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경당

 



'''후진 초대 황제'''
'''高祖 | 고조'''
[image]
[1]
'''묘호'''
'''고조(高祖)'''
'''시호'''
성문장무명덕효황제
(聖文章武明德孝皇帝)
'''연호'''
천복(天福, 936년 ~942년)
''''''
석(石)
''''''
경당(敬瑭)
'''부황'''
헌조(獻祖)
'''모후'''
효원의황후(孝元懿皇后)
'''생몰 기간'''
892년 ~ 942년 (50세)
'''재위 기간'''
936년 ~ 942년 (6년)
1. 개요
2. 초기 행적
3. 첫 번째 배반을 일으키다
4. 오랑캐를 섬겨 땅을 넘겨주고 황제가 되다
5. 치욕의 재위
6. 평가
7. 둘러보기(계보)

[clearfix]

1. 개요


중국 오대십국시대후진(後晉)의 건국자.

2. 초기 행적


튀르크사타족(沙陀) 출신으로 태원 출생이었다. 본래는 후당 장종 이존욱을 도운 개국 공신이었다가, 명종 이사원(李嗣源)의 가장 충실한 부하가 되어 그를 도와 많은 일을 하였다. 이사원은 자신의 딸을 시집보내 부마로 삼을 정도로 그를 신임했다.
그 후 금군장관(禁軍長官)이 된 그는 하동절도사(河東節度使)와 북경유수(北京留守)를 겸하게 되었는데, 청렴하고 일을 잘해 많은 신망을 얻었다. 여기까진 꽤 괜찮은 모습을 보였다고 할 수 있겠다.

3. 첫 번째 배반을 일으키다


문제는 장인인 명종의 사후부터 시작되었다. 명종의 아들 이종후가 황제의 자리에 올랐는데, 노왕(潞王) 이종가(李從珂)의 반란으로 몹시 위태로운 처지가 되었다. 이종후는 기병 50기만을 거느리고 간신히 도망쳐 위주(魏州)를 지나다가, 마침 그곳을 지나던 석경당과 마주치게 되었다. 석경당은 명종 이사원의 사위고, 이종후는 이사원의 아들이라 자형과 처남 사이가 되니, 위급한 처지에 빠진 이종후로서는 천군만마를 얻은 것 같은 순간이었다.
그런데 석경당은 사정을 듣자 한숨을 쉬면서 영 불안하게 굴더니, 위주 자사 왕홍지(王弘贄)와 상의해보고 말을 올리겠다며 우선 그 자리를 떴다. 둘이 만난 자리에서 왕홍지는 이렇게 말했다.

예전에도 도망친 황제들은 많았는데 병사 아니면 돈이라도 있었지요. 그런데 지금 저 천자는 가진 것이라곤 병사 50명밖에 없는데, 우리가 도울 필요가 있겠습니까?

결단을 내린 석경당은 이 말을 이종후의 심복인 궁전 고사 사수영(沙守榮)과 황가 시위 분홍진(奔弘進)에게 전했다. 화가 난 분홍진은 석경당을 매우 꾸짖었다.

황제는 명종의 아들이고 자네는 명종의 사위인데, 황제가 천하에 믿는 사람이 자네밖에 없건만, 배신을 하겠다는 건가?

사수영은 석경당을 죽이려고 칼을 뽑아 달려들었고, 석경당의 위사 역시 칼을 뽑아들고 달려들어 싸우다 둘 다 죽었다. 이 모습을 본 분홍진은 몹시 노해 자결을 택했다. 석경당은 곧바로 심복인 유지원(劉知遠)[2]을 보내 50명의 병사들을 단숨에 정리해버렸고, 본인은 낙양으로 달려가 이종가에게 항복했다. 그 사이 왕홍지는 이종후를 잡아다 가두었고, 이종가는 이종후는 물론이고 이종후의 아내와 아들들까지 학살했다. 석경당은 자신을 믿어준 황제의 후손을, 자기 손으로 죽게 만든 것이다.[3]

4. 오랑캐를 섬겨 땅을 넘겨주고 황제가 되다


이종가는 석경당이 먼저 굽히고 들어와서, 이종후를 죽이고 황제가 되는 데 성공했지만, 사실 석경당과는 이전부터 사이가 꽤 좋지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석경당의 군사들에게 조서를 내려서 위문하였는데, 석경당의 부하들이 석경당에게 만세를 외치는 사태가 벌어졌다. 만세가 보통 황제에게만 한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종가 입장에서는 불쾌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그가 언제 반란을 일으킬지 모른다는 생각에 불안에 떨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석경당을 천평군 절도사로 좌천시켰다.
하지만 석경당은 석경당대로 이종가의 주변에 심복을 많이 만들어놓아서 그의 동태를 두루 살필 수 있었다. 그리하여 전국에 흩어진 재산을 모으고, 군비를 확충하며 만만의 준비를 갖추고 있다가, 자신에게 인사 좌천의 명령이 떨어지자 유지원을 불러 의견을 물었다. 유지원은 말했다.

우리에겐 정예부대가 있으니 지형을 점하고 싸우면 반드시 대업을 이룰 것입니다.

하지만 모사인 상유한(桑維翰)은 의견이 달랐는데, 그는 이렇게 말했다.

이곳은 거란과 가깝습니다. 만약 우리가 거란 군주를 대왕으로 모시고 구원을 청하면 무슨 일이 있어도 저녁이면 지원군이 올 터이니, 어찌 근심이 있겠습니까?

그러자 석경당은 그게 좋겠다고 생각하고는 스스로 요나라에 칭신하는 것을 넘어서 요태종 야율덕광의 아들이 되기를 간청하는 상주문을 거란에 보내는 짓을 벌인다. 그때 '''석경당은 47세, 야율덕광은 37세'''였다.(...) 아들보다 열 살 어린 아버지가 탄생하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이 벌어진 것. 심지어 석경당은 후대에까지 악영향을 끼칠 엄청난 선택을 하고 마는데, 만리장성 이남의 '''연운 16주'''를 거란에게 '''무상으로 넘겨주기로 한 것.''' 이에 유지원은 어이가 없어 참다 참다 석경당한테 간언을 올려 이를 만류했다.

'''신하의 예도 모자라서 아들과 아버지의 예를 맺는 것은 너무 심하지 않습니까? 더구나 도움을 원한다면 재화와 보물만으로도 충분할 텐데, 어찌 땅까지 내주시려고 하십니까?'''

하지만 석경당은 그 간언을 전부 무시했고, 자신의 제안을 그대로 강행했다. 전부터 연운 16주를 노리던 야율덕광은 석경당의 제안에 신이 나서 가을이 되면 군대를 이끌고 가서 도와주겠다고 약속했다.
과연 가을이 되자 태종 야율덕광은 무려 5만이나 되는 대군을 이끌고 남하해왔다. 당시 석경당은 이종가와의 싸움에서 몹시 위태로운 지경에 처해 있었는데, 야율덕광의 요군 5만이 이종가의 군대를 격파하면서 단숨에 전세를 뒤바꿔버렸다. 특히 상황이 불리해지자 이종가 휘하의 장군들과 병사들도 모두 황제를 배신하고 석경당에게 투항했을 정도. 결국 패배한 이종가는 가족들과 함께 누각에 불을 질러 분신 자살하는 비참한 최후를 맞았고[4] 후당도 그렇게 멸망하고 말았다.

5. 치욕의 재위


한편 거란의 야율덕광은 석경당을 중원의 황제로 만들어주겠다며 그의 즉위식에 참석하여 손수 책봉식을 거행했다. 이 책봉식에서 야율덕광은 직접 석경당에게 옷을 입혀주었는데, 당연히 거란식 의복이었다. 중국의 황제가 다른 나라이자 이민족 황제에게 굽실거리며 거란 옷을 입고 책봉되는 상황이었는데, 당나라 때 이미 황제가 책봉 간섭을 받거나 아우 나라 노릇을 한 적은 있으나 이런 전례는 없었다.[5]

천복 연간에 서역西域의 중 말라襪羅가 진에 와서 조회朝會하였는데 화복火卜을 잘하였다. 얼마 후 고조高祖에게 하직하고 고려에 유람하기를 청하였다. 고려 왕 왕건은 그를 심히 예우하였다. 이때 거란이 발해의 지역을 병탄한 지 몇 년이 되었다. 왕건이 조용히 말라에게 말하기를, “발해는 본디 우리의 친척 나라인데, 그 왕이 거란에게 잡혀갔다. 내가 중국 조정을 위하여 거란을 쳐서 그 지역을 취하고 또 묵은 원한을 갚고자 하니, 대사는 돌아가서 천자에게 말해 기일을 정하여 양쪽에서 습격하게 해달라.” 하였다. 이에 말라가 돌아가서 낱낱이 아뢰었으나 고조는 회답하지 아니했다.

속통전續通典 중

처음 고려 왕건이 군사를 써서 이웃나라를 멸망시키고 자못 강대해졌다. 호승胡僧 말라襪羅를 통하여 고조(석경당)에게 말하기를 “발해는 우리와 혼인한 나라입니다. 그의 왕이 거란의 포로가 되었습니다. 조정과 함게 그들을 치기를 청합니다.” 하였으나 고조는 회보하지 않았다.

자치통감

사실 거란이 쳐들어오기 전에 왕건발해 멸망 후 거란 견제를 위해서 석경당에게 함께 거란을 양면에서 치자는 제안을 했지만 석경당이 그냥 무시해버렸다. 물론 고구려의 영광을 되찾겠다는 왕건의 야심을 고려할 때 그 의도를 경계했을 수도 있지만 석경당의 행보를 볼 때 그냥 거란에 대적할 생각 자체를 안 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6]
우습게도 그렇게 원하던 황제가 된 석경당은 유지원이 자립하고 토욕혼이 이반한 후에 조덕균, 안중영 등의 번진들의 반란에 시달리다가 그들의 반란을 진압못하는 것을 요나라 조정에게 책망을 받게 되자 근심하다 승하하고 만다. 황제가 된 뒤 고작 6년 만이었다. 후계자 아들 석중예는 어리다는 명분으로 형의 아들 출제 석중귀에게 찬탈당하고 이어 석중귀조차 거란에 적대하다 패함으로써 후진은 멸망한다.

6. 평가


대사를 꾀하는 초기에 오랑캐를 불러 원조를 받아, 이때부터 오랑캐의 기세가 강해졌고, 백성들이 이로 인해 재앙에 빠졌다. 후사에게 이르러, 전쟁이 오랫동안 계속되어 좀처럼 끝나지 않고, 군대를 부려 지키지 못하였으며, 온 겨레가 사로잡혔다.

구오대사(舊五代史) 중

자기를 믿어준 황제를 무려 두 번이나 배신하고 죽게 만든 것만으로도 좋은 평가를 받기에는 글렀지만, 무엇보다 중원요나라위성국 수준으로 격하시켰기에 한족 입장에서는 욕을 바가지로 퍼붓기에 충분한 인물이다.[7] 진회와 더불어 한족들이 가장 싫어하는 인물 중 한 명.
다른 오대십국시대의 군주들은 어느 정도 영웅의 풍모들이 있었고, 최소한 사람들에게 귀감이 될 만한 면이 한두 개쯤은 있었다. 후량의 태조 주전충은 군사적 능력도 생각보다 나쁘지 않았고, 당태종측천무후가 그렇게 찍어눌러도 버티면서 위진남북조시대 - 수나라 - 당나라의 심각한 적폐였던 문벌귀족을 학살하고 수도를 개봉으로 천도해 송나라로 대표되는 중국 근세로 가는 기틀을 열어주었으며, 약자인 백성들을 사랑하는 마음도 있기는 했던 사람이었다.[8] 주전충을 꺾고 야율아보기에게[9] 판정승을 거둔 후당의 장종 이존욱의 비범한 군사적 능력은 더더욱 설명할 필요도 없으며,[10][11] 후한의 고조 유지원은 어쨌든 요나라 군대를 몰아내고 중원을 다시 수복하는데 성공했고,[12] 후주의 태조 곽위는 치세를 안정시키며 세종(후주)에게 제위를 물려줄 정도의 심미안도 있는 사람이었다. 그리고 저 세종(후주)과 그의 최측근인 조광윤이 한 일은 더욱 대단하다.
근데 석경당은, 배신 한 번 때리며 50명짜리 부대를 한 번 이기고, 두 번째 배신에서는 온갖 아부에 땅까지 바쳐가며 요나라 군대를 끌고 와서야 이겼을 정도로 제대로 자기가 이겨서 뭘 한 게 없으니, 대체 뭔 능력치로 황제가 된 건지 싶은 사람이었다. 전술했듯이 이민족 군대까지 끌고 와서 땅을 내주면서 자기가 황제가 되어버린 이적행위를 한 인간인데다, 황제가 된 다음에도 찌질한 모습은 변함이 없어서 요나라를 두려워하며 막대한 공물을 바쳤고 토욕혼과 유지광의 일로 요태종이 버럭하니 깨깽 하면서 죽어버린 수준의 인물이다 보니 하는 행동이나, 인간의 배포로나, 이 인간이 만들어낸 결과물로 보나 절대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할 것은 매우 당연한 것이다. 역사적으로 제위를 손에 넣겠답시고 외국 군대 끌어들이는 게 어떤 결과를 초래했는지 역사책만 봐도 알 수 있는데 얼마나 생각없이 행동했으면...[14] 이쯤되면 요나라랑 맞짱을 떠서 두 번이나 막아냈던 조카가 더 나아보일 지경이다
1,000여년 후에 이 인간이 했던 짓거리랑 비슷한 짓거리를 한 인간이 하나 더 있었는데, 최후도 비슷하고, 현대 중국인들에게 받는 평가도 크게 다르지는 않다. 다만 그 작자는 석경당과는 다르게 나라 팔아먹은 일은 극심한 저항에 막혀 미수로 끝났다.
요나라에 줘버린 연운 16주는 거란이 중원에 진출하게 된 계기가 되었고, 요충지를 잃은 중원은 내내 거란에 시달리며 송나라 시기까지도 그중 2개 주만 간신히 되찾는데 그치고 만다. 송나라는 건국 당시부터 요나라라는 강국 때문에 기를 펴지 못하였는데, 거기에도 일정 부분 책임이 있는 인물. 남송칭기즈 칸, 원나라의 흥기까지 생각하면 그야말로 중국사 전반을 바꿔놓은 인물이다. #[15]
유주(계, 탁 등), 삭주 등의 연운16주가 얼핏 보기에는 중원 전체의 입장에서 결정적인 면적의 영토가 아닌 것 같지만, 중요한 것은 그곳의 지형. 만리장성은 험준한 방어 요충지를 이어서 건설되었는데 그 이남이라는 것은 '''하북 평야 지대를 방어하는 노른자로 비유될 정도의 중요한 지정학 요충지, 지형적 방어물이 없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아무런 저항 없이 중원으로 쳐내려올 수 있었을뿐더러 이 지역에서 나는 물산을 바탕으로 이전까지의 유목 연맹 국가의 한계를 넘어선 중앙집권화까지 가능하게 해준 지역을 스스로의 손으로 넘겨주었으니 참으로 큰 손실이었다.
거기에 더해 진시황 이후로 1,000년 넘게 중국 고대사를 관통하며 내려 온 보물 중의 보물인 전국옥새까지 사라지게 만들었으니 중국인들 입장에선 용서할 수 없는 천하의 개새끼인 것.
원나라의 후예를 자처하는 몽골계 중국인들, 조상이 청나라의 지배민족이었던 현대 만주족에게도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석경당 본인이 원나라의 보르지긴 왕조 및 청나라의 아이신기오로 왕조와 달리, 한족을 지배하는 이민족 군주로서 또다른 이민족에게 과도하게 의존하고 더 나아가 자신이 속했던 중국 왕조의 영토그 또다른 이민족에게 들어바침으로써 자신이 세운 왕조가 2대 만에 망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렇듯 석경당이 이민족 출신 중국 황제로서 참으로 답이 없는 모습을 보인 탓에, 하나의 중국을 추구하며 중국의 이민족계 정복 왕조 창업군주들을 중화민족의 위대한 지도자로 평가하는 중국 공산당대만 국민당에서조차 석경당만큼은 어떤 식으로든 결코 좋게 평가하지 않고 있다. 진시황의 중국 통일을 매우 높이 평가하는 공산당과 국민당의 입장에서, 상술한 것처럼 전국옥새가 사라지는 원인을 제공한 석경당은 도저히 좋게 평가할 수 없는 최악의 창업군주인 셈이다.
범튀르크주의에 입각하여 동아시아의 튀르크계 군주들을 높이 평가하는 터키에서도 석경당에 대한 평가는 매우 박하다. 흉노, 돌궐, 위구르 제국의 창업군주들이 터키에서 튀르크 민족의 위대한 영웅으로 추앙받는 것과 달리 석경당은 터키에서 튀르크 민족의 중국 지배를 빨리 끝나게 만들어버린 암군으로 취급받는다. 만약 석경당이 거란 같은 외세의 힘 없이 스스로 새로운 왕조를 세우고 군주로서의 역량도 명군 수준이었다면 터키의 범튀르크주의자들에게 흉노, 돌궐, 위구르 제국 시절 동아시아 튀르크 민족의 영광을 되살린 위대한 영웅으로 추앙받았을 텐데, 석경당은 그렇게 먼 친척뻘 민족에게까지 명성을 떨칠 기회를 본인의 무능함으로 날려먹었다고 볼 수 있다.
거란족의 후손인 다우르족의 경우 한국인들에게 있어서의 삼대오물과 비슷하게 석경당을 거란족의 영웅이라고 조롱한다.[16] 당연히 진지하게 석경당을 존경하는 건 아니다.
외세의 힘을 빌려 승승장구하면서 여러 문제점을 만들어낸 탓에 결국 본인이 세운 왕조가 본인 사후에 오래가지 못하고 망했다는 점에서 오삼계자롱 황제의 선배격 인물이라고 볼 수 있다.[17]

7. 둘러보기(계보)





'''후진의 역대 황제'''
후당 4대 말황제 이종가

'''초대 고조 석경당'''

2대 출황제 석중귀
[1] 명나라 시기의 간행본 삼재도회(三才圖會)에 실린 석경당의 그림. 상상화로 진짜 초상화가 아니다.[2] 후한(後漢)의 고조(高祖)가 된다.[3] 이게 마음에 걸렸는지(...), 훗날 석경당은 황제가 되고 나서 이종후를 민황제(閔皇帝)로 추존했다.[4] 원래는 성 전체게 불을 지르려 했으나 황후가 만류하여 누각에만 불을 질렀다.[5] 심지어 이후에도 없었다. 가장 초라할 때가 남송 초기, 남송 황제가 금나라와 군신관계 맺고 책봉 받으며 세공을 바치던 때이긴 한데 그렇다고 해서 금나라가 남송 황제에게 여진족 의복 입히고 책봉식 하지는 않았다. 그나마도 해릉양왕의 개뻘짓과 그 뒤에 남송의 공격 기타 이런저런 문제들로 인해 새로 즉위한 금세종은 군신관계를 숙질관계(숙부-조카관계)로 완화, 세공을 세폐로 변경(세'공'의 공은 바친다는 의미다.) 세폐 감축 등을 내세워 남송와 화평을 맺었다.[6] 본인 아들대에 괜히 거란에게 개기다가 망한 걸 생각해보면, 그리고 고려도 당시 갓 통일된 터라(석경당이 황제로 즉위하던 해에 고려는 후백제를 멸망시키고 후삼국시대를 마감시켰다.) 내정을 정비해야 했으며 후진도 당시 남쪽에 오월, 남당, 남한 등의 십대 국가들이 산재해 있었기 때문에 무엇을 해볼만한 상황도 아니었다. 애초에 거란 견제는 석경당과는 비교도 안되는 후당의 이존욱조차도 그저 거란의 침공을 물리친 정도로 끝냈지 거란을 역으로 침공하는 건 못했다.[7] 중국어 위키에는 아예 '한간'(漢奸)으로 규정하며 맹비난하고 있다. #[8] 며느리와 간통할 정도로 음란하고 신하, 부하들을 마구 주살할 정도로 잔인했지만서도 어째서인지 백성은 아꼈다는 기록은 많다.[9] 참고로 이존욱도 아버지의 자리를 계승한 후 후량이 침공하자 이를 막기 위해 거란을 끌어들인 적이 있었는데 그래도 이존욱은 끌어들이고도 빌빌거린 석경당과는 달리 본인이 나서서 제대로 물리쳤으며 재위기간 내내 거란에게 빌빌거린 석경당과는 달리 물리치는 데 성공했다.[10] 이쪽은 애초 앞에 나온 주전충이 협채의 전투에서 당시 이극용이 죽었다고 안심했다가 이존욱에게 거하게 얻어맞고 대패하자 "이극용이 죽었으나 이아자(이존욱의 아명) 같은 아들이 있으니 죽었다고 할 수 없다. 아들을 낳으려면 이아자 같은 아들을 얻어야지 우리 아들들은 개돼지나 다름없다." 라고 한탄했으며 당대에 강국으로 떠오르던 요나라(거란)의 황제였던 요태조의 황후 술률평마저도 요태조가 이존욱과 붙겠다고 하자 "군사를 부리는 데 있어 이존욱에게 가히 대적할 사람이 없다."라고 말하기까지 했다. 치세 초기에도 원수이자 보다 더 강국이던 후량을 멸망시키고 그 외에 전촉, 위박 번진, 성덕절도사, 봉상절도사, 노룡절도사 등 난다긴다하는 세력들을 모조리 제압해버리기까지 한 인물이다. 그가 넓힌 영토는 오대십국 국가 중에서 후주의 세종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최대 판도였으며 한때나마 오대 국가가 천하의 1/2를 먹다시피하게 만들었을 정도였다. 그리고 결국 주전충의 예상이 맞았는지 결국 주전충 사후 후량은 이존욱의 후당에 멸망한다. 이외에 내 아들들이 이아자를 당해낼 수 없으니 나는 사후 누울 땅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는데 이 역시 후량 멸망 후 이존욱이 주전충을 부관참시함으로서 실현되었다.[11] 다만 그것은 외정, 즉 군사적 능력 한정이지 내정 측면에서는 주전충에 못지않은 막장이었다(...). 사실 주전충보다 더 막장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의외로 주전충은 막장통치로 민심이 사나워져서 문제가 된 일은 많지 않았다. 이존욱 역시 애초에 내치에서의 막장 가도로 인해 자신을 따르던 신하들에게도 버림받고 끝내 비참한 최후를 맞은 인물이다. 오대의 건국자이지만 주전충이나 이존욱이나 최후는 영 좋지 않았다.[12] 그것도 자신의 힘으로 한거다. 남의 나라 군대 끌어들이고서야 황제가 된 석경당과는 격이 다르다.[13] 앞서 이종가가 성에 불을 지르려다가 황후에 의해서 누각에만 불을 질렀다고 했는데 황후는 성에 불을 지르면 다음 황제가 다시 짓느라 백성들이 고생할 것이라고 진언했다.[14] 마침 또 자신이 죽인 이종가가 죽으면서 남긴 아름다운 미담(?)과[13] 거란을 끌어들이지 말자고 한 유지원이 거란을 몰아내고 어떻게 보면 정강의 변 같은 치욕이 200년 가까이 늦춰진 것을 생각해 보면 그들과 비교해서 도대체 나은 면이 있는지조차 의심스러운 석경당은 더더욱 쭈구리가 될 수밖에 없다.[15] 연운 16주는 이후 명나라 때나 가서야 되찾게 된다.[16] 헌데 일부분은 삼대오물보다 더하다. 삼대오물도 미담 정도는 있기 때문이다.[17] 그나마 오삼계는 그럴 만한 이유는 있고, 자롱 황제는 상대가 먼치킨이라는 점이나 근성은 있었고 본인 이후 3대 후에야 굴욕을 당했을 뿐더러 그 후에도 베트남이 공화국이 되기 전까지 명목상으로나마 응우옌 왕조가 계속 이어진 걸 생각해 보면 석경당이 더 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