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신론적 진화론

 

'''有神論的進化論, Theistic Evolution'''
1. 개요
2. 다른 바리에이션
2.1. 초자연적 창조 이후 자연적 진화?
2.2. 옴팔로스 가설
3. 반창조과학적 입장
4. 단순한 개인적 고민인가?
5. 현황
5.1. 한국의 유신론적 진화론
5.1.1. 역사
5.1.2. 한국에서의 현황
6. 오해
6.1. 근본주의적 개신교인들의 오해
6.1.1. 창조과학이 원류?
6.1.3. 완전 축자영감설 ?
7. 유신론적 진화론에 대한 비판
7.1. 무신론적 관점
7.2. 그리스도교적 관점
7.3. 과학적 관점
7.4. 유신론적 진화론 측의 반론
8. 관련 인물
8.1. 과학자들
8.2. 신학자들
8.3. 그 외
9. 관련 문서


1. 개요



'''2014년 영화 노아에 나오는 천지장조 장면.'''
유신 진화론이라고도 한다.
이름만 보고 오해하기 쉽지만, 유신론적 진화론은 특정한 종교/과학 사상을 바라보는 과학적 관점이 아니라 진화론을 바라보는 신학적/종교적 관점이다.
진화론이 과학적 사실임을 인정함과 동시에 유신론적 관점을 유지하려는 창조론의 한 종류이며 신학의 흐름 중 하나.[1]
주로 기독교에서 다뤄지는 경우가 많으며, 유대교이슬람에서도 간혹 토론이 되기도 한다. 이들 아브라함 계열 종교가 아닌 종교에서는 종교와 과학 사이의 관계에 대해 아직 깊은 논의는 부족한 상황이다. 근래에 들어서면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주장으로서, 과학으로 신의 존재를 증명하겠다는 발상과는 엄연히 다르며, 진화론과 종교가 서로 충돌하지 않으며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다는 '''신학적 관점'''이다.
여기서 '공존'을 '양립'이라고 표현할 경우 상호분리론 이라 불리며, 무신론 진영에서는 호교론(護敎論)적 관점이라고 평가되기도 한다.[2] 한편 여기서 '공존'을 '조화'라는 단어로 표현할 경우에는 과학과 종교가 근본적으로는 서로 같다는 동역적 관점을 표방함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종교와 과학이 모두 미지의 영역을 알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뜻이다. 다만 비판적인 사람들에게는 과학의 입장이 고려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 지적받는다.
'''나무위키에 한하여 임의로 다시 새롭게 분류할 경우'''[3], 절대자의 창조를 인정하면서 그와 동시에 점진적 진화를 받아들이는 입장을 소위 '''진화적 창조론''' 내지는 창조적 진화론이라고 부를 수 있다. 반면 아예 종교의 창조교리에 대하여 문자적 해석을 지양하는 방향에서 '진화 메커니즘 역시 절대자의 섭리 중 하나' 라는 관점을 취하는 입장은 가장 정통적인 유신론적 진화론이라 할 수 있다.
초기에는 단순히 생물학적 주제에만 국한된 논의를 하였으나, 점차 현대과학이 발전함과 함께 그 논의는 과학의 발전이 종교를 소멸시킬 것이라는 비종교주의의 논리에 반대하는 방향으로 옮겨가게 되었다. 즉, '''과학을 익힌 이성적인 현대인에게 종교 교리가 어떤 의미를 지니게 될지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 추세.
엄밀히 따지자면 유신론적 진화론이라는 말 자체가 틀렸다. 굳이 표현하자면 진화적 유신론, 진화창조론, 유신론적 진화주의 또는 유신론적 진화사상 등으로 불러야 한다. "유신진화론"이라고도 한다.[4] 호남신학대학교 신학자인 신재식 교수는 '유신론적 진화론'이라는 용어보다는 '진화론적 유신론'이라는 용어가 더 적합하다고 지적하였다. 진화론에 유신론을 갖다 붙인 게 아니라 '''신이 있다는 주장을 그대로 유지하며''' 진화론을 갖다 붙인 것이기 때문. 실제로도 진화론적 유신론 또는 진화론적 창조론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하며 이를 표방하는 사람들도 많다. 국제적으로 이 분야에서는 캘빈 컬리지의 하워드 밴 틸 천문학 교수가 유명한데, 이 사람은 '''"신의 능력으로 충만한 창조론"'''(진화를 '신의 능력'으로 간주하여 표현한 것)이라는 표현을 쓸 것을 제안하고 있다.
유심론적 진화론과는 다르다.[5]
국내에 소개된 관련 도서들로서, 《신의 언어》, 《다윈주의자가 기독교인이 될 수 있는가》, 《신과 진화에 관한 101가지 질문》, 《쿼크, 카오스, 그리고 기독교》, 《무신론 기자, 크리스천 과학자에게 따지다》, 《종교 전쟁》, 《진화는 어떻게 내 생각을 바꾸었나》 등이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창조론과 진화론이 대립되지 않는다' '하느님께서 인간을 창조하셨고, 인간이 진화하며 사명을 완수하도록 하셨다' '진화 역시 하느님이 예상하신 일' 이라고 하면서 유신론적 진화론을 공인했다. 천주교는 진화론을 인정하는 셈이다. 반면 일부 개신교 측은 진화론 자체를 부정한다.

2. 다른 바리에이션


'진화 메커니즘 역시 절대자의 섭리 중 하나'라는 골자는 유지하되, 대진화를 받아들이느냐, 혹은 성경상의 지구 나이를 믿느냐 따라 다음과 같은 바리에이션도 존재한다.

2.1. 초자연적 창조 이후 자연적 진화?


성경의 내용에 어설프게 진화론을 도입한 주장이다. 본문에서 다루는 유신론적 진화론과는 어느 정도 공통점은 있지만, 종교와 과학에서 어디에 더 비중을 두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비록 곳곳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긴 하지만, 진화적 창조론을 표방하는 사람들도 굉장히 많기 때문에 그 영향력이 없다고 보기는 어렵다.
진화적 창조론자들은 6천년 전에 초자연적인 창조가 있었고 그 이후로 현대 진화론이 밝혀낸 사실들에 위배되지 않는 자연적 진화가 이루어져 왔다고 본다. 특히 여기서는 성경의 구절 중 "그 종류대로" 라는 부분에 집중하고 있다. 소진화는 인정해도 대진화는 인정 못하겠다는 얘기.
유신론적 진화론은 이 주장과 구분되지만, 적어도 이 둘은 "신이 진화라는 섭리를 통해서 현재 세상을 창조하였다" 는 점에 대해서는 동의한다. 그래서 유신론적 진화론과 이 주장이 근본적으로는 같은 의도에서 출발한게 아니냐는 비판에서 벗어날 수 없다. 물론 앞서 언급했다시피 이 분류법은 나무위키 자체의 분류법이다.

2.2. 옴팔로스 가설


창조설의 한 분파인 옴팔로스 가설(Omphalos hypothesis)[6] 내지는 성숙 창조론에 따르면 세상은 A급의 브랜드 - 뉴 상태로 창조된 것이 아니라, 나름의 역사를 지니고 오래된 상태로 창조되었다고 한다. 즉, 창조 당시부터 그랜드 캐니언이 있었고, 광자들이 우주 공간을 가로지르고 있었으며, 전세계 어디에서든 지층과 공룡 화석이 존재했고, 이미 지구의 나이는 45억 살인 상태였다는 이야기. 물론 이 모든 주장들은 전혀 반증이 불가능하다. 그렇게 창조하려면 충분히 할 수야 있겠지만 다른건 몰라도 고생물 화석을 뭐하러 만들었겠는가? 물론 일부러 인간을 속이기 위해 굳이 박아놓은 것들이라고 주장해도 이를 물리칠 수는 없겠지만, 여기서부터는 이미 창조설에서 말하는 신의 모습과 어긋나기 시작한다.
이와 관련하여 극단적으로 을 풀자면,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 그리고 그 세계에 대한 모든 개인적 경험과 과학적 지식들이 사실 그렇게 보이게 한것일 뿐 바로 얼마 전에 갑자기 나타난 게 아니냐는 철학적 소급도 가능하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지난 주 목요일 가설(Last Thursday hypothesis)이라고도 한다. 반증도 입증도 불가능한 특성이 위의 옴팔로스 가설보다 더 잘 드러나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버트런드 러셀은 《The Analysis of Mind》 에서 철학적 회의주의를 소개할 때 더더욱 극단적인 사례인 5분 가설(Five-Minute hypothesis)로 설명하기도 했다.[7]

3. 반창조과학적 입장


앞서 줄곧 소개한 것처럼 유신론적 진화론은 기본적으로 창조설 내지 창조과학, 지적설계 운동에 대하여 매우 비판적이다. 다른 무신론적 배경의 진화론자들과는 달리, 그들에게는 과학적이고 합당한 이유 외에도 그들의 신앙적 신념과 양심에 관련된 동기가 존재한다. 쉽게 말해 '''그들이 믿는 신은 그런 신이 아니기 때문'''이다.
흔히 사람들은 "박쥐처럼 이쪽 저쪽 양다리 걸치고 모두를 만족시키려고 한다"는 식의 비판을 하며, 특히 창조론자들은 "하느님과 세상을 겸하여 섬길 수 없다" 식으로 주장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그러나 유신론적 진화론자들 역시 이러한 행태에 반대한다. 그들은 하느님과 세상을 겸하여 섬길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창조론의 유사과학성을 끊임없이 고발하며, 동일한 판단에 따라 과학에 입각한 무신론자들의 종용에도 신앙을 버리지 않고자 한다. '''즉, 같은 신앙적 동기에 의해서 한쪽은 창조론, 한쪽은 유신론적 진화론을 받아들이는 상황이라는 것.'''
이 맥락에서 유신론적 진화론의 한계가 드러나지 않았느냐고 하는 의견도 있다. '''교리적으로는''' 유신론적 진화론이 근본주의적 관점보다 옳다고 '''확신할 수 없다'''는 점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 '우리 쪽 의견이 진짜 신의 뜻'이라고 말한다는 것인데, 근본주의자들도 똑같은 이야기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어느 쪽도 '신의 뜻'이 무엇인지 확실하게 확증할 수 없으니, 끝없이 서로 자기들 의견이 옳다고 대립할 수 밖에 없는 것. 그리고 여기서 유신론적 진화론을 채택하는 것은 결국 신학이 과학에게 의존해야만 발전 가능하다는 식의 암시를 함의할 수도 있다.[8]
이것은 신학계에서 따로 논의할 만한 흥미로운 떡밥인데, 적어도 유신론적 진화론을 상당히 좁게 이해한다면 이야기는 달라질 수 있다. 즉, 성경에 등장하는 창조 이야기를 현대 진화론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주장한다면, 문자적 창조론에 비해 신학적으로 우월한 학설이라는 인식을 얻기가 어렵지만, 유신론적 진화론을 소극적으로 해석해서 "적어도 진화론은 성경의 내용과 모순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문자적 창조론에 의해 거부될 수 없다" 라는 결론만을 이끌어낸다고 하면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사라질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소극적으로 주장하는 건 현실적으로 별 의미가 없으니 문제.(…)[9]

4. 단순한 개인적 고민인가?


한편으론 유신론적 진화론을 단지 개인적 고민해소 차원으로 보는 이들도 있다. 이들의 관점에선 신앙과 종교의 "문제"라는 것은 근본적으로 '''신앙과 종교라는 것을 가지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라는 것. 예를 들어,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난 동성애자의 경우 본인의 교리와 정체성 사이에 괴리감을 느끼고 "문제 의식"을 갖게 될 것이다. 물론 이 사람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은 할 것이다.[10] 그러나 이 진지한 고민은 종교를 갖지 않은 사람에게는, 또는 다른 종교를 갖고 있는 사람에게는 그저 "불필요한 행동"에 지나지 않는다. 더불어 종교의 교리가 현대 사회의 도덕과 규율에 불합치하는 경우도 많아졌기 때문에 이러한 고민이 특별한 것도 아니라고 말한다. 결국 유신론적 진화론을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이는 종교에서 말하는 진리에의 탐구가 아니라 개인적인 고민 해소의 차원으로 넘어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입장은 좀 과격하게 한마디로 말하면 '''그까짓 신앙 버리면 될 것이지'''라는 것 밖에 안된다.[11] 기독교의 역사 안에서 신학은 '''시대의 질문(혹은 도전)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씨름했다고 본다면 유신론적 진화론은 나름대로 시대적 상황에서 적응하고자 하는 고민이다. 물론 다른 종교나 무신론에 입장에선 불필요하겠지만 역으로 생각하면 '''그럼 기독교에서 유신론적 진화론을 고민 안 해야 될 이유는 뭔데?'''라는 의문도 생겨날 수 있다.[12] 또한 기독교 역사를 보면 다른 학문의 개념과 이론을 수용해서 신에 대한 개념이나 종교성을 더 풍부하게 만들기도 했다.

5. 현황


미국의 경우 2014년 조사 결과 유신론적 진화론을 지지하는 비율이 일반인은 24%, 현역 과학자는 7% 정도로 나와서 아직 갈길이 먼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과학자들 중 종류대로 창조됨을 지지하는 비율인 1%에 비해서는 꽤 높으므로, 신앙이 있는 과학자들 중 대다수는 이쪽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5.1. 한국의 유신론적 진화론



5.1.1. 역사


우선, '''의외로 역사가 깊다'''. 일제강점기 무렵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평양의 평양신학교에서 강의하던 선교사 어드먼(W.C.Erdman; 어도만)과 레이놀즈(W.D.Raynolds; 이눌서)가 그 대표적인 사례다. 이 중 어드먼이 평양신학교 신학논문집 《신학지남》에서 유신론적 진화론을 소개한 것이 무려 '''1920년'''의 일. 어드먼은 북장로교 출신 선교사로서 구약신학을 공부했고, 과학과 종교의 관계에 깊은 관심을 가진 인물이었다.
한편 당시 대표적인 신학 권위자 였던 박형룡 역시 초기에는 유신론적 진화론에 상당히 호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어차피 위에서 보았듯이 '''그쪽 학파에서조차''' 워필드, 메이천 등이 '''성경의 계시와 과학의 발견이 조화될 수 있음'''을 인정하고 못박아 놓은 상황이었기 때문.
문제는... 대표적인 창조론자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인물인 맥레디 프라이스의 저작물들[13]을 접하면서, 이 양반이 '''점차 반진화론 입장으로 기울어졌다'''는 거다. 뭐 박형룡이 생물학을 공부하지 않은 입장임을 감안하면 이해도 된다만, 현대 한국 개신교가 박형룡의 영향을 매우 크게 받았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프라이스가 없었더라면 어쩌면 한국창조과학회도, 교진추도 없었을 것이고 교과서 진화론 삭제사건 같은 것도 없었을지도 모른다는 아쉬움이 남는 대목.
그 이후 한국창조과학회가 창설되고 내부적으로 교통정리가 이루어지자, 한국의 유신론적 진화론은 '''씨가 말랐다'''. 심지어는 "처절한 영적전쟁을 치르는 말세의 교회에 양의 탈을 쓴 이리가 들어왔다", "세상과 타협한 유신진화론의 유혹에 빠져서는 안 된다" 는 등의 비난을 받았다. 격렬한 논쟁 같은 것도 의외로 거의 없었다. '''아예 가능성 자체가 타진되지 못해서 사람들이 생각을 못 했을 뿐'''.
정리하면, 사실 우리나라에는 '''유신론적 진화론이 일찍부터 들어왔다'''는 것. 보다 자세한 정보를 원한다면 이 링크의 여러 포스트들을 참고하면 될 듯하다. 위쪽의 과학자들 단락에도 소개되어 있는 우종학 교수의 블로그이다.

5.1.2. 한국에서의 현황


그러나 '''유신론적 진화론의 존재 자체를 모르는 이들이 훨씬 많다'''는 게 문제다. 위의 논의들은 대부분 신학계라는 테두리 안에서만 벌어지고 있으며 대학이나 학계의 문턱 이상을 넘지 못하고 있다.
이런 경향은 유신론적 진화론에만 해당되는 문제는 아니고 현대 신학이 안고 있는 대부분의 딜레마다. 당연하다면 당연한 것이, 애초에 평신도들이 복잡하고 현학적인 신학문제에 대해 많은 시간을 들여 배우고 익히길 기대하는 것이 이상한 일이다. 실제로 평신도들에게 현대 신학의 연구들을 조금만 읊어주어도 큰 충격을 받거나 엄청난 반발을 받을게 뻔해서 목사들이 입을 봉하고 있다는 건 공공연한 비밀이다.
그들이 단지 입을 봉하고 있기만 하다면 크게 비난할 것까지는 없을 수도 있다. 사람이 꺼내기 난감한 주제를 회피하는 것이야 자연스러운 현상이고 이를 이해할 만한 맥락과 사정은 있다. 그러나 창조과학 단체와 협력해서 창조과학이 진실이라며 유신론적 진화론은 타락한 자유주의 신학이라며 매도하는 등 신자들을 속이는 추태를 벌이는 것이 대한민국의 개신교 목사들이며 이는 대형 개신교 교회에서도 종종 벌어지고 있는 일이다.
게다가 일반인들조차도 거의 유신론적 진화론이란 걸 모르고 있다. 기독교인이면서 진화론을 안다고 하면 거의 일반인들이 이단으로 취급하는 게 현실이다. 유신론적 진화론이 크게 주목받지 못하는 이유는 한국 개신교 자체의 문제 때문이기도 하지만, 교회 외부에도 그 원인은 분명히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탓에 창조과학이 대중 신자들에게 활발히 홍보되면서, 유신론적 진화론은 과학과 타협한 이론 정도로 폄하되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그러나 창조과학 역시 창조론을 자연과학으로 설명하고자 한다는 차원에서 창조론과 자연과학이 타협되고 혼합된 것이라는 측면을 생각해 보면 이러한 폄하는 사실 자기모순적이다. 창조과학을 진화론(자연과학적인)에 반대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창조과학을 무작정 옹호하는 현상이 생겨나고 있는 듯도 하다. 그러나 사실 진화론의 반대는 창조론이지 창조과학이 아니다. 또한 진화론은 일반적으로 무신론적 진화론이므로, 이 견지에서 보면 유신론적 진화론이 진화론의 반대라고 할 수 있다.
센세이셔널한 것에만 주목하는 세상의 경향상 리처드 도킨스 같은 인물들이 주도하는 무신론적 움직임과 근본주의 개신교의 충돌에만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된다는 점도 참 안습한 일이다. 나름대로 유신론적 진화론의 등장은 '''고도로 과학이 발전한 현대사회에서 어떻게 신앙과 종교의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진지한 고민에서 출발했지만 그걸 알아주는 사람들이 거의 없는 게 현실이다.
물론 지나치게 절망적으로만 보지 않을 부분도 있다. 기독교 신학과 과학의 접촉은 진화론에 대해서만 이뤄지는 건 아니며, 신학계를 지나치게 축소시켜 말하는 것 또한 경계되어야 한다. 우주이론과 신경과학 같은 분야에서는 아직까지 큰 충돌이 없는 편이고, 무신론과 유신론 사이의 토론, 논쟁도 얌전한 편이다.

6. 오해



6.1. 근본주의적 개신교인들의 오해


이하의 내용들은 오해라기보다는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경계감으로 인해 형성된 선입견이라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할 것으로 보인다.

6.1.1. 창조과학이 원류?


쉽게 말해 '''오직 창세기를 문자주의적으로 해석하는 교파만이 정통 교단'''이라는 이야기.[14] 여기서 더 나아가면 "진화론을 받아들이고 창조론설을 거부하는 사람은 현대주의자고, 사후 지옥 불구덩이에 떨어진다" 라는 이상한 결론이 나온다. 다만 과거에는 실제로 문자주의적인 관점이 지금보다 더 주류이기도 했고, 현재에도 신학계를 벗어나서 현실을 보면 이쪽 관점을 받아들이는 교파들이 상당히 많기는 하다.
교회에 한 번이라도 가 본 사람은 알겠지만, 우선 지옥에 가는 사람들이라 하면 예수를 그리스도로 영접하지 않은 사람들이지 특정 과학이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아니다.[15] 논란이 많은 예수천국 불신지옥에서 예수천국만큼은 기성 교단의 그 누구도 부정하지 않는걸 생각하면 오히려 이러한 주장이 이단적인 주장이라 볼 수도 있다. 그런데 실제로 그렇게 주장한 사람들이 있었다. 미국의 어떤 창조론 지지단체에서 만든 과학 교과서에 정말로 그런 글귀가 인쇄되어 있었던 것. 창조론 생물학 교과서의 비열한 협박

6.1.2. 성경무오무류설?


쉽게 말해 '''유신론적 진화론을 인정한다는 것은 곧 성경의 유오를 인정하는 것'''이라는 얘기.
그런데 사실 이것도 논란이 되는 것인데, 자유주의 신학을 중심으로 실제로 이와 같은 주장이 많이 있어 왔기 때문이다. 그들의 경우 제한적 무오설과 같은 주장들을 통해서 과학적, 역사적 사실과 관련된 성경의 내용들에 한해서는 유오하다는 의견을 피력한다. 결국 성경은 부분적으로 여기저기 흠결이 많기 때문에 읽는 사람의 합리적 판단에 따라서 걸러 가며 받아들여야 한다는 거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유신론적 진화론이 제한적 무오설의 전매특허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특히 1977 년 시카고 성경무오 성명서의 제12조에서는 "과학적 진술들이 성경의 무오함을 전복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부인한다"라고 아예 못박아 놓았다. 여기서 더 나아가 제13조에서는 자연 만물을 보이는 그대로 고대인의 시각에서 서술했다는 것이 성경의 무오함을 훼손하지 않는다고 밝혀 두었다.[16]
즉, 성격이 기록된 역사적, 사회적 배경을 헤아리고 성경을 해석한다는 전제 하에 성경에 오류가 없다는 이야기다. 뒤집어서 말하자면, 그런 배경들을 전제하지 않고 '현대인의 관점'에서 해석한다면 오류가 있다는 의미다. http://blog.naver.com/kjbgod68/20204343988 자세한 사항은 이곳 참조.

6.1.3. 완전 축자영감설 ?


쉽게 말해 '''유신론적 진화론은 성경의 완전한 영감을 부인하는 주장'''이라는 얘기.
그러나 창세기는 오늘날 21 세기를 살아가는 개신교인들에게도, 오늘날의 교회 공동체에도 '신의 음성을 정확히 전달'하고 있다는 것이 바로 유신론적 진화론이다. 유신론적 진화론은 성경의 완전 축자적인 권위를 부정하지 않는다. 그들이 부정하는 것은 창세기에 대한 독단적인 해석 요구이다. 그들은 오히려 성경을 그런 방식으로 거칠게 해석하는 것이 그것의 권위를 손상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이 생각하는 성경이라는 것은 창조설자들이 성경에 대해 생각하는 것만큼이나 고결하고 가치로우며 높은 권위를 지닌 신의 말씀 그 자체이다. 유신론적 진화론자들은 창세기를 과학으로 편입시키려는 모든 시도들에 대해서 '신의 언어'를 인간의 설명으로 어설프게 왜곡시키는 행태라고 생각한다.
물론 이 점은 반박받을 수 있는 것이, 유신론적 진화론자들 자신도 성경을 '''인간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으면서 정작 그 '''인간의 해석'''에는 근본주의자들과 똑같이 '''신의 권위'''를 부여하고 있는 모순적인 태도를 보이기 때문이다.
에드워드 영 같은 신학자들은 "성경이 과학 교과서는 아니지만, 성경이 과학적 사실을 말할 때 우리는 그것을 믿어야 한다."고 말하곤 한다. 그러나 그 전에 인간이 성경의 텍스트 속에서 과학적 사실과 그렇지 않은 다른 비유적 표현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을 갖고 있는지 살펴볼 일이다. 유신론적 진화론은 "바로 이 구절이야말로 진정한 과학적 사실입니다 !" 라고 외치는 목소리에 반대하는 신학적 노선이다. 다시 말해 성경 속의 과학적 사실들을 '''과학자들'''이 밝혀낼 때까지 기다리 자는 주장.

7. 유신론적 진화론에 대한 비판



7.1. 무신론적 관점


가장 큰 문제는 유신론적 진화론은 신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데, 신이 있다는 사실은 입증되지 않았다. 즉, 신이 있다는 사실을 먼저 입증해야 한다는 이야기. 또한 신의 존재를 그렇게까지 애써가며 굳이 가정해야할 이유가 있는가 하는 점도 주요 비판점이다.
첫째로 노벨상을 수상한 물리학자 스티븐 와인버그(S.Weinberg)는 신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에 대하여 "요정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닌 수준" 이라고 평가했으며, 또 다른 무신론자인 프랜시스 크루스(F.Crews)는 유신론적 진화론자들을 두고 "이들에게 가장 시급한 문제는 어떻게 하면 신의 자리를 마련해 주는가이다"라고 비판한 적이 있다. 둘째로는 "과학으로써 신의 존재를 입증하려는 시도"를 스스로 포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철학적 논의들과 같이 실제 존재한다는 식으로 주장하기 어려워 진다는 비판이다.
이것을 비판하려면 종교 자체를 따지고 들어야 한다고 하는데, 이거 비판하는 사람들 중엔 종교 자체, 좀 더 정확히는 유신론 자체를 문제 삼는 사람도 있다. 또한 이런식의 합리화는 다른 국가나 민족들에 대한 창세신화 역시 동일한 수준에서 취급할 수 있다는 정당성이 부여된다는 문제도 있다. 다른 종교 역시 기독교와 마찬가지로 스스로의 창조교리를 사실이라고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간혹 유신론적 진화론이 틈새의 신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반박하는 사람도 있다. 신이 자연적인 과정을 통해 개입해선 안된다는 법이 있는 것도 아니니 딱히 신의 자리를 만들 필요가 없다는 것이 유신론적 진화론이라는 이야긴데, 사실 앞뒤가 안맞는 이야기다. 굳이 신의 자리를 만들 필요가 없다면 유신론적 진화론을 주장할 필요도 없기 때문이다. 진화론에 굳이 필요도 없는 신의 개입을 얹으려는 것이 바로 전형적인 틈새의 신 논리이기 때문이다.
또한 스스로 절대적인 진리를 자처하는 종교에서 과학의 발전에 발맞춰 주장이 바뀌는 것 또한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신의 행동이 변하는 게 아니라 인간의 철학적 해석이 바뀌었을 뿐이며, 이는 모든 학문에서 공통된 내용이라는 반론도 나온다. 그러나 이 반론에는 헛점이 많을 수 밖에 없다. 첫째로 종교는 일반적인 학문과는 크나큰 차이가 있으니, 학문에서는 근거와 증명을 통해 주장을 하지만[17] 종교에서는 증명할 수 없는 것을 믿으라고 말하기 때문이다. 즉 학문에서 후대에 새로운 사실이 발견되면 내용이 변경되는 것이 당연한 이유는, 애초에 자신들의 주장이 절대적인 사실이라고 말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에 종교에서 실질적으로 믿음의 대상이 되는 교리가 인간의 철학적 해석일 뿐이라면, 과연 그것을 적절한 근거나 증명없이 믿으라는게 말이 되겠는가? 만약 유신론적 진화론측에서 인간의 해석이 바뀌는 것이 당연하다 여긴다면, 애초에 교리에 대한 믿음 역시 그렇게 신앙의 영역이 되어선 안된다는 것이다. 믿으라고 할 때는 신의 뜻이라면서, 곤란할 때는 사실그건 인간의 해석이라고 한발 물러선다면, 과연 얼마나 설득력이 있겠는가 말이다. 다시 말해 특정 교리가 인간의 해석일 뿐이라면, 신이 존재한다는 등의 가장 중요한 교리조차 인간들의 해석에 불과하다고 보지 않을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7.2. 그리스도교적 관점


가장 강력한 비판 중 하나로서, 개신교 조직신학자 벌코프가 제기한 문제가 있다. 즉 '''진화론과 기독교 교리 중의 원죄론이 서로 조화되지 않는다'''는 것. 이런 입장은 영국의 설교자 마틴 로이드 존스 목사가 자신의 저서(권위)와 교리강론(이 강론 시리즈는 구조상 벌코프의 조직신학을 많이 참고 했음이 드러난다)을 통해서 널리 보급되었다. 진화론에 의하면 인간은 어느 날 갑자기 하늘에서 뚝 떨어진 종이 아니다. 호미니드는 매우 점진적으로 조금씩 진화해 왔으며, 이 진화의 흐름에서 "과연 어디서부터 인간이라고 해야 하는지"를 규정하는 것은 매우 난해한 문제가 될 수밖에 없다. 특히 아담하와의 정체를 밝히는 것 역시 매우 어렵고, 벌코프가 지적했듯이 인간의 타고난 죄성이 과연 이 진화의 흐름 속에서 언제 생겼는지에 대한 그럴싸한 신학적 설명이 없다. 이에 대해서는 아담과 하와는 신이 선택한 최초의 신앙인이어서 최초의 인류로 묘사한 것이고, 아담과 하와 이전에도 원시인류가 있었으나 신과 상관없는 짐승과 같은 존재라고 해석하는 의견도 있다. 일부 신자들이 개인적으로 추측하는 것에 가깝다.[18] 그리고 비종교적인 입장에서는 진화론적인 전제하에서 인간이 유인원에서 진화하여 어느 시대에 이제부터는 인간이다 라고 정의할 수 있다면(그 시점이 언제인지의 문제 자체는 또 다른 문제로써 괄호를 치고 넘어가더라도) 최초의 인간은 아마도 아담과 하와의 이야기에서 비롯된 서양 사상이 전제하는 개인이라기 보다는 공동체적인 존재에 더 가까울 것이고 아담과 하와의 이야기는 그러한 복잡하게 조직화되기 시작한 사회가 타락하기 시작한 모습을 상징한다고 이해할 수도 있다.
특히 유신론적 진화론을 수용하는 사람들 중에 이신론에 경도된 사람들이 많다는 것 또한 지적받을 만한 부분이다.[19] 신이 진화라는 메커니즘을 통해 세상을 창조해 유지하고 있다는 발상이 이신론과도 묘하게 연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렇게 혼자 팔짱이나 끼고 관전하는 신을 우리가 왜 경배해야 하는가"라는 추가적인 의문이 따라오게 된다. 이 점에 대해 신재식 교수는 "창조 섭리 중 하나인 지속적 창조라는 개념이 바로 진화 메커니즘"이라는 방식으로 부연한다. 즉, 창조라는 사건을 현재진행형의 사건으로 이해하자는 것. 반면에 오히려 '''창조과학을 주장하는자들이 이신론자'''라는 반박도 있으며,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을 수용한 과정신학적인 입장에서는 오히려 범재신론적인 입장을 취하면 자연스럽게 해결된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즉 전통적인 기독교 입장에서의 인간 및 피조세계와 구별되는 초월적인 존재로서의 신이나 한번 창조해놓고 내비두는 이신론적인 신과는 다르게 '''세계 안에 뛰어들어서 세계와 함께하는'''신이라면 문제는 달라진다는 것. 다만 이 경우엔 전지전능이나 악의 문제를 변명하기가 힘들어진다. 이에 대해선 해당 항목을 참고할 것.
마지막으로 이런 식으로 신학적 견해가 수정되면서 일어나는 신자들의 반발이다. 즉 대대로 있던 교부, 성직자, 신학자들의 해석과는 너무나 많이 달라진 것을 신자들이 받아들이기가 힘들다는 것. 물론 과학에 대해서 그리스도교가 본질적으로 적대적인 입장인 것은 아니다. 그리스도교는 전통적으로 자연에 대한 이해는 창조주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된다고 여기는 경향이 강하며, 그렇기에 중세 때 가톨릭 교회는 자연철학(후대의 과학)의 가장 큰 스폰서 집단이었고[20][21] 개신교에서도 마이클 패러데이 등의 과학자들을 배출했다. 또한 가톨릭은 아예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사목헌장 36에서 "모든 분야의 방법론적 탐구가 참으로 과학적인 방법으로 도덕 규범에 따라 이루어진다면 결코 신앙과 참으로 대립할 수 없을 것이다.", "많은 사람이 신앙과 과학을 서로 배치되는 것으로 여기도록 만들었던 정신 자세를 개탄하지 않을 수 없다."고 선언하기까지 하였다.[22] 그리고 애초에 무엇보다도, 가톨릭은 교리적 차원에서 진화론에 반대한 적이 없고 다만 개개인이 진화론을 비판한 과거가 있을 뿐이다. 이는 개신교의 많은 종파들도 해당한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원칙적 차원의 이야기이다. 대부분의 신자들은 '사목자 혹은 신학자의 가르침'과 '교리'를 구분하지 않으며, 더욱이 많은 사목자들은 오랜 시간동안 진화론에 강한 거부감을 보여왔다. 따라서 일반 신자의 입장에서는 '지적설계'와 '유신론적 진화론'은 대격변급의 상전벽해가 아닐 수 없다. 그나마 전체 그리스도교의 최대 종파인 가톨릭이 '진화는 창조와 모순되지는 않는다'고 인증함으로서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하지만 동시에 가톨릭 평신도, 성직자, 수도자 중에서 진화론에 비판적인 사람을 지금 이 순간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는 점도 잊어서는 안된다. 더군다나 적지 않은 사목자들이 여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보다는, 그냥 간단하게 언급하고 넘어가는 문제점도 있고. 물론 사목자 입장에서도 좀 난감한게, 진화론이 신앙이랑 모순이 없다는 관점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성경의 알레고리적 해석에 대하여 말하는 등, 많은 (그것도 어려운) 설명이 따라붙는다. 이런 설명을 (미사 시간에 가장 많은 참석자 수를 차지하는) 할머니, 할아버지, 아줌마, 아저씨들을 모시고 한다고 생각해보라(...) 게다가 상세히 설명한다고 하더라도 그걸 신자가 받아들이는건 또 별개라서, 복잡하게 생각하느니 그냥 간단히 창조과학 비스무리하게 생각하고 끝내는 문제점도 있고. 이는 창조과학과 비교할 때 불리한 점이 되는데, 잘 모르는 일반 신자들 입장에선 과학으로 확실히 증명된(다고 믿는) 창조과학과 확실히 증명된 것도 없이 복잡한 이야기나 늘어놓는 (것처럼 보이는) 유신론적 진화론 사이에서 양자택일 하는 셈이니 말이다. 배경지식이 충분하지 못한 일반인 입장에선 창조과학을 지지하는 것이 더 합리적인 태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서술한 내용 외에도 여러 방향에서의 비판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난점들은 유신론적 진화론이 그리스도교계 내부에 정상적으로 안착되는 데 최대의 장애물이 되고 있다. 다만 성직자, 신학자, 그리고 평신도들이 과학적 연구결과를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이에 대하여 건설적인 토론을 시작한다면 이 문제도 언젠가는 해결될 수 있을지도 모르며, 확실한 점은 이것이 진화론에 대한 무조건적인 혐오를 보였던 과거와 비교할 때 매우 큰 진보라는 것이다. 또한 어느 정도 전통 신학적인 관점과는 서로 맞지 않는 부분들이 있어서 전통 신학에 대한 과감한 재해석이 필요한 측면도 있다.

7.3. 과학적 관점


위에서 말했듯이 과학은 철저하게 반증가능한(falsifiable) 것만을 그 대상으로 한다. 예를 들어 '태양이 지구를 돈다'는 주장(천동설)은 그 주장하는 바가 명백하므로, 그러한 주장으로는 설명이 불가능한 사례를 찾아낸다면 반증이 가능하다. 그리고 실제 그러한 반증을 통해 천동설은 무너졌다. 또한 '생물은 진화한다'는 주장 역시도 그 주장하는 바가 명백하므로 반증을 시도할 수 있다. 그리고 진화론은 이러한 반증시도들을 오늘날까지도 모조리 물리치고 있으므로 좋은 이론으로 평가된다. 즉 과학은 반증가능한 것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반면에 그리스도교 신학은 '반증할 수도, 반증할 방법도 없는 신'을 전제로 한다. 쉽게 말해서, 신학 자체가 반증이 불가능한 영역인데 과학은 반증 가능한 것만을 대상으로 하므로, 유신론적 진화론에 대해서 과학측이 지지를 한다거나 지원을 한다는 사태는 일어나기가 힘들다는 것이다. 괜히 현 과학계에서 불가지론이 대세인 게 아니다.

7.4. 유신론적 진화론 측의 반론


신의 자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야말로 틈새의 신에 해당한다. 신이 자연적인 과정을 통해서 이 세상에 개입해서는 안된다는 법이라도 있는가? 신은 자연적인 과정을 통해 개입할 수도 있고, 초자연적인 과정을 통해 개입할 수도 있다. 즉, 신이 진화 과정에 자연적 방식으로 개입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신의 자리를 만들 필요가 없다는 게 유신론적 진화론의 입장이다. 애초에 신이나 신의 개입이 과학으로 증명이나 반증을 할 수 있는 부분이었다면, 신학 이론이 아니라 과학 이론이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논리를 주장하는 세력이 바로 지적설계이다.
또한, 유신진화론이 과학 이론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철학적 해석을 세운 건 사실이다. 그래서 그들이 기반으로 과학 이론이 잘못된 것인가? 만약 지적설계처럼 잘못된 과학 이론 위에 성립된 신학 이론이라면 과학으로 반박할 수 있다. 그러나 유신진화론은 종교적 신념으로 과학 이론의 사실 유무를 재단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하는 신학 이론이다. 다시 말해서, 과학 이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라는 게 바로 유신진화론이다. 그런데, 유신진화론을 과학적으로 반증할 수 있다는 주장이 가능한가? 따라서 유신론적 진화론을 비판하는 건 철학 이론이 될 수 밖에 없다.
유신론적 진화론을 주장하는 사람들 중에서 인간 원리도 같이 지지하는 사람들이 많은 건 분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그게 유신론적 진화론이라는 신학 이론이 인류 원리와 같은 이론인 것을 증명하지는 않는다. 유신론적 진화론은 '신이 진화 과정을 통해 이 세상의 생물들을 창조할 수 있다'라는 신학 이론 그 이상 이하도 아니므로, 유신론적 진화론과 인류 원리는 어디까지나 별개의 이론이라는 걸 잊어서는 안된다.
즉, 유신론적 진화론자들은 이신론일 수도 있고, 유신론적인 관점을 취할 수도 있다. 신이 생물 스스로 진화할 수 있도록 자연법칙을 만들었다는 주장을 할 수도 있고, 신이 자연 법칙도 만들고 진화 과정에도 개입했지만 이걸 과학으로 증명이나 반증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입장이 유신론적 진화론이라는 신학 이론을 규정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인류 원리를 비판한다고 해서 유신진화론이 반증되는 것도 아니다.
또한, 신학 이론이 어디까지나 구세대적 과학 이론을 기반으로 삼으라는 법칙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물론, 지금까지 그래왔으니 앞으로도 그러해도 된다는 식의 논리는 잘못되었다. 그러나 그게 신학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시대에 뒤쳐진 이론을 폐기하거나 시대에 맞게 변경해서는 안된다는 주장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모든 학문은 시대에 맞게 이론을 변경하거나 폐기할 권리가 있다. 신학만 이 흐름에서 예외가 되어야 할 이유는 없다. 애초에 성경을 문자 그대로 역사적이거나 과학적인 사실로 받아들여서는 안된다는 견해는 현대에 갑자기 설정 뒤집기 식으로 생긴 견해도 아니며, 일찍이 오리게네스, 아우구스티노 등 수많은 교부들도 주장한 바이다.[23] 즉 다윈의 자연선택설은 교회의 역사에서 지극히 최근에 생긴 과학 이론인 것이 맞으나, 그러한 과학을 받아들이는 신학적인 해석법 즉 유신론적 진화론의 근거는 매우 전통적이며 정통적인 교회의 해석법이다. 따라서 창세기를 무슨 신문기사 마냥 해석하는 것이야말로 비전통이며 비정통이다.[24] 또한 '그러면 아담은 누구고, 하와는 누구임? 창세기는 어떤 의미를 가짐'이라는 질문이 있을 수 있는데, 창세기의 창조 에피소드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등에 대한 연구는 이미 2000년전부터 이미 수많은 성서학적 성과가 있다. 그런데 이 수많은 성서학적 성과 사이에서 '창세기를 문자 그대로 해석하는 관점' 단 1가지만 가져와서는, '이거랑 모순이 있네?'라고 하는 것은 매우 부당하기 짝이 없는 평가이다.[25]
그리고 유신론적 진화론자들은 학문의 발전에 따라 신의 행동이 변화한다고 주장한 적이 없다. 다만, 과거에 있었던 신의 행동에 대한 '자신들의' 철학적 해석이 시간에 따라 변화할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의 발전에 따라 신의 활동이 변했다'는 비판은 타당하지 않다.

8. 관련 인물


유신론적 진화론 또는 진화론적 창조론을 지지 또는 인정하는 잘 알려진 인물로는 다음과 같다.
  • 상기되었다시피 유신론적 진화론은 과학연구의 한 분야로서의 진화론을 해석하는 철학적/종교적 "해석"이므로, 토론 등에서 이 목록에 나온 특정 과학자들의 권위를 빌려서 주장을 뒷받침하려고 시도하는 것이 무의미하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과학자들도 일반인과 크게 다르지 않은 입장이므로, 어디까지나 주장이 얼마나 설득력 있는가 등을 봐야지 무조건 엉뚱한 권위로 밀어붙이려는 것은 논리적 오류이므로 조심할 것. 다만 이곳에 실릴 정도로 유명한 과학자들은 신중하게 상당히 많은 부분을 확인하고서야 공개적으로 말을 꺼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일반인들보다 조리있게 주장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은 참고해 둘 만하다.
  • 이 주장의 성격상 불가지론자 중에서의 비율보다는 유신론자들 중에서의 비율이 훨씬 높다. 물론 전자의 비율도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26] 그러나 어차피 둘 다 안습한 비율이기는 마찬가지.
  • 종교별로는 가톨릭에서 동역적 입장의 유신론적 진화론을 지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다. 가톨릭교회는 하느님이 생명체를 종류대로 따로따로 창조하신 것이 아니라, 처음에 하느님께서 단세포 생명체를 지구에 나타나게 하셨고 그것이 진화 법칙에 따라 다양한 생명체로 변하고 갈라지는 과정에 관여하고 지도하셨다고 가르친다. 성경, 특히 창세기 1-2장은 과학책도 역사책도 아니기에 문자 그대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 정교회의 경우에는 유신 진화론이라기보다는 과학과 종교는 서로 입장이 다르며, 성경을 창조과학이나 지적설계처럼 현실에 억지로 짜맞추어 이해하는 건 교리적으로 위험하다고 가르치는 한편 창조론의 중요한 목적은 "창조"를 이해하는 것이라 가르친다. 하느님의 창조에는 질서와 낮은 형태에서 더 높은 형태의 생명으로 나아가는 발전(더구나 ‘진화’라고 할 수도 있는)이 있다고 가르친다. 그러기에 창세기의 내용에 대해서도 써있는 내용을 문자 그대로 이해하는 것이 아닌 하느님의 창조를 강조하기 위한 서술이라 이해하며 과학이 발전함에 따라 밝혀진 진화론 등의 과학적 사실들 뒤에 숨겨진 ‘내재적 진실’을 비유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 개신교의 경우, 성공회가 진화사상을 교회 내로 이끌어 들이는 선봉적인 역할을 하였다.[27][28] 그 밖에도 신정통주의 신학 중심의 급진적 교단들이 진화론을 인정하고, 교육서에도 그 내용을 사용한다. 다만, 자유주의 신학에서 말하는 유신론적 진화론은 그들만의 특징적인 성경 해석 방법이 깊게 반영되어 있으므로, 같은 유신론적 진화론이라 할지라도 주류 개신교에서 채택할 수 있는 그것과는 서로 미묘하게 다를 수 있다. 참고로 한국 개신교의 대부분은 근본주의적 창조론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고, 따라서 고등학교 생물교과서의 진화론 이야기는 모두 잘못된 것이라고 한다.
  • 이슬람에서 진화에 관한 연구가 가장 열심이었던 페르시아 철학자들을 살펴보면 '다른 생물은 모종의 진화법칙에 의해 진화한 것이 맞다고 본다. 하지만 인간은 특별하다고 꾸란에 써있으니까 인간은 따로 하나님이 직접 만드시지 않았을까' 정도로 결론을 내리고 있다. 현재 진보적 이슬람 학자들과 세속주의자들을 중심으로 이슬람과 진화론을 묶어서 연구하려 노력하고 있으나 와하비즘의 등장으로 창조론에 대한 지지가 워낙 굳건하기 때문에 유의미한 결과는 내지 못하고 있다.
  • 템플턴 재단을 떠올릴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물론 유신론적 진화론자들 중 어떤 사람들은 실제로 이 재단에 깊이 관련되어 있기도 하다. 그러나 상호분리론적 입장을 갖춘 유신론적 진화론자들은, 과학과 종교를 융합하려는 템플턴 재단의 동역적 관점에 대해 극렬하게 반대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므로, 템플턴 재단이 유신론적 진화론을 대표한다고 생각하기도 몹시 어렵다.
  • 여기 언급된 사람들의 대부분은 자신의 관점을 대변하기 위한 저서들을 집필했다. 그만큼 이 주제가 미묘하고도 지대한 관심을 불러모으고 있다는 증거. 이들 저서에서 각 인물들은 저마다의 실수를 저지르는데, 예를 들면 갑자기 인류 원리를 옹호한다거나 내지는 과학과 신학의 연구 방법론이 거의 유사하다고 주장하는 식이다. 물론 이는 사실이 아니다.
  • 더 많은 목록을 위해서는 이곳을 참조하라. [29]

8.1. 과학자들


스웨덴의 식물학자로, 생물 분류 단계를 제안한 인물. 진화론이 나타나기 이전의 인물임에도, 인간을 원숭이와 같이 영장류의 한 종류로서 분류했다. 당시에는 인간은 모든 동물보다 우월한 만물의 영장으로 여겨지는 전통이 있었는데, 이 전통에 정면으로 맞섰던 것. 흥미롭게도 린네 본인은 독실한 신앙인으로 알려져 있다.
아우구스티노 수도회의 수도사제, 체코의 브루노 수도원의 수도원장. 식물학자, 유전학자, 그리고 유전학의 아버지. 종의 기원을 감명깊게 읽고, 진화론을 증명하기 위한 실험을 하던 도중 멘델의 법칙을 발견했다.
  •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 Teilhard de Chardin (1881~1955)
예수회 수사, 과정신학자, 지질학자, 고생물학자이기도 했던 드 샤르댕 수사는 그의 다양한 저작에서 진화론을 통해 기독교 교리를 이해하려는 시도를 했다. 초기에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비판을 받았으나, 유신진화론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고, 그의 이론은 로마 가톨릭교회는 물론 개신교 신학교에서까지 널리 가르쳐지고 있다. 드 샤르뎅은 우주가 훨씬 더 복잡한 구조를 향해 진화하는 상태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인간현상》(The Phenomenon of Man, 1955) 같은 저술들에서 하느님은 이러한 진화 과정 속에 내재하면서 그 과정이 최종적으로 '오메가 포인트'에 수렴하도록 이끈다고 주장했다. "최종 목표를 향한 진화"라는 이 개념은 과정신학과 유사성을 보인다.
  • 프랜시스 셀러스 콜린스 Francis Sellers Collins (1950~)
미국 국립보건원(NIH) 원장으로 인간 게놈 프로젝트의 주역. 생화학자. 복음주의 개신교로 추정됨. 가장 활발한 유신론적 진화론 활동을 벌이고 있으며 특히 웹페이지 바이오로고스를 개설하여 반창조과학 및 유신론적 진화론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다.

하나님에게 구태여 변론이 필요할까? 하나님은 우주 법칙을 창조하지 않았던가? 하나님은 가장 위대한 과학자가 아니던가? 위대한 물리학자는? 위대한 생물학자는? 더 중요하게는, 하나님의 백성이라면 마땅히 하나님의 창조에 관한 엄밀한 과학적 결론[30]

까지도 무시해야 한다고 말하는 자들은 하나님을 명예롭게 하려는 자들일까, 욕되게 하는 자들일까? '''하나님을 사랑한다는 신앙이 자연에 관한 거짓에 기초할 수 있을까?'''

프랜시스 셀러스 콜린스

  • 테오도시우스 그리고로비치 도브잔스키 Theodosius Grygorovych Dobzhansky (1900~1975)
러시아계 미국인으로, 미국인들에게 가장 잘 알려진 유신론적 진화론자 중 하나. 러시아 정교회에서 복음주의 개신교로 개종. 진화생물학자. 유전학을 중심으로 다른 여러 분과에서 진화론의 기초를 튼튼히 한 인물이다. 이런저런 서적들에서 유신론적 진화론을 언급할 때 여기저기 툭툭 튀어나오는 이름이다.

나는 하나님이 돌발적이며 신비한 방식으로 개입하는 것이 아니라, 중요하거나, 하찮거나, 극적이거나, 평범하거나, 모든 사건을 통해 활동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

테오도시우스 그리고로비치 도브잔스키

  • 케네스 레이먼드 밀러 Kenneth Raymond Miller (1948~)
미국 브라운 대학 생물학 교수. 자신의 저서를 통해서 지적설계에 대해 격렬히 논파한 인물이기도 하다. 생화학자 종교의 분파는 로마 가톨릭. 언어적 표현력이 유달리 뛰어난 과학자로, 그가 자신의 신앙을 변호하기 위해 든 비유들은 심지어 무신론적 과학자들이 진화론을 변호하기 위해 쓰이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신은 위대한 사기꾼인가?"[31] 및 "신은 기름때 묻은 장갑을 끼고 자기 피조세계를 손질하고 있는가?"[32] 등이 있다. 영어 위키백과에 의하면, 놀랍게도 "Skeptics Society" 컨퍼런스에 참여하고 있으며 지난 2010년에는 "Skeptics Inquiry" 위원회의 펠로우로 선출된 바 있다.
  • 사이먼 콘웨이 모리스 Simon Conway Morris(1951~)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생물학 교수. 과학의 대중화, 보급화에 함께하고 있다. 고생물학자. 캄브리아기 대폭발에 대한 권위자로 잘 알려져 있다.[33][34] 지적설계의 대부격인 마이클 베히와 여러 차례 배틀을 하기도 했던 인물. 모리스는 끊임없이 '지적 설계를 뒷받침할 만한 실험설계를 해보라'고 도발하지만 베히는 아직까지 이렇다 할 연구성과가 없다. 분파는 로마 가톨릭.
  • 존 찰턴 폴킹혼 경 John Charlton Polkinghorne (1930~)
영국 왕립천문위원회 회원으로 영국인들에게는 '종교를 가진 과학자' 의 대명사. 수리물리학자. 종교는 영국 성공회. 과학자이며 동시에 신학자인 희귀한 이력의 소유자이다. 특히 간극의 신 논증의 문제에 있어서 매우 조심스러운 입장을 지니고 있다.

나는 인자하고 동시에 성실한 신은 독립성과 안정성이라는 한 쌍의 능력을 창조 세계에 주셨다고 믿는다. 이런 생각은 우주의 진화 역사에 우연과 필연이 풍성하게 상호작용한다는 점에서 잘 드러난다.

존 찰턴 폴킹혼 경

  • 로널드 에일머 피셔 경 Ronald Aylmer Fisher (1890~1962)
실험설계 이론의 권위자이자 영국의 저명한 수리통계학자. 과학적 방법론에 있어서 확률론적인 측면과 통계학적인 측면을 보완하였으며 '추론통계학' 이라는 새로운 학문분과를 창시한 인물. 분파는 영국 국교회. 농학자로서 한때 로잠스테드 농사시험 통계연구실 실장으로 일하기도 했다. 통계학을 조금이라도 배워본 사람이라면 "F-분포" 에 대해 들어보았을 것인데, 바로 이 사람이 제안한 것.

보수적인 종교인들에게 유기체의 진화이론이 가져온 핵심적인 새로운 사실은 창조가 오래 전에 이미 끝난 것이 아니라 믿기지 않을 만큼 오랫동안 계속되었고,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창세기의 언어로 표현한다면 우리는 현재 여섯째 날 이른 아침을 보내고 있는 것이며, 신은 아직 그의 일터에서 돌아오지 않았고 아직 '매우 좋았다' 는 말을 하지 않았다.

로널드 에일머 피셔 경

  • 윌리엄 대니얼 필립스 William Daniel Phillips (1948~)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분파는 감리회. 그에게는 두 가지 상반되는 타이틀이 있었는데 하나는 '감리교회 주일학교 교사'였고 다른 하나는 '레이저 연구의 권위자'였다. 그의 직함처럼 전공은 레이저 물리학.

우리가 앞으로 과학을 통해 훨씬 많은 사실들을 알게 되었다고 하자. 그리고 이 새로운 지식들이 창조주의 존재를 가리킨다고 하자. 하지만 우리와 인격적인 관계를 맺기 원하고, 우리를 사랑하고, 우리로 하여금 서로 사랑하기를 원하고, 성경 혹은 이외에도 신에 대해 우리가 알 수 있는 방식을 통해 우리에게 알려진 것들을 우리가 행하기를 기대하는 그러한 창조주에 대해 과학이 무엇을 말해 줄 수 있는가를 상상하기는 쉽지 않다.

윌리엄 대니얼 필립스

  • 에이사 그레이 Asa Gray(1810~1888)
하버드 대학 식물학 교수. 그에게는 '북미 다윈주의 운동의 대변인'이라는 타이틀이 걸려 있었으나, 한편으로 그는 매우 독실한 신앙인이기도 했다. 분파는 복음주의 개신교. 생물분류학자. 당시 다윈과 교류하며 그의 진화론에 적극 찬동한 개신교인 중 하나.
  • 찰스 하트 타운스 Charles Hard Townes (1915~2015)[35]
1964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분자 증폭기를 통한 레이저 연구로 유명한 레이저 물리학자. 과학과 종교에 대한 동역적 입장을 지니고 있어 2005년 템플턴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분파는 루터파 교회. 과학과 종교는 서로 거의 평행하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둘이 융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36]
  • 김왕기 (1936~)
전남대학교 명예교수이자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평신도사도직위원회 위원과 한국종교문학회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제28회 가톨릭대상에 선정되었다. 그는 빅뱅으로부터 생명의 출현까지의 과정을 창세기에 나오는 창조 이야기와 관련하여 과학적 관점에서 추론하였다.
  • 김용준 (1927~)
고려대학교 교수였으나 군사정권에 의해 두 번 해직당했다. 화학공학자. 함석헌 선생의 문하에서 개신교 신앙을 다졌다. 분파는 주류 개신교일 것으로 판단된다. 자신의 저서에서 종교철학자 마이클 루스의 저서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을 언급했고, 그는 아마도 루스가 없었더라면 지적 설계에 설득되었을지도 모른다고 고백한 바 있다.
  • 구본철 (1956~)
1990년 미국 버클리에 있는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에서 천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연구소에서 연구하다가 1992년부터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로 강의와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주 연구 분야는 우리 은하의 성간 물질이다. 2014년 9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수여하는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을 수상했다. 로마 가톨릭 신자로, 경향잡지에서 2015년 1~6월 유신론적 진화론을 지지하는 내용의 "우주, 지구, 생명"을 연재하기도 했다.
  • 우종학 (1970~)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이며, NASA의 각종 우주미션 시간배정위원회에 심사위원으로 종종 참가하고 있다. 특정 교단에 소속되지 않은 독립 교회인 영등포 새맘교회의 집사인데, 이 교회의 분파는 복음주의를 표방하면서도 한국의 주류 개신교와는 다소 거리를 두는 소장파 복음주의. [37] 자신의 저서 <무신론 기자, 크리스천 과학자에게 따지다>에서 성경의 과도한 문자주의적 해석을 경계함과 동시에 진화론이 무신론을 강요하지는 않는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외국 유신론적 진화론자들의 저서들을 번역하는 일도 하고 있다. 아울러 교인들 사이에 잘못 알려져 있는 상식들, 예를 들면 NASA에서 여호수아기에 나오는 태양이 멈춘 사건을 과학적으로 밝혀 냈다든가 하는 것들이 실제로는 근거 없는 소문이며 학계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음을 전문가로써 설명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페이스북에서 창조과학을 맹신하는 창조설 지지지들과 치열하게 키보드 배틀을 벌이는 중.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교수이며 독실한 복음주의 개신교 신자로서 창조과학이라는 사이비과학이 기독교에 미치는 해악에 관해 강연언론 기고 등을 통해 널리 알리고 있다. 다만 과거에는 미세조정 우주를 지지하는 것으로 보이는 강연을 한 적이 있기에 그 입장이 조금 애매하기는 하다.

8.2. 신학자들


원죄론을 확립하고 초기 기독교 교리를 정립시킨 대표적인 교부 신학자. 창세기의 주해를 위해 저서를 집필하면서 '최대한 다양한 방법'으로 창조교리를 해석하고자 애썼다고 고백한 바 있다. 그는 창세기의 '날'(yom)을 24시간으로 이루어진 하루로 해석하지 않고[38] 일정한 기간[39]으로 보았다. 일부 기독교인들은 그의 입장이 매우 긴 시기 동안의 창조를 긍정하는 것으로 보고 유신 진화론과 합일시켜 보려고 한다. 좀 더 최근의 연구는 정반대로 그가 '날'을 당시 그리스 문화권에서 일반적이던 사상을 받아들여 아주 짧은 시기로 보았다는 견해도 있다. 즉 전능하신 하느님의 창조에는 24시간도 너무 길다는 말이다. 다만, 성경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는 입장에 대해 비판하고 있음과 경험을 통해 이성적 시각으로 터득한 사실을 부정하지 말라는 이야기는 현대 신학계에서도 여러가지로 배워야만 하는 주장이다.

이제 성경의 의미를 전달한다면서 이런 주제에 관해 허튼소리를 해대는 그리스도인에게 귀를 기울이는 것이 이교도들에게는 수치스럽고도 위험한 짓이 되었다. 우리는 사람들이 그리스도인 전반에 대해 잘 모르거나 그리스도인을 비웃는 당혹스러운 상황을 막아야 한다. 무지한 한 개인이 비웃음을 받는 거야 문제될 게 없지만, 종교계 바깥에 있는 사람들이 성경을 쓴 사람들은 하나같이 그런 의견을 가지고 있으려니 생각한다면, 그리고 성경을 쓴 사람들이 비난의 대상이 되고 교육받지 못한 사람으로 내몰려 우리가 애써 구원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도 큰 피해가 돌아가는 상황이 벌어진다면, 그것이야말로 수치스러운 일이다. '''그리스도인이 일반 사람들도 뻔히 아는 사실을 두고 실수를 하거나 성경에 관해 바보 같은 말만 늘어놓는다면, 사람들이 어떻게 우리 성경을 믿을 것이며, 죽은 자의 부활이니 영적 삶이니 천국이니 하는 것들을 어떻게 믿을 수 있겠는가?''' 그들이 이미 경험을 통해 이성적 시각으로 터득한 사실을 놓고 성경은 온통 바보 같은 소리만 지껄인다면 그들은 어떤 생각이 들겠는가?

아우구스티노

중세 이슬람의 사학자이자 아랍 산문의 대가. 동물학에 대한 그의 저서에서 '동물은 환경에 따라 변화하거나 진화할 수 있는 것 같다' 정도로 화두를 제시했다.
이슬람 윤리학과 철학에 많은 영향을 끼친 11세기의 철학자. '하나님께서 뭔가 물질을 만들었는데, 그것이 점차 진화하여 현재의 세상을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븐 메스카바흐는 이슬람 세계에서 최초로 인간이 유인원에서 진화했을 수도 있다는 주장을 내세워서 큰 의의가 있다.
칼뱅은 자신이 저술한 창세기 성경 주석서에서 하늘의 별이나 달과 목성의 실제 크기를 과학자들이 밝혀내었으며 이것이 성경 내용과 문자적으로 합치하지 않음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칼뱅에게는 그것이 "성경의 무오성"에 전혀 문제되지 않았는데, 왜냐하면 성경 저술 당시의 무지한 사람들조차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성령이 "보통 학교"를 열어 사람들에게 깨달음을 주려 했던 것이 바로 성경의 저술 목적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모세는 학문적으로 훈련이나 교육을 받지 않은, 평범한 상식을 지닌 일반인이 이해할 수 있는 쉬운 방식으로 설명했다. 반면 천문학자들은 인간 지성의 예리함이 파헤칠 수 있는 모든 것에 대해 큰 노력을 들여 연구한다. 그러한 연구에 반감을 가져선 안 되며, 과학은 자신들이 모르는 것이라면 생각 없이 거부하는 일부 광신도들의 오만으로 비난받을 존재가 아니다.

(중략)

모세가 과학적인 세부사항들을 생략했던 것은, 우리가 그러한 연구를 하지 않기를 바라서가 아니었다. 그러나 그는 지성인이 아니라 교육받지 못한 사람들을 인도하라는 소명을 받았기에, 그들의 수준으로 내려오지 않고서는 자신의 소명을 수행할 수가 없었다. 만일 그가 군중이 알지 못하는 이야기를 했더라면, 교육받지 못한 사람들은 그의 가르침을 이해할 수 없다고 했을 것이다. 사실 성령께서 '''모든 이를 위한 학교'''를 여실 때,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것만을 가르치신다는 것이 이상한 것은 아니다.

장 칼뱅

천문학을 배우려거든 성경 말고 딴 데 가서 알아보라.[40]

장 칼뱅

  •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Friedrich Daniel Ernst Schleiermacher (1768~1834)(를 위시한 자유주의 개신교 전체)
슐라이어마허는 종의 기원이 출간되기 25년 전에 사망했지만 그의 전반적인 견해는 그의 후대에 진화론의 쟁점에 적용되었다. 그래서 자유주의 개신교에서는 진화론이 신학으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창조세계 내에 현존하고 일하시는 특정 방식을 인식할 수 있게 해주었다고 주장하였다. 진화는 하나님의 섭리와 모순되지 않으며 오히려 하나님의 섭리가 작동하는 방식에 빛을 비추어 준다고 보았다.
  • 벤저민 브레킨리지 워필드 Benjamin Breckinridge Warfield (1851~1921)
에이브러햄 카이퍼, 헤르만 바빙크와 함께 20세기 3대 칼뱅주의 신학자로 평가받는 인물로, 조직신학 총론서를 읽다 보면 여기저기 등장하는 영향력 높은 인물. 루스의 인용에 따르면, 워필드는 '진화론이 비성경적이라는 근거가 없다'고 하였으며, 개신교인들의 반지성적, 비합리적 행태에 깊은 우려를 표시했던 신학자였다. 또 그는 자신의 저서들을 통해 오늘날 개신교 내에서 통용되는 기적이나 성령의 은사, 엑소시즘, 방언 등등의 현상이 모두 근거없는 거짓이라는 은사 중지론이라는 입장을 폈다. 이 관점은 그의 제자 리처드 개핀을 통해 그대로 계승되고 있다.

우리는 그리스도인으로서 이성의 진실, 철학의 진실, 과학의 진실, 역사의 진실, 비평의 진실에 반감을 가져서는 안 된다. 빛의 자녀인 우리들은 모든 빛에 조심스레 열린 태도를 취해야 한다. 그러니 오늘날의 연구 결과를 당당히 마주하는 용기를 기르자. 우리는 다른 누구보다도 더 그것에 열광해야 한다. 우리는 다른 누구보다도 빨리 모든 영역에서 진실을 식별해야 하고, 더 적극적으로 그것을 받아들여야 하며, 그것이 어느 곳으로 향하든 더 충실히 따라야 한다."

워필드

  • 앨프리드 노스 화이트헤드 Alfred North Whitehead (1861~1947)와 찰스 하트숀 Charles Hartshorne의 과정철학에 기초한 과정신학
기독교 전통을 현대 과학의 통찰과 조화시키려고 상당히 노력한 신학 운동이다. 이들은 하나님을 새로움과 질서의 원천이라고 이해한다. 따라서 하나님이 무로부터 창조하였다는 (구)정통주의 개념에 대해서는 의심스럽게 보았다. 이후에는 존 코브 John B. Cobb 과 데이비드 그리핀 David R. Griffin 은 "혼돈에서 질서를 창조한 하나님"이라 말하기를 좋아하며 "설득하는 사랑"(Persuasive Love)을 통해 우주 안에 질서를 세우는 새로움의 원천으로서 하나님을 이해했다.
스위스 개혁교회 신학자이면서, 신정통주의의 창시자. 그의 <교회 교의학>에서 펼친 창조론 논의 속에서는 세속의 개념과 방법론을 수용하려고 했던 자유주의 개신교의 흐름에 맞선 신정통주의 신학의 독특성을 발견할 수 있다. 바르트에 의하면, 창조는 신학적 사건으로 자연과학에 비추어 해명하거나 해석할 수 없다. 철학이 신학에서 토대의 역할을 할 수 없다고 본 바르트의 견해는 자연과학에 그대로 적용된다. 따라서 자연과학은 그 나름의 고유한 활동 영역이 있으며, 그 영역을 벗어나서 기독교 신앙을 해명하거나 정당화 할 수 없다. [41]
  • 랭던 길키 Langdon Gilkey (1919~2004)
바르트의 신정통주의 신학에 영향을 받은 미국의 신정통주의 노선 신학자. 그의 책 <천지를 지으신 이> $ Maker of Heaven and Earth. 1959 $ 에서 길키는 신학과 자연과학은 실재에 다가가는 서로 다르고 독립적인 방법(길)로 보는 것이 가장 합당하다고 주장한다. 자연과학은 '어떻게'라는 물음을 물으며, 신학은 '왜'라는 물음을 묻는다. 자연과학은 이차원인(자연 내의 상호작용)을 다루며, 신학은 일차원인(자연의 궁극적 기원과 목적)을 다룬다.
  • 카를 라너 Karl Rahner (1904~1984)
익명의 그리스도인으로 유명한 로마 가톨릭 사제이면서 신학자,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총진행을 맡은 먼치킨. 라너는 길키와 유사한 틀을 제시하며 과학은 '후험적인'(a posteriori) 경험들과 관계가 있으며 신학은 '선험적인'(a priori) 질문들과 관계가 있다고 주장한다. 라너는 과학자들이 신학자 노릇을 하려고 하거나 신학자들이 과학자 노릇을 하려고 할 때 일이 잘못되기 시작하는데, 그 까닭은 그들이 그들 각 분야의 고유한 특성이나 한계를 존중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 제임스 이넬 패커 James Innell Packer (1926~)
개신교 복음주의 신학생들의 필수 입문서로 여겨지는 여러 저작들을 저술한 신학자. 그는 자신의 신학사전 중에서 창조에 관한 설명 중 과학과의 충돌의 문제를 염려하여 특별히 여러 언급들을 남겼는데, 전체적으로 우종학 교수가 이해하는 것과 거의 유사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성경에는 과정에 의한 창조와 과정 없는 창조가 명백히 구분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주권적 창조 진리와 과학에서 기술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포함하는 사상 사이에는 원칙상 아무런 괴리가 없다. 둘 다 하나님의 주권 행위이다. 많은 비그리스도인들은 생물학적 진화론을 '진화론'과 연계하려고 시도했으나 반드시 그렇게 되는 것은 아니다.[42]

그렇지만 비그리스도인들이 그런 시도를 해왔기 때문에 많은 그리스도인들은 진화라는 이름 아래 제시되는 모든 이론들에 반대하게 되었다.

제임스 이넬 패커

  • 존 호트 John F. Haught(?~)
종파는 로마 가톨릭. 일찍부터 진화론을 받아들인 덕택에 진화론과 유신론 간의 조화의 문제에 대해서 나름대로 어느 정도 입장 정립이 되었기 때문에, 호트가 진화론에 대한 101가지 문답서를 저술했을 때 반응이 상당히 괜찮았다. 그는 오히려 성경이 고대의 비과학적 언어로 쓰여졌다는 것이 인간에게는 '축복'이라고 말하면서, 만일 진화론적 사실들에 의거하여 성경이 쓰여졌다면 고대인들은 그것으로부터 아무것도 얻어내지 못했을 거라고 말했다.

과학은 성서를 기록한 사람들의 문화에서는 아주 미미한 한 부분에 지나지 않아 도저히 독자에게 과학적 진리를 가르치는 것을 시도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학생들에게 창조 이야기를 과학적으로 가르쳐야 한다는 요구는 비종교적일 뿐만 아니라 시대착오적이기도 하다. 역설적이게도 창조론자들이 과학수업에서 성서의 창조 이야기를 가르쳐야 한다는 데 열성적인 이유는 오직 하나, 그들이 근대 과학을 진리에 이르는 유일하게 권위 있는 길이라고 암묵적으로 이미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성서의 저자들은 자신들의 생각을 그런 제한된 틀 안에 강요하는 현재의 세태에 대해 극도로 당황할 것이다.

존 호트


  • 볼프하르트 파넨베르크 Wolfhart Pannenberg(1928~2014)
최근에 등장한 개신교 사상가. 현대 개신교 신학의 마지노선, 과학과 신학 사이를 중재했던 20세기 마지막 개신교 신학자. 신정통주의가 앞서 말했듯 신학과 자연과학이 서로 별개의 의제와 방법론을 지녔다고 생각한 데 반해, 판넨베르크는 두 학문 사이에 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는 두 영역의 독특성을 주장하면서도 두 학문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으며 서로에게 유익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의 책 <신학과 하나님의 나라> 와 <창조와 진화>, <종교와 과학>, <학문이론과 신학>(Wissenschaftstheorie und Theologie), <신학은 어떤 의미에서 학문인가>[43] 등등에서 이 주장의 논리적 근거들을 찾아볼 수 있다.
북아일랜드성공회 사제이자 신학자. 북아일랜드 밸파스트 태생으로 22세에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분자생물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같은 학교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역사신학을 가르쳤으며, 2005년부터 성공회 신학교인 옥스퍼드 대학교 위클리프 홀(Wycliffe Hall)에서 학장으로 일하다가 은퇴하였다. 은퇴 후, 2008년 9월에는 런던 대학교 그룹 소속 킹스칼리지(King's College London)의 CTRC[44] 학장으로 자리를 옮겨 사회, 종교, 과학 그리고 교회에 대한 문제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면서 책을 펴내거나 강의하러 다니고 있다. 이 사람의 특징은 과학자에서 신앙을 가지고 후에 사제가 된 케이스. 따라서 그의 책들을 살펴보면 현대 과학이론에 대해 가장 빠삭한 부분을 느낄 수 있다. (그러면서 도킨스와 히친스에게 빅엿을 먹이고 있다.) 2008년 5월 19일 성공회대학교 피츠버그 홀에서 '리처드 도킨스의 과학적 무신론(만들어진 신)에 대한 신학적 응답'을 주제로 공개강좌를 한 바 있다. 또한 같은 해인 2008년 5월 20일 서울신학대학교 성봉기념관에서 '만들어진 신'에 대한 신학적 응전-과학과 종교의 대화-를 주제로 강의하였다. 그의 저서로는 <도킨스의 망상 - 만들어진 신이 외면한 진리>와 <과학적 신학> (Scientific Theology, 2001 - 2003) 등이 있다. 그는 <과학적 신학>에서 "자연과학과 기독교 신학은 모두 이론적으로 표현이 가능한 외적 실재와 씨름하는 일을 한다"고 주장했다. 자세한 내막은 책을 참고할 것. 꽤 읽을만 하다.
  • 빌리 그레이엄 Billy Graham (1918~2018)
일반인들에게는 펜스 룰 관련으로 많이 알려진 미국의 유명한 남침례회 목사. 유신론적 진화론을 본격적으로 지지했다고 보기는 힘들지만, 본인의 저서에서 유신론적 진화론을 언급한 바 있다.

내가 생각하기에는 현대 과학과 성서의 가르침에 충돌하는 부분은 없다. 나는 우리가 성경을 잘못 해석함으로서 성경이 원래 의도했던 것과 다른 이야기를 하게끔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실수는 우리가 성경을 과학책이라고 오해했기 때문에 일어난 것이라고 본다. 성경은 과학책이 아니고 구원에 관한 책이다. 물론 나는 창조를 믿는다. 그게 진화라는 과정을 거친 것이든, 특정한 시점에 직접 인간에게 영혼을 불어넣어 창조한 것이든 간에 하나님께서 인간을 창조했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어느 쪽을 선택하더라도 인간이 어떤 존재이고,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가 어떠한가에 대해서 바뀌는 것은 없다.

빌리 그레이엄, Doubt and Certainties (1964)

천주교 인천교구 사제이자, 인천가톨릭대학교 교수와 미래사목연구소 소장. 오스트리아 빈 대학에서 성서신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우리는 시·공간의 제약을 받는 3차원에 살고 있다. 그런데 하느님은 3차원 너머에 계신 초월적인 존재다. 그러니 하느님의 창조는 3차원에서 이뤄진 게 아니다. 4차원이나 5차원, 아니면 6차원 너머에서 이뤄졌을지도 모른다. ‘하느님이 실제 진흙으로 인간을 빚었다’는 이해 방식은 3차원적 사고에 갇힌 거다. 그런 생각은 신앙적으로 더 큰 잘못이다. 초월적 존재의 하느님을 인간의 3차원적 사고 안에 가두고 있기 때문이다. 하느님은 그걸 떠나 계신 분이다. ‘하느님이 흙으로 인간을 빚었다’는 건 단지 은유적 표현이다. 오랜 세월에 걸친 진화의 과정을 ‘흙으로 빚었다’는 말로 축약했다고 봐도 된다. 창조론과 진화론은 대립적 관계가 아니다. 지구의 환경, 우주의 환경은 끊임없이 변한다. '''하느님이 창조한 생명체도 변화하는 환경에서 생존하려면 끝없이 진화해야 한다.''' 그런 진화를 인정한다. 그러나 진화론은 창조론이란 더 큰 울타리 안에 포함된 개념일 뿐이다.

차동엽

  • 신재식 (?~)
호남대학교 신학과 교수이자 국내 모 매체에서 특집으로 다루었던 '종교전쟁' 협동 칼럼에 참여한 바 있다. 국내의 대표적인 다윈주의자 중 하나인 장대익 교수와의 서신을 통해 그는 자신의 유신론적 진화론이라는 세계관을 명백히 드러내고 있다. 그에 따르면, 창조론설은 사이비 신학이며 '문제 많은 종교 운동'이 된다고 한다. 그 역시 다른 신학자들처럼 성경을 문자주의적으로만 읽어야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하며, 가장 전통적이며 정통적인 성경 해석방법은 문자주의적, 역사적, 교훈적, 은유적 방법을 총동원하여 가장 좋은 해석을 추구해 가는 것이라고 역설한다.

그러나 더 근본적인 원인은 오늘날 기독교인들이 과학에 대해 가지고 있는 피해의식과 두려움입니다. 신학자이자 목회자인 저는 이런 상황에 심각한 우려를 표합니다. 과학적으로 증명되었으니, 우리 신앙은 이제 확실한 토대를 갖추었다고요? 이런 신앙 태도가 교회를 지배한다면 그 결과는 아주 심각합니다. 이건 과학을 신앙의 토대로 삼는 것입니다. 신앙이 과학을 기반으로 정립한다고 했을 때, 그 기반인 과학이 무너지면 신앙은 당연히 함께 무너집니다.

신재식

그리스도교 역사에서 성서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해되어 왔습니다. 성서 자체가 여러 문헌이 모인 것으로, 다양한 양식으로 씌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로 현대 신학자들뿐만 아니라, 초대 교회 교부들이나, 아우구스티누스, 루터, 칼뱅을 비롯해 대부분의 전통적인 신학자들은 성서를 문자적으로 읽기만을 고집하지 않았지요. 오히려 문자적, 역사적, 교훈적, 은유적 방법 등 다양한 관점에서 성서 읽기를 시도하면서 최선의 성서 이해를 추구했습니다. 이게 성서에 대한 전통적이며 정통적인 접근입니다. 창조 과학이 맹신하는 문자적 성서 읽기는 당시 세계상이 반영된 성서를 제대로 이해할 수도 없으며, 오히려 성서의 메시지를 상당 부분 왜곡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신재식

  • 이정배 (?~)
감리교신학대학교 신학과 교수이자 생태신학자. 다만 이 경우는 상당히 진보적인 측면의 신학자로 추정된다. 창세기에 서술된 내용은 궁극적으로 생태신학적 관점에서 논의되어야 하며, 인간이 환경 문제 및 생태계 파괴의 문제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나님이 자연 만물에 복을 주었을 때, 이를 위해 인간이 책임성을 가지고 임해야 하며, 땅을 "지배"하는 게 아니라 "관리"하는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것.
  • 자말 앗딘 알-아프가니(1839~ 1897)
19세기 이슬람 철학자. 다윈의 주장에 전적으로 동의한 그는 다윈의 진화론과 이슬람이 충분히 양립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오히려 그는 이슬람에 "다윈의 진화론을 수용하여야 한다"고까지 주장하였는데, 그가 보기에 맹목적인 신앙보다 이성을 통한 신앙이 훨씬 더 합리적인 종교 생활을 가능케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8.3. 그 외


  • 함석헌
  • 클라이브 스테이플스 루이스[45]
  • 이어령[46]

9. 관련 문서



[1] 유신론적 진화론도 엄연히 '창조론' 가운데 하나이다. 다만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유사과학적 의미의 창조론인 '진화를 배제한 창조론'과는 전혀 다르다. 나무위키의 다른 문서들에서 창조론이라고 하면 거의 언제나 유사과학적 의미의 창조론을 의미한다. 이 문서에서도 '창조론'이라고 적힌 것은 대부분 '진화론을 완전히 배제한 창조론'을 일컫는다.[2] 유신론적 진화론도 여러 관점이 있으므로 딱 잘라 말하기는 어렵지만 다수의 유신론적 진화론자들이 하는 말로 판단하자면 상당히 정확한 평가이다.[3] 일단 이 분류법은 나무위키의 사용자들이 임의로 분류한 것이다. 따라서 나무위키가 아닌 타 매체와는 어휘에 대한 정의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서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유신론적 진화론'이 아닌 '유신진화론'으로 표현한다. 또한 아래에서 보듯이 나무위키에서는 '유신론적 진화론'과 '진화적 창조론'을 다른 것으로 구분한다. 하지만 위키백과에서는 진화적 창조론은 '보수주의적 근본주의적 기독교인들의 반감을 고려하여 돌려말한 표현'이며, 당연히 나무위키에서의 '진화론적 창조론'과 위키백과에서의 '진화론적 창조론'은 내용이 다르다.[4]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유신진화론'으로 항목 등록되어 있다.[5] 유심론적 진화론은 프랑스 철학, 특히 베르그송에게서 보이는 것으로, 유신론적 진화론과는 완전히 다른 것이다. 유심론적 진화론은 신학과 전혀 상관이 없다.[6] Omphalos는 그리스어로 배꼽(navel)을 의미한다.[7] 다만, 러셀은 우리가 지각하고 사고하는 모든 것이 환상이나 강요된 것에 불과할 가능성도 충분히 있고 철학적으로 모순도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쉽게 말해 통 속의 뇌 이야기다.[8] 만일 성경이 기본적으로 수천년 전의 텍스트라는 점을 강조한다면 이 부분은 신학적으로 문젯거리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성경의 문화적, 사회적 맥락을 인정하고 그 역할을 보다 한정하자는 것.[9] 결과적으로 창조라는 주제에 대해 방대한 스펙트럼의 학설의 난립을 허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10] 종교를 버리거나 심하게는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해결책을 선택하는 사람들도 있다.[11] 이게 단순하게 넘길 문제가 아닌 것이, 바로 위 문단에서 나온 이야기처럼 무신론자들에겐 양다리 걸친다고 까이고 창조론자들에게는 세상과 타협했다고 까이기 때문에 욕 먹는 거에 질려서 종교를 포기하거나 진화론을 거부하고 창조론을 믿어버리는 극단적인 결정을 내리는 신자들도 있다.[12] 유신론적 진화론자의 절대다수가 종교인이라고 볼 때, 유신론적 진화론은 종교와 같은 문제점을 공유한다. 다시 말해 유신론적 진화론을 '''고민'''하기 때문에 문제되는게 아니라, 유신론적 진화론을 '''사실'''로 믿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이란 뜻이다.[13] 프라이스는 헨리 모리스와 함께 1세대 창조론자로 자주 거론된다. 그는 노아의 대홍수를 과학적으로 밝히겠다고 "홍수지질학"이라는 유사과학 분과를 만들기도 했다.[14] 신학적으로 보자면 '''개소리'''이다. 그리스도교는 밀라노 칙령을 통해서 공인 받기 한참 이전인 2세기에 이미 오리게네스가 알레고리 해석법을 성경에 도입했다. 물론 오리게네스는 관할 주교의 허락 없이 다른 주교에게 서품을 받은 문제 때문에 당시에는 영 좋지 않은 대우를 받았지만, 그의 후계자라 할 수 있는 알렉산드리아 학파는 알레고리적 성경 해석법을 발전시켰고, 교부 시대의 가장 명성있는 학파 중 하나로 이름을 날렸다. 물론 이런 관점은 교부 신학을 계승한 스콜라 신학에도 이어졌고,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학대전 1권 1문제 9절 및 10절에서 다음과 같이 논증했다. 첫째, 성경은 은유적, 상징적 화법을 쓰고 있다. 둘째, 성경은 한 구절안에서 문자적, 알레고리적, 도덕적, 전의(轉義)적, 신비적 의미 등을 동시에 내포할 수 있다.[15] 엄밀히 말하면 근본주의 교파들의 신자들은 특정 과학이론과 상반되는 내용이 신의 가르침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쪽 신자들 역시 믿음을 강조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다만 무엇을 믿을 것인가에서 차이가 날 뿐.[16] 결국 성경 무오무류설에 대해 주류 신학자들 사이에서는 이미 어느 정도 교통정리가 된 상황이다. 그런데 일반 평신도 중에 이런 부분을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은 별로 없어 보인다. 아마도 성경의 내용이 고대인의 시각에서 서술한 것이라는 점을 부각시키는 것이 교세 확장에는 결코 유리할 수 없기 때문. 실제로 성경 내용 중 현대인의 도덕 기준과 맞지 않는 부분들은, 비록 그것들에도 나름의 신학적 해석이 나와있긴 하지만, 실제로 일반 평신도들에게 가르치는 경우가 드문 것과 마찬가지다.[17] 물론 학문에서도 인문학이나 예술처럼 그런 쪽과 거리가 있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종교와는 달리 그런 학문에서는 어떤 사실을 믿으라고 말하지는 않는다.[18] 다만 변명을 좀 하자면 아담과 하와의 이야기 자체가 인간의 원형적인 모습은 원죄가 없는 모습이었다는 사실을 이미 전제한다.[19] 물론 유신론적 진화론이 곧 이신론인 것은 아니다.[20] 의아하게 생각할 사람들이 있을텐데, 이 당시엔 사회 전체가 기독교를 의심할 나위 없는 진리로 여겼기 때문이다. 이런 입장에서 생각하면 자연에 대해 알면 알수록 기독교적 진리를 드러나게 할 테니 거부감을 가질 이유가 없는 것. 근세에 과학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기존의 기독교적 세계관과 충돌이 생기면서 거부감이 심해진 것이다.[21] 사실 창조과학을 진심으로 믿는 사람들에게서도 이런 경향은 나타난다. 과학이 기독교적 진리를 지지한다 믿기 때문에 과학에 우호적인 창조설 지지자들도 있다는 것.[22] 참고로 이와 같이 세계 공의회를 통하여 신앙과 도덕에 대하여 가르칠 때는 무류성이 성립한다. '''즉 가톨릭 신자가 이 가르침에 반발 시, 즉시 이단(=파문대상)이 된다.'''[23] 성경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4개의 복음서에 모순이 생긴다거나 하는 문제는 2000년전의 그리스도교 신자들도 당연히 알고 있었다.[24] 자연선택설이 처음 나왔을때 그리스도교 신자들에게 엄청난 혐오를 받은 것은 사실이며 이러한 혐오는 창세기에 근거한 것도 있었으나, 오직 창세기 때문에 이런 취급을 받은 것은 아니다. 플라톤의 이데아 개념에 의하면 이데하는 불변인데, 당시 사람들은 특정한 종의 이데아가 변하고 새로 생성된다는 개념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였다고 봐야한다.[25] 루이스처럼 상당히 신화학적인 관점을 빌릴 수도 있고, 호트처럼 원죄의 개념을 '''신과 인간이 단절된 상태'''로 이해할 수도 있다. 특히 호트의 원죄에 대한 개념은 그리스도교의 전통적인 원죄 해석이다.[26] 철학적 차원에서의 불가지론자인 종교철학 교수 마이클 루스는, 그의 저서들을 통해서 유신론적 진화론이라는 대안이 가능함을 우회적으로 보여주었다. 그는 특히 알칸소 재판에서 창조과학이 과학이 아니라는 주장을 피력하기 위해 과학자 진영의 증인으로 출석함으로써 유명해진 인물이다. 물론, 어디까지나 가능한 대안이라는 거지 본인이 그것을 받아들였다는 뜻은 아니고.[27] 심지어 대한성공회 홍보물에서는 찰스 다윈을 성공회가 배출한 위인 중 한 사람으로 소개하기도 했다(...).[28] 성공회는 특이하게 성직자가 다른 직업을 갖는 것을 허용한다. 그래서 과학자이면서 성직자인 경우가 꽤 있으며, 이런 성직자들이 성공회 내에서 당대의 과학과 신학의 관계를 조율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는 존 폴킹혼, 앨리스터 맥그래스, 마이클 레이스 같은 과학자-성직자들이 그 역할을 하고 있다.[29] 농담이 아니라 실제로 이 문서에 수록된 인물 중에는 지적설계설자도 있다![30] 즉 창조과학은 과학이 아니라는 과학계의 결론이다.[31] 기나긴 진화론적 연대는 신이 그냥 그렇게 보이게 한 것뿐이라는 창조론자들의 주장에 반대하면서 든 비유.[32] 눈의 구조나 식도의 위치 등 여러 비합리적인 설계의 예시를 거론하면서 든 비유.[33] 전에 한국의 모 언론사에서 근래 새로 발견된 고생물을 소개할 때 모리스 교수와의 인터뷰를 함께 실은 바 있다.[34] 스티븐 제이 굴드의 이론형성에 결정적인 영감을 주었고, 콘웨이 모리스 본인도 한때 굴드의 단속론 학설의 열렬한 지지자였으나 현재는 점진론 학설을 지지하고 있다.[35] 여담이지만 커맨드 앤 컨커 제너럴 제로아워 게임에 등장하는 미국의 레이저기술 특화 장군인 "핀포인트" 타운즈 가 바로 이 사람에게서 모티브를 따온 것이다.[36] 하지만 창조좀비들 사이에서는 창조과학 권위자로 비춰지는 듯. # 사실 유신론적 진화론을 지지하는 것과 우주의 기원을 해석 것은 다른 차원의 문제이긴 하다.[37] 해당 교회 담임인 박득훈 목사는 영국의 국제 장로교회(IPC)에서 안수를 받았으므로 굳이 종파를 따지자면 장로교 계열이라 할 수는 있다. 이 교단은 프랜시스 섀퍼(Fransis Schaeffer)의 영향을 받아, 복음주의 신학을 장로교(개혁주의)에 도입한 교단이다. [38] 6일 창조를 반대하고[39] 기간 역시 히브리어로 'yom'이다.[40] 천문학을 문자 그대로 천문학으로만 보지 말고, 과학이라고 확대해서 해석을 하면 이 문서의 주제에 맞게 된다. 칼뱅이 이 말을 한 목적도 천문학에 대해서만 국한한 것이 아니었으니 확대 해석에 무리가 없다.[41] 그럼에도 그를 이 항목에 삽입한 이유는 그가 주장한 것이 "과학과 신학이 자기 위치에서 고유의 독특성을 가지고 있기에 왈가왈부 할 수 없다"는 의미이지 "과학과 신학은 절대로 상종해선 안된다"라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신정통주의는 성서무오설부정하며, 축자적 영감설에도 회의적이기 때문에 진화론을 거부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자유주의 개신교가 진화론을 어떠한 신학적 여과기 없이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인 것에 대한 일종의 디스라고 할 수 있다.[42] 무신론적 세계관이 생물학적 진화론의 패키지 상품이 아니라는 이야기.[43] 독일 현대철학자 게르하르트 자우터와 1대 1로 키보드 배틀을 벌여 말로 무쌍을 찍었으나 끝을 보지 못하고 무승부로 끝낸 스토리를 녹취한 것을 책으로 펴낸 것이다. 이쪽에 관심이 많다면 필수로 읽어볼 것을 권한다.[44] Centre for Theology, Religion & Church[45] 그의 가장 대표적 기독교 저서인 순전한 기독교에서 인류의 다음 단계의 진화는 신앙을 가지고 신에게 돌아가는 형태일 것이며 이미 일어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즉, 다음 단계의 진화를 언급하며 이전에 진화가 있었음을 인정한 셈이다. 다른 저서인 기독교적 숙고의 위대한 신화의 장례식이라는 챕터에서는 사회진화론과 유사한 대중적 진화주의를 비판하며 진화론을 여러번 언급하는데, 가장 적은 가정으로 생물의 변화를 설명할 가장 유력한 설은 진화론이며 모든 생물학자들이 이에 동의함을 언급한다.[46] 기독교방송와의 인터뷰에서 유신론적 진화론을 받아들이라고 한국 개신교계에 조언하였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