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악 캐릭터
1. 흉악 캐릭터란?
M.U.G.E.N.에서 등장하는 용어로 '''흉악한 성능의 캐릭터'''의 줄임말이다. 줄여서 '''흉캐'''라고도 부른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무겐에서 주로 사용되는 분류이므로, 제대로 만든 완성판 게임에서 등장하는 경우는 흉캐가 아닌 개캐나 사기 캐릭터 정도로 부르는 것이 옳다. 물론 흉캐 조건을 어느 정도 갖추면 흉캐라 봐도 무방하지만.. 어차피 제작자가 제대로 밸런스 조정 등을 거치는 정식, 혹은 동인 격투게임에 흔히 흉캐 하면 떠오르는 즉사가 난무하는 상황이 나올 일은 거의 없다고 봐야하니.
제작자의 입맛에 맞게 캐릭터의 성능이 들쭉날쭉하는 무겐의 세계이니 만큼 이따끔씩 절대적 성능을 자랑하는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바로 이를 흉캐라고 한다.
참고로 위에 나오는 동영상의 1p(왼쪽)들은 모두 논외이다.
2. 기준
흉악 캐릭터의 조건은 일정하지는 않지만 대부분
- 1. 기술 하나하나의 대미지가 높고 판정이 강력함.
- 2. 선후딜이 전무하며 무적시간이 길다.
- 3. 심심하면 등장하는 가드 불능 기술 & 화면 전체판정의 필살기
- 4. 눈이 휘둥그레지는 방어 시스템.
- 5. 체력이 바닥이 나서 다떨어지면 자동 즉사반격.[1]
위와 같은 조건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면 흉캐라고 볼 수 있다.
심각한 경우는 '''어떤 행동을 해도 피격 판정이 아예 없는''' 경우(상시 무적 상태)도 있으며, 이것에 대항해 '''상대방의 체력바 자체를 조작시켜 단번에 KO시키는 기술'''을 가진 캐릭터도 있다. 아니면, 상대방 캐릭터에게 아예 약점을 심어서 그걸로 보내버리는 대 흉캐 전용 흉캐도 존재. 그리고 저 약점 심기를 막아버리는 흉캐라든가, 그걸 또 무효화하는 흉캐라든가 파고들면 질릴 정도로 바리에이션이 무한하다.
이것조차 초월해버리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Fight가 선언된 바로 직후에 적을 KO시키는 코드를 넣거나, 자기 캐릭터를 무조건 승자로 인식되게 만들거나, 그전에 아예 싸움이 성립되지 않게, 시합 시작하면 무겐 프로그램 자체를 종료하는 지경에까지 이른다. 이렇게 개시 전부터 움직이게 하는걸 물건너에서는 일반적으로 '플라잉'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에 대항해 인트로나 로딩 도중에는 쭉 무적상태를 유지하거나, 상대방에게 공격 혹은 행동 불가 페널티를 부여하는 등등 플라잉 대책도 널리 쓰이고 있다.
흉악캐릭터 제작자끼리 서로의 캐릭터를 무적으로 만들기 위해 다른 캐릭터를 공략하는 코드를 업데이트 해서 싸우는 것을 보면 백신과 바이러스 제작자의 끝없는 악순환이 연상될 정도이다.
이런 의도적인 버그성 플레이는 논외라고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애당초 무겐이라는 단어의 뜻도 '무한'이니, 어찌보면 가장 무겐다운 캐릭터라고 볼 수도 있겠다.
이처럼 국내에서 흔히 사용되는 '흉악 캐릭터'라는 단어는 그 범위가 매우 넓으므로 사용시 주의. 아래에서 설명할 분류가 정착된 물건너에서는 단순히 흉악 캐릭터라 하면 대부분 신급 이상의 캐릭터들을 가리킨다.
3. 무겐에서의 분류
국내에서는 보통 사기캐, 개캐라고 통칭해 부르지만, 무겐 관련 영상 제작이 국내에 비해 활발한 물건너 니코니코 동화 등지에서는 더 상세하게 분류하고 있다.[2]
보통 '흉악 캐릭터'라고 하면, 일본 기준으로는 광 상한이나 신 캐릭터 이상을 의미한다. 아얘 광 상한이나 신급을 다루는 대회는 제목에 흉악 MUGEN이라는 타이틀을 붙인다.
일반적으로 니코니코 동화에서의 '흉캐(凶キャラ)는 단순히 캐릭터 자체가 무지막지하게 강한 수준까지를 가리킨다.
격투게임의 틀 자체는 유지한 '반피 이상을 날려버리는 콤보, 긴 무적시간, 강한 한방, 1프레임 반응 등'을 지닌, 일반적 격투게임의 보스 캐릭터의 강함을 가지고 있다. 니코니코 무겐 위키에서는 '무겐식으로는 꽤나 세다, '''정식 격투게임에서는 흉악할 정도로 세다''' '라고 표현하고 있다. 일단 흉캐라 하더라도, 가드나 회피같은 방어능력이 일반 캐릭터랑 전혀 다를게 없기 때문에, 상성이나 AI가 좋거나 적당한 페널티가 주어질 경우 강캐로도 이기는 경우가 자주 있다. 보통 상용 격투 게임들의 보스들은 이 등급에 속한다.
때문에 일반 캐릭터들도 AI나 팔렛에 따라서 충분히 凶キャラ의 반열에 드는 경우가 많다. 다수가 12p(팔렛)에서 성능이 극대화되지만 12p가 아닌 팔렛에서 제일 강한 경우 등의 예외가 존재한다. AC북두는 세기말 스포츠라는 별명에 걸맞게 괜찮은 AI만 갖춰져도 대부분의 캐릭이 흉캐급에 든다.
이보다 더 윗 단계가 '광 캐릭터(狂キャラ)'.
여기부터 일반 캐릭터로는 이기는게 불가능해진다. 위에 기술된 흉악캐릭터의 조건을 채우고 있는 경우가 대다수지만, 적어도 시스템에 손을 대는 선까지는 가지는 않는다.
광 캐릭터들은 긴 무적시간, 게이지 회복, 체력 회복, 하이퍼아머[3] , 즉사기, 부활 기능 등 본격적으로 정신 나간 옵션들이 달리기 시작한다. '이게 뭐지'라는 소리가 저절로 나오지만, 이게 양심적인 흉캐들이다. 광 상위부터는 본격적으로 '''무적 시간이 매우 길어지고 기술 사이의 틈이 줄어들며'''[4] 공격력이 어지간한 HP로는 버틸 수 없을 정도로 무지막지하게 강해지고 즉사기도 난무한다. 때문에 방어 체계를 잘 잡아놓은 경우 혹은 공격 성능이 동일 등급 대비 특출난 경우 보다 상위 등급의 캐릭터를 이기는 경우도 있다. 이쯤 되면 알겠지만 광 캐릭터부터는 '''유저가 클리어 하라고 만들어준 캐릭터가 아니라 다른 제작자의 캐릭터를 쓰러뜨리기 위해 만들어진 캐릭터'''이다.
일본등급에선 기본적으로 광 하위는 마스터 기스, 엘크가 대표적인 광 하위 문지기이고 광 중급에는 마스터 모리야/와시즈카 B스타일 12P, 라오우 12P 등이 포진중이고 광캐릭 상위 레벨로 가면 스칼렛 데빌[5] 이나 바르바토스 게티아[6] , 최종난관인 광 최상위는 A 락 12P, 휘몰아치는 선풍의 게닛츠 12P, 레어아쿠마, 류코1st, 조커 시키 9P 등이 있다.
그 다음이 영광의 신 캐릭터(神キャラ).[7]
여기서부터는 겉으로 보여지는 수치는 아무것도 의미가 없다. 의미가 있는것은 그 캐릭터가 얼마나 강력한지, 얼마나 많은 격파 도전(일정한 난이도를 가진 샌드백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을 격파할수 있느냐 뿐. 정확히는 논외에서 사용하는 일부 코드(%n, %f, 직사 버그 등)를 제외한 공격으로 얼마나 많은 캐릭터를 격파할수 있느냐가 강력함의 기준이다. 등급은 하위 신, 중위 신, 상위 신, 최상위 신으로 나눠진다.
사실 신 랭크는 직접대결로 강함을 가르는게 아닌 단순한 공격성능만을 등급의 기준으로 삼고 있고, 이전 서술의 직접대결적인 설명은 최근에 광 랭크로 편입되어버려서 범위가 축소된 느낌이 있다. 더불어 약~신까지의 등급중 유일하게 직접대결이 판단의 잣대가 아닌 등급.
그리고 이 모든 것의 위에 군림하는 '''논외'''가 존재한다.
일단 기본적인 논외의 정의는 '''절대 지지 않는것'''. 방어 논외(와 준 논외[8] )와 공격 논외로 나뉜다.
논외 단계에 들어가는 조건은 '''P1자리[9] 에서 지지 않는 것. 이기는게 아니다!! 방어 옵션이 너무나도 튼튼해서 게임진행이 아예 불가능하게 만드는 캐릭터도 논외이다!''' 등장하고서 단 한 번도 논외를 제외한 어떤 캐릭터에게도 KO당한 전적이 없으면 논외 레벨로 분류된다.[10] 애초에 지지 않는 것을 목표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이를 KO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만들어내지 않는 한 쓰러트리는 것은 불가능. 다만 방어논외도 신 랭크 캐릭터가 사용하는 기술에 KO당하지 않는것이지 논외급 공격엔 얄짤없다.
하지만 무겐 본체의 버그를 이용한 즉사들이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하나 둘 격파되어감에 따라, 초창기에 비해서 논외라고 칭할 수 있는 캐릭터는 극히 한정되게 되었다. 보통 만들어지는 논외들은 '''상대를 아예 없애버려서 싸움을 없던 것으로 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DBOA(Def Buffer Overflow Attack/SuperNull/슈퍼눌)등급 이상부터는 전투 시작도 전에[11] 적에 불러와진 정보를 날리고, DBOA 기술 중 탑티어 SN은 자신을 제외한 모두를 강제로 교체하고 삭제해버린다. 또한 흉논외라는 등급도 존재하는데 논외하고의 차이점이라면 논외는 시작부터 상대를 지워버린다면 이쪽은 다양한 기술을 구사하며 적 논외캐의 공격을 버티고[12] 자신의 기술로 척살시켜버리는 캐릭터들이라는 점이다.
또한 공격 논외도 크게 나누면 내부와 외부 논외로 나뉜다. 외부 논외를 간단히 구분하는 방법은 버그 없이 '''2P자리에서 탑티어 논외를 이기는 것.''' 외부 논외부터는 외부 시스템을 쓰는 만큼 살상력이 상식을 초월한다. 단, 외부중에서도 후술할 Frost부터는 거의 바이러스급이고 어떤 일이 일어날지는 제작자만 알기 때문에 왠만하면 사용하지 않길 추천한다. 물론 가상머신등을 쓰면 되긴 하지만 문제는 현실 도날드같은 캐릭터는 '''가상머신도 뚫는다.''' 이쯤되면 그냥 컴퓨터 바이러스 그 자체다.
일본식 분류로 흉 캐릭터 ~ 광 캐릭터 중급까지는 AI레벨을 낮추거나 성능 및 설정을 낮춰서 일반 토너먼트에도 보스급으로 등장하기도 하고, 해당 토너먼트 캐릭터들의 등급쪽에 맞춘 하향을 거쳐서 싸우기도 한다. 하지만 신 캐릭터부터는 완벽히 그들만의 리그.[13] 위의 2008년 흉악&논외 그랑프리가 좋은 예다. 덕분에 일반적인 토너먼트 대회에서는 절대로 볼 일이 없다. 다만 니코동에는 일반&흉캐릭터로 태그를 짜서 게이지 MAX(F3)를 주고 흉캐부터 신 캐릭터 레벨까지가 득실거리는 서바이벌 모드에서 총합 XX승 이상을 노리는 일반적이지 않은 대회도 있으니 이를 통해 그 편린을 감상할 수 있다.
4. 공격 기술
이 절에서는 흉악 캐릭터가 사용하는 공격 기술을 소개한다.
4.1. 무겐의 자체적 기능을 이용한 기술
무겐 자체에 내장되어 있는 코드를 이용한 기술이다. 평범한 캐릭터도 쓰는 기술을 응용한 것이기 때문에, 일반 캐릭터 제작자라도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배울 수 있다. 반대로 이러한 흉악 기술을 일반 캐릭터가 탑재할 수도 있는데, 강도를 약하게 하면 일반 캐릭터 대전에서 많은 활약을 할 수 있다.[14]
- 즉사잡기
잡기를 이용해서 내맘대로 즉사시키는 코드. 대부분의 코드는 즉사잡기나 즉사반격의 응용판으로 보면 될 정도로 매우 간단한 방식을 지니고 있으며 잡기 범위내에서 아주 효과가 좋다. 하지만 이걸 시전하여도 스테이트 회피등으로 탈출하거나 회피하면 의미가 없어서 약한 방법이다. 발동 순서와 원리는 다음과 같다: (1) 상대를 잡아서 타겟으로 삼은 뒤, p2stateno나 Targetstate를 이용해 상대의 체력을 0으로 만든다. (2) 자신이 준비한 즉사 스테이트를 상대가 읽으면 그 스테이트는 상대의 -2 스테이트 다음에 처리된다. (3) 그렇게 되면, -2 스테이트에서 체력을 회복해도, 즉사 스테이트로 이동한 뒤에 라이프가 감소, 0이하가 되어 즉사한다.
- 즉사반격
아머형 캐릭터는 잡기가 불가능하기에 즉사잡기를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아머가 존재하더라도 일반적으로 (신급 미만의 캐릭터의 경우) 공격은 상대의 본체가 하기 때문에 상대의 공격을 반격해 즉사 스테이트로 보내는 기술이다. 대부분의 코드는 즉사잡기나 즉사반격의 응용판으로 보면 될 정도로 매우 간단한 방식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즉사잡기와 마찬가지로 이걸 시전하여도 스테이트 회피등으로 탈출하거나 회피하면 의미가 없어서 약한 방법이다. 발동 순서와 원리는 다음과 같다: (1) ReversalDef를 준비해서, 상대의 공격을 반격할 준비를 한다. (2) 상대가 공격을 하게되면, 상대의 HitDef를 반격하여 즉사 스테이트로 보낸다. (3) 상대를 즉사 스테이트를 보내는 효과도 있지만 후술할 영구 타겟 버그를 이용해 영구적으로 타겟을 얻을 수 있다는 부속 효과도 있다.
- 영구 타겟 버그
무겐에서 상대를 공격하면, 상대는 이쪽의 타겟이 되어 이쪽에서 몇가지 행동을 취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 공격의 경직이 풀리는 순간, 상대는 타겟에서 벗어나게 된다. 하지만, 반격 컨트롤러인 Reversaldef의 버그로 인해, Reversaldef를 계속 발동하고 있으면 상대는 경직이 풀리더라도 계속 이쪽의 타겟으로 남게 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발동 순서와 원리는 다음과 같다: (1) 상대를 공격하거나 상대의 공격을 반격해 타겟으로 삼는다. 일단 타겟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지할 타겟이 존재해야 하기 때문. (2) 공격이 성공하면 Reversaldef를 발동한다. 지속적으로 발동하기 위해서는 본체에서 발동하는 것 보다 헬퍼를 이용하길 추천한다. (3) 원할 때까지 해당 Reversaldef를 지속하면 된다.
- 혼선 버그
상대의 Helper를 강제로 조종할 수 있는 코드. 이것도 무겐의 버그를 이용한 것이며, 어떤 헬퍼를 타겟으로 삼으면 그 헬퍼가 사라지고 그 자리에 다른 헬퍼가 나타나도 타겟이 유지되는 무겐의 버그에 위의 영구 타겟 버그를 같이 응용한 것이며, 다음과 같은 순서로 발동한다: (1) 두 개의 Helper 소환. 하나는 공격용 헬퍼이고 하나는 피격용 헬퍼이다. (공격용 헬퍼는 영구 타겟 버그 발동을 위해 항상 Reversaldef를 발동한다.) (2) 그 후 공격용 헬퍼로 피격용 헬퍼를 공격, 피격용 헬퍼를 타겟으로 삼는다. (3) 공격용 헬퍼가 피격용 헬퍼를 제대로 타격했다면[15] , 피격용 헬퍼는 스스로 사라진다 (Destroyself 이용). 여기까지가 혼선 버그이며, 상대가 Helper를 소환하는 순간 그 Helper는 피격용 헬퍼의 자리에 들어가게 되어 공격용 헬퍼의 타겟이 된다. 이를 이용해 TargetState 명령어로 상대 Helper를 조정하거나, target,var(0) 등으로 정보를 캐낼 수 있다. 참고로 이게 기본적인 혼선으로, 혼선버그의 응용은 의외로 꽤 많다! 아래는 그 혼선버그의 응용이다. 출처 원문
【 상세한 혼선 분류 】
- 오메가 톰 행크스 킬러 (OTHK)
최초의 흉악 캐릭터로 알려진 "오메가 톰 행크스"를 격파하는 코드. 무겐의 버그를 이용한 것인데, 오메가 톰 행크스는 피격판정이 존재하지 않고 공격조차 헬퍼를 이용하기에 반격도 못해서 옛날에는 절대 격파불가능한 존재였으나, projectile의 허점을 이용해 상대를 즉사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격파당했다. 그 projectile의 허점이란 상대에게 공격 성공시 특정 스테이트로 이동하게 하는 p1stateno가 projectile에서는 본체가 사용했건, 헬퍼가 사용했건 무조건 본체의 스테이트를 이동시켰던 것이었다. 이 OTHK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발동한다: (1) Reversaldef 발동. (상대의 헬퍼조차 피격판정따위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반격을 이용한다.) (2) 상대 Helper가 Hitdef로 공격하면 반격하여 상대 Helper가 Projectile을 발사하게 함. (3) p1stateno 파라미터로 상대를 Hitdef가 있는 스테이트로 이동시킴. (4) 가장 처음에 발동했던 Reversaldef로 상대의 공격을 반격하여 타겟으로 삼고, 그를 이용하여 상대를 KO시킴. 이쯤되면 보기만 해도 무서운 코드이다.추가로, 뒤에 설명할 "초즉사" 등을 사용하여 공격의 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4.2. 무겐의 코드에 추가적인 프로그램 관련 지식을 첨가한 공격 기술
무겐 자체에 내장된 코드를 쓰되, 추가적인 프로그램 관련 지식이 필요한 공격 기술이다. 기본적으로 16진수 HEX 코드 관련 지식이 주를 이룬다. 이러한 공격 기술은 일반 캐릭터와는 동떨어진 것이기에, 일반 캐릭터를 제작하는 제작자는 추가적인 내용을 배우지 않는 이상은 다음의 기술을 사용하는데 난항을 겪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기술은 일반 무겐과는 꽤나 동떨어진 기술이다.
더불어, 무겐 자체에 내장된 코드가 아닌, 무겐 외적인 요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무겐이 강제 종료된다거나 하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상황에서 빈번하게 발생한다: (1) 코드를 잘못 "설계"할 경우. hitpausetime이 안 들어간 상태에서 초즉사 등에 돌입하면 무겐이 강제 종료된다. (2) 코드를 잘못 "입력"할 경우. 556 개의 null이 필요한 상황에서 개수를 잘못 셀 경우, 잘못된 값을 건드려서 무겐이 강제 종료될 수 있다. (3)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올바른 코드라도 반복해서 사용하다 보면 값을 잘못 건드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무겐이 강제 종료된다.
- 초즉사
강제로 오버플로를 일으켜서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건드리지 못하는 값을 건드리는 코드. 무겐에서는 hitpausetime과 ignorehitpause라는 기능이 있는데, 이 기능들은 스테이트 컨트롤러(약칭 스테컨) 하나마다 대응되며, 총 512개의 공간이 있다. 그래서 스테컨은 일반적으로 최대 512개만을 작동시킬 수 있다. 하지만 hitpausetime이 0보다 큰 경우에는, 512개가 넘는 스테컨이 작동가능한데, 하필이면 일반적인 ignorehitpause 수용 공간을 넘는 553~556번째[윈무겐기준] 공간에 캐릭터의 alive 값이 존재하여, 이를 건드리면 체력이 풀피여도 상대방은 죽어있게 된다. 이러한 초즉사는 주로 두가지 방법이 존재하는데, 첫번째는 "반격", 두번째는 "잡기" 방식이다. 그런데 반격의 경우에는 잘 사용되지 않고, 주로 상대의 의지와 관련없이 초즉사를 작동시킬 수 있는 "잡기"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초즉사 반격의 경우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발동한다: (1) 초즉사 스테이트를 준비한다. 하나의 Statedef에 스테컨 556개[1.0이상은] 가 있으면 되고, 553~556번째[윈무겐기준] 스테컨에 ignorehitpause=1이 되어있다면 준비 완료. 여러 개의 State 중에서 ignorehitpause=1이 있는 것은 해당 코드를 조작하게 되고, 이게 없는 것은 아무런 효력을 발휘하지 않는다 (나머지는 자리 채우기 용도). 마지막에는 초즉사 스테이트에서 나갈 수 있는 ChangeState 또는 SelfState가 있으면 좋다. (2) 값을 조작하고 싶은 대상의 공격을 반격해서 hitpausetime을 주고, 자신의 초즉사 스테이트로 이동시킨다.[16] (3) 이렇게 되면 상대는 Alive 값이 0이 되며 사망한다. 초즉사 잡기의 경우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발동한다: (1) 초즉사 스테이트를 준비한다. (2) 초즉사 직전 스테이트를 준비한다. HitDef에서는, 상대방에게 hitpausetime을 줄 수 없다. 그러므로 상대방이 강제로 Reversaldef이나, 상대 측에서의 HitDef 등을 이용해 hitpausetime을 줄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초즉사 직전 스테이트에는 affectteam=f인 hitdef와[17] , 피격용 헬퍼를 준비한다. (3) 값을 조작하고 싶은 대상을 공격해서 자신의 초즉사 직전 스테이트로 이동시킨다. (4) 이렇게 되면 상대는 자신의 피격용 헬퍼를 치게되며 hitpausetime을 얻게 되고, 초즉사 스테이트로 끌려가 사망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persistent라는 기능을 이용해서 값을 줄이는 것 뿐만 아니라 자유자재로 조작할 수 있다!
- 사실 위에 있는 초즉사는, 활용성이 무궁무진하다. 상대의 Alive 뿐만 아니라, PalNo 다운[18] (1993~1996), Parent 변경[19] (6689~6692), Parent 날조[20] (6693~6696) 등이 전부 초즉사 응용이다!
- 직사
'곧을 직 (直)'자를 써서 '직사'라고 한다. 기존의 초즉사로는 Alive값을 조작할 수는 있지만, 자신의 Alive값만을 조작할 수 있기에 상대를 자신의 스테이트로 끌어올 필요가 있었다. 때문에 많은 제작자들이 자신이 아닌 "상대의" Alive값을 조작해 보려는 시도를 하였으나, 자신의 Alive값을 관장하는 주소는 항상 고정되어있는 반면 상대의 Alive값을 관장하는 주소는 무겐 시작시마다 변하기 때문에 이를 조작하기란 쉽지 않았다. 그래서 나온 의견이 바로 이것이다: 그냥 모든 값에 죄다 간섭해 버리면 그 중에서 상대의 Alive값도 있겠지. 이것이 바로 직사 코드이다. 하지만 그렇게까지 막무가내인 방법은 아니고, 이는 무겐의 데이터 로딩 방식을 이용한 것이다. 무겐은 일정 칸마다 캐릭터가 할당된다. 그러므로 일정 칸(Windows 10, 64비트 기준 약 13832칸)+556(Alive 위치) 을 수정하게 되면 상대를 잡을 확률이 높다. 직사는 이러한 행동을 헬퍼까지 소환해가며 반복한다. 하지만 여전히 주먹구구식의 방법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점이 있다: (1) 무겐이 빈번하게 강제 종료된다. (2) 윈도우 XP가 (당시에 사용되던 운영 체제) 아닌 환경에서는 잘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 Parent 변경
Helper의 Parent를 강제로 변경하는 코드. 응용의 범위가 매우 크다. 통상적으로 상대의 헬퍼에 간섭하는 방법은 상술한 혼선버그를 응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몇몇 경우에는 타겟이 해제될 때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혼선버그를 사용했을 때는 작동하지 않는 Parent 관련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발동한다: (1) Helper 소환. 이를 부모 헬퍼라고 부르자. (2) 부모 헬퍼에서 Helper 소환. 이를 자식 헬퍼라고 부르자. (3) 부모 헬퍼가 스스로 소멸. (3) 상대가 Helper를 소환하면, Null 스테이트가 6692개 존재하는 스테이트로 들어가서, 자신의 Parent id를 강제로 맞춰버린다.[21] 이때 parent,var(0) 등으로 상대의 정보를 보거나, Parent 날조 등을 사용해서 상대 Helper를 강제 조작.
- %n 버그
DisplayToClipboard[22] 명령어의 %n 서식 문자를 활용한다. %n은 지금까지 클립보드에 입력한 문자의 수를 특정 값에 저장하는 기능이다. %n 버그는 이 기능을 통해 무겐의 특정 주소에 있는 값에 간섭하는 기술을 말한다. 하지만 이 기능은 기본적으로 값을 쓰는것만 가능하며 고정된 주소의 값만 건드리기 때문에, 대부분의 값이 포인터 형식으로 이루어진 무겐에서는 그냥 (항상 고정된 주소값을 가지는) 디버그 키만 쓰거나 혹은 후술할 Parent 날조, %f과 같은 방식으로 응용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F1키를 강제로 누르게 하는 것, Esc 키를 강제로 누르게 하는 것 (로딩화면으로 돌아가기) 등이 있는데, 가장 자주 자용되는 건 상대 플레이어 OFF 기능이다.[23] 상대 플레이어를 지우고 후술할 Parent 날조를 사용해서 게임을 끝낼 수 있다.
- Parent 날조
위의 "초즉사"를 응용하되, 다른 값이 아니라 Parent값을 강제 조작한다. 이 코드의 묘미는 Parent값을 상대나 상대의 Helper가 아니라, "아무 것도 없는 무의 공간"에 지정해 버릴 수 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Parent가 상대라면 parent,alive 값은 상대의 생존 유무가 될 것이나, Parent를 상대 플레이어보다 정확히 0x100칸 앞에 지정해 버리면 parent,var(57) 값이 상대의 alive 값에 대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ParentVarSet을 사용하면 게임 끝. 이것이 바로 Parent 날조 직사이다. 말이 직사이지, 기본적인 직사보다 훨씬 안정적이다. 추가적으로, Parent 날조를 이용한 플레이어 삭제가 있는데, 이 기술은 무겐의 데이터 포인터를 추출해와 무겐 자체의 변수에 간섭해 상대를 삭제하는 기술이다. 자세한건 %n Parent 날조의 2번부터를 확인할 것. 그리고, %n을 이용한 Parent 날조 방식이 있는데, 기존 Parent 날조 플레이어 삭제와 방식은 같지만, 훨씬 간단하고 빠른 방식이다. 사용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n을 이용하여 게임에 버그를 일으킨다. 이를 이용해서 바로 초즉사 스테이트로 들어가서 Parent 값을 수정할 수 있다. (2) Parent 날조를 이용해 무겐의 메인 포인터를 가져온다. 무겐의 메인 포인터에는 무겐의 중요한 값들이 거의 다 존재하기 때문. (3) 얻어온 값을 이용해 상대를 상제하고 자신이 강제로 승리한다. 이 외에도 무겐의 중요 포인터를 가져왔으니, 훨씬 많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f 버그
논외급 캐릭터들은 왠만하면 사용할 정도로 강력한 코드. 상술한 %n 코드의 개선판으로써, 아예 어셈블리 코드 자체를 실행시킬 수 있다. 방법은 간단하다: (1) 고정된 주소에 있는 함수 포인터를 강제로 수정한다. 자신이 만든 어셈블리 코드를 읽게 해줄 기능이 필요한데, 이 함수 포인터가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것. (2) 아까 수정한 값의 위치에 %n으로 어셈블리 코드를 쓴다. (3) DTC로 %f, Pos X 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어셈블리 코드가 읽힌다. 주로 사용하는 방식은 상대의 코드를 반영구적으로 날려버리는 루트 딜리터가 있고, 이 외에도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단 이 위에서 %n Parent 날조까지 써가며 썼던 공격들을 쉽게 실행할 수 있고, 캐릭터의 이름 수정과, 시간 조작, 상대캐 직접 조작, RoundState 조작, 심지어는 윈도우 API와 DLL 까지 실행시킬 수 있다.
4.3. 무겐의 코드를 활용하지 않는 공격 기술
무겐의 코드와는 동떨어진 방법을 이용하는 공격 기술이다. 이러한 코드의 특징은, 열었을 때 정상적으로는 읽어들일 수 없는 이상한 문자가 존재한다는 것. 분명 이러한 코드가 무겐에서 돌아갈 리가 없는데 대놓고 적혀 있다면, 매우 높은 확률로 무겐 코드 외적인 공격 기술일 것이다.
안타까운 점은, 이러한 코드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흉악계가 무겐계로부터 점차 멀어지고 있다는 것. 무겐의 코드를 활용하지 않고, 무겐과는 무관한 프로그래밍 지식을 활용하는 것이니 이는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SuperNull을 위시한 해당 코드는 2014년 경 중국으로부터 시작된 것인데, 이것이 시작되면서 '무겐에서의 싸움'이 아닌, '무겐 외적인 곳 (프로그래밍)에서의 싸움'이 된 흉악계의 현실을, L-레이무의 제작자인 drabs가 비판한 바가 있다.[24]
아래 서술된 힙 오버플로우 같은 것들은 해킹 기법의 한 종류이며 외부 명령어가 실행가능한 점등은 실제 CVE 등 보안 취약점으로도 분류되는 부분인 만큼 이 범주까지 들어오게 되면 거의 악성코드라고 보아도 무관하다. 따라서 대비책 없이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다. 실제로 스타크래프트 EUD가 막힌 이유도 외부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있었다는 소문이라고도 하니.
- 클립보드 실행 버그
무겐의 DTC 버그를 이용한 것이다. 무겐의 클립보드는 최대 1024자까지만 존재하는데, %d[정확히는] 등의 문자를 이용해서 1024칸을 넘기게 되면, 리턴 값을 덮어씌우는 게 가능해진다. 여기서 리턴 값을 특정한 값으로 설정하게 되면, 내 문자열을 실행하는게 가능해진다! 그런 고로 어셈블리 코드를 적은 뒤 %d[정확히는] 등으로 버퍼를 오버플로우 시켜주면, 자신의 어셈블리 코드를 읽을 수 있다. 후술할 DBOA(슈퍼눌)이나 외부 캐들보다는 훨씬 약하지만, 1.0 이상에도 쓰일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는 코드이다.
- Def Buffer Overflow Attack(SuperNull/슈퍼눌)
본 게임 시작 전에 작동하기 시작하는 코드. 무겐 시스템의 버그를 사용한다. 일단 DBOA 방식으로 작동되는것은 Top Tier SN, Mid Tier SN, Low Tier SN, SN Def 등등 여러가지가 있는데, 원리는 모두 똑같다. 위의 클립보드 실행 버그처럼 Statedef 옆에 적는 것을 길게 만들어 오버플로우 시켜 ASM(어셈블리)코드를 읽게 하는 형식이다. 밑에 깨져보이는 문자는 사실 깨진것이 아닌 16진수를 ASCII로 변환된것이다. 이 코드는 치트 엔진 같은 메모리 뷰어 프로그램으로 찾아낸 값을 Ollydbg등을 사용해 값을 생성하고, 16진수를 따서 ASCII로 집어넣는 코드이다. 대충 처음 스텟 부분은 [Statedef ?I am the bone of my sword and steel is my body. F2@]으로 시작되는데, 대략 60자 정도의 길이를 가지면 된다고 한다. F2@와 v-@는 뭘 써도 상관 없지만 F2@를 추천한다. SuperNull의 포인터로 사용할때는 F2@가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파일 확장자도 중요한데, st와 cns 둘중 하나를 고르자면 st를 추천한다. cns는 2가지의 return 값이 있지만 st는 하나인데, 오버플에 필요한건 하나의 값이니 st를 쓰는게 좋다. 이제 어셈블리 코드를 쓸 차례인데, 이게 무지막지하게 짜증난다. 기본적인 어셈블리 코드를 짠 다음 그 코드를 실행시킬 코드도 짜야하고, 그 실행시켜줄 코드에는 Null 문자(0x00)가 두개 이상 들어갈 수 없다. 어쨌든 실행 코드까지 짰다면, 모든 0x00문자를 0x0D 0x0A 문자로[25] 바꾼 후, 오버플된 스테이트 밑에 넣으면 된다. 그리고 Need at least one state controller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아무 스텟이나 하나 넣는다. Null로 해도 되고 마음대로. 이렇게 하면 선택됐을때 ASM 코드가 읽혀서, 그 코드가 발동한다. 코드 작성에 대한 건 이쪽을 참고하길 바란다. 대표적인 기능에는 탑티어 슈퍼눌이 있는데, 탑티어 슈퍼눌의 경우에는 선택되는 순간 자신을 제외한 모든 캐릭터를 미리 설정해둔 def로[26] 상대를 바꿔치기 하는것이다. 그리고 SN Def(탑티어 디펜스) 코드등은, 아예 상대의 슈퍼눌을 봉쇄해 버리기도 한다! 이 외에도 ASM을 잘 활용하면, 윈도우 API 콜을 할수 있다던가, 무겐을 껐다 켠다거나, 웹페이지를 열게 할수도 있고, bat 같은 외부 프로그램도 열게 할수 있다.[27] 이게 문제인데, 만약 bat에 컴퓨터 포맷이라던가 그런 코드를 넣는다면... 최근에는 ShellExecute를 사용하거나 DLL 로드도 사용할 수 있으니 캐릭터를 사용하기 전에 좀 알아보고 사용하길 바란다.
이름에 관련된 이야기로, 사실 SuperNull은 외국의 유저들이 DBOA의 원리를 이해하지 못하고, 안에 들어있던 Null스태컨으로 작동한다고 오인해 붙은 이름이다. Top Tier SN, Mid Tier SN, Low Tier SN 등의 'Tier' 역시 그들이 마음대로 붙인것이다. 사실상 SN 코드는 실행순서와 사용가능한 기능엔 차이가 없고 코드를 어떻게 짜느냐의 문제일 뿐. 실제로 코드를 만든 중국은 이 점에 관해 비웃었다.
이름에 관련된 이야기로, 사실 SuperNull은 외국의 유저들이 DBOA의 원리를 이해하지 못하고, 안에 들어있던 Null스태컨으로 작동한다고 오인해 붙은 이름이다. Top Tier SN, Mid Tier SN, Low Tier SN 등의 'Tier' 역시 그들이 마음대로 붙인것이다. 사실상 SN 코드는 실행순서와 사용가능한 기능엔 차이가 없고 코드를 어떻게 짜느냐의 문제일 뿐. 실제로 코드를 만든 중국은 이 점에 관해 비웃었다.
- Heap Overflow(HyperNull/하이퍼눌)
DBOA랑 달리 st가 아닌 def에 코드를 적어 Heap 메모리에 오버플을 일으켜서 무겐의 시작과 동시에 ASM을 불러오는 기술이다. 이 코드는 무겐 내부적으로 작동되는 코드로서는 최강이라고 보면 된다다. 무겐을 키자마자 읽히기 때문이다. 하지만 Heap Overflow는 무겐의 문제점이 아니라 컴퓨터의 문제점인데, 아직 윈도우 7 이상에서는 그 취약점을 무겐에 적용시키지 못해, 현재로서는 xp에서만 돌아가는 코드이다.
- 외부 기술 활용
이것은 외부(exe, bat, vbs 등)를 이용한 방식이다. 당연히 무겐 내부에서 읽히는 슈퍼눌/하이퍼눌들보다 강력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개중에는, 바이러스가 존재하는 것도 있고, Anti-Malware부터는 확실히 위험하니 사용할때 매우 주의하길 바란다.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 Postman
bat로 적을 교체하는 간단한 외부 기술이다. 원리는 상술했던 %f나 슈퍼눌/하이퍼눌 등을 이용해서 bat을 키는데, bat에는 mugen을 실행하는 코드가 있다. 하지만 당연히 그냥 실행하는 건 아니고, 무겐의 인자값을 활용해 자신이 설정한 약해빠진 def와 재대결을 펼치게 하는 것. 이러한 특성(%f, 슈퍼눌 등을 이용해 실행)으로 인해 후술할 다른 외부 캐릭터들보단 약하지만, 그래도 외부는 외부라 은근 쎄다. Goddesl 등등의 bat이 이 기술을 사용한다.
- Letter
vbs 파일을 이용해서 무겐을 키는 기술이다. 상술한 postman과 비슷하다고 보면 되나, vbs의 특성상 더 많은 걸 사용할 수 있다.
- Secretary
postman과 효과는 비슷하지만, 이것은 무겐 exe를 열고 캐릭 전용 exe를 열어야 하는 형식이다. 이쯤이면 하이퍼눌보다도 먼저 무겐에 간섭하거나, 아예 하이퍼눌을 뚫어버릴 수 있는 레벨. 이 Secretary의 원리를 설명하자면 게임 트레이너의 원리로, 무겐의 코드나 데이터를 강제로 수정해 이길 수 있게 만드는 방식이다. 이것 역시 주로 상대를 교체한다. Akane-Inuwaka-secretary같은 캐릭터가 이 기술을 사용한다.
- Omed
기본적으로 SuperNull을 사용하나, exe, bat, vbs 이 셋 중 하나를 합친 기술이다. 쓰는 캐릭은 Gaster.exe가 있다.
- Assembly
위에서 말하던 어셈블리 코드와는 사뭇 다른 것으로, 아예 자기만의 mugen.exe를 지니고 있다.
- Retrace
그냥 아예 적의 파일 자체를 바꿔버리는 캐릭터이다.
- Whale
Whale은 사실 캐릭터를 키는게 아니라 웹사이트의 형태로써,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무겐 영상을 띄워 이긴 상황을 보여준뒤, 캐릭터를 다운받아 무겐을 실행한다.
- Frost
Omed의 업그레이드 버전인데, 무겐의 기본 프로그래밍 언어인 C언어가 아닌 C#을 사용하고, 많은 양의 exe를 사용한다. 중요한 점은 작업관리자 / taskkill 등을 막는다는 점이다. 그러니까 이 시점부터는 아예 편하게 쓰게 위해 가상머신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애초에 바이러스 위험도 있으니... 사용 캐릭으로 End_V2.exe가 있다.
- Anti-Malware
이쯤되면 진짜로 골치아픈 캐릭터이다. 아예 컴퓨터 시작 시점에 같이 켜지는데, Alpha 버전은 Autorun.inf를 사용해 자동으로 실행되는 캐릭이고, beta는 레지스트리 등록으로 켜지는 캐릭이다. Beta의 경우에는 모든 프로세스에 다 침투할 수도 있다! 만약에 그런 놈이 바이러스를 품는다면... 사용 캐릭으로는 R-Donald Lunatic Catastrophe 외부, 현실 도날드 무 외부, Abraxiel, Raphael 등등이 있다.
- Dragon
절대 쓰지 마라. 키는 순간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강제로 바이러스를 다운로드 하여 같은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컴퓨터를 싹다 죽여버린다. 참고로 포맷만 하는게 아니라 컴퓨터 내부 장치에도 피해를 줘서 정말 새 컴퓨터를 바로 사게 해준다. 공격하는 방식에 따라 WAN/MAN/LAN/SAN 등이 존재한다. 이 코드를 쓰는 캐릭터는 현실 도널드 파, 현실 도널드 해, 현실 도널드 영, 현실 도날드-추억- 등이 있다.
4.4. 예시 동영상
[28]
5. 그 외
흉악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캐릭터는 미즈치, 도날드, 동방 프로젝트 등이다. 특히 미즈치는 오리지널 승리 포즈를 기본 뉴트럴 포즈로 해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이런저런 쓸데없는 캐릭터 장식도 붙어있어서 프레임 저하현상도 잘 불러일으킨다. 기이한 포즈와 함께 신급 존재라는 캐릭터 설정이 인기의 이유인듯.
그리고 도날드는 아마 초특급 병맛 광고의 특징이 이미지를 잡아주고 특히 그가 남긴 두 팔을 올리고 외친 포즈인 란란루라는 특유 포즈가 나름 웃기고 유명해서 개조를 자주 당한다. 특히나 언제부턴가 죠죠서기가 많이추가되어 개조되는 도날드가 많아졌다.(대부분 광급 이상 도날드는 이자세를 취한다.) 또 그의 패스트푸트 절대 라이벌과 함께 개조되는듯하다.
그 외에도 각종 보스 캐릭터들이 흉캐 소재로 잘 쓰인다. 그중에서도 오로치가 미즈치와 함께 투톱. 사실 굳이 보스 캐릭터가 아니더라도 무겐 제작자의 취향에 따라 일반 캐릭터를 흉캐로 만들기도 한다.
또한, 동방프로젝트나 이터널 파이터 제로의 캐릭터들도 자주 개조당한다. 특히 츠키미야 아유, 영원의 소녀는...
그러나 전혀 손을 대지 않고도 흉캐의 반열에 올라간 캐릭터가 있었으니...바로 제너럴과 칸나 비노 미코토가 되겠다. SVC Chaos의 보스들도 거의 흉캐급의 성능을 자랑한다. 특히 레드 아리마는...
신 이상의 캐릭터들은 뒤에서의 살상력과 내성의 격돌이 중심이 되기 마련이므로 심심하게 보이지 않기 위해 이런저런 화려한 이펙트들이 자주 사용되는데, 이름에도 이런 이미지를 살리는 하이퍼, 갓 등의 수식어가 들어가곤 한다.
캐릭터 선택 시 누르는 버튼에 따라 캐릭터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팔렛 기능이 변수 트리거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 일반캐릭터나 그냥 사기캐릭터였던 캐릭터가 팔렛에 따라 흉캐가 되는 경우도 있다.
무겐을 순수하게 대전 게임으로서 즐기는 플레이어들 사이에서의 평가는 좋지 않다. 많은 이펙트와 헬퍼 등으로 인해 왠만한 컴에서도 버벅대고 전술했듯이 강제로 약점을 심어서 보내버리고 그걸 또 막고 하는 것은 거의 버그를 이용하는 것이나 다름없다.[29] 실력파 프로그래머들이 자신의 실력을 어필하고 싶은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왜 굳이 무겐에서 그 실력을 보여서 무겐의 인식을 추락시키느냐는 것이 요점. 때문에 그러한 플레이어들이 가장 증오하는 캐릭터가 흉캐다. 보통 밸런스를 중요시 여기는 유저들이나 격투 게임의 2차 창작물(주로 KOF 시리즈)로서 무겐을 접한 유저들이 저런 반응을 많이 보인다.
다만 무겐 자체가 순수한 대전 게임이 아닌 대전 게임 '''툴'''에 가까우며, 일반적인 대전 게임의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흉악 캐릭터들의 화려한 대전을 감상하는 것도 무겐을 즐기는 방법의 하나에 불과하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자신이 원하는 대로 만들고 꾸밀 수 있다는 게 무겐의 특징이자 장점 중 하나인 만큼, 무겐의 내부 시스템을 한계까지 파고들거나 개연성 등을 신경쓰지 않고 만들고 싶은 것을 만드는 것도 어디까지나 개인의 자유이다. 한 마디로 '''맘에 안 들면 안 쓰면 그만'''. 밸런스 조절 자체가 자신의 무겐을 만드는 플레이어 본인, 토너먼트 등의 대전 영상을 제작하는 제작자 한 명에게 달리게 되는 만큼 흉악 캐릭터들로 인해 무겐이라는 컨텐츠 자체에 안 좋은 인상이 박힌다는 것도 애매한 문제다.
또한 흔히 MUGEN 내에서 사용되는 흉악 계열의 기술(記述)들은 프로그래밍과 관련은 있을지언정 어디까지나 무겐에서 사용되는 것들로, 무겐 내의 여러가지 시스템 및 버그들을 연구한 끝에 탄생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이에 대한 별도의 조사와 도입이 필요한 외엔 제작 과정 자체는 일반적인 캐릭터들과 크게 다를 바 없다. 팔렛 기능을 이용해 팔렛에 따라 일반적인 캐릭터와 광, 신 이상의 캐릭터를 겸하고 있는 경우도 잦다.
6. 흉악 캐릭터 목록
이 흉캐 리스트에는 한국 내에서의 흉캐 기준에 따라 광 캐릭터 이상이 나열되어있으며, 그 아래 등급의 흉캐는 아예 없거나 '''조건이 약간 모자란 흉악캐릭터''' 항목에 따로 나열되어있다. 물론 아래의 캐릭터 목록은 그 일부에 불과.
2017년 기준으로 논외 캐릭터들은 딱히 최강자가 '''없다.'''
구 최강자라고 할 관음신, L레이무가 있었지만, 현재 나오는 흉캐들은 이들을 가볍게 압도한다. 관음신들을 능가하는 논외캐릭터들의 양산으로 인한 엄청난 파워인플레로 인해, 과거 신급이던 캐릭터들 대다수가 광급으로 등급이 하락했다. 과거 무겐계 등급과 현 무겐계 등급은 차이가 극심하다. 그렇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엄청나게 올라갔다. 결국, 최상위권은 미묘한 차이들만 있고 자리싸움으로 끝난다.
본 목록은 사용하는 코드를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코드에 대해서는 위의 공격 기술 목록을 참조.
6.1. 무겐의 코드를 활용한 공격 기술만을 사용하는 캐릭터
다음과 같은 캐릭터가 이 항목에 들어간다: (1) 수백 내지는 수천개의 null이 존재하지 '''않아야'''하고, (2) 무겐 1.0 이상의 버전에서 플레이할 수 있어야 하며[30] , (3) 무겐에서 읽을 수 없는 '''외계어''' (꺠, ?v 등)가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 갓 마가키
mapelao 제작, CNS에서 '공격형'or'방어형'을 설정할 수 있다. v2 버젼도 있다.
- 갓 미즈카
SAMSARA 제작, skeleton이 제작한 패치도 존재한다. 적용하면 12P의 공격력이 상위 신까지 올라간다.
marancv 제작, 이름과는 다르게 광 하~중위 캐릭터.
- 갓 오로치
전설의 흉악 캐릭터. 12P로 고를시 즉사 공격을 남발한다. 버전이 여러가지가 있다. 정식 최종 버전은 1.12t.
PP의 AI패치 적용 버전 한정. 6P는 분신 2개가 나와서 함께 싸우며, 본체에는 상시 반격 모드가 걸려 있어서 근접 공격은 거의 불가능하다. 광 중~상급 정도 될 듯. AI패치를 적용하지 않은 Zelgadis의 원본 구스타프도 광 하위~흉 최상위 정도는 된다.
lunatic 제작. 전설적인 흉악 캐릭터로서, 나올 당시 팬텀과 함께 양대산맥이었다. 초창기에는 귀무녀 12P의 즉사격파가 많아져서 저평가 받았으나, 그건 전용 대응 킬코드가 있었기 때문이고 범용적인 킬코드로는 잡기 매우 힘들다. 12P는 엄청나게 정교한 방어력을 지녀서 전용 킬 코드를 만들거나 시작전부터 상대 캐릭터를 지워버리지 않는 이상 K.O되지가 않아서 최근에 재평가를 받았다. 귀무녀 자체는 이후에도 넘버링을 붙여 꾸준히 갱신되었으나 이 구버전도 남아있다. 12P의 경우 나온 시기에 비해 다른 비슷한 시기의 흉악 캐릭터들에 비하면 비정상적인 KO를 막아내는 레퀴엠이라는 자체 방어 성능 때문에 수비력이 무지막지하게 높아서[31] 귀무녀를 못 잡는다고 무조건 귀무녀보다 공격력이나 방어력이 낮다고 단정할 수 없다. 다만 아무리 그래도 구버전이라... 지금은 신상위 중에서도 낮은 난이도의 격파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물론 예전의 흉악캐릭터가 대부분 어떤 위치에 있는지 생각해보면 여전히 대단한 캐릭터.[32]
- 2nd 데스스타
OTHK 사용 캐릭터. var을 이용하여 라이프를 관리하기 때문에, 혼선 버그로 이 var를 파악해서 건드리거나, parent 변경으로 이 var에 간섭하는 방법 등으로 격파 가능하다.
- 레전드 오지터
오메가 톰 행크스와 함께 무겐계를 양분했던 과거 최강급의 논외 캐릭터. 물론 톰 행크스가 깨지면서 같이 내려왔다(...). 그래도 썩어도 준치라고 아직도 광 캐릭터 최상급은 된다. 2.5버전과 2.9버전이 있는데 2.9버전은 패배시 무겐이 강제 종료된다. 때문에 영상에 나오는 오지터는 보통 2.5버전이다.
- 오니왈드
오니 (귀신) + 왈드 (오스왈드)의 합성어. 일본식 명칭인 오니와루드로 더 잘 알려져 있다. 12P는 방어 시스템이 꽤나 철저해서 이 녀석을 척살하느냐 마느냐를 흉악 캐릭터의 레벨을 판단하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 오메가 톰 행크스(OTH)
최초의 흉악 캐릭터. 매우 유명한 흉악 캐릭터이며, 이 캐릭터를 격파하는 코드 (OTHK, 오메가 톰 행크스 킬러)의 여부로 흉악 캐릭터의 레벨을 판정하기도 한다. 별로 강하진 않지만, 별다른 공격 없이 가만히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오히려 격파하기가 더 힘들었다. 따라서, 옛 흉악계의 난공불락의 산맥이었으나, 다크 아테나 3rd가 OTHK 코드를 최초로 장착함으로써 격파에 성공하였다. 싱하형, 빵상아줌마, 이명박 대통령 등 다양한 개조버전이 등장했다.
- 보스 이그니스
Ahuron 제작, PP 개조. 1~11P는 적절히 강한 광 캐릭터이나 (11P는 특수 효과가 붙는다), 12P는 흉악 캐릭터이다.
- 보스 싸이퀴컬
Zelgadis 제작, PP 개조, 1P는 광 중급, 12P는 방어력 한정 준 흉악 캐릭터. 참고로 7P부터 즉사 기술을 쓴다. 원래는 싸이퀴컬에 AI 패치만 적용한 것에서 출발하였으나, 이름을 바꾸고 팔렛도 듀오론처럼 바뀌더니 흉악 캐릭터가 되어 버렸다.
- 보스 오리지널 제로
마찬가지로 PP가 개조한 버전. 6P는 기 무한이고 12P는 흉악화.
- 싸이코 슈레더
전설적인 흉악 캐릭터이다. 옛날 캐릭터인만큼 성능은 강하지 않다. 방어 코드가 특이한 편.
꾸준히 업데이트해서 나오고 있는 논외급 캐릭 성능에서 이펙까지 논외에서 알아주는 모양. 과거에는 죽는 것과 동시에 무겐을 일부러 강제 종료시키는 (무한 루프 활용) 악랄한 캐릭터였다.
- 한마 유지로 - 1p는 흉 상위, 7p는 광중급 팔렛으로 체력이 일정 이상 깎이면 시간이 잠시 정지된 뒤 대사와 함께 체력을 회복하며 기 게이지 수급량이 상승하게 된다. 12p는 광최상급으로 슈퍼아머가 항상 적용되며 기술들이 전부 강화된다. 이 덕분에 →(or ←)Y 입력으로 실행되는 반격은 초사이언 4 블루 베지트가 한방이다! 도트를 직접 찍은 캐릭터 치고 원작 재현이 상당히 잘 되어있어 이래저래 잘 만들었고 인기도 높은 캐릭터.
- A-BOMB
OTHK 장착. 나왔을 당시엔 일본 외에서 OTHK를 달고 나온 최초의 캐릭터였다. 두 가지 버전이 있는데 (하나는 체력이 2, 다른 하나는 4), 체력이 적은 것은 구버전으로서 방어력이 비교적 약하다. (특정 코드로 파훼 가능.)
- A-BOMB MK2
SAMSARA 제작. A-BOMB을 개조한것으로 방어력이 매우 강화되었다. (그리고 발이 달려있다. 썬글라스도 쓰고있다!)
다크룰러 제작. 국산 흉악 캐릭터. 특이하게도 스프라이트가 일러스트 1장 뿐이다. 공격력은 준 신급. 수비력은 준 논외.
리버설과 OTHK, 초즉사를 사용하며 2018년 논외 캐릭터가 잔뜩나온 현재는 그저 과거의 흉악 캐릭터 A에 불과하지만 상당히 낮은 공격력에 비해 방어력이 의외로 강해서 놀랍게도 2013년 등장 당시만 해도 공개된 한국산 흉악 캐릭터 중에서는 상당히 강한 편에 속했다.
리버설과 OTHK, 초즉사를 사용하며 2018년 논외 캐릭터가 잔뜩나온 현재는 그저 과거의 흉악 캐릭터 A에 불과하지만 상당히 낮은 공격력에 비해 방어력이 의외로 강해서 놀랍게도 2013년 등장 당시만 해도 공개된 한국산 흉악 캐릭터 중에서는 상당히 강한 편에 속했다.
- F1
무겐에서 디버그 모드를 해제하지않고 키보드에 있는 F1을 직접 눌러보면 상대가 끽소리도 못하고 죽어버린다. (일부 F1, F2같은 단축키에 의한 라이프 변화에 내성을 가진 캐릭터도 있다. ) (1p캐릭터를 즉사시키려면 컨트롤+F1을 사용해야한다) 바로 이것을 반영한 캐릭터이다. 국내에서는 무겐계의 신이라고 난리가 났지만 피격판정이 없는 캐릭터에게는 무용지물. 참고로 캐릭터 자체 용량도 무겐계의 많은 캐릭터들 중 가장 낮은편에 속한다. [33] 최근에 나오는 흉캐에겐 씨알도 먹히지 않는다.
- GM(Grand Master) 스와코
lunatic이 이펙트 테스트 겸 만든 캐릭으로 공격력, 방어력이 그렇게 높진 않다. 다만, 이펙트는 약간 화려하다. 그래도 10p가 광 상위 최고봉 심사위원으로 곧잘 쓰인다.
오키하이토 제작.[34] 줄여서 '크카'로도 불린다. 1P부터 10P까지와 12P[35] 도 강하지만 11P는 논외 등급이다. 여담으로 귀무녀가 상대면 귀무녀에게 세전내 는 이벤트가 뜬다. 설정상 귀무녀와 결혼하고 싶다고 한다...
오키하이토 제작. 레이무 개조캐릭터다. 옵션조작을 하면 논외 하급까지 가며, 대부분의 초필살기가 흉악한 성능을 자랑한다.[36] 사실상 동방 개조캐릭터 중 최상위권에 위치한다.
- Overkill
캐나다의 한 제작자가 Crazy Catastrophe의 스프라이트랑 사운드정도만 바꾸고 릴리즈한 흉악캐릭터.
- Sawaki-chan
사이코 슈레더 개조 캐릭터. 전체적으로 사이코 슈레더보다 효과가 더 추가됐는데. 전체적으로 금색톤 & 금색 이펙트가 추가되었다.
- S사쿠야
오키하이토 제작. 이자요이 사쿠야 개조 캐릭터다. 사쿠야가 정체를 알 수 없는 스탠드를 꺼내고, 시간을 변속하며 싸우는데 미친 성능을 자랑한다. 초필 발동 시[37] 에는 대부분의 흉악 캐릭터들에게 승리를 거둬내는 상당히 강한 캐릭터. 다만 동일제작자의 m레이무, 악법의 마녀에 비햐 살상력은 많이 떨어지는편이다. 또한 반사코드도 있는지 몇몇 캐릭터(ex 크림슨 아이. 아카드 등)가 강한 공격을 날리면 오히려 역으로 죽여버린다.
- 악법의 마녀(Wicked Law's Witch)
동일 제작자의 캐릭터인 Crazy Catastrophe12P를 순식간에 척살하며 S사쿠야도 헬퍼를 감지하면[38] 척살해버린다. 동방개조캐릭터 중에서 무시무시한 캐릭터 중 하나.
6.2. 무겐의 코드에 추가적인 프로그램 관련 지식을 첨가한 공격 기술을 사용하는 캐릭터
다음과 같은 캐릭터가 이 항목에 들어간다: (1) 수백 내지는 수천개의 null이 존재하거나, (2) %n이라고 쓰여진 부분이 존재하지만[39] , (3) 무겐에서 읽을 수 없는 외계어 (꺠, ?v 등)가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 관음-F4Bug
%n 버그가 한창이었던 당시, 흉악계를 양분했던 캐릭터가 바로 'L-레이무' (drabs 제작)와 '관음신' 시리즈 (ydccdy 제작)였는데, 그 관음신 시리즈 중의 하나이다. 무겐에서 F4키를 누르면 타임 오버가 되는데, %n을 이용해서 이를 구현한 캐릭터이다. 꾸준히 논외 자리를 지켜오고 있는 관음신 시리즈 중 하나. 타임 오버용 캐릭.
- 관음-1.5
관음신 시리즈 중 하나. 공격 타입으로는 타임오버방지+parent 변경식 직사버그 정도.
- 관음-PASS
%n 및 이를 이용한 parent 변경 직사를 사용한다.
- 관음-Ghost
관음신 시리즈중 가장 방어력이 강력한 캐릭터.
- G- 관음-the kill- 관음 1.5를 초살하는 관음신.
- 관음-Maki - %n을 발라놓은 관음신이다.
- 귀무녀 I
Parent 날조 직사 + Parent 날조 플레이어 삭제를 사용한다. 게임 내의 이런저런 변수를 건드리기에 게임이 강제 종료될 확률이 높다. 아래는 패턴 소개이다:
- 게임 시작 직후 Helper를 최대한으로 소환, 이로써 상대방의 Helper 소환을 억제하는 동시에 아군의 Helper로 Parent 날조 발동. 상대방의 Alive값과 플레이어 인식 스위치에 간섭하여 "0"으로 만든다. 따라서, 상대는 시작하자마자 아무 것도 못하고 KO 당한다.
- 귀무녀 I-R
- 귀무녀 R
귀무녀의 강화판. 혼선 버그 및 응용 기술로 무장한 캐릭터. 아래와 같은 패턴을 구사한다:
- RoundState=0 (게임 시작 직후)
혼선 버그 작동 개시. 이와 동시에 일부 캐릭터 (이그니스 언노운 등)를 상대로 백신 발동.
- RoundState=2 (인트로가 끝나고 싸움이 시작되는 순간)
"킹 크림존" 발동. 이는 아주 간단한, 공격력 최대값 (16진수로 0xFFFFFFFF)의 일반 공격이다. 평범한 캐릭터는 여기에서 즉사. 이후 상대방의 변수 (var 및 fvar값)를 체크하며 중요한 변수 파악 (성공률은 높지 않다). 파악이 성공하면 중요한 변수를 건드려서 상대 캐릭터를 공격.
- RoundState=3 (경기 종료 이후)
타임 오버를 대비해서 최력 최대치 회복.
- 귀무녀 X
Parent 변경 (날조와는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상대방의 변수를 읽어낸다. 패턴은 귀무녀 R과 비슷하지만 상대방의 변수를 읽어내거나 조작하는 능력이 훨씬 강하기 때문에, 같은 캐릭터를 상대로 싸우더라도 귀무녀 R보다 훨씬 빠르게 처리하고, 귀무녀 R이 격파 못하는 상대를 격파하기도 한다. 비슷한 캐릭터로 H-레이무 (진심 레이무)가 있으니 참조.
- 귀무녀 Z
직사 버그 사용 캐릭터. 아주 간단한 형태의 직사를 사용한다. 방어 코드가 허술하다면 KO 당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수확을 거두지 못한다. (그리고 무겐이 잘 꺼진다...)
- 귀무녀 Z-R
Parent 날조 직사 버그를 사용. 기존의 직사 버그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정확하고, 안정적이다.
- 귀무녀 Z-RR
흉악캐릭터중 유일하게 신무겐 (1.0)에 대응하는 흉악캐릭터. 논외급. 위의 귀무녀 Z-R을 1.0에 대응하도록 코드를 수정한 것이다.
- 글로리아 : 사쿠야 기반 개조 캐릭터. 도트가 상당히 바뀌었고 팔렛의 따라 성능이 다양해진다. 11P, 12P는 중위 신. 11p는 강손의 직사형 공격(null 개수는 7000개 쯤. Parent 날조 직사로 추정된다.)과 12p는 순식간에 AI 기반으로 폭딜형 폭격을 해대며 즉사 필살기를 써댄다. 12p가 지면 다음라운드에 11p 로 되며 12p 랑 직접 붙여본 결과 11p가 더 강하다. 참고로 글로리아 캐릭터의 인겜 일러스트는 전부 픽시브에서 찾을 수 있다.
- 뉴 카쿄인 : %n 코드를 덕지덕지 발라놓은 캐릭터. 설정상 공포를 극복한 카쿄인이다.
- 디버거
최초의 직사 버그 사용 캐릭터. 흉악계에 충격과 공포를 가져온 캐릭터이다.
Rel 제작. 제작자가 루이즈 광팬이다.[40] 다음의 세 가지 버전이 존재한다:
- 넨드로이드 스케일 (2등신) 버전
히나나위 텐시의 도트를 수정하여 만든 버전. 12P로 고르면 황금색으로 변하면서 흉악 캐릭터가 된다. 공격력은 꽤 강력한 편. 참고로, 코드가 굉장히 알아보기 힘들게 작성되어 있다...
- 정상 스케일 버전
토오노 아키하의 도트를 수정하여 만든 버전. 가장 강한 팔렛이 광 캐릭터 정도이다.
- ???
루이즈가 드래곤에 탄 모습. 기본 팔렛부터 광 캐릭터 수준.
현재 셋 모두 제작자 블로그가 사라지면서 공개 중지 상태가 되었다.
현재 셋 모두 제작자 블로그가 사라지면서 공개 중지 상태가 되었다.
- P-Clown : 일본인 제작자 NeST(구 Sustina)가 만들었으며, 5가지의 AI 스타일[41] 과 6가지의 형태[42] 가 있다. 역시 도날드를 베이스로 하여 제작되었으며, 제작자가 제작자인지라 퀄리티가 굉장히 뛰어나다. 통상 형태부터 광 하위이며, 진·광인화 형태[43] 는 광 최상위~신 하위, 마지막 형태인 명왕재림[조건] 은 신 하위이다. 상술한 The Will of Hades, _Punisher등 일부 Sustina 제작/관련 캐릭터와는 라이벌 설정이 되어있어 특수한 대사가 나온다.
- 베지터-st : 일본인 제작자 Sustina가 만들어서 베지터 ST이다. 11p가 베지트 블루이고 12p는 신 블루진화변신 베지터로 신 급이다. 베지트 블루가 공격력이 좀 더 강하다.
- 리미터 컷 브로리 - 나이트메어 브로리를 베이스로 개조한 흉악캐릭터. 척살력이 훨씬 강화되고 도트도 새로워졌다. 12p가 신중위.
- 리미터 컷 브로리 갓 에디션 - 리미터 컷 브로리의 제작자가 리미터 컷 브로리를 더욱 더 강화한 버전. 한때 신최상까지 올라갔지만 얼마 전까진 격이 많이 떨어진 상태였다. 하지만 최근 갱신이 이루어져서 다시금 왠만한 현역급 신상위로 떠올랐다.
- 마시로팡
lunatic 제작. 성능은 귀무녀 R보다 강하지만, 귀무녀 X보단 약한 정도이다.
- 유녀 마시로팡
일본어로 '유녀'는 '어린이'이다. %n 플레이어 삭제 및 parent 날조 직사를 사용한다. 아래는 참고사항:
- L-레이무, 관음-PASS, 유녀 마시로팡. 이 셋은 동급이다. 무겐 외적인 코드를 사용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이 가장 강력한 공격력을 지니고 있다. (서로 싸울 경우, 1P(왼쪽)에 있는 캐릭터가 이긴다. 코드가 먼저 적용되기 때문이다.)
- 그러나, 유녀 마시로팡의 경우, L-레이무와 관음-PASS와는 다르게 승리 후 %n을 이용하여 승리 수를 조작한다. 이를 통해 한 번만 이겨도 2승을 가져가게 된다. (단, 2승 이후에는 1승씩 오르도록 코드가 짜여 있다.[44] )
- H-레이무[45]
원래는 Parent 날조 버그가 처음 나왔을 때의 테스트용 캐릭터였으나, 시험적인 기술을 장착하다 보니 엄청나게 강해진 케이스. OPTION 파일에서 Parent 날조 여부를 조정할 수 있으며, ON으로 해두면 공격력이 상당히 강해진다. 그러나 OPTION 파일에도 써있듯이 (일본어로 써있지만...) 직사 버그를 ON으로 하면 무겐이 강제 종료될 확률이 크게 증가한다.
- L-레이무
drabs 제작. %n 버그를 이용한 parent 날조를 최초로 도입한 캐릭터이다.[46] 관음신 시리즈와 함께 한때 무겐 최정점에 올랐던 캐릭터. 상대 캐릭터를 시작하기도 전에 아예 도트 하나 안 보이게 지워버리는 무시무시한 캐릭터이다. %n 버그로 상대방 캐릭터 존재 여부를 OFF로 하고, Parent 날조 직사를 사용하여 상대를 KO 시킨다.
- Excellent Donald beta : 현재 무겐을 접은 일본 프로그래머가 만든 것이다. Dark Excellent Donald라고 불리는 5.0 이하 버전[47] 까지는 다크 도날드의 전체적인 성능을 업그레이드 한 상위호환 버전이다. 일부 공격이 유도가 되었으며 시간정지, 표식 공격, 분신 소환등이 추가되었고 도날드 매직(빔), 폭탄 소환 기술등이 강화되었다. 12p의 경우 개막시 변형된 해피 나이트메어를 시전한다. 5.0이후 버전부터는 상대의 공격성능과 방어성능에 따라서 자신의 공격력이 달라지는데[48] , 상대가 흉급 정도일 경우 그나마 정상적인 공격을 하는데 상대가 광급으로 넘어갈경우 갑지기 레벨이 오르면서 즉사기가 추가되고 전체적인 공격성능이 상승하며 시간정지도 사용하기 시작한다. 또한 상대가 갑자기 강한 공격을 날릴 경우 갑자기 레벨이 급상승한다. 어느 정도 레벨이 올라가면 공격안해도 알아서 방어 성능이 낮은 캐릭터들이 죽는다. 레벨이 엄청 올라갈경우 분신소환 등등을 사용하며 최고레벨의 경우 11p와 12p상태에서 사용하는 마법까지 사용한다. 게다가 def파일에서 trigger80을 친 다음 살짝 밑으로 내려가서 옵션을 조작해 13p룰만들기가 가능한데 이럴경우 1~12p 상관없이 시작 모션이 고정되며, 그랜드 크로스 모드를 켤 시에는 시작하자마자 적 캐릭터를 척살시키고 승부수를 조작해 바로 2라운드도 승리 판정을 받게 한다. 그런 수많은 성능 때문인지 용량이 350MB를 넘어간다.
6.3. 과거엔 흉악 캐릭터였으나, 더 이상 흉악 캐릭터로 분류하지 않는 캐릭터
다음과 같은 캐릭터가 이 항목에 들어간다: 전화면 즉사공격 사용시 살아남지 못하는 캐릭터.
기본기가 즉사기
- 마스터 기스
2007년에 나온 캐릭터로 2013년 신 버전 패치가 나왔다.[49] 물건너에서는 엘크와 함께 광 캐릭터의 기준이기도 하다. (AI 레벨 4+기 게이지 상승모드 ON시. 보통 영상에 나오는 마스터 기스는 이 상태이다.)
체력이 절반에서 3분의 1정도로 떨어지면 비상 자동 즉사기가 나온다. 물론 모든 필살판정이 전체공격이면서 뎀지가 하나하나가 세긴해서 라이토와 함께 얼마까지 최강이라는 소리까지 나온적이 있으나 피격 판정이 없거나 슈퍼아머를 단 캐릭에겐 곧바로 밀린다. 그리고 요즘엔 꾸준히 업그레이드한 패치와 신버젼도 있다.
AI패치 버전 한정. AI패치 제작자마다 다르지만 최대 광 중급까지 간다.
PP 제작 버전 한정. 1P~5P까지는 완전히 미친 AI를 갖고있고 게다가 6P는 그 AI에서 더 강화돼서 기가 무한(!) 이다. 니코니코동화 무겐 토너먼트 등에서도 아주 가끔 광급 토너먼트에서 눈에 보인다.
기본 한정, AI 패치를 넣으면 광급 캐릭터로 올라간다. 이론상 무한콤보 가능, 공격 반사, 순간이동급의 이동기, 야비한 장풍기(상대방 위치에 회오리를 소환시킨다. 심지어 콤보로도 이어진다.) 등이 있다.
모든 기술이 즉사기라서 유머 동영상으로 격투게임 최강의 캐릭터라고 알려진 적이 있으나 공격을 하기전 이름을 적는 모션이 있다. 즉 선딜이 꽤 긴 편이다. 게다가 공격받으면 경직되기 때문에 상대방의 성능이 이름을 적기전에 라이토를 피격 판정내에 넣을 수 있을 정도거나 피격 판정이 없다면 무용지물이다. 게다가 상대가 무적코드 있으면 안먹힌다.
- 스칼렛 데빌
2010년 전후 시점에 등장한 레밀리아 개조 캐릭터. 옛날부터 7P, 흉~광 하위의 경우 11P만 사용되는 경향이 있는 캐릭터이고, 현재도 광 상위의 대표 캐릭터+각종 광 대회에 7P만 사용되고 있지만, 12p도 AI레벨을 어지간히 내려놓지 않으면 광최상위는 그냥 씹어먹는 광 상한캐릭터이다. 하지만 내성수준이 생각보다 많이 낮다는 점이 약점이 되어 광 상한중에선 제일 밑바닥.
- 야가미 이오리(KOF 97버전)
PP 제작 버전 한정. 성능은 원작 그대로에 약간 개조 되었을 뿐인데 광 캐릭터가 됐다. 참고로 달밤에 오로치의 피에 미친 이오리 버전도 따로 공개되어 있다. 6P는 기 무한이다.
- 제로 콜
안 그래도 강한 놈인데 강화 패치까지 있다!! 이 강화 패치를 적용시키면 광 상위까지 간다.
기본 한정, AI 패치를 넣으면 광급 캐릭터로 올라간다. 이론상 무한콤보 가능, 게이지 번, 즉사기 2개, 투사체와 마법딜 무효기, 전신을 슈퍼아머로 만드는 기술까지있다.
다만, 캐릭터를 조금 손보거나 컨트롤 하는사람에 따라서 충분히 광급 캐릭터로 올라간다. 부활(!), 강력한 스킬대미지, 경직기, 가불잡기, 무콤가능, 게이지 번, 전신 무적기, 즉사기 2개(정식 스킬로 두가지가 있고, 스킬중 북메이커로 코드가 약한 슈퍼아머 캐릭터를 즉사시키는 버그가 있다.)라는 일반 격투겜이였으면 난리날 옵션을 가지고 있지만 여긴 무겐(...)이다. 사실 콤보만 들어간다면 왠만한 캐릭터는 다 조질 수 있다. 미소기의 또다른 개조 캐릭터인 알몸 에이프런 선배는 신급까지 간다.
- 하이퍼 브로리
The Necromancer의 브로리를 개조한 캐릭터. 등급은 광 하급. 원본이 된 The Necromancer의 브로리도 비슷한 성능과 AI를 갖고 있다.
필살과 초필살 공격이 전체 판정이며 잡기 면역 있고 12p에는 자동 체력 회복이 들어있다. 이렇게 성능이 들쭉날쭉한데 피격 판정이 있다는게 나름 신기할 정도다.
- Bloo
K'의 개조 캐릭터. 아래의 hazakura라는 제작자의 K'보다는 약간 딸리지만 그래도 모든 강화 옵션전부 ON + AI레벨 최대로 맞춰놓으면 광 캐릭터로 돌변.
hazakura라는 제작자의 K' 한정. 강화 컬러인 12P(금 글러브)가 광 캐릭터 성능을 자랑한다. 사실 이 캐릭터에 들어있는 config 파일에서 강화 옵션및 AI 레벨을 전부 ON시키면 12P 이외에도 나머지 팔렛도 광급이 된다.(...) 니코니코동화 광급 토너먼트에서도 자주 모습을 보이는 단골손님이다.
6.4. 무겐의 코드를 활용하지 않는 공격 기술을 사용하는 캐릭터
다음과 같은 캐릭터가 이 항목에 들어간다: (1) 무겐에서 읽을 수 없는 '''외계어''' (꺠, ?v 등)가 존재하거나, (2) exe 파일 등과 같이, 정상적인 캐릭터에는 사용되지 않는 파일을 요구하는 경우.[50]
- KillAll(킬올) : 꽤 유명한 슈퍼눌 탑티어 캐릭터. 도날드의 몸이 상반신과 하반신이 분리되어 있다.[51] 신 상위~논외 하위 반열 캐릭터들 마저도 대부분 삭제처리 시켜버리는 캐릭터. 그런데, 킬올이 패배처리 되면 무겐 시스템이 불안정해지거나 강제 종료되는 문제가 있는데, 하이브리드 탑티어를 제작자가 열심히 복사하여 불안정한 것이다.
- R'lyeh Text-Special : K_naca, volcrz_r의 합작. 소악마 개조 캐릭터다. 1p는 종이, 2P~6P는 흉급 이고 7P는 광 중위, 8~9P는 준 신급이다. 대망의 10P부터는 본격적으로 논외에 들어가며 10P는 설정으로 성능 조절이 가능하고 11P는 방어가 극도로 높은 격파 도전 팔렛, 12P는 논외 상급이라는 어마어마한 성능을 자랑한다. 거의 모든 캐릭터를 시작하자마자 정지시키고 1방에 척살시키며 슈퍼눌 디펜스가 탑재되어 있어 일명 탑티어라고 불리는 논외 상급 캐릭터도 1P라면 승리할 수 있다. 2P자리에서 르뤼에를 이기는 캐릭터는 내부 논외에서는 거의 없다고 봐도 될 정도.
- Golden God Donald : 이 캐릭의 경우 버전이 다양하다. 먼저 최초의 골든 갓 도날드는 외국 제작자 이그나치오, 사이버, 이루카 이 3명의 합작이며 성능은 탑티어. 예전 도날드 순위중 2위였다고 한다. 그 다음은 외국인 제작자 파츄리 놀릿지(칼 존슨)의 골든 갓 도날드로, v1과 v2가 있다. v1은 그럭저럭 흉악 수준이고, 11p는 논외 버전이었는데 색은 좀 퀄리티가 떨어진다. v2는 르리에의 슈퍼눌 디펜스를 넣고, 코드를 강화시켜 흉논외 중에서 매우 강한 편에 속한다. 11p는 %f 루트 딜리터를 장착시킨 논외이다. 단 극도로 불안정해서 라운드가 넘어가면 팅긴다. 다른 골든 갓 도날드는 kibanarutomugen이 다시 금칠한 캐릭터이다. 그 외에도 작은 슈퍼 3 이라는 캐릭들의 페이크를 많이 만드는 사람이 만든 골든 갓 도날드로, 색도 끔찍하고 성능도 othk 자동 공격이라 매우 약하다. 이걸 베이스로 한국에서 많은 개조 캐릭터가 나왔으나, 정작 개조 여부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 Ancient Donald[52] : 일단 1p~7p까진 이게 왜 흉캐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약하다. 8p~9p까지는 광 하위, 10p~11p까진 광 중급인데 여기에 등재될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 도날드의 무서움은 12p부터다. %f와 무력화 코드를 사용한다. 에인션트 도날드의 공격 기술은 5가지인데 햄버거 던지기, 추적형 도날드 매직(빔), 레이저, 붉은 해골, 그리고 하늘에서 붉은 비가 내리는 기술인데 이기술이 제일 강하다. 시작하자마자 플라잉을 사용해 붉은 해골을 시전하는데 문젠 이 공격이 s사쿠야 12p를 1방에 보내버린다. 버티는 경우도 있긴 있는데 문제는 거의 대부분 무력화가 걸려버린다. 무력화가 걸릴경우 그 캐릭터의 ai와 대부분의 방어성능이 무효화되어서 사실상 무겐을 다시 실행할때까지 경직없고 공격못하는 샌드백이 된다. 잡기 면역등 흉캐의 표본적인 방어성능조차 사라져버려서 엄청나게 강한 캐릭터가 평캐급 캐릭터에게 리타이어가 되어버린다.[53] 붉은 해골을 버틴다고 달라지는건 없는데 붉은 해골을 사용하면 상대는 거의 대부분 무력화 상태인데 버틸 경우 빔, 햄버거, 해골 공격엔 안죽지만 필살기인 붉은 비 기술에 단번에 ko된다. 사실상 붉은 해골이 정상적으로 발동되면 에인션트 도날드의 승리라고 보면 될 정도다. 논외 캐릭터 답게 vs화면부터 코드가 터지는지 s사쿠야나 m-레이무를 단번에 날려버리고 1p자리일경우 엑도 13p도 5초안에 컷시킨다. 어지간한 논외캐릭터도 전부 붉은 해골, 버틸 경우 무력화 걸고 초필로 ko시키며 심지어 L-레이무도 1p자리에서 척살시켜버린다. 2p자리에서 이기려면 무겐 외적 시스템을 사용하는, 그중에서도 def파일을 바꿔치기 하거나(배드 타임이 대표적이다.) 시스템을 조작하거나 컴퓨터 자체에 간섭하는 놈들정도는 데려와야 겨우 때려잡는다. 흉논외도 가차없는데 Sadist ZERO Very Hard를 1p자리에서 때려잡을 정도로 강해서[54] 흉논외 배포 캐릭터 중에서는 당연 탑급이다. 특이한 점은 공격마다 자신의 체력이 800가량 줄어든다. 뭐 에초에 상대는 무력화 상태라서 별 상관없고 어차피 일정 체력 이상 안달아서 상관없는데 문제는 가끔씩 이 도날드가 멈출 때가있는데 그 이유는 자기가 자기 코드에 당해서(...) 무력화 된것이다. 게다가 논외중에서는 극히 드물게 직접 플레이가 가능하며, 움직이면서 싸우는 희귀한 도날드이다.
- 현실 도날드 시리즈 : Virtual Donald Basic과 함께 없어졌던 도날드 개조 캐릭터. 하지만 聖櫻 幻血(phantom-blood)라는 제작자가 이 컨셉으로 다시 시리즈로 만들고 있는 중이다. 현실 도날드 사, 현실 도날드 무, 현실 도날드 광기의 재앙, 현실 도날드 E, 현실 도날드 참, 현실 도널드 ∮, 현실 도널드 파, 현실 도널드 영, 현실 도날드 영, 현실 도날드-추억-으로 각각 탑티어 슈퍼눌,안티맬웨어[55][56] 등급 순서대로 Dragon,Dragon/LAN,Dragon/CAN,Dragon/MAN,Dragon/WAN,Dragon/SAN 등의 네트워크 코드를 사용하며 외부파일이다. 당연히 내부는 그냥 죽이고, 티어디펜스 같은것도 씹는다.
- A.I.Channel : 시작과 동시에 버츄얼 유튜버 키즈나 아이 트리오가 Everybody를 부른 영상이 나온다.
- 관음신 에인션트 : G-관음-the kill을 초월하는 관음신으로, 최초의 미드티어 슈퍼눌 캐릭이다. 한때 무겐에서 최강이었던 관음신 시리즈 중에서도 어느정도 강한 축에 속하는 관음신이다.
- 관음신-프로그렘 dsrugal : omed형 관음신 캐릭이다. 외부 캐릭이므로 내부는 절대 못이긴다. 요즘은 코드스왑 당하는 일이 많아져 불쌍한 캐릭터다.
6.5. 미분류된 캐릭터
위의 분류에 따라 분류 바랍니다.
- 가타노조아
- 가디스 저스티스: 신 준신5기둥의 일원으로 기용되는 캐릭터이다.
- 궁극 키메라
- 경찰 제로 (SP) : sunishell 제작. 종류가 많지만 공개된 것 중심으로 작성. 공개된 SP버전의 경우 더 강력한 캐릭터들이 나온 지금 기준으로도 광 상위 정도 이상 능력을 보여주며, 이 캐릭터를 KO 시키리면 신 상위 수준 이상의 기술로 쓰러트려야 할 정도다. 그 외에도 파일은 돌아다녔지만 정식공개는 되지 않았던 G 버전이 존재한다. 미공개 버전인 SPZ는 한때 한국 최강의 무겐 캐릭터 중 하나였다고 하지만 정확한 진위는 확인하기 어렵다. (위에 링크된 캐릭터 파일에서 나오는 테마곡은 해당 링크 참조)
- FS미즈치: 일본인 제작자 ZAF가 제작한 미즈치 개변 캐릭터이며, 별칭은 신의 제왕. 별칭에 걸맞게 신 캐릭터들중 현재 정점에 군림한다고 할 수 있는 캐릭터이다. 2017년 신 최상위 검정에서 혜성처럼 등장해서 2위를 차지하며 등장한 이후 18,19,20년 신최상위 검정을 모두 압도적으로 1등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제작자 역시 매 주마다 캐릭터를 업데이트하는 중. 경쟁자였던 코하쿠냥, 백호, {} 등등이 모두 갱신 중지로 주춤하는 사이 신급의 파워인플레를 심화시키는 일등공신 중 한명이다. 다만 20년 검정에서 범용 부문은 Beatrix repha에게 한개 차이로 밀려서 2위를 차지한 점은 옥의 티 이지만 그럼에도 종합점수는 압도적이다. 또한 광급에서도 광 하위부터 광 상한까지 모두 폭넓게 기용이 가능하다는 점도 특이하다고 할 수 있다. 이때문에 범용성 면에서도 압도적이며, 화면을 무수히 미즈치의 탄막으로 메우고 블루스크린, 버섯구름 이미지를 내는 기술 등등 개그성까지 갖추는 바람에 현재 오로미즈 개변 캐릭터들 중에선 인지도, 인기도가 제일 높은 캐릭터라고 할 수 있다. 여담으로 FS는 Fill the Screen의 약자.
- 나이트메어 브로리 : 제로 콜과 마찬가지로 강화패치가 존재. 단 여기는 강화패치를 적용시키면 신 중급(!)까지 간다. 그리고 이 캐릭터의 제작자가 공식으로 도트를 개정한 버전도 존재하는데 8P를 선택하면 AI가 끔찍하게 강해진다.
- 도날드 맥도날드 : 10번 팔렛까지는 그냥 평캐지만 11P와 12P가 광급. 이 캐릭터를 기반으로 한 개조캐릭이 여기 다 못쓸 정도로 많다.
- 레전드 골드 마가키
- 비루스(드래곤볼) : 제작자 오카챤만. 7p는 광하~광중위, 10p는 광중위 상한까지 조정되며, 11p는 광상위. 백미인 12p는 기본 파괴신모드로 신하위의 흉악캐릭터가 된다.
- 메탈 오로치
- 진 여신 텐코 : 시작하자마자 즉사를 때려박는다. 귀무녀 X와 함께 13년에 최종갱신된 화석 캐릭터지만 그 살상력은 왠만한 상위신과도 비비는 수준이다. X와 함께 부모조작 없이 현역으로 활동중이다. 참고로 귀무녀X보다 조금 더 강력하다.
- 어레인지 액셀러레이터
액셀러레이터의 개조캐릭터. 팔렛에 따라 성능 차이가 엄청나게 달라진다. 흉 하급(1p)부터 광 상한(12p)까지 조정할 수 있다. 반사존재, 강력한 스킬 대미지, 즉사기 2개 존재, 5할은 충분히 깎아버리는 콤보등이 있다. 팔렛에 따라 기 게이지 무한, 무한정 반사, 전신 무적, 공격력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 게임 시작하기도 전에 즉사시킴등과 같은 괴랄한 옵션이 추가된다.(원작을 반영했는지 카미조 토우마 캐릭터에겐 반사, 즉사의 기능이 통하지 않음)
- 커스텀 액셀러레이터 : 기존 액셀러레이터를 개조시켜만든 강력한 캐릭터. 제작자는 발작로리콘. 위의 어레인지 액셀러레이터 또한 이분의 작품이다. 상대방의 공격을 전부 반사시키고 스킬 하나하나의 딜이 엄청나다. 12P는 시작하자마자 상대를 즉사시킨다.
- 쿄 클론-10 : PP 버전 한정. 6P는 기 무한.
- 쿄우 : Sog 제작. 호러를 컨셉으로 레이센 우동게인 이나바를 개조한 캐릭터. 연출이 꽤 무섭기 때문에 사용시 주의해야 한다. 오키하이토가 만든 AI 패치가 존재한다.
- 킬러 도날드 : L-레이무와 같이 시작하기도전에 상대방을 지워버리는 캐릭터. 그 후 싸움이 시작되면 상대가 없기 때문에 바로 K.O. 판정으로 이겨버린다. 너무 사기여서 제작자가 easy버전을 내놓기도 했다. 다만 결정적으로 %n코드를 사용하지 않아서(!) 비교적 쉽게 무력화 될 뿐더러 무겐을 재시작 할 필요도 없다. 물론 방어코드가 허술하면 그대로 삭제당해야 하는 준 논외급.
- 티르핑
- 투명드래곤
- 펄머먼트 갓 알시엘
- 팬텀 미즈치
- 팬텀 미즈치 어비스 : 오키하이토 제작. 팬텀 미즈치를 강화한 신 캐릭터. 11P는 논외로 게임이 진행되지 않는다.
- 헤븐즈 게이트 : Rick 제작. 해당 제작자의 대표적인 캐릭터로, 12P는 옛날부터 유명했던 신 캐릭터이다. 11P 컬러는 경기 시작을 방해하는 논외다.
- 레어 아쿠마
카오스 캐릭터계의 선구자. 히게, 하스터등 다양한 캐릭터들이 이 캐릭터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나온지 10년이 훨씬 넘었음에도 비슷한 구 흉악캐릭터이자 신급으로 가는 문지기였고 현재는 위상이 많이 떨어져 광최상급의 문을 담당하는 슈퍼 메카 히스이완 다르게 아직도 광최상급에서 현역으로 뛰며 본토에선 여전히 광최상급 캐릭터 여러개를 꼽아보라하면 들어갈정도로 강력한 캐릭터이다. 레어 아쿠마 전용 대응 패턴이 나올정도로 유명한 캐릭터다.
- HIGE : 카오스 극강 클론 제로 개조 캐릭터. 6P는 신 중급이라고 한다. 3-9-2,4,5,7,8-1-11-10-12-6 팔렛 순으로 강해진다. 레어 아쿠마의 클론 제로 버전이라 봐도 무방하다.
- -Abyss : 해신 컨셉으로 만들어진 도날드 캐릭터. 상대의 팔렛을 낮추어 보내버리는 팔노다운 코드를 사용하며,필살기인 '심해 격진'[57] 은 웬만한 하급 논외들도 순삭한다.
- infinity zero : 캐릭터 자체가 배경이다. 상대 캐릭터를 ko시켜버리려는 온갖 방법을 보여주기 때문에 등급 석출이나 약점 확인용으로도 쓰이기도 한다. 물론 약점을 찾기 전에 파훼당하면 의미가 없지만(...)
infinity zero가 사용하는 공격 유형은 다음과 같다. 캐릭터의 옵션에서 실행 유무를 설정할 수 있다.
F1, 강제 대미지, 강제 다운, 라이프 조작, 팔렛 넘버 조작, 네임 조작[58] , 변수 조작(일반, 시스템 포함), 헬퍼 조작(이름, 변수, 시스템), 헬퍼 소거, 즉사, 플레이어 소거.
모두 수행했을 경우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
F1, 강제 대미지, 강제 다운, 라이프 조작, 팔렛 넘버 조작, 네임 조작[58] , 변수 조작(일반, 시스템 포함), 헬퍼 조작(이름, 변수, 시스템), 헬퍼 소거, 즉사, 플레이어 소거.
모두 수행했을 경우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
- Miku-M/Miku-M-Win : deretun의 Tda식 어펜드 미쿠를 Megumi란 유저가 광 이상 성능까지 끌어올린 캐릭터. 두 가지의 def파일이 존재한다. Miku-M def[59] 의 경우, 12P 팔렛으로 광 최상반열에서 머무르지만[60] , Miku-M-win[61] def 파일을 적용한 미쿠 12P는 적어도 논외 하위 반열 이상까지 올라간다. %f 취약점 응용 코드 쓰는 캐릭터로, 탑티어/SN급 캐릭터나 파일을 강제 교체하는 성능을 지닌 캐릭터에겐 저항력이 없어 대부분 1p 자리에서도 패배한다. 유의 할 부분이 있는데, 테마곡으로 천본앵의 전주 최초부분이 재생된다. 해당 테마곡에 거부감을 느낀다면, 파팩으로 def 파일에 들어가 사운드 메뉴에서 가장 맨 뒤 항목의 음악을 다른 음악으로 바꿔주면 된다.
- Hecate scarlet : k_naca 제작. 팔렛에 따라 광~논외까지 성능이 변한다. 12P일 때 탑티어는 버티지 못하며 미드티어도 캐릭터가 2P자리에 있어야 잡을 수 있다.[62]
- Jureimen(쥬레이맨) : 속칭 "또라이몽". 도라에몽이 반쯤 맛이 간 얼굴을 한 채, 한쪽 팔에 기계팔을 든 모습의 캐릭터. 당황스러울수도 있는데 이 캐릭터의 원본은 노비타전기라는 이름의 RPG 쯔꾸르 게임에서 등장했다. 스프라이트는 전부 해당 게임에서 가져온것이며 갓 루갈의 음성과 루갈의 기술을 쓰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 이 게시물 맨 밑에 이 도라에몽과의 전투가 있다.[63] 노비타전기의 제작자는 무려 도라에몽 노비타의 바이오하자드를 제작한 aaa. 참고로 이 도라에몽은 진구와 같이 다니던 그 착해빠진 도라에몽과 동일인물이다.
일단 기본적인 공격과 방어 성능은 낮은 편이다. 공격이 팔을 휘두르는 일반 공격, 제노사이드 커터, 갓 프레스, 그리고 에반게리온마냥 각성한 모습으로 변하면서 전체 즉사기를 날리는 공격이 있다. 그러나 공격은 이게 끝이고 AI도 없어서 강,흉급 수준의 캐릭터들에게도 한 대 맞는것만으로 체력이 급감한다. 하지만 이 캐릭터의 특징은 바로 NOKO 코드가 있다는 점이다. 이 코드가 있으면 정상적인 공격 코드로는 절대 죽지 않는다. 때문에 광급 계열에서 하급~상급 캐릭터들은 NOKO 코드를 뚫는 공격이 없어서 이길수가 없다.[64] 이 캐릭터를 이기려면 신급에 준하는 공격 성능을 가진 기술로 이겨야한다. 참고로 파일을 다운받으면 제작자인 MINO가 남긴 말이 있는데 캐릭터 이름이 쥬레이맨인 이유는 따로 없다고 한다.
- Zarathustra : Ced Soum 제작. 현재 폴더형 캐릭터들 중 가장 성능이 강한 코드, 하이퍼눌을 이용한 캐릭터 중 하나. Dies irae(게임)을 컨셉으로 만들어진 캐릭터이다.
- Sade Magarita : 하이퍼눌을 사용한 캐릭터. 머리쪽의 복숭아와 사용하는 칼, 무지개빛 치장으로 미루어 보아 동방프로젝트의 텐시를 변형한 캐릭터로 추정.
- Muspellzheimr : 발음은 무스펠자이머. 이 캐릭은 도날드와 파츄리로 이루어져 있다. 도날드 버전은 Botulinum Toxin-D(사실 Helheim 제작자랑 같다.)가 제작하였으며, 1p는 신급 6p는 논외 12p는 흉악이다. 파츄리 버전은 파츄리 놀릿지(칼 존슨)이 만들었으며, 버전은 v1 v2 두가지가 존재한다. v2부터는 골갓도 v2 1p 역시 털수 있을 정도로 강하다.
- Helheim : 꽤 많은 버전이 존재한다. 기본 헬헤임은 Rasetsu ZERO 제작. 파란색으로 된 신급 정도의 캐릭이다. 윈도우10에서 튕긴다. 헬헤임 - 헬바운드는 검은색이며, 원래는 엄청 희귀했으나 외국인 Sparta412가 교환해줘서 많은 사람이 가지고 있다. 제작자는 동일하게 Rasetsu ZERO. 헬헤임 버밀리온은 무스펠 제작자인 Botulinum Toxin-D와 Rasetsu ZERO가 제작하였으며 등급은 논외 최상위이다. exe로 된 외부 버전도 있는데 이걸 사용하면 킬올 같은 캐릭도 2p 자리에서 이긴다. Zero 버전도 있는데 이것은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된다. 헬헤임 - 셀렌티아는 제작자가 배포한지 하루만에 자기의 유튜브를 터트려서 가지고 있는 사람은 적지만 어떻게 생겼는지는 동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작자는 Rasetsu ZERO이다. 참고로 Rasetsu ZERO가 셀렌티아이다.
- Cardinal Crown : 제작자는 한국인 Saturka Kai(Servant Predator)이며, 이 캐릭은 멀티 도날드 타입 세디스트 기반으로 개조가 되었다. 꽤나 강하며, 이 캐릭을 시작으로 엄청 많은 카디널 크라운이 등장하였다. 일본에서 큰 인기를 끈 캐릭이다.
- Crazy Red : 제작자는 한국인 Dragonn341(Forever mugen). 적의 체력을 깎으면서 시간을 0으로 만들어버리는 강력한 빨간 도날드이다. 이 버전으로 I'm Crazy Red 라는 캐릭도 있었으며 좀 더 약화된 버전이다.
- Despair Angel Gabriel(Gaburil) : 가브릴 드롭아웃에 나오는 가브릴을 소재로 만든 논외 탑티어 SN 캐릭. 이름이 Gaburil으로 표기되어있지만, 제작중 탑티어 못만든다고 강제로 Gaburil로 개명당했다. 르뤼에 같은 캐릭터를 이기기 위해 강력한 %n을 탑제하였다. 이 가브릴을 기반으로 제작된 것들로는 레인보우 칠을 한 Rainbow Gabriel(한국인 제작자 스즈키 시나코 개조), 또 다른 레인보우 칠인 Rainbow Gabriel V2(한국인 제작자 Stand Sakuya씨 제작), 색을 검게 칠해서 내놓은 Debriel(한국인 YT White 개조)이 있다. 그 코드를 쓴 캐릭으로는 Killing-everybody, [65] , Kira Death, [66] 등이 있다.
- 크리자리드-Detonator : 크리자리드의 개조캐들 중에서 척살력와 방어력이 동시에 가진 최강이며 무한 듀폰레이지를 반복하는 크리자리드가 나온다. 그리고 팔렛마다 외투 크리자리드와 외투를 벗은 크리자리드로 구성되어 나오며 1p에선 주로 땅을 찍어서 표적을 공격하는 전체 판정와 오리지널 제로의 최종 필살기를 자주 사용하며 12p에선 바로 잡기 성능와 크리자리드의 미친 성능 최종 필살기인 불꽃으로 일으켜 상대에게 다가가는 공격을 쓴다.
- Bloodia : 한국인 제작자가 만들었다. 빨간색 도날드 캐릭터. 원래는 디오를 개조하는 블러디오였으나 디오 개조가 힘들다고 때려치고 갈아치운게 블러디아이다. 블러디아가 쓰는 코드는 %N f1, f5 이라던가 %n 직사, %n 상대 삭제, %n 팔노다운 같은 다른 코드에 비해 조금 약한 코드보다는 쌘 %F Attack (Alive-change/Direct Death %n)이다.
- Soul Donald 시리즈 : 제작자는 일본인 Sustina(구 이름 : Reosoul/ReimuMarisa0625). 1st, 2nd, 3rd 이렇게 세종류가 있다. 1st는 퀄리티가 그럭저럭이고 10p가 제일 깅하며 볼것이 별로 없지만, 2nd 부터는 팔렛이 다양해지고 컨셉이 늘고 볼 거리가 늘어서 매우 괜찮은 퀄리티를 가지고 있다. 3rd는 더욱 더 다양해졌으며, 12p는 빅뱅 도날드 모드로, 논외지만 요즘은 방어 수준이 다들 올라가 격파하기 쉬운 캐릭이다. 이 소울 도날드들은 색만 바꿔서 내놓는 개조가 많이 일어나는 캐릭중 하나이며 그 종류로는 GoreaSoulDonald 시리즈, 장애소울, 골든 갓 소울, Slender Impact Donald 시리즈가 있다. 대부분 색만 바꾼거라 별로 볼 것은 없다. 리메이크로 Osneza1이 만든 Re Soul Donald가 있는데, 원작과 좀 다르지만 뛰어난 퀄리티를 가지고 있다.
- The Will of Hades : Sustina 제작. 공개 캐릭터. 인지도도 흉악 무겐 쪽에서 높은 편이고 다른 무겐 쪽으로도 꽤 알려진 캐릭이다. 다른 일본인 제작자 Powerless가 만든 Punisher랑은 특수 인트로(라이벌 설정)가 있다. 참고로 Sustina의 자캐이다. 캐릭터를 뜯어보면 Name 부분이 SUSTINA라고 적혀있다.
- _Punisher(단죄자) : 일본인 Powerless 제작. 혼선 버그, 부모변경 등을 사용하는 도날드 개조 신 캐릭터이다. 꾸준히 업데이트 되고 있는 도날드 중에 하나이며, The Will of Hades랑은 라이벌 설정인데, 이것은 Powerless가 심심해서 넣었다가, NeST씨가 그걸 보고 자신도 추가한거라고 알려져 있다. 한땐 신최상까지 갔다가 많이 티어가 떨어졌지만, 꾸준한 업뎃으로 다시 신최상 진입을 노리고 있다. 인기가 많은 도날드 캐릭터 중 하나.
- Princess of Hades : Sustina 제작. 이 캐릭터는 sustina가 따로 외주를 맡겨 일러스트를 그릴 정도로 아끼는 캐릭터이다. 개조 불가이지만 가끔 개조된 것이 보인다.
- Donald 2nd : 한국인 Korean Mugen Theme(구 이름 BJ스켈왕) 제작. -version 버전과 그냥 버전이 있는거로 알려져 있다. 위력은 초즉사 반사, 2라운드 논외화, 강제 승리, 로우티어 척살, 미드티어 팅김 등등으로 강력한 캐릭터이다.
- 버그 레이 : 북두의 권 레이 개조캐로 반격 즉사[67] 회피캐로 1p에서 왼쪽 오른쪽으로 왔다갔다 하다가[68] 180도 회전하는 움직임과 동시에 체력까지 내려갔다 올라갔다하며 심지어 KO당해도 즉사를 날린다. 10p부터 방어력이 신급 이상이 되는 무시무시한 캐릭터이다.
- yagevil : 야가미 이오리 개조 흉악 캐릭터. 버전이 다양하며 이 캐릭터를 기반으로 개조된 작품이 많다. 다크 컨셉의 불꽃을 사용하며 1p부터 광중상급이나 광최상급 정도나 되고 6p~12p까지 모두 논외로 어마무시한 이펙트를 날리며 상대 캐릭터를 척살하는 무시무시한 성능을 보여준다.
- 살인마 레나 (Demon of murder rena) : 제작자는 xbox aruhuraito. 류구 레나 개조 캐릭터. 공격 등급이 신 상위인 무시무시한 캐릭터로 왠만한 일반 흉악 캐릭터들은 도저히 못이길 정도로 엄청 강한 무시무시한 캐릭터이다. 인트로 스킵을 하는 건 비추천. 인트로 스킵 시 노래가 바뀌고 '논외화 + 일정 시간 후 무겐 튕김'을 사용한다.[69] 그리고 스토리 동영상에서 사용금지이므로 주의.
- Abyss Mega's : BlackCurl[70] 제작. 앨리스 마가트로이드 개조 캐릭터로 뛰어난 AI와 이펙트를 가지고 있다.
- WatchTV : 금사천촌 제작. 게닛츠 개조 캐릭터로 HIGE나 레어 아쿠마, 하스터스럽게 정신 사나운 필살을 남발하며 고난이도 AI에 12p에는 무적 판정까지 있어서 흉캐 전용 전투력 측정기로 쓰인다.
- GodRay : Powerless 제작. 미즈치 개조 캐릭터 매우 강렬하고 눈부신 이펙을 가지고 있다. 1p부터 광 하급 12p부터 광 상급 ~ 신 하급 정도다.
- 레전드 카미조 토우마 : Orekin 제작. 흉악쪽에 포함되어있는 캐릭터다. 스킬은 겨우 6~7개지만 전부 강력한 스킬들로 구성되어있다.[71]
- 진정한 신 하뉴 (True God hanyu) : 후루데 하뉴 개조 캐릭터. 제작자는 살인귀 레나와 같다. 특이하게도 기본 팔렛이 12p이다. 11p는 2회 피탄 시 패배, 10p는 공격력과 방어력 약화, 2~9p(부실 팔렛)는 방어력만 약화된 성능을 가지고 있다. 10p<11p<2~9p<12p 순으로 강하며 가장 약한 팔렛인 10p 조차도 기본적으로 광 최상위 이상이다. 1p는 캐릭터 자체가 다르며, 논외이다. 경기 시작 방해, noko, Roundnotover를 사용하고 2P측에서 시작하거나 전용 개막, 인트로 스킵, 플레이어 삭제 시 무겐을 튕기게 한다.
- Sadist Devil : 동방프로젝트 소악마 개조 캐릭터. 1p부터 주로 손에서 뇌전을 발사해서 쓰는 스킬 공격과 악마화, 악령 소환이랑 소용돌이 돌풍 공격을 주로 쓰며 각 이펙 하나하나가 어마무시하게 강한 캐릭터인데 12p는 척살에 대한 방어가 좀 잘 정비되어 있어서 손쉽게 깨기 힘들다.
- 루갈5th : STG 제작(킬러 샌더스를 만든 제작자.). 루갈 번스타인 개조 캐릭터로 1p부터 미친 AI성능와 즉사를 자랑한다.
- Rugal6th : STG 제작. KOF95의 오메가 루갈을 기반으로 해서 만들어낸 루갈 번스타인 개조 캐릭터로 심심하면 등장하는 무한 연속 카이저 웨이브이랑 공중 제노사이드 카터(+ 황물기)에다가 바닥 폭발 그리고 자폭 등으로 미친 이펙 공격으로 자랑하는 광급 캐릭터로 안그래도 쎈데 12p는 반사 기능까지 아주 잘 정비되어 있어서 격파 도전으로 딱 좋은 흉악한 캐릭터다.
- 노갈 : 루갈 번스타인 개조 캐릭터. 갓 루갈 기반으로 두 가지 버젼으로 되었는데 신버젼은 1p부터 거의 광 최상급 ~ 신하급 찍을 정도로 강하다. 팔렛은 총 1p ~ 6p까진 일반 모드랑 7p ~ 11p[72] 까진 논외 모드로 구성되어있다. 양쪽에 흉악한 방어 성능이 아주 잘 정비되있는 아주 특이한 흉악 캐릭터이다.
- 천국에 도달한 DIO
조탁구의 영상 기준으로 필살기중 하나가 발동하면 1p부터 갓 오로치를 ko시키며 12p에서는 귀무녀r을 5초안에 ko시켰다. 그리고 12p에서 최강 초필이 발동하면 s사쿠야 12p를 ko시켰으며 11p에서 배드타임을 P2자리에서 ko시켰지만, 논외급들의 싸움인데도 무겐을 껐다 켜지 않고 계속 돌려서 발생한 오류에 의해 나온 결과이다. 11p는 R'lyeh Text-Special를 무단개조하여 만들어진 캐릭터이기 때문에 르리에와 특성을 공유한다.
- Crimson eye(마리오 exe) : 팬 게임 마리오 exe에서 따온 흉악캐. 적을 ko시키거나 마리오 해머로 시간을 0초로 만들고 타임 오버가 나오면 갑툭튀 사진이 나온다. 1p부터 가볍게 광급이며 11p구동시 신하~중급은 된다. 12p구동시 마리오 해머가 시간 조작[73] +제일 강한 기술로 바뀌며 이 스킬 하나로 신급을 휘젓고 다닌다. 크카 11p 구버전하고 무승부를 기록하는 논외급 캐릭터.
- Showtime : 제작자 OK.[74] 논외 캐릭터이며 한 캐릭터에 팔렛마다 각각 다른 종류의 캐릭터와 이펙트를 가지고있다.[75] 용량은 1GB가 넘으며 이펙트도 흔한 이펙과 처음보는 이펙까지 많이 나뉘어져있다. 참고로 제작자 분은 캐릭터 평가를 그렇게 싫어하신다. 그러면서 굳이 여기에 문서화 시킨 이유는 모르겠지만.. 캐릭터 자체의 아이디어는 좋았지만, 조금 오류가 보인다. 제작자께서는 자신의 컴퓨터에 맞춰져서 그런거다 라고 하셨지만, 사실 각자의 무겐의 스크린팩에 따라 left 좌표값이 변하고, time으로만 써서 그런 것이다. 또한, 없는 스테이트로 이동을 시켜 버그가 나게 만든다. 아쉽게도 제작자 분이 이 점을 고치지는 않으셨다. 정확하게 타이밍을 맞출 거라면, time 말고 animelemtime을 쓰고 시간을 맞추는게 더 낫다. 그래도 다른 캐릭터보다는 조금 낫다. 창의력 면에서는 평가가 좋다.
- 메타몽 : Okihaito 제작. 설정에 충실한 변신 캐릭터다. TEXT-BUG(Real-DTC/임의 위치 코드)를 사용하여, 적이랑 똑같은 상태로 변신한다. 단 강력한 %n 소거를 쓴다거나, 스텟 오버플을 쓰는 캐릭터로는 변신하지 못한다. 그 전에 CNS가 날아가기 때문.
- ygreed : 던파의 긴발의 로터스 개조 캐릭터로 난데없이 발사하는 눈알 공격와 홍수 공격, 그리고 미니 굇수 빔을 쏘며 밑에 거대 체력칸이 채워져있으며 이게 떨어지면 자동 즉사한다.
- 커스텀 엔젤 액셀러레이터 : 흉악 캐릭터이자 한국인 제작자 합작 커리큘럼 작품. 제작자가 커스텀 액셀러레이터이란 이름을 보고 만든 모조품(...)으로 원래는 주로 베터리를 갈면서 즉사시키는 자동즉사를 얽힌 방어 코드를 사용하는 일반 캐릭터에 가까웠는데 다른 제작자가 전체 판정 스킬 외에 즉사에 대한 방어 코드,팔렛을 아주 잘 정비시켜주어서 새로 탄생하게 된 캐릭터이다. 또 팔렛마다 공격 성능이 다르므로 주로 1p ~ 8p는 평타 모드,9p ~ 10p는 흑익 모드, 11p ~ 12p는 백익 모드로 바뀌는데 팔렛마다 척살력이랑 방어력이 다다르다.
- 사쿠야 더 리퍼 : Volcrz 제작. 이자요이 사쿠야 개조 캐릭터로 1p ~ 11p가 신 하급 ~ 신 최상급 정도 되고 12p부터는 논외 상급으로로 추정될 정도의 척살력을 보유하며 사쿠야 개조 캐릭터중에서 어마무시한 흉악 캐릭터다.
- Volcrz-R : 제작자 lol이 만든 volcrz를 제작자가 개조한 레밀리아 개조 캐릭터이며 이상한 스탠드[76] 를 착용한체로 궁극 필살기를 자주 쓰며 기술 하나하나가 상성이 엄청 강해서 동방 흉악 3강중에서 몇 안되는 동방 캐릭터이다. 제작자 volcrz-r이 이 캐릭터의 이름을 본따서 지은 것이다. 참고로 둘은 다른 인물이다. .
- DeathStarla : BlackCurl와 mapelao의 합작 캐릭터. 데스스타 컨셉의 히나나이 텐시 개조 캐릭터다. 참고로 mapelao는 데스스타의 제작자 troy와 동일 인물이다.
- Deception : 제작자는 한국인인 Eclipse. 나나야 기반 논외로, 초록색이 컨셉인 듯 하다, 슈퍼 눌을 사용한다.
- Kotone : 텐로 쿠나기 개조 캐릭터로 주로 색상은 블루 컨셉으로 뎀지나 AI가 어마무시한 캐릭터이다.
- 나나야 시키[77] : 3104 제작. 나나야 시키의 대표적인 개조 흉악 캐릭터로 1~3p는 흉급이고 4p는 아예 캐릭터 자체가 다른 특수컬러, 11p는 신급, 12p에선 라이프 조작이랑 굉장히 철저한 방어력, NoKo까지 탑재하고 있다. 12p의 경우 귀무녀R 1p와 동급의 광 캐릭터로 분류된다. 백미인 11p는 한때 나나야들중 흑백 나나야와 함께 최강 나나야로 꼽힐정도로 뛰어난 살상력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업데이트가 몇년동안 멈춰있었던 탓에 현재는 Xevel에게 나나야 최강의 자리를 내주었다. 하지만 최근 갱신되어서 광 팔렛들과 11p의 살상력이 좀더 조정되었다. 참고로 패널티 설정을 키면 상대가 플라잉 했을 때 데미지 조건 없음+상시 무적+일부 성능 12P화한다.
- 로비 린노스케 : 동방 프로젝트 모리치카 린노스케 개조 캐릭터. 보이스는 토오노 시키이며 이제것 보지 못한 어마무시하고 엄청 화려한 이펙트를 마구 잡이 소환하는데 코드에 타임 조작 코드를 사용하고 있어서 약해보이지만 사실 진짜 진가는 체력 조작을 이용해서 자신의 체력이 다떨어지면 상대 캐릭터의 체력을 역관광시켜버리는 정도의 코드를 사용하고 있다. 아직까지 정확한 정보가 없어서 흉캐 연구용으로 쓰일 필요성이 있어보인다.
- Beatrix Repha : 영미권 제작자 Choon_2i가 만든 흉악 캐릭터. 팔렛 중 7P만 정상 작동한다. 등급은 19년도 기준 상위 신. 하지만 꾸준한 갱신을 거쳐서 상당한 살상력을 갖추게 되어 2020년 신최상위 검정에서 2위를 차지했다.
- Evil Dio : りゅりゅう 제작. 미래를 위한 유산의 DIO를 개조한 흉악 캐릭터. 기본 설정으로도 하위 신에 도달한다. 7P는 1대 맞으면 쓰러지는 가장 약한 팔렛이지만 설정에 따라서 귀무녀R 1P 전후까지 간다. 팔렛 중 5P는 방어논외[78] , 6P는 공격논외이다. 이외 팔렛은 11p를 제외하면 특정 횟수를 피격받으면 죽는 구조인데 12P는 라이프가 "9999"가 된다.[79] 옵션 중 '평화로운 세계'를 ON하면 무조건 무승부로 라운드를 강제 타임 업하는 논외가 된다.
- 카미조 토우마(神条当麻) : 'Eikouya -Night of Glory-' 제작. 원본과는 이름의 한자가 다르다. 등급은 하위 신.
- 카게야 시험체(影夜試験体) : Metis 제작. 화려한 이펙트와 강한 살상력을 가진 나나야 개조. 패널티와 마안 기술(기본은 OFF)은 꽤 강력한 %n코드를 사용한다. 상대의 논외급 코드를 감지해서 카운터를 넣을 수 있고 DtC를 무효화하는 것도 가능한 다재다능한 캐릭터. 다만, 인트로 이벤트와 일부 마안 기술들이 개그로 가득하다. 자기끼리 만나면 가위바위보를 하거나, 승리 모션 중인 상대를 라이프바로 깔아뭉개거나(...), 유녀 마시로팡이 상대라면 마시로의 다리에 누워있다가 2라운드에서 하얀 렌에게 화면 밖으로 던져지거나(...), 코하쿠가 상대라면 코하쿠의 치마 속을 보다가 공주에게 라이프바로 척살당하는(...) 등 %n 코드를 공격력 뿐만 아니라 연출에서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등급은 광 상위 이상.
- A-Rei : 북두의 권 레이 개조 캐릭터로 A의 뜻은 어레인지. 1~3p는 흉급, 4~6p는 흉~광 하위, 7~8p는 광 중위, 9~10p는 광 상위, 12p는 광 최상위 정도이며 12p 전용 일격기인 '단기상쇄권'은 강력하지만 실패 시 자살하는 기술. 11p는 리드미에 병or논외라는 이상한 등급으로 쓰여있지만 격파도전 캐릭터로 사용된다. 현재는 공개 중지라서 구하기는 힘든 편이다. 최신 버전은 '1.2'.
- 화이트 레나 : 류구 레나 개조 캐릭터로 박기만 하면 좌우로 연속 불꽃 솟아오르는 공격를 쓰며 신 상급 정도 되는 흉악 캐릭터
- 홍마 시키 : 흡혈귀 컨셉의 토오노 시키 개조 캐릭터로 오리지널 포즈를 지니고 있다.
- Headmaster : 아카츠키 전광전기 무라쿠모 개조 캐릭터로 즉사잡기와 좌우로 베어내는 스킬을 보유하며 AI가 정말 미치도록 잘 짜여진 캐릭터
- Schreckgespenst : 오키하이토 제작. 멜티 블러드의 렌 개조 캐릭터.[80] AI 레벨이 오를수록 성능이 강해지며 1에서 광 중위, 2에서 광 상위, 3에서 광 최상위, 4 이상에서 광 상한이고 최대 7까지 존재한다. 이 캐릭터의 특징은 공격 반사. 화면 아래의 게이지가 어느정도 있는 상태에서 사용하며 발동 시 게이지가 노란색으로 바뀌며 서서히 줄어들고 0이 되면 해제된다. 해제 전까지 무적 상태가 되며 상대가 자신에게 한 공격의 데미지 만큼을 반사한다. AI 레벨 1에서만 반사기 발동 시 특정 조건일 때를 제외하면 렌은 움직이지 않는다. 옵션에서 대흉악 모드를 ON하면 AI 레벨을 4보다 낮출 수 없게 되고 격파 조건이 생긴다.
- 골드진신 시리즈 - 히드런 제작의 황금 컨셉 아카츠키 전광전기 무라쿠모 개조 캐릭터로 타임 조작 코드를 지니고 있다.
6.6. 기타
무겐의 선구자로 불리는 강룡의 류와 켄이 이 계열의 원조격으로 취급받기도 한다. 자세한 사항은 강룡 항목 참조.
흉악 캐릭터를 처음 쓰는 사람들을 위해 첨언하면, 우선 무겐은 윈무겐(이하 구버전)과 1,0, 1.1무겐(이하 신버전)으로 나뉜다. 또한 흉악 코드는 구버전의 일부 버그를 활용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신급을 넘어가는 흉캐들의 경우 대부분 구버전에서만 구동되지만 거꾸로 신버전에서만 구동되는 경우도 있다. 대체적으로 신버전에서 신급 이상의 캐릭터를 구동할 경우 구버전보다 약화된 경우가 많다. 논외급을 넘어가기 시작하면 신버전에서 정상 구동되는 모습을 찾기가 어려워진다.
7. 문제점
흉악 캐릭터 중 논외 등급 미만은 그냥 프로젝타일이나 Null로 이동시켜 적 삭제나 하고 컴퓨터에 과부화를 주지는 않지만, 논외급 정도 되면 바이러스 등을 실행시킬수도 있어 조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작업관리자 등을 날려버리는 Frost 이상부터는 확실히 위험한 단계이니, 그때부터는 무조건 조심하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외부를 돌린다면 가상머신을 사용해라. 대부분 막아준다. 드래곤 이상 빼고는 가상머신 밖으로는 공격 못한다. 반대로 말하면 현존하는 대부분의 악성 코드들도 가상머신 밖을 공격하는 종류는 극소수인데 이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파일이 대단히 위험하다는 뜻이 된다. 최소한 가상머신은 준비해야하며, 악성코드 분석 등에 활용하는 샌드박스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또한 2017년 중반대부터는 속칭 사기캐 토너먼트라고 불리우는, 흉악 캐릭터의 범주에 들어가는 광급 캐릭터만 모아서 AI 대전 토너먼트를 개최한 영상 시리즈가 티비플쪽에서 번역이 되었고, 해당 토너먼트 번역 영상으로 유입된 국내 유저가 많을 정도로 잠시동안 무겐이 큰 인기를 끌게 되었다. '''문제는 이 영상을 기점으로 광 이상 캐릭터만 다루는 흉악 유저들이 지나치게 많아지게 되었다.'''
해당 범주의 유저들은 낮은 등급이나 정상적인 격겜 계열은 쳐다보지도 않는 경우가 많고, 질문을 하면 제대로 된 답변을 안해주는 경우도 매우 많다. 국내에선 그나마 활발하다고 할 수 있는 무겐 커뮤니티인 무겐 윈드마저도 '''카페 매니저를 포함한 여러 스탭들이''' 이 범주에 속해있으며, 대다수의 유저들도 동일하다. 저질 작품과 그리 적지 않은 친목질이 생겨난것도 또 다른 문제점. 때문에 직플 계열이나 정상적인 캐릭터들과 관련해서는 영어쪽을 둘러보는게 훨씬 올바르다.
[1] 강제 죽음의 선고라고 부르며, 신 캐릭터 쪽에서 주로 사용한다.[2] 니코니코 무겐 위키와는 별개로 아예 흉악캐릭터 위키(일본어 필요)까지 따로 있다.[3] 피격당해도 피격 상태/경직이 걸리지 않는 기능으로, 보통 하이퍼아머 보유 캐릭터들은 가드 자체를 할 수 없는 패널티를 줘서 밸런스를 맞추지만 흉캐는 상시 하이퍼아머를 둘렀으면서 가드 역시 정상적으로 가능한 경우가 태반이고, 몇몇 캐릭터들은 아예 데미지조차 입지 않는 경우도 있다.[4] 이 외에도 피격 판정이 사라지거나, 상술한 하이퍼아머 기능이 존재하거나, 피가 일정 이하로 깎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5] 7P, AI레벨 5[6] 강체(하이퍼아머) 숫자 20, 보스모드 on, 2라운드 각성 ON시[7] 다음이라고 서술했지만 광의 윗단계가 신이라는 뜻은 아니다. 현재 광과 신은 아예 구별되는 등급으로 바뀌고 있으며, 논외는 말그대로 '논외'로 치는 경우가 많다.[8] 방어논외의 하위호환격이다. 공격등급이 아니다![9] 무겐 시스템은 1P가 우선시된다. 서로를 삭제하려 할 때 P1부터 발동하고, 나중에 P2가 발동을 하게 되는데, 당연하게도 P1이 선빵을 치니 P2는 뭘 하지도 못하고 없던 것이 되어버린다.[10] 논외급 캐릭터'''끼리''' 싸울때 지는 것은 넘어간다. P1 우선시 때문인데 만약 P2 자리에서도 지지 않으면 완벽한 논외가 된다.[11] 위에 서술했던 "상대를 없애는 방식"의 논외는 주로 %f 버그를 사용하는데, 그들은 게임 시작 시점에 상대를 날려버리지만, 슈퍼눌 사용 캐릭터들은 캐릭터를 선택한 시점에 바로 상대를 날려버린다![12] 사실상 적 논외캐를 먼저 공격한 것이나 다름없다. 주로 상대의 코드를 지워 행동을 봉쇄한 후 그 뒤에 기술로 상대방을 확인사살하는 것이니...[13] 물론 광 캐릭터들, 신 캐릭터들이 주력이 되는 대회들도 많다. 오히려 광 랭크 이상이 보편화되기 시작하면서 일반~강 캐릭터 대회 못지 않게 자주 볼 수 있게 되었다.[14] 예컨대, '최번개-델타'라는 캐릭터는 한 번 공격한 상대에게 지속적인 대미지, 일명 독 대미지를 가하는데 이는 흉악 기술인 '영구 타겟 버그'를 이용한 것이다.[15] 이는 target,id를 이용해 검사하거나, 타겟 개수 등을 이용하여 검사할 수 있다.[윈무겐기준] A B 1.0 이상 무겐에서는 557~560.[1.0이상은] 557~560개[16] 이때, hitpausetime이 없으면 오버 플로우 상황에서 무겐이 강제 종료된다.[17] 자신의 팀에게만 맞게 한다. 상대 기준으로도 물론이고[18] 팔레트에 따라 성능이 바뀌는 캐릭터의 팔레트를 강제로 바꾼다.[19] 혼선버그보다 더 강력하게 상대 헬퍼의 변수에 간섭할 수 있다. 이하 후술[20] 부모의 변수가 아닌, 부모의 Alive 등에 간섭하는 기술. 이하 후술[21] 방금 서술한 Parent id와 parent,id는 별개로, Parent id는 parent 관련 기능을 사용할 때 체크하는 부분이다. parent, id와 맞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으므로, 이를 강제로 맞춰버리는 것.[22] 또는 AppendToClipboard.[23] Ctrl + Alt + (해당 플레이어 번호)[24] 글쓴이가 기억하건대 이러한 비판은 2014년 경에 이루어진 것이다. [정확히는] A B %10d 같은, 문자의 길이를 정해줄 수 있는 기능[25] Enter키 문자이다.[26] 캐릭 폴더에 보면 1.def나 6666666.def같은 def가 하나 더 있을텐데, 이게 그 경우이다.[27] 후술할 postman은 대략 이런 방식으로 이루어지기에 다른 외부들보다 약하다고 볼 수 있다.[28] 물론 전부다 이런것은 아니다.[29] 실제로도 윈무겐 기반으로 제작된 일부 흉캐는 시스템상의 허점, 즉 버그를 이용해 구현되었기 때문에 무겐이 1.0버전으로 넘어가면서 사용불가능해졌다.[30] %n 버그는 1.0 이상에서 작동하지 않는다.[31] 영력이 0이 되어야 죽고 체력이 0이 된다고 K.O되지 않는다. 이 철저한 방어 시스템으로 인해 방어력 하나는 시대를 초월했다고 평가받는다. 이 때문에 당시에 귀무녀 12P를 격파한 캐릭터들은 대부분 전용 격파 코드를 가진 캐릭터이다.[32] 그 증거로 귀무녀가 최강 당시에 호각이였던 캐릭터들 대부분이 일부 버전이 업데이트된 캐릭터를 제외하면 대부분 신 중위에 속한다.[33] 사실 당시에는 쉽지 않았다. 구버전 귀무녀가 F1을 격파해서 유명해진 사례 중 하나.[34] 오키하이토의 대표적인 캐릭터 중 하나였다.[35] 1.5버전에서는 11P를 제외한 모든 팔렛들이 약해졌다.[36] 일부 무겐러들이 오해하는데, 3.08 이상 버전은 약해진 게 아니라 옵션조작을 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약한 것이다. 반면에 많이 사용하는 3.07버전은 옵션 조작이 된 상태이다.[37] "신에게 도전하다니"라고 대사를 친뒤 스탠드가 사라져 엄청난 폭발 이팩트를 남긴다.[38] 최강 초필인 Carnage to Demise가 발동된다.[39] 정확히는 DisplayToClipboard 또는 AppendToClipBoard 명령어의 %n 토큰을 일컫는다.[40] Readme 참조함.[41] 베이직 - 원본 도날드의 콤보를 흉내내는 스타일
스트라이커 - 밸런스형 스타일
에어리얼 - 공중전에 특화된 스타일
트리키 - 회피, 순간 이동 등으로 상대를 농락하는 스타일
불합리 - 상술한 AI 스타일의 좋은 점들만 가져온 스타일[42] 통상, 광인화, 광인화II, 진·광인화, 진·광인화II, 명왕재림[43] 인트로에서부터 대부분의 캐릭터를 즉사시키는 초필살기를 발동한다. 이 형태부터는 팔레트 설정으로만 진입 가능하다.[조건] 진·광인화II 상태에서 무승부, 파일 수정을 통한 상시 활성화.[44] 여담이지만, 승수는 딱히 상관 없다. %n으로 승리 횟수를 조작할 수 있는데, 0에서 255까지의 값을 입력할 수 있다. 255로 하면 한 번만 이겨도 255승을 한 것으로 기록되고, 충분히 승수를 쌓았으므로 게임은 승리로 끝나게 된다.[45] H의 약자는 Honki, 즉 '진심'이다. 때문에 이 캐릭터를 진심 레이무라고 부르기도 한다.[46] 이전에도 %n은 있었으나, 이를 이용하여 parent 날조를 성공한 것은 L-레이무가 최초.[47] 다크 도날드 EX도 포함한다.[48] 즉 방어성능은 그대로란 소리(...)[49] 둘의 차이라면 구버전은 기 게이지를 아낌없이 사용하나 신버전은 게이지를 아끼다가 데들리 레이브 등의 즉사기를 한 번에 터트리는 방식으로 싸운다.[50] 단, 이상한 확장자임에도 메모장으로 읽어지면 이는 텍스트 파일이므로 정상적인 파일이다.[51] 제작자의 구글플러스에 킬올이 올려져 있다. 사람들은 이걸 신버젼이라고 말하지만 그냥 신버젼 스프라이트를 12p에 붙인것이다. [52] 정식 캐릭터 명은 Ancient Donald 10.06.27이다.[53] 단, 완전하진 않은지 상대가 일반 잡기나밀치기를 쓸 경우 하늘로 승천(...)해버린다.[54] 참고로 저 Sadist ZERO Very Hard라는 도날드는 대부분의 흉논외를 시작하자마자 척살시키며 특히 1p자리에서 이 도날드를 이기는 캐릭터는 극히 드물다. 킬올과 배드 타임도 1p자리라면 가차없이 때려잡아 버린다.[55] 드래곤의 바로 전단계, 드래곤(Dragon/WAN, Dragon/CAN)[56] 제작자의 말에 의하면 아직 시험단계인듯 하다. 네트워크를 감염시키는 코드로 단계별로 각각 다르지만 이 코드를 이용하여 만든 캐릭터들은 실행시 컴퓨터를 다시 사게 만든다.[57] 검은색의 마법진 무로가 발사되더니 화면이 지직거리며 붉게 변하게 된다.[58] 이 옵션은 키면 논외급으로 살상력이 높아져서 기본적으로 꺼져있다.[59] 윈무겐,1.0,1.1 모두 사용 가능하다.[60] 설명서에는 준신으로 써져 있지만, 그렇게 보기엔 살상력이 낮다.[61] 윈무겐에서만 돌아가고, 1.0이나 1.1에서는 안되는 것으로 보인다.[62] 이 캐릭터가 나올 당시에는 슈퍼눌 디펜스가 없었다.[63] 해당 블로그는 동결상태였지만 이제 챕터 4까지 스토리 번역이 다 된것으로 보인다. 이 블로그에 게임을 다운로드 받을수도 있는 링크가 존재.[64] 일부 캐릭터는 이 코드를 뚫는 공격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정말 매우 제한적이거나 해당 등급인 하급~상급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65] 현재는 시간조작+승리수 조작코드를 사용하고 있다.[66] S-Sakuya 무단개조 캐릭이다.[67] 10P보다 낮은 팔렛에선 즉사가 일정 확률로 자살하거나 상대랑 동반 자살하기도 한다.[68] 7P이후부터는 하지 않는다.[69] 노래가 끝났을 때 무겐이 튕긴다.[70] 마가사메랑 E크리자리드를 만들어낸 동일한 제작자이다.[71] S사쿠야랑 싸우면 소리도없이 인트로가 나오지만 시작하면 멈춘다.[72] 왜그렇냐면 12p로 오류로 무겐이 강제 종료된다. 그래서 이 캐릭터로 12p는 플레이를 하지않는다.[73] 사용하는 순간 제한시간을 0초로 바꾼다. 마리오 해머로 킬할시 ko나 타임오버후 판정 승리중 하나가 뜬다.근데 흉악캐 답게 적을 킬하지 않을 경우에도 0초로 고정되는데 시간은 안흐른다.[74] Orekin, Killer king.[75] 1p=우주 2p=무지개 3p=메이드 인 헤븐 4p= 가상 5p=D-FD(다크 파이널 도날드) 6p=하늘 7p=백 8p=골드 익스피리언스 9p=한국 10p=악마 사냥꾼 레이무 11p=킬러 퀸 12p=5pb.[76] 같은 흉악이자 또다른 동방 개조 캐릭터인 S사쿠야가 착용한 스탠드랑 동일하다.[77] 원문은 七夜死貴[78] 여기서 논외는 아마도 신급의 기술로는 격파가 불가능하다는 뜻인 것 같다.[79] 1P의 최대 라이프가 9이다.[80] 정확히는 Hanayakuro의 렌 개조 캐릭터인 '알트'를 개조.
스트라이커 - 밸런스형 스타일
에어리얼 - 공중전에 특화된 스타일
트리키 - 회피, 순간 이동 등으로 상대를 농락하는 스타일
불합리 - 상술한 AI 스타일의 좋은 점들만 가져온 스타일[42] 통상, 광인화, 광인화II, 진·광인화, 진·광인화II, 명왕재림[43] 인트로에서부터 대부분의 캐릭터를 즉사시키는 초필살기를 발동한다. 이 형태부터는 팔레트 설정으로만 진입 가능하다.[조건] 진·광인화II 상태에서 무승부, 파일 수정을 통한 상시 활성화.[44] 여담이지만, 승수는 딱히 상관 없다. %n으로 승리 횟수를 조작할 수 있는데, 0에서 255까지의 값을 입력할 수 있다. 255로 하면 한 번만 이겨도 255승을 한 것으로 기록되고, 충분히 승수를 쌓았으므로 게임은 승리로 끝나게 된다.[45] H의 약자는 Honki, 즉 '진심'이다. 때문에 이 캐릭터를 진심 레이무라고 부르기도 한다.[46] 이전에도 %n은 있었으나, 이를 이용하여 parent 날조를 성공한 것은 L-레이무가 최초.[47] 다크 도날드 EX도 포함한다.[48] 즉 방어성능은 그대로란 소리(...)[49] 둘의 차이라면 구버전은 기 게이지를 아낌없이 사용하나 신버전은 게이지를 아끼다가 데들리 레이브 등의 즉사기를 한 번에 터트리는 방식으로 싸운다.[50] 단, 이상한 확장자임에도 메모장으로 읽어지면 이는 텍스트 파일이므로 정상적인 파일이다.[51] 제작자의 구글플러스에 킬올이 올려져 있다. 사람들은 이걸 신버젼이라고 말하지만 그냥 신버젼 스프라이트를 12p에 붙인것이다. [52] 정식 캐릭터 명은 Ancient Donald 10.06.27이다.[53] 단, 완전하진 않은지 상대가 일반 잡기나밀치기를 쓸 경우 하늘로 승천(...)해버린다.[54] 참고로 저 Sadist ZERO Very Hard라는 도날드는 대부분의 흉논외를 시작하자마자 척살시키며 특히 1p자리에서 이 도날드를 이기는 캐릭터는 극히 드물다. 킬올과 배드 타임도 1p자리라면 가차없이 때려잡아 버린다.[55] 드래곤의 바로 전단계, 드래곤(Dragon/WAN, Dragon/CAN)[56] 제작자의 말에 의하면 아직 시험단계인듯 하다. 네트워크를 감염시키는 코드로 단계별로 각각 다르지만 이 코드를 이용하여 만든 캐릭터들은 실행시 컴퓨터를 다시 사게 만든다.[57] 검은색의 마법진 무로가 발사되더니 화면이 지직거리며 붉게 변하게 된다.[58] 이 옵션은 키면 논외급으로 살상력이 높아져서 기본적으로 꺼져있다.[59] 윈무겐,1.0,1.1 모두 사용 가능하다.[60] 설명서에는 준신으로 써져 있지만, 그렇게 보기엔 살상력이 낮다.[61] 윈무겐에서만 돌아가고, 1.0이나 1.1에서는 안되는 것으로 보인다.[62] 이 캐릭터가 나올 당시에는 슈퍼눌 디펜스가 없었다.[63] 해당 블로그는 동결상태였지만 이제 챕터 4까지 스토리 번역이 다 된것으로 보인다. 이 블로그에 게임을 다운로드 받을수도 있는 링크가 존재.[64] 일부 캐릭터는 이 코드를 뚫는 공격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정말 매우 제한적이거나 해당 등급인 하급~상급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65] 현재는 시간조작+승리수 조작코드를 사용하고 있다.[66] S-Sakuya 무단개조 캐릭이다.[67] 10P보다 낮은 팔렛에선 즉사가 일정 확률로 자살하거나 상대랑 동반 자살하기도 한다.[68] 7P이후부터는 하지 않는다.[69] 노래가 끝났을 때 무겐이 튕긴다.[70] 마가사메랑 E크리자리드를 만들어낸 동일한 제작자이다.[71] S사쿠야랑 싸우면 소리도없이 인트로가 나오지만 시작하면 멈춘다.[72] 왜그렇냐면 12p로 오류로 무겐이 강제 종료된다. 그래서 이 캐릭터로 12p는 플레이를 하지않는다.[73] 사용하는 순간 제한시간을 0초로 바꾼다. 마리오 해머로 킬할시 ko나 타임오버후 판정 승리중 하나가 뜬다.근데 흉악캐 답게 적을 킬하지 않을 경우에도 0초로 고정되는데 시간은 안흐른다.[74] Orekin, Killer king.[75] 1p=우주 2p=무지개 3p=메이드 인 헤븐 4p= 가상 5p=D-FD(다크 파이널 도날드) 6p=하늘 7p=백 8p=골드 익스피리언스 9p=한국 10p=악마 사냥꾼 레이무 11p=킬러 퀸 12p=5pb.[76] 같은 흉악이자 또다른 동방 개조 캐릭터인 S사쿠야가 착용한 스탠드랑 동일하다.[77] 원문은 七夜死貴[78] 여기서 논외는 아마도 신급의 기술로는 격파가 불가능하다는 뜻인 것 같다.[79] 1P의 최대 라이프가 9이다.[80] 정확히는 Hanayakuro의 렌 개조 캐릭터인 '알트'를 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