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진운수
1. 개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버스 회사 중 하나. 성북구 석관동(장위동)과 중랑공영차고지에 기점을 둔 업체다.
본사는 성북구 석관동에 있지만, 개편 전만 해도 성북구보다 중랑구 지역 노선의 비중이 높았다. 현재는 2012번[1] 이 유일한 아웃성북 노선이자 상진운수의 유일한 신설노선.[2]
또한 태릉교통, 진아교통과 803번 순환버스[3] 를 공동 배차로 운영하다 철수한 전례도 있으며, 얼마 안 되지만 차량 대차 이전에는 주로 기아 코스모스[4] 와 AM937을 주력으로 사용했었다.(즉, 2004년 개편 전에 제 3의 버스 메이커 차를 적극 사용한 서울 버스 회사.)[5] 특히 아시아자동차의 마지막 시내버스 모델이었던 AM937을 서울특별시에서 마지막까지 운행하기도.[6] 현재는 모두 현대차로 대차했으며, 차고지가 주거단지에 둘러싸여 있는 관계로 차고지에는 충전소가 없다. 따라서 석관동으로 다니는 261번과 1122번은 한성운수의 강북구 번동 차고지[7] 에서, 나머지는 중랑공영차고지에서 충전한다.
대진여객과 함께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마일드 하이브리드 고상형을 출고하여 운행한 적이 있다. 2012번에 들어갔었는데, 지금은 하이브리드 장치가 제거됐다. 비슷한 시기에 들어온 김포운수 소속 차량도 하이브리드 장치가 제거되었다.
한때 흑역사 노선 중 하나인 2214(구 445)번을 운행한 적도 있었다.
2003년 6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청계천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했던 여러 회사 중 하나였다.
영화 황해의 일부 장면이 이 회사의 석관동 차고지에서 촬영되기도 했다.(어떤 장면인지에 대한 설명은 스포일러 가능성으로 생략)
2015년에 신규차량 도입으로 뜬금없이 NEW BS110을 투입하여('''22년 만에 대우버스 출고''') 동호인들에게 충격을 주었다.[8][9] 투입 노선은 중랑영업소 소속 지선버스인 2012번. 이후 NEW BS090, NEW BS106까지 뽑고 NEW BS110을 추가 출고하여 석관동 본사 소속 간선버스인 261번에도 투입한 걸 보면 대우로 전향했다.#[10] '''드물게 현대버스에서 대우버스로 전환한 케이스.'''[11] 사실상 아시아(기아)자동차(1990년대), 현대자동차(2000년대), 자일상용차(현재) 버스를 번갈아 사용해 본 버스회사가 되었다. 대우차량 옵션은 보성운수처럼 DNKA 풍성 에어컨이 달려있다. 그러나 2020년 12월, 자일상용차 베트남 공장 이전으로 울산공장 조업이 중단되어 그린시티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개선형을 첫 출고했다.[12]
저상버스의 자동변속기는 2010년까지는 앨리슨 미션을 사용했으나, 그 이후부터는 ZF를 사용한다.
2. 면허 체계
- 서울 70사 64##호 ~ 65##호[13]
- 서울 74사 3901호 ~ 4000호[14]
- 서울 75사 1281호 ~ 1288호, 1701호 ~ 1730호, 2925호 ~ 2930호[15]
3. 운행노선
- 261: 석관동 - 석관고등학교(후문) - 석계역 - 물류센터 - 광운대역 - 월계삼거리 - 광운대학교 - 광운전자공업고등학교 - 벼루말교 - 광운초등학교 - 하나은행장위동지점 - 장위동원천주유소 - 돌곶이역 - 석관시장 - 한국예술종합학교 - 의릉입구 - 한국외국어대학교 - 경희중, 고등학교 - 회기시장 - 청량리역환승센터 - 제기동역 - 신설동역 - 동묘앞역 - 동대문역, 흥인지문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을지로1~6가 - 롯데백화점 본점, 롯데영플라자 - 북창동, 남대문시장 - [→ 염천교 / [[숭례문]] ← [[서울역버스환승센터]](6번) ←] - 서울역서부 - 손기정체육공원 - 만리동고개 - 한겨례신문사 - 공덕역 - 마포역 - 마포대교 - 여의나루역 - 여의도중학교 -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63빌딩 - 여의동주민센터 → KBS별관 → 지적공사 → 여의도역 → 여의도지하차도입구 → 여의도환승센터 → 유진투자증권 → 하나은행여의도지점 (구 48번)
- 1122: 석관동 - 석관중, 고등학교 - 석관동코오롱아파트 - 한천로쌍용아파트 - 이문로쌍용아파트 - 신이문역 - 이화교 - 중화역 - 중흥초등학교 - 이화연립, 경동제일교회 - 신내테크노타운 - 신현중, 고등학교 - 중랑구청 - 신내동성아파트 - 서울의료원 - 중랑소방서 - 홈플러스 신내점 - 봉화산역 - 신내우체국 - 중랑구립도서관, 체육관 - 태릉고등학교, 원묵초등학교 - 화랑대역 - 원자력병원
- 2012: 중랑공영차고지 - 신내데시앙아파트(후문) - 서울의료원(후문) - 중랑소방서 - 홈플러스 신내점 - 봉화산역 - 서울의료원 - 신내동성아파트 - 중랑구청사거리 - 국민은행망우동지점 - 망우역, 망우지구대 - 상봉터미널 - 혜원여자중, 고등학교 - 동원시장 - 중화중학교 - 면중초등학교 - 용마폭포공원 - 용마산역 - 면목동 - 용암사입구 - 대원고등학교 - 중곡동종점 - 신성시장 - 중곡동입구 - 군자역, 용마초등학교 - [→ [[군자역]], 먹자골목사거리 → 군자동주민센터 / 세진약국 ← 군자사거리 ←] - 세종초등학교 - 화양시장 - 상원 - 한양대역 - 왕십리역 - 상왕십리역 - 신당역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서울지방경찰청 기동대본부, 광희초등학교 (구 542번 단축)
- 2115: 중랑공영차고지 - 신내데시앙아파트(후문) - 서울의료원(후문) - 봉화산역 - 홈플러스 신내점 - 중랑소방서 - 서울의료원 - 신내동성아파트 - 중랑구청 - 신현중, 고등학교 - 신내테크노타운 - 이화연립, 경동제일교회 - 중흥초등학교 - 중화역 - 성은교회, 중화빗물펌프장 - 중랑교, 동부시장 - 중랑교 - 삼육서울병원 - 시조사 - 청량리역환승센터 - 청량리청과물도매시장 - [→ [[제기동역]] → 용두시장 → 안암오거리 / 제기동주민센터, 서울약령시, 경동시장 ← 제기시장 ← [[안암역]] ←] - 고려대학교 이공대 - 보문역 - 성북구청 - 삼선동주민센터 - 성신여대입구역 - 흥천사 - 아리랑고개 - 정릉입구 - 숭덕초등학교 - 미화약국 - 열매교회 - 서경로꿈마루도서관 - 서경대학교 정문 - 서경대학교 본관 (성원여객과 공동배차) (구 47번 변경이자 2223번으로 존치)
- 8221: 장안2동주민센터 - 장안삼성쉐르빌아파트 - 장한평역- 전곡시장 - 동답한신동아아파트 - 답십리역
4. 폐선된 노선
- 37: 석관동 - 신길동(1992년 폐지)
- 803: 태릉순환 (2002년 8월 30일 폐선. 진아교통, 태릉교통과 공동 배차)
- 1223: 원자력병원 - 신이문역(2009년 1월 2216번과 통합하여 1122번으로 운행 중)
- 2214: 사가정역 - 중화역(2008년 초 폐선)
- 2215: 신내동 - 제기동역(2007년 초 2012번과 통합하여 A/B로 분리되었으나, A/B배차가 깨지면서 2010년 초 재분리해서 다시 2223번으로 부활했다가 2013년 말 성원여객 1212번과 통합하여 2115번으로 운행 중이다.)
- 2216: 화랑대역 - 신이문역(2009년 1월 1223번과 통합하여 1122번으로 운행 중)
- 2223: 신내동 - 제기동역(2013년 9월 26일 성원여객 1212번과 통합하여 2115번으로 운행 중)
5. 보유차량
5.1. 현재 보유차량
5.1.1. 자일상용차
5.1.2. 현대자동차
5.2. 과거 보유차량
5.2.1. 자일상용차
- 새한 BD50DL 디젤
- 새한 BD098 디젤
- 새한 BD101 디젤
- 대우 BF101 디젤
- 대우 BV101 디젤
- 대우 BS105 디젤
- 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대우 BS106L 하이파워 디젤
5.2.2. 현대자동차
- 현대 글로벌900 디젤[17]
- 현대 글로벌900 천연가스버스[18]
- 현대 글로벌900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S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SL 디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SE 천연가스버스
5.2.3. 기아
5.2.4. 스카니아
[1] 2115번은 성북구를 경유하긴 하지만 본사인 석관동은 들르지 않는다.[2] 나머지는 개편 전 부터 있던 노선들. 2012번도 엄밀히 말하면 중곡동 - 동대문운동장 구간은 구 542번을 대체한다.[3] 별내(불암동) - 길음역 구간을 운행했던 노선으로 6호선 1차 개통 당시 큰 타격을 받아 상진, 진아가 철수하여 공배가 깨지고 태릉교통 단독으로 맡게 되다 2002년 초 폐선됐으며 2000년 신설된 순환버스 401번으로 석계역까지 대체하고 있다.[4] 무려 '''전비 입석형'''이었다.[5] 다른 곳은 한남여객운수가 있다.[6] 정확히는 AM937L, 원래 위에서 언급한 803번과 48번에서 다니다가 47번으로 이동한 후 대차됐다.[7] 거리로만 따지면 월계동 진아교통 차고지가 훨씬 가깝지만, 부지가 협소하다 보니 어쩔 수 없이 번동에서 충전하는 듯하다.[8] 사실 진짜 이유가 따로 있었는데 당시 대차시기 즈음에 현대차에서 출고날짜를 어기고, 현대차 영업사원이 오히려 상진운수 CEO한테 갑질을 해버린 사건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빡친 나머지 상진운수 경영진은 현대차와의 계약을 당장 파기하고 대우차로 바꾸기로 결정을 한 것 이였다. (괜히 22년만에 대우차와 재계약을 한게 아니다.)[9] 정작 기사들은 현대차가 더 좋은데 위에서 대우차만 뽑는다고 결정해서 어쩔 수 없는 반응이었다.[10] 특히 소속 지선버스들의 주 경유지인 중랑구 중화동에서는 대우차를 나름 볼 수 있게 되었다. 과거 2000년대엔 한성여객에서 대우차가 다녔고, 용림교통(보광운수)과 메트로버스에서도 대우를 주력으로 썼으나 이 세 업체는 현재 전량 현대로 교체했다.(이 당시 상진은 오히려 현대차가 주력)[11] 또 다른 예로는 범일운수도 있다. 과거에는 현대버스가 많았으나 자일상용차 부품대리점 지정으로 인해 전부 대우버스로 대차하여 지금도 운행하고 있다. 계열관계인 송파상운도 2014년 송파 버스사고 이후 2015년부터는 현대버스의 출고를 중단하고 대우버스로 전향하였다. 서울버스도 2016년 이후 대우버스로 전향했고, BC211을 도입했다. 부울경에서는 태영운송그룹이, 대구에서는 영진교통이 대우버스로 전향했다.[12] 저상 개선형은 앞서 송파상운에서도 출고했다.[13] 성북구 면허의 시내버스 회사들 증차번호.[14] 본 회사의 주 면허.[15] 모두 본 회사 증차 면허.[16] 6487호 딱 1대만 존재.[17] 2003~2004년까지 출고.[18] 2005년에 출고.[19] 2004년 노선 개편 직전 48번에서 1대를 시범운행한 바 있다. 엄밀히 말해서 차량 자체는 구매하여 보유한 것이 아니라 스카니아 측에서 무상으로 빌려준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