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체육회 컬링팀

 




'''경상북도체육회 컬링팀'''
창단
남자팀
2001년 (경북도청)
2007년 (경북체육회)
여자팀
2010년
믹스더블팀
2016년 3월
올림픽
출전횟수
남자팀
1회
2018
여자팀
1회
2018
믹스더블팀
1회
2018
최고순위
남자팀
7위 (2018)
여자팀
2위 (2018)
믹스더블팀
5위 (2018)
세계선수권
출전횟수
남자팀
1회 (경북도청)
2003
1회 (경북체육회)
2018
여자팀
2회
2017, 2018
믹스더블팀
3회
2016, 2017, 2018
최고순위
남자팀
4위 (2018)
여자팀
5위 (2018)
믹스더블팀
4위 (2018)
한국선수권 우승
남자팀
3회 (경북도청)
2001, 2002, 2003
5회 (경북체육회)
2009, 2011, 2012, 2017, 2019
여자팀
5회
2012, 2014, 2016, 2017, 2020
믹스더블팀
4회
2016, 2017, 2019, 2020
[1]
1. 개요
2. 역사
2.1. 초창기
2.2. 의성컬링센터와 스포츠클럽
2.3. 경북체육회로 재창단
2.4. 평창 올림픽 대표팀
2.5. 평창 올림픽 이후
3. 선수단
3.1. 시즌별 선수단
4. 시즌별 대회 성적
4.1. 남자팀
4.2. 여자팀
4.3. 믹스더블
5. 시즌별 월드 컬링 투어
6. 기타

[clearfix]

1. 개요


경상북도체육회 소속 컬링팀. 보통 지자체 체육회에서는 우수선수에게 지원비를 주는 방식인데[2] 경북체육회 컬링팀은 급여를 받는 정식 실업팀이다. 다른 시도청 팀도 실제로는 시도체육회에서 위탁 운영을 하고 있기에 실질적으로 시도청 팀과 큰 차이는 없다.

2. 역사


경북체육회 컬링팀이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은 의성군이 한국 컬링의 수도가 되기까지의 역사와 함께 한다.

2.1. 초창기


한국 컬링의 대부라 불리는 김경두는 원래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컬링을 전파했었다. 김경두의 자녀인 김민정김민찬 남매, 의성군 출신 김창민[3] 등이 이 시기 컬링을 시작했다.
2001년에 국내 첫 컬링 실업팀인 경북도청 팀이 만들어지면서 도청의 지원 하에 2003 아오모리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남자 대표팀으로 출전한 경북도청 팀은 금메달을 땄다. 그러나 이후 강원도청 팀에 번번이 국가대표를 내준 탓인지 팀 선수들은 뿔뿔이 흩어지면서 사실상 해체됐다. 특히나 당시 경북도청 스킵 이동건과 서드 김수혁은 부산을 거쳐 강원도청으로 이적하면서 이후 경북체육회 남자팀과는 둘도 없는 라이벌이 되고 만다.
그런데 2018년 경북체육회 선수들이 지도부의 전횡을 폭로한 후 이 당시 선수들도 팀을 나온 경위에 대해 말했는데, 팀이 좋은 성적을 내자 김경두가 자신의 말을 잘 듣는 어린 선수를 중심으로 팀을 재편했다고 한다. 자의로 팀을 나온 게 아니라 쫓겨났다는 것. 주축 선수들을 죄다 내보내도 좋은 인프라 조건을 갖고 있어서 김경두 일가가 새로운 선수들을 육성하는 데 지장이 없었고, 비인기 종목이고 사실상 김경두 일가가 컬링 종목을 잡고 있던 탓에 쫓겨난 선수들이 제 목소리를 내긴 어려운 형편이었다.

2.2. 의성컬링센터와 스포츠클럽


한편 김경두가 지도하던 컬링팀이 훈련장으로 쓰던 대구실내빙상장은 다른 종목도 같이 쓰는 곳이었고, 비인기 종목인 컬링은 다른 종목이 다 끝난 후에나 연습할 수 있었다[4]. 김경두는 컬링 발전을 위해서는 컬링 전용장이 있어야 했다고 생각했고, 노력 끝에 2006년 그의 고향인 의성에 의성컬링센터가 지어졌다.
이렇게 만들어진 컬링장에 김경두는 그동안 생각했던 또다른 꿈인 컬링의 생활스포츠화를 위해서 동생 김경석을 끌어들였다. 당시 김경석은 중학교 교사로 형과 마찬가지로 컬링 지도자 자격증을 갖고 있어 원래 경주 지역 학생들에게 컬링을 전파하고 있었는데, 형의 권유로 2006년 의성여자고등학교로 부임했다. 원래 의성여고는 농구부로 유명했지만[5] 김경석이 부임할 즈음에 마침 농구부가 해체됐다.
형제 모두 엘리트 체육으로 분류되는 레슬링 선수 출신이지만 둘다 마찬가지로 공부와 컬링을 통한 운동을 같이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고자 했고, 김경석이 감독을 맡은 의성여고 컬링부는 야간자율학습 시간과 주말에 컬링을 했다.
그렇게 만들어진 컬링부에 김은정이 흥미를 보이자 김경석은 친구 1명[6]을 더 데리고 오라고 해서 김영미가 컬링을 시작하게 됐고, 김경석은 언니의 심부름으로 컬링장에서 마주친 김경애가 컬링에 흥미를 보이자 마찬가지로 친구 1명을 더 데리고 오라고 해서 김선영이 컬링을 시작하게 됐다. 이후로도 김경석은 2017년까지 의성여고의 컬링부 감독을 맡았고, 뿐만 아니라 경북 선수들이 주니어 대표팀으로 출전할 때에는 대표팀 감독을 맡았다.
한편 2006년 의성공업고등학교에 부임한 김양식 교사는 매사에 의욕이 없는 학생들을 볼 때마다 안타까움을 느끼다 마침 근처에 컬링장이 생기면서 학생들에게 컬링을 시키기로 했다. 사실 김양식 교사 본인도 컬링 문외한이라서 다른 팀들의 경기 장면과 학생들의 시합 장면을 녹화해가며 컬링을 배워갔다. 학교에서는 방과 후 활동에 불과했기에 딱히 지원도 없어 처음에는 김양식 교사가 자비로 합숙비와 대회 참가비를 부담해야 했다. 그런 열악한 상황에서 2006년 첫 참가 대회에서 고등부 3위를 참가한데 이어 2007년과 2008년에는 연속해서 우승을 했다. 이후로는 학교 뿐만 아니라 지자체에서도 지원을 해주면서 해외 훈련까지 할 정도가 됐다. 평소에는 칭찬과 거리가 멀었다가 컬링을 통해 점점 칭찬을 듣게 되면서 학생들의 태도도 많이 달라졌다. 팀의 세컨드를 맡고 있던 서영선은 중학교 때만 하더라도 성적이 전교 하위권이었다가 고교 3학년 무렵에는 자격증도 5개나 따고 성적도 전교 1, 2등을 다툴 정도로 급상승했고, 팀의 스킵을 맡고 있던 성세현은 고교 입학 때만 하더라도 졸업장만 받고 군대 갈 생각 밖에 없었지만 대학 졸업 후 체육교사가 되겠다는 꿈을 가지게 됐다고. 때문에 당시 언론 보도에는 문제아들이 모범생으로 바뀌었다고 보도됐지만, 이는 좀 과장이고 공고생 기준으로는 평범한 학생들이었다고 한다. 서영선과 성세현은 대학 입학을 앞두고 2009 하얼빈 동계 유니버시아드 대표팀에 뽑혔고 이후 둘 다 경북체육회에 입단했다.
이렇듯 의성컬링센터 덕분에 의성 학생들은 스포츠클럽 형태로 컬링을 즐겼지만[7] 그러면서도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한국주니어컬링선수권대회만 봐도 의성여고 출신 학생들로 이뤄진 경북 주니어 여자팀은 2009년부터 2014년까지 5년 연속 우승했고, 경북 주니어 남자팀은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 연속 우승했다. 그밖에 2016-2017 시즌에는 의성스포츠클럽 남자 고등부 팀[8]이 전국 4개 대회 모두 우승했고 2017 한국선수권에서도 3위를 했다.

2.3. 경북체육회로 재창단


주축선수들이 다 떠난 경북도청 컬링팀은 2007년 경북체육회 소속으로 변경되며 재창단됐다. 고교 선배와 동기가 타지역으로 떠난 와중[9]에도 의성에 남은 김창민과 김경두의 아들인 김민찬을 중심으로 경북 출신 대학생들[10]로 구성됐다. 이후 의성공고 출신 성세현과 서영선, 경북컬링협회장 오세정의 차남 오은수가 가세했다.
여자팀은 2010년 김경두의 장녀 김민정, 의성여고 출신 김은정김영미, 김경석이 경주에 있던 시절에 지도했던 이선미와 권수정 등 5명으로 창단됐다. 다만 이 초창기 멤버는 김은정과 김영미가 주니어 대표팀에서 같이 호흡을 맞춰온 김경애김선영의 고교 졸업을 기다리기 위한 임시적인 구성으로 추측된다.
믹스더블팀은 2016 한국선수권에 믹스더블이 추가되면서 2016년 3월에 창단됐다. 공식 창단에 앞서 전국동계체육대회와 3월 세계믹스더블컬링선수권대회 파견대표 선발전에서 우승했던 이기정장혜지가 믹스더블 선수가 됐다.

2.4. 평창 올림픽 대표팀


2017 KB금융 한국컬링선수권대회에서 남자, 여자, 믹스더블까지 모두 경북체육회가 우승하면서 경북체육회 팀이 컬링 대표팀이 됐다. 2017 아시아태평양선수권에서도 남녀팀 모두 우승했다. 대한민국 남녀 대표팀이 이 대회에서 동반 우승한 건 이때가 처음이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의 활약상은 해당 문서를 참조.
올림픽 이후 세계선수권에서는 남녀, 믹스더블 모두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지만 남자, 믹스더블팀은 한국 컬링 대표팀 처음으로 4강에 진출했다.

2.5. 평창 올림픽 이후


경북체육회 남녀, 믹스더블팀은 평창 올림픽이 끝난 후 2018 한국선수권에서 여자팀만 출전해 준우승을 했을 뿐 그 이후로는 남녀, 믹스더블 등 어떠한 팀도 예년처럼 투어 대회에 출전하지 않았다. 그리고 그 와중에 여자 선수들의 지도부에 대한 폭로가 있었다. 자세한 건 경북체육회 컬링팀 지도부 폭로 사건 참조.
선수들의 폭로가 나온 후 김경두 일가는 컬링장의 문을 닫아버렸고, 김경두 일가가 컬링팀에서 손을 떼면서 우여곡절 끝에 컬링팀은 2018년 12월 29일 지도부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복귀했다. 그러나 컬링장이 문을 닫은 사이 아이스메이커도 국제 자격증을 따기 위해 사표를 내고 떠났지만 국내 다른 아이스메이커들이 자원봉사 차원에서 아이스메이킹을 도와주며 겨우 훈련을 재개했다.

2019년 2월 전국동계체육대회로 복귀했다. 국가대표는 이미 다른 팀으로 다 넘어갔지만 특히 여자팀을 취재하기 위해 동계체전 컬링 경기로는 이례적으로 수십 명의 취재진이 몰렸다고. 김은정의 임신으로 김경애가 스킵을 맡은 여자팀은 준우승, 이기복-이기정 형제가 다시 뭉친 남자팀은 우승, 이기정의 남자팀 합류로 새로 호흡을 맞추게 된 성유진-장혜지 믹스더블팀은 공동 3위를 하면서 겨우 한 달 남짓한 훈련 기간에도 불구하고 3팀 모두 입상권에 들었다.
그리고 동계체전 이후 감사 결과가 발표되면서 선수들의 주장 대부분이 사실로 밝혀졌다. 그러나 폭로 이후 임명섭 코치 혼자 3팀의 감독 역을 도맡았기에 새로운 감독들의 선임과 컬링장을 관리할 아이스 메이커를 구해야 하는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았다. 문제가 해결되더라도 2018-2019 시즌은 사실상 개점 휴업이었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손꼽히던 남녀팀 모두[11] 2019-2020 시즌에는 랭킹 포인트를 잃어버린 채 밑바닥에서 다시 시작하게 됐다. 평창 올림픽까지 여자팀의 코치를 맡았던 피터 갤런트[12]가 WCT 악틱 컵 출전을 앞둔 5월 중순에 다시 합류했다. 다만 소속팀인 경북체육회의 예산 문제로 7월 한국선수권까지만 함께 한다고. 이와 별개로 경북체육회에서 새로운 국내 코치를 모집했는데 7월 초 경북체육회가 발표한 바로는 안재성 코치를 포함해 2명의 코치를 채용했다고 나왔는데[13] 8월 기사에 여자팀은 새 지도자를 찾고 있다고 나왔다.
2019 한국선수권에서 2년만에 출전한 남자팀과 믹스더블 팀은 국가대표를 탈환했으나, 전년도 전승준을 했던 여자팀은 김은정의 공백 속에 3위에 그쳤다. 남자팀은 아시아태평양선수권에서 우리나라 남자팀으로는 처음으로 전승 우승하며 세계선수권에서의 활약을 기대하게 했으나[14] 코로나 19 때문에 세계선수권은 취소됐다. 믹스더블팀의 경우 믹스더블 2팀이 합쳐 출전한 세계믹스선수권(혼성 4인)에서는 4위를 기록하고, 세계 퀄리피케이션 이벤트에서도 3위에 들면서 세계선수권 출전권을 획득했다.
2020년 한국선수권에서 여자팀은 전승 우승하면서 3년만에 국가대표가 된 반면, 남자팀 역시 예선 1위로 결승에 직행했으나 경기도컬링경기연맹팀에 엑스트라 엔드까지 가는 승부 끝에 지면서 국가대표 수성에 실패했다. 믹스더블은 집안 경쟁이 된 결승전에서 A팀이 2년 연속 우승했다. 그런데 2020년 한국선수권이 끝나고 이기복-이기정 형제와 성유진이 강원도청으로 이적하면서 팀에 공백이 생겼다. 특히나 3명 모두 경북체육회에서 실업팀 선수 생활을 시작했기에 경북체육회로서는 더욱 아쉬운 부분. 서울시청김수혁을 영입하고 군제대한 성세현이 합류하면서 급한 불은 껐다.
2021년 여자팀 선수들은 재계약에 실패하며 결국 경북체육회를 떠나게 됐다. 그나마 국가대표 자격이 있지만, 대한컬링경기연맹이 회장 선거 파행으로 국가대표로서 제대로 지원받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송유진마저 팀을 떠났다.[15] 2달 사이에 9명이나 팀을 떠난 셈인데, 가장 큰 원인은 연봉 문제 때문이었다. 경북체육회 컬링팀 대다수의 선수들은 평창 올림픽이 있기 이전 장기 계약을 맺어 다시 계약을 맺었어야 하는데, 선수들이 올림픽이나 세계선수권 등의 성적을 바탕으로 연봉 인상을 요구했지만 경북체육회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연봉 동결안을 제시해 선수들의 생각과 격차가 컸다.[16] 그런데 경주시청 트라이애슬론 팀 집단 가혹행위 사건 이후 경북의 모든 실업팀을 대상으로 한 전수조사 결과, 송유진을 포함해 경북체육회 컬링팀의 일부 선수들은 한동안 '''최저시급보다 더 낮은 임금'''을 받았었다. 다른 팀들이 선수들에게 별도의 계약금을 지불하는 것과는 대비되는 부분. 어쨌든 남은 전재익은 남자팀에 합류했고, 장혜지의 새로운 파트너로는 대전컬링경기연맹의 전병욱[17]을 영입했다.

3. 선수단


  • 코칭스태프
윤소민[18](남자팀 코치), 안재성[19](믹스더블팀 코치), 임명섭(코치)
  • 남자 선수
이름
포지션
생년월일
출신고교
투구
기타 사항
김수혁 (Kim Soo-hyuk)
서드
1984년 5월 5일 (40세)
의성고
오른손

김창민 (Kim Chang-min)
스킵
1985년 9월 4일 (39세)
의성고
오른손

성세현 (Seong Sehyeon)
세컨드
1990년 12월 2일 (34세)
의성공고[20]
오른손

김학균 (Kim Hak Kyun)
리드
1996년 3월 12일 (28세)
춘천기계공고
오른손

전병욱 (Jeon Byeong Uk)
믹스더블
1997년 2월 26일 (27세)
청주 봉명고
오른손

전재익 (Jeon Jae Ik)
핍스
1998년 4월 21일 (26세)
안동 경안고[21]
오른손

  • 여자 선수
이름
포지션
생년월일
출신고교
투구
기타 사항
장혜지 (Jang Hyeji)
믹스더블
1997년 8월 7일 (27세)
의성여고
오른손


3.1. 시즌별 선수단


  • 남자팀
시즌
스킵
서드
세컨드
리드
핍스
기타
2007-2008
김창민
김민찬
임명섭
정태연


2008-2009
이신호

2009-2010
성세현

2010-2011
성세현
서영선
오은수

2011-2012

2012-2013

2013-2014

2014-2015
성세현
오은수
김치구
김민찬
이기정
2015-2016
이기정
장반석
김창민[22], 이기복
2016-2017
김창민
성세현
오은수
김치구[23]
이기복
김민찬[24], 성유진
2017-2018
이기복
김민찬
김치구, 성유진
2018-2019
이기정
[25]
전재익
2019-2020
김학균
-

2020-2021
이기정

김수혁
이기복

성세현
김학균
공석

전재익

  • 여자팀
시즌
스킵
서드
세컨드
리드
핍스
기타
2010-2011
김은정
김민정
김영미
이선미
권수정

2011-2012
오은진
박민주

2012-2013
김경애
김선영
김영미
김민정

2013-2014

2014-2015

2015-2016
김초희
김민정
2016-2017

2017-2018
김민정
2018-2019
김경애
김초희
김은정
[26], 송유진
2019-2020
김경애

김은정[27]
김초희

김경애
김은정

김초희[28]

2020-2021[29]
김은정
김경애
김초희
김선영
김영미

  • 믹스더블팀
시즌
남자
여자
2016-2017
이기정
장혜지
2017-2018
2018-2019
성유진
2019-2020
A
성유진
장혜지
B
전재익
송유진
2020-2021
A
성유진[30]

전병욱
장혜지
B[31]
전재익
송유진

4. 시즌별 대회 성적


관련 정보 부족으로 2010년대 이전 대회는 일부 누락됐다. 유니버시아드나 주니어 대회는 나이 제한 때문에 일부 선수들만 참가한 경우(※)가 있다.

4.1. 남자팀


경북도청 시절 포함.
  • 2001-2002 시즌(국가대표)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2001 전국컬링선수권 (10월)
춘천 의암실내빙상장
1위
국가대표
2001 태평양선수권 (11월)
전주 화산빙상장
4위
국내대회
83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성남 실내빙상장
1위
국내대회
2002 전국컬링선수권 (2월)
성남 실내빙상장
1위
  • 2002-2003 시즌(국가대표)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가대표
2002 태평양선수권 (11월)
뉴질랜드 퀸스타운
1위
대학대표
2003 동계 유니버시아드 (1월)
이탈리아 타르비시오
3위
국가대표
아오모리 동계 아시안게임 (2월)
일본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
1위
국내대회
84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태릉선수촌 컬링장
1위
국가대표
2003 세계선수권 (3월)
캐나다 매니토바 위니펙
10위
국내대회
2003 전국컬링선수권 (2월)
성남 실내빙상장
3위
  • 2003-2004 시즌(국가대표)
분류
대회
장소
결과
월드 컬링 투어
애셤 컬링 서플라이스/프레스티지 인 클래식 (10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버넌
예선 탈락
월드 컬링 투어
앨리드 윈도즈 웨스트코스트 컬링 클래식 (10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뉴웨스트민스터
예선 탈락
월드 컬링 투어
톰슨 호텔 크라운 오브 컬링 (10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캠루프스
예선 탈락
월드 컬링 투어
BDO 컬링 클래식 웨스트 (10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켈로나
6위
국가대표
2003 태평양선수권 (11월)
일본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
3위
국내대회
85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익산 아이스링크
2위
  • 2004-2005 시즌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5회 회장배 대회 (11월)
춘천 의암실내빙상장
2위
국내대회
86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태릉선수촌 컬링장
1위
국내대회
2005 전국컬링선수권 (4월)
의정부 실내빙상장
3위
국내대회
2006 전국주니어컬링선수권(※)[32] (4월)
의정부 실내빙상장
1위
  • 2005-2006 시즌
분류
대회
장소
결과
주니어대표
2006 태평양주니어컬링선수권(※)[33] (1월)
중국 베이징시
3위
국내대회
2006 전국주니어컬링선수권(※)[34] (4월)
의정부 실내빙상장
1위
국내대회
2006 전국컬링선수권 (4월)
의정부 실내빙상장
2위
  • 2006-2007 시즌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2007 동계 유니버시아드 파견대표 선발전 (12월)
태릉선수촌 컬링장
1위
주니어대표
2007 태평양주니어컬링선수권(※)[35] ,,(1월)
뉴질랜드 네이즈비
2위
대학대표
2007 토리노 동계 유니버시아드 (1월)
이탈리아 토리노
5위
  • 2007-2008 시즌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1회 경북지사배 대회 (11월)
의성컬링센터
2위
국내대회
89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부산 북부빙상장
3위
  • 2008-2009 시즌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8회 회장배 대회 (10월)
의정부 실내빙상장
3위
국내대회
2회 경북지사배 대회 (11월)
의성컬링센터
1위
국내대회
2009 동계 유니버시아드 파견대표 선발전 (12월)
태릉선수촌 컬링장
1위
국내대회
2009 전주 전국컬링경기대회 (1~2월)
전주 화산빙상장
3위
국내대회
90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의정부 실내빙상장
1위
대학대표
2009 하얼빈 동계 유니버시아드 (2월)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4위
국내대회
2009 한국선수권 (4월)
전주 화산빙상장
1위
  • 2009-2010 시즌(국가대표)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가대표
뉴질랜드 동계 대회 (8월)
뉴질랜드 더니든
4위
월드 컬링 투어
웨스트코스트 컬링 클래식 (10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뉴웨스트민스터
예선 탈락
월드 컬링 투어
캠루프스 크라운 오브 컬링 (10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캠루프스
예선 탈락
국가대표
2009 태평양선수권 (11월)
일본 나가노현 카루이자와정
3위
국내대회
3회 경북지사배 대회 (11월)
의성컬링센터
1위
해외초청대회
카루이자와 국제컬링선수권대회 (2월)
일본 나가노현 카루이자와정
3위
국내대회
91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익산 아이스링크
1위
  • 2010-2011 시즌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10회 회장배 대회 (10월)
춘천 의암실내빙상장
1위
국내대회
4회 경북지사배 대회 (11월)
의성컬링센터
1위
대학대표
2011 에르주룸 동계 유니버시아드 (1~2월)
터키 에르주룸
1위
국내대회
2011 한국선수권 (4월)
의정부 실내빙상장
1위
국내대회
2011 한국주니어선수권(※)[36] (4~5월)
의정부 실내빙상장
3위
  • 2011-2012 시즌(국가대표)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가대표
뉴질랜드 동계 대회 (8월)
뉴질랜드 더니든
1위
월드 컬링 투어
캠루프스 크라운 오브 컬링 (10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캠루프스
5위
월드 컬링 투어
캑터스 피전트 클래식 (10월)
캐나다 앨버타 브룩스
예선 탈락
국내대회
5회 경북지사배 대회 (11월)
의성컬링센터
1위
국가대표
2011 아시아태평양선수권 (11월)
중국 장쑤성 난징시
3위
해외초청대회
카루이자와 국제컬링선수권대회 (1월)
일본 나가노현 카루이자와정
3위
국내대회
93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전주 화산빙상장
1위
국내대회
10회 태백곰기 대회 (2월)
춘천 의암실내빙상장
1위
국내대회
2012 한국선수권 (4월)
의정부 실내빙상장
1위
국내대회
2012 한국주니어선수권(※)[37] (4월)
의정부 실내빙상장
3위
  • 2012-2013 시즌(국가대표)
분류
대회
장소
결과
월드 컬링 투어
프레스티지 호텔스&리조트 컬링 클래식 (9~10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버넌
예선 탈락
월드 컬링 투어
샴록 샷건 (10월)
캐나다 앨버타 에드먼턴
3위
월드 컬링 투어
MNP 채리티 클래식 (10월)
캐나다 앨버타 메디슨햇
예선 탈락
월드 컬링 투어
밸리 퍼스트 크라운 오브 컬링 (10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캠루프스
예선 탈락
월드 컬링 투어
캑터스 피전트 클래식 (10월)
캐나다 앨버타 브룩스
예선 탈락
국가대표
2012 아시아태평양선수권 (11월)
뉴질랜드 네이즈비
4위
국내대회
6회 경북지사배 대회 (11~12월)
의성컬링센터
2위
국내대회
11회 태백곰기 대회 (1~2월)
춘천 의암실내빙상장
1위
국내대회
94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전주 화산빙상장
1위
국내대회
2013 한국선수권 (4월)
춘천 의암실내빙상장
2위
해외초청대회
카루이자와 국제컬링선수권대회 (4월)
일본 나가노현 카루이자와정
1위[38]
  • 2013-2014 시즌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2013 동계 유니버시아드 파견대표 선발전 (9월)
의성컬링센터
1위
국내대회
1회 신세계-이마트 대회 (10월)
의성컬링센터
2위
월드 컬링 투어
캠루프스 크라운 오브 컬링 (10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캠루프스
예선 탈락
월드 컬링 투어
캑터스 피전트 클래식 (10월)
캐나다 앨버타 브룩스
예선 탈락
월드 컬링 투어
레드 디어 컬링 클래식 (11월)
캐나다 앨버타 레드디어
예선 탈락
월드 컬링 투어
오리지널 16 WCT 본스필 (11월)
캐나다 앨버타 캘거리
1위[39]
월드 컬링 투어
스프루스 그로브 캐시스필 (11월)
캐나다 앨버타 스프루스그로브
2위
대학대표
2013 트렌티노 동계 유니버시아드 (12월)
이탈리아 트렌티노
8위
국내대회
7회 경북지사배 대회 (12월)
의성컬링센터
1위
국내대회
95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의성컬링센터
1위
국내대회
2014 한국선수권[40] (4월)
전주 화산빙상장
2위
국내대회
2014 한국주니어선수권(※)[41] (4월)
의성컬링센터
1위
  • 2014-2015 시즌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2회 신세계-이마트 대회 (5월)
의성컬링센터
2위
국내대회
14회 회장배 대회 (9월)
의성컬링센터
2위
월드 컬링 투어
프레스티지 호텔스&리조트 컬링 클래식 (10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버넌
예선 탈락
월드 컬링 투어
허브 인터내셔널 크라운 오브 컬링 (10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캠루프스
예선 탈락
국내대회
8회 경북지사배 대회 (11월)
의성컬링센터
1위
국내대회
2015 동계 유니버시아드 파견대표 선발전 (12월)
의성컬링센터
1위[42]
주니어대표
2015 아시아태평양주니어선수권
뉴질랜드 네이즈비
1위
국내대회
96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인천 선학국제빙상장
1위
주니어대표
2015 세계주니어선수권(※)[43] (2~3월)
에스토니아 탈린
7위
국내대회
2015 한국선수권 (4월)
인천 선학국제빙상장
3위
국내대회
2015 한국주니어선수권(※)[44] (4~5월)
의성컬링센터
1위
  • 2015-2016 시즌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3회 신세계-이마트 대회 (5월)
의성컬링센터
1위
월드 컬링 투어
의성국제컬링대회 (8월)
의성컬링센터
3위
국내대회
15회 회장배 대회 (10월)
의성컬링센터
1위
월드 컬링 투어
레드 디어 컬링 클래식 (10월)
캐나다 앨버타 레드디어
예선 탈락
월드 컬링 투어
휴론 리프로그래픽스 오일 헤리티지 클래식 (10~11월)
캐나다 온타리오 사니아
예선 탈락
월드 컬링 투어
쿡스타운캐시 (11월)
캐나다 온타리오 쿡스타운
예선 탈락
월드 컬링 투어
DEKALB 슈퍼스필 (11월)
캐나다 매니토바 모리스
예선 탈락
월드 컬링 투어
카루이자와 국제컬링선수권대회 (12월)
일본 나가노현 카루이자와정
2위
국내대회
9회 경북지사배 대회 (12월)
의성컬링센터
1위
주니어대표
2017 세계주니어B선수권(※)[45] (1월)
핀란드 로흐야
3위
국내대회
97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의성컬링센터
1위
국내대회
2016 한국선수권[46] (4월)
의성컬링센터
2위
  • 2016-2017 시즌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4회 신세계-이마트 대회 (5~6월)
의성컬링센터
3위
월드 컬링 투어
홋카이도은행 컬링 클래식 (8월)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7위
월드 컬링 투어
의성국제컬링대회 (8월)
의성컬링센터
1위
국내대회
16회 회장배 대회
의성컬링센터
1위
월드 컬링 투어
마더 클럽 폴 컬링 클래식 (9월)
캐나다 매니토바 위니펙
2위
월드 컬링 투어
KKP 클래식 (9~10월)
캐나다 매니토바 위니펙
1위
월드 컬링 투어
스튜셀스 토론토 탱커드 (10월)
캐나다 온타리오 토론토
3위
월드 컬링 투어
캐나드 인스 멘스 클래식 (10월)
캐나다 매니토바 포티지러프레리
예선 탈락
국가대표
2016 세계믹스선수권(※)[47] (10월)
러시아 카잔
4위
국내대회
2017 동계 유니버시아드 파견대표 선발전(※)[48] (12월)
의성컬링센터
1위
국내대회
2016 한국주니어선수권(※)[49] (12월)
태릉선수촌 컬링장
1위
국내대회
10회 경북지사배 대회 (12월)
의성컬링센터
1위
국내대회
98회 전국동계체육대회 (1월)
이천훈련원 컬링장
1위
대학대표
2017 알마티 동계 유니버시아드(※)[50] (1~2월)
카자흐스탄 알마티
5위
주니어대표
2017 세계주니어선수권(※)[51] (2월)
강릉 컬링 센터
1위
국내대회
2017 한국선수권 (3, 4, 5월)
이천훈련원 컬링장
2위(1차전)
1위(2차전)
1위(3차전)
  • 2017-2018 시즌(국가대표)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5회 신세계-이마트 대회
의성컬링센터
1위
월드 컬링 투어
홋카이도은행 컬링 클래식 (8월)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7위
월드 컬링 투어
스튜 셀스 오크빌 탱커즈 (9월)
캐나다 온타리오 오크빌
2위
월드 컬링 투어
바이오스틸 오크빌 폴 클래식 (9월)
캐나다 온타리오 오크빌
2위
월드 컬링 투어
KW 폴 클래식 (9월)
캐나다 온타리오 워털루
3위
월드 컬링 투어
칼리지 클린 레스토레이션 컬링 클래식 (9~10월)
캐나다 서스캐처원 새스커툰
2위
국가대표
2017 세계믹스선수권(※)[52] (10월)
스위스 샴페리
9위
월드 컬링 투어
캐나드 인스 멘스 클래식 (10위)
캐나다 매니토바 포티지러프레리
예선 탈락
국가대표
2017 아시아태평양선수권 (11월)
호주 에리나
1위
그랜드슬램
내셔널 (11월)
캐나다 온타리오 수세인트마리
2위[53]
월드 컬링 투어
카루이자와 국제컬링선수권대회 (12월)
일본 나가노현 카루이자와정
2위
그랜드슬램
캐내디언 오픈 (1월)
캐나다 앨버타 캠로즈
예선 탈락
국가대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2월)
강릉 컬링 센터
7위
국가대표
2018 세계선수권 (3~4월)
미국 네바다 라스베이거스
4위[54]
  • 2018-2019 시즌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100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진천선수촌 컬링장
1위
  • 2019-2020 시즌(국가대표)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2019 한국선수권 (7월)
강릉 컬링 센터
1위
월드 컬링 투어
오크빌 폴 클래식 (8~9월)
캐나다 온타리오 오크빌
2위
월드 컬링 투어
스튜 셀스 오크빌 탱커드 (9월)
캐나다 온타리오 오크빌
예선 탈락
월드 컬링 투어
WCT 의성국제컬링컵 (9~10월)
의성컬링센터
예선 탈락
월드 컬링 투어
메디슨 햇 채리티 클래식 (10월)
캐나다 온타리오 오크빌
3위
국가대표
2019 아시아태평양선수권 (11월)
중국 광둥성 선전시
1위
월드 컬링 투어
창안포드 인터내셔널 컬링 엘리트 (12월)
중국 칭하이성 시닝시
3위
월드 컬링 투어
차이나 오픈 (12월)
중국 톈진시
1위
월드 컬링 투어
에드 워레니치 골든 렌치 클래식 (1월)
미국 애리조나 템피
5위
국내대회
101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의정부컬링훈련장
8강[55]
국내대회
2019-2020 코리아컬링리그 (12월~3월)
의정부컬링훈련장

  • 2019-2020 시즌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2020 한국선수권 (11월)
강릉 컬링 센터
2위

4.2. 여자팀


  • 2010-2011 시즌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10회 회장배 대회 (10월)
춘천 의암실내빙상장
3위
국내대회
4회 경북지사배 대회 (11월)
의성컬링센터
3위
주니어대표
태평양주니어선수권 (1월)
뉴질랜드 네이즈비
2위
국내대회
92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전주 화산빙상장
3위
국내대회
2011 한국선수권 (4월)
의정부 실내빙상장
3위
국내대회
2011 한국주니어선수권 (4~5월)
의정부 실내빙상장
1위
  • 2011-2012 시즌
분류
대회
장소
결과
월드 컬링 투어
캠루프스 크라운 오브 컬링 (10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캠루프스
5위
국내대회
5회 경북지사배 대회 (11월)
의성컬링센터
1위
국내대회
93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전주 화산빙상장
2위
주니어대표
아시아태평양주니어선수권 (1~2월)
전주 화산빙상장
2위
국내대회
10회 태백곰기 대회 (2월)
춘천 의암실내빙상장
1위
국내대회
2012 한국선수권[56] (4월)
의정부 실내빙상장
1위
국내대회
2012 한국주니어선수권(※)[57] (4월)
의정부 실내빙상장
1위
  • 2012-2013 시즌(국가대표)
분류
대회
장소
결과
월드 컬링 투어
프레스티지 호텔스&리조트 컬링 클래식 (9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버넌
예선 탈락
월드 컬링 투어
샴록 샷건 (10월)
캐나다 앨버타 에드먼턴
2위[58]
월드 컬링 투어
MNP 채리티 클래식 (10월)
캐나다 앨버타 메디슨햇
5위
월드 컬링 투어
밸리 퍼스트 크라운 오브 컬링 (10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캠루프스
4위
국가대표
2012 아시아태평양선수권 (11월)
뉴질랜드 네이즈비
3위
국내대회
6회 경북지사배 대회 (11~12월)
의성컬링센터
1위
주니어대표
2013 아시아태평양주니어선수권(※)[59] (1월)
일본 홋카이도 토코로정
3위
국내대회
11회 태백곰기 대회 (1~2월)
춘천 의암실내빙상장
1위
국내대회
94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전주 화산빙상장
3위
국내대회
2013 한국선수권 (4월)
춘천 의암실내빙상장
2위
해외초청대회
카루이자와 국제컬링선수권대회[60] (4월)
일본 나가노현 카루이자와정
3위
  • 2013-2014 시즌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2013 동계 유니버시아드 파견대표 선발전 (9월)
의성컬링센터
2위
국내대회
2013 한국주니어선수권(※)[61] (9월)
의정부 실내빙상장
1위
국내대회
1회 신세계-이마트 대회 (10월)
의성컬링센터
3위
국내대회
13회 회장배 대회 (10월)
의성컬링센터
1위
월드 컬링 투어
레드 디어 컬링 클래식 (11월)
캐나다 앨버타 레드디어
5위
그랜드슬램
콜로니얼 스퀘어 레이디스 클래식 (11월)
캐나다 서스캐처원 새스커툰
5위
월드 컬링 투어
스프루스 그로브 캐시스필 (11월)
캐나다 앨버타 스프루스그로브
5위
월드 컬링 투어
바운더리 포드 컬링 클래식 (11~12월)
캐나다 앨버타 로이드민스터
예선 탈락
국내대회
7회 경북지사배 대회 (12월)
의성컬링센터
1위
주니어대표
2014 아시아태평양주니어선수권(※)[62] (1월)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1위
국내대회
95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의성컬링센터
3위
주니어대표
2014 세계주니어선수권(※)[63] (2~3월)
스위스 플림스
2위
월드 컬링 투어
포메로이 인&수트 프레리 쇼다운 (3월)
캐나다 앨버타 그랜디프레리
예선 탈락
국내대회
2014 한국선수권 (4월)
전주 화산빙상장
1위
  • 2014-2015 시즌(국가대표)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2회 신세계-이마트 대회 (5월)
의성컬링센터
4위
월드 컬링 투어
스톡홀름 레이디스 컵 (9월)
스웨덴 스톡홀름
8위
월드 컬링 투어
프레스티지 호텔스&리조트 컬링 클래식 (10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버넌
5위
그랜드슬램
컬러스 코너 어텀 골드 컬링 클래식 (10월)
캐나다 앨버타 캘거리
예선 탈락
월드 컬링 투어
허브 인터내셔널 크라운 오브 컬링 (10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캠루프스
예선 탈락
월드 컬링 투어
캐나드 인스 위민스 클래식 (10월)
캐나다 매니토바 포티지러프레리
예선 탈락
국가대표
2014 아시아태평양선수권 (11월)
일본 나가노현 카루이자와정
2위
국내대회
8회 경북지사배 대회 (11월)
의성컬링센터
1위
국내대회
2015 동계 유니버시아드 파견대표 선발전 (12월)
의성컬링센터
1위
월드 컬링 투어
카루이자와 국제컬링선수권대회 (12월)
일본 나가노현 카루이자와정
2위
월드 컬링 투어
인터내셔널 베르니즈 레이디스 컵 (1월)
스위스 베른
3위
월드 컬링 투어
글린힐 레이디스 인터내셔널 (1월)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2위
대학대표
2015 그라나다 동계 유니버시아드 (2월)
스페인 그라나다
5위
국내대회
96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인천 선학국제빙상장
1위
국내대회
2015 한국선수권 (4월)
인천 선학국제빙상장
3위
국내대회
2015 한국주니어선수권(※)[64] (4~5월)
의성컬링센터
2위
  • 2015-2016 시즌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3회 신세계-이마트 대회 (5월)
의성컬링센터
1위
월드 컬링 투어
의성국제컬링대회 (8월)
의성컬링센터
1위[65]
그랜드슬램
투어 챌린지 티어1 (9월)
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파라다이스
3위
월드 컬링 투어
AMJ 캠벨 쇼티 젠킨스 클래식[66] (9월)
캐나다 온타리오 브록빌
1위
국내대회
15회 회장배 대회 (10월)
의성컬링센터
1위
월드 컬링 투어
캐나드 인스 위민스 클래식 (10월)
캐나다 매니토바 포티지러프레리
1위[67]
그랜드슬램
마스터즈 (10~11월)
캐나다 노바스코샤 트루노
예선 탈락
그랜드슬램
내셔널 (11월)
캐나다 온타리오 오샤와
예선 탈락
그랜드슬램
캐내디언 오픈 (12월)
캐나다 서스캐처원 요크턴
예선 탈락
월드 컬링 투어
카루이자와 국제컬링선수권대회 (12월)
일본 나가노현 카루이자와정
예선 탈락
국내대회
9회 경북지사배 대회 (12월)
의성컬링센터
1위[68]
월드 컬링 투어
인터내셔널 베르니즈 레이디스 컵 (1월)
스위스 베른
3위
월드 컬링 투어
글린힐 레이디스 인터내셔널 (1월)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5위
국내대회
97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의성컬링센터
1위
월드 컬링 투어
CCT 의성 마스터즈 컬링 챔피언십 (3월)
의성컬링센터
3위
국내대회
2016 한국선수권 (4월)
의성컬링센터
1위
  • 2016-2017 시즌(국가대표)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4회 신세계-이마트 대회 (5~6월)
의성컬링센터
2위
월드 컬링 투어
홋카이도은행 컬링 클래식 (8월)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3위
월드 컬링 투어
의성국제컬링대회 (8월)
의성컬링센터
3위
국내대회
16회 회장배 대회 (8월)
의성컬링센터
1위
월드 컬링 투어
스톡홀름 레이디스 컵 (9~10월)
스웨덴 스톡홀름
3위
월드 컬링 투어
위민스 마스터즈 바젤 (10월)
스위스 바젤
3위
월드 컬링 투어
캐나드 인스 위민스 클래식 (10월)
캐나다 매니토바 포티지러프레리
예선 탈락
그랜드슬램
마스터즈 (10월)
캐나다 앨버타 오코톡스
5위
국가대표
2016 아시아태평양선수권 (11월)
의성컬링센터
1위
국내대회
2017 동계 유니버시아드 파견대표 선발전 (12월)
의성컬링센터
1위
그랜드슬램
내셔널 (12월)
캐나다 온타리오 수세인트마리
예선 탈락
국내대회
2016 한국주니어선수권(※)[69] (12월)
태릉선수촌 컬링장
2위
국내대회
10회 경북지사배 대회 (12월)
의성컬링센터
1위
국내대회
98회 전국동계체육대회 (1월)
이천훈련원 컬링장
1위
대학대표
2017 알마티 동계 유니버시아드 (1~2월)
카자흐스탄 알마티
6위
국가대표
삿포로 동계 아시안게임 (2월)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2위
국내대회
2017 한국선수권 1차전 (3월)
이천훈련원 컬링장
2위
국가대표
2017 세계선수권 (3월)
중국 베이징시
6위
국내대회
2017 한국선수권 2, 3차전 (4, 5월)
이천훈련원 컬링장
1위(2차전)
1위(3차전)
  • 2017-2018 시즌(국가대표)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5회 신세계-이마트 대회 (7월)
의성컬링센터
3위
월드 컬링 투어
홋카이도은행 컬링 클래식 (8월)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5위
그랜드슬램
투어 챌린지 티어2 (9월)
캐나다 서스캐처원 리자이나
예선 탈락
월드 컬링 투어
HDF 인슈런스 슛아웃 (9월)
캐나다 앨버타 에드먼턴
예선 탈락
월드 컬링 투어
스톡홀름 레이디스 컵 (9~10월)
스웨덴 스톡홀름
2위
월드 컬링 투어
위민스 마스터즈 바젤 (10월)
스위스 바젤
5위
월드 컬링 투어
파프 마스터즈 투어[70] (10월)
핀란드 올란드
1위
국가대표
2017 아시아태평양선수권 (11월)
호주 에리나
1위
월드 컬링 투어
카루이자와 국제컬링선수권대회 (12월)
일본 나가노현 카루이자와정
예선 탈락
그랜드슬램
캐내디언 오픈 (1월)
캐나다 앨버타 캠로즈
3위
국가대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2월)
강릉 컬링 센터
2위
국가대표
2018 세계선수권 (3월)
캐나다 온타리오 노스베이
5위
그랜드슬램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4월)
캐나다 온타리오 토론토
예선 탈락
  • 2018-2019 시즌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2018 한국선수권 (8월)
진천선수촌 컬링장
2위
국내대회
100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진천선수촌 컬링장
2위
월드 컬링 투어
WCT 악틱 컵[71] (5월)
러시아 두딘카
예선 탈락
  • 2019-2020 시즌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2019 한국선수권 (7월)
강릉 컬링 센터
3위
친선대회
강릉시 초청 여자 컬링대회[72] (8월)
강릉 컬링 센터
1위
월드 컬링 투어
오크빌 폴 클래식 (8~9월)
캐나다 온타리오 오크빌
9위
월드 컬링 투어
스튜 셀스 오크빌 탱커드 (9월)
캐나다 온타리오 오크빌
5위
월드 컬링 투어
WCT 의성국제컬링컵 (9~10월)
의성컬링센터
2위
월드 컬링 투어
컬러스 코너 어텀 골드 컬링 클래식 (10월)
캐나다 앨버타 캘거리
5위
월드 컬링 투어
캐나드 인스 위민스 클래식 (10월)
캐나다 매니토바 포티지러프레리
5위
국내대회
19회 회장배 대회 (10월)
진천선수촌 컬링장
1위
월드 컬링 투어
창안포드 인터내셔널 컬링 엘리트 (12월)
중국 칭하이성 시닝시
2위
월드 컬링 투어
차이나 오픈 (12월)
중국 톈진시
4위
월드 컬링 투어
인터내셔널 베르니즈 레이디스 컵 (1월)
스위스 베른
5위
월드 컬링 투어
글린힐 레이디스 인터내셔널 (1월)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1위
국내대회
101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의정부컬링훈련장
3위
국내대회
2019-2020 코리아컬링리그 (12월~3월)
의정부컬링훈련장

  • 2019-2020 시즌(국가대표)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2020 한국선수권 (11월)
강릉 컬링 센터
1위

4.3. 믹스더블


  • 2015-2016 시즌(국가대표)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97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의성컬링센터
1위
국내대회
2016 세계믹스더블컬링선수권대회 파견대표 선발전 (3월)
의성컬링센터
1위
국가대표
2016 세계선수권 (4월)
스웨덴 칼스타드
13위[73]
국내대회
2016 한국선수권 (4~5월)
의성컬링센터
1위
  • 2016-2017 시즌(국가대표)
분류
대회
장소
결과
월드 컬링 투어
캐나드 인스 믹스더블 챔피언십 (9~10월)
캐나다 매니토바 포티지러프레리
예선 탈락
국내대회
98회 전국동계체육대회 (1월)
이천훈련원 컬링장
1위
국가대표
2017 세계선수권 (4월)
캐나다 앨버타 레스브리지
6위
국내대회
2017 한국선수권 2차전 (5월)
이천훈련원 컬링장
1위
  • 2017-2018 시즌(국가대표)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2회 신세계-이마트 믹스더블 대회 (7월)
의성컬링센터
1위
국가대표
뉴질랜드 동계 대회 (8월)
뉴질랜드 네이즈비
4위
월드 컬링 투어
서비스 엑스퍼트 믹스더블 클래식 (9월)
캐나다 앨버타 에드먼턴
4위
월드 컬링 투어
퍼시픽 노스웨스트 믹스더블 인비테이셔널 (10월)
미국 워싱턴 시애틀
5위
월드 컬링 투어
믹스더블 베른 (11월)
스위스 베른
4위
국가대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2월)
강릉 컬링 센터
6위
국가대표
2018 세계선수권 (4월)
스웨덴 외스테르순드
4위
  • 2018-2019 시즌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100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진천선수촌 컬링장
3위
  • 2019-2020 시즌(국가대표)
분류
대회
장소
결과
월드 컬링 투어
차이나 오픈 허베이 믹스더블 컬링 (6월)
중국 허베이성 스자좡시
예선 탈락 (A팀)
국내대회
2019 한국선수권 (7월)
강릉 컬링 센터
1위 (A팀)
국내대회
세계믹스선수권 파견대표 선발전 (7월)
강릉 컬링 센터
1위
국가대표
뉴질랜드 동계 대회 (8월)
뉴질랜드 네이즈비
1위 (A팀)
월드 컬링 투어
WCT 퍼시픽 오션 컵 (9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2위 (B팀)
월드 컬링 투어
WCT 탈린 믹스더블 인터내셔널 (9월)
에스토니아 탈린
예선 탈락 (A, B팀)
국가대표
세계믹스선수권 (10월)
스코틀랜드 에버딘
4위
국내대회
19회 회장배 대회 (10월)
진천선수촌 컬링장
1위 (A팀)
2위 (B팀)
월드 컬링 투어
캐나드 인스 믹스더블 챔피언십 (11월)
캐나다 매니토바 포티지러프레리
예선 탈락 (A, B팀)
국내대회
17회 태백곰기 대회 (12월)
춘천 의암실내빙상장
1위 (B팀)
국가대표
세계 믹스더블 퀄리피케이션 이벤트 (12월)
스코틀랜드 호우드
3위 (A팀)
월드 컬링 투어
브랜트퍼드 믹스더블 캐시스필 (1월)
캐나다 온타리오 브랜트퍼드
예선 탈락 (A팀)
월드 컬링 투어
스튜 셀스 토론토 크리켓 믹스더블 캐시스필 (1월)
캐나다 온타리오 토론토
3위 (A팀)
예선 탈락 (B팀)
국내대회
101회 전국동계체육대회 (2월)
의정부컬링훈련장
2위 (B팀)
국내대회
2019-2020 코리아컬링리그 (12월~3월)
의정부컬링훈련장
(A팀)
(B팀)
  • 2019-2020 시즌(국가대표)
분류
대회
장소
결과
국내대회
2020 한국선수권 (11월)
강릉 컬링 센터
1위 (A팀)
2위 (B팀)

5. 시즌별 월드 컬링 투어


월드 컬링 투어 순위와 포인트는 2015년 전후로 차이가 있다. 2014-2015 시즌까지는 직전 시즌과 해당 시즌 포인트 합산을 기준으로 순위를 따졌으나 2015-2016 시즌부터는 해당 시즌에서 획득한 포인트만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각 대회에 따른 포인트도 2015-2016 시즌부터 늘어났다.
월드 컬링 투어(WCT) 성적에는 WCT 각 대회 뿐만 아니라 국가대표로 출전하는 국제 대회 성적도 반영된다.
  • 남자팀
시즌
순위
포인트
경기


2010-2011
184위
9.000
11
9
2
2011-2012
(국가대표)
95위
20.275
17
10
7
2012-2013
(국가대표)
86위
21.738
41
24
17
2013-2014
84위
20.850
37
20
17
2014-2015
177위
6.887
17
8
9
2015-2016
175위
13.944
36
16
20
2016-2017
56위
78.521
38
24
14
2017-2018
(국가대표)
11위
263.049
97
60
37
2018-2019
미출전[74]
2019-2020
(국가대표)
20위
179.167
68
53
15
  • 여자팀
시즌
순위
포인트
경기


2010-2011
미참가
2011-2012
200위
1.905
7
3
4
2012-2013
(국가대표)
64위
23.229
43
27
16
2013-2014
40위
45.360
29
17
12
2014-2015
(국가대표)
20위
85.375
59[75]
41
17
2015-2016
11위
238.787
76
51
25
2016-2017
(국가대표)
25위
163.991
58
35
23
2017-2018
(국가대표)
9위
279.916
87
59
28
2018-2019
261위
2.149
4
1
3
2019-2020
14위
216.662
69
45
24
  • 믹스더블팀
시즌
순위
포인트
경기


2017-2018
(국가대표)
12위
87.859
48
30
18
2018-2019
미참가
2019-2020
A팀
(국가대표)
28위
72.674
22
13
9
B팀
74위
29.544
15
6
9

6. 기타


  • 컬링 종목 자체가 대표적인 가족 스포츠로 꼽히지만 다른 국내 컬링 실업팀에서 가족을 찾기는 힘든 편인데, 경북체육회는 팀내에 형제, 자매, 부부가 모두 있어 선수단 스스로 가족이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그런데 도리어 이러한 점 때문에 선수들의 폭로가 나온 후 김경두의 일가가 비난받는 원인이 됐다.
  • 주니어 대회 출전이 가능한 선수들은 지역 고교 선수들과 함께 주니어 대표팀에 도전하기도 한다. 다른 실업팀들의 경우 주니어 대회는 각 지역 고교팀이 출전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대체적으로 대학 재학 중이나 졸업 후에 실업팀에 입단하기 때문에 출전하고 싶어도 이미 제한 나이를 넘겨서 못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 대한체육회나 대한컬링경기연맹 지원이 없는 세계믹스컬링선수권대회[76]에 자비를 들여 출전한다. 마찬가지로 믹스 경기로 치르는 청소년 올림픽도 대비하는 차원인지 세계주니어선수권 출전 기준을 만족하는 어린 선수들만 출전한다.
  • 김경두가 월드컬링투어 코리아의 대표도 맡고 있어, 2018년 7월 월드컬링투어 코리아 주관으로 경북체육회 선수들이 코치를 맡아 주니어 컬링 캠프가 열렸다.
  • 원래 컬링팀은 스킵의 성을 따서 불리는 게 일반적이지만, 경북체육회 여자팀은 선수와 감독까지 전원 성이 김씨라서 팀 킴이라는 이름이 팀의 애칭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단장 자격으로 함께 하는 김경두마저 김씨라서 여자팀과 해외 원정을 함께 했을 때 해외 관계자들로부터 '아버지와 딸 6명이 함께 컬링을 하냐'는 질문을 여러 번 받았다고. 다만 선수들의 폭로가 나오면서 일부 팬들은 지도부가 만든 팀 킴이라는 별명보다는 '팀 김은정'이라는 이름을 선호한다. 그러나 팀 킴 애칭이 워낙 통용된 탓에 언론에는 팀 킴으로 불리는 경우가 더 많다. 선수들이 따로 만든 팀 SNS 계정에서도 팀 킴으로 자칭한다.
  • 2020년 11월 21일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의성군편에 팀 킴이 출연했다. 당시 한국선수권을 위한 훈련 중이어서 출연 분량은 짧았다.

[1] 남자팀 공식 계정[2] 경기도청 컬링팀이 창단되기 전 경기도체육회 소속 컬링팀이던 시절에 그러했다.[3] 김창민의 아버지와 김경두가 아는 사이였다.[4] 오후 11시에 시작하는 건 기본이고 대개 새벽 2~3시에 끝났다고.[5] 1995년에 선수 6명으로 전국대회에서 3차례 준우승하며 일대 파란을 불러일으켰다.[6] 다만 이는 나중에 안 좋게 작용하는데, 굳이 컬링을 강요하지 않은 환경이다 보니 동기들 중 고교 졸업 후에도 컬링을 계속하고자 한 사람은 김은정과 김영미 둘 뿐이었다. 마침 여자 선수가 없어서 경북체육회 여자팀의 창단 멤버가 될 수 있었지, 이미 경북체육회 여자팀이 운영되고 있었다면 현재의 팀 킴은 없을 뻔했다. 김은정의 고교 후배인 장혜지는 4명이서 컬링을 시작했다는 것을 볼 때 이후에는 컬링에 흥미를 보인 학생에게 친구 3명을 더 데리고 오라고 바꾼 모양.[7] 반면 의성 못지 않게 컬링에 신경을 쓰는 의정부시에서는 애초부터 전문 선수 육성을 목표로 해왔다.[8] 중학교 때는 같이 컬링을 해온 사이였지만 각자 진학한 고등학교 뿐만 아니라 사는 곳까지 달라져서 1주일에 이틀에만 짬짬이 시간을 내 잠깐 연습하는 게 고작일 정도였다. 이후 경북체육회에 입단하는 전재익이 이 팀의 세컨드였다.(2017년 한국선수권에서는 서드로 출전.)[9] 경북도청에서 부산을 거쳐 강원도청으로 이적한 김수혁은 김창민의 고교 1년 선배고, 마찬가지의 이적 과정을 거쳐 강원도청에 입단한 박종덕은 고교 동기다.[10] 이때 경북체육회를 거쳤던 선수 중 임명섭이 있었는데, 대학 졸업 후 증권사에서 일하며 틈틈히 컬링을 즐기다 결국 경북체육회 코치가 됐다.[11] 남자팀은 올림픽에서의 부진 때문에 비교적 주목받지 못했으나, 아래 월드 컬링 투어 랭킹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2017-2018 시즌 11위로 역대 아시아 남자 컬링팀 중 최고 순위를 기록했고, 한국 남녀 컬링팀을 통틀어 처음으로 그랜드슬램 대회 결승에 진출했다.[12] 평창 올림픽 종료 후 1년간 스위스의 실바나 티린초니 팀의 코치를 맡기로 했는데 2018년 12월 돌연 계약을 파기했다.[13] 개인정보 보호 차원에서 발표 당시에는 성만 나와, 김씨 성이라는 것 밖에 알 수 없다.[14] 게다가 그동안 남자 대표팀이 세계선수권에서는 대개 1~2승에 그쳤으나, 경북체육회 남자팀만 유일하게 2018년 세계선수권에서 플레이오프에 진출해 최종 4위를 하면서 우리나라 남자 컬링팀 중에서는 세계 무대에서의 경쟁력을 입증한 팀이라는 점도 그러했다.[15] 한 기사에서 전북도청으로 이적했다는 언급이 있었지만 본인이 부인했다.[16] 후문에 따르면 경북체육회의 '''최대''' 제시안이 동결이었다고 한다.[17] 장혜지의 전 믹스더블 파트너이자 강원도청으로 이적한 성유진과는 고교 동기이다.[18] 전 회룡중학교 컬링부 감독, 2019년 데플림픽 남자 대표팀 감독, 2020년 휠체어 컬링 국가대표팀 코치. 안재성 믹스더블팀 코치와는 회룡중 시절 감독-코치 사이였다.[19] 전 회룡중학교, 송현고등학교 컬링부 코치.[20] 고향은 구미시.[21] 고향은 의성군.[22] 군제대 후 2016 한국선수권부터 스킵으로 복귀[23] 김민찬이 제대하면서 2017 한국선수권 1차전 이후 4인 경기에서 빠졌다.[24] 군제대 후 2017 한국선수권 2차전 때 핍스로 복귀.[25] 2018년 12월 계약 만료.[26] 2019년 1월 중순 감독직에서 면직.[27] 출산 후 복귀 대회였던 컬러스 코너 어텀 골드 컬링 클래식에서는 스킵 겸 세컨드를 맡았다.[28] 김은정의 공백기 동안 서드를 맡았을 정도로 기량이 올라오면서 김은정 복귀 후 투어 대회에서는 김선영, 김영미, 김초희 3명이서 로테이션을 돌기도 했었다.[29] 계약 만료로 5명 모두 퇴단.[30] 성유진이 믹스더블 국가대표 자격까지 얻은 상황에서 국대를 사퇴하고 강원도청으로 이적했다.[31] 송유진의 퇴단으로 해체.[32] 김수혁, 김창민, 박종덕 출전.[33] 김창민, 김민찬 출전.[34] 김창민, 김민찬 출전.[35] 김창민, 김민찬 출전.[36] 성세현, 오은수 출전.[37] 오은수 출전.[38] 한국팀 첫 우승.[39] 경북체육회 남자팀 투어 대회 첫 우승.[40] 김창민이 입대하면서 한국선수권 때부터 성세현이 스킵을 맡았다.[41] 김치구 출전. 이기복-이기정 형제는 당시 정식 경북체육회 선수는 아니었다.[42] 당시 한국 남자 컬링은 랭킹 12위였고 유니버시아드에는 10개 팀만 참가할 수 있었는데, 10위권 내에서 출전을 포기한 팀이 없어서 실제로는 참가하지 못했다.[43] 김치구, 이기복, 이기정 출전.[44] 이기정, 이기복 출전.[45] 이기정, 이기복 출전.[46] 김창민이 제대하면서 한국선수권 때부터 스킵을 맡았다.[47] 이기복, 성유진 출전.[48] 성세현-오은수-이기정-이기복-김치구 출전.[49] 이기정, 이기복, 성유진 출전.[50] 성세현-오은수-이기정-이기복-김치구 출전.[51] 이기정, 이기복, 성유진 출전.[52] 김치구 출전.[53] 아시아 남자 컬링팀 최초 그랜드슬램 결승 진출.[54] 한국 남자 컬링팀 첫 세계선수권 플레이오프 진출.[55] 경북체육회 남자팀은 2010년 이후 동계체전에서는 출전했다 하면 우승을 놓치지 않았지만 8강에서 강원도청에게 1점차 패배하면서 팀 창단 후 처음으로 동계체전에서 메달을 못 땄다.[56] 김경애김선영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한국선수권 때부터 익히 잘 알려진 팀 킴의 구성이 비로소 이뤄졌다.[57] 김경애, 김선영, 오은진 출전.[58] 결승전 상대 팀이 당시 중부전력 소속이었던 후지사와 사츠키 팀이었다. 그 경기가 후지사와와 첫 대면이었다.[59] 김경애, 김선영, 오은진 출전.[60] 대회 시점이 '''한국선수권으로부터 3일 후'''였다. 스킵 김은정은 한국선수권에서 떨어진 후 '''3일간''' 건프라와 레고를 조립했다고 말한 바 있는데, 이 대회 출전 때문이었다.[61] 김경애, 김선영 출전.[62] 김경애, 김선영 출전.[63] 김경애, 김선영 출전.[64] 김초희 출전.[65] 경북체육회 여자팀 첫 투어 대회 우승. 다만 여자부는 그리 유명한 팀이 출전하지 않아 랭킹 포인트는 없었다.[66] 세계적인 아이스 메이커 쇼티 젠킨스를 기념하기 위해 시작된 투어 대회. 쇼티 젠킨스는 의성컬링센터가 지어질 때도 의성까지 찾아와 큰 도움을 줬었다.[67] 이 대회에서 非캐나다팀으로는 최초로 우승했다. 한때 그랜드슬램 대회였던지라 그랜드슬램을 제외한 일반 투어 대회 중 우승 포인트가 제일 높다. 게다가 결승전 상대팀이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여성팀 최초로 전승 우승을 기록했던 제니퍼 존스 팀으로, 존스 팀은 이전까지 이 대회에서 2년 연속 우승했었다.[68] 사실 일반부 여자팀은 경북체육회 여자팀 1팀만 참가했다.[69] 장혜지 출전.[70] 올림픽을 대비해 여러 가지 실험적인 요소가 많았다. 애초에 김경애를 스킵으로 등록했고, 김초희는 스킵을 제외한 나머지 세 포지션을 모두 나왔다.[71] 대회가 열리는 두딘카는 해당 문서에도 나와있지만 외부인 출입이 제한된 곳이라 일반 투어 대회와 달리 주최측에서 초청하는 방식이다. 경북체육회가 사실상 2018-2019 시즌 동안 활동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평창 올림픽 은메달리스트라는 점 때문에 대회 역사상 아시아 팀으로는 처음으로 초청받았다.[72] 김은정이 출산 휴가 후 이제 막 복귀했고 김영미가 발목을 삐끗하는 바람에 마지막 2경기는 3명이서 했다.[73] 한국 믹스더블 대표팀 첫 플레이오프 진출.[74] 남자팀은 선수들의 지도부 폭로가 나온 후인 2018년 12월에야 월드 컬링 투어에 등록했는데, 이후 의성컬링센터 운영이 재개된 후 여자팀이 시즌 마지막 투어 대회에 출전할 수 있었던 것과 달리 남자팀이 출전할 수 있는 투어 대회는 없었다.[75] 무승부가 1경기 있었다.[76] 혼성 4인 경기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