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2AC : EVOLVE/코스
EZ2AC : EVOLVE의 코스 모드 목록.
1. 개관
2. 범례
3. 5키 코스
3.1. 신규 코스
3.1.1. Take One (Lv 4)
3.1.2. RMHN (Lv 7)
3.1.3. Jammin Color (Lv 9)
3.1.4. Cradle Edge (Lv 9)
3.1.5. Empty Band (Lv 10)
3.1.6. SPEEDSTER (Lv 10)
3.1.7. PEENA (Lv 10)
3.1.8. Team Progressive (Lv 11)
3.1.9. Subliminal Effect (Lv 11)
3.1.10. Heart-string (Lv 12)
3.1.11. KICK THE FLOOR (Lv 12)
3.1.12. 03's Icon (Lv 12)
3.1.13. Blue Diamond (Lv 13)
3.1.14. Flow.D (Lv 14)
3.1.15. Hysteric of Rhythm (Lv 15)
3.1.16. err (Lv 16)
3.1.17. LEVEL : ZETA (Lv ζ->?)
3.1.18. juking (Lv ?)
3.1.19. Interpretation (Lv 16)
3.1.20. Pieces of Feeling (Lv 11)
3.1.21. Nostalgic Resistance (Lv 12)
3.1.22. Cradle Edge ii (Lv 13)
3.1.23. Team Colorade (Lv 9)
3.1.24. Indigo Wolves (Lv 14)
3.1.25. Lvqvet (Lv 16)
3.1.26. Hysteric of Rhythm II (Lv 16)
3.1.27. Revenge Plan B (Lv 14)
3.1.28. LEVEL : OMEGA (Lv Ω)
3.1.28.1. 패턴 설명
3.1.29. dimcynical (Lv ?)
3.1.30. Lunatic Sounds (Lv 15)
3.1.31. FOX-B (Lv 12)
3.1.32. D (LV ?)
3.2. 랜덤 코스
3.2.1. 7+ RANDOM (LV ?)
3.2.2. 10+ RANDOM (LV ?!)
3.2.3. 13+ RANDOM (LV !!!)
3.2.4. Mutant (Lv ?)
3.2.5. znpfg (Lv ?)
3.3. 기존 코스
3.3.1. Ouroboros (Lv ∞)
3.3.2. Trickster (Lv !?)
3.3.3. Nervous Breakdown (Lv 17)
3.3.4. END (Lv 16)
3.3.5. Total Mayhem (Lv 16)
3.3.6. Abscondence (Lv 16)
3.3.7. FUSE (Lv 15)
3.3.8. Pyrexia (Lv 14)
3.3.9. ohcodus (Lv 14)
3.3.10. ATAS (Lv 12)
3.3.12. HFS+ (Lv 10)
3.3.13. Steel Heart (Lv 10)
3.3.14. Sprouts of Rebellion (Lv 10)
3.3.15. Game World (Lv 10)
3.3.16. AYA (Lv 10)
3.3.17. European Express (Lv 9)
3.3.18. Flight Plan (Lv 8)
3.3.19. Seeds of Rebellion (Lv 8)
3.3.20. Houseplan Inc. (Lv 8)
3.3.21. on the beach (Lv 8)
3.3.22. Lounge J (Lv 5)
3.4. 삭제 코스
4. 7키 코스
4.1. 신규 코스
4.1.1. Cradle Edge (Lv 9)
4.1.2. Team Progressive (Lv 9)
4.1.3. Jammin' Color (Lv 9)
4.1.4. Empty Band (Lv 10)
4.1.5. SPEEDSTER (Lv 10)
4.1.6. Subliminal Effect (Lv 11)
4.1.7. Heart-string (Lv 12)
4.1.8. KICK THE FLOOR (Lv 12)
4.1.9. 03's ICON (Lv 12)
4.1.10. tustenik (Lv 12->11)
4.1.11. KIEN (Lv 13)
4.1.12. water-flame (Lv ?)
4.1.13. escape from love -w473r fl4m3- (Lv ?)
4.1.14. LEVEL : ZETA (Lv ζ->?)
4.1.15. Reinforcement (Lv 16)
4.1.16. Synthetic World (Lv 15)
4.1.17. The L8niter (Lv 15)
4.1.18. LEVEL : OMEGA (Lv Ω)
4.1.19. Vilkas (Lv 13)
4.2. 랜덤 코스
4.3. 기존 코스
4.3.1. Ouroboros (Lv ∞)
4.3.2. Trickster (Lv !?)
4.3.3. Total Mayhem (Lv 16)
4.3.4. Abscondence (Lv 15)
4.3.5. FUSE (Lv 15)
4.3.6. sun3 (Lv 14)
4.3.7. Shooting Star (Lv 13)
4.3.8. From Dusk Till Dawn (Lv 13)
4.3.9. yak_won (Lv 13)
4.3.10. wr8ng q: (Lv 13)
4.3.11. studio PSYCLOID (Lv 12)
4.3.12. Steel Heart (Lv 10)
4.3.13. Flight Plan (Lv 8)
4.3.14. on the beach (Lv 8)
4.3.15. VAi2 (Lv 6)
4.4. 삭제 코스
1. 개관
이번 작품에서는 코스별 부제가 사라졌다. 다만 일부 코스는 아이캐치에 부제가 적혀있다.
5키 7키 모두 콤보와 게이지 잔량이 다음 스테이지로 계승되는 시스템으로 변화하였고, 7키 라디오의 경우 전작까지 이어져왔던 청취율 시스템이 삭제되고 서바이벌 게이지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일부 구 코스는 체감 난이도가 변한 경우가 많다.
2. 범례
3. 5키 코스
3.1. 신규 코스
3.1.1. Take One (Lv 4)
EZ2AC판 Idol Set.
2.00 패치기준 가장 먼저 골라지는 코스이며, 이볼브의 코스 중 가장 난이도가 낮다. 초보자도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코스.
3.1.2. RMHN (Lv 7)
잊을만하면 롱페달이 나오는 코스이다. 전용 패턴들의 난이도는 노멀과 비슷하다.
3.1.3. Jammin Color (Lv 9)
Sparrow 와 Todos Los Dias, Complex 는 HD, Flicker은 NM 패턴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체감난이도는 8-6-8-10 정도.
3.1.4. Cradle Edge (Lv 9)
EV에서 신곡 2곡과 EC 수록곡 2곡으로 개편되었다. EC 곡도 EC Cradle Edge 채널 패턴과는 다르게 새로 짰다.
3.1.5. Empty Band (Lv 10)
'Institution of Emptiness'라는 철학적인 부제가 붙어있는 채널. Nothing Else는 하드와 동일 패턴이다.
3.1.6. ''SPEEDSTER'' (Lv 10)
코스 선택 화면에서 제목이 기울어져 있다.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갈 때마다 통상 스크롤이 점점 빨라지는 것이 특징.
1스테이지는 BERA znpfg 패턴에서 초반의 스크래치들을 뺀 듯한 구성이며, 2스테이지는 하드에 롱노트 하나 추가한 수준. 3스테이지는 EC 라디오 Flight Plan 채널 패턴. 4스테이지 Ztar warZ는 리믹스 음원이다. Ztar warZ는 스크롤 속도가 매우 빠르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3.1.7. PEENA (Lv 10)
1.2a 버전에서 3스테이지가 스킵되는 버그가 있었으나 1.5버전에서 수정되었다.
3.1.8. Team Progressive (Lv 11)
Airwave, Rendezvous Coast는 EC 때의 패턴과 동일하다.
3.1.9. Subliminal Effect (Lv 11)
3.1.10. Heart-string (Lv 12)
EC의 동명의 코스와는 완전히 다른 채널. 관현악, 교향곡 같은노래로 이루어져 있다. 루시드, 오펀, 고딕은 NM, 크리스프는 HD패턴과 난이도 및 패턴이 거의 비슷하다. 덕분에 물렙성이 매우 짙다.
3.1.11. KICK THE FLOOR (Lv 12)
1스테이지는 하드랑 같지만 Come on! 후에 한 번 반복되는 부분이 다르다. 일반 하드는 신스를 연주하지만 KTF 패턴은 피아노 루프를 연주한다. 2 스테이지 Uranus는 기존에는 겹폭타가 존재하는 SHD와 거의 비슷했으나 1.5버전부터 겹폭타가 단순 계단으로 하향돼서 더 쉬워졌다. 3스테이지는 스트릿 패턴과 비슷하다.
3.1.12. 03's Icon (Lv 12)
3.1.13. Blue Diamond (Lv 13)
'flow.d's present'라는 부제가 붙어있다. Hallucination은 덥스탭 부분이 들어있는 버전으로 오투잼에 동시수록된 음원이다.
Diamond Shore가 4곡중 가장 어려운 편.
3.1.14. Flow.D (Lv 14)
유저들로부터 가장 많이 호평받는 코스. 특징은 페달이 단 한개도 없다.
전체적으로 적당한 BPM과 영양가 있는 패턴을 가진 코스.
3.1.15. Hysteric of Rhythm (Lv 15)
플레이 영상
BE 3곡과 신곡 1개가 나오며, 네 곡 모두 스탠다드에서 즐길 수 있는 패턴보다 난이도가 높다. 3스테이지 굿스피드가 가장 어렵다는 평이 대부분이며, 굿스피드 특유의 빠른 템포 때문에 선곡을 피한다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
'''체감 난이도'''
1스테이지 Far Away
스탠다드에 비해 한층 높아진 겹폭타 밀도와 후반부의 엇박자 페달이 인상적인 곡. 스크래치도 일정 부분 추가되었다.
엇박 페달에 익숙해지는 것이 클리어 포인트이다. TT 1.6 업데이트 때 생긴 EX패턴으로 폭타 연습이 가능하다.
14최상급
2스테이지 Latino
기존의 스탠다드 하드패턴에 비해 키파트가 대폭 강화되었다. 스크에 약간의 변동이 있지만 페달은 기존 패턴과 거의 비슷하다. 초반에 13레벨 라티노 채보의 최후살 폭타가 쏟아지며, 이후로 좀더 음이 가미된 폭타가 나온다.
후반에 롱스크에 초반보다 더 강화된 폭타가 쏟아지므로 주의해야하며, 클리어 자체는 어렵지 않으나 이후 등장할 가장 어려운 3스테이지에 대비해서 그 구간에서 피를 최대한 아끼는 것이 중요하다. 롱스크를 얼마나 잘 처리하느냐에 따라 개인차가 갈릴 수 있다.
14상 ~ 15중하급
3스테이지 Good Speed
BPM이 3단계에 걸쳐 점점 빨라진다. 빠른 BPM과 불규칙적인 페달과 스크래치가 특징인 곡. 스탠다드 하드패턴의 키파트의 일정부분이 스크래치와 페달에 들어갔으며, 3번째 변속구간에서는 두번째 페달부분부터 스탠다드의 페달 박자와 동일하게 나온다.
스크와 페달이 난해한 곡인만큼 개인차가 확실히 갈리며, 키파트에만 능숙한 사람의 경우 체감레벨이 16까지도 올라갈 수 있는 곡이다.
15중하 ~ 15최상급
4스테이지 Irregular Liner
느린 BPM과 따닥이, 까다로운 스크래치, 중간중간 32비트 트릴이 특징인 곡. 앞 스테이지에 비하여 곡도 느린데다가 폭타도 1스테이지를 넘어온 유저라면 무난하게 칠만한 난이도로 나오므로 스크래치 박자만 알고 있다면 거의 위닝런으로 클리어가 가능하다.
최후반에 불규칙한 페달 난타가 나오는데 이 페달 박자는 10K의 HD패턴 페달과 동일한 박자이다.
15하~15중하급
1.70버전 이전까지는 곡 순서가 Good Speed → Far Away → Latino → Irregular Liner로 지금과는 달랐으며, 곡 리스트는 Unidentified 처리되어 밝혀져있지 않았고 난이도 또한 ?로 되어있었다. 1.70에서는 레벨 15를 부여받고 곡 리스트도 공개처리 되었으나 코스 전체 미리듣기는 만들어져있지 않다. 1.8기준으로 전체 미리듣기가 완성되고 코스명이 HoR에서 Hysteric of Rhythm으로 변경되었다.
3.1.16. err (Lv 16)
EZ2AC EV 1.2a ~ 1.3c의 보스 코스. 다만 마지막 스테이지만이 전용 패턴을 가지고 있는 구성 때문에 큰 인기를 끌지는 못했다. 어쨌든 1.50 업데이트로 LEVEL : ZETA가 추가되기 전까지는 EV 신 코스의 보스를 담당하고 있었던 코스. 다만 그 당시에도 유저들의 인식은 중간 보스 정도에 가까웠다.
ASTERIOS REENTRY는 1.3c 이전의 스탠다드 SHD와 동일하다. 1.50에서는 스탠다드의 SHD 패턴이 변경되어 변경 전의 패턴은 이 코스에서만 플레이 가능하다.
코스 등장 초기엔 전체 미리듣기에서 Oriental Shade 부분이 2배정도 빠르게 들렸었는데 어느 순간 원래 빠르기로 수정되었다.[1]
4스테이지의 채보 설명을 하자면 스탠다드와 비교해 페달은 비슷하다 볼 수 있지만 스크래치가 꽤 강화됐으며 키파트 또한 매우 살벌해졌다. 빠른 멜로디와 함께 내려오는 동시치기가 찰지다. 전체적으로 체력을 많이 요구하는 채보이기도 하지만 후살이 매우 강한곡이기도 하다. 또한, 초살도 꽤 위험하기 때문에 프로토콜에서 꼭 체력을 많이 남기자. 체감난이도는 17중급 정도.
3.1.17. LEVEL : ZETA (Lv ζ->?)
정배치 영상.
플레이어는 FEII [2]
1.50 업데이트로 추가된 EZ2AC EV의 준보스. 시리즈 진행도의 중반부에 전작의 보스 채널인 우로보로스와 비견되는 난이도의 코스가 나왔다는 점에서 유저들에게 충격을 주었으며, 2.00 업데이트로 LEVEL : OMEGA 코스가 추가되기 전까지는 EV의 최종 보스 코스를 담당하고 있었다.
곡의 평균 난이도 17-18-19-19
1~3스테이지의 곡 구성은 err 채널과 같으나 전부 전용 패턴이다. 한시도 쉴새 없이 떨어지는 폭타와 멜로디스크/페달의 압박이 강한 채널로 어렵기 이전에 힘들다는 평이 많다.
1스테이지의 ASTERIOS REENTRY는 기존 SHD에 비해 멜로디스크가 엄청나게 추가되고 페달 역시 멜로디페달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플레이어를 끊임없이 괴롭힌다. 초반은 SHD에 살을 조금 붙인정도이나 후반부에서는 우보팩토리 같은 잡연타로 중무장해서 플레이어를 1스테이지부터 게임 오버시키는 무서운 패턴이다. 참고로 불가능해보이던 올콤보도 나왔다. 17최상~18하급 정도로 평가받는다.
플레이어는 SUNNY
2스테이지의 Oriental Shade는 기존 SHD패턴에서 나오던 까다로운 스크래치+패턴이 더욱 까다롭게 나온다. SHD에선 후반부에서 나오던 2페달+4연속 스크래치가 제타에서는 초반부터 나오며 후반부는 1+5스크래치로 플레이어들의 새끼손가락을 혹사시킨다. 특히 기타 속주구간은 엄청난 밀도를 가지고 있다.[3] 또한 건반부의 따닥이도 상당히 강화되고 노트수도 3506개로 많다. 고로 이 곡에서 스코어링을 해야 한다. 개인차가 많은 편이며 최소 18급의 난이도라고 평가 받는다.
3스테이지의 Terminated Protocol은 이지투 5키 패턴 중 최강의 체력곡으로 불린다. 현존하는 5키 패턴 중 가장 많은 노트 수를 가지고 있으며 롱잡 + 엇박스크, 기존 HD 패턴에서 등장하던 엇박페달이 모두 등장한다. 보통 짧은 2롱놋과 따닥이 후살이 클리어에 영향을 미친다. 체감난이도가 극명하게 갈리는데 처리력과 체력이 충분하다고 해도 최소 18 정도로 체감되며 체력이 약하다면 19~20 수준으로 느낄 수 있다. 이 코스의 보스곡.
이런 극악무도한 체력곡 패턴임에도 불구하고 2020년 4월 17일 SUNNY라는 유저가 최초로 올콤보를 달성했다.
4스테이지인 Gothique Resonance는 하드에 비해 엇박페달이 강화되고, 건반부도 더욱 어려워졌다. SHD와 마찬가지로 후살곡이다. 특히 최후반 부분은 슈하를 훨씬 강화시킨 패턴이 등장하는데 배치빨이 심하다. 보통 제타를 처음 도전하는 사람들이 가장 까다로워하는게 고딕 후살과 오리엔탈의 속주부분인데 속주부분은 뭉개면 넘는 게 가능하지만 고딕은 그런거 없고 황배가 뜨길 빌어야되는데 황배가 떠도 왠만한 18 씹어먹는데다가 앞에 프로토콜이 어마어마한 체력곡이다보니 제타 첫클 최대의 관문이라 볼 수 있다. 체감난이도는 배치에 따라 18중에서 19까지도 올라간다.
그리고 공통적으로 난이도를 올리는 주범이 있는데 바로 '''짠 게이지 증감량'''.제타 게이지 실험 패턴은 우로보로스가 더 어렵다는 의견이 많지만 클리어 난이도는 이쪽이 더 높다고 말하는 이유가 이것.
2.00 업데이트로 코스 난이도가 LEVEL : OMEGA처럼 ζ(제타)로 표기되었던 적이 있었다. 그러나 2.02b로 다시 ? 표기로 복귀되었는데, 의도인지 실수인지는 불명. 이는 7키도 마찬가지.
NT에서는 다시 제타로 돌아갔다.
3.1.18. juking (Lv ?)
1.70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전체적으로 패턴은 9~10 정도로 무난하나, 스테이지를 넘길수록 미스나 페일의 게이지 감소량이 상당하며 특히 마지막의 Nothing Else는 미스 한번 내면 게이지가 절반이 날아가고[4] , 페일 한번이면 무조건 사망한다. 그리고 굿 판정을 받아도 게이지가 소량 감소한다. 게다가 일자연타와 같은 패턴으로 인해 미스나 페일 유발이 심해 한 번 미끄러지면 그대로 셔터가 닫힌다. 참고로 마지막 곡인 Nothing Else에는 턴테이블, 페달노트가 나오지 않는 5K Only 모드 패턴이므로 키에 집중하면 클리어를 노릴 수 있다.
여담으로 코스 제작자인 juking의 트윗에 따르면 게이지 증가량을 0으로 설정하려 했다고 한다(!) 참고로 juking은 현재 네오위즈 소속으로, 모바일 리듬게임 HIGH5의 개발에 참여했었으며, DJMAX RESPECT의 디렉터로 참여해 런칭했다.
3.1.19. Interpretation (Lv 16)
juking과 같이 1.70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본래 중~저난이도 패턴만 존재하던 곡들을 고난이도 버전으로 `재해석`한 코스로, 모든 패턴이 노골적인 멜로디 롱스크가 쉬지 않고 쏟아진다. 심지어 페달 파트에도 멜로디 롱페달이 나오는 둥 기존의 패턴들과는 상당히 이질적인 특수 패턴 코스.
채보가 너무 괴상한데다 불렙 논란이 많이 일어서 상당히 욕을 먹는 채널이기도 하다. 하지만 독특해서 재밌다는 소수의 변태같은 유저들도 있는 듯. 그러나 대부분 불렙 논란엔 동의하는 편으로 16레벨 채널이지만 우제널디와 비교될 정도. 실제로 다른 16코스를 전부 클리어해도 이 코스만큼은 개인차에 따라 클리어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 특수 패턴들이니 특수문자로 표기를 해야 한다, 아니면 17레벨로 난이도를 올려야 한다는 등의 의견이 있다.
특이하게도 각 스테이지별 곡들은 순서대로 BErA, AEIC, EC, EV 수록곡들이다. 하지만 NT에서 2스테이지와 4스테이지의 순서가 바뀐 관계로 무의미해졌다. 또한 노트수도 전부 끝자리가 0이다.
이 코스의 특징을 잘 알려주는 코스. 초반부에는 메인 멜로디음이 스크래치로 나오며 중반부부터는 페달로 나온다. 중간중간에 나오는 빅장부분에서 빠지는 피를 멜로디 롱스크와 롱페달로 채우도록 하자. 체감난이도는 15~16.
기괴하다. 따닥이, 연타, 멜로디 롱스크, 멜로디 페달, 32비트 폭타로 도배된 종합선물세트. 페달이나 스크의 박자가 상당히 난해하기 때문에 리듬감이 깨진다. 32비트 스크로 마무리되는 최후반은 그야말로 화룡점정. 가장 문제인 부분은 중반부부터 나오는 초고밀도 폭타인데 BPM이 빠른 편이 아닌데도 이 구간에서 게이지가 매우 많이 깎인다. 결국에는 멜로디 롱스크로 깎인 피를 채워야 하는데, 따닥이 배치가 턴테이블과 가깝게 나와버리면 롱스크와 같이 처리하기에 굉장히 애매해지므로 뭉텅이 구간에서 까인 체력을 채우기가 곤란해진다. 마지막 마디에는 24비트 스크까지 나온다. 체감 난이도는 17최상, 개인차에 따라 18레벨까지 갈 수 있으며, 우제널디의 일부 곡들을 초월해버린다는 평도 있다.
초중반부터 나오는 알 수 없는 박자의 따닥이와 스크래치로 유저들을 괴롭힌다. 배치빨을 상당히 많이 받으며, 난이도를 떠나서 플레이어들의 체력을 상당히 갉아먹는 곡이다. 특히 후살은 8비트페달+엄청난 멜로디스크+따닥이 키파트로 플레이어들을 안드로메다로 보내버린다. 2스테이지와 요구하는 처리력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여기서 죽을수도 있으니 조심하자. 체감 난이도는 17상~최상.
초반부터 겹트릴이 나오는데 배치가 이상하면 여기서 피가 왕창 깎인다. 시간 여유가 많기 때문에 미리 배속을 내려서 배치를 보는게 좋다. 체감 난이도는 16으로, 그나마 이 코스에서 제일 무난한 채보라는 평가.
Tension을 제외한 전곡 12.5% 스크롤 속도가 빠르게 설정되어 있다.3.1.20. Pieces of Feeling (Lv 11)
1.80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롱잡이 많이 나오며 11레벨 치고는 어렵다.
3.1.21. Nostalgic Resistance (Lv 12)
1.80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수록곡은 전부 EV 신곡이나, EZ2DJ 7thTRAX ~Resistance~ 계열 수록곡들의 패턴 몇가지를 일부 구현해냈다. 또한 패턴이 구현된 구간은 일부 어레인지가 가해져있기도 하다. 코스 이름에도 부제인 Resistance가 들어가고, 아이캐치도 7th 2.0까지의 테마인 금빛구름이고 아이캐치의 폰트 디자인도 7th 기어의 디지털 폰트인 등 말 그대로 레지스탕스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컨셉의 코스.
1스테이지 Immortal은 1.8 이전까지의 FOX-B 코스 1스테이지 패턴을 약간 수정한 뒤 들고 왔다. 곡 역시 어레인지된 것을 그대로 들고왔다.
한가지 재밌는 점으로 Immortal은 Dreamy Flight의 패턴을 일부 구현해냈는데, 두 곡의 작곡가는 같다.
3.1.22. Cradle Edge ii (Lv 13)
1.80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모든 패턴의 난이도가 12레벨 중급 ~ 13레벨 하급에 준하다.
이 코스에서 최대 고비 구간은 First Fantasy의 롱잡 구간과 기타 속주 구간이다.
On My Way와 First Fantasy는 1.80 패치로 추가된 Remaster Version. 이 코스 외에 루비, 14키, 캐치에서 원곡과 별개의 곡으로 추가되어 자유롭게 선곡할 수 있다. 2.0버전부터는 5K STANDARD에서도 플레이 가능.
3.1.23. Team Colorade (Lv 9)
1.9 패치로 추가된 신규 코스. 1.9 패치로 추가된 두 개의 신곡이 포함되어있다. 난이도는 중간 레벨대인 9레벨.
이 코스의 특징이 두 가지 있는데 이 코스의 패턴들이 Flow.D 코스와 마찬가지로 페달이 없다는 점과 곡 구성이 Be-Music Phase팀 멤버들이 만든 곡들로 이루어져있다는 점이다.
여담으로 이 코스의 난이도 표기가 9와 ?이 겹쳐져 있는 모양으로 표시되는데, 이게 심히 절묘하게 겹쳐져 있다. 관련 트윗 작업 중에 이미지 실수로 붙었다고 제작진이 밝혔으며 추후에 수정할 예정이라고 한다. 또한 결과창에서는 코스명이 Team Colorade가 아니라 Colorade로 표기된다.
2.0버전에서 없어졌다 2.02b 패치로 재등장했다. 삭제했다가 재수록한 것인지 2.0 패치에서 누락된 것인진 아직 밝혀진 게 없다.
3.1.24. Indigo Wolves (Lv 14)
Lvqvet 채널과 함께 2.00에서 첫번째로 해금된 채널이다. 3스테이지 까지는 14레벨을 도전할 실력이면 무난하게 클리어가 가능하고 마지막 CHIARA의 경우는 SHD에서 스크래치와 페달의 난이도가 줄어든 대신 키파트의 밀도가 높아졌다. 체감은 SHD와 비슷하다.
3.1.25. Lvqvet (Lv 16)
1스테이지는 전형적인 스크래치곡이면서 롱잡도 중간중간에 한 번씩 나와주는 그런저런 패턴이다. 체감난이도는 15중급.
2스테이지의 휠오파는 END의 패턴보다는 상당히 쉬운 채보를 가지고 나왔으며 END코스의 연타도 없다. 노트 수가 많이 늘어나서 스코어링에도 좋다. 체감 14상~15최하급.
3스테이지는 이 코스의 보스패턴이라는 평이며 이 코스의 존재의의라고 볼 수도 있는패턴. 시작부터 근본없는 페달 박자와 BPM 195란 정신나간 속도로 겹폭타가 떨어지는데 어지간한 17러너들도 첫플에 초살에서 죽는 경우가 허다하다. 초살을 넘기면 중간중간에 나오는 8비트 페달 연타나 동시치기 부분만 조심하면 비교적 평이하게 나온다.....싶었는데 후반에 또 특유의 폭타가 나온다... 체감난이도는 17중상 정도로 소위 말하는 16코스 중에서도 어려운 편에 속하는 채보이다.
4스테이지는 이렇게 겨우겨우 3스테이지를 클리어 한 유저들을 놀리기라도 하는듯이 시작하자마자 Messier 333의 빅장부분이 짧게 나오는데 여기서 죽는 유저들이 은근히 많다. 그야말로 빡이 도는 상황. 그렇지만 그 이후로는 3스테이지를 클리어 한 유저라면 무난하게 칠 수 있는 채보이며 스크래치는 오히려 5K Standard의 그것보다도 쉽게 나온다. 체감난이도는 15중상~15최상급.
3.1.26. Hysteric of Rhythm II (Lv 16)
페달의 압박이 매우 심한 채널이며 코스 추가 당시 불렙 의혹을 강하게 받았다. 특히 이 코스의 보스곡인 Minus 2의 후반 연타는 개인차가 매우 심하여 17하~17중상 정도의 체감난이도를 보인다.
체감난이도 15 - 16 - 17 - 16
결국 2.02 패치에서 16으로 올라갔다.
Frostbite와 Minus 2는 스크롤 속도가 12.5% 빠르게 설정되어 있다.
3.1.27. Revenge Plan B (Lv 14)
4스테이지의 CHIARA는 5스트릿의 SHD패턴보다 키 파트가 좀 더 강화되었다.
EZ2AC NT에서 Venn Diagram이 라이센스 만료로 인한 삭제로 인해 이 채널 자체가 삭제되면서 나머지 곡들 중 Oriental Shade만 패턴가챠 채널에서 확률적으로 등장하며, 나머지 2, 4스테이지 전용 패턴은 그냥 날아갔다. 하지만 완전히 날아간 것이 아니고 2, 4스테이지 전용 패턴의 일부 구간을 다듬어서 패턴가챠에 다시 수록되었다.
3.1.28. '''LEVEL : OMEGA (Lv Ω)'''
'''이볼브 진 최종보스 코스이자 EZ2AC 5키의 최종 관문.'''[5]
해금 커맨드 및 스태프 롤을 공개했던 목마 방송에서 첫 플레이가 공개되었는데 Soul Destructor HD를 그냥 패턴으로 짓밟아버린 그야말로 말도 안되는 수준의 난이도를 지닌 Harpe for GAIA의 패턴을 보고 방송을 시청하던 유저들은 충격을 감출 수 없었다.
우로보로스나 제타 공개 초기엔 이것보다 더 심한 채보가 한번은 나오겠지 하는 의견이 종종 있었다. 코스 공모전에서도 저 두 코스를 뛰어넘는 난이도를 생각하고 응모한 사람이 많았을 정도. 이것으로 봤을때 난이도 인플레가 가속되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기도 하다. 이볼브에서 판정수치가 크게 늘어나긴 했지만 늘어난 판정으로도 클리어 난이도는 BERA 시절의 바이올렛 채널보다 더 높다는 분석 때문. 아직까진 그렇게 심각하게 여길 수준은 아니라고 말하는 유저도 있는 반면 지금은 널버스, 우로보로스, 제타 등등으로 이미 유저들의 실력이 상향 평준화된 것을 감안해야 한다는 유저도 있다. 현재는 5키에서 난이도 상승을 막는 일종의 리미터 포지션이 되고 있다.
3스테이지가 보스 포지션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은 이볼브의 코스 특성상 3스테이지를 넘길 정도의 실력이 된다면 4스테이지의 블리츠크리그는 클리어가 확실시된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고 BEDLAM보단 쉬운 편이라고 하나 그마저도 기존의 보스곡들을 상회하는 난이도이기 때문에 방심하면 안 된다.
2.0 버전까지는 4스테이지만큼은 게이지 증감량이 정상이였으나 2.02 버전부터는 4스테이지도, 즉 '''오메가 모든 패턴의 게이지 증감량이 짜게 조정되었다.''' 결국 BlitzKrieg의 평가도 올라가게 되었다. 그래도 앞의 스테이지보다는 후한 편.
공개 당일엔 당분간 클리어자가 나오지 않을 것으로 예상이 되었으나 몇몇 유저들의 새벽부터 밤까지 계속된 도전으로 공개 당일날 SUNNY라는 유저가 첫 클리어에 성공하였다. 패치는 전날에 완료되었으나 포인트 시스템에 의해서 해금된 것은 패치 다음날 새벽에 이루어졌다. 그 뒤로 계속 플레이한 것.[6]
znpfg나 Mutant처럼 전용 프리뷰가 있다. 난이도에 걸맞게 위엄있는 사운드를 연출한다. 동시에 이볼브 PV에 쓰인 신호음도 나와 이볼브의 끝을 보여주는듯한 느낌을 주고 있다. 이 프리뷰 사운드는 이볼브 OST 디스크 2에 히든 트랙으로 실려있다.
여담으로 감스트X엘론 합방 당시 FOX-B가 직접 '''대놓고 죽으라고 만들었는데 깨서 문제'''라고 발언했다. 즉 처음부터 시리즈 최고 난이도로 설계된 코스.
2019년 4월 1일 배포된 TT 1.77 패치에서 Attenuated라는 부제가 달린 열화판 코스가 추가되었다. 덤으로 이 코스에도 Origin이라는 부제가 붙었다.
【2020년 5월 기준으로 클리어자 수는 총 35명이다. 클릭시 리스트 확인 가능 】
3.1.28.1. 패턴 설명
기존 패턴보다 훨씬 강화된 형태로 나왔다. 문제는 게이지 증감량마저 짜기에 간접미스로 깎이는 양도 많아 상당한 수준의 정확도를 요구한다는 것. 거기다 스크래치도 적게 나오는 편이 아니며, 중간중간 나오는 12비트 페달연타는 곡 난이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주범이 되고있다. 체감 난이도는 약 18.
2.02 패치 때 판정이 BErA의 판정수치 7인 곡 정도로 짜졌다.
다른 코스에서는 충분히 보스를 차지할만한 패턴임에도 불구하고 나머지 스테이지가 너무 강력해서 작곡자는 자동문 드립을 쳤다.
2.02 패치 때 판정이 BErA의 판정수치 7인 곡 정도로 짜졌다.
다른 코스에서는 충분히 보스를 차지할만한 패턴임에도 불구하고 나머지 스테이지가 너무 강력해서 작곡자는 자동문 드립을 쳤다.
충분히 어려웠던 1 Stage를 비웃는듯한 전례가 없던 미친 난이도의 패턴을 보여준다. 딱히 후살이 있거나 하진 않지만 스크래치와 페달이 불규칙적으로 계속 나오면서 긴/짧은 롱노트+잡연타가 정말 쉴틈없이 쏟아진다.
보통 롱잡을 1차, 2차 구간으로 나눈다. 먼저 1차 롱잡 이전에 LEVEL: ZETA의 Terminated Protocol에서 등장했던 잡노트 사이에 짧은 롱노트가 끼워져 나오는데 잡노트 수가 상당히 많아 처리하기가 힘들다. 다만 짧놋의 위치가 바뀌지 않기 때문에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처리하기 수월해진다. 1차 롱잡의 경우 짧놋 패턴을 지나자마자 순간의 폭타와 함께 롱노트+짧놋+연타가 등장하는데 문제는 이때 엇박의 페달과 쏟아지는 스크래치를 동시에 버텨내야 한다. 스크래치의 경우 5K Standard의 SHD와 유사하나 중간의 짧은 스크 3개가 롱스크로 바뀌어 나오기 때문에 무작정 비비다가는 그대로 폭사하고 만다. 스크가 많다고 S1/2345의 손배치로 버티다가는 롱노트에 섞여나오는 잡노트에 폭사당하기 십상이다.
2차 롱잡의 경우 1-2-3-3-2로 반복되는 페달이 처음부터 끝까지 쏟아지면서 끊임없이 떨어지는 짧은 롱노트 사이에 미친듯한 잡노트가 섞여 나온다. 잡노트 수가 굉장히 많기 때문에 제대로 보이지 않을 뿐더러 따닥이가 끼어 있기 때문에 굉장히 난해한 구간이며 간간히 떨어지는 스크래치도 신경써야 한다. 노오토 기준으로는 1차 롱잡 구간이 가장 어렵고 쌍오토 기준으로는 2차 롱잡 구간이 클리어 여부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구간이다.
등장 당시엔 지금까지 나온 모든 5K 곡을 통틀어 가장 어려운 곡으로 자리매김 하는 듯 했으나 유저들이 패턴에 숙달되기 시작하면서 체감 난이도가 하락했다. 물론 보통의 다른 패턴들과는 비교가 불가능한 수준.
보통 롱잡을 1차, 2차 구간으로 나눈다. 먼저 1차 롱잡 이전에 LEVEL: ZETA의 Terminated Protocol에서 등장했던 잡노트 사이에 짧은 롱노트가 끼워져 나오는데 잡노트 수가 상당히 많아 처리하기가 힘들다. 다만 짧놋의 위치가 바뀌지 않기 때문에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처리하기 수월해진다. 1차 롱잡의 경우 짧놋 패턴을 지나자마자 순간의 폭타와 함께 롱노트+짧놋+연타가 등장하는데 문제는 이때 엇박의 페달과 쏟아지는 스크래치를 동시에 버텨내야 한다. 스크래치의 경우 5K Standard의 SHD와 유사하나 중간의 짧은 스크 3개가 롱스크로 바뀌어 나오기 때문에 무작정 비비다가는 그대로 폭사하고 만다. 스크가 많다고 S1/2345의 손배치로 버티다가는 롱노트에 섞여나오는 잡노트에 폭사당하기 십상이다.
2차 롱잡의 경우 1-2-3-3-2로 반복되는 페달이 처음부터 끝까지 쏟아지면서 끊임없이 떨어지는 짧은 롱노트 사이에 미친듯한 잡노트가 섞여 나온다. 잡노트 수가 굉장히 많기 때문에 제대로 보이지 않을 뿐더러 따닥이가 끼어 있기 때문에 굉장히 난해한 구간이며 간간히 떨어지는 스크래치도 신경써야 한다. 노오토 기준으로는 1차 롱잡 구간이 가장 어렵고 쌍오토 기준으로는 2차 롱잡 구간이 클리어 여부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구간이다.
등장 당시엔 지금까지 나온 모든 5K 곡을 통틀어 가장 어려운 곡으로 자리매김 하는 듯 했으나 유저들이 패턴에 숙달되기 시작하면서 체감 난이도가 하락했다. 물론 보통의 다른 패턴들과는 비교가 불가능한 수준.
패턴의 특성은 Harpe for GAIA와 확연히 다르다. 초반부나 중반부도 결코 쉬운 패턴은 아니지만 앞의 Harpe for GAIA를 클리어한 유저라면 일단은 넘어갈 수 있다.
하지만 이 패턴이 미친 난이도를 지녔다고 불리는 이유는 바로 후반부. 후반부가 시작되면 중반부까지의 패턴과는 확연히 다르게 난해하면서 규칙성 없는 미친 밀도의 폭타가 몰려오기 시작한다. 정신없는 샘플링 스크래치에 따닥이 페달이 플레이어를 괴롭히며, 짧은 롱노트와 함께 섞여나오는 폭타가 이 부분의 난이도를 대폭 올려준다. 그리고 최후반부에서는 초고밀도의 3마디 후살 구간이 등장한다. LEVEL: ZETA의 Oriental Shade보다 BPM도 빠르면서 밀도는 더 높은 후살이 무려 세 번이나 쏟아져 내려온다.[7]
하지만 이 패턴이 미친 난이도를 지녔다고 불리는 이유는 바로 후반부. 후반부가 시작되면 중반부까지의 패턴과는 확연히 다르게 난해하면서 규칙성 없는 미친 밀도의 폭타가 몰려오기 시작한다. 정신없는 샘플링 스크래치에 따닥이 페달이 플레이어를 괴롭히며, 짧은 롱노트와 함께 섞여나오는 폭타가 이 부분의 난이도를 대폭 올려준다. 그리고 최후반부에서는 초고밀도의 3마디 후살 구간이 등장한다. LEVEL: ZETA의 Oriental Shade보다 BPM도 빠르면서 밀도는 더 높은 후살이 무려 세 번이나 쏟아져 내려온다.[7]
처음부터 끝까지 우로보로스 코스의 Legend 후살로 도배된 패턴이라 할 수 있다. 빠른 BPM에 따닥이가 섞인 쉴 새 없이 쏟아지며, 스크래치와 페달 역시 쉴 틈 없이 쏟아진다. 곡이 진행되면 진행될수록 패턴이 점점 더 어려워진다.
처음 등장했을 당시에는 약 300콤보 정도에서 체력이 모두 채워질 정도로 게이지가 후하게 보정되어 있었으나 2.02 버전 패치가 이뤄지면서 기존에 비해서 게이지가 짜졌다.[8] 채보만 보자면 자타공인 EZ2AC 5키 최고난이도이며 4스테이지마저 게이지가 앞의 3곡처럼 변한다면...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처음 등장했을 당시에는 약 300콤보 정도에서 체력이 모두 채워질 정도로 게이지가 후하게 보정되어 있었으나 2.02 버전 패치가 이뤄지면서 기존에 비해서 게이지가 짜졌다.[8] 채보만 보자면 자타공인 EZ2AC 5키 최고난이도이며 4스테이지마저 게이지가 앞의 3곡처럼 변한다면...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3.1.29. dimcynical (Lv ?)
COOL 없이 KOOL/GOOD/MISS/FAIL의 4개 판정만 발생하는 코스. 제작자의 말에 따르면 COOL 판정의 절반은 KOOL에, 나머지 절반은 GOOD에 배정되었다고 한다. 패턴 자체 난이도는 높지 않은 편이나(체감 11~12) GOOD이 나도 게이지가 감소하고, 1스테이지를 제외하면 전부 게이지 증가량이 낮은 특수 채널.
Flicker의 경우 중후반에 일시적으로 어려워지는 구간이 있으니 주의할 것. 또한 BLEED는 Mutant 채널에 나왔던 패턴이고 DISTOPIA는 EC Ver.의 Team Indigo Wolves 패턴이다.
사족으로 제작자 dimcynical은 이전 버전부터 패턴 디자인과 검수를 담당해왔으나 사정상 이에 대해 공개해오지 않다가 이번 작품에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고 한다.# 다만 언제부터 제작에 참여하게 되었는지는 불명.
3.1.30. Lunatic Sounds (Lv 15)
작곡가 Lunatic Sounds의 노래로 이루어져 있다.
1~3스테이지는 스탠다드 패턴과 비슷하거나 좀 더 어렵고, 팁을 하나주자면 2스테이지의 후반부에 페달 박자가 엇박페달로 한 번 바뀔때가 있다. 3스테이지의 페달이 우로보로스 레전드의 그것과 비슷하다. 4스테이지는 스탠다드 패턴의 열화판이지만 후살이 굉장히 무서운 곡이니 조심하자
체감은 14상 - 15상 - 15중상 - 16하
패턴이 모두 처리력을 늘리는 데 큰 도움이 되는 패턴이다. 예전에는 D채널로 14~15러너들이 처리력을 많이 늘렸듯이 D채널이 사라진 현재는 이 코스로 처리력을 늘리는것도 좋아보인다.
Find Me를 제외한 전곡 12.5% 스크롤 속도가 느리게 설정되어 있다.
3.1.31. FOX-B (Lv 12)
'''EZ2AC : EVOLVE의 엔딩 코스.'''
이전까지 존재했던 구 FOX-B 채널을 대체하여 새로 추가된 코스. 구 FOX-B 채널과 비교하면, 먼저 채널 아이캐치가 변경되었으며, 엔딩곡 White Out이 마지막 스테이지로 수록됨과 함께 각 스테이지가 한 칸씩 앞으로 당겨진 형태로 개편되었다.여담으로 아이캐치는 FoX-B 모에화라는 설이 있다.
전체적으로 레벨에 비해 쉬운 코스이지만 3스테이지인 Bluesy의 경우 게이지 설정이 종잇장이라 FAIL판정이 아니더라도 MISS판정만 받아도 게이지가 엄청나게 깎인다. 패턴은 고만고만하지만 종잇장 게이지 때문에 이 곡만큼은 바짝 정신집중 하자. 마지막 4스테이지 White Out은 다른 곡들에 비해 난이도가 매우 낮으면서도 게이지가 무척이나 후하게 설정되어 있다. 노트에 집중하지 않고 여유롭게 엔딩 스탭롤을 감상하면서 플레이해도 폭사하지 않을 정도. #
순서상 5키 코스의 가장 마지막에 위치하고 있는데다가, 마지막에 엔딩곡이 출현하는것으로 보아서, EZ2AC : EV 의 엔딩을 담당하는 코스라고도 할 수 있겠다.
사실 코스 구성이 바뀐건 2.0 버전이 처음이 아닌, 1.8 버전에서도 한 번 개편이 이루어졌던 코스이다. 1.8 이전까지는 1스테이지가 Immortal이었으나 패턴 수정과 함께 Nostalgic Resistance로 옮겨지고 그 자리에 mello mello가 수록되었다. 앞에서 서술한대로 2.0 버전에서 White out이 수록됨과 함께 각 스테이지가 한 칸씩 앞으로 당겨지면서 원래 1스테이지에 존재했던 mello mello는 5키 스탠다드 SHD로 빠져나갔다.
3.1.32. D (LV ?)
2.01b 패치로 추가된 신 코스. EZ2DJ 7th 1.5에 추가되어 일부 수록곡들의 라이센스 만료로 인해 EZ2DJ BERA까지 수록된, EZ2DJ 5대 채널의 일원인 D 채널의 후속격 코스이다. 아이캐치의 부제 또한 구 D 채널의 부제인 "Ch. Despair"의 후속임을 암시하는 듯한 "despaired again". 난이도는 구 D채널보다 전체적으로 많이 높다.
일반 17러너들이 통칭, 우제널디를 입문하려고 많이 파는 코스이기도 한데 우로보로스나 제타, 널버스는 보통 2곡이 체감 레벨 18을 웃도는 반면에, 이 코스는 4Stage만이 그에 해당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 녀석을 많이 팔 것이라고 생각된다. 허나 절대 만만히 볼 채널이 아니며 어디까지나 우제널에 비해서 평균 난이도가 쉬운거지 2, 3Stage 역시 잘못하면 훅간다.
1Stage
꽤 무난한 편이며 후반 롱잡 부분만 조심하면 무난하게 넘길 수 있다. 체감 레벨은 15하급.
2Stage
본격적으로 이 코스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는 패턴이며 초반부엔 평이한 롱노트와 견제스크래치, 페달이 나오는듯 하다가 약 4마디의 정신나간 폭타가 떨어지는데 처음하는 유저라면 여기서 죽을수도 있으니 미리 페달박자 정도는 숙지하고 하는것도 나쁘지 않다. 발광을 넘긴 후엔 연타와 롱스크 롱페달로 체력을 채울 구간을 잠시 주는데, 이 구간이 끝나면 이제 롱잡이 나오는데 이게 그냥 어려운게 아니고 그 카무이하고도 비교될만한 롱잡이 끝날때까지 나온다. 거기다 견제성 롱스크도 계속 떨어지고 페달 박자도 정해진 박자가 아니기에 매우 곤란한 패턴. 체감난이도는 보통 17중급이며 롱잡에 약한 유저면 18까지 보는 사람도 있다.
3Stage
2Stage에서 롱잡으로 진을 빼놓았다면 요놈은 폭타로 우리들의 체력을 빼놓는다. 말 그대로 체력곡 그 자체이며 딱히 설명할 길이 없는 깡 처리력 곡이다. 하나 팁을 주자면 최후반 16비트 스크가 나오는 구간에서는 정박으로 나오던 페달이 엇박으로 나온다. 체감 난이도는 보통 18로 보는편이다. 처리력에 굉장히 도움이 많이 되는 패턴이다
4Stage
Interpretation 코스의 Liquid Cube와 함께 EZ2AC 5K 모드에서 가장 기괴하다는 평가를 받는 패턴이며, 한번 깨고나면 다시는 하고싶지않은 채보를 꼽자면 이 채보는 무조건 들어가리라 생각된다.
각설하고 이 채보는 스크래치에 영혼을 쏟아부은 채보라고 생각해도 될만큼 스크래치가 시작부터 끝까지 쏟아져 나온다. 스크래치 수는 633개[9] 로 Morgenglut 2012에 이어 2번째로 많다. 노트 수가 앞의 곡들보다 비교적 적지만 체력적으로는 훨씬 힘들다. 일단 초반부는 앞의 3곡을 클리어하는 유저라면 충분히 넘길 수 있다고 보지만 가장 문제는 바로 저속 부분인데 이 부분이 정말 기괴하다. 팁을 주자면 키파트에 집중하되 롱스크나 롱페달은 다 KOOL을 내야하며 나머지 단스크나 페달은 비벼도 상관없다. 이제 이 저속 부분을 넘겼으면 깬거나 마찬가지다 라고 말해주고싶지만 '''뒤는 더 어렵다.'''
뭐라 설명할 방법이 없는 스크래치는 계속 쏟아져 나오며 키파트의 밀도는 더욱 높아지고 심지어 후반을 향해가던 도중에 Messier 333의 축연타 비스무리한것이 나와서 유저들의 피를 갉아먹는다. 후살도 배치빨이 꽤 심한지라 '''저 축연타 부분에서 피를 유지해야 한다.'''
체감난이도는 약 19 수준이며 17러너들이 이 곡에 막혀서 결국 이 코스를 가장 늦게 깬 유저도 많을 정도로 정말 어려운 곡이다. 우제널디 모든 패턴 중 가장 어렵다고 말할 정도이다.
3.2. 랜덤 코스
이번작부터는 특수 패턴 랜덤이외의 통상 랜덤 채널은 최소 등장 난이도 순으로 랜덤 코스가 나뉘었으며 레벨 6 이하의 패턴은 랜덤 코스 자체가 없다.
또한 등장 당시에는 13+ RANDOM을 제외한 나머지 랜덤 코스는 난이도의 상한이 정해져 있지 않았다. 즉 7+ RANDOM 코스에서 난이도 13짜리가 나올 수 있었다. 그러나 2.0버전에서는 7+ RANDOM, 10+ RANDOM 코스에서 각각 Lv.7~9, 10~12까지만 나오도록 수정되었다.
3.2.1. 7+ RANDOM (LV ?)
3.2.2. 10+ RANDOM (LV ?!)
3.2.3. 13+ RANDOM (LV !!!)
3.2.4. Mutant (Lv ?)
3.2.5. znpfg (Lv ?)
3.3. 기존 코스
3.3.1. Ouroboros (Lv ∞)
1.53버전을 기점으로 게이지 증감량이 짜게 조정되었다는 제보가 들어왔다. # 이에 대해서 제작진은 EV 간담회에서 게이지 설정을 전혀 건드린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
3.3.2. Trickster (Lv !?)
변속 채널이다. 채보 자체는 별로 어렵지는 않지만, 1, 2, 3, 4 스테이지 모두다 변속이 다짜고짜 등장해서 엄청나게 짜지는 판정과 잘못하면 우루루 깎여나가는 게이지를 구경할수도 있고, 변속 덕에 패턴에 익숙해지기가 힘들어 진다.
3.3.3. Nervous Breakdown (Lv 17)
2Stage
16레벨의 HD 패턴과는 상당한 난이도 차이를 보인다. 초반부를 연주하다보면 이상한 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5K Standard 를 통해 들을 수 있는 음악보다 8마디가 더 길다. 사실 EC OST 앨범을 구매한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Nervous Breakdown 채널에 수록된 8마디 긴 버젼이 Messier 333의 원곡이기 때문이다. 앞부분 패턴의 경우 HD 패턴과 비슷하지만 한번에 떨어지는 노트 수가 조금 더 많으며 중반부엔 예상치 못한 지점에서 롱노트와 롱페달이 섞여 나온다. 중반부 폭타 이후는 온통 따닥이로 도배되어 있기 때문에 따닥이에 익숙하다면 쉽게 넘어갈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이 채널의 보스는 Messier 333이 될 것이다. 체감 난이도는 18하~18중하급
3Stage
Kamui 의 경우 노트 수는 현 5K Kamui Ex (구 바이올렛 채널 Kamui) 와 비교했을 때 약 80여개 정도 더 많지만 Kamui Ex 에는 없는 정박 페달이 중반부 이후부터 곡이 끝날때까지 계속 나오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면 실제 받아내는 노트 수는 비슷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단노트 이후에 진행되는 겹노트 패턴이 더 쉽고 최후반 소나기 스크가 없는 롱잡이 나오기 때문에 체감난이도는 Kamui Ex 보다 떨어진다. 17최상~18중급
4Stage
예전에 존재했던 채널인 Rondo of Death와 Termination 채널의 두 패턴을 적절히 섞어놓은 형태이다. 직접 마주하면 현 5K 의 SHD 와 EX를 섞어놓은 듯한 느낌이며 초반부와 후반부 모두 겹폭타 패턴은 거의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Ex 패턴보다 쉽다고 평가된다. 다만 SHD 패턴의 4스크와 8스크가 떨어지기 때문에 이 부분만 조심한다면 클리어에 크게 지장은 없다.
대체로 보스곡은 Messier 333이나 Kamui 로 보지만 개인차로 인해 두 곡 모두 보스곡으로 본다.
3.3.4. END (Lv 16)
3.3.5. Total Mayhem (Lv 16)
3.3.6. Abscondence (Lv 16)
3.3.7. FUSE (Lv 15)
3.3.8. Pyrexia (Lv 14)
EV에서 다시 부활하면서 1, 2스테이지의 위치가 바뀌었다.
3.3.9. ohcodus (Lv 14)
3.3.10. ATAS (Lv 12)
3.3.11.
1.2a~1.3c 버전까지는 존재했으나, 1.5버전이 업데이트되면서 삭제되었다. 대신 2.0버전에서 새로운 Indigo Wolves 코스가 추가되었다.
3.3.12. HFS+ (Lv 10)
레벨 11에서 하향되었으나 여전히 물렙. 7~8 난이도를 깰 수 있는 유저라면 도전해 볼만 하다.
3.3.13. Steel Heart (Lv 10)
3.3.14. Sprouts of Rebellion (Lv 10)
3.3.15. Game World (Lv 10)
3.3.16. AYA (Lv 10)
3.3.17. European Express (Lv 9)
3.3.18. Flight Plan (Lv 8)
레벨 9에서 강등되었다. 그리고 곡 순서가 바뀌었다.
3.3.19. Seeds of Rebellion (Lv 8)
EV에서 부활하였다.
3.3.20. Houseplan Inc. (Lv 8)
3.3.21. on the beach (Lv 8)
3.3.22. Lounge J (Lv 5)
3.4. 삭제 코스
- 12+
- Violet: 전 패턴 스탠다드에 수록
- Retro-Respect-Revisited: Let It Go, Showdown 스탠다드에 수록
- Decadance: 전 패턴 스탠다드에 수록
- null: 전 패턴 스탠다드에 수록
- Heart-String(AE): Anemia, Yes Yes 스탠다드에 수록
- Ghetto Box: Get the Beat (Nimble Mix) 스탠다드에 수록
- ENDLESS CIRCULATION, Cradle Edge(EC), House Nuts, Teardrop, Fairytales, virtuoso, SpringHead, Ethereal Voices(EC), Swallow Tail, Around The World, fromsmk, 24/7, Flow.D(EC), Team Progressive(EC), Outerspace, PEENA(EC)
4. 7키 코스
4.1. 신규 코스
4.1.1. Cradle Edge (Lv 9)
1스테이지의 Cosmical Rhythm의 경우 변속이 추가되었고, 4스테이지의 M!RROR는 패턴이 변경된 것으로 추정된다.
4.1.2. Team Progressive (Lv 9)
2스테이지까지는 전작의 동명 채널과 곡 구성과 패턴이 같다.
4.1.3. Jammin' Color (Lv 9)
코스의 전 곡이 계단이 중심이 되는 패턴으로 이루어져있다. 보스곡인 컴플렉스는 레벨12급의 압박적인 채보를 가지고 있으니 주의.
4.1.4. Empty Band (Lv 10)
4.1.5. SPEEDSTER (Lv 10)
4스테이지는 즈타워즈의 리믹스판,스크롤속도가 매우빠르므로 배속을 미리 낮춰둬야한다.
4.1.6. Subliminal Effect (Lv 11)
4.1.7. Heart-string (Lv 12)
1스테이지 루시드는 에익까지 있었던 PPET채널의 채보이다
롱노트가 많이 등장하는 코스이기에 중~상급자들은 스코어링을 노려보기 괜찮은 채널. 물론 이볼브에 들어오면서 채널 전체 랭킹은 사라으니 개인만족용.
4.1.8. KICK THE FLOOR (Lv 12)
4.1.9. 03's ICON (Lv 12)
3스테이지와 4스테이지의 파톰과 제로는 스탠다드에서와는 달리 스크롤보정이 없기때문에 스탠다드보다 높게 배속을 걸어야한다.
4.1.10. tustenik (Lv 12->11)
4.1.10.1. 개편 전(Lv 12)
4.1.10.2. 개편 후(Lv 11)
기존 tustenik코스를 대체하는 코스. 코스명만 같고 곡 구성,아이캐치는 전부 바뀌었다.
4.1.11. KIEN (Lv 13)
아이캐치는 EC키엔채널의 색변환 버전이다.
4.1.12. water-flame (Lv ?)
페일시의 게이지 감소량이 매우 큰 채널. 이 큰 감소량은 패터너인 워터플레임이 의도한 것 이라고한다. 하지만 피해량 보정을 걸어둬도 불구하고 청취율제였던 저번작까지의 채널에 비하면 굉장히 쉬운편이다.
그리고 이 코스가 쉽다라는 사실을 인지한 워터플레임은 1.5 패치판에 더욱더 끔찍한 보정을 건 코스를 내는데...
참고로 3스테이지의 고딕이 곡목록에서 Terminated Protocol로 나오는 버그가 있다.
해당 코스는 EZ2AC : NT에서 삭제가 확정되었다. 참고
4.1.13. escape from love -w473r fl4m3- (Lv ?)
1.5 업데이트로 추가된 코스. 채보 자체의 난이도는 12~13 수준이나 모든 판정에서 게이지가 조금씩 감소한다. KOOL 또는 COOL 판정에도 게이지가 미세하게 감소한다. 즉 게이지를 회복할 수단이 없다. 게다가 게이지가 다음 스테이지로 계승되는 시스템 상, 전곡을 거의 완벽한 플레이를 할 것을 강요하는 코스. 여담으로 코스의 부제인 w473r fl4m3는 패터너 water flame을 리트로 표기한 것. 완벽한 플레이를 요구하는 코스의 컨셉에서도 알 수 있듯, 구작의 water-flame 채널의 후계가 되는 코스라고 볼 수 있다.
제작진에 의하면 게이지 감소량은 Fail>Miss>Good>Cool=Kool이라고 한다.
4.1.14. LEVEL : ZETA (Lv ζ->?)
플레이 영상
1.5 업데이트로 추가된 보스 코스.
4.1.15. Reinforcement (Lv 16)
1.8 업데이트로 추가된 코스이다. 전체적인 꾸준한 피지컬보다는 순간 난이도가 높은 채보 위주로 구성되어있다.
이 채보들은 PRM슈하의 채보제작자분이 만든 패턴들을 모은것이라고 한다. 즉 이 코스의 PRM이 프로토타입.
4.1.16. Synthetic World (Lv 15)
1.9 업데이트로 추가된 코스이다. 구곡으로 편성된 코스.
난이도는 15레벨에 맞지않게 쉬운편.
4.1.17. The L8niter (Lv 15)
코스명은 8의 발음이 에이트임을 이용하여 "The Latenighter"를 변형하여 표기한 것으로, 레이브 곡들을 모은 장르코스이다.
1스테이지의 두 유 리멤버 리믹스는 구곡으로서 수록 자체로 많은 관심을 끌었다. 채보 난이도 자체는 12~13급의 난이도로 15레벨 코스에 있기는 모자라지만, 롱스크래치가 섞인 후살이 꽤 막강하며 이것이 다음 스테이지와 맞물려 코스의 난이도를 높인다.
2스테이지의 해피니스는 이지투캐치 모드에서 사용된 롱버전으로, 롱버전임을 고려하였는지 게이지 증가량이 매우 짜게 설정되어있다. 약 200콤보를 이어야 1페일로 깎인 게이지를 다시 채울 수 있는 수준으로, 1스테이지에서 최대한 많은 게이지를 남겨오고 최대한 안 틀리는 것이 공략의 중요한 열쇠가 된다.
3, 4스테이지는 게이지 증가량이 정상으로 돌아오며, 채보 난이도도 코스 레벨에는 조금 못 미치는 수준이니 1, 2스테이지의 콤보를 잘 버텨내는 것이 클리어 여부를 좌우하는 코스.
4.1.18. LEVEL : OMEGA (Lv Ω)
2.0 업데이트 당시에는 체감난이도는 17-16-18-16 정도로 잡히고 있었으며 3스테이지의 베들램이 코스의 보스곡이라는것엔 이견이 없었다.
그러나 2.02b에서 Blitzkrieg의 패턴이 바뀌었는데, 쉴틈 없이 쏟아지는 압도적인 물량과 무리에 가까운 스크래치에 페달 강화까지 더해진, 기존의 체감 16급 채보에서 벗어난 체감 18~19의 초 고난이도의 패턴이 되었다.
이는 여러 유저들에게 충격을 주기엔 충분한 변화였지만 5키가 아닌 비주류 모드인 7키다 보니 아는사람만 아는 변화이다.
여담으로 채보를 맡은 water-flame은 7Key 오메가改코스의 BlitzKrieg는 전세계에서 3명 정도가 클리어 할 수 있는 사람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며 만들었습니다. 너무 어려워서 분노하는 그대여, 미안합니다....라는 드립을 치기도했다. 하지만 CV2에서 엑스트라 29번으로 추가된 7키 최종보스곡 Latino와 NT 1.81의 Nervous Breakdown 코스에 밀려 5키만큼의 포스는 보이지는 못하고 있다.
4.1.19. Vilkas (Lv 13)
4.1.19.1. 개편 이전
나머지 전 패턴은 전용곡이지만 사실상 큰 고비는 INFINITY다. 후반부 스크래치와 노트를 처리하느냐 못하느냐에 따라서 클리어 결정이 난다.
ASTERIOS REENTRY는 레벨 13을 가볍게 클리어 하는 유저라면은 쉽게 클리어가 가능하다.
4.1.19.2. 개편 이후
7키 코스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코스.
이볼브에서는 이전의 직책으로 참여하지 않은 Vilkas의 코스가 마지막이라는 사실과 5키 코스에서는 FOX-B 코스가 마지막 코스라는 사실을 대조해보면 여러 생각이 들게 한다.
tustenik코스와 마찬가지로 2.0에서 기존 동명의 코스를 리뉴얼한 코스이고 아이캐치는 2.0 전까지는 EC와 같은 아이캐치를 사용했지만 2.0의 리뉴얼코스에서는 아메리칸 코믹스풍의 새로운 아이캐치를 가지고 등장했다.
3스테이지 Rebel Against의 중살은 초견에 처리하기 힘든배치로 나오기때문에 어느정도 실력이 된다면 이 코스의 보스곡으로 느껴질 것이다. 이 채보는 water-flame이 짠 것이다.
4스테이지 BlitzKrieg는 기존 7K STANDARD의 HD보다 쉽게 구성되어 있으며 앞 3스테이지를 클리어 하는 실력을 가지고 있다면 충분히 깰 수 있다.
특이하게도 선택화면에서의 아이캐치와 실제 아이캐치가 다르다.
4.2. 랜덤 코스
EV 2.01b 업데이트로 7키에서도 추가되었다.
4.2.1. 7+ RANDOM (LV ?)
4.2.2. 10+ RANDOM (LV ?!)
2.02 현재에는 Reinforcement 코스의 Minus1-space mix-와 Metagalactic이 나오는 버그가 있으니 초보자분은 주의.
4.2.3. 13+ RANDOM (LV !!!)
Le Grand Bleu는 레벨 16의 ex패턴이 아닌 더미 패턴이 나온다. 더미패턴은 슈하보다 조금 쉬우며 스크견제에 따른 개인차는 있겠지만 13정도의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Tempus Praeterita도 레벨 16의 ex패턴, 바이올렛의 패턴이 아닌 더미 패턴이 나오는데 패턴의 특이성 때문에 강화코스의 패턴을 담당하신 분이 아닌가 하는 의혹이 짙다.
또한 2.02에서 상위패턴이 추가된 Harpe For GAIA, BlitzKrieg의 경우는 랜덤코스의 규칙인 "한 곡에서 두개이상의 패턴이 레벨 범위에 들어갈경우 최고난이도의 패턴만 등장한다"[11] 를 따르지 않고 SHD패턴이 아닌 HD패턴들이 등장한다. 아마 패턴이 급히 추가되는 바람에 랜덤코스에는 미처 넣지 못하였기때문으로 추측된다.
4.3. 기존 코스
4.3.1. Ouroboros (Lv ∞)
청취율 시스템 삭제로 인해 3스테이지까지는 무난해졌지만, 후반부가 까다로운 Legend만큼은 어려워졌다는 평이 많다.
4.3.2. Trickster (Lv !?)
3스테이지의 미스틱드림 호러믹스는 5코스와는 달리 게이지 회복량이 굉장히 후해서 쾅쾅쳐도 풀게이지로 넘어갈 수 있다.반면 4스테이지의 비마인은 앞스테이지와는 달리 게이지회복량이 매우 낮으니 주의.
4.3.3. Total Mayhem (Lv 16)
청취율제에서 게이지제로 바뀐결과 3스테이지 까지는 굉장히 쉬워졌지만 4스테이지 Crisp는 상당히 어려워졌다.
4.3.4. Abscondence (Lv 15)
청취율 시스템이 삭제되어서 그런지 15로 강등되었다. 그런데 청취율이 삭제되어도 결코 쉽지 않다.
4.3.5. FUSE (Lv 15)
청취율제일때는 페일이 세자리수가 나와도 롱노트만 잘잡으면 3~4스테이지를 볼수 있는 수준이었지만 게이지제로 바뀌면서 2스테이지 Orphan Children이 까다로워졌다.
Shine Through의 경우는 패턴의 난이도는 크게 높지않지만 청취율이 짜서 어려웠던만큼 더 쉬워진편
4.3.6. sun3 (Lv 14)
3스테이지를 아슬아슬하게 깨도 4스테이지에서 청취율을 못넘겨 죽게 되는 일도 있던 채널이지만 게이지제로 바뀐뒤 4스테이지는 정말 쉬워졌다.
1스테이지 Apollon의 경우는 청취율상승이 후해서 앞을 잘 뭉개면서 후반 롱노트구간만 잘하면 2스테이지에 쉽게 갈수있었지만 게이지제로 바뀌면서 제법 까다로워졌다.
4.3.7. Shooting Star (Lv 13)
4스테이지 데라루의 스크롤속도가 스탠다드보다 빠른것에 주의.
4.3.8. From Dusk Till Dawn (Lv 13)
말이 필요없는 EC의 물렙채널. 게이지제로바뀌면서 훨씬 더 쉬워졌다.
4.3.9. yak_won (Lv 13)
4.3.10. wr8ng q: (Lv 13)
청취율이든 게이지든 보스곡은 Climax이다.
다만 4스테이지의 Red Hot이 앗 하는사이에 말리면서 게이지관리를 못하다 죽는경우가 있으니 주의
4.3.11. studio PSYCLOID (Lv 12)
4.3.12. Steel Heart (Lv 10)
4.3.13. Flight Plan (Lv 8)
4.3.14. on the beach (Lv 8)
4.3.15. VAi2 (Lv 6)
4.4. 삭제 코스
- Violet: 전 패턴 스탠다드에 수록
- water-flame(EC): 전 패턴 스탠다드에 수록
- vilkas: northpole 스탠다드에 수록
- Cradle Edge(EC), HoR, House Nuts, Love Affair, Teardrop, virtuoso, Subliminal Effect(EC), SRS(●), Kentauji, Necobus, Minan, Sound Addict, Redemption, zest:rave, Lotze, Houseplan Inc., Club Modern Waves, Day After Day, Swallow Tail, Hyperactivity, Diesel Eater, HAHYEON, Badny, Art of Turntablism, Team Progressive(EC), Outerspace, KIEN(EC), Vilkas(EC)
[1] 당시 기기 시스템 상의 문제로 인해 발생한 버그로 추정된다.[2] 최고점 영상을 찾는다면 이 링크를 참조바람. [3] 24+16비트. 24비트 기타속주에 16비트가 마구 껴나온다. 이 구간을 보고 친다는 기준 하에서는 제타 보스곡 수준이다.[4] 정확히는 절반보다 약간 더 감소한다. 퍼센테이지로는 약 52%[5] EZ2AC CV2의 43번 엑스트라 스테이지로 등장하는 神威의 전용 패턴이 이보다 더 어려운 난이도로 등장했으나 이쪽은 아예 사람이 깨지 말라고 의도적으로 만든 관상용 채보이므로 논외.[6] 여담이지만 당시에 SUNNY와 LRON이라는 유저가 오락실에서 밤샘을 하며 멸망전을 하였다. 그러나 그 당일에는 Harpe for GAIA의 벽을 넘지 못하고 멘탈만 깨진 채로 돌아갔다고 한다. 특히나 SUNNY라는 유저는 BEDLAM과 Blitzkrieg는 첫플 첫클에 성공했지만 2스테 가이아의 벽을 넘지 못했다.[7] 그 전에도 뭉탱이 구간 세 마디가 더 있어서 총 합치면 6번을 버텨내야 한다.[8] 단, 감소량만 증가했으며 게이지 증가량은 아직도 보통 게이지보다도 후한 수준이다. 어느 정도냐면 200콤보만 쳐도 반피가 차는 수준이다. 그러므로 앞의 3개의 곡을 클리어 한 유저라면 충분히 비벼볼 수 있는 패턴이다.[9] 롱스크는 1개로 계산한다. 다만, 롱스크를 롱노트 콤보 적용으로 계산 시 800개가 넘는다.[10] 구 2026개[11] 예를들어 카무이의 경우 13,15,17,18로 구성되어있지만 전부 등장하는게 아니라 최고난이도인 18레벨만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