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복 부착물

 

1. 개요
2. 종류
2.2. 오른쪽 가슴
2.3. 왼쪽 가슴
2.5. 기타
3. 같이보기


1. 개요


군복에 부착하는 각종 부착물에 대해 정리한 문서.

2. 종류


신체 부위에 따라 정리하였다.

군복 부착물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고 각종 자격 등을 표시하는 부착물이지만 이 부착물 최강자는 단연 계급장이다. 직업 군인이 아닌 의무복무자의 경우 대위 계급장이 '''부착물 전체 최강자'''가 된다. 심지어 군장점에서 장성급 장교의 계급장은 아무한테나 팔지도 않으며 신분확인 이후 '''실제 장성급 장교 본인에게만 판매한다.'''
일부 오버 부착물들이 많이 존재하는데 실제 부착물보다 과도하게 화려한 것이 특징이다. 주로 해병대에 가면 많다. 문제는 장교 전역자들의 관점에서 보면 이게 엄청난 웃음거리라는 것이다. 규정에도 맞지 않고 장교 전역자들의 눈에는 이게 무슨 광대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2.1. 어깨


  • 견장 : 육군에서 어깨에 부착하는 연두색 지휘자 견장. 야전상의에는 지휘관일 경우 해당 계급이 달린 녹색이고, 병사 분대장의 경우 계급이 안 적혀있는 녹색 견장을 착용한다. 전투복일 경우 간부, 병에 관계없이 모두 녹색이다. 신병의 경우 노란색 견장을 차게 하는 부대가 더러 있고, JSA에는 상징 표식을 부착한다. 동대장의 경우 예비군 표식이 새겨진 견장을 착용한다. 신형전투복의 도입으로 전방부대에 한해 녹색 대신 진녹색 내지 녹회색[1]견장이 일부 지급되는 중. 해군해병대전투복에는 견장 부착용 끈이 없고 야전상의의 경우에 한해서 견장대에 계급을 박음질해서 사용한다. 일부 부대에서는 보직이나 직책에 따라 파란색이나 빨간색 같은 독특한 색깔의 견장을 지급하기도 한다.[2] 공군의 경우 간부들만 야전상의에 계급이 박음질된 녹회색 견장을 사용한다.
  • 병사용 계급장(정장) : 병사의 경우 근무복에 적용하며 양팔에 포제 계급장을 부착. 과거 육군공군야전상의에도 부착했지만 신형전투복으로 바뀌면서 사라졌다. 신형전투복 야상은 전투복 상의와 같은 곳에 약장을 부착한다. 또한 포제 정장은 각 계급별로 각각 만들어져 있었지만, 그보다도 더 예전에는 하나씩 박아 넣었다고 한다.[3][4] 간부의 경우 정복에 적용하며 어깨에 철제 계급장을 부착. 간부 중 지휘관의 경우 정복에 적용하며 지휘자 견장 위에 계급장을 부착 후 지휘관 견장 패용.
  • 부대마크 : 육군해군 해난구조전대, 해군 특수전전단 등이 부착한다. 기본적으로 왼팔에 부착한다. 국직부대 소속일 경우 부착하지 않는 게 일반적이다.[5] 2000년대 중반 이후 모두 저인시성으로 바뀌었고, 전투복을 제외한 정복·근무복 등에는 왼쪽 가슴 주머니 덮개에 붙이는 배지 형식으로 바뀌었다. 해군(해병대 포함), 공군은 과거 부대마크전투복에 부착했으나 현재는 부착하지 않는다. 단, 해병대의 경우 육군에 위탁 교육을 받을 경우 해당 부대마크를 붙인다. #
  • 완장 : 당직 같은 특정 임무를 수행할 시에 착용한다. 왼팔에 부착. 민통선 안에서 근무하거나 작전하는 경우 "MP헌병" 완장을 착용한다. JSA의 경우 JSA 헌병 완장이 따로 있다.
  • 태극기 : 특수부대, 민정경찰, 파병부대, 카투사, 대한민국 해병대에서만 사용했으나 장병들의 요구로[6] 2015년 10월부터 전 군 병력이 모두 부착하게 되었다. 파병부대용은 태극기 아랫부분에 청색 띠가 덧붙어 있고 이 띠 안에 흰색으로 REP. OF KOREA(2014년 이전에 보급된 구형에는 그냥 KOREA)라고 쓰여있다.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된 오쉬노부대의 경우 부대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시인성이 떨어지며, 특전복과 비슷한 생삭의 국방/검 태극기를 사용하며 생활했다. 특수부대용은 태극기가 흑색이나 암록색의 저시인 타입으로 돼있다. 육군, 해군, 공군은 오른팔에 부착한다. 해병대는 왼쪽 팔에 부착했지만 현재는 타군처럼 오른쪽에 변경되었지만 주머니가 상단에있으므로 주머니 덮개에 부착한다. 오버로크 방식이 아닌 벨크로 부착방식으로 일반 태극기와 위장색 태극기가 지급된다. 일반색 태극기는 평시 영내 근무나 휴가때 사용하고, 작전이나 훈련시에는 위장색 태극기를 사용했는데. #기사. 흰색 비중이 많은 일반 태극기가 근무 중에 훼손이 되거나 때가 타는 경우가 많고, 훈련 상황일 경우 계속 바꿔달아야하는 등 애로사항이 빗발치자 다시 위장색만 부착하도록 규정이 바뀌었다. 단 행사, 출타시는 그대로 일반색 태극기를 쓴다. 그러나 2019년 3.1절 100주년을 기념한답시고 다시 일반색 태극기를 영내근무 시 기본으로 부착하고 훈련시에만 위장색 태극기를 달라고 지침이 또 바뀌어 장병들의 비난을 받고 있다.
  • 휘장 : HALO, SCUBA등 각종 훈련자격을 표시하는 휘장을 부착한다. 특수부대 한정이었으나 육군에서는 전군으로 확대되었다. 특수전학교 에서 실시하는 다양한 특수교육은 해당 항목을 참조하자.
  • 군사경찰 패치 : 육군, 해군, 해병대 군사경찰이 전투복에 완장 대신 착용, 육군은 왼팔 부대마크 바로 아래에 부착하고 부대마크가 없는 해군, 해병대도 왼팔에 부착한다. 공군 군사경찰은 완장을 계속 사용한다.

2.2. 오른쪽 가슴



2.3. 왼쪽 가슴


  • 지휘관 휘장 : 지휘관들이 사용하는 휘장. 문서 참조.
  • 병사용 계급장(약장) : 병사 한정. 왼쪽 주머니에 부착. ·공군은 주머니 덮개의 아래쪽 모서리에 닿게 부착하며, 해군(해병대 포함)은 위쪽 모서리에 닿게 부착한다.
  • 비표 : 대대연대를 상징하는 마크. 전투복에만 착용 가능. 상의주머니 위에 부착. 그런데 이거 대부분 원색이라 밤에 엄청 눈에 잘 띈다. 신형 전투복으로 바뀌고 난 뒤로는 부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공군에서는 비표 대신 특기마크가 붙으며, 후술할 ID 카드 형태 신분증이 출입구역을 의미하는 비표 역할을 한다. 이 때문에 공군에서는 항공병도 간부처럼 신분증을 착용한다. 신분증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아래의 "부대 신분증"의 내용 참고.
  • 특기마크 : 공군 한정. 육군의 병과장과 같은 역할로서 자신이 부여받은 직종을 상징하는 마크. 전투복에는 포제 마크를 (야전상의에는 부착하지 않는다.), 근무복정복에는 철제 마크를 부착. 다만 하사 이상의 간부 중에 특기마크를 부착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비전투 병과인데, 흉장을 계속 부착하는 조종 및 방공포병과는 달리 준장 이상으로 진급하면 붙이지 않는다. 일례로 군사안보지원사령관 전제용 장군의 사진을 보면 군사안보지원특기 출신 장성이라 특기마크가 없다.
  • 훈련기장 : 공수·유격·기습특공·특수수색 등의 훈련 이수자가 착용. 상의 주머니 위에 부착하되 비표 아래에 부착.
    • 공수기장 : 특전사에서 주관하는 낙하산 훈련을 이수하거나 공군행정학교 정보교육대대에서 주관하는 공중생환훈련을 이수하면 달 수 있는 휘장이다. 한마디로 특수부대라는 것을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공수휘장은 한개가 아니라 낙하산 훈련 횟수에 따라 등급이 달라진다.
      • 기본기장 : 4회 실강하를 완료하여 공수교육을 최초 수료했을때 얻을 수 있다. 대부분의 병사는 여기까지만 받는다.[7] 공군 장교도 사관생도 출신에 한해 여기까지만 달 수 있는데[8], 생환훈련 이후 강하훈련을 할 일이 없기 때문이다. 사실 공사 출신에 이 훈련을 이수했음에도 불구하고 안 다는 사람들이 많다.[9] 특공대나 수색대의 경우 90년대 후반까지 병사들이 특수전학교 공수교육을 받았지만 이후 특공수색 간부만 교육수료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부대 관례 상 자체 공수지상교육만 수료해도 공수휘장을 달아준다는 듯. [10]
      • 은성기장 : 3년차에 강하조장 훈련을 하는데 이를 이수하면 달 수 있다. 특전부사관은 4년 복무해도 여기까지는 단다. 20회 이상 강하해도 단다. [11]
      • 월계기장 : 고등강하 훈련 이수시 달 수 있다. 보통 상사(진)이나 소령 시기에 단다. 40회 이상 강하 시 달수 있다.
      • 금성기장 : 강하 100회 달성 시 달 수 있다. 사실 상 장교는 아무리 공수훈련을 해도 여기까지만 달 수 있다. 노란별이 추가된다. 200회의 경우 별 2개, 300회의 경우 별 3개가 추가된다.
      • 금장기장 : 강하 1000회 달성 시 달 수 있다. 장교의 경우 이론적으로 소위 때부터 중장까지 특전여단에 소속되면서 매번 강하를 뛴다면 가능할지도 모르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으니 불가능하다. 그래서 이 기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하사 때부터 특전여단에 소속된 준위들이다.
  • 휘장 : 특정 직책을 상징하는 메달. 왼쪽 주머니에 부착하며 흔치 않지만 두 개를 달아야 하는 경우 오른쪽에 하나 더 달기도 한다.
  • 약장 : 만국기 같이 화려하게 장식된 마크. 근무복·정복 등에만 착용 가능. 왼쪽 주머니 위에 부착하되 훈련기장 아래에 부착. 야규나 지침에 의하면, 야전상의에 약장 패용이 가능하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 참조.
  • 민정경찰 휘장 : DMZ 작전, 근무자(최전방사단 수색대대, 연대 수색중대, 기타 비무장지대 파견 인원 등)가 부착. 부위는 상의 주머니 윗부분.
  • 군종병 휘장 : 군종병이 부착. 부위는 상의 주머니 윗부분. 주특기가 군종행정(471)이 아니면 전역시 제거하는 것이 원칙인데, 달고 전역하게 해 주는 부대도 있다. (군종장교전투복에만 군종장교 휘장을 부착하고 근무복정복에는 병과마크 부착. 군종부사관병과마크만 부착.)
  • 태권도 유단자 휘장 : 태권도 유단자가 부착. 부위는 군복 착용자 기준으로 왼쪽 상의 주머니 윗부분.
  • 특급전투요원 휘장 : 특급전투요원 자격보유자가 부착. 부위는 상의 주머니 윗부분.
  • 예비군 휘장 : 예비군 착용가능. 상의 주머니 윗부분에 착용.
  • 소속군 휘장 : 해병대는 신형전투복 도입 직후부터 '대한민국 해병대 / R. O. K. Marines'문구를, 육군은 2015년부터 '대한민국 육군 ROKA' 문구를, 해군은 2016년부터 '대한민국 해군 / R.O.K. NAVY' 문구를, 공군은 2016년 하반기부터 '대한민국 공군 / R.O.K. AIR FORCE' 문구를 상의 왼쪽 가슴 주머니 윗부분에 부착하고 있다.단, 특전사는 부착하지 않는다. 육, 해군은 오바로크로 부착하고 공군은 벨크로로 부착한다.
  • 선임병장 휘장 : 카투사한정. 분대장 견장과 같은 역할이며 왼쪽 가슴에 착용.
  • 최정예전투원 휘장 : 육군 한정. 미 육군의 EIB(Expert Infantryman Badge)를 벤치마킹한 것이다. 최초로 신청한 96명 중 이 휘장에 합격한 인원은 단 6명이다.
  • 서해 수호자 휘장 : 2013년 1월부터 시행중인 해군 2함대 소속 함정에서 근무하는 수병들 중 배치 후 6개월 이상 경과한 인원들 중 전역시까지 계속 복무할 것을 희망한 이들에게 주어지는 배치이다.
  • 부대 신분증 : ID 카드 형태로 육군과 해군은 간부 이상과 군무원이 착용하며, 공군은 패스라고 하며, 훈련병과 특기교육중인 이등병을 제외한 전 장병과 군무원이 착용한다. 카드 형태이며, 부대 출입 비표 역할을 한다. 간부들이 받는 공무원증과는 다르며, 당연히 지갑 속에 넣어다니고 군복 부착물이 아니다. 평시에는 왼쪽 가슴에 차야 되지만, 훈련 및 전투 중에는 상의 왼쪽주머니에 집어넣어야 한다.
  • UDT 휘장 : 해군 특수전전단의 UDT 교육을 수료하면 받는 휘장이다. UDT/SEAL 대원 뿐만아니라 특전사, 해병수색대, CCT 등 타 부대에서 위탁교육으로 와서 수료한 대원 역시 착용할 수 있다.
  • KCTC '전문대항군' 휘장 : KCTC 전문대항군여단[12] 소속 병력이 부착. 부위는 군복 착용자 기준으로 '대한민국 육군 ROKA' 소속군 휘장 윗부분.
  • 심해잠수사 휘장 : 심해잠수사 교육을 수료한 SSU 대원이 부착하는 휘장.
  • 수상함 장교/부사관 휘장 : 수상함에서 근무하는 장교/부사관들이 자격평가(PQS, 부사관능력평가) 를 통과했을 경우 근무복에 부착한다. 위치는 상기한 훈련기장 위치와 동일하며 장교는 함정병과, 부사관은 1군직별(기관, 갑판 등)만 부착가능. 장교는 금색, 부사관은 은색이다.
부사관 수상함 휘장 자격요건은 부대마다 다른케이스가 많다(전입하면 바로 준다던지)
  • 잠수함 장교/부사관 휘장 : 잠수함에서 근무하는 장교/부사관들이 자격평가(SQS)를 통과했을 경우 근무복에 부착한다. 수상함 휘장처럼 1군직별 2군직별 나누지 않고 수중에서 근무하는 잠수함 근무자가 평가를 통과하면 수여한다. 잠수함의 모든 것을 알고 다룰줄 알아야 겨우 받을수 있는 상당히 빡센 평가를 자랑한다.
색깔은 마찬가지로 장교는 금색, 부사관은 은색이며 잠수함 함수와 돌고래를 형상화 했다.
  • 국방부 휘장 : 일부 국방부 직할부대에서 착용한다. 과거 계룡대 근무지원단소속 장병이 착용했다. 전투복에는 일반색 오버로크를, 근무복에는 철제를 사용한다.
  • 조종휘장 : 육해공군 항공기 조종사들이 정복과 근무복 왼쪽 가슴 주머니 위에 부착한다. 보통 이 휘장을 윙이라고 하며, 조종 시간에 따라 윙 위에 별과 월계관이 추가된다.[13]
  • 항공병과휘장 : 대한민국 해군에만 있는 휘장으로 조종사 외 항공부대 소속 장병들이 다는 휘장이다[14] 조종사 외 공중근무자들과 정비사, 항공병에게 지급한다. 디자인은 계급이나 임무에 상관없이 동일하다.

2.4. 머리


육군 간부모자에는 철제 계급장이 붙지만 모자 종류에 따라 포제 계급장를 오버로크하기도 한다.[15] 공군의 경우 전투모에는 철제가 아니라 포제 계급장을 사용한다.
육군 장교의 철제 계급장은 어깨나 옷깃에 부착하는 계급장과는 무궁화의 위치가 달라[16] 혼용이 불가능하다. 단 모든 철제 계급장이 옷깃용과 모자용이 다른 것이 아니라 혼용이 가능한 세 개의 계급장이 있는데 소령준장, 원수 계급장이다.[17]
[image]
그래서 군대를 잘 모르는 사람들은 이런 실수를 하기도 한다.[18]
  • 계급장(약장) : 모자 앞부분에 부착. 육군은 베레모 도입 이후 육본 지침에 의해 약장은 부착하지 않는다. 대신에 병사용 베레모에는 간부 정모에 들어가는 마크가 들어가있다. 하지만 최근 보급되는 전투모에서는 예전 전투모와 비슷하게 앞부분에 벨크로로 약장을 붙인다.
캡을 그대로 사용중인 군에서는 약장을 부착한다. 해병대의 경우, 팔각모에는 간부만 계급장을 붙이고(포제). 베레모에는 장교만 계급장을 부착한다(금속). 단, 공군 장성급 장교는 전투모에 계급장을 패치로 붙이지 않고 계급장 모양으로 자수를 놓는다.

2.5. 기타


  • 계급장 : 간부 한정. 옷깃 양쪽에 부착. 전투복에는 포제 계급장을 부착하며, 근무복정복, 간부용우의에는 철제 계급장을 사용한다.
  • 부대 뱃지 : 부대마다 다르다.
  • 훈장 : 훈장 수여자가 부착하며 근무복정복에 착용 가능하다. 부위는 위의 표식들을 가리지 않는 선에서 상의 앞부분에 착용한다.
    • 약장 : 훈장 수여자가 부착하며 근무복정복에 착용 가능하다. 훈장과 동일하지만 훈장 숫자가 많을 경우 이 훈장을 축약한 모양으로 만들어서 왼쪽 가슴 상단에 착용한다.

3. 같이보기



[1] 완전한 회색이 아니고, 기존의 녹색 견장의 채도를 확 낮춘 듯한 색상이다.[2] 육군훈련소의 경우 견장 색깔에 따라서 교육연대를 구분한다.[3] 즉, 이병일 때는 작대기 하나짜리를 박고, 일병이 되면 그 위에 하나짜리를 또 박는 것.[4] 신형 전투복 도입 전까지 병의 경우 진급시 야전상의는 기존 계급장을 제거한 뒤 진급한 계급장을 새로 오버로크하는 방식.[5] 국군지휘통신사령부, 국군수송사령부 등 일부 부대는 부착한다.[6] 특히 부대마크가 없는 국직부대의 경우 부대마크 대신 태극기라도 달게 해 달라는 요구가 많았다.[7] 실제로 문재인 대통령의 강하 횟수는 48회에 달하나 동료 대신 뛰어준 것도 있고 해서 월계기장을 달지 못했다.[8] ROTC는 2020년부터 선택적으로 공수훈련을 받을 수 있지만 학사 출신은 안 받는다. 물론 전투조종사라면 다른 생환훈련은 받지만.[9] 사관학교 졸업 후 공수훈련 받을 일이 없거니와 조종 특기의 경우 조종 흉장이 모든 것들을 찍어누르기 때문이다. 공군에서 낙하산 타는 사람들은 공정통제사 등 대부분 부사관들과 이들의 직속장교가 전부이다.[10] 사실 규정 위반이지만 그렇게 빡세게 잡지 않는다.[11] 낙포병의 경우 기회가 되면 20회 이상 강하가 가능하므로 가끔 은성기장을 취득한 말년 병장이 나온다.[12] 같은 KCTC여도 근무지원대대 소속 병력은 부착할 수 없다. [13] 여담으로 각 군마다 윙의 디자인이 다르며, 육군은 타 병과 장교가 항공부대장이 되면 이 윙을 주는 관례가 있다.[14] 거의 대부분이 제6항공전단 소속이다.[15] 방탄헬멧은 포제 계급장을 오버로크 하지않고 뻣뻣한 천조각 을 대어서 접착하는 방식을 쓴다. 또한 베레모로 바뀌기 전 수색대 간부는 철제 계급장을 달지 않고 포제 계급장을 오버로크하였다.[16] 모자의 계급장은 무궁화 위에 가로로 배열되어있는 반면 어깨나 옷깃의 계급장은 세로로 배열되어있다. 대령이나 중장, 대장의 경우를 생각하면 당연한 것.[17] 소위계급장의 경우는 마름모가 서 있는 형태가 모자용 계급장, 누워있는 형태가 옷깃용 계급장이다. 이는 준위 계급장도 마찬가지.[18] 모자에 달린 철제 계급장은 정복 견장용이다. 근무복 옷깃용은 디자인은 동일하지만 훨씬 작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