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속

 

1. 개요
2. 상세
3. 환속한 인물
3.1. 실존인물
3.2. 가상인물

還俗

1. 개요


성직자가 성직(聖職)의 의무를 그만두고 일반인으로 돌아가는 것. 직역하면 '속세로 돌아감'을 의미한다.

2. 상세


본래는 불교 용어로 출가했던 승려가 승직에서 벗어나 속세의 신분으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했다. 현재는 의미가 확장되어서 불교 이외에도 어느 종교든지 성직자가 일반인이 되는 것을 의미하게 되었다. 단, 여기에 해당하는 종교인은 보통 불교의 승려나 가톨릭사제, 정교회보제 이상 직위, 개신교(성공회 제외)를 제외한 기독교 종파들의 수도자[1] 등 가정을 꾸리지 않는 독신생활 등 계율이 있는 이들을 지칭한다. 한 예로 혼인하여 가정을 구성할 수 있는 개신교의 목사나 성공회의 신부 내지는 정교회의 보제 미만 직위 그리고 이맘#s-1이슬람 성직자나 유대교랍비힌두교브라만에게 '환속'이란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이 때문이다.
가끔 종교인으로서 규범을 어기는 '파계'[2]와 혼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엄연히 다른 개념이다. 물론 파계를 저지른 종교인은 자동으로 성직 신분에서 쭟겨나서 강제로 환속을 당하지만, 파계를 저지르지 않았으나 자발적인 의지로 환속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쉽게 회사생활로 비유하자면 파계는 징계로 해고 당하는 것, 환속은 스스로 퇴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사퇴를 하는 이유가 징계 받기 전에 권고사직을 요구받아 하는 경우도 있지만 스스로 원해서 사직서 쓰고 나오는 경우도 있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사실 출가하여 성직자수도자가 된다는 것은 신앙심을 통해 종교에게 자신의 모든 것을 맡긴다는 것이므로 환속을 통해 이를 다시 되돌리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환속한 사람들을 두고 심정이 나약하다는 등의 편견을 가질 가능성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인간에게 주어진 상황은 매우 다양하고 이에 대한 생각과 행동은 개개인의 자유이므로, 환속 또한 이상하게 보아서는 안 될 것이다.[3] 무언가 파렴치한 짓이나 범죄를 저질러 환속하는 경우가 아닌 다음에야.
상좌부 불교에서는 환속하는 방법도 상당히 구체적으로 정하였다. 율장에 따르면 환속을 원하는 승려는 온전한 정신상태로, 온전히 자기 의사에 따라, 자신이 하는 말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을 증인으로 삼아 환속하겠다는 의도를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요구한다. 몸짓이나 글로 의사를 표현해서는 안 되며, (가령 상대방이 하는 언어를 모르는 등)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나, 사람이 아닌 것을 증인으로 삼아서도 안 된다. 이러한 규정을 지키지 않으면 스스로는 환속하였다고 생각할지라도 이를 공적으로 인정받을 수 없다.
천주교에서도 성직자나 수도자가 정식으로 환속하려면 관할장상의 합법적인 절차를 따라야 한다. 특히 성직자의 경우, 천주교의 교리상 유효하게 서품을 받았다면 그 어떠한 경우에도 그 서품 자체는 취소되지 않는다고 여긴다.[4] 성직자는 환속했다 하더라도 서품 자체는 인정하되, 성직자로서의 의무를 면제하고 권리를 박탈하는 것이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환속을 허가받지 않았더라도(못했더라도) 해당자의 마음이 이미 해당 종교를 떠나버렸다면 실질적으로는 환속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3. 환속한 인물



3.1. 실존인물


  • 강기갑: 가르멜 수도회의 수사였다가 퇴회했다. 종신 서원 이전에 퇴회했기 때문에 환속이라 하기 애매한 경우
  • 거칠부
  • 고은 :일초(一超)라는 법명을 얻고 효봉 스님 밑에서 수행하다가 환속했다.
  •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이방자 비의 할아버지. 본래 승려(대처승)였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환속했다.[5]
  • 궁예
  • 길로연: 아일랜드계 미국인으로,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귀화 외국인 1호이기도 하다. 미국인 시절 이름은 케네스 킬로렌(Kennenth Killoren). 예수회 수도사제로서 한국에 왔다. 서강대학교 초대 학장으로, 서강대를 설립하고 기반을 닦는 데 많은 공헌을 했다. 서강대 학생이던 조안 리[6]와 가까워져 4년간 절친한 은사-제자로 지내다가, 그녀가 졸업한 후 환속하고 결혼하여 두 딸을 낳았다. 조안 리의 저서 <스물셋의 사랑, 마흔아홉의 성공>에 아주 자세한 이야기가 나와 있다.
  • 김시습: 생육신의 한사람으로 승려가 되었다가 환속하여 결혼도 하고 고기를 먹었지만, 아내가 일찍 죽자 다시 출가.
  • 김연수: 봉사자이자 시인. '밥퍼 목사'로 유명한 최일도 목사의 아내. 본래는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 서울관구 소속의 수녀이자 계성여자중학교 국어교사였다. 개신교(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생이던 최일도의 끈질긴 구애에 결국 환속하여 최일도와 결혼하였다.
  • 김영준: 시민단체 문화재제자리찾기 대표로 법명은 혜문(慧門)으로, 조계종 봉선사와 시민단체 활동을 하다 흥국사 탱화 논란과 에이칸도 부처상을 관람한 계기로 2015년 환속하고 가정을 꾸렸다.
  • 마르틴 루터: 본래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소속 수사신부였다.
  • 마리아 폰 트랩: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의 모티브가 된 인물. 본래 수녀원에 있었으나[7], 원장 수녀의 지시로 트랩 일가의 엄마 잃은 7남매를 돌보는 가정교사가 되었고, 이후 수녀원에서 퇴회하여 트랩 대령의 새 아내이자 7남매의 엄마가 되었다.
  • 백남기: 가르멜 수도회수사였다.
  • 사이토 도산
  • 서영남: 인간극장에 소개된 바 있는 인천 소재 민들레국수집 대표. 본래 한국순교복자수도회 수사였다.
  • 신돈: 본래는 승려였으나, 공민왕의 개혁정책을 시행하면서 환속하여 관료가 되었다.
  • 시메온 1세: 불가리아에서 최초로 기독교를 받아들인 [8] 보리스 1세의 3남으로, 첫째 형인 블라디미르에게 왕위가 돌아갈 예정이었기에, 성직자가 되어 주교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블라디미르가 보리스에게 양위받은 이후, 반기독교 정책을 펴며 이전의 이교도 국가로 복귀하려는 정책을 펴자, 보리스는 쿠데타를 일으켜 블라디미르를 폐위시키고 눈을 뽑아버린(...) 후, 시메온을 환속시켜서 칸으로 옹립했다. 이후 시메온은 세계 역사상 최초로 차르 칭호를 사용하고, 불가리아의 전성기를 이끌어, 불가리아의 군주 가운데 유일하게 대제 칭호를 받은 인물이 되었다.
  • 아시카가 요시노리: 원래는 승려였지만, 다이묘들의 회의에서 차기 쇼군으로 추대되어 즉위하면서 환속하게 되었다. 그러나, 환속한 이후에 다이묘들의 권력을 견제하려고 나섰다가, 대낮에 자객의 손에 암살되었다.
  • 알브레히트 1세(프로이센 공국): 독일 기사단국의 마지막 기사단장이자 프로이센 공국의 초대 공작. 성직자들의 결혼이 가능한 개신교(루터교회)로 개종함에 따라 자동으로 환속한 케이스다.
  • 에이코인: 본래 비구니였으나, 환속당하여 도쿠가와 이에미츠의 측실이 되었다.
  • 엔히크(포르투갈): 포르투갈 아비스 왕조의 왕으로 본래 추기경이었으나, 조카인 세바스티앙 왕이 모로코 원정에 나섰다가 전사하여 후손을 남기지 못하자, 환속하여 왕으로 즉위했다. 그러나 그 역시 후손이 없는 것은 마찬가지였기에, 그가 죽은 후 아비스 왕조는 단절되었고, 포르투갈 왕위는 스페인펠리페 2세에게 넘어가서, 포르투갈은 스페인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 웅산: 재즈 가수. 3년간 비구니 생활을 하다가 환속하였다. 웅산은 그녀의 예명인 동시에 법명이기도 하다.
  • 이마가와 요시모토
  • 이이: 모친인 신사임당이 사망한 후 금강산의 한 사찰로 들어갔다. 삭발까지 하였는지는 불명이나 의암(義庵)이라는 법명까지 받고 수행한 것으로 보아 가능성이 없지는 않다.[9] 그러나 우연히 유교경전을 읽고 다시 하산해서 본업인 성리학자로 돌아갔다.
  • 잔 데케르: 도미니코회 수녀였고, <도미니크>라는 노래로 유명해졌으나 환속했다.
  • 존 도미니크 크로산
  • 체사레 보르자: 역대 추기경 중 최초로 스스로 추기경직을 사임하고 환속한 케이스이다.
  • 측천무후: 본래 당나라 태종후궁이었다가, 태종이 죽자 태종의 다른 후궁들과 함께 감업사(感業寺)로 보내져 비구니가 되었다. 그러나 태종의 뒤를 이어 즉위한 고종은, 아버지의 후궁이었던 무씨를 환속시켜 궁으로 데려와서는 자신의 후궁으로 삼았다.
  • 최항
  • 카타리나 폰 보라: 수녀 출신으로, 환속하여 마르틴 루터와 혼인하였다.
  • 현종(고려): 이 케이스는 왕위를 이을 왕자가 아니면 에 보내는 고려 시대의 관습에 더 가깝다고 봐야 할 것이다. 게다가 현종은 천추태후의 견제로 인해 신혈사에 들어간 경우다.

3.2. 가상인물


  • 타카야마 케이트: 나는 친구가 적다의 캐릭터로 작중 내내 수녀와는 거리가 먼 행동을 했고[10] 하세가와 하야토에게 반한 후 코다카에게 '새엄마를 갖는 건 어떠냐'는 뉘앙스의 발언을 했고 11권에서 환속 후 알바를 하며 결혼했을 때를 위한 지식을 얻고 있다.(하야토와 이어져 하세가와 코바토, 하세가와 코다카의 새엄마가 되었는지는 나오지 않은 상태로 결말지었기에 모름)
  • 토도 노리미치(藤堂准至), 사사하라 유리아(笹原ユリア): 마리아님이 보고 계셔의 등장 인물. 토도 시마코의 부모. 노리미치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승려 수업을 받고 있었고, 유리아는 수녀원에서 수련 중이었으나, 서로 좋아하게 되어 환속하여 결혼하고는 시마코를 낳았다.

[1] 남자 수도자는 수사(修士), 여자 수도자는 수녀(修女).[2] 이 역시 불교 용어이나 다른 종교에 적용시키기도 한다.[3] 사실 종교인 역시 직업의 하나라는 점을 생각해 본다면 이는 매우 간단한 문제이다. 종교인이라는 직업을 자의로 그만두고 다른 직업을 가지고자 하는 일종의 전직이라고 생각하면 전혀 이상할 것이 없다.[4] 따라서 환속사제미사성사를 합법적으로 집전할 권한을 박탈당하지만, 일단 환속사제가 집전한 성사는 불법이지만 유효한 것이 된다. 세례성사와 마찬가지로 성품성사도 근본적으로는 그 자체가 취소될 수 없는 성질의 것이라고 보기 때문.[5] 메이지 유신 이전의 일본 황족들은 승려(대처승) 생활을 했지만, 유신 이후로는 승려 대신 군인이 되었다.[6] 본래 조안 리는 서울대학교를 지망했다. 그러나 성심여자중학교성심여자고등학교에서 6년간 그녀를 가르쳤던 중국인 교장 주매분 수녀는 가톨릭계 대학인 서강대학교를 추천했다. 주 수녀는 조안 리를 데리고 자신과 친분이 있던 길로연 신부에게 찾아가 잘 돌봐달라고 부탁했고, 이후 두 사람은 사랑하게 된다.[7] 아직 정식 수도자는 되지 못하고, 지원자 정도.[8] 지금의 불가리아슬라브계 국가가 되었지만, 본래 불가리아를 세운 불가르족은 투르크계 유목민으로서, 불가리아의 군주들은 유목 사회의 전통에 따라 칸을 칭했다.[9] 이걸 밝혀낸 이가 사학자 이병도. 당시 조선의 세태를 생각하면, 삭발하고 승복을 입은 것은 아니었을 거고 평신도인 거사였을 확률이 높다.[10] 하세가와 코다카에게 고백한다던지.. 코다카의 아버지인 하야토에 반한다던지..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