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팔트 8: 에어본/차량/S클래스

 



1. 개요
7. Mercedes-Benz Silver Lightning[1]
9. 추가된 차량
9.4. Chrysler ME412
9.6. SSC Ultimate Aero XT
9.9. 9FF GT9 VMAX
9.11. HTT Plethore LC 750
9.14. Cadillac 16 Concept
9.17. Renault Sport R.S. 01
9.18. TRION NEMESIS
9.19. Devel Sixteen Prototype
9.20. Mosler Super GT
9.21. Weber Faster One
9.23. W Motors Fenyr Supersport[2]
9.24. 2015 GTA Spano
9.25. GT by Citroen
9.27. Mosler Land Shark
9.28. Arash AF10
9.30. McLaren MP4-31
9.33. Arrinera Hussarya GT
9.35. Vanda Electric Dendrobium
9.43. Koenigsegg CCXR Trevita
10. 바이크
10.2. Aprilia Tuono V4 1100 RR my2017
10.3. Kawasaki Ninja H2R
10.4. Lightning LS-218
11. S 클래스 차량의 표기속도와 실제속도
11.1. S 클래스 차량
11.2. S 클래스가 아닌 차


1. 개요


아스팔트 8:에어본에 등장하는 차량들중 S클래스 소속 차량을 소개하는 문서.
각 차량 표의 '''기종'''에는 프로키트 튜닝에 필요한 '''엔진'''을 넣어주시면 되겠습니다.(일반 등급, 희귀 등급, 전설 등급)­ 엔진카드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빈칸''' 또는 다른 '''수식어'''를 넣고 전기자동차는 엔진이 필요할 경우 '전기자동차(필요 엔진)'을 넣으시면 되겠습니다.
*아스팔트8의 경우 이전 시리즈와 달리 '''니트로 효율'''이 게임 내 차량 스펙에 표기되어있지 않다. ('니트로'는 말 그대로 니트로를 켰을 시 올라가는 속력을 의미하기 때문에 많은 입문자들이 착각하곤 한다.)
따라서 문서에 차량마다 니트로 효율 스펙이 따로 추가되어있다.
표기된 숫자는 1초당 소모되는 양(퍼센티지)을 표기한 것이다. (예를 들어 5면 초당 5%가 줄어드므로 20초간 지속되는 걸 의미함.)
해당 수치가 낮을수록 니트로 효율이 높은 차량이라고 해석하면 된다.
드리프트 반경은 (맥스프로기준)무니트로상태의 60%일때의 반경과 무니트로상태의 100%일때의 반경을 표시해 놓았다.[3][참고]

2. Lamborghini Veneno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80

2.05

1.51

1.31
'''최고 속도'''(km/h)
355.8

375.8

390.3

395.8
'''핸들링'''(Gs)
1.220

1.270

1.306

1.320
'''니트로'''(km/h)
+25.1

+38.6

+47.9

+51.4
'''니트로 효율'''(%)

1단
6
2단
12
3단
16
'''드리프트 반경'''(m)


60%
20.4

100%
56.7
'''랭크'''
1481

1600

1680

1709
'''라이벌'''
''' → Mclaren F1 XP-5
Ferrari FXX Evoluzione'''­
'''가격'''
'''1,100 토큰'''
'''MAX업 비용'''
'''417,50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5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12개
한때 아마추어 S클래스에서 GTA 스파노와 양대산맥을 이루는 차량이었다가, 그 컵에 에볼루치오네가 추가되면서 에볼루치오네에 밀려났다.
실제로는 3대[4]밖에 찍어내지 않았기 때문에 매우 희귀하고, 또한 '''람보르기니의 최고 성능을 가진 작품'''이다. 이전에 라이칸 하이퍼스포트가 더 비싸단 언급이 있었지만, 라이칸은 37억 원, 베네노는 로드스터가 약 61억 원으로, 이 쪽이 더 비싸다. 2014년 기준으로 가장 비싼 차는 경매가 3백억 원이 넘는 1962년의 페라리 250 GTO이다.[5]
업데이트 하면서도 아벤타도르가 추가되지 않는걸 보면 아벤타도르 대신 나온듯했으나 돈독 오른 겜롭이 1.9 업데이트에 아벤타도르를 내보내면서 꿔다논 보릿자루가 되었다.
참고로 동일랭크인 B클래스의 케플러 모션과의 대결에서 장렬히 패배했다.(...) 최근에 나온 B클래스인 홀덴 쿠페나 메르세데스 AMG GT3은 라이칸까지 터는 차량이니 훨씬 더 안습해질 것이다. 또 2.7.0 신차 B클래스 팔콘의 완벽한 하위호환이다. 팔콘이 베네노보다 니트로 연비, 가속, 최속, 드리프트 모든 면에서 베네노보다 더 좋다.
도색은 기본색인 회색과 이탈리아 국기의 녹-백-적을 의미한다.
확실히 가성비도 성능도 준수한 축에 속한다. 더불어 기본 S 클래스의 차량 중 니트로의 연비와 추가 속도가 가장 높다. 하지만 호불호가 갈리는 차량 중 하나다.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서 '''S클래스 초반에 가끔 쓰는 애매한 차량'''이라고 하는가 하면, '''이것만 있어도 S클래스 커리어는 모두 깬다'''는 사람도 있다.
S클래스의 차량들 대부분이 구라성능, 즉 실제 수치보다 표기되는 속도가 높은데 베네노는 이러한 차들 중 실제 수치와 표기와 일치하는 몇 안되는 차량들 중 하나다. 이렇게 괜찮은 차가 안타깝게도 극초창기엔 32,000 크레딧, 초반엔 5만 크레딧이었던 가격이 언제부턴가 14만 크레딧으로 급상승 해버렸다. GTA 스파노도 가격이 올랐다.(...) 이후 업데이트가 되면 더 오를것 같다.
[image]
아제라 R, 스파노 두 대와 함께 게임의 타이틀을 장식했다.
참고로 차들중에 앞체가 제일 많이 나왔다. 실버 라이트닝처럼 커브길이나 구석에 플랫 스핀할때 벽 쪽을 조심하자. 근데 시즌9 맵이 코트다쥐르(모나코)... 어디가나 차량이 많이 나온다. 조심하자. 1분 30~40초사이에 4,500~4,800 크레딧이니 노가다보단 재미삼아 하는게 좋다.
프로업까지 다 하면 멀티플레이에서 아주 강력한 성능을 보였지만, 랭크가 1750을 넘는 차량이 대거 출시된 지금은 3등도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다가 카 마스터리가 생기면서 '''숨겨진 크레딧 파머로 부활했다.''' 맥라렌 P1, 675LT, 라이칸 하이퍼스포트 등 챌린지 15에서 고효율 파밍을 할 수 있는 차량은 몇 대 있지만, 이 차는 앞의 차들과 비교할 때 효율이 크게 떨어지지도 않으면서, 그 아까운 '''엔진과 어드밴스드 테크를 안 써도 프로 업이 되는 차'''이기 때문에 상당히 실용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다. 15챌린지 짤짤이는 알프스 맵으로 55초~1분 사이에 5900 내외의 짭짤한 크레딧을 얻을 수 있다. 생각보다 짧고 쉬운 트랙이라서 실격할 걱정을 크게 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업데이트 이후 중립차량들이 생겨서 무결점이라 한번 부딪히면 실격이다. 대신 그런 점에서 부딪히지 않게 신경써준다면 요긴하게 활용할 수 있으니 컨트롤 연습 스테이지로 써도 좋을 듯.
그러나 3.3.0 이후 1100 '''토큰'''으로 가격이 올랐다. 다행히 파밍, 커리어 모두 베네노 대신 Ferrari FXX Evoluzione를 쓸 수 있으므로 큰 걱정은 안 해도 된다.
여담으로 마스터리15에서 레이스 완료후 자동주행으로 놔두면 터널입구를 들이받고 죽는것을 반복한다.

3. GTA Spano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90

2.13

1.57

1.35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376.6
(365.8)

400.1
(388.7)

417.2
(405.3)

423.6
(411.5)
'''핸들링'''(Gs)
1.250

1.300

1.336

1.350
'''니트로'''(km/h)표기
(실속)
+20.6
(20.0)

+30.9
(30.0)

+38.4
(37.3)

+41.2
(40.0)
'''드리프트 반경'''(m)


60%
18.4

100%
51.2
'''니트로 효율'''(%)

1단
9
2단
14
3단
18
'''랭크'''
1495

1610

1686

1713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150,000 크레딧'''
'''MAX업 비용'''
'''417,50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5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8개
'''엔진'''
'''V10 엔진''' 4개
'''아마추어 S클래스'''에서 랭크는 베네노보다 더 높지만 타임어택에선 약간 밀린다.
'''스파니아 GTA'''사에서 생산하는 유일한 모델. 닷지 바이퍼의 V10엔진을 마개조하여 전용 엔진을 개발해 얹었다. 앞 범퍼 그릴을 보면 빨간 글씨로 '''GTA'''와 '''Spano'''가 쓰여 있다. 핸들링이 상당히 좋은 편이라 게이트 드리프트 용으로 쓸 수 있지만, 좀 불안하게 플레이 해야 한다. 정말 차가 휙휙 돌아간다. 페라리 FXX 에볼루치오네의 하위 호환 격.
그런데 A클래스의 존다 풀업에 노말 스파노가 떠서 스파노가 발렸다.
차량 마스터리 보상이 상당히 좋은데 S클래스 무료 업그레이드권을 무려 '''2개'''나 준다!!
실제 차량은 '''99대''' 한정 생산, 가격은 대당 7억 5000만원.

4. RUF CTR 3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3.20

2.35

1.73

1.49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386.6
(370.2)

410.4
(393.0)

427.8
(409.6)

434.3
(415.8)
'''핸들링'''(Gs)
1.250

1.300

1.336

1.350
'''니트로'''(km/h)표기
(실속)
+19.4
(18.6)

+29.1
(27.9)

+36.1
(34.6)

+38.8
(37.2)
'''니트로 효율'''(%)

1단
9
2단
14
3단
19
'''드리프트 반경'''(m)


60%
17.7

100%
49.2
'''랭크'''
1506

1616

1689

1715
'''라이벌'''
'''Lamborghini Veneno'''­
'''가격'''

→ '''판매불가'''
'''MAX업 비용'''
'''417,50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5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8개
'''엔진'''
'''F6 엔진''' 8개
'''아마추어 S클래스'''의 최고랭크 차량.
본작에서 RUF사의 2번째이자 마지막 차량. 같은 집안의 A클래스인 RT 12 S보다 가격이 싸다... 전작과 옆동네에 나온 RUF CTR 옐로버드는 RT 12 S와 닮았으나, 이 녀석으로 바뀌어 나오면서 생김새가 변했다. 핸들링이 상당히 부드럽다. 조향이 잘되지만 에볼루치오네처럼 너무 휙휙 도는 것도 아니다. 판매 불가가 되기 직전에 75,000 크레딧으로 할인이 있었다.
개인미션(파괴)의 별 한가지의 조건이 좀 괴랄한데, 파손없이 20대 파괴이다. 그렇기에 별 5개를 한꺼번에 따기 상당히 어렵다.

5. Ferrari FXX Evoluzione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50

1.83

1.35

1.17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407.8
(373.0)

435.9
(398.7)

456.3
(417.3)

464.1
(424.5)
'''핸들링'''(Gs)
1.200

1.250

1.286

1.300
'''니트로'''(km/h)표기
(실속)
+18.8
(17.1)

+28.1
(25.7)

+34.9
(31.9)

+37.5
(34.3)
'''니트로 효율'''(%)

1단
10
2단
15
3단
20
'''드리프트 반경'''(m)


60%
15.6

100%
43.4
'''랭크'''
1510

1625

1700

1727
'''라이벌'''
'''Lamborghini Veneno­
Bugatti 16.4 Grand Sport Vitesse'''
'''가격'''
'''200,000 크레딧'''
'''MAX업 비용'''
'''417,50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5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12개
그 유명한 페라리의 서킷 전용 슈퍼카.
게임 초창기때의 가격은 22만 크레딧이었다. 하지만 가격이 20만 크레딧으로 하향된 덕분에 베네노대신 이 차를 구입하는사람도 있다. 그 이유는 높은 최고속도 때문이다. 베네노를 MAX로 풀업해도 420km/h가 안되는 반면, 이 차는 1단계씩만 업그레이드를 해도 430km/h가 나온다. 그러나 이는 '''구라스펙으로 판정났다.''' 그냥 베네노를 사는 편이 낫다는 뜻. 그나마 엔진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차량중에서 성능이 가장 좋다. 비록 구라속력이긴 하나 이놈만 잘 굴려도 S클래스를 전부 공략할 수도 있다.
게임 상에서는 니트로 연비가 매우 조악하지만 드리프트 성능이 최고이고 핸들링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6] 다른 차들이 드리프트를 해야 도는 정도로 이 차는 0.5초 정도 핸들을 돌려 이루어내기 때문에 커브를 마주치면 긴장이 될 정도다... 그 특성상 베니스, 테네리페 같은 세밀한 조작이 필요해지는 맵에서는 초보자들이 다루기는 어렵다.
그러나 섹터 8에서는 마지막 코너에서 드리프트를 인코너로 해서 비슷한 랭크의 차량을 모조리 쓸어버릴 수 있다.[7] 웬만한 코너는 굳이 드리프트하지 않더라도 공략 가능하지만 굳이 드리프트를 한다면 미칠듯한 속도로 감싸고 돌아서 코너 안쪽 벽에(...) 들이받는 괴이한 경험을 할 수 있다. 때문에 이 차는 다른 차 쓸때처럼 긴 드리프트를 하면 안 된다. 120도 커버를 돌라고 했더니 '''150도 커브를 돌아서''' 벽에 들이박고 파손되는 일이 발생하기 때문... 짧은 드리프트 정도로도 좋다. 익숙해지면 그 분 부럽지 않은 속도로 코너를 주파할 수 있다.
무난한 가격에 유명한 페라리여서 구입하다간 수치에 비해 '''놀라운 커브와 과장된 드리프트'''에 놀라게 된다. 드리프트는 차체가 잘꺾이지만 전진은 제자리 수준으로 그냥 커브로 승부 봐야한다. ㄱ자 코너에 끊어치기엔 문제 없지만 장거리 드리프트시 손실되는 속도가 크고 심하게 꺾이는 모습에 컨트롤하기 힘들다. 차체도 가벼워서인지 언덕길에 잘뜨고 바람에 휩쓸릴거 같은 커브와 드리프트 때문에 종잇장같은 느낌이 많이든다. 점프대에 방향을 맞추는데도 민감한 커브때문에 톡톡 쳐주면서 아주 세밀한 조작이 필요. 드리프트시 니트로를 누르면 순간적으로 나오다 끊어지는 경우가 많다. 드리프트 끊어치기에 니트로 지속이 잘 안된단 소리.
시즌9 단독 커리어는 런던 1분 15초 내외로 4,700~4,900 사이의 크레딧이 나온다. 좋은 노가다가 될 지도 모른다.
챌린지 15 1위 보상은 '''6000크레딧'''이다. 맵은 만리장성 B. 랩타임이 짧은 트랙이라 노가다로서는 두말할 나위 없이 좋은 레이스지만 만리장성 B는 커브가 많아 좀 난이도가 있는 트랙인데 무결점 레이스라 까딱하면 시간만 날릴 수도 있다. FXX 자체가 주행 난이도가 있는 차량이기도 하고. 챌린지 14는 네바다 5500크레딧이므로 15가 부담스럽다면 14를 노려볼 수도 있다.
675LT를 사기 전 예비 크레딧 파밍 차량으로 쓰면 좋다.
로컬 Wi-Fi 멀티플레이 시에 가지고 있는 S클래스 차량이 없을 경우엔 무료로 시승할 수 있었다. 지금은 벌칸 노업상태(랭크 1220)로 바뀌었다.
A클래스가 없다면 2016 카마로 SS 노업, B클래스가 없다면 혼다 인테그라 노업, C클래스가 없다면 레인지로버 이보크 노업, D클래스가 없다면 닷지 다트 노업상태를 체험할 수 있다. 다만 D클래스는 맨 처음 시작시 닷지 다트가 기본 차량으로 나온다.
여담으로 제작진이 공을 많이들였는지 실제 차량 엔진음과 매우 비슷한 전용 엔진음이 나고 모델도 여러파츠로 구성되어 파손장면이 실감난다.
오토바이의 등장으로 이 차량의 핸들링이 쨉도 안 되는 수준으로 떨어져버렸다.

6. Bugatti 16.4 Grand Sport Vitesse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60

1.91

1.40

1.21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409.4
(374.4)

435.9
(398.7)

455.2
(416.3)

462.5
(423.0)
'''핸들링'''(Gs)
1.180

1.230

1.266

1.280
'''니트로'''(km/h)표기
(실속)
+20.3
(18.6)

+30.5
(27.9)

+37.8
(34.6)

+40.6
(37.1)
'''니트로 효율'''(%)

1단
9
2단
14
3단
19
'''드리프트 반경'''(m)


60%
19.9

100%
55.3
'''랭크'''
1521

1633

1707

1733
'''라이벌'''
'''Lamborghini Veneno­
Ferrari FXX Evoluzione'''
'''가격'''
'''300,000 크레딧'''
'''MAX업 비용'''
'''417,500 크레딧'''
'''부품 카드'''
불필요
'''고급 테크'''
불필요
'''엔진'''
'''W16 엔진''' 36개
이전작베이론 대신에 등장했다. 상위 클래스라는 점은 전작과 동일. '''루키 S클래스'''에서 페라리 FXX와 경쟁하지만 FXX의 압승. 라이칸의 하위호환이다.
맥스프로+튜닝키트 사용기준으로 표기스펙은 가속력 1.21초 니트로합속 503.1km이지만 실제속도는 460.1km에 불과하고 최속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무려 5초를 넘는다.
이 차와 A클의 폭스바겐 W12 이 두차는 프로 업그레이드에 부품카드나 테크카드를 요구하지 않고 전설급 W16엔진만 먹는데, 이녀석보다는 폭스바겐 W12에게 먹이는것이 나았'''었'''다. 하지만 신차가 추가되면서 폭스바겐 W12도 P4,675LT가 나오면서 콩라인을 지나 중위권에 접어들었으며 이제는 폭스바겐 W12나 부가티나 상황이 비슷해져서 뭘 먼저하든 상관이 없어졌다. 신기한 것은 폭스바겐 W12나 부가티나 성능이 거의 비슷하다.
둘 다 무쓸모지만(...) 굳이 쓸모를 따지자면 폭스바겐 W12는 멀티 이벤트에서 몇 번 최고차량으로 등장한 적이 있고, 부가티가 이벤트에서 최고차량으로 나온건 딱 한번이였다.
사실 쓸모를 따지고 자시고를 떠나서 엔진카드 요구량에 비해서 드랍률이 매우 낮기 때문에 풀업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W16 엔진은 엔진상자 등으로 특별판매조차 하지 않는데, 한다고 쳐도 살 이유가 없으니.... 포덕엔진을 60개나 쳐먹는 네메시스보다 풀업이 어렵다. 네메시스급의 차량을 두세대(...) 풀업하고 나서야 풀업을 완성할 수 있으니, 무과금 유저라면 깔끔하게 포기하고 손도 대지 않는 쪽을 추천한다.
원래는 로드스터였는데 무슨 이유인지 모르지만 게임속 모델은 뚜껑(...)이 장착 되어있다.
당당히(...) 아스팔트 8 최악의 차 5위로 꼽혔다.

7. Mercedes-Benz Silver Lightning[8]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90

2.13

1.60

1.38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410.9
(375.8)

432.8
(395.8)

447.8
(409.6)

453.9
(415.1)
'''핸들링'''(Gs)
1.150

1.200

1.234

1.248
'''니트로'''(km/h)표기
(실속)
+25.0
(22.9)

+37.5
(34.3)

+46.1
(42.2)

+49.5
(45.3)
'''니트로 효율'''(%)

1단
7
2단
13
3단
17
'''드리프트 반경'''(m)


60%
20.0

100%
55.6
'''랭크'''
1542

1647

1714

1740
'''라이벌'''
­'''Koenigsegg Agera R'''­
'''가격'''
'''300,000 크레딧'''
'''MAX업 비용'''
'''417,50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6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8개, '''어드밴스드 테크''' 8개
'''엔진'''
'''일렉트릭 엔진''' 12개
베네노, 675LT를 사기 전 노가다로 최강의 차량이다. 베네노, 675LT를 프로업하려면 시간이 좀 걸리기 때문에 초보자들은 실버 라이트닝을 맥스업하면 좋다. 단, 실버 라이트닝은 시즌 9(맥스업)에서 논다.
아스트랄한 디자인으로 차고 구경 온 사람들을 벙찌게 만든 메르세데스-벤츠의 컨셉트카이자 최강의 전기 차량. 실제로는 게임과 다르게 스티어가 조절되는 모습을 볼 수 없다.
게임 내 성능은 무난한 편이나 추가 차량들한테 밀렸다. 전기차중에서도 니트로 연비가 빵빵한데다가 기본 핸들링은 좀 딸리지만 드리프트가 매우 잘돌아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바이옴과 정 반대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핸들링 특성상 니트로 아이템 챙기기가 고단해서 점프로 해결해야 하는데 차체가 길어서 플랫 스핀이나 배럴 롤을 하기는 다소 어렵다(...).
수치와는 별개로 어째 가속력이 나쁘다는 평이 대다수. 초반 가속이 굉장히 느린건 사실이지만 후반가속이 '''정말정말 빠르다.''' 니트로 없이도 빠른 가속이 가능한 수준.
오른쪽 바퀴(?)옆에 깨알같이 '''No Step'''(밟지 마시오)이 보인다(...). 도색을 빨간색으로 바꾸면 사라지지만 데칼로는 안 없어진다.
시즌 9 전용 미션에서 50초대에 4700-4900대의 크레딧을 벌 수 있다. 시간대 가격비로는 손꼽히는 노가다 차량이다. 마스터리 15 노가다보다 떨어지만 맥스업만으로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초반 노가다로도 어느 정도 적합. 두바이 역방향이다.

8. Koenigsegg Agera R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3.00

2.20

1.64

1.42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439.3
(382.9)

467.2
(407.3)

486.8
(424.3)

494.4
(431.0)
'''핸들링'''(Gs)
1.220

1.270

1.305

1.319
'''니트로'''(km/h)표기
(실속)
+19.7
(17.1)

+29.5
(25.7)

+36.4
(31.7)

+39.1
(34.1)
'''니트로 효율'''(%)

1단
10
2단
15
3단
20
'''드리프트 반경'''(m)


60%
20.3

100%
56.4
'''랭크'''
1545

1651

1719

1744
'''라이벌'''
'''Mercedes-Benz Silver Lightning
W Motors Lykan Hypersport'''­
'''가격'''
'''425,000 크레딧'''or '''2,375 토큰'''
'''MAX업 비용'''
'''417,50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9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8개, '''어드밴스드 테크''' 20개
'''엔진'''
'''포스드 인덕션 V8 엔진''' 16개
기본 S클래스 차량의 (스펙 상으로는) 최고성능 차량.
2013년 아스팔트 8 초기 차량인데 표기상으로는 맥스+프로업 니트로 최고속도가 533km/h(실제속도는 약465km), 게임 출시 당시 프로업 시스템이 없을땐 맥스+튜닝키트업시 표기속도로 대략 508km정도(실제속도는 약443km)이 나왔다. 물론 '''뻥스펙'''이다. 투아타라 나오기 이전부터 게임 내부에서 차의 성능을 과장시키려고 뻥스펙이 존재했다는 증거이다.
일단 뻥스펙이라도 출시 초기, 라이칸이 나오기 전까지는 속도는 가장 빨랐다. 니트로 지속시간이 에볼루치오네만큼 극악이긴 한데, 라이벌 실버 라이트닝이 전기차라 니트로 지속시간이 중상위권 이상은 먹는다는게 문제. 또, 프로업할때 전설등급 어드밴스드 카드를 20장이나 먹으며 포덕 V8을 16개나 먹는 이 차를 프로업시키는 것은 엄청 비효율적이다.
가속력이 딸리는 것이 제일 큰 단점인데, 가속력에 크게 신경 쓰지 않는 사람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가속이 느린데다가, 드리프트 시 속도 손실이 상당히 커서 드리프트 후 최속으로 재가속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때문에 코트다쥐르처럼 커브가 많은 맵에서 드리프트를 막 해대다가는 실버 라이트닝에게 발린다....[9]
다만 코너링도 준수한데다 남들 니트로 수준의 속도를 기본속도로 갖고 있으므로 일단 최고속도에 도달하기만 한다면 다른 차량은 따라올 방법이 거의 없'''었'''다. 신차 업데이트 후에는 옛말이 되었지만...
최고의 성능을 뽑아내려면 다른 최고속도 몰빵 차량과 비슷하게[10] 니트로는 가속용으로 아끼고 드리프트는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 쉽게말해 아스팔트에서 리얼레이싱을 해야 한다. 익숙해지면 비슷비슷한 성능과 맞붙는 멀티플레이에서도 꽤나 선전할 수 있지만 재미가 없다... 게다가 한 번 실수해서 속도를 잃으면 그냥 게임을 포기해야 한다.
여담으로 마스터리 15가 언플러그드 알프스 역방향으로 노가다 하기에는 제격이지만 이를 한 번에 일등으로 완주하기가 상당히 난감하다. 극악의 니트로 효율과 초반 가속 덕분에 1등으로 치고나가는 동랭크의 차를 따라잡기가 상당히 버겁다.
참고로 현실과는 안드로메다급으로 이미지가 다른데, 원래 가속도로 먹고사는 차다. 가장 가속력이 좋은 양산차로 기네스북에 도전했을 정도. [11]
[image]
[image]
로딩 화면에서의 단독 샷으로, 전륜을 크게 확대 해 놓은 샷과 기아나에서 달리는 샷이 있었지만, 버전이 올라가면서 사라졌다.

9. 추가된 차량



9.1. Pagani Huayra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3.25

2.35

1.73

1.49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372.7
(351.5)

385.0
(363.1)

393.6
(371.2)

397.0
(374.5)
'''핸들링'''(Gs)
1.270

1.320

1.356

1.370
'''니트로'''(km/h)표기
(실속)
+39.4
(37.2)

+59.1
(55.7)

+73.4
(69.2)

+78.8
(74.3)
'''니트로 효율'''(%)

1단
7
2단
11
3단
14.5
'''드리프트 반경'''(m)


60%
14.9

100%
41.4
'''랭크'''
1509

1623

1701

1730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420,000 크레딧'''
'''MAX업 비용'''
'''417,50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6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8개, '''어드밴스드 테크''' 8개
'''엔진'''
'''V12 엔진''' 8개
파가니 와이라 컵 보상으로 추가된 차량. 가속력이 특히 좋은 편이지만 기본 속도가 좀 달리고, 그 좋은 가속력조차 아래의 라이칸에게 넘겨주고 말았다.
라이칸의 단독 런칭 동영상에서나 투아타라 단독 영상에서나 계속 부숴지는 걸 보면 은근히 동네북 취급인 모양이다.
42만 크레딧의 가격에 MAX업 비용까지 합해도 84만 수준이라 엄청 싸지만 그만큼 성능이 안좋다.
조금만 더 모으면 라이칸이라서 존재감이 별로 없다.[12] 이 차량이 눈에 띄는 부분은 가속력, 니트로속력과 드리프트이다. 전체적인 성능을 고려할 때 RUF, 스파노와 비슷하게 나온다. 니트로 의존성이 높은 차량임에도 불구하고 니트로 연비가 라이칸,코닉원 수준의 연비이다. 순간적인 속력증가를 즐기기엔 니트로가 오래가지 않는게 흠, 제대로 성능을 내볼려면 추가탱크와 니트로를 채우고 사용하자. 단 핸들링수치는 상위권에 속하며 실로 드리프트와 커브가 뛰어나다. 정말 안정감 있는 드리프트는 부드럽고 매끈하게 꺾이니 니트로로 빠져나가면 속이 시원해질정도. 여러모로 재미있는 차량이니 크레딧값은 충분히 충족 시킬 수 있다.
9시즌 단독 커리어에 1분이내에 4,800~4,900 크레딧을 얻을 수 있다.
실제로 이 차량은 앞뒤로 플랩이 있는데 그런 거 없는 아스팔트에서는 작동하는 모습을 볼 수가 없다. 데칼도 칙칙한 흑백, 점박이나 어울리지 않는 것들 뿐이다. 그나마 200토큰짜리가 위로해준다.
실제론 와이라가 존다보다 조금 더 빨라서 와이라가 이긴다. 베네노와 성능이 비슷하다.

9.2. W Motors Lykan Hypersport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80

2.05

1.65

1.44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395.3
(361.5)

421.9
(385.9)

436.2
(398.9)

443.5
(405.6)
'''핸들링'''(Gs)
1.220

1.270

1.297

1.311
'''니트로'''(km/h)표기
(실속)
+32.8
(30.0)

+49.2
(45.0)

+58.1
(53.1)

+62.6
(57.3)
'''니트로 효율'''(%)

1단
6
2단
12
3단
16
'''드리프트 반경'''(m)


60%
18.8

100%
52.3
'''랭크'''
1518

1655

1723

1756
'''라이벌'''
'''Koenigsegg Agera R'''­
'''가격'''
'''3,500 토큰'''
'''MAX업 비용'''
'''417,50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12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16개, '''어드밴스드 테크''' 20개
'''엔진'''
'''F6 엔진''' 16개
중동 레바논의 슈퍼카 회사인 W 모터스에서 제작한 차량. 엔진 자체는 RUF CTR 3의 수평대향 6기통을 사용한다. 어찌보면 포르쉐의 엔진기술도 살짝 들어 있는 셈.[13] W모터스의 홈페이지에서는 아예 대놓고 협력업체가 RUF라고 말하고 있다. 위키정보 그러니까 분노의 질주 7에서 그 신의 눈 보관되어 있던 그차 맞다.
실제 차량은 7대 한정 생산이라는 말도 안되는 희귀도를 자랑한다. 원체 헤드라이트는 다이아몬드고 가죽 좌석은 금삐까니 안 비싸면 이상한거다(...)
부가티보다 느리면서 상위 호환(...)이다.
최대 성능으로 '''당대 최강'''[14]의 가속력 D클의 마쯔다 RX8도 이 엔진소리를 공유한다. 덕분에 상위권 유저의 '''기본'''차량으로 자리잡았다. S클래스 상위급 중에서도 최고 속도는 낮은 편이지만 적절한 니트로 덕분에 타임어택 용으로 애용되곤 한다.
그야말로 온몸으로 극강의 퍼포먼스를 뽐내는 차. 당시 신차 집중조명 동영상의 첫스타트를 끊음과 동시에 이목이 집중되었다. 이 차량을 내건 토너먼트에서 최종순위의 자릿수가 확 줄어들 정도로 수많은 버그 사용자가 잘려나갔었을 정도.[15]
이렇게 유저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은 걸 제작진도 알고 있는지, 모든 차량을 통틀어 얘 혼자 전용커리어가 2개다(시즌4,시즌8에 각각 하나씩) 거기다 새로 추가된 아제라와의 라이벌 구도까지 생각하면 '''무려 3개의 전용미션'''을 보유한 유일한 추가차량. W모터스 측에서도 이걸 잘 알고 있는지 자기네 차 홍보하는 데 아스팔트를 아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W모터스 공식 페이스북에 들어가 보면 자기 차 자랑하는 '''전 세계의 아스팔트 유저'''로 득시글득시글(...)
투아타라 컵 직전에 33만 크레딧으로 세일을 했다. 여담으로 투아타라가 등장하면서 콩라인이 될 뻔 했으나 막상 투아타라가 뻥스펙임이 밝혀지면서 여전히 최강 자리를 지켰다. 현재는 얼티메이트 에어로, 헤네시 베놈, 코닉세그 원, VMAX, 네메시스, 벌칸의 등장으로 최근 멀티에서 입지가 많이 좁아진 상태. 아니, 이젠 멀티에서 멸종된 수준이다. 특히 프로 키트 업그레이드도 제대로 안된 상태일때는 멀티에서 계속해서 추월 아니면 넉다운을 당하게 되는데 이게 지겹다면 최소 튜닝키트는 꼭 구입하길 바란다.[16]
코닉세그 원이나 헤네시 베놈, 네메시스을 사자니 가격이 너무 높고[17], 투아타라를 사자니 가격에 비해 너무 뻥스펙이라 라이칸을 사게 되는 유저들이 많다.
특징이라면 밸런스있는 스펙인데 특히 직관적이고 단단한 느낌의 드리프트가 있다. 끊어 치기에 적절한 드리프트이니 코너가 나오면 2~30m이내에 끊어 치자 장거리 드리프트는 텁텁한 맛이 있으니 주의.
시즌9 단독 커리어에선 1분20~30초내에 4,700~4,900크레딧이 나온다. 어쩌다 5,000 넘길때도 있다. 노가다엔 적절하지 못하니 순수한 레이싱을 즐기려는 레이서의 자세로 그냥 재미로 하자. 트랙이 도쿄라 익사이팅하니 다른 차량이 질릴때면 남 다른 스릴을 즐길 수 있다.
마스터리 챌린지 15 두바이 언플러그드 모드에서 50초 내외 6,050 크레딧 이상을 벌 수 있다. 그러나 잘 나오지 않는 F6 16개이기에 프로업이 좀 어렵다는 점은 있다.
[image]
로딩 화면에서의 단독 샷으로 노을 진 바르셀로나를 달리는 게 있다.
게임로프트의 업데이트 떡밥 사진의 모델이 되었다. 아스팔트의 만년애마 인증.
그리고 1.8 업데이트 이후부터 람보르기니 가야르도와 함께출석 이벤트를 장식하게 되었다.
아쉽게도 토큰화의 제물이 되고 말았다.

9.3. SSC Tuatara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50

1.83

1.35

1.17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443.3
(380.1)

463.3
(397.2)

477.8
(409.7)

483.3
(414.4)
'''핸들링'''(Gs)
1.250

1.300

1.336

1.350
'''니트로'''(km/h)표기
(실속)
+28.3
(24.3)

+42.5
(36.4)

+52.8
(45.3)

+56.7
(48.6)
'''니트로 효율'''(%)

1단
7
2단
12
3단
17
'''드리프트 반경'''(m)


60%
19.5

100%
54.2
'''랭크'''
1561

1659

1725

1749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750,000 크레딧'''
'''MAX업 비용'''
'''2,328,00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13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16개, '''어드밴스드 테크''' 20개
'''엔진'''
'''포스드 인덕션 V8 엔진''' 16개
아스팔트 8의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차량으로, 이놈을 시작으로 차량의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았고 뻥스펙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본격 뻥스펙의 아이콘
5월 12일 전용 컵을 통해 얻을 수 있게 된 미국의 슈퍼카 제조업체 SSC(셸비 슈퍼카즈)에서 제작한 슈퍼카. 서로 닮았다고 생각된 건지 도마뱀의 이름이 붙었다.[18]
월드 와이드 컵 타이틀에서 살짝 모습을 비췄는데... 사실은 월드와이드 컵 이전에도 몇 번 모습을 드러냈었다. 다만 그 당시는 투아타라가 나온다는 이야기도 없었고 투아타라를 쓰는 AI가 워낙 하위권에서 노는지라 대부분의 유저들은 이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5월 24일 투아타라 컵과 함께 구입이 가능해졌는데 가격이 자그마치 95만 크레딧이다. 거기에 차량 업그레이드 비용도 기존의 S랭크 차량보다 다섯 배나 비싸서 풀업하는 비용만 해도 차 값보다 더 깨진다. 그래서인지 컵 기간 동안 투아타라 한정으로 업그레이드 비용을 28% 할인하는 이벤트를 열었다.
수치 상의 성능은 '''코닉세그 아제라 R의 ''''''속도''' + '''W 모터스 라이칸의 가속력''' + '''페라리 FXX 에볼루치오네의 핸들링'''을 적절히 조합한 형태....였으나 뻥스펙이라고 결론이 났다. 수치상으론 라이칸을 아득히 뛰어넘어야 했는데,[19] 정작 출시후 비교하니 라이칸을 전혀 따라잡지 못해서[20] 뻥스펙 논란이 수면위로 올라왔다... 맨 밑의 비교표를 보면 맥스프로 튜닝키트 상태의 니트로 속도만 봤을때 아제라보다 느린 수준이다. 수치만 보고 흥분해서 구입하는 일은 없도록 하자. 일단 스펙상으로는 만능최강차량인데 뻥스펙으로 최고속도를 제한하다보니 먼치킨 B클래스한테도 밀리며 이도저도 아닌 차가 되어버렸다.
B클래스의 Holden Coupe 60과 Mercedes AMG GT3에게도 밀린다. 이 두 차도 라이칸을 털었기 때문에 라이칸하고 성능이 거의 비슷한 투아타라도 털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엔 다른 B클의 장점을 조합한 BMW M2 SE의 등장으로 밑에 있는 크라이슬러까지 위협을 받고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새로 추가된 크라이슬러 ME412, 라이칸 하이퍼스포트와 함께 상위 랭킹에 자주 랭크되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는 것. 탑 컵 이벤트나 프로키트 랭크를 보면 그냥 라이칸과 라이벌 취급하는것 같다.[21]
사실 라이칸보다 기록이 더 잘 나오긴 하지만, 가격이나 업글비용 등을 고려해 봤을때 라이칸을 사서 풀업시키는게 더 이득이다. 가성비도 문제지만 투아타라가 할 수 있는건 라이칸도 할 수 있다. 그것도 더 쉽게(...).
시즌9 단독 커리어에선 1분 2초에 크래딧이 5000가까이 들어온다.

9.4. Chrysler ME412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3.00

2.20

1.68

1.46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385.8
(352.9)

410.9
(375.8)

427.2
(390.7)

434.2
(397.1)
'''핸들링'''(Gs)
1.250

1.300

1.333

1.346
'''니트로'''(km/h)표기
(실속)
+39.1
(35.8)

+59.4
(54.3)

+71.6
(65.5)

+76.7
(70.1)
'''니트로 효율'''(%)

1단
9
2단
11.5
3단
16
'''드리프트 반경'''(m)


60%
16.1

100%
44.8
'''랭크'''
1509

1659

1748

1783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5,000 토큰'''[22]
'''MAX업 비용'''
'''2,401,05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16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24개, '''어드밴스드 테크''' 28개
'''엔진'''
'''V12 엔진''' 36개
업데이트를 통해 추가된 크라이슬러의 차량. 2004년 북미 국제 오토쇼를 통해 공개된 컨셉트카로 아쉽게도 생산에는 이르지 못한 상태.
컵이벤트에서 전세계 상위 단 25명에게만 무료로 제공된 차량이다. 첫 등장 당시에는 라이칸과 투아타라를 밀어내고 S클래스의 탑을 달렸으나,[23] 지금은 그냥 S클래스 중위권에서 굴러다닌다.
본래 S클래스 최고의 가속력을 지닌 차량이었지만 2.2.0 업데이트 신차인 트라이온 네메시스가 맥스, 프로, 튜닝키트까지 꼈을때 가속이 '''1.03초'''라는 무시무시한 수치인데다가, 실제로도 그 수치가 뻥스펙이 아니기 때문에 그나마 이 차가 가지고있던 메리트인 S클래스 최고의 가속력 타이틀을 뺏겨버렸다...그리고 좋은 의미의 구라 니트로 연비를 지니고 있다.
[image]
현재 현금으로만 판매를 진행하고 있다가 5000토큰으로 판매하고있다. 현금 판매당시 가격은 '''$49.99 [24]''' 그나마 위안인 것은 SSC Ultimate Aero XT 등장 이후 가격이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사실 이것도 반으로 줄어서 이 가격이지 등장 당시에는 머스탱과 합해서 '''10만원''' 이었다.
벌칸보다 속도는 40km 더 낮으면서 엔진은 4개나 더 먹는다. 벌칸, 엔초, 맥라렌 F1 순서로 투자하고, 남으면 여기다 쓰자.

9.5. Hennessey Venom GT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70

1.98

1.46

1.26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446.7
(383.0)

478.3
(410.1)

501.3
(429.8)

510.0
(437.3)
'''핸들링'''(Gs)
1.250

1.300

1.336

1.350
'''니트로'''(km/h)표기
(실속)
+23.3
(20.0)

+35.0
(30.0)

+43.5
(37.3)

+46.7
(40.0)
'''니트로 효율'''(%)

1단
9
2단
12.5
3단
18
'''드리프트 반경'''(m)


60%
23.5

100%
65.3
'''랭크'''
1555

1674

1751

1778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1,350,000 크레딧'''
'''MAX업 비용'''
'''2,474,35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15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16개, '''어드밴스드 테크''' 28개
'''엔진'''
'''포스드 인덕션 V8 엔진''' 40개
미국의 튜닝회사인 헤네시가 로터스차량을 기반으로 하여 만들어낸 차량.
아스팔트엔 7월 말 전용 컵을 통해 공개되었다. 순수 성능으로 투아타라를 웃돈다. 물론 풀업 비용도 신규 차량 답게 정신이 아득해지는 가격이다. S랭크 무료 업그레이드가 없다면 더블 크레딧으로 크레딧 노가다만 뛰는 자신을 보게 될 것이다.
최고 속도로는 비슷한 랭크의 차량들 중 최고 수준이지만, 가속이 살짝 느려 멀티 플레이에서 출발 시에 다른 차량에 추월 당하기 쉽다. 대신 핸들링이 꽤 좋아서 웬만한 커브구간은 드리프트없이 핸들링으로도 손쉽게 돌파한다.
8월 초에 상점에 그 모습을 드러냈다. 가격은 '3,000,000' 크레딧. 답이 없는 가격으로 투아타라의 두 배 정도인 약 140만~200만 정도를 예상하고 노가다 뛴 유저들은 대략 정신이 멍해지는 상황이 발생했다. 8월 27일 두바이 업데이트를 시행한 뒤 일정 기간 동안 100만 크레딧으로 특별 할인을 했다. 그 뒤에도 잠깐이지만 가격을 2,500,000 크레딧으로 내리기도 했다. 이후 현재 가격으로 내려갔다.
2014년 10월 31일 할로윈 특집 세일로 120만 크레딧으로 특별 할인을 했다.
2016년 10월 28일 할로윈 기념으로 50%세일을 하여 3일간 1,125,000 크레딧에 판매했다.

9.6. SSC Ultimate Aero XT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60

1.91

1.42

1.23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431.7
(370.1)

455.0
(390.1)

471.3
(404.1)

477.7
(409.6)
'''핸들링'''(Gs)
1.200

1.250

1.285

1.299
'''니트로'''(km/h)표기
(실속)
+36.7
(31.5)

+54.3
(46.6)

+66.7
(57.2)

+71.5
(61.3)
'''니트로 효율'''(%)

1단
6
2단
12
3단
16
'''드리프트 반경'''(m)


60%
20.7

100%
57.5
'''랭크'''
1554

1674

1751

1780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6,750 토큰'''[25]
'''MAX업 비용'''
'''2,620,70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16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16개, '''어드밴스드 테크''' 28개
'''엔진'''
'''포스드 인덕션 V8 엔진''' 36개
S 클래스의 SSC Tuatara와 함께 셸비 슈퍼카즈 (SSC, Shelby Super Cars) 차량이다. 8월 28일부터 5일 간 100위에 든 사람 한정으로 이 차량을 획득할 수 있는 SSC Ultimate Aero XT 글로벌 컵이 진행되었다.
성능은 나쁘진 않지만 프리미엄팩으로만 구입할 수 있는 차량이라 보기가 하늘의 별따기다. 거기다 글로벌컵을 통해 얻은 유저들도 대부분 '''코닉세그 One:1'''이나 '''9FF GT9 VMAX'''로 갈아타 더욱 보기가 힘들어졌다.
[image]
크레딧으로 풀릴 경우 가격은 헤네시 베놈 GT와 비슷하리라 예상되었으나... 애석하게도 "에어로 프리미엄 팩"에 포함되어 있으며, 같은 기간 함께 이벤트를 진행했던 Jaguar F-Type R 과 함께 $99.99에 구매 가능하다.[26]
표시된 수치 상으로는 풀 업 후 튜닝 키트 사용 시의 가속력이 동일한 조건의 세스토 엘레멘토와 동등하다. 가속은 준수한 편이며 니트로 사용 시 추가 속도와 지속 시간은 상당히 좋은 편이다. 대신 핸들링 수치가 낮아 코너링이 좀 힘들다. 최대 랭크는 1674로 앞서 등장한 베놈 GT 와 동일하지만 튜닝 키트 사용 시 추가 랭크는 베놈이 27인데 비해 에어로 XT는 29이다.
시즌8 네바다 정방향 2바퀴 코스에서 풀 업에 풀 부스터(튜닝팩, 니트로 스타터, 추가 탱크) 장착 후 고스트를 이용해 에어로 XT, 라이칸, 투아타라, 베놈, ME4-12와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속은 ME4-12 > 에어로 XT > 라이칸 > 투아타라 > 베놈 [27] 순이었고, 랩 타임(타임 어택)은 모나코와 같이 주행 코스가 길거나 주행 코스가 짧더라도 2랩 이상인 경우 베놈 > 에어로 XT > ME4-12 > 투아타라 > 라이칸 순이다. 하지만 알프스 1랩과 같은 단거리 주행 코스에서는 에어로 XT가 초반 빠른 가속으로 벌려 놓은 거리를 베놈이 따라잡지 못하지만 속도가 높기에 랩 타임이 베놈 > 에어로 XT > ME4-12 > 라이칸 = 투아타라 순이었다.
위와 같은 조건은 아니지만 참고할 만한 실험 영상 #1,#2
멀티 플레이의 경우 먼저 치고 나가서 니트로를 먼저 차지하는 쪽이 상당히 유리하기 때문에 가속이 더 빠른 에어로 XT가 베놈에 비해 유리한 고지를 점할 것으로 보인다. 물론 가속은 에어로 XT가 약간 빠르긴 하지만 푸조 오닉스,헤네시 베놈에 비해 7km 느리기에 전 맵에서 오닉스,베놈한테 밀린다. 플레토르,카마로처럼 최속에만 몰빵한 성능이 아닌 오닉스,베놈은 어느정도 밸런스를 갖춘 성능이어서 그렇다.
5일 간 이 차량을 얻기 위해 랭킹 전에 꾸준히 참가했던 유저라면 마지막 5일 차 랭킹에서 어느 순간 자신의 순위가 아무 것도 안 했는데 갑작스럽게 몇 계단 올라간 것을 본 유저도 있을 것이다. 일부 버그 사용자들이 발각되어 순위에서 잘려나간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
여담으로 헝그리앱이 주최한 아스팔트 8 대회에서 다수의 선수들이 이차를 선택했다.

9.7. Peugeot Onyx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90

2.13

1.57

1.35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400.0
(365.8)

435.9
(398.7)

462.0
(422.5)

471.9
(431.6)
'''핸들링'''(Gs)
1.300

1.350

1.386

1.400
'''니트로'''(km/h)표기
(실속)
+25.0
(22.9)

+37.5
(34.3)

+46.6
(42.6)

+50.0
(45.7)
'''니트로 효율'''(%)

1단
7
2단
14
3단
17
'''드리프트 반경'''(m)


60%
26.4

100%
73.4
'''랭크'''
1506

1656

1750

1783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 -''' → '''청사진'''20장[28]
'''MAX업 비용'''
'''1,153,95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18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24개, '''어드밴스드 테크''' 28개
'''엔진'''
'''하이브리드 엔진''' 36개
아스팔트 8 차량 라인업에 푸조가 들어왔다. 정작 같은 그룹 식구인[29] 시트로엥은 오리지날 때부터 추가되어 있었건만... 여하튼 이로써 프랑스 업계인 르노, 시트로엥, 푸조, 부가티가 한 자리에 모이게 되었다.
[image]
MC12와 함께 26,000원의 차량 팩으로 구매가 가능하게 되었다. Windows 8.1은 31,000원, iOS는 $25.99이다.
[image]
2014년 12월 업데이트에서 코닉세그 원과 함께 출석 이벤트를 장식했고, 모델링에 수정이 가해져서 정말 황금색이 되었다.
이 차는 헤네시 베놈과 비교했을 때 최고속도는 똑같으며(실제스펙), 가속력은 베놈보다 좋고, 핸들링도 베놈보다 좋다. 실제로도 몰아보면 가속력이 꽤 괜찮다. 그러나, 표기스펙과 다르게 드리프트가 다소 떨어지며 니트로 지속시간은 베놈이 조금 더 길다. 게다가 2014년 11월 중반이 되면서 코닉세그 원이 베놈, 푸조 오닉스, 얼티에어로 기록을 다 갈아엎으면서 코닉으로 갈아타기 시작했다.
그래도 이 차는 시즌 9 짤짤이 커리어에서 1분 내외로 4900~5100 정도의 쏠쏠한 크레딧을 획득할 수 있기에 나쁘진 않다. 시즌9는 코닉세그 원처럼 샌디에이고 하버에서 한다. 다만 트랙에 다니는 중립 차량이 군용차라 충돌하면 바로 파손판정이니 뜨니 정신차리며 하자.

9.8. Koenigsegg One:1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80

2.05

1.51

1.31
'''최고 속도'''(km/h)표기br](실속)
440.0
(377.3)

468.3
(401.5)

488.9
(419.2)

496.7
(425.9)
'''핸들링'''(Gs)
1.250

1.300

1.336

1.350
'''니트로'''(km/h)표기
(실속)
+31.7
(27.2)

+47.5
(40.7)

+59.0
(50.6)

+63.3
(54.3)
'''니트로 효율'''(%)

1단
6
2단
11
3단
16
'''드리프트 반경'''(m)


60%
20.4

100%
56.7
'''랭크'''
1562

1686

1768

1797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1,950,000 크레딧'''
'''MAX업 비용'''
'''2,693,45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20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24개, '''어드밴스드 테크''' 36개
'''엔진'''
'''포스드 인덕션 V8 엔진''' 44개
2014년 10월 중하반기에 전용 컵을 통해 추가된 코닉세그의 차량. 특이하게도 이번엔 군복, 금삐까 도색에 호피무늬[30]까지 기묘한 도색패턴을 가지고 있다. 2014년 11월 8일부터 구매가 가능해졌다.
헤네시 베놈보다 최고속도와 핸들링은 조금 떨어지지만 니트로 속도는 베놈을 꽤 앞선다. 다만 가속력과 니트로 효율이 훨씬 뛰어난 덕분에 헤네시 베놈과 SSC 얼티밋 에어로가 양분하고 있던 S랭크 최고의 자리를 한동안 거머쥐었었다.
하지만 성능이 더 강한 차량들이 연달아 새로 나오자 최고존엄의 자리에서 물러날 수 밖에 없었다. 특히 '''A 클래스'''의 신차량 Ferrari 330 P4 에게는 다른 탑 S클래스 차량들과 마찬가지로 맥을 못추는 상태.[31] 이게 p4가 구라스펙인게 아니라 s클래스차량들의 실제 속도 퍼센티지가 표기속도와 다르기에 나타나는 오류다. 실제 속도 퍼센티지로 500키로미터를 넘는차량은 현재 플레토어, 르노 스포츠 R.S. 01, 카마로 SS, BMW 3.0, 데벨16, 아이코나, 벌칸, SLK S.E., 콜벳 G.S., 아벤 SV, MP4-31,포르쉐 918 바이자흐, 아리네라 후사리야 GT, 아폴로 인텐사 이모지온, 맥라렌 X2 이렇게 15대차량 뿐.
물론 지존의 자리는 몇몇 신차량들에게 넘겨주었지만 '''아직도 기본성능 자체는 탄탄한 차량'''이라 현재도 성능상으론 건재한 차량. 몇몇 아쉬운 점이 있지만 플레토르,엔초가 나오기 전까지는 S클래스 차량 중에선 꽤 균형잡힌 성능이라고 한다. 3년 전에 출시된 차량이기에 지금은 퇴물이다.
그 외에도 시즌 9 짤짤이 돌기는 샌디에이고 하버에서 한다. 1분 내외로 4900~5100 정도의 짭짤한 크레딧을 획득할 수 있어 노가다에도 용이한 차량이다. 다만 트랙에 다니는 중립 차량은 전부 지프차라서 부딪히면 바로 파손 메시지가 뜨니 신경써가며 해야 한다.
2.8.0 업데이트로 300만 크레딧에서 285만 크레딧으로 내렸다. 여전히 싸지 않은 가격일 뿐만 아니라 이 차보다 어느것 하나 딸리는것이 없을 뿐더러 같은 엔진을 16장이나 조금먹는 랜드샤크를 90만 크레딧을 더 투자해서 사는 것이 백배 천배 낫다.

9.9. 9FF GT9 VMAX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90

2.13

1.57

1.35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417.7
(370.1)

450.0
(398.7)

473.4
(419.4)

482.2
(427.3)
'''핸들링'''(Gs)
1.250

1.330

1.336

1.350
'''니트로'''(km/h)표기
(실속)
+32.3
(28.6)

+48.4
(42.9)

+60.1
(53.2)

+64.5
(57.2)
'''니트로 효율'''(%)

1단
5
2단
10
3단
15
'''드리프트 반경'''(m)


60%
18.9

100%
52.5
'''랭크'''
1543

1686

1778

1810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 '''판매불가'''
'''MAX업 비용'''
'''3,047,05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20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24개, '''어드밴스드 테크''' 36개
'''엔진'''
'''F6 엔진''' 44개
독일에 위치한 튜닝 회사 9FF에서 포르쉐 911을 베이스로 한 튜닝 차량. 포르쉐의 대타로 이번엔 RUF가 아닌 9FF사의 모델이 나왔다. 생긴 건 RUF CTR 3 이랑 판박이인데... 2015년 1월 초반기에 전용 컵이 진행되었다. 코닉세그 One:1과의 간단 비교 영상 #
업그레이드 비용이 S클래스중 흉악한편이다. 3,047,050 크레딧으로, 코닉세그 One:1의 가격보다 더 비싸다. 그리고 성능은 코닉세그 원보다 더 좋다. 니트로 연비도 맥라렌 675LT와 똑같으며 지금은 맥라렌 675LT, 맥라렌 F1과 성능이 거의 비슷하다.
전체적인 특징으로는 가속력,핸들링,드리프트,니트로연비가 좋은 편이며 최고속도가 484.4km정도이다. 니트로가 희소한 트랙에서는 엔초를 이긴다.
그래도 르노 스포츠, 네메시스가 나오기 전까지는 어느 정도 인지도가 있었으며 A클래스의 맥라렌 675LT와 라이벌이었다.[32]
이 차의 가장 큰 장점은 니트로 연비이다. 니트로가 희소한 트랙에서 2템으로 충분히 버틸 만한 연비를 보유하고 있다.
2017년 5월 19일 부터 일주일간 15컵을 달성하면 차량을 획득할 수 있는 컵이벤트가 개최되었다. 나름 고성능 차량인데다 가격도 비싼 편이니 최소한 5일간은 어떻게든 참여해서 반드시 따 놓도록 하자. 가장 싼차가 투아타라고 순정 투아타라 투템이면 2만위에 들수 있고, 투아타라와 브맥의 가격 차이는 크기 땜에 따놓는게 낫다. 참고로 루프 두대와 자젠, 이차는 포르쉐와 관련이 있다.
죄다 뿌렸고, 그리고 Lucas가 포르쉐 918이 나올수도 있다는 말을 보았을 때 다음 업뎃에서 나왔다.
포르쉐가 나온 뒤로 '''판금조치'''를 당했다. 지금은 아예 딸 수 없다.(RUF,9FF,린스피드 시리즈가 다 그렇다.)
다만 성능은 675LT보다 조금 더 좋은 수준이며 프로업 난이도가 높기 때문에 이벤트에서 사용하기는 어려우며 포르쉐와 관련이 있는 차량을 따는 것으로 만족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9.10. Ferrari Enzo Ferrari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3.65

2.68

2.15

1.88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350.1
(340.1)

395.7
(384.4)

420.3
(408.3)

433.0
(420.6)
'''핸들링'''(Gs)
1.270

1.320

1.347

1.361
'''니트로'''(km/h)표기
(실속)
+38.2
(37.1)

+57.4
(55.8)

+67.7
(65.8)

+73.0
(70.9)
'''니트로 효율'''(%)

1단
9
2단
14
3단
19
'''드리프트 반경'''(m)


60%
15.9

100%
44.2
'''랭크'''
1465

1690

1793

1840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청사진 20장 '''
'''MAX업 비용'''
'''3,131,25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25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28개, '''어드밴스드 테크''' 36개
'''엔진'''
'''V12 엔진''' 48개
1.8.0 업데이트 이후의 '''뜨거운 감자!!''' 최속 350km로 베네노와 떠야 할 성능인데 이 성능으로 랭크는 '''코닉세그 One:1'''과 '''9FF GT9 VMAX'''보다 높은 1800에 가까운 랭크를 찍는다.[33] [34] 물론 오리지날 때부터 있었던 엔초 페라리의 최고성능 버전인 FXX 에볼루치오네보다도 더 비싸고 빠르고 좋다는데, 대부분 유저들은 '''노멀이 최고성능 차량보다 좋은게 말이되는가'''라면서 한마음으로 겜롭의 상술을 까고 있다. 그러나 그것도 아팔에서는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아팔 내에서는 구형차인 P4가 코닉 원을 이기는 가 하면 카마로,오마쥬가 플레토르보다 더 빠른 경우도 있다. 그냥 아팔 세계관에서 엔초 페라리는 페라리 FXX라는 차량의 한정판이라는 설정으로 가자. 실차 성능으로는 C클 수준인 카마로가 아스팔트 8에서는 무려 506km를 찍는다.
프로업시 최고속도 (실제속도)가 491.5 정도로 네메시스와 맞먹고 핸들링이 엄청 좋으며, 가속력도 빠른 수준이지만, 니트로 연비는 그리 좋지않다.
두바이, 테네리페 같은 단거리는 최상위권이지만 아이슬란드, 도쿄 같은 장거리 저니트로 트랙에서는 9FF VMAX한테도 밀리는 수준이다.
차라리 라페라리와 엔초페라리의 위치를 바꿔달라면서 ''''라페라리 불쌍해요''''를 외치는 유저들도 상당히 많다.
튜닝킷까지 장착한 수치상의 랭크는 매우 높은 편이지만 이제는 그 랭크값을 못한다. 프로업 난이도 또한 매우 어려운 편이므로 1노현질 유저라면 돈을 좀 더 모아서 르노스포츠 아니면 네메시스를 사는것이 좋으며 랭크에 낚여서 사는 실수를 저지르지는 말자.[35]
플레토어와 함께 페라리 330 P4의 하극상을 막을 수 있는 차량. 가격과 업그레이드 비용도 대기권을 돌파한다.
1.8.0 업데이트 차량중 3번째로 추가되었고 얼굴마담이 되었다.
HTT에게 실제속도에서 큰 차이로 밀리지만, 급코너가 많은 코스에선 1인자 였지만 경쟁차량들의 추가로 이쪽도 시원치 않다.
2.8.0 업데이트로 350만 크레딧에서 315만 크레딧으로 내려갔다.
3.2.0q 버전 업데이트 이후 크레딧에서 청사진 20장으로 변경되었다.
'''Koenigsegg One:1'''과의 비교영상.


9.11. HTT Plethore LC 750


[image]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80

2.05

1.51

1.31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406.3
(371.6)

459.4
(420.2)

497.9
(455.4)

512.5
(468.7)
'''핸들링'''(Gs)
1.250

1.300

1.336

1.350
'''니트로'''(km/h)표기
(실속)
+18.8
(17.1)

+28.1
(25.7)

+34.9
(31.9)

+37.5
(34.3)
'''니트로 효율'''(%)

1단
9
2단
13.5
3단
18
'''드리프트 반경'''(m)


60%
30.8

100%
85.6
'''랭크'''
1505

1687

1796

1833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8,975 토큰'''
'''MAX업 비용'''
'''2,912,15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23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24개, '''어드밴스드 테크''' 32개
'''엔진'''
'''포스드 인덕션 V8 엔진''' 52개
엔초 페라리의 가격을 뛰어 넘었다(...) 그나마 MAX업 비용이 300만 크레딧 미만이라는게 작은 위안.[36]
캐나다 퀘벡에 위치한 HTT 오토모빌의 슈퍼카로, 2007년 국제오토쇼에서 '로커스 플레토르'라는 이름의 프로토타입이 먼저 공개되었다. 엔진은 쉐보레 콜벳의 엔진을 베이스로 마개조하여 마력을 높인 엔진이며, 제작시엔 캐딜락 레이싱 팀과 쉐보레 레이싱 팀에 엔진을 제공하는 "Pratt & Miller" 사에서 엔진을 제공받는다. 위키정보 또한 맥라렌 F1과 마찬가지로 3시트 구성으로 되어있다.
르노 스포츠, 네메시스, 데벨이 나오기 전까지 S클래스 최강 차량이었으며 지금은 아니지만 출고될 당시에는 2.8.0 버전 벌칸처럼 무시무시한 차량이었다. 그나마 카마로가 나오기 전까지는 A클래스에 500이 넘는 차량이 없었기 때문에 A클래스와 S클래스의 구분이 비교적 확실했었다.
'''그 '베놈'을 압도하는 무지막지한 실제속도'''가 특징인 차량이다. 뒤에보면 꼭 개구리알같은 리어라이트가 못생겼다고 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다만, 가속력은 최속까지 5.0초정도로 최속형차량치고는 괜찮으며 기본 핸들링도 좋지만 드리프트때문에 많이 깎아먹는다. 조사 결과 드리프트가 카마로보다 조금 안좋기때문이지만 컨트롤을 잘하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 카마로보다 가속이 1.5초 빠르기에 전맵에서 이긴다. 대신 그 많은 부품을 모아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럴 바엔 벌칸을 사는 것이 낫다. 벌칸한테 속도에서부터 밀린다.
이제는 포스트 인덕션 V8 엔진을 사용하는 차량은 모슬러 랜드샤크를 사는 것이 낫다.

모나코 트랙 비교영상. 바쁘신 분은 1분 45초부터 보시길.
플레토어가 엔초보다 1초 이상 더 빠른 기록이 나왔다.
이 차의 완벽한 라이벌로는 르노 RS.01, 카마로가 있다. 사실상 르노가 플레토어의 단점인 드리프트를 개선시키고,[37] 최고 속도도 아주 약간 더 높은 차량이지만, 라이벌 취급받는 이유가 가속과 니트로 연비가 플레토어보다 살짝 떨어지기 때문. 그리고 르노가 플레토어에 비해 차체가 가벼워서 잘 미끄러지고, 컨트롤도 쉽지 않다. 카마로도 이 둘과 비슷하다.
여담으로 이 차의 한국어 이름 표기에 관한것은 거의 모든 해외 매체나, 외국어에서 '플레토어' 라고 발음하기 때문에, 플레토어라고 쓰는게 정통이다. 물론 아벤타도르도 '아벤타도어'[38]라고 발음하기 때문에 사실상 플레토어로 쓰나 플레토르로 쓰나 상관은 없다.[39]
2.8.0 업데이트로 365만 크레딧에서 325만 크레딧으로 내려갔으나, 3.3.0 업데이트로 8975 '''토큰'''으로 올라갔다.

9.12. McLaren P1™ GTR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60

1.91

1.40

1.21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394.9
(378.7)

418.7
(401.5)

436.0
(418.1)

442.5
(424.4)
'''핸들링'''(Gs)
1.220

1.270

1.306

1.320
'''니트로'''(km/h)표기
(실속)
+34.3
(32.9)

+51.4
(49.3)

+63.8
(61.2)

+68.5
(65.7)
'''니트로 효율'''(%)

1단
7
2단
12
3단
17
'''드리프트 반경'''(m)


60%
18.4

100%
51.2
'''랭크'''
1588

1716

1801

1831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13,500 토큰'''
'''MAX업 비용'''
'''2,985,15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25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28개, '''어드밴스드 테크''' 32개
'''엔진'''
'''하이브리드 엔진­''' '''60개'''
2.0.0당시 풀업 했을때 같은 풀업인 A클래스의 '''Ferrari 330 P4'''에게 발렸었다.(...)[40] 명색이 S클래스 최상위 차량인데 지금은 엔초와 거의 비슷하다.
A클래스에 있는 차량인 McLaren P1의 트랙용 차량이다.
처음에는 드리프트 성능이 퇴물수준이여서 욕을 먹었지만, 업데이트 이후 성능이 상향되었다.
게다가 니트로 연비도 맥라렌 차량치고는 비교적 좋지않다.

알프스 정방향 기록 측정 영상. 꽤나 빠른것같지만 동일조건의 플레토어는 46초 초반의 기록이 나온다. 다만, 위 영상은 핸들링 상향 전 영상이므로 감안하고 볼 필요가 있다.
2.1.0 업데이트로 상향 후에, HTT까지는 아니더라도 괜찮은 니트로 연비와 적당한 가속...이라지만 니트로 연비를 제외하면 최고속, 가속, 핸들링 모두 엔초에게 밀리며 주행시 굉장히 불안정해 엔초를 이기기엔 역부족이다.
HTT가 불리한 섹터8 등에서는 HTT보다 좋은 기록이 나온다. 장거리맵에선 HTT와 큰 기록차이로 밀린다. 그리고 이 차보다 싸고 R&D를 통해 무과금으로도 얻을 수 있는 모슬러 슈퍼 GT가 엔초를 이기는 성능임이 밝혀져 이 차는 더욱 안습해졌지만, 상향 뒤로 엔초와 비슷하다.
그리고 드리프트는 상향되었지만, 바이옴 뺨칠정도로 잘 미끄러졌었다.
2.5.0 업데이트로 다시 한번 상향이 된 후에, 네메시스까지는 아니더라도 가속이 엄청나게 상향되고 드리프트, 안정성이 엄청나게 향상되어
예전의 P1 GTR은 잊게 되었다. 문제는 드리프트가 잘돌아가지만 핸들링 자체는 별로라는 점이 있다.[41] 페라리 엔초를 떡바르는 성능으로 돌아왔지만, 네메시스, 르노 스포츠, 오마쥬에게는 발리는 수준이라서 여전히 가격값은 못한다...
그리고 어느 순간부터 가격이 13,500토큰으로 내려갔다.
2017년 12월 27일 부로, 이 차량의 크레딧 판매를 시작했다!! 가격은 300만에서 20% 할인한 240만 크레딧. 그러다가 며칠 안돼서 다시 토큰화되었다. 아마도 한시적으로 크레딧으로 풀어놓은 듯.[42]

9.13. Lamborghini Huracán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3.20

2.35

1.75

1.52
'''최고 속도'''(km/h)
325.8

355.8

376.7

385.0[43]
'''핸들링'''(Gs)
1.220

1.270

1.305

1.319
'''니트로'''(km/h)
+37.2

+55.7

+68.7

+73.8
'''니트로 효율'''(%)

1단
9
2단
14
3단
19
'''드리프트 반경'''(m)


60%
18.0

100%
50.0
'''랭크'''
1406

1598

1715

1758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R&D차량
'''청사진 145장'''
'''MAX업 비용'''
'''2,593,70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12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20개, '''어드밴스드 테크''' 20개
'''엔진'''
'''V10 엔진''' 16개
B클레스에 있는 가야르도의 후속 차량이므로, 같은 V10 엔진을 먹는다
R&D로 추가된 첫 번째 차량. R&D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은 해당 항목을 참고할 것.
각 테스트에서 얻어야 하는 퀄리티 체크 합계와 패스에 필요한 토큰 등은 아래 표를 보면 된다.
실험실
퀄리티체크
패스할 시 필요한 토큰
AI 기록
1-1
4
50

1-2
12
50

1-3
21
100

1-4
23
150

1-5
35
150

1-6
A.I
400
샌디에이고 하버(역) 1:06:165
2진행[44]
-
1000[45]

2-7
15
250

2-8
32
300

2-9
48
350

2-10
66
400

2-11
A.I
800
바르셀로나(역) 1:14:019
2-12
70
350

2-13
77
350

2-14
84
400

2-15
100
450

2-16
A.I
1200
알프스(역) 0:58:890
3진행[46]
-
2000

3-17
25
500

3-18
35
500

3-19
60
550

3-20
32
700

3-21
80
800

3-22
90
800

3-23
A.I
1600
스카이 드롭 1:06:825
3-24
75
800

3-25
100
900

3-26
105
950

3-27
A.I
2000
클라우드 나인 1:05:109
3-28
105
1125

3-29
140
1600

3-30
A.I
2800
베니스(역) 1:11:445
여기서 눈치챘겠지만 어쭙잖게 R&D로 시간투자없이 얻으려다가는 '''24000 이상의 토큰'''이 들어간다(...근 20만원..)
즉, R&D Mode는 토큰 바르다가 나중에 토큰으로 쳐바르게 만든 참신한 방식의 과금으로, 지금까지 넣은 토큰이 아까워서 마지막에 도달해야 되고 그 성능의 돈이 아닌데 토큰을 쳐바르게 만들어 버렸다. 물론 실력과 '''키트 운''', 그리고 노가다 이 세가지가 모두 있다면 무과금으로 획득 가능하다지만.
테스트 자체도 모든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특히 최후반 테스트들이 그런 경향이 강하다. 먼저 테스트 26은 기아나 역방향에서 '''2:30 안에 골인'''과 '''퍼펙트 런 6회'''가 같이 걸려 있다.[47] 다음으로 테스트 28에는 '''연속 플랫 스핀 5회'''가 걸려 있다.[48] 마지막으로 테스트 29에서는 상대와 동일 혹은 보다 낮은 랭크의 차량 가지고 '''파손 없이 파괴 10회'''를 하라고 한다. 또 하나의 부가 목표는 '''퍼펙트 런 5회'''인데, 트랙은 그 커브 많고 중립 차량이 널리고 널린 '''사막의 장미'''다.
연구소 3을 깨려면 6일이라는 시간이 필요하다. 차를 풀업시켰다는 전제하에 하루에 열쇠 12~15개씩 쓰면, 각 테스트가 어렵긴 하겠지만 단 1토큰도 안 쓰고 우라칸을 얻을 수 있다. 테스트 27에서 상대와 비슷한 랭크로 맞춰서 어떻게든 궁극의 AI를 이겼다면, 테스트 30은 충분히 깰 수 있을 것이다.[49]
이 차량의 '''유일한''' 장점은 라이선스 개수. 무려 '''57개'''다.
이제 이것이 왜 '''유일한 장점'''인가를 하나하나 짚어보자. 먼저 드리프트 성능은 일단은 괜찮다. 그 섹터 8의 450도 커브를 큰 어려움 없이 드리프트로 돌 수 있을 정도. 문제는 이 차가 니트로로 올라가는 속력이 크기 때문에, '''드리프트로 돌다가는 그 속력 다 잃어버린다'''. 그렇다고 가속력이 아주 좋은 것도 아니다. C클래스의 ED Design Torq와 비교하면, 이 차는 우라칸보다 더 니트로의 영향을 심하게 받으며 드리프트 성능이 뛰어나지만, 이런 단점을 잘 메우는 게 바로 우수한 가속력이다. 드리프트로 인해 속력이 100 넘게 추락해도, 순식간에 최고 속력으로 복귀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그 괜찮아 보이는 드리프트에도 문제가 있는데, '니트로 - 드리프트 - 니트로 - 반대방향 드리프트' 를 할 때 드륵득득득득 소리와 함께 앞으로 슥~ 나가서 들이박는 경우가 있다. 똥차인데 안정성까지 안좋아서 그렇다.
그리고 이 드리프트 성능을 뒷받침하는 핸들링. '''부족하다'''. 앞에서 서술했듯이 드리프트로 돌면 속력을 다 잃어버리기 때문에 가벼운 커브는 웬만하면 평범하게 핸들링으로 돌고 싶어지지만, 그러다 잘못하면 벽에 부딪힌다. 니트로 사용중이었다면 최악의 경우 그냥 '''파손'''.
다음으로 모든 유저들이 차를 쓸 기회가 주어지자마자 보는 눈에 안 보이는 수치, 니트로 연비다. R&D를 한 번이라도 해봤다면 알겠지만, '''정말 구리다'''. 니트로로 추가되는 속력이 높은 차가 니트로 연비가 구리다는 건 그 차를 운용하는 데 있어서 그야말로 치명적이다. 그렇다고 이 차가 Ford F-150 같이 니트로로 추가되는 속력이 높아도 문제가 생긴다.
마지막으로 이 차의 실용성을 알아보자. 이 차를 얻었다면 대부분 마스터리 챌린지 14 혹은 15까지 열려 있을 텐데, 각각 두바이와 알프스 역방향이라는 짧은 트랙이라서 크레딧 벌이용으로 쓸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런데 큰 문제가 두 가지 있다. 먼저, 이전에 나온 차량의 마스터리와는 달리 '''챌린지 후반에도 중립 차량이 등장'''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두 챌린지 모드가 각각 '''무결점'''과 '''언플러그드'''라는 것. 챌린지 14 두바이에서 이렇게 구린 핸들링을 가진 차량으로 파손 없이 중립 차량을 피하면서 다니기는 많이 어렵다. 10번 플레이한다면 한두번쯤 '''실격'''당할지도 모른다. 그리고 챌린지 15 알프스 역방향에서도 니트로 못 먹고 툭하면 드리프트로 니트로 모은다는 게 여간 귀찮은 짓이 아닐 수 없다. 무엇보다 이렇게 어렵게 크레딧 파밍할 바에, 이 차 얻으려고 하다가 보상으로 받은 수많은 S클래스 부품 카드와 미드 테크를 죄다 베네노에 투자해서 '''베네노의 챌린지 15에서 파밍하는 게 훨씬 이득'''이다. 그런데 2.5.0 패치 이후 기존에 중립 차량이 없던 마스터리 챌린지에도 모두 중립 차량이 등장해서, 그나마 안정적으로 노가다할게 맥라렌 675LT 마스터리 15밖에 없다.[50]
멀티플레이도 마찬가지. 짧은 맵에서는 프로 키트 빨로 라이칸보다 좋은 기록을 세울 수 있지만, 그게 전부이다. 안 그래도 '''랭크 1700대 초반 차량을 1800대 차량과 매칭을 시켜주는''' 현 아스팔트 8 멀티플레이 시스템 하에서는[51] 이 차를 가지고 멀플을 하려다가는 수많은 최상급 A, S클래스의 제물이 되기 십상이다.
니트로 연비가 적어서 A클은 고사하고 최상위 B클한테도 밀리며 심지어 뻥스펙 투아타라한테도 밀린다.
이렇게 '''사실상 단점뿐인 차량'''이다 보니, 그냥 R&D용 키트와 많은 크레딧, 토큰만 얻고 차량을 얻지 않아도 된다는 유저가 대부분이다. 사실 키트 자체는 매력적인 보상인 게, 키트를 열면 무조건 희귀 혹은 전설 카드만 나오기 때문이다. 최소한 테스트 29까지 깨고 나서 그동안 얻은 R&D용 상자를 다 열어보면, 엄청나게 쌓인 S클래스 부품 카드와 미드 테크를 볼 수 있다. 하지만 요즘에는 전용 컵이벤트가 몇번씩 열리지만 워낙 비싸기 때문에 금수저가 아니라면 이 차를 따는 것은 돈낭비이다.
더 문제는 '''라이칸'''보다 속도, 니트로 연비가 딸리며
가격과 업글비용보다 라이칸이 훨씬 낫다. 그러니 무과금 유저들은 뭣모르고 550,000크레딧으로 그런차량 안사고 우라칸 업글하다 돈 다써버린다. 그러니까 어설프게 사지 말자. 토큰으로 사면 엄청나게 깨진다. 11,000토큰이면 차라리 더 모아서 벌칸 사는게 훨씬 낫다. 프로업 하면 S클래스 최강자 2대중 하나를 얻게 되는것 때문. 하지만 벌칸은 프로업 랭크가 많이 차이나기 때문에 프로업은 필수이다.
한국 기준 2015년 12월 4일 저녁 부터 상점에 풀리는가 싶더니 기한 한정으로 일정 기간 동안만 판매한다고 한다. 즉, 빨리 사고 싶으면 판매 기간동안 11000 토큰을 지르라는거다. 앞으로도 기한 한정으로 가끔씩 상점에 나타났다가, 사라졌다가를 반복할것이라 예상된다. 우라칸이 가속력,드리프트가 좀 좋은 것 외에는 장점이 없으며 연비가 썩었고 속도가 겨우 458밖에 안된다. 성능의 분배가 울화통 터지게끔 되어있다. 설계도 드랍율은 그저 그렇지만 만약 우라칸 설계도가 있다면 그냥 팔아버리는 것이 정신 건강에 좋을 것이다. 그냥 소장용 차량이다.
실차 성능마저도 다른 S클에 비해서 안좋은 편이지만 아팔에서는 그런거 없다.[52]
1월 16일 부터 그 주말동안 두 번째 한정판매를 시작했다.
그리고 2016년 3월 9일부터 두 번째 R&D를 시작했다. 첫번째 R&D때 업그레이드를 해 둔 부분은 유지가 되어 있는 채이고, 진행 상태는 연동이 되지 않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이전에 토큰이나 보상을 받고도 실패한 유저들에게는 그 보상이 다시 주어져서 보상 아이템만 먹는 용도로도 이벤트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는 모토 블리츠에서 설계도를 수집해서 조금이나마 쉽게 얻을 수 있다.

9.14. Cadillac 16 Concept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3.60

2.64

1.94

1.68
'''최고 속도'''(km/h)
380.1

403.0

419.6

425.8
'''핸들링'''(Gs)
1.100

1.150

1.186

1.200
'''니트로'''(km/h)
+30.0

+45.0

+55.9

+60.0
'''니트로 효율'''(%)

1단
'''4'''
2단
'''9'''
3단
'''14'''
'''드리프트 반경'''(m)


60%
32.2

100%
89.5
'''랭크'''
1582

1705

1787

1816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image] 1600으로 잠금 해제'''
'''MAX업 비용'''
'''3,178,75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24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28개, '''어드밴스드 테크''' 32개
'''엔진'''
'''V16 엔진''' 48개
마스터리로 얻을수 있는 차량 중 가장 고성능이다. 무려 마스터리 1600개에서 언락된다.
먼저 이 차량의 특징은 니트로연비로, B클의 서볼트와 D클의 Dezir를 씹어먹는 엄청난 니트로효율을 자랑하지만..
문제는 프로업의 V16 엔진카드. 이녀석 혼자 '''V16엔진 카드'''를 '''48장'''이나 먹는다! 네메시스, 플레토어 바로 다음가는 카드먹는 하마. 안그래도 S클이라 전설급이기까지 하다. 그나마 같은 엔진카드를 요하는 차량이 없다는 것이 메리트였으나 데벨 식스틴이 추가되면서 이것도 옛말이 되었다.
직접 달려보면 HTT플레토어는 커녕 VMAX도 못이긴다.[53] 가속력이 최속형 차량 수준이다. 가속은 그래도 쓸 만 하지만 핸들링,드리프트는 더심각하다. 핸들링이 너무 낮아서 커브가 많은 길에서는 비슷한 속력의 차량과도 크게 밀리며 주행감이 콴트 FE급이다. 드리프트는 아이코나수준으로 밝혀졌지만 기본 핸들링이 엄청 부족하다. 대신 최고속도는 매우 빠른편이다[54]...도 옛날 얘기고 맥라렌 F1과 같은 수준이다. 안습...
요약하자면 최고 속도와 니트로 효율은 아주 좋으나 핸들링과 가속력이 다 깎아먹는 차량, 즉 멀티고자이다. 여담으로 차가 쓸데없이 길고 크다. 직접보면 게임내에서 제일 커보인다.[55]
여담으로 아스팔트 내에서 내구도가 가장 높은 차량이다.
3단 니트로를 쓰며 최고속도로 달리다가 승용차들과 정면충돌을 해도 아무 일 없다는 듯 밀쳐내고 달리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심지어 '''소형 트럭도 정면충돌로 밀쳐내버린다.'''
거기에 더해, 리무진이나 중형 트럭도 후면 충돌일 경우엔 파손되지 않는 무서운 내구성을 자랑한다.

9.15. Lamborghini Egoista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40

1.76

1.30

1.12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350.1
(335.7)

387.4
(371.5)

414.1
(397.1)

424.6
(407.2)
'''핸들링'''(Gs)
1.250

1.300

1.336

1.350
'''니트로'''(km/h)표기
(실속)
+37.2
(35.7)

+55.9
(53.6)

+69.3
(66.5)

+74.5
(71.4)
'''니트로 효율'''(%)

1단
8
2단
13
3단
18
'''드리프트 반경'''(m)


60%
23.4

100%
65.1
'''랭크'''
1442

1642

1766

1809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R&D차량
'''청사진 45장'''
'''MAX업 비용'''
'''2,885,45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18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24개, '''어드밴스드 테크''' 24개
'''엔진'''
'''V10 엔진''' 16개
맥스, 프로업 랭크 1766. 푸조의 SR1과 함께 R&D차량으로 나온다.
B급의 후사이랴에 이어 이번에도 비디오게임 최초로 추가됐다고 아스팔트측에서 홍보하면서, 또 앱 아이콘도 차지했다. 트라몬타나보다 성능이 좋으면서 트라몬타나만큼 멋있는 차량이다. 하지만 성능은 별로 안좋다.
R&D 테스트 수만 '''65개'''로, 우라칸의 30개보다 2배 이상 많다(...) 다만 우라칸이 한 테스트 내에서 수십 개, 후반에는 100개가 넘는 퀄리티 체크를 요구하는 것과 달리 요구 체크 수는 적은 편이다. R&D가 열린 지 3일 후에 연구실2, 5일 후에 연구실3, 9일 후에 연구실4가 열린다.
다음 표는 R&D 테스트들에 대한 것이다. 아직 이 표는 미완성이다.
테스트
추천 랭크
레이스 모드
트랙
주 미션
부가미션 1
부가미션 2
필요 퀄리티 체크수[56]
실험실 1
1
1442
클래식
오메가 테스트 트랙
퀄리티 체크 수집
파괴 2회
드리프트 500m
4
2
스카이 드롭
에어타임 6초
배럴롤 2회
3
1448
만리장성 역방향 B
플랫 스핀 2회
1:15:00내로 골인
4
1454
언플러그드
알프스 역방향
최하 3위로 골인
퍼펙트 런 1회
5
1460
클래식
테이데 산
플랫 스핀 2회
파괴 3회
배럴롤 2회
5
6
1466
최후의 승자
만리장성 역방향 C
1위로 골인
드리프트 500m
퍼펙트 런 2회
10
7
1472
클래식
두바이 역방향
최하 3위로 골인
플랫 스핀 3회
1:08:00내로 골인
8
1478
베니스
드리프트 500m
배럴롤 2회
1:37:00내로 골인
9
1484
파괴
FR기아나
파괴 10회
에어타임 5초
파손없이 파괴 4회
10
1490
클래식
환영
1위로 골인
드리프트 1000m
파손 없음
11
1499
'''궁극의 AI 챌린지'''
네바다
궁극의 AI를 앞질러 골인하기(1:21:774)
실험실 2
12
1499
클래식
사원 트랙
최하 3위로 골인
에어타임 4초
드리프트 1000m
6
13
1503
최후의 승자
바르셀로나
1위로 골인
배럴롤 1회
파손없이 파괴 3회
14
1507
클래식
루트 375-1
파괴 4회
플랫스핀 4회
파손 없음
7
15
1511
언플러그드
두바이
최하 3위로 골인
배럴롤 1회
퍼펙트 니트로 10회
16
1515
파괴
FR기아나
파괴 15회
퍼펙트 런 1회
에어타임 12초
15
17
1519
감염
센디에이고 하버 역방향
1위로 골인
배럴롤 4회
2:35:00내로 골인
18
1525
'''궁극의 AI 챌린지'''
오메가 테스트 트랙
궁극의 AI를 앞질러 골인하기(1:25:899)
19
1531
클래식
도쿄 역방향
1위로 골인
파괴 5회
파손 없음
12
20
1537
최후의 승자
만리장성
최하 3위로 골인
드리프트 1000m
9
21
1544
클래식
사막의 장미
2:20:00내로 골인
파괴 5회
파손없이 파괴 5회
18
22
1550
언플러그드
섹터 8
1위로 골인
플랫스핀 4회
배럴롤 2회
32
23
1557
최후의 승자
용의 보금자리
파괴 7회
18
24
1563
클래식
비밀 기지
2:55:00내로 골인
에어타임 12초
파손 없음
17
25
1570
바르셀로나 역방향
배럴롤 2회
배럴롤 7회
파손없이 파괴 6회
18
26
1576
감염
네바다
1위로 골인
파괴 10회
에어타임 12초
28
27
1586
'''궁극의 AI 챌린지'''
샌디에이고 하버
궁극의 AI를 앞질러 골인하기(1:00:778)
실험실 3
28
1586
29
1594
30
1601
31
1609
32
1616
33
1624
34
1631
35
1639
36
1650
R&D로 몰아본 결과, '''노업''' 상태에서 가속력은 280km대에서 갑자기 끊겨 영 안좋다. 나머지는 니트로로 채워야 빠르게 최속으로 도달가능. 니트로 연비는 애매한 수준이다.[57] 적당히 컨트롤해 니트로를 계속 먹을 수 있는 런던이나 테네리페 등에서는 크게 연비가 안좋다는 느낌은 받지 않는다. 그러나 장거리 저니트로인 아이슬란드 같은 데에서는 연비가 별로 안좋다.
그러나 업글을 하면 할수록 점점 단점이 보완되어가는게 느껴진다. 가속력은 굉장히 빠른 수준으로 향상되고, 핸들링과 드리프트도 업그레이드 할 수록 도중에 끊어지는 현상이 줄어들고 부드러워진다.[58] 하지만 니트로 연비는 애매한 그대로라서, 이는 컨트롤로 해결해야 할 듯 하다.
여담으로 이전엔 랭크 수치에 비해 기록이 매우 잘나오는 차량이었다.
에고이스타 등장 당시 S클래스 이벤트의 순위 1~100위까지를 살펴본 결과, 거의 절반은 플레토어가 차지하고 있고, 나머지는 P1 GTR과 엔초 페라리가 양분, 그리고 사이 사이마다 VMAX의 모습도 보였다. 그런데 '''그 중간중간에 에고이스타가 몇대 껴있었다'''(!) 이로써, 랭크가 다가 아니라는 것을 몸소 입증한 셈이다.
참고로 에고이스타는 다른 탑급 S클래스 차량보다 프로업이 엄청 쉽다. V10엔진 16개밖에 안먹는다.
가속력으로 승부하는 차라서, 가속력 최강인 네메시스가 나오고 짧은 명성이 사그라들었다. 그냥 멋있는 잉여차량이 되었다.
최고속도가 은근히 낮고 니트로 연비도 좋지 않아서 A클의 모슬러 GT3, 675LT한테는 확실히 털리고, 추가탱크를 쓰더라도 P4,코닉 원에게 탈탈 털린다. 단거리라면 코닉원과 기록이 비슷하다.
심지어 A클래스에 새로 등장한 MP4-25가 1766 동일랭크 인데도, 안정성을 제외하면 모든 면에서 에고이스타보다 월등히 뛰어난 성능을 가진게 확인되어 더더욱 안습해졌다.
시즌 9 전용 커리어의 난이도가 정말 높다. 비밀 연구소에서 진행되는데, 1분 8초 안에 들어와야 별 4개, 1분 6초 안에 들어와야 별 5개다. 풀업 2템으로도 어려울 정도. 정 별 5개를 얻고 싶다면 최소 풀업 직전까지 맞추고 '''추가 탱크도''' 끼고 하자. 이렇게 해야 간신히 1분 4초 정도의 기록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2016년 3월 11일 저녁부터 그 주말간 한정판매를 실시했다.
2016년 5월 11일에 두 번째 R&D를 시작했다. 우라칸 두 번째 R&D 때와 마찬가지로 Test 001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지만 첫 번째 이벤트때 해 둔 업그레이드는 그대로 유지가 된 상태이다.
2017년 11월 23일 9시부터 이 차량의 설계도 컵이 시작되었다.

9.16. McLaren F1 XP-5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3.20

2.35

1.73

1.49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390.0
(357.2)

429.0
(393.0)

457.3
(418.9)

468.0
(428.7)
'''핸들링'''(Gs)
1.270

1.320

1.356

1.370
'''니트로'''(km/h)표기
(실속)
+31.2
(28.6)

+46.8
(42.9)

+58.1
(53.2)

+62.4
(57.2)
'''니트로 효율'''(%)

1단
5
2단
10
3단
15
'''드리프트 반경'''(m)


60%
22.0

100%
61.2
'''랭크'''
1497

1669

1776

1813
'''라이벌'''
'''Lamborghini Veneno'''­
'''가격'''
'''청사진 20장'''
'''MAX업 비용'''
'''3,178,75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20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24개, '''어드밴스드 테크''' 44개
'''엔진'''
'''V12 엔진''' 52개
현재 아팔에 등장한 맥라렌 중에서는 연식상으로 최고참이다. 1990년대에 가장 빠른 슈퍼카로써 기록도 세운 흠좀무한 차량으로, 운전석이3시트 구조로 균형을 위해 가운데에 있는 특이한 구조를 하고 있다.[* 위의 HTT 플레토어도 이러한 구조로 되어있다. 레어하면서 특이한 모델인지라 명사들의 수집품이 되었고,[59] 현재도 경매에 나오기만 하면 부르는 게 값이다.
게임상에선 맥스+프로업 랭크 1776이며 9FF GT9 VMAX보다 좋은 랩타임을 보여준다. 최고속력이나 가속력 등은 S클래스 중에서도 꽤 괜찮은 축에 속하지만, 핸들링,드리프트는 살짝 부족한 수준이다. S클래스 중에서는 준수한 성능이지만 최고 속도가 485.8로 조금 아쉽다. 그리고 니트로 스타터를 넣고 달려야 그나마 좀 괜찮게 쓸 수 있다.
성능면에서도 A클래스의 맥라렌 675LT와 큰 차이가 없다. 거기에다 벌칸에 들어가는 전설급'''V12 엔진'''을 52개나 사용한다. 그냥 값비싼 675LT이며 P1 GTR한테도 밀린다.
시즌9 짤짤이 돌기는 1분 20~30초대에 5300~5400 정도의 나쁘지 않은 크레딧 효율이지만, 하필이면 트랙이 긴 베니스라... 한번 하는데 꽤 신경써야 할듯. 게다가 프로 업글까지 잘 시켜주지 않으면 별 5개 따기도 어렵다.
여담이지만 이 차를 프로업시키는데 필요한 어드밴스드 테크 카드는 총 '''44장'''으로, 현존 차량 중 제일 많이 요구한다.
2.8.0 업데이트로 350만 크레딧에서 300만 크레딧으로 내려갔다. 그마저도 설계도 차량으로 변했다.
시즌 8에서 라이벌이 RUF 대신으로 바뀌었다.

9.17. Renault Sport R.S. 01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90

2.13

1.58

1.37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388.9
(373.0)

438.1
(420.1)

472.7
(453.3)

486.2
(466.3)
'''핸들링'''(Gs)
1.270

1.320

1.355

1.369
'''니트로'''(km/h)표기
(실속)
+19.4
(18.6)

+29.1
(27.9)

+35.9
(34.4)

+38.5
(36.9)
'''니트로 효율'''(%)

1단
9
2단
14
3단
19
'''드리프트 반경'''(m)


60%
23.6

100%
65.6
'''랭크'''
1516

1694

1798

1835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3,500,000 크레딧'''
'''MAX업 비용'''
'''2,932,95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24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32개, '''어드밴스드 테크''' 24개
'''엔진'''
'''V6 엔진''' 64개
우리가 알던 그 르노 맞나 싶을 정도로 멋드러진 곡선미를 자랑하는 차량.
맥스, 프로업 랭크는 무려 1798(!)이다. 가속력과 니트로 연비는 플레토어보다 조금 낮고, 최고속도는 거의 비슷하지만[60], 뛰어난 핸들링과 드리프트로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
핸들링이 매우 좋아서 적응이 잘 안된다. 오마주보다도 핸들링이 더 강해서 별명이 휙휙이다. 커브가 급하다 싶으면 빨리 빠져나올 수 있는 수준. 또, 아이슬란드, 테네리페, 두바이 등 급커브가 많은 트랙에서 다른 운전자들이 커브를 도느라 정신없을 때 이 차는 휙휙 돌아서 멀티에서 1등을하는 경우도 있다. 한마디로 커브 잘도는 플레토어인셈.
FXX, P4 수준만큼 잘돌아가는건 아니지만, 실제속도가 500km가 넘는 최고속도 중심 차량 중에서는 드리프트가 가장 좋았으나 벌칸한테 빼앗겼다. 하지만 니트로 사용중의 핸들링은 르노가 훨씬 더 좋다.
그리고 엔진음이 굉장히 매력적이다. 새로 추가된 페니어 슈퍼스포츠도 동일한 엔진음을 사용한다.
플레토어, 카마로와 비슷한 최고속도이지만 확실한 것은 커브가 많은 트랙에서는 플레토어, 카마로를 이기며 직선길도 이들과 기록이 거의 비슷해서 플레토어, 카마로를 먼저 갖고 있는게 아니라면 이녀석으로 선택을 하는게 좋다.
오마주에게는 전 트랙에서 다 밀린다. 아이코나와 비교하면 대부분 트랙에서는 밀리겠지만, 커브가 많은 길에서는 아이코나를 바를 수도 있다. 데벨은 섹터 8을 제외하면 100%밀린다.
만약 노현질 유저 중에서 플레토어와 르노 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면 돈을 조금만 더 모아서 르노를 사는 것을 추천한다.
근소한 차이더라도 플레토어나 르노나 가속력이 낮고 니트로연비가 안좋은 것은 똑같다. 하지만 플레토어는 드리프트를 틀때 원을 엄청 크게 돌지만, 르노는 드리프트가 좋아서 커브가 많은 길에서도 안정적으로 주행을 할 수 있다.
거기다 프로업시, S클래스 고성능 차량이지만 일반등급 엔진을 사용한다.
플레토어는 전설급 '''포스드 인덕션 V8 엔진'''을 52개나 잡아먹지만, 이 녀석은 일반급 '''V6엔진'''을 64개 잡아먹는다. 엔진 갯수는 르노가 더 많지만 일반엔진이라 플레토어보다 엔진을 모으는게 더 쉽다.
플레토어는 네메시스와 같은 전설급 '''포스드 인덕션 V8 엔진'''을 사용해서 플레토어를 프로업한다면 똑같은 엔진을 사용하는 네메시스와 엔진이 겹쳐서 같이 프로업 할 수 없지만 르노는 일반급 '''V6엔진'''으로 네메시스와 함께 프로업을 할 수 있다.
2.8.0 업데이트로 385만 크레딧에서 350만 크레딧으로 내려갔다.
현재는 새로이 등장한 벌칸, 아라쉬, 랜드샤크에게 밀려 플레토어, 네메시스, 페니어와 함께 콩라인에 접어들었다.

9.18. TRION NEMESIS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20

1.61

'''1.19'''

'''1.03'''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433.7
(397.3)

452.4
(414.4)

466.0
(426.9)

471.1
(431.5)
'''핸들링'''(Gs)
1.270

1.320

1.356

1.370
'''니트로'''(km/h)표기
(실속)
+32.8
(30.0)

+49.1
(45.0)

+61.0
(55.9)

+65.5
(60.0)
'''니트로 효율'''(%)

1단
6
2단
12
3단
16
'''드리프트 반경'''(m)


60%
23.3

100%
64.8
'''랭크'''
1636

1737

1805

1830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17,250 크레딧'''
'''MAX업 비용'''
'''3,495,35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25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28개, '''어드밴스드 테크''' 32개
'''엔진'''
'''포스드 인덕션 V8 엔진''' 60개[61]
네메시스의 가속력 영상은 여기서.
미국의 신생 스포츠카 제작 업체인 트라이온(Trion)에서 내놓은 수제 스포츠카.
현재 가속력 최상위권 차량인 '''Audi R8 LMS Ultra'''를 쌈싸먹는 가속력을 보여준 차량이며 아스팔트 8중에서 가속력이 4번째로 세다. 참고로 3위 돈커부트, 2위 MP4-25, 1위 MP4/8.
이 가속력이야말로 네메시스가 가진 저력과 위력의 원천이며, 2.7.0 업데이트까지는 네메시스를 능가하는 성능의 차량들이 다수 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차량들이 네메시스를 깔보지 못하게 하는 힘이다.
최고속력까지 올라가는데 2.3초정도밖에 안걸린다. 그 무지막지한 가속력으로 500km가 넘는 차량이랑 승부를 붙는 것이다.[62]
이러한 관계로 멀티에서 맥스프로업 네메시스는 2.7.0까지는 가히 최고존엄이라 할 수 있었다. 2랩인 경우에도 르노 RS.01, 오마주 등의 속도 위주형 차량 잔치가 아니면 대부분 3등 이하로 들어온다.
멀티플레이 시, 스타팅에서 네메시스는 이 가속도로 순식간에 치고나가서 다른 최고속도형 차량을 초반부터 쉽게 관광 보낼 수 있다. 특히 데벨이나 오마주, 플레토어, 르노 RS.01같이 네메시스보다 최고속도가 높은 차량은 가속도가 느려서 네메시스보다 앞에서 시작하면 매우 불리하다. 그렇다고 해서 뒷자리로 배정받으면 시작위치의 차이도 있을 뿐더러 앞자리의 네메시스가 니트로를 독식하기 때문에 거리를 좁히기가 매우 어려워진다. 게다가 멀티플레이에서 사람들이 단거리 트랙을 많이 고르기도 하고, 1랩 한정해서 장거리 트랙이라고 해서 네메시스가 다른 차량들에 비해 많이 딸리는 것도 아니다. 1렙 단거리에서 초반에 파손시키면 벌칸을 이기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긴맵에서는 최고속도를 유지하지 못하면 SLK,오마쥬,벌칸,그랜드 스포츠같은 500이 넘는 차량한테 후반에 발리기 딱이며 2랩인 경우에는 카마로한테도 발리는 경우도 있다. 예전에는 1렙을 많이 골랐지만 지금은 2렙을 고르는 유저들도 꽤 많아졌다. 특히 500이 넘는 밸런스형 차량이 늘어난 2.8.0 버전 이후로는 네메시스는 멀티에서 퇴물까지는 아니지만 조금씩 밀려나기 시작했다. 최속이 S클래스 최상위권 치고는 조금 느려서 그렇다. 그리고 드리프트가 오마주, 675LT처럼 살짝 애매한 감도 있다. 다른 차들과 비교하면 살짝 부족하다. 싱글 탱크인 경우 니트로 연비도 은근히 빨리 닳으며 니트로가 끊기면 기본 최속이 낮기 때문에 오마쥬, 콜벳 GS같은 최속형 차량한테 따이기 딱이다.[63]
게다가 프로업을 완전히 다 업그레이드 하는것이 하늘을 뚫을 정도로 난이도가 살인적이고 프로업을 하지 않으면 프로업 잘된 다른 차량들한테도 쪽도못쓰고 털리므로 현질에 자신이 없으면 다른 차를 선택하는 것이 낫다. [64][65]
최고속도가 플레토어와 비교했을때 많이 느린 편이지만,[66] 가속력은 월등히 좋으며 니트로 연비, 드리프트도 플레토어보다는 좋지만 중간 수준이다.
토큰,카드 없이 순수 노가다로만 살 수 있는 차 중에서는 가장 고성능이다.[67] 더블 크레딧을 안켜도 죽기살기로 3일~7일 정도 뛰면 맥스업 까지는 찍을 수 있다. 단 프로업하려면 포스드 인덕션 V8 엔진 카드 60장이 있을 때 얘기지만. 사실상 랜드샤크를 사는 것이 더 좋다.
예외로 섹터 8에서는 최고속도 중심 차량이 500도 커브를 도는데 시간이 오래 걸려서 네메시스가 기록이 훨씬 더 잘나온다.[68]
그러나 이제는 이러한 맵도 새로 등장한 벌칸에게 밀릴 가능성이 높다.
모슬러 슈퍼 GT, 페니어 슈퍼스포츠랑 붙으면 최고속도는 조금 느리지만 가속이 워낙 빨라서 네메시스가 이긴다.
또, 플레토어, 오마주, 르노 RS.01같은 차량은 프로업 시 니트로보다 최고속도가 훨씬 더 많이 올라가서 5-0-5-0으로 해도 5-5-5-5와 거의 비슷하지만 네메시스는 니트로와 최고속도가 비슷한 수준으로 올라가서 반드시 5-5-5-5로 해야 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장거리에선 새로이 추가된 신 차량인 벌칸과 아라쉬와 랜드샤크에게는 힘을 못쓴다.
단거리에서도 랜드샤크와는 플레이어의 실력에 따라 기록이 근소하게 갈린다.
그래도 2.8.0 까진 네메시스는 현역이었다. 벌칸은 발표만 해놓았지만 아직 차고에 출시되지는 않았으며 MP4-25는 튜닝 키트 오류로 476밖에 달리지 못했다. 문제는 2.9.0이후부터는 벌칸이 상점에 풀렸으며 MP4-25가 원래 성능으로 돌아오면서 네메시스의 입지는 점점 더 좁아졌다. 믿었던 멀티조차도 네메시스보다 가속이 더 센 MP4-25, 아니면 밸런스형 S클래스의 강자인 벌칸, 속도로 싸우는 오마쥬,콜벳 GS한테 대부분 밀린다. 이제는 완전히 콩라인에 접어들었으며 그냥 전설 60개 먹는 차가 되었다. [69]
잠깐동안 MP4-25가 구라 스펙인게 판정나면서 네메시스 하위호환이되었는데, 2.9.0업데이트로 MP4-25의 성능이 원래 수치대로 다시 복구되어서 '''망했어요'''. 당장 신규 지역 이벤트에서 MP4-25에게 1위~ 자리를 빼앗겼다. 그래도 아직은 현역으로 뛸 수는 있으므로[70] 맥스프로를 갖고있으면 벌칸을 사기 전까지 굴려먹자.
2016년 2월1일부터 5일간 전용컵이 진행되었다. 그 후 2월 12일부로 상점에 풀렸다.
아스팔트에서 꽤 밀어주는듯 하다. 공식 페이스북 등에 네메시스 전용 공식 홍보영상이 제작되어 올라왔는데,[71]
이를 요약하면 그냥 모든 면에서 무조건 킹이라며 홍보한다.
지금까지의 차량은 S클래스라 할지라도 '멋진 차, '완벽한 차', '빠른 차', '최고의 차' 등으로 표현했는데, 네메시스만 유일하게 ''''아스팔트8 최강의 차''''라고 표현하는걸로 보아 당분간 S클래스에 네메시스보다 랭크가 높은 차량이 추가되는 일은 없을 듯 하다. 이걸 증명이라도 하듯 새해 업데이트에선 S클래스 차가 하나도 안나왔다. 그러다가 이후 버전에서 등장한 차량이..
2.8.0 이후부터는 아라쉬, 랜드샤크, 벌칸 등 네메시스보다 더 고성능의 신차들이 등장해서 콩라인에 접어들었다.

9.19. Devel Sixteen Prototype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60

1.91

1.59

1.40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460.0
(394.4)

516.7
(443.0)

542.5
(465.1)

558.1
(478.5)
'''핸들링'''(Gs)
1.100

1.150

1.173

1.187
'''니트로'''(km/h)표기
(실속)
+20.0
(17.1)

+30.0
(25.7)

+34.6
(29.7)

+37.3
(32.0)
'''니트로 효율'''(%)

1단
8
2단
12
3단
16
'''드리프트 반경'''(m)


60%
37.2

100%
103.4
'''랭크'''
1582

1746

1810

1846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20,000 토큰'''
'''MAX업 비용'''
'''3,395,600 크레딧 ''' or '''18,720 토큰'''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25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24개, '''어드밴스드 테크''' 36개
'''엔진'''
'''V16 엔진''' 24개
'''엘리트 차량
(풀업 기준)
'''
'''4-4-4-4'''
'''0-8-0-8
(최대 속도)
'''
'''튜닝 범위'''
'''가속력'''(초)
1.40

1.69
1.69 ~ 1.25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558.1
(478.5)

570.1
(488.8)
534.2 ~ 570.1
'''핸들링'''(Gs)
1.187

1.165
1.165 ~ 1.197
'''니트로'''(km/h)표기
(실속)
+37.3
(32.0)

+39.4
(33.8)
+33.1 ~ +39.4
'''랭크'''
1846

1876
-
속도로 따지면 최강 1등이다. 네메시스와 플레토어와 카마로를 짓눌러버린 그 BMW 오마주를 직선 맵에서는 털어버렸다. 하지만 벌칸이 추가된 이후 도쿄에서만 간신히 Vulcan을 턴다.
멀티플레이 영상에서 동일조건의 네메시스와 달리게 되었는데, 네메시스가 미친 가속력으로 저 앞까지 치고나갔지만 데벨이 미친 최고속도로 '''순식간에 네메시스를 따라잡는 모습'''을 보여주었다.[72]
뿐만 아니라 풀업시 최고속도가 매우 높아져서 니트로를 동반하지 않은 기본속도가 네메시스 니트로를 동반한 속도에 거의 근접한 무시무시함을 자랑한다. 엘리트 튠업을 0-8-0-8로 해놓으면 '''튜닝키트를 끼지 않아도''' 실속으로 504.3 km/h로 전체 2등이다.[73] 속도형 차량인 플레토어와 르노가 '''튜닝키트를 낀''' 수치보다 빠르다는 것.
네메시스가 가속력 제왕이었다면 데벨은 최고속도 제왕인셈.
다른 요소로는 가속력은 최속까지 5.7초로 느린 편이다. 니트로 연비는 네메시스 수준으로 괜찮다.
그러나 핸들링과 드리프트가 엄청 딸려서 주행 난이도가 높은 것이 조금 아쉬운 점. 둘다 도찐개찐이긴 하지만 SLK보다도 핸들링이 더 안좋다. 기본 핸들링은 진짜로 안돌아가서 하찮은 커브라도 드리프트를 해야 하며 드리프트도 진짜로 안돌아가서 몇번씩 끊어치기를 해야 간신히 돈다.
벌칸이 생기기 전, 최고속도가 오마주보다 높은데다가 가속력도 오마주보다 빠르기 때문에, 직선 장거리에서는 오마주보다 기록이 훨씬 더 잘나오는 무적급의 성능을 발휘한다. 특히 도쿄, 바르셀로나, FR기아나 2랩 이상일 경우에는 다른 차들이 데벨을 절대 따라올 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단거리 (알프스,런던아이)같은 곳도 데벨이 오마주, 네메시스를 거뜬히 이기며, 심지어 커브가 제법 많은 길(51구역, 리우, 두바이, 모나코)조차도 오마주, 네메시스를 이긴다.!!! 이제는 벌칸이 이러한 맵을 씹고 있다.
핸들링은 좀 뻑뻑하지만 최고속도가 워낙 높다 보니 급커브가 많은 길에서도 최상위권이다. 벌칸의 등장으로 인해 아쉽지만 단거리 최강 자리는 넘겨주게 되었다. 핸들링은 극단적으로 안좋지만 드리프트는 조금은 돌아가는 수준이다.
거기에다 섹터 8과 같은 커브가 많은 트랙에서는 데벨이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 그도 그럴것이 드리프트가 안좋은데, 그 500도 커브를 빠르게 돌 수 없기 때문.[74] 데벨이 콴트 FE보다 드리프트가 떨어진다는게 판명되었다. 벌칸이 나오기 전 테네리페,아이슬란드 같은 맵에서 데벨로 기록을 세운 사람은 굇수라고 봐야 할 것이다.
참고로 데벨을 살 때는 자신의 실력을 신중하게 고려해서 사야 한다. 최고속도가 높다고 무작정 지른다면 생각보다 컨트롤이 딸려서 실망할 수도 있다. 만약 차량 컨트롤에 자신이 없거나 노현질 유저라면 데벨보다는 르노 RS.01을 사는 것이 좋을 것이다. 속도빨로 최강이라는것도 이제는 옛날이야기이므로 비슷한 가격대의 벌칸을 사는것이 이득이다. 다만 데벨이 크레딧차량으로 바뀌었기에 노현질 유저라면 벌칸 대용으로 데벨을 사는 것도 좋다. 다만 컨트롤이 되게 어렵다는 것은 유의하자.
이 녀석이 나름 가성비가 뛰어났다. 랜드샤크를 2번 살 수 있는 값에 구매할 수 있으며, 풀업비용도 네메시스보다 약 10만 크레딧 가량 싸고, 프로 업그레이드도 플레토어, 네메시스가 전설급 포스드 인덕션 V8 엔진을 50개 이상 사용하는데 비해 이 차는 전설급 V16 엔진을 24개만 사용한다. 대신 캐딜락 식스틴과 데벨만 사용하는 엔진이라 드랍률이 낮다. 캐딜락 식스틴과 비교하면 같은 엔진을 48장이나 먹는데도 딱히 써먹을데가 없는데 반해 얘는 절반만 먹는다. V16엔진이 뜨면 일단 데벨에 투자하도록 하자. 하지만 이후 추가된 벌칸이 비슷한 가격에 성능은 뛰어나고 업그레이드 비용, 엔진카드 요구량까지 적어서 큰 의미는 없게 되었다. 거기에다 벌칸은 비엘리트카이다.
D클래스의 마쯔다 RX8과 함께 최초의 엘리트 차량이다.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면 이 차는 엘리트 튜닝을 할 때 0-4단계까지의 증가량이 4-8단계까지의 증가량보다 두배나 더 크다는 것이다. 이 차는 0-4단계까지 속도가 24km정도 올라가지만 4-8단계는 12km정도밖에 안올라간다. 최고속도, 니트로에만 튜닝할 시 랭크가 오히려 떨어져서 마스터리 15단계는 4-4-4-4로만 도전할 수 있다.
참고로 이 차량의 카 마스터리 보상 중에는 람보르기니 에고이스타와 마찬가지로 '''더블 크레딧 2개'''가 챌린지 10에 걸려있다.
워낙 가속력과 핸들링이 딸려서 0-8-0-8보다는 0-8-4-4 또는 0-8-8-0으로 해놓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지만 웬만하면 0-8-0-8로 하자. 가속력과 핸들링은 니트로와 컨트롤로 극복할 수 있다. 도쿄, 바르셀로나 같은 직선 트랙에서도 대부분의 리더보드 기록도 0-8-0-8고 0-8-4-4 등 다른 방식으로 튜닝하면 속도만 떨어지고 별다른 변화가 없다. 튜닝 소요시간은 2시간 30분, 비용은 3500 크레딧으로, 같은 엘리트 차량인 Mazda RX8에 비해 튜닝 소요 시간이 길고, 비용이 비싸다.(RX8은 1시간, 1200크레딧.)
기본 최대 랭크는 1810. 성능 조절로 최대 1840까지 오르며 튜닝 키트를 첨가하면 1876까지 오른다. 실차의 기본 최고속도가 500km가 넘는 괴물이라서 밸런스붕괴나, 파워인플레가 일어날까봐인지 랭크 조정이 낮게 책정된듯 하다.[75]
그래서인지 아스팔트 내에서 유일하게 게임 속도보다 실차 속도가 더 빠른 차량이 되었다.
시즌 9 전용 이벤트는 테네리페의 드래곤 트리 트랙에서 진행된다. 한 번에 5500~5700 정도의 크레딧을 벌어들일 수 있는데.. 별 5개는 프로업이 충분히 되어야 할 것이다.[76] 여담이지만 절벽에서 점프할 때 676km/h 넘게 찍히는 모습을 볼 수도 있다.
2016년 4월 23일 주말 멀티플레이컵 이벤트에서 이 차를 사용한 플레이어가 점수를 하나도 못 받고 점수 창에 X가 나오는 모습이 목격되었다. 부정행위[77]에 대한 페널티로 강력히 추정되었다. 그도 그럴것이 비록 해당 이벤트가 모든 차량을 사용할 수 있게끔 조건이 짜여져 있기는 하나, 4월 23일이면 아직 이 차량이 상점에 풀리기는 고사하고 전용컵도 진행하기 전이라는 것이다.
지금은 상점에 풀려서 문제는 없지만, 앞으로 아직 전용컵도 시작하지 않은 신 차량이 차고에 있다면... 최소한 멀티플레이 모드에서는 사용을 절대 금하자. 무슨 불이익을 당할지 아무도 모른다.
2016년 5월 2일에 전용컵이 시작되었다. 기록 상위 10인에게 이 차량이 주어진다.
실제 차량은 중동의 두바이에서 2013년에 "하이퍼카를 뛰어넘은 하이퍼카"라는 캐치프라이즈를 달고 모습을 드러낸 하이퍼카. 그러나 아직은 프로토타입 모델이다.[78]
7.2L V16엔진을 사용하며 최대출력이 '''5000마력'''이다. 위의 트라이온 네메시스도 2000마력인데, 실로 어마어마한 수치.[79]뿐만 아니라 제로백이 무려 '''1.8초'''에다가 최고속도는 '''563km/h'''로 메이커 측에서 예상하고 있다.[80] 이 속도를 견디기 위해 타이어도 비행기, 전투기에나 들어가는 항공제작 특수타이어를 사용한다.
데일리모드와 스포츠모드, 하이퍼모드로 나뉘며 각각 1200마력, 2500마력, 5000마력으로 리밋이 걸리게 되어있다. 그리고 다이노 테스트 결과로 '''4515'''마력을 찍었다!! 테스터기가 견디지 못해 거기서 멈춘 것.
디자인은 파가니람보르기니를 보고 따왔다고 한다.
비공식으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자동차 엔진'''차량이라는 얘기가 있지만 아직 실제 주행 테스트도 해보지 않은 다이노 테스트 결과다. 그러나 10000마력[81]을 뽑아내는 탑퓨얼 드래그스터가 제로~500km/h까지 4초가 안걸리는걸 보면 최고속도를 측정했을때 시속 560km/h는 가뿐히 넘길거라는걸 예상할 수 있다. 최고속도를 측정하지 않는 이유는 너무 위험해서라고 한다.[82] 넘사벽 수준으로 빠른 차이기에, 만약 앞으로 게임 내에 이 차보다 더 고성능의 차가 나온다면 그야말로 역대급 하극상이 되는 셈이다.
그런데 2.8.0버전에서 공차중량 770kg에 2500마력인 모슬러 랜드샤크까지 출전 시켰건만, 전혀 예상치 못한 녀석이 하극상을 저지르면서 '''그야말로 역대급 하극상'''을 일으켜 버릴 줄 알았으나 D클에서 그냥 굴러다니는 차량으로 너프되었다.
사실 예전에는 330 P4, 카마로, 오마주 같은 차량들이 코닉세그 원, VMAX같은 실차 속도 400km/h를 넘나드는 S클래스 차를 하극상 시킨것도 충격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실차 성능이 D클래스급인 SLK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었다.
다행히도 임팔라가 D클래스로 너프를 먹으면서 다시금 최고속도 최강을 재석권하나 싶었지만, 임팔라가 내려간 자리에 실속으로 '''539.9km/h''' 짜리 SLK가 등장하는 바람에 아무 의미 없게 되는 줄 알았으나, SLK과의 대결에서 1랩 기준 전 맵에서 SLK를 이겼다! 심지어 도쿄 역방향에서도!
이는 2.9.0버전의 SLK의 가속력이 정말 엄청나게 구리기 때문이다. 시작할때 3단 니트로 써서 최속까지 10초가량 걸린다. 거기에다 숏드맆을 할 때마다 엄청난 감속 패널티와 다시 최속까지 가속하는데 많은 시간을 잡아먹는다. 롱드맆은 할 말이 없는 지경...
그런데 또 3.0.0 업데이트로 SLK의 가속이 상향되면서 도쿄 역방향, 코트다쥐르에서는 최강자리를 넘겨주었다. 그리고 대부분 맵에서 데벨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좋은 성능을 가진 것이 확인되었다. 문제는 SLK와 데벨 둘다 컨트롤이 어려워서 SLK가 힘을 못쓰는 트랙은 데벨도 힘을 못쓴다는 것이다. 이제는 SLK보다 A클래스의 콜벳 GS가 더 무섭다. 콜벳 GS는 데벨보다 컨트롤이 좋아서 데벨을 이기는 맵이 있다. 데벨이라는 어마어마한 차가 또다른 S클래스인 벌칸한테도 털리는 것 또한 이상하다. 벌칸도 실성능은 B클래스 후반~A클래스 초반 급인데 얘는 튜닝 키트를 미친듯이 먹어서 빨라진다.
속도형 차량이 기록을 겨루는 도쿄 역방향에서는 SLK SE보다 1.2초 정도 느리며 콜벳 GS 보다는 0.3초 정도 빠르다.
대략 2018년 3월 16일부터 4,950,000크레딧으로 팔리기 시작했다.

9.20. Mosler Super GT


[image]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40

1.76

1.30

1.12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406.0
(388.7)

432.8
(414.4)

452.3
(433.1)

459.7
(440.2)
'''핸들링'''(Gs)
1.300

1.350

1.386

1.400
'''니트로'''(km/h)표기
(실속)
+26.9
(25.8)

+40.3
(38.6)

+50.0
(47.9)

+53.7
(51.4)
'''니트로 효율'''(%)

1단
6
2단
12
3단
16
'''드리프트 반경'''(m)


60%
18.0

100%
50.0
'''랭크'''
1594

1715

1794

1822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R&D차량
'''청사진 18장'''
'''MAX업 비용'''
'''1,038,800 크레딧 & [83] 10,035토큰'''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20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24개, '''어드밴스드 테크''' 28개
'''엔진'''
'''V8 엔진''' 56개
R&D 차량이다. 위 영상에서 볼 수 있듯이 BMW 3.0 CSL Hommage와 마찬기지로'''업그레이드를 하려면 많은 양의 "토큰"이 필요하다.''' 가속/핸들링 4, 5 업그레이드와 최고속도/니트로 3, 5 업그레이드가 토큰으로만 가능하다.
2016년 4월 20일부로 R&D가 시작되었다. [84] BMW 3.0 CSL Hommage R&D와 마찬가지로 프리 업그레이드 4개를 (테스트 002, 007, 016, 025) 얻을 수 있지만 그때와는 다르게 니트로 업그레이드 3이 첫번째 프리 업그레이드를 얻을 때 잠겨 있기 때문에 제공되는 프리 업그레이드 만으로는 3-5-3-5까지 업그레이드를 시킬 수 없다.
이번 R&D는 연구실 개수가 총 다섯 개 있으며, 마지막 연구실은 4일 안에 14개의 테스트를 클리어하도록 되어 있다.
'''테스트'''
'''트랙 및 모드'''
'''주 목표'''
'''부가 목표'''
'''요구
퀄리티
체크 수'''
이후 부가 목표 하나당 얻는 퀄리티 체크 수 : '''4'''
37
바르셀로나
클래식
배럴 롤 8회
파손 없이 파괴 8회
2:08 경신
25
38
만리장성(역)
최후의 승자
1위로 골인
파괴 7회
연속 플랫 스핀 4회
32
39
네바다(역)
클래식
1위로 골인
퍼펙트 런 4회
플랫 스핀 6회
40
40
사막의 장미
파괴
파괴 20회[85]
파손 없이 파괴 7회
파손 없이 파괴 12회
41
41
테이데 산
클래식
1위로 골인
총 에어 타임 12초
파괴 10회
42
42
섹터 8(역)
클래식
1위로 골인
연속 플랫 스핀 3회
파손 없음
43
43
아이슬란드(역)
언플러그드
1위로 골인
총 에어 타임 7초
파손 없음
44
44
스카이 드롭
클래식
플랫 스핀 12회
배럴 롤 4회
2:18 경신
45
45
샌디에이고 하버
게이트 드리프트
10,000점 달성
플랫 스핀 6회
파손 없음
30
46
사원 트랙
클래식
1위로 골인
총 에어 타임 17초
파손 없이 파괴 7회
50
47
모나코(역)
언플러그드
3:00 경신
2:54 경신
2:49 경신
48
베니스(역)
감염
1위로 골인
파괴 8회[86]
퍼펙트 런 5회
49
런던아이
'''무결점'''
1위로 골인
퍼펙트 런 3회
퍼펙트 런 5회[87]
55
50
FR 기아나(역)
'''궁극의 AI'''
윈도, ios섭 1:01:710 경신 안드로이드섭 1:03.492. [88]

R&D 최종 테스트 영상이다. 해당 차량은 5-5-5-5 0-0-0-0 업그레이드 상태인데 최종 AI를 이긴다. 당시 매우 쉬운 알앤디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실제로 진행해본 결과 궁극의 AI를 상대하는 미션이 템끼고 할 만한 것이었다. 게다가 그 정보는 안드로이드 서버였는데, 윈도우랑 iOS은 마지막 AI컷이 1.78초 더 빠른 1:01.710이었다. 연구소 5는 3-5-3-4 3-0-3-0 업글 정도로는 힘들다. 주 목표 달성하면 부가목표가 어려운 경우도 꽤 있고, 앞서나간 AI 차량들 파손 잔해에 부딪혀서 파손되는 경우도 많다. 하나 넘어가는데 재수없으면 키 6개 넘게 써야 하는 일이 생긴다. 윈도우 서버는 예외.[89]
마스터리 챌린지 10에 200토큰이 걸려있다.
시즌 9 전용 이벤트는 1등으로 마치면 한 번에 5500~5700 정도의 크레딧을 벌 수는 있으나 코스가 도쿄인지라, 돈벌이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게다가 1분 23초에 별 4개, 19초에 별 5개이니 프로업도 충분히 되어야 별 5개를 노릴 수 있을 것이다.
성능은 딱 랭크대로다. 엔초, 맥라렌 P1 GTR보다는 빠르지만 나머지 플레토어, 네메시스, 르노한테는 밀리는편.
그래도 가속, 드리프트가 좋은 편이며 니트로 연비는 중간인 매우 고성능의 차량이니 만약 R&D에서 이 차량을 최고 업글 상태로 얻었다면 S클래스 이벤트에서 신명나게 굴려먹도록 하자.

9.21. Weber Faster One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70

1.98

1.49

1.30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400.0
(394.4)

417.4
(411.5)

429.1
(423.0)

433.9
(427.8)
'''핸들링'''(Gs)
1.220

1.270

1.304

1.317
'''니트로'''(km/h)표기
(실속)
+29.0
(28.6)

+43.5
(42.9)

+53.2
(52.4)

57.2
(56.4)
'''니트로 효율'''(%)

1단
5
2단
9.5
3단
15
'''드리프트 반경'''(m)


60%
19.3

100%
53.7
'''랭크'''
1623

1722

1785

1810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EDD차량
'''13,750 토큰'''
'''MAX업 비용'''
'''2,978,25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23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28개, '''어드밴스드 테크''' 28개
'''엔진'''
'''V10 엔진''' 28개[90]
2016년 6월 업데이트에 추가된 차량. 스위스에 위치한 베버 슈퍼카즈 (Weber Supercars)에서 제작한 최고속도가 400km/h에 달하는 슈퍼카다.
초반 가속이 약간 끊기는 감이 있지만 니트로연비가 좋고 최고속도가 뛰어나며, 드리프트가 찰지게 잘 돌아간다. 다만 핸들링 자체는 뭔가 애매한 편.
이녀석 또한 위의 모슬러처럼 딱 랭크대로의 성능을 가지고 있다. 엔초한텐 밀리지만, F1이나 VMAX하고 비슷하다.
이 차도 미미한 뻥스펙이어서 맥라렌 675LT, 9FF VMAX수준의 속도에 불과하다. 성능면에서도 VMAX와 큰 차이가 없다. 이 차도 그냥 소장용 차량이니 차라리 네메시스를 사는 것이 나을 것이다.
Enduro Double Down 이벤트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이 이벤트는 약 8일동안 진행되며, 한 번에 초대장 한 장을 소모해서 주어지는 챌린지를 클리어해서 포인트를 쌓아 총 75,000포인트를 얻으면 차량을 얻을 수 있게 되어있다.
이 챌린지는 여러 파트가 존재하며, 한 파트마다 작은 챌린지 여러개가 주어지고, 파트의 마지막엔 고스트 챌린지가 있으며, 이것 까지 끝마쳐야 다음 파트로 넘어가게 된다. 그리고 넘어가기 전에 그동안 받은 포인트를 저장하는 선택지와, 포인트를 저장하지 않고 다음 파트에서 두 배의 포인트를 받아가는 도박같은 선택지도 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이 있는데, 하나의 파트가 진행되는 동안은 받은 포인트를 저장할 수 없으며, 마지막 고스트 챌린지까지 완료를 해야 저장이나 두배의 도박을 걸 수있는데, 이 두번째 선택지가 도박인 이유는 고스트를 포함한 모든 챌린지에서 하나라도 실패할 경우, '''저장되지 않은 포인트는 소멸하고''' 챌린지는 다시 처음의 파트로 돌아가게 된다. 그리고 처음으로 돌아갈 때 마다 초대장이 하나씩 소모된다.[91]
토큰을 지불하여 저장과 두배를 다 가져가는 선택지도 존재한다.
챌린지를 진행하다보면 출력되는 대사들을 볼 수 있는데, 이게 은근히 재미있다.
처음엔 이 차를 가질 수 있겠나며 비꼬는데, 계속해서 승리하는 플레이어를 보고 칭찬을 하며 자기네 팀에 영입해 주겠다고 하더니 갑자기 당신을 떨어뜨리겠다며 다짜고짜 각국의 스트리트 레이서들을 고용해서 떨어뜨리려하질 않나,[92] 뇌물을 줄테니 져달라고[93] 하는 등, 태세전환이 상당한 백미다.
여담으로 이 차량의 모델링이 실차와는 다르게 되어있다. 구글에 Weber Faster One을 검색하면 3종류의 이미지를 볼 수 있는데, 하나는 실제 차량의 이미지고, 나머지 둘은 컴퓨터 그래픽으로 구현한 실제로는 없는 차량의 이미지다.
검색을 해보면 알겠지만, 이 두 그래픽 모델중 유독 한가지만 비중이 많은 것을 볼 수 있는데, 게임 내의 모델링은 실제차량의 모습도 아니며, 비중있는 쪽 그래픽도 아니다. 가장 비중이 적은 그래픽을 골라 구현시켜놓은 것이다. 그리고 뒷모습이 오눅사잔, 쉐보레 SS를 능가할정도로 못생겼다.
2018년 2월 23일 기준, 특별 차량으로 5일동안 13,750토큰에 기간 한정 판매되고 있다.

9.22. nanoFlowcell QUANT FE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80

2.05

1.52

1.32
'''최고 속도'''(km/h)
380.0

391.4

399.5

402.7
'''핸들링'''(Gs)
1.300

1.350

1.386

1.399
'''니트로'''(km/h)
+30.0

+45.0

+55.7

+59.8
'''니트로 효율'''(%)

1단
6
2단
12
3단
16
'''드리프트 반경'''(m)


60%
36.1

100%
100.4
'''랭크'''
1582

1673

1735

1758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750,000크레딧'''
'''MAX업 비용'''
'''2,352,700크레딧''' or '''13,300 토큰'''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13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24개, '''어드밴스드 테크''' 20개
'''엔진'''
'''일렉트릭 엔진 ''' 12개
'''엘리트 차량
(풀업 기준)
'''
'''4-4-4-4'''[94]
'''0-8-0-8
(최대 속도)
'''
'''튜닝 범위'''
'''가속력'''(초)
1.32

1.89
1.89 ~ 1.13
'''최고 속도'''(km/h)
402.7

405.5
397.1 ~ 405.5
'''핸들링'''(Gs)
1.399

1.375
1.375 ~ 1.412
'''니트로'''(km/h)
+59.8

+63.5
+52.4 ~ +63.5
'''랭크'''
1758

1743
-
2013년에 설립된 리히텐슈타인의 스포츠카 회사 nanoFlowcell에서 만든 차량이다.
최고속도/니트로에 몰빵한 튜닝시 최악의 핸들링과 드리프트를 보여준다. A클래스의 알카도르와 비슷하지만 드리프트마저도 알카도르가 아주 조금 더 낫다.
거기에 더해 기록은 알카도르에게 밀린다. 가속과 니트로 연비가 더 좋긴 하지만, 엘리트 튠업을 0-8-0-8로 해도 속도가 10km/h 이상 차이나고, 알카도르보다 차체가 워낙 크고, 둔하고, 무거워서 이리저리 부딪혀 속도를 잃어버리기 십상이다.[95]
상술되어있듯이 차체가 데벨보다도 더 무겁고, 둔해서 컨트롤이 쉽지가 않다. 다른 차들보다 핸들링,드리프트가 매우 떨어지는 차량이지만 2010 벤틀리 슈퍼스포츠보다는 주행감이 간신히 좋다. 핸들링을 아무리 업글해도 별로 나아지지 않는 것을 보았을때 핸들,드리프트 성능이 거의 제로에 가까운 것 같다.[96] 기본 핸들링이 직선을 달리는 수준으로 매우 떨어지는데다가 드리프트는 매우 안좋은지라 하찮은 커브라도 쓸데없는 드리프트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엘리트 튜닝을 핸들링에만 투자하면 표기상으로 1.412GS가 나온다. 급커브를 돌려면 브레이크를 사용해서 300km정도로 낮춘 뒤 커브를 돌아야 할 정도다.
이 차의 특별하고도 더러운 점은 배럴롤과 플랫스핀이 어렵다는 것. 배럴롤을 시도하다가 그냥 점프만 돼서 시간만 잡아먹거나 반만 점프해서 와장창하는 경우를 자주 겪게 되고, 플랫스핀을 돌려고 드리프트를 틀었는데 돌지는 않고 그대로 점프만해서 속도가 줄어드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한다. 게다가 속도만 줄면 다행이지 플랫 스핀 중 반바퀴만 돌면 역주행 할 수도 있다.
그나마의 장점은 가속력과 니트로 연비가 우수하다는것. 다만 최고속도가 낮은데다가 워낙 드리프트가 딸려서 알카도르처럼 능력치를 다 깎아먹는다. 커브가 많은 길에서는 베네노한테도 질 수 있다. 알카도르는 그나마 일반 차량이지만 이 차는 엘리트 차량이어서 마음대로 몰 수도 없다.[97]
D클래스에서 나름 선전하고 있는 동생 퀀티노와 달리, 아무런 활약을 못하고 있다.
이 차는 아마도 실속일 확률이 높다.[98]

9.23. W Motors Fenyr Supersport[99]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70

1.98

1.48

1.28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419.4
(401.6)

444.8
(425.9)

462.3
(442.7)

469.3
(449.4)
'''핸들링'''(Gs)
1.220

1.270

1.305

1.318
'''니트로'''(km/h)표기
(실속)
+23.9
(22.9)

+35.8
(34.3)

+44.1
(42.2)

47.4
(45.4)
'''니트로 효율'''(%)

1단
7
2단
13
3단
17
'''드리프트 반경'''(m)


60%
16.3

100%
45.3
'''랭크'''
1624

1731

1799

1824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R&D차량
'''청사진 20장'''
'''MAX업 비용'''
'''3,464,150크레딧'''
'''PRO업 비용'''
'''1,953,525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23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28개, '''어드밴스드 테크''' 28개
'''엔진'''
'''F6엔진''' 24개
2.6.0 리우 업데이트로 추가된 9번째 R&D 차량이다.

아스팔트에서 드리프트력이 최상위권이다. 심지어 엔초 페라리, 벤츠 C클 투어링 2014, MP4-25보다 훨씬 잘돌아 간다.
때문에 드리프트를 할때 특히 조심하자! 급커브라고 확 틀다 보면 파손 되거나 180도로 돌아간다. 이것은 또다른 오버드리프트 차량인 FXX, 돈커부트, 모슬러 GT3과 비슷하며 너무 휙휙돌아서 급커브길에선 세밀한 조작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핸들링은 취향에 따라 조심해서 업글해야 한다. 물론 풀업 상태가 기록이 가장 잘나오긴 하다.
성능은 같은 R&D 차량인 모슬러 슈퍼 GT의 상위 호환 정도이다.
가속도는 모슬러보다 약간 느리지만 최고속도가 더 높아서 기록이 더 잘나온다.
모슬러 슈퍼 GT와 달리 R&D 파이널 테스트가 어려운 편이어서 랭크 1773 정도가 돼야지 겨우 깰 수 있다.
아마도 맥스업에 5-3-5-3정도가 되어야지 깰 수 있을 것 같다.
이 차를 따려면 F6 엔진을 아껴서 이 차에 투자해야 할 것 같다.
가속력은 전체적으로 두고 볼땐 준수한 편이지만 경쟁 차량들에 비해선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을수 있다. 프로업 시 최고속력까지 약 4.2초여서 맥라렌 675LT보다 가속이 조금 느리다. 하지만 표기된 스펙과 달리 핸들링, 드리프트가 심각할정도로 너무 좋다.
핸들링, 드리프트가 너무 좋다 보니 섹터 8에서는 500도 커브를 잘 돌아서 좋은 기록이 나오지만 만리장성,두바이,테네리페 같은 맵에서는 드리프트가 너무 좋아서 신중하게 운전해야 한다.
맥라렌 P1 GTR, 모슬러 슈퍼 GT는 이기나 네메시스한테는 발린다.
네메시스보다 최고속도는 조금 높지만[100] 니트로 연비가 살짝 떨어지고, 가속력은 한참 떨어져서 네메시스가 벌려놓은 거리를 따라잡지 못한다. 그래도 매우 고성능의 차량이어서 모슬러 슈퍼 GT를 이기니 R&D에서 이 차를 따면 더 신명나게 굴려먹도록 해보자.
하지만 2.8.0 업데이트로 같은 R&D 차량이면서 모든 트랙에서 페니어를 이기고, 장거리면 네메시스도 이길 수 있는 아라쉬 AF10이 출시되어 완전한 퇴물이 되어버렸다. 단, 일반 V8이 적은 사람에게는 아직 충분히 써먹을 만 하다.
여담이지만, 이전 모델인 라이칸과 달리 페니어는 상시 스포일러가 올라간 상태로 구현되어있다.[101] 르노스포츠와 같은 엔진음을 달고 나온다.
시즌9 노가다 효율이 괜찮은 차량이다.
하이랜드 풍경 트랙을 달리며 랩타임은 50초 내외로 5700크레딧 가까이 벌 수 있다. 난이도도 무난한 편. 맥스프로업 되어있고 맵에 익숙해지면 부스터를 쓰지 않고도 별5개를 어렵지 않게 획득할 수 있다.

9.24. 2015 GTA Spano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90

2.13

1.57

1.36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379.5
(368.6)

406.0
(394.4)

425.0
(412.8)

432.3
(419.9)
'''핸들링'''(Gs)
1.250

1.300

1.336

1.350
'''니트로'''(km/h)표기
(실속)
+30.9
(30.0)

+46.3
(45.0)

+57.5
(55.9)

61.7
(59.9)
'''니트로 효율'''(%)

1단
6
2단
12
3단
16
'''드리프트 반경'''(m)


60%
33.9

100%
94.2
'''랭크'''
1544

1681

1770

1802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400,000 VIP'''[102]
'''MAX업 비용'''
'''3,378,300크레딧''' or '''23,140 토큰'''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23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28개, '''어드밴스드 테크''' 28개
'''엔진'''
'''V12엔진''' 52개
'''엘리트 차량
(풀업 기준)
'''
'''4-4-4-4'''
'''0-8-0-8
(최대 속도)
'''
'''튜닝 범위'''
'''가속력'''(초)
1.36

1.74
1.74 ~ ???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432.3
(419.9)

438.8
(426.3)
??? ~ 438.8
'''핸들링'''(Gs)
1.350

1.325
1.325 ~ ???
'''니트로'''(km/h)표기
(실속)
61.7
(59.9)

65.5
(63.6)
??? ~ 65.5
'''랭크'''
1802

1795
-
2.6.0 리오 업데이트 이후로 생긴 VIP시스템에서 '''400,000포인트'''를 획득, 즉 VIP 15단계를 달성하면 지급하는 차량이다.[103][104]
그래도 이 차를 따는 사람은 있을 것이다.[105]
[106]
물론 15,000토큰을 55,000원에 할인하는 시기에 구입하는게 낫다. 그러면 할인해서 최소 220만원 할인 안하면 440만원 이상이 들어갈 것이다.
마스터리 보상으로 라이센스 '''100개'''를 지급한다. 그러나 이외에 일체 다른 보상은 주지 않는다.
참고로 성능은 맥라렌 675LT와 비슷하다. 가속은 675LT보다 살짝 느리며, 니트로 연비는 네메시스 수준, 최고속도는 약 490이지만,드리프트는 구리다.
어느샌가 상점에도 모습을 드러냈는데 다른 차량들한테는 가격표가 붙어있는 곳에 VIP 포인트 15 '레벨 업' 이라고 붙어있다(...)
그리고 태그 레이싱 시즌에서 구입할 수 있던 버그가 있었지만, 2016.09.18 시점부터 사라졌다.[107] 그러나 이 차를 살 돈이 있거든 벌칸, 데벨, MP4-25, RX8등 각 분야의 최강 차량들을 완비해놓는게 백배 더 나으며 최상위 A,S급을 프로업시키거나 청사진을 모으는 것이 낫다.
코닉세그 원은 이길 수 있지만 그보다 상위의 차량들에겐 맥을 못추기 때문에 그냥 현질을 열심히 한 유저들에게만 주는 기념비적인 소장용 차량이다.
어떻게 보면 차라리 성능이 허접인 것이 나은게, 만약 이 차가 S클 최강이라면 실제 돈 440만원을 투자해야 딸 수 있기에, 최상위권 유저들 조차도 따기 힘들어질 것이다. 그것도 2.6.0 이전에 현질한 기록은 안들어가며 VIP 시스템이 생긴 2.6.0 이후에 440만원을 현질해야 하기 때문에 서버에 몇십 대밖에 없는 매우 희귀한 차이다.

9.25. GT by Citroen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3.50

2.57

1.89

1.63
'''최고 속도'''(km/h)
375.8

397.3

412.8

418.7
'''핸들링'''(Gs)
1.250

1.300

1.336

1.350
'''니트로'''(km/h)
+34.3

+51.4

+63.9

68.6
'''니트로 효율'''(%)

1단
7
2단
12
3단
16
'''드리프트 반경'''(m)


60%
20.7

100%
57.5
'''랭크'''
1584

1712

1797

1823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R&D차량
''' -''' → '''청사진'''18장
'''MAX업 비용'''
'''3,115,450크레딧'''
'''PRO업 비용'''
'''1,799,025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23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32개, '''어드밴스드 테크''' 28개
'''엔진'''
'''하이브리드 엔진''' 28개
2.7.0 업데이트로 추가된 10번째 R&D 차량이다.
성능으로는 니트로 의존도가 나름 높은 차다.
가속력은 에고이스타보단 살짝 떨어지는 것으로 예상된다.[108]
다만 속도가 랭크대비 '''많이''' 후달린다. 487.3밖에 안된다.
이런 느린 속도 때문인지 P1 GTR한테도 발린다.
니트로 효율은 준수하며, 드리프트도 중간급이다. 엔진소리는 드지르, 서볼트, 푸조 SR1, 실버 라이트닝과 동일하다.[109]
하이브리드 엔진 28개로 위에 전설엔진을 먹는 페니어보다 프로업이 수월하다.
의외로 노가다에도 좋을 수 있다. 챌린지 15의 트랙이 무결점에 런던아이 인데 트랙 난이도가 높지 않고 중립차량도 적은 편이고 50초 내외에 6300크레딧 가량을 벌어들여서 675LT 및 다른 파밍용 차량들이 부족하다면 충분히 기용할수 있을만한 차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뻥스펙이 아니라서 낚일 일이 없다는 점이다.

9.26. Aston Martin Vulcan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3.00

2.20

1.62

1.40
'''최고 속도'''(km/h)
(실속)
330.5
(293.1)

415.9
(368.7)

477.8
(423.6)

501.3
(444.4)
'''핸들링'''(Gs)
1.250

1.300

1.336

1.350
'''니트로'''(km/h)
(실속)
35.5
(31.4)

53.2
(47.2)

66.1
(58.6)

70.9
(62.9)
'''니트로 효율'''(%)

1단
6
2단
10
3단
14
'''드리프트 반경'''(m)


60%
16.6

100%
46.1
'''랭크'''
1220

1609

1806

1868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S클래스 2인자)­
'''가격'''
'''17,250 토큰'''
'''MAX업 비용'''
'''3,354,600크레딧'''
'''PRO업 비용'''
'''1,681,775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23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32개, '''어드밴스드 테크''' 24개
'''엔진'''
'''V12 엔진''' 32개
밸런스형 차량임에도 실속이 무려 '''507.3km/h'''을 달린다.
속도로는 S클래스 상위권이며, 밸런스형 차량 주제에 최속형 차량인 카마로, 플레토르, 르노 스포츠보다도 속도가 빠르다. 즉, 이들은 어떠한 맵을 갖다줘도 반드시 벌칸이 이긴다는 것이다.[110]전트랙에서 SLK를 제외한 A클래스의 하극상을 막는 차량이며 전체적으로 오마쥬 상위호환이다. SLK와도 속도는 32.6km 차이나지만 컨트롤이 극악이기에 전체적으로는 벌칸이 낫다. 콜벳 GS도 11.6km나 차이나지만 가속과 컨트롤이 벌칸보다 안좋은지라 대부분 맵에서 이긴다.
'''1랩의 경우 전 트랙에서 오마주를 이긴다.'''[111]
3.5.0 현재까지도 1년 넘게 S클래스에서 최강자이나 3.6.0에 Apollo IE의 등장으로 위협을 받고 있다.
최고속력까지 3.3초정도로 500이 넘는 차량치고는 가속이 빠른 수준이다. 그것도 초반가속과 후반가속이 비슷하다. 스티어링은 니트로 추가속도가 높은지라 조금 딸리지만[112] 드리프트는 좋다못해 모슬러 GT3,엔초 페라리만큼 휙휙돌아가서 세밀한 조작이 필요하다. 벌칸이 랩 타임 기록은 잘나오지만 의외로 몰기 힘든 차량이다. 스티어링은 좀 딸리는데 드리프트는 좋다보니 벽으로 돌진 하거나 붕 뜨는 경우가 많다. 벌칸을 최속형 차량 몰던식으로 몰면 큰일난다. 아쉬운 점은 니트로 의존도가 좀 높다는 점이다.
모든 것이 준수한 성능으로 섹터 8, 만리장성, 아이슬란드, 테네리페 같은 까다로운 맵에서는 1인자이다.[113]거기에다 니트로 효율은 675LT 수준이라 잘 닳지 않는다.
가속이 빠른데다, 속도 차이도 그렇게 크지 않기 때문에 오마주는 확실히 이기며, 섹터 8 등등 복잡하고 커브가 많은 길에서는 데벨까지 털 수 있다. 네메시스는 뼈도 못추리는 수준.[114] 이 벌칸의 등장으로 단거리 기록이 평균 1초 이상 단축되었으며 단거리에 강한 MP4-25,MP4-31같은 차량들이 출시되었다.
MP4-25와 비교해도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모든 맵에서 MP4-25를 이긴다. MP4-25보다도 커브가 많은 길이나 단거리에 더 강하다. 특히,섹터 8 정방향에서 무려 50.556초 기록이 나온다. 그것도 싱글 탱크로 나온 기록이다.[115]동일한 맵 기준 MP4-25보다 1초 가까이 빠르다.
최속이 높으면서 모든 성능이 좋기 때문에 S클래스 히트 컵에서 필수 차량이 되었다.[116]
안정성이 다른 맵에서는 그럭저럭 괜찮지만 희한한 것이 도쿄에 보도블럭에서는 잘 미끄러진다.[117]
만약 14250 토큰 이상을 가지고 있다면 '''무조건''' 따도록 하자. 한정판매 차량인줄 알았지만 현재 상점에 상시판매로 출시되었다.
이 차의 장점은 엘리트 카도 아니어서 오마주처럼 마음껏 몰 수도 있다는 장점도 있다. 거기에 네메시스보다 더 적은 전설급 V12엔진을 32개만 요구한다.
그렇지만 도쿄, 바르셀로나 등의 직선 중심의 맵에서는 데벨에게 밀린다.
이로써 애스턴 마틴 집안에도 초고성능 차가 들어오면서 콩가루 타이틀을 완전히 벗겨버렸다.
멀티에서 매우 효율이 좋다.
0300 2030 랭크 1366(속도 401)이나
5504 5050 랭크 1679(속도 498),
5505 5555 랭크 1747(속도 507)로 튜닝하면 멀티에서 매우 좋은 성적을 내니 참고.
발표는 2.8.0때했지만 실제로는 2.9.0 중반에나 되어야 나왔다. 전 맵에서 최상위권인 기록을 휩쓰는 만큼 역시 토큰카이다. S클래스 중에서 스타트 랭크가 가장 낮아서 랭크의 격차가 S클중에서 가장 큰 S클래스중에선 드문 대기만성형 차량이다. 스톡 랭크가 1220부터 시작해서 노업상태로 멀티에 나가면 D클래스 후반한테도 발리지만, 풀업시 1609로 베네노 맥스상태와 맞먹으며 프로업시 1806으로 S클 최상위권이 되고, 튜닝키트까지 더하면 1868가 나온다. 이 랭크는 비엘리트중에서는 가장 높으며 엘리트카까지 포함 시켜도 SLK, 데벨에 이어 3인자이다.
참고로 17년 7월 1일부터 7월 3일까지 3일동안 상점에 벌칸이 안보인 적이 있었다.
7월 4일에 벌칸이 다시 상점으로 돌아왔으며 상점에 없었던 콜벳 GS, 콜벳 C3까지 돌아왔다. 14250토큰이 있다면 얼른 벌칸부터 지르자.[118]
이 차가 3.3.0 업데이트 이후로 토큰업 구간이 생겼으나 유저들의 비난으로 20여대의 차들이 크레딧으로 돌아왔으며 머지않아 얘도 다시 크레딧 업으로 돌아왔다.
당당히 아스팔트 8 최고의 차 1위로 뽑혔다.

9.27. Mosler Land Shark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40

1.76

1.30

1.12
'''최고 속도'''(km/h)
(실속)
419.4
(401.4)

435.8
(417.3)

447.6
(428.6)

452.1
(432.9)
'''핸들링'''(Gs)
1.300

1.350

1.386

1.400
'''니트로'''(km/h)
(실속)
29.8
(28.5)

44.8
(42.9)

55.5
(53.1)

59.6
(57.1)
'''니트로 효율'''(%)

1단
5
2단
10
3단
15
'''드리프트 반경'''(m)


60%
19.4

100%
53.9
'''랭크'''
1644

1737

1800

1823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2,250,000크레딧'''
'''MAX업 비용'''
'''2,951,500크레딧'''
'''PRO업 비용'''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24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36개, '''어드벤스드 테크''' 20개
'''엔진'''
'''포스드 인덕션 V8 엔진''' 28개
'''엘리트 차량
(풀업 기준)
'''
'''4-4-4-4'''
'''0-8-0-8
(최대 속도)
'''
'''튜닝 범위'''
'''가속력'''(초)
1.12

1.44

'''최고 속도'''(km/h)표기
(실속)
452.1
(432.9)

456.2
(436.8)

'''핸들링'''(Gs)
1.400

1.375

'''니트로'''(km/h)표기
(실속)
59.6
(57.1)

63.3
(60.6)

'''랭크'''
1822

1831
-
엘리트카이며 실속으로 약 497.4를 달린다.
이 차는 네메시스보다 속도도 더 높으면서 드리프트, 니트로 연비 다 좋은 밸런스형 차량이다. 가속은 네메시스보다 조금 안좋다. 모든 크레딧 차량 중에서 성능이 가장 좋다.
엘리트 튠업을 0-8-0-8로 해놓아도 동사의 슈퍼 GT보다 가속이 빠르며, 니트로 연비도 월등히 좋다.
네메시스와는 장거리에선 당연히 랜드샤크가 압도하고, 단거리에서도 근소하게 갈리는 정도다.
한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엘리트카라서 마음껏 굴릴 수 없다는 것.
가성비가 매우 좋은 차량이다. 엘리트 차량의 컨디션이라는 단점이 있지만 네메시스보다 25만 크레딧 정도 싼 가격에 비록 단거리에서는 가속력때문에 네메시스보다 딸릴지라도 전체적으로 모든 스펙이 높은 수준의 성능이어서 크게 밀리지는 않으며 최고속도도 네메시스보다 6km/h정도 빨라서 장거리에서는 충분히 이길 수 있다. 거기에다 네메시스보다 포스드인덕션 V8을 32개 더 적게 먹어서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
실차는 미국 모슬러 브랜드의 최고성능 차량. 정식 명칭은 Mosler MT900 GTR XX Twin Turbo Landshark. 출력이 무려 2500마력에 매우 가벼운 차체를 가지고 있어서 매우 빠른 가속력을 보여주며, 실제 측정치는 아니지만 차량의 무게와 공기역학, 엔진의 튜닝상태 등을 고려하여 이론상 최고시속 '''643km/h'''까지 낼 수 있다고 한다.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이론상이고, 실제 측정치는 '''490km/h'''가 나왔다고 한다. 실차로 따지면 아스팔트 내에서 데벨 다음으로 빠른 차량인 셈.[119]
여담으로 엘리트 튠업을 가속에만 튜닝 시 최초로 0.9초대의 가속력이 나오는 차량이다.
한가지 특이한 점이 이벤트에서 도무지 보이질 않는다. 아라쉬,네메시스보다 확실히 좋은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밸런스형 성능을 가진 차량이지만 상위권에서는 데벨, 벌칸이라는 S클래스의 무서운 투탑이 기다리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가격이 엄청 비싸다는 단점이 있으며 Hussarya GT도 챔피언쉽 기간을 놓쳤다면 노현질은 사기 어렵다. 현재 노현질 유저가 무난하게 기를 수 있는 크레딧 차로는 랜드샤크가 최고라 볼 수도 있다.
여담으로 게임 내에 등장한 모슬러 차량들 중 유일한 일반 판매용 양산차량이다.
GT3와 슈퍼 GT는 트랙 전용의 레이싱 차량이다. 게임 내에서 데칼이나 스티커가 없는 노말 컬러로만 나오는 바람에 헷갈릴 수도 있다. 사족으로 덧붙이자면, 모슬러 사의 다른 양산차로는 MT900 시리즈, 랩터 GTR 등이 있다.[120]

9.28. Arash AF10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30

1.69

1.24

1.07
'''최고 속도'''(km/h)
482.0
(427.3)

498.1
(441.5)

509.8
(451.9)

514.2
(455.8)
'''핸들링'''(Gs)
1.220

1.270

1.306

1.320
'''니트로'''(km/h)
24.2
(21.4)

36.3
(32.2)

45.1
(40.0)

48.4
(42.9)
'''니트로 효율'''(%)

1단
6
2단
12
3단
14
'''드리프트 반경'''(m)


60%
20.8

100%
57.8
'''랭크'''
1692

1763

1812

1830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R&D차량
'''15,000 토큰'''
'''MAX업 비용'''
'''3,399,950 크레딧'''
'''PRO업 비용'''
'''1,770,25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23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28개, '''어드벤스드 테크''' 28개
'''엔진'''
'''V8엔진''' 60개
11번째 R&D 차량. 실속으로 약 498.7를 달린다. 모슬러 랜드샤크보다 조금 더 빠르다.
수치상 가속도를 보자면 네메시스 다음으로 좋은 가속력에다가 최고속도까지 높아서 네메시스를 털어버릴만한 성능이다. 그런데, 최속까지는 4초가 걸리지만 초반부 가속력은 그럭저럭 괜찮지만 중, 후반 가속도가 영 좋지 않다. 핸들링은 휙휙 잘돌아가며 드리프트는 오마쥬보다 낫기 때문에 급커브길에서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비슷한 속도를 가진 랜드샤크는 엘리트카이지만 이 차는 마음대로 몰 수 있다는 것이 또 하나의 장점. 도쿄같은 장거리 트랙에서는 네메시스를 이기지만 중, 단거리에서는 네메시스에게 살짝 밀린다. 함께 추가된 랜드샤크에겐 밀리지만, 랜드샤크는 엘리트카인데다가 아라쉬는 R&D차량이라 무과금으로도 따낼 수 있기에, 랜드샤크의 비용과 엔진카드, 엘리트 튠업 시간이 부담된다면 대용으로 노리기 좋은 차량이다. 다만 일반엔진이라도 '''60장'''이나 먹는 점이 주의해야 할 점. 거기에 최중요 엔진인 '''일반 V8엔진'''을 사용해서 뉴비이거나 노현질 유저라면 아라쉬에 60개를 투자하는 것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성능은 플레토어,르노 스포츠와 비슷하다.
노업 스톡 랭크가 1692로 아스팔트8내에서 가장 높고[121], 맥스 프로 풀업을 하면 1812랭크이다. 랭크업에 따른 수치변화가 크지 않기 때문에, 튜닝키트빨을 잘 못받는다. 랭크업의 포텐셜이 낮다는 것으로, 튜닝키트로 추가되는 랭크는 18로 제일 낮다. 두번째로 낮은 차는 B클의 BXR Bailey Blade GT1으로 20.
맥스, 프로, 노템 상태에서 최고속도가 약 '''492km/h'''로[122] 네메시스가 튜닝키트를 낀 수치보다 속도가 빠르다.[123]
문제는 프로업까지 끝마쳐도 나쁘지는 않지만 플레토어, 르노 보다 속도가 낮다. 물론 이들은 가속과 컨트롤이 딸리는 것을 고려할 때 아라쉬와 비슷하다. 참고로 네메시스는 맵에 따라 갈리며 오마주, 데벨, 벌칸한테는 전맵에서 밀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벤트에서 종종 보이긴 하지만 최상위권 기록을 세우기는 어렵다.
R&D는 연구소 3까지는 다른 S클래스 R&D 차와는 다르게 할만하다. 퀄리티 체크 요구 개수도 많지 않은 편이고, 궁극의 AI도 아주 빡빡하지는 않다. 다만 연구소 4부터는 에고이스타,오마쥬보다 어려우며 기존의 겜롶 이상을 보여준다. 연구소4가 어찌나 더러운지, 부가 미션으로 파손 없음이 굉장히 많다. 연구소4에서 3,4번(심하면 5,6번) 연달아 부가목표에 파손없음이 나오기도 하고 테스트 43에서는 리우데자네이루에서 파손없이 파괴 10번이 기본 목표인 정신나감을 자랑한다.[124] 주 목표가 시간제한일 경우 사실상 파손 없음이 강제된다. 마지막 미션은 샌디에이고 하버 역방향이며 5555 2232 업으로는 3템에 노미스도 안 된다.[125] ai 따라가기 밖에 안된다. 랭커가 5555 3333에 삼템으로 간신히 깨는 정도이다. ai는 47초 685라는 정신나간 랩타임을 보여준다.
이 차도 F1 차량만큼은 아니지만 안정성이 그다지 안좋은 편이다. 덧붙여서 차가 '''상당히 잘 미끄러진다'''.잘 달리다가 차가 갑자기 옆으로 방향이 꺾이면서 파손 화면과 함께 부가목표 (혹은 주목표)가 날아가버릴수도 있다.
여담으로 차량 이름은 Arash AF10 이라고만 되어있지만, 차량의 모델링은 Arash AF10 Hybrid 모델이다.[126] 기본 성능이나 모델링으로 봐선 하이브리드 모델을 내놓은게 맞고, 이름에서 하이브리드만 빠진것이다. [127] 거기다가 R&D에서 하이브리드라는 단어를 계속 언급하는것을 볼 수 있다. 패치로 엔진이 바뀐 사례가 있으니 이 차량도 추후 패치로 하이브리드 엔진으로 바뀔 수도 있다는 소리. 아직까지는 일반 V8을 사용한다.
이 차량의 R&D가 처음 나왔을때 테스트56에서 MP4-25의 챔피언십 프로 상자가 보상으로 걸려있다. 이유는 불명. 이후 Arash AF10 상자로 정상적으로 변경됐다.
마스터리 챌린지 5와 10에서 각각 '''더블 크레딧'''과 '''500토큰'''을 보상으로 준다. 덤으로 마스터리 보상이 꽤 많은 편으로 챌린지 14(스카이드롭 클래식)에서 1등으로 완주 시에 6200~6300크레딧 가량을 준다. 챌린지 15는 1등 시에 6700크레딧 가까이 주지만 문제는 트랙이 '''아이슬란드''' 라는 점... 때문에 챌린지 15로 노가다를 할 여지는 사라졌다.[128]
참고로 아스팔트의 차들 중에서 내구도가 높은 차량이기도 하다. 니트로를 쓰고서도 정면에서 오는 소형 트럭에 300km/h이상의 속도로 부딫혀도 파손되지 않을 때도 있다.
미국 국기에서 개최되는 simple mobile,straight talk컵에서 이 차량 맥스 프로가 사용되었다.
2017년 11월 20일 3차 R&D가 시작됐다.

9.29. Lamborghini Aventador SV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80

2.05

1.51

1.31
'''최고 속도'''(km/h)
350.1

391.5

421.6

433.0
'''핸들링'''(Gs)
1.200

1.250

1.286

1.300
'''니트로'''(km/h)
30.0

45.0

55.9

60.0
'''니트로 효율'''(%)

1단
6
2단
'''8'''
3단
16
'''드리프트 반경'''(m)


60%
29.8

100%
82.8
'''랭크'''
1476

1673

1793

1834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EDD차량
'''청사진 45장'''
'''MAX업 비용'''
'''3,015,35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23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32개, '''어드벤스드 테크''' 24개
'''엔진'''
'''V12 엔진''' 24개
'''엘리트 차량
(풀업 기준)
'''
'''4-4-4-4'''
'''0-8-0-8
(최대 속도)
'''
'''튜닝 범위'''
'''가속력'''(초)
1.31

1.68
~
'''최고 속도'''(km/h)
433.0

443.2
~
'''핸들링'''(Gs)
1.300

1.275
~
'''니트로'''(km/h)
60.0

63.7
~
'''랭크'''
1834

1851
-
A클래스의 아벤타도르의 고성능인 '슈퍼벨로체' 버전이다. EDD 보상 차량이며, 엘리트 차량이다.
실속이 506.9로 벌칸과의 대결이 기대되는 차량. 람보르기니 차량 중에서 가장 고성능으로 등장했다.
공개 전 특이한 점이 보통 신규 업데이트 정보가 뜨면, 유튜브나 구글, 아스팔트 위키 등에 업데이트 내역과 그에 대한 갖가지 정보들이 뜨기 마련이데, 이녀석만큼은 제대로 된 정보 없이 이름 이외에 모든 것을 꽁꽁 숨겼었다. 이유는 불명.
풀업 주행영상이 떴다.
어느것 하나 벌칸보다 나은 부분이 없어서 결국 벌칸 하위호환이 되었다(...)[129] 단, 니트로 연비는 아팔 최상위권이다. 2단 니트로가 린스피드, 돈커부트와 맞먹지만, 3단 니트로가 좀 아쉬운 수준이다. 도쿄같은 직선길이 많고 니트로가 희소한 트랙에서는 힘을 좀 발휘하지만 베니스, 테네리페같은 구불구불한 맵에서는 핸들,드리프트가 구린 이 차로는 몰기가 많이 힘들다.
다른 차들과 비교해보면 네메시스, 아라쉬, 랜드샤크는 맵에 따라 갈리며 오마주는 도쿄 역방향에서만 간신히 이기는 수준이다. 가속이 4.3초대로 느리고, 컨트롤 안좋고 아벤 SV가 연비 좋은 최속형차량에 가까운 성능이라 그렇다. 물론 플레토어,르노 스포츠는 속도가 더 빠르기에 이긴다. 이제는 포르쉐 918 드리프트의 상향으로 포르쉐 918한테도 밀리는 맵이 있다.
엘리트카인데도 불구하고 멀티에서도 종종 보인다. 엔듀로 당시 벌칸이 없던 유저들이 대용으로 사용하는듯. 힘들게 청사진 45개 모아서 아벤 SV를 프로업 시키는 것은 엔진 낭비이며 차따는 난이도마저도 희귀 45개로 벌칸보다 더 어렵다. 거기에 벌칸은 마음껏 몰지만 아벤SV는 마음껏 몰 수도 없다. 여러가지로 벌칸이 더 낫다는 것이다.
멀티에서조차도 속도와 연비를 빼면 딱히 특출난 부분이 없어서 성적은 장거리가 아니면 그냥저냥 평범한 수준이다. 그 이유는 출발할 때 네메시스나 MP4-25한테 터져버리는 경우가 있으며 급커브를 트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130]
하지만 이것도 옛날 이야기가 되었다. 엘리트 차량이 사라지고 비스트, 포드 GT에게도 털리는 신세가 되었지만 2020년 7월 20일 1859랭크로 엄청난 버프를 받으면서 센테나리오, X2, 제스코와 함께 어깨를 나란히 하는 차량이 되었다.

9.30. McLaren MP4-31


[image]
'''항목'''
'''기본'''
'''PRO'''
'''PRO
+튜닝키트
'''
'''가속력'''(초)
2.70

1.46

1.26
'''최고 속도'''(km/h)
실속
432.2
(401.5)

482.6
(448.4)

490.6
(455.8)
'''핸들링'''(Gs)
1.300

1.386

1.400
'''니트로'''(km/h)
실속
24.6
(22.8)

45.8
(42.5)

49.2
(45.7)
'''니트로 효율'''(%)
1단
8
2단
14
3단
18
'''드리프트 반경'''(m)

60%
18.3

100%
50.9
'''랭크'''
1624

1813

1840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MAX업 비용'''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23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28개, '''어드벤스드 테크''' 32개
'''엔진'''
'''커스텀 레이싱 엔진''' 52개
네번째 맥라렌 챔피언쉽 보상 차량.
최고랭크 1813으로, 순수 랭크로는 아스팔트 극상위권이다. 이 차도 노템상태에는 속도가 높다.
A클래스의 MP4-25의 성능을 생각해 보면, S클래스의 단거리 단독 최강자가 될 가능성이 높은 차량이었으나 대부분 벌칸에게 밀리는 것이 확인되었다.
최고속도는 표기상으로 540~541km/h 이지만 뻥스펙인지라 실제 속도는 501.5km/h라고 한다. 가속력은 네메시스보다 살짝 떨어지며, 드리프트도 매우 좋다. 단점으로는 니트로 효율은 썩 좋지 않은 편이다.
속도와 가속력이 네메시스와 벌칸 사이의 어중간한 수치라서 단거리, 중거리라도 벌칸과 비슷하다.[131]
여담으로 마스터리 15 크레딧 보상이 나왔는데, 6400크레딧으로 맥라렌 675LT보다 100크레딧 더 많이 버는데다, 시간이 무려 41초대가 나온다.
물론 3템 기준이고, 노템일 경우 구린 니트로 효율을 받쳐주지 못하므로 저 정도 시간이 나오려면 최소 투템 정도는 껴야 한다. 물론 노가다할때는 템을 쓰지 않으므로 43~44초대가 나올 것이다. 하지만 가장 암걸리는 부분은 무결점이라는 것이다.
2017년 9월 22일 2차 MP4-31 챔피언십이 열렸다. 이 차는 설계도 차가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따러가자. 안따면 영영 못볼 수도 있는 것이다. 10 0 7 1로, 세 부스트를 전부 쓴다는 가정하에 8 1 8 1로도 클리어가 된다
챔피언쉽 미션이 매우 악랄하면서 심하게 미끄러지는데다 토큰으로 상자를 사서 까도 엔진조차 잘 나오지도 않는다. 거기에다 275토큰에 3장밖에 안나온다. MP4-25의 경우는 몇몇 미션을 빼고는 할만했으며 MP4/8은 거저 얻어간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매우 쉬었으나 이번 31은 S클래스라 그런지 보조미션도 어려운 편이다.
그러나 여유가 있으면 반드시 따놓는 것이 좋은 이유가 MP4-25의 경우는 2.9.0 패치로 특정 맵의 구간을 제외한다면 미끄러짐이 많이 줄어들었고 또한 성능이 적힌 그대로 돌아와서 멀티든 이벤트든 빠질 수가 없는 효자 차량이 되었다.
과거 벌칸에 비해서는 훨씬 많이 미끄러지고 안정성 또한 매우 안좋았지만 3.9.0 업데이트로 인해 미끄러짐 및 안정성이 매우 개선되었다. 업뎃 후 실제로 플레이하면서 미끄러짐이 사라진 것을 볼수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네메시스, MP4-25의 상위호환 급이다. 커브가 많은길에서는 아벤타도르 SV도 이길 수 있다. 가속 빠르고 드리프트 좋은 플레토어 급이며 10km 더 빠른 엔초 페라리라 보면 된다. 그 때문에 단거리에서는 벌칸에 이어 2인자이며, 가끔 비슷하게 나오는 맵도 있다. 도쿄, 아이슬란드, 코트다쥐르 같은 장거리 저니트로에서는 벌칸,데벨에 밀려 확실히 사용하기 어렵다.
실제 차량은 2016년 2월 21일에 맥라렌-혼다 출범이후 처음으로 내놓은 포뮬러 1 카로, 2016년 포뮬러 1 시즌에 데뷔하였다. 혼다의 1.6 리터 V 6기통 엔진과 MGU-K, MGU-H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조합한 RA616H 엔진을 탑재하였다고 한다.

9.31. Porsche 918 Spyder with Weissach Package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70

1.98

1.46

1.26
'''최고 속도'''(km/h)
344.4

380.1

406.0

415.8
'''핸들링'''(Gs)
1.250

1.300

1.336

1.350
'''니트로'''(km/h)
+37.2

+55.7

+69.2

+74.3
'''니트로 효율'''(%)

1단
7
2단
11
3단
15.5
'''드리프트 반경'''(m)


60%
20.3

100%
56.4
'''랭크'''
1482

1677

1798

1840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청사진 45장'''
'''MAX업 비용'''
'''3,145,650 크레딧''' or '''21,480 토큰'''
'''부품 카드'''
'''S 클래스''' 각각 24개
'''기본 테크'''
없음
'''고급 테크'''
'''미드 테크''' 36개, '''어드벤스드 테크''' 24개
'''엔진'''
'''우수 엔진''' 28개
'''엘리트 차량
(풀업 기준)
'''
'''4-4-4-4'''
'''0-8-0-8
(최대 속도)
'''
'''튜닝 범위'''
'''가속력'''(초)
1.26

1.62
~
'''최고 속도'''(km/h)
415.8

424.7
~
'''핸들링'''(Gs)
1.350

1.325
~
'''니트로'''(km/h)
74.3

78.9
~
'''랭크'''
1840

1838
-
포르쉐 기사단의 기사단장. 현재까지 포르쉐 업데이트로 추가된 5대의 포르쉐들 중 가장 고성능 차량이며, 동시에 유일한 엘리트카다. 속도는 503.6이며 실속이다.
예상대로 추가된 모든 포르쉐 차량들이 엔듀로에 참가한다. 그 외의 차량들은 사이언 FR-S, 아우디 RS3, 시트로앵 서볼트, 바이퍼 ACR-X 등 초창기의 기본 차량들로 구성되어 있어 지난번 스파르타, 콜벳의 엔듀로에 비하면 훨씬 쉽다. 아무래도 지난 이벤트들에서 다른 포르쉐 차량들을 따지 못한 사람들을 위한 배려로 보인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EDD 참가차량은 아스팔트8 초창기 기본차량과 최근 진행이 되었던 포르쉐 이벤트에 출현한 차량이라 미션 진행을 하는데 큰 문제가 없으나, 정작 포르쉐 스파이더를 이용한 에이스 AI는 충분히 업글하지 않으면 쉽다고 말하기 곤란한 수준이다. 우선 맥스업 비용만 해도 수백만 크레딧에 달하며 프로업을 하려면 1단계 업글 부터 포르쉐 전용 전설 엔진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게 900토큰짜리 상자를 까도 더럽게 나오지 않는다. 그리고 실력차이 일 수도 있지만 24단계까지는 그럭저럭 할만하나 30단계 부터는 AI도 업글이 많이 되어있고 맵도 베니스인지라 적어도 맥스업을 한 상태에, 파손이 없어야 클리어가 가능하다. 베니스 맵은 일부 매우 좁은 통로와 급커브가 많아 핸들링이 심각한 이 차는 아주 조심스럽게 다루어야 한다. 또한 위에도 적어놨듯이 가속과 니트로 연비, 최고 속도, 드리프트는 쓸만한 편이긴 하나 핸들링이 심각하게 안돌아 가기에 커브 길이 많은 곳에서는 다루기 쉽지가 않다. 그래도 프로업을 하면 어느정도 괜찮지만 문제는 전설 엔진이 욕 나올 정도로 나오지 않기에, 이 차를 얻고 싶은 사람은 EDD 진행 시, 맥스업만 되어있는 상태에서는 36단계까지 진행하고 처음부터 반복을 하는 것을 추천하고 맥스업과 프로 업글이 어느정도 진행된다면 43단계 까지 진행한 다음 저장하고 반복 클리어하는 것을 추천한다.
성능 형태가 비슷비슷한 다른 4대의 포르쉐들과 달리, 성능이 차별화되어 좋아진 건 사실이지만, 전체적으로 영 좋진 않다는 평이 많다. 가속이나 연비는 그럭저럭 중간 수준이며 드리프트는 보통 수준이다. 실차는 코너링으로 먹고 사는데 아팔에서는 드리프트는 좋지만 스티어링이 구리게 나온다. 3.2.0버전으로 드리프트는 중간 정도의 수준으로 상향먹었다. 드리프트만 상향되었지 가속,기본 핸들링,연비는 그대로이다.
속도가 약 503.6km/h 정도로 플레토어, 르노 스포츠와 비슷하다. 하지만 그 외에 성능이 딱히 특출난 부분이 없어서 아벤타도르 SV나, MP4-31에게도 밀리는 것이 허점이다. 전체적으로 보았을때 상향된 포르쉐는 아벤 SV와 맵에 따라 갈리며 플레토어, 르노스포츠보다 살짝 더 좋은 수준이다. 상향된 포르쉐도 벌칸에게는 모든 부분에서 잡아먹혀버린다.
차량의 배기구가 위쪽에 달려있어서 최초로 니트로가 위에서 나오는 차량이 되었다.
모델링이 상당히 성의없이 해놔서 비난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차량의 색상을 검은 색으로 해놓고 보면 크게 두드러지는데, 차량의 이음새 부분들이 모두 녹슨 것 마냥 색깔이 뭉게져있는 걸 볼 수 있다. 그리고 엔진음이 깨져서 나온다.

9.32. Mercedes-Benz SLR McLaren 722 Edition


[image]
3.2.0 업데이트로 추가된 차량.
EDD 보상차량이다.
이번 EDD는 차량을 많이 가지고 있지 않은 라이트 유저들도 쉽게 플레이할 수 있도록 참가 차량이 '''모두''' 비용이 싼 기본 차량들이다.(!)
대신 AI 챌린지의 난이도가 꽤 높은 편이며, 주인공인 SLR을 업그레이드 하는데에서 피똥 쌀 수도 있으니 주의.[132]
시작 랭크는 1482이며 프로 랭크는 1773이다. 최고속도가 480.2로 675LT보다 못하며, 고전 차량인 코닉세그 원과 맞붙는 수준이다.
전체적인 성능은 모든 면에서 과하지도, 부족하지도 않은 밸런스형 차량이다.
프로업에 부품카드 각각 20장씩, 포스드 인덕션 V8 32장, 미드테크 28장, 어드밴스드테크 40장 필요하며, 차량 제작에는 희귀급 설계도 카드 45장이 필요하다.
여담으로 모델링이 722 에디션이 아닌 일반 SLR 로드스터에 722 배지만 달린 모델을 사용하고있다.

9.33. Arrinera Hussarya GT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3.20

2.35

1.73

1.49
'''최고 속도'''(km/h)
320.1

381.5

426.1

443.0
'''핸들링'''(Gs)
1.220

1.270

1.306

1.320
'''니트로'''(km/h)
30.0

45.0

55.9

+60.0
'''니트로 효율'''(%)

1단
6
2단
11
3단
15
'''드리프트 반경'''(m)


60%
19.3

100%
53.7
'''랭크'''
1349

1642

1803

1856
'''라이벌'''

'''가격'''
'''청사진 20장'''
'''MAX업 비용'''
'''3,378,650 크레딧'''
'''부품 카드'''
'''S 클래스''' 각각 24개
'''기본 테크'''
없음
'''고급 테크'''
'''미드 테크''' 36장, '''어드벤스드 테크''' 24장
'''엔진'''
'''V8 엔진''' 56장
최속이 503이며 연비는 6/12/16이며 나머지 성능은 벌칸과 비슷한 수준. 벌칸 하위호환이며 아벤 SV와는 맵에 따라 갈린다. 참고로 이차는 실속이다.
챔피언쉽은 MP4-31과 비슷하거나 더 어려운 편이다. 2단계부터 노업으로는 깰 수 없다.
필요한 프로 키트 카드 수도 많고 프로 키트로 올라가는 수치도 161이나 된다. 프로업하려면 일반 V8이라도 56장이나 먹는다는 점이 주의해야 할 점. 그래도 일반 56장이기에 네메(전설 60장)보다 는 프로업이 더 쉬울 것이다.
마스터리에서 챔피언 키트 상자 를 무려 '''3'''개(총 '''90'''장, 희귀 또는 전설 '''30'''장)나 준다.
챔피언쉽은 5555 3020 투템으로 클리어할 수 있다. 하지만 보조 미션이 어려운 미션이 많다.
완벽한 하위호환이지만 근소한 차이라서 벌칸 대용으로쓸 수 있다.
벌칸보다 3km 느리고, 가속이 0.3초 빠르다.
니트로 효율은 벌칸이 조금 더좋다. 이벤트는 100등 안에 들기 어렵지만 멀티에선 비벼볼 만 하다.
게다가 이벤트가 알앤디도, 엔듀로도 아닌 챔피언십이라, 프로키트 재료만 갖추고 있다면, 아마 역대급으로 따기 쉬운 고성능 S클레스가 아닐까 싶다.

9.34. Pagani Huayra BC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3.20






'''최고 속도'''(km/h)
370.1

421.2




'''핸들링'''(Gs)
1.270






'''니트로'''(km/h)
34.3

68.3




'''니트로 효율'''(%)

1단
7
2단
10
3단
13
'''드리프트 반경'''(m)


60%


100%

'''랭크'''
1565

1642

1800


'''라이벌'''

'''가격'''
'''청사진 20장'''
'''MAX업 비용'''

'''부품 카드'''

'''기본 테크'''

'''고급 테크'''

'''엔진'''

기본속도 (421.2)+니트로 (68.3)= 489.5Km이다.
가속도 네메시스보다 느려 전체적으로 네메시스보다 못한 성능의 차량이다.
독특한 엔진음을 느낄 수 있는데 2010 벤틀리 슈퍼스포츠와 같은 엔진음을 낸다.

9.35. Vanda Electric Dendrobium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70

1.98

1.46

1.26
'''최고 속도'''(km/h)







'''핸들링'''(Gs)
1.220

1.270

1.306

1.320
'''니트로'''(km/h)







'''니트로 효율'''(%)

1단
7
2단
11
3단
14
'''드리프트 반경'''(m)







'''랭크'''
1374

1610

1751

1799
'''라이벌'''
해당하는 차량 없음­
'''가격'''
챔피언쉽 보상차량
'''MAX업 비용'''
'''2,698,600 크레딧''' or '''19,010 토큰'''
'''PRO업 비용'''
'''1,564,00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16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28개, '''어드벤스드 테크''' 20개
'''엔진'''
'''일렉트릭 엔진''' 16개
싱가포르의 반다 일렉트릭에서 2017년 내놓은 전기 하이퍼카 덴드로븀이다.
이름의 모티브는 싱가포르 원산지의 난초 덴드로비움이다.
무려 1050마력의 힘을 자랑하며, 제로백도 2.6초로 매우 빠른 편이다. 최고속도는 320km/h에서 제한된다.
랭크는 1751.
표기속력은 420.2+74.5=494.7이지만 실속 기준 402.9+71.4=474.3으로 달린다.
랭크만 보면 베놈과 얼티에어로 XT의 중간정도 되는 성능이지만, 가속과 연비가 뛰어나서 실제로는 오닉스와 비슷한 기록이 나온다.

9.36. Apollo Intensa Emozione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30

1.69

1.24

1.07
'''최고 속도'''(km/h)
(실속)
333.7
(336.2)

394.8
(397.8)

439.0
(442.3)

455.8
(459.3)
'''핸들링'''(Gs)
1.220

1.270

1.306

1.320
'''니트로'''(km/h)
(실속)
25.6
(25.7)

38.3
(38.6)

47.6
(47.9)

51.1
(51.4)
'''니트로 효율'''(%)

1단
6
2단
11
3단
13
'''드리프트 반경'''(m)


60%


100%

'''랭크'''




1815

1864
'''라이벌'''

'''가격'''
'''100,000만원'''
'''MAX업 비용'''
'''1,567,150 크레딧'''+'''14,650 토큰'''
'''부품 카드'''
'''S 클래스''' 각각 27개
'''기본 테크'''
없음
'''고급 테크'''
'''미드 테크''' 56장, '''어드벤스드 테크''' 28장
'''엔진'''
'''V12엔진''' 48장
맥스+프로 랭크는 1815, 맥스+프로+튜킷 랭크는 1864이다.
표기속도는 506.9이지만 실속이 100.76%로 '''510.7km/h'''가 나온다.
그야말로 오마주급 속도를 가진 밸런스형 차량.
당연하겠지만 가속, 핸들링, 드리프트 모두 다 준수한 성능으로 1년 넘게 S클래스의 독재자였던 벌칸을 털고 새 왕좌를 차지했다.
2단 니트로가 벌칸에 비해 살짝 부족하나 3단 니트로는 벌칸보다 더 좋다. 이전에는 니트로 효율이 6/12/16으로 나왔지만 6/11/13으로 변경되었다. 가속력도 최속까지 3.0초로 벌칸보다 가속이 더 빠르다.
전체적으로 벌칸보다 0.5초정도 기록이 더 잘나오며 장거리 저니트로에서도 벌칸을 이길 것이다.
등장 당시에 '''너무 잘 미끄러져서''',[133] 이 차가 나온 뒤로 차량 미끄러짐 문제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다.[134]
현재는 3.9.0 업데이트로 인해 미끄러짐 및 안정성이 매우 개선되었다.
그리고 업글 시 토큰업 구간이 있다. 가속력 4,5단계, 최속 3,5단계, 핸들링 3,4단계, 니트로 3,5단계가 토큰업 구간이다. 이 차를 딸 예정이라면 S클래스 업그레이드 권을 아껴두자.
5월 4일 이 차량의 R&D가 시작되었다. 12일가량 시간이 주어진다.
하지만 청사진으로는 딸 수 '''없는''' 차량이다. R&D가 시작되었을 때 이 차를 못따면 기간 한정으로 상점에 나오지 않는 이상 영원히 못따는 차이며 2인자 벌칸으로 이벤트 멀티를 때워야 한다는 것이다. 고수라면 정신을 바짝 차려서 이차를 죽기살기로 따도록 하자.
다만 엔진 소리가 조금 이상한데 2010 벤틀리 슈퍼스포츠, 파가니 와이라 BC와 같은 엔진음이 난다.
이차는 현재 1500후반~ 1700초반 고랭크 멀티 깡패인데, 이차를 멀티용으로 개조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다.
1. 0503 5050으로 튜닝한다. 랭크 1590이 나오며 속도는 약 490정도가 나올 것이다.
2. 0504 5050으로 튜닝한다. 랭크 1610이 나오며 이 튜닝도 많이 쓰인다.
3. 4504 5055로 튜닝한다. 랭크 1682가 나오며 이 튜닝이 진정한 멀티깡패 튜닝이다. 속도는 502~503 정도가 나온다.
실차는 미국에서 267만 달러(한화 30억원)에 팔렸다고 한다.
2019년 추석 컵 무료시승차량으로 나왔다.

9.37. Zenvo TS1 GT 10th Anniversary Edition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70

1.98

1.47

1.28
'''최고 속도'''(km/h)
401.5

435.8

460.0

469.4
'''핸들링'''(Gs)
1.220

1.270

1.305

1.319
'''니트로'''(km/h)
17.1

25.7

31.8

34.1
'''니트로 효율'''(%)

1단
9
2단
10.5
3단
13
'''드리프트 반경'''(m)


60%


100%

'''랭크'''
1604

1728

1805

1833
'''라이벌'''

'''가격'''

'''MAX업 비용'''

'''부품 카드'''

'''기본 테크'''

'''고급 테크'''

'''엔진'''
'''V8 엔진'''
이 차량의 R&D를 기점으로 아스팔트 8의 트랙 곳곳에 아스팔트 9 광고판이 생겼다. 이후 다음 패치에서는 원래대로 돌아왔다.
니트로 연비는 매우 좋지만 가속력이 살짝 밀려 후샤이라 GT에겐 발리지만, 레즈바니 비스트는 이긴다.

9.38. 2018 McLaren X2


[image]
'''항목'''
'''기본'''
'''PRO'''
'''PRO+튜닝 키트'''
'''가속력'''(초)
2.70

1.46

1.26
'''최고 속도'''(km/h)
(실속)
411.5
(358.7)

516.1
(449.9)

532.8
(464.7)
'''핸들링'''(Gs)
1.300

1.386

1.400
'''니트로'''(km/h)
(실속)
26.2
(22.9)

48.8
(42.6)

52.5
(45.8)
'''니트로 효율'''(%)
1단
7
2단
13
3단
16
'''드리프트 반경'''(m)
60%

100%

'''랭크'''
1480

1816

1858
'''라이벌'''

'''가격'''

'''MAX업 비용'''

'''부품 카드'''
'''S 클래스''' 각각 27개
'''기본 테크'''

'''고급 테크'''
'''미드 테크''' 32개, '''어드밴스드 테크''' 48개
'''엔진'''
'''레이싱 엔진''' 64장
다섯번째 맥라렌 챔피언쉽 보상 차량
최고속도는 510.5이며 아폴로 보다 가속이 빠르다. 대신 연비가 아폴로에 비해 부족하다.
단거리에서는 아폴로를 이긴다. 단거리는 장거리 저니트로는 컨트롤에 따라 갈리는 수준이다.
현재는 센테나리오의 등장으로 아폴로가 밀려났지만, 단거리에서는 여전히 단독 1위이며, 장거리 역시 컨트롤에 따라 승패가 갈린다.
셋의 비교도는
단거리 아폴로 < 센테나리오 < X2 이며,
장거리는 아폴로 < 센테나리오 ≤ X2 정도로 여전히 뛰어난 성능을 자랑한다.
그러나, MP4-31와 비슷하게 니트로를 쓴 상태에서 핸들을 강하게 꺾으면 잘 미끄러진다. 아폴로보다도 더 잘 미끄러지는 수준.
특이하게도 도쿄에서는 잘 안 미끄러진다.
역시 위의 아폴로처럼 3.9.0 업데이트로 인해 미끄러짐 및 안정성이 매우 개선되었다.
원래 MP4-X가 등장할 예정이었으나 X2로 바뀌었다. 최초로 업데이트 차량이 변경된 사례를 남겼다.

9.39. Porsche Carrera GT



9.40. Lamborghini Centenario


[image]
'''항목'''
'''기본'''
'''MAX'''
'''MAX+PRO'''
'''MAX+PRO
+튜닝 키트
'''
'''가속력'''(초)
2.65



1.44

1.24
'''최고 속도'''(km/h)
350.1



450.5

466.7
'''핸들링'''(Gs)
1.300



1.394

1.409
'''니트로'''(km/h)
22.9



42.5

45.6
'''니트로 효율'''(%)

1단

2단

3단

'''드리프트 반경'''(m)







'''랭크'''
1447

1684

1817

1862
'''라이벌'''

'''가격'''
R&D차량
'''MAX업 비용'''
'''720,050 크레딧''' & '''13,950 토큰'''
'''PRO업 비용'''
'''1,000,00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27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56개, '''어드벤스드 테크''' 28개
'''엔진'''
'''V12 MPI엔진''' 60개
2.8.0 업데이트 이전 신규 차량 투표에서 1위를 차지하였으나, 여지껏 아무런 소식도 없다가[135]
4.0.0 버전이나 되어서야 드디어 등장했다.
람보르기니 최고스펙이였던 아벤타도르SV보다 더 고성능으로 등장하여 최고스펙자리를 넘겨받았다.
랭크가 무려 1861로, 맥스, 프로, 튜닝키트 까지 첨가하면 최고속도가 512.3이 나온다.[136]
벌칸, 아폴로, X2의 뒤를 이은 파워 밸런스형 차량이다.
모든 면에서 아폴로의 상위호환으로, 아폴로, X2가 양분하고 있던 자리를 아폴로 대신 꿰차게 되었다.
X2와는 아폴로와 마찬가지로 맵에 따라 갈리는 정도.
R&D의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 연구실 1부터 부가목표가 상당히 빡센 편이고, 퀄리티 체크의 요구량도 꽤 많은 편.
살인적 난이도 알앤디의 시작 차량이다. 이 뒤를 B클래스의 i8이 이었다.
맥스업 4, 5업 구간이 '''전부 토큰 업'''이다. 그런데 R&D 보상에 늘 있던 차량 무료 업그레이드권이 '''아예 없다.'''[137][138]
2019년 4월 20일 센테라니오의 2차 R&D가 시작되었다.
2019년 8월 한정판매로 20000토큰에 풀렸으나 4일만에 다시 사라졌다. 업글비용까지 대략 30000토큰 이상이 들어간다.
아스팔트8은 매 광복절마다 한국 전용으로 광복절 컵을 오픈하는데 19년 광복절은 이 차량을 무료시승한다. 그런데 하필이면 이 컵을 모든 국가가 참여 가능한(...) 월드 컵으로 오픈하는 실수를 저지르고 말았다...

9.41. Mclaren 600lt


[image]

9.42. Koenigsegg Regera


벌칸, 아폴로, X2, 센테나리오, 600LT의 뒤를 이은 여섯 번째 파워밸런스 차량.
센테나리오와 마찬가지로 2.8.0 버전의 차량 투표에서 고득점을 차지하며 순위권에 올랐으나 지금에서야 추가되었다.
R&D 보상 차량으로, V8 엔진을 무려 '''92개'''나 먹는다!!
테크 카드도 어드벤스드 카드만 먹는 입이 비싼 녀석.[139]
X2, 센테나리오, 600LT와 더불어 우열을 가리기 힘든 차량이다. 맵에 따라 기록이 제각각이기 때문.
그래서인지, 레제라의 등장으로 S클래스 사천왕 구도가 형성 되었다.
여담으로 고증 오류 하나가 존재하는데, 머플러에서 나와야 할 니트로가 머플러가 아닌 모터용 냉각쿨러에서 나온다.[140]

9.43. Koenigsegg CCXR Trevita



9.44. Rimac C_Two



10. 바이크



10.1. Suzuki Hayabusa


[image]
'''항목'''
'''기본'''
'''PRO'''
'''PRO+튜닝 키트'''
'''가속력'''(초)
2.60

1.40

1.23
'''최고 속도'''(km/h)
(실속)
311.4

375.5

384.8
'''핸들링'''(Gs)
1.300

1.386

1.399
'''니트로'''(km/h)
(실속)
37.1

69.2

73.8
'''니트로 효율'''(%)
1단

2단

3단

'''드리프트 반경'''(m)




'''랭크'''


1714

1758
'''라이벌'''

'''가격'''
R&D차량
'''MAX업 비용'''
'''1,324,750 크레딧'''
'''PRO업 비용'''
'''587,15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7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12개, '''어드벤스드 테크''' 4개, '''프로 테크''' 4개
'''엔진'''
'''포스드 4행정 엔진''' 12개
아프릴리아Aprilia에 비해 핸들링 반응속도가 느리다.

10.2. Aprilia Tuono V4 1100 RR my2017


[image]
'''항목'''
'''기본'''
'''PRO'''
'''PRO+튜닝 키트'''
'''가속력'''(초)


1.40

1.23
'''최고 속도'''(km/h)
(실속)


388.6

399.0
'''핸들링'''(Gs)


1.386

1.399
'''니트로'''(km/h)
(실속)


69.2

73.8
'''니트로 효율'''(%)
1단

2단

3단

'''드리프트 반경'''(m)




'''랭크'''


1752

1797
'''라이벌'''

'''가격'''
R&D차량
'''MAX업 비용'''
'''2,522,800 크레딧'''
'''PRO업 비용'''
'''1,291,725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10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8개, '''어드벤스드 테크''' 4개, '''레어 테크''' 4개
'''엔진'''
'''포스드 4행정 엔진''' 8개
Suzuki Hayabusa와 비교하면 속도뺴고 스펙이 다 똑같다.

10.3. Kawasaki Ninja H2R


[image]
'''항목'''
'''기본'''
'''PRO'''
'''PRO+튜닝 키트'''
'''가속력'''(초)
3.30

1.80

1.67
'''최고 속도'''(km/h)
(실속)
350.1

452.2

461.2
'''핸들링'''(Gs)
1.300

1.385

1.393
'''니트로'''(km/h)
(실속)
17.1

31.7

33.0
'''니트로 효율'''(%)
1단
10
2단
17
3단
20
'''드리프트 반경'''(m)
60%

100%

'''랭크'''
1424

1788

1812
'''라이벌'''

'''가격'''
챔피언십 차량 혹은 '''9500 토큰'''[141]
'''MAX업 비용'''
'''1,861,800 크레딧'''혹은'''12,220 토큰'''
'''PRO업 비용'''
'''675,20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8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8개, '''레어 테크''' 16개
'''엔진'''
'''포스드 4행정 엔진''' 16개
아스팔트8차량중 가장 조작난이도가 어렵다. Aprillia까지는 핸들링조작을 어느정도 제어할 수 있지만 이 바이크는 핸들링이 별로 않좋아서 커브길에서는 속도를 줄이고 돌아야 한다.
속도 자체만 본다면 탑급 S클 차량들에 뒤지지 않는 수준이지만 그에 비해 속도가 막 좋은 수준까지는 아니다.
거의 완벽히 안부딪칠수준으로 드리프트를 하거나 좌우 컨트롤할 수준이 되지 않는다면 시도하지 않는게 좋다.
여담으로 다른바이크에 비해 바퀴크기가 크다.

10.4. Lightning LS-218


[image]
'''항목'''
'''기본'''
'''PRO'''
'''PRO+튜닝 키트'''
'''가속력'''(초)
3.30

1.80

1.67
'''최고 속도'''(km/h)
(실속)
350.1

452.2

461.2
'''핸들링'''(Gs)
1.300

1.385

1.393
'''니트로'''(km/h)
(실속)
17.1

31.7

33.0
'''니트로 효율'''(%)
1단
10
2단
17
3단
20
'''드리프트 반경'''(m)
60%

100%

'''랭크'''
1424

1788

1812
'''라이벌'''

'''가격'''
챔피언십 차량 혹은 '''9500 토큰'''[142]
'''MAX업 비용'''
'''1,861,800 크레딧'''혹은'''12,220 토큰'''
'''PRO업 비용'''
'''675,200 크레딧'''
'''부품 카드'''
'''S클래스''' 각각 8개
'''고급 테크'''
'''미드 테크''' 8개, '''레어 테크''' 16개
'''엔진'''
'''포스드 4행정 엔진''' 16개
추가된 전기 오토바이, 엔듀로 이벤트로 획득가능하며 고급 일렉트릭 엔진이 필요하다. 속도는 튜닝업+차지부스터까지 하면 무려534km이 나온다.

11. S 클래스 차량의 표기속도와 실제속도


S 클래스 차량은 표기 속도와 실제 속도가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다. 물론 A,B,C,D 클래스에도 표기 속도와 실제속도가 다른 경우가 있는데 클래스 당 한두대정도밖에 안된다. 특히 S 클래스의 뻥스펙이 심한 투아타라, 베놈, 코닉세그 원 같은 경우에는 실제속도가 표기속도의 85.74%밖에 안된다고 한다. 그정도면 표기속도과 실제속도가 80km가까이 차이난다. 그래서 표기속도가 560km인 코닉세그 원(실제로는 480.1km)을 산 사람이 크게 낭패를 보기도 했다. S 클래스의 표기속도와 실제속도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고 생각해서 다음과 같은 표를 만들어 보았다.
(정보 출저: 아스팔트 wikia 커뮤니티)

11.1. S 클래스 차량


S 클래스 차의 게임 상에서 표기속도와 실제 속도 표를 보면 다음과 같다.(단, MAX+PRO+튜닝키트 업에 3단 니트로를 켜놓은 상태의 속도이다.(엘리트 카는 성능 조절 0-8-0-8일때 속도이다.) (볼드체는 표기 속도와 실제 속도가 일치하는 차량)
'''차량종류'''
'''표기속도(km/h)'''
'''실제속도(km/h)'''
'''퍼센티지(%)[143]'''
'''Lamborghini Veneno'''
447.2
447.2
'''100'''
GTA Spano
464.8
451.3
97.14
RUF CTR 3
473.1
453.0
95.75
Ferrari FXX Evolutione
501.6
458.8
91.46
Pagani Huayra
475.8
448.4
94.32
Bugatti 16.4 Grand Sport Vitesse
503.1
460.1
91.46
Mercedes Benz Silver Lightning
503.4
460.4
91.46
'''Lamborghini Huracan'''
458.8
458.8
'''100'''
Koenigsegg Agera R
533.5
465.0
87.17
W Motors Lykan Hypersport
506.1
462.9
91.46
SSC Tuatara[144]
540.0
463.0
85.74
'''nanoFlowcell QUANT FE(엘리트)'''
469.0
469.0
'''100'''
Chrysler ME412
510.9
467.3
91.46
Peugeot Onyx
521.9
477.3
91.46
SSC Ultimate Aero XT
549.2
470.9
85.74
Henessey Venom GT
556.7
477.3
85.74
Lamborghini Egoista
498.9
478.6
95.90
Koenigsegg One:1
560.0
480.1
85.74
2015 GTA Spano(엘리트)
504.3
489.9
97.14
'''Mercedes-Benz SLR McLaren 722 Edition'''
480.2
480.2
'''100'''
McLaren F1 XP-5
530.4
485.8
91.60
9FF GT9 VMAX
546.7
484.7
88.65
Weber Faster One
491.1
484.2
98.59
'''Cadillac 16 Concept'''
485.8
485.8
'''100'''
'''Lamborghini Aventador SV(엘리트)'''
506.9
506.9
'''100'''
Ferrari Enzo Ferrari
506.0
491.5
97.14
Mosler Super GT
513.4
491.6
95.75
HTT Plethore LC 750
550.0
503.0
91.46
'''GT by Citroen'''
487.3
487.3
'''100'''
Renault Sport R.S. 01
524.7
503.2
95.90
'''Porsche 918 Spyder with Weissach Package(엘리트)'''
503.6
503.6
'''100'''
W Motors Fenyr Supersport
516.7
494.7
95.75
Mosler Land Shark(엘리트)
519.5
497.4
95.75
McLaren P1™ GTR
511.0
490.1
95.90
'''Zenvo TS1 GT 10th Anniversary Edition'''
503.5
503.5
'''100'''
TRION NEMESIS
536.6
491.5
91.60
Aston Martin Vulcan
572.2
507.3
88.65
Devel Sixteen Prototype(엘리트)
609.5
522.6
85.74
Arash AF10
562.5
498.7
88.65
'''Arrinera Hussarya GT'''
503.0
503.0
'''100'''
Mclaren MP4-31
539.8
501.7
92.95
Apollo Intensa Emozione
506.9
510.7
100.76
Vanda Electrics Dendrobium
494.7
474.3
95.89
2018 McLaren X2
585.3
510.5
87.22
'''Lamborghini Centenario'''
512.3
512.3
'''100'''

11.2. S 클래스가 아닌 차


A 클래스
Mosler GT3
525.7
481.6
91.60
Icona Vulcano V12 Hybrid
532.8
504.8
94.74
B 클래스
Lamborghini Estoque
502.2
459.9
91.58
Falcon F7
502.3
456.0
90.78
C 클래스
Range Rover Evoque Coupe HSE Dynamic
361.9
393.0
108.61
D 클래스
nanoFlowcell QUANTINO
389.3
372.7
95.75
Alfa Romeo Giullietta 2016 Veloce
349.4
357.5
102.33
Hot Wheels Rip Rod TM
377.6
361.5
95.75
그 이외에 Mercedes-AMG C 63 Coupe Touring Car 2014는 실속의 99.94%로 달리며 Mitsubhisi Eclipse, 2010 Bentley supersports, Porsche 959, Sin R1는 실속의 100.05%로 달린다고 한다. 그러나 실속과 약 0.2~0.3km정도 차이나는 경미한 차이이기에 기술하지 않는다.

[1] 서킷용 머신인 실버 애로우의 후계의 의미라고 한다.[2] 라이칸 하이퍼스포트와는 다르게 제조사 상표명이 안 붙어있었지만, 2.7.0업데이트로 다시 붙었다.[3] 참고로 드리프트 최대 감속은 무니트로상태의 60%까지 줄어들 수 있다. 그 이상은 안줄어든다. 예를들어 무니트로상태의 최고속도가 479.3인 오마쥬는 미친듯이 원을 그릴 때 까지 드리프트를 하면 287.5까지 줄어든다. 이 이상은 감속이 안된다는 것이다. 사실 주행 중에는 60%까지 줄어드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60%,100% 다 표기해놓았다.[참고] 퍼펙트 니트로 수치는 2단 수치와 동일하다.[4] 로드스터 버전의 경우 9대 한정생산이 확장되었다.[5] 해외 차량 랭킹 사이트 참조 http://www.topcarrating.com/price.[6] 이는 반대로 말하면 방향을 살짝 꺾는 주행이 불가능하다는 뜻도 된다. 키를 짧게 눌러도 휙 돌기에 조절이 힘들다. 이는 감안하고 쓰는게 좋다. 참고로 돈커부트, F1차량, 모슬러 GT3, 페니르 도 드리프트가 너무 과도하게 좋아서 커브길에서 운전하기가 겁나는 이유 중에 하나이다. 가속,최고속도,니트로 연비는 좋을수록 더 좋지만 핸들링,드리프트는 너무 좋으면 역효과가 나타난다.[7] 스펙상 1.2면 일반 풀업 실버 라이트닝 정돈데 민감도는 거의 B클래스의 바이옴급이다. 조금이라도 잘못하면...(그래도 미끄러지진 않는다) 이런 이유로 이 차를 몰 때 스티어링 감도를 조금 줄여서 다루는 유저도 있다.[8] 서킷용 머신인 실버 애로우의 후계의 의미라고 한다.[9] 그래서 AI가 잡으면 호구로 전락한다. AI는 그립주행보다 드리프트를 선호하는데다 니트로도 직선도로애서 쓰려고 아껴두기 때문에... [10] 사실 이쪽이 원조다. 출시 초기에는 최고속도 몰빵 차량이 몇 대 없었다. 이당시 최속 몰빵이라고는 하지만 실버 라이트닝과 속도가 비슷해서 그냥 버려진 차량이었다.[11] 사실 아스팔트 시리즈의 문제는 아닌게, 코닉세그 시리즈가 레이싱게임에서 유명한것과는 별개로 실차가 별로 알려지지 않았는지 게임회사마다 천차만별로 묘사한다. 고증이라고 해봐야 외관과 엔진소리정도...[12] 참고로 라이칸이 먼저 추가됐다. 태생부터 콩라인.[13] 원체 RUF CTR3가 포르쉐의 엔진과 차체를 바탕으로 만든 차량이니 엔진 자체의 원류는 포르쉐에게 있다.[14] 2017.11월 기준 현재는 벌칸가 집권하는 상황. 이쪽은 최속까지 압도적이다.[15] 당시에는 이벤트 연료제가 없어서 차량을 크레딧으로 대여한 뒤에 참가하는 방식이었다. 당시 대여료가 5천 크레딧이었다가 언제부턴가 1만으로 올라버렸다. 그 후로 이벤트 랭킹은 그야말로 불바다(...).[16] 그런데 요즘은 이 한탄을 네메시스 유저들이 하는 현실..[17] 라이칸을 넘어서 부터는 죄다 욕나오는 차가격 + 업글비용이다.[18] 투아타라는 뉴질랜드도마뱀이다.[19] 최고속도, 가속도, 니트로, 핸들링 어디하나 딸리는데가 없다. 스펙대로라면 1단 니트로만 켜도 영혼까지 털어버릴 수 있으며 아팔 속도 최고존엄인 SLK와 맞붙어야 한다.[20] 일단 성능 자체는 비슷하다. 니트로 포함 최고속도와 연비가 라이칸과 비슷하고 가속력이 좀 빠르지만 라이칸이나 투아타라나 그게 그거다. 장거리 저니트로에서나 기본속도빨로 투아타라가 아주 조금 앞서나가는 수준. [21] 일단 성능으로는 실버 라이트닝vs코닉세그 아제라R의 구도와 비슷하다. 문제는 투아타라 가격이 라이칸의 두배(...)인데다가 업글 비용은 다섯배라는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둘의 최종속도가 비슷해서 그닥 나을것이 없다.[22] 토큰 시스템이 생기기 전에는 2015 Ford Mustang과 함께 '''$49.99'''에, Windows 8.1 버전에서는 '''59,800원'''에 판매되었다.[23] 등장 당시엔 '''현질로만''' 구매가 가능했기 때문에 큰 주목을 받지 못하다가 직후에 등장한 베놈에게 묻혔다.(...)[24] 한화로 약 5만 원.[25] 토큰 시스템이 생기기 전에는 ios, 안드로이드에서 Jaguar F-Type R 과 함께 '''$99.99'''에, Windows 8.1 버전에서 '''110,000원'''에 판매하였다.[26] Windows 8.1 버전은 11만원.[27] ME4-12와 에어로 XT는 육안으로는 확인이 힘들정도로 미세한 차이다[28] 토큰 시스템이 생기기 전에는 ios, 안드로이드에서 Maserati MC12와 함께 '''$25.99'''에, Windows 8.1 버전에서 '''31,000원'''에 판매하였다.[29] PSA 그룹[30] 1.8 업데이트로 호피무늬와 2가지 군복은 함께 데칼로 빠졌다. 물론 무료.[31] 차 성능 자체도 표기된 것과는 다르게 상당히 좋다.. 실제로 성능보다는 랭크가 더 중요해지며 막장화가 되었기에... 게다가 P4는 토큰 차량이다.. 돈지랄을 하는 부류들도 상당하고 이 때문에 대부분의 P4 사용자들이 프로키트와 스타터는 물론 탱크도 거의 항상 달고 나온다고 봐도 된다..[32] 그 당시 9FF를 넘어서는 차량은 엔초와 플레토르였는데 엔초는 니트로 연비가 애매해서 장거리 저니트로에는 사용하기 어려우며, 플레토르는 아웃 드리프트여서 커브길에서 사용하기 어려웠다. 그런데 그 당시 9FF는 장거리,단거리 다 2인자였다.[33] 다른 차량들은 뻥스펙으로 500km이 넘는 수치를 보이지만 이 차량은 그나마 실제 수치에 근접하기 때문이다.[34] 엔초가 나오기 전 까지 뻥스펙 5대장 투아타라, 얼티에어로, 헤네시 베놈, 코닉 원, 9FF가 자리를 잡고 있었다.[35] 무려 튜닝키트까지 첨가한 랭크가 MP4-31과 맞먹는다. MP4-31은 10km나 더 빠르면서 엔초 상위호환이다.[36] 그러나 차 값, 맥스 업 비용, 프로 업 비용을 모두 합치면 무려 800만 크레딧을 뛰어넘는 경이로운 수치가 나온다. 돈을 모으는 것도 큰 일이지만 저 많은 업그레이드 부품 카드를 모으는 것이 더 큰 문제다. 이마저도 지금은 추가차량한테 밀려서 퇴물이다.[37] 플레토어가 드리프트가 띨띨해서 그렇지, 핸들링 자체는 잘 돌아간다.[38] 이 때 상당히 R 발음으로 굴려져 발음된다.[39] 아벤타도르나 알카도르는 끝부분이 'dor' 이지만, 플레토어는 'thore'다. 'r'까지만 있었다면 '토르'라고 읽을 수도 있지만, 뒤에 'e'가 더 붙기 때문에, 한번 더 생각해야할 부분.[40] 이당시 드리프트가 알카도르와 맞먹었다고 한다.[41] 드리프트 성능은 초창기에 비해 두배 정도 상향되었다.[42] 한때 케플러 모션, 카마로 2016, 마잔티 에반트라가 크레딧으로 풀린 적이 있었다.[43] 이 최고속도와 니트로 속력의 합인 458km/h는 구라성능이 아니라 실제 속도와 일치하는것이 확인되었다.[44] 무과금이라면 남은 기간이 11일이면 오픈[45] 오픈까지 남은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아래 3실험실도 마찬가지[46] 무과금이라면 남은 기간이 6일이면 오픈[47] 퍼펙트 런이 20초 동안 벽 등에 부딪히지 않아야 한다는 걸 생각하면, 사실상 '''절대 벽에 부딪히지 마라'''라는 뜻. 그런데 이 차를 몰면 그 꽈배기 트랙에서 부딪히기 십상이다.[48] 시작 후 나오는 세 갈래 길이 다시 만나는 지점에 있는 배럴 롤 점프대에서 플랫 스핀하면 될'''지도 모른다'''. 이걸 해결하려면 다리 밑으로 떨어질 각오를 할 것. 그런데 핸들링이 조악한 우라칸 가지고는 점프대로 비스듬히 진입하는 건 정말 어려워서, 그냥 포기하는 게 정신 건강에 좋다. 게다가 이 테스트가 '''최후의 승자''' 모드라서 첫 바퀴 때 하려다 꼴찌 하고 리타이어 할 수도 있다. 겜롭이 너무 잔인한 퀘스트라고 생각했는지는 몰라도 에고이스타 때는 같은 트랙에서 목표를 '''4회'''로 줄였다.[49] 앞의 23, 27의 AI가 정말 미친 실력을 보여줬다면(그나마 23이 좀 낫다. 27은 프로 4업에 풀템으로도 이기기 정말 어렵다.), 30의 AI는 커브길에서 전부 바깥쪽을 이용한다. 가급적 안쪽으로 파고들어서 지름길을 확보하자.[50] 베네노의 챌린지 15는 알프스 정방향 무결점 모드이다. 그러나 트랙에 중립 차량이 없으며, 알프스 자체도 난이도가 쉬운 트랙이라 상대적으로 부담을 갖지 않고 파밍할 수 있다. 노템 기준 56초 내외 5,900크레딧 이상 벌린다. 근데 2.5.0 버전부터는 중립 차량이 트랙에 등장해서...- [51] 차의 랭크가 1595를 넘어가면 멀티플레이어 상대를 매치시켜줄 때 마지막 구간으로 들어서서, 모든 상위 차량을 다 만날 수 있는 듯 하다. 이미 많은 차량이 추가되었고 차량 성능이 상향되어서 구간 조정이 필요할 듯 한데 게임로프트는 아직까지는 관심이 없는 듯 하다. 현재는 수정되어서 1690대가 되면 최상위 차량과 매치시켜준다. 이제는 저랭크가 문제이다. 예를 들면 1407 마쯔다 RX8이 1510 오마쥬랑 매치되는 경우가 있다.[52] 아팔에서는 구형차인 P4가 라이칸을 이기며 머슬카인 카마로가 코닉 원을 이기는 것이 아팔이다. 미래형 바이옴과 구형차 코브라가 비슷한 랭크에 있다.[53] 이 차가 플레토르 같은 차에 지는 영상을 보면, 3템일 때는 그 니트로 연비가 구린 플레토르가 아이슬란드 같이 니트로가 희귀한 트랙에서도 니트로 다 떨어지기 전에 '''속력빨로 다음 니트로를 먹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러니까, 속력이 500km/h에 육박하는 차량에게는 니트로 연비가 그렇게 크게 중요한 요소가 아니라는 뜻이다. 어디까지나 3템일 때만.[54] 구라성능이 판을 치는 S클래스에서 몇 안되는 실제 수치에 정확한 차량들중 하나다. [55] 게임 내에서 식스틴 이외에 긴 차량 두대, 마세라티 MC12 와 닷지 챌린저. 이 세대를 놓고 비교해 보면 셋이 거의 차이가 나질 않는데, 사실 이들의 전장은 챌린저: 5022mm, MC12: 5143mm, 식스틴: 5673mm 으로 식스틴이 압도적으로 더 길다. 그럼에도 게임 내에서 봤을때 별로 차이가 안 나는 것으로 보아, 식스틴의 크기를 약간 줄였을 가능성이 크다.[56] 테스트를 통과하는데 필요한 최소 퀄리티 체크수[57] 수치상으로는 맥라렌 P1 GTR과 비슷한데 영 좋지 않다는 평이 많다. 하지만 아벤타도르보다는 좋다.[58] 드리프트가 부드러워지긴 하지만 정확히 말하자면, 초반엔 잘 돌아가다가 뒤로 갈수록 밀리는 느낌이 있다.[59] 영국의 코미디언이자 자동차 평론가로 유명한 로완 앳킨슨 선생도 소유한 적이 있다.[60] 0.2km/h 차이[61] 현존 차량들 중 가장 많은 전설급 엔진을 먹는다.[62] 특히나 코너에서 드리프트를 할 때, 네메시스가 주위에서 내 차량과 경합하고 있다면 더욱 조심해야함을 상기하자. 드리프트시에 많은 차량들이 최고속력을 잃고 직선코스가 나올때 니트로로 속도를 회복하며 치고 나가는데, 가속력 최고존엄 네메시스는 이런 상황에서의 드잡이질에 매우 막강하다.[63] 네메시스는 특히 비슷한 랭크의 차량들보다 속도가 낮아서 멀티에서 후반에 깨지기 쉽기 때문에 멀티용으로 사용하기가 좀 어려우며 입지가 프로업 카마로,플레토르 수준밖에 안된다. 예전에는 대부분 1렙을 선택했지만 벌칸,콜벳 등장 이후 2랩을 선택하는 유저도 많아졌으며 2랩 이상인 경우 초반에 파손시켰다 하더라도 벌칸,콜벳 GS,오마쥬같은 차량들이 따라잡는 경우가 대부분이다.[64] 이것은 엔초 페라리, 코닉세그 원, 헤네시 베놈 GT, 플레토어, VMAX 등 다른 차들도 마찬가지이다. 프로 키트 추가 후 1년간은 후기 차량들은 프로업을 더 어렵게 만든답시고 무식하게 엔진 카드 필요량만 늘린 결과 생긴 폐해다. 그것도 드랍율이 낮은 전설급을 50~60개 내외로 먹었다. 다행히 데벨을 기점으로 일부 소수의 차량들을 제외하면 엔진의 요구량이 많이 줄은편이다.[65] 차량 자체는 크레딧 차량이지만 제대로 써먹기 위해서는 수많은 토큰이 필수불가결으로 들어간다. 사실상 단순히 크레딧 차량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2.4.0 이후로 신차들이 몇몇 차량을 제외하고는 S클래스도 엔진 요구량이 크게 줄어서 2.8.0현재까지도 프로업이 가장 어려운 차량이다.현재는 mp4-31이 포덕v8보다 더 안보이는 커스텀 레이싱 엔진을 52개나 퍼먹어서 약간 주춤한 상태. MP4-25는 A클래스인데도 전설급 레이싱 엔진 40개나 퍼먹어서 프로업 난이도 면에선 S클래스와 견준다.[66] 11.5km/h 차이. 엔초와 같다.[67] 지금은 랜드샤크에게 밀리지만, 단거리에선 아직 네메시스가 힘을 발휘할 수 있다.[68] 네메시스와 데벨의 속도차이는 무려 31.1km/h다(!) 이제는 인텐사, 맥라렌 X2, 벌칸을 선택하는 것이 낫다.[69] 그나마 네메시스는 크레딧 차량이라는 점은 장점이지만 전설급 엔진을 60장이나 먹는 시점에서 이미 벌칸을 사서 프로업 하는게 더 이득이다. 엔진도 32개로 절반밖에 안먹지만.[70] 멀티에서도 네메시스 유저가 벌칸과 MP4-25, 오마주 등을 제치고 1위를 차지하는 장면을 어쩌다 한번 볼 수 있다.[71] 이외에도 벤틀리 EXP 10 Speed 6, 모슬러 GT3, 토요타 수프라, 마잔티 에반트라 전용 동영상이 존재한다.[72] 사실 완전 동일조건도 아니다. 네메시스는 풀업+쓰리템이지만, 데벨은 풀업+투템이었다.[73] 튜닝키트를 끼지 않은채로 가장 빠른 차는 SLK이다.[74] 이 맵의 경우는 데벨 뿐 아니라 제 아무리 속도가 빠르더라도 드리프트가 약하면 어느 차량이건 성능 대비 기록이 잘 안나온다. 정방향에서는 초반에 울퉁불퉁하기 때문에 가속까지 좋아야 한다. 정확하게는 섹터 8 정방향에서 P4는 53.2초대정도이지만 데벨은 55.0초대가 나와서 P4와 2초 가까이 차이난다.[75] 그리고 현재는 대부분의 사람이 차라리 그렇게 나오는게 나았다고 생각하고있다. 그도 그럴게, 어차피 추후의 업데이트로 더 강한 성능의 차를 내놓을 바에야 차라리 실차 성능이 넘사벽급인 데벨을 최강의 성능으로 내놓고, 추후의 업데이트로 신차를 추가하면서 데벨과 다른 차량들의 격차를 줄여나가면 되기 때문이다.[76] 하필 테네리페는 커브와 점프가 많은지라 데벨이 제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트랙 중 하나이다.[77] 이를테면 핵 등을 이용해서 전용컵 시작도 하기 전에 차량을 얻어낸다든지..[78] 그리고 2017년 말 드디어 데벨 식스틴이 '''출시되었다.''' 잘하면 아스팔트에 추가 될 가능성도 있다.[79] 최근 엔진 다이노테스트 영상을 보면 측정치가 4500마력인데, 사실은 다이노 테스트기가 토크를 견디지 못해 거기서 끊은 것으로 추정치는 5000마력 이상이라고 한다.[80] 다만 어디까지나 다이노 테스트 결과이고 5000마력을 뽑아내기 위해선 니트로 메탄올을 사용해야 한다고 한다. 일반 연료를 사용할 경우 3000마력 언저리로 나온다.[81] 0을 잘못 붙인게 아니다. 진짜 만 마력이다![82] 1609km/h를 낸 차도 있지만, 이는 제트엔진을 사용하였다.[83] or이 아니다. 무료 업글권을 쓰지 않는 이상 이 차를 맥스업 시키려면 진짜 토큰을 사용해야 한다![84] 11월 22일에 2차 R&D가 열렸다.[85] '''2분 안에''' 파괴 20회다. 게다가 20회를 달성하면 바로 끝나는 점과 트랙의 대부분이 두 갈래로 되어 있는 점 때문에 난이도가 매우 높다. 그나마 파괴 횟수가 부가 목표로 걸려 있는 게 다행인 상황.[86] 매우 쉽게 달성할 수 있는 부가 목표로, 니트로 스타터를 사용하여 처음에 다른 차 7대를 모두 파괴한 후, 바로 브레이크를 밟아 다른 차들이 한두 대 앞으로 치고나갔을 때 그 차들을 파괴하면 된다. 감염 모드라서 상대 차들이 처음에 속도를 내지 않기 때문.[87] 트랙은 쉬운데 아주 어려운 목표이다. 이유는 런던아이가 매우 짧기 때문. 평범하게 다른 레이스 하듯이 하면 기록이 1분 40초 내외가 나올 텐데, 퍼펙트 런 5회는 실수가 전혀 없을 때 시작 후 1분 43초쯤 달성된다.[88] 서버마다 AI컷이 다른 황당한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다. 안드로이드는 3-5-3-4 0-0-0-0 투템 정도면 쉽게 클리어 가능하지만 윈도우랑 iOS는 5-5-5-5 0-0-0-0 삼템으로 큰 실수없이 달려야 클리어 가능하다.[89] 윈도우 서버의 경우 설정에서 그래픽을 최하로 낮추면 중립 차량이 모두 없어지기 때문에 쉽게 진행 가능하다.[90] 엔진이 바뀌는 바람에 '''V10 엔진'''이 쓸 곳이 많이 필요해졌다.[91] 이 초대장은 R&D의 프로토타입 키처럼 시간이 지나면 충전이 되기 때문에 무한한 도전같은 느낌으로 계속 포인트를 쌓아가는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 Enduro Double Down의 장점이다.[92] 이 대사가 출력되는 챌린지들을 클리어하면 우리 고용비를 다 털어먹을 셈이냐며 되려 화를 낸다.[93] 이 대사가 출력되는 챌린지를 클리어하고나면 사실은 당신을 매수할만한 돈이 없었다고 한다.[94] 4-4-4-4일때 랭크가 가장 높은 희한한 현상 때문에 다른 엘리트 차량과는 달리 마스터리 15는 반드시 맥스+프로 상태에서만 할 수 있다.[95] 알카도르도 이리저리 부딪히는건 마찬가지지만, 차체가 작고 날렵한데다 기본 핸들링이 좋아서 플레토르와 비슷한 컨트롤만 익히면 민첩하게 빠져나오는게 가능한데 비해, FE는 차체가 워낙 크고, 무겁다보니 컨트롤을 아무리 잘해도 쉽게 따라주질 않는다. 드리프트마저도 알카도르가 좀 낫다. 거기에 기본 핸들링도 매우 안 좋다.[96] 알카도르는 저 위에 있으며 스카글리에티,2010 벤틀리 슈퍼스포츠와 비교해야 맞는다.[97] 엘리트 카라 해서 아예 마음대로 몰 수 없는 것도 아니다. 성능 컨디션이 빨간색으로 도달하면 실성능의 80%만 발휘하는 것이다. 참고로 마쯔다 RX8은 엘리트카이지만 성능 컨디션이 빨간색으로 도달했다 해도 섹터 8 ai가 워낙 낮아서 1등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노가다가 가능하다는 점이 있다.[98] 위키피디아에서도 어디는 100%실속이라고 적혀있는 반면에 100.04%,100.03%,100.018%라고 쓰여져 있는 곳도 있어서 믿을 수가 없다. 아마도 실속이지만 위키피디아의 일부 유저들이 장난치는 것 같다. 사실 위키아에도 잘못된 정보가 일부 있다. 지금은 아니지만 한때 위키피디아에서 카마로,오마주 최속이 실속의 98.02%로 적혀있었다.[99] 라이칸 하이퍼스포트와는 다르게 제조사 상표명이 안 붙어있었지만, 2.7.0업데이트로 다시 붙었다.[100] 3.2km/h차이[101] 두 차량을 포함한 대부분의 S클래스 차량이 일정속도 이상으로 주행시 가변 스포일러가 작동하는데, 아스팔트8에서는 이러한 부분은 구현하지 않았다. [102] 태크 레이싱 시즌으로 들어가면 13500토큰으로 파는 버그가 있었다. 지금은 버그가 패치돼서 400,000 VIP를 모아야만 살 수 있다. 현질 4,400,000원정도를 해야 이 차를 딸 수 있다.[103] 이게 어느 정도냐면, 15,000토큰팩 40개를 구입해야 15단계를 찍을 수있는데 노세일 기준 '''한화 4,400,000원 이상'''을 과금해야 한다. 게임로프트의 정신나간 면모를 볼 수있는 부분. 알뜰하게 토큰 할인할때마다 지른다면 약 2,200,000원... 이었는데 버그였는지 예전 비율로 돌아갔다.(...) 이젠 할인해도 VIP포인트는 결제가격에 비례해서 준다.[104] VIP 포인트는 현질할 때마다 올라가서 9FF,네메시스,데벨 같은 차량 팩을 지르더라도 얻을 수 있다. 그래서 신규 현질러 유저들은 올드 현질러 유저보다 이 차를 쉽게 딸 수 있다.[105] 신규 현질 유저들 중에서 플레토르,네메시스,데벨,엔초,맥라렌 P1 GTR 등 고성능 차를 딴 다음에 맥스업 까지 시키기 위해 크레딧 또는 토큰을 현질한다. 그 맥스업 시킨 고급 성능 차를 프로업까지 시키기 위해서 토큰으로 기간 한정 엔진 상자,기간 한정 테크 상자와 타이어,서스펜션 등 다른 부품을 찾기 위해 챔피언 상자를 연다. 기간 한정 엔진 상자 판매기간에는 대략 750토큰에 엔진이 15개가 나온다.[106] 비현실적인 이야기지만 이 차를 빨리 따고 싶다면 예를 들어 네메시스를 프로업시키려 한다면 포스드 인덕션 60개를 얻어야 한다.그정도 엔진을 얻으려면 기간 한정 엔진 상자를 100개 정도 뽑아야 할 것이다. 그러면 75000토큰 정도가 필요해지는데 15000토큰에 11만원에 10000VIP이니 75000토큰이면 55만원, 50000VIP정도가 들어갈 것이다. 그 다음에는 테크 부품을 찾기 위해서 기간 한정 테크 상자를 연다. 또, 타이어,서스펜션 등 다른 부품을 뽑기 위해서 챔피언 상자를 연다. 그러면 네메시스를 프로업하는데 약150,000토큰 정도가 필요하며 100,000VIP정도가 올라갈 것이다. 그 과정 중에 다른 부품이 나와서 다른 고성능 차도 5대 이상은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그러나 엔진이 겹치면 그 과정을 다시 반복해야 한다. 그렇게 4번 이상 반복하면 400,000VIP 이상이 된다.[107] 예전에 토큰 차량이 크레딧으로 뜨는 버그가 있었다. 예를 들어 맥라렌 P1 GTR이 13,500토큰인데 토큰 차량이 크레딧으로 뜨는 버그로는 13,500크레딧이면 살 수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벤트에서 크레딧 버그를 이용한 차를 몰면 블라로 가버린다.[108] 사실 에고이스타처럼 초반부부터 후반부까지 가속도가 모두 좋은것은 아니고 실버라이트닝 처럼 초반엔 딸리다가 후반에 좋은 가속도를 발휘한다[109] 엔진소리만 놓고 보면 전기자동차로 오해할수도 있다.[110] 벌칸을 시작으로 나중에는 시속 500km가 넘는 밸런스형 차량이 많이 나올 수 있다.[111] 도쿄 역방향에서도 1렙인 경우 오마쥬와 비슷하다.[112] 오마주와 벌칸의 스티어링을 비교하자면 오마주는 기본 핸들링은 매우 좋지만 드리프트는 약간 부족한 수준인 반면, 벌칸은 기본 핸들링은 조금 딸리지만 드리프트가 매우 좋다. 니트로 추가속도의 영향이 있는 것 같다.[113] 물론 오마주, 데벨이 최고속도는 더 높지만 이들은 최고속도에만 몰빵한 나머지 가속력을 버려서 그렇다. 드리프트도 이들보다 훨씬 좋다.[114] 네메시스와 비교해보면 가속이 약간 느리다는 것 외엔 밀리는 부분이 없다.[115] 영상출처:https://www.youtube.com/watch?v=FVA3NYIyQys 8인 레이서에서는 0.4~0.5초정도 느려지는 것을 고려하더라도 51.0초대 기록이 나올 것이다. 3.2.0 한때 패치로 500도 커브 구간을 지나기 전 롤러코스터처럼 올라가는 구간이 있는데 거기서 감속되게끔 해놓았지만 3.3.0에 다시 패치되어서 감속이 안된다.[116] 단,도쿄는 데벨이 이기며 바르셀로나,기아나,코트다쥐르는 데벨과 비슷하다.[117] 물론 불시에 미끄러지는 F1 차량에 비해서는 안정성이 훨씬 좋다. 그러나 이는 벌칸만의 문제가 아니라 로터스 에보라 410,스바로 스파르타,DS 써볼트 등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며 주행 결과 도쿄 맵에서만 잘 미끄러지는 차량들이 있다.[118] MP4-25도 몇일동안 상점에서 사라졌던 시간이 있었다.[119] 물론 둘 다 정식으로 인정된 것은 아니다.[120] 애초에 모슬러 차량들은 거의 모두 MT900 시리즈가 기본 베이스라서 외관에는 큰 차이가 없다.[121] 스톡랭크는 베네노 프로업보다 더 높다. 하지만 업할때마다 성능이 조금밖에 올라가지 않는다. 스톡 랭크만 따지면 아팔 최강이다. 특히, 스톡상태의 최고속도가 448.7로 속도로만 따지면 MP4/8 프로+튜킷상태와 맞먹는다.[122] 정확히는 491.9[123] 엘리트카들도 '튠업을 하지 않은 기본상태'로 적용하면, 튜닝키트가 없는 상태에서 아라쉬보다 속도가 더 높은 차량은 데벨(494.8) 하나 뿐이다.[124] 주요 목표가 파손 없음이고, 부가목표가 시간제한, 퍼팩트런인데 맵도 복잡하고, 퀄리티 체크는 전부 돌아가는 쪽에만 몰려있고, 트래픽 카까지 잔뜩 돌아다니는 상황과 마주하면 입에서 욕이 자연적으로 튀어나오는 현상을 체험할 수 있다.[125] 알피느에 버금간다.[126] 별 차이 없다고 생각할지도 모르겠지만 일반 AF10 모델은 바디킷이나 스포일러가 없고, 무엇보다 성능에서 차이가 많이 난다. 일반 AF10은 850마력이지만, 하이브리드는 '''2080마력'''이다(!).[127] 페니어도 출시 당시엔 제조사명인 W Motors가 없는 상태였다가 추후 업데이트에서 다시 붙었다.[128] 대신 챌린지 14가 이녀석의 전용 커리어랑 완전히 동일하면서도 돈은 더주기 때문에 이걸로 대신 노가다를 하는 방법도 있다. 최단거리로 달리면 약 1분 가량 걸린다.[129] 사실 507로 달리는 최속형 차량 vs 밸런스형 차량의 대결이다.[130] 이 두 차량의 유저들도 아벤타도르 SV가 속도가 높아서 후반에 위험하다는걸 알기 때문에 멀티에서 만나게되면 반드시 표적이 되므로 조심하자.[131] 어디까지나 벌칸에게 살짝 밀릴 뿐이다. 가속력과 핸들링이 좋으면서 최속이 500km/h가 넘기 때문에 무시하면 안된다. 잘 미끄러지는 특징만 없었어도 벌칸이 위험할 뻔했다.[132] 프로업 시작부터 포스트인덕션 V8 엔진을 잡수신다.[133] 미끄러짐도 벌칸 상위호환이다.[134] MP4-25, MP4-31, Mclaren 650S GT3 등등 또한 잘 미끄러졌었는데, 이들에 비해 아폴로는 아스팔트 전체를 통틀어서 최강자리를 차지했었기에 더욱 이 문제가 부각되었던 것.[135] 아스팔트 9 의 출연을 위해 한동안 출연하지 않은 것 같다.[136] 실속이다.[137] 보통 R&D 이벤트 하나당 무료 업글권이 3개정도 나오는데 그게 정말 단 하나도 없다.[138] 업그레이드권 대신 부품상자가 꽤 많은 편인데, 아마 신규 엔진을 먹는 차량이라 엔진을 어느정도 뿌리기 위해서인듯 하다. 그런데 연구실 4에 도달하면 부품상자 보상도 없어진다.[139] 그래서 어드벤스드 테크 카드를 무려 '''160장'''씩이나 '''혼자서''' 먹는다.[140] 레제라의 항목에 가보면 알겠지만, 배기구처럼 보이는 곳은 냉각쿨러고, 실제 배기구는 쿨러 양 옆에 있다. 많은 게임들이 범하는 고증 오류를 아스팔트도 범한 셈. [141] 18년 12월21~27까지 판매했다.[142] 18년 12월21~27까지 판매했다.[143] 차량의 실제 속력이 궁금할 때 해당 수치를 곱해주자[144] 아스팔트에서 뻥스펙이 존재한다는것을 알려준 차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