후 現 광주 동부소방서로 바뀌었고, 2012년 한차례 리모델링을 거쳤으나 아직도 광주역 구 역사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7] 문경역사는 철거되고 부지만 활용하는 것임[옥마] A B 옛 옥마역 부지 북쪽에는 골프장이 있으며, 남쪽에는 폐선로를 재활용한 레일바이크 전용 선로와 카페가 있다.[8] 서류상으로는 여전히 화물전용역으로 존치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화물영업이 중단된 상태로 폐역이나 다름없어 리모델링을 거쳐 '장항도시탐험역'이라는 간판을 달고 관광자원으로 전환했다.[9] 옛 진삼선의 종착역이였으며, 현재는 복싱장으로 전환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