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선우(프로게이머)

 

[image]

'''"DOWNLOAD COMPLETE"'''[1]

- Evo 2016 SFV 최종 우승 후 인터뷰 中

'''EVO 스트리트 파이터 부문 우승자'''
EVO 2011
후도

EVO 2012
'''인생은 잠입'''

EVO 2013
Xian

EVO 2014
루피

EVO 2015
모모치

EVO 2016
'''인생은 잠입'''

EVO 2017
토키도
'''EVO 스트리트 파이터 X 철권 부문 우승자'''
EVO 2012
'''인생은 잠입''', Laugh(안창완)

EVO 2013
'''인생은 잠입'''
'''EVO Japan 스트리트 파이터 부문 우승자'''
EVO Japan 2018
'''인생은 잠입'''

EVO Japan 2019
모모치
'''Capcom Cup 우승자'''
Capcom Cup 2013
사코 (SFIV)
NYChrisG (UMVC3)
'''인생은 잠입 (SFxT)'''

Capcom Cup 2014
모모치
'''EVO 사무라이 스피리츠 부문 우승자'''
EVO 2019
'''인생은 잠입'''
1. 개요
2. 경력
3. 상세
4. 주요 활동
5. 플레이 스타일
6. 사건사고
6.1. 2009년 온게임넷 투혼 한일대항전 선수선발 논란
6.2. 2017년 전처 가정폭력이혼 의혹
6.2.1. 판다 글로벌 및 캡콤 프로 투어측의 입장 발표
6.2.2. 잠입 본인의 개인 방송을 통한 입장 발표
7. 기타
7.1. 트위치 TV
7.2. 외부 링크
7.3. 관련 인터뷰


1. 개요


인생은 잠입(INFILTRATION)이라는 닉네임의 대한민국Afreeca Freecs소속 격투게임 프로게이머.
1985년 3월 23일 (39세)
캡콤 프로투어 선수 소개 페이지(영어)

2. 경력


  • 2010년
    • ESWC 2010 SSF4 4위
    • EVO 2010 SSF4 3위
    • 투혼 2010 SSF4 우승
  • 2011년
    • VERSUS Marvel VS Capcom 3 우승
    • NorCal Regionals #9 SSF4 AE 준우승
    • NorCal Regionals #9 SSF4 AE 3:3 팀전 우승
    • Canada Cup 2011 SSF4 AE 5위
    • Dreamhack 2011 Winter SSF4 AE 우승
  • 2012년
    • LG Cup Street Fighter IV HD Global Championships 2012 SSF4 AE Ver.2012 4위
    • LG Cup Street Fighter IV HD Global Championships 2012 스트리트 파이터 4 HD 우승
    • 스트리트 파이터 X 철권 드림 매치 인 서울 SFXTK 팀전 우승
    • NorCal Regionals #10 SSF4 AE Ver.2012 준우승
    • NorCal Regionals #10 SFXTK 우승
    • Seasons Beatings Summer Slam 슈퍼 SSF4 AE Ver.2012 우승
    • Seasons Beatings Summer Slam SFXTK 팀전 우승
    • Dreamhack 2012 Summer SSF4 AE Ver.2012 우승
    • Dreamhack 2012 Summer SFXTK 팀전 준우승
    • EVO 2012 SSF4 AE Ver.2012 우승
    • EVO 2012 SFXTK 팀전 우승
    • 스트리트 파이터 25주년 기념 토너먼트 한국 대표 결정전 SSF4 AE Ver.2012 우승
    • 스트리트 파이터 25주년 기념 토너먼트 한국 대표 결정전 SFXTK 준우승
    • 스트리트 파이터 25주년 기념 토너먼트 아시아 대표 결정전 SSF4 AE Ver.2012 우승
    • 스트리트 파이터 25주년 기념 토너먼트 아시아 대표 결정전 SFXTK 우승
    • Seasons Beatings Ascension SSF4 AE Ver.2012 준우승
    • Seasons Beatings Ascension SFXTK 우승
    • Canada Cup 2012 SSF4 AE Ver.2012 5위
    • Canada Cup 2012 SFXTK 우승
    • Canada Cup 2012 SSF4 AE 2012 5:5 국가대항전 준우승
    • Dreamhack 2012 Winter SSF4 AE Ver.2012 우승
    • 스트리트 파이터 25주년 기념 토너먼트 결승전 SSF4 AE Ver.2012 우승
    • 스트리트 파이터 25주년 기념 토너먼트 결승전 SFXTK 우승
  • 2013년
    • SoCal Regionals 2013 SSF4 AE Ver.2012 우승
    • SoCal Regionals 2013 SFXTK Ver.2013 우승
    • Final Round 16 SSF4 AE Ver.2012 우승
    • Final Round 16 SFXTK Ver.2013 준우승
    • NorCal Regionals 2013 SSF4 AE Ver.2012 우승
    • NorCal Regionals 2013 SFXTK Ver.2013 우승
    • Dreamhack 2013 Summer SSF4 AE Ver.2012 준우승
    • EVO 2013 SFXTK Ver.2013 우승
    • EVO 2013 SSF4 AE Ver.2012 3위
    • Canada Cup 2013 SFXTK Ver.2013 준우승
    • Capcom Cup 2013 아시아 대표 결정전 한국 예선 SSF4 AE Ver.2012 우승
    • Capcom Cup 2013 아시아 대표 결정전 최종 예선 SSFA AE Ver.2012 3위
    • Thaiger Uppercut Championship 2013 SSFA AE Ver.2012 3위
    • Thaiger Uppercut Championship 2013 3:3 팀전 준우승
    • Capcom Cup 2013 SFXTK Ver.2013 우승
  • 2014년
    • ESGN TV Fight Night 시즌 1, 2, 3 출연
    • SoCal Regionals 2014 SSF4 AE Ver.2012 준우승
    • SoCal Regionals 2014 SFXTK Ver.2013 준우승
    • Final Round 17 SSF4 AE Ver.2012 3위
    • Final Round 17 SSF4 AE Ver.2014 3:3 팀전 우승
    • Final Round 17 SFXTK Ver.2013 3위
    • NorCal Regionals 2014 SSF4 AE Ver.2012 준우승
    • E3 Capcom Pro Tour USF4 우승
    • Dreamhack 2014 Summer USF4 우승
    • SPIRITZERO CUP Ultra Street Fighter IV Challengers of KOREA USF4 우승
    • CEO 2014 USF4 우승
    • WECG 2014 Global Challenge USF4: Seoul 우승 → WEGC 2014 Grand Finals 진출 확정
    • International e-Sports Federation 2014 USF4 우승
    • Capcom Cup 2014 USF4 4위
  • 2015년
    • Sonic Boom 2015 USF4 우승
    • Cannes Winter Clash USF4 2:2 팀전 준우승
    • Cannes Winter Clash USF4 5:5 팀전 우승
    • Cannes Winter Clash USF4 3위
    • Nine State Tournament 2015 USF4 5:5 팀전 우승
    • Nine State Tournament 2015 USF4 우승
    • Red Bull Kumite 2015 USF4 4위
    • NorCal Regionals 2015 USF4 3:3 팀전 우승
    • NorCal Regionals 2015 USF4 7위
    • Double Elimination USF4 우승
    • Texas Showdown 2015 USF4 우승
    • TORYUKEN 4 USF4 우승
    • Stunfest 2015 USF4 2:2 팀전 우승
    • Stunfest 2015 USF4 3위
    • Street Fridays Season 1 USF4 2:3 팀전 우승
    • Street Fridays Season 1 USF4 7위
    • South East Asia Major 2015 USF4 7위
    • EVO 2015 USF4 3위
    • Hong Kong eSports Tournament USF4 우승
    • First Attack 2015 USF4 우승
    • Games 15 USF4 준우승
    • Mad Catz Tokyo Game Show 2015 USF4 3위
    • Churning the Butter #49 USF4 우승
    • G-Star 2015 SFV 이벤트 매치 우승
    • GameStart 2015 SFV 이벤트 매치 우승
    • 2015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올해의 우수 해외활동상 수상
    • Capcom Cup 2015 USF4 7위
  • 2016년
    • YangCheng Cup USF4 준우승
    • ArcadeStreamWeekly 1.1 SF5 우승
    • Hanuri MagicStick CUP SFV Tournament SF5 우승
    • Final Round 19 SF5 우승
    • NorCal Regionals 2016 SF5 우승
    • Red Bull Kumite 2016 SF5 우승
    • STREET FIGHTER 5 CRASH SF5 준우승
    • CEO 2016 SF5 준우승
    • MSF The Fist - SFV Final SF5 우승
    • EVO 2016 SF5 우승
    • MSF The Fist SFV Summer 2016 SF5 준우승
    • OUG Tournament Season 2 SF5 우승
    • SPIRITZERO Fighter's Spirit: CPT Asia/Oceania Last Chance Qualifier SF5 우승
    • 2016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올해의 우수 해외활동상 수상
  • 2017년
    • 제1회 Nori Tournament First Blood SF5 우승
    • 제2회 Nori Tournament First Blood SF5 우승
    • Battle Arena Melbourne 9 9위
    • Japan Cup 2017 9위
    • Celtic Throwdown 2017 SFV Single 7위
    • Celtic Throwdown 2017 SFV 2vs2 준우승
    • Manila Cup 2017 우승
    • OzHadou Nationals 15 4위
    • FV CUP 2017 9위
    • CAPCOM CUP 2017 Last Chance Qualifier 준우승
  • 2018년
    • EVO Japan 2018 SF5 우승
    • FINAL ROUND 2018[2] SF5 우승
    • NorCal Regional 2018 SFV 4위
    • FIGHTER'S SPIRIT 2018 9위
    • 제3회 Nori Tournament First Blood 준우승
    • Stunfest 2018 준우승
    • Combo Breaker 2018 3위
    • CEO 2018 SF5 5위
    • VSFighting 2018 SF5 9위
    • RAGE 스파5 올스타 리그 한일전 이벤트 승리
  • 2019년

3. 상세


[image]
EVO 2016 스파부문 우승을 확정짓고..

'''"인생은 잠입은 스파 권위 학자 입니다"'''[3]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등으로 게이머들에게 친숙한 회사인 캡콤대전 액션 게임들을 위주로 활동하고 있는 게이머로서 닉네임은 '인생은 잠입'이지만, 주로 활동하는 북미권에서는 '잠입' 또는 '침투'이란 의미의 'INFILTRATION'으로 활동하고 있다. 잠입이라는 닉네임은, 자신이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이전부터 좋아했던 잠입 액션 게임메탈기어 솔리드 시리즈에서 따온 것이라고 한다.
활동 종목으로는 스트리트 파이터 4 시리즈, 마블 VS 캡콤 3, 스트리트 파이터 X 철권, 스트리트 파이터 5가 있으며, 주로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에서 활동하고 있다.
최악의 환경을 자랑했던 대한민국 격투게임(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한정) 업계에서 굉장한 노력으로 전 세계의 정점에 오르기도 했다. 특히 2012년은 그야말로 그의 해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최고의 고우키 플레이를 자랑했다. 그 후에도 꾸준히 메이저 대회에서는 TOP 3에 진입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기복이 거의 없는 편에 속했다.
주력 캐릭터는 SF4에서 고우키. 이후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4(이하 SSF4) 초창기 시절에는 한국 캐릭터라는 이유로 잠시 주리를 사용하다가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4 AE(이하 SSF4 AE)에서는 고우켄도 사용하기 시작하더니 이후 고우키, 고우켄, 하칸, , 춘리, 광기의 오니 등등 여러 캐릭터들을 상황에 맞춰 바꿔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물론 상성에 맞춰서 플레이 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세컨드 캐릭터 하나 파기가 꽤 어려운 스파4에서 여러 캐릭터로 세계대회 수준에서 사용한다는 것은 대단한 것. 하나의 주캐만 고집하지 않고 모든 캐릭터를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플레이 중이라고 밝혔다.
손에 맞는 캐릭터라면 니가와가 굉장히 좋은 캐릭터를 곧잘 주캐로 쓴다. 디카프리, 메나트등.
스트리트 파이터 5로 넘어오면서 시즌 1때엔 환상적인 내쉬 플레이로 시즌 1 캡콤 프로투어 포인트 1위를 차지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업계의 최정상의 게이머로 정평이 나있었었지만 시즌 2에서는 심각한 폼 하락, 무리수나 다름없는 발언들로 인해 유저들의 쓴소리를 들었다. 하지만 끝까지 고집하던 한주리와 시즌 2 후반부에 새로 장착한 메나트로 시즌 3의 첫 대회인 EVO JAPAN 2018에서 우승하면서 클라스는 영원하다는걸 보여주고 있다.
격투게임에서 두드러지게 보여주는 특징은 극한의 아웃복서, 힛-앤-런 스타일이라는것. 기본적으로 방어와 백대시 위주로 안정적으로 니가와를 하면서 상대의 실수를 노리는 모습을 해설진이 많이 강조한다. 특히나 메나트로 상대방을 빡치게 하는 노련한 플레이 스타일때문에 대회 채팅창과 레딧에서는 노잼이라고 까는 분위기. 또한 개캐였던 라시드를 상대로 약캐취급 받는 한주리를 꺼내 계속해서 강한 모습을 보여준적이 있다.#
성격과는 별개로 세계에 주목받았던 플레이어 중 한 명으로, 개인 방송이나 트위터 등에서 유독 외국인이 많이 보였던 편 .
스파4때부터 활동했던지라 국내 스파판은 물론 격투게임판에서도 매우 유명한 인물이였으나, '''가정폭력 논란이라는 불미스러운 일에 휘말려 커리어에 큰 지장을 받게 됐다.''' 자세한 사항은 사건사고 문단 참고.

4. 주요 활동



4.1. 스트리트 파이터 4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4 에서는 고우키는 물론, 춘리와 디카프리를 거의 메인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EVO 2015에서는 대회에서 한 번도 보여주지 않았던 살의의 파동에 눈뜬 류, 아벨, 한주리까지 투입하여 엄청난 환호를 받았다. 일반적으로 대회에 참가하는 프로수준의 격투게임 플레이어가 주력 캐릭터 1명만을 사용하거나 많이 사용해도 2명에서 3명인 경우가 전부인데, 잡입 선수가 대회에서 사용한 캐릭터는 현재까지 12명으로 전체 캐릭터의 25%가 넘으며, 더 놀라운 것은 이 모든 캐릭터로 대회 상위권에 입상한 경력이 있다는 점이다.
WECG 2014 Global Challenge USF4: Seoul에서는 단 한 번도 고우키를 사용하지 않고 춘리로 우승했다. 오히려 요즘은 고우키 쪽을 보기가 더 힘든 수준. 모든 캐릭터가 세계급 수준으로 세계 최고의 멀티 캐릭터 플레이어라 해도 과언이 아니며, 일본에서 멀티 캐릭터로 유명한 모모치 선수도 따라하지 못할 경지다.
SFXTK에서는 류 & 롤렌토를 사용하다가 , , 사가트 등을 섞기 시작하더니, Ver.2013 이후에는 진 & 알리사 조합을 주력으로 사용. 이 조합으로 스철 업계를 완전히 접수해버렸다.
스트리트 파이터 4 시리즈에선 일반적으로 알려진 캐릭터 랭크는 별로 신경쓰지 않는 듯하다. 특히 약캐인 하칸을 쓸만한 캐릭터로 정의하고 있고, 실제로 토너먼트에서도 사용하기도 하는지라 농담인지 진담인지 알 수 없는 노릇이나 하칸으로 세계의 날고 기는 고수들을 진절머리 나게 만든 적이 있으니...
실제로 해외 대회에서 활약을 나타내기 시작한 것은 EVO 2010에서 3위를 기록한 것이 시작이지만(참고로 이선우 선수의 첫 해외 메이저 토너먼트 출전이었다), 그 이후로도 대부분 순위권에만 들고 막상 우승을 하지는 못하다가 2011년 겨울의 드림핵 윈터 2011에서 영국의 격투게이머인 '라이언 하트(Ryan hart)'를 상대로 우승하며 이후의 기세가 오르기 시작했다.
2012년에 들어서면서는 출전한 대부분의 여러 메이저 토너먼트 우승을 휩쓸었다. 특히 매년 7월에 열리는 가장 큰 규모의 대회인 Evolution 2012와, 스트리트 파이터 25주년 기념 토너먼트에서 스트리트 파이터 4 AE Ver.2012(이하 SSF4 AE Ver.2012) 및 SFXTK 양 종목 모두 우승을 차지해, 철권 부분을 제외한 종목에서 한국인 최초로 우승 및 2관왕이라는 업적을 달성했다. EVO 2002년 이후 10년만에 등장한 비일본인 EVO 스트리트파이터 우승자라는 타이틀은 덤.
특히 EVO 2012에서 보여준 활약은 그야말로 압도적이었는데, 단 한번도 패자조로 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격투게임계의 유명인이자 EVO 2009, 2010의 스파 4 부문 우승자인 우메하라 다이고 선수와 본선에서 맞붙어 완벽한 운영으로 승리한 것이 유명.
[image]
이후로도 그는 이 결과가 우연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기라도 하듯,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25주년 기념 토너먼트에서도 SSF4 AE Ver.2012와 SFXTK 부분에 진출. 한국에서는 전자를 1위로, 후자를 2위로 통과하였으며, 이후에 대만에서 열린 아시아 최종 예선에서는 두 종목 모두 1위로 통과한다.
그리고 2012년 12월 미국에서 열린 25주년 기념 토너먼트. SSF4 AE Ver.2012 부문에서는 EVO 2012 때 승리했던 우메하라에게 패하여 패자조로 떨어졌지만, 이후 패자조 결승에서 EVO 2011의 우승자인 '후도' 선수를 상대로 승리해 결승에 진출한다. 최종 결승에서 기다리고 있던 것이 자신을 패자조로 보낸 우메하라라서 박빙의 승부가 예상되었으나, 놀랍게도 한 세트도 내주지 않은채 6:0이라는 스코어로 우메하라를 압도하며 우승해버린다.
더욱 놀라운 것은 EVO 2012 때와 마찬가지로 SFXTK 부분에서도 우승했다는 것. 이쪽도 중간에 패자조로 떨어지긴 했으나 순조롭게 그랜드 파이널까지 진출하여, 일본의 토키도를 상대로 우승을 차지한다. 단 4종목이 개최된 25주년 기념 대회에서 무려 2종목을 석권해버린 것. 이 또한 세트스코어 6:0이었으며, 토키도 선수는 그 자리에 앉아 고개를 숙였다.

정리하자면 2010년 EVO 우승자와 2011년 EVO 우승자를 꺾고 우승하면서 2012년 EVO 우승이 우연이 아니었다는 것을 증명한 셈. 게다가 두 대회 모두 2관왕이었다. 2012년 한 해 세계구 대회인 EVO와 스트리트 파이터 25주년 대회에서 우승하고 기타 대회에서도 엄청난 속도로 우승을 독점한 덕분에, 격투 게이머로서는 한 해 최다 상금 수령인이 되었다고 한다.
세계최고 수준의 격투게임 플레이어 중 한 명이기 때문에 격투게임 경력이 긴 것으로 보이지만, 놀랍게도 격투게임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은 스트리트 파이터 4가 처음이라고 한다. 당시 전자상가 게임매장에서 일을 하고 있던 도중, 가정용으로 발매된 스트리트 파이터 IV가 한국어화 되어 관심을 가진 것이 계기. 스트리트 파이터 IV의 가정용 발매가 2009년 2월, 잠입 선수의 EVO 우승이 2012년이니, 격투게임을 본격적으로 시작한지 단 3년 만에 스트리트 파이터 업계의 정점에 선 것.
2013년에 들어선 이후 메이저 대회에서의 성적은 작년과 마찬가지로 괜찮은 편. 특히 EVO 2013에서는 미국의 PR Balrog와의 대전에서 패배 직전까지 몰리자 제작자 공인 약캐인 하칸을 꺼내들어 역전승을 하며 어웨이 매치임에도 관객들의 열렬한 환호를 받기도 했고, 우메하라, 사코노코, 카즈노코 등 수많은 일본인을 탈락시켜 전 세계가 감탄을 금치 못했다.
SF 25주년 토너먼트를 고정행사로 정착시킨 캡콤컵 2013년 예선에도 참가. 카페ID에서 개최된 한국예선에서는 예선통과를 위해 한국에 원정온 일본의 모모치를 누르고 승자조에서 무난하게 1위 통과. 새로운 캐릭터로 오니를 선택하여 큰 화제가 되었다.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아시아 토너먼트에서는 한국 예선 1~2위, 대만 예선 1~2위, 싱가포르 예선 1~2위의 유저가 동시에 리그전 형식으로 싸위 1~2위의 성적을 거둔 유저가 그랜드 파이널에 가는 방식이었는데(7승을 먼저 따낸 유저가 승리), 대만 예선을 2위로 통과한 일본의 후도와 싱가포르 예선 1위인 각트에게 패배. 최종 성적은 3승 2패였지만 상기 두 유저가 각각 4승 1패를 하여 최종예선 3위로 안타깝게 그랜드 파이널 티켓을 얻지 못했다. 하지만 SFXTK은 EVO 2013의 우승자로서 자격을 인정받아 저스틴 웡과 함께 초대선수로서 뽑혀 캡콤컵의 참가자체는 확정되었다.
2013 WCG 한국대표 선발전에서 우승, 한국대표가 되었다. 안타깝게도 결선진출에는 실패. 조 3위였고 결승에 갔던 선수들도 자신과 비슷한 실력을 가졌다는 평가가 있던지라 더욱더 아쉬움이 남았다.
이후에도 안정적인 성적으로 여러 대회들을 거쳤고, Capcom Cup 2013에서 SFXTK 부문을 압도적으로 우승하였다. EVO 2012, 캡콤 25주년 대회, EVO 2013에 이어 이번 캡콤컵 2013년까지 SFXTK 부분 메이저 대회 4관왕을 차지하며 SFXTK의 독보적인 일인자로 자리매김하였다.
2014년에 들어서는 전 세계의 유명 플레이어 8명이 출연하는 Web show인(독일의 ESGN TV에서 기획) 'Fight Night'에 참여해 시즌 3까지 촬영했으며, 미국의 SCR 2014와 Final Round 17에 참여해 약캐로 분류되고 있는 춘리를 사용해 많은 환호와 인기를 얻었다.
그 이후에 매니지먼트 회사인 GEM(Global Esports Management)과 계약을 맺어 매니지먼트를 받다가 지금은 계약이 종료된 상태.
울스파4 기준으로 참여하는 대회 대부분을 석권하면서 상승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발매 일주일 기념으로 치러진 국내대회 스피릿제로에서 풍림꼬마에게 승자전에서 패해 패자조로 내려갔지만, 패자조를 석권하고 그랜드 파이널에서 연거푸 6세트를 따내 우승. 에보2014의 전초전이었던 CEO 2014에서도 패자조에서 끝까지 생존하여 그랜드 파이널에서 모모치를 맞이해 브라켓 포인트를 리셋시킨 후에 3세트를 따내 최종우승, 챔피언 벨트를 거머쥔다. 여담으로 고우키로 브라켓 리셋 후에 명장면을 연출하는데, 모모치가 꺼내든 디카프리를 상대로 실피 상태에서 천천히 추격하다가 순옥살을 작렬시켜 역전시키는 하이라이트를 연출한다.(#) 한주리를 상대로 체력 0도트 상태까지 밀리다가 가드데미지로 사망할 상황을 두 번의 아수라섬공으로 회피, 역전을 일궈낸 것도 감탄이 절로 나오는 명장면. (#)
7월 중순에 넥슨에서 만든 스파4 볼트를 기반으로 하는 스파4 아레나에서 첫번째 그랜드 마스터가 되었다. 그리고 3주차에서 그랜드마스터 타이틀 방어에 성공했다. 2, 3주차 그랜드 마스터로, 1주차에는 그랜드 마스터를 선발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실상 2주차부터 첫 그랜드 마스터가 탄생했다.
참고로 그가 생각하는 스파4 아레나에 대한 평가.(기사)
9월 20일과 21일에 걸쳐 열린 WECG 2014 글로벌 챌린지 인 서울에서 시드권을 받아 참가한 뒤 승자조로 우승을 차지해 2위를 한 중국의 대입구, 3위의 후다맨과 함께 12월에 열리는 WECG 2014 그랜드 파이널에 진출권을 따냈으나 스폰서의 문제로 대회 자체가 사라지게 되었다.
2015년에도 여러 랭킹대회를 우승하고, 프리미어 대회에서도 상위권에 들면서 포인트를 획득했고 캡콤컵 2015 출전권도 일찌감치 획득하였다. EVO 2015에서는 일본의 모모치, 대만의 게이머비에 이어 3위를 하였는데, 대회 전체에서 기존 대회에서는 사용하지 않았던 살의의 파동에 눈뜬 류를 선보였고, 모모치와의 승자전 결승전에서 아벨을, 게이머비와의 패자조 결승전에서는 한주리를 투입. 일방적으로 밀리던 시합을 그동안 숨겨두었던 캐릭터를 활용해(최종적으로 한끗차이로 아쉽게 패배는 했으나) 풀세트까지 몰아가는 등, EVO 2015의 결승전을 크게 띄웠다.
EVO 2015 이후에도 참가하는 대부분의 대회에서 계속해 다양한 캐릭터(롤렌토, 디카프리, 휴고 등등)로 상위권에 입상하며 기세를 이어가는 중.
2015년 11월 15일 싱가폴의 게임쇼 '게임스타트 2015'에서 공식적으로 팀 레이저의 유니폼을 입고 깜짝 등장해 팀 레이저의 소속 선수가 되었음을 밝히고 프로 생활을 재개했다.

4.2. 스트리트 파이터 5



4.2.1. 시즌 1


시즌 1때는 내쉬를 주 캐릭터로 사용했다.
2016년 3월 21일 올해 캡콤프로투어 첫 대회인 파이널라운드19 스파5 부분 우승을 거머쥐며 가장 먼저 캡콤컵 진출을 확정지었다.
2016년 3월 27일 캘리포니아에서 열리는 NCR 8강 승자조로 무난히 안착했다. 그리고 우승하며 또다시 강력함을 증명했다.
2016년 4월까지 스트리트 파이터 5 부분에서 캡콤 프로투어 2016 포인트로나 커뮤니티의 의견으로나 세계 랭킹 1위를 지키고 있으며 캡콤 프로투어 2016의 포인트로는 2위보다 거의 1,000점 정도 앞서는 중이라 당분간 압도적인 위치에 있을 듯.
2016년 4월 17일 STREET FIGHTER 5 CRASH B조 16강에서 당시 자신과 같은 소속이였던 Fuudo, Xian과 함께 '''TEAM RAZER'''로 출전해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6년 4월 25일 프랑스에서 펼쳐진 Red Bull Kumite 2016에서 우승했다. 프로투어 포인트는 없지만 1년의 텀이 있는 프로모션 대회라서 상금을 떠나 매우 중요한 대회인데, 처음부터 끝까지 승자조 결승에서 우승했다. 또 다시 결승에서 조우한 토키도에게 브라켓 승자조 어드밴티지를 내주고 리셋하긴 했지만, 뒤이어 벌어진 승부에서 다시 토키도를 3대1로 꺾고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그 다음 캡콤 프로투어 프리미어 대회인 CEO 2016에선 승자로 결승까지 갔다가 토키도에게 패하여 2등으로 대회를 마무리하게 되었다.
이후 EVO 2016에선 승자 결승에서 후도에게 지고 패자 결승에서 유카돈에게 약간 흔들리는 모습도 보였으나 결승을 진출. 최종 결승에서 다시 만난 후도와는 퍼펙트승을 3번. 그것도 한 세트는 아예 퍼펙트만으로 가져가는 압도적인 모습을 보이며 우승을 거머쥐었다.

영상은 EVO2016 후도와의 결승전. 특히나 위 영상 19:04경에 나오는 장면은 이번 결승전의 하이라이트라고 평가받는 플레이로, 내쉬가 구석에 몰리고 미카가 기본기를 가드시킨 후 V트리거를 발동하여 패턴을 시작하지만 내쉬는
V트리거로 구석을 벗어나고 ▶ 이어지는 나데시코를 가드하고 ▶미카의 공중 기본기를 가드하고[4] ▶ 이어지는 지상 약손을 가드한 후 ▶ 바로 이어진 커맨드 잡기를 예측해서 후방 점프로 피하는
일련의 과정이 '''약 1초 남짓한 시간 안에''' 벌어졌다. 내쉬의 스턴 게이지가 거의 풀이었던 상황이라 하나라도 공격을 허용했다면 2:2까지 따라 잡힐 수 있는 상황이었으나 상기한 플레이를 해내고 기어이 우승했다.

우승 인터뷰에서 사회자가 "후도에 의해 패자조로 갔다가 다시 올라와서 후도에게 우승했는데 전략에 어떤 변화가 있었나?" 라고 물어보자
> "DOWNLOAD COMPLETE"[5]
라는 포풍간지의 답을 날려 관객들의 열광을 이끌어냈다. 이러한 쇼맨쉽을 함께 갖추어 해외 유저들마저 사로잡는 점은 프로로서 잠입이 가진 큰 장점 중 하나인 듯. 이번 EVO 우승으로 프리미어 대회 4회 참가, 3회 우승, 1회 준우승이라는 기록을 달성했으며, EVO 2016 우승자 특권으로 캡콤컵 2016 진출권을 얻게 되었다.
EVO 2016 이후론 다양한 캐릭터를 시험하면서 자신의 강점인 넓은 캐릭터 폭을 살리려 하고 있다. 류는 고우키를 다뤘기 때문에 기본적인 운용법이 확립되어 있는 상태로, 류로 유명한 플레이어들이 한국 최고 류라고 평가했으며, MSF에선 첫 대회엔 알렉스와 팡으로 우승을 차지했고 두번째 대회에선 라시드까지 그 범위를 넓혔다. 하지만 내쉬는 한계가 있고, 다른 서브 캐릭터는 활용하지 못한 채 캡콤컵 2016에선 2연패하며 25위로 시즌을 마무리 짓게 된다. 캡콤컵 2016에선 포인트 상위권에 있던 선수들이 대거 탈락하는 이변이 일어났는데. 잠입도 이변의 희생양이 된 점은 팬덤에서도 아쉬워 하고 있다.

4.2.2. 시즌 2


본론에 앞서 시즌 2의 잠입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벨로렌, NL 등 국내 메이저 유저들이 각자의 위치에서 선전을 한 반면, '''인생은 잠입은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커리어 로우의 정점을 찍었다.''' 심각한 폼 하락으로 인해 시즌 내내 저조한 성적으로 인해 부진을 겪었으며, 시즌 내 참가한 대회 중 프로투어 대회 우승이라곤 마닐라컵 2017 뿐, 그 외의 대회들에서 보여준 불안정한 운영이나 허무한 패배 등으로 인해 팬들로 하여금 우려와 비판을 받았다.
시즌 2에 이르러선 사실상 사용할 수 없는 내쉬를 버리고 새로운 주캐를 찾기로 했으며[6], 프로로서 '무조건 강캐만 고른다'고 선언하지만 심각한 강세를 보이고 있는 시즌초 1티어 캐릭터들을 다뤄본 뒤, 결국 주리를 선택하게 된다. 주리는 약캐에 속하는 하위티어 캐릭터지만, 강캐를 다뤄보는 시기에 자신이 프로게이머 이전에 게이머임을 돌아볼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시즌 2가 도입된 후 처음 출전한 고블린 컵에선 주리를 이용해 본인 왈 '커맨드 미스에 적응을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우승을 거뒀다. 대회 우승자끼리 자신이 하지 않는 종목에서 대결을 벌인 보너스 매치에선 길티기어 Xrd에선 액슬 로우, 블레이블루: 센트럴픽션에선 뉴-13람다-11로 우승을 차지했다. 비록 길티기어는 이벤트, 블레이블루 시리즈는 예전에 건드린 뒤론 본격적으로 파고든 적이 없다곤 하지만, 대회를 본 시청자들에게 게이머로서의 재능을 보일 기회가 되었다.
허나 E-League 2017에서 스머그, 브롤리뇨에게 완패한 뒤 이 전부터 느끼던 주리의 한계를 받아들였고[7], Fighter's SPIRIT 2017, Battle Arena Melbourne 9, 레드불 쿠미테 2017에서 주 캐릭터를 주리에서 카린으로 변경했다. 다만 앞의 두 대회의 경우 주리에서 카린으로 바꾼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이라 펑크, 마고 등 카린을 주력으로 사용하는 다른 플레이어들에 비해 부진한 모습을 보였으며, 이 중 팀 스피릿제로에서 주최한 CPT 2017 랭킹 대회인 Fighter's Spirit 2017의 경우 첫 경기가 끝나고 다음 경기에서 타이완 다이몬에게 패배하여 패자조로 내려가고, 이후 바로 만난 한국의 유저 armpitplay[8]에게 패배하면서 허무하게 풀 탈락을 해버렸다.
동년 6월 초 결혼 이후 CEO 2017에 출전하지 않는 대신 EVO 2017 전까지 연습을 하면서 간간히 트위치 방송을 진행했다. 이 시기에 내쉬를 다시 다루기 시작하며 원래는 잘 하지 않던 랭크 매치를 감행해 근 일주일 만에 마스터를 달성했다. 시즌 2.5로 들어서면서 내쉬가 시즌 1때만큼은 아니지만 2.0에 비하면 할만해졌다고 했다. 다만 해외 팬덤에선 잦은 캐릭터 변경에 대해 스파4때 보여주던 넓은 풀에 대한 기대도 있지만 다소 기대감이 떨어졌다는 우려의 시선도 있다. 5~6주간의 연습 끝에 EVO 2017에 참가했지만, 조별 예선에서 너클두에게 패배하여 TOP 128에 패자조로 진출, 이후 샤오하이에게 패배하면서 디펜딩 챔피언의 이름에 걸맞지 않은 순위인 33위를 기록하며 계속되는 부진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이 시기쯤 일부 팬덤에서 잠입이 이번 캡콤컵 2017에 진출하지 못할 것이라는 의견이 나오기 시작했다. EVO는 동일 순위에서 캡콤 프로투어 프리미어 대회보다 더 높은 포인트를 받을 수 있는 유일한 대회인데, 이 대회에서 33위를 기록하는 바람에 70점을 얻어[9], EVO 종료 시점 기준으로 글로벌 포인트 140점을 모았다. 사실 140점이야 어떤 선수든 EVO 이후의 대회들을 꾸준히 참가하여 높은 점수들을 연이어 받아낸다면 캡콤컵 진출 가능성이 있는 점수지만, 시즌2 잠입의 경우 계속되는 부진으로 인해 이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이 형성된 것. 이는 EVO 이후에서도 계속되었다.
EVO 2017 이후 다시 내쉬를 버리고 주리로 다시금 폼을 쌓아올리고 있음을 알렸다. 2017년 8월에 열린 Japan Cup 2017에서는 벨로렌과 함께 공동 9위로 마감하여 TOP 8 진출을 앞두고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하지만 이후 홍콩에서 열린 프리미어 대회 Esports Festival Hong Kong 2017에서는 조별 풀 Winners Semi-Final에서 아랍에미리트 출신의 켄 유저인 빅 버드에게 일격을 당하면서 패자조로 떨어지고, 이후 카즈노코에게 패배해서 패자조로 간 XYZZY와 둘 중 하나는 탈락할 수 밖에 없는 한국인 대결에서 승리를 거두었지만 승자조에서 붙었던 빅 버드가 패자조로 내려오면서 Losers Final에서 다시 만났으나 빅 버드에게 다시 한번 허무하게 패배하여 17위로 마감하였다.
2017년 8월 31일 개인 방송을 통해 9월에는 Celtic Throwdown 2017, 마닐라컵 2017, OzHadou Nationals 15, FV CUP 2017 순으로 연속으로 대회에 참전하는 강행군을 치를 예정이라고 밝혔다. 230점이라는 위험한 성적 때문에 이와 같은 강행군을 결정한 듯 하다. 9월 2~3일 아일랜드에서 개최된 Celtic Throwdown 2017은 7위로 마감했으며, 이벤트전으로 진행된 2vs2 팀전에서는 준우승하였다.
이후 2017년 9월 9~10일에 진행된 마닐라컵 2017에서는 승자조로 TOP 8에 진출했으나, 가치쿤에게 패배하여 패자조로 내려갔다. 벨로렌이 패자조로 올라오게 되어 한국인 내전이 결정되었으며, 이 경기에서 벨로렌을 3:0으로 이기면서 TOP 4로 진출하였다. 여기서부터 라시드 4연전[10]을 치르게 되는데, 3명의 라시드 유저에게 모두 승리하면서 캡콤 프로투어 2017 대회의 첫 우승이자 동시에 EVO 2016 이후 오랜만에 캡콤 프로투어 우승을 차지했다. 이로서 글로벌 포인트 160점을 획득, 400점을 얻어 캡콤컵 2017 진출 가능성에 대해 작은 발판을 마련하나 싶었지만...
OzHadou Nationals 15에서는 TOP 32까지 무난하게 진출했으나 호주의 마이크 바이슨 유저인 Somniac에게 패배하여 패자조로 내려가고 MOV, 가치쿤, 고이치에게 승리하면서 계속해서 통과하였으나 TOP 4에서 마고에게 3:2로 패배하면서 4위로 마감했다.
이후 말레이시아에서 열렸던 FV Cup 2017에서 전체적으로 무난한 대진 속에서 무패로 순항을 했지만 홍콩의 바이슨 유저인 tse4444에게 패하고 패자조로 내려갔으며 바로 패자조에서 버디 유저인 다이코쿠에게 패하면서 마닐라컵 2017과 OzHadou Nationals 15에 비하면 허무하게 탈락을 해버려, 누적 글로벌 포인트 445점으로 다시 캡콤컵 진출 가능성이 멀어지면서 남은 프리미어 대회에 전부 참가해야 하는 상황에 몰렸다.
2017년 10월 중국 청두에서 열렸던 CPT 2017 프리미어 대회 Dueling Dragons Dojo 2017에서는 조별 풀예선에서 자신의 천적이었던 마고에게 드디어 승리를 거두었지만 한때 같은 레이저 동료이자 EVO 2016 그랜드 파이널 상대였던 후도의 경이로운 플레이를 넘어서지 못하였다. 결국 패자조 결승에서 마고와 다시 한번 붙게 되었고 처음에는 유리한 고지를 밟았지만 이내 마고가 역전승을 거두면서 다시 한 번 마고의 벽을 넘지 못하고 풀탈락이라는 불명예를 거두게 된다.
이후 대만에서 열린 TWFighter Major 2017 조별 풀예선에서는 에뮤에뮤라는 이름이 잘 알려지지 않은 장기에프 유저에게 패하고 말았다. 패자조 결승에서는 모모치를 만나게 되었는데 스파4 시절부터 자신의 천적으로 유명했던 모모치에게 패하면서 이번에도 풀탈락으로 대회를 마감하였다. 이로서 중요한 프리미어 대회 2연속으로 풀탈락을 하였으며, 캐나다 컵은 개인 사정으로 참가할 수 없게 되면서 글로벌 포인트 470점, 최종 순위 44위로 마감, 팬덤 내에서도 무리로 여겨지던 캡콤컵 진출이 끝내 좌절되고 말았다.
이런 상황에서 잠입이 캡콤컵 2017에 진출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는 2017년 12월 캡콤컵 2017 직전에 열리는 '''"Last Chance Qualifier"'''뿐이다.(##) 프리미어/랭킹 이벤트 종료와 함께 포인트 부족으로 캡콤컵 진출이 좌절된 선수들을 위한 마지막 기회이기 때문에 잠입 입장에서는 매우 중요한 대회인 셈. 캐나다 컵 불참 공지와 함께 언급했었지만 당시에는 참가 여부가 확실치 않았으나, 이후 참가 등록이 시작되면서 라스트 찬스에 참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네모, MOV, 샤오하이 등 LCQ에서 기회를 잡으려는 게이머들 사이에서 무조건 "우승"해야 캡콤컵 2017에 진출할 수 있기에 쉽지 않은 여정을 펼쳐야하며, 진출권을 얻게 되더라도 본선 첫 경기 상대가 시즌 2에서 무서운 기세를 보인 펑크라 어느 쪽이든 쉽지 않은 상황.
2017년 11월 1일 트위터를 통해 일본의 E스포츠 팀인 TEAM GRAPTH 소속이 되었음을 밝혔다.##
2017년 12월 8일 열리는 LCQ를 앞두고 메나트를 연습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리만으로 대처할 수 없는 상대를 위해 메나트를 병행한 것으로 보이며, 모두의 염려와는 다르게 캡콤컵 바로 직전에 열린 WNF에서 펑크, 이타바시 장기에프 등을 상대로도 메나트로 우승을 차지하면서 선전하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LCQ에서 승자조로 TOP8까지 진출하지만 네모에게 패배하여 패자조로 내려가고, ACQUACQUA, Brian_F 등을 꺾고 그랜드 파이널에서 네모를 상대로 브라켓 리셋가지 성공시켰지만 끝내 네모에게 패배하면서 캡콤컵 진출에 최종 실패했다.
2017년 내내 주리를 다루는 동안 초라한 성적을 내면서 비판을 받는 와중에도 각종 대회에서 주리를 고집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물론 잠입 본인이 주리라는 캐릭터에 관심이 있고 주리로 우승해보고 싶다는 소망이 있기에 계속해서 주리를 다루는 것이고, 캐릭터에 대해 많은 것을 알고 있다고 할 수 있지만, 애초에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CPT 대회에서 캐릭터를 1명만 선택하라는 규정은 없기 때문에 부진 속에서 주리 외의 대체 캐릭터를 찾아 2캐릭터 체제로 운영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리를 고집했고, 결국 마닐라컵 2017 우승과 OzHadou Nationals 15에서 4위를 했던 9월을 제외하곤 아무런 소득을 보지 못했다.
중간에 다뤘던 카린은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줬고, 내쉬는 그나마 시즌 1때 다뤘기 때문에 나은 편이였지만 분위기를 반전시키지 못했다. 뒤늦게 선전한 메나트의 경우도 시즌 마무리 단계인 12월이 돼서야 다루기 시작했는데 충분히 연습을 해뒀는지 캡콤컵 2017 LCQ에서 준우승이라는 성적을 냈지만 결국 캡콤컵 2017 본선 진출은 실패했다.
'''결과적으로 잠입에게 있어서 2017년은 최악의 한 해라고 정리할 수 있다.''' 팬덤은 물론 잠입 본인에게도 어떠한 의미로든간에 자극이 될 것이다.

4.2.3. 시즌 3


2018년 1월 17일 시즌 3가 시작되면서 트레이닝 모드를 통해 캐릭터의 변경점을 살펴보고 랭크 매치를 통해 주 캐릭터 연습을 실시했다. 이 과정에서 메인 캐릭터를 주리에서 메나트로 교체했으며, 주리는 서브로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로 메나트로 상대하기 어려운 캐릭터들을 상대할 때 주리를 사용하며, 특히 라시드전에서는 주리를 사용하고 있다. 시즌 3 추가 캐릭터 중에는 팔케코디를 기대하고 있으며, 블랑카는 관심이 없다고 한다. 다만 캐릭터 연구를 위해 출시 당일 블랑카를 다루긴 했으며, 인형옷 코스튬에 대해서는 다수의 플레이어들과 마찬가지로 관심을 가졌다. 팔케는 주캐로 다루다 몇번 건드리고 '답이 없다'고 평가햇고, 블랑카는 최약체라고 평가를 내렷다. [티어표에서는 아비게일은 너무 흉악해서 '''티어표에서도 SS급을 꺽는 최상위권 강캐라고 평가를 내렸다.'''
2018년 1월 26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EVO Japan 2018에서 다이고쿠(버디), 유카돈(이부키), 후도(미카), 이타장(아비게일) 등 쟁쟁한 고수들을 꺾고 TOP8에 승자조로 진출했다. 결선에서 휴먼봄(춘리)를 꺽고 승자조 결승에서 존 타케우치(라시드)를 상대하지만 3:1로 잡히며 패자조 결승에 떨어졌다. 그러나 패자조 결승 상대인 우메하라를 3:0으로 잡고 그랜드 파이널에 진출하더니, 존 타케우치를 3:1 스코어로 2번 잡으면서 우승을 차지했다.
2018년 2월 7일 트위터를 통해 Team GRAPHT 와의 계약이 만료되었다고 밝혔다.
2018년 3월 16일 개최된 2018년 첫 번째 캡콤 프로투어 대회인 FINAL ROUND 2018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고이치(춘리,메나트), 네온(콜린) 등의 선수들을 꺾고 빠르게 TOP 8에 승자조로 진출하였으며, 고이치 선수와의 메나트 미러전에서 세계 최강의 메나트임을 증명한 것은 덤. TOP 8에서 가치쿤의 라시드전에서는 마닐라컵 2017과 EVO JAPAN 2018때와 마찬가지로 주리를 선택, 3-1의 스코어로 TOP 4에 진출하였다. 승자조 결승에서 토키도(고우키)와 한 세트씩 차례대로 주고 받는 접전 끝에 3-2로 결승에 진출하였으며 그랜드 파이널에서 만난 상대는 패자조에서 다시 올라온 토키도. 그랜드 파이널에서 토키도에게 세트 스코어 2-3으로 패배하여 브라켓 리셋을 허용하였으나, 이후 세트 스코어 1-1 상황에서 연달아 2세트를 따내며 우승을 차지하였다.[11] 여담으로 TOP 8 시작전에 몬스터 유니폼을 탈의하고 판다 글로벌 유니폼을 보여주는 퍼포먼스를 펼치면서 PG에 입단했음을 밝혔다. 한편 이 대회에 우승함으로서 순식간에 CPT 2018 글로벌 포인트 700점을 확보[12]하게 되어 랭킹 대회인 Thaiger Uppercut 2018에는 참전하지 않을 것이라고 개인 트위터를 통해 언급했다.
2주 뒤 열린 NCR 2018에서도 순조로운 모습을 보였으나 TOP 8 승자조 진출을 앞두고 캐미 화이트를 꺼낸 너클두에게 패배하여 패자조로 내려갔다. 이후 모모치, 저스틴 웡(메나트)[13], 벨로렌을 꺾고 올라왔지만 다이고가일에게 3:0으로 패배하면서 최종 4위로 마감, CPT 포인트 160점을 확보했다.
2018년 4월 14일 개최된 한국 랭킹대회 파이터즈 스피릿 2018은 일본 고수 유저들이 대거 참가해 사실상 프리미어 대회 수준의 경기들이 펼쳐졌고 잠입은 풀 승자 결승까지는 순조로웠으나 한국 선수 정질에게 일격을 맞으며 패자조로 16강에 올라가게 됐다. 이후 마고에게 이겼으나 패자조로 내려온 토키도에게 지면서 공동 9위로 마감하였다.
2018년 5월 12일 제3회 Nori Tournament First Blood에 참가했다. 대회전 벨로렌이 경기 진행 및 중계진으로 빠지면서 사실상 잠입과 정질을 위한 대회가 아니냐는 예상이 지배적이었고, 역시나 무난하게 두 선수가 승자 결승에서 만나게 되었다. 승자 결승에서 주리로 분전했으나 1:3으로 패했고 패자 결승에서 SandBag을 이겨 다시 그랜드파이널에서 정질과 맞붙게 되었다. 전경기에 사용한 주리 대신 메나트를 꺼내 두세트를 먼저 따내며 브라켓 리셋을 하나 싶었으나 내리 세세트를 내주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트위터에 캐미에 대항할 캐릭터를 투표로 올리는등 매치업 연구에 열심인 상황이다.
2018년 5월 18일 프랑스에서 열린 프리미어 대회 Stunfest 2018에서는 Smug, 오일킹, 다이고 전의 경우 매우 위험했지만 승리를 따내면서 그랜드 파이널까지 승자조로 올라가는데 성공했지만, 패자조에서 올라온 후지무라에게 3:0으로 연달아 2연패함으로서 준우승으로 대회를 마감했다.
스턴페스트 2018에서 돌아오자마자 바로 미국 시카고 인근 도시에서 열리는 Combo Breaker 2018에 참가하기 위해 출국했다. 승자 24강까지 무난하게 올라왔지만 시안의 이부키에 패배하여 패자조에 떨어졌다. 그러나 패자조에 떨어진 뒤 가히 지옥 수준의 풀을 뚫어냈는데 토키도, 오일킹, 본짱, 네모를 연달아 격파하면서 극강의 포스를 보여줬다. 하지만 루저스 파이널에서 다시 한번 시안을 상대로 2:0까지 리드하였으나, 시안의 각성으로 승승패패패를 당하여 아쉽게 3위로 대회를 마무리했다.[14]
프리미어 대회였던 스턴페스트 2018, 콤보 브레이커 2018 두 대회 모두 이부키에 의해 쓴잔을 들이켜야 했기에 팬들 사이에서 이부키가 잠입의 인간 상성이 아닌가 하는 말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정답은 그냥 이부키가 강하다(...) 일 것이고, 정작 잠입은 이부키 전에 대해 메나트로 할 만 하다고 여기고 있는 듯하다. #
작년에 이어 E-League에 참여하게 되어 D조에 배정되었다. D조 예선 리그전에서 idom, Fchamp에게는 승리하였지만 다이고, 후지무라, 하이타니에게 연거푸 패배하여 D조 본선 더블 일리미네이션에 간신히 승자조로 배정받았으나 조 본선에서 다시 우메하라에게 패배하여 패자조로 내려가고, 패자조 결승에서 후지무라에게 패배하여 플레이오프(TOP 8) 진출에 실패했다.[15]
CEO 2018에서는 승자조 16강에서 사코에게 주리를 꺼내들었지만 패배하여 패자조로 내려갔다. 패자조에서 메나트로 북미의 캐미 유저 CJ Truth를 꺾고 패자조 8강에 안착했다. 이 경기에서는 보기 드문 메나트 V트리거 2를 사용했다. 패자조로 8강에 진출하면서 벨로렌을 만나 한국인 내전이 성사됐다.
느끼한 발 비너스 퍼포먼스를 보여 주면서 경기장에 입장한 잠입은 의외의 픽을 꺼내 들었는데 춘리였다. 최근 캐미이부키 대책으로 연구하고 있다고 자주 언급했지만 패자조 8강이라는 무대에서 실험적인 픽을 했다는 것이 의외라는 반응이 컸다. 특히 바로 전 경기에서 CJ Truth의 캐미를 메나트 트리거 2라는 전법으로 상대하는 것을 보여주었기에 많은 사람들이 메나트로 벨로렌의 캐미를 상대할 것으로 예측하기도 했다.
춘리를 꺼낸 잠입은 캐미의 공세와 구석 심리로 연달아 두 세트를 내주게 되었다. 그러나 잠입은 마지막까지 캐릭터를 변경하지 않았고, 연이은 3세트를 춘리로 연속으로 승리하여 기적적인 매치 승리를 가져갔다. 그러나 벨로렌과의 사투에 모든 힘을 쏟아낸 잠입은 이어지는 패자조 세미 파이널에서 페넘의 네칼리에게 거짓말처럼 0:3 패배를 당하고 5위로 마무리했다.
여담으로 캡콤이 선정한 CEO 2018 TOP 5 MOMENTS에서 5위 공개 전에 선수들의 입장씬을 간략하게 보여줬는데, 잠입의 발 비너스 입장씬만은 예외로 선수들의 활약을 제치고 1위로 선정되었다(...)
이번 시즌에서 7월 초까지의 프리미어 대회에서 1-2-3-4-5위를 전부 경험하고 있다.
영국에서 열린 VSFighting 2018에서도 메나트 V 트리거 2를 사용했다. 32강에서 사코를 만나 이번에는 주리를 꺼내지 않고 메나트 동캐전으로 붙었으나 2:1로 패배하였다. 이후 패자조에서 저스틴 웡을 만나 또 다시 메나트 동캐전이 진행됐는데 여기서도 2:1로 패배하여 9위로 마감, 이번 시즌 처음으로 프리미어 대회 TOP 8 진출에 실패했다.
EVO 2018에서는 64강까지 승자조로 진출했으나 64강 첫경기에서 영국의 허리케인(캐미)에게 패하며 패자조로 떨어졌고 패자조에서 미국의 모조(미카)에게 패하며 33위로 마무리 지었다. EVO 2018 마무리 후 Twin Galaxies에서 개최한 이벤트 Fight Club에 초청되어 토키도와 5선을 가졌는데 5:2로 패했다.
EVO 2018 이후 한동안은 대회에 참가하지 않고 개인 연습을 하겠다고 선언했다. 대회 전에 개인 방송을 통해 스파 외적인 부분도 포함되있긴 하지만 EVO 전후로 여러 행사에 참여하게 되어 스케줄을 새로 짜겠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8월 CPT 대회는 전부 불참하며 다음에 참가할 대회를 결정하기 전까지는 개인 연습기간을 가질 예정이다.
전체적으로 커리어에 비해 매우 부진했던 작년의 슬럼프를 극복하고, 화려한 재기에 성공했다는 평이다. 본인 또한 자신감을 얻게 된 것 같으며, 초반에 포인트를 많이 모아 캡콤컵 진출권을 미리 확보해 자신의 주캐릭터에 불리한 상성들을 연구하고 있는 것 같다. E리그와 CEO 2018에서 보여준 춘리가 좋은 예.
하지만 2018년 9월 TGS 2018을 앞두고 '''후술할 가정폭력 일화'''로 인해 불참하게 되었다. 사건 공론화 전인 2018년 9월 12일에 Red Bull Kumite 2018에 초청되었으나 이 역시 가정폭력 사건의 영향으로 초청이 취소되었으며 그 자리에는 AngryBird[16]가 대신 들어가게 되었다.##
위 사건에 대해 2018년 11월 16일 입장 발표와 함께 2019년까지 모든 캡콤 프로 투어 활동(시즌 4)에 불참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판다 글로벌과의 계약도 해지됐다. 이에 따라 캡콤컵 2018에도 불참하며, 캡콤컵 참가 자격이 글로벌 포인트였기 때문에 잠입의 빈 자리는 Red Bull Conquest 오픈 토너먼트 종료 후 최종 글로벌 포인트 랭킹으로 결정된다.
2018년 12월 8일 몬스터 에너지와의 계약이 종료됐다.
2018년 12월 10일 개인 방송을 통해 가정폭력 일화에 대해 기록들을 공개하면서 해명 방송을 진행하고 동시에 PG 입장 발표 때 언급했던 "2019년 CPT 대회에 참가하지 않겠다"는 점을 재차 언급했다.

4.2.4. 시즌 4


상술한 사건으로 인해 2019년 캡콤 프로투어에는 참가하지 않고 개인적인 휴식기를 보내는 중인데, 간간히 트위치 방송도 하면서 자신의 근황을 알리고 있고 스파5에서도 다양한 캐릭터를 연마하여 자신의 폼을 유지하고 있는 중.
이후 신림 애니노리에서 열린 스파왕리그라는 대회에 참가하여 전승으로 우승했다.

4.2.5. 시즌 5


작년 막바지에 열렸던 레드불 쿠미테 LCQ에서 준우승을 하면서 화려하게 복귀. 앞으로의 활약이 기대되었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정상적인 대회들이 불가능해지면서 그의 커리어에 또 암운이 드리워졌다. 결국 2020년 CPT는 온라인으로 진행하게 되었는데 온라인 특성상 정상적인 플레이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결국 참가하지 않았다. 국내에서 열렸던 온라인 대회들도 마찬가지인 이유로 거의 참가하지 않았는데 가끔 오프라인으로 진행한 대회들은 참가하여 우승하는 등 건재한 실력을 보여줬다. 또 프로게이머로서 활약하는 것만이 아닌 아프리카TV에서 활동하며 많은 대회를 열어주어 국내 스파계에 활력을 넣어주었다.

4.3. SAMURAI SHODOWN


2019년에 들어서 1년간 캡콤 프로 투어 활동을 휴식기를 맞이하게 되면서 그랑블루 판타지 Versus, 사무라이 스피리츠 등 여러 격투게임을 만져보고 있고 사쇼 체험판을 하면서 같은 날 나온 그랑격겜 베타와 너무 차이가 난다며 사쇼를 열혈히 까기에 바빴다.
2019년 6월 27일 정식 발매 후 게임을 한 결과 최악이였다고 평했다. 하지만 다음 날부터 온라인을 즐기면서 싱글컨텐츠는 별로이지만 PvP는 재밌다 라는 식으로 평을 바꿨고 겐쥬로를 주캐로 삼았다.[17]
2019년 6월 30일 서울 프릭업 스튜디오에서 열린 '사무라이 쇼다운 아프리카TV 파이트 매치'에 참가. 결승전에서 풍림꼬마 선수를 잡고 우승을 차지했다.
2019년 8월 초 개최된 EVO 2019에 참가. Top 32 까지 승자조로 진출했으나 8강 진출전에서 미국의 레이널드[18]에게 패하며 패자조로 떨어졌으나 미국의 레이머 보이를 잡고 패자조로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대만의 ZJZ[19]의 샤롤로트와 치열한 승부 끝에 명장면을 만들어 내며 2:1로 승리, 대만의 RB를 2:0으로 승리, 자신을 패자조로 떨어뜨린 레이널드를 2:0으로 승리, 미국의 저스틴웡의 탐탐을 상대로 3:1로 이기면서 최종 결승에 진출, 일본의 카즈노코[20]의 하오마루를 3:0으로 이기며 브라켓 리셋을 했고 그대로 기세를 이어서 3:1로 이기며 EVO 2019 사무라이 스피리츠 부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21]
2019년 11월 9일에 열린 한국에서 열린 SNK 월드챔피언쉽 한국 대표 선발전에서는 압도적인 모여줬으나 위너 파이널에서 쿠루에게 패하며 패자조로 떨어졌고 루저파이널을 3:0으로 이기며 그랜드파이널로 진출했으나 쿠루에게 3:0으로 패하며 아쉽게 2위로 마무리 지었다.
2019년 12월 초에 열린 중국 SWC 사쇼 선발전 토너먼트에서 샤오하이를 잡고 우승을 차지하며 SWC finals 진출권을 확보하였다.
에보 재팬 2020 사쇼 부분에 참가. 세미파이널까지 진출했으나 8강 진출전 승자조, 패자조 둘다 패하며 아쉽게 9위로 마무리 지었다.
2020년 3월 27일 오후9시 중대 발표를 통해 Afreeca Freecs의 스폰서를 받게 되었다고 들었고, 동시에 방송도 아프리카 TV 독점으로 바뀌게 되었다.

4.4. 그랑블루 판타지 Versus


견제형 캐릭터인 메테라를 주력으로 사용한다.
1티어 캐릭터들인 페리, 그랑, 카타리나 등을 때려잡는 건 물론이고, 극상성으로 뭘 해도 진다는 랜슬롯마저 실력으로 잡아내며 크고 작은 대회를 휩쓸고 있다.
2020년 6월 12일에 메테라로 마스터 랭크를 달성하였다.
무적기가 없는 메테라의 태생적 한계때문에 이래저래 고생하는 중. 그래서 부캐릭으로 칼리오스트로를 파기 시작했다. 이외에는 조이, 유엘을 가끔 플레이한다.

5. 플레이 스타일


"저는 뒤로 빠지면서 공격하는 스타일을 선호해요. 상대를 압박하는 건 멋있지만, 고수들 영역에서는 잘 깨져요. 방어를 잘하면 상대방이 질려요. '이 선수는 건드릴 수 없구나, 잡을 수 없다'라는 느낌을 주는 걸 좋아해요." - 인벤 인터뷰 중에서.

스트리트 파이터 4 시절에는 무지막지하게 넒은 캐릭터 폭과 그를 뒷받침하는 기본기, 완성도를 갖추고 있었던 멀티 플레이어. 다양한 캐릭터들을 능숙하게 다룰 수 있어 상대 캐릭터를 보고 상성에 맞는 캐릭터를 골라 완승해버리는 일도 태연하게 저지르곤 했다. 스파4에서는 세컨드 캐릭터 하나 파기가 꽤 힘들어서 캐릭터 하나만 보고 하거나 많아도 3 캐릭터 정도가 한계인데 잠입은 5캐릭터 이상을 한 대회에서 골라가며 쓰기도 했다.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2015년 퍼스트 어택 대회 스네이크 아이즈와 대회 결승에서 만나 휴고를 태연히 꺼내들어 우승해서 해설과 관중들을 경악시키기도 했다.
그런데 스트리트 파이터 5로 넘어와서는 상당히 캐릭터와 플레이 스타일을 고르기 시작했다. 스파5에서 잠입의 주 캐릭터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은 시즌 1의 내쉬, 시즌 2, 3의 한주리, 시즌 3의 메나트. 그랑블루 판타지 Versus에서 와이프로 밀고 있는 메테라 등 이들의 공통점은 공간 장악과 거리 재기에 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무엇보다 히트 앤 런 식 운영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위의 인터뷰에서 보듯이 단순 러시형 캐릭터나 니가와 캐릭터가 아닌 자신이 원할 때 공격하고 다시 유리해질 때까지 필드 싸움을 이끌어 나가면서 도망칠 수 있는 캐릭터와 스타일을 추구하는 듯하다.
피지컬 면에서는 더 언급할 필요도 없는 선수. 스파 4 시절에도 스파 4의 막장 커맨드는 물론이고 저스트 프레임을 요구하는 강제연결 콤보를 큰 미스 없이 해내왔으며 스파 5에 와서도 가장 높은 피지컬이 요구되는 캐릭터 중 하나로 알려진 메나트를 능수능란하게 다룬다.
게임 외적으로는 게임 시스템과 캐릭터를 분석, 연구하는 데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플레이어로, 덕분에 게임의 이해력이 상당히 높다. 스파 4에서 상대 캐릭터의 상성에 맞춰 다양한 캐릭터를 익숙하게 플레이하거나, 스파 5 시즌 1에서 스파 5의 시스템에 빠르게 적응해 좋은 성과를 내었던 것이 좋은 예. 실제로 트위치 채널을 보면 방송 시간의 대부분을 트레이닝 모드를 통해 캐릭터 깎는 데 쓰는 모습을 보여준다.
격투게임계에서는 유래없는 연습 스타일을 보여주는데, 일본이나 북미, 유럽, 남미에서는 프로든 아마추어든 게이머들끼리 한 데 모여서 정보를 나누며 연구하는 편이며 잠입 자신도 그런 모습이 부럽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국내에선 최정상급 스파 유저가 거의 없다는 점을 감안하긴 해야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들과 교류하는 대신 혼자 연습 및 연구를 해 오면서 남들은 듣도보도 못한 패턴이나 심리전을 보여주는데, 토키도가 자서전에서 '자기보다 연구를 잘 하는 게이머는 잠입이 유일했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 혼자 연습하면서도 랭킹 매치를 돌리는 걸 별로 좋아하는 편이 아니라고 한다. 요즘엔 트레이닝 모드가 아무리 잘 만들어졌다고는 하나 트레이닝 모드에서 연습하는 것과 실전 플레이의 감각이 천지차이로 다른데도, 멘탈 트레이닝에 한 치의 오차도 없는 것이 놀라울 뿐이다.

6. 사건사고



6.1. 2009년 온게임넷 투혼 한일대항전 선수선발 논란


[image]
http://bbs.ruliweb.com/psp/game/136/read/3733325
2009년 온게임넷 투혼 4강 진출자 네명을 한일대항전에 출전할 선수로 선발했는데 3위를 수상한 M.리자드가 갑자기 일본 선수들의 지명으로 16강에서 탈락한 잠입과 교체 된다는 일방적인 통보를 받게 되었다.
그러나 이후 일본 선수들의 지명은 거짓말이며 심지어 일본 선수들은 잠입이 누군지도 몰랐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사실을 알게 된 M.리자드는 루리웹에 한탄 글을 올렸지만 잠입은 "아 네."라며 비꼬는 댓글을 올리면서 이런 식으로 본인을 저격하는게 기분 나쁘다는 적반하장의 입장을 보여 논란이 되었다.

6.2. 2017년 전처 가정폭력이혼 의혹


잠입은 2017년 초 결혼 발표를 알렸으며 2017년 6월 3일 결혼하여 유부남이 되었으나, 불과 6달 정도 지난 연말에 그의 친구 Xian의 스트림을 통해 잠입의 이혼 사실이 알려졌다.#. 이에 대해 잠입 본인은 SNS 및 개인 스트림을 포함 결혼 생활 관련에 대한 언급을 일절 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이혼했다는 레딧의 글은 루머일 것이라는 추측도 있었지만, 2017년 11월 쯤을 기점으로 그가 개인방송을 하는 장소가 신혼집이 아닌 다른 집이였으며 방의 구조도 달랐던 점, 그리고 앞서 언급한 결혼 생활에 대한 언급이 없었던 점 때문에 이혼했다는 것이 사실일 것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이 후 전처측과 잠입측 모두 별도의 언급이 없었던 점 때문에 커뮤니티에서도 이혼은 했지만 어떤 사안인지는 모른 채 시간이 흘러갔다. 디씨인사이드 격투게임 갤러리에선 소장을 찍은 글이 올라왔었으나 소장에 있는 본명을 지운데다 직업이 프로게이머란 점[22], 글을 올렸다가 지운 점 등으로 '여자를 때렸다' 까지는 이야기가 나왔어도 어떤 명확한 증거를 논할 수 없었다. 한편으론 격갤은 과거 EVO 2016 전에 있었던 Road To EVO에서 불거진 잠입의 인성논란[23]과 이후 잠입의 성적이 나빴던 2017년에 들어 일방적인 비난글이 쏟아져 나왔었던 상황이 되면서 잠입 비난의 중심지가 되었고, 이 외에도 여러 선수나 스트리머에 대한 비난글로 점점 이미지가 나빠지며 여러 스트리밍에서 격갤을 비난하는 기류도 있었기 때문에 스트리밍에서 이들에 대한 입장은 '그 갤러리에서 온 벌레' 수준으로 대우하고 있던 상황이었다.
그러던 중 2018년 9월 19일 새벽경, 레딧을 통해 잠입이 1년 전 가정폭력을 했고 이로 인해 이혼당했다는 폭로글이 올라왔다. 글쓴이의 말에 따르면 전처의 목을 죽기 직전까지 졸랐으나, 다행히 이웃의 신고로 경찰이 현장 체포를 하여 접근 금지 처분을 받았다고 한다.(사건 번호 17년 형제 62460호)
이후 접근 금지령 시효가 끝난 후에 다시 찾아가 또 다시 폭행하였다고 한다. 전처는 첫 번째 폭행 이후 집에 녹음기를 설치해놔서 증거를 확보할 수 있었고, 얼마 전에 승소하여(18년 형제 10532호) 이 글을 올릴 수 있게 됐다고.번역문 해당 번역문엔 이 건 외에도 과거 레이저 소속 당시 밝혀지지 않은 사기행위도 있었음을 밝히고 있으며, 잠입이 TGS 2018에 나가는 이유도 2심에 직접 나가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란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TGS 2018 참가에 대한 입장에 대해선 의견이 분분한데, 잠입은 이미 캡콤컵 2018 진출에 필요한 CPT 글로벌 포인트를 확정 수준으로 쌓아둬서 2018년의 남은 대회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의도적인 회피를 했단 입장과 잠입 본인이 EVO 2018 전후로 하여 TGS 2018까지 폐관수련을 하겠단 입장 발표가 있었기에 TGS 2018 참가 시기와 우연히 겹쳐졌단 입장이 있기 때문. 번역문에선 잠입이 없어도 변호사가 재판을 진행할 수 있어서 재판 자체의 회피가 아닌 본인이 직접 참석하는 것을 피하려는 것이란 의견을 냈다.
'''녹취록'''[24] 및 조회한다면 바로 진위가 밝혀질 '''사건 번호'''가 글에 모두 제시되어있고, 전처의 승소 암시 트윗(현재 해당 트윗은 삭제된 상태지만 이 링크에서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마저 존재하는데다가, 폭로 시기마저 절묘해 사실일 가능성이 매우 높아 폭로를 보고 전세계 격투 게임 커뮤니티(FGC)는 당혹을 금치 못하고 있다.
당초에는 녹취록 스크립트를 보고 한국어를 어떻게 읽고 이게 진위를 어떻게 가리냐는 의견이 다수였지만 한국어 능력자의 번역을 보고 나서는 어째서 싸이코 연쇄 살인마처럼 저런 말을 했냐는 등, 평소 유쾌한 모습과는 전혀 다른 모습에 충격이라는 반응이 대다수. 전세계 격투 게임 커뮤니티에서 주시하는 레딧이라 일본에도 급속도로 퍼졌는데, 우메스레치게소쿠 등에선 인필이 저럴 줄 몰랐다, DV(가정폭력) 범죄자는 앞으론 응원할 수 없다는 의견부터 한국인답게 화를 못참는다며 혐한성 발언까지 일삼고 있다. 이 외에도 친분이 있던 다른 국내 게이머들에게도 이에 대한 발언을 요구하는 의견도 나오는 상황.
크리스 타타리안과 빅버드 등 해외 게이머들도 "기다리고 지켜보자. 하지만 그가 정말로 그랬다면..." 하는 반응. 프로 유무를 막론하고 동료 게이머들에게도 평소 유쾌한 모습을 보여주던 인필의 가정 폭력 의혹은 전혀 예상치 못한 충격인듯. 국내 여론은 말할 것도 없이 비판 여론이 형성되었다.
이 사건의 여파로 잠입의 소속팀인 Panda Global측에서는 본 사건과 관련하여 철저히 조사한 후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이후 TGS 2018 스파5 대회에 불참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본 사건이 공론화된 시기가 하필이면 추석 연휴인지라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2018년 10월 초에 PG 공식 트위터에 올라온 내용을 살펴보면 본 사건 외에 다른 사항들에 대해서도 같이 조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가 운영진으로 속해있는 배틀페이지 역시 이번 사건과 관련하여 PG측의 공식 발표가 나오는데로 처리 방안을 공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잠입 본인은 사건 공론화 후 11일 뒤인 2018년 9월 30일 변호사와의 상의 후 트위터를 통해 PG와 함께 공식 입장을 밝히겠다고 했지만 아직까지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다만 판다 글로벌측의 조사 결과가 어느 정도 그의 공식 입장을 담고 있다고 볼 순 있을 것이다.
한편 이 사건으로 인해 '''그동안 쌓아온 커리어와 미래를 모두 부정당할 수 있는 상황'''에 놓이게 됐다. DV(가정폭력, Domestic Violence)이라 함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악질 범죄로 취급'''하는데, 격투게임 E스포츠는 국내보단 해외 스폰을 받아 활동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한국보다 DV에 민감한 해외에서 스폰을 받는 일은 물건너갔다고 볼 수 있다.

6.2.1. 판다 글로벌 및 캡콤 프로 투어측의 입장 발표


2018년 11월 16일 판다 글로벌과 캡콤 프로 투어측에서 잠입 본인의 정보 제공하에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번역 및 요약본
2017년 10월 22일 잠입과 전처는 말싸움을 했으며, 갈등의 원인은 잠입이 이혼을 원해서였다. 이 때의 내용이 유출되었던 문제의 녹취록이지만, 해당 녹취록은 증거로 채택되지는 못했다고 한다. 말싸움의 끝에 경찰이 도착했고, 변호사가 없는 상황에 법적 분쟁을 피하기 위해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게 좋다는 경찰의 말에 따라 잠입은 경찰에 체포되었다. 전처의 의료기록에는 멍과 손목부상에 대한 기록이 있었으며, 잠입은 전처에게 임시 접근 금지 비슷한 처분을 받게 된다.
이어서 2017년 11월 3일 잠입은 개인의 소지품을을 수거하러 주택에 갈 것이라 전처에게 전했다. 전처는 이혼을 포기할 생각이 없으면 문을 안 열어줄 것이라 응했고, 비밀번호는 이미 변경되어 잠입은 주택에 들어갈 수 없는 상태였다. 잠입은 경찰과 상의하여 열쇠업자를 부르겠다고 통보했지만, 전처는 비밀번호를 알려줄 법적의무가 없음을 변호사를 통해 알렸다. 다음날 잠입은 열쇠업자를 불러 도어락을 파손한 뒤 개인 소지품들을 가지고 돌아왔다.
2017년 11월 9일 잠입은 주택 계약금 약 1.1억원에 대한 재산 소송을 걸었고, 11월 13일 전처가 잠입을 폭행 혐의로 고소해 70만원 벌금을 지불하게 된다. 이외의 추가적인 처벌이나 소송은 없으며, 2300만원 정도의 벌금을 부과받아 이를 납부하지 않고 있다는 것은 루머. 10월 27일부터 11월 30일까지 전처는 잠입에게 이혼을 원하지 않으며, 건강이 걱정된다는 문자를 보내며 지속적으로 연락을 시도했으나 잠입은 이에 응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2018년 2월 19일 잠입이 주택 계약금 소송에서 승소해 전처는 1.1억원을 갚으라는 법원 명령을 받았고, 전처는 이 판결에 항소했다.[25] 9일 후인 2월 28일 전처는 앞서 잠입이 개인 소지품을 가지러 왔던 과정에서 도어락을 파손한 것에 대해 신고했고, 이것이 재산 피해로 인정되어 잠입은 약 34만원의 금액을 지불했다. 9월에 전처는 의료 기록과 녹취록을 법원에 제출했고, 재산 소송에 대한 전처의 항소는 아직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
레이저 스폰을 받던 중 사기를 저질렀다는 혐의에 대해서는 레이저와 함께 일했던 컨설턴트 측이 공개 성명서를 통해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결국 전처가 부상을 입었다고 주장하는 부분은 멍과 손목 부상이고, 폭력건에 대해 잠입이 받은 처벌은 70만원 벌금이 전부다. 판다 오피셜측이 조사한 결과 전처의 목을 죽기 직전까지 졸랐다거나 접근 금지 시효가 끝난 뒤 찾아와 폭행을 했다는 레딧의 폭로글은 다분히 악의적인 의도로 과장된 것일 거라고 입장을 밝혔다.
PG측에서는 전처의 손목 부상과 몸 곳곳의 멍으로 인해 70만원의 벌금형을 받은 것은 경미하다고 입장을 정리했다.
일단 PG와 잠입의 스폰서 계약은 해지되었고, 잠입 본인은 자발적으로 2018 ~ 2019년의 모든 캡콤 프로투어 이벤트에 불참할 것을 결정하여 이를 캡콤 프로 투어측에서도 수용했다.
한편 전처측은 이런 일련의 발표들에 대해 자신에게 접촉하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았다며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6.2.2. 잠입 본인의 개인 방송을 통한 입장 발표


잠입 본인이 2018년 12월 10일 오후 2시 트위터에 당일 오후 8시 트위치 개인 방송을 통해 입장 발표를 하겠다고 공지하였다. 이후 방송을 시작하며 근래에 자신과 관련된 일련의 논란에 대해 입을 열었다.
방송을 통해 그는 그간 불미스러운 사건이 사실과 다르게 알려졌음을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메일이나 메신저 내용 등의 기록들도 공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리글카톡 대화 내용
자신에 관련된 논란에 대해 입장을 밝힌 후에는 향후 계획을 발표했다. 2019년 CPT 대회(시즌 4)에는 본인의 의사에 따라 참가하지 않을 것이며 2020년에 복귀할 것이라고 한다.
이 날 해명 방송과 메신저 공개로 인하여 국내외 대부분의 여론은 잠입쪽으로 완전히 뒤집어진 상태이다.(디시인사이드 격투게임 갤러리, 배틀페이지 등) 특히 비판에 가장 선두주자였던 격투게임 갤러리 같은 경우 잠입의 전처나 지인으로 의심되는 글들을 개념글로 박제하고 비판하는 추세. 또한 EVO 트로피가 두개나 파손 된 점은 그에 대한 호불호를 떠나 격투게임 유저 대부분이 안타까워 하는 부분. 공동명의의 집에 있는 본인의 생활용품과 트로피 등을 돌려 받기위해 전처를 기다렸으나 일부만 받았다고 한다. 또한 링크의 트윗에 언급한 내용에 의하면 전처의 지인들이 본인과 잠입의 부모를 촬영했다고 밝혔다.
이 사건에 대해 리트윗이나 트윗에 대한 답글 등으로 사건 정보를 공유한 계정이 있는데 PG 입장 발표 때에도 잠입과 PG의 입장에 대해서 비판을 취하다가 2018년 12월 잠입의 해명 방송 이후 한국어로 "안 끝났어 기다려" 라는 트윗을 남긴 이후로 별 다른 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
이후 잠입은 2019년 3월 중순 개인 방송을 통해 2018년 12월 해명 방송 이후로부터의 근황을 알렸다. 앞에서 언급한 촬영 관련 이야기도 포함됐다.
현재로선 국내 커뮤니티 대부분은 잡입 옹호쪽으로 기대고 있다. 그래서 잡입 관련 어그로성 글이 있으면 '전아내', '아내분 이신가요'라는 식으로 답변한다. 다만 개인방송 해명을 다 한국어 전문으로 해서 그런지 해외쪽에선 여전히 호불호가 갈리는편.[26]
EVO 2019 이후 IGN과의 인터뷰를 통해 본 사건에 대해 상세한 전말을 밝혔다. 전체 내용이 길어서 2부로 나눠졌는데, 본 사건과 관련된 내용은 2019년 9월 8일에 올라온 2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영문 번역도 레딧에 올라왔다.[27]
2019년 10월 20일, 한국경제의 백민재 기자가 뜬금없이 전처 인터뷰 하였다고 주장한 기사를 게시했다. 전처를 인터뷰 했다는 기사. 2018년 12월 잠입의 해명방송에서 잠입은 격투게임 갤러리 유저들을 고소 하지 않을것이고, 전부 용서 했다 라고 말했지만 실제로는 전처와 격투게임 갤러리 8명을 명예훼손죄로 고소 했다고 한다.[28] 전처는 인터뷰에서 잠입의 트로피를 포함 집 안 물건들을 잠입이 다 부순거라고 주장했고 경찰이 전부 증거를 확보 했다고 주장했다.
[image]
2019년 10월 21일, 잠입은 백민재 기자의 기사에 반박하는 해당 트윗을 남기고 당당하게 스트리밍도 진행했다. 한마디로 '없는 증거로 앵무새 짓 그만하고 실질적인 증거나 들고 와라.'인데, 실제로 해당 기사들에는 전처의 입장에서만 작성 되었지 잠입의 입장은 하나도 작성 되지 않았다.
2019년 10월 24일, 백민재 기자는 잠입의 트윗과 스트리밍을 재반박하는 두번째 기사를 작성했다. 이번 기사는 전처의 인터뷰가 아닌 당시 사건을 담당한 영등포 경찰서를 취재했다고 한다. 당시 잠입은 조서를 작성하며 증거가 있는 혐의에 대해 인정했으며, 조서 작성 도중 '협박이나 강요, 부당한 대우'가 '없었습니다'라고 스스로 말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후 본인의 SNS나 IGN KOREA와의 인터뷰에서 이를 번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당시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던 조사 과정이나 판결을 부정하는 언행이며, '한국 경찰 조직과 수사관들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것이라고 기사는 주장한다. 기사 말미에는 잠입이 원한다면 그의 주장을 보도할 것이라고 했다. 2020년 4월 현재 이 기사의 후속기사는 나오지 않고 있다.

7. 기타


나이스게임TV에 게스트로 참여하여 직접 스파4 입문자들을 위한 조작과 테크닉 설명, 자신이 치렀던 경기를 복기하며 해설하였다.
  • CL의 오락실 - 인생은 잠입(Infiltration) part1[29]
  • CL의 오락실 - 인생은 잠입(Infiltration) part2[30]
  • CL의 오락실 - 인생은 잠입(Infiltration) part3[31]
[image]
2015년, 해외 격투게임 관련 사이트 '이벤트 허브'에서 선정한 울트라 스트리트 파이터 4 부문 탑 플레이어 6위에 평가되어 약 8년간플레이한 스트리트 파이터 4 시리즈에서 세계 최고급에 인지도와 인정을 받으며 스트리트 파이터 4 시리즈를 마무리했다.(기사)
[image]

몇년 전까지는 말이 별로 없고 팬들과의 소통이 거의 없었으나, 언제부터인가 커뮤니티와의 소통이 늘고 좋은 입담과 더불어 깔 때는 까는 과감함도 있어서 이미지가 많이 변하는 중. 위 같은 장난 사진도 12~13년 정도 잠입선수였다면 사람들이 누구냐고 의심할 사진.
한해동안 스트리트 파이터 4로서의 방송활동을 인정받아 데일리 닷에서 선정한 '''2015년 트위치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명으로 뽑히기도 했다.(#)
2016년 배틀페이지 부운영자로 선임되었다. 정확히는 배페내 스트리트 파이터 여론분야를 담당하게 되는것.# 다만 프로게이머라는 신분상 본인이 직접 주기적으로 관리하기 어렵다보니 다른 운영진들이 주로 관리하는 중이지만, 그걸 감안하더라도 운영진으로서 이렇다 할 활동이 너무 없었고 위의 가정폭력 일화로 인해 부운영자직을 내려놓았다.
2017년 11월 트위터와 개인 방송을 통해 유튜브 관리자를 구했다는 소식을 밝혔다. 2018년 1월부터 업로드가 시작됐으며 현재는 하이라이트 영상 위주로 올라왔지만, 2018년 9월 불미스러운 일이 터지면서 업로드도 중단됐다.
리듬 게임 DJMAX 시리즈에 관심이 있다고 한다. 지금은 트위치 개인 채널의 동영상 목록에서 사라졌지만 DJMAX RESPECT 발매일에 맞춰 국전에 가서 직접 패키지를 구매하는 야외 방송도 한 적 있다.
철권 프로게이머 JDCR과 친분이 있다. 몇몇 대회는 같은 비행기를 타고 다니기도 하며, JDCR이 스파5 방송을 할 때 간간히 나타나곤 한다.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에도 관심을 많이 보이고 있다. (#) 일단 E3 대난투 초청 경기에서 VIP로 초대되었으며, EVO 2018의 대난투 얼티밋 스페셜 매치에서도 모습을 드러냈다. 같은 Panda Global 멤버인 ESAM과 팀을 맺어서 플레이했으며 사용했던 캐릭터는 베요네타.
2019년 3월 말부터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관련 오프 모임을 계획하고 있다. 오프 모임에 대한 정보는 개인 방송과 트위터 등을 통해 공지하며 모임 당일에는 방송으로 오프 모임 현장과 게임 화면을 보여주고 있다.
다른 격투게임에도 손을 대 볼 계획이고, 특히 컨트롤러를 가리지 않기 위해, 조이스틱은 물론, 키보드, 게임패드로도 연습을 하고 있다.
2019년 6월 30일 아프리카tv에서 진행한 SAMURAI SHODOWN 대회를 우승했다. 풍림꼬마를 2연속으로 잡아내고 우승했다.
EVO 2019 참가 의사를 밝혔는데, 스파5 부문은 CPT 대회에 해당되기 때문에 참여하지 않으며, SAMURAI SHODOWN 부문에만 참가할 예정이다.
2019년 말부터 철권 7에도 손을 대기 시작했다. 본격적으로 시작한건 이듬해 7월경인데, 자피나로 2주만에 의자단, 한 달 만에 보라단에 진입하더니 무려 '''2달만에 택프를 찍는''' 미친 재능을 보여줬다.

7.1. 트위치 TV


  • 잠입의 스트리트 파이터 4 초보 가이드[32]
2014년 10월부터 국내 스파4 신규유저 강의 + 인식개편을 위해서인지 트위치 방송을 시작했다.[33]
2014년 9월 말부터 WECG 2014 다음팟 중계 방송을 틀어 루리웹 격겜 게시판에 알리더니, 며칠 후 트위치 방송 여건을 갖췄다며 10월 1일에 시험 방송을 시작했다. 이후 자주 방송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잠입선수가 관리자로 일하는 루리웹 격겜 게시판에 방송 정보가 올라온다.
WECG 2014의 우승 소식이 루리웹에 알려지고 나서 스파 4에 관심을 갖는 신규 유저 유입이 몇명 가량 늘었으며, 이 때문에 아무래도 적은 국내 신규유저들을 위한 강의를 상당부분 의식했다고 한다.
주로 신규유저들이 언제 보는게 적합할지 의견을 물어서 트위치로 매일 저녁 9시부터 방송을 시작하기로 결정하였다. 첫날은 테스트라 그냥 넘어갔으며, 둘째날은 초보자들을 위한 시스템과 조작법, 기본 테크닉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알기 쉽게''' 강의하여 매우 호평을 받았다.
원어민 수준은 아니지만 어느정도 영어와 일어를 구사할 줄 알고, 트위치 방송 자체가 외국 시청자들이 많이 보기 때문에 잠입선수 본인도 영어만 쓰게 될 우려가 있었지만, '''국내 신규유저를 위한 강의'''를 강력히 밀고 나갔기 때문에 강의를 할 때 영어는 아예 쓰지 않는 수준이라 호평을 받았다.
그래선지 외국인들이 "'''아 한국어 모르니 영어로 말해줘요 ㅡㅡ'''"라고 영어로 말하는 괴현상이 벌어지기도 했다(..) 다만 2시간 정도 강의가 끝나자 외국인들의 요청에 따라 랭킹 매치도 벌인다. 이 때 플레이할 캐릭터 의견을 가끔씩 물으며 외국선수들과의 소통과 장난치는 채팅도 눈에 띄게 늘어난다.
랭킹 매치에서는 전체적인 캐릭터를 심리전으로 운용하며 선전했다. 특히 약캐인 단의 추천이 항상 쇄도해서 몇판은 단으로 하는데, 몇판 지긴 해도 대부분 '''상대를 죄다 끔살 & 울트라 콤보 피니시'''로 끝내버렸다. 다만 아직 완전히 적응되지 않은 캐릭터들의 경우 중간중간 잔 콤보 실수가 많았다. 모든 캐릭터를 통틀어 주력 캐릭터인 고우키와 류, 이블류의 경우 역시나 콤보 발동율이 100%에 가까웠으며, 승률도 매우 높았다.
참고로, 잠입 선수가 세계구 수준의 선수라 그런지 '''외국의 세계구급 선수'''들도 가끔 와서 방문하고 떠들고 가는 방송이다.
가장 많이 사람을 모았던 때는 동시 시청자 7000명이다.

한때 인터넷 방송에서 충격적인 퍼포먼스로 외국 시청자들을 경악하게 만든적이 있다. 가발과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쇼킹한 음악과 대사들로 방송을 진행했으며 시청자들은 '잠입이 아닌것 같다', '병에 걸렸나?', 등등의 반응을 보이는 중.
당시 수줍은 모습만 보여준 잠입의 새로운 모습에 당황한 반응들도 있었지만 스파 유저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설정퍼포먼스의 일환인듯. 실제 한국의 스트리트파이터 유저 수의 현실은 처참할 지경이라 신규유저유입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여진다.
스트리트 파이터 5 초창기엔 방송을 하면서 활동범위를 넓히려 했었고 그 일환으로 아프리카 TV와 트위치 이원체제 방송을 운영하려 했지만, 스폰서 관련 활동과 선수생활에 전념하기 위해서 방송을 그만두었음을 밝혔다. 이에 있어 트위터에도 방송을 하고 싶지만 이해해주길 바래요. 같은 트윗을 올렸지만, 2017년 2월부터 방송 재개의 신호를 알렸다. 방송에서 알린 바론 스폰서 관련 활동, 이사준비 등으로 개인적인 시간이 부족했다고 한다.
타인의 방송에 초대되는 경우엔 초대된 방송에 따라서 방송의 분위기를 살리는 역할에 더 초점을 맞춰서 움직인다. 그래서 정질처럼 대전 연습이 중점으로 돌아가는 합방에선 가볍게 분위기를 띄우는 선에서 그치지만, 짬타수아와의 합방처럼 가벼운 분위기나 병맛이 가미되어 있다면 다양한 리액션이 나오는 편.
이렇게 오랫동안 이어졌던 트위치 방송은 2020년 4월 Afreeca Freecs의 스폰을 받으면서 아프리카 TV 단독 송출을 하게 됨으로써 트위치 생활을 마무리 하게 되었다.

7.2. 외부 링크



7.3. 관련 인터뷰



[1] EVO 2016 승자조 결승전에서 같은 레이저 소속인 후도에게 패배하고 패자조로 내려갔으나 기어코 다시올라와 자신을 패자조로 떨어트린 후도를 결승에서 이기고 최종 우승을 한 비결을 묻는 질문에 위에같이 답하였다. 인생은 잠입의 경이로운 상대파훼능력을 한마디로 표현하는 문장.[2] 2018년도부터 넘버링이 아닌 연도 표기 방식으로 변경.[3] 2015년 퍼스트 어택 대회 결승에서 '''휴고'''로 세계적인 장기에프 플레이어 스네이크 아이즈#s-4를 상대로 선전하자 해설자가 한 말[4] 애초에 후도도 잠입의 V트리거를 예측한듯 구석에서 후방 점프 기본기를 내밀었으나, 이미 나데시코를 가드한 뒤 가드 프레임이 지속되고 있었기 때문에 이 공격은 추가적인 입력이 없어도 가드가 된다.[5] 평소 중계진과 팬들이 사용하던 표현으로, 경기 중 열세에 처하더라도 상대방을 파악 -다운로드-한듯이 전술을 바꾸어 역전을 이뤄내는 모습을 지칭하는 것. 과거 중계진이 이 드립을 친 후 트위치 채널 등 외국 스파 유저들이 애용하는 문구로 자리잡았다. 그걸 우승한 자리에서 잠입이 직접 언급해주었으니... [6] 시즌 2 내쉬에 대해 잠입은 '팔다리가 다 잘려나갔다.'란 평을 내렸다. 일본의 내쉬 플레이어인 본짱도 '미카와 내쉬의 너프엔 캡콤의 혐오가 보일 정도다.'라고 발언해 시즌 2에서 내쉬를 프로씬에서 찾긴 힘들거라고 생각했었으나, 정작 본짱은 내쉬를 버리지 않았고 꾸준한 도전 끝에 2017년 전반기에만 내쉬로 프로투어에서 우승을 여러차례 거머쥐며 The Last Nash(...)라는 별칭을 얻었다. 허나 본짱도 EVO 2017 이후 카린을 다루기 시작하면서 내쉬와 병행하고 있다가 시즌 3에 본짱의 애정캐인 사가트가 출시되면서 자기 자신이 얘기하진 않았으나 내쉬를 버렸다.[7] 재미있는 점은 이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시즌 2의 최강자로 군림하게 된 펑크가 이 대회에서 예선과 본선을 포함해 2번의 패배를 당했는데 그 중 하나가 잠입에게 당한 2:0 패배였다.[8] 켄 외에도 풍림화산류 캐릭터인 , 고우키도 간간히 다루고 있다.[9] 캡콤 프로투어 2017의 랭킹 대회 3위, 프리미어 대회에서 9위를 했을 때 받을 수 있는 점수와 같다.[10] 오일킹, 모케, 가치쿤. 3명 모두 라시드 유저이며 이 중 가치쿤과는 2연전으로 진행[11] 승자조 결승부터 이루어진 토키도와의 세트 전적은 "승패승패승 / 패승패승패 / 승패승승"일 만큼 매우 치열한 접전이었다.[12] CPT 2018에서는 프리미어 대회의 점수 비중이 1위 700점, 2위 270점, 3위 200점으로 크게 높아졌다. EVO는 더 크게 증가하여 1위 1750점, 2위 850점으로 대폭 상승했다.[13] NCR 2018에서 저스틴 웡과의 경기 이후 한 외국인이 미이라 시리즈의 포스터에 잠입과 저스틴 웡, 그리고 메나트를 이용한 합성짤을 만들었다.[14] 만약 시안을 이기고 그랜드 파이널에 올라갔다면 CPT 역사상 최초의 한국인 내전이 성사 될 수 있었다.[15] E-League는 각 조별로 예선과 본선 2번의 경기가 진행된다. 조 예선은 풀 리그전으로 진행되고 리그전 기록을 토대로 상위 3명은 조별 본선 승자조에, 하위 3명은 조별 본선 패자조에 배정된다. 이 상태에서 더블 일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조 본선이 진행하여 각 조별로 승자조에서 1명, 패자조에서 1명이 플레이오프(TOP 8)에 진출하게 된다.[16] 아랍에미리트 출신 프로게이머. 빅버드와 같은 NASR 소속이며 제쿠, 고우키를 다루고 있으며 EGX 2018 유럽 지역 파이널에서 우승하여 캡콤컵 진출 시드를 확보했다.[17] 사실 잠입 본인은 겐쥬로의 스타일을 썩 마음에 들어하지 않고 본인 스타일에 맞는 것은 탐탐이라고 생각하지만 본인의 지론인 '어떤 게임이든 처음에는 가장 센 캐릭터를 골라 전반적인 게임성에 익숙해져라' 때문에 겐쥬로를 주캐로 삼은 이유도 있고 탐탐은 특정 상황에 대해서 대처하기 힘든 부분이 있어서 겐쥬로를 골랐다고 밝혔다.[18] EVO 2013 킹오브 13 우승[19] EVO Japan 2018 킹오브 14 우승[20] 캡콤컵 2015 우승, 드래곤볼 파이터즈 파이널 우승[21] 여담으로 지인인 짬타수아가 잠입의 EVO 우승 후 방송에서 말하길, '그런 사건을 겪고서도 "난 다시 일어설 수 있고, 이번 EVO에서 우승할거야"라고 말을 했는데 정말로 우승했다.'며 축하를 해야 하는데 그 전에 신기한 느낌이 들었다고 했다.[22] 잠입은 결혼 전에 했던 방송에서 집을 구하기 위해 돈을 융자받으러 했는데, KeSPA 소속이 아닌 스폰을 받는 형식의 게이머라 국내법에선 무직으로 대우받아 돈을 빌릴 수 없었다고 했다.[23] 과거 투극 출전에서 리자드의 항의에 대해 아. 네(이 후 안티들은 잠입을 부를 때 아 네를 옆으로 눕힌 뜨우 내지는 갤주로 부르게 된다.)라고 받아치고 그대로 출전한 논란, 성황이 트레이닝을 요청했을 때 안 받아주고 당시 기량이 좋았던 풍꼬에게 달라붙은 논란 등. 전자는 본인 사이에서 어떻게 마무리되었는지 알 수 없고, 후자는 성황측에서 완전히 척을 지고 있다. 한번은 대놓고 잠입의 폼 하락에 '호부호뜨라고 하지 못하고'라며 조롱을 했는데 하필 그 발언을 한 시기가 잠입의 부활의 신호탄이 되었던 2017년 마닐라 컵의 라시드 4연전이라 조롱의 대상이 된 적이 있다.[24] 보는 이에 따라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열람에 주의.[25] 전처측은 이에 대해 애초에 재산 소송이 아닌 조정 신청이었고, 자신이 이를 소송으로 가기 위해 대응하지 않아 조정이 종결되었으며 예정대로 자신이 소송을 제기한 것이라 주장하고 있다.[26] 특히 에보 사쇼 우승후 에보 트위터 쪽에 '왜 범죄자를 출전하게 해줬냐' 라는 소리가 자주 있었다. 물론 그걸 해명해줄려는 사람들도 리플에 충분히 있었다.[27] 여담이지만 r/Kappa는 사건이 터질당시 '''잡입을 제일 까던 커뮤니티다'''. 대부분은 충분히 납득해서 유저 일부는 본인 잘못을 인정하는중.[28] 이 부분은 거짓이라 할게 없는 게 용서하고 고소하지 않겠다고 말한 건 '''거짓 선동에 이끌려 전처에게 이용당해 잠입을 까던 디시인사이드 유저들'''이지 '''악의적 거짓을 퍼뜨려 여론을 선동한 전처와 그 주변인들'''이 아니다.[29] 본격적으로 입문자 조작설명을 시작하는 45분 14초 부근부터 보는게 좋다.[30] 이전 영상과 이어지며 고급 테크닉에 해당하는 설명과 연습경기를 통해 게임내 여러상황을 다루고 있다.[31] 잠입선수 본인이 치렀던 경기의 작전과 심리상태를 해설하고 있다. 2분 26초부터 소리를 키우고 말 수가 적던 잠입선수의 이야기가 점점 많아지니 그때부터 보는걸 추천.[32] 한 편씩 나올 때 마다 본문에 갱신된다.[33] 2014년 기준으로 스트리트 파이터 4는 외국의 열광적인 인지도와 달리 국내에선 신규유저 유입도 매우 적고 커뮤니티 리젠율도 많지는 않으며 스팀 유저는 없다시피하며 국적을 일본으로 바꾸지 않으면 게임하기도 힘든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