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 중국해군'''
中国人民解放军海军 / 中国海军
People's Liberation Army Navy

[image]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
'''모토'''
인민을 위해 복무하자
(为人民服务)
당의 지휘를 따르면, 싸움에서 이길 수 있고, 작풍이 우수하다
(听党指挥、能打胜仗、作风优良)
'''창설년도'''
1949년 4월 23일
'''기념일'''
4월 23일
'''국가'''
[image]중국
'''명령체계'''
중앙군사위원회
'''소속'''
[image]중국 인민해방군
'''내부조직'''
북부전구함대, 동부전구함대, 남부전구함대
'''군종'''
해군
'''전력'''
290,000명 / 함선 500여척 / 비행기 700기
'''본부'''
중국 베이징 시
'''색상'''
빨강색, 네이비 블루, 흰색
'''행진곡'''
<人民海军向前进>
인민해군 앞으로 전진

'''전신'''
[image]대청해군(명목상)
[image]국민정부(중국 공산당 해방군으로 분열됨)(사실상)
'''참전'''
'''국공내전(2차)'''
이장산 전투
제 2차 타이완해협위기
9.2해전(1958)
이장산 섬 전투(1955)
둥인해전(1965)
우추해전(1965)
파라셀 제도 해전
스프래틀리 군도 해전(1988)
소말리아 인근 해상 선박호송(2008~ )
'''지휘'''
'''해군사령원'''
선진룽(沈金龙) 상장
'''해군부사령원'''
장웬단(张文旦) 중장[외]
'''정치지도원'''
친성샹(秦生祥) 상장
'''외부링크'''
중국해군군망(뉴스포털)(ZH)
중국국방부-해군소식(ZH,ENG)
[image]
1. 개요
2. 편제
2.1. 함대
2.2. 직속교육기관
3. 해군력
4. 보유 함정
4.3.1. 방공 구축함: 7천 톤 이상: 동시교전 능력 6개 이상
4.3.2. 일반 구축함: 동시교전 능력 2개 이하
4.3.2.1. 7천 톤 이상 ~ 8천 톤 미만
4.3.2.2. 6천 톤 이상 ~ 7천 톤 미만
4.3.2.3. 5천 톤 이상 ~ 6천 톤 미만
4.4. 호위함과 구축함
4.4.1. 호위함: 4천 톤 이상 ~ 5천 톤 미만
4.4.2. 호위함: 2천 톤 이상 ~ 3천 톤 미만
4.5. 초계함: 1천 톤 이상 ~ 1천 5백 톤 미만
4.6. 고속정, 고속함, 미사일 고속정 : 1백 톤 이상 ~ 7백 톤 미만
5. 관련 문서


1. 개요


중국 인민해방군의 해군은 자국의 영해를 보호하며 총 25만 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는 군사 조직이다. 창설 초기부터 오랜기간 소형함정 위주의 전형적인 연안해군이었으나, 1970년대 이후 해안을 중심으로 경제발전이 일어나면서 해양방어의 중요성이 커졌고, 1990년대 이후부터 현대화를 진행하며 대양해군 육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2010년대 이후 중국 해군은 G2로 올라선 경제력을 바탕으로 신형 항공모함 건조와 동시에 구축함대와 호위함대 증설, 주브르급 공기부양정 라이센스 생산, 대대적인 수중세력(SSN, SSBN) 증강 등 세계 2위의 해군 건설을 목표로 전력을 확충하고 있다.
해병대에 해당하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육전대는 과거에는 6천 명 수준의 여단 두 개로 이루어진 총 1만 2000여 명에 불과했으나, 2017년부터 육군 병력을 해군 육전대로 전환하면서 최대 10만 명까지 확충하고 있다. 점점 격화되고 있는 스프래틀리 군도 분쟁과 추후 타이완 침공 등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2. 편제


  • 해군사령부(海军司令部) : 해군본부에 해당한다. 해군참모총장에 상당하는 해군사령원(해군상장)이 부서장이다.
  • 해군정치부(海军政治部) : 해군정치위원은 해군사령원과 같은 해군상장이 보임된다. 다만 대외적으로는 해군사령원을 최선임으로 친다.
중국 해군 함대는 규모가 큰 관계로 함대사령원에 해군중장이 보임된다. 정원(정치위원)도 마찬가지이다.

2.1. 함대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함대'''
북해함대
동해함대
남해함대
2016년 3대 군구에서 함대로 개편되었다.
2017년 3월부로 기존 구축함 지대(북해 1,10 동해 3,6 남해 2,9)가 구축함 4척에 프리깃 4척으로 운영하던 것을 구축함 6척 프리깃 4척으로 늘리는 것이 확인되었다. 해당 기사에서는 추후에 구축함 6척 프리깃 6척으로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기사

2.1.1. 북해함대(北海舰队)


기존의 지난군구에 속해있던 북해함대로서 사령부는 그대로 산둥반도의 칭다오(青岛)시 구징커우 항 함대의 메인항이라고 할 수 있다. 총 편제는 2개 구축함지대/2개 프리깃대대/1개 미사일 코르벳대대/1개 소해대대/1개 상륙대대/3개 해군항공사/1개 항모탑재기대대/2개 잠수함지대로 이루어져있다. 지대(支队)와 대대(大队)라는 호칭으로 나누고 있고 실질적으로는 대한민국 해군과 서방 국가의 해군의 전단전대급 규모라고 볼 수 있다. 지대는 구축함 6척, 프리깃 4척으로 이루어진다.

2.1.2. 동해함대(东海舰队)


기존의 난징군구 소속의 동해함대가 그대로 존속한 형태 편성이라고 할 수 있다.

2.1.3. 남해함대(南海舰队)


기존의 광저우군구의 남해함대 편제를 그대로 존속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2.1.4. 중국 해경



2.1.5. 해병대



2.2. 직속교육기관


  • 중국인민해방군해군지휘학원(中国人民解放军海军指挥学院): 고급보수교육기관으로 합동군사대학의 지휘관/참모 교육에 해당한다.
  • 중국인민해방군해군병종지휘학원(中国人民解放军海军兵种指挥学院) : 중급보수교육기관이다.
  • 중국인민해방군해군다롄함정학원(中国人民解放军海军大连舰艇学院) : 항해 직별을 교육하는 곳이다.
  • 중국인민해방군해군잠정학원(中国人民解放军海军潜艇学院) : 잠수함 교육을 한다.
  • 중국인민해방군해군공정대학(中国人民解放军海军工程大学) : 대한민국의 해군사관학교에 상당한다. 4년간 교육 후에 학사 학위를 부여하고 해군소위로 임관시킨다.
  • 중국인민해방군해군항공공학원(中国人民解放军海军航空工程学院) : 해군 항공대의 사관학교이다. 한국과는 달리 함정병종과 항공병종이 사관학교를 따로 쓰고 있다.
  • 중국인민해방군해군비행학원(中国人民解放军海军飞行学院) : 조종교육을 담당하는 곳이다.
  • 중국인민해방군해군벙부[1]사관학교(中国人民解放军海军蚌埠士官学校) : 해군 병을 교육하는 곳이다. 사관이란 표현이 중국에서는 부사관을 가리킨다.[2]

3. 해군력



종류
운용
비축
추가 계획/건조 중
잠수함
SSBN
6


SSN
9


재래식 잠수함
58

5
합계
73

15
핵심 수상함
항공모함
2

2~4
방공 구축함
22

20
일반 구축함
11


4,000톤급이상 호위함
32


1,000톤급이상 호위함
83

14
합계
150
31
37
연안 수상함
미사일
122


초계정
108


합계
230
0
0
상륙함
LPD
7

1
LST
32


LSM
62


병력 수송겸 병원선
6


LC
140
230

합계
246
230
2 +α?

4. 보유 함정



4.1. 수송함항공모함



4.1.1. 항공모함




[image]
[image]
랴오닝급 항공모함
종류
함명
만재 배수량
보유
추가
기타
항공모함
랴오닝급
67,500 톤
1척

함재기: 24기 (갑판계류시: 40기)
항공모함
산둥함(002형 항모)
70,000톤
1척

함재기: 40기(갑판계류시: 60기)
항공모함
003형 항공모함
85,000톤

2척
함재기: ?

4.1.2. LPD


[image]
유자오급 강습상륙함
종류
함명
만재 배수량
보유
추가
기타
LPD
유자오급 강습상륙함
28,000 톤
7척
1척
4기의 헬기 격납: Z-8
LPD
075형 강습상륙함
40,000 톤

3척
30기의 헬기 격납

4.1.3. LST


[image]
2011년 7월 3일, Type 072A(LST 911 TianZhuShan)
종류
함명
배수량
보유
추가
기타
LST
Type 072A
4,800 톤
15척


LST
Type 072III Yuting II
4,800 톤
10척


LST
Type 072II Yuting I
4,800 톤
4척


LST
Type 072 Yukan
4,170 톤
3척



4.1.4. LSM


[image]
Type 074 Yuhai
종류
함명
배수량
보유
추가
기타
LSM
Type 074 Yuhai급
800 톤
20척


LSM
Type 073급
1,500 톤
12척


LSM
Type 079II Yulian급
1,100 톤
30척



4.2. 공기부양정



4.3. 구축함



4.3.1. 방공 구축함: 7천 톤 이상: 동시교전 능력 6개 이상


[image]
[image]
2019년 취역한 중국의 차기 13,000톤급 방공구축함 Type 055 방공구축함
루저우급(Type 051C)




쿤밍급(Type 052D) 구축함
란저우급(Type 052C) 구축함
종류
이름
보유
배수량
추가
순번
함번
함명
진수~취역
소속&현황
방공 구축함
(준이지스급)
난창급 구축함#
1척
13,000 톤
+7척
1
101
난창(南昌)
2017년 ~ 2020년
북해함대
쿤밍급 구축함#
15척
7,500 톤
10척
1
172
쿤밍(昆明)
2012년 ~ 2014년
남해함대
2
173
창사(长沙)
2012년 ~ 2015년
남해함대
3
174
허이페이(合肥)
2013년 ~ 2015년
남해함대
4
175
인촨(银川)
2014년 ~ 2016년
남해함대
5
117
시닝(西宁)
2014년 ~ 2017년
북해함대
6
154
샤먼(厦门)
2014년 ~ 2017년
동해함대
7
118
우루무치(乌鲁木齐)
2015년 ~ 2018년
북해함대
8
119
구이양(贵阳)
2015년 ~ 2019년
북해함대
9
155
난징(南京)
2015년 ~ 2018년
동해함대
10
131
타이위안(太原)
2016년 ~ 2018년
동해함대
11
161
후허하오터(呼和浩特)
2016년 ~ 2019년
남해함대
12
120
청두(成都)
2016년 ~ 2019년
북해함대
13
121
치치하얼(齐齐哈尔)
2017년 ~ 2020년
북해함대
14
156
쯔보(淄博)
2018년 ~ 2015년
동해함대
15
122
탕산(唐山)
2018년 ~ 2015년
북해함대
16
132
쑤저우(苏州)
2018년 ~ ''2020년말''
시험 항해중
17
162
난닝(南宁)
2019년 ~ ''2021년초''
시험 항해중
18
157
화이난(淮南)
2019년 ~ ''2021년중''
시험 항해중
19
163
구이린(桂林)
2019년 ~ ''2021년말''
시험 항해중
20
123
미정
2019년 ~ ''2021년말''
건조중
21
133
미정
2019년 ~ ''2021년말''
건조중
22
164
미정
2019년 ~ ''2021년말''
건조중
23
165
사오싱(绍兴)
2019년 ~ ''2022년중''
건조중
24
134
미정
2019년 ~ ''2022년초''
건조중
25
124
우시(无锡)
2020년 ~ ''2023년초''
건조중
란저우급 구축함#
6척
7,000 톤

1
170
란저우(兰州)
2003년 ~ 2005년
남해함대
2
171
하이커우(海口)
2003년 ~ 2005년
남해함대
3
150
창춘(长春)
2010년 ~ 2013년
동해함대
4
151
정저우(郑州)
2011년 ~ 2013년
동해함대
5
152
지난(济南)
2011년 ~ 2014년
동해함대
6
153
시안(西安)
2012년 ~ 2015년
동해함대
루저우급 구축함#
2척
7,100 톤

1
115
선양(沈阳)
2004년 ~ 2006년
북해함대
2
116
스좌장(石家庄)
2005년 ~ 2007년
북해함대

4.3.2. 일반 구축함: 동시교전 능력 2개 이하



4.3.2.1. 7천 톤 이상 ~ 8천 톤 미만

[image]
이름
보유
배수량
추가
순번
함번
함명
진수~취역
소속&현황
항저우급#
4 척
기본: 6,200 톤/만재: 7,940 톤

1
136
항저우(杭州)
1994년 ~ 2000년
동해함대
2
137
푸저우(福州)
1998년 ~ 2001년
동해함대(개조작업중)
3
138
타이저우(泰州)
2004년 ~ 2006년
동해함대
4
139
닝보(宁波)
2004년 ~ 2006년
동해함대

4.3.2.2. 6천 톤 이상 ~ 7천 톤 미만

[image]
[image]
광저우급
선전급
이름
운용
배수량
추가
순번
함번
함명
진수~취역
소속 / 현황
광저우급#
2척
6,500 톤

1
168
광저우(广州)
2002년 ~ 2004년
남해함대 / 개조중
2
169
우한(武漢)
2002년 ~ 2004년
남해함대
선전급#
1척
6,100 톤

1
167
선전(深圳)
1997년 ~ 1999년
남해함대

4.3.2.3. 5천 톤 이상 ~ 6천 톤 미만

[image]
이름
보유
배수량
추가
순번
함번
함명
진수~취역
소속 / 현황
루후급#
2척
4800톤

1
112
하얼빈(哈尔滨)
1991년 ~ 1994년
북해함대
2
113
칭다오(青岛)
1993년 ~ 1996년
북해함대

4.4. 호위함과 구축함



4.4.1. 호위함: 4천 톤 이상 ~ 5천 톤 미만


이름
보유
배수량
추가
순번
함번
함명
진수~취역
소속 / 현황
장카이급 I#
2 척
만재: 4,300 톤

1
525
마안산(马鞍山)
2003년 ~ 2005년
동해함대 / 개조중
2
526
원저우(温州)
2003년 ~ 2005년
동해함대
장카이급 II#
30 척
만재: 4,053 톤

1
529
저우산(舟山)
2006년 ~ 2008년
동해함대
2
530
쉬저우(徐州)
2006년 ~ 2008년
동해함대
3
568
헝양(衡阳)
2007년 ~ 2008년
남해함대
4
570
황산(黄山)
2007년 ~ 2008년
남해함대
5
569
위린(玉林)
2009년 ~ 2010년
남해함대
6
571
원청(运城)
2009년 ~ 2010년
남해함대
7
548
이양(益阳)
2009년 ~ 2010년
동해함대
8
549
창저우(常州)
2010년 ~ 2011년
동해함대
9
538
옌타이(烟台)
2010년 ~ 2011년
북해함대
10
546
옌청(盐城)
2011년 ~ 2012년
북해함대
11
572
헝수이시(衡水)
2011년 ~ 2012년
남해함대
12
573
류저우(柳州)
2011년 ~ 2012년
남해함대
13
547
린이시(临沂)
2011년 ~ 2012년
북해함대
14
550
웨이팡(潍坊)
2012년 ~ 2013년
북해함대
15
574
쌴야(三亚)
2012년 ~ 2013년
남해함대
16
575
웨양(岳阳)
2012년 ~ 2013년
남해함대
17
576
다칭(大庆)
2013년 ~ 2015년
북해함대
18
577
황강(黄冈)
2013년 ~ 2015년
동해함대
19
578
양저우(扬州)
2013년 ~ 2015년
동해함대
20
579
한단(邯郸)
2014년 ~ 2016년
북해함대
21
531
샹탄(湘潭)
2015년 ~ 2016년
동해함대
22
532
징저우(荆州)
2015년 ~ 2016년
동해함대
23
515
빈저우(滨州)
2015년 ~ 2017년
동해함대
24
536
쉬창(许昌)
2016년 ~ 2017년
남해함대
25
539
우후(芜湖)
2016년 ~ 2017년
북해함대
26
598
르자오(日照)
2017년 ~ 2018년
북해함대
27
599
안양(安阳)
2017년 ~ 2018년
동해함대
28
600
셴닝(咸宁)
2017년 ~ 2018년
남해함대
29
601
난퉁(南通)
2017년 ~ 2019년
동해함대
30
542
짜오좡(枣庄)
2018년 ~ 2019년
북해함대

4.4.2. 호위함: 2천 톤 이상 ~ 3천 톤 미만


[image]
이름
보유
배수량
추가
순번
함번
함명
진수~취역
소속 / 현황
장웨이급 II#
8척
기본:2,250 톤 (만재: 2,393 톤)

1
522
롄윈강(连云港)
1997년 ~ 1998년
2019년 퇴역(수출) / BN 운용 중
2
521
자싱(嘉兴)
1998년 ~ 1999년
동해함대
3
523
푸톈(莆田)
1998년 ~ 1999년
2019년 퇴역(수출) / BN 운용 중
4
524
싼밍(三明)
1998년 ~ 1999년
동해함대
5
564
이창(宜昌)
1997년 ~ 1999년
북해함대
6
565
후루다오(葫芦岛)
? ~ 2000년
북해함대
7
566
화이화(怀化)
2000년 ~ 2002년
동해함대
8
567
샹양(襄阳)
? ~ 2002년
동해함대
9
527
뤼양(洛阳)
2004년 ~ 2005년
남해함대
10
528
몐양(绵阳)
2004년 ~ 2005년
남해함대

4.5. 초계함: 1천 톤 이상 ~ 1천 5백 톤 미만


[image]
장다오급
이름
보유
배수량
추가
순번
함번
이름
진수 ~ 취역
장다오급#
72척
만재: 1,440 톤
13척
1
582
벙부(蚌埠)
2012년 ~ 2013년
2
596
후이저우(惠州)
2012년 ~ 2013년
3
584
메이저우(梅州)
2012년 ~ 2013년
4
580
다퉁(大同)
2012년 ~ 2013년
5
583
상라오(上饶)
2012년 ~ 2013년
6
597
친저우(钦州)
2012년 ~ 2013년
7
585
바이써(百色)
2012년 ~ 2013년
8
581
잉커우(营口)
2012년 ~ 2013년
9
587
제양(揭阳)
2013년 ~ 2014년
10
586
지안(吉安)
2013년 ~ 2014년
11
589
칭위안(清远)
2013년 ~ |2014년
12
588
취안저우(泉州)
2013년 ~ 2014년
13
592
루저우(泸州)
2013년 ~ 2014년
14
590
웨이하이(威海)
2013년 ~ 2014년
15
591
푸순(抚顺)
2013년 ~ 2014년
16
595
차오저우(潮州)
2013년 ~ 2014년
17
501
신양(信阳)056A(ASW: 대잠 버전)
2014년 ~ 2015년
18
503
쑤저우(宿州)056A(ASW: 대잠 버전)
2014년 ~ 2015년
19
512
허쩌(菏泽)056A(ASW: 대잠 버전)
2015년 ~ 2016년
20
509
화이난(淮安)056A(ASW: 대잠 버전)
2015년 ~ 2016년
21
511
바오딩(保定)
2015년 ~ 2016년
22
510
닝더(宁德)
2015년 ~ 2016년

4.6. 고속정, 고속함, 미사일 고속정 : 1백 톤 이상 ~ 7백 톤 미만


[image]
[image]
종류
이름
보유
배수량
기타/추가
미사일 고속정
Type 037-II Houjian
6척
520 톤

Type 037-IG Houxin
20척
478 톤

Type 022 후베이급
86척
220 톤

고속정
Haiqing급
27척
478 톤
대잠/건보트
Type 062I
17척
170 톤
대잠/건보트
Type 037 Hainan
64척
400 톤
대잠

4.7. 원자력 잠수함



4.7.1. SSBN


[image]
이름
소속
수상 배수량
전장
전폭
흘수
보유
샤급[3]
인민해방군 해군
6,500 톤
120 m
10 m
8 m
1 척
진급[4]
인민해방군 해군
8,000 톤
133 m
10 m
8 m
6 척
탕급[5]
인민해방군 해군
? 톤
? m
? m
? m


4.7.2. SSN


[image]
이름
소속
수상 배수량
전장
전폭
흘수
보유
한급[6]
인민해방군 해군
4,500 톤
98.2 m
10 m
7.4 m
3 척
상급[7]
인민해방군 해군
4100 ~ 4500 톤
110 m
11 m
10 m
6 척[8]
95식 공격원잠[9]
인민해방군 해군
?톤
? m
? m
? m
(+8척)

4.8. 재래식 잠수함


[image]
A Chinese Kilo with the red flag
재래식 디젤 잠수함
이름
수상 배수량
수중 배수량
보유 척수
원급(Type 041)
2,400톤
3,600톤
18 척
킬로급 개량형
2,300–2,350톤
3,000-3,950톤
10 척
킬로급
2,300–2,350톤
3,000-3,950톤
2 척
송급(Type 039)
1,992톤
2,250톤
13 척
밍급(로미오급 개량형)(Type 035)
1,584톤
2,119톤
15 척
총계: 재래식 잠수함 58척

4.9. 해군 항공대


[image]
함재기인 J-15이다.
이름
보유 기수
전투기
선양 J-15(歼-15)
28기
선양 J-11(歼-11)
72기
청두 J-10(歼-10)
24기
청두 J-7(歼-10)
24기
선양 J-8(歼-10)
24기
수호이 Su-30(苏-30)
24기
폭격기
시안 JH-7(殲轟-7)
120기
헬기
Z-8/SA321(直-8/SA-321)
38기
KA-31(卡-31)
9기
KA-28(卡-28)
19기
Z-9(直-9)
25기
수송기
Y-8(运-8)
4기
Y-7(运-7)
10기
Y-5(运-5)
50기
Yak-42(雅克-42)
2기
조기경보기
KJ-200
5기
KJ-500
4기
총계: 항공기 650기

4.10. 군함



5. 관련 문서



[외] 딩이(丁毅) 중장, 펑단유(冯丹宇) 중장, 왕후빈(王厚斌) 중장 [1] 안후이성의 지역명이다.[2] 중국군은 대부분의 모병제 국가들처럼 병이 진급해 부사관이 되는 구조이다. 병 시절에는 월급이 민간보다 안 좋은 편이다.[3] Type 092 submarine[4] Type 094 submarine[5] Type 096 submarine[6] Type 091 submarine[7] Type 093 submarine[8] 제원과 취역 출처[9] Type 095 submar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