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외버스공용터미널
[image]
1974년에 지은 건물과 간판을 지금도 쓰고 있다. 2005년에 전주고속버스터미널과 함께 종합경기장 쪽으로 옮기는 재건축을 논의했다가 2007년에 내부만 리모델링하고 외부는 옛날 모습을 남기고 있어서 상당히 고풍스럽다. 흑백 버전[1] 으로 보면 70년대에 찍은 사진 같지만, 파리바게뜨, 자동차 디자인, 현수막을 보면 최근에 찍은 사진이라는 걸 알 수 있다.
1. 소개
2. 신축
3. 전국노선
4. 전주시외버스터미널
4.1. 완주군(봉동, 고산, 대둔산) 방면
4.2. 진안, 무주, 구천동, 장수 방면
4.3. 임실, 남원, 순창, 곡성, 화엄사, 여수 방면
4.4. 순창, 쌍치 방면
4.5. 정읍, 고창, 영광, 목포방면
4.6. 김제, 부안, 신태인 방면
4.7. 익산, 군산 방면
4.10. 수도권
4.11. 영남권
4.12. 충청권
4.13. 강원권
5. 승차장
6. 전주터미널 정류장
1. 소개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가리내로 30(금암동 705-10)에 있는 버스 터미널이다. 옆에 전주고속버스터미널이 있고, 맞은편에는 대한관광리무진 터미널이 있다.
전라북도의 거점 터미널로, 무려 '''133개 노선이 운영 중인 거점 터미널이지만 1970년대에 지어진 건물이라 시설이 매우 낙후되었다.''' 물론 곧 쓰러질 것만 같은 외관 대비 내부는 2007년에 리모델링되어 많이 개선된 편이지만 다른 지역의 비슷한 규모를 갖춘 터미널에 비해서 특별히 뛰어나지도 않다. 2016년 운영사인 전북고속이 기존 부지에 230억 원을 들여 지하 1층, 지상 8층 규모로 영화관과 서점 등 복합문화공간을 갖춘 터미널 현대화 사업추진을 발표했지만,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 주변 상가 매입 금액 관련 건물주와 터미널 측과의 입장 차이가 너무 큰 것이 원인.
한진고속이 1995년부터 이 터미널을 기점으로 센트럴/동서울행 고속버스 노선을 운행하였으나[4][5] 2006년 4월 8일 동양고속에 넘어가면서 이후에는 전주고속버스터미널 착발로 통합되어 없어졌다. 이 영향으로 서울 ↔ 전주 고속버스 노선은 호남의 터줏대감 금호고속보다 영남권 노선이 많은 회사인 동양고속의 비중이 높다.
2. 신축
3. 전국노선
- 전주고속버스터미널 참조.
4. 전주시외버스터미널
4.1. 완주군(봉동, 고산, 대둔산) 방면
4.2. 진안, 무주, 구천동, 장수 방면
전주에서 전북 동북부 방면으로 운행되는 노선들(무주, 구천동, 장계, 장수, 금산, 서상, 안의, 거창, 서대구 등)은 모두 진안시외버스공용정류장을 중간 허브로 삼고 있다.[7]
4.3. 임실, 남원, 순창, 곡성, 화엄사, 여수 방면
전주에서 전남 동부권(곡성, 구례, 순천, 여수, 광양)으로 운행되는 노선들은 모두 남원시외버스터미널을 중간 허브로 삼고 있다.
4.4. 순창, 쌍치 방면
4.5. 정읍, 고창, 영광, 목포방면
- 정읍(직통 / 원평, 태인 정차)
4.6. 김제, 부안, 신태인 방면
4.7. 익산, 군산 방면
4.8. 익산시[21] 방면
- 여산(삼례, 금마 경유)[22]
- 함열(삼례, 금마 경유)
4.9. 광주 방면[23]
광주 방면은 운행횟수가 적으므로 본 터미널에 적절한 시간대가 없는 경우 고속버스터미널로 가야 편리하다. 우등차량 한정으로 사전예매할인, 왕복예매할인, 뒷좌석 할인을 받을 수 있다.[24]
4.10. 수도권
- 여담으로 인가만 존재하고 운행은 하지 않는 유령 노선 강화행도 있다.
4.11. 영남권
서부산(사상)[26][27] , 대구(서부)[28][29] , 마산[30] , 창원, 양산, 진주, 구미[31] , 경주, 포항[32][33] , 함양, 김해[34] , 해운대[35]
4.12. 충청권
4.13. 강원권
춘천행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대전의 유성시외버스정류소를 경유한다,
5. 승차장
6. 전주터미널 정류장
6.1. 덕진시외버스정류장
전북대 구 정문 근처 덕진광장(옛 덕진역 자리)에 있다.
- 21번 국도 경유 노선 - 익산, 익산역, 대야, 군산, 군산공항, 장항, 서천, 보령
- 1번 국도 경유 노선 - 삼례[56] , 금마, 여산, 연무대, 논산, 양정, 서남부[57]
- 유성시외직통
- 춘천을 제외한 강원권 노선 전부
6.2. 인후동 간이 정류소
인후1동 사무소 앞 안골 사거리에 있다.
6.3. 노송동 간이 정류소
원래는 병무청 오거리에서 리베라 호텔, 오목대 방향쪽으로 있었지만.[63] 2018년 1월 17일 부로 홈플러스 맞은편으로 옮겼다.
6.4. 남문 간이 정류소
남부시장 근처에 있다. 최근까지 매표영업[67] 을 했으나 현재는 현금승차 혹은 교통카드로 탑승해야한다.
6.5. 완산공용정류소
완산교 건너 용머리고개 입구에 있다.
- 1번 국도/호남고속도로 경유 노선 - 원평, 태인, 정읍(직통/원평-태인 경유), 흥덕, 고창, 선운사, 법성포, 영광, 목포, 신태인, 광주[70]
- 714번 지방도 경유 노선 - 김제, 부안, 변산, 격포, 곰소, 내소사
6.6. 전주대학교 간이 정류소
6.7. 효자동 간이 정류소
[image]
효자동 주민의 편리한 교통을 위해 2월 8일 신설되었으며 전라북도교육청 앞에 있다.
- 1번 국도/호남고속도로 경유 노선 - 원평, 태인, 정읍(직통/원평-태인 경유), 흥덕, 고창, 선운사, 법성포, 영광, 목포, 신태인, 광주[71]
- 714번 지방도 경유 노선 - 김제, 부안[72] , 변산, 격포, 곰소, 내소사
7. 전주/완주군 정류장
7.1. 삼례공용버스터미널
- [73]
- 1번 국도 경유 노선(상행) - 금마, 함열, 여산, 연무대, 논산, 대전서남부.
- [74]
- [C][75]
- 호남고속도로 경유 노선 - 서울남부터미널(우석대/3공단 경유)
- 강원권 노선 - 강릉(오창 경유)
7.2. 우석대학교 간이 정류소
7.3. 3공단 간이 정류소,둔산리 간이 정류소
7.4. 봉동공용버스정류장
봉동공용버스터미널은 2000년 경에 폐지되었고, 터미널과 정류장은 현재 상가와 무료 주차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시내버스 정류소에서 승차해야한다.
7.5. 고산여객자동차터미널
7.6. 운주정류장
7.7. 경천시외버스정류소
7.8. 대둔산공용버스터미널
7.9. 한일장신대 간이 정류소
- 호남고속도로 경유 노선 - 남서울
7.10. 전주완주혁신도시 간이 정류소
서부신시가지와 혁신도시 개발로 전주 서쪽지역의 승객이 늘어남을 반영한 것. 농촌진흥청 맞은편에 있다.
- 호남고속도로 경유 노선 - 남서울[84] , 서울호남[85][86] , 안산 경유 1일 2회 노선. , 수원[D] , 안산[D] , [87] , 광주[88]
- 21번 국도 경유 노선 - 익산역, 군산[89]
- 전주 경유 노선 - 대구서부[E] , 창원[E]
7.11. 호남제일문 간이 정류소
전주시 북부와 완주군 서부(삼례읍) 주민들을 위하여 2015년 5월 26일에 신설되었다. 전주고속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한 영남권[90] 을 제외한 모든 노선들이 이곳을 경유한다. 덕진시외버스정류장을 경유하는 노선은 하차만 가능하며 남서울을 제외한 모든 시외버스 노선은 승하차가 불가능하다.
[1] [image][2] 금마, 여산, 함열[3] 2019. 03. 01부터 요금 인상 동시에 고속에서 이용해도 요금이 동일하게 되었다.[4] 다른 회사들은 전부 전주고속버스터미널로 이전했는데, 한진고속만 고속터미널 완공 후에도 전주고속버스터미널에 입주하지 않고 다른 터미널을 사용했기 때문에 한진고속이 동양고속으로 넘어갈 때까지 현지에서는 이 터미널을 한진터미널이라고 불렀다.[5] 1980~1990년대에는 한진고속 전용 터미널이 있었다가(대략 기린로와 팔달로 사이 건산천 복개도로 인근에 있었고, 지금은 복합상업 건물이 들어서 있다. 전주 행정고시학원 인근) 이후에 전주시외버스터미널로 옮겼다.[6] 안전여객이 시외버스 부분에서 철수하면서 2018년 7월부로 폐선[7] 전주-서대구 직통 노선 제외[8] 경기도 안성시가 아니다. 이쪽은 무주군 안성면.[9] 2017년 1월 18일 운일암 종착 노선 폐지[10] 전주-여수 노선은 전라선에 밀려 직통 없이 완행 노선 위주로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준직행 형태로 운행한다.[B] 전라남도 강진군이 아니라 임실군 강진면이다.[11] 남원시 산내면과의 혼동을 피해 정읍시 산내면은 능교로 지칭된다. 여담이지만 부안군 변산면도 1988년 이전까지는 산내면으로 불렸다.[12] 광주 착이다. 전주에서는 담양까지만 발권 가능[13] 영광읍행 버스와 법성포행 버스는 별도 노선으로 운행된다.[14] (정읍), 고창에만 중간정차하는 준 무정차 노선과 (정읍), 고창, 영광, 함평, 무안 등에 정차하는 일반직행 노선이 있다.[15] 흥덕 정차[16] 김제역 정차[17] 대야 정차[18] 일부 서천, 장항 종착[19] 덕진시외버스정류장 미경유[20] 익산터미널로 들어가지 않고 터미널 앞에 잠깐 정차한다.[21] 금마, 여산, 함열[22] 여산까지만 운행하는 차가 있고, 대전서남부행의 중간정차로 운행하는 차도 있다.[23] 2019. 03. 01부터 요금 인상 동시에 고속에서 이용해도 요금이 동일하게 되었다.[24] 단, 중복 및 연휴의 날짜로는 적용 불가.(당일 하루 전 부터 최악의 경우 끝난 다음 날 하루의 평일까지 이어질 수 있음)[25] 전북혁신도시는 발권 및 승하차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터미널 앞에서 72번을 타야 한다.[26] 직통과 남원, 진주 경유 완행으로 나뉨. 단, 완행은 발권되지 않으므로 승차하고 싶다면 진주행으로 끊자.[27] 부산에 있는 또 다른 터미널인 부산광역시에 금정구 노포동에 위치한 부산종합버스터미널로 가는 버스는 고속버스이므로, 전주에서 부산으로 가고싶으면 전주고속버스터미널에 가서 동양고속 우등, 일반고속을 이용하는게 더 효율적이다.[28] 동대구터미널로 대구 가는 방법도 있지만, 배차는 서부정류장이 더 많다. 특히 대구 서남부권(달서구, 남구, 달성군)으로 갈 경우에는 전주고속버스터미널보다 이 터미널 이용이 더 낫다. 다만 이 노선을 단독 배차 중인 전북고속에서 28인승 우등차량을 3회만 투입하고 나머지 시간대에는 41인승 일반차량만 투입하므로, 좌석이 불편하다는 것은 감안해야 한다. 대개 군산착발로 익산을 거쳐 전주에 들어오며, 일부 편성은 군산 대신 부안착발로 김제를 거쳐 전주에 들어온다.[29] 직통과 안골, 진안, 장계, 거창 경유 완행으로 나뉜다. 완행은 발권되지 않으므로 거창까지 끊거나 안골에서 타야한다.[30] 직통과 진주 경유 노선 직행과 노송동, 남원, 함양 경유 완행으로 나뉜다. 직통 노선은 군산 착발이다. 완행노선은 노송동에서 승차할 수 있다.[31] 만약 김천으로 가는 주민이 있다면 이거를 타는게 더 좋다. 김천으로 환승하여 가는게 더 편하다.[32] 경주 경유[33] 전북고속 시간대는 군산 착발로 익산을 거쳐 전주로 들어온다.[34] 금호고속, 전주고속에서 운행하며 군산에서 발차한다. 즉 전주는 중간경유지.[35] 해운대고속에서 운행하며 겉으로는 김해를 경유한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김해는 지나가기만 할뿐 정차하지 않는다. 전주에서 김해로 가려면 금호고속, 전주고속을 타야한다.[36] 금산은 1963년 이전은 전라북도의 군이었다.[37] 안전여객이 시외버스 부분에서 철수하면서 2018년 7월부로 완주(봉동, 고산, 대둔산) 경유 노선은 폐지되고 진안 경유 노선만 운행.[38] 운행횟수가 극히 적고 경유지가 많아 시간도 오래걸리므로 서대전쪽으로 갈려면 유성행을 타거나 옆에 고속버스터미널에서 대전복합행 버스를 타고 대전청사에 하차해서 이동하는것을 추천한다.[39] 전주시외버스터미널발 중간 (멀티정류장)이면서 '''청주.충주.강릉'''모두 정차한다.원주발 4회/속초발 2회고 이천발 일부 정차한다.[40] 여기서 α는 '''청주, 충주행'''이나 직통을 제외한 추가적으로 다니는 노선을 말한다.[41] 1일 4회[42] 막차는 경유하지 않음[43] 2019년 12월 4일 신설[44] 1일 2회 경유[45] 1일 2회 경유[46] 1일 2회 경유[47] 1일 2회 경유[48] 1일 2회 경유[49] 1일 2회 경유[50] 1일 2회 경유[51] 1일 2회 경유[52] 원주+강릉+속초행 유성시외버스정류소 일부경유.[53] 지역 완행 시외버스 노선으로 2시간 10분이상 걸린다.[54] 광양 경유[55] 휴가철에만 운행.[56] 시내버스와 가격이 많이 차이가 나지 않지만 소요시간은 좀 차이가 있으므로 비교해 가면서 이용하면 좋다.[57] 관저동, 도마동등 경유지도 많은 완행형 시외버스로 시간이 2시간10분~20까지 걸린다.[58] 무주군 안성면(경기도 안성이 아님).[59] 진안-안천 경유/진안-장계-안성 경유[60] 진안-천천 경유/진안-천천-장계 경유[61] 진안 경유[62] 진안, 장계, 거창 경유 완행[63] 참고로 이 앞의 도로는 80년대 이전까지 전라선 철도 노선이었다.[64] 직통/임실-오수 경유[65] 임실 경유[66] 임실-청웅-강진 경유/오수-동계-적성 경유이며 빨리 가려고 할 경우에는 전동정류소에서 직통이나 강진경유 차량을 탑승하면 빨리 갈수 있다.[67] 수기승차권을 판매했고, 카드결제가 불가[68] 직통[69] 직통, 강진경유[70] 우등 3회는 효자동, 전북혁신도시를 경유하여 호남고속도로로 진입하며 나머지 시간대는 이곳을 거쳐 전부 27번 국도를 통해 순창IC에서 광주대구고속도로로 진입한다.[71] 우등 3회만 경유[72] 부안발 전주직통 노선은 716번 지방도를 경유하여 오며, 전주대 구정문을 경유한다.[73] 전주행은 발권 및 승하차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전주시 시내버스를 이용해야한다.[74] 익산행은 익산시 시내버스를 이용하고 군산행은 전주시외버스공용터미널이나 덕진시외버스간이터미널로 가자.[C] A B C D 2018년 7월 운행중단.[75] 대둔산행은 35, 36번을 타고 300번으로 갈아타야한다.[76] 전주시 시내버스를 이용하자.[77] 삼례행은 33번, 34번, 35번, 36번을 이용하고 익산행은 555번을 이용하자. 대야, 군산행은 555번을 타고 익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시외버스를 타자. [78] 535번을 이용하자.[79] 진안시외버스공용정류장에서 출발하는 노선이다.[80] 전주행은 전주 버스 535를 이용하고 삼례행은 전주 버스 삼례간선 35, 전주 버스 삼례간선 36을 이용하자.[81] 2017년 8월 1일부로 전주 버스 300이 운주에서 대둔산까지 연장되었으니 이 버스를 이용하자.[82] 2018년 7월부로 폐선 되었으니 전주 방면은 전주 버스 300을 타고 고산에서 전주 버스 535로 환승하고 삼례 방면은 고산에서 전주 버스 삼례간선 35. 전주 버스 삼례간선 36을 이용하자.[83] 언제부턴가 폐지되어 보이지 않는다. 대전서남부 방면은 대둔산삼거리 버스승강장에서 전주 버스 300을 타고 종점인 대둔산휴게소에서 내린다음 대전 버스 34번으로 갈아타자[84] 전주대 출발 노선으로 호남제일문 경유.[85] 김제 출발 정안알밤휴게소 경유 노선이며 1일 6회로 배차가 많지는 않다. 배차가 없을 경우에는 전주 버스 72를 타고 고속버스터미널로 가자. [86] 티머니 E-Pass 이용 가능.[D] A B 1일 4회 전주 출발 노선.[87] 2017년 5월 10일 혁신도시 미경유로 변경되었다.[88] 2019년 3월 부터 전주고속버스터미널 출발 노선으로 일 6회 전회우등으로 신설되었다. 나머지 3회는 시외버스터미널 출발이다.[89] 대야 경유.[E] A B 1일 1회[90] 영남권 노선들은 전주역앞을 지나 소양IC에서 새만금포항고속도로를 이용한다.[91] 오산, 광명 경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