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최씨
[clearfix]
1. 개요
전주 최씨는 전라북도 전주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다. 시조를 달리하는 4계파로 나뉜다. 각각 최순작(崔純爵)과 최군옥(崔羣玉), 최균(崔均), 최아(崔阿)를 시조로 한다.[6]
최씨 가운데 인구 숫자로는 2번째 자리를 차지한다.[7][8]
2. 상세
전주 최씨는 4개 계파가 있는데, 서로 연원과 조상이 다르다.
최순작을 시조로 하는 문열공계(文烈公系)는 전주의 토착 성씨다.[9][10]
최군옥을 시조로 하는 문충공계(文忠公系)는 전주의 토착 성씨지만[11] , 일각에서는 동주 최씨(東州 崔氏)[12] 의 시조 최준옹의 후손으로 나타나 있다.
최균을 시조로 하는 사도공계(司徒公系)[13] 는 경주 최씨 시조 최치원의 후손으로 알려졌다.
최아를 시조로 하는 문성공계(文成公系)는 최순작을 시조로 한 문열공계에서 갈라져 나왔다.[14]
전주 최씨는 조선시대에 모두 109명의 문과 급제자를 냈다. 이는 최씨 중 본관별로 가장 많은 문과 급제자 숫자다. 정승은 3명(최명길, 최석정, 최석항), 대제학은 2명(최명길, 최석정), 청백리는 3명(최유경, 최사의, 최관)을 배출했다. 종묘 배향공신은 1명(최석정)이다. 정승과 대제학, 청백리, 배향공신은 모두 문열공계에서 나왔다. 공신은 4명으로 각각 정사공신(靖社功臣) 최내길·명길 형제(문열공계), 진무공신 최응일(문충공계), 영사공신 최산휘(문성공계) 등이다.
3. 계파
3.1. 문열공계
전주 최씨 중 가장 번성한 계파는 최순작의 후손들인 문열공계다. 최순작은 고려 정종 때 문과에 급제해 숙종 때 병부상서(兵部尙書)와 신호위상장군(神號衛上將軍)을 지내고 완주백(完州伯)에 봉해졌다. 문열공계는 예의판서공파, 중랑장공파, 별장공파, 좌윤공파, 평도공파로 나뉘고, 평도공파 안에서 판윤공파, 양도공파, 지평공파, 경절공파, 첨추공파, 감무공파 등 6파로 갈라진다.
후손으로는 호부상서를 지낸 최숭, 공부상서와 수문전태학 겸 대장군을 역임한 최남부, 선부전서 상호군을 지낸 최득평, 감찰대부를 지낸 문정공 최재, 조선 개국원종공신이자 청백리였던 최유경[15] 등이 있다. 특히 최유경의 아들 6명이 크게 현달했는데 넷째인 최사강[16] 은 벼슬이 우찬성에 이르렀고, 그 후손들은 조선 중기 이후 크게 번성했다.[17] 병자호란 때 주화론의 대표주자인 문충공 최명길은 최사강의 8세손이다. 또 영의정을 9번이나 역임한 최석정[18] , 좌의정을 지낸 최석항[19] 은 최명길의 손자다.[20]
3.2. 문충공계
문충공계 시조인 최군옥은 고려 선종 때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냈으며,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에 봉해졌다고 '전해진다'.[21]
문충공계 인물로는 최군옥의 아들 송년·구년 형제가 각각 밀직사사와 문하찬성사을 지냈다. 또 문하찬성사을 역임한 최선능, 여말선초에 대마도를 정벌한 최칠석 등이 유명하다. 하지만 문충공계는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한미한 가문이 됐다. 최군옥의 8세손인 최양은 고려 우왕 때의 학자로, 포은 정몽주의 외조카이며 고려에 대한 지조를 지키고자 조선에 복종하지 않고 숨어 살았다. 때문에 문충공계 후손들도 출사에 소극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양은 두문동 72현 중 한 명이라고도 전해지지만, 역사학계는 두문동 72현을 정사가 아닌 야사로 간주하고 있다.[22]
3.3. 사도공계
사도공계는 고려 때 인물 최균을 시조로 한다. 최균은 동북로도지휘사(東北路都指揮使)가 되어 조위총의 난을 진압하다가 순절했다. 이후 완산군(完山君)에 봉해졌으며, 예부상서에 증직됐다.
최균은 아들 보순(甫淳)과 보연(甫延) 등을 두었다. 대표적 인물로는 고려 후기 문하시랑평장사를 지낸 성지(誠之)와 그의 아들 문도(文度), 고려 말 충신인 을의(乙義) 등이 있다.
4. 논쟁거리
이조 동성동본(異祖 同本同姓)이란 성씨와 본관이 같으나 시조가 2명 이상이고 각자의 연원이 달라 계파가 나뉜 집안이다. 대표적으로는 안동 김씨, 전주 류씨, 진주 류씨, 인동 장씨, 남양 홍씨 등이 있다. 하지만 전주 최씨는 이런 집안 가운데서도 연원이 가장 복잡한 가문에 속한다.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경주에서 발원한 신라의 토성인 최씨가 백제의 땅 전주에서 세거하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때문에 전주 최씨 후손 가운데 혹자는 시조가 경주에서 옮겨 왔다고 말하고, 다른 이는 중국에서 건너온 사람의 후예라고 설명하는 등 제각각의 주장을 하고 있다.
또한 시조의 고증이 불명확한 상황에서 고려 중기 이후 전주 출신의 최씨들이 다수 역사에 등장했고, 그 후손들이 저마다의 기억으로 선대의 역사를 정리하다 보니 계보가 심하게 엉켜버렸다. 이는 조선 중기 문열공계와 문성공계가 분리하기로 한 배경이 됐다.
전주 최씨 4계파 시조 중 가장 연대가 앞서는 것으로 알려진 최순작이 활동한 때가 고려 문종 시기다. 그때부터 현재까지 2000년이 흘렀으니 이제 와서 계보를 확실하게 정리한다는 건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남은 역사적 기록과 장래에 발굴될 자료들을 통해 그나마 사실에 가깝게 고증하고 계보를 정리하는 과제는 여전히 남았다.
이하에서는 전주 최씨 기원에 관해 제기된 몇가지 논쟁거리에 관해 요약 정리한 내용이다.
4.1. 유래: 당최설과 토최설
전주 최씨의 기원에 대해선 '당최설(唐崔說)'과 '토최설(土崔說)'로 나뉘었다. 당최설은 전주 최씨의 조상이 중국에서 왔다는 주장이고, 토최설은 최언위를 포함해 최씨 득성조인 소벌도리의 후손 중 일부가 전주로 와서 뿌리를 내리기 시작했다는 설명이다.
당최설이 전혀 근거가 없는 이야기는 아니다. 우선 낙랑공주와 호동왕자' 이야기로 유명한 낙랑국의 공주는 성이 최씨로 알려져 있다. 또 최치원이 쓴 쌍계사 진감선사탑비[23] 를 보면 진감선사[24] 에 대해 이렇게 기술되어 있다.
즉 최씨 중엔 소벌도리의 후손인 신라 출신 외에 중국과 고구려 등 북방계통에서 유래한 최씨도 있었고 이들은 주로 전주에 모여 살았다는 의미다.선사의 법휘는 혜소이며, 속성은 최씨다. 그 선조는 한족으로 산동의 고관이었다. 수나라가 군사를 일으켜 요동을 정벌하다가 고구려에서 많이 죽자 항복하여 변방의 백성이 되려는 자가 있었는데 당나라가 4군을 차지함에 이르러 지금 전주의 금마 사람이 되었다.(禪師法諱慧昭 俗姓崔氏 其先漢族 冠蓋山東 隋師征遼 多沒驪貊 有降志而爲遐甿者 爰及聖唐囊括四郡 今爲全州金馬人也)
하지만 진감선사탑비의 기록만을 근거로 삼아 '전주에 살았던 기록이 있는 최씨라면 모두 중국에서 유래했을 것'이라고 판단하는 건 무리가 있다. 삼국사기를 보면 김헌창의 난과 관련해 완산주(完山州) 장사(長史) 최웅(崔雄))의 기록이 실려 있는데, 최웅은 경주에서 전주로 파견된 관리이기 때문이다. 삼국사기의 해당 부분은 다음과 같다.
통일신라 시대 장사와 주조란 지방행정 조직 주(州)를 다스린 도독을 보좌하는 직책이다. 그런데 통일신라에선 도독을 포함해 장사와 주조 등 지방 통치하는 외관은 모두 중앙으로부터 임명·파견됐다.[25] 최웅은 전주에서 지방관을 지냈으나 전주 토착민이 아니라 경주 사람으로 전주에 파견돼 그곳에서 살았던 인물인 셈이다.18일에 완산주 장사 최웅과 주조(州助) 아찬(阿飡) 정련(正連)의 아들 영충(令忠) 등이 왕경(王京)으로 도망해 와 그 일(김헌창의 난)을 알렸다. 왕은 곧 최웅에게 급찬(級飡)의 관등과 속함군(速含郡) 태수(太守)의 관직을 주고, 영충에게는 급찬의 관등을 주었다(十八日 完山長史崔雄 助阿湌正連之子令忠等 遁走王京告之 王即授崔雄位級湌 速含郡太守 令忠位級湌)
이상에서처럼 진감선사탑비의 이야기와 토최설을 주장하는 문열공계 및 사도공계의 설명, 삼국사기 최웅의 기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보면 고구려와 수나라의 전쟁 이후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고 고려가 건국되기까지 약 300년의 시간이 흐르면서 전주에는 북방에서 내려온 사람들, 경주에서 이주한 사람들이 섞였을 가능성이 높다.
다만 현재에 와서 당최설은 '모화사상으로 인해 자신의 선조를 중국에서 왔다는 식으로 지어내려고 했던 의도'라고 풀이되며[26] , 현재 문열공계는 족보에서 토최설만 인정하고 있다.
4.2. 떡밥: 최씨 경주대동기원설
'최씨 경주대동기원설(慶州大同起源說)'은 한국에 있는 모든 최씨가 소벌도리 후손이라는 주장이다. 이 주장은 사량부를 중심으로 살아온 경주 최씨가 한국 모든 최씨의 중심세력(종가)이고, 다른 본관의 최씨들은 사량부에서 각각 지방으로 흩어져 살면서 분적했다고 설명한다. 조선 말기에는 최씨 경주대동기원설을 바탕으로 '선의계 추록(先疑系 追錄)'이라는 세계표(世系表)까지 만들어질 정도였다.
하지만 당최설과 토최설이 제기된 데서 드러나듯 한국의 최씨 중엔 소벌도리의 후손들이 상당수인 것은 맞지만, 중국에서 동래했거나 고구려 유민 등 북방계통에서 유래한 경우도 존재한다.
최씨 경주대동기원설에 대한 대표적인 반례는 통일신라 말기 활동한 낭공대사(朗空大師, 832년~916년)다. 그는 신라 출신으로 경상남도 하동에서 출생했고, 왕으로부터 국사(國師)의 예우를 받은 고승이다. 하지만 그의 조상은 소벌도리가 아니고 중국에서 온 사람이라고 전해진다. 최언위가 경명왕의 명을 받아 찬술한 '태자사 낭공대사 백월서운탑비(太子寺 朗空大師 白月栖雲塔碑)'를 보면 대사의 출생에 관해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특히 최씨 경주대동기원설의 근거로 쓰이는 선원계 추록은 그 신빙성 자체가 의심스럽다. 따라서 최씨 경주대동기원설은 현재 정설로 인정되지 않고 있다.대사의 법명(法名)은 행적(行寂)이고 속성은 최씨이다. 그의 선대는 주나라 조정 상보(尙父: 태공망)의 먼 자손이자 제나라 정공의 먼 후예인데, 그 후손이 현토군(玄兎郡)에 사신으로 나왔다가 계림에 머물러 살아 지금은 경만(京萬) 하남(河南) 사람이 되었다.(大師 法諱行寂 俗姓崔氏 其先周朝之尙父遐苗 齊國之丁公遠裔 其後使乎兎郡 留寓鷄林 今爲京萬河南人也)
4.3. 입장: '선의계 추록'을 인정하지 않음
선의계 추록이란 최씨가 소벌도리로부터 어떻게 관계가 이어지는지를 표기하는 문서다. 다른 말로는 '최씨상계보(崔氏上系譜)' 또는 '최씨선계보(崔氏先系譜)'라고도 한다. 이 자료는 '최씨 경주대동기원설'의 주요 근거로 쓰인다.
신라의 유리 이사금이 소벌도리가 속한 사량부(沙梁部, 옛 돌촌 고허촌)에 최씨 성을 하사했다는 것은 역사적 사실이고[27] , 현재 최씨 인구 중에서는 경주 최씨의 숫자가 가장 많다. 그렇기 때문에 '최씨 대부분은 소벌도리의 후예일 것'이라고 추정하는 것은 지극히 정상적인 일이다. 그래서 얼핏 생각하면 선의계 추록은 문제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선의계 추록을 사실로 인정하지 않는 데는 이유가 있다.
이 자료는 최치원 사후 900년이나 지나서 작성됐고, 역사적 검증을 거치지 않은 채 소벌도리로부터 30여대 걸친 계보를 일일이 열거해 소벌도리와 각 최씨들을 무리하게 연결하고 있다.[28] 경주 최씨가 대동보를 처음으로 만든 건 1734년 갑인보(甲寅譜)[29] 다. 그런데 그로부터 100년 뒤, 기존에는 어떤 사료에서도 언급되지 않던 내용이 갑자기 개인의 필사의 형태로 출현했다는 건 선의계 추록의 신빙성을 의심케 한다.
선의계 추록이라는 용어는 '윗세대(先)의 의심스러운 계보(疑系)에 대해 추측하여 기록한다(追錄)'는 뜻이다. 명칭 자체가 역사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기록이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따라서 선의계 추록은 역사적 진실과 정통성 등을 외면한다는 문제점을 낳는다.
오히려 이런 문서가 유행하는 현상은 자신의 성씨가 유구한 역사를 가진 명문이고 거족이라고 자랑하고 싶은 인간의 심리를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30] 따라서 실제 역사가 선의계 추록의 내용과 동일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매우 신중해야 할 일이다.[31]
이런 배경에 따라 문열공계와 문성공계, 문충공계 일부 후손들은 1995년 합동으로 '전주최씨연원지(全州崔氏淵源誌)'라는 책을 만들면서[32] 본문에 선의계 추록을 정설로 인정하지 않고 단순 참고용이라고 밝혔다.
전주최씨연원지에 수록된 선의계 추록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선의계 추록은 '경주최씨상계보(慶州崔氏上系譜)로써 지금으로부터 108년 전인 1877년[33]
에 함경남도 이원군 동서면 효우리 강성우(姜聖佑)씨 집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는 성우씨의 6대조인 율계 강필동(栗溪 姜必東)씨가 수집한 여러 성씨들의 족보가 비장되어 오던 것을 함경남도 단천에 사는 최장환(崔章煥)씨가 강성우씨 집을 예방하여 최씨에 관한 부분을 필사하였던 것이다.그후 충청남도 서산에 있는 최홍연(崔弘淵)씨가 서울의 여러 종친과 상의하고 지난 1937년에 경주최씨상계보라 하여 발간하였다. 이것을 또 1949년에 경상북도 월성군 천북면 손곡리에서 중간(重刊)하여 현재에 전하고 있다.
그러나 성씨별로 성자(姓字)를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던 시대인 신라 건국 초부터 성명의 자(字) 또는 계대를 어떻게 고증하였는지 의아스럽지 않을 수 없다. 더욱이 상계보에 본관별 최씨의 계대를 이어 거의 모든 최씨가 경주 최씨 상계의 어딘가에서 분적되었음을 상세히 계도화(系圖化)하여 수록하여 놓았다.
그러나 여기(전주최씨연원지)에서는 상계보를 확실한 고증으로 믿을 수 없을 뿐 아니라 오히려 후예로 하여금 혼돈을 막기 위하여 신라 말기에 해당되는 계대 이하는 삭제키로 하였다.
상계보란 당시 학자이며 야사가(野史家)였던 율계 강필동 선생이 증보(增補)한 자신의 작품이 아닌가 사료되며, 다만 선계에 대한 정통성 문제 이전에 후예로 하여금 참고하기 바랄 뿐이다.
5. 문열공계와 문성공계 분리 과정
5.1. 1650년대 이전
이 문서에 다루는 내용은 전주 최씨 가운데 문열공계와 문성공계에 해당한다. 따라서 여기서 말하는 '전주 최씨'란 문열공계와 문성공계만을 통칭하는 표현이다.
문열공계 시조인 최순작은 고려 문종 때 사람이다. 문성공계 시조인 최아는 고려 말 인물로, 최순작의 7세손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계대를 알 수 없다. 전주 최씨가 족보를 처음 만든 정확한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최순작의 7세손 최재가 사망한 후 이색이 쓴 그의 묘비명을 보면 "완산 최씨 보계에서 상고하여 볼 만한 이로 순작이라는 이가 있는데, 벼슬이 검교신호위상장군에 이르렀다(完山崔氏譜 可考者曰 純爵 官至 檢校神虎衛上將軍)"면서 최순작부터 최재까지의 혈연관계를 열거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최순작 이후 최재까지는 문서 형태로 전하는 계보가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에는 인쇄 기술과 여건이 발달해 족보를 간행하는 간격이 짧아졌으나 과거엔 사정이 좋지 못해 족보를 만드는 간격이 길었다. 문헌으로 전하는 전주 최씨 최초의 대동보는 1567년(명종 22년) 발간된 것으로, 당시 연호인 융경을 따서 '융경보라'고 불렸다.[34] 이 책에 이르러 전주 최씨는 신라 말 최언위를 원시조로 하고, 최순작을 시조로 확정했다. 하지만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난리를 거친 탓에 융경보의 완전한 실물은 현재 전해오지 않고 있다.
양란 이후 전주 최씨에선 최명길과 최석정, 최석항 등이 잇따라 정승을 지내며 정치적으로 득세하게 됐다. 또 사대부들 사이에서는 전쟁으로 이산가족이 되는 등 어지러워진 혈통을 제대로 확립해야 한다는 인식이 퍼지게 됐다. 이에 양반가에선 족보를 만드는 게 성행했다. 전주 최씨도 대동보를 편찬하는 작업에 착수하게 됐는데, 문열공계와 문성공계가 나누어진 것도 이때다.
5.2. 대동보 발간 중 생긴 일
당시 전주 최씨 대동보를 만드는 작업을 주도한 건 1658년 최재의 후손인 최관(崔寬, 앞서 전주 최씨에서 배출한 청백리를 언급할 때 거론한 그 최관)이었다. 당시까지 전주 최씨에선 최순작의 7세손 최재를 대종(大宗)으로, 최재와 같은 대수로 추정되는 최아를 소종(小宗)으로 여겼다. '융경보'의 경우에도 최재의 후손을 중심으로 해서 편찬된 것으로 전해지는데, 이렇게 한 이유도 최재의 후손을 최순작의 대종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관이 대동보 편찬을 다 끝내지 못하고 관직으로 나가게 되면서 최아의 후손인 최세영(崔世榮)이 일을 대신하게 됐다. 하지만 최세영은 '최아를 최순작의 후손으로 하고 족보를 만들기엔 두 사람 사이의 정확한 계대를 상고할 수 없다'면서 최아를 시조로 한 족보를 만들기로 했다. 그리고 그 단서를 다음과 같이 적었다.
이로 인해 최세영은 1686년 최아를 시조로 하는 족보를 만들게 되니 흔히 '초성일권(草成一卷)'이라고 하는 책이 바로 이것이다. 이를 통해 문성공계는 문열공계에서 분리가 됐다. 문성공계에선 '초성일권'을 당시의 연호 강희를 따서 '강희보'라고 칭하기도 하고, 병인년에 제작됐다고 해서 '병인보', 서울에서 만들어졌다고 '경보(京譜)'라고도 한다."내가 대동보 작업을 맡은 이후 여러 보첩과 자료들들을 종합해서 세밀하게 연구해보니 불분명한 곳이 많고…(이하 중략)…본원(本源)의 같고 틀림과 세대의 앞뒤가 서로 엇갈리고 있으니 이는 처음부터 임의로 할 의도는 없었으나 모두 서로가 개인적 의견을 혼동해 잘못을 저지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이하 중략)…이에 종인들이 모여 의논한 결과 확실한 것만 거론키로 했으며 최아를 시조로 하되 그 위의 7세는 후인들의 고증과 연구의 대상으로 남겼다"
이후 문성공계에선 1743년(영조 19년)에 비로소 완전한 형태의 첫 대동보를 만들게 된다. 이 책은 당시 연호인 건륭을 따서 '건륭보'라고 부른다.
5.3. 현재의 상황
문열공계와 문성공계가 분리된 배경엔 최순작과 최재, 최아의 혈연관계를 어떻게 할 것이냐 여부가 쟁점이다. 이 문제는 현재까지도 결론이 나지 않았다.
다만 조선 고종 때 간행한 증보문헌비고 가운데 48권 씨족고(氏族考)를 보면, 전주 최씨를 설명할 때 문열공계와 문성공계를 한 집안으로 간주하고 있다. 해당 부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문열공계에선 최순작에서 최재로 이어지는 계대를 직계로 여기고 있다. 문열공계는 융경보를 포함해 현재까지 10번 대동보를 편찬했다.(1567년→1745년→1798년→1843년→1901년→1924년→1957년→1981년→2003년).최순작은 검교신호위대장군이며, 한 일파를 이루었다
崔純爵(檢校神虎衛大將軍, 爲一派)
7세손[35]
유경은 참찬을 지낸 평도공이고 청백리에 선정됐으며 서원에 배향됐다.七世孫 有慶(參贊 平度公 選淸白吏 享書院)
유경의 아들 사의는 판돈녕부사를 지낸 양도공이며 청백리에 선정됐다. 사강은 찬성을 지낸 경절공이다.
有慶 子 士儀(判敦寧 讓度公 選淸白吏) 士康(贊成 敬節公)
순작의 10세손 덕지[36]
는 문신으로 직제학을 지냈고 서원에 배향됐다純爵 十世孫 德之(文 直提學 享書院)
덕지의 손자 충성은 서원에 배향됐다.
德之 孫 忠成(享書院))
덕지의 종손 수손은 진사로 서원에 배향됐고, 수손의 아들 필성은 진사로 서원에 배향됐다.
德之 從孫 秀孫(進士 享書院) 秀孫 子 弼成(進士 享書院)
사강의 7세손[37]
내길은 문신으로 판서를 지냈고 공신이 돼 완천군에 봉해졌다.士康 七世孫 來吉(文 判書 功臣 完川君)
내길의 동생 명길은 문신으로 영의정이며 공신이 돼 완성부원군에 봉해졌으며 문충공 시호를 받았고 서원에 배향됐다.
來吉 弟 鳴吉(文 領議政 功臣 完城府院君 文忠公 享書院)
명길의 손자 석정은 문신으로 영의정이며 문정공 시호를 받았고 숙종의 묘정에 배향됐다.
鳴吉 孫 錫鼎(文 領議政 文貞公 配享 肅宗廟庭)
사의의 9세손[38]
관은 문신으로 참찬을 지냈고 청백리에 선정됐다.士儀 九世孫 寬(文 參贊 選淸白吏)
문성공계의 경우는 복잡하다. 초성일권이 만들어진 후 300여년이 지난 현재에 와서 문성공계 일부 지파에선 '최아를 시조로 해 문성공계를 따로 분리한 것 자체도 속단'이라고 생각한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사실 문성공계에선 최아의 묘소 실존 여부를 놓고도 논란이다. 현재 전주에 있다는 최아의 묘를 인정하는 지파와 이를 인정하지 않는 지파끼리 시조 향사도 따로 지낼 정도다.
6. 지역별 인구 분포
지역별 인구 분포는 아무래도 관향지(전주)가 위치한 전라북도를 비롯해 인근의 전라남도에 많이 살고 있다. 아래의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른 전주 최씨 인구 분포도를 보면 조사 시기[39] 와 무관하게 전라북도와 전라남도에 전주 최씨가 많이 거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경상남도 고성군에서도 높은 인구 밀집도를 보여주는데, 이곳은 문성공계 집성촌이 형성되어 있다.
[image]
7. 연도별 인구 추이
전주 최씨는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서 성씨와 본관을 조사하기 시작한 1985년 이래 꾸준히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40] 최씨 본관별 인구 수로 봤을 때는 경주 최씨 다음으로 많다. 그런데 사실 전주 최씨는 4개 계파(문열공계, 문충공계, 사도공계, 문성공계)가 모여서 인구를 이루는 것이므로, 실제로 한 개 계파당 인구는 10여만 명 수준일 것으로 추산하는 것이 옳다.
8. 항렬
전주 최씨 각 계파마다 항렬이 다르다. 하지만 모두 오행상생법[41] 을 사용해 항렬자를 만든 것은 동일하다.
문열공계 시조 최순작은 전주 최씨, 완산 최씨 2개 최씨 본관의 시조다. 단 전주 최씨와 완산 최씨는 서로 항렬자가 다르다. 아울러 최순작의 후손들 중 일부는 양천 최씨(陽川 崔氏)와 초계 최씨(草溪 崔氏)로도 분적했다.
◎문열공계
◎문열공계 평도공파(최유경을 1세로 한다.)[42]
◎문충공계
9. 집성촌
9.1. 강원·경기
- 강원도 인제군 북면 월학리
-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천도리
- 경기도 안성시 미양면 강덕리
-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
- 경기도 오산시 탑동
- 경기도 의정부시 낙양동
- 경기도 화성시 방교동
- 경기도 화성시 정남면 계향리·문학리·발산리·신리
9.2. 충청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삼생리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일신리·중신리
-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마수리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옥곡리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와우리
-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도당리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금당리
- 충청남도 청양군 남양면 백금리
9.3. 전북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낙성리·산동리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성덕리
-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고사리·정동리·효정리
-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 월현리·장산리
- 전라북도 남원시 산동면 부절리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강기리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은산리[48] ·현내리
-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봉덕리
-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 진리
- 전라북도 부안군 주산면 동정리
-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진서리
- 전라북도 순창군 적성면 내월리·운림리
-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 용연리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동촌리
-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 쌍정리
- 전라북도 임실군 운암면 입석리
- 전라북도 임실군 지사면 방계리[49]
-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식천리
- 전라북도 장수군 계남면 화음리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전미동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색장동
- 전라북도 정읍시 망제동·쌍암동
-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우덕리·하학리
- 전라북도 정읍시 정우면 산북리·장순리
9.4. 전남
- 전라남도 고흥군 과역면 신곡리
-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학정리
- 전라남도 곡성군 석곡면 죽산리
-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온당리
- 전라남도 담양군 대덕면 입석리
- 전라남도 무안군 청계면 청수리
- 전라남도 무안군 현경면 현화리
- 전라남도 순천시 상사면 용계리·응령리
-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하사리
-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 팽진리
- 전라남도 신안군 팔금면 장촌리
- 전라남도 영광군 홍농읍 칠곡리
-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영보리[50]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월롱리·월송리
9.5. 대구·경상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대암리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해평리
-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효곡리
-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 송지리
-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청광리
- 경상남도 고성군 구만면 광덕리·주평리·화림리[51] ·효락리
- 경상남도 고성군 동해면 용정리
- 경상남도 고성군 마암면 보전리·성전리
- 경상남도 고성군 영오면 오서리
- 경상남도 고성군 하일면 송천리·학림리[52]
-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사곡리
-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다정리
- 경상남도 의령군 가례면 갑을리
- 경상남도 진주시 본성동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고사리
- 경상남도 통영시 무전동·인평동
9.6. 북한
9.6.1. 강원·경기·황해
- 강원도(북한) 이천군 용포면 상두리
- 강원도 통천군 벽양면 회산리
- 경기도 장단군 대강면 포춘리
- 황해도 곡산군 상도면 대동리
- 황해도 금천군 백마면 묘암리
- 황해도 서흥군 도면 수곡리
- 황해도 수안군 수안면 용정리[53]
- 황해도 수안군 율계면 회석리
- 황해도 안악군 안곡면 동양리
- 황해도 평산군 세곡면 은동리
- 황해도 황주군 구성면 석산리
9.6.2. 평안
- 평안남도 강서군 보림면 남삼리
- 평안남도 개천군 중남면 용원리
- 평안남도 맹산군 학천면 가리
- 평안남도 성천군 능중면 숭덕리
- 평안남도 성천군 사가면 천성리
- 평안남도 성천군 삼흥면 광탄리
- 평안남도 순천군 순천면 마상리·용소리
- 평안남도 안주군 안주읍 북송리
- 평안남도 양덕군 대륜면 사기리
- 평안남도 중화군 중화면 정척리[54]
- 평안북도 구성군 오봉면 선모동
- 평안북도 구성군 이현면 대안동
- 평안북도 구성군 천마면 안창동
- 평안북도 박천군 박천면 봉하동
- 평안북도 선천군 산면 은봉동[55]
- 평안북도 용천군 용천면 석성동
- 평안북도 자성군 여연면 만흥동
- 평안북도 정주군 관주면 근담동
- 평안북도 정주군 옥천면 문인동
- 평안북도 철산군 백량면 삼금동[56]
- 평안북도 철산군 부서면 학산동
- 평안북도 철산군 정혜면 고암동·탑현동
- 평안북도 철산군 철산면 동수동·영산동
- 평안북도 후창군 후창면 군내동·금창동·장흥동
9.6.3. 함경
- 함경남도 단천군 신만면 개평리·석우리·안시동리·용천리
- 함경남도 덕원군 현면 성라리
- 함경남도 북청군 북청읍 동흥리
- 함경남도 북청군 속후면 남호리·서호리
- 함경남도 영흥군 진평면 천황리
- 함경남도 정평군 부내면 흥덕리
- 함경남도 함주군 하기천면 은봉리
- 함경남도 홍원군 주익면 남당리[57] ·장정리
- 함경남도 홍원군 호현면 중흥리·풍전리
- 함경북도 길주군 덕산면 금천동·지산동
- 함경북도 명천군 하우면 명간동
- 함경북도 성진군 학서면 원평동
- 함경북도 성진군 학성면 금천동·쌍포동·장현동
- 함경북도 성진군 학중면 춘동[58]
10. 유명 인물
- 길옥윤 : 작곡가, 본명은 최치정
- 버논(세븐틴) : 보이그룹 세븐틴 멤버, 본명은 최한솔
- 예보링 : 유투버, 본명은 최예빈
- 유주(여자친구) : 걸그룹 여자친구 멤버, 본명은 최유나
- 최갑석 : 육군 소장
- 최갑환 : 정치인
- 최경희 : 이화여대 총장
- 최관호 : 독립운동가
- 최광수 : 노태우정부 외무부 장관
- 최광일 : 배우
- 최규석 : 만화가, 송곳 작가
- 최규선 : 기업인
- 최규성 : 국회의원
- 최규식 : 국회의원
- 최규옥 : 국회의원
- 최규원 : 독립운동가
- 최규철 : 독립운동가
- 최규환 : 배우
- 최기호 : 기업인(보령메디앙스 대표이사)
- 최낙윤 : 성우
- 최낙종 : 독립운동가
- 최낙철 : 독립운동가
- 최낙철 : 정치인
- 최낙희 : 독립운동가
- 최낙도 : 국회의원
- 최대철 : 배우
- 최덕수 : 법조인
- 최동규 : 전두환정부 동력자원부 장관
- 최동림 : 독립운동가
- 최두열 : 치안국장 출신 국회의원
- 최만호 : 야구선수
- 최명길 : 조선시대 문신
- 최명길 : MBC 기자 출신 정치인. 배우 최명길은 경주 최씨.
- 최민식 : 배우, 명량과 신세계, 올드보이 등 출연
- 최병호 : 독립운동가
- 최병철 : 국가대표 펜싱 선수
- 최병헌 : 구한말과 일제강점기의 개신교 목회자
- 최석림 : 국회의원
- 최석정 : 조선시대 문신
- 최석호 : 독립운동가
- 최성모 : 독립운동가
- 최성우 : 농구선수
- 최세인 : 육군 대장
- 최수영 : 걸그룹 소녀시대의 수영
- 최수진 : 배우, 소녀시대 수영의 언니
- 최순주 : 제3대 국회부의장
- 최시원 : '슈퍼주니어'의 멤버, 기업인 최기호의 아들
- 최우순 : 독립운동가
- 최연성 : 프로게이머
- 최연식 : 프로게이머
- 최연준 :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멤버
- 최영기 : 독립운동가
- 최영의 : 무도인, 다른 이름 최배달
- 최용안 : 국회의원
- 최운열 : 국회의원
- 최유진 : 걸그룹 CLC 멤버
- 최이호 : 국회의원
- 최인훈 : 소설가, 광장 작가
- 최일화 : 배우
- 최재 : 고려 말 문신
- 최재구 : 국회의원
- 최재성 : 배우, 여명의 눈동자 출연
- 최정수 : 독립운동가
- 최주봉 : 배우
- 최중호 : 독립운동가
- 최진실 : 배우, 1980~2000년대 최고 여배우
- 최진영 : 배우, 최진실의 동생
- 최진철 : 축구 국가대표
- 최치환 : 국회의원
- 최팔용 : 독립운동가
- 최환 :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진상을 밝힌 검사(영화 1987에서는 하정우가 '최 검사'라는 역할로 연기)
- 최황 : 한국인 최초의 공학박사, 최병헌 목사의 손자
- 최현우 : 마술사
- 최형우 : KIA 타이거즈 외야수
- 최희섭 : 전 야구선수,해설위원. 현 KIA 타이거즈 코치
- 휴정 : 조선시대 승려. 서산대사로도 불림
- 박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