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표구
改票口 / Ticket Gate, Turnstile[1] , Barrier[2]
[image]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백마역의 개표구.
차표 또는 입장권 따위를 들어가는 입구에서 검사하고 사람들을 안으로 받아들이는 곳. ‘'''개집표기'''’라고도 한다.
운임구역 안쪽인지 바깥쪽인지는 개표구 위치를 기준으로 한다.
이전에는 개찰구라고 했다. 또한 2018년 기준, 한국 한정으로 게이트, 지하철 게이트라는 말도 쓰인다. 한국철도공사에서는 개찰행위를 '표 확인'으로 순화.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개집표기'로 순화해 쓰고 있다.
구칭 개찰기에서 개찰이란, "서비스 가액에 상응하는 유가증권을 제시하고 서비스를 제공받는 곳에서 사용자가 해당 권종을 제시하고 서비스 공급자가 확인하는 행위" 정도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무슨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인가... 라는 생각이 든다면, 개찰(改札)이란 한자를 우리말로 변환해보자. 의외로 알기 쉽다. 한 마디로 "표를 꺼내보인다"는 뜻. 이를테면 '개찰구'란 표를 검사하여 개찰이 이루어지는 곳을 의미하며, 따라서 Non-paid area에서 paid area로 입장하는 곳은 모두 개찰구에 포함된다.
또한 '검표'는 개찰보다 광의의 개념이다. 개찰은 표를 확인함으로써 교통 서비스가 개시되는 시점에 국한하지만, 검표의 경우 교통 서비스가 제공되는 도중에 중간검표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중에도 이용자의 가격 지불의 정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주체가 고객이 소지한 유가증권 권종을 재확인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런데 유독 철도교통 쪽에서'만' 개찰구라는 표현이 자주 오르내리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지하철역의 것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에 영화관 입장하는 곳은 상영관 입구라고 하지 개찰구라고 하지 않는다.[3] 기타 야구장이나 공연장 등도 마찬가지고, 심지어는 같은 교통인프라 범주인 버스 터미널에서도 개찰구라는 표현은 잘 쓰이지 않는다.[4]
이러한 차이는 철도에서 개찰이라는 표현 자체가 일본어 改札口(かいさつぐち)에서 비롯하였다는 것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도시간 버스 교통망이 6.25 이후에 고속버스가 확충되며 짜인 것과 달리, 철도교통은 일제시대부터 연속적으로 활용되어 왔기 때문에 일반 대중들에게 익숙한 것. '연루'같이 일본어에서 유래된 말인데, 그런 줄 모르고 쓰는 경우가 많다. 대합실/대기실, 역전/역 앞과 비슷한 사례.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수단에서는 역무원의 수동개표 인력의 한계가 있기에 1967년 일본 다테이시 전기(현 OMRON)에서 '''세계 최초로''' 플랩식 자동개집표기 개발에 성공하였고 같은 해 한큐 전철 센리선 키타센리역에 최초로 설치되었다. 그후 1971년 삿포로 시영 지하철 난보쿠선과 1972년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블루라인을 시작으로 1970년대 후반부터 몇몇 대형 사철 업체들이 시범적으로 도입되었고 특히 오사카메트로 등 간사이 지역 사철 회사는 거의 80년대 중반까지 보급되었다. 다만 당시 신칸센, 도쿄 지하철과 도쿄권 교외 철도[5][6] 는 그보다 한참 늦은 '''1990년'''(...)이 되어서야 보급되었고 1990년 4월 이후 도쿄역을 시작으로 여러 역에 순차적으로 도입되었다. 2000년대 초반 교통카드의 등장으로 대도시권에서는 거의 자동개표기 보급이 대중화 되었다. 이 영향으로 일본에서는 현재까지 플랩식 개표기가 주류가 되었다.[7]
한국에서는 1985년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이 개통되면서 노란색의 마그네틱 승차권[8] 의 도입과 동시에 지금의 '''삼발이'''형태의 개표구가 프랑스에서 수입되면서 자동개집표시대가 막을 열렸고 이듬해인 1986년부터는 86년 아시안게임과 88 올림픽을 앞두고 서울지하철 관할 노선에도 프랑스산 삼발이 모델이 설치되었다.[9] 또한 1990년대 이후 서울 2기 지하철과 대구, 인천지하철의 개통과 2000년대 이후 신규 광역철도 노선의 등장으로 한국에서도 일본형 플랩식 개표구를 설치하는 역이 예전보다 늘었다.
한국에 설치된 플랩식 개표구는 카드를 대면 차단문이 열리는 구조가 아니라 '''카드를 안 대고 통과하면 차단문이 닫히는 구조'''다.[10] 카드를 안대고 지나가면 경고음과 함께 갑자기 차단문이 쾅 하고 닫혀 승객을 막는 구조인데 카드를 제대로 대지 않고 지나가다 갑자기 닫힌 차단문에 다리가 끼여 부상당하는 경우가 간혹 있으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통과형 플랩식 개표구를 지날 때는 반드시 카드를 올바르게 대었는지 확인하고 삐빅 소리를 듣고 통과해야 한다.
지금은 '''부산 도시철도를 제외하고''' 마그네틱식 표가 사라졌다.[11] 지하철역 매표소에서 역무원에게 행선지를 말하고 표를 교부받던 시대는 끝나고 전면 교통카드 체제로 변경되었다. 개개인이 소지하는 교통카드 또는 무인기계에서 일회용 교통카드가 승차권을 대신한다. 개표구도 마그네틱 표를 넣는 투입구를 '''막아버렸고''' 교통카드 인식기만 작동중이다. 서울시내 지하철역 중 1~4호선[12] 에서는 여전히 '''30년 넘은 삼발이식 개표구'''[13] 가 티머니 인식기를 단 상태로 운영중이고 90년대에 설치된 한국철도공사 관할 노선의 경우 기존 삼발이 끝에 한두대 정도 플랩식 개표구로 변경하였다. 다만 5~8호선은 처음부터 일본과 동일한 플랩식 개표구를 썼다. 물론 9호선도 마찬가지. 5호선 이후로 개통되는 노선은 거의 플랩식 개표구를 사용한다. 국내에서 최초로 플랩식 개표기를 사용한건 1995년에 개통한 5호선이다.
일부 지하철역은 투명 차단기가 양옆으로 움직여 여는 슬라이드식 스피드게이트[14] 도 운영중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인천공항철도이다.
2000년대 초반, 한국의 삼성SDS가 OMRON에서 만든 자동개집표기인 S-PG와 비슷한 개집표기를 SAGM-3R이라는 모델명으로 수입해왔으나[15] , 기능이 S-PG에 비해 적다.[16] 해당 개표기는 서울지하철 6, 7호선[17] 과 의정부역, 주안역, 의왕역, 오이도역 등지에 설치되어 있고 의왕 철도박물관 본관 2층에도 가보면 있으나 지금은 작동이 중지되었다.[18]
지하철 개표구에서 가끔 몰지각한 승객들이 도움닫기해서 개표구 위를 폴짝 뛰어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운임구역/비운임구역 경계를 대가지불 없이 뛰어드는 것이니 당연히 '''무임승차'''가 된다. 만약 교통카드나 승차권 오류라면 게이트 옆에 붙어 있는 단추를 누르고 역무원과 통화해보는 것이 낫다. 수도권 전철의 경우 예전에는 다회용 교통카드를 쓴다고 해도 "정상적으로 개표구를 나온 뒤 건너편에서 다시 개표하는" 경우 환승이 안되었으나, 수도권 전철의 경우, 2012년 9월부터 환승을 하지 않은 최초탑승에 한해 환승횟수 1회를 차감하는 조건으로, 그리고 5분 안에 들어가는 조건으로 같은 역의 다른 방면 승강장의 개표구로 환승할 수 있게 되었다. 아무래도 민원이 많았던 모양이다. 이는, 전철은 운임구역을 벗어나는 일 없이 환승하는 것이 상식이 된 한국 교통문화 상, 전철에서 내린 뒤 다시 전철을 타면 서울 지하철의 경우 비정상적 환승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아니면 호출 버튼을 눌러서 상황을 설명하면 십중팔구 반대편으로 갈 수 있게 열어준다. 만약 무임승차가 적발되었다? 수도권 전철의 경우 기본운임과 그의 30배를 곱한 부가운임을 물어야 한다(...).
단, 자신이 가고자 하는 방향과 정반대 방향에 있는 개표구에 승차권이나 교통카드를 찍은 것을 알았을 때, 인터폰을 통해 역무원이나 철도 사회복무요원을 호출해도 아무런 응답이 없거나, 역무실에 역무원이 없는 경우 그냥 반대편 개표구 아래로 기어가거나 넘어가면 된다. 보통 개표구 앞에는 무임승차 방지를 위해 CCTV가 설치되어있어 영상으로 실시간 녹화가 되기 때문에 요금을 지불한 것은 변함없는 사실이기 때문. 선후불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이럴 필요 없이 하차 처리를 한 뒤 5분 전까지 다시 찍고 들어가면 되지만, 1회용 교통카드 및 정기권 이용 시에는 그럴 수 밖에 없다.
몇몇 철도사업자는 개표구를 운영하지 않는다. 이런 방식을 오픈 게이트(신용승차제)라 한다. 이런 경우에는 열차 안에서 승무원이 표를 일일이 확인하거나, 평소에는 표를 확인하지 않되 무작위로 검표원이 들이닥쳐 제대로 된 표가 없는 무임승차자에게 무거운 벌금을 물린다. 이런 방식을 채택하면 개표구를 설치하는 것에 비해 무임승차가 횡행할 가능성이 커지지만, 개표구를 운영하는 것도 돈이 들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양심적이라면 합리적인 방식일 수 있다.
한국철도공사의 KTX, ITX-새마을/새마을호, 누리로/무궁화호는 개표구가 없는 오픈 게이트 방식이다. 대신 탑승하는 모든 승객에 대해 차내검표를 시행하며, 이를 강화하고 있다. 원래 개표구가 있을 법한 곳에는 여기서부터 Paid Area임을 표시하는 '고객신뢰선'이 그어져 있다. 열차가 출발하면 여객전무나 한국철도공사 승무원이 단말기를 들고 다니며 구간마다 좌석을 매의 눈으로 훑는다. 주로 좌석이 아닌 곳에 있는 승객이나 예매되지 않은 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 카페열차 이용객 등에게 표 제시를 요구하며, 표를 제시하지 못하거나 부적절한 표의 경우에는 부정승차로 간주하여 원 운임의 10배를 징수한다. 예를 들어 영등포역이나 부산역 진입 직전에 검표를 하는데 티켓이 수원-구포일 경우(즉 실제 이용 구간보다 짧은 구간 승차권을 고의로 구입한 경우) 혹은 일반인이 어린이/청소년/노인 표나 문화누리레일패스를 제시할 경우. 과거에는 승무원이 사정을 봐 줘서 차내 즉석발권으로 퉁치는 경우가 많았으나, 2014년 이후 단속이 강화되어 이런 일은 많이 줄어들었다. 하지만 무단으로 운임지역으로 통행이 가능한 문제도 있으며[19] 막무가내로 승차하여 걸리면 그만식으로 상습적으로 무임승차를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게다가 차내검표의 맹점을 악용하여 여러 부정승차가 횡행하는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20] 철도청 시절에는 자동개표구 대신에 직원이 서서 직접 개표해 주는 유인개표구를 운영했고[21] 한국철도공사로 바뀐 후에는 규모가 큰 몇몇 역에 한해 자동 개표구를 설치하여 운영했지만 잦은 고장으로 인해 철거하였다.[22]
열차에 승차하지 않고 단순히 운임구역으로만 들어가는 경우에는 입장권을 창구나 티켓자판기에서 무료[23] 로 발권할 수 있다.
독일은 대부분의 기차 및 지하철 역에 개표구가 없는 것으로 유명하다. 개표구를 운영하지 않는 대신 가끔씩 단속반이 들어와 검표를 해서 표가 없는 승차자에게 엄청난 벌금을 물리는 것으로 대응한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양심을 지키며 표를 끊고 탄다고 하지만 이쪽도 어디까지나 사람사는 동네인지라 비양심이 꽤 존재한다고 한다. 또한 독일 철도에는 대부분 개표구가 없지만 표를 직접 넣어 승차일자를 기록하는 기계가 따로 있는데, 여기서 승차처리를 하지 않고 그냥 열차를 타면 돈을 주고 받은 표라고 하더라도 벌금을 물어야 한다. 독일은 터치식 교통카드가 있긴 한데, 일부 정기권만 교통카드 형태로 나오고 있다.
프랑스 SNCF는 원래는 신용승차제를 기반으로 하나 급증하는 무임승차자 때문에 골머리를 앓다 버틸수 없다 보니 몇몇 역에 개표기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삼발이 게이트 도입 직전인 1980년대 초반 서울 지하철에는 유인개찰구 위에 에드몬슨 승차권을 가진 승객이 직접 구멍을 뚫을수 있는 자동펀칭기가 있었다고 한다. 현재 반포역 구내 안전홍보관에 한대가 전시중이다.
2017년 5월부터 ITX-청춘의 경부선 계통에 한해 일부 역에서 전철 개표구를 통한 차외개표를 시작했다. QR코드 리더기로 개표하는 방식으로 코레일톡 앱이나 창구에서 발권 받은 승차권에 있는 QR코드로 탑승하는 방식이다. 용산역은 같은 승강장을 사용하므로 경춘선 청춘 또한 전철개표구로 개표한다. QR코드 인식 방식은 이미 일본 오키나와 모노레일이나 중국, 프랑스 등 해외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image]
철도 노선망이 발달된 일본같은 경우 대도시권 인근 시골 간이역[24] 에도 IC카드 이용자를 위한 간이단말기가 있다. 중소도시권 일부 역들은[25] 아직 유인 개표구가 운영되는 곳도 있으며 이 경우는 IC카드용 간이 단말기가 따로 운영된다. 또한 JR 히가시니혼 등 수도권을 제외한 일부 대도시권 소규모역에는 보통승차권도 투입이 가능한 '간이형 자동개집표기'[26] 도 존재한다.
개표구가 설치된 곳을 기준으로 운임구역과 비운임구역이 나뉜다.
개표구 무단 진입시 멘트는 다음과 같다.
[image]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백마역의 개표구.
1. 개요
차표 또는 입장권 따위를 들어가는 입구에서 검사하고 사람들을 안으로 받아들이는 곳. ‘'''개집표기'''’라고도 한다.
운임구역 안쪽인지 바깥쪽인지는 개표구 위치를 기준으로 한다.
2. 명칭
이전에는 개찰구라고 했다. 또한 2018년 기준, 한국 한정으로 게이트, 지하철 게이트라는 말도 쓰인다. 한국철도공사에서는 개찰행위를 '표 확인'으로 순화.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개집표기'로 순화해 쓰고 있다.
구칭 개찰기에서 개찰이란, "서비스 가액에 상응하는 유가증권을 제시하고 서비스를 제공받는 곳에서 사용자가 해당 권종을 제시하고 서비스 공급자가 확인하는 행위" 정도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무슨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인가... 라는 생각이 든다면, 개찰(改札)이란 한자를 우리말로 변환해보자. 의외로 알기 쉽다. 한 마디로 "표를 꺼내보인다"는 뜻. 이를테면 '개찰구'란 표를 검사하여 개찰이 이루어지는 곳을 의미하며, 따라서 Non-paid area에서 paid area로 입장하는 곳은 모두 개찰구에 포함된다.
또한 '검표'는 개찰보다 광의의 개념이다. 개찰은 표를 확인함으로써 교통 서비스가 개시되는 시점에 국한하지만, 검표의 경우 교통 서비스가 제공되는 도중에 중간검표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중에도 이용자의 가격 지불의 정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주체가 고객이 소지한 유가증권 권종을 재확인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런데 유독 철도교통 쪽에서'만' 개찰구라는 표현이 자주 오르내리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지하철역의 것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에 영화관 입장하는 곳은 상영관 입구라고 하지 개찰구라고 하지 않는다.[3] 기타 야구장이나 공연장 등도 마찬가지고, 심지어는 같은 교통인프라 범주인 버스 터미널에서도 개찰구라는 표현은 잘 쓰이지 않는다.[4]
이러한 차이는 철도에서 개찰이라는 표현 자체가 일본어 改札口(かいさつぐち)에서 비롯하였다는 것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도시간 버스 교통망이 6.25 이후에 고속버스가 확충되며 짜인 것과 달리, 철도교통은 일제시대부터 연속적으로 활용되어 왔기 때문에 일반 대중들에게 익숙한 것. '연루'같이 일본어에서 유래된 말인데, 그런 줄 모르고 쓰는 경우가 많다. 대합실/대기실, 역전/역 앞과 비슷한 사례.
3. 자동개집표기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수단에서는 역무원의 수동개표 인력의 한계가 있기에 1967년 일본 다테이시 전기(현 OMRON)에서 '''세계 최초로''' 플랩식 자동개집표기 개발에 성공하였고 같은 해 한큐 전철 센리선 키타센리역에 최초로 설치되었다. 그후 1971년 삿포로 시영 지하철 난보쿠선과 1972년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블루라인을 시작으로 1970년대 후반부터 몇몇 대형 사철 업체들이 시범적으로 도입되었고 특히 오사카메트로 등 간사이 지역 사철 회사는 거의 80년대 중반까지 보급되었다. 다만 당시 신칸센, 도쿄 지하철과 도쿄권 교외 철도[5][6] 는 그보다 한참 늦은 '''1990년'''(...)이 되어서야 보급되었고 1990년 4월 이후 도쿄역을 시작으로 여러 역에 순차적으로 도입되었다. 2000년대 초반 교통카드의 등장으로 대도시권에서는 거의 자동개표기 보급이 대중화 되었다. 이 영향으로 일본에서는 현재까지 플랩식 개표기가 주류가 되었다.[7]
한국에서는 1985년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이 개통되면서 노란색의 마그네틱 승차권[8] 의 도입과 동시에 지금의 '''삼발이'''형태의 개표구가 프랑스에서 수입되면서 자동개집표시대가 막을 열렸고 이듬해인 1986년부터는 86년 아시안게임과 88 올림픽을 앞두고 서울지하철 관할 노선에도 프랑스산 삼발이 모델이 설치되었다.[9] 또한 1990년대 이후 서울 2기 지하철과 대구, 인천지하철의 개통과 2000년대 이후 신규 광역철도 노선의 등장으로 한국에서도 일본형 플랩식 개표구를 설치하는 역이 예전보다 늘었다.
한국에 설치된 플랩식 개표구는 카드를 대면 차단문이 열리는 구조가 아니라 '''카드를 안 대고 통과하면 차단문이 닫히는 구조'''다.[10] 카드를 안대고 지나가면 경고음과 함께 갑자기 차단문이 쾅 하고 닫혀 승객을 막는 구조인데 카드를 제대로 대지 않고 지나가다 갑자기 닫힌 차단문에 다리가 끼여 부상당하는 경우가 간혹 있으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통과형 플랩식 개표구를 지날 때는 반드시 카드를 올바르게 대었는지 확인하고 삐빅 소리를 듣고 통과해야 한다.
지금은 '''부산 도시철도를 제외하고''' 마그네틱식 표가 사라졌다.[11] 지하철역 매표소에서 역무원에게 행선지를 말하고 표를 교부받던 시대는 끝나고 전면 교통카드 체제로 변경되었다. 개개인이 소지하는 교통카드 또는 무인기계에서 일회용 교통카드가 승차권을 대신한다. 개표구도 마그네틱 표를 넣는 투입구를 '''막아버렸고''' 교통카드 인식기만 작동중이다. 서울시내 지하철역 중 1~4호선[12] 에서는 여전히 '''30년 넘은 삼발이식 개표구'''[13] 가 티머니 인식기를 단 상태로 운영중이고 90년대에 설치된 한국철도공사 관할 노선의 경우 기존 삼발이 끝에 한두대 정도 플랩식 개표구로 변경하였다. 다만 5~8호선은 처음부터 일본과 동일한 플랩식 개표구를 썼다. 물론 9호선도 마찬가지. 5호선 이후로 개통되는 노선은 거의 플랩식 개표구를 사용한다. 국내에서 최초로 플랩식 개표기를 사용한건 1995년에 개통한 5호선이다.
일부 지하철역은 투명 차단기가 양옆으로 움직여 여는 슬라이드식 스피드게이트[14] 도 운영중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인천공항철도이다.
2000년대 초반, 한국의 삼성SDS가 OMRON에서 만든 자동개집표기인 S-PG와 비슷한 개집표기를 SAGM-3R이라는 모델명으로 수입해왔으나[15] , 기능이 S-PG에 비해 적다.[16] 해당 개표기는 서울지하철 6, 7호선[17] 과 의정부역, 주안역, 의왕역, 오이도역 등지에 설치되어 있고 의왕 철도박물관 본관 2층에도 가보면 있으나 지금은 작동이 중지되었다.[18]
4. 문제점
지하철 개표구에서 가끔 몰지각한 승객들이 도움닫기해서 개표구 위를 폴짝 뛰어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운임구역/비운임구역 경계를 대가지불 없이 뛰어드는 것이니 당연히 '''무임승차'''가 된다. 만약 교통카드나 승차권 오류라면 게이트 옆에 붙어 있는 단추를 누르고 역무원과 통화해보는 것이 낫다. 수도권 전철의 경우 예전에는 다회용 교통카드를 쓴다고 해도 "정상적으로 개표구를 나온 뒤 건너편에서 다시 개표하는" 경우 환승이 안되었으나, 수도권 전철의 경우, 2012년 9월부터 환승을 하지 않은 최초탑승에 한해 환승횟수 1회를 차감하는 조건으로, 그리고 5분 안에 들어가는 조건으로 같은 역의 다른 방면 승강장의 개표구로 환승할 수 있게 되었다. 아무래도 민원이 많았던 모양이다. 이는, 전철은 운임구역을 벗어나는 일 없이 환승하는 것이 상식이 된 한국 교통문화 상, 전철에서 내린 뒤 다시 전철을 타면 서울 지하철의 경우 비정상적 환승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아니면 호출 버튼을 눌러서 상황을 설명하면 십중팔구 반대편으로 갈 수 있게 열어준다. 만약 무임승차가 적발되었다? 수도권 전철의 경우 기본운임과 그의 30배를 곱한 부가운임을 물어야 한다(...).
단, 자신이 가고자 하는 방향과 정반대 방향에 있는 개표구에 승차권이나 교통카드를 찍은 것을 알았을 때, 인터폰을 통해 역무원이나 철도 사회복무요원을 호출해도 아무런 응답이 없거나, 역무실에 역무원이 없는 경우 그냥 반대편 개표구 아래로 기어가거나 넘어가면 된다. 보통 개표구 앞에는 무임승차 방지를 위해 CCTV가 설치되어있어 영상으로 실시간 녹화가 되기 때문에 요금을 지불한 것은 변함없는 사실이기 때문. 선후불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이럴 필요 없이 하차 처리를 한 뒤 5분 전까지 다시 찍고 들어가면 되지만, 1회용 교통카드 및 정기권 이용 시에는 그럴 수 밖에 없다.
5. 개표구가 없는 철도
몇몇 철도사업자는 개표구를 운영하지 않는다. 이런 방식을 오픈 게이트(신용승차제)라 한다. 이런 경우에는 열차 안에서 승무원이 표를 일일이 확인하거나, 평소에는 표를 확인하지 않되 무작위로 검표원이 들이닥쳐 제대로 된 표가 없는 무임승차자에게 무거운 벌금을 물린다. 이런 방식을 채택하면 개표구를 설치하는 것에 비해 무임승차가 횡행할 가능성이 커지지만, 개표구를 운영하는 것도 돈이 들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양심적이라면 합리적인 방식일 수 있다.
한국철도공사의 KTX, ITX-새마을/새마을호, 누리로/무궁화호는 개표구가 없는 오픈 게이트 방식이다. 대신 탑승하는 모든 승객에 대해 차내검표를 시행하며, 이를 강화하고 있다. 원래 개표구가 있을 법한 곳에는 여기서부터 Paid Area임을 표시하는 '고객신뢰선'이 그어져 있다. 열차가 출발하면 여객전무나 한국철도공사 승무원이 단말기를 들고 다니며 구간마다 좌석을 매의 눈으로 훑는다. 주로 좌석이 아닌 곳에 있는 승객이나 예매되지 않은 좌석에 앉아 있는 승객, 카페열차 이용객 등에게 표 제시를 요구하며, 표를 제시하지 못하거나 부적절한 표의 경우에는 부정승차로 간주하여 원 운임의 10배를 징수한다. 예를 들어 영등포역이나 부산역 진입 직전에 검표를 하는데 티켓이 수원-구포일 경우(즉 실제 이용 구간보다 짧은 구간 승차권을 고의로 구입한 경우) 혹은 일반인이 어린이/청소년/노인 표나 문화누리레일패스를 제시할 경우. 과거에는 승무원이 사정을 봐 줘서 차내 즉석발권으로 퉁치는 경우가 많았으나, 2014년 이후 단속이 강화되어 이런 일은 많이 줄어들었다. 하지만 무단으로 운임지역으로 통행이 가능한 문제도 있으며[19] 막무가내로 승차하여 걸리면 그만식으로 상습적으로 무임승차를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게다가 차내검표의 맹점을 악용하여 여러 부정승차가 횡행하는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20] 철도청 시절에는 자동개표구 대신에 직원이 서서 직접 개표해 주는 유인개표구를 운영했고[21] 한국철도공사로 바뀐 후에는 규모가 큰 몇몇 역에 한해 자동 개표구를 설치하여 운영했지만 잦은 고장으로 인해 철거하였다.[22]
열차에 승차하지 않고 단순히 운임구역으로만 들어가는 경우에는 입장권을 창구나 티켓자판기에서 무료[23] 로 발권할 수 있다.
독일은 대부분의 기차 및 지하철 역에 개표구가 없는 것으로 유명하다. 개표구를 운영하지 않는 대신 가끔씩 단속반이 들어와 검표를 해서 표가 없는 승차자에게 엄청난 벌금을 물리는 것으로 대응한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양심을 지키며 표를 끊고 탄다고 하지만 이쪽도 어디까지나 사람사는 동네인지라 비양심이 꽤 존재한다고 한다. 또한 독일 철도에는 대부분 개표구가 없지만 표를 직접 넣어 승차일자를 기록하는 기계가 따로 있는데, 여기서 승차처리를 하지 않고 그냥 열차를 타면 돈을 주고 받은 표라고 하더라도 벌금을 물어야 한다. 독일은 터치식 교통카드가 있긴 한데, 일부 정기권만 교통카드 형태로 나오고 있다.
프랑스 SNCF는 원래는 신용승차제를 기반으로 하나 급증하는 무임승차자 때문에 골머리를 앓다 버틸수 없다 보니 몇몇 역에 개표기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6. 여담
삼발이 게이트 도입 직전인 1980년대 초반 서울 지하철에는 유인개찰구 위에 에드몬슨 승차권을 가진 승객이 직접 구멍을 뚫을수 있는 자동펀칭기가 있었다고 한다. 현재 반포역 구내 안전홍보관에 한대가 전시중이다.
2017년 5월부터 ITX-청춘의 경부선 계통에 한해 일부 역에서 전철 개표구를 통한 차외개표를 시작했다. QR코드 리더기로 개표하는 방식으로 코레일톡 앱이나 창구에서 발권 받은 승차권에 있는 QR코드로 탑승하는 방식이다. 용산역은 같은 승강장을 사용하므로 경춘선 청춘 또한 전철개표구로 개표한다. QR코드 인식 방식은 이미 일본 오키나와 모노레일이나 중국, 프랑스 등 해외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image]
철도 노선망이 발달된 일본같은 경우 대도시권 인근 시골 간이역[24] 에도 IC카드 이용자를 위한 간이단말기가 있다. 중소도시권 일부 역들은[25] 아직 유인 개표구가 운영되는 곳도 있으며 이 경우는 IC카드용 간이 단말기가 따로 운영된다. 또한 JR 히가시니혼 등 수도권을 제외한 일부 대도시권 소규모역에는 보통승차권도 투입이 가능한 '간이형 자동개집표기'[26] 도 존재한다.
개표구가 설치된 곳을 기준으로 운임구역과 비운임구역이 나뉜다.
개표구 무단 진입시 멘트는 다음과 같다.
- 한국철도공사, 대구 도시철도: (경고음)[27] 뒤로 물러서서 카드를 먼저 대어주십시오.
- 인천교통공사, 우이신설선, 김포 도시철도: (부저음)[28] 통로에서 한걸음 물러서 주십시오.
- 서울교통공사: (부저음)
- 일본 각지 철도 사업자: (차임벨, 부저음[29] )[30] 승차권을 투입하십시오. 또는 IC 카드를 대어주십시오.
[1] 이 단어는 돌아가는 봉이 있는 개표구(일명 삼발이)를 의미한다. 자세한 사항은 여기를 참고하자[2] 역할하고 생긴 게 딱 장벽이라 이렇게도 부르며 잘 사용되지는 않는다.[3] 여기는 지금도 검표를 직원이 하고 있다.[4] 시외버스는 차내검표가 일반적이라.[5] 1980년대 후반 당시 JR 동일본 노선 기준으로 무사시노선 등 일부 역에만 소수로 존재했다. 참고로 JR 니시니혼 소속 각 노선은 '''이보다 한참 늦은 1997년(...)'''에 처음 선보였다.[6] 통상적으로 1980년대에 제작된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묘사되는 전철역 개표구는 역무원이 있고 펀치로 표를 검표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7] 참고로 일본에서 플랩식 자동개집표기가 존재하지 않는 곳은 도쿠시마현과 에히메현(과거에는 마츠야마시역에 있었으나 철거되었다.) 단 두 곳 뿐이다.[8] 당시 파리 지하철#s-2의 승차권을 그대로 들여왔다. 2020년 현재에는 '''부산 도시철도에서만''' 사용중이나 머지 않아 수도권과 동일한 '1회용 교통카드'로 전환될 예정이다.[9] 단 당시 철도청이 관할하는 수도권 전철 노선은 그보다 5년이나 늦은 1991~2년이 되어서야 모든 역에 자동개표기를 도입했다.[10] 예외로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카드를 대면 열리는 구조를 쓰고 있다. 다만 이쪽은 회사에서 보이는 스피드게이트처럼 높은 플라스틱 문이 옆으로 열리는 방식이다. 대구 도시철도의 승차 또는 하차만 가능한 편도 개표구의 경우는 플랩이 기본적으로 닫혀있지만 승하차 모두 가능한 개표구는 기본적으로 열려있다. 또한 일본의 몇몇 개표구도 한국처럼 카드를 안대면 닫히는 구조를 쓰는 곳이 있다.[11] 부산도 2021년 11월 이후로 마그네틱식 표 사용중단 예정이다.[12] '''2005년'''에 개업한 용두역과 동묘앞역도 삼발이를 쓰고 있다. 다만 일부 역은 플랩식으로 교체했거나 교체중이고, 2010년에 개통한 3호선 오금연장구간은 처음부터 플랩식이었다. 더 나아가서 '''2017년'''에 개통한 부산 1호선 다대포연장구간에도 삼발이를 쓰고있다.[13] 참고로 일본은 마그네틱 승차권이 아직 사용중인 관계로 철도사업자 마다 자동개표기를 평균 '''10~15년'''주기로 교체한다.[14] 대기업 본사나 도심지 업무용 건물등에 가보면 있는게 이거다.[15] 참고로 인천 1호선의 경우 대우전자가 도시바에서 개집표기를 수입해 설치하였다고 하며, "일본 옴론사의 턴 스타일 및 플랩 방식을 혼용"이라는 잘못된 내용이 있다. 오므론은 턴 스타일 개집표기를 제작하지 않으며, 플랩식 및 간이형 개집표기만 제작하고 있다.[16] SAGM-3R은 LED를 이용하여 숫자만을 표시하는데, S-PG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문자까지 표시한다. 또한 SAGM-3R에는 음성 안내 기능이 없으며, 승차권 나오는 곳의 모양과 크기가 다르다. 원본인 S-PG는 유카리가오카선에서만 볼 수 있다.[17] 강북구간(장암~뚝섬유원지)과 부평구청 연장 구간(까치울~부평구청) 제외.[18] 박물관 측에서는 이미 단종된 모델이라 수리용 부품이 없어 수리 및 재가동 계획이 없다고 한다(...).[19] 운임경계선(고객신뢰선) 안으로는 입장권이나 승차권 소지자만 들어갈 수 있다. 하지만 거기에서는 검표를 하는 사람이 없다시피 하기에 사실상 의미없는 수준이 되었다. 거기에 입장권이 공짜로 바뀌었으니.[20] 대표적인 예로 사람이 많이 타면 검표 속도가 느려지고, 검표원의 시야에 무임승차자가 들어와야 적발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악용해 검표원을 피해 열차 내를 떠돌거나 화장실에서 문 잠그고 존버하는 수법이 흔하게 발생하며, ITX-청춘의 경우 1인 승무제이기 때문에 검표원이 부족해 무임승차를 다 잡을 수가 없다.[21] 검표가위가 이 때 사용되었다.[22] 운임경계선이 그어져있는 곳이 원래 자동 개표구가 있던 곳이다.[23] 2016년 이전에는 500원을 받았음.[24] 이용객이 적거나 자동개집표기 도입이 어려운 무인역 등. 대표적으로는 통근노선인 오메선 오메역 이서구간과 하치코선, 사가미선의 이리야역.[25] 로컬선에 있지만 수요 등으로 역무원이 상주하는 경우 등.[26] 외형상으로는 플랩식 개표기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플랩이 없다.[27] 한국철도공사 관할 노선과 대구3호선에서만 나온다.[28] 우이신설선 및 인천 도시철도 2호선에서만 나온다.[29] 구형 자동개표기를 사용하는 회사들, 대표적으로 유카리가오카선 등[30] 개집표기 제작회사(오므론=JR 니시니혼 텍시아/도시바=JREM/일본신호 등) 마다 음색의 차이가 있다.[31] 다만 모스크바의 경우 최근 도입된 전기버스에는 그런 거 없고 한국과 비슷하게 생긴 교통카드 단말기가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