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아이돌/포지션

 



일본 아이돌의 포지션을 기술한 문서. 각 그룹 팬이 아니면 모르는 부분이 많으니 유의할 것.
AKB48의 해외 자매그룹도 이 문서에 적는다. 다만 중국은 SNH48은 계약해지되어 일본의 48그룹과 이별한 관계로 적지 않는다.
가상 아이돌은 ☆표시.
1. 음악
1.1. 메인보컬
1.2. 래퍼
2. 음악 외
2.1. 비주얼 담당
2.2. 센터
2.3. 리더
2.4. 서브리더
2.5. 막내
2.6. 해외파


1. 음악



1.1. 메인보컬


가수라는 아이덴티티를 지키는 최후의 보루. 실력이 좋은 그룹들의 경우 복수의 멤버들이 보컬을 책임지고 있다. 하로프로, 아뮤즈계열이 멤버들의 보컬실력에도 비중을 많이 두는 편.

1.2. 래퍼


한국과 달리 일본 아이돌 그룹의 경우 '랩'이 노래에 들어가는 경우가 거의 없다. 그때문에 확실하게 '래퍼'포지션을 가진 멤버가 매우 드물다. 그나마 쟈니즈 계열 그룹에 한둘 있는 정도. 초창기의 윈즈나 리드(Lead.)같은 그룹에서 래퍼 포지션이 있긴 있었다. 대신 여성 아이돌 그룹의 경우엔 정말 없다. 한국에서는 힙합문화가 일반 팝이나 댄스에도 전폭적으로 랩이 도입되어 인기를 끈 반면 일본의 힙합문화는 [1] 철저하게 언더그라운드 내에서의 마니아 문화로 DJ들과 함께 성장해온 문화이기 때문에 일반 댄스음악과의 접점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기 때문. 희한하게 한국의 락덕후들이 동경하는 일본 록 씬은 댄스음악과의 접점이 꽤 되는 편이다. 이 부분은 한국과는 정반대. [2]
  • 라임베리(RHYMEBERRY) - MC MIRI[3]
  • 아라시 - 사쿠라이 쇼
  • AAA - 히다카 미츠히로(스카이하이)
  • KAT-TUN - (구) 다나카 코키, (현) 우에다 타츠야
  • Kis-My-Ft2 - 후지가야 타이스케, 니카이도 타카시
  • Lead. - 타니우치 신야[4]
  • w-inds. - 치바 료헤이, 오가타 류이치[5]

2. 음악 외



2.1. 비주얼 담당



2.2. 센터


일본 아이돌의 경우 한국에 비해 다인원인 경우가 많다. 때문에 그룹 이미지 구축 + 인지도 확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무대의 정 가운데' 세우는 멤버에게 스포트라이트를 집중시킨다. 때문에 그룹의 얼굴이라 할 정도로 센터의 비중이 상당하다. 심하면 아얘 노래 파트와 안무 동선까지 센터에게 몰아주고 다른 멤버들은 코러스만해서 병풍취급을 당하기도 한다[7]. 연기 활동이나 잡지 인터뷰 등 적극적인 미디어 푸쉬는 덤이다. 팬덤의 불화 방지, 멤버별 역할분담을 중요시 여기는 한국 아이돌과는 다르다. 때문에 일본에서 활동하는 한류 아이돌의 경우 한국에서는 없던 센터가 생기기도 한다.

2.3. 리더


일본 아이돌의 경우 평균 멤버수가 매우 많기 때문에 이를 통솔하는 리더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 때문에 '서브리더'를 두기도 하며(하단 기재) 그룹에 따라캡틴, 학생회장 등으로 그룹마다 명칭이 다른 경우가 있다.

AKB그룹은 초대형 그룹으로 전체를 통솔하는 총감독, 각 그룹내의 팀별 캡틴(SKE48은 리더)가 존재한다.
쟈니스의 최근 그룹은 King & Prince를 제외하고는 공식적인 리더가 없지만, 멤버들이 인정하는 실질적 리더들은 존재하고 있다.

2.4. 서브리더



2.5. 막내



2.6. 해외파


혼혈은 적지 않는다.

[1] 락덕후들도 역시 일본의 밴드 문화를 동경하는 경향이 있다.[2] 이는 아이돌 프로듀싱에 투신한 선배 뮤지션들의 영향도 있다. 한국에서는 박진영, 양현석등 미국 흑인음악의 영향을 받은 음악가들이 프로듀서로서 아이돌 그룹을 양성했으나, 일본에서는 밴드 프론트맨이었던 층쿠The Alfee의 곡으로 작사가 커리어를 시작한 아키모토 야스시등 락음악과 밀접한 음악가들이 프로듀서로 활약하고있다.[3] 장르 자체가 아이돌 팝 + 힙합이다보니 여성아이돌 중에서 정말 보기 드문 메인 래퍼 포지션. 물론 다른 멤버도 랩을 하지만 랩배틀 대회에도 출전하고 하는 등 래퍼로써의 인지도는 멤버들 중 독보적.랩 배틀 대회 참여 영상[4] 이전에는 다른 멤버들도 보컬과 랩을 겸하긴 했으나 현재에 들어선 랩을 하는 건 거의 신야 정도.[5] 초창기 시절[6] 탈퇴 전까지는 카메나시와 비주얼 투탑이었다.[7] 다인원 그룹일수록 무대에서 센터몰빵은 심해지는데, 멤버가 많으면 복잡한 동선을 가진 안무를 만들기가 어려워지기 때문. 48/46사단처럼 20명씩 무대에 올라가는 경우에는 두줄로 세워놓고 앞줄 뒷줄 자리바꾸기 정도 하는게 한계다. 복잡한 안무를 수행할 능력을 갖춘 경우도 없고...[8] 아카니시 진의 탈퇴 전까지는 카메나시 카즈야와 둘이 함께 더블 센터였다.[9] 평소에는 히라노 쇼가 센터이지만, 6명이 서면 키시 유타와 함께 공동 센터로 서는 편이다.[10] 한 노래 안에서도 이 셋이 계속 돌아가며 센터 자리에 서는 편이다. 그래서 이 셋을 센터가 아니라 프론트 멤버 이라고 보기도 한다.[11] 이 경우는 프로젝트 초기부터 이어져오던 명예센터다. 노래가 어느것이냐에 따라 센터가 바뀐다[12] 애니메이션 한정.[13] 하로프로 전체 서브리더[14] 하로프로 전체 리더[15] 2016년을 끝으로 하로프로 전체 리더 퇴임.[16] 탈퇴가 아닌, 스스로 리더 자리를 관둔 케이스[17] SKE48은 리더