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점

 

1. 개요
2. 비판
3. 타점관련 역대기록
3.1. 한국프로야구
3.2. 메이저리그
3.3. 일본 프로야구
4. 타점 순위
5. 관련 문서


1. 개요


  • 한자: 打點(한국, 대만)/打点(일본, 중국)[1]
  • 영어: Runs Batted In
야구의 기본 기록 중 하나.
자신의 타석에서 타구를 쳐 인플레이가 발생했을 때 주자가 득점에 성공했을 경우 타자에게 붙는 기록이다. 한 번에 4타점까지 얻을 수 있으며, 한번에 4타점을 얻는 게 그랜드 슬램이다.
타점의 기본 규정은 다음과 같다.
  1. 타구를 쳐서 인플레이 중 주자가 득점에 성공하면 주어진다. 홈런을 쳤을 경우 자신도 타자주자로 인정되어 타점과 득점을 동시에 얻는다.
  2. 주자 만루에서 볼넷, 몸에 맞는 공 등의 상황이 나와서 밀어내기로 득점을 얻을 경우 타점으로 간주한다.
  3. 병살타,[2] 에러로 출루하거나 그 상황에서 주자 진루로 득점에 성공해도 타점은 주어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에러가 없었더라면 1명만 들어왔을 상황인데 에러로 인해 2명이 들어왔다면 타점은 1점만 인정된다. 단 에러로 출루한다고 아예 타점을 안 주는 게 아닌데, 에러가 안 나왔어도 충분히 득점이 가능했다고 판단되는 주자의 득점은 타점으로 인정된다. 예를 들어, 무사나 1사이고 3루에 주자가 있을 때 타자가 외야 깊숙이 날아가는 플라이를 쳤는데 외야수는 이 공을 잡았다 놓쳐버려 타자 주자는 세이프, 3루 주자는 홈인하였고 외야수의 실책으로 기록되었다고 한다면, 실책은 실책이지만 어차피 외야수가 타구를 제대로 잡았더라도 그 틈에 3루 주자가 충분히 홈인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판단하여 타자에게는 '희생플라이 실책으로 출루'를 기록하고 1타점을 준다. 즉, 2사 이후에 상대가 실책으로 인해 3번째 아웃카운트를 잡지 못하는 상황에서의 득점은 무조건 타점 인정이 안 되는 것이지만, 무사나 1사 상황에서의 상대실책 득점은 기록원 재량으로 실책이 일어나지 않았을 상황을 가정하여 타점을 주기도 하고 안 주기도 한다.
  4. 폭투나 포일을 틈타 3루에 있던 주자가 홈으로 들어오거나 보크로 인해 3루주자가 자동으로 홈인하면서 득점하면 당연하게도 타점은 인정되지 않는다. 3루주자가 홈스틸로 득점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타점은 없다. 다만, 폭투나 포일이 발생하더라도 주자 만루 상황에서 볼넷과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3루 주자는 안전진루권이 주어져 공이 얼마나 빠졌는지를 볼 것도 없이 홈을 밟아야 하므로 밀어내기로 취급되어 1타점이 인정된다.[3]
결승타를 기록하는 상황도 타점의 기본 규정을 준용한다.

2. 비판


야구에서 가장 중요한 득점을 만들어내는 대다수 상황이 이 타점이기 때문에 타점을 많이 올리는 선수는 찬스에 강한 선수라는 인식이 강하게 박혔으나, 현대 야구에 들어 세이버메트릭스의 확대를 통해 '''야구에서 첫 번째로 과대평가된 기본기록'''으로 재평가되며 비판의 중심에 서있다.
가장 기본적인 이유는 '''주자의 의존도가 높은 기록'''이기 때문. 즉 앞 타자가 훌륭한 주자[4]이거나 출루율이 높은 경우[5] 타자는 다른 팀의 타자보다 많은, 또는 양질의 타점 찬스를 맞이하게 되므로 찬스에서 비슷한 수준의 타율을 기록한다고 해도 누적 스탯인 타점은 더욱 빠르게 늘어나게 된다. 2008년도에 김동주가 18개라는 김태균보다 적은 홈런 개수로도 그해 홈런, OPS 1위인 김태균보다 타점을 많이 먹은 이유가 김동주 앞에 이종욱, 고영민이라는 타격 되고 주루는 S급인 테이블세터가 있었고, 3번타자 김현수는 그 해 타율, 출루율 1위였다. 이 때문에 김동주는 타점을 쓸어담을 수 있었고, 김동주 앞에 있던 김현수도 테이블세터가 잘 깔아준 밥상 덕분에 홈런은 9개밖에 때리지 못하고 그 높은 타율로 장타율이 간신히 5할 턱걸이를 할 정도로 장타가 다소 적었음에도 89타점을 기록했는데, 김태균이 31홈런을 기록하고 OPS가 김현수보다 8푼가량 높았으며 득점권타율까지 좋았는데도 92타점이었다. 다시말해 타점 스탯은 타자의 기량 이상으로 앞선 타석에 존재하는 타자들의 출루 여부와 주루 능력이 훨씬 큰 영향을 준다는 것.
물론 이 시즌 김동주 역시 김태균에 비해 성적이 딸릴 뿐 OPS가 0.9를 넘긴 훌륭한 성적을 냈기에 타자의 기량빨이 있다고 반론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MLB의 사례로 재반박이 가능하다. 2013년 신시내티 레즈의 부동의 4번타자 브랜든 필립스는 OPS 0.706에 18홈런을 기록하며 4번타자라고 하기에는 심히 부족한 타격 성적을 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려 103타점을 기록하며 내셔널리그 타점 4위에 랭크되었는데, 물론 이 해 유난히 득점권에서 필립스가 강한 모습을 보여주긴 했다만 가장 큰 이유는 필립스 앞에 '''추신수조이 보토'''라는 출루 괴물들이 밥상을 기가막히게 깔아준 것이 컸다. 이 시즌 필립스는 자신보다 6타점 더 많이 기록한 프레디 프리먼보다 득점권에서 25타석이나 더 들어섰을 정도. 더 극단적인 예시까지 가면 2017년 알버트 푸홀스도 있다. OPS 6할대를 기록하고 출루율이 완전히 무너지는데 돈은 엄청나게 받고 연봉때문에 풀타임을 뛰는, 리그 최악의 타자로 불리던 푸홀스지만 앞에서 마이크 트라웃이 미친듯이 출루하고 찬스를 만들어 준 덕분에 101타점을 기록했다. 하지만 그 누구도 2013년의 필립스와 2017년의 푸홀스를 리그 최고 수준의 타자였다고 평가하지 않으며, 하다못해 17시즌 푸홀스는 생산적이었다는 평가조차 받지 못한다. 그런 타자들이 타점만큼은 리그 정상급이라는 점에서, 이미 타자의 실력과는 연관성이 적다는 근거가 된다.
뿐만 아니라 타점의 비율 스탯 형태라고 할 수 있는 '''득점권 타율''' 역시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표본의 부족 및 불규칙성이다. 기본적으로 통계는 충분한 표본을 가져야 의미를 가지는데 득점권 타석수는 유의미한 분석이 가능할 만큼 시즌중에 누적되지 못한다. 리그 평균으로 볼때 자기 타석에 주자가 있을 경우는 절반에 못미치는 40% 중반대의 확률이고[6] 그중에서도 득점권이라고 할 수 있는 주자 2루 이상의 경우는 그의 절반 정도인 20% 중반 정도이다. 풀시즌 650타석에 들어선다면, 득점권 타격의 기회는 평균적으로 150~180타석 정도밖에 오지 않으며, 그나마도 편차가 커서 매우 들쭉날쭉하다.
찬스에 강하거나 약한 선수가 존재한다는 이야기 자체를 비판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만약 찬스에 강한 선수가 존재한다고 하면, 고액연봉을 통한 동기부여, 혹은 강화 훈련을 통해 그 선수가 항상 찬스 처럼 집중하게 만든다면 꾸준하게 득점권 타격능력을 극대화해서 찬스에 강한 타자를 '''키워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클러치 히터의 클러치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는 있어도 타자의 타율이 클러치 히팅까지 향상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무엇보다, 아무리 클러치 히팅 능력을 향상시킨다 한들 타점으로 불러들이는 주자는 본인의 능력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반대로 찬스에 약한 타자가 존재한다고 한다면, 그 선수는 프로야구 선수일 수 없다. 아마추어 야구에서 프로야구에 드래프트 되려면 스탯보다는 스카우트들의 매의 눈에 들어오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스카우트들의 시선속에 경기를 펼치는 선수들은 자신의 미래가 달려있으므로 자기 플레이를 하는 선수가 득점 찬스에서 과도하게 위축될 이유가 없으므로 찬스에 약한 선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 찬스에 강한 선수가 있다면 그 선수는 '''원래 타격이 강한 야잘잘 선수'''지 찬스에만 강한 선수가 아니다. 즉 클러치 히터는 스타급 센스처럼 추상적으로는 존재할 수 있어도 비디오게임의 특수능력처럼 만들어서 쓸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는 것.
끝으로 세이버메트리션들의 연구결과 어떠한 선수의 타점 혹은 득점권 타율 기록도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지 않는다. 동일한 선수의 연도별 타점기록을 살펴보면 어떠한 경향성도 발견할수 없다. 또한 유사한 타점 기록을 가진 두명의 선수를 비교하였을때, 다른해에도 유사성을 보이는경우는 거의 없었다. 즉 모든 선수가 경향성 없이 들쭉날쭉한 클러치 관련 기록이므로, 이것을 선수 개인의 능력이 아닌 운, 개인능력과 별개로 보는 시각이 최근 기록해석의 주류이다. 또한 이는 샘플이 누적될수록 자연스럽게 평균에 가깝게 회귀한다. 한 예로, 클러치히터로 유명한 데이비드 오티즈의 통산 커리어 타출장인 0.282-0.377-0.545과 RISP 0.298-0.403-0.526은 OPS로 볼 때 그에 대해 '찬스에 강하다'란 인식만큼 큰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 반대로 찬스에 약하다고 까이는 알렉스 로드리게스도 2007년엔 RISP 0.333, 2009년엔 2할6푼대, 전체 커리어 RISP avg는 0.301로 커리어 타율과 큰 차이가 없다. 그나마 차이가 좀 크다면 크다고 할 수 있는 선수는 매니 라미레즈로 0.313-0.411-0.591과 0.327-0.455-0.599 정도이며, 이마저도 타율과 장타율은 각각 1푼 정도밖에 차이가 안나며, 출루율만 .044만큼 차이가 나는데, 이는 매니를 상대한 투수들이 굳이 승부를 하지 않고 피하는 피칭을 했다는 결론을 얻어 낼 수 있다.
결론은 선수 개인의 타점은 본인의 실력 못지 않게 팀 타선(출루+주루)의 영향을 더 많이 받고 그 찬스도 매 시즌별로 불규칙하게 누적되기 때문에 절대 꾸준하게 유지되는 기록도 아니고, 유의미한 통계자료로 쓸수 있을만큼 표본이 쌓이지 않으며, 누적이 되면 될수록 선수의 원래 기록과 비슷하게 수렴해간다. 물론 이 역시 아웃라이어는 존재하는데, 찬스에서의 기록이 의미가 생길 정도로 충분한 표본이 쌓이는 동안 꾸준히 득점권에서 평상시보다 강한 모습을 보여야 하므로 보기 드물다. 유한준이 대표적인 케이스이며 이런 경우는 세이버메트리션들도 인정하는 편.

3. 타점관련 역대기록



3.1. 한국프로야구



3.2. 메이저리그


  • 개인 통산 최다 타점 - 행크 애런, 2297타점
  • 개인 단일 시즌 최다 타점 - 핵 윌슨(시카고 컵스), 191타점(1930년)
  • 개인 한 경기 최다 타점 - 짐 보텀리,[7] 마크 휘튼[8] 12타점(1924년, 1993년)[9]
  • 개인 한 이닝 최다 타점 - 페르난도 타티스(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8타점(1999년 4월 23일, 3회)

3.3. 일본 프로야구


  • 개인 통산 최다 타점 - 오 사다하루, 2,170타점
  • 개인 단일 시즌 최다 타점 - 고즈루 마코토(쇼치쿠 로빈스), 161타점(1950년)
  • 개인 한 경기 최다 타점 - 이이지마 시게야(다이에 스타즈), 11타점(1951년 10월 5일)
  • 개인 한 이닝 최다 타점 - 이이지마 시게야(다이에 스타즈), 이케야마 타카히로(야쿠르트 스왈로즈) 7타점

4. 타점 순위


  • MLB 타점 순위 (굵은 글자는 현역, mlb.com 기준)
순위
선수명
타점 개수
1
행크 애런
2297
2
베이브 루스
2213
3
'''알버트 푸홀스'''
2100
4
알렉스 로드리게스
2086
5
배리 본즈
1996
6
루 게릭
1995
7
스탠 뮤지얼
1951
8
타이 콥
1938
9
지미 폭스
1922
10
에디 머레이
1917
11
윌리 메이스
1903
12
캡 앤슨
1879[10]
13
멜 오트
1860
14
칼 야스트렘스키
1844
15
테드 윌리엄스
1839
16
켄 그리피 주니어
1836
17
라파엘 팔메이로
1835
18
데이브 윈필드
1833
19
매니 라미레즈
1831
20
찰리 게링거
1827
  • MLB 현역타점 순위
순위
선수명
타점 개수
1
알버트 푸홀스
2075
2
미겔 카브레라
1729
3
로빈슨 카노
1302
4
에드윈 엔카나시온
1261
5
라이언 브론
1154
6
넬슨 크루즈
1152
7
닉 마카키스
1046
8
에반 롱고리아
1043
9
맷 켐프
1031
10
라이언 짐머맨
1015
  • NPB 타점 순위 (굵은 글자는 현역)
순위
선수명
타점 개수
1
오 사다하루
2170
2
노무라 카츠야
1988
3
카도타 히로미츠
1678
4
하리모토 이사오
1676
5
오치아이 히로미츠
1564
6
기요하라 가즈히로
1530
7
나가시마 시게오
1522
8
카네모토 토모아키
1521
9
오오스기 카츠오
1507
10
야마모토 코지
1475
11
기누가사 사치오
1448
12
도이 마사히로
1400
13
나카무라 노리히로
1348
14
카와카미 테츠하루
1319
15
아키야마 코지
1312
16
고쿠보 히로키
1304
17
아라이 타카히로
1303
18
야마우치 카즈히로
1286
19
아베 신노스케
1285
20
알렉스 라미레스
1272
  • KBO 타점 순위 (굵은 글자는 현역)
순위
선수명
타점 개수
1
이승엽
1498[11]
2
양준혁
1389
3
김태균
1358[12]
4
'''최형우'''
1335
5
이호준
1265
6
'''이대호'''
1210[13]
7
박용택
1185
8
'''최정'''
1156
9
장종훈
1145
10
이범호
1127[14]

5. 관련 문서



[1] 각각 신자체, 간화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정체자를 사용하는 한국과 대만과는 '점'자의 표기가 달라졌다.[2] 타자에게 '병살타'가 기록되는 경우에만 타점이 주어지지 않는다. 더블 플레이라도 플라이 아웃, 직선타 아웃으로 인한 더블 플레이와 같이 타자에게 병살타가 기록되지 않는 상황에서 득점이 나왔다면 타점으로 인정된다.[3] 하지만 주자 만루 상황에서 볼넷과 동시에 공이 심하게 빠져서 2루에 있던 주자까지 같이 홈으로 들어온 경우, 3루 주자는 타자의 볼넷으로 인한 안전진루권으로 들어온 게 맞지만 2루 주자는 타자의 볼넷으로 얻은 안전진루권으로 3루까지 간 후 홈으로 들어오는 건 주자 본인의 재치나 주루 코치의 지시로 아웃될 위험을 무릅쓰고 들어온 것이므로 타점은 1점만 인정된다. 예를 들자면 이 상황. 주자 만루에서 볼넷과 포일이 동시에 발생했는데, 3루 주자는 타점이 인정되고, 2루 주자는 포일에 의한 득점으로 기록[4] 예를 들어 2사 2루에서 타자가 중견수 앞에 떨어지는 안타를 쳤을때 2루 주자가 정수빈인 경우와 이대호인 경우 누가 더 득점확률이 높을 것인가? 또는 1사 주자 3루때 좌익수 얕은 플라이 아웃될 경우 둘중 누가 홈으로 달려 희생플라이 타점 추가할 확률이 높을까? 이때문에 타석에 섰을때 깔려있는 주자들의 주력 및 주루플레이도 타자의 타점 획득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이 때문에 로이스터 시절 한참 타격에 물이올랐던 롯데 타선도 이대호, 홍성흔 등 발 느린 주자들이 주전에 여러명 끼어있었던 탓에, 연속 안타를 이어가면서도 주루가 느려서 득점권에서 단타를 치고도 득점에 실패하는 경우가 적지않았다.[5] 김거김상황이나 배리 본즈, 펠릭스 호세급 타자가 있을 경우, 타점은 뒤 타자가 쓸어가도 상대팀이 무서워하는 건 앞 타자지, 뒤 타자는 아니다.[6] 사실 주자 1루 상황은 득점권으로 기록되진 않지만, 주자의 능력과 상대 수비에 따라, 낮은 확률이지만 타점을 기록할 수 있는 찬스다.[7] 9이닝 기록. vs 브루클린 다저스. 1회 안타(2타점), 2회 2루타(1타점), 4회 만루홈런(4타점), 6회 투런홈런(2타점), 7회 안타(2타점), 9회 안타(1타점).[8] 9이닝 기록. 4홈런 경기. vs. 신시내티 레즈 1회 만루홈런(4타점), 4회 뜬공, 6회 3점홈런(3타점), 7회 3점홈런(3타점), 9회 2점홈런(2타점).[9] 두 사람 모두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소속으로 기록했다.[10] mlb.com 기준[11] NPB 439타점.[12] NPB 106타점.[13] NPB 348타점, MLB 49타점.[14] NPB 8타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