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원군
1. 개요
府院君
후기 고려 왕조와 조선 왕조에서 사용한 작호(爵號).
본래 군호는 주나라의 천하관에서 유래 된 것으로 천자가 제후(오등작)를 봉하고 제후는 가신(군호)을 봉했다. 고려 말, 원의 제후국으로 강등되면서 군호만을 사용하게 되었고 군호는 군, 대군, 부원군, 부원대군으로 세분화 되었다.
이후 조선 왕조는 부원대군을 삭제하고 부원군을 남겨 임금의 장인인 국구 또는 친공신(親功臣)에게 봉했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친공신과 왕비의 아버지에게는[1] 정1품 군으로 봉하며, 특별히 ‘부원’ 두 자를 첨부하여 ‘부원군’으로 호칭하도록 법제화했다.
2. 작명법
봉건제였던 주나라는 제후가 가신을 봉할 때 가신의 영역을 봉해주었다. 먼 이후 봉건제가 없어지고 형식적인 봉지(封地) 제도만 남았고 그것을 이어 받은 조선 왕조에선 부원군 앞에 받는 사람의 본관을 붙였다. 예를 들어 받는 사람의 본관이 남양인 경우 '남양부원군'으로 칭하는 식. 형식상 본관을 봉지(封地)로 떼주는 것이다.
부원군이 2명 이상이고 본관도 같을 경우 다른 글자나 본관의 옛날 명칭을 붙여서 구별하였다. 예를 들어 받는 사람의 본관이 경주인 경우 경주의 옛 이름인 '오성(鰲城)'[2] , 오흥(鰲興) 등으로 칭하고, 안동의 경우 옛 지명인 영가(永嘉)[3] 를 따서 영흥부원군, 영원부원군, 영풍부원군으로 칭했다.
3. 조선의 부원군
3.1. 국구
- 거창부원군[A] - 신승선(연산군의 장인)
- 경은부원군[B] - 김주신(숙종의 장인)
- 금성부원군[C][4] - 박용(인종의 장인)
- 상산부원군[5][6] - 강윤성(태조의 장인)
- 광성부원군[7] - 김만기(숙종의 장인)
- 달성부원군[8][9] - 서종제 추봉(영조의 장인)
- - 광해군 폐출 뒤 추탈.
- 반성부원군[C] - 박응순(선조의 장인)
- 상당부원군[D][10] - 한명회(예종, 성종의 장인.정난 1등공신, 좌익 1등공신, 익대 1등공신, 좌리 1등공신. 영의정 역임.)
- 서평부원군[D][11] - 한준겸(인조의 장인)
- 신풍부원군[12][13] - 장유 추봉(정사공신, 효종의 장인)
- 안천부원군[14] - 한경 추봉(태조의 장인)
- 여량부원군[15][16] - 송현수(단종의 장인), 세조 2년 단종복위운동으로 추탈, 후에 숙종 때 추증.
- 여성부원군[E] - 민치록 추봉(고종의 장인)
- 여양부원군[E] - 민유중(숙종의 장인)
- 여은부원군[E] - 민태호 추봉.(순종의 장인)
- 여흥부원군[E] - 민제(태종의 장인)
- 연흥부원군[17] - 김제남(선조의 장인)
- 영안부원군[F][18] - 김조순(대제학, 영돈녕부사 역임. 순조의 장인)
- 영원부원군[H][19] - 윤호(성종의 장인)
- 영은부원군[F][20] - 김문근(철종의 장인)
- 영흥부원군[F][21] - 김조근(어영대장, 주사대장 역임. 헌종의 장인)
- 오흥부원군[B][22] - 김한구(영조의 장인)
- 월성부원군[B][23] - 김천서 추봉(정종의 장인)
- 익창부원군[A] - 신수근(중종의 장인) - 중종반정 공신들이 연산군의 처남이란 이유로 사사, 딸 단경왕후 폐위와 함께 작호를 받지못하다 1739년 (영조15년) 추증.
- 익풍부원군[24] - 홍재룡(헌종의 장인)
- 청릉부원군[G] - 심강 추봉(명종의 장인)
- 청원부원군[H] - 김시묵 추봉(정조의 장인)
- 청은부원군[G] - 심호 추봉(경종의 장인)
- 청천부원군[G] - 심온(세종의 장인)
- 청천부원군[D] - 한백륜(예종의 장인. 익대공신3등, 좌리공신2등)
- 청풍부원군[H] - 김우명(현종의 장인.)
- 파산부원군[I] - 윤지임(중종의 장인)
- 파원부원군[I] - 윤여필(중종의 장인)
- 파평부원군[I] - 윤번 추봉(세조의 장인)
- 한원부원군[25] - 조창원(인조의 장인. 영돈녕부사 역임.)
- - 연산군 폐출 뒤 추탈.
- 함원부원군[26] - 어유구(경종의 장인)
- 해녕부원군[27] - 김희철 추봉.(선조의 장인, 공빈 김씨의 아버지, 광해군의 외조부, 영돈녕부사 추증)
- 해풍부원군[28] - 윤택영(순종의 장인)
- 화산부원군[F][29] - 권전(문종의 장인)
- 풍은부원군[30] - 조만영(익종의 장인)
3.2. 공신
- 견성부원군 - 이사철(당시 우의정, 좌익공신 2등)
- 경림부원군 - 김명원(당시 우의정, 평난공신 3등)
- 고령부원군 - 신숙주(당시 1품관, 정난공신 2등)
- 고양부원군 - 신준(당시 좌참찬, 정국공신 3등)
- 곡산부원군 - 연사종(당시 판중군도총제부사, 개국원종공신 등)
- 광릉부원군 - 이극배(우의정, 좌익공신 3등)
- 광창부원군 - 이이첨(선무원종공신 등, 인목왕후 폐모)
- 광천부원군 - 이극증(익대공신 2등)
- 낙흥부원군 - 김자점(당시 좌의정, 정사공신 1등)
- 남양부원군 - 홍달손
- 남원부원군 - 황수신(좌익공신 3등. 관직은 영의정에 이르렀다.)
- 능성부원군 - 구치관(좌익공신 3등. 관직은 영의정에 이르렀다.)
- 덕풍부원군 - 이순신 추봉(선무공신 1등, 좌의정 추증)
- 철성부원군 - 박혁충(이조전서, 한림원시강, 태자첨사, 공신)
- 이괄의 난으로 삭훈되었다. 계해정사록과 연려실기술의 기록에 의하면 이괄이 철성군(鐵城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포로로 사로잡힌 박영서가 이괄에게 너는 부원군으로서 부원수를 겸하였는데 무엇이 부족하여 반역할 생각을 했냐며 꾸짖은걸 보면 부원군에 봉해진걸로 보인다.
- 동래부원군 - 정난종(이시애의 난 평정)
- 무령부원군 - 류자광(정국공신 1등)
- 무성부원군 - 윤형(광국공신 2등)
- 봉원부원군 - 정창손(좌익공신 2등, 익대공신 3등. 영의정 역임.)
- 상락부원군 - 김사형(당시 좌정승, 개국공신 1등)
- 상락부원군 - 김질(영의정 역임. 좌익공신 3등, 좌리공신 2등)
- 서성부원군 - 한확(당시 우의정, 정난공신 1등)
- 서원부원군 - 한계미(이조판서 역임. 좌익공신 3등, 좌리공신 2등)
- 서원부원군 - 정탁(당시 좌의정, 호종공신 3등)
- 선성부원군 - 노사신(익대공신 3등, 좌리공신 2등)
- 안성부원군 - 이숙번(좌명공신 1등)
- 연성부원군 - 박원형(이시애 난,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좌익공신 3등)
- 연창부원군 - 김감(정국공신 2등)
- 영가부원군 - 권율 추봉(선무공신 1등, 영의정 추증)
- 영산부원군 - 김수온(좌리공신 4등, 대광보국숭록대부 호조판서, 영중추부사)
- 완풍부원군 - 이서 추봉(정사공신 1등, 영의정 추증)
- 인산부원군 - 홍윤성(영의정 역임. 정난공신 2등, 좌익공신 3등, 좌리공신 1등.)
- 장흥부원군 - 마천목(좌명공신 3등)
- 장흥부원군 - 류순정(정국공신 1등)
- 진산부원군 - 하륜(영의정 역임. 정사공신 1등, 좌명공신 1등)
- 진산부원군 - 강맹경(좌익공신 2등)
- 진원부원군 - 류근(호성공신 3등)
- 창녕부원군 - 조석문(영의정 역임. 좌익공신 3등, 적개공신 1등, 익대공신 3등, 좌리공신 1등)
- 청성부원군 - 한치형(영의정 역임. 좌리공신 3등)
- 청천부원군 - 류순정(영의정 역임. 정국공신 1등)
- 파평부원군 - 윤필상(영의정 역임)
- 평성부원군 - 신경진(영의정 역임. 정사공신 1등)
- 평양부원군 - 박석명(좌명공신 3등)
- 풍원부원군 - 류성룡(광국공신 2등, 호성공신 2등, 영의정 역임.)
- 하동부원군 - 정인지(당시 좌의정, 정난공신 1등)
- 하성부원군 - 정현조(익대공신 2등, 좌리공신 1등)
- 한산부원군 - 조영무(당시 우정승, 정사공신 1등 등)
- 한천부원군 - 조온(당시 참찬의정부사, 좌명공신 4등)
- 한평부원군 - 조연(당시 판좌군부사, 좌명공신 4등)
- 해은부원군 - 오명항(분무공신 1등)
- 해원부원군 - 윤두수(광국공신 2등)
- 해평부원군 - 윤근수(광국공신 1등)
- 화천부원군 - 심정(당시 좌의정, 정국공신 3등)
- 흥녕부원군 - 안경공(당시 집현전대제학, 개국공신 3등)
3.3. 기타
- 상당부원군 - 이애(태조의 딸 경신공주의 남편)
- 용원부원군 - 조인벽(태조의 누이 정화공주의 남편)
- 홍양부원군 - 석양선 추봉(태조의 이모부)
- 금천부원군 - 박은
- 길창부원군 - 권남
- 능천부원군 - 구수영
- 덕평부원군 - 기자헌
- 문성부원군 - 류자신
- 반성부원군 - 박응순
- 봉녕부원군 - 이복근
- 연흥부원군 - 김제남
- 서녕부원군 - 정인홍
- 서원부원군 - 이거이
- 서원부원군 - 한상경
- 성산부원군 - 배극렴
- 성산부원군 - 이직
- 승평부원군 - 김류
- 아성부원군 - 이산해
- 양평부원군 - 허준
- 연릉부원군 - 이호민
- 연성부원군 - 이석형
- 연양부원군 - 이시백
- 연원부원군 - 이광정
- 연평부원군 - 이귀
- 영가부원군 - 김수동
- 영성부원군 - 최항
- 영천부원군 - 윤사로
- 영평부원군 - 최흥원
- 예천부원군 - 권중화
- 원평부원군 - 원두표
- 오성부원군 - 이항복
- 오흥부원군 - 김한구
- 옥성부원군 - 장만
- 완남부원군 - 이후원
- 완산부원군 - 이천우
- 완성부원군 - 최명길
- 완원부원군 - 이양우
- 완평부원군 - 이원익
- 옥천부원군 - 유창
- 운성부원군 - 박종우
- 의령부원군 - 남재
- 익평부원군 - 이석근
- 인성부원군 - 정철
- 창산부원군 - 성희안
- 창녕부원군 - 성석린
- 철성부원군 - 이원
- 청성부원군 - 심덕부
- 청성부원군 - 정탁
- 청성부원군 - 김석주
- 청원부원군 - 심기원
- 청평부원군 - 이백강
- 청풍부원군 - 김우명
- 칠원부원군 - 윤자당
- 파천부원군 - 윤사흔
- 평성부원군 - 박원종
- 평양부원군 - 조준
- 평양부원군 - 김승주
- 평양부원군 - 조대림
- 풍성부원군 - 이기
- 풍원부원군 - 조현명
- 하동부원군 - 정인지
- 한성부원군 - 이계전
- 함종부원군 - 어세겸
- 해원부원군 - 윤두수
- 해평부원군 - 정미수
- 화산부원군 - 장사길
3.4. 사후 추봉
- 금성부원군 - 박용 추봉(인종의 장인.)
- 남원부원군 - 황희 추봉(아들 황수신의 공에 의함)
- 내산부원군 - 정사 추봉
- 능안부원군 - 구사맹 추봉(인조의 외조부. 좌찬성 역임.)
- 전성부원군 - 이준 추봉(영의정 추증)
- 달천부원군 - 서미성 추봉
- 완산부원군 - 추수경 추봉
- 평원부원군 - 원준량 추봉
- 풍산부원군 - 류중영 추봉(아들 류성룡의 봉군에 의함, 영의정 추증)
- 청릉부원군 - 김좌명 추봉(영의정 추증)
- 연성부원군 - 이정화 추봉(아들 이귀의 공에 의함, 영의정 추증)
- 연성부원군 - 이말정 추봉(아들 호조판서 이숙기가 적개공신(敵愾功臣) 1등에 녹훈됨에 따라 이말정은 연성부원군에 봉해짐과 동시에 종1품의 의정부좌찬성에 증직되고 평정(平靜)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 풍릉부원군 - 조문명 추봉(정조가 진종을 추존하며 추봉됨)
- 영풍부원군 - 홍봉한 추봉(사위 사도세자가 왕으로 추존되면서 추봉됨.)
- 완령부원군 - 이경록 추봉(아들 이서의 봉군에 의함)
- 의춘부원군 - 남이흥 추봉
4. 가상인물
[1] 왕비의 어머니의 경우는 외명부 정1품 부부인에 봉한다. 단, 대군(왕의 적자)의 부인도 부부인이라고 한다.[2] 경주 이씨인 이항복의 호로 알려진 '오성'이 바로 이것이다. 참고로 이항복의 호는 '오성'이 아니라 '백사(白沙)'이다. 이항복이 받은 작위인 '오성부원군'의 오성이다.[3] 영가부원군은 권율이 받았다[A] A B 본관 거창.[B] A B C 본관 경주.[C] A B 본관 반남.[4] 금성은 반남이 속해있는 나주의 별칭이다.[5] 본관 곡산.[6] 상산은 곡산의 별칭이다.[7] 본관 광산.[8] 본관 대구.[9] 달성은 대구의 옛 별칭이다. 오늘날 달성군에 이름의 흔적이 남아있다.[D] A B C 본관 청주.[10] 상당은 청주의 옛 이름이다. 현재 상당구란 이름에 그 흔적이 남아있다.[11] 서평은 청주의 다른 이름이다. 현재 서평 사거리, 서평 1길의 이름에 그 흔적이 남아있다.[12] 본관 덕수.[13] 신풍은 덕수가 속해있는 풍덕군(현재 개풍군 남부 지역)에서 따왔다.[14] 본관 안변.[15] 본관 여산.[16] 현재 익산시 여산면[E] A B C D 본관 여흥.[17] 본관 연안.[F] A B C D 본관 안동.[18] 영안은 안동의 옛 지명 영가에서 따왔다.[H] A B C 본관 청풍.[19] 영원은 파평의 다른 이름이다.[20] 영은 역시 안동의 옛 지명 영가에서 따왔다.[21] 영흥 또한 안동의 옛 지명 영가에서 따왔다.[22] 오흥은 경주의 다른 이름이다.[23] 월성은 경주의 옛 이름이다.[24] 본관 남양.[G] A B C 본관 청송.[I] A B C 본관 파평.[25] 본관 양주. 한원은 양주의 다른 이름이다.[26] 본관 함종.[27] 본관 김해. 해녕은 김해의 다른 이름이다.[28] 본관 해평.[29] 화산은 안동 하회마을 부근의 산이다.[30] 본관 풍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