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성왕후

 




'''조선 제23대 왕비
명성왕후 | 明聖王后
'''
존호 · 휘호 · 시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1px"현열희인정헌문덕명성왕후
(顯烈禧仁貞獻文德明聖王后)
<colbgcolor=#bf1400> '''시호'''
명성왕후(明聖王后)

<colbgcolor=#bf1400><colcolor=#ffd400> '''출생'''
1642년 6월 13일 (음력 5월 17일)
조선 한성부 장통방 사저[1]
'''사망'''
1684년 1월 21일 (음력 계해년 12월 5일)
(향년 41세)
조선 한성부 창경궁 저승전
'''능묘'''
숭릉(崇陵)
'''재위'''
'''조선 왕세자빈'''
1652년 1월 2일 ~ 1659년 6월 28일
(음력 신묘년 11월 21일# ~ 기해년 5월 9일)
'''조선 왕비'''
1659년 6월 28일 ~ 1674년 9월 17일
(음력 기해년 5월 9일 ~ 갑인년 8월 18일)
'''조선 왕대비'''
1674년 9월 22일 ~ 1684년 1월 21일
(음력 갑인년 8월 23일 ~ 계해년 12월 5일)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bf1400> '''본관'''
청풍(淸風)
'''전호'''
영모전(永慕殿)
'''부모'''
부친 청풍부원군 김우명(淸風府院君 金佑明)
모친 덕은부부인 은진 송씨(德恩府夫人 恩津 宋氏)
'''형제'''
5남 1녀 중 장녀
'''부군'''
현종
'''자녀'''
1남 4녀[19]

1. 개요
2. 생애
4. 대중매체
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조선의 제18대 왕 현종의 유일한 왕비.
숙종, 명선공주, 명혜공주, 명안공주의 어머니이자, 효종인선왕후의 외며느리이다. 성은 김씨로 김육의 차남인 청풍부원군 김우명과 덕은부부인 은진 송씨의 딸이다.
참고로 고종황제의 정실인 '''명성황후 민씨보다 200년 전의 인물이니 이름 가지고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 따라서 보통은 '명성왕후 김씨'[2], 혹은 '''명성대비'''[3]로 더 많이 불린다.
현종을 공처가로 만든 인물이자 아들 '''숙종''', 손자 '''영조''', 증손자 '''사도세자''', 현손자 '''정조'''에게 다혈질 종특(宗特)을 물려주었다고 의심되는 인물. 심지어 유약하다는 편견이 강한 경종마저 다혈질 종특을 숨기고 있다가 제대로 표출한 적이 여러 번 있었으니 후덜덜하다. 거기에 정조의 아들 순조조차도 가족 문제만 나왔다간 영조, 정조 급으로 난폭해졌으니 그야말로 충격과 공포.
실제로 조선 왕비들 중에서 둘째 가라면 서러울 '''다혈질'''인 왕비였다고 한다. 이와 맞먹는 왕비는 태종 이방원의 정실 원경왕후 정도? 참고로 여걸로 유명한 문정왕후 윤씨나 정순왕후 김씨는 적어도 개인 성품은 신중하고 침착한 편이었다. 명성왕후는 머리가 좋았으나 그 성깔 때문에 현종은 '''조선 왕조에서 사실상 유일하게 후궁을 두지 못한 왕'''이 되었다...[4] 사실 현종도 몹시 후궁을 두고 싶어했고, 후궁 간택 직전까지 간 적도 있었다. 그러나 명성왕후의 지시를 받은 한 신하의 반대로 실패했고, 현종이 그 신하를 한참동안 째려봤다는(...) 기록이 남아있다.[5][6] 거기에 시어머니이자 현종의 어머니인 인선왕후가 현종의 재위 기간 내내 정정했을 텐데도 끈질기게 성깔을 부린 것을 보면 명성왕후는 전통적인 유교적 왕비와 거리가 멀었다고 볼 수 있다. 현종과 인선왕후가 이런 명성왕후의 성격도 받아들일 정도로 개방적이고 대인이라서 망정이지, 이전 시대, 특히 성종 때 같았으면 왕실어른인 인수대비정희왕후에게도 찍히고도 남고 성종에게도 총애를 금방 잃고 폐비 윤씨 꼴이 났을 가능성이 100%이다
조선에서 왕세자빈으로 가례를 치르고 남편인 왕세자가 왕위를 계승하여 왕비가 되고 왕이 죽은 뒤 자신의 친아들이 즉위하여 대비가 된, 전형적인 왕후의 삶을 산 유일한 여인이다.[7]

2. 생애


아들인 숙종(肅宗)이 즉위한 뒤 왕대비에 오르면서 조정의 일에 자주 간섭하여[8] 남인들의 비난을 샀으며[9] 인평대군의 세 아들 복창군(福昌君)과 복선군(福善君), 복평군(福平君)이 숙종의 왕권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하여 그들이 궁녀들과 불륜의 관계를 맺었다고 모함하여 죽이려 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1675년에 일어난 '홍수(紅袖)[10]의 변'이다. 이 때 수렴청정을 하는 상황이 아닌데도 대전(大殿)까지 와서 통곡해서 물의를 빚기도 했다.[11]이는 명성왕후의 아버지 김우명이 홍수의 변 때 총대를 매고 삼복(복평군 형제들)을 탄핵했지만 결정적 증거가 없었기 때문에 오히려 삼복과 반대 당파에게 무고죄로 위기에 몰린 상황이라서 이랬던 것. 신하들 역시 '이건 뭐 문정왕후가 또 나타났나요?'[12]라고 비판하기도 했을 정도. 결국 무고죄로 몰린 아버지 김우명은 화병으로 죽는다.[13][14]
그 뒤에 궁녀 출신으로 숙종과 각별한 관계를 맺었던 희빈 장씨를, "성품이 극악(劇惡)하며 숙종이 꾀임을 받을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궁 밖으로 내쫓았다고 한다.[15] 그런데 명성왕후가 장희빈을 내쫓은 진짜 이유는, 그녀의 친정 일족인 김석주가 장희빈의 당숙 장현의 일가를 유배로 몰았던 탓도 있었다.[16] 실제로 장희빈은 이후 명성왕후의 당파인 서인과 대립하는 남인과 손을 잡았다. 반대로 시조모인 자의대비는 장희빈의 편을 들었다고. 이는 어떻게 보면 실권에서 자의대비가 명성왕후에게 한참 밀린다는 걸 나타내준다. 아무리 마음에 들지 않다고 해도, 명색이 시조모가 아끼는 아랫사람을 손주며느리가 마음대로 내쫓는다는 건 현대에도 상당히 예의에 어긋나는 행위이다. 예법이 엄격한 당대 왕실에선 말할 것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성왕후가 이렇게 당당하게 나섰다는 건, 그만큼 자의대비의 힘이 약했다는 것.
명성왕후의 죽음은 진짜 어이없었다. 숙종이 병(두창, 천연두)에 걸려 시름시름 사경을 헤매게 되자 평소 무속 신앙을 신봉했던 명성대비는 숙종의 무사쾌유를 기원하는 굿을 하였는데, 무당이 왕의 쾌유를 위해서는 '''"왕의 어머니가 삿갓을 쓰고 홑치마만 입은 채 물벌을 서야 한다"'''고 계시를 내린 것. 이에 명성왕후는 무당의 터무니없는 주장을 받아들여 혹독한 겨울 날씨에 삿갓을 쓰고 홑치마만 입은 채 물벼락을 맞았고, 결국 그 후유증으로 지독한 독감(고뿔)을 얻어 1683년 음력 12월에 죽었다. 하도 어처구니 없는 일이어서 그런지 신하들은 숙종에게 문제의 무당을 처형해야 한다고 했으나, 숙종은 귀양을 보내는 처벌로 사건을 마무리했다.
명성대비(明聖大妃)가 이렇게 어이없게 죽는 바람에, 장희빈은 명성왕후의 3년상이 끝난 1686년자의대비숙종에 의해 재입궁할 수 있었으며 곧 숙원으로 책봉되었다.

3. 왕릉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 내에 현종과 합장되어 있는 '''숭릉(崇陵)'''이다.

4. 대중매체


대중에게는 명성황후 민씨에 밀려서 인지도는 약간 떨어지지만 숙종시대의 사극에 '명성대비'로 꽤 등장한다. 장희빈 관련 사극에 무조건 등장하므로 역덕후, 특히 사극빠들은 명성대비라고 해야 알아듣는다.
1988년 MBC 드라마 <조선왕조 5백년 - 8부작 인현왕후>에서 김해숙이 배역을 맡았다. 고증에 맞게 가체(嘉締)를 착용했다.
1995년 SBS의 <장희빈>에서는 견미리가 배역을 맡았다. 드라마에서 명성왕후는 항상 시할머니 대왕대비 조씨와 대립하고, 장희빈을 미워하는 장면을 훌륭히 재현해내었다. 한편 당시 장희빈은 정선경, 대왕대비 조씨는 김영애가 배역을 맡았는데...
[image]
8년 뒤, SBS의 그 대왕대비 김영애가 이번에는 명성왕후가 되었다. 사진은 2003년 KBS 장희빈에서의 명성왕후. 배우의 포스를 그대로 받아들여 매우 후덜덜한 왕의 모후이자 시어머니로 나온다. 사진에서의 눈빛을 보면 알겠지만 역사에서의 기록을 훌륭히 고증하여 그 카리스마 넘치는 전광렬숙종도 명성왕후 앞에서는 학원 땡땡이 치고 PC방 가다 걸린 아들처럼 온순한 모습을 보여준다. 한국 사극 통틀어 역대급 연기력을 선보였다. 다른 등장인물들도 마찬가지로 가체 착용. 8년 전 SBS 장희빈에서는 주요 의식이 있는 장면에서만 명성왕후가 가체를 쓰고 나오고, 모든 여인들이 가체를 착용하지 않았다.

[image]
동이에서의 명성왕후. 처음부터 끝까지 희빈 장씨를 탐탁치 않아하며 친정인 서인을 두둔하고 인현왕후를 보호하는 모습으로 나오다 결국 인현왕후가 폐출되는 소식을 듣고 고통스러워하다 사망한다.[17] 명성왕후를 연기했던 박정수의 몸 상태가 안좋았던 건지 등장 후반부엔 거의 나오지 않고 극 흐름상 어쩔 수 없이 나와도 목 상태가 거의 맛이 간 상태여서 안타까움을 유발했다.
[image]
마의에서의 명성왕후. 왼쪽이 명성왕후고 오른쪽은 시어머니이자 효종의 비인 인선왕후 장씨. 배우는 이가현. 실제 역사에서는 불 같은 성격으로 유명한 여성이었지만, 현종시대 사극인 본 드라마에는 젊은 배우를 써서, 여기서는 말투도 조근조근하고 가끔 시누이 숙휘공주도 두둔하는 등 전형적인 현숙한 중전으로 나온다. 아무래도 대부분의 사극에서 숙종 대 왕의 모후인 대비로 나오다 거의 처음으로 현종 대를 배경으로 하는 사극에서 왕비로 나와서 그런 듯하다. 하지만 다혈질 대비로 익숙한 시청자들이 볼땐 아무리 봐도 둘째 며느리와 뒤바뀐 거 같다. [18]
[image]

장옥정, 사랑에 살다에서는 김선경이 연기했다. 장희빈을 괴롭히는 포지션을 맡아서인지, 다혈질 성격과 서인 편을 든다는 식의 고증은 제대로 되었다. 심지어 물벼락 벌로 골골대기까지 하는 것도. 장희빈을 괴롭히는 건 물론이고, 시할머니인 자의대비와 극한 대립하며 "자식이 없어서 쓸쓸히 늙어간다"는 망언도 서슴치 않는다. 근데 이 아줌마(?)가 뭔가를 꾸미면 결국 다 장희빈에게 좋은 일로 돌아온다. 며느리 인현왕후에게 "이 시어미만 믿으세요"라면서 뭔갈 시도하면, 다 시망하고 역관광당한다.

5. 둘러보기



[1] 지금의 서울 종로1가 혹은 남대문로 1가 일부이다.[2] 명성황후가 더 유명인이기 때문에, 혼동하지 않도록 명성왕후를 '명성왕후 김씨'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많다. 사실 명성왕후의 '명성'은 明'''聖''', 명성황후의 '명성'은 明'''成'''으로 '성'의 한자가 다른데, 이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기도 하고 우리말로는 한국어 발음이나 한글 표기나 둘 다 똑같은데다 왕후와 황후도 헷갈리기 쉬운 발음이다 보니 누가 누구인지 정확히 지칭해야 할 때는 성을 붙여 확실하게 해주기도 한다.[3] 명성황후 민씨는 명성왕후 김씨와 달리 대비가 되지 못했기 때문에 명성왕후를 '명성대비'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 듯한데, 사실 명성대비란 호칭은 원칙적으로는 옳지 않다. 그녀가 생전에 실제로 받은 존호는 '''현렬왕대비'''(顯烈王大妃)였고, 시호인 '명성'은 역시 사후에 올려지는 호칭인 '왕후'와 함께 붙여 쓰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 문제는... '''아들인 숙종이''' 인현왕후가 죽은 직후 직접 확인했을 '''행록에 명성대비(明聖大妃)라는 표현이''' 있다는 것(...). 출처는 숙종실록 35권, 27년(1701 신사 / 강희(康熙) 40년) 11월 23일(병오) 2번째 기사. 이 탓에 명성대비가 완전히 틀린 호칭이라고 보기도 애매한 상황.[4] 공식적으로는 경종이나 순종황제후궁이 없다. 하지만 경종과 순종은 재위 기간이 짧고 그 기간마저 정치적으로 복잡한 일이 있었던 점, 특히 순종은 아예 정상적인 치세를 하지 못했다는 것을 생각하면, 실질적으로 후궁이 없는 왕은 현종이 유일하다. 경종과 순종은 성불구 의혹도 있다는 공통점도 있는데, 확실히 확인된 사실은 아니지만 정말 성불구라서 후궁도 안 뒀거나, 반대로 후궁을 안 둬서 성불구란 루머가 퍼지는데 영향을 주었을지도 모른다. 참고로 도중 폐위된 연산군이나 광해군은 물론, 재위 기간이 8개월에 불과한 인종이나 추존왕인 덕종이나 원종, 장조, 그리고 어린 나이에 폐위된 '''단종'''조차도 후궁이 있었다.[5] 사실 명성왕후의 행동은 정말 어리석은 행동이었는데, 영아 사망률도 높았고 평균 수명도 낮았던 당시의 조선시대 왕실에선 최대한 왕의 핏줄을 많이 남겨두는 게 기본이었다. 게다가 명성왕후가 원경왕후(4남)와 소헌왕후(8남)처럼 슬하에 여러 대군들을 낳았으면 모를까, 아들이라곤 숙종 하나뿐이었고 그 숙종이 오래 살아 왕위 계승을 했기에 망정이지, 만약 숙종이 후대의 헌종처럼 자식을 남기지 못하고 일찍 요절했으면 어찌 되었을지... 게다가 이런 명성왕후의 행동은 훗날 엄청난 나비효과가 되어 결국 숙종이 외아들이 되어 효종의 직계가 단절되는데 나름 공헌(?)을 했다. 이로 인해 조선 후기로 갈수록 왕손이 귀해지면서 방계계승을 하게 되고 이것이 조선왕조 멸망의 원인 중 하나가 된다.[6] 현종 이후 간택후궁이 급격하게 줄어들었는데, 그 이유가 양반 가문에서 딸을 간택후궁으로 보내는 걸 꺼렸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도 있다.[7] 사후 추증된 것이 아닌 생전에 세자빈, 왕비, 대비를 모두 거친 여인은 정종비 정안왕후(定安王后), 태종비 원경왕후(元敬王后), 인종비 인성왕후(仁成王后), 효종비 인선왕후(仁宣王后), 현종비 명성왕후(明聖王后), 경종비 선의왕후(宣懿王后), 정조비 효의선황후(孝懿宣皇后), 순종비 순정효황후(純貞孝皇后) 총 8명이다. 하지만 이 중 정안왕후·원경왕후·인선왕후는 남편이 세자가 되기 전에 결혼했다가 나중에 세자빈이 된 경우이며, 인성왕후·선의왕후·효의왕후·순정효황후는 자신의 친아들이 즉위해서 대비가 된 것이 아니다.[8] 참고로 명성왕후는 수렴청정을 할 수 없었다. 그녀가 당시 왕실 최고 어른(당시 최고 어른은 자의대비.)이 아니었기 때문에 어차피 못했겠지만, 숙종이 모후를 닮은 다혈질 성격이라서 즉위했을 때부터 친정을 원했기 때문. 물론, 본인이 왕실의 최고 어른이였고 숙종이 4~5살 정도에 즉위했다면 수렴청정을 해줄 수는 있었다.[9] 명성왕후의 친정아버지 김우명은 서인이었다.[10] 붉은 소매라는 뜻. 궁녀의 소매 끝동이 붉은색이었기 때문에 궁녀를 가리키는 표현으로도 쓰였다.[11] 대소신료들이 등청을 하고 보니 대전에서 통곡소리가 나고 있었다. 여기서 "내가 죽어야지" + "주상이 어려서 뭘 모른다"를 시전하신다. 3일 후에 윤휴가 "대신과 삼사가 당황해했다"고 문제삼으며 왕이 조관(調寬)하지 못한 바가 있었다고 에둘러 깐다.[12] 실제로 이런 발언이 나왔었다! 여기서 후대인들은 조선 사회에서 문정왕후란 이름은 어떤 의미였는지, 명성왕후는 얼마나 강한 성격이었을지 짐작해볼 수 있다.[13] 아이러니하게도 삼복(복평군 형제들)은 경신환국 때 결국 역모죄로 숙청된다. 삼복에게는 형인 복녕군이 있었는데, 젊은 나이로 요절하는 바람에 형제들의 숙청에는 휩쓸리지 않았다. 참고로 흥선대원군의 실제 혈통은 복녕군의 후손(인평대군의 후손이라고 봐도 된다.)이다.[14] 삼복의 형인 복녕군의 딸은 명성왕후의 올케였다. 명성왕후의 남동생 김석달의 처가 복녕군의 딸. 그리고, 명성왕후의 고종사촌 언니(창원군부인 황씨)는 복창군의 처였다. 명성왕후의 고모가 황도명에게 시집가서 낳은 딸.[15] 숙종실록에는 장희빈의 복귀를 청했던 인현왕후에게 "내전(內殿)이 그 사람을 아직 보지 못하였기 때문(에 그런 말을 하는것)이오. 그 사람이 매우 간사하고 악독하고, 주상이 평일에도 희로(喜怒)의 감정이 느닷없이 일어나시는데, 만약 꾐을 받게 되면 국가의 화가 됨은 말로 다할 수 없을 것이니, 내전은 후일에도 마땅히 나의 말을 생각해야 할 것이오."라고 말했다고 적고 있다.[16] 경신환국 당시 대역죄인으로 처형된 복선군 이남과 친밀히 지내왔다는 구실로 김석주가 장현뿐만 아니라 그의 조카와 아버지까지 유배를 보냈다. 조정의 일에 자주 간섭했던 그녀에겐 장희빈의 등에 업혀 남인이 복귀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던 것이다.[17] 하지만 실제 역사에서는 인현왕후가 폐서인되기 한참 전에 사망했으므로 고증오류라고 할 수 있다.[18] 참고로 며느리인 인선왕후가 시어머니 장렬왕후보다 나이가 6살 더 많다. 장렬왕후 조씨는 15살 때 44살인 인조의 계비로 책봉되어, 인조의 자녀들보다도 어렸기 때문. 역시 어린 나이에 늙은 왕의 계비가 된 인목왕후, 정순왕후 역시 비슷한 상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