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2DJ : AZURE EXPRESSION INTEGRAL COMPOSITION/라디오채널
EZ2DJ : AZURE EXPRESSION INTEGRAL COMPOSITION의 라디오채널 목록.
- AE와 AEIC의 신규 채널은 구성이 거의 같기 때문에 한 문서에 통합하였다. 다만 AE와 AEIC의 구성에 차이가 있는 채널은 추가로 서술했다.
- 구버전 채널은 부제가 버전명이므로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 참고자료 : # # #
1. 개관
2. 범례
3. 5Radio Mix
3.1. 신규 채널
3.1.1. AZURE EXPRESSION (Lv 10)
3.1.2. Lounge J (Lv 5)
3.1.3. Embark (Lv 7)
3.1.4. Comeback of The YEAR (Lv 8)
3.1.5. Ethereal Voices (Lv 8)
3.1.6. Heart-String (Lv 8)
3.1.7. Daylight Breeze (Lv 8)
3.1.8. Seeds of Rebellion (Lv 8)
3.1.9. European Express (Lv 9)
3.1.10. The Bizarre Scratcher (Lv 9)
3.1.11. DISTORTION volume : 10 (Lv 10)
3.1.12. Retro-Respect-Revisited (Lv 10)
3.1.13. Earache Sphere (Lv 11)
3.1.14. Pyrexia (Lv 14)
3.1.15. Alternative Expression (Lv 15)
3.1.16. Decadance (Lv 15)
3.1.17. Remix Station (Lv ?)
3.1.18. Abscondence (Lv 16)
3.2. 기존 채널
3.2.1. Digital Reality (Lv 9)
3.2.2. NF Special (Lv 11)
3.2.3. Supreme Collection (Lv 10)
3.2.4. Grotesque (Lv 14)
3.2.5. Hard Beat Underground (Lv 9)
3.2.6. Techno Trance Terminal (Lv 13)
3.2.7. 12+ (Lv 14)
3.2.8. SRS(●) (Lv 12)
3.2.9. OTL (Lv 14)
3.2.10. Ch.ASF (Lv ?)
3.2.11. yak_won (Lv 10)
3.2.12. Violet (Lv 16)
3.2.13. The 1st Tracks (Lv 6)
3.2.14. AYA (Lv 10)
3.2.15. RMX2D (Lv 11)
3.2.16. ohcodus (Lv 15)
3.2.17. Remembrance (Lv ?)
3.2.18. ARIXID (Lv ?)
3.2.19. Termination (Lv 16)
3.3. 랜덤 채널
3.4. 1차 히든 채널
3.5. 2차 히든 채널
4. 7Radio Mix
4.1. 신규 채널
4.1.1. HoR(Lv 7)
4.1.2. Theater AE (Lv 9)
4.1.3. zest : rave (Lv 9)
4.1.4. PEENA (Lv 11)
4.1.5. VAi (Lv 11)
4.1.6. Lucian (Lv 11)
4.1.7. Kurskaya from RUSSIA (Lv 12)
4.1.8. Static Sphere (Lv 12)
4.1.9. From Far East (Lv 12)
4.1.10. Seibin X SpringHead (Lv 12)
4.1.11. Flow.D (Lv 12)
4.1.12. studio PSYCLOID (Lv 12)
4.1.13. Lotze (Lv 13)
4.1.14. wr8ng q: (Lv 13)
4.1.15. passion and warfare (Lv 14)
4.1.16. Remix Station (Lv ?)
4.1.17. Abscondence (Lv 16)
4.2. 기존 채널
4.2.1. R&B Primer (Lv 4)
4.2.2. POP PiE (Lv 4)
4.2.3. FUTURE SOUNDS (Lv 6)
4.2.4. TECHNO REVOLUTION (Lv 6)
4.2.5. MARIO BOLDEN Collection (Lv 6)
4.2.6. Ruby Tuesday Collection (Lv 5)
4.2.7. d.j. KANN (Lv 6)
4.2.8. DJ TOMATO (Lv 6)
4.2.9. D.J. IBARAD (Lv 6)
4.2.10. Creatune Collection (Lv 6)
4.2.11. EZZ (Lv 6)
4.2.12. DJ Kentauji (Lv 7)
4.2.13. K&S's (Lv 7)
4.2.14. DJ. ponGlow (Lv 8)
4.2.15. Ruby Tuesday (Lv 8)
4.2.16. Andy Lee (Lv 8)
4.2.17. Mario Bolden (Lv 8)
4.2.18. xxdbxx (Lv 8)
4.2.19. Croove (Lv 10)
4.2.20. Ache (Lv 7)
4.2.21. FEXD (Lv 8)
4.2.22. Lassoft (Lv 10)
4.2.23. Airborn (Lv 8)
4.2.24. ponGlow (Lv 11)
4.2.25. Kentauji (Lv 11)
4.2.26. Ominan (Lv 12)
4.2.27. Imp17 (Lv 7)
4.2.28. Necobus (Lv 8)
4.2.29. Andy Lee (Lv 9)
4.2.30. Lassoft (Lv 7)
4.2.31. Croove (Lv 9)
4.2.32. FE (Lv 10)
4.2.33. Airborn (Lv 9)
4.2.34. Ponglow (Lv 12)
4.2.35. Dizzy (Lv 11)
4.2.36. 光 (Lv 7)
4.2.37. Minan (Lv 13)
4.2.38. VJ. Shukei (Lv 5)
4.2.39. VJ. S.R. (Lv 6)
4.2.40. DJ. FE (Lv 7)
4.2.41. VJ. Imp17 (Lv 10)
4.2.42. VJ. Necobus (Lv 12)
4.2.43. VJ. Kkashi (Lv 9)
4.2.44. DJ. forte escape (Lv 12)
4.2.45. Minan (Lv 14)
4.2.46. SRS(●) (Lv 12)
4.2.47. OTL (Lv 14)
4.2.48. yak_won (Lv 10)
4.2.49. Exercise (Lv 9)
4.2.50. Sound Addict (Lv 13)
4.2.51. Redemption (Lv 15)
4.2.52. PPET (Lv 13)
4.2.53. sjhdeux (Lv ?)
4.2.54. World atom-o-sphere (Lv 14)
4.2.55. Violet (Lv 16)
4.2.56. VAi.2 (Lv 6)
4.2.57. 乙 (Lv 9)
4.3. 1차 히든 채널
4.4. 2차 히든 채널
4.4.2. Total Mayhem
1. 개관
Platinum 이전 버전의 라디오 믹스 채널처럼, 5키는 곡의 장르별로, 7키는 제작자별로 채널이 짜여졌다. 또한 AE와 AEIC의 신곡은 모두 라디오 채널에 수록되어 있는 등 채널 선정에 상당히 공을 들인 편이다.
BE rA에서 대거 부활했던 과거 채널들은 인기 채널들만 남겨놓고 정리가 되었다. 다만 7라디오의 2nd~Platinum 채널은 거의 삭제가 되지 않았고, 특히 2nd의 채널들은 BE rA때 부활하지 않았던 채널들이 추가로 돌아와서, 총 26개 채널 중 14개 채널이 다시 수록되었다.
특기할 만한 점으로는 이 시기 이후부터 생존한 EZ2DJ 6th 채널들의 구성이 전부 6th 1.3버전 이상의 사양으로 바뀌었다는 것. 그 때문인지 6th 채널명의 부제도 이 시기부터 '''Ez2Dj 6th TraX -Self Evolution- D/E'''가 되었다. D/E는 과거 개발이 무산되었던 EZ2DJ 6th 1.5 버전의 부제. (Director's Edition)
2. 범례
3. 5Radio Mix
3.1. 신규 채널
3.1.1. AZURE EXPRESSION (Lv 10)
- 부제 : Shift in Generations
AE에서는 The Onyx Night Sky - Liquid Cube HD - satellite 61 NM - Morgenglut 2012 NM이었다.
3.1.2. Lounge J (Lv 5)
- 부제 : Drunken Jukebox Serenade
3.1.3. Embark (Lv 7)
- 부제 : Ready to Departure
3.1.4. Comeback of The YEAR (Lv 8)
- 부제 : Returned Artist Collection
3.1.5. Ethereal Voices (Lv 8)
- 부제 : DIVE 2 deep voices
3.1.6. Heart-String (Lv 8)
- 부제 : Feel The Sorrows
Special K는 기존의 하드 채보의 강화편이다.
Yes Yes는 EZ2DJ 6th의 비공식 패치인 1.3 버전에 수록되었던 하드 채보이며, 후에 EV버전 SHD 패턴이 되었다.
체감 난이도는 7-9-8-7
3.1.7. Daylight Breeze (Lv 8)
- 부제 : Magical Sounds Shower
3.1.8. Seeds of Rebellion (Lv 8)
- 부제 : One Step Forward
보스급 곡들의 저난이도 채보를 모아놓은 채널. 네 곡 다 전용 채보로 神威는 루비 패턴을 기반으로 만들었다.
3.1.9. European Express (Lv 9)
- 부제 : Eurobeat Sounds Collection
3.1.10. The Bizarre Scratcher (Lv 9)
- 부제 : Scratcher's Inversion
3.1.11. DISTORTION volume : 10 (Lv 10)
- 부제 : while my guitar sweeps
3.1.12. Retro-Respect-Revisited (Lv 10)
- 부제 : Redesigned Routine
3.1.13. Earache Sphere (Lv 11)
- 부제 : Earache Squadron VS Static Sphere
3.1.14. Pyrexia (Lv 14)
- 부제 : Incurable Disease
3.1.15. Alternative Expression (Lv 15)
- 부제 : The Another Way to show your emotion
3.1.16. Decadance (Lv 15)
- 부제 : Definition of Corrupt
3.1.17. Remix Station (Lv ?)
- 부제 : Special Remixed Sounds
3.1.18. Abscondence (Lv 16)
- 부제 : Leaving All Behind
EZ2DJ AE 5키 라디오에서의 보스채널. AE 당시에는 2스테이지가 Taillight Phantom, 4스테이지가 Morgenglut 2012였으나 EZ2DJ AEIC에서는 서로 순서가 바뀌었다.
1스테이지는 패턴 구조는 SHD와 같으나 중반의 롱노트 구간에서 스크래치가 추가되고 후반부 롱노트 구간 전의 폭타가 강화되었다.
2스테이지의 Morgenglut 2012는 BPM이 95인 구간 초반에 롱노트를 제외한 스크래치가 없어지고 BPM이 빨라지는 구간에서의 스크래치가 대부분 노트로 옮겨졌다. 그 외에는 HD 패턴과 동일. 하지만 스크래치가 키로 옯겨간 거 때문에 스크래치 잘 못돌리는 사람들에겐 더 쉽게 느껴진다.
3스테이지의 The Ashtray는 쉬는구간을 제외하고 2겹폭타가 끝없이 나오며 사이사이에 짤막한 롱노트와 연타가 나온다. 후반부에는 일자연타가 3초동안 나오는 등 여러모로 까다로운 배치.
4스테이지의 Taillight Phantom는 기존 SHD 패턴에서 Fire Storm SHD와 같은 후살곡으로 강화되었다. 키미러 옵션을 걸면 클리어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3.2. 기존 채널
3.2.1. Digital Reality (Lv 9)
3.2.2. NF Special (Lv 11)
3.2.3. Supreme Collection (Lv 10)
3.2.4. Grotesque (Lv 14)
3.2.5. Hard Beat Underground (Lv 9)
3.2.6. Techno Trance Terminal (Lv 13)
등장 당시의 난이도인 13으로 상향되었다.
3.2.7. 12+ (Lv 14)
3.2.8. SRS(●) (Lv 12)
AEIC 라디오에 수록된 SRS 채널은 6th 제품판의 SRS 채널이 아닌 비공식 패치인 1.3 버전의 SRS 채널이다. 채보가 6th 제품판과는 다르다.
3.2.9. OTL (Lv 14)
제로아이즈는 초반에 스크래치가 조금 추가된 것을 빼면 SHD와 큰 차이점이 없다.
3.2.10. Ch.ASF (Lv ?)
플레이 영상
3스테이지 SE 찬가는 글자노트의 밀도가 낮아져서 클리어가 훨씬 수월해졌다.
3.2.11. yak_won (Lv 10)
3.2.12. Violet (Lv 16)
3.2.13. The 1st Tracks (Lv 6)
5에서 6으로 상향되었다.
3.2.14. AYA (Lv 10)
3.2.15. RMX2D (Lv 11)
10에서 11로 상향되었다.
3.2.16. ohcodus (Lv 15)
14에서 15로 상향되었다.
3.2.17. Remembrance (Lv ?)
3.2.18. ARIXID (Lv ?)
3.2.19. Termination (Lv 16)
난이도 16으로 책정되었다. BErA시절의 보스 채널. AE에서 Soul Destructor가 삭제되어 Messier 333으로 변경되었다.
EZ2AC TT에서 Soul Destructor가 부활하여 채널 부활을 기대할 만 했으나 이미 이전에 EZ2AC EC에서 Finite가 라이센스 문제로 미수록되어 더 이상은 부활할 가능성이 거의 없는 채널이 되어버렸다.
3.3. 랜덤 채널
SUPER HARD RANDOM 채널은 본작에서 삭제되었다.
3.3.1. RANDOM (Lv ?)
- 부제 : Ez2Dj NORMAL RANDOM CHANNEL
3.3.2. HARD RANDOM (Lv ?)
- 부제 : Ez2Dj HARD RANDOM CHANNEL
3.3.3. znpfg (Lv ?)
- 부제 : Ez2Dj 7th TraX Special Pattern Selection
3.4. 1차 히든 채널
3.4.1. Doomsday Broadcast
3.4.2. Nervous Breakdown (Lv 17)
- 부제 : The Most Powerful Compilation
Zeroize는 SHD, Messier 333은 론도 패턴[1] , 神威은 Violet을 변형한 패턴, 리턴투는 SHD/Termination 패턴이다. 이렇게 놔두어도 충분히 무서운 채널이었지만, 전부 기존 콘텐츠이고 이 정도 난이도에 도전할 유저라면 이미 질릴 대로 팠던 패턴들이라 큰 위압감을 주지는 못했다.
여담으로 이 채널은 차기작에서 무시무시한 개편을 하게 된다. EZ2AC EC/라디오채널을 참고.
3.5. 2차 히든 채널
3.5.1. Mutant (Lv ?)
- 부제 : Extraordinary Pattern Selection
3.5.2. Total Mayhem
플레이영상
EZ2DJ AEIC 5키 라디오에서의 보스채널.
1스테이지의 AXIS는 5스트릿 HD에 비해 많이 강화되었다. 초반부에는 The Luna HD에서의 따닥이가 나오고 중반부에는 강화된 2겹노트 폭타와 사이사이에 연타가 나오며 후반부에는 변칙적인 스크래치가 나오는등 여러모로 까다롭다. 스크롤 속도가 12.5% 느리게 보정되어있다.
2스테이지의 Nachthenxen은 폭타가 강화되고 사이사이에 자잘한 롱노트, 연타, 스크래치가 많아졌다.
3스테이지의 Morgenglut 2012는 BPM이 95인 구간의 중반까지는 5스트릿 HD에서 노트가 약간 늘어난 정도이나 후반부터는 2겹노트 폭타가 나오며 곡의 최후반에는 1/8박 폭타가 7초동안 튀어나오며 빠른 BPM과 스크래치 동반으로 상당히 어렵다. 사실상 이 채널 클리어의 난관.
4스테이지의 Crisp는 페달,스크래치 부분은 Lucid SHD, 키 부분은 La Grand Bleu SHD인 곡이다. 롱노트 사이에 폭타를 못치면 어려워 질 수도 있다.
4. 7Radio Mix
4.1. 신규 채널
4.1.1. HoR(Lv 7)
- 부제 : Hysteric of Rhythm
4.1.2. Theater AE (Lv 9)
- 부제 : VJ Strikes Back!
4.1.3. zest : rave (Lv 9)
- 부제 : Delicious Sound Compilation
4.1.4. PEENA (Lv 11)
- 부제 : realize the dream
4.1.5. VAi (Lv 11)
- 부제 : Pattern Designer's Collection
4.1.6. Lucian (Lv 11)
- 부제 : Tester's Choice
4.1.7. Kurskaya from RUSSIA (Lv 12)
- 부제 : Thrill ADDICT
4.1.8. Static Sphere (Lv 12)
- 부제 : Musician's Collection
4.1.9. From Far East (Lv 12)
- 부제 : Tunes From Oversea
4.1.10. Seibin X SpringHead (Lv 12)
- 부제 : Musician's Alliance
4.1.11. Flow.D (Lv 12)
- 부제 : Motion Graphic Designer
4.1.12. studio PSYCLOID (Lv 12)
- 부제 : Insane Quartet
4.1.13. Lotze (Lv 13)
- 부제 : Musician's Collection
4.1.14. wr8ng q: (Lv 13)
- 부제 : Question Yourself
4.1.15. passion and warfare (Lv 14)
- 부제 : Answer
4.1.16. Remix Station (Lv ?)
- 부제 : Special Remixed Sounds
4.1.17. Abscondence (Lv 16)
- 부제 : Leaving All Behind
4.2. 기존 채널
4.2.1. R&B Primer (Lv 4)
4.2.2. POP PiE (Lv 4)
4.2.3. FUTURE SOUNDS (Lv 6)
4.2.4. TECHNO REVOLUTION (Lv 6)
4.2.5. MARIO BOLDEN Collection (Lv 6)
4.2.6. Ruby Tuesday Collection (Lv 5)
4.2.7. d.j. KANN (Lv 6)
4.2.8. DJ TOMATO (Lv 6)
4.2.9. D.J. IBARAD (Lv 6)
4.2.10. Creatune Collection (Lv 6)
4.2.11. EZZ (Lv 6)
4.2.12. DJ Kentauji (Lv 7)
4.2.13. K&S's (Lv 7)
4.2.14. DJ. ponGlow (Lv 8)
4.2.15. Ruby Tuesday (Lv 8)
4.2.16. Andy Lee (Lv 8)
4.2.17. Mario Bolden (Lv 8)
4.2.18. xxdbxx (Lv 8)
4.2.19. Croove (Lv 10)
4.2.20. Ache (Lv 7)
4.2.21. FEXD (Lv 8)
4.2.22. Lassoft (Lv 10)
4.2.23. Airborn (Lv 8)
4.2.24. ponGlow (Lv 11)
4.2.25. Kentauji (Lv 11)
4.2.26. Ominan (Lv 12)
4.2.27. Imp17 (Lv 7)
4.2.28. Necobus (Lv 8)
4.2.29. Andy Lee (Lv 9)
4.2.30. Lassoft (Lv 7)
4.2.31. Croove (Lv 9)
4.2.32. FE (Lv 10)
4.2.33. Airborn (Lv 9)
4.2.34. Ponglow (Lv 12)
4.2.35. Dizzy (Lv 11)
4.2.36. 光 (Lv 7)
4.2.37. Minan (Lv 13)
4.2.38. VJ. Shukei (Lv 5)
4.2.39. VJ. S.R. (Lv 6)
4.2.40. DJ. FE (Lv 7)
4.2.41. VJ. Imp17 (Lv 10)
4.2.42. VJ. Necobus (Lv 12)
4.2.43. VJ. Kkashi (Lv 9)
4.2.44. DJ. forte escape (Lv 12)
4.2.45. Minan (Lv 14)
4.2.46. SRS(●) (Lv 12)
4.2.47. OTL (Lv 14)
4.2.48. yak_won (Lv 10)
4.2.49. Exercise (Lv 9)
7th 2.0 당시의 난이도인 9로 하향되었다.
4.2.50. Sound Addict (Lv 13)
4.2.51. Redemption (Lv 15)
4.2.52. PPET (Lv 13)
4.2.53. sjhdeux (Lv ?)
4.2.54. World atom-o-sphere (Lv 14)
4.2.55. Violet (Lv 16)
4.2.56. VAi.2 (Lv 6)
4.2.57. 乙 (Lv 9)
4.3. 1차 히든 채널
4.3.1. yak_won (Lv 13)
- 부제 : Musical Pharmacy
AE당시에는 Don't Say Anything HD - Sinus - Secret Heart ovERAst - Lucid D - Intuition 순으로 구성이 완전히 달랐다.
또한 기존 패턴을 대부분 재활용한 채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롱노트 콤보 적용이 안 되고 청취율도 굉장히 짜게 올라가서 클리어가 어려운 채널이었다. 그래서인지 당시에는 레벨이 15로 책정.
AEIC에서는 모든 패턴이 쉽게 교체되고 난이도가 13으로 하향되었다. AE 당시의 마지막 스테이지곡인 Intuition의 패턴은 AEIC 채널 Total Mayhem의 2번째 스테이지로 옮겨갔다.
4.3.2. Vilkas
- AE 버전.
- AEIC 버전.
AE에서 AXIS는 인컴판의 엑스트라 스테이지 곡이었으며 AE 당시에는 5키 Mutant 채널과 이 채널에서만 플레이가 가능했다.
AEIC에서 곡 구성이 일부 변경되고 레벨이 13으로 상향. 마지막 스테이지에는 AEIC의 신곡인 Sewing Machine이 들어갔는데, 이 곡은 AXIS와는 달리 후속작에서 정식 곡으로 등장하지 않고 삭제되었다. 그리고 첫 스테이지 Minus 1 ~Space Mix~의 경우 중반부에 알게 모르게 키음 에디트가 되어 있다.
4.3.3. Doomsday Broadcast
4.4. 2차 히든 채널
4.4.1. water-flame
- AE 버전.
- AEIC 버전.
청취율 장난의 극한에 다다른 채널로 요구 청취율이 4.2 - 3.4 - 2.8 - 1.4이고 그 대신 퍼센트가 매우 안 오른다. 기존 채널은 목표 청취율까지 올리는 것이 목적인 것에 비해, 이 채널은 요구 청취율을 방어해야 하는 식으로 끝까지 버텨내야 한다.
AEIC에서는 2스테이지, 마지막 스테이지의 곡이 바뀌었는데 이 과정에서 설정이 잘못되었는지 2스테이지까지 모든 노트를 KOOL로 쳐도 요구 청취율을 절대 넘길 수가 없다. '''결국에는 절대 클리어가 불가능.'''
후일 water-flame이 이 코스에 대해 발언하기를, 발매 전 테스트에서는 정상적으로 클리어가 가능했지만 발매 당일 새벽에 Frozen Eyes의 채보가 바뀌는 예상치 못한 사안이 발생했다고 한다. 이를 미처 확인하지 못하고 발매하는 바람에 이런 일이 생긴 듯. 본 채널 특성 상 노트수에 맞춰 청취율 증가 수치를 타이트하게 조절했을 것인데, 때문에 채보가 바뀐 것이 곧 클리어 불가능 오류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4.4.2. Total Mayhem
AEIC에서의 최종 보스 채널. AE 당시 yak_won채널의 4스테이지에 쓰이던 Intuition 패턴이 2스테이지로 옮겨져 왔다.
[1] 음악 길이는 AEIC버젼과 같이 줄였다. 아무래도 BERA의 메시어에서 자른 부분만 자르고 나머지는 놔둔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