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스트 리콘 브레이크포인트/총기
1. 개요
2. 돌격소총(AR)
2.2.1. G36 SCOUT
2.3.1. 553 Scout
2.4. 516
2.6.1. SC-40K
2.11.1. AK47 Assault (☆)
2.15.1. A2 Shorty (☆)
2.16.1. Silver Stake Tactical
3. 경기관총(LMG)
4. 기관단총(SMG)
5. 산탄총(SG)
5.4.1. RU12SG Assault (☆)
6. 저격소총(SR)
7. 지정사수 소총(DMR)
7.2.1. G28 SCOUT
8. 권총(HG)
9. 발사기(GRL)
10. 커스텀 악세서리
1. 개요
게임 고스트 리콘 브레이크포인트에 등장하는 총기류를 소개하는 문서.
개조대신 다양한 무기 바리에이션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이 기능 덕분에 고스트 리콘 와일드랜드에 있었던 총열, 개머리판, 방아쇠 커스터마이징이 본 작에서 삭제되었다. 대신 도색은 전작과 동일하게 가능하다. 와랜에서는 총열확장으로 총이 우스꽝스럽게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등 개조에 비해서 외관상 보기 불편한 점도 있었고 굳이 기동성 살리자고 대부분이 디버프인 짧은 총열을 선택하는것보다 기동성 하나 버리고 긴 총열의 버프를 선택하는게 거의 이득이였으니 다양한 개조폭을 자랑한다 하더라도 다른 바리에이션의 메리트가 적었다 그점을 개선한듯 하다. 또한 종류도 부족하고 증가 폭도 거의 없는 개머리판 개조나 연사셀렉터의 인기로 인해 굳이 다른 방아쇠를 고를 이유가 없었던 등 이러한 이유로 개머리판과 방아쇠선택도 바리에이션 개조로 통합된듯 하다. 어이가 없는 점이 거의 모든 총기들의 고유한 아이언사이트가 구현되지 않고 동일하게 생겼다.
총기커스터마이징 부품들은 전작에서 전부 찾아다녀야했지만 탄창도 전작의 확장탄창이 기본탄창으로 변경되고 유탄발사기를 포함해서 하단부착물과 조준경은 마리아의 상점에서 싼값에 팔고 있다. 총구부품처럼 필드에서 얻어야할 부품이 없는것은 아니지만 소음기의 활용성도 그렇고 레일악세사리도 한번 얻으면 다양한 무기에 부착할수 있으니 그리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권총류의 확장탄창이 현재 없다. 사실 손볼 부품이 본래 별로 없었던 총기이기도 하지만 전작처럼 20~30발의 많은 탄창을 활용하는건 불가능이니 참조하자.
총기별로 등급이 있다. 표준(무색) > 중급(녹색) > 고급(파란색) > 최고급(보라색) > 정예(노란색) 순이며 여러가지 부가 스탯이 붙는다. 또한 무기를 분해하여 얻은 부품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총기 레벨에 따라서 총기의 스펙은 전혀 차이가 나지 않는다[1]
바리에이션 설계도는 클래스 등급보상, 전투보급 보상, 서브미션 클리어 보상 등 다양한 방법으로 습득할수 있다. 원본총기와는 달리 따로 설계도를 얻어야한다.
한가지 불편한 점으론 본작에선 무기의 종류에 따라가 아닌 탄환에 따라 실제 소지 탄약수가 바뀌기 때문에 주무장과 부무장의 사용 탄종이 같다면 남은 탄약을 공유한다. 이때문에 Vector처럼 탄약먹는 하마같은 총을 같은 탄종을 쓰는 권총과 같이쓰면 권총탄이 남아돌지를 않는다. 물론 총기자체는 많아서 탄종별로 분류해놓고 주무장과 부무장의 사용탄종 중복을 상쇄할수 있지만 그래도 아쉬운부분. 거기다 실제총기의 사용탄약과도 맞지않는 고증상의 오류도 덤으로 붙어온다.
※ 도색이 불가능한 시그니처 총기는 개별 표기.
ASSAULT : 공격력이나 연사력이 증가하거나 하단레일이 달려 하단 부착물 장착이 가능해지는 종류로 이름처럼 돌격과 전면전에 특화되어있다. 타이틀 2.1.0 건스미스 업데이트로 소음기 장착이 가능해졌다.
TACTICAL : 연사기능을 없애고 점사와 단발만을 추가한 버젼으로 근접보단 중거리와 빠른 조준사격에 특화되어 있다. 워커의 ACR이 대표적으로 SCOUT바리에이션 만큼 사거리가 크게 늘어나는것은 아니지만 중거리 명중률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다. MPX나 Evo.3같은 기관단총류에도 존재하며 자체 소음기가 부착되어 대미지 감소 없이 사용가능한 무장들도 있다.
SHORTY/COMPACT/CQC : 416과 MK.48에 해당 바리에이션이 있으며 중거리 명중률과 사거리를 줄이고 기동성을 개선하여 근접전에 특화된 바리에이션이다. 416의 경우 유탄을 부착할수 없지만 하단 부착물 몇개는 기관단총과 공유하며 훌륭한 근접전용 돌격소총으로 재탄생할 수 있다. MK.48도 마찬가지로 기관총의 낮은 조준속도와 기동성을 어느정도 상쇄하고 쓰기 좋다. 특히 SCORPION EVO 3 CQC는 손잡이와 머즐 브레이크를 조합하면 거의 레이저건 수준의 극저반동을 보여준다.
SCOUT : 지정사수 소총처럼 중거리 명중률과 사거리를 증가한 바리에이션으로 저격소총인 Scorpio도 있고 돌격소총인 AK-74도 해당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돌격소총에 이 수식어가 붙은 총기류는 저격총에서 사용하는 부착물(고배율 조준경, 하단레일 양각대 등)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름처럼 정찰과 병행하여 지정사수 소총처럼 쓰기 좋다.
고스트 리콘 브레이크포인트 무기류 위키에서 바리에이션 총기들의 실모델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 레이드 컨텐츠에서만 총기/설계도를 획득 가능한 무기는 ☆표시.
여담으로 총기의 조정간 소리가 같은 게임사의 게임 오퍼레이터인 벅의 C8-SFW의 소총 재장전 소리와 동일하다.3.0.0 패치로 개머리판 교체, 하부총열의 부착물 제한 해제, 총기류 추가 등 많은 변화가 있을 예정이다.
3.1.0 패치에서 추가되는 총기들은 다음과 같다.
4-AC
Bailiff 410
G2
K1A
L85A2
M509A1
OTS-03
2. 돌격소총(AR)
>돌격 소총은 모든 면에서 우수하지만 전문적인 특화가 부족합니다.
근거리부터 중거리, 5배율 스코프를 지원하는 총기에 따라서는 원거리 저격까지도 사용이 가능한 다재다능한 화기로 분류된다. 일부 돌격소총 기반 스카웃 커스텀 총기류는 아예 분류자체가 "지정사수소총"으로 옮겨가며 사거리가 늘어나고, 어설트 커스텀 총기류는 대미지가 늘어나는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 돌격소총의 적정 교전 범위는 100~300m 이내이며, 지원하는 조준경의 배율이 하향 되었으므로 300~400m 이상의 교전에는 지정사수소총이나 저격총이 우위를 점한다.
근거리부터 중거리, 5배율 스코프를 지원하는 총기에 따라서는 원거리 저격까지도 사용이 가능한 다재다능한 화기로 분류된다. 일부 돌격소총 기반 스카웃 커스텀 총기류는 아예 분류자체가 "지정사수소총"으로 옮겨가며 사거리가 늘어나고, 어설트 커스텀 총기류는 대미지가 늘어나는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 돌격소총의 적정 교전 범위는 100~300m 이내이며, 지원하는 조준경의 배율이 하향 되었으므로 300~400m 이상의 교전에는 지정사수소총이나 저격총이 우위를 점한다.
2.1. 416
프랑스군 제식 모델인 HK416F-S 버전으로, A5 모델과 구형 모델의 요소가 섞여있다. 오픈 베타에서는 제일 처음 받는 기본 무기 포지션으로 복귀했지만, 정식 출시에서는 가장 처음 얻는 무기상자에서 516, 553 등 다양하게 나온다.
개조 옵션이 M4A1과 동일한 수준으로 넓은 건 좋은데, 발당 공격력도 비슷하면서 연사 속도는 416이 약간 열세다. 대신 설계도 입수 난이도가 비교적 낮다는 장점은 있다.
만약 플레이어가 전작 고스트 리콘 와일드랜드에서 레인보우 식스 시즈 콜라보레이션 이벤트 미션 "작전명 : 대천사"를 클리어한 경력이 있다면 에레혼에서 홀트와 대화하고서 블랙 아이스라는 특별 시그니처 무기를 얻을 수 있다. 성능은 일반 416과 같지만 업그레이드 부품을 따로 먹는다는 점과 일반 416은 가능한 개머리판 변경을 블랙 아이스는 불가능하단 점을 유의. 그리고 도색을 바꾸진 못하지만 벗겨지거나 꼬질꼬질해지지도 않는다.
개조 옵션이 M4A1과 동일한 수준으로 넓은 건 좋은데, 발당 공격력도 비슷하면서 연사 속도는 416이 약간 열세다. 대신 설계도 입수 난이도가 비교적 낮다는 장점은 있다.
만약 플레이어가 전작 고스트 리콘 와일드랜드에서 레인보우 식스 시즈 콜라보레이션 이벤트 미션 "작전명 : 대천사"를 클리어한 경력이 있다면 에레혼에서 홀트와 대화하고서 블랙 아이스라는 특별 시그니처 무기를 얻을 수 있다. 성능은 일반 416과 같지만 업그레이드 부품을 따로 먹는다는 점과 일반 416은 가능한 개머리판 변경을 블랙 아이스는 불가능하단 점을 유의. 그리고 도색을 바꾸진 못하지만 벗겨지거나 꼬질꼬질해지지도 않는다.
2.1.1. 416 Shorty
티어 달성 보상.
모델은 Hera Arms CQR 버전이다.
3.0.0 업데이트 이후인 현재는 마리아의 상점에서 15,000 스켈 크레딧으로 설계도를 구할 수 있다.
2.1.2. 416 Assault Special
티어 업 보상.
총신을 길게 연장하여 반동과 핸들링을 희생한 대신, 사거리와 대미지를 강화한 버전. 반동과 조작성이 줄어 든 건 막상 써보면 그리 크지 않아 굳이 돌격소총으로 250미터 이상 거리의 적을 쏘려고 드는 게 아니라면 감당할 만 하지만 조금 느린 듯한 연사속도가 여전해 무인기 및 터미네이터가 상대라면 여전히 화력 부족이 느껴질 수도 있다. 3.0.0 업데이트 이후인 현재는 마리아 상점에서 15,000 스켈 크레딧으로 설계도를 살 수 있다.
2.1.3. 416 Scout
필드 메딕 클래스 레벨 10 달성 보상.
LVOA의 핸드가드를 장착한 버전이다.
2.2. G36C
게임 내 명칭은 G36C인데 인게임 모델은 G36K이다. 성능이 전작 와일드랜드와 비슷해서 그럭저럭 쓸만하다. 하지만 공격력이 낮아 드론 처치 및 레이드에서는 다른 총들에게 밀린다.
2.2.1. G36 SCOUT
U PLAY 클럽 보상.
극초반은 유용하지만, 대미지가 브레이크 포인트 총기 중 제일 낮기 때문에 제압, 저지, 살상력이 전부 최하위권이다.
외형은 Heckler & Koch SL8-1와 KV-TYPE 벗스톡을 결합한 모습이다.
고스트 체험 설정에서 장비 및 무기 레벨 설정을 꺼놓고 플레이한다면 지상 무인기들과 아즈라엘 빼고는 울브즈를 포함해 전부 그럭저럭 잘 잡는데다 5.56 탄을 쓰는 총이라 점사 기능이 있고나 단발이라도 연사 속도가 제법 나오는 중장거리 무기를 쓰려는데 자기 주력 무기의 탄종이 7.62인 상황이라면 탄약 관리에도 괜찮으며, 마크3 업그레이드까지 하면 대 드론 공격력이 올라가기 때문에 지상 무인기 상대하는데도 꽤 괜찮아진다.
2.3. 553
클로즈 베타 때는 HK416과 나란히 극초반 기본 무기 포지션을 가졌던 적이 있었는데, 오픈 베타에서부터는 416한테 기본무기 자리를 완전히 뺏긴 듯 하다. 그리고 정식 출시 이후인 지금은 516과 함께 나란히 기본무기 포지션을 차지해 무작위로 하나가 나오게 됐다.
416과 비교하자면 설명대로 사거리는 약간 짧지만 큰 차이가 나는 건 아니고, 피해량과 관통력이 416보단 나아서 장비 레벨 차이가 벌어져도 어느 정도는 그럭저럭 잘 싸울 수 있으며 개조 옵션도 풍부해 주력 무기로도 손색은 없지만 센티넬 병사들을 쓰러뜨리면 은근 자주 보이는 총기인데도 설계도 얻기가 조금 어려운데, 베히모스 방어 지역을 털어야 한다.
416과 비교하자면 설명대로 사거리는 약간 짧지만 큰 차이가 나는 건 아니고, 피해량과 관통력이 416보단 나아서 장비 레벨 차이가 벌어져도 어느 정도는 그럭저럭 잘 싸울 수 있으며 개조 옵션도 풍부해 주력 무기로도 손색은 없지만 센티넬 병사들을 쓰러뜨리면 은근 자주 보이는 총기인데도 설계도 얻기가 조금 어려운데, 베히모스 방어 지역을 털어야 한다.
2.3.1. 553 Scout
모델은 SG550 DMR.
개조가 없으면 그저 무난할 뿐인 성능이지만, 총신 아래에 붙이는 부착물들을 찾아다가 달아주고 MAWL-DA까지 달아주면 G36C Scout의 상위 호환 격 무기가 된다. 부착 가능한 부품의 가짓수가 많기 때문에 중거리 점사형 준 돌격소총이나 작정하고 원거리 세팅을 맞추거나 다 해먹는 게 가능.
3.0.0 업데이트 이후인 지금은 마리아의 상점에서 15,000 스켈 크레딧으로 설계도를 얻을 수 있다.
2.4. 516
총기 원본 모델은 SIG 516
애꿎은 화풀이 부가임무 클리어 보상으로, 총 자체는 극초반 독수리의 추락 1부에서도 얻을 수는 있다.
브레이크포인트에서 노매드의 마스코트 포지션으로 트레일러나 일러스트 설정에서 사용된 모델이다.
하단에 후술된 805 BREN과 마찬가지로 평균적인 총기스팩을 가지고 있어 초보가 사용하기 무난하며, 아예 주력 무기로 끝까지 밀어붙여도 좋은 총기이다.
애꿎은 화풀이 부가임무 클리어 보상으로, 총 자체는 극초반 독수리의 추락 1부에서도 얻을 수는 있다.
브레이크포인트에서 노매드의 마스코트 포지션으로 트레일러나 일러스트 설정에서 사용된 모델이다.
하단에 후술된 805 BREN과 마찬가지로 평균적인 총기스팩을 가지고 있어 초보가 사용하기 무난하며, 아예 주력 무기로 끝까지 밀어붙여도 좋은 총기이다.
2.4.1. Koblin (☆)
>노매드 하면 떠오르는 돌격소총입니다. 정확도와 조준속도가 매우 우수합니다.
516 기반에 7.62mm 탄을 사용하는 소총으로 레이드 컨텐츠인 타이탄 프로젝트에서 타이탄 오메가 보스 가고일을 죽이거나 스켈 테크놀러지 검은 색 상자를 열면 얻을 수 있는 소총이다. 시그니처 무기로 드론 대상 피해 30% 증가의 단일옵션을 가진다.[2]반동이 크지 않고 탄퍼짐이 적은데다가 연사속도도 빨라서 UAV, UGV, 베헤모스 등 대드론 상대로도 절륜한 성능을 보여주지만, 총신이 짧아 탄 낙하가 빨리 시작되어 중장거리에선 위력이 감소한다.
확장탄창 이용이 불가능하고 정예 등급 무기가 12% 대 드론 피해 증가 옵션을 가진 것에 비하면 옵션도 단일 옵션으로 애매한 편이였으나 확장탄창이 이용가능해지고 드론 대상 피해가 30%로 증가하는 상향 이후로는 레이드의 보스들을 제외한 드론 상대로는 채용할 만한 가치는 있다. [3] 게머리판 스톡과 총신 하부 장비 장착이 불가능 했으나 패치로 장착이 가능해졌다.
여담으로 최초 게임플레이 시연영상에서 노매드가 무장하고 있던 총이 이것이다. 인 게임에선 탄창 리시버 앞부분에 해골 모양의 각인이 새겨져 있다.
2.4.2. 516 Shorty
전투보상 에피소드 2 랜덤 박스에서 얻을 수 있었으나 보상 오류 보상으로 무상 제공되는 소총이다. 3.0.0 업데이트 이후인 지금은 마리아의 상점에서 15,000 스켈 크레딧으로 설계도 구매 가능.
전체적으로 516에서 총신을 짧게 줄여 근접전에 특화된 버전.
2.5. Mk.17
여전히 강력한 전투소총. 전작 와일드랜드보다 조작성이 조금 상승한 대신 사거리가 약간 줄었다. 대신 30발이 기본탄창이고 확장탄창까지 달리기 때문에 화력은 보장해주고, 아예 돌격소총 버전이 따로 있다. 여담으로, 다른 소총들보다 조준기가 좀 더 뒤로 당겨져 있어 조준 했을때 조준기가 커보인다. 다른 AR을 쓰다 이 총을 쓰면 괴리감이 느껴질 정도. 때로는 장점이 되기도 하는데, 엘칸 스펙터 디지털 조준기로도 300미터를 넘나드는 거리를 저격하기 아주 쉽게 만들어준다.
플레이어가 전작 고스트 리콘 와일드랜드에서 퓨쳐 솔저 콜라보레이션 이벤트 미션인 "작전명 : 침묵의 스페이드"를 클리어한 경력이 있다면 에레혼에서 홀트와 대화한 후, MK17 GRFS 시그니처 무기를 얻을 수 있다. 시그니처 무기라 때 안 타고 업글 부품 따로 먹는 점을 유의해야 하지만 잘 하면 초반부터 얻을 수 있는 무기라는 특성이 장점이다. 하지만 일반 MK17과는 달리 개머리판 변경을 가하지는 못한다는 게 약점.
플레이어가 전작 고스트 리콘 와일드랜드에서 퓨쳐 솔저 콜라보레이션 이벤트 미션인 "작전명 : 침묵의 스페이드"를 클리어한 경력이 있다면 에레혼에서 홀트와 대화한 후, MK17 GRFS 시그니처 무기를 얻을 수 있다. 시그니처 무기라 때 안 타고 업글 부품 따로 먹는 점을 유의해야 하지만 잘 하면 초반부터 얻을 수 있는 무기라는 특성이 장점이다. 하지만 일반 MK17과는 달리 개머리판 변경을 가하지는 못한다는 게 약점.
사족으로, 클로즈 베타와 오픈 베타 시절에는 디지털 조준기의 줌인 기능이 없어 쓰기 좀 어려웠다.
2.5.1. Mk.17 Assault
총신을 길게 연장하여 돌격에 특화된 버전.
소음기를 달지 못했으나 3.0.0 업데이트 이후 가능해져서 현재(3.0.3)에는 일반 마크 17 소총보다 한방 공격력이 더 세졌다는 장점을 더 유연하게 써먹을 수 있게 됐다.
마리아의 상점에서 15,000 스켈 크레딧으로 설계도를 얻을 수 있다.
2.5.2. Mk.17 Shorty (☆)
FN SCAR-SC의 외형을 한 Mk 17의 쇼티버전.
총몸 길이가 짧아져서 교전 거리가 210미터를 넘어가면 쓰기 어려워지고 공격력도 낮아졌지만 짧은 총몸 특유의 낮아진 수직 반동을 믿고 개머리판을 바꿔주고 전방 손잡이도 잘 달아주면 신묘한 명중률을 자랑할 수도 있게 된다.
골렘 섬의 섹터 03에서 설계도를 얻을 수 있다.
여담으로, 레이드 타이탄 프로젝트 위협:중대 모드로 타이탄 오메가 보스 가고일을 죽이면 MK.17/Gargoyles 시그니처 무기+설계도를 드랍한다.
2.5.3. Mk.17 Scout
지정사수소총 버전.
완전자동 연사가 불가능해지고 조정간에 단발과 3점사만 있는데다 유탄발사기도 못 쓰지만, 양각대와 배율 있는 조준경들이 생겨 작정하고 저격질 하기엔 좋아졌다. 하지만 개머리판 변경이 불가능해 원판보단 개조 옵션이 좀 적은 편에, 5.56mm 탄 쓰는 장거리 총이 얼마 없어 지정사수 파생형이 나와도 경쟁력이 나름 있는 다른 돌격소총들과는 달리, 같은 7.62mm 탄종을 사용하는 중장거리 소총이 많기도 해서 이 녀석만큼은 경쟁력이 은근 떨어지는 편이기도 하다. 그나마 경쟁력 있는 요소라면 3점사의 연사속도가 동급 다른 총들에 비헤 빠르다는 장점은 있다.
2.6. SC-20K
대미지와 연사력이 우수하고 탄속도 훌륭하지만 하부 레일 부착물을 장착할 수 없는게 조금 흠이며, 5배율 스코프를 달 수 있고 소총 중에서 DPS가 가장 높은 총이다.
타 총기들의 택티컬 바리에이션이 존재하는 만큼 추후에 하부 레일 부착물 장착 가능한 버전인 택티컬 버젼도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2.6.1. SC-40K
에셜론 업데이트 이후 마리아 상점에서 설계도를 구입할 수 있는 총기로, 기본스펙이 SC-20K와 거의 동일하지만 반동이 꽤 잡혀있는데다 하부 레일도 생겨서 돌격소총 주무장으로도 사용하기 좋다.
차별화 요소인지 아쉽게도 5배율 스코프는 달 수 없다.
2.7. M4A1
전작 와일드랜드보다 연사 속도는 줄었지만 그만큼 한발당 공격력이 강해졌다.
레일 옆면과 아랫면에 달 수 있는 물건의 가짓수가 많고, 개머리판도 다른 것을 달 수 있다. 그런데 설계도를 얻으려면 베히모스 방어 지역을 돌파해야 한다.
레일 옆면과 아랫면에 달 수 있는 물건의 가짓수가 많고, 개머리판도 다른 것을 달 수 있다. 그런데 설계도를 얻으려면 베히모스 방어 지역을 돌파해야 한다.
2.7.1. M4A1 Tactical
티어 업 보상물.
외형은 NDAD SURG 8.
단발 및 3점사만 가능한 소음기 기본 장착형 스텔스 특화 버전.
소음기 기본 장착인 만큼 소음기 장착 패널티가 없어 은신 플레이에 특화된 총이다. 컨셉이 정확도 높은 AR인 만큼 유탄발사기를 달 수 없는 대신 양각대와 ACSS 조준기를 달 수 있으며 탄도가 곧다. 공격력은 원판과 같은 25임에도 불구하고 전자동 발사를 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난전중 화력이 필요할때는 점사 광클을 해야 하는데 반동이 꽤 있는편이라 사용하기 불편하다. 정리하면 탄도가 곧기 때문에 은신중에 빗맞힐 확률이 적고 은신 추가 대미지 덕분에 단점이 어느정도 가려지지만 난전시에는 전자동 사격이 불가능하고 유탄발사기를 사용 할 수 없기 때문에 발각 된 이후에는 힘이 많이 빠진다.
3.0.0 업데이트 이후인 지금은 마리아의 상점에서 15,000 스켈 크레딧을 주고 설계도를 살 수 있다.
2.7.2. M4A1 Assault
외형은 M4A1 Block II.
택티컬 버전과 마찬가지로 마리아의 상점에서 15,000 스켈 크레딧으로 설계도를 살 수 있다.
원판 M4A1에 비해 반동이 약간 세진 만큼 피해량이 5 높아 화력이 더 강해졌다. 하지만 50발 탄창 까지만 달 수 있기 때문에 순간 화력은 M4A1보다 높을지 몰라도 지속 화력은 떨어지니 취향껏 선택하면 된다. M4A1의 100발 탄창이 너무 보기 흉하다면 좋은 대체제가 될 수 있다.
2.7.3. M4A1 CQC
10.5인치 총열을 장착한 짧은 버전의 M4A1으로 마리아의 상점에서 15000 스켈 크레딧으로 설계도를 살 수 있다.
줌 배율이 원본에 비해 줄고, 탄도가 약간 나빠졌다. 하지만 기동성이 높아져서 지향사격 및 조준속도가 아주 약간 빨라지고 반동이 즐어 명중률은 올랐다. G33 플립사이트를 사용 할 수 없지만 디지털 조준경은 여전히 사용 할 수 있으며 유탄발사기 장착도 가능해 큰 단점은 없으나 100발 탄창을 사용 할 수 없다.
2.7.4. M4A1 Scout
2.8. TAVOR
전작 와일드랜드에서 보여준 돌격소총의 모습은 클로즈 베타에서도 약간 남아있긴 하지만, 소음기를 써도 총성이 꽤 크다.
2.8.1. TAVOR Assault (☆)
레이드 컨텐츠인 골렘 섬 습격에서만 얻을 수 있던 총. G36C의 불펍 버전처럼 생겼다.
안그래도 성능 좋은 타보르의 발 당 공격력을 올려놓아 얻기만 한다면 굉장히 좋은 총이 됐다.
3.0.3 업데이트 이후 골렘 섬에 혼자서도 입장은 가능해져서 입수 난이도가 꽤 줄었다. 섹터 02의 잊혀진 성전 지역을 찾아보자.
P90처럼 기계식 조준기와 조준경이 서로 겹치면서 나타나는 모델링 오류가 있다. 한 가지 의문스러운 건 건스미스 개조 옵션 중 조준기 변경 기능에 기계식 조준기를 쓰는 옵션은 없다는 것.
2.8.2. TAVOR Scout (☆)
일반 모델과 다르게 총신 하부에 양각대를 장착할 수 있으며 대신 SHIFT 경사형 짧은 손잡이와 유탄 발사기를 장착하지 못합니다.
2.9. VHSD2
준수한 대미지와 사거리, 최상급의 집탄률을 가지고 있지만 [4] 재장전 시간이 길다.
2.10. AK74
낮은 대미지와 유탄발사기를 달지 못하는 게 흠이지만 사거리와 명중률이 아주 뛰어나며 여기에 거리측정기까지 달면 지정사수 소총급의 사거리가 나온다.
3.0.0 업데이트 이후인 현재(3.0.1) 기준으로는 장거리 조준기와 유탄 발사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몇 안되는 물건 중 하나가 되어 VC-16 조준경에 Core-Cp 개머리판과 거리 측정기를 달아주고 50발 확장탄창과 유탄까지 붙여 다재다능한 준 사기템을 만들 수 있다. 아니면 사거리를 약간 포기하고 짧은 총열과 3점식 레이저로 안정성 있는 총을 만드는 것도 좋은 선택.
2.10.1. AK74 Assault
3.0.0 업데이트 이전엔 AK-74들 중 유일하게 유탄발사기를 장착할수 있는 총이었다. 그리고 3.0.0 업데이트 이후인 현재는 원본 74도 유탄발사기를 달 수 있게 되었지만 원본은 달지 못하는 전방 손잡이를 얘는 부착이 가능해 강해진 공격력을 더 적절히 잘 쓸 수 있게 되었다.
2.10.2. AK74 Scout
원래버전의 뛰어난 스팩에 지정사수소총으로 커스텀 되면서 대미지와 사정거리가 소폭 증가하면서 지정사수소총으로 쓰기 좋게 변경된다. 지정사수소총 중에서도 반동이 적고 집탄률도 좋아서 듀얼 레인지 조준경을 쓰거나 3인칭 시점을 사용하면 돌격소총으로 쓰기에도 좋아 지정사수와 돌격소총 겸용으로 사용하기에 좋다.
2.11. AK47
생긴것과는 다르게 하부 총열에 유탄만 개조 가능하다는 것을 제외하곤 어지간한 개조는 다 된다. 12-13여발을 연발로 쏘다보면 좌우로 날아다니는 에임을 볼 수 있다.
2.11.1. AK47 Assault (☆)
Ak47 에서 조작성을 포기하고 데미지를 올린 버전이다. 원본은 구식장비지만 assault는 굉장히 텍티컬해진 외관을 자랑하며 하부 총열에 전방손잡이를 달 수 있어서 떨어진 조작성을 무마할수있다. Mk3 달성시 기본데미지를 37까지 끌어올릴수 있다
2.12. AK12
베타 시절엔 조정간 설정이 3점사와 연발만 가능하고, 단발 사격은 되지 않는다. 반동이 크진 않으므로 3점사로도 원거리 헤드샷을 노릴 수 있는 성능인게 다행.
정식 출시 이후에는 단발로 맞출 수도 있게 되어 한층 더 안정적인 성능을 뽐낼 수 있다.
모델링 돌려쓰기인지 아쉽게도 생김새가 여전히 시제품 생김새다.
정식 출시 이후에는 단발로 맞출 수도 있게 되어 한층 더 안정적인 성능을 뽐낼 수 있다.
모델링 돌려쓰기인지 아쉽게도 생김새가 여전히 시제품 생김새다.
2.13. 805 Bren
게임 내에서 사용 가능한 돌격소총 중에서 가장 균형잡힌 총기 스펙과 조준사격 시 집탄률이 좋아 초보자가 사용하기 좋은 총기이다. 다만, 설계도가 권장 기어 레벨 200+ 울브즈 기지인 캠프 타이거 지하에 있다. 설계도를 빠르게 얻고 싶다면 타이거 주둔지 북쪽에 지하로 진입하는 비밀통로로 진입해서 은신 플레이로 적을 몇 정리하면 조용히 습득하고 빠져나올 수 있다.
아니면 장비 레벨 기능을 끄고 플레이해 난투극을 벌이며 집어오는 것도 가능은 하다.
아니면 장비 레벨 기능을 끄고 플레이해 난투극을 벌이며 집어오는 것도 가능은 하다.
2.14. AUG
F2000처럼 유탄발사기가 달리지 않지만 총신 하부 부착물을 장착할수 있어서 총기 자체의 확장성이 훌륭하다.
3.0.0 업데이트 이후인 현재는 유탄발사기도 장착 가능하다.
3.0.0 업데이트 이후인 현재는 유탄발사기도 장착 가능하다.
2.14.1. AUG Assault
돌격병 클래스 레벨 10 달성 보상.
생김새 차이는 상부 레일이 길어졌고 성능 차이는 명중률이 조금 줄어든 대신 발당 공격력이 오른 타입으로, 이전애는 여기에만 유탄이 달렸으나 3.0.0 업데이트 이후로는 일반 AUG에도 유탄발사기 장착이 가능해져 경쟁력이 떨어졌다. 조준기 옵션과 총신 하부 옵션도 같아졌으니…
2.14.2. AUG Scout
지정사수소총 버전으로, 원래는 맵 곳곳에 있는 전술 은닉품들을 줍다 보면 무작위로 설계도를 얻을 수 있던 총이었으나, 버그로 얻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해서 3.0.3 업데이트 때 모든 유저들에게 설계도를 줬다.
양각대가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어서 그런지 반동이 상당히 적지만 총몸 아래에 손잡이가 붙는 순간 빛이 조금 바래진다. 그래도 명중률 관련 스펙이 꽤 잘난 총이라 약점 맞히기만 잘 할 수 있다면 못쓸 총도 아니고, G36C마냥 공격력 부족에 시달릴 일도 비교적 적다.
2.15. A2
모델은 임벨 IA-2.
반동이 크다고는 하는데 7.62 탄을 쓰는 총이 주력이라면 충분히 감당할 만 한데다 5.56 탄 먹는 총 중에서 반동이 강한 건 맞지만 객관적으로 다른 탄종을 쓰는 총들과 비교해보면 그리 크지 않은 편.
이 총의 선조라고 부를 수 있는 FAL과 성능이 꽤 유사하다. 먹는 탄종이 달라서 나란히 운용하는 것도 가능.
탄속이 빠르다고는 한데, 사실이긴 하지만 총알이 직진하다가 갑자기 뚝 떨어지는 특성이 있는지 300미터 이상의 목표물은 노리기 어렵다.
2.15.1. A2 Shorty (☆)
모델은 임벨 IA-2 CQC.
골렘섬의 보스에게서 총기 자체를 얻거나 검은색 상자에서 설계도를 랜덤으로 획득할 수 있다.
2.16. Silver Stake
전투보상 에피소드 2 22티어에 도달 시 얻을 수 있는 소총으로 워커 사살 후 얻을 수 있는 택티컬 버전과는 다르게 연사가 가능하다. 데미지에 따른 벨런스조정인지 RPM은 낮아 연사는 조금 심심한 편이고 그에 따라 DPS도 은근 낮은 편이며, 확장 탄창은 달 수가 없는 대신 G28에 달리는 듀얼 레인지 5배율/레드 도트 사이트 조준경을 달 수 있다. 여러모로 지정사수소총과 돌격소총 사이에 있다고 생각하게 되는 물건.
3.0.0 업데이트 이후인 현재는 마리아의 상점에서 설계도를 15,000 스켈 크레딧으로 얻을 수 있다.
3.0.0 업데이트 이후인 현재는 마리아의 상점에서 설계도를 15,000 스켈 크레딧으로 얻을 수 있다.
2.16.1. Silver Stake Tactical
워커 사살시 얻을 수 있는 7.62mm 버전의 ACR[5] 이다. 시그니처 무기로 테크닉 게이지가 낮을 수록 위력이 올라가는 단일 옵션을 가진다.
성능 면에서는 조정간이 단발 또는 3점사만 가능하며, 조준기 옵션은 일반 실버 스테이크와 같고, 총열이 짧아 사거리와 공격력이 조금 낮아졌지만 반동이 줄어 조준 실력을 조금만 갈고닦아줘도 머리를 미친 듯이 따고 다닐 수 있는 더더욱 지정사수소총스러운 물건이 되었다.
2.17. ARX200
전투보상 에피소드 2의 45티어 달성 보상. 경기관총에 버금가는 높은 대미지와 RPM을 가진 총기로, 반동 또한 경기관총에 필적한다.
사정거리 또한 굉장히 뛰어나지만 정확도는 낮은편이라 연발사격보다는 단발사격을 주로 쓰던가 ACSS 조준기와 양각대까지 달아서 DMR처럼 운영하는 편이 좋다.
3.0.0 업데이트 이후인 지금은 마리아의 상점에서 15,000 스켈 크레딧으로 설계도를 얻을 수 있다.
2.18. 저항군 ASR
>좋은 연사력과 피해량, 사정 거리를 갖추었지만,
>재장전이 느리고 부착물이 적습니다.
마리아의 상점에서 15,000 스켈 크레딧으로 설계도를 얻을 수 있는 총.
변경 가능한 요소라곤 탄창만 가능하고 탄창도 50발 확장탄창과 20발 소형 탄창만 사용 가능하다.
>재장전이 느리고 부착물이 적습니다.
마리아의 상점에서 15,000 스켈 크레딧으로 설계도를 얻을 수 있는 총.
변경 가능한 요소라곤 탄창만 가능하고 탄창도 50발 확장탄창과 20발 소형 탄창만 사용 가능하다.
2.19. AR-18
[image]
>좋은 피해량과 사정 거리를 갖추었지만 부착물이 적습니다.
마리아 상점에서 15,000 스켈 크레딧으로 설계도를 구매할 수 있는 총.자체 성능은 나쁘지 않다. 괜찮은 조작성과 적은 반동, 무인기 상대로도 꿇리지 않은 피해량 등 총몸에 아무것도 안 붙인 M4A1의 상위 호환. 하지만 설명대로 부착물 수가 적은데, 조준기 옵션도 적고 탄창도 소형 탄창과 50발 확장탄창만 적용 가능에, 유탄발사기 및 전방 손잡이, 측면 레이저와 거리 측정기 같은 것도 전부 장착 불가능이라 사용하긴 꽤 까탈스럽다.
그래도 디지털 조준기와 소음기는 장착 가능하니 주력 무기로는 쓰기 좀 껄끄러워도 기본에 충실하면서 쓸만한 보조무기를 찾는다면 그 용도로는 적합하다.
2.20. FAL
전작 와일드랜드에도 막판에 등장했던 그 물건.
와일드랜드와 비교하면 좌우반동이 크게 줄고 달 수 있는 부착물의 종류도 측면 레일이나 하부 레일에 많이 늘어나 쓰기 굉장히 편해졌다. 유탄발사기도 달린다!
하지만 7.62mm 탄종을 먹는 총인데도 발당 공격력이 5.56mm 수준으로 약해져 조준 실력이 조금이라도 떨어지거나 지상 무인기가 많은 상황에서는 쓰기 어려워진다.
2.21. 4-AC
[image]
사진은 표준총신이 장착되어 있다.
레인보우 식스 시즈의 콜라보로 등장한 돌격소총.
사용자는 애쉬. 원본은 레밍턴 R4 카빈.
성능 면에서는 416과 M4A1의 사이에 있는 듯한 연사력과 근거리 쪽에 특화된 듯한 성능에, 조준기도 기관단총들이 갖고 다닐만 한 것들 투성이라 체급 조금 높고 공격력 높은 기관단총에 가깝다.
연발로 쏠 경우 반동이 M4A1과 유사하지만 다른 특징이 하나 있는데, 30발을 연사하면 갑자기 좌우 반동이 크게 늘어난다.
여담으로, 시즈에서의 이름은 R4-C다.
2.22. G2
[image]
레인보우 식스 시즈와의 콜라보로 등장.
연사력이 정신 나갔다.(980RPM) 그대신 탄 소모 속도가 그말그대로 녹아버리는 수준으로 소모되고, 반동이 강해 여러모로 다루기 어렵지만 강력한 무기.
반동이 강하긴 하지만, 그래도 레인보우 식스 시즈에서 총자체가 흔들리는 것 처럼 느껴지는 정도는 아니고 무난하게 굴릴만한 반동이다. 부담가지지 말고 집어도 된다.
모델링은 여러 FAMAS의 외형을 적절히 섞은 느낌.
고증오류로 FAMAS F1의 25발들이 탄창이 끼워져있다.
2.23. L85A2-C
[image]
사진은 기계식 조준기. 조준기 장비시 캐링핸들을 떼고 장비한다
레인보우 식스 시즈와의 콜라보로 등장.
하단레일은 있으나, 작아서 수직손잡이 계열 밖에 장비하지 못한다.
의외로 유탄발사기를 사용가능하다. 다른 하부 부착유탄발사기들과 다른 외형을 가지고 있다.
2.24. K1A
[image]
레인보우 식스 시즈의 콜라보로 등장했다.
우리나라의 분류 기준으로는 기관단총이지만 5.56mm NATO탄을 쓰기에 카빈류라 AR로 분류되었다.
반동이 다른 돌격소총, 카빈류보다 균형있게 잡혀 있다. 무난무난한 돌격소총 느낌.
레인보우 식스 시즈에 등장하는 비질이 사용하는 K1A랑 판박이다. 707글자까지 적혀있다.
[image]
이렇게.
성능 면에서는 돌격소총과 기관단총에 사이에 있다는 느낌이 있지만, 그래도 사거리와 명중률 및 반동 안정성이 돌격소총에 조금 더 가까워 200미터 이상 거리를 쏘는 중거리 사격도 무난하게 할 수 있고 개조 옵션도 풍부해 황색 하늘 이벤트 미션 완전 클리어 보상다운 충실한 성능을 뽐낸다. 공격력도 나름 괜찮아서 레벨 차이가 크게 벌어지지만 않는다면 울브즈도 잘 때려잡을 정도라 대인전에서는 총신 하부 유탄이나 산탄총이 꼭 필요하지는 않다.
무인기나 차량을 상대하는 경우, 약점이나 운전자를 정확히 쏘는 실력이 있다면 상관 없지만, 그런 걸 노릴 시간이 없거나 실력이 부족할 경우 약간 공격력이 부족하고 100발 탄창이 없다는 점도 있어 2% 부족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여담으로, BOSG12가 레이드 보상으로 존재하는 터라 레인보우 식스 시즈의 비질 주무기 2개를 재현 할 수 있다.
총신도 변경이 가능한데, 단축 총신을 장착하면 K1A가 되고, 표준 총신을 장착하면 K2C와 비슷한 외형이 된다.
여담으로 총몸에 깨알같이 '자동-단발-단발'과 '대한민국'이라는 한글이 새겨져 있다.
3. 경기관총(LMG)
>경기관총은 강력한 화력을 자랑하는 자동 화기입니다. 수평 반동만 제어하면 가만히 서서 비견할 데 없는 피해를 끊임없이 가할 수 있습니다.
강력한 지속 화력을 내뿜는 총기 답게 다인전, 베히모스 같은 중, 대형 지상드론 및 차량을 격파하기에 최적화되어 있다. 명중률 문제로 중거리 이상의 교전은 생각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경기관총의 적정 교전 거리는 100~200m 이내. 하지만 대부분 중거리 조준경을 달 수 가 있고, 300미터 이상 떨어진 적을 공격하는 데 써도 제법 괜찮은 수준을 보여주는 물건도 몇몇 있다.
3.1. STONER
임계질량 부가임무 클리어 보상.
부착물 장착 시 기관총 중 제일 좋은 반동 패턴, 높은 연사력과 넉넉한 장탄수를 가지고 있다. 다만 사용 탄약이 5.56mm이므로 다른 5.56mm 소총과 함께 사용 시 탄약 부족 주의. 그나마 저 문제는 7.62mm를 사용하는 총기를 함께 운영해 상쇄가 가능하지만 진짜 문제는 임계질량 서브미션의 난이도로, 임무 자체도 꽤 길고 적도 많지만 이런저런 건물들과 지하 동굴 같은 곳을 막 뒤지고 다녀야 해서 길찾기 난이도가 꽤 어려운 임무라 많이 헤메게 된다.
여담으로, 전작 와일드랜드와는 달리 긴 총열과 소음기 장착이 불가능해졌다.
외형은 Knight's Armament LMG A1.
3.1.1. STONER Compact (☆)
골렘섬에서 검회색 헥사곤(육각형) 패턴 상자에서 설계도나 보스 처치 시 무기와 설계도를 랜덤으로 얻을 수 있다.
3.0.1 업데이트 이후인 현재는 골렘 섬 탐험까지는 싱글 플레이 중에도 가능해져서 획득 난이도가 낮아졌다.
일반 모델과 다르게 확장 탄창을 설치 할 수 없으며, 재장전 속도가 6초로 일반 모델에 비해 1초 빠르지만 장점들을 거의 다 씹어먹는 단점이 있으니, 바로 좌우 반동이 되게 격렬하다. 좌우반동 잡는 특화 세팅을 해도 반동이 미친듯 튀어다녀서 다섯 발 이상 연사하면 아주 조준점이 난리가 난다. 따라서 민간인이 많은 곳에선 사용 금물. 눈 먼 총알에 애꿎은 사람이 맞아죽어 억울하게 게임 오버가 될 수 있다!
모델은 Knight's Armament LMG.
3.2. CTMMG
대인 제압에는 강점을 발휘하지만 반동이 위로 가다가 갑자기 옆으로 튕기는 단점이 있어, 머머나 서큐버스, 와스프 등 기동성이 빠른 소형 쿼드콥터 드론들을 잡기엔 부적합하다. 이는 아래의 Baal 버전도 마찬가지.
물론 측면 반동 문제는 보정기와 3점식 레이저로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어 작정하고 쓰겠다면 생각보단 큰 문제는 아니지만 확장 탄창이 없고, 수직 손잡이는 레이드를 해야만 얻을 수 있는 전술 수직 손잡이 뿐이라 활용 난이도는 좀 있는 편이다.
3.0.3 업데이트에서 전술 수직 손잡이를 싱글 플레이로도 얻을 수 있게 되어 해금 난이도가 낮아졌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활약을 기대할 수도 있게 되었다.
3.2.1. CTMMG BAAL (☆)
레이드 컨텐츠 보스 바알 처치 시 랜덤으로 설계도나 무기로 획득 가능한 무기.
3.3. T95
사정거리와 화력이 감소했다고 써 있지만, 사실 진짜 함정은 따로 있다. 1인칭 시점 조준을 하고 사격하면 측면 반동이 꽤 세다는 점인데, 총몸 아래에 달 수 있는 부착물이 하나도 없어서 이걸 총구와 레이저 옵션으로만 잡아야 하니 조준 실력이 조금이라도 떨어진다면 이건 안 쓰는 게 낫다.
조준 실력이 좋은 사람이라면 기관총이라는 점과 빠른 장전 속도의 특징이 모여 거의 쉬지 않고 계속 탄을 퍼부어댈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해 레이드에 가져가기도 한다. 주요 희생자는 타이탄 베타 스켈 양자컴퓨터.
3.4. L86A1
무게가 낮아 조준 속도는 빠르지만 그만큼 반동 제어도 어렵다. 다행히도 돌격소총 기반 기관총이라 반동 자체가 별로 크지 않다지만 총몸 옆구리에 레일 조각이 붙어있는 생김새면서 레일에 아~무것도 못 붙인다는게 약간의 흠이며, 제일 큰 문제는 장탄수가 적다는 점과 발당 피해량이 좀 약하다는 것.
그래도 총몸 아래에 붙일 수 있는 장비가 좋은 편이라 못쓸 무기는 아닌 편이다. 예시 사진엔 양각대가 붙어있지만 양각대보다는 둥근 수직 전방손잡이와 기관총 보정기 또는 소염기를 달아주는 게 조금 더 좋은 편.
3.5. MG121
와일드랜드에 이어 이번에도 초반부터 찾을 수 있는 모양인데, 총 자체는 게임 시작 후, 에레혼을 찾으러 가는 길목에 있는 큰 폭포 옆 동굴에서 얻을 수 있다. 설계도를 얻으려면 규모가 좀 있는 센티넬 기지를 털어야 하는데, 그 기지도 게임을 막 시작하면 처음 나타나는 싱킹 컨트리 지역에 있는데다 에레혼과 가까운 편이라 큰 마음 안 먹어도 초반에 얻기 쉽다.
성능 면에서는 좌우 반동이 적어 반동 패턴이 꽤 안정적이고 탄퍼짐도 적던 전작 와일드랜드와 비교했을때 거의 차이가 없어서 여전히 편하게 사용 가능하고, 대형 탄창이 생겨 총알을 드디어 100발을 들고 다닐 수 있게 되었는데, 3점사 기능은 사라졌다. 대신 두가지의 배율경을 장착할 수 있어 선택폭이 늘었다.
베타 시절에는 90발 탄창이 기본에 대형으로 100발짜리 옵션이 있었으나 정식 출시 이후 기본 100발로 바뀌어 쓰기 더 편해졌다. 더 강해진 발당 공격력은 덤.
성능 면에서는 좌우 반동이 적어 반동 패턴이 꽤 안정적이고 탄퍼짐도 적던 전작 와일드랜드와 비교했을때 거의 차이가 없어서 여전히 편하게 사용 가능하고, 대형 탄창이 생겨 총알을 드디어 100발을 들고 다닐 수 있게 되었는데, 3점사 기능은 사라졌다. 대신 두가지의 배율경을 장착할 수 있어 선택폭이 늘었다.
베타 시절에는 90발 탄창이 기본에 대형으로 100발짜리 옵션이 있었으나 정식 출시 이후 기본 100발로 바뀌어 쓰기 더 편해졌다. 더 강해진 발당 공격력은 덤.
3.6. MK48
전작 와일드랜드와 동일한 Mod.0 모델로 등장하며, 또한 확장 탄창의 총알 용량이 150발로 줄었다. 대신 배율 있는 조준경 두개가 늘어 열영상 조준기(개방형 도트사이트)를 끼고 억지로 겨자먹으며 하던 300미터 이상 거리를 쏘는 중장거리 사격도 여기선 편하게 할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 좀 하거나 고랭크 정예 버전을 얻고 적들의 약점을 숙지하면 지상 무인기도 갈아버릴 수 있다. 하부 레일에 모든 방향의 반동을 크게 잡아주는 양각대를 붙이면 진가가 드러난다.
한 가지 흠이라면 발당 공격력이 전작보단 좀 약하다는 점으로, 와일드랜드에선 MG121과 같았으나 여기선 살짝 밀린다.
한 가지 흠이라면 발당 공격력이 전작보단 좀 약하다는 점으로, 와일드랜드에선 MG121과 같았으나 여기선 살짝 밀린다.
3.6.1. Mk.48 Compact
티어업 보상물 오류 보상으로 설계도로 제공한다.
총신을 짧게 하여 근접전에 특화된 버전.
외형은 M249 Para와 비슷하지만 총신을 덮은 모양새가 다르고, 신축식 개머리판의 생김새도 다르다.
성능 면에서는 총몸이 짧아 공격력과 사거리가 줄어들었고 확장 탄창과 중거리 스코프는 달 수가 없다. 대신 좌우 반동이 비교적 약한 편이니 보정기와 양각대를 달고 멀티콥터 드론이나 울브즈를 갈아보자.
물론 조준 실력이 좋다거나 컨트롤러를 쓰고 있다면 자동 조준의 힘으로 기본 손잡이 받침대를 달고 있는 상황이라도 충분히 적들을 갈아댈 수 있다.
3.6.2. Mk.48 SAW (☆)
Mod.1과 유사한 형태로 덮개 없이 총신 상부가 노출되어 있고, M4A1의 게머리판과 유사하게 생긴 개머리판을 장착하고 있다.
골렘섬의 보스에게서 총기 자체를 얻거나 회색 육각패턴 상자에서 설계도를 랜덤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3.0.3 업데이트 이후인 현재는 기술병 랭크 20을 달성해서 얻을 수도 있다.
기술병 랭크 10까진 그럭저럭 할만 한 편이긴 하지만 11부터는 고생길이 열린다. 소총 밑에 달린 것이 아닌 MGL 유탄발사기로 150m 이상 거리에서 저격해 한번에 둘 이상을 없애라거나 한번의 C4 폭발로 네 명 이상을 처리하라거나…
3.7. 6P41
드디어 레일 하부 부품을 달 수 있게 되었다. 높은 피해량과 시너지를 이루는 확장 탄창이 장착 가능하여 베히모스 사냥 시에 쓰기 좋지만 명중률이 낮고 개조 옵션도 적은데다 레이저도 못 달아서 대인용으로는 부적합하며, 지상 무인기들을 잡을 때에도 약점들의 크기는 의외로 작은 편이니 엄폐물을 끼고 앉아서 쏘거나 끊어 쏘거나 돌격병 클래스의 진정한 투지 스킬을 쓰고서 상대하는게 좋다.
4. 기관단총(SMG)
>기관단총은 돌격소총에 비해 반동이 작지만 탄속이 느립니다. 근거리 교전에서 이상적인 화기입니다.
와일드 랜드 이전의 구작들에서의 기관단총은 무소음에 가까우면서도 3~4배율 조준경을 달 수 있어 사랑받았지만, 이번 작 에서는 와일드 랜드와 마찬가지로 저배율 조준경만 달리기 때문에 200m 이상의 장거리 사격은 어렵다. 권총이 사거리는 매우 짧은대신 완벽한 근접 스텔스 플레이를 위한 거라면, 기관단총은 100m, 200m 이내의 안정적인 근중거리 스텔스 플레이를 위한 무기다. 주로 사용하는 탄종인 9mm와 .45탄은 최대소지량이 적은편이라 돌격소총류보다 탄부족이 빨리 올 수 있는 단점이 있지만 탄약 획득량과 탄약 최대 소지량을 늘리는 짐꾼노새 특전을 사용하면 단점은 어느정도 상쇄시킬 수 있다.
4.1. Vector
엄청난 연사력을 가지고 있으며, 확장 탄창까지 생겨서 50발의 넉넉한 탄창에 힘입어 근거리 적들을 갈아 마실 수 있다. 다만 45구경의 최대 탄약소지량이 많지 않으니 짐꾼 노새 특전과 병행해 주의해서 사용하자. 그래도 조정간에 단발이나 점사가 있으니 조정간만 잘 맞춰서 써준다면 의외로 쉽게 다룰 수 있다. 터미네이터 상대로도 괜찮은 편인데, 비록 완전히 파괴하지는 못하지만 50발 대형 드럼 탄창을 끼워주고 현재 탄약 보유량만 충분하면 등짝을 드르륵 하고 갈겨서 거의 아무 것도 못 하게 만들면서 외피를 박살내버릴 수 있다. 자체 공격력은 낮지만 연사속도가 빨라서 그런지 터미네이터를 주춤거리게 하거나 아예 넘어뜨리기가 가장 쉽기 때문.
4.1.1. Vector Shorty
티어 업 보상이었고, 3.0.0 업데이트 이후인 현재는 마리아의 상점에서 15,000 스켈 크레딧으로 설계도를 살 수 있다.
총신을 길게 늘이고 고정식 스톡을 장착한 버전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소음기가 일체형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 뿐이며, 소음기 겉으로 레일이 쭈욱 깔려 하부 레일에 달 수 있는 부착물 종류가 늘어난 것 뿐, 총신이 늘어난 건 아니기 때문에 일반 벡터에 비해 사거리와 공격력이 늘어나진 않았다.
그래도 은근 큰 반동을 전방 손잡이 부품과 개머리판을 잘 달아 확 잡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50발 탄창을 장착할 수가 없어 기곗덩이나 중화기병 상대로는 조금 힘들어진다.
4.1.2. Control Room Vector (☆)
레이트 컨텐츠인 타이탄 프로젝트에서 타이탄 베타인 스켈 양자컴퓨터 처치시 랜덤으로 획득하는 파생형 시그니처무기로 "반동이 없습니다" 단일 옵션을 가진다.
기본옵션이 무반동이라 수직반동은 거의 없는 수준으로 거의 레이저총을 떠올릴 수 있는 듯한 능력을 보여준다. 다만 수평반동은 해당되지 않는지 연사 시 어느정도 수평반동이 생기며 확장탄창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리로드가 잦고 탄 소모가 빠른 편.
그나마 재장전 시간이 짧은편이고 RPM은 1200으로 엄청난 수준이라 화력에서는 다른 기관단총류에서는 밀리지 않는 편이라 레이드에 나오는 시그니처 무기중에서는 평가가 좋은 편이다.
3.0.3 업데이트 이후인 현재는 습격 켠텐츠에 난이도 조절 기능이 생겨 사람만 모인다면 충분히 노려볼 수 있을 만해질 정도로 입수 난이도가 낮아졌다.
기본옵션이 무반동이라 수직반동은 거의 없는 수준으로 거의 레이저총을 떠올릴 수 있는 듯한 능력을 보여준다. 다만 수평반동은 해당되지 않는지 연사 시 어느정도 수평반동이 생기며 확장탄창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리로드가 잦고 탄 소모가 빠른 편.
그나마 재장전 시간이 짧은편이고 RPM은 1200으로 엄청난 수준이라 화력에서는 다른 기관단총류에서는 밀리지 않는 편이라 레이드에 나오는 시그니처 무기중에서는 평가가 좋은 편이다.
3.0.3 업데이트 이후인 현재는 습격 켠텐츠에 난이도 조절 기능이 생겨 사람만 모인다면 충분히 노려볼 수 있을 만해질 정도로 입수 난이도가 낮아졌다.
4.2. MPX
설계도 획득 경로가 부가 임무 클리어 보상을 통해서만 가능하고, 이 임무도 여러 센티널 병사들과 베히모스 전차 한 대, 인큐버스 지상 드론, 서큐버스 공중 드론들을 깔끔히 정리해야 하기 때문에 사실상 설계도만 먹고 빠지는 플레이도 불가능. 스펙은 뛰어나지만 입수 난이도가 가장 하드코어한 총이다. 얻으러 가겠다면 마크 1 2 전부 포함해서 EMP 수류탄을 듬뿍 챙겨가는 게 좋다.
4.2.1. MPX Tactical (☆)
모델은 MPX-C Gen 2.
골렘섬의 보스에게서 총기 자체를 얻거나 검은색 상자에서 설계도를 랜덤으로 획득할 수 있다.
4.3. MP7
확장탄창이 전작의 30발에서 40발로 늘었다. 컴팩트한 덕에 기동성이 끝내주는 것도 전작과 동일해서 팬서의 주무장이나 타병과의 부무장으로도 제격이다. 하지만 디지털 조준기 옵션도 있으면서 긴 총열은 없는지라 가능하면 이걸로 150미터 이상 떨어진 적을 쏠 생각은 접어두자.
4.4. UMP
설명대로 탄속이 느려서 120미터 이상 떨어진 적을 노리기는 어렵다. 그 이외의 스펙은 전방 손잡이 옵션이 좀 적단 걸 빼면 괜찮은 수준.
4.4.1. UMP CQC
개머리판을 바꾸고 총몸이 길어진 버전.
사실 총몸이 길어진 건 아니고, 소음기 기본 장착에다 겉면에 레일이 추가로 깔려서 그렇게 보이는 것이다.
중장거리 조준기가 하나 생기고 장착 가능한 전방 손잡이의 가짓수가 늘었으며, 개머리판도 바꿔서 돌격소총 수준의 명중률을 낼 수도 있다. 50발 확장탄창도 붙일 수 있다. 단, 45구경 권총탄의 최대 소지 갯수가 5.56 탄보단 조금 적고 교전 거리가 200미터를 넘어가면 탄 낙차도 심해지고 공격력이 떨어지며 명중률도 형편없어진다는 점을 유의.
4.5. MP5
리버티의 마웅가 누이 생태 공원에서 설계도를 입수 할 수 있다. 들키지 않는다면 생태 공원을 정찰중인 소수의 센티널만 처치하고 설계도를 얻을 수 있어서 습득 난이도는 꽤 낮을 수도 있지만 들키면 그 지역 전체의 적병들에게 어그로가 끌려 겨의 30:4 또는 1로 쌈박질을 하게 되고 무인기까지 싸움판에 끼어들어서 순식간에 고난도로 변한다.
자체 성능만 놓고보면 어지간한 총들을 훨씬 상회하는 성능을 갖고 있으며 개조범위가 비교적 넓은 것에 긴 총열이 있어 약한 공격력과 짧은 사거리를 어느정도 상쇄 가능하단 것이 장점이지만 총몸 옆구리에 다는 장비의 최고봉인 MAWL-DA는 장착 불가능에 총몸 아래에 붙이는 전방 손잡이도 측면 반동을 잡아줄 수 있는 게 없어 부착물과 다른 무기들을 어느 정도 찾아놓은 상태라면 살짝 밀린다. 조준기 옵션도 개인 차가 있겠지만 보기보단 살짝 부실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 편.
디비전 2 플레이 보상으로 얻을 수 있는 MP5 SHD란 물건이 있다. 성능은 이거나저거나 비슷한데 도색이 흰색 몸체 에 디비전의 상징인 불사조 아이콘이 권총손잡이 부분에 그려져 있다.자체 성능만 놓고보면 어지간한 총들을 훨씬 상회하는 성능을 갖고 있으며 개조범위가 비교적 넓은 것에 긴 총열이 있어 약한 공격력과 짧은 사거리를 어느정도 상쇄 가능하단 것이 장점이지만 총몸 옆구리에 다는 장비의 최고봉인 MAWL-DA는 장착 불가능에 총몸 아래에 붙이는 전방 손잡이도 측면 반동을 잡아줄 수 있는 게 없어 부착물과 다른 무기들을 어느 정도 찾아놓은 상태라면 살짝 밀린다. 조준기 옵션도 개인 차가 있겠지만 보기보단 살짝 부실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 편.
4.6. P90
[image]
>우수한 피해량과 탄창 용량을 갖췄지만, 반동이 강하고 정확성이 떨어집니다.
5.7mm 탄을 사용하는 총이지만 게임에서는 보급 편의성 문제인지 5.56mm탄을 사용한다. 권총탄을 사용하지 않는 기관단총 중 하나.
성능 면에서는 여러모로 끝판왕 성능을 가졌던 전작 와일드랜드에 비해 많이 떨어졌는데, 특히 좌우로 튀는 반동이 늘어 쓰기 힘들어졌다. 대신 3점식 레이저 부품이 상향을 받고 조준기 옵션도 많아져서 못 쓸 수준은 아니다.
개인 차가 갈릴 수 있는 요소로는 기계식 조준기를 뺀 나머지 조준경들을 달면 접혀있는 조준기와 조준경이 서로 겹쳐보이는 모델링 오류도 있다.
시그니처 무기로 플라이캐처 버전이 있는데, 워커의 울브즈 부관들 중 한 명인 플라이캐처를 때려죽이면 얻을 수 있다. 기존 P90에 무인기 상대로 추가 피해를 주는 옵션이 있다. 그거 외엔 성능이 동일.
>우수한 피해량과 탄창 용량을 갖췄지만, 반동이 강하고 정확성이 떨어집니다.
5.7mm 탄을 사용하는 총이지만 게임에서는 보급 편의성 문제인지 5.56mm탄을 사용한다. 권총탄을 사용하지 않는 기관단총 중 하나.
성능 면에서는 여러모로 끝판왕 성능을 가졌던 전작 와일드랜드에 비해 많이 떨어졌는데, 특히 좌우로 튀는 반동이 늘어 쓰기 힘들어졌다. 대신 3점식 레이저 부품이 상향을 받고 조준기 옵션도 많아져서 못 쓸 수준은 아니다.
개인 차가 갈릴 수 있는 요소로는 기계식 조준기를 뺀 나머지 조준경들을 달면 접혀있는 조준기와 조준경이 서로 겹쳐보이는 모델링 오류도 있다.
시그니처 무기로 플라이캐처 버전이 있는데, 워커의 울브즈 부관들 중 한 명인 플라이캐처를 때려죽이면 얻을 수 있다. 기존 P90에 무인기 상대로 추가 피해를 주는 옵션이 있다. 그거 외엔 성능이 동일.
4.7. SCORPION EVO 3
[image]
>탄속과 사정거리를 희생한 대신 발사속도와 안정성을 챙겼습니다.
전작 와일드랜드에선 벡터와 동급의 연사력을 자랑하던 물건이 여기선 연사력이 약간 떨어졌다. 그 덕분인지 좌우 반동도 떨어져 쓸만은 한데 설계도를 얻으려면 울브즈 기지를 털어야 한다.
>탄속과 사정거리를 희생한 대신 발사속도와 안정성을 챙겼습니다.
전작 와일드랜드에선 벡터와 동급의 연사력을 자랑하던 물건이 여기선 연사력이 약간 떨어졌다. 그 덕분인지 좌우 반동도 떨어져 쓸만은 한데 설계도를 얻으려면 울브즈 기지를 털어야 한다.
4.7.1. SCORPION EVO 3 CQC
팬서 클래스 레벨 10 달성 보상
총열이 길어지고, 그 위에 레일이 깔려있다. 하도 레일을 많이 깔아버린지라 원본과 괴리감 있는 생김새를 가지고 있다.
명중률과 사거리가 상향되고, 디지털 조준기를 사용가능해 제한적인 중거리 전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래도 태생이 기관단총인지라 탄낙차와 갑작스럽게 튀는 반동은 주의해야한다.
4.7.2. SCORPION EVO 3 Tactical(☆)
4.8. Bullpup PDR
[image]
>돌격소총급 총구 구경으로 인해 우수한 공격력을 자랑하나, 조작이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제 총기와 동일하게(개발 중단되어 실물은 에어소프트건 정도로밖에 볼수 없다.) 게임에서도 5.56mm 탄을 사용한다.
전작 와일드랜드에서도 최악의 좌우반동을 자랑하는 총 중 하나였는데 브레이크포인트에서도 그 위상이 여전하다. 문제는 하부 레일이 없어 이걸 잡을 방법이 총구와 3점식 레이저밖에 없다는 것도 여전해 쓰긴 어렵다.
>돌격소총급 총구 구경으로 인해 우수한 공격력을 자랑하나, 조작이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제 총기와 동일하게(개발 중단되어 실물은 에어소프트건 정도로밖에 볼수 없다.) 게임에서도 5.56mm 탄을 사용한다.
전작 와일드랜드에서도 최악의 좌우반동을 자랑하는 총 중 하나였는데 브레이크포인트에서도 그 위상이 여전하다. 문제는 하부 레일이 없어 이걸 잡을 방법이 총구와 3점식 레이저밖에 없다는 것도 여전해 쓰긴 어렵다.
4.9. SN-9mm
4.10. Honey Badger
마리아의 상점에서 20,000 스켈 크레딧으로 설계도를 얻을 수 있는 물건으로, 7.62mm 탄을 사용하는 기관단총이라는 특이한 포지션에 위치해 있다. 기본적으로 소음기 내장에 DPS가 높은편이고 반동도 잘 잡혀있는 편이라 뛰어난 성능을 가진 기관단총. 근중거리 전투에서는 굉장히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장거리에서는 기관단총 특유의 탄퍼짐이 발생하는 편이라 이 경우에는 돌격소총을 사용하는 편이 좋다.
장거리에서는 기관단총 특유의 탄퍼짐이 발생하는 편이라 이 경우에는 돌격소총을 사용하는 편이 좋다.
4.11. UZI 9mm
9mm 탄약을 쓰는 기관단총. 50발 확장 탄창도 달 수 있고 레이저도 장착 가능하지만 조준기는 기계식 조준기만 사용 가능하며 총몸 길이 옵션도 없어서 중거리만 되어도 빌빌대는 MP7의 하위 호환. 그러나 소음기는 장착 가능이라 잠입 상황에서는 쓸만 하다. 여담으로 미니 우지나 마이크로 우지가 아닌 오리지널 우지라 연사 속도는 그리 빠르지 않은 편이다.
사실 터미네이터 시리즈와의 콜라보레이션 이벤트로 추가된 무기로, 아놀드 슈워제네거가 1편에서 T-800으로 나왔을 때의 "우지 나인밀리미따" 덕에 출연한 듯 하다.
3.0.0 이후 버전인 현재는 마리아의 상점에서 15,000 스켈 크레딧으로 설계도를 얻을 수 있다.
5. 산탄총(SG)
>산탄총은 폭발적인 피해를 입히며 비행 드론 격추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근접전에서는 입이 떡 벌어지는 대미지를 넣을 수 있고, 중거리에서도 2~3방안에 적을 땅바닥에 눕혀버릴 수 있다. 머리를 겨눈다면 소음기를 껴도 상당히 먼거리에서도 한방을 낼 수 있는데, 이 어마어마한 위력은 센티널, 울브즈 돌격병도 마찬가지라서 역으로 플레이어에게 접근을 허용하면 오히려 플레이어가 한 방에 눕게 되는 근거리 한정으로 위협적인 총기이다.(심지어 저격총에 맞은 것 처럼 조준을 취소하거나 휘청거리게 만든다. 맞고 있는데 다른 적이 있으면 사실상 사망 확정)
조준사격이 상당히 판정이 좋은 대신, 지향사격이 끔직할 정도로 안좋다. 괴리감이 들 정도로 벌어지는 지라 산탄총을 쓸꺼면 조준사격을 습관화하는 것이 좋다.몸을 쏘는데 산탄이 튀어 머리맞는 경우가 더러 있다. 헤드보단 몸중심으로 노리는게 훨씬 잘 맞고, 잘 죽는다.
실전모드를 제외한, 장비레벨이 횔성화된 게임이라면 '조작성' 과 '사정거리'가 좋다.
조작성은 산탄총의 '''집탄률'''에 기여하기 때문에 엄청난 효율을 자랑한다. 특히 지향사격 부분에서 화면 뚫을 기세로 벌어지는 크로스헤어가 조작성 옵션 좀 추가 됬다고 화면 중앙에 납득할 정도로 줄어드는데다 조준 사격시에는 펠렛이 좀더 촘촘하게 모여 기관단총이 담당하는 근중거리~중거리도 원샷킬 내는 경우가 생긴다.
사정거리는 산탄총의 단점인 거리별 데미지감소를 완화 시켜줌으로서 애매한 킬 안정도가 상승한다. 사람에 따라서는 조준사격을 더 많이하여 조작성보다 사정거리를 선호하기도 한다.
산탄총 관련 특전도 있고 비행 드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전작 보다는 활용 가치가 생겼다.
5.1. M4
기본형은 전술 개머리판을 장비한 전형적인 M1014의 모습이다. 집탄률,위력,반동 모두 체감될 정도로 다른 산탄총들 보다 뛰어난 모습을 보이지만 소음기 장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과 비슷한 이름을 가진 M4A1 돌격소총마냥 설계도를 얻으려면 베히모스 방어 지역을 털어야 한다는 난관이 존재한다.
참고로 위력이 높게 느껴지는 이유는 사거리가 유난히 다른 샷건보다 압도적으로 길기 때문이다. BOSG는 제외다. 그건 저격총이라 불러도 할 말 없다. 심심찮게 중거리 1발킬을 내는게 일상일 정도.
여담으로, 다른 무장들과 달리 관형탄창이라서 첫발을 약실에 넣고 장전하고 한발씩 장전하는데 장전도중에 공격키를 누르면 그대로 발사한다.(조준을 누르고 있는경우 조준후에 격발한다. 거의 동시에 하기 때문에 체감하기엔 그냥 조준하기도 전에 쏜 느낌으로 느껴진다.) 다른 무장으로 전환하는 시간보다 압도적으로 빨라서 장탄수가 완전히 비었을 때 근거리 위협에 빠른 속도로 발악할 수 있다. 이는 M4의 파생 샷건들도 마찬가지. 반대로 전면전 상황이 되면 속터지는 관형탄창 재장전 속도 때문에 돌진하면서 시원하게 적에게 산탄을 뿜을 수가 없으니, 반드시 엄폐물을 끼고 한 방에 한 놈씩 잘라내는 느낌으로 싸워야 한다.
이름인 M4를 그대로 말하면 다들 돌격소총인 ' M4A1 ' 으로 알아듣는 경우가 많다(...). 이 총의 원본은 미군 제식명 M1014 원본명 [베넬리 'M4' 슈퍼 90] 이라서 벌어진 참사....
5.1.1. M4 Assault (☆)
기본 M1014보다 레일이 추가되어 레이져, 손잡이를 끼워줄 수 있다. 덕분에 반동 조절이 타 샷건 보다 매우 쉬운편. 그러나 스텟이 일반 m4(M1014)보다 전체적으로 낮다.
3.0.0 업데이트 이후인 현재는 마리아 상점에서 15,000 스켈 크레딧으로 설계도를 얻을 수 있다.
개머리판 개조가 추가된 이후로는 일반 M4보다는 약간 우위에 있다. 그러나 보정 할 수 없는 정확성, 조작성은 스킬이나 그런것으로 때워줘야 하기에 완전한 우위에 있다고는 볼 수 없다. 특히 사정거리가 발목을 잡아 M4로 1발로 중거리킬을 내는 거리에서 원샷을 못내는 점은 아쉬운편
5.1.2. M4 Shorty (☆)
레이드 컨텐츠인 골렘 섬 습격 때에만 얻을 수 있던 총.
3.0.3 업데이트 이후 골렘 섬 입장은 혼자서도 할 수 있게 되어 입수 난이도는 많이 낮아진 편이다.
골렘섬 해안가 남서쪽에 위치한 유적에 있으며 적이 다수포진해 있는데다 지뢰까지 깔려있기에 조심조심 먹기엔 좀 힘들다.
일단 성능 자체는 M4 Assault에서 사정거리 조금 낮추고 나머지스텟에 나눠준 느낌. M4 assult 의 반동에서 더 낮아진지라 반동은 샷건 치곤 거의 없다. 총열을 단축했는데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한건지는 묻지 말라.
다만, 안그래도 8발 짜리 장탄수도 쪼들리게 느껴지는데 여기에 총열까지 단축해버린지라 탄창도 줄어 5발(관형탄창형 무기들은 총열이 줄어들면 탄창부분도 같이 줄어든다. 총구아래의 2번째 파이프가 탄창이기 때문이다.)이 되어버려서 끔찍한 전투지속력을 보여주기에 채용률은 없다시피하다.
5.2. KSG12
장탄수 14발로 고증에 맞게 되었지만 아쉽게도 한개의 튜브로 취급이 된다.
펌프액션 샷건인대도 사정거리가 좀 짧다. 펌프액션이니 사정거리 길겠지?라며 쏘다간 곤란한 경우가 생길 것 이다. 머리때릴 자신 없으면 얌전히 중거리킬은 노리지 않는게 좋다.ACS12가 나온 이후로는 시장세이다. 설명이 '사정거리와 재장전속도를 희생하여 동급최고의 장탄수를 갖추었습니다.' 인데 사정거리를 재외하곤 ACS12가 32발의 장탄수+ 탄창식 장전으로 모든 면에서 우월하다(...)심지어 상점에서 사는 거라 구매까지 쉽다...
여담으로, 센티넬 PMC 돌파병(브리처)들이 대부분 이 산탄총을 들고 나오는데 2~3발 쐈다 싶으면 돌격하다가 장전한다고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며 플레이어 앞에서 멀뚱거리는 걸 볼 수 있다(...). 울브즈 돌파병은 저 행동을 하지 않고 재장전도 엄폐물 뒤에 숨어 비교적 조용히 장전하니 유의.(돌진할 때도 말을 잘 안한다. 하지만 헐떡거리는 소리는 들린다.)
5.3. SASG12
와일드랜드 플레이 보상으로 공개되었다. 청사진 수집으로 마리아의 상점에서 제작 할 수 있다. 소음기가 장비가능한 2자루의 산탄총 중 하나였으나 3.0.0 업데이트 이후 한동안 소음기 장착이 불가능했으나 다시 추가되었다.
좋은 산탄총이지만 무작정 연사하게 된다면 심각한 탄약 고갈에 시달리게 될 것이다. 거기에 손잡이를 껴도 화면이 흔들리면서 정신나갈 것 같은 반동은 덤.
따라서 일반 소총의 운용처럼 점사하거나 초근접에서 지항사격으로 쓸어버리는게 좋다.
5.4. RU12SG
완전 자동사격이 없어진 SASG12라 생각하면 좋다. 애당초 현실에서도 SASG12를 기반으로 개량한 물건이다.
확장탄창으로 12발이 장전되어 교전지속력이 높고, 여러 근접전에 유리한 조준기를 러시아제/서방제를 가리지 않고 끼울수 있다.
스텔스시엔 기관단총의 소음기가 근접해도 머리를 맞춰야한다는 부담감이 좀 있는 편인데 그 자리를 취항에 따라서 조용하고 확실한 원샷킬로 대체해주는 총이다. 무엇보다 산탄총치곤 매우 정숙해서 가끔 대놓고 앞놈을 쏴서 죽였는데 근처에 있던 적이 총소리를 못듣고 멀뚱멀뚱 서있기도 한다. 특히 스켈 테크놀로지 직원이 소음기소리를 들을 정도로 귀가밝은 편인데 그런 까다로운 적이 못 듣는 경우가 빈번하게 있다.
5.4.1. RU12SG Assault (☆)
골렘섬에서 설계도를 입수할 수 있다.
전체적 성능은 M4 shorty와 반대로 본체의 각 스택을 좀 깎고 사정거리를 늘렸다.
탄퍼짐은 아직도 좀 그런지라 안정적인 중거리킬은 힘든편. 허나 근거리는 원본과 달리 확실하게 원킬내는게 체감되긴 한다.
레일이 늘어 간지와 함께 부착물 선택지가 늘은 것은 덤
5.5. BOSG12 (☆)
레이드 컨텐츠 보스 케로베로스 처치 보상 샷건
레인보우 식스 시즈의 슬러그 탄환 장전 사양 그대로 등장했으며, 대인 저지력은 물론 두방은 기본으로 맞춰야 하는 장갑병의 헬멧과 무인 포탑도 한방에 처치가 가능하고 소형 쿼드콥터 드론과 UGV 드론 등 대 드론전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하지만, 산탄이 아닌 한발의 슬러그 탄환이라서 2발들이 장전만 되기 때문에 한발한발 정확히 명중시켜야 한다.
3.0.1 업데이트 이후인 지금은 레이드에 난이도 분화 기능이 생겨서 입수 난이도가 낮아졌다.
5.6. SPAS-12
터미네이터 콜라보레이션 일환으로 추가된 산탄총.
마리아의 상점에서 설계도를 통해 구입이 가능하다.
다만, 광학장비를 장착하는 레일이 방아쇠 손잡이 위가 아닌 전방 총신 앞에 있어 광학 장비를 장착하면 위치가 어색하게 보이는 단점아닌 단점이 있다.
5.7. ACS-12
미국산 완전 자동 사격 가능 산탄총으로, 마리아의 상점에서 15,000 스켈 크레딧으로 설계도 구매 가능하다.
데미지는 샷건중에 상당히 낮아 (1발에)전탄명중시 아슬아슬하게 1방이 나는 경우가 많고, 이 마저도 명중률이 심하게 낮아 그러는 경우를 보기 힘들다.
하지만...이것을 모두 상쇄하는 장점이 있으니..
그건 바로 정신나간 장탄수와 낮은 반동 그리고 완자동으로 산탄을 난사한다는 점이다.
확장탄창 사용시 32발이라는 KSG 샷건을 아득히 뛰어넘는 정신나간 장탄수를 자랑한다. 심지어 이걸 300RPM의 완자동으로 적에게 산탄의 비를 끼얹기 시작한다면 울브즈고 센티넬이고 뭐든 간에 근접전에서 황천길로 보내줄 수 있다.
다만, 지상 드론전에서는 산탄이라는 특성때문에 접근전을 시도해야하는 특성상 위험하기 때문에 사용을 추천하지는 않는다.(특히 베히모스한테는 로드킬 당한다...)
공중드론 한테는 지향사격으로 끼얹으면 좀 쉽게 격추 당한다. 잡기 힘들면 추천한다.
32발의 탄창을 빠르게 소모하기에 까다로운 탄창 관리만 빼면 좋게 쓰는 산탄총이다.
개개인에 따라 사소하게도 느껴질 수 있는 단점이 하나 있다면 개조 옵션이 풍부하지는 않다는 것. 경사형 전방 손잡이는 달지 못하고 측면에 조각 레일이 하나 있는데도 레이저를 붙일 순 없다.
5.8. M590A1
[image]
레인보우 식스 시즈의 콜라보로 등장한 산탄총.
원본은 M590 펌프액션 산탄총.
시즈와는 달리 레이저 부착물이 없는 대신에 기본 집탄률이 우수하고, 하단 손잡이 부착물과 총구 제동기 부착물로 반동이 매우 낮아진다.
펌프 액션임에도 펌프를 매우 빠르게 조작해 연사력은 M4 샷건 보다 약간 느린 정도로 빠르다. 다만 반동은 비교해서 조금 더 높은 대신에 반동회복이 준수하다. 반동이 좀 더 낮은 대신 회복이 떨어지는 M4 샷건과는 비교되지만 어처피 거기서 거기.
여담으로, 레인보우 식스 시즈에서 S.A.S팀 전원이 사용하는 샷건으로 애용 받는데 대처 역시 장비 할 수 있다. 그런데 트레일러에서는 장비 할 수 없는 M4 샷건을 들고 있는게 옥의 티.
기계식 조준기 모양이 시즈의 그것과 동일하다. 시즈에서 스모크나 뮤트로 기계식조준기를 장기하고 공사하던 사람 이 보면 상당히 반가울 것 이다.
고스트리콘 브레이크 포인트 게임이 등장한 뒤로 샷건을 상징하는 아이콘의 모습과 닮은 샷건이 M590이 등장하기 이전까지 없었다.
6. 저격소총(SR)
>강력하고 정확합니다. 인간형 적을 빠르게 처리하고 드론 약점에 큰 피해를 가합니다.
원거리의 적이 반격하기 전에 강력한 대미지를 넣을 수 있는 총기. 샤프슈터의 경우에는 철갑탄을 장착해서 대미지가 증가하고 장갑을 관통하는 특수탄을 사용할 수 있는 총기류 중 하나이다. 특히 저격소총들이 MK.3 업그레이드를 하면 드론 피해 증가 옵션이 생기고 드론에 추가대미지를 넣는 특전이 있는 등 원거리에서 소형 비행 드론 및 아즈라엘 정찰 드론을 한 방에 요격할 수 있는 어드밴티지가 있다. 다만, 브레이크포인트 엔진의 한계로 600m 이상에서는 적이 시야에서 사라지고 리셋되므로 저격소총의 적정 교전 거리는 300~580m 정도가 된다.
원거리의 적이 반격하기 전에 강력한 대미지를 넣을 수 있는 총기. 샤프슈터의 경우에는 철갑탄을 장착해서 대미지가 증가하고 장갑을 관통하는 특수탄을 사용할 수 있는 총기류 중 하나이다. 특히 저격소총들이 MK.3 업그레이드를 하면 드론 피해 증가 옵션이 생기고 드론에 추가대미지를 넣는 특전이 있는 등 원거리에서 소형 비행 드론 및 아즈라엘 정찰 드론을 한 방에 요격할 수 있는 어드밴티지가 있다. 다만, 브레이크포인트 엔진의 한계로 600m 이상에서는 적이 시야에서 사라지고 리셋되므로 저격소총의 적정 교전 거리는 300~580m 정도가 된다.
6.1. TAC-50
전작 와일드랜드에션 유료구매 무기였는데 여기서는 에레혼 근처 높은 산에 있는 중규모 센티넬 기지를 털면 설계도가 나온다. 기동성(조작성)이 떨어져 조준 속도는 느리지만 장거리 사격엔 안정적으로 흔들림이 덜하니 장거리사격 입문용으로는 꽤 좋으며, 양각대를 찾아 달아주면 주력으로 써도 된다.
6.2. M82
전작의 BFG-50이 아닌 진짜 M82의 등장이 확정되었다. 대물 저격소총의 본좌 바렛답게 대인에는 강력한 한방에 저격총 들 중 유일하게 반자동이라 적 여럿을 빠르게 처치할 수 있지만, 상단 반동이 심해 소음기를 포기하고 보정기를 장착하면 스텔스를 포기해야 하는 애로사항이 있으며 달 수 있는 부착물의 개수와 종류도 적다. 개조 가능한 부분이 총구와 조준경 뿐이기 때문. 여담으로, 웬만한 헬기나 차량은 2~3발, 쿼드콥터와 아즈리얼 대형 드론은 1~2발 안에 박살 내버리는 무시무시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여담으로, 타이탄 프로젝트 위협:중대 수준에서의 타이탄 제타 보스 케르베로스를 처치하면 M82/Cerberus 시그니처 무기+설계도를 드랍한다.6.3. Scorpio
트레일러와 E3 시연영상에서 바실리의 주무기로 공개되었다. Beretta Holding이 2017년 인수한 Victrix Armaments 사에서 개발된 저격소총이다. 지정사수소총 바리에이션이 있고, 그 지정사수 배리에이션인 스카웃 버전에는 다시 유비소프트 클럽 보상인 시그니처 무기가 하나 있다.
모델은 Scorpio TGT.6.3.1. Scorpio Scout
샤프슈터 클래스 레벨 10 달성 보상.
모델은 Scorpio TCT.
일반 모델과는 다르게 하부에 양각대를 설치 가능하여 반동을 줄일 수 있으며, 사격 후 재장전 속도가 빠르다. 그리고 앞서 말했듯 유비소프트 클럽에서 얻을 수 있는 버전이 있는데, 상위호환이다.
6.4. L115A3
6.5. HTI
전작에서 최강의 개인화기였던 위상이 여기서도 안 변했으며, 드디어 하부 레일 옵션이 생겨 양각대를 달아주면 더 안정적인 명중률이 나오기도 한다.
하지만 쏘고 나서 일일히 손잡이를 당겨줘야 하는 볼트액션 + 총알이 격발되어 날아가기 시작하는 약실이 방아쇠보다 뒤에 있는 불펍식이라는 장전속도 느려지게 하는 조합 때문에 설명대로 장전 및 재장전 시간이 꽤 느려터졌으니 빈틈 안 찔리게 조심해서 써야 한다.
6.6. Recon-A1
HTI에서 사거리과 공격력을 좀 낮추고 대신 조준 속도와 기동성(조작성)을 올린 총. 전작 와일드랜드처럼 들고 달리면서 여기저기서 쏴도 꽤 잘 맞던 그 성능이 여전하다.
6.7. Zastava M93
시그니처 무기로 울브즈 간부인 로즈버드를 처치하면 얻을수 있으며 적의 방어구를 무시하는 고유 특성이 있다. .338탄을 사용하며 적의 방어구를 무시하는 특성이 있는 만큼 장갑병 마저 단 한 발로 헤드샷킬을 할 수 있다. 다만 소음기를 부착할 수 없고 조준경과 도색을 제외하고는 다른 개조는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소음기를 붙이지 못해 잠입시 불편하지만 흔들림과 반동이 기가 막힐 정도로 적고 명중 판정이 후해서 빠른 조준만 할 수 있다면 굳이 1인칭이 아니라 3인칭으로 사격 해도 아주 잘 맞는다.
6.8. Paladin 9
마리아의 상점에서 20,000스켈 크레딧을 주고 설계도를 얻는 총으로, 소음기 기본장착에, 전용 조준경도 붙어있고, 짧은 총신 장착도 가능한 총. 탄창 크기는 안 그래 보이는데 .338 탄을 먹는다.
기본적으로 전용 조준경이 탑재되어 있는데, 조준점이 시옷 자 모양이라 불편할 수도 있다. 마리아의 상점에서 다른 조준경을 미리 사둔 상태에서 사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
저격총과 지정사수소총의 경계에 걸쳐진듯한 성능을 갖고 있다. 탄속이 느린 편이라 긴 총열을 달아도 아즈라엘 정찰기를 때려잡긴 어려우니 그 용도로는 차라리 다른 걸 쓰자.
7. 지정사수 소총(DMR)
>지정사수 소총은 가벼운 형태의 저격소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정거리와 위력은 뒤떨어지지만, 탄창 용량과 조작성으로 부족한 부분을 벌충합니다.
저격소총보다는 대미지와 사거리가 낮지만 일부 총기를 제외하면 단발로 제압하지 못한 적을 돌격소총 수준의 연발사격으로 탁월하게 제거할 수 있는 소총이다.
명사수 클래스는 지정사수 소총에도 철갑탄을 장전할 수 있기 때문에 철갑탄 3발의 대미지를 빠르게 한 곳에 집중해서 고정형 터렛과 같은 적에게는 큰 대미지를 줄 수도 있다.
현재 가장 심각한 문제가 있는데 건스미스 시스템과 명사수 클래스의 철갑탄 능력을 일정 행동을 하면 버그를 일으켜 장착 되는데 이게 버그를 일으켜서 무려 데미지 '''200 증가'''에 관통 효과 적용이라는 라는 미친 성능을 자랑하며[6][7] 레이드[8] 및 PvP에 악용되는 빈번한 사례가 펼쳐지면서 개발진이 2020년 6월 패치에서 너프를 시행했다. 또한 베헤모스의 약점 위주로 치면 '''한 탄창 이내로 잡아낼수 있는 위력을 선사한다.'''저격소총보다는 대미지와 사거리가 낮지만 일부 총기를 제외하면 단발로 제압하지 못한 적을 돌격소총 수준의 연발사격으로 탁월하게 제거할 수 있는 소총이다.
명사수 클래스는 지정사수 소총에도 철갑탄을 장전할 수 있기 때문에 철갑탄 3발의 대미지를 빠르게 한 곳에 집중해서 고정형 터렛과 같은 적에게는 큰 대미지를 줄 수도 있다.
7.1. Mk. 14
확장 탄창 들이가 겨우 15발이라 이제 연발로 들고 싸우기 힘들게 생겼는데 조정간에 연발 사격은 아직도 남아있다. 클로즈 베타에선 M82보다도 중장갑 적들에게 뛰어난 모습을 보여줬다.
7.1.1. Mk. 14 Assault (☆)
레이드 컨텐츠인 타이탄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골렘섬에 있는 검은색 스켈 상자에서 확률적으로 설계도를 얻거나 보스에게서 드롭된다.
대미지가 증가하고 돌격소총에 사용하는 조준기들을 장착할 수 있으며 하단 레일에는 유탄발사기까지 달 수 있다.
연발 사격 시 원래 반동이 강하던 Mk. 14 특유의 반동이 더 강화되어 연발 사격 시 반동을 제어하기가 상당히 힘들다.
7.1.2. Mk.14 터미네이션
터미네이터 시리즈 콜라보레이션 무기.
총구와 조준기가 전용 부착물을 따로 얻어야 하고 조정간은 단발 사격만 가능하다.
사격시 총구에서 푸른 섬광이 나타나며 뭔가 플라즈마 같은 파란 광선이 날아가지만 먹는 탄종 자체는 7.62mm 탄이다. 이 특수탄은 두 줄짜리 체력을 가진 터미네이터 T-800들을 유일하게 완전히 파괴할 수 있는 수단으로, T-800을 무엇으로든간 계속 때려서 외피 내구력을 다 깎아낸 다음, 외피가 부서져 가슴의 동력원이 노출되면 반드시 이것으로 붉게 빛나는 명치를 정면에서 쏘아야만 쓰러뜨릴 수 있으며, 다른 무기로는 어떤 것으로 때리던간에 넘어뜨릴 수는 있을지언정 피해를 줘서 파괴할 순 없다.
공격력과 관통력이 좋은데다가 드론에게 주는 피해도 높고 탄의 직진 거리도 길어서 굳이 T-800들 잡는데만 쓰지 않고 장거리 사격이나 스켈 테크놀로지 지상 드론들 부수기, 중화기병 때려잡기에도 좋다. 하지만 미래 기술로 마개조한 무기라서 그런지 총몸 옆과 아래쪽에 쇠붙이와 전선이 다닥다닥 붙어있기 때문에 하부 레일이 없어 손잡이나 양각대 등을 붙일 수 없고 전용 부착물만 붙일 수 있다. 그래도 기본적으로 총몸 위에 레이저 포인터가 하나 달려 있으니 조준 난이도는 제법 쉬운 편. 전용 폐쇄형 조준경의 경우, 조준점이 쐐기 모양이라 호불호가 갈릴 수 있다. 또한 소음기 착용이 불가능하니 주의할 것.
3.0.3 버전으로 업데이트되면서 필드에 T-800들이 나타나게 재설정하는 것도 가능해져 써먹을 일이 많아졌다.
7.2. G28
7.62mm 탄을 사용하는 지정사수소총중에서는 반동이 준수한편이지만 탄창이 15발이라는것이 큰 단점. 의외로 조정간에 3점사 기능이 있다. 연사속도가 빠르다곤 못 하니 근거리 대응사격 용도로는 약간 부적합할 수도 있다.
7.2.1. G28 SCOUT
7.3. SVD 63
총 자체는 독수리의 추락 1부에서 두번째 헬기를 찾고 옆에 있는 상자에서 얻을 수도 있다. 하지만 설계도는 베히모스 방어 지역을 털어야 한다.
7.4. FRF2
지정사수소총으로 분류되어 있는 총기이다. 지정사수소총에서는 대미지가 가장 강하지만 볼트 액션 방식의 총기라는 것이 함정. 연사가되거나 분당발사수가 빠른 대부분의 지정사수소총과는 다르게 오히려 저격소총을 사용하는 느낌을 불러오지만 대미지 자체는 저격소총보다 낮기 때문에 포지션이 애매한 총이다. 설계도는 MPX 설계도를 클리어 보상으로 주는 서브미션 "화력"을 진행하면 자연스레 들르는 웨일러즈 만 지역의 랜드 섀시 공장의 건물 내부 3층에서 얻을 수 있다.
7.5. OTs-03
[image]
사진은 러시아제 레드닷 조준기x G33이 부착되어 있다.
레인보우 식스 시즈의 콜라보로 등장.
연사속도가 심하게 느리나, 피해량이 상당히 높다.
소음기가 일체형으로 장착되어 있어 근중거리 지정사수로 운용할 때 좋다. 소음기의 데미지감소 패널티 없이 장거리용 무기를 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8. 권총(HG)
>권총은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지닌 예비용 무기입니다.
총기 특성상 배율을 지원하지 않아 100m 이내의 근접용으로 밖에 사용할 수 없는 무기이다. 권총 관련 특전을 사용하면 대미지를 늘릴 수 있긴 하지만 주무기 처럼 쓰는 것은 아무래도 저지력에 한계가 있다. 적을 생포한 상태거나 사다리를 오르거나 하는 특수한 상황에서 무기를 꺼내면 자동으로 권총을 사용한다. 에셜론 클래스의 챌린지를 완수하기 위해서는 탄창이 넉넉한 권총을 고르는 게 필수 권장된다.
총기 특성상 배율을 지원하지 않아 100m 이내의 근접용으로 밖에 사용할 수 없는 무기이다. 권총 관련 특전을 사용하면 대미지를 늘릴 수 있긴 하지만 주무기 처럼 쓰는 것은 아무래도 저지력에 한계가 있다. 적을 생포한 상태거나 사다리를 오르거나 하는 특수한 상황에서 무기를 꺼내면 자동으로 권총을 사용한다. 에셜론 클래스의 챌린지를 완수하기 위해서는 탄창이 넉넉한 권총을 고르는 게 필수 권장된다.
8.1. M9
8.2. USP Tactical
8.3. M1911
8.4. P227
8.5. 5.7 USG
데저트이글을 제외하고 .45나 9mm탄을 사용하는 다른 부무장들과 다르게 실제 모델이 5.7x28mm 전용탄을 쓰기때문에 비슷한 구경인 5.56mm 탄을 사용한다. 때문에 화력과 장탄수 여러면에서 다른 권총들을 압도 하지만 5.56mm 탄을 쓰는 돌격소총과 탄약을 공유하기에 같이 쓰기엔 좀 아쉬운편. 7.62mm 탄을 사용하는 주무장이나 권총탄을쓰는 기관단총을 같이 채용하자.
8.5.1. SC IS HDG
5.7 USG기반의 권총. 에피소드2에서 조우하는 샘 피셔가 사용한다. 동일하게 5.56mm탄을 사용하며 소음기 내장 타입으로 데미지 감소 패널티를 받지 않고 탄도도 피해량 및 관통력도 권총 치고 꽤나 우수하다. 은신 암살 후 보너스도 쏠쏠한 편이라 애셜론 플레이를 할 때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다. 마리아 상점에서 설계도를 구입할 수 있다.
8.6. P45T
8.7. P320
8.8. C-SFP
8.9. Desert Eagle
강력한 단발 대미지를 가지고 있지만 반동이 강하고 총구를 개조할 수 없어서 소음기를 사용할 수 없다.
8.10. PX4
8.11. F40
8.12. Sharp Thunder
워커 사살 시 얻을 수 있는 권총으로 Taurus 사의 992 버전을 기반으로 한 커스텀 권총으로 작중에서는 유일한 리볼버다.
8.13. Maxim-9
에셜론 클래스 업데이트로 추가된 소음기 내장형 권총. 에셜론 랭크10 달성 보상으로 설계도를 획득할 수 있다. 소음기 내장 모델이라 소음기의 패널티를 받지 않기 때문에 해당 패널티를 상쇄할 수 있는 흑표범이나 에셜론 외 클래스가 사용하기에도 좋다.
8.13.1. Maxim-9 | Echelon
에셜론 추가 패치에서 마리아 상점에 설계도가 추가된 Maxim-9의 커스텀모델. 스펙은 완벽하게 동일하지만 시그니처 무기 판정이라 총기색상을 변경할 수 없는 대신 도색이 벗겨지거나 해서 꼬질꼬질해지지 않는다.
총기 업그레이드도 따로 적용되니 유의.
8.14. Mk.23
45구경 탄을 먹는 권총. 소음기와 1점 레이저가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다. 소음기는 조준 중 해제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레이저는 제거 불가능.
여담으로, 고스트 리콘 브레이크포인트에는 메탈기어 시리즈에 대한 오마주 요소가 몇몇 있는데 Mk.23도 그중 하나이다.
8.15. Bailif .410
레인보우 식스 시즈와의 콜라보로 등장.
보조무기에 장비할 수 있는 '''산탄권총'''
산탄을 사용하기에 주무기를 AR,카빈류+지정사수소총, 저격소총류를 장비한 조합에서 근거리호신용으로 사용하기 좋다.
그렇지만 부착물이 아무것도 없어 스텔스시엔 봉인이나 마찬가지고, 기존 권총들 또한 확장탄창 부착물의 추가로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어서 입지는 그럭저럭인 편이다.
9. 발사기(GRL)
9.1. M-32 MGL
주무장으로 들수 있는 유탄발사기로, 무기 차체는 울브즈 기지에 가끔씩 놓여있기도 하고 설계도 획득 방법은 기술병을 10랭크까지 올리거나 터미네이터 콜라보레이션 이벤트를 클리어하면 된다.[9]
6발의 유탄을 연속으로 날리는데다 탄창에 들은 여섯발을 뺀 최대 휴대 탄약 갯수도 40개라 대놓고 전면전을 하는 상황에선 사기급 성능을 보여주지만 폭발물을 쏘기에 이걸 한발이라도 쏘면 잠입은 최소 반쯤 물 건너갔다고 보면 된다. 특히 발각되지 말라는 조건이 붙은 임무에선 당연히 사용 금지!
"유탄을 여섯 발씩이나 쏜다고?" 라며 대형 베히모스 상대로는 쓰지 말자. 장갑 해체는 잘 하지만, 의외로 피해는 별로 못 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베히모스 이외의 아몬이나 아임, 인큐버스 같은 중, 소형 지상 무인기들은 엄청 잘 잡는다. 터미네이터의 경우 직격하면 주춤거리거나 넘어뜨리게 하는 건 잘 하는데, 외피에 들어가는 피해량은 적고 폭발 이후 생기는 매연 때문에 조준이 어려워 비추천.
터미네이터 버전 시그니처 무기와 레이드 보상 버전이 또 따로 존재한다. 업그레이드 부품을 다 각자 따로 먹으니 부품 관리에는 유의.
그리고 아쉽게도 조준경을 다른 걸 붙이거나 하는 건스미스 개조는 불가능하다. 기술병 10랭크에 얻는 일반판은 도색 변경은 가능.
10. 커스텀 악세서리
10.1. 총구
- 표준 총구
>표준적인 총구로서 필요 시 소음기를 빠르게 장착할 수 있습니다.
소음기로 변경 할 수 있는 표준 총구로 기본 키 설정일 경우 T를 눌러 소음기 장착여부를 변경 할 수 있지만 소음기 장착이 불가능한 총은 이 기능을 쓸 수 없다.
소음기로 변경 할 수 있는 표준 총구로 기본 키 설정일 경우 T를 눌러 소음기 장착여부를 변경 할 수 있지만 소음기 장착이 불가능한 총은 이 기능을 쓸 수 없다.
- 소음기
>피해량을 희생하여 총기 소음을 극도로 억제합니다.
사용하면 소음을 크게 줄여주지만 대미지가 20%가 감소하는 패널티를 받는다.
그렇기 때문에 은신으로 한번에 처치하기 곤란한 베히모스나 골렘 섬의 보스급 드론을 상대할 때는 제거하고 상대하는 것이 좋다.
흑표범의 경우에는 고급 소음기 스킬을 획득하면 기관단총과 권총에 대해서는 소음기를 사용해도 패널티를 받지 않으며, 에셜론 클래스는 권총 한정이지만 기본적으로 소음기 패널티는 안 받는다.
사용하면 소음을 크게 줄여주지만 대미지가 20%가 감소하는 패널티를 받는다.
그렇기 때문에 은신으로 한번에 처치하기 곤란한 베히모스나 골렘 섬의 보스급 드론을 상대할 때는 제거하고 상대하는 것이 좋다.
흑표범의 경우에는 고급 소음기 스킬을 획득하면 기관단총과 권총에 대해서는 소음기를 사용해도 패널티를 받지 않으며, 에셜론 클래스는 권총 한정이지만 기본적으로 소음기 패널티는 안 받는다.
- 보정기
>수직 반동이 감소하는 대신 총구 섬광이 더 잘 보이게 됩니다.
어차피 이걸 낀 총은 조준 중에 소음기 장착을 못 하니 총구 섬광에 관한 이야기는 PvP 고스트 워 플레이 중이 아니라면 의미 없고, 좌우 반동을 은근 잘 잡기 때문에 소음기를 못 달아 잠입이 불가능한 총 또는 작정하고 전면전에서 쓸 총에다 달아주자.
어차피 이걸 낀 총은 조준 중에 소음기 장착을 못 하니 총구 섬광에 관한 이야기는 PvP 고스트 워 플레이 중이 아니라면 의미 없고, 좌우 반동을 은근 잘 잡기 때문에 소음기를 못 달아 잠입이 불가능한 총 또는 작정하고 전면전에서 쓸 총에다 달아주자.
- 소염기
>총구 섬광을 숨겨 연속적인 사격이 더욱 쉬워집니다.
설명 내용은 PvP 상황에선 어느 정도 맞을 수 있으나, 그 이외엔 의미가 없다. 반동을 조금 줄여주는 기능도 있긴 하지만 탄퍼짐을 줄여주는 것이라 반동 제어가 어려운 총에 달기엔 적합하지 않다.
설명 내용은 PvP 상황에선 어느 정도 맞을 수 있으나, 그 이외엔 의미가 없다. 반동을 조금 줄여주는 기능도 있긴 하지만 탄퍼짐을 줄여주는 것이라 반동 제어가 어려운 총에 달기엔 적합하지 않다.
- 제동기
>지향사격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내부 반동이 감소합니다.
3인칭 조준 상태에서 모든 방향 반동을 꽤 잡아주기는 한데 1인칭 조준 상태에선 일을 안 한다.
3인칭 조준 상태에서 모든 방향 반동을 꽤 잡아주기는 한데 1인칭 조준 상태에선 일을 안 한다.
- SOCOM 소형 소음기
일부 돌격소총들에게 달 수 있던 전용 소음기였으나 일반 소음기와 통합되었다.
- 컨트롤 쉴드
"제어 방패" 란 이름으로 추가된 부품들로, 556,762,338 구경에 쓰는 버전들이 제각기 다르지만 생김새는 같다. 성능 면에선 소염기와 같다.
10.2. 레일
- PEQ-15
>레일 레이저 조준기로, 지향사격 반동 관리가 쉬워집니다.
3인칭 조준 상태에서 모든 방향으로의 반동을 30%나 깎아주지만, 전작과는 달리 정밀 사격에는 하등 도움이 안 되어 문제다.
3인칭 조준 상태에서 모든 방향으로의 반동을 30%나 깎아주지만, 전작과는 달리 정밀 사격에는 하등 도움이 안 되어 문제다.
- ATPIALx3
>신속하게 적을 식별할 수 있는 3중 레이저 조준기입니다. 조준 속도와 정확성이 증가합니다.
탄퍼짐을 줄여주고 수평 반동도 어느 정도 잡아주기 때문에 쓸만해졌으나 레이저 포인터로서의 의미는 PEQ-15보다도 못하다.
탄퍼짐을 줄여주고 수평 반동도 어느 정도 잡아주기 때문에 쓸만해졌으나 레이저 포인터로서의 의미는 PEQ-15보다도 못하다.
- MAWL-DA
>고급 적외선 레이저로, 사정거리와 안정성이 증가합니다.
단점이 전혀 없고 장점이 세가지나 되는 뛰어난 레이저 조준기. 총기 옵션에 있다면 십중 팔구는 선택하게 된다. 하지만 레이저 포인터로서의 의미는 초록색인 거 빼면 PEQ-15와 차이가 별반 다르지 않으며, 얻으려면 에레혼에서 남쪽으로 멀리 떨어진 곳까지 멀리멀리 여행을 가야 하니 중간중간 야영지도 잘 찾아가고 플레이어의 현실 체력 관리도 좀 해주며 찾아야 한다. 그리고 의외로 이걸 붙일 수 있는 거 같이 생겼는데 아닌 총도 꽤 있다.
단점이 전혀 없고 장점이 세가지나 되는 뛰어난 레이저 조준기. 총기 옵션에 있다면 십중 팔구는 선택하게 된다. 하지만 레이저 포인터로서의 의미는 초록색인 거 빼면 PEQ-15와 차이가 별반 다르지 않으며, 얻으려면 에레혼에서 남쪽으로 멀리 떨어진 곳까지 멀리멀리 여행을 가야 하니 중간중간 야영지도 잘 찾아가고 플레이어의 현실 체력 관리도 좀 해주며 찾아야 한다. 그리고 의외로 이걸 붙일 수 있는 거 같이 생겼는데 아닌 총도 꽤 있다.
- 거리 측정기
>사거리를 증가시켜주지만 조준시간이 증가합니다.
사거리를 늘려주지만 조준시간이 증가하는 패널티가 있어서 에매한 편. 똑같이 사거리를 늘려주지만 장점만 가진 MAWL-DA가 더 많이 사용된다. 물론 저 초록 레이저를 못 쓰는 총도 은근 많이 있어서 경쟁력이 완전히 떨어지는 건 아니지만 입수하려면 베히모스 방어 지역을 털어야 한다는 게 압박.
사거리를 늘려주지만 조준시간이 증가하는 패널티가 있어서 에매한 편. 똑같이 사거리를 늘려주지만 장점만 가진 MAWL-DA가 더 많이 사용된다. 물론 저 초록 레이저를 못 쓰는 총도 은근 많이 있어서 경쟁력이 완전히 떨어지는 건 아니지만 입수하려면 베히모스 방어 지역을 털어야 한다는 게 압박.
- 레일 덮개
>기본적인 무기 레일입니다.
10.3. 조준경
- 접이식 조준기
>접을 수 있는 조준경으로, 장거리 사격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아이언 사이트. 광학조준이 전혀 안되는 대신 수직반동이 10% 감소되는 옵션이 붙어있다. 샷건처럼 어차피 근거리에서 사용하는 총기라면 1인칭 조준을 포기하고 3인칭 조준을 사용하면 간편하게 이득만 챙길 수 있다.
아이언 사이트. 광학조준이 전혀 안되는 대신 수직반동이 10% 감소되는 옵션이 붙어있다. 샷건처럼 어차피 근거리에서 사용하는 총기라면 1인칭 조준을 포기하고 3인칭 조준을 사용하면 간편하게 이득만 챙길 수 있다.
- COMPM4 조준기
>중거리 사격에 적합하며 조준점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전작에선 점 + 원 조준점을 쓸 때 1.5배 확대가 되는 기능이 있었는데 여기선 사라졌다.
전작에선 점 + 원 조준점을 쓸 때 1.5배 확대가 되는 기능이 있었는데 여기선 사라졌다.
- EXP3XG33 조준기
>거리에 따른 배율 전환이 가능한 홀로그래픽 근거리 조준기입니다.
전작보다 조준점과 조준원의 가시성이 늘어 쓰기 편해졌다.
가운데의 홀로그램 레드닷은 기본적인 EXP3와 달리 거리에 따라서 쏠 수 있게 3개의 작은 점이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나열되어 있다.전작보다 조준점과 조준원의 가시성이 늘어 쓰기 편해졌다.
자주 사용 하지는 않겠지만 보통 가운데 3개의 점 중 제일 위의 것을 보고 사용하게되나 거리가 멀어져 헤드샷을 노려야하는 상황인데 탄낙차가 심한 총기의 조준을 도와주게 된다.
사용법은 간단하다. 멀어질수록 아래의 점을 적에게 두고 쏘라.
도트가 탄낙차계산에 유리한 덕분에 유탄발사기를 장비한 총의 탄조준사격에서는 이만한게 없다.- 러시아제 레드닷 G33 조준기
>거리에 따른 배율 전환이 가능한 러시아제 레드닷 조준기입니다.
확대를 안하면 붉은 점 하나, 확대하면 가운데가 빈 T자 모양 조준점이 된다.
확대를 안하면 붉은 점 하나, 확대하면 가운데가 빈 T자 모양 조준점이 된다.
- 러시아제 Collimator 조준기
>중거리용 러시아 조준경입니다.
- 디지털 조준기
>중거리에서 장거리까지 사용 가능한 조준기입니다.
와일드랜드와 다르게 브레이크 포인트에서는 AR과 SMR 포지션의 교전 거리에 따른 패널티를 주기위해 2.5배율로 하향 되었지만, 이 후 패치로 2단계(1배율, 4배율)로 줌 조절이 가능해지며 배율 또한 상향되어 전체적으로 AR과 SMR이 상향된 셈. 눈금도 디테일해 AR, SMR 계열 총기에 부착하는 조준경 중에서는 가장 성능이 좋다.
와일드랜드와 다르게 브레이크 포인트에서는 AR과 SMR 포지션의 교전 거리에 따른 패널티를 주기위해 2.5배율로 하향 되었지만, 이 후 패치로 2단계(1배율, 4배율)로 줌 조절이 가능해지며 배율 또한 상향되어 전체적으로 AR과 SMR이 상향된 셈. 눈금도 디테일해 AR, SMR 계열 총기에 부착하는 조준경 중에서는 가장 성능이 좋다.
- 열영상 조준기
>모든 상황에서 유용하며 조준점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개방형 도트사이트로, 점 하나와 점 + 원 조준점을 쓸 수 있다. 전작과는 달리 중장거리 사격에 쓰기 어렵다. 그래도 조준시의 시야 개방 만큼은 이만한게 없긴 하다.
개방형 도트사이트로, 점 하나와 점 + 원 조준점을 쓸 수 있다. 전작과는 달리 중장거리 사격에 쓰기 어렵다. 그래도 조준시의 시야 개방 만큼은 이만한게 없긴 하다.
- EXPS3
>홀로그래픽 광학 조준기로 시야가 우수하며 조준점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하단이 좀 두꺼워 시야를 가리긴 하지만 조준한 범위내의 시야는 다른 조준기들 보다 조금 더 넓다는 특징이 있다.특히 레타클이 작은 붉은 점을 큰 원이 감싸는 형태여서 연사에 유리하기 때문에 근접 난전에 자주 쓰인다.
- MH1 조준기
>시야각이 우수한 저시야 열영상 조준경이며 조준점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보통 등장하면 홀대 받는 타 게임들과 다르게 시야도 넓고, 레타클을 EXP3처럼 감싸는 원 형태로도 바꿀 수 있는 데다 마리아의 상점에서 쉽게 구매까지 가능한지라 수요가 상당히 있다. 그래도 근거리 조준기가 기관단총,샷건을 제외하면 잘 안쓰이는 지라 보기는 힘든편이다.(특히 EXPS3 x G33이라는 조합의 올라운더가 같이 상점에서 파는지라 존재감이 더 묻힌다.)- 러시아제 레드닷 조준기
>조준점과 V자형 셰브론의 영점이 다르게 잡히는 러시아제 레드닷 조준기입니다. 조준점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특이하게 조준점을 변경하면 조준했을 때 보는 거리가 달라진다. 기본은 도트를 가까이서 보지만 변경하면 근접전을 대비해 앞으로 조준기를 조금 멀리에 두는 것 처럼 보게되어 주변 시야가ㅈ확보된다. 큰 차이는 아니더라도 하부가 생각보다 두껍기에 MH1이나 열영상 조준기처럼 호불호가 심하게 갈린다- MICROT1 조준기
>조준 위치와 실제 위치의 차이가 적은 소형 레드닷 조준기입니다.
생각보다 조준기가 두꺼워 주변시야를 가린다. 쉽게 시야가 확보되는 COMPM4에 밀리는게 현실.
생각보다 조준기가 두꺼워 주변시야를 가린다. 쉽게 시야가 확보되는 COMPM4에 밀리는게 현실.
- ACSS 조준기
>다용도 고출력 조준경으로, 장거리와 근거리 모두에서 유용합니다.
ACOG다. 배율이 고정되어 있어 여러 상황에 대응하기 어려우나 디지털 조준기의 시야를 가리는 두꺼운 조준선이 싫다면 이것도 나쁜 선택지는 아니다. - 듀얼 레인지 조준기
>조준기 장거리용 조준기와 레드닷 조준기를 전환하며 사용할 수 있습니다.
DMR이라면 자주쓰게 된다. 배율로 주준했을 때 좌측이 유리덮개에 가려지는 단점이 있다. 그래봤자 배율이라서 신경 안쓰겠지만.- 러시아제 장거리용 조준기
>장거리용 러시아제 조준기입니다.
- 러시아제 장거리용 FOV 조준기
>시야각이 넓은 장거리용 조준기입니다.
- TARS101
>눈금이 여러 개인 장거리용 조준기입니다.
- SLX 5 SIGHT
- LEUPOLD
>동급 최고의 시야를 제공하는 홀로그래피스코프입니다.
조준 시 프레임이 얇고 시야각이 넓기 때문에 가장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지만 사용할 수 있는 총기가 제한되어 있다.
조준 시 프레임이 얇고 시야각이 넓기 때문에 가장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지만 사용할 수 있는 총기가 제한되어 있다.
- VC16
10.4. 총신 하부
- 러시아제 수직 전방 손잡이
>수평 반동 보정을 희생하는 대신 수직 반동 보정과 조준 시간을 확보합니다.
- PTK 경사형 전방 손잡이
>조준 시간이 빨라지고 수직 반동이 감소하지만 수평 반동이 심해집니다.
- SHIFT 경사형 짧은 손잡이
>다른 부분의 희생 없이 조준 시간이 소량 향상됩니다.
- AFG-2 경사형 전방 손잡이
>재장전 속도와 안정성을 희생하는 대신 조작성과 조준 시간을 확보합니다.
- STFG 경사형 손잡이
>수평 반동 보정을 희생하는 대신 조준 시간과 기동성을 확보합니다.
- 양각대
>조준 시간을 희생하는 대신 사정거리와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 SHIFT 수직 전방 손잡이
>다른 부준의 희생 없이 수직반동 보정이 극소량 향상됩니다.
- 손잡이 받침대
>가동성을 희생하는 대신 사정거리와 수직 반동 보정을 확보합니다.
- 둥근 경사형 전방 손잡이
>조작성을 포기하여 조준 시간을 단축하고 안정성을 챙겼습니다.
- RVG 수직 전방 손잡이
>재장전 시간과 수평 반동 보정을 희생하는 대신 최고 수준의 수직 반동 보정을 확보합니다.
- 경량 수직 전방 손잡이
>안정성을 희생하는 대신 기동성 및 수직 반동 보정을 확보합니다.
- 총신 하부 유탄 발사기
>총신 하부에서 폭발물을 발사합니다. 사용 여부를 전환할 수 있습니다.
반동이 잘 잡히는 소총류에서는 크게 티가 안나지만 원래부터 반동이 큰 총기에 부착할 경우 흔들림이 크게 증가해서, 중거리 조준 연사는 포기해야 한다. 다만 그 만큼 다수의 적을 섬멸하거나 차량, 헬기 등에 큰 피해를 가할 수 있는 유탄이라는 메리트가 있으니 취향 것 고르자.
반동이 잘 잡히는 소총류에서는 크게 티가 안나지만 원래부터 반동이 큰 총기에 부착할 경우 흔들림이 크게 증가해서, 중거리 조준 연사는 포기해야 한다. 다만 그 만큼 다수의 적을 섬멸하거나 차량, 헬기 등에 큰 피해를 가할 수 있는 유탄이라는 메리트가 있으니 취향 것 고르자.
- 총신 하부 산탄총
기간동안 레인보우 식스 시즈 콜라보 이벤트를 클리어하면 획득 가능하다.
10.5. 탄창
- 표준 탄창
>표준 탄창입니다.
전작은 소형탄창 자리였지만 본작으로 넘어오며 확장탄창부품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따라 대형탄창의 이름이 확장탄창으로 바뀌고 기존 탄창의 이름이 소형탄창으로 변경되었다.
전작은 소형탄창 자리였지만 본작으로 넘어오며 확장탄창부품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따라 대형탄창의 이름이 확장탄창으로 바뀌고 기존 탄창의 이름이 소형탄창으로 변경되었다.
- 소형 탄창
>장탄수가 적은 대신 재장전이 빠릅니다.
- 확장 탄창
>장탄수가 많은 대신 재장전이 느립니다.
조금 신중하게 선택해야한다. 대부분의 총기에서 확장 탄창을 사용할 경우 수직 반동이 증가하기 때문에 반동이 잘 잡히는 총기에 사용하거나 조작성 옵션을 챙겨서 패널티를 상쇄시키는 것이 추천된다.
조금 신중하게 선택해야한다. 대부분의 총기에서 확장 탄창을 사용할 경우 수직 반동이 증가하기 때문에 반동이 잘 잡히는 총기에 사용하거나 조작성 옵션을 챙겨서 패널티를 상쇄시키는 것이 추천된다.
[1] 기어 레벨은 어디까지나 특정 지역을 공략하기 위해 순서를 잡아주는 용도이다. 패널티가 있지만 순서를 무시하고 진행하는것도 가능하다. 다만 패널티가 큰 편이라 난이도가 상당히 올라가기 때문에 높은 난이도에 대한 도전심을 가진게 아니라면 공략하려하는 지역에 레벨을 맞추는 것이 좋다. 장비 레벨이 많이 나는 지역의 적들에게 공격받으면 쉴새없이 부상이 나고 큰 대미지가 들어오며 이 격차가 줄어들면 들어오는 대미지는 줄어들고 주는 대미지는 높아지며 부상률도 낮아진다.[2] 패치로 15%에서 올랐다.[3] 레이드에 등장하는 보스급 드론들에게는 드론 대상 피해 증가 옵션의 위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큰 효과를 보기 어렵다. 물론 없는것 보다는 데미지가 더 들어가는게 약간 체감은 되는 정도. [4] 총기 설명에서는 반동을 희생했다고 써 있지만 실제로는 반동도 꽤 잘잡혀있다.[5] Massoud 전투소총[6] 레이드 보스전에 돌입시 고정으로 '''500'''[7] 철갑탄 효과도 적용돼서 헤비를 '''부위 상관하지 않고 한방 컷'''을 내버린다.[8] 케르베로스와 스켈양자 컴퓨터를 제외한 모든 타이탄을 '''혼자서''' 박살낼수 있는 수준이다. 물론 가고일을 제외한 나머지 팀원들의 어그로가 필요하지만. 케르베로스는 3개에다가 서로 일정거리 가까워 지면 체력회복도 하고 체력을 깎을수 있는 배터리가 닫혀서 이걸 들어도 혼자서는 못깬다. 스켈양자 컴퓨터도 2명 이상이 반드시 필요하다.[9] 단, '터미네이션'이라는 시그니처 무기로 증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