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국의 군주

 

1. 개요
2. 상세
3. 목록
3.1. 한국사
3.2. 세계사
3.2.1. 중국사


1. 개요


본인 대에 다스리는 나라가 멸망한 망국의 군주들에 관한 문서. 암군과는 복잡한 관계에 있다.

2. 상세


한 왕조의 마지막 군주인만큼 실책을 저질러 나라를 망하게 했다는 인식이 있으나, 수십~수백년간 잘 유지된 건실한 나라가 하루아침에 아무 이유 없이 멸망할 리는 없고 역사상 대부분 나라들은 여러 문제들이 선대 왕 때부터 축적되어 마지막 임금 재위 기간에 터진 것인 경우가 많다. 사실 멸망이 임박한 대부분 왕조의 마지막 임금들은 이미 즉위 시점부터 실권을 잃어버려 뭘 하려고 해도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가 많으며, 멸망의 결정적인 계기가 되는 시점은 보통 마지막 임금의 전대, 전전대 임금 시기인 경우가 많다. 이는 한국사에서는 신라경애왕, 고려우왕, 조선고종 등이 그러하다. 이 나라들은 정작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 창왕공양왕, 순종 때는 임금이 어떤 조치를 한다고 해도 회복 가능성[1]이 보이지 않을만큼 나라가 완전히 기울어져 있었다.
다만 이런 문제들을 끝까지 고쳐보려고 노력이라도 해 본 망국의 군주는 고평가를 받지만, 그냥 팽개치고 나라가 망할 때까지 손 놓은 군주는 저평가를 받는다.
예를 들어 후한헌제는 이미 즉위 이전에 동탁이 나라를 멋대로 주무르기 시작해 아예 실권이 없었고, 역적들이 나라를 망치건 뭐건 아무것도 할 수 없었으며, 오히려 실권을 되찾기 위해 장안을 탈출하거나 조조 암살을 계획하는 등 최후의 발악이나마 했다. 명나라숭정제원숭환 처형 같은 실책도 있으나 쇠퇴해가는 명을 되살리기 위해 노력한 황제였다. 그가 마지막 황제가 된 것도 후계 가운데 총명했기 때문이다.
물론 왕조 멸망 전 왕을 내쫓고 임시 군주, 즉 허수아비 군주를 세워놓은 경우도 있다. 경순왕, 공양왕이 이렇게 세워졌다. 경순왕의 경우처럼 외부세력이 적당한 인물을 세워놓고 조종하는 경우면[2] 시간이 지난 뒤엔 본색을 드러낸다. 이런 경우도 최선을 다하는 경우도 있고, 그냥 조종당한 경우도 있다. 즉 케바케인 것. 다만 허수아비 군주가 조종당한 것은 자신의 목숨이 달려있기에 쉴드칠 구석은 있다. 또한 사직을 조금이나마 더 길게 보존하는 명분도 있고.
위 두 왕은 전자의 경우에 해당된다. 경순왕은 주적 후백제에는 할 수 있는 만큼 있는대로 저항했고 가장 적절한 시기에 고려에 항복해 신라 국민 및 귀족을 지켰다는 평을 받으며, 공양왕도 이미 이성계 일파에 정치가 장악당해 무엇도 통하지 않았지만 고려를 어떻게든 살리기 위해 고군분투했다는 분석이 많다.
좀 더 포괄적으로 보자면 정상적인 계승이 힘들어 구원투수 형식으로 방계의 비교적 유능한 인물들이 왕위에 올랐고, 가능한 한 최후의 발악이라도 했지만 이미 대세를 뒤엎을 수 없던 상태였다. 심지어 왕은 아니지만[3] 도쿠가와 막부의 마지막 장군인 도쿠가와 요시노부도 재능은 있는데 실권이 없어 막부가 무너지는 순간까지 고생했다. 심지어 브라질의 마지막 황제인 페드루 2세는 퇴위하는 날까지 국민들 사이에서 성군으로 칭송받았고, 아프가니스탄의 마지막 군주인 무함마드 자히르 샤는 '''아프간에서는 국부로 칭송 받는다.''' 다만 이러한 경우 거의 무조건이라고 봐도 좋을 정도의 높은 확률로 전대나 전전대 임금이 암군이다.[4]
즉 이렇게 왕조의 마지막 군주가 암군이 아닌 경우도 꽤 된다. 결론적으로 망국의 군주 중 오히려 왕조를 어떻게든 살리기 위해 노력했으나 결국 흐름을 거스르지 못한 자들도 있으며, 시대를 잘못 태어났다는 평가를 받는 사람들도 있다. 심지어 마지막 군주가 명군, 더 나아가 성군으로 평가받는 극단적인 케이스도 있다. 물론 다 그렇지는 않으며 자신이 나라를 망친 군주도 존재한다.
망국의 군주 중 예외로 탐라국자견왕고봉례가 있다. 자견왕은 스스로 고려의 속국이 되었으나, 성주와 왕자직은 계속 있었으며, 고도의 자치권을 누렸다. 고려도 사실상 외국으로 간주했다. 고봉례탐라국의 마지막 성주인데, 망국의 군주라기 보다는 탐라가 사실상 고려였고 새나라의 건국이 된 뒤에도 특수행정구역으로 간주되었다. 예나 지금이나 특별한 곳이였던 것. 일반적인 망국의 군주와는 다르다.

3. 목록



3.1. 한국사


''' 한국사'''
'''국가'''
'''군주'''
'''즉위년일'''
'''퇴위년일'''
'''재위기간'''
'''비고'''
단군조선
준왕
?년
기원전 194년
?년
위만에게 왕위 찬탈당함.
찬탈당한 후 남하하여 마한 성립.

고조선
(위만조선)

우거왕
최소 기원전 128년
기원전 108년
최소 20년
망국 이전 암살.
동부여
대소왕
기원전 20년
22년
42년
고구려와의 전투에서 사망.
사망 후 동부여 사실상 멸망.

갈사국
도두왕
?년
68년
?년
고구려에 항복.
우태로 임명됨.

북부여
잔왕
?년
494년
?년
고구려에 투항.
금관가야
구형왕
521년
532년
11년
항복 후 조세를 받으며 생활.
자신의 가문이 명문가가 됨.

탁기탄
함파한기
6세기 초
6세기 초
?년
신라에 항복.
최후는 알려지지 않음.

탁순국
아리사등
?년
538년
?년
신라에 항복.
최후는 알려지지 않음.

대가야
도설지왕
?년
562년
?년
최후는 알려지지 않음.
백제
의자왕
641년
660년
19년
당으로 압송.
압송된지 며칠 만에 사망.

고구려
보장왕
642년
668년
26년
당으로 압송.
당에서 고구려 부흥 위한 반란 꾸미다 유배.

태봉
궁예
901년
918년
17년
쿠데타를 피해 도망치다가 백성들에게 두들겨 맞고 객사.
발해
대인선
906년
926년
20년
거란으로 압송.
발해 부흥을 꾀함.

신라
경순왕
927년
936년
9년
항복 후 고려에서 정승공으로 봉해짐. 그의 선택으로
경주 김씨는 명문가로 남음.

후백제
견신검
935년
936년
1년
사형 당한걸로 추정됨.
탐라국
자견왕
고봉례
934년
?년
938년
1404년
4년
?년
탐라의 마지막 왕.
탐라의 마지막 성주.

고려
공양왕
1389년
1392년
3년
조선 건국 후 사사.
조선
(대한제국)

순종
1907년
1910년
3년
창덕궁 이왕으로 강등.

3.2. 세계사



3.2.1. 중국사



[1] 즉 반란군이든 사실상 반역한 권신이든 외적이든 멸망의 원흉을 제거[2] 다만 경순왕은 후백제에게 전투에서 졌을지언정 휘둘리지는 않았다.[3] 일본의 왕은 엄연히 천황이였다. 하지만 천황은 고대 후 지금까지 워낙 허수아비라서 실질적인 일본의 왕은 막부의 장군(쇼군)이나 다름없었다.[4] 예를 들자면 후한 환제, 영제. 고려우왕, 명나라만력제. 다만 자히르 샤의 경우는 딱히 전대의 실책 때문이 아니라 갑작스러운 쿠데타로 쫓겨났고, 이후 나지불라의 독재 및 탈레반의 만행으로 나라가 왕정복고도 못할 정도로 망가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